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61275Y1 - 콘크리트 거푸집의 간격유지구 - Google Patents

콘크리트 거푸집의 간격유지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61275Y1
KR200361275Y1 KR20-2004-0015499U KR20040015499U KR200361275Y1 KR 200361275 Y1 KR200361275 Y1 KR 200361275Y1 KR 20040015499 U KR20040015499 U KR 20040015499U KR 200361275 Y1 KR200361275 Y1 KR 20036127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rmwork
separator
present
gap
concre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1549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구철
Original Assignee
강구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구철 filed Critical 강구철
Priority to KR20-2004-001549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6127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6127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61275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7/00Connecting or other auxiliary members for forms, falsework structures, or shutterings
    • E04G17/06Tying means; Spacers ; Devices for extracting or inserting wall ties
    • E04G17/065Tying means, the tensional elements of which are threaded to enable their fastening or tensioning
    • E04G17/0651One-piece elements
    • E04G17/0654One-piece elements remaining completely or partially embedded in the cast mate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건축이나 토목공사에서 콘크리트 구조물을 형성하는 콘크리트 거푸집의 간격유지구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다수개의 결합공이 천공된 내·외측거푸집 사이에 설치되어 간격을 유지하는 콘트리트 거푸집의 간격유지구에 있어서, 상기 내·외측거푸집의 간격이 조절되도록 간격유지구를 좌·우세퍼레이터로 분리하되, 상기 좌세퍼레이터의 일측에 스터드볼트를 구비하여 이 스터드볼트와 나사결합되도록 우세퍼레이터에 너트공을 형성하고, 상기 좌·우세퍼레이터가 나사결합된 각각의 타측은 내·외측거푸집의 결합공으로 관통되어 그 외주면으로 형성된 수나사에 고정너트를 나사결합하여 내·외측거푸집을 고정시키며, 상기 좌·우세퍼레이터의 외주면으로 내·외측거푸집의 내면을 지지하도록 지지편을 형성하여 구성된다.
따라서, 본 고안은 경량이면서 조립과 해체가 용이하여 거푸집의 간격을 용이하게 유지시켜 인건비를 절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공기 중의 산화로 발생되는 구조물의 부식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콘크리트 거푸집의 간격유지구{STRUCTURE MAINTAINING SPACE BETWEEN CONCRETE FORMS}
본 고안은 건축이나 토목공사에서 콘크리트 구조물을 형성하는 콘크리트 거푸집의 간격유지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경량이면서 조립과 해체가 용이하여 거푸집의 간격을 용이하게 유지시켜 인건비를 절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공기 중의 산화로 발생되는 구조물의 부식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콘크리트 거푸집의 간격유지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이나 토목공사에서 콘크리트 구조물을 형성하기 위해 사용되는 거푸집은 프레임과 결합되는 패널로 이루어진 내·외측거푸집 사이에 간격유지구가 설치되며, 이러한 간격유지구는 거푸집의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면서 콘크리트 구조물의 양생과정에서 발생되는 하중으로 거푸집이 틀어지거나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이와 같은 종래의 콘크리트 거푸집의 간격유지구는 도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개의 결합공(2a)(3a)이 천공된 내·외측거푸집(2)(3) 사이에 양측 외주면으로 수나사(11)가 형성된 연결봉(10)을 배치하고, 상기 연결봉(10)의 수나사(11)와 각각 나사결합되도록 받침구(12)에 좌·우로 연이어지는 암나사(12a)를 형성하며, 상기 내·외측거푸집(2)(3) 각각의 결합공(2a)(3a)으로 관통되는 타이볼트(13)를 받침구(12)의 암나사(12a)와 나사결합하고, 상기 타이볼트(13)와 나사결합되는 나비너트(1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러나, 종래의 콘크리트 거푸집의 간격유지구는 다수개의 부품으로 이루어져 거푸집에 설치하고 해체하는 작업이 불편하고, 콘크리트 구조물이 양생된 후에거푸집의 해체로 타이볼트(13)가 제거된 콘크리트 구조물에 홈이 형성되어 이 홈에 시멘트와 모래가 적절히 배합된 모르타르로 마감해야 하므로 작업자의 소요시간 증대로 공사기간이 늘어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또한 타이볼트(13)를 제거하면서 형성된 홈으로 공기가 유입되어 산화되므로 구조물의 철근과 맞닿아 부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에서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 경량이면서 조립과 해체가 용이하여 거푸집의 간격을 용이하게 유지시켜 인건비를 절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공기 중의 산화로 발생되는 구조물의 부식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콘크리트 거푸집의 간격유지구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내·외측거푸집 사이에 설치되는 간격유지구를 좌·우세퍼레이터로 분리하여 스터드볼트로 나사결합하고, 상기 좌·우세퍼레이터가 결합된 타측은 내·외측거푸집의 결합공으로 관통되어 그 외주면으로 형성된 수나사에 고정너트를 나사결합하며, 좌·우세퍼레이터의 외주면으로 지지편을 형성하여 내·외측거푸집의 내면을 지지하는 것이다.
