KR102138381B1 - 터치 패널용 차광성 조성물 및 터치 패널 - Google Patents

터치 패널용 차광성 조성물 및 터치 패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38381B1
KR102138381B1 KR1020130130739A KR20130130739A KR102138381B1 KR 102138381 B1 KR102138381 B1 KR 102138381B1 KR 1020130130739 A KR1020130130739 A KR 1020130130739A KR 20130130739 A KR20130130739 A KR 20130130739A KR 102138381 B1 KR102138381 B1 KR 1021383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group
touch panel
shielding composition
shiel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307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57172A (ko
Inventor
히로아키 야마다
마사오미 다카노
겐타로 하라구치
나오토 혼마
슈헤이 하야시
Original Assignee
닛테츠 케미컬 앤드 머티리얼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13213571A external-priority patent/JP6529213B2/ja
Application filed by 닛테츠 케미컬 앤드 머티리얼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닛테츠 케미컬 앤드 머티리얼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400571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571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383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38381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3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08L33/1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esters containing halogen, nitrogen, sulfur, or oxygen atoms in addition to the carboxy oxyge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20/00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a salt, anhydride ester, amide, imide or nitrile thereof
    • C08F220/02Monocarboxylic acids having less than ten carbon atoms; Derivatives thereof
    • C08F220/10Esters
    • C08F220/26Esters containing oxygen in addition to the carboxy oxyge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2Elements
    • C08K3/04Carbon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FPHOTOMECHANICAL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FOR PRINTING, FOR PROCESSING OF SEMICONDUCTOR DEVICES; MATERIALS THEREFOR; ORIGINALS THEREF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Photomechanical, e.g. photolithographic,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printing surfaces; Materials therefor, e.g. comprising photoresist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4Photosensitive materia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aterials For Photolithography (AREA)
  • Optical Filters (AREA)

Abstract

(과제) 터치 패널의 차광층으로서 적합한 내약품성, 내광성 및 절연성이 우수하고, 포토리소그래피에 의한 화상 형성을 할 수 있는 차광성 조성물 및 그 경화막을 제공하는 것.
(해결 수단) 복수의 반복 단위를 갖는 공중합체로서, 일반식 (1) 로 나타내는 반복 단위 20 ∼ 90 몰%, 및 이것과 공중합 가능한 1 종 이상의 중합성 불포화 화합물에서 유래하는 반복 단위 10 ∼ 80 몰% 로 구성되고, 수 평균 분자량이 2 천 ∼ 2 만이고, 또한 산가가 35 ∼ 120 ㎎ KOH/g 인 공중합체 (A), 및 절연 처리된 카본 블랙 (B) 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패널용 차광성 조성물이고, 상기의 차광성 조성물을 경화시킨 경화막이다.

Description

터치 패널용 차광성 조성물 및 터치 패널 {LIGHT-SHIELDING RESIN COMPOSITION FOR TOUCH PANEL AND TOUCH PANEL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신규 터치 패널용 차광성 조성물 및 그 경화막을 갖는 터치 패널에 관한 것이다.
현재, 액정 디스플레이 등의 표시 장치에 있어서의 입력 수단으로서, 터치 패널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터치 패널의 구성으로는 여러 가지 방식이 알려져 있지만, 밝은 화면의 디스플레이를 실현할 수 있는 점, 복수 지점의 터치를 동시 검출할 수 있는 점 등의 이점에서, 정전 용량 방식 (투영형) 의 터치 패널이 주목받고 있다.
정전 용량 방식의 터치 패널은 ITO 등의 투명 도전재료에 의해 2 층으로 형성된 모자이크상의 전극 패턴을 화면 내에 갖는다. 2 층의 전극 패턴은 각각 x 축 방향과 y 축 방향으로 연속된 형상을 나타내고, 금속 등의 취출 배선을 개재하여 외부의 제어 회로에 접속된다. 터치 패널의 화면에 손가락이 접촉하면, 그 부근의 전극 패턴에 정전 용량의 변화가 발생하고, 이것을 제어 회로가 좌표 정보로서 검출하여 손가락의 위치를 식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특허문헌 1 참조).
이와 같은 터치 패널에 있어서 전면 유리 상에 터치 패널 회로를 형성하는 경우, 화면의 주변부에 액자상으로 형성된 차광층의 뒤에 금속 등의 취출 배선을 감추고, 사용자로부터 보이지 않게 함으로써 디스플레이의 시인성이나 디자인성을 높이는 것이 제안되어 있다. 이 경우, 차광층을 형성한 후에 취출 배선이나 전극 패턴의 에칭 가공이 실시되기 때문에, 차광층의 재료로는 금속의 에칭액이나 에칭 레지스트의 박리액에 대한 내약품성이 필요해진다. 또, 당해 차광층은 디스플레이의 표면 근처에 위치하기 때문에, 그 재료로는 높은 내광성이 요구된다. 또한, 전극 사이의 단락을 방지하기 위해서 차광층은 절연성을 가져야만 하고, 특히 터치 패널 회로의 제조 공정에서 필요해지는 고온에서의 열처리를 거친 후에의 절연성의 유지가 요구된다.
차광층으로는 차광성의 잉크 조성물을 이용할 수 있지만, 최근에는 포토리소그래피에 의한 화상 형성을 할 수 있는 차광성 포토레지스트의 적용이 시도되고 있다. 포토리소그래피의 프로세스에 의하면, 화면의 주변부에만 비교적 얇은 막두께의 차광층을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기 때문에 유익하다. 그러나, 기존의 재료, 예를 들어 컬러 필터의 블랙 매트릭스용 차광성 조성물을 터치 패널 용도로 전용한 경우, 내약품성이나 내광성이 요구 수준을 만족하지 않고, 또한 그들의 특성과 절연성의 양립이 어렵다는 문제가 있었다.
한편, 터치 패널용으로 설계가 연구된 차광성 조성물의 제안도 실시되고 있지만 (예를 들어 특허문헌 2, 3 참조), 이와 같은 조성물에 있어서도 아직 충분한 개선은 도모되지 않아, 더욱 고성능인 재료의 등장이 요망되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1-186717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2-145699호 WO 2012/133148호 팜플렛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 기술의 과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내약품성, 내광성 및 절연성이 우수하고, 포토리소그래피에 의한 화상 형성을 할 수 있는 터치 패널용 차광성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검토한 결과, 본 발명자들은 특정한 구조를 갖는 공중합체가 절연 처리된 카본 블랙과 함께 함유시킨 차광성 조성물이 터치 패널 용도로 적합한 것을 알아내어,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즉 본 발명은, 복수의 반복 단위를 갖는 공중합체로서, 하기 일반식 (1) 로 나타내는 반복 단위 20 ∼ 90 몰%, 및 이것과 공중합 가능한 1 종 이상의 중합성 불포화 화합물에서 유래하는 반복 단위 10 ∼ 80 몰% 로 구성되고, 수 평균 분자량이 2 천 ∼ 2 만이고, 또한 산가가 35 ∼ 120 ㎎ KOH/g 인 공중합체 (A), 및 절연 처리된 카본 블랙 (B) 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패널용 차광성 조성물이다.
