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92272Y1 - 콘크리트 파일의 형틀 체결장치 - Google Patents

콘크리트 파일의 형틀 체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92272Y1
KR200392272Y1 KR20-2005-0014702U KR20050014702U KR200392272Y1 KR 200392272 Y1 KR200392272 Y1 KR 200392272Y1 KR 20050014702 U KR20050014702 U KR 20050014702U KR 200392272 Y1 KR200392272 Y1 KR 20039227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lt
bushing
nut
hole
mol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1470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진협
Original Assignee
최진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진협 filed Critical 최진협
Priority to KR20-2005-001470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9227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9227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92272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22Piles
    • E02D5/34Concrete or concrete-like piles cast in position ; Apparatus for making same
    • E02D5/38Concrete or concrete-like piles cast in position ; Apparatus for making same making by use of mould-pipes or other moulds
    • E02D5/385Concrete or concrete-like piles cast in position ; Apparatus for making same making by use of mould-pipes or other moulds with removal of the outer mould-pip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oulds, Cores, Or Mandre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콘크리트 파일의 형틀 체결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체결장치는 볼트(10), 스프링(20), 볼트부싱(30), 너트(50) 및 너트캡(52)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볼트(10)는 헤드(12)와, 상기 헤드(12)에서 연장된 나사부(14), 그리고 상기 나사부(14)에 성형된 걸림턱(16)을 구비한다. 한편 상기 스프링(20)은 상기 볼트(10)에 삽입되어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볼트부싱(30)은 관통공(32) 상부의 일부를 형성하는 제1부싱(34)과, 관통공(32) 상부의 다른 일부를 형성하는 제2부싱(36), 그리고 상부형틀(A1)의 플랜지부(A2)에 고정되는 플랜지 고정부(42)로 구성되고, 스냅링(40)에 의해 단단히 고정된다. 상기 볼트부싱의 걸림부(46)에는 상기 걸림턱(16)이 걸려 상기 볼트부싱(30)을 분해하기 전에는 빠지지 않도록 구성된다. 상기 너트(50)는 하부형틀(B1)의 플랜지부(B2)에 고정된 너트캡(52)에 의하여 지지된다. 상기 너트캡(52)은 원통 모양이고 너트(50)가 삽입되는 육각부(54)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너트캡(52) 외주면에는 너트고정홈(56)이 구비되어 상기 볼트(10)의 흘러내림을 방지하는 너트고정구(58)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콘크리트 파일의 형틀 체결장치{Joint equipment of concrete pile - mold}
본 고안은 콘크리트 파일의 형틀을 체결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체결장치의 형상을 단순화한 콘크리트 파일의 형틀 체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연약지반에 고층건물이나 토목공사를 할 때 하중을 지하 암반부에 전달하기 위하여 파일이 이용된다. 이때, 파일은 철근콘크리트 파일이 보편적으로 사용되는데, 상기 철근콘크리트 파일은 내부에는 보강 철근을 배근하고, 상부형틀과 하부형틀을 이용하여 형을 만든 후, 그 내부에 콘트리트를 타설하여 양생하는 것에 의하여 만들어진다. 상기 양생은 상기 형틀을 고속 회전시켜 콘크리트의 치밀한 다짐을 유도하는 공정을 포함한다.
도 1에는 종래 기술에 의한 콘크리트 파일의 형틀 체결장치의 단면도가 되시되어 있고, 도 2에는 종래 기술에 의한 콘크리트 파일의 형틀 체결장치의 분해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에서 동일 부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도 2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본 고안의 체결장치는 볼트(10)와 상기 볼트(10)에 체결되는 체결너트(51)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볼트는 헤드(12), 걸림턱(16), 나사부(14)를 포함하여 구비되고, 상기 나사부(14)는 상기 볼트(10)의 하단부를 구성한다. 한편, 상기 걸림턱(16)은 상기 나사부(14) 상단에 위치하며, 상기 걸림턱(16) 및 나사부(14)는 그 상부보다 굵은 직경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볼트(10)의 나사부(14)에는 스프링(20) 상단부를 지지하기 위한 스프링 시트(18)가 삽입된다. 한편, 상기 볼트(10)의 나사부(14) 외주면에는 상기 볼트(10)를 탄성 지지하기 위한 스프링(20)이 설치된다.