도 1 은 종래의 콘크리트 거푸집에 간격유지구가 결합된 단면도.
도 2 는 본 고안의 분해사시도.
도 3 은 본 고안의 단면도.
도 4 는 본 고안의 사용상태도.
도 5 는 본 고안에 따른 좌·우세퍼레이터가 콘크리트 구조물에 매설된 상태를 보인 예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
2 : 내측거푸집 3 : 외측거푸집
2a, 3a : 결합공 20 : 좌세퍼레이터
21 : 스터드볼트 22, 32 : 수나사
23, 33 : 지지편 30 : 우세퍼레이터
31 : 너트공 40 : 고정볼트
C : 콘크리트 구조물
이하, 첨부된 도면에 따라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을 설명하는데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및 구성에 대해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될 때는 그 상세한 설명을생략한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고안의 기능을 고려하여 설정된 것으로, 이는 생산자의 의도 및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의 전반에 기재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첨부된 도2 는 본 고안의 분해사시도이고, 도3 은 도2 의 결합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며, 도4 는 본 고안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5 는 본 고안에 따른 좌·우세퍼레이터가 콘크리트 구조물에 매설된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본 고안은 도2 내지 도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개의 결합공(2a)(3a)이 천공된 내·외측거푸집(2)(3) 사이에 설치되어 간격을 유지하는 콘트리트 거푸집의 간격유지구에 있어서,
상기 내·외측거푸집(2)(3)의 간격이 조절되도록 간격유지구를 좌·우세퍼레이터(20)(30)로 분리하되, 상기 좌세퍼레이터(20)의 일측에 스터드볼트(21)를 구비하여 이 스터드볼트(21)와 나사결합되도록 우세퍼레이터(30)에 너트공(31)을 형성하고, 상기 좌·우세퍼레이터(20)(30)가 나사결합된 각각의 타측은 내·외측거푸집(2)(3)의 결합공(2a)(3a)으로 관통되어 그 외주면으로 형성된 수나사(22)(32)에 고정너트(40)를 나사결합하여 내·외측거푸집(2)(3)을 고정시키며, 상기 좌·우세퍼레이터(20)(30)의 외주면으로 내·외측거푸집(2)(3)의 내면을 지지하도록 지지편(23)(33)을 일체로 형성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좌·우세퍼레이터(20)(30)는 대략 환봉 형상으로 이루어져 플라스틱재의 폴리아미드계 수지로서 기계적 물성이 우수하고, 치수안정성 및 내열성이 우수한 복합강화나일론66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 하지만, 필요에 따라 다른 플라스틱 및 합성수지재로 형성할 수도 있다.
상기 좌세퍼레이터(20)의 일측에는 너트공(20a)이 형성되어 이 너트공(20a)으로 적절한 길이를 가지는 스터드볼트(21)가 나사결합으로 고정되고, 타측은 내측거푸집(2)의 결합공(2a)으로 일정한 길이만큼 관통되어 그 관통된 외주면으로 수나사(22)가 형성된다.
