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31361B1 - 케라틴 펩타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모발 및 두피용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케라틴 펩타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모발 및 두피용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31361B1
KR102131361B1 KR1020170143971A KR20170143971A KR102131361B1 KR 102131361 B1 KR102131361 B1 KR 102131361B1 KR 1020170143971 A KR1020170143971 A KR 1020170143971A KR 20170143971 A KR20170143971 A KR 20170143971A KR 102131361 B1 KR102131361 B1 KR 1021313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ir
scalp
keratin
cosmetic composition
comparative examp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439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48768A (ko
Inventor
남개원
경기열
맹지혜
류중모
신보윤
김태영
Original Assignee
서원대학교산학협력단
(주)에스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원대학교산학협력단, (주)에스보 filed Critical 서원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701439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31361B1/ko
Publication of KR201900487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487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313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313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4Proteins; Peptides; Derivatives or degradation products thereof
    • A61K8/65Collagen; Gelatin; Keratin; Derivatives or degradation produc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5/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hai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5/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hair
    • A61Q5/002Preparations for repairing the hair, e.g. hair cu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5/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hair
    • A61Q5/02Preparations for cleaning the hai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Cosmetics (AREA)
  • Peptides Or Proteins (AREA)

Abstract

케라틴 펩타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모발 및 두피용 화장료 조성물을 개시한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른 케라틴 펩타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모발 및 두피용 화장료 조성물은 두피의 수분량 개선, 수분증발량 감소, 유분량 감소, 두피의 발모효과 개선, 모발의 윤기개선 효과가 우수하므로, 모발 및 두피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케라틴 펩타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모발 및 두피용 화장료 조성물{COSMETIC COMPOSITION FOR HAIR AND SCALP COMPRISING KERATIN PEPTIDES AS ACTIVE INGREDIENTS}
본 발명은 케라틴 펩타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모발 및 두피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모발과 두피는 신체의 일부분으로서, 나이가 들어감에 따라 피부처럼 노화 현상이 나타나며, 노화가 진행됨에 따라 다양한 변화와 문제점들이 나타난다. 모발의 노화 정도는 머리카락 외부의 큐티클층이 얼마나 건강하냐에 따라 달라지며, 일반적으로 큐티클의 면적이 넓고 부드러우며 푸석하지 않고 촉촉한 모발을 좋은 모발이라고 한다.
이러한 모발 노화의 원인과 현상은 크게 다음의 세가지로 나타난다. 첫째, 모발 내부의 유, 수분 부족으로 인한 탄력 저하로 모발이 쉽게 끊어지고 탄력이 떨어진다. 둘째, 모발 내부의 유, 수분 부족으로 큐티클층이 들떠 정전기가 발생하고 모발 끝이 갈라지며 푸석해진다. 셋째, 모발 외부의 큐티클층이 손상되어 들뜨고 내부의 코텍스층이 파괴되어 모발이 건조해진다. 이러한 모발의 노화를 촉진하는 요인은 컬러링이나 퍼머, 과도한 드라이어의 사용, 자외선, 불균형적인 영양상태 및 스트레스 등이 있는데 이로 인해 손상되고 건조해져 수분, 부드러움 및 매끄러움 등의 특성이 저하되어 모발이 푸석푸석해지고 탄력이 떨어지게된다.
노화모발에 수분과 영양을 증진시키고 모발과 두피의 노화를 막고자 하는 시도가 계속되고 있으며, 이와 함께 그 효과에 대한 기대가 증대되고 있다. 이들에 있어 일반적으로 실리콘, 탄화수소류, 지방 에스테르 또는 이들의 조합물과 같은 컨디셔닝제를 이용하여 이러한 효과를 증진시키려 하고 있는데, 이와 같은 성분들은 모발에 침착되어 눅눅하고 기름진 사용감을 나타내고 모발의 손상회복 효과가 부족하여 약해지고 가늘어지는 모발에 보습과 영양을 효과적으로 제공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다.
케라틴(Keratin)은 머리털 손톱 피부 등 상피구조의 기본을 형성하는 단백질로서 각질이라 불리며 머리털 양털 깃털 뿔 손톱 말굽 등을 구성하는 진성 케라틴과 피부 신경조직 등에 존재하는 유사 케라틴으로 구별된다. 케라틴은 여러 종류의 아미노산이 펩타이드 결합을 통해 만들어진 단백질로서 씨스틴(약 14-18% 정도 포함)과 다른 단백질 분자에 포함된 씨스틴은 서로 이황 화결합을 만들게 된다.
