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29310B1 - 라면 자동 조리장치 - Google Patents

라면 자동 조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29310B1
KR102129310B1 KR1020190057098A KR20190057098A KR102129310B1 KR 102129310 B1 KR102129310 B1 KR 102129310B1 KR 1020190057098 A KR1020190057098 A KR 1020190057098A KR 20190057098 A KR20190057098 A KR 20190057098A KR 102129310 B1 KR102129310 B1 KR 1021293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men
noodle
cooking
noodles
chopsti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570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민영
김의종
김종규
신홍경
이현
Original Assignee
선문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선문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선문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900570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2931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293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293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14Cooking-vessels for use in hotels, restaurants, or canteens
    • A47J27/18Cooking-vessels for use in hotels, restaurants, or canteens heated by water-bath, e.g. pasta-cook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24Warming devices
    • A47J36/2483Warming devices with electrical heat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ommercial Cook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라면 자동 조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복수의 라면용 면발이 적층되어 위치되는 면발 적층부, 상기 면발 적층부에 적층된 복수의 라면용 면발 중 일부를 조리용 냄비 내로 투입하는 면발 투입부, 조리용 냄비 내로 물을 급수하는 물급수부, 조리용 냄비 내로 라면 스프를 투입하는 스프 투입부, 조리용 냄비를 가열하는 가열부를 포함하여 봉지 라면을 자동으로 간편하게 조리하여 조리 과정에서의 번거로움을 크게 해소하여 조리 시 편의성을 크게 향상시키며, 봉지 라면을 자동으로 조리하여 조리 중 다른 업무를 볼 수 있어 PC방 등의 영업소에서 사용 시 직원의 수를 줄일 수 있고, 영업 효율을 크게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고, 영업소의 이익 창출에 도움이 된다.

Description

라면 자동 조리장치{AUTOMATIC NOODLE COOKER}
본 발명은 라면 자동 조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라면을 자동으로 조리하여 라면 조리 시 편의성을 크게 향상시킨 라면 자동 조리장치에 관한 발명이다.
일반적으로, 라면은 이미 조리된 라면에 온수를 부어 조리하도록 된 컵라면과, 라면을 끓는 물에 넣고 스프를 투입하고, 취향에 따라 각종 양념을 추가하여 조리하도록 된 봉지 라면으로 구분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라면 중에서 컵라면은 온수만 준비된다면 야외 및 PC 방 등의 영업소에서도 짧은 시간에 간편하게 조리하여 섭취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이러한 장점으로 인해 컵라면용 자동 판매기가 제안되어 구매자가 간편하게 컵라면을 자동 판매기로 구매하여 섭취할 수 있다.
즉, 한국 등록실용신안 공보 제20-0282536호 "컵라면자동판매기"가 제안된 바 있고, 제20-0282536호 "컵라면자동판매기"는 컵라면이 배출되면 컵라면 용기에 온수를 공급하여 구매자에게 공급하는 구성을 개시하고 있다.
다만, 컵라면은 끓여 먹는 봉지 라면과는 달리 뜨거운 물에 불려 먹는 방식으로 그 맛이나 식감이 끓여 먹는 라면에 비해 현저히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그러나, 봉지 라면은 바로 먹을 수 있는 형태로 제조되지 않으므로 대개의 경우 물의 공급 및 가열 과정을 거쳐 음식형태가 되므로 물을 끓일 수 있는 냄비 등의 용구가 필요하고, 조리하는 과정에서 끓는 물에 라면과 스프를 별도로 첨가해야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이에 은박지 용기에 봉지라면을 넣고 히터로 가열해서 봉지라면을 구매자가 직접 끓여 먹을 수 있는 라면 조리기가 제안되어 편의점 등에서 사용이 증가하고 있으나 구매자가 직접 라면을 끓여 조리해야 되는 번거로움을 해소하기에는 미흡한 문제점이 있었다.
0001)한국 등록실용신안 공보 제20-0282536호 "컵라면자동판매기"(2002.07.22.등록)
본 발명의 목적은 봉지 라면을 자동으로 간편하게 조리하여 조리 과정에서의 번거로움을 크게 해소하는 라면 자동 조리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라면을 자동으로 조리하여 조리 중 다른 업무를 볼 수 있어 PC방 등의 영업소에서 사용 시 직원의 수를 줄일 수 있고, 영업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라면 자동 조리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라면 자동 조리장치의 일 실시예는 복수의 라면용 면발이 적층되어 위치되는 면발 적층부, 상기 면발 적층부에 적층된 복수의 라면용 면발 중 일부를 조리용 냄비 내로 투입하는 면발 투입부, 조리용 냄비 내로 물을 급수하는 물급수부, 조리용 냄비 내로 라면 스프를 투입하는 스프 투입부, 조리용 냄비를 가열하는 가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라면 자동 조리장치의 일 실시예는 상기 면발 적층부, 상기 면발 투입부, 상기 스프 투입부, 상기 가열부가 내부에 위치되는 본체 하우징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본체 하우징부에는 상기 조리용 냄비를 내부로 출입시킬 수 있는 도어부가 위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본체 하우징부에는 내부 습도 조절을 위한 송풍팬이 위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면발 투입부는 복수로 적층된 라면용 면발 중 제일 아래에 위치된 상기 라면용 면발의 하부를 받쳐 지지하고, 상기 라면용 면발의 받침 상태를 해제할 수 있는 제1면발 받침부 및 복수로 적층된 상기 라면용 면발 사이에 삽입되어 복수로 적층된 상기 라면용 면발 중 어느 한 상기 라면용 면발의 하부를 받쳐 지지하며 상기 라면용 면발의 