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39015B1 - 목재 난간기둥 고정구조 - Google Patents

목재 난간기둥 고정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39015B1
KR101039015B1 KR1020100127720A KR20100127720A KR101039015B1 KR 101039015 B1 KR101039015 B1 KR 101039015B1 KR 1020100127720 A KR1020100127720 A KR 1020100127720A KR 20100127720 A KR20100127720 A KR 20100127720A KR 101039015 B1 KR101039015 B1 KR 1010390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ture
fixing
pillar
fixed
faste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277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식영
Original Assignee
(주)중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중동 filed Critical (주)중동
Priority to KR10201001277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3901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390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390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7/00Fencing, e.g. fences, enclosures, corrals
    • E04H17/14Fences constructed of rigid elements, e.g. with additional wire fillings or with posts
    • E04H17/20Posts therefor
    • E04H17/22Anchoring means therefor, e.g. specially-shaped parts entering the ground; Struts or the like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10Railings; Protectors against smoke or gases, e.g. of locomotives; Maintenance travellers; Fastening of pipes or cables to bridges
    • E01D19/103Parapets, railings ; Guard barriers or road-bri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5/00Safety arrangements for slowing, redirecting or stopping errant vehicles, e.g. guard posts or bollards; Arrangements for reducing damage to roadside structures due to vehicular impact
    • E01F15/02Continuous barriers extending along roads or between traffic la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teps, Ramps, And Handrails (AREA)

Abstract

목재 난간기둥 고정구조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목재 난간기둥 고정구조는, 목재 난간기둥을 형성하며, 바닥재에 접하는 하부에 원형 슬릿(slit)이 형성된 제1고정구; 상면, 저면이 각각 제1고정구의 저면과 바닥재 상면에 접속되는 평판형 바닥접속부와, 상하로 개방된 원통형상으로 바닥접속부 상부에 연결형성되며 제1고정구의 슬릿 외주면에 밀착되게 끼워져 고정되는 기둥삽입부가 구비되는 제2고정구; 및 상면이 바닥재 저면에 접속되는 받침고정부와, 상부가 개방된 원통형상으로 받침고정부 상부에 연결형성되며 바닥재를 관통하여 제1고정구의 슬릿의 내주면과 제2고정구의 기둥삽입부의 내주면 사이에 삽입, 고정되는 수직고정부가 구비되는 제3고정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목재 난간기둥 고정구조{fixing structure of wood guardrail pole}
본 발명은 목재 난간기둥을 바닥재상에 고정시키는 고정구조에 관한 것이다.
친환경적인 분위기를 연출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난간, 교량, 보도 등에 목재 데크가 사용되고 있으며, 이러한 목재 데크와 같은 바닥재의 상부에는 난간을 형성하는 기둥이 설치되고 있다.
이러한 난간기둥을 목재로 구성하는 경우, 조립의 편리성 등을 위하여 일반적으로 금속재 고정프레임을 난간기둥의 측면에 결합하여 바닥재상에 고정시키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고정 프레임을 사용하게 되면, 난간기둥 측면의 금속재로 인해 인공적인 이질감을 주게 되어 목재 특유의 자연스러운 분위기를 연출하기 힘들고, 고정 프레임의 체결부재가 결합되는 부분이 외력에 의해 쉽게 손상되거나 부식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종래기술로서, 바닥재를 관통하여 설치되는 별도의 지지 구조물을 이용하여 난간기둥을 수직방향으로 지지하는, 실용신안등록번호 제439360호의 목재 난간기둥의 고정구조, 특허등록번호 제775092호의 다리의 난간연결장치 등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들에 의하면, 바닥재 하측에 지지 구조물을 별도로 설치, 시공하는 번거로운 과정을 거쳐야 하고, 난간기둥의 설치위치가 지지 구조물의 설치위치 상측에만 한정될 수 밖에 없다는 한계가 있었다.
