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07419U - 계단 난간용 지주 고정장치 - Google Patents

계단 난간용 지주 고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07419U
KR20090007419U KR2020080000788U KR20080000788U KR20090007419U KR 20090007419 U KR20090007419 U KR 20090007419U KR 2020080000788 U KR2020080000788 U KR 2020080000788U KR 20080000788 U KR20080000788 U KR 20080000788U KR 20090007419 U KR20090007419 U KR 20090007419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ing block
stair
support
anchor bolt
inner diame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8000078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만각
황영
Original Assignee
한만각
황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만각, 황영 filed Critical 한만각
Priority to KR202008000078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07419U/ko
Publication of KR2009000741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7419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1/00Stairways, ramps, or like structures; 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1Balustrades
    • E04F11/1812Details of anchoring to the wall or floor
    • E04F11/1814Covers for the base portions of the balustrade pos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1/00Stairways, ramps, or like structures; 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1Balustrades
    • E04F11/1836Handrails of balustrades; Connections between handrail member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1/00Stairways, ramps, or like structures; 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Balustrades; Handrails
    • E04F2011/1885Handrails or balusters characterized by the use of specific materials
    • E04F2011/1889Handrails or balusters characterized by the use of specific materials mainly of met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teps, Ramps, And Handrai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계단 난간용 지주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이를 위한 구성으로 본 고안은 계단의 일측 가장 자리를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구비되면서 상단부는 핸드 레일(20)에 의해 연결되고, 하단부는 계단 바닥(FB)에 지지되도록 하는 복수의 관형 지주(10)와; 상단부는 외경이 상기 지주(10)의 내경보다는 작고, 하부로 상기 지주의 내경보다는 크거나 같도록 점차 외경이 확장되도록 하여 측면이 경사지게 하며, 하단부의 플랜지부(31) 상부면에는 상기 지주(10)의 하단부가 안치되도록 하고, 중앙에는 상기 계단 바닥(FB)으로부터 이탈이 방지되게 매립한 앵커 볼트(40)가 관통하도록 구비되는 고정 블록(30)과; 상기 지주(10)의 외측으로 슬라이딩이 가능하게 끼워지고, 상기 고정 블록(30)의 하단부측 플랜지부(31)를 외부로부터 커버하도록 감싸며, 상기 지주(10)와의 접촉면을 용접에 의해 고정되도록 하는 링 형상의 보호 캡(50)의 결합으로 이루어지도록 하여 용접 작업의 간소화와 시공 시간의 단축 및 내구력 향상과 동시에 시공비의 절감 효과를 제공한다.
계단, 난간, 계단 바닥, 지주 고정

Description

계단 난간용 지주 고정장치{Prop fixing apparatus for balustrade}
본 고안은 계단 난간용 지주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지주에 긴밀하게 강제 삽입되도록 하여 지주가 간단히 고정될 수 있게 함으로써 작업을 한층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용접이 불필요하고, 작업 시간을 대폭적으로 단축시킬 수 있도록 하면서 부식이 방지되도록 하는 계단 난간용 지주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2층 이상의 건물 또는 공동주택 및 빌딩과 같은 건축물에는 층과 층 사이를 이어주는 계단을 형성하게 되며, 이들 계단의 일측에는 추락사고의 방지를 위하여 계단 난간이 설치되도록 하고 있다.
계단 난간은 계단의 일측으로 바닥면에 지주를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하고, 이들 지주간을 핸드 레일에 연결되게 하는 구성으로 구비한다.
도 1은 일반적인 계단 난간을 예시한 측면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계단 난간은 크게 핸드 레일(1)과 지주(2) 및 지주 고정 구(3)로서 이루어지는 구성이다.
즉 지주(2)는 수직으로 구비되는 파이프로서, 이러한 지주(2)는 일정한 간격으로 계단 바닥(4)에 지주 고정구(3)를 이용하여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하고, 이들 지주(2)의 상단부간을 연결하여 계단을 따라 경사지게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핸드 레일(1)이다.
이러한 계단 난간은 통상 스테인레스 재질로 이루어지며, 핸드 레일(1)과 계단 바닥(4)간을 잇는 지주(2)는 각각 용접 등에 의해서 견고하게 연결되고, 이들 연결 부위는 보호 캡(5)에 의해서 커버되도록 하고 있다.