케라틴은 물과 모든 중성용매에 녹지 않고 일반적인 단백질 분해효소에 작용되지 않으나 황화나트륨 티오글리콜산 과산화수소 알칼리 등에 의해 이황화 결합이 끊어진다. 케라틴은 2차구조가 다른 알파 케라틴(α-keratin)과 베타 케라틴(β-keratin)으로 나뉘며, 머리털이나 양털을 구성하며 불용성인 알파 케라틴은 알파 헬릭스 코일로 이루어지게된다. 머리털에 인장력을 가하거나 습기를 가하면 늘어나는 베타 케라틴은 모발에 보습과 영양을 효과적으로 제공하는 역할을 할 수 있어 모발용 샴푸 또는 트리트먼트와 같은 화장료 조성물로 사용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모발 및 두피용 화장료 조성물을 연구하던 중, 케라틴 펩타이드 분해 효소를 생산하는 균주를 통해 합성 케라틴 펩타이드가 아닌 천연 케라틴 펩타이드를 제조하여 모발 또는 두피용 화장료 조성물로 사용할 경우, 모발 및 두피 개선효과가 뛰어남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게되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모발 및 두피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전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케라틴 펩타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모발 및 두피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케라틴 펩타이드는 퍼비도박테리움 아이슬란디쿰(Fervidobacterium islandicum) AW-1을 배양하여 얻어진 것일 수 있다.
상기 퍼비도박테리움 아이슬란디쿰 AW-1은 닭털을 포함하는 배지에서 배양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케라틴 펩타이드는 분자량이 1 내지 10 kDa인 케라틴 펩타이드 및 분자량이 10 kDa를 초과하는 케라틴 펩타이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일 수 있다.
상기 케라틴 펩타이드는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001 내지 50 wt%로 포함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케라틴 펩타이드는 MMP-1(Matrix metalloproteinase-1)의 발현 저해능을 갖는 것일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샴푸, 에센스, 트리트먼트, 액상비누, 고형비누 또는 폼(form) 형태의 제형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른 케라틴 펩타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모발 및 두피용 화장료 조성물은 일반 두피 및 모발용 화장품 뿐만 아니라 실크 펩타이드를 함유하는 두피 및 모발용 화장품보다 두피의 수분량 개선, 수분증발량 감소, 유분량 감소, 두피의 발모효과 개선 및 모발의 윤기개선 효과가 우수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퍼비도박테리움 아이슬란디쿰(Fervidobacterium islandicum) AW-1을 이용하여 케라틴 펩타이드를 분리하는 과정을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제조한 케라틴 펩타이드의 단백질 전기영동 결과를 나타낸 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은 후술할 청구범위의 의해 정의될 뿐이다.
덧붙여, 본 발명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일측면은 케라틴 펩타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모발 및 두피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이때, 상기 케라틴 펩타이드는 퍼비도박테리움 아이슬란디쿰(Fervidobacterium islandicum) AW-1을 배양하여 얻어진 것일 수 있다.
상기 퍼비도박테리움 아이슬란디쿰(Fervidobacterium islandicum) AW-1(KFCC 11115)은 극한성 미생물로, 40 내지 80℃의 고온에서 생육되는 고도호열성 균이며, 닭의 깃털, 모발 등을 분해하는 효소를 생산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퍼비도박테리움 아이슬란디쿰 AW-1은 닭털을 포함하는 배지에서 배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닭털은 닭의 총중량의 5 내지 7%를 차지하는 절연체로서, 90% 이상이 자연계에 가장 풍부한 불용성 단백질인 케라틴(keratin)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케라틴은 시스테인 함량에 따라 연성 케라틴(soft keratin)과 경성 케라틴(hard keratin)으로 구분되는데, 연성 케라틴은 시스테인이 약 10 내지 14%로 이황화물(disulfide) 결합이 많은 머리카락, 손톱, 양털, 닭깃털 등에 포함되어 있다. 케라틴은 α-헬릭스(α-케라틴)나 β-쉬트(β-케라틴)의 구조가 서로 엉켜있어 단백질 사슬이 매우 단단하게 쌓여있으며, 폴리펩타이드 체인 사이에 수많은 이황화물 결합과 수소결합 및 소수성 상호작용이 존재하여 매우 안정하며, 단백질 분해 효소에 대한 저항성이 크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닭털로부터 케라틴 펩타이드를 분리하기 위하여 질소원으로 닭털을 포함하는 배지를 이용하여 배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질소원인 닭털은 배지에 5 내지 15g/L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8g/L로 포함될 수 있다. 그 함량이 전술한 범위내로 포함될 경우 혐기배양을 통한 케라틴 펩타이드 생산이 1 내지 2일 이내에 가능하게 되며, 적절한 크기의 기능성 케라틴 펩타이드를 얻는데 있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케라틴 펩타이드를 제조하는 방법의 일례로써, 하기 표 1과 같은 조성을 가지는 생육배지에 질소원으로 닭털 5 내지15g/L, 바람직하게는 8g/L를 첨가하고 70℃에서 퍼비도박테리움 아이슬란디쿰 AW-1을 혐기발효배양하여 얻어진 배양상등액을 여과한 다음, 상기 여과한 배양상등액을 10,000×g로 원심분리를 실시하여 균체를 침전시켜 회수하고, 여과한 후 농축하는 방법으로 케라틴 펩타이드를 제조할 수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 침전 또는 여과를 반복실시할 수도 있다.
