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10207U - 파일 제조용 몰드의 체결구 - Google Patents

파일 제조용 몰드의 체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10207U
KR20100010207U KR2020090004153U KR20090004153U KR20100010207U KR 20100010207 U KR20100010207 U KR 20100010207U KR 2020090004153 U KR2020090004153 U KR 2020090004153U KR 20090004153 U KR20090004153 U KR 20090004153U KR 20100010207 U KR20100010207 U KR 20100010207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lt
mold
nut
fastener
flan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9000415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54570Y1 (ko
Inventor
한창봉
Original Assignee
(주)동화볼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동화볼트 filed Critical (주)동화볼트
Priority to KR202009000415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4570Y1/ko
Publication of KR2010001020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1020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457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457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7/00Moulds; Cores; Mandrels
    • B28B7/0002Auxiliary parts or elements of the mould
    • B28B7/0014Fastening means for mould parts, e.g. for attaching mould walls on mould tables; Mould clamp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22Piles
    • E02D5/24Prefabricated piles
    • E02D5/30Prefabricated piles made of concrete or reinforced concrete or made of steel and concret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37/00Nuts or like thread-engaging members
    • F16B37/14Cap nuts; Nut caps or bolt ca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oulds, Cores, Or Mandre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건축공사시 지반을 강화하거나, 보강하기 위해 사용되어지는 콘크리트 파일을 제조하는 파일 제조용 몰드의 체결구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하부몰드의 플랜지상에 등간격을 이루며 용접 설치되어진 너트고정부재의 너트안착홈에 위치하여 고정핀에 의해 안착 유지되어지는 너트로 이루어진 너트고정구와; 상부몰드의 플랜지상에 등간격을 이루며 용접 설치되어진 볼트지지용부재로 삽입 위치함과 동시에 반발스프링의 반발력을 받도록 장착되어지고, 볼트이탈방지구에 걸림턱이 걸림되어 장착유지되어지는 볼트의 결합으로 형성된 볼트고정구로 된 파일 제조용 몰드 체결구에 있어서, 상기 볼트고정구(110)는 상부몰드(10)의 플랜지(11)에 용접 부착되어지는 볼트지지용부재(111)의 반발스프링지지관(111a)의 외주면상에 볼트이탈방지구(130)가 체결되는 슬라이드절개홀(111b)이 대향되게 형성되어 있고, 상기 슬라이드절개홀(111b)로 끼워져 날개편(131)이 양쪽으로 분할 형성되어 있되, 상기 날개편(131)의 사이로 형성된 포크홈(132)이 볼트(114) 외경과 대응하는 간격을 이루며 형성되어져 볼트(114)의 걸림턱(114a)이 상기의 날개편(131)에 걸림 고정되어 질 수 있도록 형성된 볼트이탈방지구(130)로 구성된 파일 제조용 몰드의 체결구에 의해 달성된다.
상부몰드, 하부몰드, 볼트고정구, 볼트지지용부재, 슬라이드절개홀, 볼트, 걸림턱, 너트고정구, 너트고정부재, 너트, 볼트이탈방지구, 날개편, 포크홈, 파지홈, 이탈방지돌기

Description

파일 제조용 몰드의 체결구{fastener of a mold for manufacturing pile}
본 고안은 건축공사시 지반을 강화하거나, 보강하기 위해 사용되어지는 콘크리트 파일을 제조하는 파일 제조용 몰드의 체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고층 빌딩이나, 아파트 등의 신축공사시 지반강화 및 보강을 목적으로 현장 지반에 철근이 내장되고 일정길이(7~15m)를 갖는 콘크리트 파일을 해머로 타격하여 관입시키는 지반기초공사를 수행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목적으로 사용되어지는 파일은, 파일 제조용 몰드를 이용하여 제작하게 된다.
파일을 제조하는 몰드는, 반원형을 이루는 성형부와, 성형부 양쪽에서 직각되는 각(角)을 이루며 절곡 형성되어지는 플랜지 및 상기 플랜지에는 볼트, 너트 고정구가 각각 부착되어 상호 착탈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몰드의 사용상태를 간단히 살펴보면, 상부몰드의 플랜지에 부착 형성된 볼트고정구를 하부몰드의 너트고정구로부터 풀어낸다.