[화학식 1]
Figure 112013098950751-pat00001
(단, R1 및 R2 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또는 메틸기를 나타낸다.)
여기서, A 성분은 방향 고리를 함유하지 않은 반복 단위군만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본 발명은 상기의 터치 패널용 차광성 조성물의 경화막을 갖는 터치 패널이기도 하다.
본 발명의 터치 패널용 차광성 조성물은 내약품성, 내광성 및 절연성이 우수한 경화막을 형성할 수 있기 때문에 매우 유용하다. 특히, 포토리소그래피에 의한 화상 형성을 할 수 있기 때문에, 터치 패널의 생산성이 우수한 점에서도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차광성 조성물은 일반식 (1) 로 나타내는 반복 단위 20 ∼ 90 몰%, 및 이것과 공중합 가능한 1 종 이상의 중합성 불포화 화합물에서 유래하는 반복 단위 10 ∼ 80 몰% 로 구성되고, 수 평균 분자량이 2 천 ∼ 2 만이고, 또한 산가가 35 ∼ 120 ㎎ KOH/g 인 공중합체 (A) 를 함유한다. A 성분은 (메트)아크릴산 유도체로 대표되는 중합성 불포화 화합물을 통상적인 방법에 의해 라디칼 중합하여 얻어지는 중합체 또는 공중합체를 기본 골격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메트)아크릴산이란 아크릴산 또는 메타크릴산을 말한다 (이하도 동일). 라디칼 중합시에는, 아조 화합물이나 과산화물 등의 공지된 라디칼 중합 개시제를 사용할 수 있다. 또, 공지된 연쇄 이동제나 중합 금지제 등을 이용하여 중합도를 제어해도 된다. 또한, 일반식 (1) 로 나타내는 반복 단위를 20 ∼ 90 몰% 함유한다란, 공중합체 (A) 를 구성하는 총반복 단위수에 있어서의, 일반식 (1) 에 관련된 반복 단위수의 비율을 나타내는 것이기도 하다. 이하, 반복 단위를 유닛이라고도 한다.
일반식 (1) 로 나타내는 유닛을 A 성분에 도입하려면, 글리세린-1,3-디(메트)아크릴레이트를 원료로 하여 직접 라디칼 중합시키는 방법도 있지만, 가교 반응에 의한 겔화를 방지하기 위해서, (메트)아크릴산에서 유래하는 유닛을 갖는 중합체 또는 공중합체에 (메트)아크릴산글리시딜을 부가시키거나, 또는 (메트)아크릴산 글리시딜에서 유래하는 유닛을 갖는 중합체 또는 공중합체에 (메트)아크릴산을 부가시키는 2 단계 합성법에 의한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부가 반응은 통상적인 방법에 의해 실시되면 되고, 3 급 아민, 4 급 암모늄염, 3 급 포스핀, 4 급 포스포늄염 등의 공지된 반응 촉매를 적용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공중합체 (A) 는 일반식 (1) 로 나타내는 반복 단위를 20 ∼ 90 몰%, 및 이 일반식 (1) 로 나타내는 반복 단위와 공중합 가능한 1 종 이상의 중합성 불포화 화합물에서 유래하는 반복 단위를 10 ∼ 80 몰% 갖는 것이다. 즉, 이 A 성분에는 일반식 (1) 이외의 임의의 유닛을 공중합시킬 수 있고, 예를 들어 (메트)아크릴산,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메트)아크릴산아미드, 스티렌 및 그 유도체, 무수 말레산 및 그 유도체, 비닐에테르류, 올레핀류 등에서 유래하는 유닛을 도입할 수 있다. 내광성의 관점에서는 자외광 영역이 되기 위해 흡수를 갖지 않는 것이 유리하고, 그 때문에 A 성분으로는 방향 고리를 함유하지 않는 유닛군만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의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를 구성하는 알코올 (R3OH) 성분 또는 (메트)아크릴산아미드를 구성하는 아민 (R4R5NH) 성분으로는, 공지된 것을 특별히 제한 없이 이용할 수 있다. R3, R4 및 R5 의 구체적인 예로는, 메틸기, 에틸기, 프로필기, 이소프로필기, 부틸기, 이소부틸기, sec-부틸기, tert-부틸기, 펜틸기, 이소펜틸기, 네오펜틸기, tert-펜틸기, 헥실기, 헵틸기, 옥틸기, 2-에틸헥실기, 노닐기, 데실기, 도데실기, 테트라데실기, 헥사데실기, 옥타데실기, 이코실기, 시클로프로필기, 시클로펜틸기, 시클로펜틸에틸기, 시클로헥실기, 시클로헥실메틸기, 4-메틸시클로헥실기, 아다만틸기, 이소보르닐기, 디시클로펜타닐기, 디시클로펜테닐기, 비닐기, 알릴기, 에티닐기, 페닐기, 톨릴기, 메시틸기, 나프틸기, 안트릴기, 페난트릴기, 벤질기, 2-페닐에틸기, 2-페닐비닐기 등의 포화 또는 불포화의 1 가의 탄화수소기나, 피리딜기, 피페리딜기, 피페리디노기, 피롤릴기, 피롤리디닐기, 이미다졸릴기, 이미다졸리디닐기, 푸릴기, 테트라하이드로푸릴기, 티에닐기, 테트라하이드로티에닐기, 모르폴리닐기, 모르폴리노기, 퀴놀릴기 등의 포화 또는 불포화의 1 가 복소 고리기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상기의 탄화수소기 및 복소 고리기 등의 임의의 위치에, 할로겐 원자, 하이드록시기, 술파닐기, 카르보닐기, 티오카르보닐기, 카르복실기, 티오카르복실기, 디티오카르복실기, 포르밀기, 시아노기, 니트로기, 니트로소기, 술포기, 아미노기, 이미노기, 실릴기, 에테르기, 티오에테르기, 에스테르기, 티오에스테르기, 디티오에스테르기, 아미드기, 티오아미드기, 우레탄기, 티오우레탄기, 우레이드기, 티오우레이드기 등을 치환기로서 도입한 구조도 들 수 있다. 이와 같은 1 가의 기는 목적으로 하는 A 성분의 구조에 따라 적절히 선정되면 되지만, 성능 및 경제성의 관점에서 탄소 원자수 1 ∼ 20 의 포화 또는 불포화의 1 가의 탄화수소기인 것이 바람직하고, 탄소 원자수 1 ∼ 6 의 포화 또는 불포화의 1 가의 탄화수소기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 R4 및 R5 는 수소 원자이어도 되고, R4 및 R5 가 결합하여 고리를 형성하고 있어도 된다.
