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38062A - 자동 라면조리기 - Google Patents

자동 라면조리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38062A
KR20110138062A KR1020100058172A KR20100058172A KR20110138062A KR 20110138062 A KR20110138062 A KR 20110138062A KR 1020100058172 A KR1020100058172 A KR 1020100058172A KR 20100058172 A KR20100058172 A KR 20100058172A KR 20110138062 A KR20110138062 A KR 201101380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oking
cooker
main body
electric oven
automat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581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13392B1 (ko
Inventor
강동일
Original Assignee
강동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동일 filed Critical 강동일
Priority to KR10201000581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13392B1/ko
Publication of KR201101380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380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133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133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04Cooking-vessels with integral electrical heat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16Inserts
    • A47J36/165Stirring devices operatively connected to cooking vessels when being removably inserted insid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ook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라면 자동조리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용기본체 내에 물을 담아 끓이고 유탕면과 분말스프를 골고루 섞는 과정 등 라면의 모든 조리과정을 무인자동화로 이룰 수 있도록 한 자동 라면조리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조리재료를 담을 수 있는 수용부가 내부에 마련된 용기본체 및 상기 용기본체 외측 일단에 손잡이가 일체로 결합된 조리용기와; 상기 조리용기를 거치시켜 놓고 가열하기 위한 히팅수단이 내재된 전기오븐과; 상기 전기오븐의 상측에 일체로 결합됨에 따라, 상기 조리용기의 의지고정과 동시에 상기 조리용기의 개구 상단을 밀폐하도록 한 조리기본체와; 상기 조리기본체의 일측으로부터 승강 가능토록 결합됨과 동시에 일 선단이 좌,우 회동 가능함에 따라, 상기 조리용기 내의 조리재료들을 섞을 수 있게 된 휘젓개와; 그리고, 상기 휘젓개가 반복적으로 승강 작동할 수 있도록 상기 전기오븐 및 상기 조리기본체 내에 연계장착되는 승강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자동 라면조리기{Automatic instant-noodle cooker}
본 발명은 라면 자동조리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용기본체 내에 물을 담아 끓이고 유탕면과 분말스프를 골고루 섞는 과정 등 라면의 모든 조리과정을 무인자동화로 이룰 수 있도록 한 자동 라면조리기에 관한 것이다.
라면(Instant noodle)이라 함은, 국수를 증숙시킨 후 기름에 튀겨 만든 유탕면에 분말스프를 별첨한 인스턴트식품으로써, 최초의 개발국인 일본에서 1958년경부터 생산하기 시작하였으며, 중일전쟁 때 관동군이 중국인의 전쟁 비상식량인 건면의 맛을 보고 종전(終戰) 후 일본에서 건면을 식용유지로 튀겨서 보관하기 쉽도록 포장하고 별도의 분말스프를 개발함으로 현재의 라면이 이루어진 것이다.
한편, 라면이 한국에 도입된 것은 1960년경으로, 건조식품의 특성상 수분이 많은 식품에 비해 단위 중량당 영양분이 많으며, 튀긴 식품이므로 지방이 많아 120g당 500kcal의 열량을 내는 고(高)칼로리 식품으로 인해 대다수의 국민들이 간편하게 식사 또는 간식 대용으로 즐겨 애용하고 있는 실정이며, 현재 여러 식품회사에서 특색 있는 제품들이 만들어져 시판되고 있다.
상술한 라면의 일반적이면서도 간단한 조리법의 하나로는, 냄비(A cook-pot : 음식을 끓이거나 튀기며 삶고 볶는데 사용되는 조리 용구) 내에 적량의 물을 담아 100℃ 이상으로 가열하여 끓인 후, 유탕면과 분말스프을 첨가시킨 다음, 상기 분말스프가 유탕면에 스며들어 골고루 섞여 알맞게 익혀질 때까지 다시 조리한 후 그릇 등에 담아 식사 대용으로 섭취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이러한 라면의 조리과정, 상세히는 물을 끓이는 시간 동안 지켜있어야 함과 끓는 물에 다시 유탕면과 분말스프를 첨가시는 과정 그리고 그들이 다시 끓는 물과 혼합되어 조리되게 하는 모든 과정을 조리자가 일일이 개입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어왔다.