받침 상태를 해제할 수 있는 제2면발 받침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2면발 받침부는 제일 아래에 위치된 제1라면용 면발과 제2라면용 면발 사이, 상기 제2라면용 면발과 제3라면용 면발과의 사이, 상기 제3라면용 면발과 제4라면용 면발 사이에 위치되어 세개의 라면용 면발까지 한번에 조리용 냄비로 투입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면발 투입부는 상기 면발 적층부에서 낙하된 상기 라면용 면발을 상기 조리용 냄비로 이동시켜 투입하는 면발 이송 안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면발 이송 안내부는 이격되게 위치되고 회전 가능한 복수의 면발 이송용 롤러부재 및 상기 면발 적층부의 하부 측에 단부 측이 하향 경사지게 위치되어 상기 면발 이송용 롤러부재가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롤러 지지 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스프 투입부는 분말 스프 공급부와 건더기 스프 공급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도어부는 라면 조리 중 상기 도어부를 록킹시켜 도어부가 열리지 않도록 제한하고, 라면 조리가 완료된 후에 상기 도어부의 록킹을 해제하는 도어 록킹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도어 록킹부는 상기 본체 하우징부에 위치되는 전자석부를 포함하여 상기 전자석부의 자력으로 상기 도어부를 록킹하고, 조리가 완료된 후 상기 전자석부의 전원 공급을 차단하여 상기 도어부의 록킹을 해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라면 자동 조리장치의 일 실시예는 상기 면발 투입부, 상기 스프 투입부, 상기 가열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조리용 냄비 내에서 끓여지는 물의 온도를 측정하는 물온도 측정센서부 및 타이머가 구비되어 상기 조리용 냄비 내에 물이 끓은 후 상기 면발 투입부를 작동시켜 상기 라면용 면발을 상기 조리용 냄비로 투입하고, 상기 면발 투입부가 작동된 시점부터 기설정된 시간이 경과하면 라면의 조리가 완료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어부는 라면의 조리가 완료된 시점을 알림하는 알림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라면 자동 조리장치의 일 실시예는 라면이 조리되는 중에 라면용 면발을 휘저어 상기 라면용 면발이 고르게 익도록 하는 면발 휘젓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휘젓기부는 젓가락부, 상기 젓가락부가 이동 가능하게 위치되고 상기 젓가락부의 이동을 안내하는 젓가락 이동 안내 레일부 및 상기 젓가락부를 상기 젓가락 이동 안내 레일부를 따라 이동시키는 젓가락 이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젓가락 이동 안내 레일부는 링형상을 가지고 외주면과 내주면 중 어느 한 측에 기어부가 위치되고, 외주면과 내주면 중 다른 한 측에 이동 안내 레일홈부가 위치되며, 상기 젓가락 이동부는 상기 젓가락 이동 안내 레일부를 따라 이동하며 상기 젓가락부가 위치되는 레일 이동부재 및 상기 레일 이동부재를 이동시키는 레일 주행기기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봉지 라면을 자동으로 간편하게 조리하여 조리 과정에서의 번거로움을 크게 해소하여 조리 시 편의성을 크게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봉지 라면을 자동으로 조리하여 조리 중 다른 업무를 볼 수 있어 PC방 등의 영업소에서 사용 시 직원의 수를 줄일 수 있고, 영업 효율을 크게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고, 영업소의 이익 창출에 도움이 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라면 자동 조리장치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라면 자동 조리장치의 면발 적층부에 대한 일 실시예를 도시한 개략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라면 자동 조리장치에서 면발 휘젓기부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저면 사시도.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라면 조리장치에서 면발 휘젓기부의 작동예를 도시한 도면.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앞서,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라면 자동 조리장치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라면 자동 조리장치의 면발 적층부(100)에 대한 일 실시예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라면 자동 조리장치의 일 실시예는 수의 라면용 면발(10)이 적층되어 위치되는 면발 적층부(100)를 포함한다.
면발 적층부(100)는 적층되는 라면용 면발(10)의 외측을 지지하는 이격된 복수의 세로 지지프레임(110)을 포함한다.
라면용 면발(10)은 기름에 튀겨진 면발, 건조된 면발 등 공지의 라면에 사용되는 면발로 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함을 밝혀둔다.
라면용 면발(10)은 세로 지지프레임(110) 사이에 위치되어 복수로 적층되고, 복수로 적층된 라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면발 투입부(200)에 의해 조리용 냄비(20)로 투입하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라면 자동 조리장치의 일 실시예는 조리용 냄비(20)에 물을 급수하는 물급수부(300), 조리용 냄비(20)를 가열하는 가열부(500)를 포함한다.
가열부(500)는 전기 레인지인 것을 일 예로 하며 인덕션 방식 또는 하이라이트 방식의 전기 레인지이고, 이외에도 공지의 가열부(500)로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는 바 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함을 밝혀둔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라면 자동 조리장치의 일 실시예는 면발 적층부(100), 면발 투입부(200), 스프 투입부(400), 가열부(500)가 내부에 위치되는 본체 하우징부(600)를 더 포함하고, 본체 하우징부(600)의 하부에는 이동이 용이하도록 복수의 이동 바퀴가 위치될 수 있다.
또한, 본체 하우징부(600) 내에는 면발 적층부(100), 면발 투입부(200), 스프 투입부(400)가 조리용 냄비(20)보다 상부 측에 위치될 수 있도록 면발 적층부(100), 면발 투입부(200), 스프 투입부(400)의 위치를 지지하는 베이스 지지 프레임부(610)가 위치된다.
또한, 본체 하우징부(600)의 상부에는 면발 적층부(100)의 상부를 개폐하는 면발 투입용 개폐부(640)가 위치된다.
면발 투입용 개폐부(640)는 면발 적층부(100)의 상부를 개방시켜 개방된 부분으로 라면용 면발(10)을 라면 적층부 내로 삽입하여 다시 채울 수 있게 된다.
또한, 본체 하우징부(600)에는 조리용 냄비(20)를 내부로 출입시킬 수 있는 도어부(620)가 위치된다.
