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85957B1 - 디자인형 울타리 지주 고정구조 - Google Patents

디자인형 울타리 지주 고정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85957B1
KR101985957B1 KR1020180091481A KR20180091481A KR101985957B1 KR 101985957 B1 KR101985957 B1 KR 101985957B1 KR 1020180091481 A KR1020180091481 A KR 1020180091481A KR 20180091481 A KR20180091481 A KR 20180091481A KR 101985957 B1 KR101985957 B1 KR 1019859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llar
circumferential surface
support
fixing plate
fix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914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진완
Original Assignee
유한회사 덕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한회사 덕성 filed Critical 유한회사 덕성
Priority to KR10201800914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8595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859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859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7/00Fencing, e.g. fences, enclosures, corrals
    • E04H17/14Fences constructed of rigid elements, e.g. with additional wire fillings or with posts
    • E04H17/20Posts therefor
    • E04H17/22Anchoring means therefor, e.g. specially-shaped parts entering the ground; Struts or the lik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2/00Towers; Masts or poles; Chimney stacks; Water-towers; Methods of erecting such structures
    • E04H12/22Sockets or holders for poles or posts
    • E04H12/2253Mounting poles or posts to the holder
    • E04H12/2269Mounting poles or posts to the holder in a socket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7/00Fencing, e.g. fences, enclosures, corrals
    • E04H17/006Caps or covers for posts
    • E04H2017/006

Abstract

본 발명은 각종 보행로 또는 자전거 도로 등의 가장자리에 설치되는 울타리의 지주를 바닥면에 간편하고 용이하며 견고하게 설치할 수 있음은 물론, 설치 후 지주가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고, 또 일정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 디자인형 울타리 지주 고정구조에 관한 것으로, 그 구성은,
길이방향을 따라 양분되어 2개로 분할되고 그 분할된 2개의 내주면 중앙부의 상호 마주보는 위치에는 상단에서 하단에 이르기까지 반원형의 결합 홈(110)이 각각 형성되고 상단에는 상부 캡(120)이 설치된 목재의 지주(100);
상기 지주와 동일한 길이를 갖으며 외주면 1/2은 상기 일 측의 지주에 형성된 결합 홈에 결합되고 나머지 1/2의 외주면은 타 측의 지주에 형성된 결합 홈에 결합되어 고정피스를 매개로 상기 지주와 일체가 되도록 형성된 하부 내주 면에 나사산(210)이 형성된 원형 파이프의 지주보강부재(200);
지면의 표면에 앙카볼트를 매개로 고정 설치되는 고정판(310)이 마련되고 그 고정판의 중앙부에는 외주 면에 상기 원형의 파이프 나사산과 나사결합 되도록 나사산(330)이 형성된 체결구(320)를 상향 돌출되게 설치하여 된 지주고정수단(300); 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디자인형 울타리 지주 고정구조{Pillar fixing structure of design fence}
본 발명은 각종 보행로 또는 자전거 도로 등의 가장자리에 설치되는 울타리의 지주를 바닥면에 간편하고 용이하며 견고하게 설치할 수 있음은 물론, 설치 후 지주가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고, 또 일정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 디자인형 울타리 지주 고정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난간의 기둥을 고정할 때는 슬리브가 고정된 고정판을 철근배관에 고정한 후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설치하거나, 바닥 시공 시 앵커볼트를 심고, 앵커볼트에 지주를 용접하여 설치하는 방법으로 난간동자를 고정하였으나,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은 슬리브에서 기둥이 쉽게 분리되거나, 밀접한 상태로 삽입하기 어렵고, 좁은 공간에서의 용접은 화재의 위험성과, 용접 시 발생하는 가스에 의해 잡업 공간이 오염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으며, 숙련된 용접공이 필요하고, 작업시간도 많이 걸리는 단점이 있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많은 연구가 있어 왔다