따라서, 국내 등록실용신안 제20-357815호에서는, 통상의 전기포트에 물의 량에 따라 조리시간을 선택적으로 설정할 수 있는 조리선택스위치를 설치하여 물을 끓일 수 있는 기본적인 기능과 라면의 조리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라면 조리기능을 갖는 전기포트가 제공된바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라면 조리기능을 갖는 전기포트의 전체구성을 나타낸 우측면도로써, 종래의 라면 조리기능을 갖는 전기포트(600)는, 내부에 일정량의 물을 수용할 수 있도록 형성되고 외주연에 손잡이(620)가 구비되며 가열을 위한 전열선(640)이 내설된 본체(700)와, 상기 본체(700)의 상부에 개폐가능하게 설치되는 커버부재(720)와, 상기 본체(700) 내에 수용되는 물의 량을 외부에서 확인할 수 있도록 본체(700)의 측면부에 설치되는 수위표시창(740)과, 상기 전열선(640)에 전력을 인가하도록 상기 손잡이(620)의 상부에 설치되는 작동스위치(760)와, 끓는 물의 온도를 감지하여 전력을 차단하도록 본체(700)의 내부에 설치되는 온도감지센서(780)와, 상기 본체(700)의 외측 일 하단부에는 조리시간을 설정할 수 있도록 하는 조리선택스위치(800)가 구성된다.
띠라서, 상기 본체(700)에 설치된 커버부재(720)를 개방시킨 상태에서 유탕면의 갯수에 따라 본체(700)의 외부에 설치된 수위표시창(740)을 확인한 후 일정한 량의 물을 채우고, 물이 채워지면 커버부재(720)를 닫고 난 다음, 상기 작동스위치(760)를 온시켜줌으로써 전열선(640)에 전력이 인가됨으로 가열된다.
계속해서, 전열선(640)에 의해 물이 끓게 되면 본체(700)의 내부에 설치된 온도감지센서(780)가 물의 온도를 감지하고, 감지한 온도가 미리 입력된 온도와 일치하면 작동스위치(760)를 오프시켜 전열선(640)으로 인가되는 전력이 차단되는 것이며, 본체(700)의 내부에 수용된 물이 1차적으로 끓은 상태에서 전열선(640)에 인가되는 전력이 차단되면 본체(700)의 커버부재(720)를 열고 내부에 유탕면과 분말스프를 넣고 커버부재(720)를 닫는다.
다음으로, 물의 량에 따라 조리선택스위치(800)로 조리시간을 설정하게 되는 것이며, 본체(700)에 수용된 물은 전열선(640)의 열기에 의해 끓고 있는 상태이므로 조리선택스위치(800)가 작동되면 끓고 있는 물이 동일한 온도를 유지하면서 계속적으로 끓을 수 있도록 최소한의 전력이 전열선(640)에 인가되어 물이 끓어 라면의 조리가 진행되며, 설정한 시간이 경과되어 조리선택스위치(800)가 정지되면서 라면의 조리가 완료되는 것이다.