배지성분 첨가량(g/L)
NaCl 2.0
CaCl2 2H2O 0.5
MgSO4 7H2O 0.5
MgCl2 6H2O 0.5
KH2PO4 0.5
K2HPO4 0.1
(NH4)2SO4 0.5
KCl 0.1
KBr 0.1
H3BO3 0.03
SrCl26H2O 0.03
Na2WO4 0.033mg
Na2SeO3 0.026mg
효모 추출물 1.0
닭털 8.0
Na2S(25%, w/v) 3ml/L
상술한 바와 같은 케라틴 펩타이드 제조과정을 통해 분자량이 서로 다른 케라틴 펩타이드를 얻을 수 있으며, 분자량 1kDa 미만인 케라틴 펩타이드 분자부터 10KDa를 초과하 케라틴 펩타이드 분자까지 다양한 분자량을 가지는 케라틴 펩타이드를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케라틴 펩타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모발 및 두피용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케라틴 펩타이드는 분자량이 1kDa 미만이거나, 분자량이 1 내지 10kDa이거나, 분자량이 10kDa을 초과하는 것을 사용할 수 있고, 이들의 혼합물을 사용할 수도 있다. 다만, 바람직하게는 상기 케라틴 펩타이드는 분자량이 1 내지 10 kDa인 케라틴 펩타이드 및 분자량이 10 kDa를 초과하는 케라틴 펩타이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케라틴 펩타이드는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001 내지 50 wt%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케라틴 펩타이드의 함량이 0.0001wt% 미만일 경우에는 유효성분으로서의 케라틴 펩타이드 함량이 너무 적어 두피 및 모발 개선 효과가 미비할 수 있으며, 50wt%를 초과할 경우에는 사용량 대비 효과 상승률이 낮아 비경제적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케라틴 펩타이드는 MMP-1(Matrix metalloproteinase-1)의 발현 저해능을 갖을 수 있다. MMP-1은 콜라겐을 분해하여 두피 및 모발의 노화를 촉진하는 효소로써, 본 발명에 따른 모발 및 두피용 화장료 조성물은 MMP-1의 발현 저해능을 갖는 케라틴 펩타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함으로써 두피 및 모발의 노화를 억제하는 효과를 가지게 된다.
나아가, 상기 모발 및 두피용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 케라틴 펩타이드 이외에 모발 및 두피용 화장료 조성물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항산화제, 안정화제, 용해화제, 비타민, 안료, 향료 등과 같은 통상적인 보조제 및 담체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화장료 조성물에는 글리세린, 부틸렌 글라이콜, 폴리옥시에칠렌 경화피마자유, 토코페릴 아세테이트, 시트릭산, 판테놀, 스쿠알란, 소듐 시트레이트, 알란토인 등의 보조성분이 추가로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모발 및 두피용 화장료 조성물은 기본적으로 모발 또는 두피에 도포되는 것이므로, 당업계의 모발 및 두피용 화장료 조성물을 참조하여 통상적으로 제조되는 어떠한 제형으로도 제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용액, 현탁액, 유탁액, 페이스트, 겔, 크림, 로션, 파우더, 비누, 계면활성제-함유 클린싱, 오일, 분말 파운데이션, 유탁액 파운데이션, 왁스 파운데이션 및 스프레이 등으로 제형화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보다 바람직하게,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샴푸, 에센스, 트리트먼트, 액상비누, 고형비누 또는 폼(form) 형태의 제형일 수 있다.
