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34838B1 - 피메일단자 - Google Patents
피메일단자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134838B1 KR102134838B1 KR1020200029870A KR20200029870A KR102134838B1 KR 102134838 B1 KR102134838 B1 KR 102134838B1 KR 1020200029870 A KR1020200029870 A KR 1020200029870A KR 20200029870 A KR20200029870 A KR 20200029870A KR 102134838 B1 KR102134838 B1 KR 10213483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elastic pressing
- pressing member
- terminal
- extending
- male terminal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22—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 H01R13/24—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 H01R13/2407—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characterized by the resilient means
Landscapes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피메일단자에 관한 것으로, 메일단자를 삽입하기 위해 삽입구를 개방되게 형성한 바디, 바디의 내측에 탄성 변형 가능하게 구비되어 삽입구를 통해 삽입된 메일단자에 탄성적으로 접하는 탄성가압부재, 및 탄성가압부재의 탄성 지지력을 증가시키기 위해 바디에 형성되고 적어도 절곡된 2면으로 이루어진 채 탄성가압부재를 연장하는 다면지지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종래 기술과 달리 피메일단자의 바디에서 탄성적으로 연장되어 메일단자와 접하는 탄성가압부재를 메일단자와 접하는 방향으로 가장자리를 절곡되게 형성한 채 바디와 연결됨으로써 메일단자에 대한 탄성가압부재의 접압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종래 기술과 달리 피메일단자의 바디에서 탄성적으로 연장되어 메일단자와 접하는 탄성가압부재를 메일단자와 접하는 방향으로 가장자리를 절곡되게 형성한 채 바디와 연결됨으로써 메일단자에 대한 탄성가압부재의 접압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피메일단자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피메일단자의 바디에서 탄성적으로 연장되어 메일단자와 접하는 탄성가압부재를 메일단자와 접하는 방향으로 가장자리를 절곡되게 형성한 채 바디와 연결됨으로써 메일단자에 대한 탄성가압부재의 접압력을 증가시키고자 하는 피메일단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기 커넥터는 각종 전기장치에서 전선이나 회로, 기기 등을 전기적으로 접속하기 위한 접속기구를 의미하는 것으로서, 자동차 분야에서도 각종 전기 및 전장품의 전원 단자와 시그널 단자를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하여 메일단자와 피메일단자를 포함하는 전기 커넥터가 많이 사용되고 있다.
종래에는 여러 종류의 사이즈(size)로 이루어진 커넥터용 단자가 사용되어 왔으나, 최근에는 여러 가지 사이즈로 적용되면서 소형화가 추세임에 따라 소형단자의 사용빈도가 높아지고 있다. 특히, 단자가 소형이기 때문에 메일단자에 대한 접압력을 기존 대비 증가시키거나 유지하기 위한 구조들이 제안되고 있다.
종래의 고 전류용 회로에 적용되는 커넥터용 단자는 허용전류에 따라 크게 3종류의 것이 사용되어 왔으며, 허용전류를 높이기 위해서 단자의 전체가 전도성이 높은 동합금 재료로 적용되고, 통전의 신뢰성을 높여야할 경우 단자의 접점부에 은 또는 금 도금이 적용되고 있다.
관련 선행기술로는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4-0008778호(공개일: 2014.01.22., 발명의 명칭 : 전기 커넥터용 단자)가 있다.
상기한 기술구성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배경기술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널리 알려진 종래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메일단자가 피메일단자로 삽입 되었을 때 탄성체의 반력에 의해 상호 접촉이 유지되는데, 피메일단자의 내부에서 자유단을 이루도록 연장되는 탄성체는 피메일단자의 두께가 얇거나 차량의 진동 등 외부적 요인에 의해 메일단자에 대한 접촉 신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피메일단자의 바디에서 탄성적으로 연장되어 메일단자와 접하는 탄성가압부재를 메일단자와 접하는 방향으로 가장자리를 절곡되게 형성한 채 바디와 연결됨으로써 메일단자에 대한 탄성가압부재의 접압력을 증가시키기 위한 피메일단자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피메일단자는: 메일단자를 삽입하기 위해 삽입구를 개방되게 형성한 바디; 상기 바디의 내측에 탄성 변형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삽입구를 통해 삽입된 상기 메일단자에 탄성적으로 접하는 탄성가압부재; 및 상기 탄성가압부재의 탄성 지지력을 증가시키기 위해 상기 바디에 형성되고, 적어도 절곡된 2면으로 이루어진 채 상기 탄성가압부재를 연장하는 다면지지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탄성가압부재는, 상기 삽입구로 삽입되는 상기 메일단자의 상측을 탄성 가압하도록 상기 다면지지부재에서 연장되는 어퍼패드; 및 상기 어퍼패드의 축 방향에 대해 적어도 일측 가장자리에서 하부 방향으로 절곡 연장되어, 상기 어퍼패드를 보강하고, 상기 메일단자의 측부위를 접하여 지지하는 사이드패드를 포함한다.
