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99816B1 - 바비큐 자동 오븐장치 - Google Patents

바비큐 자동 오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99816B1
KR102199816B1 KR1020190115616A KR20190115616A KR102199816B1 KR 102199816 B1 KR102199816 B1 KR 102199816B1 KR 1020190115616 A KR1020190115616 A KR 1020190115616A KR 20190115616 A KR20190115616 A KR 20190115616A KR 102199816 B1 KR102199816 B1 KR 1021998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kewer
cooking
cooked
thermoelectric sensor
tempera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156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지윤
Original Assignee
최지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지윤 filed Critical 최지윤
Priority to KR10201901156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9981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998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998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4Roasting apparatus with movably-mounted food supports or with movable heating implements; Spits
    • A47J37/047Roasting apparatus with movably-mounted food supports or with movable heating implements; Spits with rotating drums or baske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4Roasting apparatus with movably-mounted food supports or with movable heating implements; Spits
    • A47J37/041Roasting apparatus with movably-mounted food supports or with movable heating implements; Spits with food supports rotating about a horizontal axi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4Roasting apparatus with movably-mounted food supports or with movable heating implements; Spits
    • A47J37/043Roasting apparatus with movably-mounted food supports or with movable heating implements; Spits with food supports rotating about a vertical axi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aking, Grill, Roas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바비큐 자동 오븐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통닭이나 돼지고기와 같은 육류 등과 같은 조리대상물을 지지하는 꼬치대에 열전센서를 구비시켜 열전센서로부터 감지된 온도와 조리시간을 합산하여 자동으로 전기 또는 가스의 공급량을 조절하여 가열온도를 조절하므로 용이하게 조리대상물을 조리할 수 있도록 한 바비큐 자동 오븐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목적 달성을 위한 본 발명은 조리공간이 마련된 본체; 상기 조리공간 내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어 복수의 조리대상물을 지지해주며, 내부에는 온도를 감지하여 컨트롤러부에 감지신호를 전송하는 열전센서가 구비되고, 일단부에는 상기 열전센서에 전원을 인가하기 위한 접속단자부가 형성되는 꼬치대; 상기 조리공간 내에 구비되어 상기 꼬치대를 고정된 상태로 지지해줌과 동시에 회전시켜주며, 전기를 인가해주는 회전지지수단; 상기 조리공간 내에 배치되어 열을 발생하여 조리대상물을 조리해주는 가열부; 및 상기 본체의 전면에 구비되며, 상기 꼬치대에 내장된 열전센서와 센싱되어 조리대상물의 가열온도를 실시간으로 수신하여 기 설정된 온도 및 시간에 맞춰 가열부를 자동 제어하는 컨트롤러부;를 포함하는 바비큐 자동 오븐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바비큐 자동 오븐장치{barbecue automatic oven device}
본 발명은 바비큐 자동 오븐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통닭이나 돼지고기와 같은 육류 등과 같은 조리대상물을 지지하는 꼬치대에 열전센서를 구비시켜 열전센서로부터 감지된 온도와 조리시간을 합산하여 자동으로 전기 또는 가스의 공급량을 조절하여 가열온도를 조절하므로 용이하게 조리대상물을 조리할 수 있도록 한 바비큐 자동 오븐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바비큐 구이는 굽는 재료에 따라서 꼬챙이나 석쇠와 같은 것을 이용하여 장작이나 숯을 연료로 하는 불 위에 재료를 직접 올려놓고 천천히 익히는 것이다.
육류에 함유된 지방질은 고기맛을 느끼하게 할 뿐만 아니라 각종의 성인병을 유발하는 요인이 되기 때문에 최근에는 육류로부터 지방을 제거할 수 있는 조리법들이 각광을 받고 있다.
아주 오래전부터 사용되고 있는 바비큐 구이나 숯불구이 등은 지방을 제거할 수 있는 대표적인 조립법들로서, 이 조리법들은 조리대상물로부터 기름기를 제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비린내를 없애는 탈취효과도 있기 때문에 특히 닭고기나 돼지고기 등과 같이 지방 함유량이 많고 비린 향이 나는 육류를 조리하는데 많이 사용되고 있다. 특히 숯불구이는 열원으로 사용되는 숯의 특유한 향으로 입맛을 돋굴수 있기 때문에 더욱 많이 사용되고 있다.