그리고, 지지바, 측면 프레임 등의 지지 구조물을 설치하기 위한 공간부가 추가로 필요하므로, 난간시공만을 위해 바닥 전체가 높아지거나 두꺼워지게 되며, 목재 판넬로 기시공된 바닥재상에 추후 난간기둥을 설치하거나 지지 구조물의 손상 등으로 인한 수리, 교체가 필요한 경우, 바닥재 전체를 해체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은, 난간기둥으로서의 지지력을 견고히 구현, 유지할 수 있으면서도, 목재 판넬로 구성된 바닥재상에 편리하게 조립, 설치할 수 있는 목재 난간기둥 고정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 달성을 위한 본 발명은, 목재 난간기둥을 형성하며, 바닥재(10)에 접하는 하부에 원형 슬릿(slit)(110)이 형성된 제1고정구(100); 상면, 저면이 각각 상기 제1고정구(100)의 저면과 바닥재(10) 상면에 접속되는 평판형 바닥접속부(210)와, 상하로 개방된 원통형상으로 상기 바닥접속부(210) 상부에 연결형성되며 상기 제1고정구의 슬릿(110) 외주면에 밀착되게 끼워져 고정되는 기둥삽입부(220)가 구비되는 제2고정구(200); 및 상면이 상기 바닥재(10) 저면에 접속되는 받침고정부(310)와, 상부가 개방된 원통형상으로 상기 받침고정부(310) 상부에 연결형성되며 상기 바닥재(10)를 관통하여 상기 제1고정구의 슬릿(110)의 내주면과 제2고정구의 기둥삽입부(220)의 내주면 사이에 삽입, 고정되는 수직고정부(320)가 구비되는 제3고정구(3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목재 난간기둥 고정구조를 기술적 요지로 한다.
여기서, 상기 제2고정구의 기둥삽입부(220)는, 상기 제1고정구(100)의 외주부상에 억지끼움하여 고정가능하도록, 외주면 둘레에 하측으로 갈수록 돌출너비가 확대되는 경사면을 구비한 다수의 걸림돌기(221);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고정구의 기둥삽입부(220)는, 내주면상에 암나사형 체결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3고정구의 수직고정부(320)는, 외주면상에 수나사형 체결부가 형성되어, 상호 나사결합에 의해 조립,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고정구의 바닥접속부(210)는, 하부가 개방된 오목한 형상의 중공부(211)를 가지며, 볼트와 같은 체결부재로 구성되며, 상기 중공부(211)상에서 상기 바닥접속부(210)를 관통하여 상기 제1고정구(100) 하부에 고정되는 제1고정부재(41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볼트와 같은 체결부재로 구성되며, 상기 제1고정구(100)에 상기 제2고정구(200)가 조립된 상태에서, 상기 제2고정구의 바닥접속부(210)를 상측에서 관통하여 상기 바닥재(10)상에 고정되는 제2고정부재(42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고정구(100) 둘레에서 상기 제2고정구(200)를 상측에서 커버링가능하도록, 상기 제1고정구(100) 둘레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는 관통홀(510)과, 상기 제2고정구의 바닥접속부(210)를 내부에 수용가능하도록 하향 개방되게 형성된 수용부(520)가 구비되는 마감프레임(50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고정구의 바닥접속부(210)는, 측면 둘레에 하측으로 갈수록 돌출너비가 점차 확대되는 형상의 제1돌출턱(212)이 형성되며, 상기 마감프레임(500)부의 내면상에는, 하측으로 갈수록 돌출너비가 점차 축소되는 형상을 가지고 상기 제1돌출턱(212)의 하단에 걸려 체결, 조립되는 제2돌출턱(521)이 형성될 수 있다.
삭제
삭제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제1고정구의 슬릿에 제2고정구의 기둥삽입부를 끼워 고정시킨 후, 제3고정구의 수직고정부를 바닥재를 관통하여 제2고정구의 기둥삽입부 내부에 삽입, 고정하는 간단한 조립에 의해, 목재 판넬로 구성된 바닥재상에 목재 난간기둥을 견고하게 고정, 설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난간기둥으로서의 지지력을 견고히 구현, 유지할 수 있으면서도, 금속재로 구성되는 제2고정구, 제1, 2고정부재 등을 마감프레임으로 커버링함으로써 목재 특유의 자연스러운 분위기를 연출할 수 있다.
또한, 바닥재 하측에 별도의 지지 구조물을 설치, 시공할 필요가 없어, 지지 구조물의 위치에 구속될 필요 또한 없어짐으로 인해, 바닥재상의 임의의 원하는 지점에 자유롭게 난간기둥을 설치할 수 있다.