하지만, 상술한 종래의 라면 조리기능을 갖는 전기포트(600)를 이용하여 모든 조리과정을 조리자가 일일이 수행함을 어느 정도 생략시킬 수는 있지만, 물이 끓은 상태를 확인한 후 상기 커버부재(720)를 열고 내부에 유탕면과 분말스프를 조리자가 직접 첨가한 다음, 다시 상기 커버부재(720)를 닫고 또다시 상기 조리선택스위치(800)를 조작하여야하는 등과 같이 어느 정도의 조리과정을 조리자가 직접 수행하여야 하는 불편함은 여전히 해소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어왔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물이 100℃이상으로 끓게 됨을 알리거나 라면조리 및 그가 종료됨을 알리도록 하는 조작수단을 포함한 전기오븐과, 유탕면과 분말스프가 끓는 물과 골고루 섞일 수 있도록 승강장치에 의해 상,하로 반복 이동하면서도 모터구동에 의해 좌,우 회동하는 휘젓개를 함께 구비하여, 조리사가 라면의 조리과정에 전혀 가담하지 않고도 최적의 라면요리를 무인자동화로 이룰 수 있도록 한 자동 라면조리기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조리재료를 담을 수 있는 수용부가 내부에 마련된 용기본체 및 상기 용기본체 외측 일단에 손잡이가 일체로 결합된 조리용기와; 상기 조리용기를 거치시켜 놓고 가열하기 위한 히팅수단이 내재된 전기오븐과; 상기 전기오븐의 상측에 일체로 결합됨에 따라, 상기 조리용기의 의지고정과 동시에 상기 조리용기의 개구 상단을 밀폐하도록 한 조리기본체와; 상기 조리기본체의 일측으로부터 승강 가능토록 결합됨과 동시에 일 선단이 좌,우 회동 가능함에 따라, 상기 조리용기 내의 조리재료들을 섞을 수 있게 된 휘젓개와; 그리고, 상기 휘젓개가 반복적으로 승강 작동할 수 있도록 상기 전기오븐 및 상기 조리기본체 내에 연계장착되는 승강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의 설명에서 분명히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의 자동 라면조리기는, 조리시간의 설정이 가능하면서도 끓는 물의 온도를 감지할 수 있고 모든 조리과정의 끝마침을 나타낼 수 있도록 하는 전기오븐과, 라면의 유탕면과 분말스프가 끓는 물과 골고루 섞일 수 있도록 하는 휘젓개 및 승강장치를 함께 구성시켜줌으로써, 최상의 맛을 내는 라면조리가 무인자동화로 간편히 이루어짐이 가능하여 조리자가 라면의 조리과정에 직접 개입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을 완전히 해소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상부덮개 전면부에 특정기업의 광고/홍보 또는 요리음식의 조리법 등의 문구를 기재할 수 있도록 하여, 부수적인 기능성을 발휘할 수 있도록 한 유용한 발명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라면 조리기능을 갖는 전기포트의 전체구성을 나타낸 우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 라면조리기의 전체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 라면조리기의 결합관계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4a와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 라면조리기의 구성관계 및 작동관계를 나타낸 측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 라면조리기에 있어서, 조리개 및 승강장치의 결합관계를 나타낸 사시도.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도면 중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 라면조리기의 전체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 라면조리기의 결합관계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며, 도 4a와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 라면조리기의 구성관계 및 작동관계를 나타낸 측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 라면조리기에 있어서, 조리개 및 승강장치의 결합관계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 내지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자동 라면조리기(A)는, 각종 조리재료들을 내부에 담아 수용할 수 있도록 된 조리용기(1)와, 상기 조리용기(1)를 받쳐 거치할 수 있으면서도 그를 가열하기 위한 전기오븐(2)과, 상기 전기오븐(2)의 상측에 일체로 결합됨으로써 상기 조리용기(1)의 의지고정 및 그의 개구된 상단을 밀폐시킬 수 있도록 하는 조리기본체(3)와, 상기 조리기본체(3)의 일측에 상,하로 승강 가능케 결합함과 아울러 좌,우로 회동하여 상기 조리용기(1) 내에 수용된 조리재료들을 골고루 혼합시키기 위한 휘젓개(4)와, 상기 휘젓개(4)가 상,하로 반복적 승강 작동될 수 있게 상기 전기오븐(2)과 조리기본체(3) 내에 장착되는 승강장치(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조리용기(1)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국이나 찌개 등과 같은 탕 종류의 음식조리에 사용되는 각종 조리재료들을 담은 채로 가열에 의한 조리과정에 사용되는 냄비의 일종으로, 특히 식사대용으로 주로 애용되는 라면(또는 냉면)의 유탕면과 분말스프 및 일정량의 물을 담기에 용이한 수용부(11a)가 마련된 용기본체(11)와, 상기한 전기오븐(2) 상단에 상기 용기본체(11)를 간단히 거치 및 분리시킬 수 있도록 하는 손잡이(12)가 그의 외측 일단면에 일체로 결합된다.
