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96993B1 - 커넥터 장치 - Google Patents

커넥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96993B1
KR101196993B1 KR1020100129562A KR20100129562A KR101196993B1 KR 101196993 B1 KR101196993 B1 KR 101196993B1 KR 1020100129562 A KR1020100129562 A KR 1020100129562A KR 20100129562 A KR20100129562 A KR 20100129562A KR 101196993 B1 KR101196993 B1 KR 1011969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ct
contacts
plug
connector
hydraul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295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85862A (ko
Inventor
켄이치 요츠타니
Original Assignee
다이-이치 세이코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이-이치 세이코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다이-이치 세이코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100858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858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969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969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0Sockets for co-operation with pins or blades
    • H01R13/11Resilient sockets
    • H01R13/112Resilient sockets forked sockets having two le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7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01R12/79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connecting to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50Fixed connections
    • H01R12/59Fixed connection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01R12/594Fixed connection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for shielded flat cable
    • H01R12/598Each conductor being individually surrounded by shield, e.g. multiple coaxial cables in flat struc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H01R13/658High frequency shielding arrangements, e.g. against EMI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or EMP [Electro-Magnetic Pulse]

Abstract

플러그 커넥터와 리셉터클 커넥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커넥터 장치로서, 박형화된 플러그 커넥터의 접속 끼워맞춤부를, 리셉터클측 콘택이 플러그측 콘택에 접속된 상태에서 안정하게 보지할 수가 있는 것을 제공한다. 플러그 커넥터(11)에 있어서의 접속 끼워맞춤부(17)가 리셉터클 커넥터(31)에 끼워맞춤구부(33)를 통하여 삽입되는 상태에서, 리셉터클측 콘택이 교대로 배치된 제1 및 제2의 콘택을 포함하고, 제1의 콘택(34)이 가지는 2개의 접점부(43, 44)가, 하우징(32)의 끼워맞춤구부(33)가 설치된 정면측 단면부로부터의 거리를 다르게 한 상태에서, 플러그측 콘택(15)에 맞닿는 위치에 배치되고, 제2의 콘택이 가지는 2개의 접점부도, 하우징(32)의 정면측 단면부로부터의 거리를 다르게 한 상태에서, 플러그측 콘택에 맞닿는 위치에 배치된다.

Description

커넥터 장치{CONNECTOR APPARATUS}
본원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발명은, 복수의 동축 케이블(coaxial cable) 등의 케이블이 장착되는 플러그 커넥터(plug connector)와, 그 플러그 커넥터의 접속 끼워맞춤부의 삽입이 이루어지는 끼워맞춤구부가 설치된 리셉터클 커넥터(receptacle connector)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플러그 커넥터에 장착된 복수의 케이블을 리셉터클 커넥터가 부착된 배선 기판 등으로 되는 다른 전기 부품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상태로 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커넥터 장치에 관한 것이다.
각종의 전기 신호나 전압 등을 전송하는 복수의 동축 케이블 등의 케이블이, 각각이 비교적 가는 것이고, 케이블군을 형성하도록 모아진 상태를 가지고, 각종의 전기 부품이 부착되는 배선 기판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데 즈음해서는, 복수의 케이블의 배선 기판에 대한 전기적 접속의 중개역을 수행하는 커넥터 장치가 이용되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커넥터 장치는, 예를 들면, 당해 복수의 케이블이 장착되는 플러그 커넥터와, 배선 기판과의 전기적 접속이 이루어져 배치되고, 플러그 커넥터의 접속 끼워맞춤부의 삽입이 이루어지는 끼워맞춤구부가 설치된 리셉터클 커넥터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복수의 케이블의 배선 기판에 대한 전기적 접속에 즈음하여 이용되는 커넥터 장치에 있어서는, 플러그 커넥터의 접속 끼워맞춤부에, 복수의 케이블에 각각 연결되는 복수의 플러그측 콘택(contact)이 배열 배치되어 설치되고, 한편, 끼워맞춤구부가 설치된 리셉터클 커넥터의 끼워맞춤구부의 내측에, 배선 기판에 설치된 배선부에 연결되는 복수의 리셉터클측 콘택이 배열 배치되어 설치된다. 그리고, 플러그 커넥터의 접속 끼워맞춤부가 리셉터클 커넥터의 끼워맞춤구부로부터 그 내부로 삽입될 때, 복수의 리셉터클측 콘택이, 복수의 플러그측 콘택에 각각 누름 접촉하는 상태를 가지고 접속되고, 그에 의해 복수의 케이블이 플러그 커넥터 및 리셉터클 커넥터를 개재하여, 배선 기판에 설치된 배선부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상술과 같이 플러그 커넥터의 접속 끼워맞춤부가 리셉터클 커넥터의 끼워맞춤구부로부터 그 내부로 삽입되는 커넥터 장치에 있어서는, 복수의 케이블의 한층 더의 세선화 및 배선 기판의 한층 더의 소형?경량화에 수반하여, 그 전체의 소형?박형화(높이 낮추기)가 도모되는 것이 요망되고 있다. 그 때문에 플러그 커넥터에 있어서는, 특히 접속 끼워맞춤부에 대한 가능한 한 박형화가 요구되고, 또 리셉터클 커넥터에 있어서는, 복수의 리셉터클측 콘택을, 박형화가 도모된 플러그 커넥터의 접속 끼워맞춤부에 설치된 복수의 플러그측 콘택에 확실히 접속되는 것으로 하고, 또한 그 상태를 안정하게 유지할 수 있는 것이 요구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종래에 있어서는, 플러그 커넥터와 리셉터클 커넥터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복수의 케이블의 배선 기판에 대한 전기적 접속에 이용되는 커넥터 장치로서, 플러그 커넥터의 접속 끼워맞춤부에 설치되어 케이블에 연결되는 플러그측 콘택이, 한 쌍의 상호 대향 접촉면부를 가짐과 아울러, 리셉터클 커넥터에 설치되는 리셉터클측 콘택이, 플러그측 콘택에 있어서의 한 쌍의 상호 대향 접촉면부에 각각 맞닿아, 플러그측 콘택과 리셉터클측 콘택을 전기적 접속 상태에 두는 한 쌍의 접촉부를 가지는 것이 제안되어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참조). 또, 플러그 커넥터와 리셉터클 커넥터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복수의 케이블의 배선 기판에 대한 전기적 접속에 이용되는 커넥터 장치로서, 플러그 커넥터의 접속 끼워맞춤부에 설치되는 플러그측 콘택이, 그것에 접속되는 케이블의 심선(core wire)을 따라 뻗어있는 판상부를 가짐과 아울러, 리셉터클 커넥터에 설치되는 리셉터클측 콘택이, 플러그측 콘택의 판상부에 있어서의 케이블의 심선이 배치된 면과는 반대측의 면에 맞닿아, 플러그측 콘택과 리셉터클측 콘택을 전기적 접속 상태에 두는 접점부를 가지는 것도 제안되어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2 참조).
특허문헌 1에 도시되는 커넥터 장치에 있어서는, 플러그 커넥터(플러그(2))의 접속 끼워맞춤부에 배열 배치되어 설치되는 복수의 플러그측 콘택(수(male)단자(50))의 각각이, 도전성 판상 부재(상판부(52), 하판부(53))가 하우징(housing)(20)의 일부를 이루는 수지 판상부를 개재시켜 접어 포개어 이루어지는 3층 구조, 혹은 비교적 두꺼운 도전성 판상 부재에 펀칭(punching) 가공이 이루어져 얻어지는 일체 성형 구조를 취하여, 한 쌍의 상호 대향 접촉면부(상판부(52) 및 하판부(53)의 외표면부)를 형성하고 있다. 또한, 리셉터클 커넥터(리셉터클(6))에 배열 배치되어 설치되는 복수의 리셉터클측 콘택(암단자(80))의 각각이, 3층 구조 혹은 일체 성형 구조를 취하는 플러그측 콘택에 있어서의 한 쌍의 상호 대향 접촉면부를 사이에 두고 상호 대향하는 상태를 취하는, 한 쌍의 접촉부(2점 접촉부(81, 82))가 형성된 두 갈래부를 이루고 있다.
그리고, 리셉터클측 콘택에 있어서의 한 쌍의 접촉부가, 플러그측 콘택에 있어서의 한 쌍의 상호 대향 접촉면부에, 그것을 사이에 두고 서로 대향하는 2방향으로부터 맞닿음으로써, 플러그측 콘택과 리셉터클측 콘택이 전기적 접속 상태에 놓인다.
