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29380B1 - 천연목재 난간 기둥 고정장치 - Google Patents

천연목재 난간 기둥 고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29380B1
KR101929380B1 KR1020180111249A KR20180111249A KR101929380B1 KR 101929380 B1 KR101929380 B1 KR 101929380B1 KR 1020180111249 A KR1020180111249 A KR 1020180111249A KR 20180111249 A KR20180111249 A KR 20180111249A KR 101929380 B1 KR101929380 B1 KR 1019293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ooden
cap
bottom plate
wood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112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효덕
Original Assignee
안효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효덕 filed Critical 안효덕
Priority to KR10201801112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2938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293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293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7/00Fencing, e.g. fences, enclosures, corrals
    • E04H17/14Fences constructed of rigid elements, e.g. with additional wire fillings or with posts
    • E04H17/20Posts therefor
    • E04H17/22Anchoring means therefor, e.g. specially-shaped parts entering the ground; Struts or the li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teps, Ramps, And Handrai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천연목재 난간 기둥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친환경적인 외관을 살릴 수 있도록 목재 외관에 볼트 등으로 흠집을 내지 않고 외형을 살려 난간기둥의 외관을 살릴 수 있도록 하며, 천연목재 난간기둥의 지지력을 강화할 수 있으며, 나사, 볼트 등의 체결도구 없이 설치작업을 신속,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 바닥면을 이루는 금속제 장선(F)의 상부면에 용접고정되며 복수개의 결합공(100)이 형성된 금속재질의 바닥플레이트(10);
상기 바닥플레이트(10)의 중앙부 상면에 고정되는 금속재질의 보강파이프(20);
상기 보강파이프(20)에 삽입되게 중앙에 중심공(300)이 형성된 천연 목재기둥(30);
상기 목재기둥(30)의 상단면에 밀착되어 조여지게 상기 보강파이프(20)의 상단부에 나사식으로 체결되는 상단고정구(40);
상부면에 상기 목재기둥(30) 하단이 안착되며 하부면에 상기 결합공(100)과 대응되는 복수개의 결합돌기가 형성되어 하부가 상기 바닥플레이트(10)의 결합공(100)에 결속되고 하측으로 결합돌기와 상기 바닥플레이트(10)를 감싸지게 목재데크(S)가 양측에서 설치되는 하단캡(50);
상기 목재기둥(30)의 상부 단면과 대응되는 삽입홈(600)이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목재기둥(30)의 상부면에 설치되는 상단캡(60)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천연목재 난간 기둥 고정장치{Post fixing apparatus for wood handrail}
본 발명은 천연목재 난간 기둥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히는 친환경적인 외관을 살릴 수 있도록 목재 외관에 볼트 등으로 흠집을 내지 않고 외형을 살려 난간기둥의 외관을 살릴 수 있도록 하며, 천연목재 난간기둥의 지지력을 강화할 수 있으며, 나사, 볼트 등의 체결도구 없이 설치작업을 신속,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한 천연목재 난간 기둥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예로부터 교량이나 계단 등의 난간은 목재로 제작하여 왔으나, 제조 및 설치의 편의성 및 수명연장을 위하여 철재 난간이 널리 사용되어 왔다.
최근에는 환경오염이 심화되면서 전 산업분야에 있어서 환경보호를 위한 노력이 활발해지고 있으며, 이러한 관점에서 친환경적이며 자연환경과 조화를 이룰 수 있는 소재로서 목재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와 관련한 선행기술로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039015호(2011.05.30. 등록)"목재 난간 기둥 고정구조"(이하 '선행기술 1'이라 함)는 목재 난간기둥을 형성하며, 바닥재에 접하는 하부에 원형 슬릿(slit)이 형성된 제1고정구; 상면, 저면이 각각 제1고정구의 저면과 바닥재 상면에 접속되는 평판형 바닥접속부와, 상하로 개방된 원통형상으로 바닥접속부 상부에 연결형성되며 제1고정구의 슬릿 외주면에 밀착되게 끼워져 고정되는 기둥삽입부가 구비되는 제2고정구; 및 상면이 바닥재 저면에 접속되는 받침고정부와, 상부가 개방된 원통형상으로 받침고정부 상부에 연결형성되며 바닥재를 관통하여 제1고정구의 슬릿의 내주면과 제2고정구의 기둥삽입부의 내주면 사이에 삽입, 고정되는 수직고정부가 구비되는 제3고정구;를 포함하여, 지지력을 견고하게 구현 및 유지할 수 있으며, 조립, 설치가 간편하게 되도록 한 기술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선행기술 1은 목재 난간기둥을 구성하는 제1고정구가 하단에서만 바닥재에 고정되는 것이어서 지지력이 견고하게 이루어지지 않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지지력을 강화한 선행기술로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499040호(2015.02.27. 등록) "목재외피의 변형이 방지되는 목재형 디자인 난간"(이하, '선행기술 2'라 함)은 비철금속이나, 철재, 또는 플라스틱 재질로 제조된 속주를 직립되게 설치하고, 속주의 외측에 목재로된 목재외피를 간단히 끼워 결합하여 난간기둥을 완성함으로써 지지력을 강화할 수 있도록 한 기술을 개시하고 있다.