상기 이외에도, 에폭시기를 갖는 유닛 (예를 들어 (메트)아크릴산글리시딜, (메트)아크릴산[4-(글리시딜옥시)부틸], (메트)아크릴산[(3,4-에폭시시클로헥실)메틸], 4-(글리시딜옥시메틸)스티렌 등에서 유래하는 유닛) 이나, 알콕시실릴기를 갖는 유닛 (예를 들어 (메트)아크릴산[3-(트리메톡시실릴)프로필], (메트)아크릴산[3-(트리에톡시실릴)프로필], 4-(트리메톡시실릴)스티렌 등에서 유래하는 유닛) 도 공중합 성분으로서 바람직하다.
또한, 스티렌의 유도체로는 α-메틸스티렌이나, 스티렌의 방향 고리에 알킬기, 할로겐 원자, 하이드록시기 등을 도입한 화합물도 사용할 수 있다. 또, 무수 말레산의 유도체로는, 무수 말레산과 알코올의 모노에스테르 또는 디에스테르, 무수 말레산과 아민의 아미드 또는 이미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비닐에테르류로는 알킬비닐에테르 등, 올레핀류로는 에틸렌, 프로필렌, 부타디엔이나, 이들 화합물의 수소 원자가 할로겐 원자나 시아노기로 치환된 구조 등을 예시할 수 있다. 그 이외에, 알킬비닐케톤, 아세트산비닐 등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이 단락에서 말하는 알킬은 탄소수 1 ∼ 20 의 포화 또는 불포화의 탄화수소기를 나타내고, 이러한 탄화수소기는 분기 구조나 고리 구조를 갖고 있어도 되고, 임의의 치환기로 치환되어 있어도 된다.
A 성분은 일반식 (1) 로 나타내는 유닛을 20 ∼ 90 몰% 함유하는 것이 필요하고, 30 ∼ 90 몰% 함유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30 ∼ 60 몰% 함유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일반식 (1) 로 나타내는 유닛이 이보다 적은 경우에는, 차광성 조성물의 내약품성이나 절연성이 부족하다. 한편, 일반식 (1) 로 나타내는 유닛이 많은 것에 의한 기능상의 문제는 없지만, 그 비율이 지나치게 크면 산가를 소정의 범위로 제어하는 것과의 양립이 어려워진다. 그 때문에, 일반식 (1) 로 나타내는 유닛의 상한은 90 몰% 인 것이 필요하다.
또, A 성분의 수 평균 분자량은 2 천 ∼ 2 만의 범위에 있는 것이 필요하고, 5 천 ∼ 1 만 5 천의 범위에 있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수 평균 분자량이 이보다 작은 경우에는 차광성 조성물의 내약품성이나 절연성이 부족하고, 반대로 큰 경우에는 포토리소그래피에 의한 화상 형성이 곤란해진다. A 성분의 중량 평균 분자량에 대해서는 특별히 제한은 없지만, 분산도 (중량 평균 분자량 ÷ 수 평균 분자량) 가 1 ∼ 4 의 범위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들 분자량의 값은 GPC (SEC) 측정에 의해 구할 수 있다.
또한, A 성분의 산가는 35 ∼ 120 ㎎ KOH/g 인 것이 필요하고, 50 ∼ 80 ㎎ KOH/g 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산가가 이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에는, 알칼리 현상액에 대한 용해성의 밸런스가 상실되어 포토리소그래피에 의한 화상 형성이 곤란해진다. A 성분에 대한 산가의 부여는 전형적으로는 (메트)아크릴산에서 유래하는 유닛을 소정의 몰비로 공중합시킴으로써 실시할 수 있지만, 하기와 같은 일반식 (2) 로 나타내는 유닛의 도입도 바람직하다. 일반식 (2) 로 나타내는 유닛은 일반식 (1) 로 나타내는 유닛에 디카르복실산 무수물을 부가시켜서 합성할 수 있다.
[화학식 2]
Figure 112013098950751-pat00002
(단, R1 및 R2 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또는 메틸기를 나타내고, Z 는 디카르복실산 무수물의 2 가의 잔기를 나타낸다)
디카르복실산 무수물로는 공지된 것을 특별히 제한 없이 이용할 수 있지만, 예를 들어 무수 숙신산 (Z = 에틸렌기), 무수 말레산 (Z = 비닐렌기), 시클로헥산-1,2-디카르복실산 무수물 (Z = 시클로헥산-1,2-디일기), 시클로헥센-1,2-디카르복실산 무수물 (Z = 시클로헥센-1,2-디일기), 시클로헥센-4,5-디카르복실산 무수물 (Z = 시클로헥센-4,5-디일기), 노르보르난-2,3-디카르복실산 무수물 (Z = 노르보르난-2,3-디일기), 무수 프탈산 (Z = 1,2-페닐렌기), 벤젠-1,2,4-트리카르복실산-1,2-무수물 (Z = 4-카르복시-1,2-페닐렌기), 시클로헥산-1,2,4-트리카르복실산-1,2-무수물 (Z = 4-카르복시시클로헥산-1,2-디일기) 등을 들 수 있다.
상기의 유닛 이외에도, 2-하이드록시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2-하이드록시프로필(메트)아크릴레이트, 4-하이드록시부틸(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의 하이드록시기를 갖는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에 디카르복실산 무수물을 부가한 구조에서 유래하는 유닛이나, 무수 말레산 및 그 유도체에서 유래하는 유닛 등도 이용할 수 있다.
A 성분이 터치 패널용 차광성 조성물에 적합한 이유는 반드시 명확하지 않지만, 일반식 (1) 로 나타내는 유닛이 그 말단에 중합성 불포화 결합을 갖기 때문에, 치밀한 가교 구조에 의해 내약품성, 내광성 및 절연성이 우수한 경화막을 형성할 수 있게 하고 있는 것이 추측된다. 또 A 성분에 대해서는, 조성이 상이한 2 종류 이상의 공중합체를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차광성 조성물은 절연 처리된 카본 블랙 (B) 를 함유한다. 카본 블랙의 절연 처리에는, 수지로 피복하는 방법 (예를 들어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9-95625호), 산화제로 산화 처리하는 방법 (예를 들어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11-181326호), 반응성기를 갖는 고분자 화합물에 의해 그래프트화하는 방법 (예를 들어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9-265006호), 유기기로 화학 수식하는 방법 (예를 들어 일본 공표특허공보 2008-517330호), 그래프트 반응과 수지에 의한 피복을 병용하는 방법 (예를 들어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2-249678호), 색소로 피복하는 방법 (예를 들어 WO 2013/129555호 팜플렛) 등이 알려져 있지만, B 성분으로는 어느 방법에 의한 것이어도 된다. 절연성의 지표로는, 차광성 조성물의 경화막의 표면 저항률이 10 의 10 승 Ω/sq 이상을 나타내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것을 실현할 수 있는 절연 처리인 것이 좋다. 절연 처리되어 있지 않은 카본 블랙을 사용한 경우에는 차광성 조성물의 경화막의 표면 저항률은 일반적으로 10 의 8 승 Ω/sq 미만이 되기 때문에, B 성분의 절연 처리의 필요성은 분명하다. B 성분에 대해서는, 2 종류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해도 된다.
