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22277B1 - 전단벽 보강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전단벽 보강 방법 - Google Patents

전단벽 보강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전단벽 보강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22277B1
KR102122277B1 KR1020190167592A KR20190167592A KR102122277B1 KR 102122277 B1 KR102122277 B1 KR 102122277B1 KR 1020190167592 A KR1020190167592 A KR 1020190167592A KR 20190167592 A KR20190167592 A KR 20190167592A KR 102122277 B1 KR102122277 B1 KR 1021222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ll
mesh
hole
fixture
inclined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675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손동희
Original Assignee
손동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손동희 filed Critical 손동희
Priority to KR10201901675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2227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222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222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9/00Buildings, groups of buildings or shelters adapted to withstand or provide protection against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e.g. war-like action, earthquake or extreme climate
    • E04H9/02Buildings, groups of buildings or shelters adapted to withstand or provide protection against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e.g. war-like action, earthquake or extreme climate withstanding earthquake or sinking of ground
    • E04H9/027Preventive constructional measures against earthquake damage in existing build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16Auxiliary parts for reinforcements, e.g. connectors, spacers, stirrups
    • E04C5/162Connectors or means for connecting parts for reinforcements
    • E04C5/163Connectors or means for connecting parts for reinforcements the reinforcements running in one single direction
    • E04C5/165Coaxial connection by means of sleev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3/00Working measures on existing buildings
    • E04G23/02Repairing, e.g. filling cracks; Restoring; Altering; Enlarging
    • E04G23/0218Increasing or restoring the load-bearing capacity of building construction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orking Measures On Existing Buildind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단벽 보강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전단벽 보강 방법에 관련되며, 이는 벽체에 설치되는 복수의 고정구와 원터치 커플러에 의한 조립구조에 의해 메쉬부의 현장 조립성이 우수함과 더불어 메쉬부에 의해 몰탈층이 견고하게 구속되어 수평하중으로부터의 연성 및 강성 증진효과를 향상시키기 위해 고정구(100), 메쉬부(200), 몰탈층(300)을 포함하여 주요구성으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전단벽 보강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전단벽 보강 방법 {Shear wall reinforcement system and shear wall reinforcement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전단벽 보강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전단벽 보강 방법에 관련되며, 보다 상세하게는 벽체에 설치되는 복수의 고정구와 원터치 커플러에 의한 조립구조에 의해 메쉬부의 현장 조립성이 우수함과 더불어 메쉬부에 의해 몰탈층이 견고하게 구속되어 수평하중으로부터의 연성 및 강성 증진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는 전단벽 보강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전단벽 보강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종 건축물은 슬래브에 의한 층간 구분과 상기의 상,하 슬래브의 사이에 수직으로 세워지는 기둥으로 이루어져 있는 것이고, 건축물의 측면에는 기둥과 보에 의한 사각의 개구부를 형성하여 각종 창호를 설치하게 된다.
기존의 건물 중 대부분은 기둥과 보에 의해 지지되는 라멘식 구조를 갖고 있는 것으로, 라멘식 구조의 건물의 벽체는 대부분 비내력벽인 조적식 벽체로 구성되어 있는 것으로 조적식 벽체는 내진 설계가 전혀 적용되어 있지 아니한 문제점을 갖고 있는 것이다.
즉, 국내의 기존 건축물의 80% 이상이 지진에 무방비 한 실정이라고 할 수 있는데 학교 건물의 경우 더욱 열악하고, 수평하중은 건물의 개구부에 집중되어 창호 혹은 벽체를 매우 쉽게 파괴시키는 것으로, 가령 지진에 의한 건물의 붕괴시 창호 및 벽체가 위치한 벽체는 상대적으로 취약한 구조이므로 지진 발생시 해당 벽체가 먼저 무너져 내려 실내에 갇힌 사람들이 빠져나오지 못하게 되는 것이다.
이에 따라 근자에 들어서는 상기와 같이 충분한 내진 설계가 이루어지지 못한 건물에 대하여 각 개구부 및 벽체에 대한 내진 보강 공사를 수행하고 있는 것으로 지진 발생시 수평하중에 의한 벽체의 파괴 및 붕괴를 방지하고자 하는 기술이 꾸준히 개발되고 있다.
