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29733B1 - 도로의 차선 분리대 - Google Patents

도로의 차선 분리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29733B1
KR102129733B1 KR1020190074742A KR20190074742A KR102129733B1 KR 102129733 B1 KR102129733 B1 KR 102129733B1 KR 1020190074742 A KR1020190074742 A KR 1020190074742A KR 20190074742 A KR20190074742 A KR 20190074742A KR 102129733 B1 KR102129733 B1 KR 1021297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ing
road
hole
support
hol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747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왕의열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킹스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킹스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킹스틸
Priority to KR10201900747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2973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297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297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5/00Safety arrangements for slowing, redirecting or stopping errant vehicles, e.g. guard posts or bollards; Arrangements for reducing damage to roadside structures due to vehicular impact
    • E01F15/02Continuous barriers extending along roads or between traffic lanes
    • E01F15/04Continuous barriers extending along roads or between traffic lanes essentially made of longitudinal beams or rigid strips supported above ground at spaced poi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fuge Islands, Traffic Blockers, Or Guard Fen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로의 차선 분리대에 관한 것으로, 고정홀을 갖는 받침부를 포함하며, 도로의 중앙차선을 따라 서로 거리를 두고 입설되는 지주들; 상기 지주들 사이에 설치되는 가드레일; 및 걸림돌기를 갖고 상기 지주들의 받침부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고정홀과 대응하며, 상기 걸림돌기가 상기 고정홀을 관통하여 도로에 상기 받침부를 고정하는 고정부재를 걸어 상기 고정부재가 빠지지 않게 고정하는 이탈방지부재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구조가 견고하고 도로에 분리대를 고정하는 부재의 이탈을 방지하여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도로의 차선 분리대{MEDIAN STRIP FOR ROAD}
본 발명은 도로의 차선 분리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도로에 분리대를 고정하는 부재의 이탈을 방지하여 안전사고를 방지하도록 한 도로의 차선 분리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선 분리대는 운전자의 시선유도 및 차선이탈, 차량충돌에 따른 안전사고를 방지하기 위한 목적으로 고속도로나 지방국도와 같은 4차선 이상 도로의 중앙선 부위에 설치된다. 관련 선행기술로는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83212호 "중앙 분리대"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선행기술은 지주봉의 하단부에 중앙차선을 일부 가리게 설치되더라도 중앙차선이 끊어지지 않고 연결된 형태로 보일 수 있도록 그 시인성을 향상시키는 시인성 향상용 푸트를 구비하여, 불가피하게 중앙차선을 일부 가리게 설치되더라도 중앙차선이 끊어지지 않고 연결된 형태로 보일 수 있도록 하여 시인성을 향상시키고, 중앙차선이 가려졌음에도 불구하고 마치 중앙차선이 연결된 형태로 보이게 될 경우 운전자에게 편안한 시각적 효과를 제공하여 안전운행에 이바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러나 상기 선행기술을 포함한 기존의 차선 분리대는 분리대를 도로에 고정하는 볼트와 같은 부재가 이탈되어 안전사고를 유발하는 문제가 있다. 통상, 도로에 인서트를 박고 그 인서트에 볼트부재를 체결하여 차선 분리대가 고정되는데, 차량의 추돌이나 바람 등의 영향으로 분리대가 충격을 받거나 흔들리면 볼트부재가 빠져 이탈될 수 있고, 그 이탈된 볼트부재를 차량이 밞고 지나가면서 튕겨나가 보행자나 옆 또는 뒤 차량에 해를 입히거나 타이어가 펑크나는 등 안전사고가 발생되는 문제가 있다.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83212호 "중앙 분리대"
