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53049B1 - 조립식 지주 구조물 - Google Patents

조립식 지주 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53049B1
KR102353049B1 KR1020210109683A KR20210109683A KR102353049B1 KR 102353049 B1 KR102353049 B1 KR 102353049B1 KR 1020210109683 A KR1020210109683 A KR 1020210109683A KR 20210109683 A KR20210109683 A KR 20210109683A KR 102353049 B1 KR102353049 B1 KR 1023530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inforcing
pole
protruding
plate
coup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096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기록
Original Assignee
(주)케이알에코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케이알에코원 filed Critical (주)케이알에코원
Priority to KR10202101096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5304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530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530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7/00Fencing, e.g. fences, enclosures, corrals
    • E04H17/14Fences constructed of rigid elements, e.g. with additional wire fillings or with posts
    • E04H17/20Posts therefor
    • E04H17/21Posts therefor with hollow cross sec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7/00Fencing, e.g. fences, enclosures, corrals
    • E04H17/14Fences constructed of rigid elements, e.g. with additional wire fillings or with posts
    • E04H17/20Posts therefor
    • E04H17/22Anchoring means therefor, e.g. specially-shaped parts entering the ground; Struts or the li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onnection Of Pla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주 자체 강도를 유지하기 위하여 내부에 금속재의 보강속주를 설치하면서 보강속주의 외부로 노출된 목재 등의 외장재로 구성된 마감커버가 구비됨으로서 지주의 외관을 미려하게 하여 주변 환경과 조화를 이루면서, 견고성과 안전성을 유지할 수 있는 동시에 외장재의 교체가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조립식 지주 구조물에 관한 것으로서, 상하 개방되면서 내부로 빈 수직공간의 코어홀(101)과 양측면에 각각 상호 대칭되도록 이격된 한 쌍이 수직길이로 돌출된 돌출탭(110)이 형성된 보강속주(100)와, 상기 보강속주(100)의 둘레를 감싸 상호 대칭을 이루도록 한 쌍의 마감커버(200)와, 상기 보강속주(100)의 코어홀(101)로 삽입되면서 보강속주(100)의 수직길이에 대응되는 길이로 형성된 보강심재(400) 및, 상기 보강속주(100), 마감커버(200) 및 보강심재(400)가 상호 결합된 일체의 하단부를 결합 지지하도록 상부에 장착홈(301)이 형성된 베이스판(30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조립식 지주 구조물{Prefabricated support structure}
본 발명은 조립식 지주 구조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지주 자체 강도를 유지하기 위하여 내부에 금속재의 보강속주를 설치하면서 보강속주의 외부로 노출된 목재 등의 외장재로 구성된 마감커버가 구비됨으로서 지주의 외관을 미려하게 하여 주변 환경과 조화를 이루면서, 견고성과 안전성을 유지할 수 있는 동시에 외장재의 교체가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조립식 지주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난간은 차도, 인도, 교량, 계단 등에 적용되어 보행자의 추락을 방지하거나 차량의 침범을 막아 보행자를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난간은 차량의 침범을 막을 수 있는 충분한 강도를 갖기 위해 대부분 금속제로 제작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난간이 금속제로 제작될 경우 금속 재질이 주는 딱딱하고 차가움 때문에 주변환경과 어울리지 못하고 이질감을 주는 경우가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최근에는 목재로 이루어진 난간이 도로의 인도나 산책로 또는 유원지 등에 시공되고 있다.
이러한 목재 난간은 일반적으로 난간기둥의 측면에 홈을 파서 난간대를 설치하여 완성시키거나, 별도의 브라켓을 이용하여 난간기둥과 난간대를 나사결합시켜 조립된다.
그러나 상기 난간기둥의 측면에 홈을 파서 난간대를 설치하는 경우 목재가 시간이 지남에 따라 건조되어 신축현상으로 인해 난간기둥과 난간대의 결합부분에 틈새가 벌어져 구조적으로 안정되지 못하여 추가보완을 하는 공정을 실시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1.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967858호(조립식 기둥) 2.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037725호(기둥 구조물)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주변환경에 맞게 미감을 높인 마감커버로 구성되는 것으로 커버 간에 결합을 통해 브라켓 등을 사용하지 않으면서 지주를 시공할 수 있어 시공성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시간이 지나감에 따라 목재의 신축현상에 의한 결합부위의 변형이 적어 유지보수비가 절약되고, 더욱이 목재커버의 결합 및 지주의 강도를 보강할 수 있도록 지주 내부에 보강속주를 설치함으로서 지주 자체의 강도를 증대시키면서 목재커버 간의 결합력을 증대시킨 조립식 지주 구조물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 달성을 위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상하 개방되면서 내부로 빈 수직공간의 코어홀과 양측면에 각각 상호 대칭되도록 이격된 한 쌍이 수직길이로 돌출된 돌출탭이 형성된 보강속주와,
상기 보강속주의 둘레를 감싸 상호 대칭을 이루도록 한 쌍의 마감커버를 포함하는 조립식 지주 구조물을 제공한다.