또한, 본체 하우징부(600)에는 내부 습도 조절을 위한 송풍팬(630)이 위치될 수 있다. 송풍팬(630)은 라면을 끓이면서 발생되는 수증기를 외부로 배출하여 본체 하우징부(600)의 내부 습도를 조절하고, 라면을 끓이면서 발생되는 수증기에 의해 전자기기의 오작동이 발생될 수 있는 사고를 방지한다.
한편, 면발 투입부(200)는 복수로 적층된 라면용 면발(10) 중 제일 아래에 위치된 라면용 면발(10)의 하부를 받쳐 지지하고, 라면용 면발(10)의 받침 상태를 해제할 수 있는 제1면발 받침부(210), 복수로 적층된 라면용 면발(10) 사이에 삽입되어 복수로 적층된 라면용 면발(10) 중 어느 한 라면용 면발(10)의 하부를 받쳐 지지하며 라면용 면발(10)의 받침 상태를 해제할 수 있는 제2면발 받침부(2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면발 받침부(210)와 제2면발 받침부(220)는 적어도 한쌍으로 구비되어 라면용 면발(10)의 하부를 안정적으로 받쳐 지지할 수 있도록 한다.
제2면발 받침부(220)가 제일 아래에 위치된 제1라면용 면발(11)과 제1라면용 면발(11)의 상부에 위치된 제2라면용 면발(12) 사이에 위치된 상태에서 제1면발 받침부(210)가 제1라면용 면발(11)의 받침 상태를 해제하면 제1라면용 면발(11)이 낙하되어 조리용 냄비(20) 내로 투입되게 된다.
그리고, 제1라면용 면발(11)이 낙하되어 조리용 냄비(20)로 투입된 후 제1면발 받침부(210)는 다시 라면용 면발(10)을 받칠 수 있는 위치로 이동되고 제2면발 받침부(220)가 라면용 면발(10)의 받침 상태를 해제할 수 있는 위치로 이동되어 적층된 복수의 라면용 면발(10)이 제1면발 받침부(210)로 받쳐진 상태에서 다시 이동하여 라면용 면발(10) 사이로 삽입되어 라면용 면발(10)을 받칠 수 있도록 위치될 수 있다.
제1면발 받침부(210)는 라면 적층부의 하부 측에 회전 가능하게 위치되어 회전되어 라면용 면발(10)을 받치거나 라면용 면발(10)의 받침 상태를 해제할 수 있다.
제2면발 받침부(220)는 세로 지지플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위치되고 회전되어 라면용 면발(10)을 받치거나 라면용 면발(10)의 받침 상태를 해제할 수 있다.
제1면발 받침부(210)와 제2면발 받침부(220)를 회전시키는 회전부의 구조는 모터를 이용한 공지의 구조로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는 바 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함을 밝혀둔다.
또한, 제2면발 받침부(220)는 높이 차이를 두고 복수로 위치되어 면발 투입부(200)가 복수의 라면용 면발(10)을 한번에 조리용 냄비(20)로 투입시킬 수도 있다.
제2면발 받침부(220)는 제일 아래에 위치된 제1라면용 면발(11)과 제2라면용 면발(12) 사이, 제2라면용 면발(12)과 제3라면용 면발(13)과의 사이, 제3라면용 면발(13)과 제4라면용 면발(14) 사이에 위치되어 세개의 라면용 면발(10)까지 한번에 조리용 냄비(20)로 투입시킬 수 있음을 밝혀둔다.
즉, 제4라면용 면발(14)을 제2면발 받침부(220)로 받쳐 지지한 상태에서 나머지 제2면발 받침부(220)와 제1면발 받침부(210)의 라면용 면발(10)의 받침 상태를 해제하면 제1라면용 면발(11), 제2라면용 면발(12), 제3라면용 면발(13)이 모두 조리용 냄비(20)로 투입될 수 있다.
또한, 제3면 면발을 제2면발 받침부(220)로 받쳐 지지한 상태에서 나머지 제2면발 받침부(220)와 제1면발 받침부(210)의 라면용 면발(10)의 받침 상태를 해제하면 제1라면용 면발(11), 제2라면용 면발(12)이 모두 조리용 냄비(20)로 투입될 수 있다.
또한, 제2라면용 면발(12)을 제2면발 받침부(220)로 받쳐 지지한 상태에서 나머지 제2면발 받침부(220)와 제1면발 받침부(210)의 라면용 면발(10)의 받침 상태를 해제하면 제1라면용 면발(11)만 조리용 냄비(20)로 투입될 수 있다.
선택된 갯수의 라면용 면발(10)이 낙하되어 조리용 냄비(20)로 투입된 후에는 제1면발 받침부(210)가 라면용 면발(10)을 받쳐 지지할 수 있도록 위치되고, 나머지 복수의 제2라면 받침부가 라면용 면발(10)의 받침 상태를 해제하도록 위치되어 복수로 적층된 라면용 면발(10)을 제1면발 받침부(210) 상에서 재정렬한다.
한편, 면발 투입부(200)는 면발 적층부(100)에서 낙하된 라면용 면발(10)을 조리용 냄비(20)로 이동시켜 투입하는 면발 이송 안내부(2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면발 이송 안내부(230)는 면발 적층부(100)의 하부 측에 단부 측이 하향 경사지게 위치되어 최대한 라면용 면발(10)이 조리용 냄비(20)에 근접하게 위치된 상태에서 조리용 냄비(20)로 투입되어 투입 시 발생되는 충격을 최소화시킴으로써 라면용 면발(10)이 조리용 냄비(20)로 바로 투입됨으로써 발생되는 물튐, 조리용 냄비(20)의 외측으로 이탈되는 등의 사고를 방지하고 라면용 면발(10)이 조리용 냄비(20)로 안정적으로 투입될 수 있도록 한다.
면발 이송 안내부(230)는 이격되게 위치되고 회전 가능한 복수의 면발 이송용 롤러부재(231), 면발 적층부(100)의 하부 측에 단부 측이 하향 경사지게 위치되어 면발 이송용 롤러부재(231)가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롤러 지지 프레임(232)을 포함할 수 잇다.
