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00964U - 토담골 자율 배식대 - Google Patents

토담골 자율 배식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00964U
KR20110000964U KR2020090009545U KR20090009545U KR20110000964U KR 20110000964 U KR20110000964 U KR 20110000964U KR 2020090009545 U KR2020090009545 U KR 2020090009545U KR 20090009545 U KR20090009545 U KR 20090009545U KR 20110000964 U KR20110000964 U KR 20110000964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rving table
food
case body
plate
upper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9000954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성종
Original Assignee
한성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성종 filed Critical 한성종
Priority to KR202009000954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00964U/ko
Publication of KR2011000096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0964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9/00Heat-insulated warming chambers; Cupboards with heating arrangements for warming kitchen utensils
    • A47J39/02Dish-warmers; Devices to keep food ho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3/00Other table equipment
    • A47G23/04Containers with means for keeping food cool or ho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24Warm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7/00Kitchen containers, stands or the lik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Cutting-boards, e.g. for bread
    • A47J47/14Carriers for prepared human foo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Devices For Warming Or Keeping Food Or Tableware Ho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배식대에 관한 것으로, 특히 배식을 실시함에 자율적인 형식을 취하므로 종업원수의 감소를 이룰 수 있고, 찬 거리의 집중 관리라는 효율을 얻을 수 있으며, 이용 손님이 알아서 반찬을 배식하므로 음식물 쓰레기의 감소가 가능하고, 음식점 종업원은 배식에 쏟을 힘을 손님의 관리에 활용하므로 손님 관리의 효율을 향상화시킬 수 있는 토담골 자율 배식대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상판(22)을 관통하여 케이스 본체(21) 내측에 설치되는 칸막이대(28)의 상면에 밥통(27)이 지지되도록 안착됨은 물론, 상판에 다수개의 접시와 밥 그릇이 위치되는 밥 배식대(20);
상판(42)에 안착되는 다수개의 사각용기(43)에 반찬이 저장되고 반찬의 변질을 방지하기 위해 냉동 제어가능한 제어판(46)이 설치되는 반찬 배식대(40);
상판(62)이 관통되어 상부로 돌출된 원형돌판(63)에 생선 조림, 카레 등과 같이 온(溫) 음식이 저장된 온 용기1,2(66)(67)가 안착되어 온(溫) 음식이 저장되는 온(溫) 음식 배식대(60);
상판(72)에 형성된 용기홈(73)에 안착된 사각용기에 누룽지 또는 국이 위치되어 중탕에 의해 보온이 유지되도는 누룽지 또는 국 배식대(80); 순서로 배식 경로가 설치되고,
반찬 배식대(40), 온(溫) 음식 배식대(60), 누룽지 또는 국 배식대(80)에는 외부 전원이 인가되는 전선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탐골 자율 배식대;를 제공한다.
Figure P2020090009545
밥 배식대, 반찬 배식대, 온(溫) 음식 배식대, 누룽지 또는 국 배식대

Description

토담골 자율 배식대{FEEDING DEVICE FOR FOODSTUFFS}
본 고안은 배식대에 관한 것으로, 특히 배식을 실시함에 자율적인 형식을 취하므로 종업원수의 감소를 이룰 수 있고, 찬 거리의 집중 관리라는 효율을 얻을 수 있으며, 이용 손님이 알아서 반찬을 배식하므로 음식물 쓰레기의 감소가 가능하고, 음식점 종업원은 배식에 쏟을 힘을 손님의 관리에 활용하므로 손님 관리의 효율을 향상화시킬 수 있으며, 특히 50 ~ 100평 규모의 일반 한정식 식당에 배치되어 사용되는 토담골 자율 배식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학교나 병원 등의 대규모 단체 급식을 위한 식당에서는 밥과 반찬과 같은 여러 가지 음식물을 다수개의 사각용기에 담아 두고 이용자가 원하는 양의 음식을 직접 덜어 먹을 수 있도록 하는 자율 배식대가 설치된다.