상기 모발 및 두피용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이 페이스트, 크림 또는 겔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 동물성유, 식물성유, 왁스, 파라핀, 전분, 트라칸트, 셀룰로오스 유도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실리콘, 벤토나이트, 실리카, 탈크, 산화아연 등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모발 및 두피용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이 파우더 또는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 락토스, 탈크, 실리카, 알루미늄히드록시드, 칼슘 실리케이트, 폴리아미드 파우더 등이 포함될 수 있고, 특히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추가적으로 클로로플루오로히드로카본, 프로판/부탄, 디메틸 에테르 등의 추진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모발 및 두피용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이 용액 또는 유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 용매, 용해화제, 유탁화제 등이 포함될 수 있고, 구체적으로 물,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에틸 카보네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벤질 알코올, 벤질 벤조에이트, 프로필렌글리콜, 1,3-부틸글리콜 오일, 글리세롤 지방족 에스테르, 폴리에틸렌 글리콜, 소르비탄의 지방산 에스테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모발 및 두피용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이 현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 물, 에탄올, 프로필렌글리콜 등의 액상 희석제; 에톡실화 이소스테아릴 알코올,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톨 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에스테르 등의 현탁제; 미소결정성 셀룰로오스, 알루미늄 메타히드록시드, 벤토나이트, 아가, 트라칸트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모발 및 두피용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이 계면-활성제 함유 클린징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지방족 알코올 설페이트, 지방족 알코올 에테르 설페이트, 설포숙신산 모노에스테르, 이세티오네이트, 이미다졸리늄 유도체, 메틸타우레이트, 사르코시네이트, 지방산 아미드 에테르 설페이트, 알킬아미도베타인, 지방족 알코올, 지방산 글리세리드, 지방산 디에탄올아미드, 식물성유, 라놀린유도체, 에톡실화 글리세롤 지방산 에스테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조예 1. 케라틴 펩타이드의 제조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케라틴 펩타이드 혼합물의 제조를 위해 닭털 분해 균주인 퍼비도박테리움 아이슬란디쿰(Fervidobacterium islandicum) AW-1을 질소원으로 닭털(8 g/L)을 첨가된 생육배지에 70℃에서 혐기배양하여 배양상등액(1.7 L)을 얻었다. 상기 배양상등액을 여과지(5㎛, No.20, Hyundai Micro, Korea)를 사용하여 분해된 닭털 찌거기를 일차적으로 걸러 낸 후, 4℃에서 20분간 10,000×g으로 원심분리하여 상층액을 회수하였다. 회수한 상층액을 실린지 필터(0.45㎛, Millipore, USA)를 사용하여 여과한 후, 최종적으로 단백질 농축기(Amicon stirred cell unit, Millipore, USA)와 10kDa, 1kDa M/W CO 필터를 사용하여 분자량이 1kDa 미만인 케라틴 펩타이드를 얻었다. 또한 분자량이 1~10KDa인 케라틴 펩타이드와, 10kDa를 초과하는 케라틴 펩타이드를 얻기 위하여 다시 원심분리하여 상층액만 회수하여 분자량이 1~10KDa이거나, 10kDa를 초과하는 케라틴 펩타이드를 얻었다. 상기 제조한 케라틴 펩타이드는 단백질 전기영동을 통하여 확인하여 도 2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1. 케라틴 펩타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샴푸 및 트리트먼트의 제조
실시예 1-1. 케라틴 펩타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샴푸의 제조
정제수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폴리쿼터늄-10(Polyquaternium-10) 0.3wt%, 소듐 라우로일 메틸아미노프로피오네이트(Sodium Lauroyl Methylaminopropionate) 9.0 wt%, 소듐 라우로일 사코시네이트(Sodium Lauroyl Sarcosinate) 8.0 wt%, 코카미도프로필 베타인(Cocamidopropyl Betaine) 9.0 wt%, 라우라미도프로필 베타인(Lauramidopropyl Betaine) 9.0 wt% 및 다이소듐 라우레스 설포숙시네이트(Disodium Laureth Sulfosuccinate) 4.0 wt%를 용해조에 첨가한 후, 70 ℃까지 가열하여 Disper Mixer로 교반하며 용해시켰다.