또, 특허문헌 2에 도시되는 커넥터 장치에 있어서는, 플러그 커넥터(케이블 커넥터(1))의 접속 끼워맞춤부에 배열 배치되어 설치되는 복수의 플러그측 콘택(터미널(terminal)(12))의 각각이, 그것에 접속되는 케이블(22)의 심선(core wire)(22a)을 따라 뻗어있고, 케이블(22)의 심선(22a)이 납땜되어 접점부(20)를 형성하는 판상부를 가지고, 그 판상부의 단부가 접혀서 형성되는 삽입 선단부(절곡부(18))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리셉터클 커넥터(상대 커넥터(31))에 배열 배치되어 설치되는 복수의 리셉터클측 콘택(터미널(33))의 각각이, 플러그측 콘택의 판상부에 있어서의 케이블의 심선이 납땜된 면과는 반대측의 면에 맞닿는 접점부(36)를 가지고 있다.
그리고, 리셉터클측 콘택에 있어서의 접촉부가, 플러그측 콘택의 판상부에 있어서의 케이블의 심선이 납땜된 면과는 반대측의 면에 맞닿음으로써, 플러그측 콘택과 리셉터클측 콘택이 전기적 접속 상태에 놓인다.
일본 특허공개 2007-73426호 공보(단락 0021~0024, 0027~0029, 0031~0035, 도 1~5, 9~10) 일본 특허공개 2005-158677호 공보(단락 0030~0037, 0043, 0053~0054, 도 1~5, 10, 11, 17)
상술과 같은 종래 제안되어 있는, 플러그 커넥터와 리셉터클 커넥터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복수의 케이블의 배선 기판에 대한 전기적 접속에 이용되는 커넥터 장치로서, 플러그 커넥터의 접속 끼워맞춤부에 설치되는 복수의 플러그측 콘택의 각각이, 도전성 판상 부재가 수지 판상부를 개재시켜 접어 포개어 이루어지는 3층 구조 혹은 일체 성형 구조를 취하여 한 쌍의 상호 대향 접촉면부를 형성하고, 또한 리셉터클 커넥터에 설치되는 복수의 리셉터클측 콘택의 각각이, 3층 구조 혹은 일체 성형 구조를 취하는 플러그측 콘택에 있어서의 상호 대향 접촉면부에, 그것을 사이에 두고 서로 대향하는 2방향으로부터 맞닿는 한 쌍의 접촉부를 가진 것에 있어서는, 각 리셉터클측 콘택의 한 쌍의 접촉부가, 3층 구조 혹은 일체 성형 구조를 취하는 플러그측 콘택에 있어서의 상호 대향 접촉면부에, 그것을 사이에 두고 서로 대향하는 2방향으로부터 맞닿는데 즈음하여, 플러그측 콘택의 동일 개소에 있어서의 상호 대향 접촉면부에 서로 대향하는 2방향으로부터 맞닿는다.
그러므로, 각 플러그측 콘택에 있어서는, 그것에 있어서의 1개소에, 리셉터클측 콘택의 한 쌍의 접촉부에 의한 누르는 힘이 집중적으로 작용하게 되고, 또한 그 각 플러그측 콘택에 있어서의 1개소가, 복수의 플러그측 콘택의 배열 방향으로 일직선상으로 정렬되게 되므로, 각 리셉터클측 콘택의 한 쌍의 접촉부가 플러그측 콘택에 맞닿음 접촉한 상태에서의 플러그 커넥터의 접속 끼워맞춤부가, 그 자세가 안정되지 않고, 소망하지 않는 변동을 일으켜 버릴 우려가 있다. 또한, 각 플러그측 콘택이 3층 구조를 취하는 것으로 되는 경우에는, 플러그측 콘택의 두께를 충분히 작게 할 수가 없고, 플러그 커넥터의 접속 끼워맞춤부의 박형화를 도모하는 것이 곤란하게 되어 버리고, 또 각 플러그측 콘택이 일체 성형 구조를 취하는 것으로 되는 경우에는, 비교적 두꺼운 도전성 판상 부재의 펀칭(punching) 가공 정밀도를 매우 높은 것으로 하는 것이 요구되고, 그에 더하여, 플러그 커넥터의 접속 끼워맞춤부에 있어서, 그것을 구성하는 절연 부재(수지 부재)와 플러그측 콘택의 밀착성이 충분히 얻어지지 않게 되어 버릴 우려가 있다.
또, 종래 제안되어 있는, 플러그 커넥터와 리셉터클 커넥터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복수의 케이블의 배선 기판에 대한 전기적 접속에 이용되는 커넥터 장치로서, 플러그 커넥터의 접속 끼워맞춤부에 설치되는 복수의 플러그측 콘택의 각각이, 케이블의 심선이 납땜되어 접점부를 형성하는 판상부를 가지고, 그 판상부의 단부가 접혀서 형성되는 삽입 선단부를 구비하고 있고, 또한 리셉터클 커넥터에 설치되는 복수의 리셉터클측 콘택의 각각이, 플러그측 콘택의 판상부에 있어서의 케이블의 심선이 납땜된 면과는 반대측의 면에 맞닿는 접점부를 가진 것에 있어서는, 플러그측 콘택과 플러그 커넥터의 하우징을 형성하는 절연 부재(수지 부재)의 상호 접촉 면적이 작은 것에 의해, 이에 더하여, 플러그측 콘택이 플러그 커넥터의 하우징에 압입(壓入)되는 것에도 기인하여, 플러그 커넥터의 접속 끼워맞춤부에 있어서, 그것을 구성하는 하우징의 일부를 이루는 절연 부재와 플러그측 콘택의 밀착성이 충분히 얻어지지 않게 되어 버릴 우려가 있다.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본원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발명은, 복수의 케이블의 배선 기판 등으로 되는 전기 부품에 대한 전기적 접속에 이용되는, 복수의 케이블이 장착되는 플러그 커넥터와 그 플러그 커넥터의 접속 끼워맞춤부의 삽입이 이루어지는 끼워맞춤구부가 설치된 리셉터클 커넥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커넥터 장치로서, 리셉터클 커넥터에 설치되는 복수의 리셉터클측 콘택을, 플러그 커넥터의 접속 끼워맞춤부가 박형화된 상태에 있어서도, 그 플러그 커넥터의 접속 끼워맞춤부에 설치된 복수의 플러그측 콘택에 확실히 접속할 수가 있음과 아울러, 복수의 리셉터클측 콘택이 복수의 플러그측 콘택에 접속된 상태에서, 당해 플러그 커넥터의 접속 끼워맞춤부를 소망하지 않는 변동이나 변형을 일으키게 하지 않고 안정하게 보지(保持)할 수가 있고, 또한 플러그 커넥터의 접속 끼워맞춤부에 대해서, 그것을 구성하는 절연 부재와 플러그측 콘택의 상호 밀착성이 충분히 얻어지는 상태에서의 박형화를 도모할 수가 있는 것을 제공한다.
본원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있어서의 청구항 1로부터 청구항 6까지의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발명(이하, 본 발명이라고 한다)에 관계되는 커넥터 장치는, 복수의 케이블이 연결되는 복수의 플러그측 콘택이 배열 배치된 접속 끼워맞춤부를 구비하는 플러그 커넥터와, 플러그 커넥터의 접속 끼워맞춤부가 삽입되는 끼워맞춤구부가 일단면부에 설치된 하우징, 및 하우징에 배열 배치되고, 끼워맞춤구부를 통하여 하우징에 삽입된 플러그 커넥터의 접속 끼워맞춤부에 배치된 복수의 플러그측 콘택에 각각 누름 접촉하는, 복수의 리셉터클측 콘택을 구비하는 리셉터클 커넥터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복수의 리셉터클측 콘택이, 복수의 제1의 콘택과 복수의 제2의 콘택을 포함하고, 복수의 제1의 콘택의 각각이, 끼워맞춤구부를 통하여 하우징에 삽입된 플러그 커넥터의 접속 끼워맞춤부를 끼워넣는 제1 및 제2의 접점부를 가지고, 제1 및 제2의 접점부가, 하우징의 끼워맞춤구부가 설치된 일단면부로부터 제1의 접점부까지의 거리가 당해 일단면부로부터 제2의 접점부까지의 거리보다 작게 되는 상태에서, 플러그 커넥터의 접속 끼워맞춤부에 있어서의 상호 대향하는 제1 및 제2의 면 중의 제1의 면측에 있어서 플러그측 콘택에 제1의 접점부가 맞닿음과 아울러 제1 및 제2의 면 중의 제2의 면측에 있어서 플러그측 콘택에 제2의 접점부가 맞닿는 위치에 배치되고, 또 복수의 제2의 콘택의 각각이, 끼워맞춤구부를 통하여 하우징에 삽입된 플러그 커넥터의 접속 끼워맞춤부를 끼워넣는 제3 및 제4의 접점부를 가지고, 제3 및 제4의 접점부가, 하우징의 끼워맞춤구부가 설치된 일단면부로부터 제3의 접점부까지의 거리가 당해 일단면부로부터 제4의 접점부까지의 거리보다 크게 되는 상태에서, 플러그 커넥터의 접속 끼워맞춤부에 있어서의 상호 대향하는 제1 및 제2의 면 중의 제1의 면측에 있어서 플러그측 콘택에 제3의 접점부가 맞닿음과 아울러 제1 및 제2의 면 중의 제2의 면측에 있어서 플러그측 콘택에 제4의 접점부가 맞닿는 위치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으로 된다.
