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37769B1 - 와이어 로프의 스트랜드를 자동으로 풀어주는 장치 - Google Patents

와이어 로프의 스트랜드를 자동으로 풀어주는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37769B1
KR102137769B1 KR1020180161586A KR20180161586A KR102137769B1 KR 102137769 B1 KR102137769 B1 KR 102137769B1 KR 1020180161586 A KR1020180161586 A KR 1020180161586A KR 20180161586 A KR20180161586 A KR 20180161586A KR 102137769 B1 KR102137769 B1 KR 1021377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rope
strands
strand
rotating
dri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615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73440A (ko
Inventor
임덕규
Original Assignee
임덕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덕규 filed Critical 임덕규
Priority to KR10201801615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37769B1/ko
Publication of KR202000734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734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377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377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7ROPES; CABLES OTHER THAN ELECTRIC
    • D07BROPES OR CABLES IN GENERAL
    • D07B7/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rope- or cable-making machines; Auxiliary apparatus associated with such machines
    • D07B7/16Auxiliary apparatus
    • D07B7/18Auxiliary apparatus for spreading or untwisting ropes or cables into constituent parts for treatment or splicing purposes
    • DTEXTILES; PAPER
    • D07ROPES; CABLES OTHER THAN ELECTRIC
    • D07BROPES OR CABLES IN GENERAL
    • D07B1/00Constructional features of ropes or cables
    • D07B1/06Ropes or cables built-up from metal wires, e.g. of section wires around a hemp core
    • D07B1/0693Ropes or cables built-up from metal wires, e.g. of section wires around a hemp core having a strand configuration
    • DTEXTILES; PAPER
    • D07ROPES; CABLES OTHER THAN ELECTRIC
    • D07BROPES OR CABLES IN GENERAL
    • D07B2201/00Ropes or cables
    • D07B2201/10Rope or cable structures
    • D07B2201/104Rope or cable structures twisted
    • DTEXTILES; PAPER
    • D07ROPES; CABLES OTHER THAN ELECTRIC
    • D07BROPES OR CABLES IN GENERAL
    • D07B2201/00Ropes or cables
    • D07B2201/20Rope or cable components
    • D07B2201/2015Strands
    • D07B2201/2024Strands twisted

Landscapes

  • Ropes Or Cab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와이어 로프의 스트랜드를 자동으로 풀어주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구동부; 상기 구동부가 설치되고, 바닥 면에 대하여 이동 가능한 받침부; 및 상기 받침부에 그 일단이 지지되어 임의의 설정 길이만큼 수평 방향으로 설치되되, 상기 구동부의 구동에 의해 회동이 이루어지는 복수의 풀림 회전 관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와이어 로프의 스트랜드를 자동으로 풀어주는 장치{Apparatus for strand unwinding of wire rope}
본 발명은 와이어 로프의 스트랜드를 자동으로 풀어주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여러 가닥의 소선이 꼬여져서 형성되는 스트랜드와, 이러한 스트랜드가 다시 여러 가닥으로 꼬여져서 형성되는 와이어 로프를 간단하면서도 신속하게 자동으로 풀어주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와이어 로프는 여러 가닥의 금속 소선을 꼬아서 만들어진 스트랜드를 다시 연선한 것을 일컫는 것으로서, 화물 또는 기계 등의 중량물을 들어 올리고 내려야 하는 하역 작업에 있어서의 리프팅 수단으로 사용되거나 현수구조용 또는 견인용 수단으로서 주로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와이어 로프의 구조는 와이어 로프 중 스트랜드의 수 * 스트랜드 중 소선의 수로 나타내며, 여기서 소선은 스트랜드를 구성하는 강선을 일컫고, 스트랜드는 이들 복수의 소선을 꼬아서 만들어진 와이어 로프의 구성요소들 일컫는다.