또한, 제3고정구의 받침고정부에 해당되는 얇은 두께만이 바닥재의 저면 일부에 부가됨에 따라, 지지바, 측면 프레임 등의 지지 구조물을 설치하기 위한 공간부가 추가로 필요하지 않으며, 이에 따라, 기존에 난간기둥 시공을 위해 바닥 전체의 높이나 두께가 상승되던 것을 보다 슬림하게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목재 판넬로 기시공된 바닥재상에 추후 난간기둥을 설치하고자 하는 경우에도 난간기둥이 설치되는 해당 바닥재만을 해체함으로써 간편하게 시공할 수 있으며, 바닥재 하측에 별도의 지지 구조물이 없어 이로 인한 수리, 교체가 발생되지 않는다.
또한, 제1, 2고정구로 구성되는 기둥조립체를 나사풀림 방식으로 제3고정구로부터 이탈시키는 것에 의해, 바닥재로부터 간단하게 분리시킬 수 있어, 난간기둥의 손상, 점검 시, 수리, 교체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목재 난간의 경우, 대부분 가압방부처리한 목재를 사용하게 되는데, 철재 플레이트에 의존하여 목재 난간을 설치하면, 공사현장에서 목재를 절단 및 홀 가공하여서 조립하게 되므로, 환경문제가 발생할 수 있고, 방부처리가 이루어지지 않은 목재 내부가 표면에 노출되어 쉽게 썩는 문제가 발생되어, 안전사고와 잦은 교체로 인한 경제적인 피해가 발생되어 왔으나, 목재 난간기둥 하부에 슬릿(slit)을 깊이 가공한 후에 방부처리공장에서 가압방부처리할 경우에는, 슬릿(slit)이 형성된 목재의 내부까지 목재방부제가 충분히 침투되어 목재방부제의 침윤도 및 흡수량이 증가하게 되며, 공사현장에서 목재난간기둥을 설치 시에도 목재를 절단 및 홀가공할 필요가 없으므로, 방부처리목재에 대한 환경문제가 전혀 발생되지 않으며, 방부처리목재의 사용수명이 상대적으로 연장될 수 있다.
도 1 -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목재 난간기둥 고정구조를 적용한 설치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2 - 도 1의 A영역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요부종단면도
도 3 - 제1고정구에 제2고정구를 조립하는 과정의 일예를 도시한 요부종단면도
도 4 - 도 3의 요부사시도
도 5 - 제1, 2고정구에 제3고정구를 조립하는 과정의 일예를 도시한 요부종단면도
도 6 - 도 5의 요부사시도
도 7 - 도 1의 B영역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요부종단면도
도 8 - 마감프레임을 조립하는 과정의 일예를 도시한 요부사시도
도 1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목재 난간기둥 고정구조를 적용한 설치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 7은 각각 도 1의 A, B영역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요부종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먼저, 도 1의 A영역 및 도 2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목재 난간기둥 고정구조의 제1실시예에 의하면, 제1고정구(100), 제2고정구(200), 제3고정구(300)를 이용하여 바닥재(10)상에 난간기둥을 수직방향으로 직립되게 설치, 고정시키게 된다.
도 3, 4의 (a), (b), (c)는 각각 상기 제1고정구(100)에 상기 제2고정구(200)를 조립하는 과정의 일예를 도시한 요부종단면도와 요부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대해 상기 제1, 2고정구(100, 200)가 상하로 뒤집어진 각도로 도시되어 있는데, 상기 제1고정구(100)의 상측에서 상기 제2고정구(200)를 조립하는 것이 보다 편리한 바, 실제 조립과정의 편의성을 고려하여 도시한 것이다.
도 3, 4의 (a)를 참조하면, 상기 제1고정구(100)는, 목재로 구성되며, 난간기둥의 본체를 구성하는 기둥형상을 가지거나, 다른 난간기둥 본체와 결합하여 기둥형상을 이루게 되며, 상기 바닥재(10)에 접하는 하부에 원형 슬릿(slit)(110)이 함몰형성된다.
