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45074Y1 - 핸드레일 고정용 포스트 - Google Patents

핸드레일 고정용 포스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45074Y1
KR200345074Y1 KR20-2003-0040273U KR20030040273U KR200345074Y1 KR 200345074 Y1 KR200345074 Y1 KR 200345074Y1 KR 20030040273 U KR20030040273 U KR 20030040273U KR 200345074 Y1 KR200345074 Y1 KR 20034507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llar
plate
handrail
fastener
attach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4027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경인순
Original Assignee
경인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인순 filed Critical 경인순
Priority to KR20-2003-004027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4507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4507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45074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32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for persons during the construction of build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5/00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for scaffolds
    • E04G5/14Rail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teps, Ramps, And Handrai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한번의 설치이후 버려지는 철사의 소모를 방지할 수 있으며 간단하고 신속하게 설치 및 해체할 수 있고, 볼트체결에 의한 나사부를 보호하여 고장없이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는 핸드레일 고정용 포스트를 제공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하부에는 고정구(20)를 가지며 수직으로 세워지는 기둥(18)이 구비되고 상기 기둥의 중간지점으로 "L" 형상의 보조기둥(19)이 부착되며, 상기 기둥과 보조기둥의 상부에는 양측에 높이를 달리하는 제1 조임구(12a)와 제2 조임구(12b)가 부착된 작동관(12)이 있으며, 각 작동관(12)의 상부에는 볼트(14)가 끼워진 다음 기둥과 보조기둥의 상면으로 체결되며, 상기 작동관(12)의 하부 각 기둥(18,19)에는 "L"형상의 받침대(16)가 형성되어 있다.