상술과 같은 본 발명에 관계되는 커넥터 장치에 있어서는, 플러그 커넥터의 접속 끼워맞춤부가, 리셉터클 커넥터의 하우징에 끼워맞춤구부를 통하여 삽입되면, 리셉터클 커넥터에 구비된 복수의 리셉터클측 콘택이, 플러그 커넥터의 접속 끼워맞춤부에 배치된 복수의 플러그측 콘택에, 각각 눌려 맞닿는 상태가 취해진다. 이러한 눌려 맞닿음 상태는, 복수의 리셉터클측 콘택이 포함하는 복수의 제1의 콘택 및 복수의 제2의 콘택 중의, 복수의 제1의 콘택의 각각이 가지는, 플러그 커넥터의 접속 끼워맞춤부를 끼워넣는 제1 및 제2의 접점부, 및 복수의 제2의 콘택의 각각이 가지는, 플러그 커넥터의 접속 끼워맞춤부를 끼워넣는 제3 및 제4의 접점부가, 각각에 대응하는 플러그측 콘택에 맞닿음으로써 얻어진다. 그 때 제1의 콘택이 가지는 제1 및 제2의 접점부는, 하우징의 끼워맞춤구부가 설치된 일단면부로부터 제1의 접점부까지의 거리가 당해 일단면부로부터 제2의 접점부까지의 거리보다 작게 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고, 제1의 접점부가, 플러그 커넥터의 접속 끼워맞춤부에 있어서의 상호 대향하는 제1 및 제2의 면 중의 제1의 면측에 있어서 플러그측 콘택에 맞닿음과 아울러, 제2의 접점부가, 당해 제1 및 제2의 면 중의 제2의 면측에 있어서 플러그측 콘택에 맞닿고, 또 제2의 콘택이 가지는 제3 및 제4의 접점부는, 하우징의 끼워맞춤구부가 설치된 일단면부로부터 제3의 접점부까지의 거리가 당해 일단면부로부터 제4의 접점부까지의 거리보다 크게 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고, 제3의 접점부가, 플러그 커넥터의 접속 끼워맞춤부에 있어서의 상호 대향하는 제1 및 제2의 면 중의 제1의 면측에 있어서 플러그측 콘택에 맞닿음과 아울러, 제4의 접점부가, 당해 제1 및 제2의 면 중의 제2의 면측에 있어서 플러그측 콘택에 맞닿는다.
즉, 복수의 리셉터클측 콘택에 포함되는 복수의 제1의 콘택이 가지는 제1 및 제2의 접점부가, 플러그 커넥터의 접속 끼워맞춤부에 있어서의 그 하우징에 대한 삽입 방향에 있어서 이격한 2개소에 있어서, 플러그측 콘택에, 플러그 커넥터의 접속 끼워맞춤부에 있어서의 제1의 면측 및 그것에 대향하는 제2의 면측으로부터 각각 맞닿고, 또 복수의 리셉터클측 콘택에 포함되는 복수의 제2의 콘택이 가지는 제3 및 제4의 접점부가, 플러그 커넥터의 접속 끼워맞춤부에 있어서의 그 하우징에 대한 삽입 방향에 있어서 이격한 2개소에 있어서, 플러그측 콘택에, 플러그 커넥터의 접속 끼워맞춤부에 있어서의 제1의 면측 및 그것에 대향하는 제2의 면측으로부터 각각 맞닿는 것이다. 따라서, 제1 및 제2의 콘택의 각각은, 대응하는 플러그측 콘택에, 그것에 있어서의 서로 이격한 2개소에 있어서 서로 대향하는 2방향으로부터 맞닿게 된다.
특히, 본원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있어서의 청구항 2에 기재된 본 발명에 관계되는 커넥터 장치에 있어서는, 상기 복수의 제1의 콘택의 각각이, 두 갈래부를 이루는 제1암부와 제2암부를 가지고, 상기 제1암부에 상기 제1접점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2암부에 상기 제2접점부가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제1암부 및 상기 제2암부 중의 일방에 연장 설치된 부분에 접속 단자부가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제2의 콘택의 각각이, 두 갈래부를 이루는 제3암부와 제4암부를 가지고, 상기 제3암부에 상기 제3접점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4암부에 상기 제4접점부가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제3암부 및 상기 제4암부 중의 일방에 연장 설치된 부분에 접속 단자부가 형성된다.
특히, 본원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있어서의 청구항 3에 기재된 본 발명에 관계되는 커넥터 장치에 있어서는, 복수의 제1의 콘택과 복수의 제2의 콘택이, 복수의 리셉터클측 콘택의 배열 방향에 있어서 교대로 배치된다.
또, 본원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있어서의 청구항 4에 기재된 본 발명에 관계되는 커넥터 장치에 있어서는, 복수의 플러그측 콘택이, 그들의 배열 방향에 있어서 교대로 배치되는 복수의 제3의 콘택과 복수의 제4의 콘택을 포함하고, 제3의 콘택의 각각이, 케이블에 접속되는 케이블 접속부, 제1의 콘택의 제1 및 제2의 접점부 중의 일방이 누름 접촉하는 제1의 수압(受壓) 접촉부, 및 그것으로부터 접혀서 뻗어있고, 제1의 콘택의 제1 및 제2의 접점부 중의 타방이 누름 접촉하는 제2의 수압 접촉부를 가지고, 또 제4의 콘택의 각각이, 케이블에 접속되는 케이블 접속부, 제2의 콘택의 제3 및 제4의 접점부 중의 일방이 누름 접촉하는 제3의 수압 접촉부, 및 그것으로부터 접혀서 뻗어있고, 제2의 콘택의 제3 및 제4의 접점부 중의 타방이 누름 접촉하는 제4의 수압 접촉부를 가지는 것으로 되고, 제3의 콘택에 있어서의 제2의 수압 접촉부의 선단 부분 및 제4의 콘택에 있어서의 제4의 수압 접촉부의 선단 부분이, 플러그 커넥터의 접속 끼워맞춤부를 형성하는 절연 부재에 둘러싸여 배치된다.
본 발명에 관계되는 커넥터 장치에 있어서는, 상술과 같이, 복수의 리셉터클측 콘택에 포함되는 복수의 제1의 콘택 및 복수의 제2의 콘택의 각각은, 플러그 커넥터의 접속 끼워맞춤부에 배치된 복수의 플러그측 콘택 중의 대응하는 것에, 그것에 있어서의 서로 이격한 2개소에 있어서 서로 대향하는 2방향으로부터 맞닿는다. 이에 의해 플러그 커넥터의 접속 끼워맞춤부에 배치된 플러그측 콘택에 맞닿는 제1의 콘택 및 제2의 콘택의 각각에 의한 누르는 힘이, 당해 플러그측 콘택에 있어서의 1개소에 집중적으로 작용하는 사태가 회피되고, 플러그 커넥터의 접속 끼워맞춤부가 박형화된 상태에 있어서도, 복수의 리셉터클측 콘택을, 당해 플러그 커넥터의 접속 끼워맞춤부에 설치된 복수의 플러그측 콘택에 각각 확실히 접속시킬 수가 있음과 아울러, 복수의 리셉터클측 콘택이 복수의 플러그측 콘택에 접속된 상태에서, 당해 플러그 커넥터의 접속 끼워맞춤부를 소망하지 않는 변동이나 변형을 일으키게 하지 않고 안정하게 보지(保持)할 수가 있다.
특히, 본원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있어서의 청구항 3에 기재된 본 발명에 관계되는 커넥터 장치에 있어서는, 복수의 제1의 콘택과 복수의 제2의 콘택이, 복수의 리셉터클측 콘택의 배열 방향에 있어서 교대로 배치되므로, 복수의 리셉터클측 콘택을, 당해 플러그 커넥터의 접속 끼워맞춤부에 설치된 복수의 플러그측 콘택에 각각 확실히 접속시킬 수가 있음과 아울러, 복수의 리셉터클측 콘택이 복수의 플러그측 콘택에 접속된 상태에서, 당해 플러그 커넥터의 접속 끼워맞춤부를 소망하지 않는 변동이나 변형을 일으키게 하지 않고 안정하게 보지할 수가 있는 상태가 한층 더 효과적으로 얻어진다.