한편, 스프 투입부(400)는 분말 스프 공급부(410)와 건더기 스프 공급부(420)를 포함할 수 있고, 분말 스프 공급부(410)는 분발 스프 저장호퍼 내에 저장된 분말 스프를 스크류 피더로 배출시켜 기설정된 양으로 배출하고, 건더기 스프 공급부(420)는 건더기 스프 저장호퍼 내에 저장된 건더기 스프를 스크류 피더로 배출시켜 기설정된 양으로 배출하는 것을 일 예로 한다.
분말 스프 공급부(410)는 분발 스프 저장호퍼 내에 저장된 분말 스프를 스크류 피더 등의 공지의 공급부로 기설정된 양으로 배출시켜 조리용 냄비(20)로 투입할 수 있고, 건더기 스프 공급부(420)는 분말 스프 공급부(410)는 건더기 스프 저장호퍼 내에 저장된 건더기 스프를 스크류 피더 등의 공지의 공급부로 기설정된 양으로 배출시켜 조리용 냄비(20)로 투입할 수 있음을 밝혀둔다.
본 발명에 따른 라면 자동 조리장치의 일 실시예는 면발 투입부(200), 스프 투입부(400), 가열부(500)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700)를 더 포함한다.
제어부(700)는 본체 하우징부(600)에 위치되어 사용자가 간단하게 조작할 수 있도록 작동 스위치부(700a)를 포함하고, 작동 스위치부(700a)에 의해 작동 신호가 인가되면 물급수부(300)를 통해 조리용 냄비(20) 내로 물을 기설정된 량으로 급수하고, 가열부(500)를 작동시켜 조리용 냄비(20) 내의 물을 끓인 후 면투입부를 작동시켜 라면용 면발(10)을 조리용 냄비(20) 내로 투입하고, 스프 투입부(400)로 라면 스프를 투입한다.
제어부(700)는 조리용 냄비(20) 내에서 끓여지는 물의 온도를 측정하는 물온도 측정센서부를 포함하여 물온도 측정센서부를 통해 물이 끓여진 것 즉, 물의 온도가 100℃로 가열된 것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물온도 측정센서부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비접촉식 적외선 온도센서인 것을 일 예로 하고, 이외에도 공지의 다양한 온도 센서를 적용할 수 있음을 밝혀둔다.
제어부(700)는 타이머가 구비되어 라면용 면발(10)이 조리용 냄비(20)로 투입된 시점 즉, 면발 투입부(200)가 작동된 시점부터 기설정된 시간이 경과하면 조리가 완료된 것으로 판단한다.
제어부(700)는 라면의 조리가 완료된 시점을 알림하는 알림부(71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알림부(710)는 빛을 발광하여 라면의 조리를 알림하는 조리 완료 표시 램프(711) 또는 알림음을 출력하여 라면의 조리를 알림하는 알림 스피커부(712)를 포함할 수 있다.
알림부(710)는 조리 완료 표시 램프(711)와 알림 스피커부(712)를 모두 포함하여 알림음을 출력함과 동시에 조리 완료 표시 램프(711)를 점등시켜 사용자가 조리가 완료된 것을 확실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알림부(710)는 본체 하우징부(600) 내에서 라면이 조리 중인 것을 표시하는 조리 표시 램프(71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700)는 조리 표시 램프(713)를 점등시켜 본체 하우징부(600) 내에서 라면이 조리 중임을 표시하여 사용자가 임의로 도어부(620)를 열어 발생될 수 있는 사고를 방지한다.
또한, 도어부(620)는 도어락 구조가 적용되어 작동 스위치부(700a)에서 작동신호 즉, 라면 조리 신호가 인가되면 도어부(620)를 록킹시켜 도어부(620)가 열리지 않도록 제한하고, 라면 조리가 완료된 후에 도어부(620)의 록킹이 해제되어 도어부(620)를 열 수 있도록 하는 도어 록킹부를 포함한다.
도어 록킹부는 본체 하우징부(600)에 위치되는 전자석부를 포함하여 전자석부로 자력으로 도어부(620)를 록킹하고, 조리가 완료된 후 전자석부의 자력을 해제하여 즉, 전자석부에 전원 공급을 차단하여 도어부(620)의 록킹을 해제한다.
또한, 제어부(700)는 조리되는 라면의 갯수를 입력할 수 있는 갯수 입력부(720)를 포함하여 복수의 라면용 면발(10)을 한번에 조리할 수도 있다.
제어부(700)는 한번에 조리되는 라면의 갯수를 제한하며, 본 발명에서는 3개 즉, 3인분까지의 라면을 한번에 하나의 조리용 냄비(20)로 조리할 수 있음을 밝혀둔다.
갯수 입력부(720)는 라면의 갯수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721), 라면의 갯수를 입력하는 복수의 갯수입력 스위치(722)를 포함한다.
사용자는 갯수입력 스위치(722) 중 어느 하나 즉, 1, 2, 3의 숫자 버튼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고 작동 스위치부(700a)를 선택해서 작동 신호를 인가할 수 있다.
그리고, 물급수부(300)는 입력된 갯수에 기설정된 물의 양을 조리용 냄비(20) 내로 급수하고, 면발투입부는 입력된 갯수에 맞는 라면용 면발(10)을 조리용 냄비(20) 내로 투입한다.
또한, 스프 투입부(400)는 입력된 갯수에 기설정된 라면 스프의 양을 조리용 냄비(20) 내로 투입할 수 있다.
다시 정리하면 본 발명에 따른 라면 조리장치의 일 실시예는 사용자에 의해 작동 신호가 인가되면 도어부(620)가 록킹되면서 물급수부(300)를 통해 조리용 냄비(20) 내로 물이 급수되게 된다.