예를 들면, 실용신안등록번호 20-0349144호에는 핸드레일의 지주를 바닥에 [0006] 고정 설치하는 구조에 있어서, 바닥에 앵커볼트를 매설하고, 상기 앵커볼트에는 하단에 볼트공이 형성된 원통형의 소켓을 끼워 너트로 조임으로서 고정하고, 상기 소켓과 지주의 결합부에는 각기 대응되는 맞춤부를 형성하여 상기 소켓이 앵커볼트에 고정된 상태에서 지주를 상기 소켓에 결합함으로서 고정이 완료 되도록 한 구성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레일의 지주 고정구조가 기재되어 있으며,
실용신안등록번호 20-0403204호에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슬라브에 고정되어 연속으로 세워진 지주에 비계를 연결하여 형성되는 난간대에 있어서,
슬라브(15)를 형성하기 위해 배관된 철근(16)에 수직으로 고정되고 나사산이 형성된 앙카볼트(21)와 상기 앙카볼트(21) 나사산과 결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내경에 나사산이 형성된 구멍이 천공된 스틸원판(13)과 스틸원판(13)의 상면에 하단부가 용접되어 수직으로 고정되는 지주(12)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립 앙카볼트 고정용 난간대가 기재되어 있는 것으로 이에 대한 기술은 공지의 기술이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기술은 지주를 설치하는 지면이 평탄하지 못할 경우 지주를 고정설치한 후 기둥이 전·후·좌·우 약간의 유동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발생하며 이와 같이 기둥이 유동을 하게 되면 시간이 지나면서 유동의 폭이 더욱 커지면서 기둥의 역할을 수행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발생하고 또 기둥의 설치 위치로부터 높낮이를 조절할 수 없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실용신안등록번호 20-0349144 : 핸드레일의 지주 고정구조. 실용신안등록번호 20-0403204 : 매립 앙카볼트 고정용 난간대.
본 발명은 상기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감아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발명한 것으로 지면이 평탄하지 못한 곳에서도 지주를 상향 수직되게 설치할 수 있음은 물론, 지주가 설치된 상태에서 유동되지 않고 견고한 고정력을 발휘하며, 또 설치 후 지주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 디자인형 울타리 지주 고정구조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과제해결수단 구성은, 길이방향을 따라 양분되어 2개로 분할되고 그 분할된 2개의 내주면 중앙부의 상호 마주보는 위치에는 상단에서 하단에 이르기까지 반원형의 결합 홈(110)이 각각 형성되며 상단에는 상부 캡(120)이 설치된 지주(100);
상기 지주와 동일한 길이를 갖으며 외주면 1/2은 상기 일 측의 지주에 형성된 결합 홈에 결합되고 나머지 1/2의 외주면은 타 측의 지주에 형성된 결합 홈에 결합되어 고정피스를 매개로 상기 지주와 일체가 되도록 형성된 하부 내주 면에 나사산(210)이 형성된 원형 파이프의 지주보강부재(200);
지면의 표면에 앙카볼트를 매개로 고정 설치되는 고정판(310)이 마련되고 그 고정판의 중앙부에는 외주 면에 상기 원형의 파이프 나사산과 나사결합 되도록 나사산(330)이 형성된 체결구(320)를 상향 돌출되게 설치하여 된 지주고정수단(300); 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른 디자인형 울타리 지주 고정구조는, 상기 목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지면이 평탄하지 못한 곳에서도 지주를 상향 수직되게 설치할 수 있음은 물론, 지주가 설치된 상태에서 유동되지 않고 견고한 고정력을 발휘하며, 또 설치 후 지주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 디자인형 울타리 지주 고정구조를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종래의 지주 고정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디자인형 울타리 지주 고정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디자인형 울타리 지주 고정구조에서 지주 분해 사시도,
도 4a 내지 도 4d는 본 발명의 디자인형 울타리 지주 고정구조에서 지주고정수단의 실시예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디자인형 울타리 지주 고정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결합 단면도.