다음으로, 상기 용해조에 포타슘코코일글리시네이트(Potassium Cocoyl Glycinate) 3.0 wt%, 데실 글루코사이드(Decyl Glucoside) 2.0 wt%, PPG-5-세테스-10포스페이트(PPG-5-Ceteth-10Phosphate) 3.0 wt%, 코카마이드MEA(Cocamide MEA) 0.5 wt%, 글리세린(Glycerin) 5.0 wt%, PEG-40 하이드로제네이티드 캐스터 오일 PCA 이소스테아레이트(PEG-40 Hydrogenated Castor Oil PCA Isostearate) 2.0 wt%, 운데실레닉애씨드(Undecylenic Acid) 0.17 wt%, 향료(Fragrance) 0.5 wt%, 디소듐EDTA(Disodium EDTA) 0.5 wt% 및 제조예 1에서 제조된 케라틴 펩타이드 2 wt%를 첨가하여 교반시키며 혼합하였다.
상기 혼합액을 실온까지 냉각시켜 케라틴 펩타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샴푸를 수득하였다.
실시예 1-2. 케라틴 펩타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트리트먼트의 제조
정제수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디소듐 EDTA(Disodium EDTA) 0.05 wt%, 부틸렌 글라이콜(Butylene Glycol) 3 wt%, 페녹시에탄올(Phenoxyethanol) 0.5 wt%, 에틸 헥사디올/글리세릴 카프릴레이트(Ethyl Hexanediol/Glyceryl Caprylate) 0.5 wt%를 수상용해조에 넣고 70℃까지 가열하면서 Disper Mixer로 교반 용해하여 수상원료를 제조하였다.
다음으로, 정제수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세테아릴 알콜(Cetearyl Alcohol) 2.0 wt%, 글리세릴 스테아레이트(Glyceryl Stearate) 2.0 wt%, 글리세릴 스테아레이트/PEG-100 스테아레이트(Glyceryl Stearate/PEG-100 Stearate) 2.0 wt%, 디스테아릴다이모늄 클로라이드(Distearyldimonium Chloride) 0.6 wt%, 스테아라미도프로필 디메틸아민(Stearamidopropyl Dimethylamine) 0.6 wt%, 스테아라미드DEA(StearamideDEA) 2.0 wt%, 베헨트리모늄 클로라이드(Behentrimonium Chloride) 4.0 wt%, 카멜리아 자포니카 시드 오일(Camellia Japonica Seed Oil) 1.0 wt%, 마카다미아 넛 오일(Macademia Nut Oil) 2.0 wt%, PPG-5-세테스-10포스페이트(PPG-5-Ceteth-10Phosphate) 4.0 wt%, 시어버터(Butyrospermum Parkii (Shea) Butter) 1.0wt% 및 PEG-40 하이드로게네이티드 캐스터 오일(PEG-40 Hydrogenated Castor Oil) 1.0 wt%를 유상용해조에 넣고 70℃까지 가열하면서 Disper Mixer로 교반 용해하여 유상원료를 제조하였다.
다음으로, 상기 수상원료에 유상원료를 천천히 첨가하면서 Homo Mixer를 사용하여 5000rpm으로 5분 동안 유화시켰다.
다음으로, 상기 유화된 용액을 냉각수에 담그고 저어주면서 50℃까지 냉각시킨다음 향료(Fragrance) 0.5 wt%, 판테놀(Panthenol) 0.1 wt% 및 제조예 1에서 제조된 케라틴 펩타이드 0.5 wt%를 첨가하여 Homo Mixer로 5000rpm으로 3분 동안 교반시키며 유화하였다.
마지막으로 상기 유화된 용액을 냉각수에 담그고 교반시키며 실온까지 냉각시켜 케라틴 펩타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트리트먼트를 수득하였다.
실시예 2. 케라틴 펩타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에센스의 제조
정제수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디프로필렌 글라이콜(Dipropylene Glycol) 2 wt%, 부틸렌 글라이콜(Butylene Glycol) 3 wt%, 페녹시에탄올(Phenoxyethanol) 0.5 wt% 및 에틸 헥산디올/글리세릴 카프릴레이트(Ethyl Hexanediol/Glyceryl Caprylate) 0.5 wt%를 수상용해조에 넣고 70℃ 까지 가열하면서 Disper Mixer로 교반하여 용해시켜 수상원료를 제조하였다.
다음으로, 정제수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세테아릴 알콜(Cetearyl Alcohol) 2 wt%, 베헤닐 알콜(Behenyl Alcohol) 2 wt%, 글리세릴 스테아레이트(Glyceryl Stearate) 2 wt%, 시어버터(Butyrospermum Parkii (Shea) Butter) 0.6 wt%, 디메치콘(Dimethicone) 2 wt%, 민트오일(Mint Oil) 4 wt%, 소듐 미리스틸 글루타메이트(Sodium Myristyl Glutamate) 1 wt%, PEG-7 글리세릴 코코에이트(PEG-7 Glyceryl Cocoate) 2 wt% 및 디펜타에리스리틸 드리폴리하이드록실 스테아레이트(Dipentaerythrityl Tripolyhydroxyl Stearate) 4 wt%를 유상용해조에 넣고 70℃ 까지 가열하면서 Disper Mixer로 교반하여 용해시켜 유상원료를 제조하였다.