도 1은 종래의 통상적인 와이어 로프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단면도로서,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종래의 와이어 로프(10)는 하나의 중심 스트랜드와, 이 중심 스트렌드를 감싸는 6개의 외층 스트랜드가 꼬여진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또한 각 스트랜드(20)는 한 개의 중심 소선을 중심으로 하여 6개의 외층 소선들이 소정의 꼬임 피치로 연선된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한편, 종래의 와이어 로프를 설명함에 있어서, 하나의 스트랜드(20)는 모두 7가닥의 소선(30)이 꼬여져서 형성되고, 이러한 스트랜드(20)는 다시 7가닥이 꼬여저서 와이어 로프(10)를 형성하는 것을 일 예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종래에 제공되는 하나의 와이어 로프로서 그 소선과 스트랜드의 가닥 수는 가감될 수 있다.
따라서, 종래의 와이어 로프(10)는 그 가닥 수가 다른 와이어 로프로 재생하기 위하여 여러 가닥이 꼬여진 상태의 스트랜드(20)를 각각 낱개의 스트랜드로 풀어주거나 또는 여러 가닥의 소선(30)이 꼬여진 상태의 스트랜드를 각각 낱개의 소선으로 풀어주는 작업을 수행하게 된다.
또한, 종래의 와이어 로프(10)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여러 가닥의 소선(30)이 꼬여져서 하나의 스트랜드(20)를 형성하고, 여러 가닥의 스트랜드(20)가 꼬여져서 하나의 와이어 로프(10)를 형성하게 되는데, 이러한 와이어 로프(10)가 중량물의 하중에 의해 일부가 손상되는 경우, 이를 풀어주는 작업을 실시하게 된다.
즉, 여러 가닥의 소선(30)들과, 여러 가닥의 스트랜드(20) 중, 일부의 소선 또는 일부의 스트랜드만 손상이 이루어진 경우, 이를 풀어서 손상된 소선 또는 스트랜드를 제외하고 손상되지 않은 다른 소선 또는 스트랜드로서 다시 와이어 로프(10)를 재생시키기 위하여 와이어 로프(10)를 풀어주는 작업을 실시하는 경우가 있게 된다.
그런데, 종래에 상기한 바와 같이 와이어 로프(10)를 풀어주기 위해서는, 긴 길이의 와이어 로프를 바닥에 펼친 상태에서, 작업자가 일일이 스트랜드(20) 또는 소선(30)을 수작업에 의해 풀어주어야 함으로써, 그 작업 시간이 많이 소요됨은 물론 작업인원도 많이 필요로 하게 되는바, 그 작업성이 매우 좋지 못한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특허등록 제10-1272763호(2013.06.03.)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에 착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여러 가닥의 소선이 꼬여져서 형성되는 스트랜드와, 이러한 스트랜드가 다시 여러 가닥으로 꼬여져서 형성되는 와이어 로프를 간단하면서도 신속하게 자동으로 풀어주도록 함으로써, 작업 인원수를 줄이고 작업시간을 줄여 그 작업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와이어 로프의 스트랜드를 자동으로 풀어주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와이어 로프의 스트랜드를 자동으로 풀어주는 장치는, 구동부; 상기 구동부가 설치되고, 바닥 면에 대하여 이동 가능한 받침부; 및 상기 받침부에 그 일단이 지지되어 임의의 설정 길이만큼 수평 방향으로 설치되되, 상기 구동부의 구동에 의해 회동이 이루어지는 복수의 풀림 회전 관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 때, 상기 받침부는, 바닥 면에 대하여 수평 방향으로 설치되는 수평대와,상기 수평대의 일측으로부터 일정 높이만큼 수직 방향으로 설치되는 수직대로 구성되고, 상기 수평대의 각 모서리 측 하부에는 구동 휠이 설치되며, 상기 수직대의 일측에는 상부로 돌출된 손잡이부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받침부에는 회전 가능한 회전 플레이트가 설치되고, 상기 풀림 회전 관의 일측 단부는 상기 회전 플레이트를 관통하여 지지되게 설치되며, 상기 구동부와 상기 회전 플레이트는 동력전달수단에 의해 연결되어, 상기 구동부의 구동 시, 상기 회전 플레이트가 회전함에 따라 상기 복수의 풀림 회전 관이 연동하여 회동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동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작업자의 조작에 따라 상기 구동부에 구동신호를 인가하는 풋 스위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복수의 풀림 회전 관은, 와이어 로프를 이루도록 복수의 스트랜드가 한쪽 방향으로 꼬여진 상태에서, 상기 복수의 스트랜드가 꼬여진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회동이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와이어 로프의 스트랜드를 자동으로 풀어주는 장치는, 상기 풀림 회전 관의 중간 단 또는 타측 단부를 지지하는 것으로서, 바닥 면에 대하여 직립된 상태로 지지되는 하부 지지대와, 상기 하부 지지대의 상부 쪽에 직립된 상태로 지지되는 상부 지지대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상부 지지대에는, 상기 복수의 풀림 회전 관이 각각 통과되기 위한 복수의 지지 홀이 형성된 회전 플레이트가 자유 회전이 가능하게 설치된 지지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타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와이어 로프의 스트랜드를 자동으로 풀어주는 장치는, 여러 가닥의 소선이 꼬여져서 형성되는 스트랜드와, 이러한 스트랜드가 다시 여러 가닥으로 꼬여져서 형성되는 와이어 로프를 간단하면서도 신속하게 자동으로 풀어줄 수 있게 됨으로써, 작업 인원수를 줄이면서도 작업시간을 줄일 수 있게 되는바, 그 작업성이 크게 향상되는 효과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효과는 이상에서 예시된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더욱 다양한 효과들이 본 명세서 내에 포함되어 있다.