상기 볼트(10)의 나사부(14)가 중심부분을 관통하는 볼트부싱부(31)는 상부형틀(A1)의 플랜지부(A2) 저면에 용접등의 방법으로 고정된다. 상기 볼트부싱부(31)에는 중심부분의 상하를 관통하는 관통공(32)이 성형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볼트부싱부(31)는 본체부(33)와 보조체부(35)로 구성된다.
상기 본체부(33)는 상부형틀(A1)의 플랜지(A2)부에 용접등으로 고정되고, 관통공(32)의 하부와 상부의 일부를 형성한다. 상기 보조체부(35)는 관통공(32) 상부의 다른 일부를 형성하고, 상기 본체부(33)의 외측부분을 형성한다.
따라서 상기 보조체부(35)가 본체부(33)에 합쳐지면, 하나의 관통공(32)을 구비하는 볼트부싱부(31)가 완성된다. 그리고 상기 보조체부(35)가 본체부(33)에서 분리되면, 상기 관통공(32)은 일측이 개방되기 때문에, 상기 관통공(32)의 내부에 삽입되어 있는 볼트(10)를 분리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본체부(33)의 저면부분에는, 상기 보조체부(35)를 감싸도록 상부로 연장 성형된 연장부(37)가 성형되어 있고, 상기 연장부(37)는 상기 보조체부(35)가 외측으로(원주방향으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본체부(33)와 보조체부(35)의 중간부분 외측면에는, 스프링(20)의 하단부가 안착 될 수 있는 스프링 안착부(39)가 성형되어 있고, 상기 스프링(20)은 상기 본체부(33) 및 보조체부(35)를 감싸는 형태로 장착되어 상기 보조체부(35)가 본체부(33)에서 이탈하지 않도록 지지한다.
그리고 상기 관통공(32)의 상단부에는, 내측으로 돌출성형 된 걸림부(38)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걸림부(38)는 볼트(10)의 걸림턱(16)이 하측에서 걸림으로 인하여 상기 볼트(10)가 상방으로 임의로 해제되지 않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그리고 상기 볼트(10)의 나사부(14)에 나사결합되는 체결너트(51)가 제공되는데, 상기 체결너트(51)는 체결너트캡(53)에 의하여 지지되고 있다. 상기 체결너트캡(53)은 하부형틀(B1)의 플랜지부(B2)에 고정되는데, 상기 체결너트캡(53)은 일측이 개방되어 있어서, 개방된 측으로 상기 체결너트(51)를 끼워넣을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체결너트(51)는 육각너트를 사용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볼트(10)의 나사부(14)는, 상기 체결너트캡(53)에 고정되어 있는 체결너트(51)와 나사결합되는 것에 의하여 체결너트(51)와 결합된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 의한 콘크리트 파일의 형틀 체결장치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먼저, 상기 볼트부싱부(31)가 기하학적으로 복잡한 형상이어서 제조가 어렵다. 따라서 제조 단가가 높아지는 단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볼트부싱부(31)의 본체부(33) 및 보조체부(35)가 결합됨에 있어, 상기 결합은 상기 본체부(33)의 연장부(37)와 스프링(20)에 의해서만 결합력이 지지되므로 결합력이 약한 단점이 있다.