본 발명의 차광성 조성물은 고형분 중에 A 성분 및 B 성분을 각각 20 ∼ 70 중량%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나아가서는 각각 30 ∼ 50 중량% 함유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여기서 고형분이란, 차광성 조성물에 함유되는 용제 이외의 성분을 말한다 (용제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A 성분의 함유량이 상기의 범위보다 적은 경우에는 내약품성, 내광성 및 절연성이 부족하고, 반대로 많은 경우에는 차광성 조성물의 설계가 곤란해진다. 또, B 성분의 함유량이 상기의 범위보다 적은 경우에는 차광성이 부족하고, 반대로 많은 경우에는 포토리소그래피에 의한 화상 형성이 곤란해진다. 또한 차광성의 지표로는, 차광성 조성물의 경화막의 광학 농도가 2.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차광성 조성물에는, 경화성이나 포토리소그래피의 성능을 제어하는 목적에서 A 성분 이외의 중합성 불포화 결합을 갖는 화합물 (C) 를 함유시킬 수 있다. C 성분으로는, 종래 감광성 조성물에 사용되고 있는 공지된 화합물을 특별히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지만, 예를 들어 디에틸렌글리콜디(메트)아크릴레이트, 트리메틸올프로판트리(메트)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트리톨테트라(메트)아크릴레이트, 디트리메틸올프로판테트라(메트)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트리톨헥사(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의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유도체나, 비스페놀 A 형 에폭시디(메트)아크릴레이트, 비스페놀 F 형 에폭시디(메트)아크릴레이트, 비스페놀플루오렌형 에폭시디(메트)아크릴레이트, 페놀노볼락형 에폭시폴리(메트)아크릴레이트, 크레졸노볼락형 에폭시폴리(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의 (메트)아크릴산에폭시에스테르 유도체 등을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 상기 (메트)아크릴산 유도체와, 구조 중에 (바람직하게는 복수의) 이소시아네이트기나 산무수물기 등을 갖는 화합물의 반응 생성물 등도 적합하다. 또한 (메트)아크릴산 유도체 이외에도, 말레산 유도체, 말레이미드 유도체, 크로톤산 유도체, 이타콘산 유도체, 계피산 유도체, 비닐 유도체, 비닐알코올 유도체, 비닐케톤 유도체, 비닐 방향족 유도체 등도 들 수 있다. 이들의 중합성 불포화 결합을 갖는 화합물은 또한 에폭시기 등의 열반응성 관능기나 카르복실기 등의 알칼리 용해성 관능기 등을 가져, 복합 기능화된 것이어도 된다. C 성분의 배합량은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차광성 조성물의 고형분 중 1 ∼ 30 중량% 인 것이 바람직하고, 5 ∼ 20 중량% 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C 성분은 1 종류의 화합물만을 사용해도 되고, 복수를 조합하여 사용해도 된다.
본 발명의 차광성 조성물에는, 광 경화성을 높이는 목적에서 광중합 개시제 및/또는 색소 증감제 (D) 를 함유시킬 수 있다. D 성분으로는, 종래 감광성 조성물에 사용되고 있는 공지된 화합물을 특별히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지만, 예를 들어 아세토페논, 2-하이드록시-2-메틸-1-페닐프로판-1-온, 벤질디메틸케탈 등의 아세토페논 화합물, 벤조페논, 2,4,6-트리메틸벤조페논, 4,4'-비스(N,N-디에틸아미노)벤조페논 등의 벤조페논 화합물, 벤조인에틸에테르, 벤조인-tert-부틸에테르 등의 벤조인에테르 화합물, 2-메틸-1-[4-(메틸술파닐)페닐]-2-모르폴리노프로판-1-온, 2-벤질-2-(N,N-디메틸아미노)-1-(4-모르폴리노페닐)부탄-1-온 등의 α-아미노알킬페논 화합물, 티오크산톤, 2,4-디에틸티오크산톤 등의 티오크산톤 화합물, 3,3',4,4'-테트라키스(tert-부틸퍼옥시카르보닐)벤조페논 등의 유기 과산화물, 2,2'-비스(2-클로로페닐)-4,4',5,5'-테트라페닐-1,2-비이미다졸 등의 비이미다졸 화합물, 비스(η5-시클로펜타디에닐)비스[2,6-디플루오로-3-(1-피롤릴)페닐]티탄 등의 티타노센 화합물, 2,4,6-트리스(트리클로로메틸)-1,3,5-트리아진, 2-[3,4-(메틸렌디옥시)페닐]-4,6-비스(트리클로로메틸)-1,3,5-트리아진 등의 트리아진 화합물, (2,4,6-트리메틸벤조일)디페닐포스핀옥사이드, 비스(2,4,6-트리메틸벤조일)페닐포스핀옥사이드 등의 아실포스핀옥사이드 화합물, 캄파퀴논 등의 퀴논 화합물, 1-[4-(페닐술파닐)페닐]옥탄-1,2-디온=2-O-벤조일옥심, 1-[9-에틸-6-(2-메틸벤조일)카르바졸-3-일]에타논=O-아세틸옥심, (9-에틸-6-니트로카르바졸-3-일)[4-(2-메톡시-1-메틸에톡시)-2-메틸페닐]메타논=O-아세틸옥심 등의 옥심에스테르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차광성 조성물의 감도를 높일 수 있는 점에서 특히 옥심에스테르 화합물이 바람직하고, 나아가서는 발색단으로서 카르바졸 골격을 갖는 옥심에스테르 화합물이 보다 바람직하다. D 성분의 배합량은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차광성 조성물의 고형분 중 0.1 ∼ 20 중량% 인 것이 바람직하고, 1 ∼ 10 중량% 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D 성분은 1 종류의 화합물만을 사용해도 되고, 복수를 조합하여 사용해도 된다.