상기 우세퍼레이터(30)에는 좌세퍼레이터(20)의 스터드볼트(21)와 나사결합되도록 너트공(31)이 일체로 형성되며, 타측은 외측거푸집(3)의 결합공(3a)으로 관통되어 그 관통된 외주면으로 수나사(32)가 형성된다.
상기 고정볼트(40)는 내·외측거푸집(2)(3)의 결합공(2a)(3a)으로 관통된 좌·우세퍼레이터(20)(30) 각각의 수나사(22)(33)와 나사결합되어 내·외측거푸집(2)(3)의 간격을 유지하면서 견고히 고정하게 된다.
한편, 상기 좌·우세퍼레이터(20)(30)의 외주면에는 지지편(23)(33)이 돌출되게 일체로 형성되어 내·외측거푸집(2)(3)의 내면을 견고히 지지하게 되며, 이러한 지지편(23)(33)은 거푸집이 해체된 후에 콘크리트 구조물의 마감재 역할을 하게된다. 더하여 상기 좌·우세퍼레이터(20)(30)의 외주면에는 지지편(23)(33)을 보강하도록 다수개의 보강리브(24)(34)가 일체로 형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콘크리트 구조물을 형성하도록 내·외측거푸집(2)(3) 사이에 좌·우세퍼레터(20)(30) 각각의 수나사(22)(32)가 결합공(2a)(3a)으로 관통되게 배치한 상태에서 좌세퍼레이터(20)에 구비된 스터드볼트(21)를 우세퍼레이터(30)의 너트공(31)에 나사결합으로 체결한다.
이어서, 내·외측거푸집(2)(3)의 간격에 따라 좌·우세퍼레터(20)(30)의 나사결합 상태를 좌·우세퍼레이터(20)(30) 각각의 지지편(23)(33)이 내·외측거푸집(2)(3)의 내면과 밀착될 때까지 조절한다.
다음으로, 내·외측거푸집(2)(3)의 결합공(2a)(3a)으로 관통된 좌·우세퍼레이터(20)(30) 각각의 수나사(22)(32)에 고정너트(40)로 나사결합하여 고정하면 내·외측거푸집(2)(3)이 견고히 고정된다.
이러한 일련의 과정으로 내·외측거푸집(2)(3) 사이에 간격유지구를 설치하여 콘크리트 구조물이 완성되면 좌·우세퍼레이터(20)(30) 각각의 수나사(22)(32)와 나사결합된 고정너트(40)를 풀어 내·외측거푸집(2)(3)을 제거하고, 마무리 작업으로 도5 에서와 같이 프라스틱재로 이루어진 좌·우세퍼레이터(20)(30)의 돌출된 부분을 망치로 제거하면 거푸집의 해체가 완성된다.
따라서, 내·외측거푸집(20)(30) 사이에 설치되는 간격유지구의 설치와 해체가 용이하고, 별도의 마감재를 사용하지 않게 되므로 작업을 빠르게 할 수 있으며, 공기가 유입되는 홈이 형성되지 않으므로 콘크리트 구조물의 철근이 부식되지 않는 장점이 있다.
이상의 설명은 하나의 실시 예를 설명하는 것에 불과하고, 상술한 실시 예에 한정되니 않으며 첨부된 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도록 실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고안의 실시 예에 구체적으로 나타난 각 구성요소의 형상 및구조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 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은 경량이면서 조립과 해체가 용이하여 거푸집의 간격을 용이하게 유지시켜 인건비를 절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공기 중의 산화로 발생되는 구조물의 부식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고안이다.