이러한 자율 배식대는 조리된 각각의 음식물을 소정의 크기인 뚜껑으로 덮여진 사각용기에 담아 두면 이용자는 미리 준비된 개인 식판, 식기, 또는 접시에 원하는 음식을 직접 덜어 먹을 수 있으므로 배식을 위한 별도의 인원이 요구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필요한 양 만큼만 덜어 먹게 되므로 음식물 쓰레기의 발생을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어 단체 급식을 위한 대형 식당 또는 학교 등에서 많이 이용되고 있다.
특히, 대형 식당과 학교 등은 사용자가 몇 백명에서 몇 천명에 이르는 관계로 진열식 자율 배식대가 주로 이용된다.
이와 같은 배식대의 일반적인 구조는 음식물을 담을 수 있는 다수개의 용기와 용기들이 거치될 수 있도록 중앙에는 공간이 형성되는 본체로 구성되며, 본체의 일측 혹은 양측에 식판을 슬라이딩 시킬 수 있도록 트레이가 더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체의 용기 하부에는 가열기가 구비되어 보관된 음식물이 식지 않도록 열을 가하는 구조를 제공하게 된다.
그러나, 종래의 기술에 따른 자율 배식대는 용기의 하부에 설치된 가열기가 버너 혹은 고체 연료 등을 이용하여 용기를 직접 가열하도록 구성되어 있어, 이 경우 열이 용기에 골고루 전달되지 않아 용기의 하부가 국부적으로 가열되며 음식물이 골고루 보온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위하여 최근에는 직접 가열 방식이 아닌 간접 가열 방식으로 용기 하부의 본체 공간에 물을 공급하고 이 물을 가열하여 용기 내의 음식물을 보온하도록 하는 보온 타입의 다양한 배식대가 개발되고 있다.
특히, 자율 배식대를 설치하는 경우 어떤 경로로 배식 경로를 유지하는냐에 의해 사용자의 편의성이 판가름나므로 다양한 배식 경로가 필요하다 할 것이다.
본 고안은 상술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은, 식당을 찾 는 고객인 사용자의 고객 관리의 효율을 향상화시킬 수 있음은 물론, 반찬거리의 집중 관리를 이룰 수 있어 질이 좋은 반찬 거리를 제공할 수 있고, 자율 배식대의 설치에 의해 사용자는 자기가 좋아하는 음식을 찾아 배식하게 되므로 궁극적으로 음식물 쓰레기의 감소를 이룰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종업원 수의 감소를 이룰 수 있어 이윤의 극대화를 도모할 수 있도록 하고, 50 ~ 100평 규모의 일반 한정식 식당에 배치되어 사용되는 토담골 자율 배식대;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은 상술한 목적 달성을 위해, 본 고안은, 상판을 관통하여 케이스 본체 내측에 설치되는 칸막이대의 상면에 밥통이 지지되도록 안착됨은 물론, 상판에 다수개의 접시와 밥 그릇이 위치되는 밥 배식대; 상판에 안착되는 다수개의 사각용기에 반찬이 저장되고 반찬의 변질을 방지하기 위해 냉동 제어가능한 제어판이 설치되는 반찬 배식대; 상판이 관통되어 상부로 돌출된 원형돌판에 생선 조림, 카레 등과 같이 온(溫) 음식이 저장된 온 용기1,2가 안착되어 온(溫) 음식이 저장되는 온(溫) 음식 배식대; 상판(72)에 형성된 용기홈에 안착된 사각용기에 누룽지 또는 국이 위치되어 중탕에 의해 보온이 유지되도는 누룽지 또는 국 배식대; 순서로 배식 경로가 설치되고,
반찬 배식대, 온(溫) 음식 배식대, 누룽지 또는 국 배식대에는 외부 전원이 인가되는 전선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탐골 자율 배식대;를 제공한다.