본 발명의 디자인형 울타리 지주 고정구조는 지면이 평탄하지 못한 곳에서도 지주를 상향 수직되게 설치할 수 있음은 물론, 지주가 설치된 상태에서 유동되지 않고 견고한 고정력을 발휘하며, 또 설치 후 지주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이의 실시 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 아 래 -
도 2는 본 발명의 디자인형 울타리 지주 고정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디자인형 울타리 지주 고정구조에서 지주 분해 사시도이며, 도 4a 내지 도 4d는 본 발명의 디자인형 울타리 지주 고정구조에서 지주고정수단의 실시예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디자인형 울타리 지주 고정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결합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디자인형 울타리 지주 고정구조에서 지주(100)는 도 2 및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길이방향을 따라 양분되어 2개로 분할되고 그 분할된 2개의 내주면 중앙부의 상호 마주보는 위치에는 상단에서 하단에 이르기까지 반원형의 결합 홈(110)이 각각 형성되며 상단에는 상부 캡(120)이 설치된 것으로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이 지주(100)가 길이방향을 따라 양분되어 2개로 분할되고 그 분할된 2개의 내주면 중앙부의 상호 마주보는 위치에는 상단에서 하단에 이르기까지 반원형의 결합 홈(110)을 각각 형성시킨 이유는, 아래에서 설명되는 지주보강부재(200)인 원형 파이프를 지주(100)의 내부에 개재시킨 상태에서 상기 분할되는 2개의 지주를 상호 밀착시켜 하나의 지주(100)를 형성하기 위함이다.
상기 지주(100)의 내부에 지주보강부재(200)인 원형 파이프를 개재시킨 상태에서 고정피스를 이용하여 상기 분할된 2개의 지주를 관통하고 또 원형 파이프까지 관통하게 설치하게 되면 상기 지주보강부재(200)인 원형 파이프와 2개의 분할된 지주 일체화 도면서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나의 독립된 지주(100)가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하여 된 하나의 독립된 지주(100)의 내부에 원형 파이프가 상단에서 하단에 이르기까지 삽입된 상태로 존재하게 되면 본 발명의 지주(100)는 더욱 견고하고 튼튼한 지주(100)가 되는 것이며, 지주(100)를 목적하는 곳에 설치 후 대기 조건에 따라 변형 즉 뒤틀림이나 크랙 등이 방지되는 효과를 발휘한다.
또 상기 본 발명의 지주(100)의 상단에는 지주(100)의 상단 일부를 수용하도록 하는 상부 캡(120)을 씌워 고정 설치함으로써 우천시 빗물이나 이물질 등이 상기 지주보강부재(200)인 원형 파이프의 내부 또는 지주의 상부로 빗물이 스며들지 않음으로 상기 지주보강부재(200)인 원형 파이프의 부식을 방지함은 물론 지주(100)의 부패를 방지하여 지주(100)의 사용수명을 연장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상부 캡(120)과 지주(100) 상단의 고정은 상부 캡(120)을 지주(100)의 상단에 억지 끼워 결합하거나 또는 지주(100) 상단에 상부 캡(120)을 씌운 후 고정 피스를 이용하여 고정하는 방법 중 어느 방법을 선택해도 무방하다.
그리고 상기 상부 캡(120)은 금속, 수지, 고무재 등으로 형성시킬 수 있으며, 이와 같은 상부 캡(120)은 형상과 무늬모양을 다양하게 형성시켜 울타리의 디자인을 연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지주보강부재(200)는 지주(100)의 상단에서 하단에 이르도록 내부에 삽입되어 지주(100)의 견고함을 향상시키는 것으로 지주(100)를 목적하는 곳에 설치 후 대기 조건에 따라 변형 즉 뒤틀림이나 크랙 등이 발생하는 것을 최소하 할 수 있도록 해준다.
상기와 같은 기능을 하는 지주보강부재(200)는 원형의 파이프로써 하부 내주 면에 나사산(210)이 형성된다. 그 이유는, 아래에서 설명되는 체결구(320)와 나사 결합되어 지주(100)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음은 물론, 지면이 평탄하지 않은 곳에서도 지주(100)를 상향 수직되게 설치할 수 있음은 물론, 지주(100)가 설치된 상태에서 유동되지 않고 견고한 고정 력을 발휘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한편, 상기 지주보강부재(200)인 원형의 파이프를 지주(100)의 내부에 위치시킬 때는 외주면 1/2은 상기 분할된 일 측의 지주에 형성된 결합 홈(110)에 결합되고 나머지 1/2의 외주면은 분할된 타 측의 지주에 형성된 결합 홈(110)에 결합되어 고정피스를 매개로 상기 지주(100)와 일체가 되도록 형성된 형성시킴으로써 지주보강부재(200)인 원형의 파이프와 지주(100) 내부와의 결합은 긴밀히 결합됨으로 결합의 안정성 및 견고성을 발휘하게 됨은 물론, 지주(100)와의 긴밀한 일체화가 이루어진다.