그리고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437060호(2014.08.27. 등록) "데크 로드 시스템"(이하, '선행기술 3'이라 함)은 2열로 평형하게 설치되며 제1조립수단과 볼트너트를 이용해 분해 조립이 가능하도록 일정 간격으로 연결프레임을 연결 형성한 멍에프레임; 직결나사못을 이용해 멍에프레임 상부에 2열로 평행하게 설치되는 장선프레임; 직결나사못을 이용해 장선프레임 상부에 연속적으로 설치되는 데크플레이트; 제2조립수단과 볼트너트를 이용해 분해 조립이 가능하도록 멍에프레임 하부에 일정 간격으로 설치되는 지주; 볼트너트를 이용해 지주의 하단부에 설치되어 지중에 매립되면서 지상에 설치되는 지주(4)를 지지하는 기초구조물; 제3조립수단과 볼트너트를 이용해 분해 조립이 가능하도록 멍에프레임 상부에 일정 간격으로 설치되는 난간지지대; 제4조립수단과 볼트너트를 이용해 분해 조립이 가능하도록 난간지지대 상단부에 결합되는 난간부재로 구성함으로써 주요 구성부의 규격화를 통해 공장에서의 대량 생산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현장에서 간편하게 조립 설치할 수 있는 기술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선행기술 2는 비철금속이나 철재 또는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진 속주의 일부가 외부로 노출되기 때문에 지지력을 강화할 수 있는 있으나 외관적으로 목재외피의 재질인 목재와 속주의 재질인 비철금속이나 철재 또는 플라스틱이 노출되기 때문에 친환경적인 분위기를 조성하는데 에는 미흡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속주와 목재외피를 결합하기 위하여 속주의 양측에 형성된 가이드돌출편을 한쌍의 목재외피에 형성된 슬라이딩홈에 삽입하도록 구성되어 있어 가이드돌출편이 쉽게 휘어지는 등의 변형이 발생하거나 슬라이딩홈 주위가 쉽게 파손되어 속주와 목재외피의 결합력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그리고 선행기술 3은 데크플레이트가 장선프레임의 상부에 직결나사못에 의해 결합되고 지주는 멍에프레임에 볼트너트에 의해 결합되도록 구성되어 있어 시간이 경과되고 빗물 등이 스며들면서 금속으로된 직결나사못과 볼트너트 등이 쉽게 부식되고부식은 전이되어 데크플레이트, 지주, 프레임 등을 손상시키고 구조물의 안전을 위협하게 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특허문헌 0001(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499040호(2015.02.27. 등록)) "목재외피의 변형이 방지되는 목재형 디자인 난간" 특허문헌 0002(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499040호(2015.02.27. 등록)) "목재외피의 변형이 방지되는 목재형 디자인 난간" 특허문헌 0003(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437060호(2014.08.27. 등록))"데크 로드 시스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친환경적인 외관을 살릴 수 있도록 천연의 목재기둥 외관에 볼트 등으로 흠집을 내지 않고 외형을 살려 난간기둥의 외관을 살릴 수 있게 하는 동시에 목재기둥의 지지력을 강화할 수 있게 하고 나사, 볼트 등의 별도의 체결도구 없이 하단캡이 손쉽게 끼워 막춤식으로 조립 설치되어 난간 기둥의 설치가 신속,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천연목재 난간 고정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천연목재 난간 기둥 고정장치는 바닥면을 이루는 금속제 장선(F)의 상부면에 용접고정되며 복수개의 결합공(100)이 형성된 금속재질의 바닥플레이트(10);
상기 바닥플레이트(10)의 중앙부 상면에 고정되는 금속재질의 보강파이프(20);
상기 보강파이프(20)에 삽입되게 중앙에 중심공(300)이 형성된 천연 목재기둥(30);
상기 목재기둥(30)의 상단면에 밀착되어 조여지게 상기 보강파이프(20)의 상단부에 나사식으로 체결되는 상단고정구(40);
상부면에 상기 목재기둥(30) 하단이 안착되며 하부면에 상기 결합공(100)과 대응되는 복수개의 결합돌기가 형성되어 하부가 상기 바닥플레이트(10)의 결합공(100)에 결속되고 하측으로 결합돌기와 상기 바닥플레이트(10)를 감싸지게 목재데크(S)가 양측에서 설치되는 하단캡(50);