그리고, 조리용 냄비(20) 내로 기설정된 양의 물 즉, 사용자가 선택한 라면용 면발(10)의 갯수에 대해 기설정된 양의 물이 물급수부(300)를 통해 공급된 후 가열부(500)가 작동되어 조리용 냄비(20) 내의 물을 끓이게 된다.
조리용 냄비(20) 내의 물이 끓은 후 즉, 물이 100℃로 끓게 되면 면발 투입부(200)에 의해 라면용 면발(10)이 조리용 냄비(20) 내로 투입되고, 분말 스프 공급부(410)와 건더기 스프 공급부(420)에서 분말 스프와 건더기 스프가 순차적으로 조리용 냄비(20) 내로 공급되면서 라면 조리를 완료하게 된다.
제어부(700)는 라면용 면발(10)이 면발 투입부(200)를 통해 조리용 냄비(20)로 투입된 시점 즉, 면발 투입부(200)의 작동 시점부터 기설정된 시간이 경과하면 라면이 조리 완료된 것으로 판단하고, 알림음을 출력함과 동시에 조리 완료 표시 램프(711)를 점등시켜 사용자가 조리가 완료된 것을 확실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이와 동시에 도어부(620)의 록킹 상태를 해제하여 사용자가 도어부(620)를 열고 라면 조리가 완료된 조리용 냄비(20)를 인출할 수 있게 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라면 자동 조리장치에서 면발 휘젓기부(800)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저면 사시도이고,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라면 조리장치에서 면발 휘젓기부(800)의 작동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 내지 도 5를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라면 조리장치의 일 실시예는 라면이 조리되는 중에 라면용 면발(10)을 휘저어 라면용 면발(10)이 고르게 익도록 하는 면발 휘젓기부(8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면발 휘젓기부(800)는 베이스 지지 프레임부(610)의 하부 측에 위치되는 것을 일 예로 하며, 본체 하우징부(600) 내의 내측면에 직접 고정된 형태로 위치될 수도 있음을 밝혀두고, 그 위치를 고정하는 구조나 수단은 한정되지 않음을 밝혀둔다.
면발 휘젓기부(800)는 젓가락부(810), 젓가락부(810)가 이동 가능하게 위치되고 젓가락부(810)의 이동을 안내하는 젓가락 이동 안내 레일부(820), 젓가락부(810)를 젓가락 이동 안내 레일부(820)를 따라 이동시키는 젓가락 이동부(830)를 포함하는 것을 일 예로 한다.
젓가락부(810)는 복수로 구비되어 라면용 면발(10)을 더 원활하게 휘저을 수 있도록 한다.
젓가락 이동 안내 레일부(820)는 링형상을 가지고 외주면과 내주면 중 어느 한 측에 기어부(821)가 위치되고, 외주면과 내주면 중 다른 한 측에 이동 안내 레일홈부(822)가 위치되는 것을 일 예로 한다.
또한, 젓가락 이동부(830)는 젓가락 이동 안내 레일부(820)를 따라 이동하며 젓가락부(810)가 위치되는 레일 이동부재(831), 레일 이동부재(831)를 이동시키는 레일 주행기기(832)를 포함한다.
레일 이동부재(831)는 젓가락 이동 안내 레일부(820)가 내부로 삽입되는 레일 삽입부가 위치되어 레일 삽입부 내에 삽입된 젓가락 이동 안내 레일부(820)를 따라 이동하며, 레일 삽입부의 내측면에는 이동 안내 레일홈부(822)에 삽입되어 레일 이동부재(831)와 젓가락 이동 안내 레일부(820)의 결합상태를 유지하는 레일 결합 돌출부가 위치된다.
레일 주행기기(832)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회전모터와 젓가락 이동 안내 레일부(820)의 외주면에 위치된 기어부(821)와 맞물리게 위치되고 회전 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주행 기어를 포함한 구조로 회전모터의 작동에 의해 주행 기어가 회전하면서 젓가락부(810)를 젓가락 이동 안내 레일부(820)를 따라 이동시키게 된다.
젓가락부(810)는 하단부 측 일부분이 조리용 냄비(20) 내 끓는 물에 삽입되어 조리 중이 라면용 면발(10)에 걸리도록 위치되고, 젓가락 이동 안내 레일부(820)를 따라 이동하면서 라면용 면발(10)을 휘저어 조리 중 라면용 면발(10)이 원활하게 펼쳐지면서 전체적으로 고르게 익을 수 있도록 하고, 조리 시간을 단축시키는 역할을 한다.
한편, 젓가락부(810)는 레일 이동부재(831)에 연결되는 제1젓가락부재(811), 제1젓가락부재(811)에 회전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는 제2젓가락부재(812), 제2젓가락부재(812)를 회전시켜 제1젓가락부재(811)에 폴딩시킬 수 있는 제1젓가락 관절부(811a)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젓가락 관절부(811a)는 소형 회전모터를 포함하여 제2젓가락부재(812)를 회전시키는 것으로 방수 구조를 가진다.
제2젓가락부재(812)는 제1젓가락 관절부(811a)에 의해 회전되어 제1젓가락부재(811)에 폴딩될 수 있고, 필요에 따라 펼쳐져 조리용 냄비(20) 내로 삽입되어 라면용 면발(10)을 휘저을 때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제1젓가락부재(811)는 제2젓가락 관절부(812a)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레일 이동부재(831)에 위치되어 접혀져 보관될 수 있다.
제2젓가락 관절부(812a)는 소형 회전모터를 포함하여 제1젓가락부재(811)를 회전시키는 것으로 방수 구조를 가진다.
또한, 젓가락부(810)는 제2젓가락부재(812)의 하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는 제3젓가락부재(813), 제3젓가락부재(813)를 회전시켜 제2젓가락부재(812)의 단부 측에 꺾여져 위치시킬 수 있는 제3젓가락 관절부(813a)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3젓가락 관절부(813a)는 소형 회전모터를 포함하여 제3젓가락부재(813)를 회전시키는 것으로 방수 구조를 가진다.