이때, 상기 손잡이(12)는 열의 전도가 이루어지지 않도록 하는 부전도 성질을 갖는 소재를 사용함이 바람직하다.
전기오븐(2)은, 상기 조리용기(1)의 바닥면을 가열함으로써 그 내부에 담겨진 조리재료들이 가열에 의해 조리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외부전원의 공급을 통하여 상기 조리용기(1)의 바닥면을 가열하도록 된 히팅수단(21)과, 상기 히팅수단(21)에 의해 가열되는 상기 조리용기(1)의 온도를 감지하기 위한 감지센서(22)와, 외부전원 인가로 상기 히팅수단(21)을 가열할 수 있으면서도 프로그램 설정에 따라 조리과정이 진행되게 하는 주회로기판(23)과, 상기 주회로기판(23)에 조리단계를 입력하기 위한 조작수단(24)으로 구성된다.
상기 조작수단(24)은, 상기한 주회로기판(23)에 입력된 프로그램 설정을 통하여 조리과정이 무인자동화로 실시되게 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주회로기판(23)으로의 전력공급 및 조리타임을 설정할 수 있도록 된 조그셔틀(241)과, 상기 승강장치(5)의 상,하 이동과 그 승강 반복횟수 설정을 위한 다수의 조작버튼(242)과, 설정된 조리시간과 승강횟수 등을 출력하도록 하는 디스플레이(234)와, 조리과정의 마무리 등을 알려주기 위한 스피커(244) 및 알림램프(245)로 구성되어 있다.
한편,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조리용기(1)가 조리기본체(3)로부터 용이하게 착,탈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용기본체(11)의 바닥면에 하방으로 소정크기로 돌출된 일정길이의 안내레일(11a)이 형성되고, 상기 전기오븐(2)의 상면에는 상기 안내레일(11a)이 끼움된 채 전,후로 용이하게 슬라이딩될 수 있도록 하는 안내홈(2a)이 일정길이만큼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조리기본체(3)는,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기오븐(2)의 상단에 거치되는 조리용기(1)가 이탈하지 않게 의지시킴과 아울러 그의 개구된 상단을 덮어 증기가 다량으로 증발하거나 조리과정 중 음식물이 외부로 튐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전기오븐(2)의 상단에 거치되는 조리용기(1)가 일측면에 밀착고정될 수 있고 상기 승강장치(5)의 구성요소 중 일부를 내부에 장착할 수 있도록 한 소정의 공간부(31a)가 형성된 판형함체(31)와, 상기 판형함체(31)의 일 상단으로 상기 조리용기(1)의 개구된 상단을 덮을 수 있게 된 상부덮개(32)와, 상기 승강장치(5)의 상,하 이동 중 상기 조리용기(1) 내에 담겨진 음식물이 상기 판형함체(31)의 공간부(31a) 내로 침투하여 제품고장을 일으키는 원인을 차단하기 위한 패킹편(331)을 포함한 차폐부재(33)로 구성된다.
더불어, 상기 상부덮개(32)가 결합되는 조리기본체(3)의 일측 상단 중앙부에는, 차후 후술될 상기 휘젓개(4)의 승강바 일측을 고정할 수 있으면서도 그가 상,하로 반복 이동가능토록 하는 승강안내공(31b)이 일정거리만큼 수직방으로 상기 공간부(31a)와 연통되게 형성되되, 통공된 양 내벽에는 전기적 연결을 위한 금속재의 접지띠(31b-1)가 각각 부착되어 있다.
한편, 상기 상부덮개(32)의 전면에는 특정기업의 자사생산 판매제품을 광고/홍보하기 위한 광고문구나 다양한 요리의 조리법 등을 부착할 수 있도록 하는 문구기재부(321)가 마련되고, 외측 가장자리에는 가열에 의해 발생되는 증기가 소량만이 외부로 배출되게 하기 위한 다수개의 배출공(32a)이 소정지름의 크기로 관통형성됨이 바람직하다.
