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03274U - 냉장 식탁 - Google Patents

냉장 식탁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03274U
KR20150003274U KR2020140001420U KR20140001420U KR20150003274U KR 20150003274 U KR20150003274 U KR 20150003274U KR 2020140001420 U KR2020140001420 U KR 2020140001420U KR 20140001420 U KR20140001420 U KR 20140001420U KR 20150003274 U KR20150003274 U KR 20150003274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d
cold air
dishwasher
upper plate
refriger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4000142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춘자
Original Assignee
김춘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춘자 filed Critical 김춘자
Priority to KR202014000142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03274U/ko
Publication of KR2015000327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03274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31/00Service or tea tables, trolleys, or wagons
    • A47B31/02Service or tea tables, trolleys, or wagons with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mean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Tables And Desks Characterized By Structural Shap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냉장 식탁에 관한 것으로, 맞벌이 부부나 혼자 사는 사람과 같이 전업주부가 없는 가정에서 상차림을 신속 간편하게 할 수 있도록 상판(1) 내측에 성큰(sunken) 타입으로 형성되는 반찬 수납부(10); 상기 반찬 수납부(10)에 냉기를 공급하기 위하여 본체(2)에 구비되는 냉장시스템(20); 상기 냉장시스템(20)에서 생성된 냉기를 반찬 수납부(10)에 공급하기 위한 냉기공급구(30); 상기 반찬 수납부(10)의 상면을 덮어줄 수 있도록 상기 상판(1)에 설치되는 덮개(40)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다.