한편, 상기 마감커버는 보강속주의 둘레를 감싸 결합되도록 상호 대칭형태의 한 쌍이 마련되며,
상기 마감커버는 수직단면이 “ㄷ”형태로 형성되면서 내측면은 결합되는 보강속주의 외측면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진 내측형상부를 가지며,
상기 보강속주의 외측면에 마주하는 내측면인 내측형상부의 전측 및 후측에 각각 돌출된 결합면이 형성되며,
상기 마감커버의 내측형상부에는 보강속주의 돌출탭 위치 및 형상에 대응된 끼움홈이 형성되는 조립식 지주 구조물을 제공한다.
한편, 상기 보강속주가 사각단면형태를 가질 때 서로 대향하는 면(面)들 중 어느 하나의 상호 대향하는 양측 면(面)에 한 쌍의 돌출탭이 형성되며, 이때 돌출탭이 형성된 면(面) 중앙에 한 쌍의 마감커버가 상호 접합되는 면(面)이 위치하는 조립식 지주 구조물을 제공한다.
한편, 상기 보강속주의 코어홀 내부 모서리 각각에 보강속주의 수직길이에 대응된 수직길이로 돌출 형성된 결합부가 형성되되, 상기 결합부는 보강속주의 코어홀 내부 모서리를 기준으로 양측 내측벽면에 서로 대칭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돌출탭의 연결 위치가 결합부의 위치에 대응된 보강속주 외측 일면에 위치하는 조립식 지주 구조물을 제공한다.
한편, 상기 결합부의 내부 중앙에 결합부 수직길이에 대응된 수직길이로 결합공이 형성되면서 보강속주의 코어홀 내부 모서리의 기준 위치에 대응된 결합부의 외측면 중앙으로 결합공의 길이에 대응되면서 결합공에 연통 절개된 개방슬릿이 형성되되,
상기 결합공의 중심을 기준으로 원주형태의 외주면 일부가 결합부의 외주면에 대응되는 형상 구조를 가지는 조립식 지주 구조물을 제공한다.
한편, 상기 보강속주의 상호 대향하는 각 면(面)에 형성된 한 쌍의 돌출탭이 소정의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으며, 이때 한 쌍의 돌출탭이 상호 대칭형태로 형성되는 구조를 가지는 조립식 지주 구조물을 제공한다.
한편, 상기 보강속주에 한 쌍의 마감커버가 결합할 때 보강속주의 양측면 각각에 상호 대향하는 돌출탭 결합단위에 각각의 마감커버가 연결되는 구조를 가지는 조립식 지주 구조물을 제공한다.
한편, 상기 보강심재는 보강속주의 코어홀로 삽입되면서 보강속주의 수직길이에 대응되는 길이로 형성되거나 베이스판 상부로부터 소정길이로 연장된 길이로 보강속주의 코어홀 하부에 위치하도록 형성되는 조립식 지주 구조물을 제공한다.
한편, 상기 보강심재는 수평 단면이 원형 또는 사각형일 수 있으며, 상기 보강심재가 원형의 단면을 가질 경우 보강속주의 결합부에 형성된 개방슬릿의 양측 절단면부 노출팁과 상기 노출팁의 위치에 대응되는 보강심재 외주면이 가압 밀착되는 구조를 가지는 조립식 지주 구조물을 제공한다.
한편, 상기 보강속주의 돌출탭 한 쌍이 형성된 양측면 각각에 하나 이상이 설치되며, 상기 돌출탭과 돌출탭 사이의 보강속주 면(面)에 면접되는 수평길이의 제1지지판과 상기 제1지지판의 양단에 각각 절곡되어 돌출탭 내측면에 면접되면서 면접되는 일면에 대향하는 타면 중앙에 돌출된 고정탭이 형성된 연결판과 상기 연결판 각각의 단부에 연결 절곡되어 돌출탭의 외측면에 면접되는 고정판으로 구성된 일체의 고정핀부재가 더 포함되며,
상기 연결판의 고정탭의 위치 및 형상에 대응되도록 마감커버의 끼움홈에 고정홈이 형성되는 조립식 지주 구조물을 제공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지주 구조물에 의하면, 본 발명은 주변환경에 어울리도록 목재 등으로 이루어진 마감커버로 제작되어 있고, 마감커버들의 결합 간에 별도의 브라켓을 사용하지 않고 내부에 지주의 강도 및 지지력을 증대할 수 있는 보강속주에 끼움결합으로 결합되어 있어 조립이 용이하여 시공성이 우수하고 커버의 신축현상에 의한 결합부위의 변형이 적어 유지보수비가 절약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지주 구조물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지주 구조물의 조립구조를 나타낸 분리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지주 구조물에서 마감커버-보강속주-보강심재의 결합구조를 나타낸 단면도(a)와 마감커버-보강속주의 결합구조를 나타낸 분리단면도(b).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지주 구조물에서 보강속주의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지주 구조물에서 고정핀부재가 결합된 마감커버-보강속주의 단면도(a)와 고정탭이 형성된 고정핀부재가 결합된 마감커버-보강속주의 단면도(b).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지주 구조물에서 탄성체-베이스판의 결합구조를 나타낸 분리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지주 구조물에서 탄성체의 사시도(a)와 보강판이 형성된 탄성체의 사시도(b).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하기와 같은 실시예를 도면을 통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도 1 내지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하 개방되면서 내부로 빈 수직공간의 코어홀(101)과 양측면에 각각 상호 대칭되도록 이격된 한 쌍이 수직길이로 돌출된 돌출탭(110)이 형성된 보강속주(100)와,