한편, 최근에는 조리의 편의를 위하여 조리대상물을 자동으로 회전시키면서 구울 수 있는 바비큐 오븐장치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종래의 바비큐 오븐장치는 본체의 내부에 구획 구분없이 하나의 조리공간이 마련되고, 조리공간 내에 수평방향으로 조리대상물이 꽂혀진 꼬치대가 수직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여러 개 거치되며, 각 꼬치대가 거치되는 위치에 해당하는 조리공간 내의 후면에는 열을 발생하는 히터부가 각각 구비된다. 따라서 각 꼬치대가 회동 되면서 각 히터부에서 발생되는 열에 의해 전체가 골고루 조리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그러나 종래의 바비큐 오븐장치는 열을 가하여 조리대상물인 통닭의 내부에 찹쌀을 채운 상태에서 조리시 통닭의 살코기가 익는 온도와 시간 및 쌀이 익는 온도와 시간이 각각 다름은 물론 조리공간 내의 온도가 불특정하게 달라지므로 온도 및 조리시간을 정확하게 측정할 수 없기 때문에 육안으로 직접 확인하여 수동으로 온도를 조절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또한, 종래에는 꼬치대의 단부가 조리공간 내에 걸쳐 올려진 상태로 구비되어 차량(푸드트럭)으로 이동하면서 조리하는 경우 차량의 흔들림에 의해 꼬치대가 이탈되므로 푸드트럭용으로 사용이 불가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에는 조리가 완료된 조리대상물과 조리가 되지 않은 조리대상물이 하나의 조리공간 내에 함께 구비되므로써 조리가 되지 않은 조리대상물을 조리하기 위해 히터를 작동시킴에 따라 발생하는 열기에 의해 조리가 완료된 조리대상물에 영향을 주게되므로 수분이 빠져 말라 맛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20-0223262호가 등록된 바 있다.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20-0372636호가 등록된 바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에 의한 목적은 통닭이나 돼지고기와 같은 육류 등과 같은 조리대상물을 지지하는 꼬치대에 열전센서를 구비시켜 열전센서로부터 감지된 온도와 조리시간을 합산하여 자동으로 전기 또는 가스의 공급량을 조절하여 가열온도를 조절하므로 용이하게 조리대상물을 조리할 수 있도록 한 바비큐 자동 오븐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조리대상물을 조리공간 내에 견고하게 고정된 상태로 거치할 수 있도록 하여 차량 내에 탑재하여 주행하면서 조리대상물을 용이하게 조리할 수 있고, 조리가 완료되어 뜨거운 조리대상물의 열기가 식거나 수분이 빠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바비큐 자동 오븐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러한 목적 달성을 위한 본 발명은 조리공간이 마련된 본체; 상기 조리공간 내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어 복수의 조리대상물을 지지해주며, 내부에는 온도를 감지하여 컨트롤러부에 감지신호를 전송하는 열전센서가 구비되고, 일단부에는 상기 열전센서에 전원을 인가하기 위한 접속단자부가 형성되는 꼬치대; 상기 조리공간 내에 구비되어 상기 꼬치대를 고정된 상태로 지지해줌과 동시에 회전시켜주며, 전기를 인가해주는 회전지지수단; 상기 조리공간 내에 배치되어 열을 발생하여 조리대상물을 조리해주는 가열부; 및 상기 본체의 전면에 구비되며, 상기 꼬치대에 내장된 열전센서와 센싱되어 조리대상물의 가열온도를 실시간으로 수신하여 기 설정된 온도 및 시간에 맞춰 가열부를 자동 제어하는 컨트롤러부;를 포함하는 바비큐 자동 오븐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회전지지수단은 상기 꼬치대의 일단부를 고정된 상태로 회전시킴과 동시에 전원을 인가해주는 전원접속회전부; 및 상기 꼬치대의 타단부를 고정된 상태로 지지해주는 고정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전원접속회전부는 상기 꼬치대의 일단부가 삽입되는 삽입홀이 형성되고, 상기 삽입홀의 내측에는 상기 꼬치대에 형성된 접속단자부와 접촉되어 외부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단자가 형성되는 소켓부; 상기 소켓부의 외측둘레에 구비되어 연결체인이 걸어지는 기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고정지지부는 내부공간이 마련되며, 일측면에는 수평방향으로 조작레버의 이동을 가이드 해주는 가이드홈이 형성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일단부에 돌출 형성되며, 상기 꼬치대의 타단부를 받쳐주는 받침편; 상기 하우징의 내부공간에 인입 및 입출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받침편의 개방된 상부를 덮어주는 덮개편; 및 상기 덮개편을 하우징 내에서 인입 및 인출시키도록 조작하는 조작레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조리가 완료된 조리대상물이 끼워진 꼬치대의 외부를 덮어주어 조리가 완료된 조리대상물의 수분 및 열기를 보존해주는 수분열기보존수단;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통닭이나 돼지고기와 같은 육류 등과 같은 조리대상물을 지지하는 꼬치대에 열전센서를 구비시켜 열전센서로부터 감지된 온도와 조리시간을 컨트롤러부와 실시간으로 센싱되도록 함으로써, 기 설정된 가열 온도와 조리시간을 합산하여 자동으로 전기 또는 가스의 공급량을 조절하여 가열온도를 조절하므로 용이하게 조리대상물을 조리할 수 있다.