도 1은 종래의 일반적인 와이어 로프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와이어 로프의 스트랜드를 자동으로 풀어주는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도 3의 배면 사시도.
도 5는 도 3의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와이어 로프의 스트랜드를 자동으로 풀어주는 장치에 제공되는 회전 지지대를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도 6의 회전 지지대가 구비된 상태에서 와이어 로프의 스트랜드를 자동으로 풀어주는 상태를 도시한 사용 상태 사시도.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따라서, 몇몇 실시 예에서, 잘 알려진 공정 단계들, 잘 알려진 구조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발명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및/또는 동작 이외의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및/또는 동작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 의미로 사용한다. 그리고, "및/또는"은 언급된 아이템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이상적인 예시도인 사시도, 단면도, 측면도 및/또는 개략도들을 참고하여 설명될 것이다. 따라서, 제조 기술 및/또는 허용 오차 등에 의해 예시도의 형태가 변형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도시된 특정 형태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제조 공정에 따라 생성되는 형태의 변화도 포함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도시된 각 도면에 있어서 각 구성 요소들은 설명의 편의를 고려하여 다소 확대 또는 축소되어 도시된 것일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와이어 로프의 스트랜드를 자동으로 풀어주는 장치를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와이어 로프의 스트랜드를 자동으로 풀어주는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배면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3의 정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와이어 로프의 스트랜드를 자동으로 풀어주는 장치(100)는, 받침부(110), 이 받침부(110)의 상부에 설치되는 구동부(150) 및 받침부(110)에 대하여 수평 방향으로 설치되어 회동이 이루어지는 적어도 2개 이상의 풀림 회전 관(200)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다.
참고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뒷받침하기 위한 도면에서는 풀림 회전 관(200)이 2개인 것을 일 예로 도시하였으나, 이는 하나의 실시 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풀림 회전 관(200)은 2개 이상 즉, 3개나 4개 등 일수도 있다.
여기서, 받침부(110)는 바닥 면에 대하여 수평 방향으로 설치되는 수평대(120)와, 이 수평대(120)의 일측으로부터 일정 높이만큼 수직 방향으로 설치되는 수직대(130)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받침부(110)는 대략 ㄴ자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받침부(110)에서 수평대(120)의 각 모서리 측 하부에는 구동 휠(122)이 설치되어 바닥 면에 대하여 이동이 용이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수직대(130)의 일측에는 상부로 돌출된 대략 ㄷ자 형태의 손잡이부(132)가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작업자는 손잡이부(132)를 파지한 상태에서 받침부(110)를 원하는 위치로 밀거나 잡아 당기게 되면 받침부(110)의 수평대(120) 모서리 측 저부에 설치된 구동 휠(122)들의 구동에 의해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구동부(150)는 받침부(110)의 수평대(120) 상부에 설치되고, 풀림 회전 관(200)은 그 일측 단부가 받침부(110)의 수직대(130)에 회전 가능하게 내설된 회전 플레이트(140)에 대하여 지지되게 설치될 수 있다.