상기와 같이 상부몰드의 볼트고정구를 풀어 상부몰드를 하부몰드로부터 이탈시킨 상태에서 상,하몰드 각각의 성형부 내면을 세척수로 세척한 다음, 이형제를 표면에 도포하고 철근을 내장한 후 상,하몰드를 재결합시킨다.
상기와 같이 상,하몰드를 합체한 상태에서 콘크리트 몰탈을 성형부의 일측을 통해 투입하고 몰드를 회전시켜 원심력을 이용해 콘크리트 몰탈의 밀도를 증가시켜 양생시킨다.
상기와 같이 몰드의 성형부에 투입되어진 몰탈이 양생과정을 거쳐 양생(養生) 완료되어지면, 볼트고정구를 풀어 상부몰드를 하부몰드로부터 이탈시키고 양생된 파일을 하부몰드로부터 통상의 방법으로 이탈시키게 된다.
상기한 방법을 통해 연속반복하여 파일을 제조하게 되고, 이와같이 몰드에 의해 파일을 제조함에 있어 상,하몰드를 수회에 걸쳐 조립과 분리작업을 반복 수행하면서 지속적인 파일 제조가 이루어 진다.
상기와 같이 상,하몰드를 수회에 걸쳐 조립과 분리를 반복 하면서 파일을 제조함에 따라 작업의 편리성을 고려해 체결수단인 너트고정구와, 볼트고정구가 몰드의 플랜지에 항상 부착되어 있어야 할 것이 요구되고 있고, 더불어 볼트와 너트의 변형이나 마모율이 작아야 하며 조립을 위한 체결 작업 및 부품마모시의 교환작업이 용이하여야만 한다.
그러나 종래의 파일 제조용 몰드는 도1에 도시한 실용신안등록 제20-152058호에서 보는바와 같이 상부 플랜지(11)에 고정되는 볼트지지용 고정판(13)이 스프링 지지부(14)와 일체로 되어 용착되어 있고 그 내면 상부측에 형성된 요홈(14a)에 고정링(15)이 끼워져 볼트(16)에 형성된 걸림환턱(17)이 상기 고정링(15)에 걸려 볼트(16)가 스프링(18)력에 의해 외부로 이탈되지 않게 한 단순 기술에 불과해 착 탈이 반복되는 사용 과정에서 고정링(15)과 볼트(16)의 걸림환턱(17)이 상대 마찰되어 마모가 발생되게 되므로 결국 상기 고정링(15)과 볼트(16)의 걸림환턱(17)사이에 공간이 발생되어 사용도중 볼트(16) 및 스프링(18), 상부측 스프링지지편(19)등이 작업장 내로 불규칙하게 해체되어 버리는 폐단이 발생하게 되는 결과를 초래케 하여 작업성을 현저히 저하시킬 뿐 아니라, 해체된 볼트고정구의 재결합이 불가능하여 볼트지지용 고정판(13)을 해체해야만 하는 불편을 가중시키는데, 이는 상기한 볼트지지용 고정판(13)이 상부로 단차져 연장된 스프링지지부(14)와 일체로 되어 있고, 상기 볼트지지용 고정판(13)은 상부몰드(10)의 플랜지(11)에 형성된 관통공(12)상부에 용착 결합된 구조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볼트(16)의 교환작업시 볼트지지용고정판(13)의 용접부를 산소용접기와 같은 별도의 수단을 사용하여 제거해야만 하는 비생산적인 문제가 야기되어 시급히 개선해야 될 문제로 대두되고 있었다.
상기에서 기술한 종래의 파일 제조용 몰드의 단점을 해결하기 위한 기술로는 2001년 10월 12일자에 특허출원번호 제2001-62807호로 출원되어 특허등록 제10-439067호로 등록된 "콘크리트 거푸집용 고정구"(이한 선등록발명이라 함)가 있다.
상기의 선등록고안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단점을 해결한 기술로써, 볼트지지용고정부재를 상부몰드로부터 분리해 내지 않은 상태에서 마모가 발생하였거나 파손이 발생하였을 때 볼트고정구를 구성하는 나머지 구성부품인 볼트와 볼트의 아래로 위치한 스프링지지부재 및 ,스프링을 교체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써, 볼트고정구 교체에 따른 작업시간 단축과 함께 유지보수 비용을 절감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의 선등록발명은, 도1에서 예시한 볼트고정구의 문제점을 해결하였으나, 버려지는 부품수가 종래기술보다 더욱 많아져 자원을 낭비하게 됨은 물론, 유지보수에 따른 유지보수비용이 과다하게 발생하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상기 선등록발명인 특허등록 제10-439067호의 문제점을 해결한 기술이 실용신안등록 제20-289811호인 파일 양생용 몰드 체결장치이다.