또한, 벽체에 대한 내진 보강구조 및 방법으로는 등록특허 제10-1089322호의 기설 조적벽체의 비철거형 친환경 내진보강공법과 같이 고인성 복합체를 조적벽체에 도포하여 고인성 복합체로 인해 조적식 벽체에 대한 내진성능을 향상시키고자 한 바 있고, 공개특허 제2011-0018009호와 같이 고인성 시멘트 복합 패널을 조적식 벽체의 표면에 밀착 시공함에 따라 내력벽이나 비내력벽을 보강하는 구조가 안출된 바 있다.
또한, 등록특허 제10-1090314호의 경우 벽돌벽체의 양측에 절곡패널을 밀착 시공함에 따라 조적조에 대한 보강이 이루어지는 것은 물론 콘크리트에 의해 벽돌벽체와 절곡패널이 합성되도록 하여 지진 하중에 대한 저항 성능이 크게 증대되도록 안출된 바 있는 것이다.
그러나, 기존의 조적식 벽체에 대한 내진 보강구조 및 보강방법은 벽체의 외벽에 고인성 복합체를 도포하거나 패널을 접합 고정하는 방법으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조적식 벽체 자체의 강성은 증진되었으나 벽체와 철근 콘크리트 골조와의 결합성이 떨어져 지진 발생시 수평하중이 실질적으로 고인성 복합체를 포함한 벽체에 그대로 전달되면서 벽체가 붕괴되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는 것이다.
특히, 고인성 복합체를 벽체에 도포하여 보강하는 방식은 고인성 복합체를 일정한 두께로 도포하기가 매우 어렵고, 접합성이 떨어져 박리 가능성이 매우 큰 것은 물론 지진에 의한 수평하중을 콘크리트 골조로 전달하는 역할을 전혀 수행하지 못하는 것이고, 오히려 조적식 벽체에 대한 중량만 가중시켜 수평하중에 대한 부하를 증가시키는 원인으로 작용하고 있는 폐단이 있는 것이다.
또한, 절곡패널 및 콘크리트에 의한 내진 보강방법의 경우 작업이 매우 오랜 시간이 소요되는 것은 물론 많은 비용을 지출하여야 하는 것이므로 매우 비경제적인 것이고, 시공 대상 벽체의 길이가 긴 경우에는 측면에서 작용하는 진동에 대비할 수 없는 것이고 전면과 후면만으로는 강도를 향상시키는데 한계가 있어 완전하게 방진효과를 가질 수 없는 것이고, 벽체의 두께가 불필요하게 두꺼워져 실내, 외 가용공간을 침해하는 문제점이 따랐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착안 된 것으로서, 벽체에 설치되는 복수의 고정구와 원터치 커플러에 의한 조립구조에 의해 메쉬부의 현장 조립성이 우수함과 더불어 메쉬부에 의해 몰탈층이 견고하게 구속되어 수평하중으로부터의 연성 및 강성 증진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는 전단벽 보강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전단벽 보강 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특징은, 벽체(1)의 표면에 천공된 앵커홀(2)에 삽입 체결되는 고정구(100); 상기 벽체(1)의 표면에 배치되어 고정구(100)에 의해 결속되도록 구비되는 메쉬부(200); 상기 메쉬부(200)가 설치된 벽체(1)의 표면을 마감하도록 형성되는 몰탈층(3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메쉬부(200)는, 종바(211)와 횡바(212)가 격자형으로 연결되어 형성되는 메쉬망(210)과, 메쉬망(210) 상단에 연결되어 벽체(1)에 고정되는 상부 플레이트(220)와, 메쉬망(210) 하단에 연결되어 벽체(1) 바닥면에 고정되는 바닥지지구(23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고정구(100)는, 벽체(1)의 앵커홀(2)에 일단이 삽입 체결되고, 다른 일단에 수나사부가 형성되는 앵커볼트(110)와, 앵커볼트(110)의 수나사부(112)에 체결되어 메쉬망(210)의 종바(211) 및 횡바(212)를 구속하는 원터치 커플러(40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원터치 커플러(400)는, 양단에 수나사부(412)가 형성되는 센터블록(410)과, 센터블록(410)의 수나사부(412)에 체결되도록 일단에 암나사부(422)가 형성되고, 다른 일단으로 갈수록 내경이 축소되는 경사홀(424)이 형성되어 메쉬망(210)의 종바(211) 또는 횡바(212)가 삽입되는 한 쌍의 사이드블록(420)과, 사이드블록(420) 내부에 설치되어 내측으로 이동시 경사홀(424) 내주면을 타고 간격이 확장되고, 외측으로 이동시 경사홀(424) 내주면을 타고 간격이 축소되며, 내측면에 파지날(432)이 형성되는 복수의 파지부재(430)와, 사이드블록(420) 내부에 설치되어 복수의 파지부재(430)를 경사홀(424) 입구 측으로 가압하는 탄성체(440)로 구성되고, 상기 원터치 커플러(120)의 사이드블록(420) 경사홀(424) 내부로 종바(211) 또는 횡바(212)를 삽입하면, 복수의 파지부재(430)가 