Claims (2)

  1. 다수개의 결합공(2a)(3a)이 천공된 내·외측거푸집(2)(3) 사이에 설치되어 간격을 유지하는 콘트리트 거푸집의 간격유지구에 있어서,
    상기 내·외측거푸집(2)(3)의 간격이 조절되도록 간격유지구를 좌·우세퍼레이터(20)(30)로 분리하되, 상기 좌세퍼레이터(20)의 일측에 스터드볼트(21)를 구비하여 이 스터드볼트(21)와 나사결합되도록 우세퍼레이터(30)에 너트공(31)을 형성하고, 상기 좌·우세퍼레이터(20)(30)가 나사결합된 각각의 타측은 내·외측거푸집(2)(3)의 결합공(2a)(3a)으로 관통되어 그 외주면으로 형성된 수나사(22)(32)에 고정너트(40)를 나사결합하여 내·외측거푸집(2)(3)을 고정시키며, 상기 좌·우세퍼레이터(20)(30)의 외주면으로 내·외측거푸집(2)(3)의 내면을 지지하도록 지지편(23)(33)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거푸집의 간격유지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좌·우세퍼레이터(20)(30)는 플라스틱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거푸집의 간격유지구.
KR20-2004-0015499U 2004-06-03 2004-06-03 콘크리트 거푸집의 간격유지구 KR20036127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15499U KR200361275Y1 (ko) 2004-06-03 2004-06-03 콘크리트 거푸집의 간격유지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15499U KR200361275Y1 (ko) 2004-06-03 2004-06-03 콘크리트 거푸집의 간격유지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61275Y1 true KR200361275Y1 (ko) 2004-09-07

Family

ID=493498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15499U KR200361275Y1 (ko) 2004-06-03 2004-06-03 콘크리트 거푸집의 간격유지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61275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2278B1 (ko) * 2008-10-17 2009-08-17 강희준 거푸집용 간격유지대
KR101210855B1 (ko) * 2011-11-28 2012-12-11 (주)계림건축사사무소 표준형 주택용 거푸집
KR101286234B1 (ko) 2011-12-29 2013-07-15 한국항공우주산업 주식회사 항공기 동체 간극조절용 스터드 볼트 어셈블리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2278B1 (ko) * 2008-10-17 2009-08-17 강희준 거푸집용 간격유지대
KR101210855B1 (ko) * 2011-11-28 2012-12-11 (주)계림건축사사무소 표준형 주택용 거푸집
KR101286234B1 (ko) 2011-12-29 2013-07-15 한국항공우주산업 주식회사 항공기 동체 간극조절용 스터드 볼트 어셈블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37325B1 (ko) 탈형 데크
KR101929380B1 (ko) 천연목재 난간 기둥 고정장치
KR200361275Y1 (ko) 콘크리트 거푸집의 간격유지구
JP2007144920A (ja) 緊張用接続具
CN211873851U (zh) 一种对拉螺栓组件、施工支护体系及现浇自保温围护墙
JPH1136234A (ja) プレキャスト埋設型枠を用いたコンクリート構造物の構築方法
CN209482717U (zh) 一种建筑模板支撑体系的支撑模板单元
US6910672B2 (en) Corner assembly
KR200423452Y1 (ko) 거푸집 고정용 세파타이
KR200238548Y1 (ko) 콘크리트 거푸집의 간격고정구
KR20170090536A (ko) 벽체 거푸집에 사용되는 c형 고정구와 이를 포함하는 벽체용 에코 거푸집
KR200254708Y1 (ko) 거푸집 타이 매립형 고정구
KR200342749Y1 (ko) 거푸집 고정장치
KR102533394B1 (ko) 매립 앵커 장치
KR200482271Y1 (ko) 콘크리트 매립형 화스너
JP6415963B2 (ja) 型枠パネル用支持材、及びコンクリート壁体の構築構造
KR20090099383A (ko) 관통슬리브용 고정구
CN210713835U (zh) 一种剪力墙加固件
KR200444636Y1 (ko) 거푸집 폼 타이를 연결하는 구조
KR200321433Y1 (ko) 거푸집용 세파타이
CN209482718U (zh) 一种建筑模板支撑体系的连接模板单元
JP7034433B2 (ja) コンクリート製埋設型枠及びコンクリート製埋設型枠と後打ちコンクリートとの一体化方法
KR100412537B1 (ko) 플라스틱 조립식 담장
JP4512615B2 (ja) 手摺支柱補強材の取付装置
KR200381298Y1 (ko) 거푸집 체결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EXTG Extinguishment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