또, 본원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있어서의 청구항 4에 기재된 본 발명에 관계되는 커넥터 장치에 있어서는, 플러그 커넥터의 접속 끼워맞춤부에 배치되는 복수의 플러그측 콘택이, 그들의 배열 방향에 있어서 교대로 배치되는 복수의 제3의 콘택과 복수의 제4의 콘택을 포함하고, 제3의 콘택의 각각이, 제1의 콘택의 제1 및 제2의 접점부 중의 일방이 눌려 맞닿는 제1의 수압 접촉부와 그것으로부터 접혀서 뻗어있고 제1의 콘택의 제1 및 제2의 접점부 중의 타방이 눌려 맞닿는 제2의 수압 접촉부를 가지는 것으로 됨과 아울러, 제4의 콘택의 각각이, 제2의 콘택의 제3 및 제4의 접점부 중의 일방이 눌려 맞닿는 제3의 수압 접촉부와 그것으로부터 접혀서 뻗어있고 제2의 콘택의 제3 및 제4의 접점부 중의 타방이 눌려 맞닿는 제4의 수압 접촉부를 가지는 것으로 되고, 그에 더하여, 제3의 콘택에 있어서의 제2의 수압 접촉부의 선단 부분 및 제4의 콘택에 있어서의 제4의 수압 접촉부의 선단 부분이, 플러그 커넥터의 접속 끼워맞춤부를 형성하는 절연 부재에 둘러싸여 배치되므로, 플러그 커넥터의 접속 끼워맞춤부에 대해서, 그것을 구성하는 절연 부재와 플러그측 콘택의 상호 밀착성이 충분히 얻어지는 상태에서, 그 박형화를 효과적으로 도모할 수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관계되는 커넥터 장치의 일례를 구성하는 플러그 커넥터를 그것에 장착된 복수의 동축 케이블과 함께 나타내는 상면측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관계되는 커넥터 장치의 일례를 구성하는 플러그 커넥터를 그것에 장착된 복수의 동축 케이블과 함께 나타내는 하면측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관계되는 커넥터 장치의 일례를 구성하는 플러그 커넥터를 그것에 장착된 복수의 동축 케이블과 함께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3에 있어서의 IV-IV선 단면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3에 있어서의 V-V선 단면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관계되는 커넥터 장치의 일례를 구성하는 리셉터클 커넥터를 나타내는 정면측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관계되는 커넥터 장치의 일례를 구성하는 리셉터클 커넥터를 나타내는 배면측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관계되는 커넥터 장치의 일례를 구성하는 리셉터클 커넥터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관계되는 커넥터 장치의 일례를 구성하는 리셉터클 커넥터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10은 도 8에 있어서의 X-X선 단면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1은 도 8에 있어서의 XI-XI선 단면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관계되는 커넥터 장치의 일례를 구성하는 플러그 커넥터와 리셉터클 커넥터의 상호 끼워맞춤 상태를 플러그 커넥터에 장착된 동축 케이블과 함께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에 관계되는 커넥터 장치의 일례를 구성하는 플러그 커넥터와 리셉터클 커넥터의 상호 끼워맞춤 상태를 플러그 커넥터에 장착된 동축 케이블과 함께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는 이하에 기술되는 본 발명에 대한 실시예를 가지고 설명된다.
<실시예>
도 1(상면측에서 본 사시도), 도 2(하면측에서 본 사시도) 및 도 3(평면도)은, 본 발명에 관계되는 커넥터 장치의 일례를 구성하는 플러그 커넥터를 그것에 장착된 복수의 동축 케이블과 함께 나타낸다.
도 1, 도 2 및 도 3에는, 본 발명에 관계되는 커넥터 장치의 일례를 구성하는 플러그 커넥터(11)가, 그것에 장착된 복수의 동축 케이블(12)과 함께 도시되어 있다. 또한, 플러그 커넥터(11)에 대해서, 편의상 평면도인 도 3에 도시되는 면을 상면이라고 부르고, 그것에 대향하는 면을 하면이라고 부르는 것으로 한다.
플러그 커넥터(11)는 합성 수지 등의 절연 재료에 의해 형성된 하우징(13)을 구비하고 있고, 하우징(13)에는 그 길이 방향(플러그 커넥터(11)의 길이 방향(좌우 방향))을 따라, 각각이 도전 재료로 형성된 복수의 콘택(15)과 복수의 콘택(16)이 교대로 배열 배치되어 설치되고 있다. 이들 콘택(15) 및 콘택(16)은 전체로 복수의 플러그측 콘택을 형성하고 있다. 즉, 하우징(13)에 배열 배치된 복수의 플러그측 콘택이, 복수의 콘택(15)과 복수의 콘택(16)을 포함하는 것으로 되어 있는 것이다. 그리고, 복수의 콘택(15)과 복수의 콘택(16)을 포함한 복수의 플러그측 콘택에는, 복수의 동축 케이블(12)이 각각 연결되어 있다.
하우징(13)에 있어서의 복수의 콘택(15)과 복수의 콘택(16)을 포함한 복수의 플러그측 콘택이 배열 배치된 부분(13a)은, 하우징(13)의 길이 방향으로 뻗어있는 판상부로 되어 있고, 접속 끼워맞춤부(17)를 형성하고 있다. 접속 끼워맞춤부(17)는 플러그 커넥터(11)와 함께 본 발명에 관계되는 커넥터 장치의 일례를 구성하는, 후술되는 리셉터클 커넥터의 하우징에, 그것에 설치된 끼워맞춤구부를 통하여 삽입되고, 그에 의해 플러그 커넥터(11)와 리셉터클 커넥터의 상호 끼워맞춤 상태가 취해진다.
복수의 플러그측 콘택에 있어서의 복수의 동축 케이블(12)이 각각 연결된 부분은, 도전 재료로 형성된 플러그측 도전 커버(cover)(18)에 의해 덮여 있다. 그리고, 플러그측 도전 커버(18)에는, 그 길이 방향(플러그 커넥터(11)의 길이 방향(좌우 방향))에 있어서의 양단부에, 리셉터클 커넥터와의 상호 끼워맞춤 상태에 놓인 플러그 커넥터(11)가 리셉터클 커넥터로부터 뽑힐 때에 뽑기용 손잡이부로 되는 한 쌍의 돌출부(18a)가 형성되어 있다.
도 3에 있어서의 IV-IV선 단면을 나타내는 단면도인 도 4에 도시되듯이, 플러그 커넥터(11)에 장착되는 복수의 동축 케이블(12)의 각각은, 중심 도체(신호 도체)(20)와, 중심 도체(20)를 포위하는 절연층(21)의 외측에 절연층(21)을 포위하여 배치된 외측 도체(접지 도체)(22)와, 외측 도체(22)를 포위하는 절연 피복(23)을 가지고 있다. 또한, 접속 끼워맞춤부(17)를 형성하는 하우징(13)의 부분(13a)에 배치된 복수의 콘택(15)의 각각은, 동축 케이블(12)의 중심 도체(20)에 접속되는 케이블 접속부(25)와, 케이블 접속부(25)에 이어져, 하우징(13)의 부분(13a)에 있어서의 플러그 커넥터(11)의 상면측에 배치되는 수압(受壓) 접촉부(26)와, 수압 접촉부(26)로부터 플러그 커넥터(11)의 하면측에 밀착한 상태로 접혀서 뻗어있는 수압 접촉부(27)를 가지고 있다.
콘택(15)에 있어서의 수압 접촉부(26)에는, 후술되는 리셉터클 커넥터의 콘택이 맞닿음 접촉하게 되는 오목부(26a)가 형성되어 있다. 또, 콘택(15)에 있어서의 수압 접촉부(26)가 배치된 하우징(13)의 부분(13a)에는, 수압 접촉부(26)에 형성된 오목부(26a)에 대응하는 부위에 투공(14)이 형성되어 있다. 이 투공(14)은 복수의 콘택(15)을 하우징(13)에 대해서 인서트(insert) 성형에 의해 배치함에 즈음하여, 각 콘택(15)을 위치 결정하기 위한 핀(pin)이 통과하는 구멍이고, 수압 접촉부(26)에 형성된 오목부(26a)에 대응하는 부위에 형성되는 것으로 됨으로써, 각 콘택(15)의 위치 결정이 적정하게 행해진다.
또, 도 3에 있어서의 V-V선 단면을 나타내는 단면도인 도 5에 도시되듯이, 접속 끼워맞춤부(17)를 형성하는 하우징(13)의 부분(13a)에 배치된 복수의 콘택(16)의 각각은, 동축 케이블(12)의 중심 도체(20)에 접속되는 케이블 접속부(28)와, 케이블 접속부(28)에 이어져, 하우징(13)의 부분(13a)에 있어서의 플러그 커넥터(11)의 하면측에 배치되는 수압 접촉부(29)와, 수압 접촉부(29)로부터 플러그 커넥터(11)의 상면측에 밀착한 상태로 접혀서 뻗어있는 수압 접촉부(30)를 가지고 있다.