내측 방향으로 밀리면서 서로 간에 간격이 확장되어 종바(211) 또는 횡바(212)의 진입을 허용한 후, 탄성체(440)에 의해 경사홀(424) 입구 측으로 가압되어 종바(211) 또는 횡바(212) 외주면을 파지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원터치 커플러(400)는 센터블록(410) 일측에 'ㄷ'형 홈이 형성되는 하향 경사레일(411)이 형성되고, 상기 앵커볼트(110)의 수나사부(112)에는 너트(112a)가 높낮이 조절 가능하게 나사체결되며, 상기 하향 경사레일(411)의 'ㄷ'형 홈에 너트(112a)가 끼움 결합되어 원터치 커플러(400)가 벽체(1)와 이격된 위치에서 결속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원터치 커플러(400)는 센터블록(410)에 측방향으로 관통되어 일단에 마개판(414a)이 나사결합되고, 다른 일단으로 갈수록 내경이 축소되는 멀티경사홀(414b)이 형성되어 앵커볼트(110)의 수나사부(112)가 삽입되도록 구비되고, 멀티경사홀(414b) 내부에 설치되어 내측으로 이동시 멀티경사홀(414b) 내주면을 타고 간격이 확장되고, 외측으로 이동시 멀티경사홀(414b) 내주면을 타고 간격이 축소되며, 내측면에 멀티파지날(415a)이 형성되는 복수의 멀티파지부재(415)와, 멀티경사홀(414b) 내부에 설치되어 복수의 멀티파지부재(415)를 멀티경사홀(414b) 입구 측으로 가압하는 멀티탄성체(416)로 구성되고, 상기 멀티경사홀(414b) 내부로 앵커볼트(110)의 수나사부(112)를 삽입하면, 복수의 멀티파지부재(415)가 내측 방향으로 밀리면서 서로 간에 간격이 확장되어 앵커볼트(110)의 수나사부(112)의 진입을 허용한 후, 멀티탄성체(416)에 의해 멀티경사홀(414b) 입구 측으로 가압되어 앵커볼트(110)의 수나사부(112) 외주면을 파지하도록 구비되며, 마개판(414a)의 회전에 의한 피치 이동으로 멀티경사홀(414b) 내부로 삽입되는 앵커볼트(110)의 수나사부(112) 삽입 깊이가 조절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경사홀(424)과 멀티경사홀(414b) 내부공간은 관통유로(400a)에 의해 원터치 커플러(400) 외측으로 개방되고, 상기 경사홀(424)과 멀티경사홀(414b) 내부로 종바(211) 또는 횡바(212), 수나사부(112)가 끼움결합된 상태로 몰탈층(300)을 형성시 몰탈이 관통유로(400a)를 통하여 경사홀(424)과 멀티경사홀(414b) 내부공간으로 유입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원터치 커플러(400)는 센터블록(410)에 체결홀(413)이 관통형성되고, 상기 체결홀(413)을 통하여 앵커볼트(110)의 수나사부(112)가 관통 삽입되며, 상기 수나사부(112) 단부에 나사결합되는 '+'자형 핸들(500)이 구비되며, 상기 수나사부(112)에 삽입되어 원터치 커플러(400)와 벽체(1) 사이 간격을 설정하는 부시(112b)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자형 핸들(500)은 복수개소에 설치되고, 각각의 '+'자형 핸들(500) 단부는 연결수단(600)에 의해 서로 결속되어 멀티 메쉬부를 형성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원터치 커플러(400)는 센터블록(410)에 측방향으로 관통되어 일단에 마개판(414a)이 나사결합되고, 다른 일단으로 갈수록 내경이 축소되는 멀티경사홀(414b)이 형성되어 앵커볼트(110)의 수나사부(112)가 삽입되도록 구비되고, 멀티경사홀(414b) 내부에 설치되어 내측으로 이동시 멀티경사홀(414b) 내주면을 타고 간격이 확장되고, 외측으로 이동시 멀티경사홀(414b) 내주면을 타고 간격이 축소되며, 내측면에 멀티파지날(415a)이 형성되는 복수의 멀티파지부재(415)와, 멀티경사홀(414b) 내부에 설치되어 복수의 멀티파지부재(415)를 멀티경사홀(414b) 입구 측으로 가압하는 멀티탄성체(416)로 구성되고, 상기 멀티경사홀(414b) 내부로 앵커볼트(110)의 수나사부(112)를 삽입하면, 복수의 멀티파지부재(415)가 내측 방향으로 밀리면서 서로 간에 간격이 확장되어 앵커볼트(110)의 수나사부(112)의 진입을 허용한 후, 멀티탄성체(416)에 의해 멀티경사홀(414b) 입구 측으로 가압되어 앵커볼트(110)의 수나사부(112) 외주면을 파지하도록 구비되며, 마개판(414a)의 회전에 의한 피치 이동으로 멀티경사홀(414b) 내부로 삽입되는 앵커볼트(110)의 수나사부(112) 삽입 깊이가 조절되도록 구비되며, 상기 멀티경사홀(414b)을 중심으로 양방향으로 확장되어 내측에 메쉬망(210)의 종바(211) 또는 횡바(212)를 외측방향에서 가압 구속하는 복수의 위치고정홈(452)이 형성되는 커버프레임(450)이 구비되고, 