휘젓개(4)는, 도 4a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조리용기(1) 내에 담겨진 조리재료들, 특히 라면의 유탕면과 분말스프가 가열된 물과 함께 골고루 섞이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판형함체(31)의 승강안내공(31b)에 일측이 수평하게 끼움결합된 채로 반복적인 상승/하강 작동하는 승강바(41)와, 상기 승강바(41)의 다른 일측 내부에 하향으로 수용조립됨과 함께 상기 승강안내공(31b) 내벽의 접지띠(31b-1)와 전기적 연결을 이룸으로써 회전구동되는 제1구동모터(42)와, 상기 제1구동모터(42)에 축결합되어 좌,우로 회전될 수 있게 된 회전구(43)와, 상기 회전구(43) 양단에 일측이 힌지결합하여 그의 회동에 의한 원심력으로 각각의 하측 끝단이 외측으로 활방되는 복수의 활개막대(44)와, 상기 활개막대(44) 각각의 끝단에 결착됨과 아울러 동시 회전함으로 상기 조리용기(1) 내부에 담긴 각종 조리재료들을 골고루 혼합하기 위한 복수의 젓가락(45)으로 구성된다.
상기 승강바(41)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판형함체(31)의 승강안내공(31b)에 일측 선단부가 조립된 상태로 용이하게 상,하 이동될 수 있게 양단이 내측으로 절곡형성된 내향절곡단(41a)이 양단에 형성되고, 상기 내향절곡단(41a)의 각 양면에는 상기 승강안내공(31b) 내벽에 부착된 접지띠(31b-1)에 연결됨으로써 상기 제1구동모터(42)로 전력이 인가될 수 있게 한 접지단자(411)가 구비결합된다.
상기 회전구(43)에는, 복수의 상기 활개막대(44)가 회전시 원심력에 의해 각각 좌,우로 벌어짐이 가능토록 내부에 절개형성된 활방홀(43a)과, 상기 제1구동모터(42)의 구동축이 끼움 결합되는 회전축(431)이 상단 중앙에 소정길이로 돌출형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복수의 젓가락(41)은, 모든 조리과정이 끝나고 난 후, 조리된 음식을 섭취하는데 필요한 통상의 젓가락(41)으로의 병행사용이 가능함이 바람직하다.
승강장치(5)는,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휘젓개(4)의 승강바(41)가 판형함체(31)의 승강안내공(31b)에 결합된 채로 상기 조리용기(1)의 용기본체(11) 내에서 반복적인 승강을 이루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주회로기판(23)을 통한 전력의 인가로 정,역회전하는 와이어스풀(511)이 축결합된 제2구동모터(51)와, 상기 승강바(41)의 일 상단과 와이어스풀(511) 각각에 양 끝단이 연결됨으로 상기 제2구동모터(51)를 통해 권취(감김)되거나 권출(풀림)되어 상기 승강바(41)가 상,하로 이동되도록 하는 와이어(52)와, 상기 와이어(52)의 감김이송 또는 풀림이송이 용이하게 실시될 수 있게 하는 상부도르래(53) 및 하부도르래(54)로 구성된다.
상술한 승강장치(5)의 결합관계를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상기 승강장치(5)를 이루는 구성요소들 중 상기 제2구동모터(51)와 하부도르래(54)는 상기 전기오븐(2)의 내부 일측에 각각 결합되고, 상기 상부도르래(53)는 판형함체(31)의 공간부(31a) 천장면에 결합되는 것이며, 상기 와이어(52)는 상부도르래(53)와 하부도르래(54)에 감겨짐과 동시에 상기 와이어스풀(511)의 외주연에 일 끝단이 연결된 채로 상기 제2구동모터(51)의 회동에 의해 권취/권출됨이 가능함과 아울러 상기 승강바(41)의 일 상면에 타측 끝단이 연결됨이 바람직하다.
미설명부호, (N)은 라면조리에 사용되는 국수를 증숙시킨 후 기름에 튀겨 만든 유탕면이고, (P)는 조리기본체의 판형함체 후면에 결합되어 주방의 벽면 등에 그를 고정하기 위한 압착부재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되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 라면조리기(A)의 작용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되, 국내인들이 식사대용으로 주로 애용하는 라면의 조리과정을 일 예로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상기 용기본체(11)를 조리자가 그의 손잡이(12)를 파지한 채로 상기 전기오븐(2)에 거치하게 되는바, 우선 상기 용기본체(11) 내에 적당량의 물을 넣는다.