이 때, 풀림 회전 관(200)의 일측 단부는 회전 플레이트를 통과한 상태로 지지되게 설치됨으로써, 풀림 회전 관(200)의 일측 단부 끝단에 형성되는 유입공(210)은 수직대(130)의 배면에 대하여 노출된 상태를 이루게 된다.
한편, 구동부(150)의 구동축과 회전 플레이트(140)의 둘레 면은 체인(154)등의 동력전달수단에 의해 연결되어, 구동부(150)의 구동에 따라 회전 플레이트(140)는 연동하여 회전이 이루어지게 됨으로써, 적어도 2개 이상의 풀림 회전 관(200)은 회전 플레이트(140)의 회전에 의해 회동이 이루어지게 된다.
참고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구동부(150)의 구동축과 회전 플레이트(140)가 체인(154)에 의해 연결된 것을 일 예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하나의 실시 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벨트와 기어 등과 같이 종래에 공지된 다양한 동력전달수단이 적용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여기서, 구동부(150)는 풋 스위치(152)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함으로써, 작업자가 발로서 밟아주게 되는 경우 구동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참고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구동부(150)에 전기적 신호를 입력하는 수단으로서 풋 스위치(152)를 일 예로 들었으나, 이는 하나의 실시 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종래에 공지된 다양한 스위치가 적용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와이어 로프의 스트랜드를 자동으로 풀어주는 장치(100)를 이용하여 와이어 로프(10)의 스트랜드(20)를 풀어주는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와이어 로프(10)의 일측 단부에서 여러 가닥을 이루는 스트랜드(20)를 풀림 회전 관(200)의 개수에 대응되는 가닥으로 벌려 주도록 한다.
예를 들어, 풀림 회전 관(200)이 2개인 경우, 와이어 로프(10)의 단부 측을 벌려서 복수의 스트랜드(20)를 2개의 가닥으로 벌어지도록 한 후, 각각의 가닥을 풀림 회전 관(200)의 각 유입공(210)에 삽입시킨 다음, 작업자가 풋 스위치(152)를 밟아주어 구동부(150)가 구동되도록 한다.
구동부(150)의 구동으로 회전 플레이트(140)가 연동하여 회전을 하게 됨에 따라 회전 플레이트(140)에 그 일측 단부가 고정되게 지지된 회전 풀림 회전 관(200)들 또한 연동하여 회동이 이루어지게 되는바, 이 때 작업자는 스트랜드(20)를 풀고자 하는 와이어 로프(10)를 계속해서 조금씩 풀림 회전 관(200)들의 유입공(210) 쪽으로 밀어 넣어주면 된다.
여기서, 와이어 로프(10)를 이루는 복수의 스트랜드(20)는 나선 형과 같이 한 쪽 방향으로 감겨지면서 꼬인 상태를 이루는바, 회전 플레이트(140)는 복수를 이루는 스트랜드(20)의 꼬임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회전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와이어 로프(10)의 스트랜드(20)들 꼬임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회동이 이루어지는 풀림 회전 관(200)의 각 유입공(210)에 풀림 회전 관(200)의 수에 대응되는 가닥으로 분리한 와이어 로프(10)의 각 스트랜드(20)를 삽입시켜서 작업자가 조금씩 밀어주게 되면, 각 가닥의 스트랜드(20)는 꼬임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회동되는 각 풀림 회전 관(200)을 통해 자동으로 풀리면서 유출공(220)을 통해 배출되면서 분리가 이루어지게 된다.