또한, 조리공간 내에 전원접속회전부와 고정지지부를 포함하는 회전지지수단을 구비시킴으로써, 차량에 본체를 탑재시켜 이동시 흔들림에 의해 조리공간 내에 거치되는 꼬치대가 튕겨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가열부를 설정된 온도 및 시간에 맞춰 자동 제어하는 컨트롤러부를 구비시킴으로써, 기존에 조리대상물의 종류(통닭 또는 돼지고기 등) 및 크기별로 온도 및 조리시간을 관리자가 일일이 육안으로 확인하면서 조절해야 하는 불편함을 해소시켜 사용의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수분열기보존수단을 구비시킴으로써, 조리가 완료되어 뜨거운 조리대상물의 열기가 식거나 수분이 빠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바비큐 자동 오븐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바비큐 자동 오븐장치의 내부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3은 본 발명에 적용된 꼬치대를 설명하기 위해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단면도로, (a)는 잭 연결방식이고, (b)는 플러그 연결방식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적용된 꼬치대와 회전지지수단의 연결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에 적용된 회전지지수단의 고정지지부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로, (a)는 덮개편이 하우징의 내부공간에 인입된 상태이고, (b)는 덮개편이 하우징의 내부공간에서 입출되어 받침편의 개방된 상부가 덮어진 상태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적용된 컨트롤부를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적용된 수분열기보존수단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로, (a)는 열어진 상태이고, (b)는 닫힌 상태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적용된 수분열기보존수단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제2, 제1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1 구성요소도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바비큐 자동 오븐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바비큐 자동 오븐장치의 내부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적용된 꼬치대를 설명하기 위해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단면도로, (a)는 잭 연결방식이고, (b)는 플러그 연결방식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적용된 꼬치대와 회전지지수단의 연결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에 적용된 회전지지수단의 고정지지부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로, (a)는 덮개편이 하우징의 내부공간에 인입된 상태이고, (b)는 덮개편이 하우징의 내부공간에서 입출되어 받침편의 개방된 상부가 덮어진 상태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적용된 컨트롤부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적용된 수분열기보존수단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로, (a)는 열어진 상태이고, (b)는 닫힌 상태이며, 도 8은 본 발명에 적용된 수분열기보존수단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인 바비큐 자동 오븐장치(10)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은 통닭이나 돼지고기와 같은 육류 등과 같은 조리대상물을 지지하는 꼬치대에 열전센서를 구비시켜 열전센서로부터 감지된 온도와 조리시간을 합산하여 자동으로 가스의 공급량을 조절하여 가열온도를 조절하므로 용이하게 조리대상물을 조리할 수 있도록 한 바비큐 자동 오븐장치에 관한 것으로, 이와 같은 바비큐 자동 오븐장치(10)는 크게 본체(100), 꼬치대(200), 회전지지수단(300), 가열부(400) 및 컨트롤러부(5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체(100)는 내부에 조리공간(110)이 마련되며, 조리공간(110)의 전면에는 조리공간(110)을 개폐하기 위한 도어(120)가 회전부재(미도시)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구비된다.
이때, 도어(120)의 일측에는 손으로 열고 닫을 수 있도록 손잡이(121)가 구비될 수 있으며, 조리공간(110)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투명유리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체(100)의 정면에는 외부공기가 유입되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유입공(130)이 형성될 수 있으며, 본체 내부에는 유입공(130)을 통하여 유입된 공기에 포함된 미세먼지와 같은 유해물질을 필터링 시키기 위한 필터부(140)가 구비될 수 있다.