또한, 상기 체결장치를 분해 및 결합함에 있어 상기 스프링(20)을 압축시키고 상기 보조체부(35)를 분리시켜야 하는데, 이때, 상기 스프링(20)의 압축길이(도 2의 L1)는 상기 볼트부싱부(31)의 스프링 안착길이에 상기 연장부(37)의 높이를 더한 길이와 같다. 따라서 상기 스프링(20)을 비교적 많이 압축시켜야 하는 단점이 있다. 더욱이 상기 연장부(37)의 높이를 크게 하면 작업중 볼트부싱부(31)의 안정성이 큰 장점이 있으나 분해시 스프링(20)의 압축길이가 그만큼 늘어나 분해가 어렵고 상기 연장부의 높이를 줄이면 상기 볼트부싱(30)의 결합력이 작아지는 단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콘크리트 파일의 형틀 체결장치에서는 상기 체결너트(51)가 상기 체결너트캡(53)의 개방된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볼트부싱을 결합함에 있어 스냅링을 이용하여 볼트부싱의 구조를 단순화 하면서도 결합력이 강한 볼트부싱의 결합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상기 너트를 결합 또는 분리함에 있서 상기 너트의 움직임을 방지하는 너트캡 및 너트의 결합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의한 체결장치는 헤드와, 상기 헤드에서 연장된 나사부, 그리고 상기 나사부 상부에 성형된 걸림턱을 구비하는 볼트와 상부형틀의 플랜지부에 저면이 고정되고, 관통공을 구비하며, 상기 걸림턱이 하면에서 걸리도록 걸림부가 관통공의 내주면측으로 연장 성형되는 볼트부싱과 상기 볼트와 볼트부싱 사이에 개재되는 스프링 그리고 하부형틀의 플랜지부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볼트와 체결되는 너트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볼트부싱은, 관통공 상부의 일부를 형성하고 플랜지부에 고정되는 제1부싱과, 관통공 상부의 다른 일부를 형성하고, 상기 제1부싱의 타측을 형성하는 제2부싱 그리고 상기 관통공의 하부를 형성하고 상기 제1부싱에 일체형으로 구비되는 플랜지 고정부로 구성되고, 상기 볼트부싱 하단부의 외주면에는 스냅링 홈이 구비되고, 상기 스냅링 홈에는 탈부착가능한 스냅링이 구비된다. 한편, 상기 너트는 하부형틀에 고정된 너트캡에 의하여 지지되며, 상기 너트캡은 원통 모양이고, 너트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6각형관 모양의 육각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너트캡 외주면에는 너트고정홈이 구비되어 탈부착가능한 너트고정구가 구비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고안에 의한 콘크리트 파일의 형틀 체결장치는 볼트부싱의 하단부를 감싸기위한 연장부를 필요로 하지 않으므로 상기 볼트부싱의 형태가 단순화 되고, 제작이 간편하여 상기 체결기구의 생산 단가가 낮아진다. 그리고 상기 볼트부싱은 스냅링에 의하여 결합되므로 그 결합력이 크다. 또한 상기 너트의 움직임이 방지되어 체결 및 분해시 작업이 용이하다.
이하 본 고안에 의한 콘크리트 파일의 형틀 체결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에는 본 고안에 의한 콘크리트 파일의 형틀 체결장치가 분해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고, 도 4에는 본 고안에 의한 콘크리트 파일의 형틀 체결장치가 단면도로 도시되어 있으며, 도 5에는 본 고안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볼트부싱 및 스냅링을 상세 사시도로 도시하고 있고, 도 6에는 본 고안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너트 및 너트캡 그리고 너트고정구를 상세 사시도로 나타내고 있으며, 도 7에서는 본 고안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너트캡에 너트 및 너트고정구가 부착된 상태를 평면도로 도시하고 있다.