Description

핸드레일 고정용 포스트{post for hand rail fixing}
본 고안은 핸드레일 고정용 포스트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히는 족장판에 설치되는 핸드레일을 간편하게 고정시킬 수 있는 핸드레일 고정용 포스트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선박을 건조하거나 각종 건축공사에서 사용되는 족장판에는 작업자의 안전을 위해 족장판 외측으로 핸드레일이 설치된다. 상기 핸드레일은 도 1에서와 같이 족장판(40)과 일정한 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가로방향 혹은 경사방향으로 설치되는 것으로 주로 2열로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핸드레일을 설치하기 위해서는 족장판의 외측으로 고정되어 수직으로 세워지는 포스트(100ㅄ)가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되며 상기 포스트의 상단부와 중간부를 따라 각각 상부 핸드레일(42)과 하부 핸드레일(43)이 연속적으로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포스트의 하부에는 족장판에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구(48)를 구비하고 있다.
위와 같은 종래의 포스트는 수직으로 교차되는 하나 혹은 두개의 핸드레일을 기둥(44)으로 고정시키기 위한 별도의 수단이 없고, 교차부분을 철사(46)로 묶어 고정시키고 있다. 따라서 묶음부분이 견고하지 못하며, 한번 사용된 철사는 재사용되지 못하고 버려지게 됨에 따라 자원의 낭비 및 산업폐기물을 증가시키는 요인이 된다.
또한 포스트를 족장판으로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구(48)는 단순한 "C형 클램프"구조로서 페인팅, 블라스팅 등의 분진이 발생되는 작업시 볼트의 나사부에 분진이 점착되어 핸드레일 해체작업시 나사부가 풀리지 않는 불편함과 사용후 나사부를 세척해야하는 불편함이 있다.
본 고안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한번의 설치이후 버려지는 철사의 소모를 방지할수 있는 핸드레일 고정용 포스트를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간단하고 신속하게 설치 및 해체할 수 있으며 볼트체결에 의한 나사부를 보호하여 고장없이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는 핸드레일 고정용 포스트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하부에는 고정구(20)를 가지며 수직으로 세워지는 기둥(18)이 구비되고 상기 기둥의 중간지점으로 "L" 형상의 보조기둥(19)이 부착되며, 상기 기둥과 보조기둥의 상부에는 양측에 높이를 달리하는 제1 조임구(12a)와 제2 조임구(12b)가 부착된 작동관(12)이 각각 끼워져 있으며, 각 작동관(12)의 상부에는 여기에 볼트(14)가 끼워진 다음 기둥과 보조기둥의 상면으로 체결되며, 상기 작동관(12)의 하부 각 기둥(18,19)에는 "L"형상의받침대(16)가 형성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핸드레일 고정용 포스트의 사용상태 참고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핸드레일 고정용 포스트의 일부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서 핸드레일 고정용 포스트의 구성을 도시하는 조립체의 분해 사시도.
도 4a 와 도 4b는 본 고안에 따른 핸드레일 고정용 포스트에서 조립체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핸드레일 고정용 포스트의 일부가 단면으로 표시된 정면도.
도 6은 도 5에서 도시된 핸드레일 고정용 포스트의 고정구 부분을 확대한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10ㅄ:조립체 12: 작동관
12a: 제1 조임구 12b: 제2 조임구
16: 받침대 18: 기둥
19: 보조기둥 20: 고정구
26: 캡 30: 압착판
32: 쿠션판 40: 족장판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 내지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핸드레일 고정용 포스트의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도면에 따르면, 본 고안 포스트(100)는 수직으로 세워지는 기둥(18)이 구비되고, 상기 기둥의 상단부와 중간지점으로 상부 핸드레일(42) 및 하부 핸드레일(43)을 설치하기 위한 조립체(10,10??)가 구성되며, 상기 기둥의 하단부에는 족장판(40)으로 고정시키기 위한 수단의 고정구(48)를 구성하고 있다.
