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12537B1 - 플라스틱 조립식 담장 - Google Patents

플라스틱 조립식 담장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12537B1
KR100412537B1 KR10-2001-0024739A KR20010024739A KR100412537B1 KR 100412537 B1 KR100412537 B1 KR 100412537B1 KR 20010024739 A KR20010024739 A KR 20010024739A KR 100412537 B1 KR100412537 B1 KR 1004125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stic
fence
insertion hole
present
was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247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85306A (ko
Inventor
김명철
Original Assignee
김명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명철 filed Critical 김명철
Priority to KR10-2001-00247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12537B1/ko
Publication of KR200200853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853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125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12537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7/00Fencing, e.g. fences, enclosures, corrals
    • E04H17/14Fences constructed of rigid elements, e.g. with additional wire fillings or with posts
    • E04H17/1413Post-and-rail fences, e.g. without vertical cross-members
    • E04H17/1417Post-and-rail fences, e.g. without vertical cross-members with vertical cross-memb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enc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폐플라스틱이나 폐비닐을 이용하여 제작되는 플라스틱 조립식 담장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폐플라스틱 및 폐비닐을 이용하여 담장재를 형성함에 있어서, 연결체(40)로 연결되는 상·하부(41)(42)에 상·하부수평봉(2)(3)이 삽입되는 상·하부삽입공(44)(45)을 형성하고, 상기 상·하부삽입공(44)(45)에 삽입되는 상·하부수평봉(2)(3)이 지주(1)에 고정되는 연결구(6)에 형성되는 받침편(11)에 안착되어 고정되는 것이다.