계속해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기오븐(2)의 상단면에 형성된 안내홈(2a) 내로 상기 용기본체(11) 바닥면에 돌출형성된 안내레일(11a)을 끼움함과 동시에 일측으로 슬라이딩시켜줌으로써, 용기본체(11)의 개구된 상단이 상기 상부덮개(32)에 의해 어느정도 밀폐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면서도 상기 판형함체(31)의 내벽면에 밀착되어 의지 고정되도록 한다.
그런 후, 상기 조작수단(24)의 조그셔틀(241)을 조작하여 외부전원이 상기 전기오븐(2)에 공급되도록 함으로써, 그를 통해 상기 조리용기(1)의 용기본체(11)를 가열하여 수용부(11a) 내에 담겨진 적당량의 물을 끓이기 시작한다.
그로, 수분의 시간이 흘러 물의 온도가 100℃ 이상으로 상승하게 되면, 상기 감지센서(22)가 그를 인식함과 동시에 상기 주회로기판(23)으로 인식신호를 송출함을 통해, 상기 알림램프(245)가 점등되도록 함과 함께 스피커(244)를 통해 조리자가 물의 가열완료 상태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게 되도록 한다.
따라서, 조리자는 상기 조리용기(1)의 손잡이(12)를 다시 파지한 후, 상기 용기본체(11)를 외부로 슬라이딩시켜 분리한 다음, 그 내부에 라면조리를 위한 유탕면(N)과 분말스프(도시하지 않음)을 첨가하게 되는 것이며, 이러한 과정을 마무리함과 아울러 상기 조리용기(1)를 다시 상기 조리기본체(3)에 의지고정시키게 된다.
그 후, 상기 조작수단(24)의 조그셔틀(241)을 조작하여 라면조리에 필요한 최적의 시간을 입력하고 다시 상기 조작버튼(242)을 제어하여 상기 승강장치(5)가 상,하 승강 및 좌,우 회동이 몇 번이 실시될지를 위한 승강/회동 횟수를 입력한다.
이때, 상기 승강장치(5)의 승강 및 회동횟수는 조리자가 필요한 만큼 설정하게 되는 것이며, 그러한 횟수표시는 상기 디스플레이(243)를 통하여 확인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주회로기판(23)은 그에 설정된 입력사항을 통해, 라면조리가 진행되는 과정 중, 분말스프를 포함하는 상기 유탕면(N)이 상기 승강장치(5)를 통해 내부에서 상,하로 유동함과 함께 좌,우로 반복적인 회동을 이뤄 끓는 물과 골고루 혼합되는 것이며, 그로 인해 최적의 라면조리가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상기와 같은 승강장치(5)의 작동을 통해 라면조리과정이 무인자동화로 진행되고 설정된 조리시간이 종료되면, 상기 주회로기판(23)은 라면조리과정의 종료를 조리자에게 나타내기 위해 상기 스피커(244) 및 알림램프(245)에 신호를 송출함으로 알림음 발생과 알림램프 점등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더불어 상기 승강장치(5)를 통하여 상기 휘젓개(4)의 승강바(41)를 상방향으로 최대한 상승시켜 상기 조리용기(1)를 조리자가 꺼내는 과정에 간섭되지 않도록 한다.
한편, 라면의 조리과정이 종료된 것을 확인한 조리자는, 다시 상기 손잡이(12)를 파지한 상태로 상기 용기본체(11)를 꺼내 라면을 직접 섭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휘젓개(4)의 젓가락(45)을 각각 분리하여 별도의 일반적인 젓가락이 필요없이도 라면의 섭취를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게 된다.