Description

냉장 식탁 {KITCHEN TABLE WITH COLD STORAGE}
본 고안은 식탁에 관한 것으로, 맞벌이 부부나 혼자 사는 사람과 같이 전업주부가 없는 가정에서 상차림을 신속 간편하게 할 수 있도록 식탁 상판에 반찬류를 냉장보관하고 있다가 슬라이드식 덮개를 개방하는 것에 의해 그대로 상차림이 가능하도록 한 것이며, 반찬 수납부에는 덮개를 닫으면 냉기가 공급되고, 덮개를 열면 냉기가 차단되는 냉기 공급구가 식탁 상판 하부의 본체에 구비된 냉장시스템에 연결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식탁은 주방에 설치되어 식사를 할 때 음식물이 담긴 그릇을 올려놓고 식사를 하는데 사용되는 것으로, 식사를 위해 상차림을 할 때에는 냉장고에서 음식물을 꺼내 조리하거나 냉장 보관하던 반찬을 작은 반찬 그릇에 옮겨 담아서 식탁 위에 올려야 하고, 식사 후에는 다시 남은 반찬류를 냉장고에 보관하여야 함으로써 냉장고에서 식탁으로 또 식탁에서 다시 냉장고로 반찬류의 이동에 상당한 시간과 노동력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이러한 과정에서 자칫 실수로 그릇을 놓치거나 하는 경우 그릇이 깨지거나 발에 떨어져서 신체에 상해를 입게 되는 상황이 발생하기도 한다.
본 고안과 관련된 종래기술로는 공개특허 제1997-0059674호의 식탁겸용 냉온장고, 등록실용신안 제20-0343435호의 식탁 구조체, 등록실용신안 제20-0327304호의 냉장식탁에 있어서 냉장탁판의 승강장치, 등록실용신안 제20-0302828호의 가열기와 냉장고를 구비한 테이블, 등록특허 제10-0550551호의 식탁 겸용 냉장고, 공개특허 제10-2009-0096785호의 냉,온장고가 탑재된 식탁, 공개특허 제10-2004-0058823호의 다기능 식탁, 공개특허 제10-2007-0021285호의 펠티어 효과를 이용한 보온과 보냉이 동시에 가능한 냉온장식탁 매트, 등록실용신안 제20-0448417호의 냉장 보온 식탁 등이 개시되어 있다.
한편, 상술한 종래기술에 있어서도 식탁에 냉장기능 등을 부가하여 상차림을 간편하게 하고, 공간활용을 극대화할 수 있도록 되어 있기는 하나, 반찬류 등을 식탁 내부에 마련된 냉장 공간에서 꺼내서 식탁 위에 차려야 하고, 식사 후에는 다시 반찬그릇을 냉장고에 넣거나 하는 등의 번거로움이 남아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식사를 위해 냉장 보관이 필요한 반찬 등을 냉장고에서 꺼내어 식탁 위에 차리거나, 식사 후 남은 반찬을 다시 접시 등의 용기에 담아 냉장고에 넣어주어야 하는번거로운 동작을 생략할 수 있으며, 식탁에 앉은 상태에서 밥만 퍼서 곧바로 식사가 가능하도록 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은 또, 식사 이외의 시간에는 식탁을 일반 테이블과 같이 상면이 평면 상태를 이룸으로써 다양한 작업을 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하고, 식탁 자체에 냉장공간과 수납공간을 마련함으로써 주방에서의 공간활용 및 수납을 효율적으로 할 수 있으면서도 동선을 최대한 짧게 만들어 시간과 체력의 낭비를 막을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상판 내측에 성큰(sunken) 타입으로 형성되는 반찬 수납부; 상기 반찬 수납부에 냉기를 공급하기 위하여 본체에 구비되는 냉장시스템; 상기 냉장시스템에서 생성된 냉기를 반찬 수납부에 공급하기 위한 냉기 공급구; 상기 반찬 수납부의 상부를 덮어줄 수 있도록 상기 상판에 설치되는 덮개;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냉장 식탁을 제공한다.
바람직한 실시 예에서, 상기 반찬 수납부는 식탁의 상면 둘레에서 20~25cm 내측으로 위치하며, 상기 반찬 수납부의 깊이는 10~15cm이고, 상기 덮개는 복수로 분할되며, 개방시 반찬 수납부 측부의 식탁 상면 내측에 적층되어 수납되며, 상기 덮개는 닫힌 상태에서 상판과 동일 높이를 유지하도록 한다.
또, 상기 냉기 공급구는 덮개의 개폐동작과 연동되어 덮개의 개방시에는 닫히고, 덮개가 닫히면 개방되어 반찬 수납부로 냉기가 공급되도록 하여 식사 중에는 냉기가 유출되지 않도록 한다.
또한, 상기 본체는 상판의 전,후,좌,우 폭보다 좁게 형성되어 의자에 앉은 상태에서 식탁에 상체를 밀착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본체에는 냉장공간과 수납공간을 더 구비하여 공간활용을 극대화할 수 있도록 한다.
본 고안은 식탁 상판에 성큰 타입으로 반찬 수납부가 구비되어 있고, 덮개를 슬라이드 식으로 개폐하는 것에 의해 냉기의 공급이 자동으로 제어되도록 되어 있으므로 식사를 위해 냉장 보관이 필요한 반찬 등을 냉장고에서 꺼내어 식탁 위에 차리거나, 식사 후 남은 반찬을 다시 접시 등의 용기에 담아 냉장고에 넣어주어야 하는 번거로운 동작을 생략할 수 있으며, 식탁에 앉은 상태에서 밥만 퍼서 곧바로 식사가 가능한 이점이 있고, 식탁 상판은 덮개로 덮인 상태에서 평면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식사 이외의 시간에는 식탁을 일반 테이블과 같이 다양한 용도로 활용하는데 전혀 지장이 없으며, 식탁 자체에 냉장공간과 수납공간을 마련함으로써 주방에서의 공간활용 및 수납을 효율적으로 할 수 있으면서도 동선을 최대한 짧게 만들어줄 수 있는 유용한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1실시 예에 의한 냉장 식탁의 사시도로, 덮개가 개방된 상태,
도 2는 도 1에서 덮개가 닫힌 상태,
도 3은 도 1의 A - A선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냉장 식탁에서 상차림이 이루어진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제2실시 예에 의한 냉장식탁의 사시도이다.
이하, 본 고안을 한정하지 않는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4에는 본 고안의 제1실시 예에 의한 냉장 식탁이 도시되어 있는데, 본 실시 예의 냉장 식탁은 상판(1) 내측에 성큰(sunken) 타입으로 형성되는 반찬 수납부(10); 상기 반찬 수납부(10)에 냉기를 공급하기 위하여 본체(2)에 구비되는 냉장시스템(20); 상기 냉장시스템(20)에서 생성된 냉기를 반찬 수납부(10)에 공급하기 위한 냉기공급구(30); 상기 반찬 수납부(10)의 상부를 덮어줄 수 있도록 상기 상판(1)에 설치되는 덮개(40)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상판(1)은 4인용 식탁을 기준으로 제작된 것으로, 가로 160cm 내외, 세로 90cm 정도이고, 상판(1) 자체의 높이는 약 15cm이다.