상기 슬릿(110)의 형상을 원형이라 기재한 것은, 특정한 방향성을 부여하지 않고도 다양한 단면형상을 가지는 난간기둥에 가장 포괄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대표적인 형상이라 판단되어 기재한 것으로, 상기 제2고정구(200), 제3고정구(300)와 순차적으로 조립, 결합가능하다면, 사각형, 타원형 등의 실시예를 포함하여 원형으로만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제2고정구(200)는, 평판형 바닥접속부(210) 중앙에 원통형 기둥삽입부(220)가 일체로 연결된 형상을 가지며, 상기 바닥접속부(210)는, 상기 제1고정구(100)의 저면에 접속 내지 밀착가능한 상면과, 상기 바닥재(10) 상면에 접속 내지 밀착가능한 저면을 구비하여 상기 제1고정구(100)와 바닥재(10) 사이에 위치하게 된다.
여기서, 평판형으로 형성된다는 것은 평탄한 접속면을 구비, 제공하는 것을 포괄하여 지칭한 것으로, 납작한 평판형상만으로 한정하고자 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서 상기 바닥접속부(210)는 하부가 개방된 오목한 형상의 중공부(211)를 가진다.
상기 기둥삽입부(220)는, 상하로 개방된 원통형상으로 상기 바닥접속부(210) 상부에 연결형성되며, 상기 제1고정구의 슬릿(110) 외주면에 밀착되게 끼워져, 상기 슬릿(110) 내부에서 상기 슬릿(110)의 외주면을 반경방향(외측방향)으로 가압하는 가압력과 마찰력 등에 의해 상기 제1고정구(100)에 결합, 고정된다.
상기 기둥삽입부(220)의 외주면 둘레에는, 하측으로 갈수록 돌출너비가 확대되는 경사면을 구비한 다수의 걸림돌기(221)가 형성된다.
상기 슬릿(110)의 외주면에 대응되는 외경을 가지는 상기 기둥삽입부(220)를 도 3, 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슬릿(110) 내부에 삽입하면, 상기 다수의 걸림돌기(221)가 상기 제1고정구(100)의 외주부상에 자연히 억지끼움되어 박히게 되고, 상기 걸림돌기(221) 하단이 반대방향(하측방향)으로의 이탈이 방지하는 걸림턱의 기능을 하게되어 상기 제2고정구(200)를 상기 제1고정구(100)상에 견고하게 결합, 고정시킬 수 있다.
도 3, 4의 (c)를 참조하면, 상기 슬릿(110)과 기둥삽입부(220)간의 결합 이외에, 볼트와 같은 체결부재로 구성된 제1고정부재(410)를 추가로 이용하여 결합구조를 보다 견고하게 구현할 수 있다.
상기 제1고정부재(410) 중, 볼트 몸체부 내지 못의 몸체부에 해당되는 부분을 상기 바닥접속부(210)에 관통형성된 체결공(도면부호 미표기)을 통해 다수의 개소에서 상기 제1고정구(100)상에 가압하여 박으면, 수직방향 및 상기 슬릿(110)과 기둥삽입부(220)를 중심으로 하는 회전방향으로의 결합강도를 보다 견고하게 구현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고정부재(410) 중, 볼트머리부 내지 못머리부에 해당되는 부분은 상기 중공부(211) 내부에 위치하게 되어, 상기 바닥재(10)의 상면을 간섭하지 않는다.
도 5, 6의 (a), (b)는 각각 상기 제1, 2고정구(100, 200)에 상기 제3고정구(300)를 조립하는 과정의 일예를 도시한 요부종단면도와 요부사시도이다.
상기 제3고정구(300)는, 난간기둥의 수직방향 지지골조를 제공하는 구성요소로, 도 5, 6의 (a)를 참조하면, 상면이 평탄한 형상을 가지는 받침고정부(310)의 중앙에 수직고정부(320)가 일체로 연결된 형상을 가진다.
상기 받침고정부(310)는, 상기 바닥재(10) 저면에 접속가능한 상면을 구비하고, 렌치 등을 이용해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하부가 너트형상을 가지며, 상면에서 하부에 이르기까지 전체적으로 접시형상으로 연속된 굴곡면을 이룬다.
상기 수직고정부(320)는, 상부가 개방된 원통형상으로 상기 받침고정부(310) 상부에 연결형성되며, 상기 바닥재(10)를 관통하여 상기 제1, 2고정구(100, 200)까지 연장가능한 수직방향 길이를 가진다.