본 발명의 목적은 도로에 분리대를 고정하는 부재의 이탈을 방지하여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도로의 차선 분리대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고정홀을 갖는 받침부를 포함하며, 도로의 중앙차선을 따라 서로 거리를 두고 입설되는 지주들; 상기 지주들 사이에 설치되는 가드레일; 및 걸림돌기를 갖고 상기 지주들의 받침부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고정홀과 대응하며, 상기 걸림돌기가 상기 고정홀을 관통하여 도로에 상기 받침부를 고정하는 고정부재를 걸어 상기 고정부재가 빠지지 않게 고정하는 이탈방지부재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이탈방지부재는 구멍을 포함하며, 상기 걸림돌기는 상기 구멍의 내주연으로부터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이탈방지부재는 지지부재에 결합되어 상기 받침부에 설치되며, 상기 지지부재에는 이탈방지부재가 삽입되는 슬롯이 형성되고, 상기 슬롯을 사이에 두고 2개의 통공이 형성되며, 상기 통공들 중 어느 하나의 통공은 상기 걸림돌기를 걸어 지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도로에 차선 분리대를 고정하는 볼트와 같은 부재의 이탈이 방지되어 안전사고가 방지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지주로부터 가드레일이 분리가능하게 결합되기 때문에 보수, 교체 등 유지보수가 편리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차선 분리대가 도로의 중앙차선에 설치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을 정면에서 본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도 2에서 표시 A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서 지주의 받침부 일부를 단면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서 이탈방지부재가 지지부재에 삽입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서 이탈방지부재가 지지부재로부터 분리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예로서 분리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들은 가능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로 표시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 내지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차선 분리대는 도로의 중앙차선을 따라 서로 거리를 두고 입설되는 다수의 지주(100)를 포함한다. 지주(100)는 수지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고, 강도가 우수하고 가공성이 뛰어나며 내후성이 좋은 폴리우레탄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지주(100)는 도로와 대면하는 받침부(110)와, 그 받침부(110)로부터 수직으로 입설되는 지주봉부(120)로 이루어진다. 받침부(110)는 바닥이 원형을 이루어 도로 위에 안정감을 갖고 안치되고, 지주봉부(120)에는 지주들(100) 사이에 설치되어 중앙차선을 분리하는 가드레일(200)이 결합된다. 지주봉부(120)는 경량성을 위해 내부가 빈 구조로 이루어짐이 좋고, 가드레일(200)은 지주(100)와 동일 재질로 이루어짐이 좋다.
지주봉부(120)는 좌우에 길이를 따라 서로 간격을 두고 끼움홈(131)을 갖는 돌기(130)를 돌출 형성하여 그 돌기(130)의 끼움홈(131)에 가드레일(200)을 끼워 설치할 수 있다. 가이드레일(200)의 외주연과 끼움홈(131)의 내주연에 서로 대응하여 끼워지는 돌부(201)와 홈부(133)를 각각 형성하여 돌기(130)에 끼워진 가드레일(200)이 회전하지 않고 견고히 끼워지도록 할 수 있다. 지부봉부(120)와 가드레일(200)의 조립 구조로 인해 가드레일(200)의 파손 또는 손상시 쉽게 교체할 수 있어 유지보수가 편리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지주(100)와 가드레일(200)에는 시인성 향상을 위한 필름 등이 설치되거나 도색되어 안전운행에 도움을 줄 수 있다.
각 지주(100)의 받침부(110)에는 지주(100)를 도로에 고정하기 위한 다수개의 고정홀(115)이 서로 간격을 두고 형성된다. 고정홀(115)에는 고정부재(300)가 관통하여 도로에 박힘으로써 받침부(110)를 고정하여 지주(100)를 도로에 고정하며, 받침부(110)에 홈이 형성되고 그 홈의 바닥에 고정홀(115)이 형성됨으로써 도로에 박힌 고정부재(300)의 헤드가 받침부(110)로부터 튀어나오지 않아 차량 바퀴의 영향을 받지 않도록 할 수 있고, 따라서 바퀴에 의해 고정부재(300)가 이탈되어 발생할 수 있는 안전사고가 예방될 수 있다.
고정부재(300)는 볼트부재일 수 있고, 예를 들면 도로에 박힌 인서트에 고정홀(115)을 관통한 고정부재(300)가 나사 결합되어 받침부(110)를 고정할 수 있다.