Description

플라스틱 조립식 담장 {Sectional wall using plastic}
본 발명은 폐플라스틱이나 폐비닐을 이용하여 제작되는 블럭체를 이용하여 담장을 시공할 수 있는 플라스틱 조립식 담장에 관한 것이다.종래의 담장은 시멘트와 모래의 혼합물로 되는 모르타르를 이용하여 제작되는 블럭이나 벽돌을 쌓아 올려서 시공하는 것이 주종을 이루어왔고, 환봉이나 파이프등을 직접 용접하여 설치하기도 하였다.이러한 담장은 설비 비용이 많이 필요하고, 설치 작업이 불편할 분만이 아니라, 장기간 동안 사용을 하게 되면 블럭이나 벽돌은 비바람에 침식되어 강도가 급격하게 약화되고, 금속재의 환봉은 부식되어 또한 강도가 취약하게 되므로 일정한 기간이 되면 전체를 철거하고 재설치 하여야만 하였기 때문에 유지 및 보수 작업을 위하여 시간과 비용을 재투자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환경오염의 주범이 되고있는 폐플라스틱 및 폐비닐을 재활용하여 담장재를 성형함으로써 환경 오염을 방지하고, 플라스틱재로 되는 담장재가 수평봉으로 연결되게 하여 플라스틱의 단점이 될 수 있는 강도를 보강할 수 있게 하여 일반적인 담장은 물론이고, 부식이 빠르게 진행되는 가축 축사의 칸막이로도 사용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이러한 본 발명은 종래에 칸막이나 토지의 한계정도를 표시했던 담장을 간단한 금형 변형으로 다양한 형태나 형상으로 성형할 수 있으므로 미학적인 담장을 설치할 수 있게 함으로써 값싸고 미려하며, 설치와 보수가 용이한 플라스틱 조립식 담장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연결구 부위를 분리한 확대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의 담장재를 절개한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지주 2 : 상부수평봉
3 : 하부 수평봉 4 : 담장재
5·6 : 연결구 40 : 연결체
41 : 상부 42 : 하부
44 : 상부삽입공 45 : 하부삽입공
본 발명이 의도하는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폐플라스틱 및 폐비닐을 이용하여 담장재를 형성함에 있어서, 연결체로 연결되는 상부와 하부에 수평봉이 삽입되는 상부삽입공과 하부삽입공을 형성하고, 상기 상부삽입공과 하부삽입공에 삽입되는 상부수평봉과 하부수평봉이 지주에 고정되는 연결구에 형성되는 받침편에 안착되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담장재가 수평봉에 끼워져서 고정되는 상태는 의도하는 바에 따라서 적정한 간격을 두고 설치되거나 서로 밀착되는 형태로 고정될 수 있고, 상부와 하부가 연결체의 폭보다 크게 형성되어 공간을 형성하는 두개의 연결체로 연결되어 상부와 하부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게 할 수도 있고, 공간이 없게 형성할 수도 있다.이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를 나타내고 있다.이 도면을 참조하면 지주(1)에는 수평방향으로 상부수평봉(2)과 하부수평봉(3)이 설치되고, 상기 상부수평봉(2)과 하부수평봉(3)에는 담장재(4)가 설치되어 있다.지주(1)는 지주(1)는 통상적인 방법과 같이 지면에 시멘트 모르타르나 앵커보울트 등으로 설치되며, 연결구(5)(6)가 고정되어 있다.상부수평봉(2)과 하부수평봉(3)은 담장재(4)를 설치하기 위하여 지주(1)에 고정되는 것으로 환봉 또는 파이프의 형태로 된다.담장재(4)는 연결체(40)와 상부(41) 및 하부(42)로 구성되어 있다.담장재의 상부(41)는 상부수평봉(2)이 삽입되는 상부삽입공(43)이 형성되어 있고, 하부(42)에는 하부수평봉(3)이 삽입되는 하부삽입공(44)이 형성되어 있다.이러한 담장재(4)는 폐플라스틱 및 폐비닐을 이용하여 사출 성형된다.연결구(5)(6)는 상부수평봉(2)과 하부수평봉(3)을 고정하기 위한 것으로, 중앙에는 지주(1)가 삽입되는 지주십입공(10)이 형성되어 있고, 측면에는 상부수평봉(2)과 하부수평봉(3)이 올려 놓여지는 받침편(11)이 형성되어 있으며, 전면에는 보울트공(12)이 형성되어 있다.이와 같은 본 발명은 연결구(6)의 지주 삽입공(10)에 지주(1)를 삽입하고 고울트공(120을 통하여 보울트(7)를 조이면 지주(1)에 연결구(6)가 고정된다.그 다음 요구되는 간격에 맞춰서 준비된 상부수평봉(2)과 하부수평봉(3)을 담장재(4)의 상부삽입공(44)과 하부삽입공(45)에 각각 삽입한 다음 보울트(8)로 고정시킨다.
그리고 상부수평봉(2)과 하부수평봉(3)의 한쪽 단부는 연결구(6)에 직접 끼우고. 다른 한쪽의 단부는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받침편(11)에 안착시키면서 조립링(12)을 받침편(11)에 끼워서 지주(1)에 밀착시킨 다음 보울트나 실리콘 등으로 마감하면 된다.이렇게 담장재(4)를 이용하여 담장을 완성하게 되면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각각의 담장재(4) 사이에 적당한 공간(S)이 생기게 되는데, 이러한 공간(S)의 간격은 사용자나 시공자의 의도에 따라서 임의로 조절할 수 있다.
상기한 실시예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구현하는 하나의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본 발명이 의도하는 기술적인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경실시될 수 있다.도 3과 도 4는 본 발명이 변경실시되는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고 있다.우선 도 3에 도시된 담장재(4a)는 두개의 연결체(40a)(40b)가 형성되면서 상부삽입공(44a)과 하부삽입공(44a)이 형성된 상부(41a)와 하부(42a)가 앞서 설명한 실시예보다 길게 형성되어 상기 두개의 연결체(40a)(40b)에 연결되게 하는 것으로, 각각의 담장재(4a)가 접촉하면서 연속적으로 설치되게 하는 것이다.이러한 실시예에서도 연결체(40a)(40b) 사이에 공간(Sa)이 형성된다.도 4에 도시된 담장재(4b)는 완벽한 밀폐 효과를 위하여 상부(41b)와 하부(42b)를 연결하는 연결체(40c)가 상부(41b) 및 하부(42b)와 동일한 면적의 폭으로 형성되면서 한쪽의 측면에는 돌출부(46)가 형성되고, 다른 한쪽의 측면은 요입부(47)가 형성되어 결합되게 하는 것이다.이상의 실시예에서 상·하부수평봉과 상·하부삽입공의 형상은 원형이나 사각으로 할 수 있고, 또한 도면에서는 상부와 하부 2개이나 강도나 높이를 높이기 위하여 3개 이상 형성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폐자원을 재활용하여 자원을 절약하면서 폐기물 처리비용을 절감하고, 환경오염을 방지하며, 담장재가 상·하부수평봉에 끼워맞춤 방식으로 조립되어 조립작업과 해체가 용이하기 때문에 파손시에는 일부분만 교체하면 되므로 시공 및 보수가 용이한 플라스틱 조립식 담장재를 제공 할수 있다.또한 본 발명은 플라스틱의 특성상 어떠한 형태나 형상으로도 성형하는 것이 가능함으로 담장을 필요로 하는 건축·토목 분야와 가축 축사등과 같은 분야에서 광범위하게 사용될 것이다.