제3젓가락부재(813)는 제2젓가락부재(812)의 단부 측에서 꺽여져 위치되어 라면용 면발(10)이 걸어 들어올리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제1젓가락부재(811), 제2젓가락부재(812), 제3젓가락부재(813)는 미사용 시 접혀진 상태로 위치되어 조리용 냄비(20)의 외측에 위치된다.
그리고, 제1젓가락부재(811), 제2젓가락부재(812), 제3젓가락부재(813)는 사용 시 펼쳐져 제1젓가락부재(811)와 제2젓가락부재(812)가 수직 방향으로 위치되고, 제3젓가락부재(813)가 꺾여져 위치되어 제2젓가락부재(812)의 일부와 제3젓가락부재(813)가 끓는 물 내로 삽입되는 것을 일 예로 한다.
제1젓가락 관절부(811a), 제2젓가락 관절부(812a), 제3젓가락 관절부(813a)는 소형 회전모터를 포함하여 제1젓가락부재(811), 제2젓가락부재(812), 제3젓가락부재(813)를 회전시키는 공지의 회전 관절구조로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는 바 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함을 밝혀둔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라면 조리장치의 일 실시예는 면발 휘젓기부(800) 및 스프 투입부(400)가 위치되며 상, 하 이동 가능하게 위치되는 승하강 지지부재(900), 승하강 지지부재(900)를 상, 하 이동시키는 승하강 기기(91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승하강 기기(910)는 유압 실린더인 것을 일 예로 하고 이외에도 볼스크류를 이용한 리니어 액추에이터, 레크기어와 피니언 기어 및 회전모터를 이용한 직선 왕복 이동 구조 등 공지의 승하강 구조체를 이용하여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바 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함을 밝혀둔다.
승하강 지지부재(900)는 승하강 기기(910)에 의해 승하강되어 스프 투입부(400)의 투입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그리고, 제1젓가락부재(811), 제2젓가락부재(812), 제3젓가락부재(813)는 미 사용 시 접혀져 승하강 지지부재(900)의 하부면과 나란하게 위치된다.
승하강 지지부재(900)는 승하강 기기(910)에 의해 승하강되어 스프 투입부(400)의 투입 높이 뿐만 아니라 젓가락부(81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제1젓가락부재(811), 제2젓가락부재(812)는 라면 조리 시 라면용 면발(10)을 휘젓기 위해 승하강 지지부재(900)의 하부 측에 세워져 위치지고, 제2젓가락부재(812)의 일부는 조리용 냄비(20) 내 뜨거운 물에 삽입되고, 제3젓가락부재(813)는 제2젓가락부재(812)의 하단부 측에서 꺾여져 조리용 냄비(20) 내 뜨거운 물에 삽입되어 조리용 냄비(20)의 바닥 측에 최대한 근접하게 위치된다.
그리고, 젓가락부(810) 즉, 제1젓가락부재(811), 제2젓가락부재(812), 제3젓가락부재(813)는 젓가락 이동 안내 레일부(820)를 따라 원형으로 이동하면서 조리 중인 라면용 면발(10)을 휘저어 라면용 면발(10)이 골고루 익을 수 있도록 한다.
제1젓가락부재(811), 제2젓가락부재(812), 제3젓가락부재(813)는 젓가락 이동 안내 레일부(820)를 따라 원형으로 이동하면서 조리 중인 라면용 면발(10)을 휘저을 때 제2젓가락부재(812)의 단부 측에 꺾여져 위치된 제3젓가락부재(813)에 라면용 면발(10)이 말려 감기게 된다.
이에 승하강 기기(910)는 승하강 지지부재(900)를 승강시킴으로써 젓가락부(810) 즉, 제2젓가락부재(812)의 단부 측에서 꺾인 제3젓가락부재(813)에 의해 걸린 라면용 면발(10)을 조리용 냄비(20)의 상부 측으로 들어올려 위치시킬 수 있다.
조리 중에 라면용 면발(10)의 일부는 제3젓가락부재(813)에 의해 걸린 상태로 조리용 냄비(20)의 상부 측으로 들어올려져 공기 중에 노출되어 냉각되는 효과를 발생시켜 라면용 면발(10)의 식감을 더 쫄깃하게 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라면 조리장치의 일 실시예는 젓가락부(810)에 의해 조리용 냄비(20)의 상부 측으로 들어올려진 라면용 면발(10)에 냉각된 공기를 분사하는 면발 냉각부(10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면발 냉각부(1000)는 냉각된 공기를 분사하여 조리 중 라면용 면발(10)을 냉각시키는 효과를 발생시켜 라면용 면발(10)의 식감을 더 쫄깃하게 함으로써 라면의 맛을 더 증대시킬 수 있다.
승하강 기기(910)는 승하강 지지부재(900)를 승하강 시키는 작동을 반복하여 라면용 면발(10)을 공기 중에 노출시키고 다시 조리용 냄비(20) 내 뜨거운 물로 다시 넣는 행동을 반복함으로써 라면용 면발(10)의 식감이 최대한 쫄깃하게 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제3젓가락부재(813)는 제2젓가락부재(812)의 단부 측에서 제2젓가락부재(812)와 일적선 상으로 위치되면서 감겨진 라면용 면발(10)에서 쉽게 빠져 나와 분리될 수 있다.