상기 목재기둥(30)의 상부 단면과 대응되는 삽입홈(600)이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목재기둥(30)의 상부면에 설치되는 상단캡(60)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보강파이프에 나사식으로 체결되는 상단고정구가 목재기둥의 상부면에 밀착되어 조여지는 것에 의해 목재기둥과 보강파이프가 고정되고 보강파이프가 고정된 바닥플레이트를 통해 교량 또는 계단의 바닥면인 장선에 고정 설치되는 것이므로 목재난간 기둥의 지지력을 강화할 수 있고 바닥플레이트의 용접고정과 결합공 및 결합돌기의 끼워 맞춤식 조립으로 바닥플레이트와 하단캡이 견고하게 결속이 이루어지면서 나사, 볼트 등의 별도의 체결도구 없이 간편하고 신속한 바닥플레이트와 하단캡의 설치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어 난간기둥의 시공이 손쉽고 작업의 편리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하단캡에 의해 목재기둥과 목재데크 사이의 틈새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아 천연목재 난간 기둥의 외관을 미려하게 살릴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기존에 설치되어 있는 합성목재를 천연목재로 교체하는 과정에서는 기존에 설치되어 있는 데크를 모두 해체할 필요없이 기존 난간기둥에 설치되어있는 해당 데크만 일부 해체함으로써 기존에 설치되어 있는 데크를 그대로 두고 천연목재 교체작업이 이루어 일 수 있어 합성목재에서 천연목재로 난간을 교체하는 시공작업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천연목재 난간 기둥 고정장치의 분리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천연목재 난간 기둥 고정장치의 결합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천연목재 난간 기둥 고정장치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천연목재 난간 기둥 고정장치의 상단고정구 상세도.
<4a-볼트형 상단고정구, 4b-너트형 상단고정구>
도 5는 본 발명의 천연목재 난간 기둥 고정장치의 하단캡 상세도.
<5a-하단캡 사시도, 5b-하단캡 측면도>
본 발명의 천연목재 난간 기둥 고정장치는 바닥면을 이루는 금속제 장선(F)의 상부면에 용접고정되며 복수개의 결합공(100)이 형성된 금속재질의 바닥플레이트(10);
상기 바닥플레이트(10)의 중앙부 상면에 고정되는 금속재질의 보강파이프(20);
상기 보강파이프(20)에 삽입되게 중앙에 중심공(300)이 형성된 천연 목재기둥(30);
상기 목재기둥(30)의 상단면에 밀착되어 조여지게 상기 보강파이프(20)의 상단부에 나사식으로 체결되는 상단고정구(40);
상부면에 상기 목재기둥(30) 하단이 안착되며 하부면에 상기 결합공(100)과 대응되는 복수개의 결합돌기가 형성되어 하부가 상기 바닥플레이트(10)의 결합공(100)에 결속되고 하측으로 결합돌기와 상기 바닥플레이트(10)를 감싸지게 목재데크(S)가 양측에서 설치되는 하단캡(50);
상기 목재기둥(30)의 상부면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상부캡(60)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천연목재 난간 기둥 고정장치의 분리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천연목재 난간 기둥 고정장치의 결합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천연목재 난간 기둥 고정장치의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천연목재 난간 기둥 고정장치의 상단고정구 상세도<4a-볼트형 상단고정구, 4b-너트형 상단고정구>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천연목재 난간 기둥 고정장치의 하단캡 상세도<5a-하단캡 사시도, 5b-하단캡 측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교량 또는 계단의 바닥면이 금속제 장선(F)으로 이루어진 경우에 설치되는 천연목재 난간 기둥 고정장치로서 상기 바닥플레이트(10)는 금속재질로 상기 장선(F)의 상부면에 용접에 의해 견고하게 고정되어 나사, 볼트 등의 별도의 결합장치가 사용되지 않으며, 바닥플레이트(10)에는 후술되는 하단캡(50)과의 결속을 위해 복수개의 결합공(100)이 관통되어 형성된다.