꼬치대(200)는 본체(100)의 조리공간(110) 내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어 조리대상물을 지지해주는 것으로, 이와 같은 꼬치대(200)는 전체적으로 삼지창과 같은 형태로 이루어져 중앙에는 중앙꼬치대(210)가 형성되고, 이 중앙꼬치대(210)의 양측에는 사이드꼬치대(220)가 각각 형성된다.
또한, 중앙꼬치대(210)의 내부에는 외부온도를 감지하여 컨트롤러부(500)에 감지신호를 전송하는 열전센서(230)가 구비된다.
또한, 중앙꼬치대(210)의 일단부에는 열전센서(230)에 전원을 인가하기 위한 접속단자부(240)가 형성된다.
이때, 접속단자부(24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러그 연결방식 또는 잭 연결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접속단자부(240)가 잭 연결방식으로 구성되는 경우 도 3a와 같이 중앙꼬치대(210)의 일단부에 하나의 접속단자돌부가 돌출 형성되며, 플러그 연결방식으로 구성되는 경우 도 3b와 같이 중앙꼬치대(210)의 일단부에 한 쌍의 접속단자핀이 돌출 형성되고, 이와 같은 접속단자핀과 접속단자돌부는 열전센서(23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태로 구비되어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접속단자돌부와 접속단자핀을 통해 열전센서(230)로 공급하게 된다.
또한, 꼬치대(200)의 타단부에는 꼬치대(200)에 끼워진 조리대상물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해주는 이탈방지부재(250)가 탈착 가능하게 장착된다.
이와 같은 이탈방지부재(250)는 중앙꼬치대(210)가 관통되는 제1관통홀(251)이 형성되고, 이 제1관통홀(251)의 양측에는 사이드꼬치대(220)가 각각 관통되는 제2관통홀(252)이 형성되며, 제1관통홀(251)의 상부에는 중앙꼬치대(210)를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볼트(253)가 구비된다.
따라서, 꼬치대(200)에 조리대상물이 끼워진 상태에서 중앙꼬치대(210)와 사이드꼬치대(220)를 제1관통홀(251)과 제2관통홀(252)에 각각 관통시킨 후 제1관통홀(251)에 구비된 고정볼트(253)를 일방향으로 회전시켜 고정시키므로 꼬치대(200)에 끼워진 조리대상물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회전지지수단(300)은 전술한 꼬치대(200)의 일단부를 고정된 상태로 회전시킴과 동시에 전원을 인가해주는 전원접속회전부(310) 및 상기 꼬치대(200)의 타단부를 고정된 상태로 지지해주는 고정지지부(3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전원접속회전부(310)는 꼬치대(200)의 중앙꼬치대(210) 일단부가 삽입되는 삽입홀(311a)이 형성되고, 이 삽입홀(311)의 내측에는 중앙꼬치대(210)의 일단부에 형성된 접속단자부(240)와 접촉되어 외부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단자(311b)가 형성된 소켓부(311)가 구비된다.
한편, 전원공급단자(311b)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접속단자부(240)의 형태 즉, 플러그 연결방식 또는 잭 연결방식에 따라 접속되는 위치 및 갯 수가 달라질 수 있음이 바람직하다.
또한, 전원접속회전부(310)는 소켓부(311)의 외측둘레에 구비되어 연결체인(326)이 걸어지는 기어부(312)가 구비된다.
또한, 고정지지부(320)는 내부공간이 마련되며, 일측면에는 수평방향으로 조작레버(324)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홈(321a)이 형성된 하우징(321)과, 하우징(321)의 일단부에 돌출 형성되어 꼬치대(200)의 타단부를 받쳐주는 받침편(322)과, 하우징(321)의 내부공간에 인입 및 인출 가능하게 구비되어 받침편(322)의 개방된 상부를 덮어주는 덮개편(323) 및 덮개편(323)을 하우징(321) 내에서 인입 및 인출시키도록 조작하는 조작레버(32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받침편(322)에는 중앙꼬치대(210)의 하단부 외측면에 면 밀착되도록 상부가 개방된 제1밀착홈(322a)이 형성되고, 덮개편(323)에는 중앙꼬치대(210)의 상단부 외측면에 면 밀착되도록 하부가 개방된 제2밀착홈(323a)이 형성된다.