이들 도시된 바에 따르면, 본 고안의 체결장치는, 볼트(10)와 상기 볼트에 체결되는 너트(50)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볼트(10)는, 헤드(12)와 상기 헤드(12)에서 하방으로 연장된 나사부(14)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나사부(14)의 상부에는 걸림턱(16)이 성형되어 있으며, 실질적으로 상기 걸림턱(16) 및 나사부(14)는 그 상부보다 직경이 약간 크게 성형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볼트(10)의 나사부(14)에는 스프링 시트(18)가 삽입되어 있다. 상기 스프링 시트(18)는, 스프링(20)의 상단부를 지지하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볼트(10)의 나사부(14) 외주면에는 스프링(20)이 설치된다. 상기 스프링(20)은, 상기 볼트(10)를 상방으로 탄성적으로 지지하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볼트(10)의 나사부(14)가 중심부분을 관통하는 볼트부싱(30)은 상부형틀(A1, 도 1)의 플랜지부(A2, 도 4)에 저면이 용접 등의 방법으로 고정된다. 상기 볼트부싱(30)은 중심부분의 상하를 관통하는 관통공(32)이 성형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볼트부싱(30)은 제1부싱(34)과 제2부싱(36)으로 구성된다. 상기 제1부싱(34)과 제2부싱(36)은 각각 반원의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그 상부에는 내측으로 돌출된 걸림부(38)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제1부싱(34)과 제2부싱(36)의 외주면에는 각각 스냅링(41)이 안착 가능한 스냅링홈(40)이 구비되고, 상기 제1부싱(34)과 제2부싱(36)이 합쳐지면 상기 스냅링홈(40)도 하나의 원형홈을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제1부싱(34)과 제2부싱(36)은 각각 상기 관통공(32) 상부의 일부를 형성한다.
한편, 상기 제1부싱(34)의 하단부에는 플랜지 고정부(42)가 용접등의 방법에 의해 고정되어 형성된다(도 4참조). 상기 플랜지 고정부(42)는 내부에 관통공(32)을 가진 중공형의 원통형태이고, 상기 플랜지 고정부(42)는 제1부싱(34)과는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반면 제2부싱(36)과는 결합되지 않고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제2부싱(36)이 제1부싱(34)에 합쳐지면, 하나의 관통공(32)을 구비하는 볼트부싱(30)이 완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2부싱(36)이 제1부싱(34)에서 분리되면, 상기 관통공(32)은 상부 일측이 개방되기 때문에, 상기 관통공(32)의 내부에 삽입되어 있는 볼트(10)를 쉽게 분리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부싱(34) 및 제2부싱(36)은 그 하단부의 외주면에 스냅링홈(40)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스냅링홈(40)에는 스냅링(41)이 탈착가능하다.
상기 스냅링(41)은 상기 제2부싱(36)이 외측(원주방향)으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 소정의 체결장치에 의하여 체결 및 분리가 이루어 진다.
상기 제1부싱(34)과 제2부싱(36)의 중간부분 외측면에는, 스프링(20)의 하단부가 안착될 수 있는 스프링 안착부(39)가 성형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스프링(20)이 상기 스프링 안착부(39)에 안착되는 것에 의하여, 스프링(20)은 상기 제1부싱(34) 및 제2부싱(36)을 감싸는 형태로 장착되기 때문에, 상기 제2부싱(36)이 제1부싱(34)에서 이탈하지 않도록 지지하게 된다.