Claims (3)

  1. 폐플라스틱 및 폐비닐을 이용하여 담장재를 형성함에 있어서, 연결체(40)로 연결되는 상부(41)와 하부(42)에 상부수평봉(2)과 하부수평봉(3)이 각각 삽입되는 상부삽입공(44)과 하부삽입공(45)을 형성하고, 상기 상부삽입공(44)과 하부 삽입공(45)에 삽입되는 상부수평봉(2)과 하부수평봉(3)이 지주에 고정되는 연결구(6)에 형성되는 받침편(11)에 안착되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 조립식 담장.
  2. 제 1 항에 있어서, 상부(41a)와 하부(42a)가 두개의 연결체(40a)(40b)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 조립식 담장.
  3. 제 1 항에 있어서, 연결체(40c)가 상부(41b) 및 하부(42b)와 동일한 면적의 폭으로 형성되면서 한쪽의 측면은 돌출부(46)가 형성되고, 다른 한쪽의 측면은 요입부(47)가 형성되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 조립식 담장.
KR10-2001-0024739A 2001-05-07 2001-05-07 플라스틱 조립식 담장 KR1004125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24739A KR100412537B1 (ko) 2001-05-07 2001-05-07 플라스틱 조립식 담장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24739A KR100412537B1 (ko) 2001-05-07 2001-05-07 플라스틱 조립식 담장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85306A KR20020085306A (ko) 2002-11-16
KR100412537B1 true KR100412537B1 (ko) 2003-12-31

Family

ID=277039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24739A KR100412537B1 (ko) 2001-05-07 2001-05-07 플라스틱 조립식 담장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1253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9928B1 (ko) * 2007-08-06 2008-01-02 최대식 축사용 울타리
RU2560758C1 (ru) * 2014-07-07 2015-08-20 Владимир Михайлович Кононов Ограждение для газонов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85306A (ko) 2002-1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356318B (zh) 具有使用钢管的连接结构的预制混凝土砌块及其连接结构
KR100412537B1 (ko) 플라스틱 조립식 담장
KR100461914B1 (ko) 강관말뚝용 철근고정구 및 이를 이용한 강관말뚝 머리부와철근콘크리트 기초의 결합구조
JP2006225997A (ja) 手摺支柱の取付工法
KR20190010947A (ko) 베이스플레이트 상부매립 일체형 콘크리트 기초블록
JP3615834B2 (ja) 擁壁の施工方法
KR101799237B1 (ko) 기둥 고정 기초석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기둥 고정 기초석
KR200172273Y1 (ko) 조립식 암거
KR100262977B1 (ko) 강관 말뚝용 덮개판
KR200286055Y1 (ko) 건축물의 철근 배치용 스페이서 겸 앵커 볼트 고정구
KR100229166B1 (ko) 강관 말뚝용 덮개판
KR100361318B1 (ko) 소재를 복합시킨 울타리 패널
KR20050112913A (ko) 벽 및 슬라브 시공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CN220434435U (zh) 快速安装式围挡
KR200361275Y1 (ko) 콘크리트 거푸집의 간격유지구
CN217461433U (zh) 一种组合式建筑混凝土用钢模板圆模
JP3573696B2 (ja) 柱状構造物用基盤の製造方法及びその方法に使用する固定具
KR100627709B1 (ko) 조립식 수밀패킹재
KR200268242Y1 (ko) 거푸집 시스템
KR200336533Y1 (ko) 맨홀 제작용 거푸집과 그에 의해 제작된 맨홀구조물
KR0128130Y1 (ko) 횡주관과 지지대에 대한 연결 및 고정방법
CN2375708Y (zh) 组装式钢筋混凝土围墙构件
KR200187741Y1 (ko) 거푸집용 몰딩바
KR100394105B1 (ko) 도로용 철책
JP3027589U (ja) 木造建築物連結基礎ブロッ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1212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