본 발명의 차광성 조성물에는, 내약품성을 더욱 높이는 목적으로 에폭시 화합물 (E) 를 함유시킬 수 있다. E 성분으로는, 에폭시 수지 등으로서 시판되고 있는 공지된 화합물을 특별히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지만, 예를 들어 비스페놀 A 형 에폭시 화합물, 비스페놀 F 형 에폭시 화합물, 비스페놀플루오렌형 에폭시 화합물, 페놀노볼락형 에폭시 화합물, 크레졸노볼락형 에폭시 화합물, 다가 알코올의 글리시딜에테르, 다가 카르복실산의 글리시딜에스테르, 에폭시기를 갖는 중합체 또는 공중합체로서 A 성분에 해당하지 않는 화합물, 3,4-에폭시시클로헥산카르복실산(3,4-에폭시시클로헥실)메틸로 대표되는 지환식 에폭시 화합물, 2,2-비스(하이드록시메틸)-1-부탄올의 1,2-에폭시-4-(2-옥시라닐)시클로헥산 부가물 (예를 들어 다이셀사 제조 「EHPE 3150」), 에폭시화 폴리부타디엔 (예를 들어 닛폰 소다사 제조 「NISSO-PB·JP-100」), 실리콘 골격을 갖는 에폭시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성분으로는 에폭시 당량이 100 ∼ 300 g/eq 이고, 또한 수 평균 분자량이 100 ∼ 5 천의 화합물인 것이 바람직하다. E 성분의 배합량은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차광성 조성물의 고형분 중 1 ∼ 20 중량% 인 것이 바람직하고, 2 ∼ 10 중량% 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E 성분은 1 종류의 화합물만을 사용해도 되고, 복수를 조합하여 사용해도 된다.
본 발명의 차광성 조성물에는, B 성분을 차광성 조성물 중에 안정적으로 분산시키는 목적으로 분산제 (F) 를 함유시킬 수 있다. F 성분으로는, 종래 안료 분산에 사용되고 있는 공지된 화합물 (분산제, 분산 습윤제, 분산 촉진제 등의 명칭으로 시판되고 있는 화합물 등) 을 특별히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지만, 예를 들어 카티온성 고분자계 분산제, 아니온성 고분자계 분산제, 논이온성 고분자계 분산제, 안료 유도체형 분산제 (분산 보조제) 등을 들 수 있다. 특히, 안료에 대한 흡착점으로서 이미다졸릴기, 피롤릴기, 피리딜기, 1 급, 2 급 또는 3 급의 아미노기 등의 카티온성 관능기를 갖고, 아민가가 1 ∼ 100 ㎎ KOH/g, 수 평균 분자량이 1 천 ∼ 10 만의 범위에 있는 카티온성 고분자계 분산제는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카티온성 고분자계 분산제의 예는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9-169821호에 개시되어 있다. F 성분의 배합량은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차광성 조성물의 고형분 중 1 ∼ 25 중량% 인 것이 바람직하고, 2 ∼ 15 중량% 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F 성분은 1 종류의 화합물만을 사용해도 되고, 복수를 조합하여 사용해도 된다. 또한, 수지류와 같은 고점도 물질은 일반적으로 분산을 안정시키는 작용도 갖지만, 분산 촉진능을 갖지 않은 것은 분산제로는 취급하지 않는다. 그러나, 분산을 안정시키는 목적으로 사용하는 것을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차광성 조성물에는, 용제 (G) 를 함유시킬 수 있다. G 성분으로는 공지된 화합물을 이용할 수 있고, 예를 들어 에스테르계 용제 (부틸아세테이트, 시클로헥실아세테이트 등), 케톤계 용제 (메틸이소부틸케톤, 시클로헥사논 등), 에테르계 용제 (디에틸렌글리콜디메틸에테르, 디에틸렌글리콜에틸메틸에테르 등), 알코올계 용제 (3-메톡시부탄올, 에틸렌글리콜모노-t-부틸에테르 등), 방향족계 용제 (톨루엔, 자일렌 등), 지방족계 용제, 아민계 용제, 아미드계 용제 등을 특별히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다. 안전성의 관점에서는 프로필렌글리콜 골격을 갖는 에스테르계나 에테르계의 용제, 예를 들어 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 프로필렌글리콜모노에틸에테르, 프로필렌글리콜모노부틸에테르, 디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 디프로필렌글리콜디메틸에테르, 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아세테이트, 프로필렌글리콜모노에틸에테르아세테이트, 프로필렌글리콜디아세테이트 등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또, 유사한 구조의 3-메톡시부틸아세테이트, 3-메톡시-3-메틸부틸아세테이트, 1,3-부틸렌글리콜디아세테이트 등도 바람직하다. 차광성 조성물의 고형분 농도에 대해서는 특별히 제한은 없지만, 터치 패널용 차광성 조성물로는 고형분 농도가 10 ∼ 30 중량% 의 범위로 조정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또 차광성 조성물의 도포성을 높이기 위해서, 상압에서의 비점이 150 ℃ 미만인 용제 30 ∼ 90 중량% 및 상압에서의 비점이 150 ℃ 이상인 용제 10 ∼ 70 중량% 를 병용하고, 차광성 조성물의 건조성을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차광성 조성물은 필요에 따라 그 밖의 임의의 성분을 함유한 것이어도 되고, 예를 들어 착색재, 필러, 수지, 첨가제 등을 함유시킬 수 있다. 여기서, 착색재로는 염료, 유기 안료, 무기 안료 등을, 필러로는 실리카, 탤크 등을, 수지로는 비닐 수지, 폴리에스테르 수지, 폴리아미드 수지, 폴리이미드 수지, 폴리우레탄 수지, 폴리에테르 수지, 멜라민 수지 등을, 첨가제로는 가교제, 계면 활성제, 실란 커플링제, 점도 조정제, 습윤제, 소포제, 산화 방지제, 자외선 흡수제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임의의 성분으로는 공지된 화합물을 특별히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다. 터치 패널용 차광성 조성물로는, 계면 활성제 (불소계 계면 활성제, 실리콘계 계면 활성제 등) 나 실란 커플링제 (3-(글리시딜옥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3-이소시아나토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3-우레이도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3-아미노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3-(페닐아미노)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3-((메트)아크릴로일옥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등) 를 사용하는 것이 유리하고, 그 함유량의 합계는 차광성 조성물의 고형분 중 10 중량% 를 상한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바람직하게는 2 개 이상의) 술파닐기를 갖는 화합물도 포토리소그래피의 성능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기 때문에 유용하다.