즉, 꼬치대(200)의 타단부를 받침편(322)의 제1밀착홈(322a)에 밀착되게 걸쳐놓은 상태로 꼬치대(200)의 일단부를 소켓부(311)의 삽입홀(311a)에 끼움 장착시킨 후 조작레버(414)를 이용하여 하우징(411) 내에서 덮개편(413)을 인출시키므로 꼬치대(200)를 조리공간(110) 내에 고정된 상태로 거치시킨다. 이후 모터(325)의 축에 구비된 모터기어(325a)와 소켓부(311)의 외측둘레에 구비된 기어부(312)의 외측에 연결체인(326)이 걸어진 상태로 구비되어 모터(325)의 회전구동에 의해 소켓부(311)가 회전함에 따라 꼬치대(200)가 같이 회전된다.
따라서 차량에 본체(100)가 탑재되어 이동시 흔들림에 의해 꼬치대(200)가 튕겨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므로 차량으로 이동하면서 조리대상물을 용이하게 조리할 수 있다.
또한, 조작레버(324)는 덮개편(323)의 상단에 돌출 형성되는 회동부(324-1)와, 이 회동부(324-1)에 회동 가능하게 힌지(324-3) 결합되는 손잡이부(324-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한편, 회동부(324-1)와 손잡이부(324-2)의 각 일단부에는 힌지(324-3)가 관통되는 힌지공(324-4)이 각각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손잡이부(324-2)를 외측 방향으로 잡아 밀면 하우징(321) 내에 인입된 덮개편(323)이 외부로 인출됨과 동시에 손잡이부(324-2)가 힌지(324-3)를 중심으로 중력에 의해 회전되면서 하강되어 덮개편(323)이 하우징(321) 내로 인입되는 것을 방지해준다.
가열부(400)는 조리공간(110) 내에 세로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복수로 배치되어 열을 발생하여 조리대상물을 조리해주는 것으로, 이와 같은 가열부(400)는 전기코일히터 또는 가스히터 중 선택된 어느 하나가 사용될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는 전기코일히터가 적용된 것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컨트롤러부(500)는 본체(100)의 전면에 구비되어 꼬치대(200)에 내장된 열전센서(230)와 센싱되어 조리대상물의 가열온도를 실시간으로 수신하여 기 설정된 온도 및 시간에 맞춰 가열부(500)를 자동 제어하는 것으로, 이와 같은 컨트롤러부(50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리모드선택버튼부(510), 갯수설정버튼부(520), 입력버튼부(530), 퀵(Quick)버튼부(540), 슬로우(Slow)버튼부(550), 스타트버튼(560), 표시부(570)및 를 커서버튼부(58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조리모드선택버튼부(510)는 조리대상물의 종류(통닭 또는 돼지고기 등) 및 크기별로 온도 및 조리시간이 설정된 다양한 메뉴를 선택할 수 있다.
이때, 조리모드선택버튼부(510)에는 통닭조리용모드와, 통닭+찹쌀조리용모드 및 돼지고기조리용모드 등과 같은 다양한 조리모드가 저장되어있다.
즉, 조리모드1은 통닭조리용 조리모드2는 통닭+찹쌀조리용 조리모드3은 돼지고기조리용으로 각 조리모드가 설정된 상태에서 조리하고자 하는 조리대상물에 따라 조리모드선택버튼부(510)를 누른 다음 입력버튼(530)을 누른(조리모드1은 1번 조리모드2는 2번 조리모드3은 3번 선택) 이후 스타트버튼(570)을 눌러 작동시키면 된다.