지주(100)의 받침부(110)에는 고정부재(300)의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부재(400)가 설치된다. 이탈방지부재(400)는 걸림돌기(411)를 갖고 지주(100)의 받침부(110)에 설치되어 고정홀(115)과 각각 대응하며, 걸림돌기(411)가 고정홀(115)을 관통하여 도로에 받침부(110)를 고정하는 고정부재(300)를 걸어 고정부재(300)가 빠지지 않도록 견고히 고정한다.
이탈방지부재(400)는 받침부(110)의 하부에 볼팅이나 끼움방식 등으로 고정 설치될 수 있고, 판상형일 수 있으며, 구멍(413)을 포함하여, 그 구멍(413)의 내주연에 걸림돌기(411)를 형성할 수 있다. 걸림돌기(411)는 구멍(413)의 내주연을 따라 거리를 두고 다수개로 배열되어 고정부재(300)를 균형있게 더 견고히 효과적으로 걸 수 있다.
이탈방지부재(400)는 구멍(413)이 고정홀(115)과 상하로 일치하도록 받침부(110)에 고정되며, 고정부재(300)가 볼트인 경우 걸림돌기(411)가 나사골에 위치하여 나사산에 걸림으로써 도로로부터 고정부재(300)가 빠져 이탈되지 않도록 견고히 잡는다. 걸림돌기(411)의 선단은 고정부재(300)의 외주연을 감쌀 수 있는 원호 형상을 이루어 전 길이가 나사산에 걸림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이탈방지부재(400)는 지지부재(500)에 결합되어 받침부(110)에 설치될 수 있다. 지지부재(500)는 판상형을 이루어 볼팅이나 끼움방식 등으로 받침부(110)에 설치될 수 있고, 이탈방지부재(400)를 삽입하여 내장할 수 있는 슬롯(511)이 형성되며, 슬롯(511)을 사이에 두고 상하부에 서로 마주보는 2개의 통공(513)(515)이 형성될 수 있다.
통공(513)(515)은 이탈방지부재(400)의 구멍(413)과 일치하여 대응하며, 지지부재(500)가 받침부(110)에 설치되면 고정홀(115)(125)과 상하로 일치하여 대응한다. 이때, 통공들(513)(515) 중 어느 하나의 통공(513)은 걸림돌기(411)를 걸어 지지할 수 있다.
즉, 지지부재(500)의 상부에 형성되는 통공(513)이 그 원둘레가 걸림돌기(411)의 중간을 경유하도록 형성되어 걸림돌기(411)의 중간을 걸어 걸림돌기(411)를 지지함으로써, 걸림돌기(411)가 고정부재(300)를 더 견고히 잡고 있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지주(100) 또는 가드레일(200)에 차량 추돌 등으로 충격이 가해지는 순간 걸림돌기(411)가 위로 꺽여 고정부재(300)로부터 이탈될 수 있는데, 통공(513)이 걸림돌기(411)가 꺽이지 않도록 지지하여, 고정부재(300)가 도로로부터 이탈되어 널리지 않도록 한다.
지지부재(500)의 하부에 형성되는 통공(515)은 이탈방지부재(400)의 구멍(413)의 직경보다 크거나 같게 형성되어 고정부재(300)의 관통시 걸림돌기(411)의 아래로 꺽임을 방해하지 않음으로써 고정부재(300)가 수월하게 걸림돌기(411)에 걸리며 도로에 박힐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지주(100)가 한쌍을 이루어 도로의 중앙차선을 따라 서로 거리를 두고 입설될 수 있다. 각 지주봉부(120)에는 원통형의 종대(211)가 끼움 설치될 수 있고, 가드레일(200)은 그 종대(211)와 일체로 형성되어 지주(100)에 설치될 수 있다.
지주봉부(120)는 종대(211)가 끼움 결합되는 부위의 직경을 다른 부위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함으로써 걸림턱을 만들어 종대(211)가 걸려 정위치에 위치하도록 지지할 수 있다.