이 때, 풀림 회전 관(200)은 그 길이가 짧으면 각 유출공(220)을 통해 배출되는 스트랜드(20)들이 다시 엉킬 우려가 있기 때문에, 풀림 회전 관(200)은 길이가 긴 것을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 때 풀림 회전 관(200)의 길이가 길게 되면 유출공(220)이 위치하는 타 측은 별도의 지지수단이 없어서 수평 상태를 유지하기가 어려울 수밖에 없는바, 별도의 지지부재(300)를 구비하여 길이가 긴 풀림 회전 관(200)이 수평 상태를 유지한 상태에서 회동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와이어 로프의 스트랜드를 자동으로 풀어주는 장치에 제공되는 가변형 지지대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의 지지부재가 구비된 상태에서 와이어 로프의 스트랜드를 자동으로 풀어주는 상태를 도시한 사용 상태 사시도로서,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부재(300)는, 바닥 면에 대하여 직립된 상태로 지지되는 하부 지지대(310)와, 이 하부 지지대(310)의 상부 쪽에 직립된 상태로 지지되는 상부 지지대(320)로 구성될 수 있다.
상부 지지대(320)에는 관통된 지지 홀(340)이 형성된 회전 플레이트(330)가 자유 회전이 가능하게 내설되어 있는데, 이 때 회전 플레이트(330)는 베어링 등에 의해 결합되어 상부 지지대(320)에 대하여 자유 회전이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지지 홀(340)은 풀림 회전 관(200)이 통과되기 위한 직경으로 형성되며, 풀림 회전 관(200)의 개수에 대응되는 개수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풀림 회전 관(200)이 2개인 경우 지지 홀(340) 또한 2개인 것이 적용될 수 있으며, 풀림 회전 관(200)이 3개인 경우에는 지지 홀(340) 또한 3개인 것이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풀림 회전 관(200)이 지지부재(300)의 지지 홀(340)을 통과한 상태로 배치시키게 되면, 일정 길이를 갖는 풀림 회전 관(200)의 중간 단 또는 유출공(220)과 인접한 타측 단부가 지지됨으로써, 수평을 이룬 상태에서 안정적으로 지지가 이루어지게 된다.
즉, 풀림 회전 관(200)의 일측 단부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받침부(110)의 수직대(130)에 내설된 회전 플레이트(140)를 관통한 상태로 지지가 이루어지고, 중간 단 또는 타측 단부는 지지부재(300)의 회전 플레이트(330)에 형성된 지지 홀(340)에 통과되어 지지가 이루어지게 됨으로써, 일정 길이를 갖는 풀림 회전 관(200)은 수평을 유지한 상태에서 안정적으로 지지가 이루어지게 된다.
이와 같이, 일정 길이를 갖는 풀림 회전 관(300)이 수평을 이루고 안정적으로 지지된 상태에서, 구동부(150)에 구동 신호를 인가하게 되면, 받침부(110)의 회전 플레이트(140)가 회전하게 됨에 따라 적어도 2개 이상의 풀림 회전 관(200)들은 회동이 이루어지게 되는데, 이 때 풀림 회전 관(200)들의 회동에 의해 지지부재(300)의 회전 플레이트(330) 또한 지지부재(300)의 상부 지지대(320)에 대하여 자유 회전이 이루어짐에 따라 연동하여 동시에 회전이 이루어지게 된다.
따라서, 각각의 풀림 회전 관(200)의 각 유입공(210)을 통해 유입되는 분리된 가닥의 스트랜드(20)는 회동되는 풀림 회전 관(200)에 의해 꼬임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계속해서 회전됨에 따라 풀린 상태로서 각 유출공(220)을 통해 배출이 이루어지게 된다.
참고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풀림 회전 관(200)이 2개 구비된 것을 일 예로 들었는바, 7개의 스트랜드(20)가 꼬여진 와이어 로프(10)의 경우 3개와 4개 묶음의 스트랜드(20)로 분리될 수 있는데, 이 경우 다시 3개 묶음의 스트랜드(20)는 1개와 2개 묶음의 스트랜드(20)로 풀어줄 수 있으며, 2개 묶음의 스트랜드(20)는 다시 각각 낱개의 스트랜드(20)로 풀어줄 수 있게 된다.