도 5, 6의 (b)를 참조하면, 상기 수직고정부(320)는 상기 바닥재(10) 하측에서 상기 바닥재(10)를 관통하여 상기 제1고정구의 슬릿(110)의 내주면과 제2고정구의 기둥삽입부(220)의 내주면 사이에 삽입되어, 내주면은 상기 제1고정구(100)에, 외주면은 상기 제2고정구(200)에 각각 접속, 지지됨으로써 상기 제1, 2고정구(110, 200)상에 수직방향으로 결합, 고정된다.
상기 제2고정구의 기둥삽입부(220)의 내주면상에 암나사형 체결부를 형성하고, 상기 제3고정구의 수직고정부(320)의 외주면상에 수나사형 체결부를 형성하면, 상기 제1, 2고정구(100, 200)로 구성되는 기둥조립체 또는 상기 제3고정구(300)를 회전시키면서 나사결합에 의해 간편하고 견고하게 상호 조립, 고정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따른 목재 난간기둥 설치방법의 제1실시예에 의하면, 이하 설명되는 목재 난간기둥 설치방법의 제1실시예에 의한 순서로 상기 바닥재(10)상에 목재 난간기둥을 설치할 수 있다.
먼저, 도 3, 4의 (a), (b),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고정구의 슬릿(110)에 상기 제2고정구의 기둥삽입부(220)를 끼워 고정하는 제1단계를 거친 후, 도 5, 6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2고정구(100, 200)로 구성되는 기둥조립체와, 상기 제3고정구(300)를 바닥재(10)의 상, 하측에 각각 위치시키는 제2단계를 거친다.
다음으로, 도 5, 6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3고정구의 수직고정부(320)를 상기 바닥재(10)를 관통하여 상기 제1고정구의 슬릿(110) 내주면과 제2고정구의 기둥삽입부(220) 내주면 사이에 삽입하는 제3단계를 거쳐, 상기 바닥재(10)상에 상기 제1고정구(100)를 수직방향으로 직립되게 고정시키게 된다.
상기 제1단계에서는, 상기 제2고정구의 기둥삽입부(220)가 상기 제1고정구의 슬릿(110) 외주면을 반경방향으로 가압하도록 억지끼움하여 조립, 고정하고, 상기 제3단계에서는, 상기 제3고정구의 수직고정부(320) 외주면에 형성된 수나사형 체결부를 상기 제2고정구의 기둥삽입부(220) 내주면에 형성된 암나사형 체결부에 나사결합하여 조립, 고정하게 된다.
다음으로, 도 1의 B영역 및 도 7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목재 난간기둥 고정구조의 제2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제1고정구(100), 제2고정구(200), 제3고정구(300)를 이용하는 상기 목재 난간기둥 고정구조의 제1실시예에 마감프레임(500)을 추가로 결합시키게 된다.
도 8의 (a), (b), (c)는 상기 마감프레임(500)을 조립하는 과정의 일예를 도시한 요부사시도이다.
도 8의 (a)를 참조하면, 상기 제2고정구의 기둥삽입부(220)와 제3고정구의 수직고정부(320)간의 결합 이외에, 볼트와 같은 체결부재로 구성된 제2고정부재(420)를 추가로 이용함으로써, 상기 바닥재(10)상에 상기 제1, 2고정구(100, 200)로 구성되는 기둥조립체를 보다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상기 제2고정부재(410) 중, 볼트 몸체부 내지 못의 몸체부에 해당되는 부분을 상기 제2고정부재의 바닥접속부(210)에 관통형성된 체결공(도면부호 미표기)을 통해 다수의 개소에서 상기 바닥재(10)측으로 가압하여 박으면, 수평, 수직방향 및 상기 기둥삽입부(220)와 수직고정부(320)를 중심으로 하는 회전방향으로의 결합강도를 보다 견고하게 구현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고정부재(420) 중, 볼트머리부 내지 못머리부에 해당되는 부분은, 도 8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고정부재의 바닥접속부(210) 상측에 노출된 상태가 되며, 상기 마감프레임(500)은, 도 8의 (b),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고정구(100) 둘레에서 상기 제2고정구(200)를 상측에서 커버링한다.