위를 더욱 자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포스트(100)를 구성하는 수직의 기둥(18)은, 족장판(40)의 외측 가장자리에 고정시키거나 또는 해체시킬 수 있도록 고정구(48)가 구비된다. 상기 고정구(48)는 기둥(18)의 하부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상판(22a)과 하판(22b)이 부착된다. 이때 상기 상판과 하판의 측면으로는 강도를 높이기 위하여 소정의 보강판(23)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판의 중앙으로 원통형 너트(24)가 부착되거나 혹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너트에는 볼트(28)가 체결되어 수직으로 작동하게 된다. 이때 상기 너트의 상단부에는 중앙에 볼트(28)를 관통시키기 위한 구멍이 형성된 캡(26)이 조립되고 상기 캡 내측면으로 시일링(27)이 장착된다. 그리고 상기 볼트(28)의 하단부에는 압착판(30)이 부착되어 있다. 이후, 하판의 상면에는 고무및 수지의 유연한 소재로서 족장판(40)의 저면으로 밀착될 수 있는 쿠션판(32)이 부착되어 있다.
그리고, 족장판과 나란하게 상부 핸드레일(42)과 하부 핸드레일(43)을 설치하기 위한 조립체(10,10??)가 기둥의 상단부와 중간지점으로 설치된다. 여기서 상부 핸드레일(42)을 고정시키기 위한 조립체(10)는 기둥(18)의 상단부에 설치되며, 하부 핸드레일(43)을 고정시키기 위한 조립체(10??)는 기둥의 중간 지점으로 보조기둥(19)을 부착시킨 뒤 그 보조기둥의 상단부에 설치된다. 이때 상기 보조기둥(19)은 "L" 형상으로서 기둥의 일측 측면으로 설치되어 기둥과 함께 수직으로 배치된다. 그리고, 위의 기둥(18)과 보조기둥(19)의 상면에는 중앙으로 나사구멍(15)을 가지고 있다.
다음 각 조립체(10,10??)를 구성하는 작동관(12)은 전술한 기둥(18) 및 보조기둥(19) 상부에 끼워지는 것으로 하부가 개방된 원통형이다. 그리고 상면에는 구멍(13)이 형성되어 있으며 여기에는 위에서 끼워지는 볼트(14)가 관통되어 전술한 나사구멍(15)으로 체결된다. 한편 상기 작동관(12)의 양측에는 수평으로 부착되거나 일체로 성형되는 제1 조임구(12a)와 제2 조임구(12b)가 있다. 상기 제1 조임구와 제2 조임구는 후술하는 받침대(16)와 함께 핸드레일(42,43)을 고정시키기 위한 것으로 핸드레일을 하나 혹은 두개를 고정시킬때 선택적으로 사용되기 위해서 높이가 다르게 부착되어 있다. 즉 상기 제1 조임구(12a)와 제2 조임구(12b)는 핸드레일 직경만큼의 차이를 두고 작동관(12)의 양측으로 구성된다.
이후, 각 작동관(12)의 하부에는 기둥(18)과 보조기둥(19) 전방으로 "L"형상의 받침대(16)가 부착되어 있다.
위에서 설명된 조립체(10,10??)와 고정구(20)에 사용되는 각 볼트(14,28)는 특별한 장비없이 봉형태의 공구이면 쉽게 회전시킬 수 있는 아이볼트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은 다음과 같이 사용된다.
먼저 핸드레일을 설치하기 위한 족장판(40)의 외측에 일정한 간격으로 포스트(100)를 설치한다. 이때 포스트의 고정구(20)를 구성하는 상판과 하판이 족장판의 상면과 저면으로 끼워지게 되고 볼트(28)를 조임으로서 압착판(30)이 하부로 압착되면서 고정된다. 하판에 구비된 쿠션판(32)은 탄성력을 작용하게 되면서 압착판 이 강하게 조일 수 있도록 한다.
다음 각 조립체(10,10??)를 통해 족장판을 따라 상부 핸드레일(42)과 하부 핸드레일(43)을 연속적으로 설치한다. 이때는 먼저 받침대(16) 위에 핸드레일을 올려 놓고 작동관(12)의 조임구를 상부에 위치시킨 다음 볼트(14)를 조이면 작동관(12)이 아래로 이동하면서 핸드레일이 고정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받침대(16) 위에 설치되는 핸드레일이 하나 혹은 두개일때에 따라 조임구는 선택적으로 사용된다. 즉, 도 4a에서와 같이 두개의 핸드레일이 설치될 때는 작동관(12)의 상부에 위치한 제2 조임구(12a)를 받침대(16) 위에 오도록 회전시킨 다음 볼트를 조이게 될 것이고, 반면, 하나의 핸드레일을 설치할 때는 도 4b에서와 같이 작동관(12)의 하부에 위치한 제1 조임구(12a)를 받침대(16)위에 오도록 회전시키고 볼트를 조이게 된다. 따라서, 상기 조립체(10,10??)에는 도 5에서와 같이 양측으로연결되는 2개의 핸드레일을 동시에 고정시키거나, 또는 일측으로만 연결되는 하나의 핸드레일을 선택적으로 간단하게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이상으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핸드레일 고정용 포스트는, 고정구를 구성하는 볼트체결부가 시일링과 캡에 의해 밀폐되고 또한 핸드레일을 고정시키기 위한 조립체 역시 볼트의 나사부가 노출되지 않게 되면서 이물질에 의한 고장을 방지한다. 특히 핸드레일을 묶기 위한 철사의 소모가 없어 경제적이며, 간단하게 설치하고 제거할 수 있게 됨에 따라 작업인원 감축 및 시공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게 된다.