상기의 등록실용신안은 볼트고정구를 구성하는 부품들중 교체의 직접적인 원인을 제공하게 되는 볼트만을 교환 할 수 있도록 한 기술로써, 볼트가 장착 유지됨과 동시에 상부몰드의 플랜지에 용접 부착되어지는 볼트지지용부재의 구조를 개선하여 볼트가 직접 고정되도록 함과 더불어 볼트에 이상(마모)이 발생하여 교체가 필요로할 때 볼트만을 교체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의 등록실용신안은 상부몰드의 플랜지에 용접 부착되어지는 볼트지지용고정판에 볼트가 끼워져 구멍을 관통하도록 두개의 핀구멍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핀구멍의 간격은 볼트의 외경과 대응하는 간격으로 형성되어져 볼트에 형성되어진 걸림턱이 핀구멍으로 끼워져 고정핀에 걸림되어질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볼트지지용고정판에 볼트고정구의 볼트를 이탈방지시키는 고정핀 체결이 가능한 구멍을 형성함으로써, 마모와 같은 손상으로 볼트고정구를 유지보수를 해야 할 때 볼트지지용고정판의 핀구멍으로부터 고정핀을 제거하여 볼트만을 교체 유지보수할 수가 있게 되고, 볼트만 교체 유지보수함에 따라 비용을 현저 하게 줄일 수 있게 되었다.
상기와 같은 장점을 가지고 있는 등록실용신안은, 볼트지지용고정판의 고정구멍으로 끼워진 고정핀이 쉽게 빠지는 구조적 결함을 가지고 있는 것이어서 고정핀 이탈에 따른 고정핀의 분실이 빈번하게 일어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또 다른 문제점으로는 볼트지지용고정판이 원통형이어서 핀구멍을 드릴링머신으로 천공할때 드릴축이 볼트지지용고정판의 외주면에 대하여 직각(直角) 접촉되어지지 못하고 경사각을 갖고 접촉되어져 드릴축에 편심되는 힘이 발생하게 되어 드릴의 사용수명이 현저하게 단축되거나 부러짐 등과 같은 손상이 발생함은 물론, 고정구멍 천공에 따른 작업시간이 오래 걸려 생산성 향상을 기대할 수 없었을 뿐만 아니라, 볼트고정구의 생산원가가 상승되는 요인이 되기도 하였다.
본 고안은 볼트고정구를 구성하는 볼트지지용부재로부터 볼트의 분리 조립이 가능하도록된 종래 파일 제조용 몰드의 체결구의 단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개발한 것으로, 그 목적은 상부몰드의 플랜지에 용접 부착되어지는 볼트지지용부재로 관통 위치 함과 동시에 볼트의 분리 교체가 가능하도록 하는 볼트이탈방지구의 구조를 개선함에 따라 오랜기간 사용으로 볼트에 마모가 발생하여 교체가 필요할 때 유지보수 작업을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하여 유지보수에 따른 작업시간을 현저하게 줄였을뿐만 아니라, 볼트이탈방지구의 안정된 결착을 도모함으로써, 종래 일반 핀 형태의 볼트이탈방지구가 가지고 있었던 문제점이던 볼트지지용부재로부터 벗어나 분실되었던 폐단을 해결하여 상,하몰드를 체결하는 파일 제조용 몰드의 체결구 신뢰성을 향상시킨 파일 제조용 몰드의 체결구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하부몰드의 플랜지상에 등간격을 이루며 용접 설치되어진 너트고정부재의 너트안착홈에 위치하여 고정핀에 의해 안착 유지되어지는 너트로 이루어진 너트고정구와;
상부몰드의 플랜지상에 등간격을 이루며 용접 설치되어진 볼트지지용부재로 삽입 위치함과 동시에 반발스프링의 반발력을 받도록 장착되어지고, 볼트이탈방지구에 걸림턱이 걸림되어 장착유지되어지는 볼트의 결합으로 형성된 볼트고정구로 된 파일 제조용 몰드 체결구에 있어서,
상기 볼트고정구(110)는 상부몰드(10)의 플랜지(11)에 용접 부착되어지는 볼트지지용부재(111)의 반발스프링지지관(111a)의 외주면상에 볼트이탈방지구(130)가 체결되는 슬라이드절개홀(111b)이 대향되게 형성되어 있고,