커버프레임(450) 단부에 절곡 형성되어 메쉬망(210)의 종바(211) 또는 횡바(212)를 하부 및 내측 방향에서 구속하는 'ㄴ'형 프레임(460)이 구비되며, 상기 수나사부(112)에 삽입되어 원터치 커플러(400)와 벽체(1) 사이 간격을 설정하는 부시(112b)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메쉬부(200)의 메쉬망(210)은 분할 형성되고, 이웃하는 메쉬망(210)의 종바(211)와 횡바(212)를 원터치 커플러(400)로 결속하여 사이즈를 조절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전단벽 보강시스템을 이용한 전단벽 보강 방법은, 벽체(1)의 표면에 천공된 앵커홀(2)을 형성하여 고정구(100)를 설치하는 고정구 설치단계(S1); 상기 고정구 설치단계(S1) 이후, 고정구(100)를 이용하여 벽체(1)의 표면에 메쉬부(200)를 시공하는 메쉬부 시공단계(S2); 및 상기 메쉬부(200)가 설치된 벽체(1)의 표면을 마감하도록 몰탈을 분사하여 몰탈층(300)을 형성하는 몰탈층 시공단계(S3);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의 구성 및 작용에 의하면, 본 발명은 벽체에 설치되는 복수의 고정구와 원터치 커플러에 의한 조립구조에 의해 메쉬부의 현장 조립성이 우수함과 더불어 메쉬부에 의해 몰탈층이 견고하게 구속되어 수평하중으로부터의 연성 및 강성 증진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 내지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단벽 보강시스템이 시공된 상태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단벽 보강시스템의 메쉬부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단벽 보강시스템의 원터치 커플러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단벽 보강시스템의 원터치 커플러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단벽 보강시스템의 원터치 커플러에 관통유로가 형성된 상태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7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단벽 보강시스템의 고정구와 원터치 커플러 결속구조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단벽 보강시스템의 연결수단을 나타내는 구성도.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단벽 보강시스템의 원터치 커플러 변형예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단벽 보강시스템을 이용한 전단벽 보강 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순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단벽 보강시스템이 시공된 상태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본 발명은 전단벽 보강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전단벽 보강 방법에 관련되며, 이는 벽체에 설치되는 복수의 고정구와 원터치 커플러에 의한 조립구조에 의해 메쉬부의 현장 조립성이 우수함과 더불어 메쉬부에 의해 몰탈층이 견고하게 구속되어 수평하중으로부터의 연성 및 강성 증진효과를 향상시키기 위해 고정구(100), 메쉬부(200), 몰탈층(300)을 포함하여 주요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공정구(100)는 벽체(1)의 표면에 천공된 앵커홀(2)에 삽입 체결되도록 구비된다. 고정구(100)는 앵커볼트를 포함하는 바형 부재로 형성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메쉬부(200)는 상기 벽체(1)의 표면에 배치되어 고정구(100)에 의해 결속되도록 구비된다. 여기서 메쉬부(200)는, 종바(211)와 횡바(212)가 격자형으로 연결되어 형성되는 메쉬망(210)과, 메쉬망(210) 상단에 연결되어 벽체(1)에 고정되는 상부 플레이트(220)와, 메쉬망(210) 하단에 연결되어 벽체(1) 바닥면에 고정되는 바닥지지구(230)로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몰탈층(300)은 상기 메쉬부(200)가 설치된 벽체(1)의 표면을 마감하도록 형성된다. 몰탈층(300)은 분사건을 통하여 몰탈을 벽체(1)의 표면으로 분사하여 메쉬부(200)가 덮히도록 시공된다.