상기 다면지지부재는, 상기 삽입구의 상면을 형성하고, 상기 탄성가압부재의 상면을 연장 형성하는 상면커버부; 및 상기 삽입구의 일측면을 형성하도록 상기 상면커버부에서 절곡 연장 형성되고, 상기 탄성가압부재의 상면에서 절곡되는 측면을 연장 형성하는 측면커버부를 포함한다.
상기 바디는, 상부 방향으로 노출되는 상기 탄성가압부재를 보호하기 위해 탑커버를 연장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탑커버는 일부를 절개하여 탄성 변형 가능한 후크를 형성하고, 상기 후크는 상대물인 하우징에 삽입 후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 걸리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피메일단자는 종래 기술과 달리 피메일단자의 바디에서 탄성적으로 연장되어 메일단자와 접하는 탄성가압부재를 메일단자와 접하는 방향으로 가장자리를 절곡되게 형성한 채 바디와 연결됨으로써 메일단자에 대한 탄성가압부재의 접압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메일단자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메일단자의 배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메일단자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메일단자에 메일단자를 삽입하는 상태를 보인 요부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메일단자를 하우징에 결합하는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메일단자의 배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메일단자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메일단자에 메일단자를 삽입하는 상태를 보인 요부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메일단자를 하우징에 결합하는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피메일단자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메일단자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메일단자의 배면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메일단자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메일단자에 메일단자를 삽입하는 상태를 보인 요부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메일단자를 하우징에 결합하는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메일단자(100)는 바디(110), 탄성가압부재(120) 및 다면지지부재(130)를 포함한다.
바디(110)는 피메일단자(100)의 외형을 형성하는 것으로서, 통전을 위해 메일단자(20)를 삽입 허용하도록 축 방향을 따라 일측으로 개방되는 삽입구(112)를 형성한다. 그리고, 바디(110)는 내부에 공간을 형성한다. 특히, 바디(110)는 통전 가능한 다양한 재질로 적용 가능하다.
특히, 바디(110)는 축 방향을 따라 일측으로 개방되는 삽입구(112)로 메일단자(20)의 삽입을 허용하고, 타측으로 바렐부(114)를 구비한다. 바렐부(114)는 전선(도시하지 않음)의 도체부분을 감쌈에 따라 전선을 피메일단자(100)에 연결하는 역할을 한다.
탄성가압부재(120)는 바디(110)의 내측에 탄성 변형 가능하게 구비되어, 삽입구(112)를 통해 삽입된 메일단자(20)에 탄성적으로 접하여 통전 유도하는 역할을 한다. 즉, 메일단자(20)는 삽입구(112)를 통해 바디(110) 내부로 축 삽입되면서 탄성가압부재(120)를 들어 올리게 된다.
이때, 탄성가압부재(120)는 메일단자(20)를 탄성적으로 가압하게 된다. 그래서, 메일단자(20)와 피메일단자(100)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아울러, 다면지지부재(130)는 탄성가압부재(120)의 탄성 지지력을 증가시키기 위해 바디(110)에 형성되고, 적어도 절곡된 2면으로 이루어진 채 탄성가압부재(120)를 연장한다. 즉, 탄성가압부재(120)가 다면지지부재(130)에서 연결됨으로써, 단면상 대략'기역자'형상임에 따라, 메일단자(20)에 대한 접압력이 증가되어, 통전 신뢰성이 향상된다.
상세히, 탄성가압부재(120)는 어퍼패드(122) 및 사이드패드(124)를 포함한다.
어퍼패드(122)는 삽입구(112)로 삽입되는 메일단자(20)의 상측을 탄성 가압하도록 다면지지부재(130)에서 연장된다. 이때, 어퍼패드(122)는 점차적으로 삽입구(112)의 바닥면 방향으로 하향되게 연장된다. 물론, 어퍼패드(122)는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다.
그리고, 사이드패드(124)는 어퍼패드(122)의 축 방향에 대해 적어도 일측 가장자리에서 하부 방향으로 절곡 연장된다. 그래서, 사이드패드(124)는 어퍼패드(122)를 보강함으로써 탄성가압부재(120)의 탄성 변형강도를 증가시킴에 따라, 탄성가압부재(120)의 메일단자(20)에 대한 접압력이 더욱 향상된다. 아울러, 사이드패드(124)는 삽입구(112)로 삽입된 메일단자(20)를 측부위에서 접하여 지지함으로써 메일단자(20)의 흔들림을 방지한다.