한편, 각 조리모드에는 입력되는 조리대상물의 갯 수에 따라 설정된 가열온도 및 가열시간이 각각 별도로 저장되어 있다. 예를 들어 꼬치대(200)에 다섯 마리를 적재시켜 가열온도 200도로 60분 가열해야지 조리대상물의 조리가 완료된다고 과정할 경우 다섯 마리 이하, 즉, 네 마리를 꼬치대에 적재시켜 조리하는 경우 꼬치대(200)에서 한 마리가 빠진 부분이 노출되어 가열부(400)로부터 직접적으로 열이 가해짐에 따라 조리대상물과는 상관 없이 꼬치대(200)에 내장된 열전센서(230)의 온도가 올라가게 되고 이와 같이 감지된 온도를 컨트롤러부(500)로 전달하면 컨트롤러부(500)는 가열부(400)의 온도를 낮추게 되므로써 조리대상물이 충분한 온도를 받지 못하여 설익게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방지하고자 꼬치대(200)가 노출되는 표면 면적에 따라 열전센서(230)에 전도되는 온도 값을 측정해 미리 컨트롤러부(500)에 입력해 놓는다. 즉 컨트롤러부(500)에 입력되는 온도값을 다섯 마리인 경우 가열온도 200도 가열시간 60분으로 설정, 세 마리인 경우 가열온도 220도 가열시간 60분으로 설정, 한 마리인 경우 가열온도 240도 가열시간 60분으로 설정하는 등 컨트롤러부(500)가 꼬치대(200)에 직접 전도되는 온도로 인하여 열전센서(230)가 높은 온도로 측정하더라도 가열부(400)의 온도를 자동으로 낮춰는 현상을 방지하므로써 조리대상물이 설익게 되는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갯수설정버튼부(520)는 조리대상물의 갯 수를 설정하기 위한 버튼이다.
또한, 입력버튼(530)은 조리대상물의 갯 수와 조리모드의 번호를 입력하기 위한 것으로, 이와 같은 입력버튼(530)은 아라비아숫자 0~9번의 숫자버튼으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퀵(Quick)버튼부(540)와 슬로우(Slow)버튼부(550)는 조리대상물을 빠르게 조리하거나 천천히 조리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퀵(Quick)버튼부(540)를 누르면 꼬치대(200)를 기준으로 상하에 배치된 가열부(400) 모두가 작동되고, 슬로우(Slow)버튼부(550)를 누르면 꼬치대(200)를 기준으로 상하에 배치된 가열부(400) 중 어느 하나만이 작동하게 된다.
따라서, 판매가 원활하여 재고가 빨리 소진되는 경우에는 퀵(Quick)버튼부(540) 를 눌러 조리대상물을 빠르게 조리하거나 판매부진으로 조리대상물의 대기를 원할 때에는 슬로우(Slow)버튼부(550)를 눌러 조리대상물을 천천히 조리할 수 있다.
한편, 컨트롤러부(500)는 조리대상물의 조리가 완성 시 조리대상물이 과하게 타거나 익지 않게 조리 완료 시 오프모드나 보온모드로 자동으로 전환시키는 기능이 포함될 수도 있다. 따라서 수동오븐과 다르게 자동으로 조리대상물을 조리시키므로써 오븐조작을 위해 일정한 수련 기간이 별도로 필요하지 않음은 물론 신경을 쓰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다른 일을 하면서도 조리를 완성할 수 있다. 한편 오븐장치를 소형으로 제작하여 편의점 등에서도 손 쉽게 조리하여 판매할 수 도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컨트롤러부(500)의 사용방법을 통닭을 다섯 마리 조리한다고 과정하에 설명하면, 먼저 갯수설정버튼부(520)을 누른 이후 입력버튼(530) 5번을 누른다. 이후 판매상황에 맞춰 퀵(Quick)버튼부(540) 또는 슬로우(Slow)버튼부(550)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누른다. 이후 조리모드선택버튼부(510)를 누르고 입력버튼 1번을 누른 다음 마지막으로 스타트버튼부(560)을 눌러주면 자동적으로 통닭 다섯 마리를 조리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표시부(570)는 LCD 창으로 이루어져 가열되는 시간과 온도 표시된다.
또한, 커서버튼부(580)는 각 조리모드 별로 가열 시간과 온도를 수동으로 입력하는 등 각종 설정 시 커서를 이동시키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바비큐 자동 오븐장치(10)는 조리가 완료된 조리대상물이 끼워진 꼬치대(200)의 외부를 덮어주어 조리가 완료된 조리대상물의 수분 및 열기를 보존해주는 수분열기보존수단(600)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수분열기보존수단(600)은 내부공간이 형성되며, 양단부에는 꼬치대(200)의 양단부가 걸어지도록 제1요홈(611)이 각각 형성되는 제1원통(610)이 구비된다.
또한, 제1원통(610)에 대향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제1원통(610)과 힌지부재(도면부호 없음)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양단부에는 꼬치대(200)의 양단부를 덮어주도록 제2요홈(621)이 각각 형성되는 제2원통(620)이 구비된다.
한편, 수분열기보존수단(600)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제1원통(610)과 제2원통(620)을 서로 잠금 및 해제시킬 수 있는 잠금수단이 더 포함될 수 있다.