상기 보강속주(100)의 둘레를 감싸 상호 대칭을 이루도록 한 쌍의 마감커버(200)와,
상기 보강속주(100)의 코어홀(101)로 삽입되면서 보강속주(100)의 수직길이에 대응되는 길이로 형성된 보강심재(400) 및,
상기 보강속주(100), 마감커버(200) 및 보강심재(400)가 상호 결합된 일체의 하단부를 결합 지지하는 베이스판(300);을 포함하는 조립식 지주 구조물(10, 이하 ‘지주’로 칭함.)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지주(10)는 내부의 보강속주(100), 외부의 마감커버(200)와, 상기 보강속주(100) 코어홀(101) 내부 삽입되는 보강심재(400) 및, 상기 보강속주(100), 마감커버(200) 및 보강심재(400)가 상호 결합된 일몸체의 하단부를 결합 고정하는 베이스판(300)으로 구성되는 일체의 결합구조를 가지며, 상기 보강속주(100)와 보강심재(400)는 금속재로 구성되면서 마감커버(200)는 목재로 구성되며, 이때 상기 마감커버(200)는 목재에 한정되는 되는 것은 아니며, 합성목재, 금속재 등이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도 3과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보강속주(100)는 상하로 개방되면서 내부로 빈 수직공간의 코어홀(101)과 양측면에 각각 상호 대칭되도록 이격된 한 쌍이 수직길이로 돌출된 돌출탭(110)이 형성되며, 상기 코어홀(101)은 수직단면이 사각형, 원형 등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돌출탭(110)은 보강속주(100)의 수직단면이 사각형태라면 어느 하나의 서로 대향하는 양측의 면(面)에 상호 대칭형태로 형성되며, 이때 각 면(面)에 이격된 한 쌍의 돌출탭(110)이 수직길이로 형성된다.
상기 보강속주(100)가 사각단면형태를 가질 때 서로 대향하는 면(面)들 중 어느 하나의 상호 대향하는 양측 면(面)에 한 쌍의 돌출탭(110)이 형성되며, 이때 돌출탭(110)이 형성된 면(面) 중앙에 한 쌍의 마감커버(200)가 상호 접합되는 면(面)이 위치하며, 즉 보강속주(100)의 돌출탭(110)이 형성된 양측면 중 일측면의 돌출탭(110) 중앙에 한 쌍의 마감커버(200) 양측 결합면(230) 중 상호 접합 면접되는 일측 결합면(230) 부위가 위치하면서 타측면의 돌출탭(110) 중앙에 상기 한 쌍의 마감커버(200) 양측 결합면(230) 중 상호 접합 면접되는 타측 결합면(230) 부위가 위치하며, 이때 한 쌍의 마감커버(200)가 상호 접합되는 면(面)에 지주(10)와 지주(10) 사이에 가로방향으로 연결되는 횡바(미도시)가 결합되게 된다.
또한, 상기 보강속주(100)의 상호 대향하는 각 면(面)에 형성된 한 쌍의 돌출탭(110)이 소정의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으며, 이때 한 쌍의 돌출탭(110)이 상호 대칭형태로 형성되는 구조를 가진다.
즉, 상기 마감커버(200)가 보강속주(100) 둘레에 감싸 결합시 상기 돌출탭(110)의 위치에 대응된 위치의 마감커버(200) 내측인 내측형상부(210)에 돌출탭(110)의 형상 및 기울기에 대응된 끼움홈(220)이 형성되며, 이때 보강속주(100)의 돌출탭(110)과 마감커버(200)의 끼움홈(220)이 상호 치합됨으로서 마감커버(200)와 보강속주(100) 간에 견고한 결합력 및 지지력을 증대하게 된다.
그리고,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보강속주(100)의 코어홀(101) 내부 모서리 각각에 보강속주(100)의 수직길이에 대응된 수직길이로 돌출 형성된 결합부(120)가 형성되며, 상기 결합부(120)는 보강속주(100)의 코어홀(110) 내부 모서리를 기준으로 양측 내측벽면에 서로 대칭형태로 형성되는 구조를 가지며, 상기 결합부(120)는 외력에 의해 보강속주(100)가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마감커버(200)와의 결합력을 증대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즉, 보강속주(100)의 외측에 형성된 돌출탭(110)에 지지 결합된 마감커버(200)에 있어 돌출탭(110)의 연결 위치가 결합부(120)의 형성 위치에 대응된 보강속주(100) 외측 일면에 위치하여 돌출탭(110)의 강성을 보강하면서 지지력을 증대하여 마감커버(200)와의 결합력을 증가시키게 된다.