상기 슬라이드절개홀(111b)로 끼워져 날개편(131)이 양쪽으로 분할 형성되어 있되, 상기 날개편(131)의 사이로 형성된 포크홈(132)이 볼트(114) 외경과 대응하는 간격을 이루며 형성되어져 볼트(114)의 걸림턱(114a)이 상기의 날개편(131)에 걸림 고정되어지는 질 수 있도록 형성된 볼트이탈방지구(130)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파일 제조용 몰드의 체결구에 의해 달성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의 파일 제조용 몰드의 체결구는, 상부 몰드(10)의 플랜지(11)에 용접 부착되어지는 볼트지지용부재(111)로 관통 위치 함과 동시에 볼트(114)의 분리 교체가 가능하도록 하는 볼트이탈방지구(130)의 구조를 개선함에 따라 오랜기간 사용으로 볼트(114)에 마모가 발생하여 교체가 필요로할 때 유지보수 작업을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하여 유지보수에 따른 작업시간을 현저하게 줄였을 뿐만 아니라, 볼트이탈방지구(130)의 안정된 결착을 도모함으로써, 종래 일반 핀 형태의 볼트이탈방지구가 가지고 있었던 문제점이던 볼트지지용부재로부터 벗어나 분실되었던 폐단을 해결하여 상,하몰드를 체결하는 파일 제조용 몰드의 체결구 신뢰성을 향상시킨 이점을 가지고 있다.
이하,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2 내지 도9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파일 제조용 몰드의 체결구는, 상부몰드(10)에 부착되는 볼트고정구(110)와 상기 상부몰드(10)가 합체되어지고, 합체 유지되어질 수 있도록 상기 볼트고정구(110)의 볼트(114)가 체결되는 너트(123)를 포함하는 너트고정구(120)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볼트고정구(110)는 상부몰드(10)의 플랜지(11)상에 등간격을 이루며 형성되어진 구멍(12)에 위치하도록 용접 설치되어지는 볼트지지용부재(111)에 삽입 위치 함과 동시에 반발스프링(113)의 반발력을 받도록 장착되어지고, 상기 볼트지지용부재(111)로 조립되는 볼트이탈방지구(130)에 걸림턱(114a)이 걸림되어 장착 유지되어지는 볼트(114)로 이루어 진다.
상기 볼트지지용부재(111)의 반발스프링지지관(111a)의 외주면상에 볼트이탈방지구(130)가 체결되는 슬라이드절개홀(111b)이 대향되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 볼트지지용부재(111)로 관통 위치하는 볼트(114)는 하부몰드(20)의 플랜지(21)상에 등간격을 이루며 용접 설치되어진 너트고정부재(121)의 너트안착홈(124)에 위치하여 고정핀(122)에 의해 안착 유지되어지는 너트(123)에 체결되어질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고, 중앙부에는 볼트이탈방지구(130)의 날개편(131)에 걸림되어지는 걸림턱(114a)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볼트지지용부재(111)의 슬라이드절개홀(111b)에 끼워져 볼트(114)의 이탈을 차단하는 볼트이탈방지구(130)는, 상기의 슬라이드절개홀(111b)로 끼워짐과 동시에 볼트(114)의 걸림턱(114a)이 걸림되어지는 날개편(131)이 양쪽으로 분할 형성되어 있다.
상기 날개편(131)의 사이로는 포크홈(132)이 형성되어 있되, 상기 포크홈(132)은 볼트(114) 외경과 대응하는 간격을 이루며 형성되어져 볼트(114)의 외경보다 큰 외경을 가지는 걸림턱(114a)이 날개편(131)에 걸림 고정되어질 수 있도록 된 형성된 것이다.
상기 볼트이탈방지구(130)의 포크홈(132)은, 볼트(114)의 외경을 감싸는 파지홈(133)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파지홈(133)은 볼트(114)의 외경을 감싼 상태로 정지되어 있을 수 있도록 하는 이탈방지돌기(133a)를 갖고 형성되어 있다.