이때, 상기 고정구(100)는, 벽체(1)의 앵커홀(2)에 일단이 삽입 체결되고, 다른 일단에 수나사부가 형성되는 앵커볼트(110)와, 앵커볼트(110)의 수나사부(112)에 체결되어 메쉬망(210)의 종바(211) 및 횡바(212)를 구속하는 원터치 커플러(400)로 이루어진다.
도 4에서, 상기 원터치 커플러(400)는, 양단에 수나사부(412)가 형성되는 센터블록(410)과, 센터블록(410)의 수나사부(412)에 체결되도록 일단에 암나사부(422)가 형성되고, 다른 일단으로 갈수록 내경이 축소되는 경사홀(424)이 형성되어 메쉬망(210)의 종바(211) 또는 횡바(212)가 삽입되는 한 쌍의 사이드블록(420)과, 사이드블록(420) 내부에 설치되어 내측으로 이동시 경사홀(424) 내주면을 타고 간격이 확장되고, 외측으로 이동시 경사홀(424) 내주면을 타고 간격이 축소되며, 내측면에 파지날(432)이 형성되는 복수의 파지부재(430)와, 사이드블록(420) 내부에 설치되어 복수의 파지부재(430)를 경사홀(424) 입구 측으로 가압하는 탄성체(440)로 구성된다.
이에 상기 원터치 커플러(120)의 사이드블록(420) 경사홀(424) 내부로 종바(211) 또는 횡바(212)를 삽입하면, 도 5처럼 복수의 파지부재(430)가 내측 방향으로 밀리면서 서로 간에 간격이 확장되어 종바(211) 또는 횡바(212)의 진입을 허용한 후, 탄성체(440)에 의해 경사홀(424) 입구 측으로 가압되어 종바(211) 또는 횡바(212) 외주면을 파지하도록 구비된다.
도 7에서, 상기 원터치 커플러(400)는 센터블록(410) 일측에 'ㄷ'형 홈이 형성되는 하향 경사레일(411)이 형성되고, 상기 앵커볼트(110)의 수나사부(112)에는 너트(112a)가 높낮이 조절 가능하게 나사체결된다. 그리고 상기 하향 경사레일(411)의 'ㄷ'형 홈에 너트(112a)가 끼움 결합되어 원터치 커플러(400)가 벽체(1)와 이격된 위치에서 결속되도록 구비된다.
도 8에서, 상기 원터치 커플러(400)는, 센터블록(410)에 측방향으로 관통되어 일단에 마개판(414a)이 나사결합되고, 다른 일단으로 갈수록 내경이 축소되는 멀티경사홀(414b)이 형성되어 앵커볼트(110)의 수나사부(112)가 삽입되도록 구비되고, 멀티경사홀(414b) 내부에 설치되어 내측으로 이동시 멀티경사홀(414b) 내주면을 타고 간격이 확장되고, 외측으로 이동시 멀티경사홀(414b) 내주면을 타고 간격이 축소되며, 내측면에 멀티파지날(415a)이 형성되는 복수의 멀티파지부재(415)와, 멀티경사홀(414b) 내부에 설치되어 복수의 멀티파지부재(415)를 멀티경사홀(414b) 입구 측으로 가압하는 멀티탄성체(416)로 구성된다.
이에 상기 멀티경사홀(414b) 내부로 앵커볼트(110)의 수나사부(112)를 삽입하면, 복수의 멀티파지부재(415)가 내측 방향으로 밀리면서 서로 간에 간격이 확장되어 앵커볼트(110)의 수나사부(112)의 진입을 허용한 후, 멀티탄성체(416)에 의해 멀티경사홀(414b) 입구 측으로 가압되어 앵커볼트(110)의 수나사부(112) 외주면을 파지하도록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마개판(414a)의 회전에 의한 피치 이동으로 멀티경사홀(414b) 내부로 삽입되는 앵커볼트(110)의 수나사부(112) 삽입 깊이가 조절되도록 구비된다.