본 고안에 따른 자율 배식대는, 밥 배식대, 반찬 배식대, 온(溫) 음식 배식 대, 누룽지 또는 국 배식대의 4단계로 배식 경로를 명확하게 지정하므로 사용자의 이동 경로를 명확하게 알 수 있어 사용자가 빠른 식사를 할 수 있도록 유도가 가능하고, 이에 사용자의 관리를 빠르게 할 수 있어 점심 시간과 같이 한꺼번에 사용자가 몰리는 경우에도 안락한 식사를 위해 사용자를 정확한 자리로 인도가능하여 영업 이익을 증대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자율 배식대가 식당에 설치되므로 종업원이 일일이 다니면서 손님을 맞을 필요가 없이 배식대만을 관리할 수 있게 되므로 종업원이 감소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자율 배식대의 설치에 따라 사용자는 손쉽게 자기가 원하는 반찬을 배식하게 되므로 음식물 쓰레기의 감소라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자율 배식대의 설치에 따라 식당에 관계하는 종사자는 반찬거리를 집중적으로 관리할 수 있게 되므로 질이 좋은 반찬을 사용자 또는 손님에게 제공할 수 있게 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에, 본 고안의 자율 배식대는 50 ~ 100평 규모의 일반 한정식 식당에 배치되어 사용되는 것으로 사용자의 동선을 고려하여 제작된 관계로 업무 효율의 극대화를 도모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고안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인 내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 토담골 자율 배식대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 토담골 자율 배식대를 구성하는 밥 배식대로, (a)는 밥 배식대의 분해 사시도, (b)는 밥 배식대의 사시도, (c)는 밥 배식대의 사물함 사용 상태도, (d)는 밥 배식대의 수저통 및 젓가락통 사용 상태도, (e)는 밥 배식대의 밥통 사용 상태도, 도 3은 본 고안 토담골 자율 배식대를 구성하는 반찬 배식대로, (a)는 반찬 배식대의 사시도, (b)는 반찬 배식대의 사물함 사용 상태도, (c)는 반찬 배식대의 정면도, 도 4는 본 고안 토담 자율 배식대를 구성하는 온(溫) 음식 배식대로, (a)는 온(溫) 음식 배식대의 분해 사시도, (b)는 온(溫) 음식 배식대의 사시도, (c)는 온(溫) 음식 배식대의 용기의 사용 상태도, (d)는 온(溫) 음식 배식대의 평면도, 도 5는 본 고안 토담 자율 배식대를 구성하는 누룽지 또는 국 배식대로, (a)는 누룽지 또는 국 배식대는 분해 사시도, (b)는 누룽지 또는 국 배식대의 사시도, (c)는 누룽지 또는 국 배식대의 사물함 사용 상태도, (d)는 누룽지 또는 국 배식대의 평면 사용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d)는 누룽지 또는 국 배식대의 내부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하여서는 되지 않고, 고안자는 그 자신의 고안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본 발명의 자율 배식대(100)는, 도 1에서 알 수 있듯이, 수저, 젓가락, 포크, 접시, 밥통 등을 포함하는 밥 배식대(20)와, 반찬을 저장하는 다수의 사각용기를 포함하는 반찬 배식대(40)와, 생선 조림, 카레, 짜장 등을 저장하는 온용기1,2를 포함하는 온(溫) 음식 배식대(60)와, 누룽지 또는 국을 사각용기에 저장하는 누 룽지 또는 국 배식대(8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밥 배식대(20), 반찬 배식대(40), 온(溫) 음식 배식대(60)와 누룽지 또는 국 배식대(80)는 하부에 바퀴가 설치되어 이동이 가능한 구조를 가진다.
도 2a,b,c,d,e에서 알 수 있듯이, 상기 밥 배식대(20)는, 직사각형 형태로 상,하,좌,우,후방이 폐쇄되고 전방이 오픈된 케이스 본체(21) 상면에 상판(22)이 안착되고, 상판(22)에 대구경의 원형홀(23)이 관통형성되며, 케이스 본체(21)의 바닥 모서리에 인접하여 브라켓트를 사용하여 바퀴(24)가 결합되고, 케이스 본체(21)의 전방면에 2개의 도어(25)가 미닫이 형태로 결합되며, 상판(22)의 원형홀(23)에 밥통(27)이 삽입되어 칸막이대(28)의 상면에 밥통(27)이 지지되도록 안착된다.