그리고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1부싱(34)과 제2부싱(36)을 통하여 형성되는 관통공(32)의 상단부에는, 내측으로 돌출성형된 걸림부(38)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걸림부(38)는, 볼트(10)의 걸림턱(16)이 하측에서 걸림으로 인하여, 상기 볼트(10)가 상방으로 임의로 해제되지 않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 구성을 정리하면, 상기 제2부싱(36)이 상기 스냅링(41)에 의하여 제1부싱(34)에 조립된 상태에서는, 상기 볼트(10)가 관통공(32) 속으로 삽입되면, 상기 걸림턱(16)이 걸림부(38)에 걸리는 상태가 되어서, 볼트(10)가 관통공(32)의 상부를 통하여 빠져나올 수 없는 상태이다. 그러나 상기 제2부싱(36)이 제1부싱(34)에서 분리되는 상태에서는, 상기 볼트(10)는 상기 관통공(32)에서 상방으로 분리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볼트(10)의 나사부(14)에 나사결합되는 너트(50)가 제공되는데, 상기 너트(50)는, 너트캡(52)에 의하여 지지되고 있다. 상기 너트캡(52)은 하부형틀(B1)의 플랜지부(B2)에 고정되는데(예를 들면 용접),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너트캡(52)은 하방이 개방되어 하방향으로 너트(50)를 삽입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너트캡(52)의 외주면에는 너트고정홈(56)이 형성되고 여기에 소정의 탄성을 가지는 너트고정구(58)가 체결된다. 상기 너트고정구(58)가 상기 너트고정홈(56)에 삽입되면, 상기 너트캡(52)의 내부로 돌출되어 상기 너트(50)가 빠지는 것을 방지한다. 그리고 상기 너트(50)는 육각너트가 사용되며, 상기 너트캡(52)에 너트(50)가 끼워 넣어진 상태에서는 상기 너트캡(52)의 육각부(54)에 의하여 상기 너트(50)가 회전하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볼트(10)의 나사부(14)는, 상기와 같이 너트캡(52)에 고정되어 있는 너트(50)의 체결공(60)에 나사결합되는 것에 의하여 볼트(10)와 너트(50)가 완전하게 고정될 수 있게 된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고안에 의한 콘크리트 파일의 형틀 체결장치의 작용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4는 상부형틀 및 하부형틀의 각각의 플랜지부에 본 고안의 체결장치가 결합된 상태를 보이고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는, 상기 볼트(10)의 나사부(14)가 볼트부싱(30)의 관통공(32)을 통하여 하방으로 삽입되어 있으며, 그 하단부에서 너트(50)와 체결되어 있는 상태이다. 따라서 상기 각각의 플랜지부는, 완전히 체결된 상태이다.
이러한 상태에서 작업중 상기 체결장치가 파손되거나 작업후 상기 체결장치를 재사용해야하는 경우, 먼저 상기 볼트(10)를 회전시켜 나사 결합을 해체시킨후 상기 볼트부싱(30)의 제2부싱(36)을 분리하여 상기 구성요소들을 해체한후 정비하여 다시 결합하고 상기 제2부싱(36)을 고정시킨후 볼트(10)를 조여준다.
상기 분해 과정을 종래 기술에 의할 경우 도 2에 되시된 바와 같이 먼저, 상기 볼트(10)를 회전시켜 나사결합을 해체시키고 체결너트(51)를 체결너트캡(53)으로 부터 빼낸다. 다음으로, 상기 스프링(20)을 L1의 높이(도 2)만큼 들어올린 후 상기 보조체부(35)를 분리해 낸다. 한편, 결합시에는 상기 스프링(20)을 L1의 높이만큼 들어올린 후 상기 보조체부(35)를 삽입한 후에 스프링(20)을 원위치 시킨다. 이후 상기 체결너트캡(53)의 개방된 방향으로 체결너트(51)를 밀어넣고 다시 빠지지않도록 지지한 상태에서 상기 볼트(10)를 조여 체결한다.
이러한 종래 구성에서는 스프링(20)을 비교적 긴 길이(L1)까지 압축시켜야 하고, 결합시 체결너트(51)를 측방향 이동이 없도록 손으로 고정시켜야 한다.
