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41010Y1 - 조경용 구조물의 결합부재 - Google Patents

조경용 구조물의 결합부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41010Y1
KR200441010Y1 KR2020070013831U KR20070013831U KR200441010Y1 KR 200441010 Y1 KR200441010 Y1 KR 200441010Y1 KR 2020070013831 U KR2020070013831 U KR 2020070013831U KR 20070013831 U KR20070013831 U KR 20070013831U KR 200441010 Y1 KR200441010 Y1 KR 20044101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of frame
pillar
coupling
frame support
ca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7001383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병렬
Original Assignee
비엔지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비엔지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비엔지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7001383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101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101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101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26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the supporting parts consisting of wood
    • E04B1/2604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00Buildings or groups of buildings for dwelling or office purposes; General layout, e.g. modular co-ordination or staggered storeys
    • E04H1/12Small buildings or other erections for limited occupation, erected in the open air or arranged in buildings, e.g. kiosks, waiting shelters for bus stops or for filling stations, roofs for railway platforms, watchmen's huts or dressing cubicles
    • E04H1/1205Small buildings erected in the open ai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26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the supporting parts consisting of wood
    • E04B1/2604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04B2001/2644Brackets, gussets or joining plates

Abstract

본 고안은 조경용 구조물의 결합부재에 관한 것으로, 기둥(40)의 단면에 대응되는 단면형상으로 형성되어 기둥(40)의 상단에 끼움결합하되, 일정개수의 제1체결공(11)이 좌우대칭으로 천공되어 있는 기둥캡(10)과; 양측에 지붕골조(50)와의 결합을 위한 일정개수의 제2체결공(21)과 바닥면에 상기 기둥캡(10)의 제1체결공(11)과 대응되는 일정개수의 제3체결공(22)이 천공되어 있고 단면이 'ㄷ'자 형상인 지붕골조 지지대(20)와; 기둥(40)과 보(60) 및 지붕골조(50)간의 결합을 위해 상기 기둥캡(10)의 제1체결공(11)과 상기 지붕골조 지지대(20) 바닥면의 제3체결공(22) 및 기둥캡(10)과 지붕골조 지지대(20) 사이에 위치하게 되는 보(60)를 관통하거나 상기 기둥캡(10)의 제1체결공(11)과 상기 보(60)만을 관통하는 일정개수의 제1볼트(30) 및 지붕골조(50)와 지붕골조 지지대(20)간의 결합을 위해 상기 지붕골조 지지대(20) 측면의 제2체결공(21)과 상기 지붕골조(50)를 관통하는 일정개수의 제2볼트(32)로 구성됨으로써, 구조물 부재의 결합시 규격화되고 표준화된 결합부재를 사용가능하게 하여 시공작업이 용이하고 외관이 깔끔할 뿐만 아니라 공기가 단축될 수 있고, 보수작업시에도 하자가 있는 구조물 부재만의 교체가 가능해 시공 및 보수작업에 필요한 인력과 경비를 절감할 수 있게 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조경용 구조물의 결합부재 {COUPLING MEMBER OF STRUCTURE FOR LANDSCAPE ARCHITECTURE}
본 고안은 조경용 구조물의 결합부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구조물 부재의 결합시 규격화되고 표준화된 결합부재를 사용가능하게 하여 시공작업이 용이하고 외관이 깔끔할 뿐만 아니라 공기가 단축될 수 있고, 보수작업시에도 하자가 있는 구조물 부재만의 교체가 가능해 시공 및 보수작업에 필요한 인력과 경비를 절감할 수 있게 하는 조경용 구조물의 결합부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옥외의 공원이나 놀이터 등 태양광이 직사되는 장소에는 햇빛을 차단하고 그늘을 형성하여 휴식공간을 제공하는 공원건축물·오두막·정자 등의 조경용 간이구조물이 조성된다.
상기 조경용 구조물을 조성할 때, 그 구조물의 뼈대를 형성하는 기둥·보·지붕 등의 부재를 결합하는 종래의 방법으로는 고도의 기술을 가진 기술자가 일반 목재를 치수에 맞게 가공하고 결합홈을 만들어 부재끼리 끼움결합하거나 못을 사용하여 결합 고정하였고, 상기 부재가 금속재질인 경우에는 소정의 결합부재와 볼트를 사용하거나 용접하여 상호 결합시키는 방식이었다.