면발 휘젓기부(800)는 라면이 조리되는 중에 라면용 면발(10)을 들어올려 공기 중에 접촉시킴으로써 라면용 면발(10)의 식감을 쫄깃하게 하고 직접 사람이 끓인 것보다 더 라면용 면발(10)의 식감이 우수한 라면을 조리할 수 있게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가열부(500)의 높이를 조절하는 냄비 높이 조절부(920) 및 물급수부(300)의 급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물급수 높이 조절부(31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냄비 높이 조절부(920)와 물급수 높이 조절부(310)는 조리용 냄비(20)의 크기에 따라 물급수부(300)의 급수 높이 및 가열부(500)의 높이를 조절하여 다양한 크기의 조리용 냄비(20)를 사용하여 라면을 조리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은 봉지 라면을 자동으로 간편하게 조리하여 조리 과정에서의 번거로움을 크게 해소하여 조리 시 편의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봉지 라면을 자동으로 조리하여 조리 중 다른 업무를 볼 수 있어 PC방 등의 영업소에서 사용 시 직원의 수를 줄일 수 있고, 영업 효율을 크게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고, 영업소의 이익 창출에 도움이 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에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하게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으며 이는 본 발명의 구성에 포함됨을 밝혀둔다.
10 : 라면용 면발 20 : 조리용 냄비
100 : 면발 적층부 110 : 세로 지지프레임
200 : 면발 투입부 210 : 제1면발 받침부
220 : 제2면발 받침부 230 : 면발 이송 안내부
231 : 면발 이송용 롤러부재 232 : 롤러 지지 프레임
300 : 물급수부 310 : 물급수 높이 조절부
400 : 스프 투입부 410 : 분말 스프 공급부
420 : 건더기 스프 공급부 500 : 가열부
600 : 본체 하우징부 610 : 베이스 지지 프레임부
620 : 도어부 630 : 송풍팬
640 : 면발 투입용 개폐부 700 : 제어부
700a : 작동 스위치부 710 : 알림부
711 : 조리 완료 표시 램프 712 : 알림 스피커부
713 : 조리 표시 램프 720 : 갯수 입력부
721 : 디스플레이부 722 : 갯수입력 스위치
800 : 면발 휘젓기부 810 : 젓가락부
811 : 제1젓가락부재 811a : 제1젓가락 관절부
812 : 제2젓가락부재 812a : 제2젓가락 관절부
813 : 제3젓가락부재 813a : 제3젓가락 관절부
820 : 젓가락 이동 안내 레일부 821 : 기어부
822 : 이동 안내 레일홈부 830 : 젓가락 이동부
831 : 레일 이동부재 832 : 레일 주행기기
900 : 승하강 지지부재 910 : 승하강 기기
920 : 냄비 높이 조절부 1000 : 면발 냉각부

Claims (15)

  1. 복수의 라면용 면발이 적층되어 위치되는 면발 적층부;
    상기 면발 적층부에 적층된 복수의 라면용 면발 중 일부를 조리용 냄비 내로 투입하는 면발 투입부;
    상기 조리용 냄비 내로 물을 급수하는 물급수부, 상기 조리용 냄비 내로 라면 스프를 투입하는 스프 투입부; 및
    상기 조리용 냄비를 가열하는 가열부를 포함하며,
    상기 면발 투입부는,
    복수로 적층된 라면용 면발 중 제일 아래에 위치된 상기 라면용 면발의 하부를 받쳐 지지하고, 상기 라면용 면발의 받침 상태를 해제할 수 있는 제1면발 받침부; 및
    복수로 적층된 상기 라면용 면발 사이에 삽입되어 복수로 적층된 상기 라면용 면발 중 어느 한 상기 라면용 면발의 하부를 받쳐 지지하며 상기 라면용 면발의 받침 상태를 해제할 수 있는 제2면발 받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면 자동 조리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면발 적층부, 상기 면발 투입부, 상기 스프 투입부, 상기 가열부가 내부에 위치되는 본체 하우징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본체 하우징부에는 상기 조리용 냄비를 내부로 출입시킬 수 있는 도어부가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면 자동 조리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본체 하우징부에는 내부 습도 조절을 위한 송풍팬이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면 자동 조리장치.
  4. 삭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면발 받침부는 제일 아래에 위치된 제1라면용 면발과 제2라면용 면발 사이, 상기 제2라면용 면발과 제3라면용 면발과의 사이, 상기 제3라면용 면발과 제4라면용 면발 사이에 위치되어 세개의 라면용 면발까지 한번에 조리용 냄비로 투입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면 자동 조리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면발 투입부는 상기 면발 적층부에서 낙하된 상기 라면용 면발을 상기 조리용 냄비로 이동시켜 투입하는 면발 이송 안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면 자동 조리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면발 이송 안내부는,
    이격되게 위치되고 회전 가능한 복수의 면발 이송용 롤러부재; 및
    상기 면발 적층부의 하부 측에 단부 측이 하향 경사지게 위치되어 상기 면발 이송용 롤러부재가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롤러 지지 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면 자동 조리장치.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스프 투입부는 분말 스프 공급부와 건더기 스프 공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면 자동 조리장치.
  9.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도어부는 라면 조리 중 상기 도어부를 록킹시켜 도어부가 열리지 않도록 제한하고, 라면 조리가 완료된 후에 상기 도어부의 록킹을 해제하는 도어 록킹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면 자동 조리장치.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도어 록킹부는 상기 본체 하우징부에 위치되는 전자석부를 포함하여 상기 전자석부의 자력으로 상기 도어부를 록킹하고, 조리가 완료된 후 상기 전자석부의 전원 공급을 차단하여 상기 도어부의 록킹을 해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면 자동 조리장치.
  1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면발 투입부, 상기 스프 투입부, 상기 가열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조리용 냄비 내에서 끓여지는 물의 온도를 측정하는 물온도 측정센서부 및 타이머가 구비되어 상기 조리용 냄비 내에 물이 끓은 후 상기 면발 투입부를 작동시켜 상기 라면용 면발을 상기 조리용 냄비로 투입하고, 상기 면발 투입부가 작동된 시점부터 기설정된 시간이 경과하면 라면의 조리가 완료된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면 자동 조리장치.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라면의 조리가 완료된 시점을 알림하는 알림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면 자동 조리장치.