또한, 하나의 스트랜드(20)는 다시 복수의 소선(30)이 꼬인 형태를 이루는바, 하나의 스트랜드(20) 단부에서 복수의 소선(30)을 다시 2개의 묶음으로 분리시킨 후,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장치(100)를 이용하여 상기한 바대로 작업을 실시하여 각각 낱개의 소선(30)으로 풀어줄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와이어 로프의 스트랜드를 자동으로 풀어주는 장치(100)에 의하면, 여러 가닥의 소선(30)이 꼬여서 이루어진 스트랜드(20)와, 이러한 스트랜드(20)를 여러 가닥 구비한 후 꼬아서 이루어진 와이어 로프(10)를 보다 간단하면서도 신속하게 자동으로 풀어줄 수 있게 됨으로써, 작업 인원수가 줄게 됨은 물론 작업시간도 크게 줄어들게 되는바, 그 작업성이 크게 향상되는 효과가 제공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장치(100)를 이용하여 상기한 바와 같이 각각 낱개의 스트랜드(20) 또는 낱개의 소선(30)으로 풀어준 상태에서, 손상되지 않은 스트랜드(20) 또는 소선(30)을 이용하여 다시 양품의 와이어 로프(10)를 재생할 수 있으며, 또는 다른 개수의 가닥 수를 갖는 와이어 로프(10)로 재생산하면 된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와이어 로프 20 : 스트랜드
30 : 소선 100 : 장치
110 : 받침부 120 : 수평대
122 : 구동 휠 130 : 수직대
132 : 손잡이부 140 : 회전 플레이트
150 : 구동부 152 : 풋 스위치
154 : 체인 200 : 풀림 회전 관
210 : 유입공 220 : 유출공
300 : 지지부재 310 : 하부 지지대
320 : 상부 지지대 330 : 회전 플레이트
340 : 지지 홀

Claims (6)

  1. 구동부와, 상기 구동부가 설치되고, 바닥 면에 대하여 이동 가능한 받침부 및 상기 받침부에 그 일단이 지지되어 임의의 설정 길이만큼 수평 방향으로 설치되되, 상기 구동부의 구동에 의해 회동이 이루어지는 복수의 풀림 회전 관을 포함하고,
    상기 풀림 회전 관의 중간 단 또는 타측 단부를 지지하는 것으로서, 바닥 면에 대하여 직립된 상태로 지지되는 하부 지지대와, 상기 하부 지지대의 상부 쪽에 직립된 상태로 지지되는 상부 지지대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상부 지지대에는, 상기 복수의 풀림 회전 관이 각각 통과되기 위한 복수의 지지 홀이 형성된 회전 플레이트가 자유 회전이 가능하게 설치된 지지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로프의 스트랜드를 자동으로 풀어주는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부는,
    바닥 면에 대하여 수평 방향으로 설치되는 수평대와,
    상기 수평대의 일측으로부터 일정 높이만큼 수직 방향으로 설치되는 수직대로 구성되고,
    상기 수평대의 각 모서리 측 하부에는 구동 휠이 설치되며,
    상기 수직대의 일측에는 상부로 돌출된 손잡이부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로프의 스트랜드를 자동으로 풀어주는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부에는 회전 가능한 회전 플레이트가 설치되고,
    상기 풀림 회전 관의 일측 단부는 상기 회전 플레이트를 관통하여 지지되게 설치되며,
    상기 구동부와 상기 회전 플레이트는 동력전달수단에 의해 연결되어, 상기 구동부의 구동 시, 상기 회전 플레이트가 회전함에 따라 상기 복수의 풀림 회전 관이 연동하여 회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로프의 스트랜드를 자동으로 풀어주는 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작업자의 조작에 따라 상기 구동부에 구동신호를 인가하는 풋 스위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로프의 스트랜드를 자동으로 풀어주는 장치.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풀림 회전 관은,
    와이어 로프를 이루도록 복수의 스트랜드가 한쪽 방향으로 꼬여진 상태에서, 상기 복수의 스트랜드가 꼬여진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회동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로프의 스트랜드를 자동으로 풀어주는 장치.