본 발명의 차광성 조성물의 제법은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절연 처리된 카본 블랙 (B) 를 (바람직하게는 분산제 (F) 를 사용하여) 용제 (G) 등에 분산시킨 분산액을 미리 조제하고, 이것에 공중합체 (A) 나 광중합 개시제 및/또는 색소 증감제 (D) 등을 배합하여 차광성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을 예시할 수 있다. 또, 공중합체 (A) 등을 용제 (G) 에 용해시킨 조성물 중에 절연 처리된 카본 블랙 (B) 를 분산시키는 방법도 있다. 분산액의 제조는 공지된 안료 분산의 방법을 이용할 수 있고, 예를 들어 3 개 롤, 니더, 비즈 밀 등에 의한 가공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차광성 조성물은 기판 등에 도포하고, 광 조사, 가열 소성 등으로 경화시킴으로써 경화막을 얻을 수 있다. 차광성 조성물을 도포하는 방법으로는 공지된 방법을 이용할 수 있고, 예를 들어 스핀 코터, 바 코터, 슬릿 코터 등에 의한 도포를 들 수 있다. 또, 도포 후에는 핫 플레이트나 감압 건조기 등을 이용하여, 차광성 조성물의 건조를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단, 도포 및 건조의 방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광 조사에 의한 경화 방법도 공지된 방법을 이용할 수 있고, 예를 들어 크세논 램프, 할로겐 램프, 텅스텐 램프, 초고압 수은등, 고압 수은등, 중압 수은등, 저압 수은등 등을 광원으로 하는 자외광 조사를 들 수 있다. 이러한 광 조사를 실시할 때, 포토마스크 등을 이용하여 화상 노광을 실시하고, 또한 현상액으로 처리함으로써 기판 상에 화상을 형성할 수 있다. 현상액으로는, 미노광 부분을 용해하고 노광 부분을 용해하지 않는 현상액이면 특별히 제한은 없지만, 여러 가지 첨가제를 함유하는 알칼리 수용액인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현상액의 알칼리 성분으로는, 예를 들어 알칼리 금속의 탄산염, 알칼리 금속의 수산화물, 4 급 암모늄의 수산화물 등을, 첨가제로는, 예를 들어 유기 용제, 계면 활성제, 소포제, 곰팡이 방지제 등을 들 수 있다. 현상 방법에 대해서도 공지된 방법을 이용할 수 있고, 예를 들어 침지 현상, 스프레이 현상, 브러시 현상, 초음파 현상 등을 들 수 있다. 광 조사 및 현상의 방법도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경화막의 강도를 높이기 위해서, 광 조사 후에 가열 소성을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열 소성 방법도 공지된 방법을 이용할 수 있고, 예를 들어 핫 플레이트, 열풍 오븐 등에 의한 처리를 들 수 있지만,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차광성 조성물의 경화 조건에 대해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광 경화에 대해서는 10 ∼ 1000 mJ/㎠ 의 자외광 조사, 열 경화에 대해서는 200 ∼ 250 ℃ 에서 20 ∼ 60 분의 가열 소성을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차광성 조성물의 경화막을 사용하여 터치 패널을 제작하는 방법으로는, 공지된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이하,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것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실시예 1]
(차광성 조성물의 제조)
표 1 에 나타내는 조성에 의해 배합을 실시하고, 실온에서 3 시간 교반 혼합하고 고형분 성분을 용제에 용해 또는 분산시켜, 차광성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조성의 수치는 중량부이고, 고형분의 합계가 100 중량부가 되도록 기재되어 있다. 고형분 성분 중에는 처음부터 용제 (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아세테이트) 에 용해된 상태로 합성된 것도 있지만, 그 경우에는 조성의 수치에는 고형분으로서의 중량부를 나타내고, 반입되는 용제분은 용제의 중량부에 포함시켜 적었다. 또, 절연 처리된 카본 블랙은 미리 분산제를 이용하여 용제에 분산된 분산액 (수지 피복에 의해 절연 처리된 카본 블랙 25.0 중량%, 카티온성 고분자계 분산제 4.0 중량%, 구리 프탈로시아닌 유도체형 분산제 1.0 중량%, 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아세테이트 70.0 중량% 의 조성) 을 사용하였다. 실시예의 배합에 사용한 성분을 이하에 나타낸다.
A-1 : 메타크릴산에서 유래하는 유닛 {14}-메타크릴산메틸에서 유래하는 유닛 {30}-메타크릴산시클로헥실에서 유래하는 유닛 {20}-일반식 (1) 로 나타내고, R1, R2 가 모두 메틸기인 유닛 {36} 으로 구성되는 공중합체 (수 평균 분자량 1 만, 산가 50 ㎎ KOH/g)
(중괄호 { } 내는 몰비, 이하도 동일)
A-2 : 메타크릴산에서 유래하는 유닛 {30}-메타크릴산메틸에서 유래하는 유닛 {22}-메타크릴산시클로헥실에서 유래하는 유닛 {28}- 일반식 (1) 로 나타내고, R1, R2 가 모두 메틸기인 유닛 {20} 으로 구성되는 공중합체 (수 평균 분자량 1 만, 산가 120 ㎎ KOH/g)
A-3 : 메타크릴산에서 유래하는 유닛 {10}-메타크릴산메틸에서 유래하는 유닛 {40}-아크릴산디시클로펜타닐에서 유래하는 유닛 {10}- 일반식 (1) 로 나타내고, R1, R2 가 모두 메틸기인 유닛 {40} 으로 구성되는 공중합체 (수 평균 분자량 5 천, 산가 35 ㎎ KOH/g)
A-4 : 메타크릴산에서 유래하는 유닛 {20}-메타크릴산메틸에서 유래하는 유닛 {30}- 일반식 (1) 로 나타내고, R1, R2 가 모두 메틸기인 유닛 {50} 으로 구성되는 공중합체 (수 평균 분자량 1 만 5 천, 산가 70 ㎎ KOH/g)
B-1 : 수지 피복에 의해 절연 처리된 카본 블랙
여기서 「A-」「B-」 는 각각 본 발명의 A, B 성분에 해당하는 것을 나타낸다.
C-1 : 디펜타에리트리톨헥사아크릴레이트
D-1 : (9-에틸-6-니트로카르바졸-3-일)[4-(2-메톡시-1-메틸에톡시)-2-메틸페닐]메타논=O-아세틸옥심
D-2 : 1-[9-에틸-6-(2-메틸벤조일)카르바졸-3-일]에타논=O-아세틸옥심
E-1 : 페놀노볼락형 에폭시 화합물 (미츠비시 화학사 제조 「jER 154」)
E-2 : 2,2-비스(하이드록시메틸)-1-부탄올의 1,2-에폭시-4-(2-옥시라닐)시클로헥산 부가물 (다이셀사 제조 「EHPE 3150」)
F-1 : 카티온성 고분자계 분산제
F-2 : 구리 프탈로시아닌 유도체형 분산제
G-1 : 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아세테이트
G-2 : 시클로헥사논
여기서 「C-」「D-」「E-」「F-」「G-」 는 각각 본 발명의 C ∼ G 성분에 해당하는 것을 나타낸다.
S-1 : 3-이소시아나토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S-2 : 불소계 계면 활성제 (DIC 사 제조 「메가팍 F-556」)
여기서 「S-」 는 필요에 따라 사용되는 그 밖의 임의 성분을 나타낸다.