상기 볼트이탈방지구(130)는 볼트지지용부재(111)의 반발스프링지지관(111a)에 형성된 슬라이드절개홀(111b)에 장착되었을 때 용이하게 분리해 낼 수 있는 걸 고리홈(134)이 형성되어 진다.
전술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의 파일 제조용 몰드의 체결구를 상,하몰드(10)(20)에 부착할 때에는 상,하몰드(10)(20) 각각의 플랜지(11)(21)상에 형성된 구멍(12)(22)에 일치하도록 볼트고정구(110)와, 너트고정구(120)를 부착 한다,
상기 볼트고정구(110)의 부착은 상부몰드(10)의 플랜지(11)에 형성된 구멍(12)에 볼트지지용부재(111)가 일치하도록 한 상태에서 용접 고정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볼트지지용부재(111)가 고정되어진 상태에서 볼트지지용부재(111)의 반발스프링지지관(111a)에 반발스프링(113)의 하단을 위치시키고, 반발스프링(113)의 상부에 탄지부재(140)를 얹혀 놓은 상태에서 볼트(114)를 상기의 볼트지지용부재(111)에 관통 위치 시킨다.
볼트지지용부재(111)에 관통 위치한 볼트(114)는 볼트이탈방지구(130)에 의해 장착유지되어지게 되고, 상기의 볼트(114)의 장착유지는 볼트지지용부재(111)로 관통 위치한 볼트(114)의 걸림턱(114a)이 슬라이드절개홀(111b)의 아래쪽으로 위치하도록 한 상태에서 상기 슬라이드절개홀(111b)에 날개편(131)을 끼워 밀어 넣으므로써 장착 유지되어지게 되는 것이다.
좀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볼트지지용부재(111)의 슬라이드절개홀(111b)에 날개편(131)을 밀어 넣게되면, 포크홈(132) 내측으로 볼트(114)가 위치하게 되고, 상기와 같이 볼트(114)가 위치한 포크홈(132)은 그 간격이 볼트(114) 외경과 대응하는 간격을 이루고 있어 볼트(114) 외경보다 큰 외경을 이루는 걸림턱(114a)이 날개 편(131)파지홈(133)에 걸리게 되는 것이다.
상기 슬라이드절개홀(111b)로 날개편(131)이 안내되어지면서 장착되는 볼트이탈방지구(130)는 포크홈(132)에 형성된 파지홈(133)이 볼트(114)의 외경을 감싸도록 장착되는 것이다.
상기 파지홈(133)에 감싸여진 볼트(114)는 파지홈(133)을 이루는 이탈방지돌기(133a)에 의해 이탈 없이 조립 유지되어지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상부몰드(10)에 부착되어진 볼트고정구(110)의 볼트(114)는 하부몰드(20)의 플랜지(21)에 형성된 구멍(22)에 대하여 일치하도록 용접부착된 너트고정부(120)의 너트안착홈(124)으로 위치하여진 너트(123)에 나사체결되어 파일을 제조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파일 제조과정을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상기한 체결구를 구비한 본 고안의 파일 제조용 몰드를 이용하여 파일을 제조할 때에는 상,하몰드(10),(20)가 분리되어 있는 상태에서 성형부(특정부호로 특정하지 아니하였음) 내면에 이형제를 도포하고 철근을 내장한다.
이후, 하부몰드(20)에 상부몰드(10)를 포개어 놓은 상태에서 상부몰드(10)의 볼트고정구(110)의 볼트(114)를 하부몰드(20)의 너트고정구(120)의 너트(123)에 나사 체결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의 상부몰드(10)와 하부몰드(20)의 체결이 완료되어지면, 몰드 일측에서 콘크리트 몰탈을 충전시키고 몰드를 고속회전시켜 원심력을 이용해 콘크리트 몰탈의 밀도를 증가시켜 파일을 제조하며, 제조되는 파일에는 중공이 형성되어지게 된 다.
이상에서와 같은 방법을 통해 파일을 제조하다가 볼트고정구(110)의 볼트(114)가 마모 손상되어져 체결력을 상실하는 경우가 발생하게 되고, 체결력이 상실된 볼트(114)는 신속하게 교체 보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볼트(114)를 교체할 때에는 도4에서 보는바와 같이 볼트이탈방지구(130)의 파지홈(134)에 갈고리 또는 드라이버 등과 같은 공구를 끼워 넣은 상태에서 당기는 힘을 가하게 되면, 파지홈(133)이 볼트(114)로부터 벗어나게 된다.