콘택(16)에 있어서의 수압 접촉부(29)에는, 후술되는 리셉터클 커넥터의 콘택이 맞닿음 접촉하게 되는 오목부(29a)가 형성되어 있다. 또, 콘택(16)에 있어서의 수압 접촉부(29)가 배치된 하우징(13)의 부분(13a)에는, 수압 접촉부(29)에 형성된 오목부(29a)에 대응하는 부위에 투공(14)이 형성되어 있다. 이 투공(14)은 복수의 콘택(16)을 하우징(13)에 대해서 인서트 성형에 의해 배치함에 즈음하여, 각 콘택(16)을 위치 결정하기 위한 핀이 통과하는 구멍이고, 수압 접촉부(29)에 형성된 오목부(29a)에 대응하는 부위에 형성되는 것으로 됨으로써, 각 콘택(16)의 위치 결정이 적정하게 행해진다.
또한, 중심 도체(20)에 콘택(15)의 케이블 접속부(25) 또는 콘택(16)의 케이블 접속부(28)가 접속되는 복수의 동축 케이블(12)의 각각의 외측 도체(22)는, 한 쌍의 그라운드 바(ground bar)(24)를 개재하여 플러그측 도전 커버(18)에 접속된다.
상술과 같이 구성되는 플러그 커넥터(11)의 접속 끼워맞춤부(17)는, 상하 방향에 있어서 상호 대향하는 2개의 면인 상면과 하면을 가지고 있고, 상면에 복수의 콘택(15)의 각각에 있어서의 수압 접촉부(26)와 복수의 콘택(16)의 각각에 있어서의 수압 접촉부(30)가 배치되어 있음과 아울러, 하면에 복수의 콘택(15)의 각각에 있어서의 수압 접촉부(27)와 복수의 콘택(16)의 각각에 있어서의 수압 접촉부(29)가 배치되어 있게 된다.
그리고, 복수의 콘택(15)과 복수의 콘택(16)이 교대로 배열 배치되는 접속 끼워맞춤부(17)에 있어서, 복수의 콘택(15)의 각각이 상면측으로부터 하면측으로 접히는 것으로 되고, 복수의 콘택(16)의 각각이 하면측으로부터 상면측으로 접히는 것으로 되어 있으므로, 접속 끼워맞춤부(17)에 있어서의 상면측과 하면측에 있어서, 하우징(13)의 부분(13a)을 형성하는 합성 수지 등의 절연 재료에 의해 형성되는 면이 균형 있게 배치되게 되어, 접속 끼워맞춤부(17)가 적정하게 성형되어 있고, 성형 후에 있어서의 뒤틀림 등을 일으키기 어려운 것으로 되어 있게 된다.
도 6(정면측에서 본 사시도), 도 7(배면측에서 본 사시도), 도 8(평면도) 및 도 9(정면도)는, 본 발명에 관계되는 커넥터 장치의 일례를 구성하는 리셉터클 커넥터(receptacle connector)를 나타낸다.
도 6, 도 7, 도 8 및 도 9에는 본 발명에 관계되는 커넥터 장치의 일례를 구성하는 리셉터클 커넥터(31)가 도시되어 있고, 도 9는 리셉터클 커넥터(31)의 정면을 나타내고 있다. 이하에 있어서는, 도 9에 도시되는 리셉터클 커넥터(31)의 정면의 반대측을 배면으로 하고, 또 도 9에 도시되는 리셉터클 커넥터(31)의 정면을 향해 상측, 하측, 좌측 및 우측을 각각 상, 하, 좌 및 우로 한다.
도 6~도 9에 도시되는 리셉터클 커넥터(31)는 합성 수지 등의 절연 재료에 의해 형성된 하우징(housing)(32)을 구비하고 있다. 하우징(32)에는 정면측 단면부에 전술의 플러그 커넥터(11)의 접속 끼워맞춤부(17)가 삽입되는 끼워맞춤구부(33)가 설치되어 있고, 끼워맞춤구부(33)로부터 하우징(32)의 내부로 접속 끼워맞춤부 수용 공간이 뻗어있다. 하우징(32)은, 예를 들면, 도시되어 있지 않은 배선 기판에 배치되고, 그에 의해 리셉터클 커넥터(31)의 전체가 배선 기판에 부착된 것으로 된다.
하우징(32)에는 그 길이 방향(리셉터클 커넥터(31)의 길이 방향(좌우 방향))을 따라, 각각이 도전 재료로 형성된 복수의 콘택(34)과 복수의 콘택(35)이 교대로 배열 배치되어 설치되고 있다. 이들 콘택(34) 및 콘택(35)은 전체로 복수의 리셉터클측 콘택을 형성하고 있다. 즉, 하우징(32)에 배열 배치된 복수의 리셉터클측 콘택이 복수의 콘택(34)과 복수의 콘택(35)을 포함하는 것으로 되어 있는 것이다.
복수의 콘택(34)과 복수의 콘택(35)을 포함한 복수의 리셉터클측 콘택은, 플러그 커넥터(11)의 접속 끼워맞춤부(17)가 하우징(32)에 설치된 끼워맞춤구부(33)를 통하여 하우징(32)에 삽입될 때, 하우징(32)에 삽입된 플러그 커넥터(11)의 접속 끼워맞춤부(17)에 있어서의 복수의 플러그측 콘택에 각각 누름 접촉한다. 그 때 복수의 리셉터클측 콘택에 포함되는 복수의 콘택(34)이, 복수의 플러그측 콘택에 포함되는 복수의 콘택(15)에 각각 누름 접촉함과 아울러, 복수의 리셉터클측 콘택에 포함되는 복수의 콘택(35)이, 복수의 플러그측 콘택에 포함되는 복수의 콘택(16)에 각각 누름 접촉한다. 이에 의해, 하우징(32)에 삽입된 플러그 커넥터(11)의 접속 끼워맞춤부(17)에 있어서의 복수의 플러그측 콘택이, 복수의 리셉터클측 콘택을 개재하여, 리셉터클 커넥터(31)가 배치된 배선 기판에 설치된 신호 단자부에 연결된다.
또, 리셉터클 커넥터(31)는 하우징(32)의 정면측 단면부에 있어서의 끼워맞춤구부(33)의 주위 부분, 배면측 단면부 및 그 근방 부분, 좌우 방향의 양 측면부의 일부분 및 하면부의 일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을 덮는 도전성 쉘(shell)(36)을 구비하고 있다. 즉, 도전성 쉘(36)은 하우징(32)을 부분적으로 덮고 있는 것이다. 이 도전성 쉘(36)은 금속판이 가공 성형되어 구성되어 있고, 예를 들면, 복수의 리셉터클측 콘택에 대한 특성 임피던스(impedance) 조정에 공헌하기 위해, 또 리셉터클 커넥터(31)에 대한 외부로부터의 전자파 노이즈(noise) 대책을 위해, 즉 리셉터클 커넥터(31)에 있어서의 외부로부터의 전자파 노이즈에 대한 쉴드(shield) 효과를 얻기 위한 것으로서 구비되어 있다.
도전성 쉘(36)에는 그 길이 방향(리셉터클 커넥터(31)의 길이 방향(좌우 방향))에 있어서의 양단부에 복수의 기판 부착부(37)가 설치되어 있다. 이들 기판 부착부(37)는 리셉터클 커넥터(31)의 전체가 배선 기판에 부착될 때, 당해 배선 기판에 예를 들면 납땜에 의해 고착된다. 또, 도전성 쉘(36)에는 복수의 그라운드(ground) 접속부(38)도 설치되어 있고, 이들 그라운드 접속부(38)도 리셉터클 커넥터(31)의 전체가 배선 기판에 부착될 때, 당해 배선 기판에 있어서의 그라운드용 회로에 접속된다.
도 8에 있어서의 X-X선 단면을 나타내는 도 10에 도시되듯이, 복수의 리셉터클측 콘택에 포함되는 복수의 콘택(34)의 각각은, 두 갈래부를 이루는 한 쌍의 상암부(41) 및 하암부(42)를 가지고 있다. 상암부(41)에는 그 선단 부분에 접점부(43)가 형성되어 있고, 또 하암부(42)에는 그 중간 부분에 접점부(44)가 형성되어 있음과 아울러, 접점부(44)를 사이에 두는 양단 부분에 접속 단자부(45)와 하우징(32)에 의해 보지(保持)되는 걸림부(46)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하우징(32)에 있어서의 끼워맞춤구부(33)가 설치된 정면측 단면부(도 10에 있어서는 부호 32a가 붙여져 도시되어 있다)로부터 접점부(43)까지의 거리 L1이, 하우징(32)에 있어서의 끼워맞춤구부(33)가 설치된 정면측 단면부(32a)로부터 접점부(44)까지의 거리 L2보다 작게 되어 있다. 즉, 상암부(41)의 선단 부분에 형성된 접점부(43)보다 하암부(42)의 중간 부분에 형성된 접점부(44) 쪽이, 하우징(32)에 있어서의 끼워맞춤구부(33)가 설치된 정면측 단면부(32a)로부터 먼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것이다.