또 본 발명의 지주고정수단(300)은 지면에 고정된 상태에서 지주(100)의 내부에 설치된 지주보강부재(200)인 원형의 파이프와 나사결합 되는 것으로, 이와 같은 지주고정수단(300)은, 지면의 표면에 앙카볼트를 매개로 고정 설치되는 고정판(310)이 마련되고 그 고정판(310)의 중앙부 외주 면에 상기 지주보강부재(200)인 원형의 파이프 나사산(210)과 나사결합 되도록 나사산(330)이 형성된 체결구(320)를 상향 돌출되게 설치하여 된 것으로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이 원형의 파이프 하부에 형성된 나사산(210)과 체결구(320)에 형성된 나사산(330) 간에 결합되도록 구성시킨 이유는, 이들이 상호 결합된 후에는 지주(100)가 유동 또는 흔들리지 않고 안정적이면서도 견고한 고정 력을 발휘함은 물론 나사산의 결합방향에 따라 지주(100)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기 때문이다.
상기와 같은 기능을 하는 지주고정수단(300)의 제1실시 예로는 도 4a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고정판(310)의 상부 표면 중앙에 외주 면에 나사산(330)이 형성된 체결구(320)의 하단을 용접하는 방법으로 형성시킨다.
그리고 지주고정수단(300)의 제2실시 예로는 도 4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고정판(310)의 하부 중앙부에는 원형의 안착 홈(340)이 형성되고 그 안착 홈(340)의 중앙에는 상기 고정판(310)을 관통하며 내주 면에 나사부(351)가 형성된 관통 공(350)을 형성시켜 체결구(320)의 나사산(330)이 상기 관통 공(350)의 나사부(351)와 나사결합 되어 견고한 고정 력을 발휘하도록 하였다.
상기 안착 홈(340)의 깊이는 상기 결합 판(370)이 두께와 준하는 깊이를 갖도록 형성되기 때문에 상기 안착 홈(340)에 상기 결합 판(370)이 결합 되어도 결합 판(370)의 후면이 고정판(310)의 후면으로 돌출되지 않는다.
또 지주고정수단(300)의 제3실시 예로는 도 4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고정판(310)의 하부 중앙부에는 원형의 안착 홈(340)이 형성되고 그 안착 홈(340)의 중앙에는 상기 고정판(310)을 관통하는 관통 공(350)이 형성되며 그 관통 공(350)의 주위에는 핀 체결 홀(360)이 형성되고, 상기 체결구(320)의 하단에는 상기 안착 홈(340)에 긴밀히 안착되는 원형의 결합 판(370)이 형성되고 그 결합 판(370)의 표면에는 상기 핀 체결 홀(360)에 끼워 결합되는 핀(380)이 돌출 형성된 것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안착 홈(340)의 깊이는 상기 결합 판(370)이 두께와 준하는 깊이를 갖도록 형성되기 때문에 상기 안착 홈(340)에 상기 결합 판(370)이 결합 되어도 결합 판(370)의 후면이 고정판(310)의 후면으로 돌출되지 않는다.
또한, 지주고정수단(300)의 제4실시 예로는 도 4d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고정판(310)의 하부 중앙부에는 3각 이상의 각형을 갖는 안착 홈(340a)이 형성되고 그 안착 홈의 중앙에는 상기 고정판을 관통하는 관통 공(350a)이 형성되며 상기 체결구(320)의 하단에는 상기 안착 홈(340a)에 긴밀히 안착되는 3각 이상의 각형을 갖는 결합 판(370a)을 형성시켜 된 것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안착 홈(340a)의 깊이는 상기 결합 판(370a)의 두께와 준하는 깊이를 갖도록 형성되기 때문에 상기 안착 홈(340a)에 상기 결합 판(370a)이 결합 되어도 결합 판(370a)의 후면이 고정판(310)의 후면으로 돌출되지 않는다.