다음으로, 상기 수상원료에 에탄올(Ethanol) 5 wt%를 투입하고 Homo Mixer를 이용하여 상기 유상원료를 천천히 첨가하면서 약 5000rpm으로 5분 동안 유화시켰다.
상기 유화된 용액을 냉각수에 담그고 저어주면서 50 ℃까지 냉각시킨 다음 향료(Fragrance) 0.5 wt%, 판테놀(Panthenol) 0.1 wt% 및 제조예 1에서 제조된 케라틴 펩타이드 0.5 wt%를 첨가하여 Homo Mixer로 5000rpm으로 3분 동안 교반시키며 유화하였다.
상기 유화된 용액을 냉각수에 담그고 저어주면서 실온까지 냉각시켜 케라틴 펩타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에센스를 수득하였다.
비교예 1. 샴푸 및 트리트먼트의 제조 1
케라틴 펩타이드를 첨가하지 않은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샴푸 및 트리트먼트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2. 에센스의 제조 1
케라틴 펩타이드를 첨가하지 않은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에센스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3. 샴푸 및 트리트먼트의 제조 2
제조예 1에서 제조된 케라틴 펩타이드 대신 실크 펩타이드 0.5 wt%를 첨가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샴푸 및 트리트먼트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4. 에센스의 제조 2
제조예 1에서 제조된 케라틴 펩타이드 대신 실크 펩타이드 0.5 wt%를 첨가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에센스를 제조하였다.
실험예 1. 두피 수분량 인체적용 실험
성인 40명을 대상으로 실시예 1, 실시예 2 및 비교예 1 내지 비교예 4에서 제조된 화장료 조성물을 사용하게 한 뒤, 사용 전, 사용 후 2주 후, 사용 후 4주 후에 두피 수분량을 측정하였다. 측정된 두피 수분량의 증가율 결과값을 하기 표 2에 정리하여 나타내었다.
종류 0주차 대비 수분량 증가율
실시예 1 35%
비교예 1 15%
비교예 3 20%
실시예 2 30%
비교예 2 10%
비교예 4 25%
상기 표 2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실시예 1이 4가지 실험군 중 가장 두피수분량 증가폭이 가장 컸으며, 다음으로는 실시예 2, 비교예4, 비교예 3, 비교예 1 및 비교예 2의 순서로 두피수분량 증가율이 나타났다. 실시예 1 및 실시예 2 모두 비교예 1 내지 비교예 4보다 수분량 증가율이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른 케라틴 펩타이드를 함유한 샴푸, 트리트먼트 및 에센스는 일반 두피 및 모발용 화장품 뿐만 아니라 실크 펩타이드를 함유하는 두피 및 모발용 화장품보다 두피 수분량을 증가시키는 효능이 뛰어남을 알 수 있다.
실험예 2. 두피 수분증발량 인체적용 실험
성인 40명을 대상으로 실시예 1, 실시예 2 및 비교예 1 내지 비교예 4에서 제조된 화장료 조성물을 사용하게 한 뒤, 사용 전, 사용 후 2주 후, 사용 후 4주 후에 두피 수분증발량을 측정하였다. 두피 수분증발량의 감소율 수치를 하기 표 3에 정리하여 나타내었다.
종류 0주차 대비 두피 수분증발량 감소율
실시예 1 40%
비교예 1 10%
비교예 3 20%
실시예 2 35%
비교예 2 5%
비교예 4 25%
상기 표 3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실시예 1이 4가지 실험군 중 가장 두피 수분증발량 감소폭이 컸으며, 다음으로는 실시예 2, 비교예 4, 비교예 3, 비교예 1 및 비교예 2의 순서로 두피 수분증발량 감소율이 나타났다. 실시예 1 및 실시예 2 모두 비교예 1 내지 비교예 4보다 두피 수분량 감소율이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른 케라틴펩타이드를 함유한 샴푸, 트리트먼트 및 에센스는 일반 두피 및 모발용 화장품 뿐만 아니라 실크 펩타이드를 함유하는 두피 및 모발용 화장품보다 두피 수분증발량을 감소시키는 효능이 뛰어남을 확인할 수 있다.