Figure 112013098950751-pat00003
(차광성 조성물의 평가 : 내약품성)
상기 차광성 조성물을 무알칼리 유리 기판에 스핀 코터를 이용하여 도포하고, 90 ℃ 의 핫 플레이트에서 2 분간 건조시켜 시험편을 제작하였다. 이 때, 막두께 1.5 ㎛ 의 경화막이 얻어지도록 도포 조건 (스핀 회전수) 을 조절하였다. 다음으로, 터치 패널 화면의 액자상의 패턴을 갖는 포토마스크를 통해, 조도 30 mW/㎠ 의 초고압 수은 램프로 100 mJ/㎠ 의 자외선 (수치는 i 선 기준) 을 조사하여 시험편에 화상 노광을 실시하였다. 그 후, 시험편을 25 ℃ 의 알칼리 현상액 (신닛테츠 스미킨 화학사 제조 「V-2401 ID」 의 10 배 희석액) 으로 1 분간 처리하고, 추가로 수세를 실시하여 화상을 현상하였다. 마지막으로 시험편을 230 ℃ 의 열풍 오븐에서 30 분간 소성하여, 차광성 조성물의 경화막을 얻었다.
차광성 조성물의 경화막이 형성된 시험편을 에칭 레지스트의 박리액 (2-아미노에탄올 30 % 및 디에틸렌글리콜모노부틸에테르 70 % 의 혼합액) 에 60 ℃ 에서 10 분간 침지시키고, 수세, 건조를 실시한 후, 경화막의 막두께를 측정하여, 다음의 기준에 따라 3 단계 평가를 실시하였다. ○ (양호) : 박리액 침지 전후의 막두께 변화가 2 % 이하, ▲ (약간 불량) : 2 % 를 초과 5 % 이하, × (불량) : 5 % 를 초과함.
(차광성 조성물의 평가 : 내광성)
상기 내약품성 평가와 동일하게 하여 차광성 조성물의 경화막이 형성된 시험편을 제작하였다. 시험편을 유리면으로부터 2.5 kW 의 크세논 램프로 500 시간 조사한 후, 경화막에 대하여 크로스컷 테이프 박리 시험을 실시하고, 다음의 기준에 따라 3 단계 평가를 실시하였다. ○ : 박리가 없음, ▲ : 약간 박리가 보임, × : 다수의 박리가 보임.
(차광성 조성물의 평가 : 절연성)
상기 내약품성 평가와 동일하게 하여 차광성 조성물의 경화막이 형성된 시험편을 제작하였다. 시험편을 230 ℃ 의 열풍 오븐에서 추가로 180 분간 소성한 후, 경화막의 표면 저항률을 전압 10 V 로 측정하고, 다음의 기준에 따라 3 단계 평가를 실시하였다. ○ : 표면 저항률이 10 의 10 승 Ω/sq 이상, ▲ : 10 의 8 승 Ω/sq 이상 10 의 10 승 Ω/sq 미만, × : 10 의 8 승 Ω/sq 미만.
(차광성 조성물의 평가 : 가공성)
상기 내약품성 평가와 동일하게 하여 차광성 조성물의 경화막이 형성된 시험편을 제작하였다. 형성된 화상을 광학 현미경으로 관찰하고, 다음의 기준에 따라 3 단계 평가를 실시하였다. ○ : 화상 패턴의 결손이나 현상 잔재가 보이지 않음, ▲ : 약간 결손이나 현상 잔재가 보임, × : 결손이나 현상 잔재가 보임.
실시예 1 의 차광성 조성물의 평가 결과를 표 2 에 나타낸다. 실시예 1 의 차광성 조성물은 터치 패널 용도에서 요구되는 내약품성, 내광성 및 절연성을 모두 만족하고 있고, 또한 포토리소그래피의 가공성도 우수하였다. 또, 차광성 조성물의 경화막의 광학 농도는 3.1/㎛ 였다.
Figure 112013098950751-pat00004
[실시예 2 ∼ 8]
실시예 1 의 조성을 표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각 변경하고, 그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실시예 2 ∼ 8 의 차광성 조성물의 제조 및 평가를 실시하였다. 평가 결과를 표 2 에 나타낸다. 실시예 2 ∼ 8 의 차광성 조성물은 터치 패널 용도에서 요구되는 내약품성, 내광성 및 절연성을 모두 만족하고 있고, 또한 포토리소그래피의 가공성도 우수하였다. 또, 차광성 조성물의 경화막의 광학 농도는 실시예 2 ∼ 4 에서는 3.1/㎛, 실시예 5 ∼ 8 에서는 2.4/㎛ 였다.
[비교예 1 ∼ 4]
실시예 1 의 조성을 표 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각 변경하고, 그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비교예 1 ∼ 4 의 차광성 조성물의 제조 및 평가를 실시하였다. 비교예의 배합에 사용한 성분을 이하에 나타낸다.
AX-1 : 메타크릴산에서 유래하는 유닛 {16}-메타크릴산메틸에서 유래하는 유닛 {16}-메타크릴산벤질에서 유래하는 유닛 {68} 로 구성되는 공중합체 (수 평균 분자량 1 만, 산가 60 ㎎ KOH/g)
AX-2 : 메타크릴산에서 유래하는 유닛 {18}-메타크릴산메틸에서 유래하는 유닛 {50}-메타크릴산시클로헥실에서 유래하는 유닛 {20}- 일반식 (1) 로 나타내고, R1, R2 가 모두 메틸기인 유닛 {12} 로 구성되는 공중합체 (수 평균 분자량 1 만, 산가 80 ㎎ KOH/g)
AX-3 : 비스페놀플루오렌 골격을 갖는 알칼리 현상형 감광성 수지 (신닛테츠 스미킨 화학사 제조 「V-259 ME」의 고형분 )
BX-1 : 절연 처리되어 있지 않은 카본 블랙
여기서, 「AX-」「BX-」 는 각각 본 발명의 A, B 성분의 범위를 벗어나는 것을 나타낸다.
Figure 112013098950751-pat00005
비교예 1 ∼ 4 의 차광성 조성물의 평가 결과를 표 4 에 나타낸다. 비교예 1 ∼ 4 의 차광성 조성물은 터치 패널 용도에서 요구되는 모든 특성을 만족시키지 못했다.
Figure 112013098950751-pat00006
산업상 이용가능성
본 발명의 차광성 조성물은 터치 패널의 차광층 형성에 적합할 뿐만 아니라, 컬러 필터의 블랙 매트릭스나 차광성 솔더 레지스트막의 형성에도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 도료, 인쇄 잉크, 필기도구 잉크, 플라스틱 등의 착색 성분으로서의 이용이나, 광 흡수성 재료로서 광학 필터 등의 용도에 대한 응용도 고려된다.