Claims (3)

  1. 하부에는 고정구(20)를 가지고 족장판의 외측에서 수직으로 설치되는 핸드레일 고정용 포스트에 있어서;
    상기 고정구에서 수직으로 세워지는 기둥(18)이 구비되고 상기 기둥의 중간지점으로 "L" 형상의 보조기둥(19)이 부착되며, 상기 기둥과 보조기둥의 상부에는 원통형으로서 양측에 제1 조임구(12a)와 제2 조임구(12b)가 부착되어 있는 작동관(12)이 각각 끼워져 있으며, 각 작동관(12)의 상부에는 구멍(13)이 형성되고 여기에 볼트(14)가 끼워진 다음 상기 볼트는 기둥과 보조기둥의 상면으로 체결되며, 상기 작동관(12)의 하부 각 기둥(18,19)에는 "L"형상의 받침대(16)가 형성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레일 고정용 포스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조임구(12a)와 제 2조임구(12b)는 하나의 핸드레일 직경만큼 높이가 다른 위치에 작동관(12) 양측으로 부착됨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레일 고정용 포스트.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구(20)는 기둥의 하부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상판(22a)과 하판(22b)이 구비되며, 상판의 중앙으로 원통형 너트(24)가 형성되어 볼트(28)가 체결되며, 상기 볼트(28)의 하단부에는 압착판(30)이 부착되고, 상기 너트(24) 상부에는 시일링과 캡이 구비되어 있으며, 하판의 상면에는 쿠션판(32)이 부착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레일 고정용 포스트.
KR20-2003-0040273U 2003-12-26 2003-12-26 핸드레일 고정용 포스트 KR20034507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40273U KR200345074Y1 (ko) 2003-12-26 2003-12-26 핸드레일 고정용 포스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40273U KR200345074Y1 (ko) 2003-12-26 2003-12-26 핸드레일 고정용 포스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45074Y1 true KR200345074Y1 (ko) 2004-03-18

Family

ID=493443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40273U KR200345074Y1 (ko) 2003-12-26 2003-12-26 핸드레일 고정용 포스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45074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5889B1 (ko) * 2007-03-27 2008-06-09 장정만 규산소다를 이용한 음용수용 배관 청정제의 제조방법
KR200448227Y1 (ko) * 2009-07-28 2010-03-25 김영심 가설 난간용 지주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5889B1 (ko) * 2007-03-27 2008-06-09 장정만 규산소다를 이용한 음용수용 배관 청정제의 제조방법
KR200448227Y1 (ko) * 2009-07-28 2010-03-25 김영심 가설 난간용 지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59670B1 (ko) 탄성재를 이용한 안전 기둥이 적용된 금속재 울타리
KR101929380B1 (ko) 천연목재 난간 기둥 고정장치
KR200345074Y1 (ko) 핸드레일 고정용 포스트
KR101818405B1 (ko) 데크의 난간기둥 결속장치
JP5037864B2 (ja) 金属管柱の基部構造
KR101985957B1 (ko) 디자인형 울타리 지주 고정구조
KR20180103363A (ko) 데크로드 난간
KR101060940B1 (ko) 수평강성이 증대되고 유지보수가 용이한 교좌장치용 앵커부재
KR102130526B1 (ko) 거푸집용 선시공 타입 볼트 어셈블리
KR20210000212U (ko) 계단 난간대의 결속구조
JP2003343062A (ja) 手摺支柱の取付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020005251A (ko) 앵커볼트
KR101026147B1 (ko) 간편한 조립구조를 갖는 보도용 난간 및 그 조립방법
KR101966643B1 (ko) 내진 설계에 의한 강성 보강의 가로등용 지주
KR200460577Y1 (ko) 난간 지주
KR100893324B1 (ko) 교량 외장재 고정용 프레임
KR100771232B1 (ko) 거푸집 간격 유지구
KR200254596Y1 (ko) 기둥
KR200272321Y1 (ko) 중앙선 침범방지 봉
KR20090007419U (ko) 계단 난간용 지주 고정장치
KR101450243B1 (ko) 건설공사용 파이프 비계
JPH08232424A (ja) 手摺支柱の取付構造
KR200260465Y1 (ko) 기둥
KR200432962Y1 (ko) 조명기구용 지주
KR101302403B1 (ko) 고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