실험예 3. 두피 유분량 감소효과 측정 실험
성인 40명을 대상으로 실시예 1, 실시예 2 및 비교예 1 내지 비교예 4에서 제조된 화장료 조성물을 사용하게 한 뒤, 사용 전, 사용 후 2주 후, 사용 후 4주 후에 두피 유분량을 측정하였다. 측정된 두피 유분량의 감소율을 계산하여 그 결과 값을 하기 표 4에 나타내었다.
종류 0주차 대비 두피 유분 감소율
실시예 1 20%
비교예 1 0.5%
비교예 3 10%
실시예 2 10%
비교예 2 0.6%
비교예 4 5%
상기 표 4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실시예 1이 4가지 실험군 중 가장 두피 수분증발량 감소폭이 컸으며, 다음으로는 실시예 2, 비교예 3, 비교예 4, 비교예 2 및 비교예 1의 순서로 두피 유분량 감소율이 나타났다. 실시예 1 및 실시예 2 모두 비교예 1 내지 비교예 2보다 두피 유분량 감소율이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른 케라틴펩타이드를 함유한 샴푸, 트리트먼트 및 에센스는 일반 두피 및 모발용 화장품 뿐만 아니라 실크 펩타이드를 함유하는 두피 및 모발용 화장품보다 두피의 유분을 감소시키는 효능이 뛰어남을 알 수 있다.
실험예 4. 발모 효과 측정 실험
성인 40명을 대상으로 실시예 1, 실시예 2, 비교예 1 내지 비교예 2에서 제조된 화장료 조성물을 사용하게 한 뒤, 사용 전, 사용 후 2주 후, 사용 후 4주 후에 정수리 가르마 사진을 촬영하였다. 그 후 가르마가 벌어진 정도를 5단계 grade로 나누고, 각각의 사진마다 grade를 판정하고, 측정 시기별 grade를 비교하였다. 측정된 grade의 증가율 값을 하기 표 5에 나타내었다.
종류 Grade 증가율
실시예 1 15%
비교예 1 3%
비교예 3 8%
실시예 2 20%
비교예 2 3%
비교예 4 10%
상기 표 5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실시예 2가 4가지 시험군 중 가장 grade 증가율이 가장 컸으며, 다음으로는 실시예 1, 비교예 4, 비교예 3, 비교예 2 및 비교예 1의 순서로 grade 증가율이 감소하였다. 실시예 1 및 실시예 2 모두 비교예 1 내지 비교예 4보다 grade 증가율이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른 케라틴펩타이드를 함유한 샴푸, 트리트먼트 및 에센스는 일반 두피 및 모발용 화장품 뿐만 아니라 실크 펩타이드를 함유하는 두피 및 모발용 화장품보다 발모를 증가시키는 효능이 뛰어남을 알 수 있다.
실험예 5. 모발 윤기 효과 측정 실험
성인 40명을 대상으로 실시예 1, 실시예 2, 비교예 1 내지 비교예 4에서 제조된 화장료 조성물을 사용하게 한 뒤, 사용 전, 사용 후 2주 후, 사용 후 4주 후에 모발 윤기 평가를 사진 촬영과 함께 진행하였다. 그 후 모발 윤기 정도를 5단계 grade로 나누고, 각각의 사진마다 grade를 판정하여 측정 시기별 grade를 비교하였다. 측정된 grade의 증가율 값을 하기 표 6에 나타내었다.
종류 Grade 증가율
실시예 1 30%
비교예 1 10%
비교예 3 15%
실시예 2 25%
비교예 2 5%
비교예 4 12%
상기 표 6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실시예 1이 4가지 실험군 중 가장 grade 증가율이 가장 컸으며, 다음으로는 실시예 2, 비교예 3, 비교예 4, 비교예 1 및 비교예 2의 순서로 grade 증가율이 감소하였다. 실시예 1 및 실시예 2 모두 비교예 1 내지 비교예 4보다 grade 증가율이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통해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른 케라틴펩타이드를 함유한 샴푸, 트리트먼트 및 에센스는 일반 두피 및 모발용 화장품 뿐만 아니라 실크 펩타이드를 함유하는 두피 및 모발용 화장품 보다 모발 윤기 개선 효능이 우수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Claims (7)

  1. 케라틴 펩타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모발용 화장료 조성물으로서,
    상기 케라틴 펩타이드는 닭털을 포함하는 배지에서 퍼비도박테리움 아이슬란디쿰(Fervidobacterium islandicum) AW-1을 배양하여 얻어진 것이며,
    상기 케라틴 펩타이드는 분자량이 1kDa 미만인 것, 분자량이 1 내지 10kDa인 것, 및 분자량이 10kDa을 초과하는 것의 혼합물이고,
    상기 케라틴 펩타이드는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5 내지 2.0 wt%로 포함되는 것인, 모발용 화장료 조성물.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라틴 펩타이드는 MMP-1(Matrix metalloproteinase-1)의 발현 저해능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발용 화장료 조성물.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샴푸, 에센스, 트리트먼트, 액상비누, 고형비누 또는 폼(form) 형태의 제형인 모발용 화장료 조성물.