그리고, 상기 결합부(120)의 내부 중앙에 결합부(120) 수직길이에 대응된 수직길이로 결합공(121)이 형성되면서 보강속주(100)의 코어홀(101) 내부 모서리의 기준 위치에 대응된 결합부(120)의 외측면 중앙으로 결합공(121)의 길이에 대응되면서 결합공(121)에 연통 절개된 개방슬릿(122)이 형성되되, 상기 결합공(121)의 중심을 기준으로 원주형태의 외주면 일부가 결합부(120)의 외주면에 대응되는 형상 구조를 가진다.
상기 결합공(121)은 지주(10)의 상단커버(미도시) 및 지주(10)의 하단에 고정되는 베이스판(300)에 볼트 등에 의해 결합하도록 하며, 상기 보강속주(100)의 코어홀(101) 내부의 각 모서리에 형성된 결합부(120)는 상술한 바와 같이 모서리를 기준으로 양측 내측벽면에 상호 대칭형태로 연결되며, 이때 결합부(120)의 내부에 결합부(120)의 수직길이에 대응된 길이로 상하 개방된 결합공(121)이 형성되되, 상기 결합공(121)의 중심점을 기준으로 원주형태의 외주면 일부 형상이 결합부(120)의 외주면 형상에 대응되며, 즉 결합공(121)의 중심점을 기준으로 소정의 지름을 가진 원형태을 가질 때 원형태의 외주면 일부가 결합부(120)의 외주면에 해당되어 결합부(120)의 외주면이 곡면형상을 가진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결합부(120)의 외주면에 결합부(120)의 수직길이에 대응된 길이로 절개되면서 결합공(121)으로 연통된 개방슬릿(122)이 형성되며, 상기 보강속주(100)의 코어홀(101) 내부 모서리를 기준 위치에 대응된 결합부(120) 외주 일면에 개방슬릿(122)이 형성되면서 상기 모서리의 위치로 개방슬릿(122)의 중앙이 위치하도록 하며, 상기 개방슬릿(122)은 결합부(120)의 외주면으로 갈수록 폭이 점진적으로 증가하는 형태를 가진다.
그리고,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결합부(120)의 개방슬릿(122) 양측면에 절단면부(120-1)가 형성되며, 즉 결합부(120)의 절단면부(120-1)와 절단면부(120-1) 사이에 개방슬릿(122)이 형성되며, 상기 절단면부(120-1)의 외측단을 노출팁(120-2)으로 칭하여 개방슬릿(122)의 수직길이에 대응되는 길이로 노출팁(120-2)이 형성된다.
그리고,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마감커버(200)는 보강속주(100)의 둘레를 감싸 결합되도록 상호 대칭형태의 한 쌍이 마련되며, 상기 마감커버(200) 내측면은 결합되는 보강속주(100)의 외측면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진 내측형상부(210)를 가지며, 한 쌍의 마감커버(200)가 보강속주(100) 둘레에 결합시 외형 단면이 사각단면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마감커버(200)의 내측형상부(210)에는 보강속주(100)의 돌출탭(110) 위치 및 형상에 대응된 끼움홈(220)이 형성되며, 상기 돌출탭(110)과 끼움홈(220)이 상호 결합되어 보강속주(100)의 외측에 마감커버(200)가 결합 고정하게 된다.
상기 마감커버(200) 한 쌍이 상호 면접되는 양측 결합면(230)의 위치가 돌출탭(110)이 형성된 면(面) 중앙에 위치하며, 즉 마감커버(200)는 수직단면이 “ㄷ”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보강속주(100)의 외측면에 마주하는 내측면인 내측형상부(210)의 전측 및 후측에 각각 돌출된 결합면(230)이 형성되며, 상기 한 쌍의 마감커버(200) 중 일측 마감커버(200)의 결합면(230)과 타측 마감커버(200)의 결합면(230)이 상호 면접되면서 보강속주(100)의 양측면 중 일측면의 돌출탭(110)과 돌출탭(110) 중앙에 마감커버(200)의 결합면(230)이 위치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보강속주(100)에 한 쌍의 마감커버(200)가 결합할 때 보강속주(100)의 양측면 각각에 상호 대향하는 돌출탭(110) 결합단위에 각각의 마감커버(200)가 연결되는 구조를 가지며, 즉 보강속주(100)의 일측면에 형성된 한 쌍의 돌출탭(110) 중 전측 돌출탭(110)과 상기 전측 돌출탭(110)에 대향하는 보강속주(100)의 타측면에 형성된 전측 돌출탭(110)과의 결합단위 그리고 보강속주(100)의 일측면에 형성된 한 쌍의 돌출탭(110) 중 후측 돌출탭(110)과 상기 후측 돌출탭(110)에 대향하는 보강속주(100)의 타측면에 형성된 후측 돌출탭(110)과의 결합단위에서 각각의 결합단위에 각각의 마감커버(200)가 결합되어 결합단위별 개별적으로 마감커버(200)가 결합되는 구조를 가진다.