  6. 삭제
KR1020180161586A 2018-12-14 2018-12-14 와이어 로프의 스트랜드를 자동으로 풀어주는 장치 KR1021377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1586A KR102137769B1 (ko) 2018-12-14 2018-12-14 와이어 로프의 스트랜드를 자동으로 풀어주는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1586A KR102137769B1 (ko) 2018-12-14 2018-12-14 와이어 로프의 스트랜드를 자동으로 풀어주는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73440A KR20200073440A (ko) 2020-06-24
KR102137769B1 true KR102137769B1 (ko) 2020-07-24

Family

ID=714077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61586A KR102137769B1 (ko) 2018-12-14 2018-12-14 와이어 로프의 스트랜드를 자동으로 풀어주는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37769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67811B1 (ko) 2004-12-30 2006-04-05 주식회사 효성 고무제품 보강용 스틸코드 필라멘트의 형부 부여 장치 및형부 부여 방법
KR101272763B1 (ko) 2011-11-17 2013-06-10 전성숙 직선형 와이어로프의 스트랜드를 푸는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51704A (en) * 1978-05-24 1979-05-01 International Standard Electric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laying up elongate members
US4590755A (en) * 1985-03-11 1986-05-27 Northern Telecom Limited Low fatigue apparatus for stranding wire
KR920008090Y1 (ko) * 1991-03-21 1992-11-06 윤병문 와이어 로우프의 꼬임 해제장치
FI89422C (fi) * 1991-08-28 1993-09-27 Maillefer Nokia Holding Anordning foer vaexelriktningstvinning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67811B1 (ko) 2004-12-30 2006-04-05 주식회사 효성 고무제품 보강용 스틸코드 필라멘트의 형부 부여 장치 및형부 부여 방법
KR101272763B1 (ko) 2011-11-17 2013-06-10 전성숙 직선형 와이어로프의 스트랜드를 푸는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73440A (ko) 2020-06-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382395T3 (es) Método y aparato de cableado
KR101566830B1 (ko) 케이블 연선 장치
WO2009093648A1 (ja) トゲのないワイヤロープの玉掛索製造方法及びワイヤロープの玉掛索製造装置及び同装置を用いたトゲのないワイヤロープの玉掛索製造方法並びにトゲのないワイヤロープの玉掛索
CN106216435B (zh) 拉丝机用连续放线装置及其放线方法
KR102137769B1 (ko) 와이어 로프의 스트랜드를 자동으로 풀어주는 장치
KR20110035423A (ko) 케이블 레이드 제조 장치, 이를 이용한 케이블 레이드 그로멧 제조 방법, 이를 통해 제작된 케이블 레이드 그로멧
CN202210652U (zh) 交叉跨越放线工具
CN108821161A (zh) 一种用于移动电缆沟盖板的装置
DE102018107565A1 (de) Verfahren zum anheben eines anhebbaren und absenkbaren elements und kran
CN107313174A (zh) 一种打结方法
JP2562071B2 (ja) クレーンのワイヤロープ取替方法
CN205646621U (zh) 一种高压输电施工时封网用转向滑车
KR101683101B1 (ko) 무대장치용 와이어로프 디스크드럼
JPH11199157A (ja) 昇降機の既設主索巻取り装置
CN209308434U (zh) 一种倒u型预应力钢绞线防滑脱装置
CN209835232U (zh) 一种电力电缆放线装置
CN209779158U (zh) 一种电缆编织机的锭子
CN106968048A (zh) 一种双股绳一次多结的打结方法
CN206155919U (zh) 一种手动绕线器
KR20150005193A (ko) 와이어 로프 가이드용 미들 블록 및 그를 구비하는 해상 크레인
CN218969637U (zh) 金属丝绳插绳器
JP3993506B2 (ja) 螺旋状鋼線の保持装置
KR101674004B1 (ko) 로프 꼬임 장치
JP6132607B2 (ja) ケーブルラックへの複数ケーブルの一括延線治具及びこれを用いたケーブル延線工法
CN221093167U (zh) 一种钢绞线固定和旋转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