그러나 본 고안에 의한 해체과정에서는 먼저 상기 볼트(10)를 회전시켜 나사결합을 해체시키고, 너트캡(52)의 너트고정구(58)를 제거한 후에 너트(50)를 너트캡(52)으로 부터 빼낸다. 다음으로, 소정의 기구에 의해 상기 스냅링(41)을 제거한 후 스프링(20)을 L2(도 3)의 높이만큼 압축시키고 상기 제2부싱(36)을 분리하여 결합장치를 분리한다. 한편, 결합시에는 먼저 상기 스프링(20)을 L2높이 만큼 압축시킨 이후에 상기 제2부싱(36)을 결합하고 상기 스프링(20)을 원위치 시킨 후 상기 볼트부싱(30)을 스냅링(41)으로 고정한다. 그 이후에 너트캡(52)에 너트(50)를 삽입하고 너트고정구(58)를 너트캡(52) 외주면에 구비된 상기 너트고정홈(56)에 체결한다. 이후 볼트(10)를 조여 체결장치를 체결한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에서는 상기 스프링(20)을 비교적 짧은 거리(L2)만 압축시켜 상기 제2부싱(36)을 분리해낼 수 있다. 한편, 결합상태의 상기 볼트부싱(30)은 스프링(20) 및 본체부(33)의 연장부(37)에만 의존하여 고정되지 않고 스냅링(41)에 의하여 단단히 고정된다.
본 고안의 권리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고안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위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한 콘크리트 파일의 형틀 체결장치에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본 고안에서는 상기 볼트부싱이 상기 본체부의 연장부 없이 형성되므로 형태가 단순화 된다. 따라서 제작이 간편하여 상기 체결기구의 생산 단가가 낮아지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볼트부싱은 스냅링에 의하여 결합되므로 그 결합력이 크다. 따라서 상기 콘크리트 파일을 고속 회전 양생할 경우 상기 체결장치에는 큰 하중이 작용하고, 상기 볼트부싱이 분리될 우려가 있는데, 이 경우 본 고안에 의한 체결장치는 콘크리트 양생 작업중 상기 볼트부싱이 분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볼트부싱의 분해 및 결합시에 스프링의 압축 길이가 짧아 손 쉽게 상기 스냅링의 분해 및 결합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볼트를 조일 때 너트의 변위가 고정되므로 위치를 조정할 필요가 없고, 작업시 볼트의 움직임이 없어 쉽게 볼트를 조일 수 있다.
도 1은 종래 체결장치가 형틀에 체결된 모습을 보인 단면도.
도 2는 종래 체결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체결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체결장치가 형틀에 체결된 모습을 보인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실시예를 이루는 볼트부싱의 분해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의 실시예를 이루는 너트, 너트캡 및 너트고정구를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본 고안의 실시예를 이루는 너트캡에 너트및 너트고정구가 체결된 모습을 나타낸 평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볼트 12 : 헤드
14 : 나사부 16 : 걸림턱
18 : 스프링 시트 20 : 스프링
30 : 볼트부싱 32 : 관통공
34 : 제1부싱 36 : 제2부싱
38 : 걸림부 39 : 스프링 안착부
40 : 스냅링홈 41 : 스냅링
42 : 플랜지 고정부 50 : 너트
52 : 너트캡 54 : 육각부
56 : 너트고정홈 58 : 너트고정구
60 : 체결공 A1 : 상부형틀
A2 : 상부형틀 플랜지 B1 : 하부형틀
B2 : 하부형틀 플랜지

Claims (2)

  1. 헤드(12)와, 상기 헤드(12)에서 연장된 나사부(14), 그리고 상기 나사부(14) 상부에 성형된 걸림턱(16)을 구비하는 볼트(10)와;
    관통공(32) 상부의 일부를 형성하고 상부형틀(A1)의 플랜지부(A2)에 고정되는 제1부싱(34)과, 관통공(32) 상부의 다른 일부를 형성하고, 상기 제1부싱(34)의 상부 일측을 형성하는 제2부싱(36), 그리고 관통공(32) 하부를 형성하고 상기 제1부싱(34)의 하부에 일체로 형성되는 플랜지 고정부(42)로 구성되고, 상기 걸림턱(16)이 하면에서 걸리도록 걸림부(38)가 관통공(32)의 내주면측으로 연장 성형되며, 상기 제2부싱(36)을 분리하는 것에 의하여 상기 관통공(32)에 삽입된 볼트(10)가 분리 가능하고, 상기 제1부싱(34)과 제2부싱(36)은 하단부의 외주면에 스냅링홈(40)을 구비하며, 상기 스냅링홈(40)에 구비된 탈부착 가능한 스냅링(41)에 의하여 연결되어 있고, 상기 스냅링(41)을 제거하므로 분리가 가능한 볼트부싱(30)과;
    상기 볼트(10)와 상기 볼트부싱(30) 사이에 개재되는 스프링(20)과;
    하부형트(B1)의 플랜지부(B2)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볼트(10)와 체결되는 너트(50)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파일의 형틀 체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너트(50)는 하부형틀(B1)의 플랜지부(B2)에 고정된 너트캡(52)에 의하여 지지되고, 상기 너트캡(52)은 원통 모양이고, 너트(50)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6각형 관 모양의 육각부(54)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너트캡(52)의 외주면에는 너트고정홈(56)이 구비되고, 상기 너트고정홈(56)에는 상기 볼트(10)의 흘러내림을 방지하는 탈부착이 가능한 너트고정구(58)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파일의 형틀 체결장치.