또, 상기 본체(2)의 높이는 약 60cm이고, 본체(2)의 전후 및 좌우의 폭은 상기 상판(1)보다 작게 형성되어 있어 사방에서 의자에 앉을 경우 상체를 상판(1)에 가깝게 밀착시키는 것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또, 본 실시 예에서, 상기 반찬 수납부(10)는 식탁의 상판(10) 둘레에서 각각 20~25cm 내측으로 위치하며, 상기 반찬 수납부(10)의 깊이는 10~15cm이고, 상기 덮개(40)는 복수로 분할되어 있고, 이 덮개(40)는 개방시 반찬 수납부(10) 측부의 식탁 상판(10) 내측에 적층되어 수납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 반찬 수납부(10)는 청소가 용이하도록 내부 바닥에 인출 가능한 트레이(12)가 안치되어 있는데, 이 트레이(12)는 상방으로 돌출된 테두리(13)를 가지고 있어 인출시 이 부분을 손으로 잡고 인출이 가능하도록 함은 물론 반찬 그릇에서 국물 등이 흐른 경우에도 트레이(12)에 떨어지도록 함으로써 반찬 수납부(10)의 바닥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한편, 상기 반찬 수납부(10)의 측부와 하부는 냉장상태의 유지를 위한 단열재(14)로 둘러져 있다.
또, 본 실시 예에서 상기 덮개(4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닫힌 상태에서 상판(10)과 동일 높이를 유지하도록 되어 있어, 식탁에서 식사를 하지 않고 다른 용도로 사용할 경우에 식탁 상판 전체가 평면을 이룸으로써 아무런 지장이 없도록 한다.
상기 반찬 수납부(10)의 일 측부에 형성된 냉기 공급구(30)는 수조작에 의해 개폐가능하도록 할 수도 있으나, 덮개(40)의 개폐동작과 연동되어 덮개(40)의 개방시에는 닫히고, 덮개(40)가 닫히면 반대로 개방되어 반찬 수납부(10)로 냉기가 공급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러한 냉기 공급구(30)의 자동적인 개폐동작은 덮개(40)의 개폐상태를 감지하기 위한 센서와 상기 센서에서 감지된 신호에 의해 상기 냉기 공급구의 셔터 등을 개폐시키기 위한 서보모터의 조합에 의해 제어될 수 있는데, 이와 같은 냉기 공급구의 구체적인 개폐동작은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당업자에 의해 자명한 사항이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 본 실시 예에서, 상기 본체(2)에는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장공간(50)과 수납공간(60)이 더 구비되어 있어 보조 냉장고로 사용하거나 식기 또는 식자재 등을 보관하는 용도로 사용함으로써 주방에서의 공간활용을 극대화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실시 예의 냉장 식탁은 식사를 하고자 할 경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식탁 상판(1) 내측의 덮개(40)를 개방하면 반찬 수납부(10)가 외부로 개방되게 되어 반찬 수납부(10)에 냉장 보관중인 여러 반찬(80)을 바로 먹을 수 있는 상태가 되게 되며, 식사를 하고자 하는 사람은 밥(90)과 국(100)을 퍼서 식탁 상판(1)위에 올린 상태에서 식사를 하면 된다.
한편, 덮개(40)를 개방하면 상술한 바와 같이 냉기 공급구(30)가 자동으로 차단되게 되므로 별도의 조작을 할 필요가 없으며, 식사 중에는 냉기가 유입되지 않으므로 전기료의 낭비를 막을 수 있음은 물론 식사 중 냉기로 인한 불편함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반찬 수납부(10)의 바닥에는 트레이(12)가 안치되어 있으므로 젓가락으로 반찬을 집다가 흘리거나 국물 등을 흘리게 되는 경우 트레이(12)를 들어 내서 청소를 하면 반찬 수납부(10)는 항상 청결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데, 상기 트레이(12)는 열전도율이 높으면서도 위생성이 우수한 스테인리스 스틸 소재로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의 소재와 형태에 대하여는 제한이 없으며, 트레이(12)의 크기도 작은 크기로 여러 개를 만들어 설치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식사 후에는 반찬 수납부(10) 내부의 반찬(80)을 다 비운 경우에는 반찬 그릇을 꺼내어 설겆이를 하면 되고, 다음 식사를 위하여 필요한 경우 다른 반찬을 그릇에 채워 넣으면 되는데, 각각의 반찬 그릇은 별도의 뚜껑을 씌우거나 랩을 씌워서 건조해지거나 냄새가 다른 반찬과 섞이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식사를 마친 후에는 반찬 수납부(10)를 정리한 후, 덮개(40)을 덮어주면 다시 냉기가 냉기 공급구(30)를 통해 유입되어 반찬을 신선한 상태로 보관하게 되며, 식탁 상판(1) 위의 밥그릇과 국그릇을 치우고 상판(1)와 덮개(40)를 깨끗하게 닦아주면 마무리가 된다.
한편, 본 고안의 냉장 식탁은 식사가 아닌 일반 용도로 사용할 경우에 상판위의 덮개(40)가 상판(1)과 동일한 높이로 편평한 상태를 이루게 되므로 여러가지 작업을 하는데 아무런 불편이 없다.
도 5에는 본 고안의 제2실시 예에 의한 냉장 식탁이 도시되어 있는데, 본 실시 예에서는 상기 상판(10)의 외측 즉, 반찬 수납부(10)의 외곽 측에 국이나 찌개 등을 조리하기 위한 핫 플레이트(70)가 더 구비되어 있다.
상기 핫 플레이트(70)는 전기 가열식 조리기로 일반 가스레인지에 비해 납작하면서도 식탁 내부에 수납 가능하므로 식사 중 뜨거운 국을 함께 즐기고자 할 경우에 찌개나 국을 올려놓고 사용하면 된다.
1 : 상판
2 : 본체
10 : 반찬 수납부
12 : 트레이
13 : 테두리
20 : 냉장시스템
30 : 냉기 공급구
40 : 덮개
50 : 냉장공간
60 : 수납공간
70 : 핫 플레이트
80 : 반찬
90 : 밥
100 : 국