도 6에서, 상기 경사홀(424)과 멀티경사홀(414b) 내부공간은 관통유로(400a)에 의해 원터치 커플러(400) 외측으로 개방된다. 상기 경사홀(424)과 멀티경사홀(414b) 내부로 종바(211) 또는 횡바(212), 수나사부(112)가 끼움결합된 상태로 몰탈층(300)을 형성시 몰탈이 관통유로(400a)를 통하여 경사홀(424)과 멀티경사홀(414b) 내부공간으로 유입되어 경화되면서 경사홀(424)과 멀티경사홀(414b) 내부공간에 수용된 종바(211) 또는 횡바(212), 수나사부(112)를 결속하게 된다.
도 9에서, 상기 원터치 커플러(400)는 센터블록(410)에 체결홀(413)이 관통형성되고, 상기 체결홀(413)을 통하여 앵커볼트(110)의 수나사부(112)가 관통 삽입되며, 상기 수나사부(112) 단부에 나사결합되는 '+'자형 핸들(500)이 구비되어 원터치 커플러(400)를 결속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수나사부(112)에 삽입되어 원터치 커플러(400)와 벽체(1) 사이 간격을 설정하는 부시(112b)가 설치된다.
또한, 상기 '+'자형 핸들(500)은 복수개소에 설치되고, 각각의 '+'자형 핸들(500) 단부는 연결수단(600)에 의해 서로 결속되어 멀티 메쉬부를 형성하도록 구비된다. 연결수단(600)은 와이어, 철근, 강선을 포함하는 선재로 구성되어 '+'자형 핸들(500) 단부에 나사결합, 후크 결합, 용접의 방식으로 연결된다.
이에 도 10처럼 상기 연결수단(600)에 의해 형성되는 멀티 메쉬부가 메쉬부(200)와 이격된 위치에 형성되어 몰탈층(300)을 포함하는 구조물의 내구성 향상을 도모한다.
도 11에서, 상기 원터치 커플러(400)는 센터블록(410)에 측방향으로 관통되어 일단에 마개판(414a)이 나사결합되고, 다른 일단으로 갈수록 내경이 축소되는 멀티경사홀(414b)이 형성되어 앵커볼트(110)의 수나사부(112)가 삽입되도록 구비되고, 멀티경사홀(414b) 내부에 설치되어 내측으로 이동시 멀티경사홀(414b) 내주면을 타고 간격이 확장되고, 외측으로 이동시 멀티경사홀(414b) 내주면을 타고 간격이 축소되며, 내측면에 멀티파지날(415a)이 형성되는 복수의 멀티파지부재(415)와, 멀티경사홀(414b) 내부에 설치되어 복수의 멀티파지부재(415)를 멀티경사홀(414b) 입구 측으로 가압하는 멀티탄성체(416)로 구성된다.
이에 상기 멀티경사홀(414b) 내부로 앵커볼트(110)의 수나사부(112)를 삽입하면, 복수의 멀티파지부재(415)가 내측 방향으로 밀리면서 서로 간에 간격이 확장되어 앵커볼트(110)의 수나사부(112)의 진입을 허용한 후, 멀티탄성체(416)에 의해 멀티경사홀(414b) 입구 측으로 가압되어 앵커볼트(110)의 수나사부(112) 외주면을 파지하도록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마개판(414a)의 회전에 의한 피치 이동으로 멀티경사홀(414b) 내부로 삽입되는 앵커볼트(110)의 수나사부(112) 삽입 깊이가 조절되도록 구비된다.
또, 상기 멀티경사홀(414b)을 중심으로 양방향으로 확장되어 내측에 메쉬망(210)의 종바(211) 또는 횡바(212)를 외측방향에서 가압 구속하는 복수의 위치고정홈(452)이 형성되는 커버프레임(450)이 구비되고, 커버프레임(450) 단부에 절곡 형성되어 메쉬망(210)의 종바(211) 또는 횡바(212)를 하부 및 내측 방향에서 구속하는 'ㄴ'형 프레임(460)이 구비되며, 상기 수나사부(112)에 삽입되어 원터치 커플러(400)와 벽체(1) 사이 간격을 설정하는 부시(112b)가 설치된다.