이러한 복수의 콘택(34)의 각각은, 예를 들면, 탄성을 가진 도전성 판상 부재에 펀칭(punching) 가공이 이루어져 형성된다. 그리고, 상암부(41)의 탄성 변형 허용량은 하암부(42)의 탄성 변형 허용량보다 크게 되어 있고, 그에 의해 접점부(43)의 탄성 변위량이 접점부(44)의 탄성 변위량보다 크게 되어 있다. 또, 하암부(42)의 일단 부분에 형성된 접속 단자부(45)는, 리셉터클 커넥터(31)의 전체가 배선 기판에 부착될 때, 당해 배선 기판에 있어서의 단자부에 예를 들면 납땜되어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또, 도 8에 있어서의 XI-XI선 단면을 나타내는 도 11에 도시되듯이, 복수의 리셉터클측 콘택에 포함되는 복수의 콘택(35)의 각각도, 두 갈래부를 이루는 한 쌍의 상암부(47) 및 하암부(48)을 가지고 있다. 상암부(47)에는 그 선단 부분에 접점부(49)가 형성되어 있고, 또 하암부(48)에는 그 양단 부분에 접점부(50)와 접속 단자부(51)가 각각 형성되어 있음과 아울러, 중간 부분에 하우징(32)에 의해 보지되는 걸림부(52)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하우징(32)에 있어서의 끼워맞춤구부(33)가 설치된 정면측 단면부(도 11에 있어서도 부호 32a가 붙여져 도시되어 있다)로부터 접점부(49)까지의 거리 L3이, 하우징(32)에 있어서의 끼워맞춤구부(33)가 설치된 정면측 단면부(32a)로부터 접점부(50)까지의 거리 L4보다 크게 되어 있다. 즉, 상암부(47)의 선단 부분에 형성된 접점부(49) 쪽이, 하암부(48)의 일단 부분에 형성된 접점부(50)보다, 하우징(32)에 있어서의 끼워맞춤구부(33)가 설치된 정면측 단면부(32a)로부터 먼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것이다.
이러한 복수의 콘택(35)의 각각도, 예를 들면, 탄성을 가진 도전성 판상 부재에 펀칭 가공이 이루어져 형성된다. 그리고, 하암부(48)의 탄성 변형 허용량은 상암부(47)의 탄성 변형 허용량보다 크게 되어 있고, 그에 의해 접점부(50)의 탄성 변위량이 접점부(49)의 탄성 변위량보다 크게 되어 있다. 또, 하암부(48)의 타단 부분에 형성된 접속 단자부(51)는, 리셉터클 커넥터(31)의 전체가 배선 기판에 부착될 때, 당해 배선 기판에 있어서의 단자부에 예를 들면 납땜되어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도 12 및 도 13은, 플러그 커넥터(11)의 접속 끼워맞춤부(17)가, 리셉터클 커넥터(31)의 하우징(32)에 설치된 끼워맞춤구부(33)를 통하여 하우징(32)에 삽입되어, 플러그 커넥터(11)와 리셉터클 커넥터(31)가 상호 끼워맞춤 상태에 놓인, 본 발명에 관계되는 커넥터 장치의 일례를 나타낸다.
플러그 커넥터(11)의 접속 끼워맞춤부(17)가 리셉터클 커넥터(31)의 하우징(32)에 설치된 끼워맞춤구부(33)를 통하여 하우징(32)에 삽입된 상태에 있어서는, 도 12에 도시되듯이, 플러그 커넥터(11)의 접속 끼워맞춤부(17)가, 리셉터클 커넥터(31)에 있어서의 복수의 콘택(34)의 각각이 가지는 두 갈래부를 이루는 한 쌍의 상암부(41) 및 하암부(42)에 의해 끼이는 상태에 놓인다.
그리고, 플러그 커넥터(11)의 접속 끼워맞춤부(17)의 상면측에 있어서, 복수의 콘택(15)의 각각의 수압(受壓) 접촉부(26)에, 그것에 형성된 오목부(26a)의 부위에 있어서, 대응하는 콘택(34)에 있어서의 상암부(41)에 형성된 접점부(43)가 눌려 맞닿음과 아울러, 플러그 커넥터(11)의 접속 끼워맞춤부(17)의 하면측에 있어서, 복수의 콘택(15)의 각각에 있어서의 수압 접촉부(27)에, 대응하는 콘택(34)에 있어서의 하암부(42)에 형성된 접점부(44)가 눌려 맞닿는다. 그 때 각 콘택(15)에 대해서, 접속 끼워맞춤부(17)의 상면측에 있어서 접점부(43)가 수압 접촉부(26)에 눌려 맞닿는 위치, 즉 수압 접촉부(26)에 형성된 오목부(26a) 내의 위치와, 접속 끼워맞춤부(17)의 하면측에 있어서 접점부(44)가 수압 접촉부(27)에 눌려 맞닿는 위치는, 콘택(15)이 뻗어있는 방향에 있어서 서로 이격되어 있다.
이에 의해 각 콘택(15)에 있어서, 접점부(43)가 접속 끼워맞춤부(17)의 상면측으로부터 누르는 힘을 미치게 하는 부위와 접점부(44)가 접속 끼워맞춤부(17)의 하면측으로부터 누르는 힘을 미치게 하는 부위가 서로 이격되어 있게 되고, 그 결과 각 콘택(15)에 맞닿는 콘택(34)에 의한 누르는 힘이, 당해 콘택(15)에 있어서의 1개소에 집중적으로 작용하는 사태가 회피된다.
또, 플러그 커넥터(11)의 접속 끼워맞춤부(17)가 리셉터클 커넥터(31)의 하우징(32)에 설치된 끼워맞춤구부(33)를 통하여 하우징(32)에 삽입된 상태에 있어서는, 도 13에 도시되듯이, 플러그 커넥터(11)의 접속 끼워맞춤부(17)가, 리셉터클 커넥터(31)에 있어서의 복수의 콘택(35)의 각각이 가지는 두 갈래부를 이루는 한 쌍의 상암부(47) 및 하암부(48)에 의해서도 끼이는 상태에 놓인다.
그리고, 플러그 커넥터(11)의 접속 끼워맞춤부(17)의 하면측에 있어서, 복수의 콘택(16)의 각각의 수압 접촉부(29)에, 그것에 형성된 오목부(29a)의 부위에 있어서, 대응하는 콘택(35)에 있어서의 하암부(48)에 형성된 접점부(50)가 눌려 맞닿음과 아울러, 플러그 커넥터(11)의 접속 끼워맞춤부(17)의 상면측에 있어서, 복수의 콘택(16)의 각각에 있어서의 수압 접촉부(30)에, 대응하는 콘택(35)에 있어서의 상암부(47)에 형성된 접점부(49)가 눌려 맞닿는다. 그 때 각 콘택(16)에 대해서, 접속 끼워맞춤부(17)의 하면측에 있어서 접점부(50)가 수압 접촉부(29)에 맞닿는 위치, 즉 수압 접촉부(29)에 형성된 오목부(29a) 내의 위치와, 접속 끼워맞춤부(17)의 상면측에 있어서 접점부(49)가 수압 접촉부(30)에 맞닿는 위치는, 콘택(16)이 뻗어있는 방향에 있어서 서로 이격되어 있다.
이에 의해 각 콘택(16)에 있어서, 접점부(50)가 접속 끼워맞춤부(17)의 하면측으로부터 누르는 힘을 미치게 하는 부위와 접점부(49)가 접속 끼워맞춤부(17)의 상면측으로부터 누르는 힘을 미치게 하는 부위가 서로 이격되어 있게 되고, 그 결과 각 콘택(16)에 맞닿는 콘택(35)에 의한 누르는 힘이, 당해 콘택(16)에 있어서의 1개소에 집중적으로 작용하는 사태가 회피된다.