상기 보강파이프(20)는 상단 내주면으로 암나사부(200)가 형성되고 하단부는 용접에 의해 상기 바닥플레이트(10)의 중앙부에 견고하게 고정된다.
상기 보강파이프(20)는 통상적인 금속재 파이프가 사용되며 탭(Tap)을 이용한 나사가공 또는 선반에 의한 나사가공에 의하여 상기 암나사부(210)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목재기둥(30)은 친환경적일 수 있게 천연목재로 이루어지며, 상기 보강파이프(20)의 외측으로 삽입되게 중앙부에는 중심공(300)형성되며, 상기 중심공(300)은 상기 보강파이프(20)의 외경에 대응하는 내경으로 형성되되, 상기 보강파이프(200)의 외경과 목재기둥(300)의 중심공(310) 사이의 공차는 0.5~1mm 정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상단고정구(40)는 상기 목재기둥(30)의 상단면에 밀착되어 조여지게 상기 목재기둥(30)의 중심공(300)에 삽입되어 있는 보강파이프(20)의 상단부에 나사식으로 체결되어 보강파이프(20)와 목재기둥(30)을 견고하게 고정시킨다.
상기 상단고정구(4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볼트형과 너트형의 두가지 타입으로 구성된다.
상기 볼트형의 상단고정구(40)는 상기 보강파이프(20)의 상단 내주면에 형성된 암나사부(200)에 체결되게 외주연에 수나사가 형성된 생크부(41)와 상기 생크부(41)의 상단에 일체로 형성되어 목재기둥(30)의 상면에 밀착되는 머리부(42)를 갖도록 형성되며, 상기 너트형의 상단고정구(40')는 상기 보강파이프(20)의 상단 외주면에 형성된 수나사부(200')에 체결되게 내주면에 암나사부(400')가 형성된 통상적인 너트형 구조이되, 상기 너트형의 상단고정구(40')가 체결되는 상기 보강파이프(20)는 상단부가 막혀있는 구조의 파이프인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볼트형 상단고정구(40)의 머리부(42)는 목재기둥(30)에 대한 조임력을 높이기 위하여 생크부(41) 대비 두배의 비율로 크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하단캡(50)은 도 3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바닥플레이트(10)와 목재기둥(30)의 사이에 나사, 볼트등의 별도의 체결도구 없이 간단히 끼워 맞춤 조립되어 시공이 간편하고 편리하도록 구성되는 것으로 상기 보강파이프(20)가 통과되게 관통공(510)이 중앙에 형성되며 상부면으로 상기 목재기둥(30)의 하단부가 안착되는 캡플레이트(51)와, 상기 캡플레이트(51)의 외주둘레를 따라 상측으로 돌출된 캡상부돌부(52)와, 상기 캡플레이트(51)의 하측으로 목재데크(S)가 설치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게 상기 캡플레이트(51)의 하부면 관통공(510) 둘레에서 하부로 연장되어 바닥플레이트(10)의 상부면에 지지되는 원통형의 지지돌부(53)와, 상기 바닥플레이트(10)의 결합공(100)에 삽입되어 하단캡(50)의 하부가 상기 바닥플레이트(10)와 견고하게 결속되게 상기 지지돌부(53)의 외측에서 상기 결합공(100)과 대응되는 복수개의 결합돌기(54)가 형성된다.
상기 캡플레이트(51)의 외곽부 형상과 상기 캡상부돌부(52)의 형상은 상기 목재기둥(30)의 횡단면에 대응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캡상부돌부(52)는 빗물 등이 외측으로 흘러내릴 수 있게 외주연이 상부 내측을 향해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어 빗물의 자연스러운 흘러내림을 유도하도록 한다.