지주(100)에는 종대(211) 위로 지주봉부(120)의 상단을 가로질러 8자 모양의 지지캡(150)이 결합되고, 그 지지캡(150) 위로 고정캡(160)을 지주봉부(120)의 상단에 각각 결합하여, 가드레일(200)과 일체로 이루어진 종대(211)을 지주(100)에 견고히 결합시키고, 한쌍의 지주(100)를 서로 결속시켜 서로를 지지하도록 할 수 있다.
지지캡(150)은 2개의 고리가 연결부를 사이에 두고 연결된 형태가 되어 8자 모양을 이루며, 수갑과 같이 지주봉부(120)의 상단을 결속하여 종대(211)를 지지함과 아울러 지주(100)가 서로를 지지하도록 한다.
고정캡(160)은 T자 모양일 수 있고 그 줄기가 지주봉부(120)의 상단에 나사 결합되어 지지캡(150)을 빠지지 않게 고정함으로써 종대(211)를 고정하고, 지주(120)가 서로를 안정되게 지지할 수 있도록 한다.
나사 결합된 고정캡(160)이 분리되면, 순차로 지지캡(150)과 종대(211)가 지주(100)로부터 분리되며, 따라서 가드레일(200)의 파손 또는 손상시 쉽게 교체할 수 있는 등 그 유지보수가 편리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지주(100)는 받침부(110)의 일부위를 서로 포개 입설될 수 있고, 고정홀(115)은 그 포개진 일부위를 관통하여 형성됨으로써, 고정부재(300)가 그 포개진 받침부(110)를 동시에 고정 결합하여 지주(100)가 서로를 더 지지하도록 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도로에 차선 분리대를 고정하는 볼트와 같은 부재의 이탈이 방지되어 안전사고가 방지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지주로부터 가드레일이 분리가능하게 결합되기 때문에 보수, 교체 등 유지보수가 편리하다.
상기의 본 발명은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살펴보았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본질적 기술 범위 내에서 상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다른 형태의 실시예들을 구현할 수 있을 것이다. 여기서 본 발명의 본질적 기술범위는 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지주 110: 받침부
115: 고정홀 120: 지주봉부
130: 돌기 131: 끼움홈
133: 홈부 150: 지지캡
160: 고정캡 200: 가드레일
201: 돌부 211: 종대
300: 고정부재 400: 이탈방지부재
411: 걸림돌기 413: 구멍
500: 지지부재 511: 슬롯
513,515: 통공

Claims (3)

  1. 고정홀(115)을 갖는 받침부(110)를 포함하며, 도로의 중앙차선을 따라 서로 거리를 두고 입설되는 지주들(100); 및
    상기 지주들(100) 사이에 설치되는 가드레일(200)을 포함하며,
    슬롯(511)과 상기 슬롯(511)을 사이에 두고 상하로 마주보게 형성되는 통공들(513)(515)을 갖고 상기 받침부(100)에 설치되어 상기 통공들(513)(515)이 상기 고정홀(115)과 대응하는 판상형의 지지부재(500)와,
    구멍(413)과 상기 구멍(413)의 내주연을 따라 거리를 두고 다수개로 배열 형성되는 걸림돌기들(411)을 갖고 상기 지지부재(500)의 슬롯(511)에 삽입 설치되어 상기 구멍(413)이 상기 통공들(513)(515) 및 상기 고정홀(115)과 대응하는 판상형의 이탈방지부재(400)와,
    상기 고정홀(115), 상기 통공(513), 상기 구멍(413) 및 상기 통공(515)를 순차로 관통하여 도로에 박혀 상기 지주들(100)을 고정하는 나사산을 갖는 볼트 형태인 고정부재(300)를 포함하고,
    상기 걸림돌기들(411)의 선단이 상기 고정홀(115), 상기 통공들(513)(515) 및 상기 구멍(413)을 관통한 상기 고정부재(300)의 나사산을 걸어 상기 고정부재(300)가 빠지지 않게 고정하고,
    상기 걸림돌기들(411)의 선단은 원호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고정부재(300)의 외주연을 감싸며 나사산을 걸고,
    상기 지지부재(500)의 상부에 형성되는 상기 통공(513)은 원둘레가 상기 걸림돌기들(411)의 중간을 경유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지지부재(500)가 상기 걸림돌기들(411)의 중간을 걸어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의 차선 분리대.