따라서 차량을 주행시 흔들림에 의해 제1원통(610)과 제2원통(620)이 열어짐에 따라 조리대상물의 수분 및 열기가 외부로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수분열기보존수단(600)은 조리가 완료된 조리대상물의 수분 및 열기가 보존된 상태로 보관할 수 있어서 음식의 맛이 저하되는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다.
본 발명 바비큐 자동 오븐장치의 기술적 사상은 실제로 동일결과를 반복 실시 가능한 것으로, 특히 이와 같은 본 발명을 실시함으로써 기술발전을 촉진하여 산업발전에 이바지할 수 있어 보호할 가치가 충분히 있다.
10 : 바비큐 자동 오븐장치
100 : 본체
110 : 조리공간
120 : 도어
130 : 유입공
140 : 필터부
200 : 꼬치대
210 : 중앙꼬치대
220 : 사이드꼬치대
230 : 열전센서
240 : 접속단자부
250 : 이탈방지부재 251 : 제1관통홀 252 : 제2관통홀
253 : 고정볼트
300 : 회전지지수단
310 : 전원접속회전부 311 : 소켓부 312 : 기어부
320 : 고정지지부 321 : 하우징 322 : 받침편
323 : 덮개편 324 : 조작레버 325 : 모터 325a : 모터기어
326 : 연결체인
400 : 가열부
500 : 컨트롤러부
510 : 조리모드선택버튼부
520 : 모드선택버튼부
530 : 갯수설정버튼부
540 : 입력버튼
550 : 퀵(Quick)버튼부
560 : 슬로우(Slow)버튼부
570 : 스타트버튼부
580 : 표시부
600 : 수분열기보존수단
610 : 제1원통 611 : 제1요홈
620 : 제2원통 621 : 제2요홈

Claims (4)

  1. 조리공간이 마련된 본체;
    상기 조리공간 내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어 복수의 조리대상물을 지지해주며, 내부에는 온도를 감지하여 컨트롤러부에 감지신호를 전송하는 열전센서가 구비되고, 일단부에는 상기 열전센서에 전원을 인가하기 위한 접속단자부가 형성되는 꼬치대;
    상기 조리공간 내에 구비되며, 상기 꼬치대의 일단부를 고정된 상태로 회전시킴과 동시에 전원을 인가해주는 전원접속회전부와, 상기 꼬치대의 타단부를 고정된 상태로 지지해주는 고정지지부;를 포함하는 회전지지수단;
    상기 조리공간 내에 배치되어 열을 발생하여 조리대상물을 조리해주는 가열부; 및
    상기 본체의 전면에 구비되며, 상기 꼬치대에 내장된 열전센서와 센싱되어 조리대상물의 가열온도를 실시간으로 수신하여 기 설정된 온도 및 시간에 맞춰 가열부를 자동 제어하는 컨트롤러부;를 포함하고,
    상기 전원접속회전부는 상기 꼬치대의 일단부가 삽입되는 삽입홀이 형성되고, 상기 삽입홀의 내측에는 상기 꼬치대에 형성된 접속단자부와 접촉되어 외부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단자가 형성되는 소켓부와, 상기 소켓부의 외측둘레에 구비되어 연결체인이 걸어지는 기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지지부는 내부공간이 마련되며, 일측면에는 수평방향으로 조작레버의 이동을 가이드 해주는 가이드홈이 형성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일단부에 돌출 형성되며, 상기 꼬치대의 타단부를 받쳐주는 받침편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공간에 인입 및 입출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받침편의 개방된 상부를 덮어주는 덮개편 및 상기 덮개편을 하우징 내에서 인입 및 인출시키도록 조작하는 조작레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비큐 자동 오븐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정면에는 외부공기가 유입되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유입공이 형성되며, 본체의 내부에는 상기 유입공을 통하여 유입된 공기에 포함된 미세먼지를 필터링 시키는 필터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비큐 자동 오븐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레버는,
    상기 덮개편의 상단에 돌출 형성되는 회동부와, 상기 회동부에 회동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는 손잡이부를 포함하고,
    상기 회동부와 손잡이부의 각 일단부에는 힌지가 관통되는 힌지공이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비큐 자동 오븐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리가 완료된 조리대상물이 끼워진 꼬치대의 외부를 덮어주어 조리가 완료된 조리대상물의 수분 및 열기를 보존해주는 수분열기보존수단;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비큐 자동 오븐장치.