Claims (3)

  1. 복수의 반복 단위를 갖는 공중합체로서, 하기 일반식 (1) 로 나타내는 반복 단위 20 ∼ 90 몰%, 및 이것과 공중합 가능한 1 종 이상의 중합성 불포화 화합물에서 유래하는 반복 단위 10 ∼ 80 몰% 를 갖고, 방향 고리를 함유하지 않은 반복 단위군만으로 구성되고, 수 평균 분자량이 2 천 ∼ 2 만이고, 또한 산가가 35 ∼ 120 ㎎ KOH/g 인 공중합체 (A), 절연 처리된 카본 블랙 (B), 및 에폭시 화합물 (E) 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패널용 차광성 조성물.
    [화학식 1]
    Figure 112020037688716-pat00007

    (단, R1 및 R2 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또는 메틸기를 나타낸다.)
  2. 제 1 항에 기재된 터치 패널용 차광성 조성물의 경화막을 갖는 터치 패널.
  3. 삭제
KR1020130130739A 2012-11-02 2013-10-31 터치 패널용 차광성 조성물 및 터치 패널 KR10213838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2242525 2012-11-02
JPJP-P-2012-242525 2012-11-02
JPJP-P-2013-213571 2013-10-11
JP2013213571A JP6529213B2 (ja) 2012-11-02 2013-10-11 タッチパネル用遮光性組成物及びタッチパネル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57172A KR20140057172A (ko) 2014-05-12
KR102138381B1 true KR102138381B1 (ko) 2020-07-27

Family

ID=507063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30739A KR102138381B1 (ko) 2012-11-02 2013-10-31 터치 패널용 차광성 조성물 및 터치 패널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138381B1 (ko)
CN (1) CN103809374B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145699A (ja) * 2011-01-11 2012-08-02 Tokyo Ohka Kogyo Co Ltd タッチパネル用着色感光性樹脂組成物、タッチパネル、及び表示装置
WO2012133148A1 (ja) * 2011-03-25 2012-10-04 東レ株式会社 黒色樹脂組成物、樹脂ブラックマトリックス基板およびタッチパネル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300516B (ko) * 2001-07-24 2008-09-01 Jsr Corp
JP2003268053A (ja) * 2002-03-13 2003-09-25 Hitachi Chem Co Ltd 電池用バインダ樹脂、これを含有する電極及び電池
JP2007199685A (ja) * 2005-12-28 2007-08-09 Fujifilm Electronic Materials Co Ltd 光硬化性着色組成物及びカラーフィルタ、並びに液晶表示装置
WO2007105644A1 (ja) * 2006-03-14 2007-09-20 Asahi Kasei Emd Corporation 感光性樹脂積層体
WO2008149662A1 (ja) * 2007-06-01 2008-12-11 Fujifilm Corporation カラーフィルタ用硬化性組成物、カラーフィルタ用硬化性組成物の製造方法、着色硬化性樹脂組成物、着色パターン形成方法、着色パターン、カラーフィルタの製造方法、カラーフィルタ、及び液晶表示素子
CN101709192A (zh) * 2009-11-27 2010-05-19 深圳市威凯士化工涂料有限公司 可在金属表面直接使用的可重涂的单组份金属光固化涂料、制造工艺及作为金属涂料直接喷涂的应用
JP2011186717A (ja) 2010-03-08 2011-09-22 Daiwa Sangyo:Kk 静電容量型タッチパネルとそ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145699A (ja) * 2011-01-11 2012-08-02 Tokyo Ohka Kogyo Co Ltd タッチパネル用着色感光性樹脂組成物、タッチパネル、及び表示装置
WO2012133148A1 (ja) * 2011-03-25 2012-10-04 東レ株式会社 黒色樹脂組成物、樹脂ブラックマトリックス基板およびタッチパネル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3809374A (zh) 2014-05-21
KR20140057172A (ko) 2014-05-12
CN103809374B (zh) 2019-1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849637B (zh) 感光性转印材料、图案形成方法及蚀刻方法
KR102180655B1 (ko) 터치 패널용 흑색 감광성 조성물 및 터치 패널
KR101998449B1 (ko) 감광성 흑색 수지 조성물 및 수지 블랙 매트릭스 기판
KR102341367B1 (ko) 감방사선 수지 조성물, 수지막 및 전자 부품
KR20200078476A (ko) 화합물, 조성물, 경화물 및 경화물의 제조 방법
KR20080013849A (ko) 착색 알칼리 현상형 감광성 수지 조성물, 및 이 착색알칼리 현상형 감광성 수지 조성물을 이용한 컬러필터
CN107272341B (zh) 遮光膜用感光性树脂组合物、显示器用基板及其制造方法
JP6814248B2 (ja) 硬化性樹脂組成物、ドライフィルム、硬化物及びプリント配線板
JP2018189877A (ja) 重合性組成物、ブラックマトリクス用感光性組成物及び硬化物
CN110520796A (zh) 聚合性组合物、黑色矩阵用感光性组合物及黑色柱状间隔物用感光性组合物
JP6556735B2 (ja) 反応性ポリエステル化合物、それを用いた活性エネルギー線硬化型樹脂組成物
TWI608301B (zh) Curing resin composition and use thereof
JP6529213B2 (ja) タッチパネル用遮光性組成物及びタッチパネル
CN110520794A (zh) 聚合性组合物、黑色矩阵用感光性组合物及黑色柱状间隔物用感光性组合物
TW201839052A (zh) 熱硬化性樹脂組成物、硬化膜、帶硬化膜基板、電子零件及噴墨用墨水組成物
JP2016029442A (ja) エッチングレジスト用感光性樹脂組成物、これを用いて形成した金属膜又は金属酸化物膜の配線パターン及びこの配線パターンを有するタッチパネル
JP2015134844A (ja) 反応性ポリエステル化合物、それを用いた活性エネルギー線硬化型樹脂組成物
KR20210042046A (ko) 화합물, 티올 발생제, 조성물, 경화물 및 경화물의 제조 방법
KR102138381B1 (ko) 터치 패널용 차광성 조성물 및 터치 패널
KR102415438B1 (ko) 백색 감광성 수지 조성물, 그것을 사용한 경화물 및 그 경화물을 구성 성분으로서 함유하는 터치 패널
JP6289006B2 (ja) 白色感光性樹脂組成物、それを用いた硬化物、及びその硬化物を構成成分として含むタッチパネル
JP2015045685A (ja) 硬化性樹脂組成物、ドライフィルムおよびプリント配線板
JP6310726B2 (ja) タッチパネル用絶縁性組成物及びタッチパネル
JP6420634B2 (ja) レジスト組成物、カラーレジスト組成物及び該組成物を用いたカラーフィルタ
KR20230045556A (ko) 감광성 수지 조성물, 수지 경화막, 반도체 패키지 및 프린트 배선 기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