참고로, 편의점 등에 배치하여 많은 사람들이 본 발명인 자동 라면조리기(A)를 사용하도록 할 경우에는 특정기업의 광고 또는 홍보를 위한 광고문을 부착하도록 하고, 가정의 주방 내에 비치하여 사용할 경우네는 조리자가 자주 요리하게 되는 음식의 조리법 기재문을 부착하도록 함으로써 광고효과 및 음식조리에 효율성을 나타낼 수 있으며, 상기 압착부재(P)를 통하여 조리과정 중에 발생될 수 있는 조리기본체(3)의 유동을 억제할 수 있도록 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 예를 이용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특정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습득한 자라면, 본 발명의 범주와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A : 자동 라면조리기, N : 유탕면, P : 압착부재
1 : 조리용기, 1a : 수용부, 2 : 전기오븐
2a : 안내홈, 3 : 조리기본체, 4 : 휘젓개
5 : 승강장치, 11 : 용기본체, 11a : 안내레일
12 : 손잡이, 21 : 히팅수단, 22 : 감지센서
23 : 주회로기판, 24 : 조작수단, 31 : 판형함체
31a : 공간부, 31b : 승강안내공, 31b-1 : 접지띠
32 : 상부덮개, 32a : 배출공, 33 : 차폐부재
41 : 승강바, 41a : 내향절곡단, 42 : 제1구동모터
43 : 회전구, 43a : 활방홀, 44 : 활개막대
45 : 젓가락, 51 : 제2구동모터, 52 : 와이어
53 : 상부도르래, 54 : 하부도르래, 241 : 조그셔틀
242 : 조작버튼, 243 : 디스플레이, 244 : 스피커
245 : 알림램프, 321 : 문구기재부, 331 : 패킹편
411 : 접지단자, 511 : 와이어스풀

Claims (6)

  1. 통상의 자동 라면조리기에 있어서,
    조리재료를 담을 수 있는 수용부가 내부에 마련된 용기본체 및 상기 용기본체 외측 일단에 손잡이가 일체로 결합된 조리용기와;
    상기 조리용기를 거치시켜 놓고 가열하기 위한 히팅수단이 내재된 전기오븐과;
    상기 전기오븐의 상측에 일체로 결합됨에 따라, 상기 조리용기의 의지고정과 동시에 상기 조리용기의 개구 상단을 밀폐하도록 한 조리기본체와;
    상기 조리기본체의 일측으로부터 승강 가능토록 결합됨과 동시에 일 선단이 좌,우 회동 가능함에 따라, 상기 조리용기 내의 조리재료들을 섞을 수 있게 된 휘젓개와; 그리고,
    상기 휘젓개가 반복적으로 승강 작동할 수 있도록 상기 전기오븐 및 상기 조리기본체 내에 연계장착되는 승강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라면조리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리기본체는, 상기 전기오븐에 거치되는 상기 조리용기의 밀착고정과 더불어, 상기 승강장치 일부를 수용장착할 수 있는 공간부가 내부에 마련된 판형함체와,
    상기 판형함체의 일 상단으로, 상기 조리용기의 개구 상단을 덮을 수 있게 된 상부덮개와,
    상기 승강장치의 상,하 이동 중 상기 조리용기 내의 조리재료들이 상기 공간부로 침투함을 차단하기 위한 패킹편을 포함한 차폐부재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라면조리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판형함체의 일측 상단 중앙부에는, 상기 휘젓개의 일측을 고정할 수 있으면서도 상,하로 반복 이동 가능케 한 승강안내공이 수직방으로 상기 공간부와 연통형성되되,
    상기 승강안내공의 양 내벽에는, 전기적 연결을 위한 금속 접지띠가 각각 부착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라면조리기.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덮개의 전면에는, 광고문구나 조리내용을 부착하거나 기재할 수 있는 문구기재부가 마련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라면조리기.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휘젓개는, 상기 승강안내공에 일측이 수평하게 끼움결합된 채 반복적으로 상승 및 하강 작동하는 승강바와,
    상기 승강바의 다른 일측 내부에 하향 수용조립됨과 함께, 상기 접지띠와 전기적 연결로 회전구동이 가능한 제1구동모터와,
    상기 제1구동모터에 축결합되어 좌,우로 회전될 수 있게 된 회전구와,
    상기 회전구 양단에 일측이 힌지결합한 상태로, 상기 회전구의 회동시 각각의 하측 끝단이 외측으로 활방되는 복수의 활개막대와,
    상기 활개막대의 각 끝단에 연결결합된 상태로 동시 회전함에 따라 상기 조리용기 내의 조리재료들을 섞을 수 있고, 조리과정의 종료 후에는 일반 젓가락으로 분리사용 가능한 복수의 젓가락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라면조리기.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장치는, 전력의 인가로 정,역회전하는 와이어스풀이 축결합된 제2구동모터와,
    상기 승강바의 일 상단과 상기 와이어스풀 각각에 양 끝단이 연결된 상태로 상기 제2구동모터를 통해 권취 및 권출되어, 상기 승강바의 상,하 이동이 가능케 하는 와이어와,
    상기 와이어의 권출 및 권취를 용이하게 한 상,하부도르래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라면조리기.