또한, 밥 배식대(20)는, 상판(22)에 수저와 젓가락 또는 포크 등을 보관하는 사각용기가 안착될 수 있도록 4각홈이 2개 관통형성되고, 도어(25)를 열면 내부에 사물함(29)이 형성되므로 내부 칸막이대(28)의 상면에 접시, 밥그릇 등을 적재할 수 있게 된다.
즉, 음식점 종업원은 손잡이가 형성된 도어(25)를 열어 설거지를 실시한 접시 또는 밥 그릇 등을 미리 적재함은 물론, 사용자가 일시에 몰리는 식사시간에는 접시와 밥 그릇에 부족하지 않도록 밥 배식대(20)를 관리하게 된다.
이로 인해, 상기 밥 배식대(20)에서는, 상판(22)에 다수개의 접시 또는 밥그릇 등을 적재하여 사용자가 손쉽게 밥통(27)에 있는 밥을 배식할 수 있게 된다.
도 3a,b,c에서 알 수 있듯이, 상기 반찬 배식대(40)는, 직사각형 형태의 케이스 본체(41) 상부에 상판(42)이 안착된 상태로 일체고정되고, 상판(42)에 8개의 사각홀이 관통되어 반찬을 적재하는 사각용기(43)가 다수개 안착되며, 케이스 본체(41)의 하면 모서리에 브라켓트를 사용하여 바퀴(44)가 결합되고, 케이스 본체(41)의 전방에 2개의 도어(45)가 설치된다.
또한, 반찬 배식대(40)는, 반찬의 변질을 방지할 수 있도록 냉동 제어가능하도록 할 수 있는 제어판(46)이 도 3a를 기준으로 제일 좌측에 설치되어 있어 사각 용기(43)에 저장되는 반찬에 찬 기운을 전달할 수 있는 구조로 설치된다.
또한, 반찬 배식대(40)는, 전방의 도어(45)의 손잡이를 잡고 전방으로 열어 젖히면 내부에 칸막이대(47)가 설치되어 있어 반찬을 담을 수 있는 접시, 양념 등의 자재를 적재할 수 있도록 사물함(48)이 형성된다.
도 4a,b,c,d,e에서 알 수 있듯이, 상기 온(溫) 음식 배식대(60)는, 케이스 본체(61)의 상부에 상판(62)이 안착되고, 상판(62)에 원형돌판(63)이 상부로 돌출되며, 상판(62)의 모서리에 인접하여 크기가 축소된 사각용기 2개가 안착되고, 원형돌판(63)에 온용기1,2(66)(67)가 안착된다.
또한, 온(溫) 음식 배식대(60)는, 온용기1,2(66)(67)에 전선이 연결되어 전열되므로 생선 조림, 카레 등과 같이 온(溫) 음식이 저장 되고, 사각용기에는 온(溫) 음식을 덜어낼 수 있는 집게 또는 국자 등이 위치되며, 케이스 본체(61)의 하면 모서리에 인접하여 브라켓트를 사용하여 바퀴(64)가 결합되고, 케이스 본체(61)의 전방에 도어(65)가 설치된다.
한편, 온(溫) 음식 배식대(60)는, 케이스 본체(61)의 전방 상측면에 각각 삼각판(68)이 형성되고, 삼각판(68)의 상면에 4개의 수평봉(69)이 용접되어 결합된 다.
도 5a,b,c,d,e에서 알 수 있듯이, 상기 누룽지 또는 국 배식대(80)는, 케이스 본체(71)의 상부에 상판(72)이 안착되고, 상판(72)에 2개의 용기홈(73)이 형성되며, 용기홈(73)의 중앙에 니크롬선(74)이 설치되어 케이스 본체(71)의 내측벽에 형성된 전열부(75)에 전선(76)으로 연결되어 중탕이 가능한 구조를 이루고, 케이스 본체(71)의 하면 모서리에 브라켓트로 바퀴(77)가 결합되며, 케이스 본체(71)의 전방에 도어(78)가 설치된다.