  13. 청구항 1에 있어서,
    라면이 조리되는 중에 라면용 면발을 휘저어 상기 라면용 면발이 고르게 익도록 하는 면발 휘젓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면 자동 조리장치.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휘젓기부는,
    젓가락부;
    상기 젓가락부가 이동 가능하게 위치되고 상기 젓가락부의 이동을 안내하는 젓가락 이동 안내 레일부; 및
    상기 젓가락부를 상기 젓가락 이동 안내 레일부를 따라 이동시키는 젓가락 이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면 자동 조리장치.
  15. 복수의 라면용 면발이 적층되어 위치되는 면발 적층부;
    상기 면발 적층부에 적층된 복수의 라면용 면발 중 일부를 조리용 냄비 내로 투입하는 면발 투입부;
    상기 조리용 냄비 내로 물을 급수하는 물급수부, 상기 조리용 냄비 내로 라면 스프를 투입하는 스프 투입부; 및
    상기 조리용 냄비를 가열하는 가열부; 및
    라면이 조리되는 중에 라면용 면발을 휘저어 상기 라면용 면발이 고르게 익도록 하는 면발 휘젓기부를 포함하며,
    상기 휘젓기부는,
    젓가락부;
    상기 젓가락부가 이동 가능하게 위치되고 상기 젓가락부의 이동을 안내하는 젓가락 이동 안내 레일부; 및
    상기 젓가락부를 상기 젓가락 이동 안내 레일부를 따라 이동시키는 젓가락 이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젓가락 이동 안내 레일부는 링형상을 가지고 외주면과 내주면 중 어느 한 측에 기어부가 위치되고, 외주면과 내주면 중 다른 한 측에 이동 안내 레일홈부가 위치되며,
    상기 젓가락 이동부는,
    상기 젓가락 이동 안내 레일부를 따라 이동하며 상기 젓가락부가 위치되는 레일 이동부재; 및
    상기 레일 이동부재를 이동시키는 레일 주행기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면 자동 조리장치.
KR1020190057098A 2019-05-15 2019-05-15 라면 자동 조리장치 KR1021293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7098A KR102129310B1 (ko) 2019-05-15 2019-05-15 라면 자동 조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7098A KR102129310B1 (ko) 2019-05-15 2019-05-15 라면 자동 조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29310B1 true KR102129310B1 (ko) 2020-07-02

Family

ID=715994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57098A KR102129310B1 (ko) 2019-05-15 2019-05-15 라면 자동 조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2931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971524A (zh) * 2021-03-16 2021-06-18 广东智源机器人科技有限公司 烹饪设备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082536A1 (en) 2000-12-27 2002-06-27 Tucek Kevin B. Chiropractic percussor apparatus having compact percussion-applying head assembly centrally attached to reciprocatory push rod
KR100816290B1 (ko) * 2006-11-24 2008-04-07 박현성 자동 라면조리기
KR101016052B1 (ko) * 2010-08-12 2011-02-23 주식회사 새참터 떡국, 쌀국수, 라면 자동판매기의 용기배출장치
KR20110138062A (ko) * 2010-06-18 2011-12-26 강동일 자동 라면조리기
KR20140126515A (ko) * 2013-04-23 2014-10-31 (주) 코리아지에프 라면 자동판매기 및 그의 제어방법
KR101816848B1 (ko) * 2017-07-20 2018-01-11 이주형 급속 조리장치가 구비된 라면 자판기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082536A1 (en) 2000-12-27 2002-06-27 Tucek Kevin B. Chiropractic percussor apparatus having compact percussion-applying head assembly centrally attached to reciprocatory push rod
KR100816290B1 (ko) * 2006-11-24 2008-04-07 박현성 자동 라면조리기
KR20110138062A (ko) * 2010-06-18 2011-12-26 강동일 자동 라면조리기
KR101016052B1 (ko) * 2010-08-12 2011-02-23 주식회사 새참터 떡국, 쌀국수, 라면 자동판매기의 용기배출장치
KR20140126515A (ko) * 2013-04-23 2014-10-31 (주) 코리아지에프 라면 자동판매기 및 그의 제어방법
KR101816848B1 (ko) * 2017-07-20 2018-01-11 이주형 급속 조리장치가 구비된 라면 자판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971524A (zh) * 2021-03-16 2021-06-18 广东智源机器人科技有限公司 烹饪设备
CN112971524B (zh) * 2021-03-16 2022-07-01 广东智源机器人科技有限公司 烹饪设备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483209B (zh) 自動供餐系統
CN101316533B (zh) 自动或半自动的烹饪系统和烹饪方法
JP6113253B2 (ja) 高電圧を用いた電磁誘導加熱式フライヤー
CN107016797A (zh) 一种可烹饪粉、面类食物的自动贩卖机及其控制系统和贩卖方法
US10225893B2 (en) Cooking apparatus
KR102129310B1 (ko) 라면 자동 조리장치
CN205322063U (zh) 全自动烧菜系统
KR101113392B1 (ko) 자동 라면조리기
CN204667535U (zh) 全自动汤类食品加工、售卖设备
KR102190738B1 (ko) 무인 라면 조리 장치
JP2006247151A (ja) 調理装置
KR20110004638A (ko) 구이류 식품 자동판매기
JP6503437B1 (ja) 食品自動販売機の調理装置
TWI599335B (zh) 烹調機
CN106821024A (zh) 一种智能控制的快捷早餐机
CN107041675A (zh) 烹饪机器人
US20200000105A1 (en) Method for preparing foods based on doughs frozen in portions and machine for preparing and selling said foods
TWM557575U (zh) 自動化烹飪機
TW201511719A (zh) 煮物機
PT106745A (pt) Processo automático programado de grelhar alimentos em matriz tubular
CN211555050U (zh) 一种食品自动制作自动售卖的设备
JP2007068882A (ja) 連続二度揚げ調理が可能な調理装置
EP1036530A1 (en) Method of providing foods on rotary food table and apparatus therefor
KR20150003274U (ko) 냉장 식탁
TWI528315B (zh) 自動供餐系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