원형의 안착 홈(340)이 형성되고 그 안착 홈(340)의 중앙에는 상기 고정판(310)을 관통하는 관통 공(350)이 형성되며 그 관통 공(350)의 주위에는 핀 체결 홀(360)이 형성되고, 상기 체결구(320)의 하단에는 상기 안착 홈(340)에 긴밀히 안착되는 원형의 결합 판(370)이 형성되고 그 결합 판(370)의 표면에는 상기 핀 체결 홀(360)에 끼워 결합되는 핀(380)이 돌출 형성된 것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고정판(310)을 지면에 고정 설치할 때에 간편하고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음은 물론, 설치 후 안정적이고 견고한 결합력을 발휘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고정판(310)이 고정 설치되는 해당 지면은 시멘트콘크리트로 기초 시공됨이 바람직하고 그 외에도 앙카볼트를 매개로 고정판(310)을 견고하게 고정 설치할 수 있는 지면이면 모두 가능하다.
상기 관통 공(350)의 주위에 핀 체결 홀(360)을 형성시키고, 결합 판(370)에 핀(380)을 돌출 형성시킨 이유는, 안착 홈(340)과 결합 판(370)이 원형이기 때문에 상기 지주고정수단(300)이 안착 홈(340) 내에서 회전될 수 있음으로 그 회전을 방지하기 위하여 핀 체결 홀(360)에 핀(380)을 끼워 고정시키는 것이다.
상기의 지주고정수단(300)이 회전하게 되면 지주(100)가 회전됨으로 지주고정수단(300)은 안착 홈(340) 내에서 회전되지 않고 결합된 상태 그대로 유지되어야 한다.
또한, 상기 지주고정수단(300)의 제3실시 예로는 도 4d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고정판(310)의 하부 중앙부에 3각 이상의 각형을 갖는 안착 홈(340a)이 형성되고 그 안착 홈(340a)의 중앙에는 상기 고정판(310)을 관통하는 관통 공(350a)이 형성되며 상기 체결구(320)의 하단에는 상기 안착 홈(340a)에 긴밀히 안착되는 3각 이상의 각형을 갖는 결합 판(370a)을 형성시켜 된 것으로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이 안착 홈(340a)을 3각 이상의 각형으로 형성시키고 결합 판(370a)을 상기 안착 홈(340a)과 부합하는 3각 이상의 각형으로 형성시킨 이유는, 지주고정수단(300)이 안착 홈(340a)에 결합되었을 때 회전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안착 홈(340a)의 깊이는 상기 결합 판(370a)이 두께와 준하는 깊이를 갖도록 형성되기 때문에 상기 안착 홈(340a)에 상기 결합 판(370a)이 결합 되어도 결합 판(370a)의 후면이 고정판(310)의 후면으로 돌출되지 않기 때문에 고정판(310)을 지면에 고정 설치할 때에 간편하고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음은 물론, 설치 후 안정적이고 견고한 결합력을 발휘하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지주(100)는 원형 또는 4각형 중 어느 하나의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지주(100)의 외주면 4방에는 상단에서 하단에 이르는 요홈(130)을 형성시켰는데, 그 이유는, 지주(100)의 디자인을 연출하기 위함과 지주(100)의 변형 즉 뒤틀림이나 크랙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또한, 본 발명의 지주(100)의 하부에는 상기 고정판(310)을 수용하도록 하부가 개방되고 상부 중앙에는 지주(100)를 수용하는 관통 홀(141)이 형성된 하부 캡(140)이 구비되고 그 하부 캡(140)은 양분될 수 있도록 중앙부에 고정피스를 매개로 분해결합되는 분해결합부(142)가 형성되며 상기 분해결합부(142)의 양 측면 각 단부에는 중첩부(142a,142b)가 형성되고 그 중첩부(142a,142b)는 상호 중첩되었을 때 단턱이 형성되지 않고 일직선을 이루도록 형성시켜 된 것으로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이 하부 캡(140)을 중앙부를 기준으로 양분되게 형성시킨 이유는, 지주(100)를 고정 설치한 후 하부 캡(140)을 설치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하부 캡(140)이 양분되지 않고 일체화되게 되면 지주(100)를 고정 설치하기 전에 하부 캡(140)을 관통 홀(141)을 이용하여 지주(100)에 삽입시킨 다음에 지주(100)를 고정 설치해야 하기 때문에 지주(100)의 설치상에 번거로움이 발생하고, 또 상기 하부 캡(140)을 지주(100)에 삽입하지 않고 지주를 고정 설치한 경우에는 고정 설치된 지주(100)를 다시 해체한 후 하부 캡(140)을 삽입하고 다시 고정 설치해야 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따라서 상기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지주(100)를 설치한 후 최후에 하부 캡(140)을 설치할 수 있도록 양분하였다.