이때, 사이드패드(124)는 어퍼패드(122)의 축 방향을 따라 양측 가장자리에 형성될 수 있으나, 이 경우, 탄성가압부재(120)의 탄성력이 극히 저하될 수 있다. 그래서, 사이드패드(124)는 어퍼패드(122)의 축 방향을 따라 일측 가장자리에 형성되는 것으로 한다. 아울러, 사이드패드(124)는 어퍼패드(122)의 일측 가장자리를 따라 연속되게 형성되는 것으로 한다. 물론, 사이드패드(124)는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다.
그리고, 바디(110)는 메일단자(20)에 대한 탄성가압부재(120)의 탄성 가압 상태를 육안으로 확인 가능하도록 개구부(116)를 형성할 수 있다. 이때, 개구부(116)는 탄성가압부재(120)를 측면에서 확인할 수 있도록 바디(110)의 일측면 일부를 개방되게 형성하는 것으로 한다.
특히, 바디(110)는 삽입구(112)를 사각 형상으로 형성하여 내구성을 증가시킨다.
또한, 다면지지부재(130)는 상면커버부(132) 및 측면커버부(134)를 포함한다.
상면커버부(132)는 바디(110)의 삽입구(112)의 상면을 형성하고, 탄성가압부재(120)의 상면 즉, 어퍼패드(122)를 연장 형성한다.
측면커버부(134)는 삽입구(112)의 일측면을 형성하도록 상면커버부(132)에서 절곡 연장 형성된다. 이때, 개구부(116)는 측면커버부(134)의 일부가 절개되어 형성되는 것으로 한다. 그리고, 측면커버부(134)는 탄성가압부재(120)의 상면에서 절곡되는 측면 즉, 사이드패드(124)를 연장 형성한다.
이때, 사이드패드(124)는, 탄성가압부재(120)의 미사용시 바디(110)의 내부 바닥면에 대해 유격시 발생되는 내부응력을 줄이기 위해, 바디(110)의 내부 바닥면에 접하여 지지될 수 있다.
또한, 바디(110)는 상부 방향으로 노출되는 탄성가압부재(120)를 보호하기 위해 탑커버(140)를 연장 형성한다.
아울러, 탑커버(140)는 일부를 절개하여 탄성 변형 가능한 후크(142)를 형성한다. 후크(142)는 상대물인 하우징(10)에 바디(110)의 삽입시 하우징(10)의 내측에 걸리는 역할을 한다.
특히, 바디(110)의 상면커버부(132)와 측면커버부(134)가 일부 절개된 후 변형되어 탄성가압부재(120)가 형성됨에 따라, 탄성가압부재(120)가 바디(110)의 상부와 측부로 개방됨으로써, 탑커버(140)가 바디(110)의 상부로 개방되는 탄성가압부재(120)를 막아 보호한다.
그리고, 탑커버(140)가 절개되어 자유단을 이루면서 탄성 변형되는 후크(142)는, 피메일단자(100)가 하우징(10)에 삽입시, 하우징(10)의 내측에 걸리게 된다. 그래서, 피메일단자(100)는 하우징(10)으로부터 임의적으로 이탈되는 것이 방지된다.
물론, 탑커버(140) 및 후크(142)는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다.
이때, 메일단자(20)는 피메일단자(100)의 바디(110)의 일측(전측)으로 일부 노출된 채 하우징(10) 내부로 삽입되며 하우징(10) 내부의 도체(도시하지 않음)에 접하게 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 하우징 20: 메일단자
100: 피메일단자 110: 바디
112: 삽입구 114: 바렐부
120: 탄성가압부재 122: 어퍼패드
124: 사이드패드 130: 다면지지부재
132: 상면커버부 134: 측면커버부
140: 탑커버 142: 후크
100: 피메일단자 110: 바디
112: 삽입구 114: 바렐부
120: 탄성가압부재 122: 어퍼패드
124: 사이드패드 130: 다면지지부재
132: 상면커버부 134: 측면커버부
140: 탑커버 142: 후크
Claims (2)
- 메일단자를 삽입하기 위해 삽입구를 개방되게 형성한 바디; 상기 바디의 내측에 탄성 변형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삽입구를 통해 삽입된 상기 메일단자에 탄성적으로 접하는 탄성가압부재; 및 상기 탄성가압부재의 탄성 지지력을 증가시키기 위해 상기 바디에 형성되고, 적어도 절곡된 2면으로 이루어진 채 상기 탄성가압부재를 연장하는 다면지지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다면지지부재는, 상기 삽입구의 상면을 형성하는 상면커버부; 및 상기 삽입구의 일측면을 형성하도록 상기 상면커버부에서 절곡 연장 형성되고, 상기 탄성가압부재의 상면에서 절곡되는 측면을 연장 형성하는 측면커버부를 포함하며,
상기 탄성가압부재는, 상기 삽입구로 삽입되는 상기 메일단자의 상측을 탄성 가압하도록 점차적으로 하향되게 상기 다면지지부재의 상면커버부에서 연장되는 어퍼패드; 및 상기 어퍼패드의 축 방향에 대해 적어도 일측 가장자리에서 하부 방향으로 절곡 연장되어, 상기 어퍼패드를 보강하고, 상기 메일단자의 측부위를 접하여 지지하는 사이드패드를 포함하며,
상기 사이드패드는, 상기 탄성가압부재의 미사용시, 상기 바디의 내부 바닥면에 대해 유격시 발생되는 내부응력을 줄이기 위해, 상기 바디의 내부 바닥면에 접하여 지지되고,
상기 바디는 상기 메일단자에 대한 상기 탄성가압부재의 탄성 가압 상태를 육안으로 확인 가능하도록 개구부를 형성하며,
상기 개구부는 상기 사이드패드에서 연장되는 상기 측면커버부의 일부가 절개되어 형성되고,
상기 바디는, 상부 방향으로 노출되는 상기 탄성가압부재를 보호하기 위해 탑커버를 연장 형성하며,