그리고, 도 2와 도 3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보강심재(400)는 내부로 상하 관통된 통공(401)이 형성되며, 상기 보강속주(100)의 코어홀(101)로 삽입되면서 보강속주(100)의 수직길이에 대응되는 길이로 형성되거나 베이스판(300) 상부로부터 소정길이로 연장된 길이로 보강속주(100)의 코어홀(101) 하부에 위치하여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보강심재(400)는 수평 단면이 원형 또는 사각형일 수 있으며, 원형의 단면을 가진 보강심재(400)일 경우 보강속주(100)의 결합부(120)에 형성된 개방슬릿(122)의 양측 절단면부 노출팁(120-2)과 상기 노출팁(120-2)의 위치에 대응되는 보강심재(400) 외주면이 가압 밀착되는 구조를 가지며, 즉 보강심재(400)가 보강속주(100)의 코어홀(101)로 삽입시 보강속주(100)의 결합부(120)에 형성된 노출팁(120-2)이 보강심재(400)의 외주면을 스크랫치형태로 밀착 가압하면서 보강속주(100)의 코어홀(101)로 보강심재(400)가 삽입되는 결합구조를 가진다.
상기 보강심재(400)는 베이스판(300)의 상부 중앙에 연결될 수 있으며, 후술되는 베이스판(300)의 장착홈(301) 중앙에 보강심재(400)의 하단이 고정되어 보강속주(100)의 코어홀(101)로 삽입된다.
그리고, 도 1과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지주(10)의 하단에 설치되어 지주(10)의 외형에 대응된 형상을 가진 장착홈(301)이 상부에 형성되면서 장착홈(301) 둘레에 지주(10)의 하단 외측면을 감싸 지지하도록 단차지지부(310)를 형성하며, 상기 단차지지부(310)의 양측 하단에서 수평 연장된 고정부(320)가 형성된 베이스판(300)이 포함되는 구조를 가진다.
상기 베이스판(300)의 장착홈(301) 둘레에 베이스판(300) 상면에서 수직판재가 사각형태로 수직 돌출되어 단차지지부(310)를 형성하며, 상기 단차지지부(310)의 내측에 장착홈(301)이 형성됨으로서 지주(10)의 하단부가 긴밀히 결속되는 구조를 가진다.
즉, 상기 지주(10)를 구성하는 마감커버(200)의 하단 외측면이 장착홈(301)으로 결속되면서 지지하는 구조로 지주(10)를 결합하게 된다.
또한, 상기 보강속주(100)의 외부로 마감커버(200) 한 쌍이 감싸 결합되며, 이때 마감커버(200) 간의 지지력을 강화하도록 다음과 같은 구조가 마련된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보강속주(100)의 돌출탭(110) 한 쌍이 형성된 양측면 각각에 하나 이상이 설치되며, 상기 돌출탭(110)과 돌출탭(110) 사이의 보강속주(100) 면(面)에 면접되는 수평길이의 제1지지판(510)과 상기 제1지지판(510)의 양단에 각각 절곡되어 돌출탭(110) 내측면에 면접되면서 면접되는 일면에 대향하는 타면 중앙에 돌출된 고정탭(521)이 형성된 연결판(520)과 상기 연결판(520) 각각의 단부에 연결되어 직각으로 절곡되면서 다시 내향으로 절곡되어 돌출탭(110)의 외측면에 면접되는 고정판(530)으로 구성된 일체의 고정핀부재(500)가 더 포함되며,
상기 연결판(520)의 고정탭(521) 위치 및 형상에 대응되도록 마감커버(200)의 끼움홈(220)에 고정홈(221)이 형성되는 지주(10)를 제공한다.
상기 고정핀부재(500)는 한 쌍의 돌출탭(110)이 형성된 보강속주(100) 양측면에 수직길이방향으로 하나 이상이 등간격으로 배치되며, 제1지지판(510)을 기준으로 양측에 연결판(520)이 연결 형성되면서 연결판(520)에 고정판(530)이 연결 형성되는 일체의 구조를 가진다.
상기 제1지지판(510)은 돌출탭(110)과 돌출탭(110) 사이로 보강속주(100)의 노출된 면(面)에 면접되면서 노출면 수평길이에 대응된 수평길이를 가지며, 상기 연결판(520)과 고정판(530) 일체의 연결형상에서 내측 공간의 단면형상이 돌출탭(110)의 외형에 대응되게 형성되며, 상기 연결판(520)은 제1지지판(510) 양단에 각각 연결 절곡되어 돌출탭(110)의 내측면에 면접되며, 상기 고정판(530)은 각각의 연결판(520) 단부에 연결되어 직각 절곡되면서 다시 내향으로 직각 절곡되어 돌출탭(110)의 외측면에 면접되는 형태를 가진다.
상기 연결판(520)과 고정판(530) 사이에 끼움공간이 형성되면서 끼움공간으로 돌출탭(110)이 끼움 결합되며, 상기 연결판(520) 타면의 중앙에 돌출된 고정탭(521)이 마감커버(200)의 끼움홈(220) 내측에 형성된 고정홈(221)에 결합됨으로서 고정핀부재(500)의 고정탭(521) 각각에 결합된 전측 및 후측의 마감커버(200) 간에 지지력을 강화하게 된다.