상기 캡플레이트(51)의 상부면에는 상기 관통공(510) 측으로 빗물이 유입되는 것을 막기 위해 상기 관통공(510)의 주위에 둘레를 따라 상부로 소정높이 돌출된 빗물막이턱(511)이 형성되며, 캡플레이트(51)의 외곽부에는 복수개의 배수공(511)이 관통 형성되되, 상기 배수공(511)을 통해 빗물이 하부로 용이하게 배출되도록 상기 목재기둥(30)의 측면부에는 요입홈(301)이 형성되고 복수개의 상기 배수공(511)들은 상기 요입홈(301)과 대응되는 위치의 외곽부에 각각 형성된다.
상기 결합돌기(54)는 상기 지지돌부(53)의 하단부보다 소정높이 더 돌출되어 각 결합공(100)으로 원활하게 하단부가 삽입될 수 있게 한다.
한편, 하단캡(50)의 하측으로 설치되는 상기 목재데크(S)는 복수개의 결합돌기(54)와 상기 바닥플레이트(10)를 양측에서 감싸면서 설치될 수 있게 일측 또는 타측으로 상기 바닥플레이트(10)와 대응되는 크기의 개구홈(S1)이 형성되어 좌,우 한쌍의 목재데크(S)가 개구홈(S1)을 통해 상기 바닥플레이트(10)의 외측으로 간편하게 조립 설치될 수 있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상단캡(60)은 상단고정구(40)가 상단에 결합된 상기 목재기둥(30)의 상부면에 설치되게 하측으로 상기 목재기둥(30)의 상부 단면과 대응되는 형상의 삽입홈(600)이 형성되며 상기 상단캡(60)은 접착제 등에 의해 상기 목재기둥(300)의 상단에 고정 부착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천연목재 난간 기둥 고정장치의 설치 과정에 대하여 설명한다.
교량 또는 계단의 바닥면을 이루는 금속제 장선(F)의 상부면에 보강파이프(20)가 상측으로 고정되어 있는 바닥플레이트(10)를 용접에 의해 견고하게 고정시킨다.
그 후 일측 또는 타측으로 개구부(S1)가 형성된 한쌍의 목재데크(S)를 준비하여 각 개구부(S1)가 바닥플레이트(10)의 외측을 감싸도록 한쌍의 목재데크(S)를 바닥플레이트(10)의 양측에서 설치한다.
상기 목재데크(S)가 설치되면 하단캡(50)을 상기 보강파이프(20)로 통과시켜 바닥플레이트(10)의 상측으로 설치하되, 상기 하단캡(50)에 형성된 복수개의 결합돌기(54)를 상기 바닥플레이트(10)의 결합공(100)에 각각 삽입시켜 하단캡(50)의 하측이 상기 바닥플레이트(10)에 결속될 수 있게 설치한다.
상기 하단캡(50)이 설치된 후에는 천연의 목재기둥(30)을 상기 보강파이프(20) 외측으로 통과시켜 상기 하단캡(50)의 캡플레이트(51) 상부면으로 상기 목재기둥(30)을 하단을 안착시키고, 상기 보강파이프(20)의 상단으로 상기 상단고정구(40) 나사식으로 체결하여 상단고정구(40)가 밀착되어 조여지면서 상기 보강파이프(20)에 목재기둥(30)이 흔들림없이 견고하게 고정되어 기둥의 지지력을 강화할 수 있게 설치한다.
상기 상단고정구(40)를 이용해 목재기둥(30)과 보강파이프(20)의 고정 후에는 접착제 등을 통해 상부캡(60)을 상기 목재기둥(30)의 상부면에 고정되게 설치하여 천연목재 난간 기둥 고정장치의 설치를 완료한다.