또, 콘택(34)에 있어서, 접속 끼워맞춤부(17)에 상면측으로부터 누르는 힘을 작용시키는 접점부(43)의 탄성 변위량이, 접속 끼워맞춤부(17)에 하면측으로부터 누르는 힘을 작용시키는 접점부(44)의 탄성 변위량보다 크게 되어 있고, 콘택(35)에 있어서, 접속 끼워맞춤부(17)에 하면측으로부터 누르는 힘을 작용시키는 접점부(50)의 탄성 변위량이, 접속 끼워맞춤부(17)에 상면측으로부터 누르는 힘을 작용시키는 접점부(49)의 탄성 변위량보다 크게 되어 있음으로써, 접속 끼워맞춤부(17)가 상면측으로부터 받는 콘택(34 및 35)에 의한 누르는 힘과, 접속 끼워맞춤부(17)가 하면측으로부터 받는 콘택(34 및 35)에 의한 누르는 힘이 균형을 이루게 된다.
상술과 같이, 본 발명에 관계되는 커넥터 장치의 일례에 있어서는, 각 콘택(15)에 그것에 대응하는 콘택(34)이 눌려 맞닿음과 아울러, 각 콘택(16)에 그것에 대응하는 콘택(35)이 눌려 맞닿을 때에, 각 콘택(15)에 맞닿는 콘택(34)에 의한 누르는 힘이, 당해 콘택(15)에 있어서의 1개소에 집중적으로 작용하는 사태가 회피됨과 아울러, 각 콘택(16)에 맞닿는 콘택(35)에 의한 누르는 힘이, 당해 콘택(16)에 있어서의 1개소에 집중적으로 작용하는 사태가 회피됨으로써, 플러그 커넥터(11)의 접속 끼워맞춤부(17)가 박형화된 상태에 있어서도, 복수의 콘택(34 및 35)을, 당해 플러그 커넥터(11)의 접속 끼워맞춤부(17)에 설치된 복수의 콘택(15 및 16)에 각각 확실히 접속시킬 수가 있음과 아울러, 복수의 콘택(34 및 35)이 복수의 콘택(15 및 16)에 접속된 상태에서, 당해 플러그 커넥터(11)의 접속 끼워맞춤부(17)를 소망하지 않는 변동이나 변형을 일으키게 하지 않고 안정하게 보지(保持)할 수가 있다.
특히, 플러그 커넥터(11)의 접속 끼워맞춤부(17)에 있어서, 복수의 콘택(15)과 복수의 콘택(16)이 교대로 배열 배치되어 있고, 그것에 대응하여, 리셉터클 커넥터(31)에 있어서, 복수의 콘택(34)과 복수의 콘택(35)이 교대로 배열 배치되어 있음으로써, 복수의 콘택(34 및 35)을, 당해 플러그 커넥터(11)의 접속 끼워맞춤부(17)에 설치된 복수의 콘택(15 및 16)에 각각 확실히 접속시킬 수가 있음과 아울러, 복수의 콘택(34 및 35)이 복수의 콘택(15 및 16)에 접속된 상태에서, 당해 플러그 커넥터(11)의 접속 끼워맞춤부(17)를 소망하지 않는 변동이나 변형을 일으키게 하지 않고 안정하게 보지할 수가 있는 상태가 한층 더 효과적으로 얻어진다.
또, 플러그 커넥터(11)의 접속 끼워맞춤부(17)에 배치되는 복수의 플러그측 콘택이, 그들의 배열 방향에 있어서 교대로 배치되는 복수의 콘택(15)과 복수의 콘택(16)을 포함하고, 복수의 콘택(15)의 각각이, 그것에 대응하는 리셉터클 커넥터(31)에 있어서의 콘택(34)이 가지는 접점부(43)가 눌려 맞닿는 수압 접촉부(26)와, 그것으로부터 접혀서 뻗어있고 콘택(34)의 접점부(44)가 눌려 맞닿는 수압 접촉부(27)를 가지는 것으로 됨과 아울러, 복수의 콘택(16)의 각각이, 그것에 대응하는 리셉터클 커넥터(31)에 있어서의 콘택(35)이 가지는 접점부(50)가 눌려 맞닿는 수압 접촉부(29)와, 그것으로부터 접혀서 뻗어있고 콘택(35)의 접점부(49)가 눌려 맞닿는 수압 접촉부(30)를 가지는 것으로 되고, 그에 더하여, 콘택(15)에 있어서의 수압 접촉부(26)의 선단 부분 및 콘택(16)에 있어서의 수압 접촉부(29)의 선단 부분이, 플러그 커넥터(11)의 접속 끼워맞춤부(17)를 형성하는 절연 부재에 둘러싸여 배치되므로, 플러그 커넥터(11)의 접속 끼워맞춤부(17)에 대해서, 그것을 구성하는 절연 부재와 플러그측 콘택의 상호 밀착성이 충분히 얻어지는 상태에서, 그 박형화를 효과적으로 도모할 수가 있게 된다.
또한, 각 콘택(15)에 그것에 대응하는 콘택(34)이 눌려 맞닿음과 아울러, 각 콘택(16)에 그것에 대응하는 콘택(35)이 눌려 맞닿는데 즈음하여, 콘택(34)이 가지는 상암(41)에 형성된 접점부(43)가, 콘택(15)의 수압 접촉부(26)에, 그것에 형성된 오목부(26a)에 있어서 눌려 맞닿고, 또 콘택(35)이 가지는 하암(48)에 형성된 접점부(50)가, 콘택(16)의 수압 접촉부(29)에, 그것에 형성된 오목부(29a)에 있어서 눌려 맞닿으므로, 플러그 커넥터(11)의 접속 끼워맞춤부(17)가 리셉터클 커넥터(31)의 하우징(32)에 끼워맞춤구부(33)를 통하여 삽입되는데 즈음해서의 클릭(click)감이 얻어지고, 또 플러그 커넥터(11)의 접속 끼워맞춤부(17)가 리셉터클 커넥터(31)의 하우징(32)로부터 뽑히는데 즈음해서의 저항감이 얻어진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관계되는 커넥터 장치는, 복수의 케이블이 장착되는 플러그 커넥터와 그 플러그 커넥터의 접속 끼워맞춤부의 삽입이 이루어지는 끼워맞춤구부가 설치된 리셉터클 커넥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커넥터 장치로서, 리셉터클 커넥터에 설치되는 복수의 리셉터클측 콘택을, 플러그 커넥터의 접속 끼워맞춤부가 박형화된 상태에 있어서도, 그 플러그 커넥터의 접속 끼워맞춤부에 설치된 복수의 플러그측 콘택에 확실히 접속할 수가 있음과 아울러, 복수의 리셉터클측 콘택이 복수의 플러그측 콘택에 접속된 상태에서, 당해 플러그 커넥터의 접속 끼워맞춤부를 소망하지 않는 변동이나 변형을 일으키게 하지 않고 안정하게 보지할 수가 있고, 또한 플러그 커넥터의 접속 끼워맞춤부에 대해서, 그것을 구성하는 절연 부재와 플러그측 콘택의 상호 밀착성이 충분히 얻어지는 상태에서의 박형화를 도모할 수가 있는 것으로서, 여러 가지 전자 기기 등에 널리 적용될 수 있는 것이다.