상기와 같이 파지홈(133)이 볼트(114)로 부터 벗어남으로써, 볼트이탈방지구(130)의 날개편(131)이 볼트지지용부재(111)의 슬라이드절개홀(111a)을 벗어나 분리되어지게 된다.
볼트이탈방지구(130)의 날개편(131)이 볼트지지용부재(111)의 슬라이드절개홀(111a)을 벗어 남으로써, 볼트(114)의 걸림턱(114a)이 자유로운 상태에 놓이게 되어 볼트지지용부재(111)에서 교체 대상의 볼트를 분리해 내게 되는 것이다.
상기에서와 같이 마모된 볼트를 분리해낸 후, 새로운 볼트를 상기 볼트지지용부재(111)로 관통 조립한 상태에서 전술한 볼트이탈방지구(130)의 체결방식에 의해 다시 체결 함으로써, 새로운 볼트의 교체를 간편하면서 신속히 수행할 수가 있는 것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파일 제조용 몰드의 체결구를 발췌한 단면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파일 제조용 몰드의 체결구를 발췌한 분리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파일 제조용 몰드의 체결구 중 볼트고정구를 발췌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파일 제조용 몰드의 체결구 중 볼트고정구의 요부를 단면한 평단면 구성도.
도 5-1과 도 5-2는 본 발명에 의한 파일 제조용 몰드의 체결구 중 볼트고정구를 발췌한 단면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파일 제조용 몰드의 체결구를 상,하몰드에 배치되는 상태를 보인 실시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파일 제조용 몰드의 체결구를 상,하몰드에 부착한 상태를 보인 실시 예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파일 제조용 몰드에 의해 파일을 제조하는 상태의 예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파일 제조용 몰드의 체결구 중 볼트고정구를 유지보 할 때의 예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상부몰드 20 : 하부몰드
110 : 볼트고정구 111 : 볼트지지용부재
111a : 반발스프링지지관 111b : 슬라이드절개홀
*113 : 반발스프링 114 : 볼트
114a : 걸림턱 120 : 너트고정구
121 : 너트고정부재 122 : 고정핀
123 : 너트 124 : 너트안착홈
130 : 볼트이탈방지구 131 : 날개편
132 : 포크홈 133 : 파지홈
133a : 이탈방지돌기 140 : 탄지부재

Claims (3)

  1. 하부몰드의 플랜지상에 등간격을 이루며 용접 설치되어진 너트고정부재의 너트안착홈에 위치하여 고정핀에 의해 안착 유지되어지는 너트로 이루어진 너트고정구와;
    상부몰드의 플랜지상에 등간격을 이루며 용접 설치되어진 볼트지지용부재로 삽입 위치함과 동시에 반발스프링의 반발력을 받도록 장착되어지고, 볼트이탈방지구에 걸림턱이 걸림되어 장착유지되어지는 볼트의 결합으로 형성된 볼트고정구로 된 파일 제조용 몰드 체결구에 있어서,
    상기 볼트고정구(110)는 상부몰드(10)이 플랜지(11)에 용접 부착되어지는 볼트지지용부재(111)의 반발스프링지지관(111a)의 외주면상에 볼트이탈방지구(130)가 체결되는 슬라이드절개홀(111b)이 대향되게 형성되어 있고,
    상기 슬라이드절개홀(111b)로 끼워져 날개편(131)이 양쪽으로 분할 형성되어 있되, 상기 날개편(131)의 사이로 형성된 포크홈(132)이 볼트(114) 외경과 대응하는 간격을 이루며 형성되어져 볼트(114)의 걸림턱(114a)이 상기의 날개편(131)에 걸림 고정되어지는 질 수 있도록 형성된 볼트이탈방지구(130)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파일 제조용 몰드의 체결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볼트이탈방지구(130)의 포크홈(132)은 볼트(114)의 외경을 감싸는 파지홈(133)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파지홈(133)은 볼트(114)의 외경 을 감싼 상태로 정지되어 있을 수 있도록 하는 이탈방지돌기(133a)를 갖고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파일 제조용 몰드의 체결구.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볼트이탈방지구(130)는 볼트지지용부재(111)의 반발스프링지지관(111a)에 형성된 슬라이드절개홀(111b)에 장착되었을 때 용이하게 분리해 낼 수 있는 걸고리홈(134)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파일 제조용 몰드의 체결구.