도 3에서, 상기 메쉬부(200)의 메쉬망(210)은 분할 형성되고, 이웃하는 메쉬망(210)의 종바(211)와 횡바(212)를 원터치 커플러(400)로 결속하여 사이즈를 조절하도록 구비됨에 따라 현장에서 벽체 면적에 대응하여 사이즈 변경이 유연하게 이루어지는 이점이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단벽 보강시스템을 이용한 전단벽 보강 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전단벽 보강시스템을 이용한 전단벽 보강 방법은, 벽체(1)의 표면에 천공된 앵커홀(2)을 형성하여 고정구(100)를 설치하는 고정구 설치단계(S1); 상기 고정구 설치단계(S1) 이후, 고정구(100)를 이용하여 벽체(1)의 표면에 메쉬부(200)를 시공하는 메쉬부 시공단계(S2); 상기 메쉬부(200)가 설치된 벽체(1)의 표면을 마감하도록 몰탈을 분사하여 몰탈층(300)을 형성하는 몰탈층 시공단계(S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전단벽 보강시스템에 대한 상세한 구성은 상기 도 1 내지 도 11의 설명을 참조한다.
100: 고정구 200: 메쉬부
300: 몰탈층 400: 커플러

Claims (11)

  1. 벽체(1)의 표면에 천공된 앵커홀(2)에 삽입 체결되는 고정구(100);
    상기 벽체(1)의 표면에 배치되어 고정구(100)에 의해 결속되도록 구비되는 메쉬부(200); 및
    상기 메쉬부(200)가 설치된 벽체(1)의 표면을 마감하도록 형성되는 몰탈층(3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메쉬부(200)는, 종바(211)와 횡바(212)가 격자형으로 연결되어 형성되는 메쉬망(210)과, 메쉬망(210) 상단에 연결되어 벽체(1)에 고정되는 상부 플레이트(220)와, 메쉬망(210) 하단에 연결되어 벽체(1) 바닥면에 고정되는 바닥지지구(230)로 구성되며,
    상기 고정구(100)는, 벽체(1)의 앵커홀(2)에 일단이 삽입 체결되고, 다른 일단에 수나사부가 형성되는 앵커볼트(110)와, 앵커볼트(110)의 수나사부(112)에 체결되어 메쉬망(210)의 종바(211) 및 횡바(212)를 구속하는 원터치 커플러(400)로 이루어지며,
    상기 원터치 커플러(400)는, 양단에 수나사부(412)가 형성되는 센터블록(410)과, 센터블록(410)의 수나사부(412)에 체결되도록 일단에 암나사부(422)가 형성되고, 다른 일단으로 갈수록 내경이 축소되는 경사홀(424)이 형성되어 메쉬망(210)의 종바(211) 또는 횡바(212)가 삽입되는 한 쌍의 사이드블록(420)과, 사이드블록(420) 내부에 설치되어 내측으로 이동시 경사홀(424) 내주면을 타고 간격이 확장되고, 외측으로 이동시 경사홀(424) 내주면을 타고 간격이 축소되며, 내측면에 파지날(432)이 형성되는 복수의 파지부재(430)와, 사이드블록(420) 내부에 설치되어 복수의 파지부재(430)를 경사홀(424) 입구 측으로 가압하는 탄성체(440)로 구성되고, 상기 원터치 커플러(400)의 사이드블록(420) 경사홀(424) 내부로 종바(211) 또는 횡바(212)를 삽입하면, 복수의 파지부재(430)가 내측 방향으로 밀리면서 서로 간에 간격이 확장되어 종바(211) 또는 횡바(212)의 진입을 허용한 후, 탄성체(440)에 의해 경사홀(424) 입구 측으로 가압되어 종바(211) 또는 횡바(212) 외주면을 파지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원터치 커플러(400)는 센터블록(410) 일측에 'ㄷ'형 홈이 형성되는 하향 경사레일(411)이 형성되고, 상기 앵커볼트(110)의 수나사부(112)에는 너트(112a)가 높낮이 조절 가능하게 나사체결되며, 상기 하향 경사레일(411)의 'ㄷ'형 홈에 너트(112a)가 끼움 결합되어 원터치 커플러(400)가 벽체(1)와 이격된 위치에서 결속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단벽 보강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제 1항의 전단벽 보강시스템을 이용하여,
    벽체(1)의 표면에 천공된 앵커홀(2)을 형성하여 고정구(100)를 설치하는 고정구 설치단계(S1);
    상기 고정구 설치단계(S1) 이후, 고정구(100)를 이용하여 벽체(1)의 표면에 메쉬부(200)를 시공하는 메쉬부 시공단계(S2); 및
    상기 메쉬부(200)가 설치된 벽체(1)의 표면을 마감하도록 몰탈을 분사하여 몰탈층(300)을 형성하는 몰탈층 시공단계(S3);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벽 보강시스템을 이용한 전단벽 보강 방법.