도 2는 종래의 계단 난간에서 지주가 계단 바닥에 고정되도록 하는 지주 고정구의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지주 고정구(3)는 매우 다양하게 구비되도록 하고 있지만 최근에 주로 이용되고 있는 것은 계단의 일측 가장 자리를 따라 계단 바닥(4)에 평판의 플레이트 또는 도시한 바와 같은 상향 개방되도록 한 바울 타입(Boul Type)의 소켓(3a)을 앵커 볼트(3b)에 의해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하고, 이렇게 고정된 평판의 플레이트 또는 소켓(3a)에 지주(2)의 하단이 안치되도록 한 후 그 외부를 보호 캡(5)으로 커버되게 하면서 이때의 지주(2)와 보호 캡(5)간을 용접에 의해서 결합되는 구성으로 구비되도록 하고 있다.
하지만 이와 같은 종전의 지주 고정구(3)의 결합 구조에서 지주(2)의 하단부가 안치되는 평판의 플레이트 또는 소켓(3a)은 금속재로 이루어지고, 이들간 결합 상태에서 하단부가 플레이트 또는 소켓(3a)에 결합되게 하여 반드시 앵커 볼트(3b) 에 의해서 고정되도록 하여야만 하므로 지주(2)와 보호 캡(5)간의 용접 이외에도 내부에 용접 부위가 구비되면서 이 부위가 지속적으로 물기에 접하게 되면서 부식되어 결합력 저하가 초래되기도 하고, 이들을 스테인레스 재질로 구비하면서 시공 비용을 상승시키게 되는 비경제적인 문제가 있다.
본 고안은 상기의 문제점을 개선시키고자 안출한 것으로서, 본 고안은 계단 바닥에서 앵커 볼트에 의해 고정되면서 지주의 하단부 내경이 강제 맞춤에 의해 삽입되도록 하는 고정 블록이 구비되게 함으로써 용접 작업을 줄여 시공 기간을 대폭적으로 단축시킬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부식의 방지로 내구력이 한층 향상되도록 하고, 시공 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도록 하는 계단 난간용 지주 고정장치를 제공하는데 주된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계단의 일측 가장 자리를 따라 구비되면서 상단부에는 핸드 레일이 연결되고, 하단부는 계단 바닥에 지지되어 일정한 간격으로 구비되는 복수의 관형 지주와; 상단부는 외경이 상기 지주의 내경보다는 작고, 하부로 상기 지주의 내경보다는 크거나 같도록 점차 외경을 확장시켜 측면이 경사지도록 하며, 하단부의 플랜지부의 상부면에는 상기 지주의 하단부가 안 치되도록 하고, 중앙에는 상기 계단 바닥으로부터 이탈이 방지되게 매립한 앵커 볼트가 관통하도록 구비되는 고정 블록과; 상기 지주의 외측으로 끼워져 상기 고정 블록의 하단부측 플랜지부를 외부로부터 커버하도록 감싸며, 상기 지주와의 접촉면을 용접에 의해 고정되도록 하는 보호 캡으로 구비되는 구성이다.
상기한 구성에 따라 본 고안은 지주의 하단부를 지지하도록 구비되는 고정 블록에 의해 지주를 견고하게 지지하게 함으로써 지주와 보호 캡의 용접만으로도 용접 작업을 마무리할 수 있도록 하여 용접 작업의 간소화를 이루도록 하고, 작업에 소요되는 시공 시간을 한층 단축시킬 수 있도록 하며, 부식 부위를 최소화하여 지주 고정 부위의 내구력이 향상되도록 한다.
또한 본 고안은 고정 블록을 고무 또는 합성 수지로 제작할 수가 있으므로 시공비를 더욱 절감할 수가 있는 대단히 경제적인 효과를 제공할 수가 있다.
본 고안은 계단 난간을 이루는 구성 중 계단 바닥에 복수의 지주들을 고정시키도록 하는 지주 고정장치의 개선에 관한 것이다.
계단 난간은 통상 스테인레스 재질로 이루어지며, 계단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는 복수개의 지주가 구비되고, 이 지주의 상단은 핸드 레일에 의해서 연결되도록 하는 구성이다.
이에 본 고안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계단 난간의 지주 조립 구조를 도시한 구조도이다.
본 고안의 계단 난간은 전술한 바와 같이 계단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구비되는 복수개의 지주(10)와, 이 지주(10)들의 상단을 연결하는 핸드 레일(20)을 구비하는 구성은 종전과 대동소이하다.
이때 지주(10)는 내부가 빈 관형상으로 이루어지며, 핸드 레일(20) 또한 관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이들은 공히 스테인레스 스틸 재질로 이루어진다.