이러한 종래의 결합방식은 목재로 시공할 경우 전문성이 결여된 작업자의 기술부족으로 인해 현장에서의 시행착오와 공정착오가 빈번하게 발생하여 불필요한 경비가 과다하게 지출되고, 고정못을 사용한 곳에서는 목재에 스며든 수분으로 인해 수축 및 팽창을 반복함으로써 뒤틀림이나 갈라짐 또는 휨 등에 의한 변형이 발생할 뿐만 아니라, 구조물의 부재가 상호 맞춤형이어서 보수작업시 부재 전체를 교체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강재로 시공할 경우에도 용접이나 부재간의 결합을 위한 다량의 볼트의 노출로 인해 작업이 용이하지 않거나 시공 후 외관이 깔끔하지 못하였다.
더불어, 기둥의 일측 표면에 굴곡있는 모양이 있는 경우, 사각 또는 육각형태의 구조물에서의 기둥의 설치시에 설치위치에 상관없이 기둥 표면의 굴곡을 고려하여 동일한 각도로 설치하기 위해 다른 형태의 연결부재를 사용해야 하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어, 구조물 부재를 결합하는 연결부재를 규격화시켜 제작할 수 없는 어려움이 따른다.
따라서, 전반적인 시공이 간편하도록 부재의 대부분이 규격화 및 표준화되어 현장에서 곧바로 조립하여 시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대량생산체제를 가동하여 저렴한 시공비로 시공할 수 있는 자재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구조물 부재의 결합시 규격화되고 표준화된 결합부재를 사용가능하게 하여 시공작업이 용이하고 외관이 깔끔할 뿐만 아니라 공기가 단축되며, 보수작업시에도 하자가 있는 구조물 부재만의 교체가 가능해 시공 및 보수작업에 필요한 인력과 경비를 절감할 수 있는 조경용 구조물의 결합부재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목재구조물 부재의 조립시 현장에서 고정못의 사용을 최소화하여 고정못에 의한 부재의 뒤틀림이나 갈라짐을 방지함으로써 본 고안인 결합부재가 적용된, 또 견고하고 안정성이 향상된 조경용 구조물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기둥의 단면에 대응되는 단면형상으로 형성되어 기둥의 상단에 끼움결합하되, 일정개수의 제1체결공이 좌우대칭으로 천공되어 있는 기둥캡과; 양측에 지붕골조와의 결합을 위한 일정개수의 제2체결공과 바닥면에 상기 기둥캡의 제1체결공과 대응되는 일정개수의 제3체결공이 천공되어 있고 단면이 'ㄷ'자 형상인 지붕골조 지지대와; 기둥과 보 및 지붕골조간의 결합을 위해 상기 기둥캡의 제1체결공과 상기 지붕골조 지지대 바닥면의 제3체결공 및 기둥캡과 지붕골조 지지대 사이에 위치하게 되는 보를 관통하거나 상기 기둥캡의 제1체결공과 상기 보만을 관통하는 일정개수의 제1볼트 및, 지붕골조와 지 붕골조 지지대간의 결합을 위해 상기 지붕골조 지지대 측면의 제2체결공과 상기 지붕골조를 관통하는 일정개수의 제2볼트로 구성된 것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기본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지붕골조 지지대의 양측 내면에 지붕골조를 보조적으로 지지하기 위해 지붕골조가 설치되는 경사각을 가지면서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는 지붕골조 지지턱이 추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본 고안인 조경용 구조물의 결합부재는 구조물 부재의 결합시 규격화되고 표준화된 결합부재를 사용가능하게 하여 시공작업이 용이하고 외관이 깔끔할 뿐만 아니라 공기가 단축될 수 있고, 보수작업시에도 하자가 있는 구조물 부재만의 교체가 가능해 시공 및 보수작업에 필요한 인력과 경비를 절감할 수 있게 하며, 목재구조물 부재의 조립시에는 현장에서 고정못의 사용을 최소화하여 고정못에 의한 부재의 뒤틀림이나 갈라짐을 방지함으로써 견고하고 안정성이 향상된 조경용 구조물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은 본 고안에 따른 조경용 구조물 결합부재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2 는 본 고안에 따른 조경용 구조물 결합부재의 결합사시도이며, 도 3 은 본 고안에 따른 조경용 구조물 결합부재의 결합상태에서의 평면도이고, 도 4 는 본 고안에 따른 조경용 구조물 결합부재의 결합상태에서의 측면도이며, 도 5 는 본 고안에 따른 조경용 구조물의 결합부재가 적용된 사용상태도이다.