또한, 도 6과 도 7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베이스판(300)의 장착홈(301) 단면적에 대응되면서 장착홈(301) 내로 결속되며, 상부로 보강속주(100) 및 보강심재(400)가 안착되도록 중앙에 수평판재형의 제2지지판(610)과 상기 제2지지판(610)의 양측에 좌우 대칭형태로 연결 형성된 완충부(620)로 구성된 탄성체(600)가 구비되며,
상기 완충부(620)는 제2지지판(610)의 단부에 일단이 경사지게 연결된 경사판(621)과 상기 경사판(621)의 타단에 일단이 수평지게 연결된 가압판(622) 및 상기 가압판(622)의 타단에 일단이 수직으로 연결된 받침판(623)으로 구성되며,
상기 완충부(620)의 경사판(621)에 보강속주(100)의 돌출탭(110) 단면형상 및 위치에 대응되게 완충부(620)의 경사판(621)에 한 쌍의 끼움공(621-1)이 형성된다.
상기 탄성체(600)는 베이스판(300)의 장착홈(301)에 설치되어 지주(10)에 가해지는 외력을 완충하면서 지주(10)의 결속력을 유지하도록 하며, 특히 베이스판(300)과 보강속주(100), 마감커버(200) 및 보강심재(400)가 상호 결합된 일몸체 하부 간의 유격발생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상기 탄성체(600)는 장착홈(301)에 긴밀히 수용되도록 장착홈(301)의 수평 단면적에 비례한 수평 단면적을 가지며, 상기 수평판재형의 제2지지판(610)을 기준으로 양측에 완충부(620)가 상호 좌우 대칭형태로 연결 형성되는 구조이며, 상기 완충부(620)는 제2지지판(610)의 단부 수평길이에 대응되게 경사판(621)의 일단이 연결되며, 이때 경사판(621)은 상향의 소정 각도로 경사진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경사판(621)의 타단 수평길이에 대응되게 가압판(622) 일단이 수평지게 형성되며, 이때 제2지지판(610)을 기준으로 가압판(622)과의 수직높이는 베이스판(300)의 단차지지부(310) 높이에 동일하거나 더 작게 형성되며, 상기 가압판(622)의 타단 수평길이에 대응되게 수직하게 받침판(623)이 형성되며, 이때 받침판(623)의 타단은 제2지지판(610)의 위치에 대응되게 수직길이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완충부(620) 각각의 경사판(621)에 끼움공(621-1) 한 쌍씩 형성되며, 상기 끼움공(621-1)들은 보강속주(100)의 돌출탭(110) 수(數) 및 단면에 대응되게 형성되며, 상기 탄성체(600)의 상부로 보강속주(100)가 설치시 보강속주(100)의 돌출탭(110)이 완충부(600)의 끼움공(621-1)에 결합 지지되면서 보강속주(100) 하면이 제2지지판(610)의 상면에 면접되게 되며, 상기 보강심재(400)도 제2지지판(610)의 상부에 안착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마감커버(200)의 하단부는 완충부(620)의 가압판(622) 상부에 안착됨으로서 마감커버(200) 하부로 보강속주(100)의 하부 일부가 돌출된 형태로 형성되어 탄성체(600)의 제2지지판(610)에 안착되게 된다.
또한, 도 7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탄성체(600)의 제2지지판(610) 전단 중앙 및 후단 중앙에 각각 일면으로부터 절개되어 수직으로 접힌 사각판재형의 보강판(611)이 형성되며, 상기 보강판(611)은 보강심재(400)의 통공(401) 내주면에 밀착되거나 보강속주(100)의 결합부(120)와 결합부(120) 사이의 내주면과 보강심재(400)의 외주면 사이의 삽입공간(101-1)으로 삽입되며, 상기 삽입공간(101-1)으로 보강판(611)이 삽입되면서 탄성체(600)와 보강속주(100) 간의 지지력 보강 및 탄성체(600)와 보강심재(400) 간의 지지력을 보강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그리고, 도면에 미도시되었지만 상기 베이스판(300)의 장착홈(301)에 구비된 탄성체(600)와 상기 탄성체(600)의 상부로 안착된 보강속주(100) 및 보강심재(400)를 동시에 함께 고정시키며, 이때 양측 완충부(620) 각각의 끼움공(621-1)과 끼움공(621-1) 사이에 한 쌍이 형성되면서 양측 완충부(620)에서 상호 마주하도록 제1볼트공(미도시)이 형성되며, 상기 제1볼트공의 위치에 대응되도록 보강속주(100)에 제2볼트공(미도시)이 형성되며, 상기 제2볼트공의 위치에 대응되도록 보강심재(400)에 제3볼트공(미도시)이 형성되며, 상기 제1볼트공의 위치에 대응되도록 베이스판(300)의 단차지지부(310)에 일측 제4볼트공(미도시)이 형성되며, 즉 제1볼트공, 제2볼트공, 제3볼트공 및 제4볼트공이 수평 연통되게 배열되는 구조를 가지며, 하나의 볼트(미도시)가 베이스판(300)의 제4볼트공, 탄성체(600)의 제1볼트공, 보강속주(100)의 제2볼트공 및 보강심재(400)의 제3볼트공을 체결시켜 너트(미도시)로 고정시키는 구조를 가지어 베이스판(100)에 탄성체(600), 보강속주(100) 및 보강심재(400)를 일체로 결합 고정하는 구조를 가진다.