Claims (6)

  1. 상판(1) 내측에 성큰(sunken) 타입으로 형성되는 반찬 수납부(10);
    상기 반찬 수납부(10)에 냉기를 공급하기 위하여 본체(2)에 구비되는 냉장시스템(20);
    상기 냉장시스템(20)에서 생성된 냉기를 반찬 수납부(10)에 공급하기 위한 냉기공급구(30);
    상기 반찬 수납부(10)의 상면을 덮어줄 수 있도록 상기 상판(1)에 설치되는 덮개(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 식탁.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반찬 수납부(10)는 상판(10의 둘레에서 20~25cm 내측으로 위치하며, 상기 반찬 수납부(10)의 깊이는 10~15cm이고, 상기 덮개(40)는 복수로 분할되어 개방시 반찬 수납부(10) 측부의 상판(1) 내측에 수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 식탁.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덮개(40)는 닫힌 상태에서 상판(1)과 동일 높이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하는 냉장 식탁.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냉기 공급구(30)는 덮개(40)의 개폐동작과 연동되어 덮개(40)의 개방시에는 닫히고, 덮개(40)가 닫히면 개방되어 반찬 수납부(10)로 냉기가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 식탁.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본체(2)는 상판(1)의 전,후,좌,우 폭보다 좁게 형성되며, 상기 본체(2)에는 냉장공간(50)과 수납공간(60)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 식탁.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상판(1)에는 핫플레이트(70)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 식탁.
KR2020140001420U 2014-02-24 2014-02-24 냉장 식탁 KR20150003274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1420U KR20150003274U (ko) 2014-02-24 2014-02-24 냉장 식탁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1420U KR20150003274U (ko) 2014-02-24 2014-02-24 냉장 식탁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3274U true KR20150003274U (ko) 2015-09-02

Family

ID=543416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40001420U KR20150003274U (ko) 2014-02-24 2014-02-24 냉장 식탁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03274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60870A (ko) 2019-11-19 2021-05-27 류광 반찬을 포함한 음식보관실이 구비된 식탁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60870A (ko) 2019-11-19 2021-05-27 류광 반찬을 포함한 음식보관실이 구비된 식탁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640484B (zh) 真空低温烹饪装置
US10986954B2 (en) Automatic cooking apparatus
JP5533931B2 (ja) 保温調理容器
JP6433746B2 (ja) 配膳車を用いた加熱調理給食方法
KR101618813B1 (ko) 다기능 식탁
JP5800403B1 (ja) 調理給食用配膳車およびこれを用いた調理給食方法
JP5992669B2 (ja) 料理の配膳方法
US9635980B2 (en) Fajita meal serving apparatus
KR20150003274U (ko) 냉장 식탁
CN105996496B (zh) 煮鱼操作台及其使用方法
US20050035109A1 (en) Keep'N"heat
KR101425615B1 (ko) 육수 가열장치
JP4056127B2 (ja) 給食の加熱配膳方法
JP6297944B2 (ja) 料理用加熱器付きテーブル
WO2015011485A1 (en) A food warmer
KR20110000964U (ko) 토담골 자율 배식대
JP2002177059A (ja) 調理保温カート及びカート用調理トレイ
KR200485728Y1 (ko) 숯불 신선로
JP3125288U (ja) 保温膳
US11559161B1 (en) Temperature regulated preparation and storage system
JP3154521U (ja) 携帯調理器
JP3055204U (ja) 飯用保温器
AU2015202129B2 (en) Automatic Cooking Apparatus
KR200378140Y1 (ko) 식탁
KR20140118396A (ko) 안전지지구와 식기겸용 냄비가 결합 또는 분리되어 적용되는 개선구조의 냄비결합물 및 그 이용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