상기 마감프레임(500)에는, 상기 제1고정구(100) 둘레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관통홀(510)이 형성되어, 상기 제1고정구(100)를 상측에서 끼워진 상태로 상기 제1고정구(100)의 외면을 따라 하단까지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마감프레임(500) 하부에는 상측으로 오목한 형상을 가지는 수용부(520)가 하향 개방되게 형성되어, 상기 제2고정구의 바닥접속부(210)와, 상기 제2고정부재(420)의 볼트머리부 내지는 못머리부를 하측으로부터 내부에 수용, 커버링하면서, 상기 마감프레임(500)의 외면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상기 제1고정구(100)의 하부 둘레를 마감하게 된다.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제2고정구의 바닥접속부(210)의 측면 둘레에는 하측으로 갈수록 돌출너비가 점차 확대되는 형상의 제1돌출턱(212)을 형성하고, 상기 마감프레임(500)부의 내면상에는 하측으로 갈수록 돌출너비가 점차 축소되는 형상의 제2돌출턱(521)을 형성함으로써, 별도의 고정부재를 이용하지 않고도, 상기 제2고정구(200)상에 상기 마감프레임(500)을 고정시킬 수 있다.
상기 마감프레임(500)을 하측으로 누르면, 상기 제1돌출턱(212)이 상기 제2돌출턱(521)의 경사면을 타고 상기 제2돌출턱(521) 하단까지 이동하여, 상기 제1돌출턱(212)의 확장단부와 제2돌출턱(521)의 확장단부끼리 맞닿은 상태가 되고, 상기 제2돌출턱(521)이 상기 제1돌출턱(212)의 하단에 걸려 상측으로의 이동이 구속된다.
상기와 같이 상기 마감프레임(500)을 상기 제1고정구(100) 둘레에 끼워 하단까지 이동시킨 후, 상기 마감프레임(500)의 저면이 상기 제2고정구의 바닥접속부(210)에 닿으면 하측으로 눌러 가압하는 간단한 조립에 의해, 상기 마감프레임(500)의 내측부, 둘레부를 상기 제1고정부(100)의 외면둘레와 제2고정부의 바닥접속부(210) 둘레상에 각각 구속, 고정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상기 실시예들을 기존의 공지기술과 단순히 조합적용한 실시예와 함께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와 상세한 설명에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가 변형하여 이용할 수 있는 기술은 본 발명의 기술범위에 당연히 포함된다고 보아야 할 것이다.
10 : 바닥재 100 : 제1고정구
110 : 슬릿 200 : 제2고정구
210 : 바닥접속부 211 : 중공부
212 : 제1돌출턱 220 : 기둥삽입부
221 : 걸림돌기 300 : 제3고정구
310 : 받침고정부 320 : 수직고정부
410 : 제1고정부재 420 : 제2고정부재
500 : 마감프레임 510 : 관통홀
520 : 수용부 521 : 제2돌출턱

Claims (9)

  1. 목재 난간기둥을 형성하며, 바닥재(10)에 접하는 하부에 원형 슬릿(slit)(110)이 형성된 제1고정구(100);
    상면, 저면이 각각 상기 제1고정구(100)의 저면과 바닥재(10) 상면에 접속고, 하부가 개방된 오목한 형상의 중공부(211)를 가지는 평판형 바닥접속부(210)와, 상하로 개방된 원통형상으로 상기 바닥접속부(210) 상부에 연결형성되며 상기 제1고정구의 슬릿(110) 외주면에 밀착되게 끼워져 고정되는 기둥삽입부(220)가 구비되는 제2고정구(200);
    볼트와 같은 체결부재로 구성되며, 상기 중공부(211)상에서 상기 바닥접속부(210)를 관통하여 상기 제1고정구(100) 하부에 고정되는 제1고정부재(410);
    볼트와 같은 체결부재로 구성되며, 상기 제1고정구(100)에 상기 제2고정구(200)가 조립된 상태에서, 상기 제2고정구의 바닥접속부(210)를 상측에서 관통하여 상기 바닥재(10)상에 고정되는 제2고정부재(420); 및
    상면이 상기 바닥재(10) 저면에 접속되는 받침고정부(310)와, 상부가 개방된 원통형상으로 상기 받침고정부(310) 상부에 연결형성되며 상기 바닥재(10)를 관통하여 상기 제1고정구의 슬릿(110)의 내주면과 제2고정구의 기둥삽입부(220)의 내주면 사이에 삽입, 고정되는 수직고정부(320)가 구비되는 제3고정구(300);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재 난간기둥 고정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고정구의 기둥삽입부(220)는,
    상기 제1고정구(100)의 외주부상에 억지끼움하여 고정가능하도록, 외주면 둘레에 하측으로 갈수록 돌출너비가 확대되는 경사면을 구비한 다수의 걸림돌기(221);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재 난간기둥 고정구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고정구의 기둥삽입부(220)는,