한편 핸드 레일(20)은 하나의 구성으로 이루어지고, 지주(10)를 따라 핸드 레일(20)의 길이 방향으로 용접 등에 의해서 연결되도록 한다.
다만 본 고안은 이들 각 지주(10)들의 하단을 계단 바닥(FB)에 고정되게 하는 구조를 개선시키도록 하는데 특징이 있다.
즉 본 고안의 지주 고정장치는 고정 블록(30)과 이 고정 블록(30)을 고정시키는 앵커 볼트(40)와 보호 캡(50)으로 이루어지는 구성이다.
고정 블록(30)은 도 4에서와 같이 상단부는 지주(10)의 내경보다는 작은 외경을 가지면서 하부로 점차 외경이 확장되도록 하여 정면에서 보았을 때 사다리꼴 형상으로 형성되게 한다.
이때 고정 블록(30)의 하단부는 지주(10)의 외경보다도 큰 외경을 갖는 플랜지부(31)를 이루고, 이 플랜지부(31)의 내측 단부는 지주(10)의 내경에 비해 같거나 미세하게 큰 사이즈로서 형성되도록 한다.
따라서 고정 블록(30)은 외경이 상단부로부터 차츰 외측으로 하향 경사지는 형상이다.
또한 고정 블록(30)은 중앙이 수직의 방향으로 관통되게 하여 이를 통해 앵커 볼트(40)가 관통하도록 한다.
앵커 볼트(40)는 계단 바닥(FB)에 매립되어 이탈이 방지되도록 외경을 그 상부보다는 대폭 확장되도록 하는 형상으로 구비한다.
한편 고정 블록(30)은 중앙을 수직으로 관통시킨 홀(32)의 내주면으로 앵커 볼트(40)와 대응하는 나사산을 형성하여 앵커 볼트(40)에 직접 나사 결합으로 결합되게 할 수도 있고, 도 5에서와 같이 홀(32)을 관통하여 고정 블록(30)의 상부로 돌출되는 앵커 볼트(40)의 상단부로 로크 너트(33)를 체결하여 고정 블록(30)이 계단 바닥(FB)에 긴밀하게 밀착시켜 고정되게 할 수도 있다.
고정 블록(30)은 지주(10)의 하단부측 내부로 긴밀하게 삽입되는 구성이며, 다만 고정 블록(30)의 하단부에 형성한 플랜지부(31)는 지주(10)의 외경보다는 큰 사이즈로서 형성되므로 고정 블록(30)의 플랜지부(31)를 포함하여 지주(10)의 하단부는 보호 캡(50)에 의해서 커버되도록 한다.
이때의 보호 캡(50)은 스테인레스 스틸로 이루어지며, 중앙에는 지주(10)의 외경보다는 큰 사이즈의 삽입홀(51)이 형성되도록 하고, 이러한 삽입홀(51)의 주연부와 지주(10)의 외주면을 용접에 의해 연결되게 한다.
상기의 구성에 따른 본 고안의 작용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은 전술한 바와 같이 계단 바닥(FB)에 하단부를 매설하여 이탈이 방 지되도록 상부가 소정의 길이로 돌출되게 앵커 볼트(40)를 구비한다.
이렇게 계단 바닥(FB)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매설한 앵커 볼트(40)의 상부로 돌출되게 한 부위에 본 고안의 고정 블록(30)을 결합한다.
즉 고정 블록(30)에는 중앙에 수직으로 홀(32)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이 홀(31)을 통해 계단 바닥(FB)로부터 상부로 돌출되게 한 앵커 볼트(40)가 관통되도록 하거나 고정 블록(30)을 앵커 볼트(40)에 나사 결합되도록 한다.
앵커 볼트(40)가 고정 블록(30)의 홀(32)을 단순히 관통되게 하면 앵커 볼트(40)의 상단부로부터 로크 너트(33)를 나사 결합하여 고정 블록(30)의 하단부가 계단 바닥(FB)에 긴밀하게 밀착되면서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한다.
고정 블록(30)이 고정되면, 이미 보호 캡(50)이 결합되도록 한 관형상의 지주(10)가 고정 블록(30)에 끼워지도록 한다.
한편 앵커 볼트(40)를 계단에 매립하면서 지나치게 매립시키다 보면 앵커 볼트(40)가 깊숙이 매설되면서 상부로 돌출되는 부위의 높이가 고정 블록(30)의 높이에 미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되기도 한다.