KR1020100058172A 2010-06-18 2010-06-18 자동 라면조리기 KR1011133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58172A KR101113392B1 (ko) 2010-06-18 2010-06-18 자동 라면조리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58172A KR101113392B1 (ko) 2010-06-18 2010-06-18 자동 라면조리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38062A true KR20110138062A (ko) 2011-12-26
KR101113392B1 KR101113392B1 (ko) 2012-03-05

Family

ID=455041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58172A KR101113392B1 (ko) 2010-06-18 2010-06-18 자동 라면조리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13392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230213A (zh) * 2012-08-24 2013-08-07 褚凤红 一种蒸面锅
CN110507156A (zh) * 2018-09-12 2019-11-29 北京故亭科技有限公司 一种智能烹饪装置及其控制方法
KR102129310B1 (ko) * 2019-05-15 2020-07-02 선문대학교 산학협력단 라면 자동 조리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8435B1 (ko) 2013-04-18 2015-01-02 함성식 음식물 포장기의 안전장치
KR102190739B1 (ko) 2019-08-08 2020-12-14 주식회사 대우경금속 무인 라면 조리 장치
KR102190738B1 (ko) 2019-08-08 2020-12-14 주식회사 대우경금속 무인 라면 조리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6290B1 (ko) 2006-11-24 2008-04-07 박현성 자동 라면조리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230213A (zh) * 2012-08-24 2013-08-07 褚凤红 一种蒸面锅
CN110507156A (zh) * 2018-09-12 2019-11-29 北京故亭科技有限公司 一种智能烹饪装置及其控制方法
KR102129310B1 (ko) * 2019-05-15 2020-07-02 선문대학교 산학협력단 라면 자동 조리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13392B1 (ko) 2012-03-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13392B1 (ko) 자동 라면조리기
US10602869B2 (en) Apparatus for automatic meal preparation
US20120048843A1 (en) Electric slow-stewing cooker
CN108463148A (zh) 用于烹饪食物的自动设备
JPS63501617A (ja) 自動調理装置
KR20150006489A (ko) 조리 기구, 조리용기 및 조리 방법
CN106073534B (zh) 烹饪制备家电设备
KR20030074042A (ko) 전기 조리기
CN106724812A (zh) 智能煮蛋器
US7026591B2 (en) Device and procedure for cooking a food product with microwaves
KR100816290B1 (ko) 자동 라면조리기
JP2017000390A (ja) 加熱調理器
EP2407066B1 (en) Improved food steaming method and apparatus
CN206197755U (zh) 烹饪装置和电炖锅
CN203029009U (zh) 上出式炸锅
KR102199816B1 (ko) 바비큐 자동 오븐장치
CN209090797U (zh) 智能温控的自动炒菜机
CN210124571U (zh) 一种炒菜机
CN102908060A (zh) 多功能炸烤机
KR100753719B1 (ko) 라면조리포트
CN207745051U (zh) 一种翻盖式空气炸锅
CN208941913U (zh) 一种左右蒸搅分体料理机
KR101497599B1 (ko) 햄버거 또는 샌드위치 제조장치
CN217852363U (zh) 菜盒
CN207341594U (zh) 锅具和早餐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