도 1 내지 도 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옥외에 설치되어 햇빛을 차단하고 그늘을 형성하여 휴식공간을 제공하는 공원건축물·오두막·정자 등의 조경용 간이구조물을 시설할 때, 그 구조물의 뼈대를 형성하는 기둥·보·지붕 등을 연결하는 부재에 관한 것으로서, 우선, 지반의 기초위에 설치되고 구조물의 수직하중을 받는 기둥(40)의 단면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진 기둥캡(10)이 지반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기둥(40)의 상단에 끼워지게 된다.
상기 기둥캡(10)에는 다른 부재와의 결합을 위해 일정개수의 제1체결공(11)이 천공되어 있는데, 특히 사각이나 육각 형태의 구조물에 있어서 원형이나 사각형인 기둥(40) 표면에 굴곡이 있는 경우, 그 굴곡을 고려하여 동일한 각도로 기둥(40)을 설치하고 기둥(40)의 구조물에서의 설치위치와 관계없이 동일한 형상으로 체결공이 천공되어 있는 기둥캡(10)을 사용하기 위해 상기 제1체결공(11)은 좌우대칭으로 형성되어 있어야 한다.
다시 말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면의 굴곡에 의해 보는 각도에 따라 무늬가 다른 기둥(40)이 사각형태의 구조물의 일측 좌우에 설치되는 경우, 상기 기둥캡(10)의 제1체결공(11)이 좌우대칭으로 형성되어 있지 않다면, 기둥(40)의 굴곡에 의한 무늬를 고려하여 도 3의 기둥(40)을 동일한 각도로 설치하기 위해서는 좌우 기둥캡(10)의 제1체결공(11)이 상호 상이한 형태나 방향으로 천공된 각기 다른 기둥캡(10)을 사용하여야 하므로 동일한 기둥캡(10)의 대량제작이 불가능하게 된 다.
물론, 상기 좌우대칭인 제1체결공(11)의 개수와 배치형상은 다각형상인 구조물의 형태에 따라 다소 차이가 있으므로, 도면에 도시된 것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한편, 기둥(40)과 인접한 기둥(40) 간에는 기둥(40)의 상단에서 상호 맞물려 하중을 지탱하는 역할을 하는 수평부재인 보(60)가 연결 설치되고, 상기 보(60)가 맞물리는 부위의 상측에는 지붕골조(50)를 떠받치기 위한 지붕골조 지지대(20)가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지붕골조 지지대(20)는 지붕골조(50)를 견고하고 효과적으로 떠받치기 위해 단면이 'ㄷ'자 형상으로 형성되고, 'ㄷ'자 형상의 개방된 부분이 위쪽으로 향하도록 설치하여 지붕골조(50)가 그 사이로 끼워지도록 한다.
더불어 지붕골조 지지대(20)의 바닥면에는 상기 기둥캡(10)의 제1체결공(11)과 대응되도록 일정개수의 제3체결공(22)이 천공되어 있어야 하고, 양날개에 해당하는 양측면 부분에는 지붕골조(50)와의 결합을 위한 일정개수의 제2체결공(21)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지붕골조 지지대(20)의 제2체결공(21)을 통해 못이나 나사못 또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제2볼트(32)와 제2너트(33)를 이용하여 지붕골조(50)를 그 지지대(20)에 결합시키게 되는데, 상기 제2볼트·너트(32,33)를 사용하는 경우, 지붕골조(50)에는 제2볼트(32)가 관통하기 위한 제1볼트공(51)이 미리 천공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지붕이 부담하는 하중을 최소화시키기 위해 우수 등이 흘러내리도록 지붕골조(50)는 경사지게 설치되는데, 이러한 지붕골조(50)가 설치되는 경사각을 가지면서 상기 지붕골조 지지대(20)의 양측 내면에는 지붕골조(50)를 보조적으로 지지하기 위해 길이방향으로 지붕골조 지지턱(23)이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기둥(40)과 보(60) 및 지붕골조(50)의 재질은 자연친화적이고 안락한 느낌을 주며 내구성과 강도가 커 뒤틀림과 부러짐 등에 강한 목재가 사용될 수도 있고, 외부하중에 견딜 수 있는 충분한 강도를 지닌 강재를 사용할 수도 있으며, 상기 기둥캡(10)이나 지붕골조 지지대(20)는 외부하중에 의한 변형에 강한 강재를 사용함이 바람직하되, 상기와 같이 강재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그 표면을 내마모성과 내부식성 등이 우수한 도장으로 처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본 고안인 조경용 구조물 결합부재의 구조물에의 결합과정을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지반의 기초에 수직으로 세워진 기둥(40)의 상단에는 기둥캡(10)이 끼워지는데, 상기 기둥캡(10)을 끼움결합하기 전에 구조물의 기둥(40)과 보(60) 및 지붕골조(50) 간의 견고하면서도 용이한 결합을 위해 상기 기둥캡(10)의 제1체결공(11)과 지붕골조 지지대(20) 바닥면의 제3체결공(22) 및 기둥캡(10)과 지붕골조 지지대(20) 사이에 위치하는 보(60)를 관통하거나 상기 기둥캡(10)의 제1체결공(11)과 보(60)만을 관통하는 제1볼트(30)를 미리 상기 기둥캡(10)의 제1체결공(11)에 결합해 두거나 결합 후 용접해 둔다.