이와 같은 경우 고정 블록(30)에는 도 6에서와 같이 저면으로부터 로크 너트(33)를 수용할 수 있는 직경과 깊이로 너트 홈(34)이 형성되도록 하여 고정 블록(30)을 앵커 볼트(40)에 결합시키기 전에 도면에서와 같이 앵커 볼트(40)의 계단 바닥(FB)에 연하는 부위에 로크 너트(33)를 체결하여 앵커 볼트(40)가 견고하게 지지되도록 하고, 이렇게 고정시킨 앵커 볼트(40)가 고정 블록(30)의 홀(32)에 단순히 끼워져 삽입되도록 한 상태에서 고정 블록(30)의 플랜지부(31)에 지주(10)가 안 치되게 하는 구조로 조립되게 할 수도 있다.
도 7에서와 같이 지주(10)는 내경이 고정 블록(30)의 상단부보다는 크게 형성되므로 고정 블록(30)을 지주(10)의 내부로 삽입되도록 하면서 지주(10)를 하강시킨다.
고정 블록(30)의 측면을 타고 슬라이드 하강하면서 지주(10)는 점차 외경이 확장되는 고정 블록(30)의 외주면에 긴밀하게 밀착되면서 결합되고, 급기야 고정 블록(30)의 하단부에 형성한 플랜지부(31)에 지주(10)의 하단이 안치되는 순간에는 지주(10)와 고정 블록(30)은 매우 강력하게 결합되는 상태가 된다.
지주(10)를 고정 블록(30)에 결합시킨 상태에서 이미 지주(10)에 축결합한 보호 캡(50)을 하향 이동시켜 계단 바닥(FB)에 안치되도록 하면 보호 캡(50)에 의해서 고정 블록(30)의 플랜지부(31)와 함께 지주(10)와의 결합부위가 외부로부터 보이지 않게 커버하는 상태가 된다.
보호 캡(50)을 결합한 상태에서 보호 캡(50)의 중앙을 수직으로 관통한 삽입홀(51)의 주연부와 이에 근접하는 지주(10)의 외주면간을 용접에 의해 용착시켜 견고하게 결합되도록 한다.
따라서 지주(10)의 하단부는 우선 고정 블록(30)에 의해 대단히 견고하게 고정되는 상태가 되면서 보호 캡(50)과의 용접에 의해 다시 이중으로 고정되도록 하여 매우 견고하게 지지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렇게 지주(10)를 고정시키게 되면 우선 용접 부위가 지주(10)와 보호 캡(50)간 결합 부위에만 형성시키게 되므로 외부로 노출된 부위는 물에 접촉되더라 도 쉽게 건조되므로 부식 발생 빈도가 적고 따라서 종전에 비해 부식으로 인한 지주(10)의 고정력 약화 등의 문제가 발생되지 않도록 한다.
즉 보다 안정된 고정력을 유지할 수가 있으므로 내구력이 향상되어 사용 수명을 대폭적으로 연장시킬 수가 있게 된다.
또한 지주(10)는 하단부가 고정 블록(30)에 의해 보다 넓은 면적으로 접촉되면서 지지되므로 지지력이 한층 향상되며, 고정 블록(30)을 간단히 나사 결합 등에 의해 결합시키게 되므로 시공이 매우 용이하고, 그만큼 계단 난간 시공의 작업 기간을 단축시켜 경제적인 시공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도 1은 일반적인 계단 난간을 예시한 측면도,
도 2는 종래의 계단 난간에서 지주가 계단 바닥에 고정되도록 하는 지주 고정구의 구성을 예시한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계단 난간의 지주 조립 구조를 도시한 구조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고정 블록의 구성을 도시한 일부 단면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고정 블록을 앵커 볼트에 의해 고정시킨 상태를 도시한 결합 구조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고정 블록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장착 구조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고정 블록에 지주와 보호 캡이 조립되는 상태를 도시한 조립 구조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지주 20 : 핸드 레일
30 : 고정 블록 31 : 플랜지부
32 : 홀 33 : 로크 너트
40 : 앵커 볼트 50 : 보호 캡

Claims (7)

  1. 계단의 일측 가장 자리를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구비되면서 상단부는 핸드 레일에 의해 연결되고, 하단부는 계단 바닥에 지지되도록 하는 복수의 관형 지주와;
    상단부는 외경이 상기 지주의 내경보다는 작고, 하부로 상기 지주의 내경보다는 크거나 같도록 점차 외경이 확장되도록 하여 측면이 경사지게 하며, 하단부의 플랜지부 상부면에는 상기 지주의 하단부가 안치되도록 하고, 중앙에는 상기 계단 바닥으로부터 이탈이 방지되게 매립한 앵커 볼트가 관통하도록 구비되는 고정 블록과;
    상기 지주의 외측으로 슬라이딩이 가능하게 끼워지고, 상기 고정 블록의 하단부측 플랜지부를 외부로부터 커버하도록 감싸며, 상기 지주와의 접촉면을 용접에 의해 고정되도록 하는 링 형상의 보호 캡;