  2. 삭제
  3. 삭제
KR1020190074742A 2019-06-24 2019-06-24 도로의 차선 분리대 KR1021297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4742A KR102129733B1 (ko) 2019-06-24 2019-06-24 도로의 차선 분리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4742A KR102129733B1 (ko) 2019-06-24 2019-06-24 도로의 차선 분리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29733B1 true KR102129733B1 (ko) 2020-07-03

Family

ID=715717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74742A KR102129733B1 (ko) 2019-06-24 2019-06-24 도로의 차선 분리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29733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204016U (ko) * 1985-06-11 1986-12-22
JPH10169012A (ja) * 1996-12-16 1998-06-23 Tomoe Corp 柱脚固定用アンカーボルトへの張力導入方法
KR20100010207U (ko) * 2009-04-09 2010-10-19 (주)동화볼트 파일 제조용 몰드의 체결구
KR200483212Y1 (ko) 2014-06-17 2017-04-17 주식회사 어소시에이츠 엘작 중앙 분리대
KR101739920B1 (ko) * 2016-03-31 2017-06-08 주식회사 비앤씨플러스 풀림 방지형 볼트와 너트 조립체 및 이 시공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204016U (ko) * 1985-06-11 1986-12-22
JPH10169012A (ja) * 1996-12-16 1998-06-23 Tomoe Corp 柱脚固定用アンカーボルトへの張力導入方法
KR20100010207U (ko) * 2009-04-09 2010-10-19 (주)동화볼트 파일 제조용 몰드의 체결구
KR200483212Y1 (ko) 2014-06-17 2017-04-17 주식회사 어소시에이츠 엘작 중앙 분리대
KR101739920B1 (ko) * 2016-03-31 2017-06-08 주식회사 비앤씨플러스 풀림 방지형 볼트와 너트 조립체 및 이 시공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51214B1 (ko) 무단횡단금지용 차선분리대
KR101016706B1 (ko) 무단횡단방지용 차선분리대
CN110093875B (zh) 一种轻量化可升降型材信号灯杆组件
KR101928486B1 (ko) 휀스
KR101420587B1 (ko) 가드레일판이 구비된 지주 보강구조
KR101546524B1 (ko) 유지관리 효율성과 내충격성이 우수한 가로등 지주
KR102129733B1 (ko) 도로의 차선 분리대
KR101608448B1 (ko) 힌지식으로 개방되는 도로용 차광판
KR101358426B1 (ko) 교통신호등 지주구조체
KR100859660B1 (ko) 도로시설물의 지주 고정용 베이스
US3135468A (en) Flasher light mounting
KR101196702B1 (ko) 충격흡수형 표지판
KR200358869Y1 (ko) 가드레일에 설치되는 동물 보호망
KR102611716B1 (ko) 어린이보호구역 도로 난간용 led지주
KR101085465B1 (ko) 도로의 난간 안전 설치대
KR101057721B1 (ko) 압출지주속에 케이블을 삽입하여 등주가 전복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분리형 가로등 지주
KR101015424B1 (ko) 각도 조절 조립식 도로 표지판
US20140270940A1 (en) Channelizer post
CN210049143U (zh) 一种轻量化可升降型材信号灯杆组件
KR101948308B1 (ko) 차선분리기능이 구비된 시선유도봉
KR100955790B1 (ko) 방호 울타리 및 그 시공방법
CN208379504U (zh) 道路护栏
KR20110013832A (ko) 가로등 지주 교체장비
KR20140132129A (ko) 가드레일판이 구비된 지주 보강구조
KR200441361Y1 (ko) 차선 분리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