상기와 같은 하부 캡(140)은 중앙부에 고정피스를 매개로 분해결합되는 분해결합부(142)를 형성시키고 그 분해결합부(142)의 양 측면 각 단부에는 중첩부(142a,142b)를 형성시켜 그 중첩부(142a,142b)를 상호 중첩되게 한 후 고정피스로 상시 중첩부(142a,142b)를 관통하며 지주(100)에 고정하도록 하였다.
단 상기 중첩부(142a,142b)는 상호 결합된 후 그 결합된 부분이 외측 또는 내측으로 단턱이 형성되지 않고 일직선 즉 평활 면이 이루도록 형성시킴으로써 설치후 하부 캡(140))의 외관을 미려하게 하였다.
이상에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디자인형 울타리 지주 고정구조는 상기 효과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지면이 평탄하지 못한 곳에서도 지주를 상향 수직되게 설치할 수 있음은 물론, 지주가 설치된 상태에서 유동되지 않고 견고한 고정력을 발휘하며, 또 설치 후 지주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100 : 지주 110 : 결합 홈
120 : 상부 캡 130 : 요홈
140 : 하부 캡 141 : 관통 홀
142 : 분해결합부 142a,142b : 중첩부
200 : 지주보강부재 210 : 나사산
300 : 지주고정수단 310 : 고정판
320 : 체결구 330 : 나사산
340,340a : 안착 홈 350, 350a: 관통 공
351 : 나사부 360 : 핀 체결 홀
370,370a : 결합 판 380 : 핀

Claims (6)

  1. 길이방향을 따라 양분되어 2개로 분할되고 그 분할된 2개의 내주면 중앙부의 상호 마주보는 위치에는 상단에서 하단에 이르기까지 반원형의 결합 홈(110)이 각각 형성되며 상단에는 상부 캡(120)이 설치된 목재의 지주(100);
    상기 지주와 동일한 길이를 갖으며 외주면 1/2은 상기 일 측의 지주에 형성된 결합 홈에 결합되고 나머지 1/2의 외주면은 타 측의 지주에 형성된 결합 홈에 결합되어 고정피스를 매개로 상기 지주와 일체가 되도록 형성된 하부 내주 면에 나사산(210)이 형성된 원형 파이프의 지주보강부재(200);
    지면의 표면에 앙카볼트를 매개로 고정 설치되는 고정판(310)이 마련되고 그 고정판의 중앙부에는 외주 면에 상기 원형의 파이프 나사산과 나사결합 되도록 나사산(330)이 형성된 체결구(320)를 상향 돌출되게 설치하여 된 지주고정수단(300); 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지주는 원형 또는 4각형 중 어느 하나의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지주의 외주면 4방에는 상단에서 하단에 이르는 요홈(130)을 형성시켜 된 것이며,
    상기 지주의 하부에는 상기 고정판을 수용하도록 하부가 개방되고 상부 중앙에는 지주를 수용하는 관통 홀(141)이 형성된 하부 캡(140)이 구비되며 그 하부 캡은 양분될 수 있도록 중앙부에 고정피스를 매개로 분해결합되는 분해결합부(142)가 형성되고 상기 분해결합부의 양 측면 각 단부에는 중첩부(142a,142b)가 형성되며 그 중첩부는 상호 중첩되었을 때 단턱이 형성되지 않고 일직선을 이루도록 형성시켜 된 것이고,
    상기 고정판의 하부 중앙부에는 원형의 안착 홈(340)이 형성되고 그 안착 홈의 중앙에는 상기 고정판을 관통하며 내주 면에 나사부(351)가 형성된 관통 공(350)이 형성되며 그 관통 공의 주위에는 핀 체결 홀(360)이 형성되고 상기 체결구의 하단에는 상기 안착 홈에 긴밀히 안착되는 원형의 결합 판(370)이 형성되며 그 결합판의 표면에는 상기 핀 체결 홀에 끼워 결합되는 핀(380)이 돌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자인형 울타리 지주 고정구조.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1020180091481A 2018-08-06 2018-08-06 디자인형 울타리 지주 고정구조 KR1019859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1481A KR101985957B1 (ko) 2018-08-06 2018-08-06 디자인형 울타리 지주 고정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1481A KR101985957B1 (ko) 2018-08-06 2018-08-06 디자인형 울타리 지주 고정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85957B1 true KR101985957B1 (ko) 2019-06-04

Family