상기 바디는 타측으로 바렐부를 연장 형성하여 피메일단자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메일단자.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탑커버는 일부를 절개하여 탄성 변형 가능한 후크를 형성하고,
상기 후크는 상대물인 하우징에 삽입 후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 걸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메일단자.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29870A KR102134838B1 (ko) | 2020-03-10 | 2020-03-10 | 피메일단자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29870A KR102134838B1 (ko) | 2020-03-10 | 2020-03-10 | 피메일단자 |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139562A Division KR102101452B1 (ko) | 2018-11-14 | 2018-11-14 | 피메일단자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056356A KR20200056356A (ko) | 2020-05-22 |
KR102134838B1 true KR102134838B1 (ko) | 2020-07-16 |
Family
ID=709142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029870A KR102134838B1 (ko) | 2020-03-10 | 2020-03-10 | 피메일단자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134838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24144377A1 (ko) * | 2022-12-30 | 2024-07-04 | 주식회사 유라 | 모터센서 커넥터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0537391A (ja) | 2007-08-30 | 2010-12-02 | タイコ エレクトロニクス アンプ ゲゼルシャフト ミット ベシュレンクテル ハウツンク | 電気コンタクト |
Family Cites Familie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EP3414797A4 (en) * | 2016-02-08 | 2019-10-23 | Molex, LLC | FITTING |
-
2020
- 2020-03-10 KR KR1020200029870A patent/KR102134838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0537391A (ja) | 2007-08-30 | 2010-12-02 | タイコ エレクトロニクス アンプ ゲゼルシャフト ミット ベシュレンクテル ハウツンク | 電気コンタクト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24144377A1 (ko) * | 2022-12-30 | 2024-07-04 | 주식회사 유라 | 모터센서 커넥터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056356A (ko) | 2020-05-2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6815699B2 (ja) | コネクタ | |
US7419411B2 (en) | Exposed-spring female terminal | |
JP4368897B2 (ja) | コネクタ | |
US20150222043A1 (en) | Electric connector | |
KR101196993B1 (ko) | 커넥터 장치 | |
KR20060045374A (ko) | 보강 탭 부착 전기 커넥터 | |
KR102134838B1 (ko) | 피메일단자 | |
JP5798840B2 (ja) | 接続端子 | |
JP4379231B2 (ja) | 雌端子金具 | |
KR102101452B1 (ko) | 피메일단자 | |
JP4864340B2 (ja) | 同軸ケーブルの電気コネクタ | |
JPH0648173U (ja) | 端子金具の圧着構造 | |
JP5088578B2 (ja) | 端子金具及び端子金具付き電線 | |
KR101175170B1 (ko) | 소켓 콘택트 | |
JP2019083164A5 (ko) | ||
US7104838B1 (en) | Electrical connector attachment | |
KR200415897Y1 (ko) | 차량용 접속단자 | |
JP5757226B2 (ja) | 端子及び端子付き電線 | |
CN112154576A (zh) | 连接器 | |
JP2005071892A (ja) | L型コネクタ | |
JP4592376B2 (ja) | 電子素子内蔵シールドコネクタ | |
CN114520420B (zh) | 具有端子的电线和端子压接装置 | |
CN106981752B (zh) | 用于母连接器的电端子及其制造方法 | |
JP6733537B2 (ja) | 電磁継電器、その電磁継電器を備えた電子装置、およびその電子装置の製造方法 | |
JP6282818B2 (ja) | 圧接コネクタ、および、電線付き圧接コネクタ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