KR1020170143971A 2017-10-31 2017-10-31 케라틴 펩타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모발 및 두피용 화장료 조성물 KR1021313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3971A KR102131361B1 (ko) 2017-10-31 2017-10-31 케라틴 펩타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모발 및 두피용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3971A KR102131361B1 (ko) 2017-10-31 2017-10-31 케라틴 펩타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모발 및 두피용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48768A KR20190048768A (ko) 2019-05-09
KR102131361B1 true KR102131361B1 (ko) 2020-07-09

Family

ID=665466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43971A KR102131361B1 (ko) 2017-10-31 2017-10-31 케라틴 펩타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모발 및 두피용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3136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32205A (ko) 2020-09-07 2022-03-15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모발 수분 손실 방지 및 수분 보강용 모발 화장료 조성물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196302A1 (en) * 2007-06-28 2010-08-05 Alane Beatriz Vermelho Keratin Hydrolysates, Process for Their Production and Cosmetic Composition Containing the Same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17197B1 (ko) * 2014-07-21 2016-05-03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피부노화 또는 피부주름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196302A1 (en) * 2007-06-28 2010-08-05 Alane Beatriz Vermelho Keratin Hydrolysates, Process for Their Production and Cosmetic Composition Containing the Sam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32205A (ko) 2020-09-07 2022-03-15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모발 수분 손실 방지 및 수분 보강용 모발 화장료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48768A (ko) 2019-05-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296984B2 (ja) 皮膚の老化現象抑制のための化粧品用又は皮膚薬用組成物
KR101414702B1 (ko) 피부재생, 항염 및 피부진정용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WO2005016364A1 (en) Skin care composition including hexapeptide complexes and methods of their manufacture
KR101881954B1 (ko) 돌외잎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173646B1 (ko) 피부 유래 스트렙토코쿠스 살리바리우스 sbk4 신균주 및 이를 이용한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KR102473093B1 (ko) 햄프씨드오일, 식물캘러스배양여과물 및 펩타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상태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120012904A (ko) 유방확대 또는 피부탄력 향상을 위한 화장료 조성물
ES2743205T3 (es) Composiciones cosméticas que contienen una preparación de cultivo celular de mora ártica
WO2020214854A1 (en) Silk hair care compositions
KR102450968B1 (ko) 루핀 펩타이드 추출물들 및 피부 견실도
KR102131361B1 (ko) 케라틴 펩타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모발 및 두피용 화장료 조성물
KR101839069B1 (ko) 해홍나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101305698B1 (ko) 부활초 캘러스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20110078955A (ko) Mqc를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FR2928549A1 (fr) Utilisation d'un extrait de l'orchidee brassocattleya marcella koss en tant qu'actif pour prevenir ou retarder l'apparition des signes du vieillissement cutane
KR101775074B1 (ko) 퍼머넌트 웨이브 조성물
KR101806007B1 (ko) 나노화된 천연 성분이 함유된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을 통해 제조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277088B1 (ko) 동백 오일, 아르간 오일, 및 모링가 오일의 발효물을 포함하는 나노에멀젼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100083448A (ko) 캐비어 추출물을 이용한 아이크림의 제조 방법
KR101618726B1 (ko) 명태껍질로부터 엘라스틴을 포함하는 단백질추출물을 제조하는 방법
JP2022029111A (ja) 微細藻類由来の新規な抽出物
KR100714172B1 (ko) 주름 생성 억제 및 개선 효과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
JP2016047807A (ja) マンダリンオレンジ抽出物含有アデノシン三リン酸フォスファターゼ発現誘導剤
KR102630938B1 (ko) 피부 투과성 및 성분 안정성을 개선한 피부 재생과 피부 보습 및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및 그의 제조 방법
JP2012149062A (ja) ヒトコラーゲン含有化粧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