KR1020190115616A 2019-09-19 2019-09-19 바비큐 자동 오븐장치 KR1021998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5616A KR102199816B1 (ko) 2019-09-19 2019-09-19 바비큐 자동 오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5616A KR102199816B1 (ko) 2019-09-19 2019-09-19 바비큐 자동 오븐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99816B1 true KR102199816B1 (ko) 2021-01-08

Family

ID=741275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15616A KR102199816B1 (ko) 2019-09-19 2019-09-19 바비큐 자동 오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9981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876216A (zh) * 2021-11-05 2022-01-04 上海玺农信息科技有限公司 一种全自动烧烤装置
KR20230015590A (ko) * 2021-07-23 2023-01-31 전유학 버덕요리용 조리기구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14797Y1 (ko) * 1995-09-30 1998-04-16 배순훈 가스오븐 그릴렌지의 조리물 내부온도 감지장치
KR19980060309U (ko) * 1997-03-10 1998-11-05 배순훈 전자렌지용 온도감지기의 결합구조
KR200223262Y1 (ko) 1998-10-21 2001-05-15 이흥재 숯불 바베큐 구이장치
KR200372636Y1 (ko) 2004-10-11 2005-01-15 이금일 바비큐 구이 장치
JP2005095266A (ja) * 2003-09-24 2005-04-14 Forming Shokuhin Shoji Kk 串刺し食品の調理装置と食品保持部材
KR20150140616A (ko) * 2015-11-28 2015-12-16 안범주 자동 꼬치 구이기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14797Y1 (ko) * 1995-09-30 1998-04-16 배순훈 가스오븐 그릴렌지의 조리물 내부온도 감지장치
KR19980060309U (ko) * 1997-03-10 1998-11-05 배순훈 전자렌지용 온도감지기의 결합구조
KR200223262Y1 (ko) 1998-10-21 2001-05-15 이흥재 숯불 바베큐 구이장치
JP2005095266A (ja) * 2003-09-24 2005-04-14 Forming Shokuhin Shoji Kk 串刺し食品の調理装置と食品保持部材
KR200372636Y1 (ko) 2004-10-11 2005-01-15 이금일 바비큐 구이 장치
KR20150140616A (ko) * 2015-11-28 2015-12-16 안범주 자동 꼬치 구이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15590A (ko) * 2021-07-23 2023-01-31 전유학 버덕요리용 조리기구
KR102577884B1 (ko) * 2021-07-23 2023-09-14 전유학 버덕요리용 조리기구
CN113876216A (zh) * 2021-11-05 2022-01-04 上海玺农信息科技有限公司 一种全自动烧烤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590584A (en) Barbecue
US8232510B2 (en) Grilling device for properly and uniformly cooking foodstuffs
US20180125293A1 (en) Air frying systems and methods
KR102199816B1 (ko) 바비큐 자동 오븐장치
US20140245897A1 (en) Rotisserie convection oven with rotatable cooking drum and method of use
US20210137299A1 (en) Pressure Cooker and Air Fryer Appliance
EP3443878A1 (en) Grill apparatus having foldable heat generating unit and foldable grill unit
US20210137300A1 (en) Pressure Cooker and Air Fryer Appliance
KR101937050B1 (ko) 꼬치구이기
KR200489004Y1 (ko) 회전식 구이기
US20020029695A1 (en) Automatic barbeque assembly with bypass lever
CN110547669B (zh) 一种色谱识别多功能烹饪机器人
KR102463742B1 (ko) 숯불구이용 화로대
KR100847807B1 (ko) 제연수단을 구비한 스탠드형 구이장치
KR101568760B1 (ko) 훈연 바비큐 구이장치
KR100755214B1 (ko) 구이테이블
US3442201A (en) Pivoted spit and firebox assembly for barbecue grills
KR200166404Y1 (ko) 고기 구이기
KR102068544B1 (ko) 멀티형 바비큐 자동 오븐장치
KR20170024723A (ko) 고강도 가스통을 재활용한 타지 않는 간접화 바비큐 장치
KR102232885B1 (ko) 대류열을 이용한 회전식 구이장치
JPH08336467A (ja) 電気魚焼き器
TW201912083A (zh) 具微波與電磁爐之油炸加熱裝置
KR100263814B1 (ko) 전기구이 치킨 조리장치
KR200359418Y1 (ko) 소시지/핫도그 구이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