여기서, 상기 제1볼트(30)의 개수와 위치는 구조물의 기둥(40)과 보(60) 및 지붕골조(50) 간의 결합이 견고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정도여야 하고, 기둥(40) 상 단의 기둥캡(10)위에서 맞물려 있는 보(60)를 제1볼트(30)가 관통하기 위해서 관통하게 될 위치에 미리 제2볼트공(61)이 천공되어 있어야 한다.
다음으로, 순서대로 보(60)와 지붕골조(50)가 결합된 지붕골조 지지대(20)를 상기 제1볼트(30)에 결합시키고 제1너트(31)를 통해 결합하면, 종국적으로 구조물의 기둥(40)과 보(60) 및 지붕골조(50)는 일체화되어 결합공정이 완료됨으로써 외력에 의한 뒤틀림이나 목재의 수축으로 인한 변형을 최소화할 수 있고, 사각뿔 또는 육각뿔 형태의 지붕골조(50) 사이에 판재나 기와를 시공함으로써 지붕이 완성된다.
상기 공정은 지붕골조(50)가 결합된 지붕골조 지지대(20)를 제1볼트(30)에 결합시키는 것이지만 공간이 협소해 제1너트(31)를 제1볼트(30)에 결합시키기가 용이하지 않을 경우에는 지붕골조 지지대(20)만을 제1너트(31)를 통해 먼저 결합시키고, 이후에 지붕골조(50)를 지붕골조 지지대(20)에 지붕골조 지지대(20) 측면 제2체결공(21)을 통해 나사못 또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제2볼트·너트(32,33) 등과 결합시키면 된다.
상기에서는 본 고안에 대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상술한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고안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하게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다.
도 1 은 본 고안에 따른 조경용 구조물 결합부재의 분해사시도.
도 2 는 본 고안에 따른 조경용 구조물 결합부재의 결합사시도.
도 3 은 본 고안에 따른 조경용 구조물 결합부재의 결합상태에서의 평면도.
도 4 는 본 고안에 따른 조경용 구조물 결합부재의 결합상태에서의 측면도.
도 5 는 본 고안에 따른 조경용 구조물의 결합부재가 적용된 사용상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기둥캡 11: 제1체결공
20: 지붕골조 지지대 21: 제2체결공
22: 제3체결공 23: 지붕골조 지지턱
30: 제1볼트 31: 제1너트
32: 제2볼트 33: 제2너트
40: 기둥 50: 지붕골조
51: 제1볼트공 60: 보
61: 제2볼트공

Claims (2)

  1. 기둥(40)의 단면에 대응되는 단면형상으로 형성되어 기둥(40)의 상단에 끼움결합하되, 일정개수의 제1체결공(11)이 좌우대칭으로 천공되어 있는 기둥캡(10)과;
    양측에 지붕골조(50)와의 결합을 위한 일정개수의 제2체결공(21)과 바닥면에 상기 기둥캡(10)의 제1체결공(11)과 대응되는 일정개수의 제3체결공(22)이 천공되어 있고 단면이 'ㄷ'자 형상인 지붕골조 지지대(20)와;
    기둥(40)과 보(60) 및 지붕골조(50)간의 결합을 위해 상기 기둥캡(10)의 제1체결공(11)과 상기 지붕골조 지지대(20) 바닥면의 제3체결공(22) 및 기둥캡(10)과 지붕골조 지지대(20) 사이에 위치하게 되는 보(60)를 관통하거나 상기 기둥캡(10)의 제1체결공(11)과 상기 보(60)만을 관통하는 일정개수의 제1볼트(30) 및
    지붕골조(50)와 지붕골조 지지대(20)간의 결합을 위해 상기 지붕골조 지지대(20) 측면의 제2체결공(21)과 상기 지붕골조(50)를 관통하는 일정개수의 제2볼트(32)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경용 구조물의 결합부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붕골조 지지대(20)의 양측 내면에 지붕골조(50)를 보조적으로 지지하기 위해 지붕골조(50)가 설치되는 경사각을 가지면서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는 지붕골조 지지턱(23)이 추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경용 구조물의 결합부재.