KR2020090004153U 2009-04-09 2009-04-09 파일 제조용 몰드의 체결구 KR20045457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4153U KR200454570Y1 (ko) 2009-04-09 2009-04-09 파일 제조용 몰드의 체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4153U KR200454570Y1 (ko) 2009-04-09 2009-04-09 파일 제조용 몰드의 체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0207U true KR20100010207U (ko) 2010-10-19
KR200454570Y1 KR200454570Y1 (ko) 2011-07-13

Family

ID=442006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04153U KR200454570Y1 (ko) 2009-04-09 2009-04-09 파일 제조용 몰드의 체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4570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672822A (zh) * 2012-06-01 2012-09-19 如皋市中正机械有限公司 一种弹簧合模螺栓
CN106223748A (zh) * 2016-08-30 2016-12-14 丰业迪睦斯(芜湖)汽车部件有限公司 一种限位器调节结构
KR102105585B1 (ko) 2019-09-10 2020-04-28 주식회사 한양정공 형틀 체결용 너트 어셈블리 및 이를 이용한 형틀 체결 장치
KR102129733B1 (ko) * 2019-06-24 2020-07-03 주식회사 킹스틸 도로의 차선 분리대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07382B1 (ko) 2018-08-31 2019-08-05 주식회사 한양정공 형틀 체결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89763Y1 (ko) 2005-04-28 2005-07-14 오승연 콘크리트 파일 형틀용 체결부재 교환장치
KR200392272Y1 (ko) 2005-05-24 2005-08-19 최진협 콘크리트 파일의 형틀 체결장치
KR200392620Y1 (ko) 2005-06-01 2005-08-17 이광호 몰드 결합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672822A (zh) * 2012-06-01 2012-09-19 如皋市中正机械有限公司 一种弹簧合模螺栓
CN106223748A (zh) * 2016-08-30 2016-12-14 丰业迪睦斯(芜湖)汽车部件有限公司 一种限位器调节结构
KR102129733B1 (ko) * 2019-06-24 2020-07-03 주식회사 킹스틸 도로의 차선 분리대
KR102105585B1 (ko) 2019-09-10 2020-04-28 주식회사 한양정공 형틀 체결용 너트 어셈블리 및 이를 이용한 형틀 체결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54570Y1 (ko) 2011-07-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54570Y1 (ko) 파일 제조용 몰드의 체결구
WO2016165412A1 (zh) 端板、接桩机构、张拉钢筋笼的连接机构、混凝土桩及制造方法
JP6353531B2 (ja) 風力発電装置のタワーの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ート製セグメントの製造方法および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ートセグメントの型枠
KR20130081934A (ko) Phc파일 제작방법
CN116446267A (zh) 一种预制墩柱连接组件
KR200426202Y1 (ko) 거푸집 고정구
KR101106160B1 (ko) 외부장착이 가능한 거푸집 연결구
KR102007382B1 (ko) 형틀 체결 장치
KR100291848B1 (ko) 콘크리트 구조물에 앵커 볼트 구멍을 성형하는 방법 및 그 성형기구
KR100771232B1 (ko) 거푸집 간격 유지구
KR200430888Y1 (ko) 거푸집용 간격유지구
KR20130028846A (ko) 거푸집 간격 유지장치
KR101162725B1 (ko) 거푸집 간격 유지장치
KR200397558Y1 (ko) 몰드 결합장치
CN220184637U (zh) 一种制作预留孔的胎具
KR200399281Y1 (ko) 거푸집용 간격유지구
KR200191857Y1 (ko) 스프링지지편과 상호 맞닿는 볼트 머리부의 일측면에표면처리부가 형성된 파일 양생용 몰드고정구
CN214006573U (zh) 一种用于斜混凝土支柱钢模浇筑外壳上的辅助夹具
KR200342749Y1 (ko) 거푸집 고정장치
CN219509163U (zh) 一种基于膨胀盘拉紧机构的剪力墙支护机构
KR101571078B1 (ko) 착탈식 데크플레이트 구조 원터치식 해체도구
CN219381028U (zh) 一种预应力混凝土桩离心加工模具
KR100446023B1 (ko) 거푸집용 간격 유지구
KR200361275Y1 (ko) 콘크리트 거푸집의 간격유지구
KR200392598Y1 (ko) 몰드 결합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0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0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05

Year of fee payment: 8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