    내주면상에 암나사형 체결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3고정구의 수직고정부(320)는,
    외주면상에 수나사형 체결부가 형성되어, 상호 나사결합에 의해 조립,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재 난간기둥 고정구조.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고정구(100) 둘레에서 상기 제2고정구(200)를 상측에서 커버링가능하도록, 상기 제1고정구(100) 둘레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는 관통홀(510)과, 상기 제2고정구의 바닥접속부(210)를 내부에 수용가능하도록 하향 개방되게 형성된 수용부(520)가 구비되는 마감프레임(500);
    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재 난간기둥 고정구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고정구의 바닥접속부(210)는,
    측면 둘레에 하측으로 갈수록 돌출너비가 점차 확대되는 형상의 제1돌출턱(212)이 형성되며,
    상기 마감프레임(500)부의 내면상에는,
    하측으로 갈수록 돌출너비가 점차 축소되는 형상을 가지고 상기 제1돌출턱(212)의 하단에 걸려 체결, 조립되는 제2돌출턱(521)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재 난간기둥 고정구조.
  8. 삭제
  9. 삭제
KR1020100127720A 2010-12-14 2010-12-14 목재 난간기둥 고정구조 KR1010390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27720A KR101039015B1 (ko) 2010-12-14 2010-12-14 목재 난간기둥 고정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27720A KR101039015B1 (ko) 2010-12-14 2010-12-14 목재 난간기둥 고정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39015B1 true KR101039015B1 (ko) 2011-06-03

Family

ID=444050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27720A KR101039015B1 (ko) 2010-12-14 2010-12-14 목재 난간기둥 고정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39015B1 (ko)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6504B1 (ko) 2011-08-08 2012-05-25 (주)중동 친환경 데크로드
KR101660829B1 (ko) * 2016-03-02 2016-09-29 주식회사 로드파크 난간목재기둥 고정용 경화재를 이용한 기초구조물
KR101875476B1 (ko) * 2015-07-09 2018-07-06 주식회사 뭉근초록 생물권 보전을 위한 목재 교량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KR101929380B1 (ko) * 2018-09-18 2018-12-14 안효덕 천연목재 난간 기둥 고정장치
CN110847043A (zh) * 2019-11-08 2020-02-28 东南大学 一种大桥铸铁栏杆施工工艺
KR20200033549A (ko) * 2018-09-20 2020-03-30 정기영 내식성 및 이탈변형방지기능을 갖는 한식 구조물 기둥과 기초부의 조립구조
KR20200053252A (ko) * 2018-11-08 2020-05-18 주식회사 남경에스텍 데크로드의 난간 기둥 고정구조
KR102169330B1 (ko) * 2020-06-01 2020-10-23 주식회사 위드우드 내충격 기능을 갖는 조립식 난간 지주
KR102248118B1 (ko) * 2021-01-19 2021-05-04 주식회사 에스비데크 데크 지주 구조를 구비한 데크 구조물
KR102248096B1 (ko) * 2021-01-19 2021-05-04 주식회사 에스비데크 데크 바닥 구조를 구비한 데크 구조물
KR200496257Y1 (ko) 2020-05-21 2022-12-09 김선갑 견고한 시공이 가능한 목재기둥의 조립구조
KR200496256Y1 (ko) * 2020-05-21 2022-12-09 김선갑 내식성 및 시공성이 향상된 한식구조물기둥과 기초부의 조립구조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05702U (ko) * 1997-07-19 1999-02-18 김종배 계단용 난간기둥 연결구
JPH11336191A (ja) * 1998-05-28 1999-12-07 Toa Engineering:Kk 木造建物の柱固定装置
JP2002047736A (ja) 2000-08-02 2002-02-15 Kanai:Kk ほぞ棒部材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05702U (ko) * 1997-07-19 1999-02-18 김종배 계단용 난간기둥 연결구