한편, 상기 천연목재 난간 기둥 고정장치에 의해 기존에 설치되어 있는 합성목재 난간을 교체할 경우에는 기존의 합성목재 난간에 설치되어 있는 금속제 장선을 제외한 합성목재 기둥, 보강파이프, 바닥플레이트, 바닥플레이트 하부면에 위치한 한쌍의 데크 등을 제거한 후 본 발명 천연목재 난간 기둥 고정장치의 바닥플레이트(10), 보강파이프(20), 목재기둥(30), 상단고정구(40), 하단캡(50), 상부캡(60), 개구부(S1)를 갖는 한쌍의 목재데크(S)를 준비하여 상기 개시된 천연목재 난간 기둥 고정장치의 설치 과정과 동일한 과정을 통해 기존에 설치되어 있는 데크를 그대로 둔상태에서 손쉽게 합성목재 난간을 천연목재 난간으로 교체 시공이 이루질 수 있게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천연목재 난간 기둥 고정장치에 의하면, 천연재질의 목재기둥(30)을 사용함으로써 친환경적인 분위기를 살릴 수 있으며 상기 보강파이프(20)에 나사식으로 체결시키는 상단고정구(40)가 목재기둥(30)의 상부면에 밀착되어 조여지면서 목재기둥의 지지력을 강화할 수 있게 하고, 상기 바닥플레이트(10)와 장선(F)의 용접고정과 결합공(100) 및 결합돌기(54)에 의한 바닥플레이트(10)와 하단캡(50)의 견고한 결속구조에 의해 나사, 볼트 등의 체결도구 없이 간편하고 신속한 바닥플레이트(10)와 하단캡(50)의 설치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어 신규 난간의 설치뿐만 아니라 기존에 설치되어 있던 합성목재 난간의 교체 시공이 편리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하단캡(50)에 의해 상기 목재기둥(30)과 목재데크(S) 사이의 틈새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천연목재 난간 기둥의 외관을 미려하게 살릴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도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바닥플레이트
100-결합공
20-보강파이프
30-목재기둥
300-중심공
40-상단고정구
50-하단캡
51-캡플레이트
52-캡상부돌부
53-지지돌부
54-결합돌기
60-상부캡
600-삽입홈

Claims (5)

  1. 바닥면을 이루는 금속제 장선(F)의 상부면에 용접고정되며 복수개의 결합공(100)이 형성된 금속재질의 바닥플레이트(10);
    상기 바닥플레이트(10)의 중앙부 상면에 고정되는 금속재질의 보강파이프(20);
    상기 보강파이프(20)에 삽입되게 중앙에 중심공(300)이 형성된 천연 목재기둥(30);
    상기 목재기둥(30)의 상단면에 밀착되어 조여지게 상기 보강파이프(20)의 상단부에 나사식으로 체결되는 상단고정구(40);
    상부면에 상기 목재기둥(30) 하단이 안착되며 하부면에 상기 결합공(100)과 대응되는 복수개의 결합돌기가 형성되어 하부가 상기 바닥플레이트(10)의 결합공(100)에 결속되고 하측으로 결합돌기와 상기 바닥플레이트(10)를 감싸지게 목재데크(S)가 양측에서 설치되는 하단캡(50);
    상기 목재기둥(30)의 상부 단면과 대응되는 삽입홈(600)이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목재기둥(30)의 상부면에 설치되는 상단캡(60)으로 구성되며,
    상기 하단캡(50)은 상기 보강파이프(20)가 통과되게 중앙에 관통공(510)이 형성된 캡플레이트(51)와 상기 캡플레이트(51)의 외주둘레를 따라 상측으로 돌출되며 외주연이 상부 내측을 향해 상향경사진 캡상부돌부(52)와 캡플레이트(51) 하측으로 목재데크(S)가 설치되는 공간이 형성되게 캡플레이트(51)의 하부면 관통공(510) 둘레에서 하부로 연장되어 상기 바닥플레이트(10)의 상부면에 지지되는 원통형의 지지돌부(53)와 상기 바닥플레이트(10)의 결합공(100)에 결속되게 상기 지지돌부(53)의 외측에서 각 결합공(100)과 대응되어 형성되는 복수개의 결합돌기(54)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연목재 난간 기둥 고정장치.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캡플레이트(51)에는 관통공(510)측으로 빗물이 유입되는 것을 막기 위해 관통공(510)의 주위로 돌출된 빗물막이턱(511)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연목재 난간 기둥 고정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목재기둥(30)의 측면부에는 요입홈(301)이 형성되고, 상기 캡플레이트(51)에는 요입홈(300)과 대응되는 위치의 외곽부에 배수공(512)이 관통 형성되어 빗물이 하부로 배출될 수 있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연목재 난간 기둥 고정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상단고정구(40)는 상기 보강파이프(20)의 상단 내주면에 형성되는 암나사부(200)에 체결되게 수나사가 형성된 생크부(41)와 상기 생크부(41)의 상단에 일체로 형성되어 목재기둥(30)의 상면에 밀착되는 머리부(42)를 갖는 볼트형의 상단고정구(40) 또는 상기 보강파이프(20)의 상단 외주면에 형성되는 수나사부(200')에 체결되게 중앙에 암나사부(400')가 형성되며 상기 목재기둥(30)의 상단면에 밀착되는 너트형의 상단고정구(4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연목재 난간 기둥 고정장치.