    의 결합으로 이루어지는 계단 난간용 지주 고정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핸드 레일과 지주는 스테인레스 스틸로 이루어지는 계단 난간용 지주 고정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블록은 하단부의 상기 플랜지부가 상기 지주의 외경보다는 큰 사이즈로서 형성되고, 상기 보호 캡의 내경보다는 작은 사이즈로서 형성되는 계단 난간용 지주 고정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블록의 상기 플랜지부와 만나는 경사진 측면의 경사면 하단부는 상기 지주의 내경보다는 크거나 같은 외경 사이즈로서 형성되는 계단 난간용 지주 고정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블록의 중앙에 수직 관통되게 형성한 홀의 내경면에는 상기 앵커 볼트의 외주면에 형성한 나사산과 나사결합되도록 나사산을 형성하는 계단 난간용 지주 고정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블록의 중앙에 수직으로 관통시킨 홀을 통하여 상기 앵커 볼트가 통과하면서 상기 앵커 볼트의 상기 고정 블록의 상부면으로부터 상부로 돌출되도록 한 상단부에는 로크 너트를 체결하여 상기 고정 블록을 고정시키도록 하는 계단 난간용 지주 고정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블록은 고무 또는 합성수지 재질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계단 난간용 지주 고정장치.
KR2020080000788U 2008-01-18 2008-01-18 계단 난간용 지주 고정장치 KR20090007419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0788U KR20090007419U (ko) 2008-01-18 2008-01-18 계단 난간용 지주 고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0788U KR20090007419U (ko) 2008-01-18 2008-01-18 계단 난간용 지주 고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7419U true KR20090007419U (ko) 2009-07-22

Family

ID=412925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80000788U KR20090007419U (ko) 2008-01-18 2008-01-18 계단 난간용 지주 고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07419U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831998A (zh) * 2010-04-30 2010-09-15 吴显魁 楼梯护栏底部加强座
KR20210121703A (ko) 2020-03-31 2021-10-08 김현구 계단실 폭이 좁혀진 계단 난간 구조체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831998A (zh) * 2010-04-30 2010-09-15 吴显魁 楼梯护栏底部加强座
KR20210121703A (ko) 2020-03-31 2021-10-08 김현구 계단실 폭이 좁혀진 계단 난간 구조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64848B1 (ko) 조립식 알루미늄과 스크류 케미칼 앵커를 이용한 교량 점검시설물의 설치 공법 및 그 구조체
KR101193141B1 (ko) 난간동자 고정구
KR101959670B1 (ko) 탄성재를 이용한 안전 기둥이 적용된 금속재 울타리
KR101499040B1 (ko) 목재외피의 변형이 방지되는 목재형 디자인 난간
KR20210129099A (ko) 앵커-난간 조립체
KR101818405B1 (ko) 데크의 난간기둥 결속장치
KR101929380B1 (ko) 천연목재 난간 기둥 고정장치
KR20090007419U (ko) 계단 난간용 지주 고정장치
KR200440869Y1 (ko) 핸드레일용 포스트
KR200480256Y1 (ko) 난간동자용베이스
KR200493538Y1 (ko) 계단 난간대의 결속구조
JP5037864B2 (ja) 金属管柱の基部構造
JP2013234501A (ja) 斜面安定化工法に用いられる定着用ナット及びそれを使用した斜面安定化構造並びに斜面安定化工法
KR200436708Y1 (ko) 계단난간
KR200454920Y1 (ko) 안전난간 설치구조
KR200317236Y1 (ko) 난간지주 고정구
KR200334801Y1 (ko) 난간동자용 쐐기형 조립식 앵커
KR200345074Y1 (ko) 핸드레일 고정용 포스트
KR200321373Y1 (ko) 층간 자재운반용 플랫폼 설비
KR200346850Y1 (ko) 난간용 지주관 고정구
KR101304511B1 (ko) 스페이서가 마련된 스트롱 앵커 볼트
KR100752502B1 (ko) 공동주택 난간대 동자의 설치구조
KR100586487B1 (ko) 난간지주 장착구
KR101886015B1 (ko) 난간 지주 및 그 시공방법
KR200337170Y1 (ko) 철골 안전난간의 체결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