ID=668110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91481A KR101985957B1 (ko) 2018-08-06 2018-08-06 디자인형 울타리 지주 고정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8595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53049B1 (ko) * 2021-08-19 2022-01-19 (주)케이알에코원 조립식 지주 구조물
KR20230066801A (ko) 2021-11-08 2023-05-16 양희숙 데크용 지주 결합 구조물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49144Y1 (ko) 2004-02-13 2004-04-30 김오형 핸드레일의 지주 고정구조
JP2004225383A (ja) * 2003-01-23 2004-08-12 Hakusui Kosan Kk 手摺用支柱
KR200403204Y1 (ko) 2005-09-13 2005-12-09 양재성 매립 앙카볼트 고정용 난간대
JP2007255100A (ja) * 2006-03-24 2007-10-04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手摺りの連結構造
KR20110063605A (ko) * 2009-12-05 2011-06-13 이종현 교량용 방호울타리
KR101658203B1 (ko) * 2015-04-06 2016-09-22 휴인 주식회사 집성난간기둥을 이용한 목재형 난간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25383A (ja) * 2003-01-23 2004-08-12 Hakusui Kosan Kk 手摺用支柱
KR200349144Y1 (ko) 2004-02-13 2004-04-30 김오형 핸드레일의 지주 고정구조
KR200403204Y1 (ko) 2005-09-13 2005-12-09 양재성 매립 앙카볼트 고정용 난간대
JP2007255100A (ja) * 2006-03-24 2007-10-04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手摺りの連結構造
KR20110063605A (ko) * 2009-12-05 2011-06-13 이종현 교량용 방호울타리
KR101658203B1 (ko) * 2015-04-06 2016-09-22 휴인 주식회사 집성난간기둥을 이용한 목재형 난간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53049B1 (ko) * 2021-08-19 2022-01-19 (주)케이알에코원 조립식 지주 구조물
KR20230066801A (ko) 2021-11-08 2023-05-16 양희숙 데크용 지주 결합 구조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85957B1 (ko) 디자인형 울타리 지주 고정구조
JP2010065524A (ja) 境界構造物の線形部材用連結機構
KR101930844B1 (ko) 데크로드 난간 구조체 및 그 시공방법
KR101929380B1 (ko) 천연목재 난간 기둥 고정장치
KR101467498B1 (ko) 높이 조절이 가능한 조립식 난간
KR200393014Y1 (ko) 핸드레일용 계단 난간 구조물
KR20120086433A (ko) 각도조절이 가능한 가드레일 연결구조
KR200493538Y1 (ko) 계단 난간대의 결속구조
JP3737888B2 (ja) 防護柵のビーム取付構造
KR101567301B1 (ko) 점검시설용 발판 설치구조
KR200404527Y1 (ko) 족장구조물의 결합장치
KR101026147B1 (ko) 간편한 조립구조를 갖는 보도용 난간 및 그 조립방법
JP2003343062A (ja) 手摺支柱の取付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0931572B1 (ko) 분리형 테이퍼폴의 연결장치
JP3209934U (ja) 足場用連結具および足場セット
KR20090022402A (ko) 선체블록 체결용 클램프
JP2003193684A (ja) ベランダ用パイプ取付金具
KR200223680Y1 (ko) 일체형 앵커 플레이트가 부착된 난간지주
KR200292597Y1 (ko) 핸드레일 포스트 지그
KR101450243B1 (ko) 건설공사용 파이프 비계
US11732481B2 (en) Cantilever stair assembly
KR200345074Y1 (ko) 핸드레일 고정용 포스트
KR200155092Y1 (ko) 야외구조물 조립구조
KR200349171Y1 (ko) 핸드레일의 지주와 레일 연결구조
JP2007211461A (ja) 閉鎖断面柱及びこれを用いた接合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