KR2020070013831U 2007-08-21 2007-08-21 조경용 구조물의 결합부재 KR20044101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13831U KR200441010Y1 (ko) 2007-08-21 2007-08-21 조경용 구조물의 결합부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13831U KR200441010Y1 (ko) 2007-08-21 2007-08-21 조경용 구조물의 결합부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41010Y1 true KR200441010Y1 (ko) 2008-07-17

Family

ID=416404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70013831U KR200441010Y1 (ko) 2007-08-21 2007-08-21 조경용 구조물의 결합부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1010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62511B1 (ko) * 2018-09-20 2020-01-03 정용환 한식 구조물 시공용 추녀 매립형 주두 조립체
KR20210001732A (ko) * 2019-06-28 2021-01-06 이승로 난간용 가로대 결합구조체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62511B1 (ko) * 2018-09-20 2020-01-03 정용환 한식 구조물 시공용 추녀 매립형 주두 조립체
KR20210001732A (ko) * 2019-06-28 2021-01-06 이승로 난간용 가로대 결합구조체
KR102254952B1 (ko) 2019-06-28 2021-05-24 이승로 난간용 가로대 결합구조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449248B (zh) 空心混凝土面板的钢筋结构及制造空心混凝土面板的方法
KR101678908B1 (ko) 옥상 설치형 조립식 온실
KR101208892B1 (ko) 조립식 정자
JP2007239388A (ja) ドーム構築用金具とドーム構築方法
CN110005087B (zh) 组拼拉结式活动板房屋面抗风系统
JP4799107B2 (ja) 木製構造材の仕口構造、横架材、柱脚構造および柱脚金具、並びにこれらを備えた木造建築物の軸組およびその組立て方法
KR200441010Y1 (ko) 조경용 구조물의 결합부재
JP6667940B2 (ja) 外壁の外壁パネル・柱割付け構造および割付け施工方法
JP5718624B2 (ja) 腰壁構造及びその施工方法
CN107558613A (zh) 一种六角亭的安装方法
KR20180011629A (ko) 조립식 벽체 및 조립식 벽체를 이용한 건축 방법
KR200449646Y1 (ko) 간이구조물용 조립식 기둥
KR102114477B1 (ko) 기둥의 내구성 향상과 처마도리 조립성 향상을 위해 상하방 복합결합구조를 구비한 기둥머리를 포함하는 처마도리 조립구조
JP2008128334A (ja) 結合金物
KR102122277B1 (ko) 전단벽 보강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전단벽 보강 방법
CN106894650B (zh) 木结构梁柱榫卯节点加固结构及其施工方法
KR20050086977A (ko) 건축물 지붕의 체결장치 및 이에 구비되는 지붕서까래체결구
JP2007224586A (ja) 複合構造建物及び複合構造建物の構築方法
KR100406144B1 (ko) 구조용 집성재를 이용한 전통 목구조 건축의 구조 모델과시공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접합철물
KR102323154B1 (ko) 시공성이 우수한 조립식 돔형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KR102644028B1 (ko) 콘크리트에 탄소섬유패널과 석고보드의 위치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 방법 및 그 구조
JP7282569B2 (ja) 建物の施工方法
CN210105408U (zh) 一种通风效果佳的装配式钢结构厂房
JP4312701B2 (ja) 屋根パネルの施工方法
JP2007315068A (ja) 鉄骨造の山形屋根構造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0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0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0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11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