KR20-2005-0014702U 2005-05-24 2005-05-24 콘크리트 파일의 형틀 체결장치 KR20039227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4702U KR200392272Y1 (ko) 2005-05-24 2005-05-24 콘크리트 파일의 형틀 체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4702U KR200392272Y1 (ko) 2005-05-24 2005-05-24 콘크리트 파일의 형틀 체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92272Y1 true KR200392272Y1 (ko) 2005-08-19

Family

ID=436934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14702U KR200392272Y1 (ko) 2005-05-24 2005-05-24 콘크리트 파일의 형틀 체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92272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4570Y1 (ko) 2009-04-09 2011-07-13 (주)동화볼트 파일 제조용 몰드의 체결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4570Y1 (ko) 2009-04-09 2011-07-13 (주)동화볼트 파일 제조용 몰드의 체결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52824B2 (en) Shrinkage-compensating continuity system
KR102166001B1 (ko) 강화 커플러 및 칼럼 정렬 장치 조합
KR101757713B1 (ko) 쐐기 어셈블리의 구조가 개선된 다목적 재긴장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재긴장 시공방법
AU2013201398B2 (en) Wooden member joint structure
JP2018519439A (ja) 固定アセンブリ
KR20180132193A (ko) 앵커장치 및 이를 이용한 구조물지지 장치
KR101920836B1 (ko) 콘크리트 건축물 시공을 위한 걸쇠식 유볼트형 자재 결속구
US20040223815A1 (en) Yieldable prop having a yield section
KR200392272Y1 (ko) 콘크리트 파일의 형틀 체결장치
KR101128784B1 (ko) 콘크리트 거푸집용 고정구
JP3740683B2 (ja) 柱脚固定用金具及びそれを用いた柱脚構造
KR200232716Y1 (ko) 높이 조절형 하중 지지대
KR101742159B1 (ko) 부반력 제어 앵커 조립체 및 이의 시공방법
WO2006121301A1 (en) Anchor bolt assembly
KR200260612Y1 (ko) 콘크리트 파일형틀의 체결장치
KR101607665B1 (ko) 갱폼 고정장치
KR102130526B1 (ko) 거푸집용 선시공 타입 볼트 어셈블리
KR102007382B1 (ko) 형틀 체결 장치
KR100874720B1 (ko) 유압식 스크류 잭
KR200426202Y1 (ko) 거푸집 고정구
KR200482379Y1 (ko) 동바리
WO2001004430A1 (en) Co-axial joint system
KR101548884B1 (ko) 체결부재 풀림방지 장치
KR100932529B1 (ko) 거푸집 지지용 수평틀 어셈블리
KR200376611Y1 (ko) 회전 브라켓을 가지는 토건용 유압랩 삽입 스크류잭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