이상의 설명은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실시예들은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실시예의 기술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실시예의 보호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실시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지주 10 보강속주 100 코어홀 101
돌출탭 110 결합부 120 결합공 121
개방슬릿 122 마감커버 200 내측형상부 210
끼움홈 220 고정홈 221 결합면 230
베이스판 300 장착홈 301 단차지지부 310
고정부 320 보강심재 400 고정핀부재 500
제1지지판 510 연결판 520 고정탭 521
고정판 530 탄성체 600 제2지지판 610
완충부 620 경사판 621 끼움공 621-1
가압판 622 받침판 623

Claims (11)

  1. 상하 개방되면서 내부로 빈 수직공간의 코어홀(101)과 양측면에 각각 상호 대칭되도록 이격된 한 쌍이 수직길이로 돌출된 돌출탭(110)이 형성된 보강속주(100);와,
    상기 보강속주(100)의 둘레를 감싸 결합되도록 상호 대칭형태의 한 쌍이 마련되며, 수직단면이 “ㄷ”형태로 형성되면서 내측면은 결합되는 보강속주(100)의 외측면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진 내측형상부(210)를 가지며, 상기 보강속주(100)의 외측면에 마주하는 내측면인 내측형상부(210)의 전측 및 후측에 각각 돌출된 결합면(230)이 형성되며, 상기 내측형상부(210)에는 보강속주(100)의 돌출탭(110) 위치 및 형상에 대응된 끼움홈(220)이 형성된 마감커버(200);와,
    상기 보강속주(100)의 코어홀(101)로 삽입되면서 보강속주(100)의 수직길이에 대응되는 길이로 형성된 보강심재(400);와,
    상기 보강속주(100), 마감커버(200) 및 보강심재(400)가 상호 결합된 일체의 하단부를 결합 지지하도록 상부에 장착홈(301)이 형성된 베이스판(300); 및,
    상기 보강속주(100)의 돌출탭(110) 한 쌍이 형성된 양측면 각각에 하나 이상이 설치되며, 상기 돌출탭(110)과 돌출탭(110) 사이의 보강속주(100) 면(面)에 면접되는 수평길이의 제1지지판(510)과 상기 제1지지판(510)의 양단에 각각 절곡되어 돌출탭(110) 내측면에 면접되면서 면접되는 일면에 대향하는 타면 중앙에 돌출된 고정탭(521)이 형성된 연결판(520)과 상기 연결판(520) 각각의 단부에 연결되어 직각으로 절곡되면서 다시 내향으로 절곡되어 돌출탭(110)의 외측면에 면접되는 고정판(530)으로 구성된 일체의 고정핀부재(500);가 포함되며,
    상기 연결판(520)의 고정탭(521) 위치 및 형상에 대응되도록 마감커버(200)의 끼움홈(220)에 고정홈(221)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지주 구조물.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속주(100)가 사각단면형태를 가질 때 서로 대향하는 면(面)들 중 어느 하나의 상호 대향하는 양측 면(面)에 한 쌍의 돌출탭(110)이 형성되며, 이때 돌출탭(110)이 형성된 면(面) 중앙에 한 쌍의 마감커버(200)가 상호 접합되는 면(面)이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지주 구조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속주(100)의 코어홀(101) 내부 모서리 각각에 보강속주(100)의 수직길이에 대응된 수직길이로 돌출 형성된 결합부(120)가 형성되되, 상기 결합부(120)는 보강속주(100)의 코어홀(101) 내부 모서리를 기준으로 양측 내측벽면에 서로 대칭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돌출탭(110)의 연결 위치가 결합부(120)의 위치에 대응된 보강속주(100) 외측 일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지주 구조물.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120)의 내부 중앙에 결합부(120) 수직길이에 대응된 수직길이로 결합공(121)이 형성되면서 보강속주(100)의 코어홀(101) 내부 모서리의 기준 위치에 대응된 결합부(120)의 외측면 중앙으로 결합공(121)의 길이에 대응되면서 결합공(121)에 연통 절개된 개방슬릿(122)이 형성되되,
    상기 결합공(121)의 중심을 기준으로 원주형태의 외주면 일부가 결합부(120)의 외주면에 대응되는 형상 구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지주 구조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속주(100)의 상호 대향하는 각 면(面)에 형성된 한 쌍의 돌출탭(110)이 소정의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으며, 이때 한 쌍의 돌출탭(110)이 상호 대칭형태로 형성되는 구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지주 구조물.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심재(400)는 수평 단면이 원형이며, 상기 보강속주(100)의 결합부(120)에 형성된 개방슬릿(122)의 양측 절단면부(120-1) 노출팁(120-2)과 상기 노출팁(120-2)의 위치에 대응되는 보강심재(400) 외주면이 가압 밀착되는 구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지주 구조물.