KR1020180111249A 2018-09-18 2018-09-18 천연목재 난간 기둥 고정장치 KR1019293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1249A KR101929380B1 (ko) 2018-09-18 2018-09-18 천연목재 난간 기둥 고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1249A KR101929380B1 (ko) 2018-09-18 2018-09-18 천연목재 난간 기둥 고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29380B1 true KR101929380B1 (ko) 2018-12-14

Family

ID=647435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11249A KR101929380B1 (ko) 2018-09-18 2018-09-18 천연목재 난간 기둥 고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29380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09903B1 (ko) * 2019-02-12 2020-05-12 (주) 나무들 데크 난간 기둥
KR102169330B1 (ko) 2020-06-01 2020-10-23 주식회사 위드우드 내충격 기능을 갖는 조립식 난간 지주
KR20200137683A (ko) 2019-05-31 2020-12-09 남궁민우 조경시설물 및 데크용 난간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9015B1 (ko) * 2010-12-14 2011-06-03 (주)중동 목재 난간기둥 고정구조
KR101097283B1 (ko) * 2008-12-08 2011-12-21 (주)정해목재방부산업 구조물의 기둥 구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97283B1 (ko) * 2008-12-08 2011-12-21 (주)정해목재방부산업 구조물의 기둥 구조
KR101039015B1 (ko) * 2010-12-14 2011-06-03 (주)중동 목재 난간기둥 고정구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09903B1 (ko) * 2019-02-12 2020-05-12 (주) 나무들 데크 난간 기둥
KR20200137683A (ko) 2019-05-31 2020-12-09 남궁민우 조경시설물 및 데크용 난간
KR102169330B1 (ko) 2020-06-01 2020-10-23 주식회사 위드우드 내충격 기능을 갖는 조립식 난간 지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29380B1 (ko) 천연목재 난간 기둥 고정장치
KR101039015B1 (ko) 목재 난간기둥 고정구조
KR101499040B1 (ko) 목재외피의 변형이 방지되는 목재형 디자인 난간
KR101467498B1 (ko) 높이 조절이 가능한 조립식 난간
KR102278094B1 (ko) 공중 활강시스템의 와이어로프 설치모듈 및 공중 활강시스템
KR101131079B1 (ko) 교량공사용 멀티유헤드 서포트장치
KR101985957B1 (ko) 디자인형 울타리 지주 고정구조
JP2006138392A (ja) 板材接合方法と接合構造
KR101060940B1 (ko) 수평강성이 증대되고 유지보수가 용이한 교좌장치용 앵커부재
KR101942456B1 (ko) 앵커 볼트
JP2003343062A (ja) 手摺支柱の取付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1614529B1 (ko) 난간 지지 구조 및 이의 설치방법
KR200398518Y1 (ko) 교량상판 이음용 핑거플레이트의 고정구조
KR20020005251A (ko) 앵커볼트
KR200361275Y1 (ko) 콘크리트 거푸집의 간격유지구
CN111364745A (zh) 一种无支撑自持型钢平台
KR200345074Y1 (ko) 핸드레일 고정용 포스트
KR101302403B1 (ko) 고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JP4512615B2 (ja) 手摺支柱補強材の取付装置
KR100508455B1 (ko) 고강도 구조를 갖는 교량유지 점검장치
CN214995393U (zh) 一种可用于拆卸的装配式楼梯
KR20080001412U (ko) 삽입고정되는 거푸집용 폼타이
KR200223680Y1 (ko) 일체형 앵커 플레이트가 부착된 난간지주
KR20080072170A (ko) 거푸집 난간용 파이프 고정구
KR200337170Y1 (ko) 철골 안전난간의 체결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