KR1020190167592A 2019-12-16 2019-12-16 전단벽 보강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전단벽 보강 방법 KR1021222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7592A KR102122277B1 (ko) 2019-12-16 2019-12-16 전단벽 보강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전단벽 보강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7592A KR102122277B1 (ko) 2019-12-16 2019-12-16 전단벽 보강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전단벽 보강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22277B1 true KR102122277B1 (ko) 2020-06-12

Family

ID=710884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67592A KR102122277B1 (ko) 2019-12-16 2019-12-16 전단벽 보강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전단벽 보강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2227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59890B1 (ko) * 2022-05-19 2022-10-27 김재학 폴리머 코팅재를 이용한 건축물 내진보강공법 및 이를 위해 사용되는 내진보강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4315B1 (ko) * 2012-12-07 2014-05-14 주식회사 브룸 식생 옹벽 구조물
KR20160050939A (ko) * 2014-10-31 2016-05-11 씨티에스엔지니어링 주식회사 앵커와 메쉬를 이용한 조적식 벽체 보강구조 및 보강공법
KR20170000386U (ko) * 2017-01-05 2017-01-25 조석현 고강도 철근 커플러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4315B1 (ko) * 2012-12-07 2014-05-14 주식회사 브룸 식생 옹벽 구조물
KR20160050939A (ko) * 2014-10-31 2016-05-11 씨티에스엔지니어링 주식회사 앵커와 메쉬를 이용한 조적식 벽체 보강구조 및 보강공법
KR20170000386U (ko) * 2017-01-05 2017-01-25 조석현 고강도 철근 커플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59890B1 (ko) * 2022-05-19 2022-10-27 김재학 폴리머 코팅재를 이용한 건축물 내진보강공법 및 이를 위해 사용되는 내진보강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724229B2 (en) Slip clip
US8959867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constructing a building structure
KR101657481B1 (ko) 조적식 채움벽체의 내진 보강체 및 이를 이용한 내진 보강방법
KR101894917B1 (ko) 강철판 접합 철골프레임을 이용한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의 내진보강 구조
US20130227906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constructing a building structure
KR102122277B1 (ko) 전단벽 보강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전단벽 보강 방법
EP1412595A1 (en) Cladding system
CN106437261B (zh) 一种应用钢板网的混凝土框架抗震加固结构
JP6713779B2 (ja) 柱梁接合構造および柱梁接合方法
JP5718624B2 (ja) 腰壁構造及びその施工方法
KR20070027432A (ko) 철근조립체와 거푸집과 천정 판넬을 고정핀으로 고정시키는결속구
KR20110126149A (ko) 건물의 단위구조부재와 이 단위구조부재를 이용한 바닥 구조
KR102602175B1 (ko) 기구물 부착을 위한 건식 벽체용 보강대
KR102567304B1 (ko) 응력 보강브레이스가 부착된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보강패널을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전단 보강공법
JP3209111U (ja) たて枠材およびスチールハウス
KR101660760B1 (ko) 건물 개구부에 대한 내부 부착형 내진 프레임 및 이를 이용한 내진보강방법
JP7270900B2 (ja) メリ込み防止アンカー金物
JP2009030321A (ja) 複合梁と木製柱の接続による門型フレーム
KR102007936B1 (ko) 선조립 철골조립체와 영구거푸집 패널의 고정 구조
KR102011987B1 (ko) 하지 매립형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를 이용한 층간 방화 구조
KR20100133637A (ko) Pc 패널을 이용하는 건물 리모델링 시공 방법, 및 리모델링 건물
JP4979310B2 (ja) 建物の耐震補強方法及び建物
JP4654674B2 (ja) 木造建築物の耐震補強金具の取付け方法
JP6739175B2 (ja) 建物の構造材と面材の接合構造
KR20200045780A (ko) 목조주택의 내진보강용 전단벽체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