  9. 삭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판(300)의 장착홈(301) 단면적에 대응되면서 장착홈(301) 내로 결속되며, 상부로 보강속주(100) 및 보강심재(400)가 안착되도록 중앙에 수평판재형의 제2지지판(610)과 상기 제2지지판(610)의 양측에 좌우 대칭형태로 연결 형성된 완충부(620)로 구성된 탄성체(600)가 구비되며,
    상기 완충부(620)는 제2지지판(610)의 단부에 일단이 경사지게 연결된 경사판(621)과 상기 경사판(621)의 타단에 일단이 수평지게 연결된 가압판(622) 및 상기 가압판(622)의 타단에 일단이 수직으로 연결된 받침판(623)으로 구성되며,
    상기 완충부(620)의 경사판(621)에 보강속주(100)의 돌출탭(110) 단면형상 및 위치에 대응되게 완충부(620)의 경사판(621)에 한 쌍의 끼움공(621-1)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지주 구조물.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체(600)의 제2지지판(610) 전단 중앙 및 후단 중앙에 각각 일면으로부터 절개되어 수직으로 접힌 사각판재형의 보강판(611)이 형성되며, 상기 보강판(611)은 보강심재(400)의 통공(401) 내주면에 밀착되거나 보강속주(100)의 결합부(120)와 결합부(120) 사이의 내주면과 보강심재(400)의 외주면 사이의 삽입공간(101-1)으로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지주 구조물.
KR1020210109683A 2021-08-19 2021-08-19 조립식 지주 구조물 KR1023530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9683A KR102353049B1 (ko) 2021-08-19 2021-08-19 조립식 지주 구조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9683A KR102353049B1 (ko) 2021-08-19 2021-08-19 조립식 지주 구조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53049B1 true KR102353049B1 (ko) 2022-01-19

Family

ID=800526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09683A KR102353049B1 (ko) 2021-08-19 2021-08-19 조립식 지주 구조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53049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61056A (ja) * 2001-11-28 2003-06-06 Takasho Co Ltd フェンスの支柱構造
KR100967858B1 (ko) 2010-01-19 2010-07-05 김세현 조립식 기둥
KR101037725B1 (ko) 2010-07-23 2011-05-27 이용국 기둥 구조물
KR101815519B1 (ko) * 2016-12-21 2018-01-05 주식회사 다정하이테크 펜스 및 조합 놀이대 시설물용 지주
KR101985957B1 (ko) * 2018-08-06 2019-06-04 유한회사 덕성 디자인형 울타리 지주 고정구조
KR101991294B1 (ko) * 2018-11-28 2019-06-20 (주)이레이앤엘 수평조절장치를 갖는 조립식 펜스
KR102222363B1 (ko) * 2019-03-15 2021-03-04 주식회사 에이치비세계로 펜스 기둥구조물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61056A (ja) * 2001-11-28 2003-06-06 Takasho Co Ltd フェンスの支柱構造
KR100967858B1 (ko) 2010-01-19 2010-07-05 김세현 조립식 기둥
KR101037725B1 (ko) 2010-07-23 2011-05-27 이용국 기둥 구조물
KR101815519B1 (ko) * 2016-12-21 2018-01-05 주식회사 다정하이테크 펜스 및 조합 놀이대 시설물용 지주
KR101985957B1 (ko) * 2018-08-06 2019-06-04 유한회사 덕성 디자인형 울타리 지주 고정구조
KR101991294B1 (ko) * 2018-11-28 2019-06-20 (주)이레이앤엘 수평조절장치를 갖는 조립식 펜스
KR102222363B1 (ko) * 2019-03-15 2021-03-04 주식회사 에이치비세계로 펜스 기둥구조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00904B2 (en) Adaptable fence
KR100876098B1 (ko) 목재난간 조립구조
KR101631247B1 (ko) 목재 조립형 울타리 지주
KR200441895Y1 (ko) 목재난간 조립구조
KR101646219B1 (ko) 파고라용 기둥조립체
KR102353049B1 (ko) 조립식 지주 구조물
JP4020772B2 (ja) 壁構造体
KR102120940B1 (ko) 건축용 다기능 다목적 지지대
KR200153130Y1 (ko) 조립식 평상
KR101712376B1 (ko) 아연각관을 심재로 하는 목재난간지주
KR200350282Y1 (ko) 조립식 지주가 구비된 펜스
KR102011492B1 (ko) 가로대의 연결구조가 개선된 목재외관을 갖는 난간 조립체
KR101309180B1 (ko) 방음벽 설치구조
KR102032697B1 (ko) 내충격 및 내진 기능이 향상된 기둥 조립체 및 그것이 적용된 조립식 난간
KR200322223Y1 (ko) 조합시설물용 목재기둥의 고정구조
KR102011487B1 (ko) 구조강도가 향상된 목재외관을 갖는 난간용 지주 조립체
JP4134825B2 (ja) 階段
KR200377459Y1 (ko) 격자형 십자중문 조립체
US20050241057A1 (en) Free-standing swimming pool with rigid wall and coping
KR200306176Y1 (ko) 수목 경계틀
KR102222616B1 (ko) 콘크리트 기초가 내장된 블록형 목재 데크
KR200461786Y1 (ko) 차양구조를 구비한 야외용 테이블
KR102630113B1 (ko) 'ㄷ'자 브라켓이 구비된 난간용 기둥
CN216156869U (zh) 一种便于装配的十字建筑结构
KR102543651B1 (ko) 탄성 데크클립과 탄성 데크클립을 이용한 디자인형 울타리 일체형 데크로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