11: 플러그 커넥터(plug connector)
12: 동축 케이블(coaxial cable) 13, 32: 하우징(housing)
13a: 하우징(13)의 부분 14: 투공
15, 16, 34, 35: 콘택(contact) 17: 접속 끼워맞춤부
18: 플러그측 도전 커버(cover) 20: 중심 도체(신호 도체)
21: 절연층 22: 외측 도체(접지 도체)
23: 절연 피복 24: 그라운드 바(ground bar)
25, 28: 케이블 접속부 26, 27, 29, 30: 수압(受壓) 접촉부
26a, 29a: 오목부
31: 리셉터클 커넥터(receptacle connector)
32a: 정면측 단면부 33: 끼워맞춤구부
36: 도전성 쉘(shell) 37: 기판 부착부
41, 47: 상암부 42, 48: 하암부
43, 44, 49, 50: 접점부 45, 51: 접속 단자부
46, 52: 걸림부

Claims (6)

  1. 복수의 케이블이 연결되는 복수의 플러그측 콘택이 배열 배치된 접속 끼워맞춤부를 구비하는 플러그 커넥터와,
    당해 플러그 커넥터의 접속 끼워맞춤부가 삽입되는 끼워맞춤구부가 일단면부에 설치된 하우징, 및 당해 하우징에 배열 배치되고, 상기 끼워맞춤구부를 통하여 상기 하우징에 삽입된 상기 플러그 커넥터의 접속 끼워맞춤부에 배치된 복수의 플러그측 콘택에 각각 누름 접촉하는, 복수의 리셉터클측 콘택을 구비하는 리셉터클 커넥터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복수의 리셉터클측 콘택이, 복수의 제1의 콘택과 복수의 제2의 콘택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제1의 콘택의 각각이, 상기 끼워맞춤구부를 통하여 상기 하우징에 삽입된 상기 플러그 커넥터의 접속 끼워맞춤부를 끼워넣는 제1 및 제2의 접점부를 가지고, 당해 제1 및 제2의 접점부가, 상기 하우징의 일단면부로부터 상기 제1의 접점부까지의 거리가 상기 하우징의 일단면부로부터 상기 제2의 접점부까지의 거리보다 작게 되는 상태에서, 상기 플러그 커넥터의 접속 끼워맞춤부에 있어서의 상호 대향하는 제1 및 제2의 면 중의 제1의 면측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측 콘택에 상기 제1의 접점부가 맞닿음과 아울러 상기 제1 및 제2의 면 중의 제2의 면측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측 콘택에 상기 제2의 접점부가 맞닿는 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복수의 제2의 콘택의 각각이, 상기 끼워맞춤구부를 통하여 상기 하우징에 삽입된 상기 플러그 커넥터의 접속 끼워맞춤부를 끼워넣는 제3 및 제4의 접점부를 가지고, 당해 제3 및 제4의 접점부가, 상기 하우징의 일단면부로부터 상기 제3의 접점부까지의 거리가 상기 하우징의 일단면부로부터 상기 제4의 접점부까지의 거리보다 크게 되는 상태에서, 상기 플러그 커넥터의 접속 끼워맞춤부에 있어서의 상호 대향하는 제1 및 제2의 면 중의 제1의 면측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측 콘택에 상기 제3의 접점부가 맞닿음과 아울러 상기 제1 및 제2의 면 중의 제2의 면측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측 콘택에 상기 제4의 접점부가 맞닿는 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복수의 플러그측 콘택이, 복수의 제3의 콘택과 복수의 제4의 콘택을 포함하고,
    상기 제3의 콘택의 각각이, 상기 케이블에 접속되는 케이블 접속부, 상기 제1의 콘택의 제1 및 제2의 접점부 중의 일방이 누름 접촉하는 제1의 수압 접촉부, 및 당해 제1의 수압 접촉부로부터 접혀서 상기 제1의 수압 접촉부에 밀착한 상태로 뻗어있고, 상기 제1의 콘택의 제1 및 제2의 접점부 중의 타방이 누름 접촉하는 제2의 수압 접촉부를 가지고, 상기 제4의 콘택의 각각이, 상기 케이블에 접속되는 케이블 접속부, 상기 제2의 콘택의 제3 및 제4의 접점부 중의 일방이 누름 접촉하는 제3의 수압 접촉부, 및 당해 제3의 수압 접촉부로부터 접혀서 상기 제3의 수압 접촉부에 밀착한 상태로 뻗어있고, 상기 제2의 콘택의 제3 및 제4의 접점부 중의 타방이 누름 접촉하는 제4의 수압 접촉부를 가지고,
    상기 제3의 콘택에 있어서의 상기 제2의 수압 접촉부의 상기 제1의 수압 접촉부로부터의 접힘의 방향과, 상기 제4의 콘택에 있어서의 상기 제4의 수압 접촉부의 상기 제3의 수압 접촉부로부터의 접힘의 방향이 서로 역방향으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1의 콘택의 각각이, 두 갈래부를 이루는 제1암부와 제2암부를 가지고, 상기 제1암부에 상기 제1접점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2암부에 상기 제2접점부가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제1암부 및 상기 제2암부 중의 일방에 연장 설치된 부분에 접속 단자부가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제2의 콘택의 각각이, 두 갈래부를 이루는 제3암부와 제4암부를 가지고, 상기 제3암부에 상기 제3접점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4암부에 상기 제4접점부가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제3암부 및 상기 제4암부 중의 일방에 연장 설치된 부분에 접속 단자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1의 콘택과 상기 복수의 제2의 콘택이, 상기 복수의 리셉터클측 콘택의 배열 방향에 있어서 교대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장치.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의 제3의 콘택에 있어서의 상기 제1의 수압 접촉부에, 상기 제1의 콘택의 제1 및 제2의 접점부 중의 일방이 맞닿는 부위의 주위에 오목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4의 콘택에 있어서의 상기 제3의 수압 접촉부에, 상기 제2의 콘택의 제3 및 제4의 접점부 중의 일방이 맞닿는 부위의 주위에 오목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장치.
KR1020100129562A 2010-01-21 2010-12-17 커넥터 장치 KR10119699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0-011075 2010-01-21
JP2010011075A JP5077363B2 (ja) 2010-01-21 2010-01-21 コネクタ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85862A KR20110085862A (ko) 2011-07-27
KR101196993B1 true KR101196993B1 (ko) 2012-11-02

Family

ID=437784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29562A KR101196993B1 (ko) 2010-01-21 2010-12-17 커넥터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8007325B2 (ko)
EP (1) EP2348583B1 (ko)
JP (1) JP5077363B2 (ko)
KR (1) KR101196993B1 (ko)
CN (1) CN102157826B (ko)
TW (1) TWI398047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851186B2 (ja) * 2011-10-04 2016-02-03 日本圧着端子製造株式会社 コンタクトおよび電気コネクタ
JP6152349B2 (ja) * 2014-01-10 2017-06-21 イリソ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用キャップ
JP2015185469A (ja) * 2014-03-25 2015-10-22 Smk株式会社 ジャック
CN108616015B (zh) * 2016-12-12 2020-04-24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电连接器及其组件
JP6741040B2 (ja) * 2018-05-10 2020-08-19 第一精工株式会社 ケーブルコネクタ装置
JP6512359B1 (ja) * 2018-10-30 2019-05-15 ミツミ電機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および電子デバイス
US11056832B2 (en) 2018-10-30 2021-07-06 Mitsumi Electric Co., Ltd. Electrical connector and electronic device
CN109904659B (zh) * 2019-03-19 2020-09-29 番禺得意精密电子工业有限公司 端子组合及电连接器组件
US11297713B2 (en) * 2020-01-23 2022-04-05 Super Micro Computer, Inc. Reference metal layer for setting the impedance of metal contacts of a connector
JP7404142B2 (ja) * 2020-04-17 2023-12-25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ハーネス及びコネクタ組立体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1818Y2 (ko) * 1985-11-05 1990-01-17
JP2001143797A (ja) * 1999-11-17 2001-05-25 Kel Corp ケーブルコネクタ
JP3477639B2 (ja) * 2000-04-26 2003-12-10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ケーブル用コネクタ
JP2004319349A (ja) * 2003-04-18 2004-11-11 Molex Inc Fpc用コネクタ
JP4297825B2 (ja) * 2003-11-04 2009-07-15 モレッ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ド ケーブルコネクタ
JP4391975B2 (ja) * 2005-09-08 2009-12-24 ヒロセ電機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
TWI307982B (en) * 2006-01-20 2009-03-21 Hon Hai Prec Ind Co Ltd Electrical connec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157826A (zh) 2011-08-17
TWI398047B (zh) 2013-06-01
EP2348583A3 (en) 2012-02-15
US20110177721A1 (en) 2011-07-21
EP2348583B1 (en) 2015-10-28
CN102157826B (zh) 2013-08-21
TW201145696A (en) 2011-12-16
JP5077363B2 (ja) 2012-11-21
EP2348583A2 (en) 2011-07-27
JP2011150890A (ja) 2011-08-04
US8007325B2 (en) 2011-08-30
KR20110085862A (ko) 2011-07-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96993B1 (ko) 커넥터 장치
KR101471283B1 (ko) 커넥터 장치
US7166803B2 (en) Parallel-transmission flat cable equipped with connector unit
JP4364265B2 (ja) コネクタ及びそれを備えた電子機器
JP5717567B2 (ja) ケーブルアッセンブリ、コネクタ及び半導体試験装置
US9595793B2 (en) Electric connector having a retaining member with a cover in electrical contact with a shell of a mating connector
EP2365588A1 (en) Electrical connector
US10985504B2 (en) Electrical connector and connector device
KR20080034853A (ko) 전기 상호 연결 시스템
US10177477B2 (en) Connector and connector assembly
US9166305B2 (en) Coaxial electric connector
GB2325793A (en) Electrical connector
JP6784580B2 (ja) 抜け防止構造を備えたコネクタ装置
JP2007317554A (ja) コネクタ及びコネクタシステム
US9502834B2 (en) Coaxial-type electric connector
JP5110271B2 (ja) コネクタ装置
US9225135B2 (en) Contact impedance adjusting method, contact, and connector having the same
CN109755782B (zh) 连接器装置
JPWO2020162548A1 (ja) 電気コネクタおよび該電気コネクタの検査方法
JP5218786B2 (ja) コネクタ装置
JP5549072B2 (ja) 回路基板内蔵コネクタ
TWI472101B (zh) 連接器裝置
JP7330051B2 (ja) コネクタ及びワイヤーハーネス
JP6834739B2 (ja) コネクタ装置
US20230077720A1 (en) Ground structure for a cable card assembly of an electrical connec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07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