JPH11336191A (ja) * 1998-05-28 1999-12-07 Toa Engineering:Kk 木造建物の柱固定装置
JP2002047736A (ja) 2000-08-02 2002-02-15 Kanai:Kk ほぞ棒部材

Cited B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6504B1 (ko) 2011-08-08 2012-05-25 (주)중동 친환경 데크로드
KR101875476B1 (ko) * 2015-07-09 2018-07-06 주식회사 뭉근초록 생물권 보전을 위한 목재 교량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KR101660829B1 (ko) * 2016-03-02 2016-09-29 주식회사 로드파크 난간목재기둥 고정용 경화재를 이용한 기초구조물
KR101929380B1 (ko) * 2018-09-18 2018-12-14 안효덕 천연목재 난간 기둥 고정장치
KR102177944B1 (ko) * 2018-09-20 2020-11-12 정기영 내식성 및 이탈변형방지기능을 갖는 한식 구조물 기둥과 기초부의 조립구조
KR20200033549A (ko) * 2018-09-20 2020-03-30 정기영 내식성 및 이탈변형방지기능을 갖는 한식 구조물 기둥과 기초부의 조립구조
KR20200053252A (ko) * 2018-11-08 2020-05-18 주식회사 남경에스텍 데크로드의 난간 기둥 고정구조
KR102122981B1 (ko) * 2018-11-08 2020-06-16 주식회사 남경에스텍 데크로드의 난간 기둥 고정구조
CN110847043A (zh) * 2019-11-08 2020-02-28 东南大学 一种大桥铸铁栏杆施工工艺
KR200496257Y1 (ko) 2020-05-21 2022-12-09 김선갑 견고한 시공이 가능한 목재기둥의 조립구조
KR200496256Y1 (ko) * 2020-05-21 2022-12-09 김선갑 내식성 및 시공성이 향상된 한식구조물기둥과 기초부의 조립구조
KR102169330B1 (ko) * 2020-06-01 2020-10-23 주식회사 위드우드 내충격 기능을 갖는 조립식 난간 지주
KR102248118B1 (ko) * 2021-01-19 2021-05-04 주식회사 에스비데크 데크 지주 구조를 구비한 데크 구조물
KR102248096B1 (ko) * 2021-01-19 2021-05-04 주식회사 에스비데크 데크 바닥 구조를 구비한 데크 구조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39015B1 (ko) 목재 난간기둥 고정구조
US7530550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ost mount guide
US20030221385A1 (en) Post mount
US7475479B1 (en) Method for anchoring a hollow fence post
KR102055652B1 (ko) 목재와 연결철물을 일체화하여 조립성을 향상시킨 디자인형 울타리의 기둥
US9422728B2 (en) Deck board fastener and arrangement
AU2017204442B2 (en) Washer assembly for use in affixing a guardrail support to a surface
KR101193141B1 (ko) 난간동자 고정구
KR101499040B1 (ko) 목재외피의 변형이 방지되는 목재형 디자인 난간
US20050210786A1 (en) Cap for a fence post
KR101929380B1 (ko) 천연목재 난간 기둥 고정장치
KR100867322B1 (ko) 조립식 구조물의 지주와 보 연결구조
US20080290233A1 (en) Clamping system
US20200277792A1 (en) Railing System With Concealed Anchor System
CN108517972B (zh) 仿木建筑及其钢木连接结构
KR101808460B1 (ko) 데크로드의 조립식 난간 구조
US20110133146A1 (en) Balustrade
KR20120008956A (ko) 팬스용 관절형 브라켓 구조
KR200462075Y1 (ko) 목재와 금속재를 병용한 조립식 기둥
KR200449646Y1 (ko) 간이구조물용 조립식 기둥
KR101215274B1 (ko) 조립식 나무 기둥
KR102139064B1 (ko) 수영장 블록판 고정구조
KR200322223Y1 (ko) 조합시설물용 목재기둥의 고정구조
AU2008100442B4 (en) A Clamp
KR200441010Y1 (ko) 조경용 구조물의 결합부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0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0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0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22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