또한, 누룽지 또는 국 배식대(80)는, 케이스 본체(71)의 전방 상측면에 각각 삼각판(81)이 형성되고, 삼각판(81)의 상면에 4개의 수평봉(82)이 용접되어 결합되며, 상판(72)의 용기홈(73)에 사각용기가 안착되고, 이때 사각용기에는 국 또는 누룽지를 넣어 중탕에 의해 따뜻하게 유지된다.
자율 배식대(100)를 구성하는 반찬 배식대(40), 온(溫) 음식 배식대(60), 누룽지 또는 국 배식대(80)에는 외부 전원을 인가하는 전선이 연결되는 한편, 이때 사용자의 동선에 방해가 되지 않도록 콘센트가 설치된 벽에 인접하여 위치를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반찬 배식대(40)에는 다수 종류의 반찬이 사각용기(43) 내에 저장되므로 여름철 반찬의 변질을 방지할 수 있도록 제어판(46)에서 적절한 온도로 유지할 수 있는 냉동 구조가 제공되고, 온(溫) 음식 배식대(60)에는 온용기1,2(66)(67) 내에 생선 조림, 카레, 감자 조림 등의 온(溫) 음식이 저장가능하며, 누룽지 또는 국 배식대(80)에는 케이스 본체(71) 내부에 설치된 전열부(75)를 통해 중탕식의 온열 구조가 제공되므로 사각용기 내에 국 또는 누룽지를 적당 온도로 저 장할 수 있다.
상기 누룽지 또는 국 배식대(80)에는, 용기홈(73) 하면에 원형 파이프가 하부로 돌출되도록 배수구가 형성되어 있어 종업원은 중탕을 실시한 후에 퇴근 전 매일같이 파이프를 연결하여 중탕된 물을 새롭게 바꿀수 있게 된다.
상기 온(溫) 음식 배식대(60)와 누룽지 또는 국 배식대(80)에는, 사용자가 배식을 실시할 때 케이스 본체 전방으로 수평하게 다수개의 수평봉이 설치되어 사용자는 위에 온(溫) 음식, 국 또는 누룽지 등과 같이 뜨거운 음식을 배식할 경우 위에 쟁반, 식판, 또는 식기, 밥그릇 등을 올려놓고 조심하면서 온용기1,2(66)(67)와 사각용기의 뚜껑을 열고 배식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사각용기는, 크기가 차이를 이룰 뿐 형태는 동일 형태를 이루고, 용기 본체와 뚜껑으로 이루어지며, 사용하지 않는 경우 용기 본체의 상면에 뚜껑을 덮어 놓고 사용하게 된다.
상기 누룽지 또는 국 배식대(80)의 전열부(75)는 급탕을 할 수 있는 일반 구조이므로 가열기 등을 사용할 수 있고 이에 그 상세한 전열 구조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였고, 상기 온(溫) 음식 배식대(60)의 온용기1,2(66)(67)는 뚜껑을 가져 열고 닫는 구조를 가지는 일반적인 형태의 용기이므로 또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였다.
도 1은 본 고안 토담골 자율 배식대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 토담골 자율 배식대를 구성하는 밥 배식대로, (a)는 밥 배식대의 분해 사시도, (b)는 밥 배식대의 사시도, (c)는 밥 배식대의 사물함 사용 상태도, (d)는 밥 배식대의 수저통 및 젓가락통 사용 상태도, (e)는 밥 배식대의 밥통 사용 상태도,
도 3은 본 고안 토담골 자율 배식대를 구성하는 반찬 배식대로, (a)는 반찬 배식대의 사시도, (b)는 반찬 배식대의 사물함 사용 상태도, (c)는 반찬 배식대의 정면도,
도 4는 본 고안 토담 자율 배식대를 구성하는 온(溫) 음식 배식대로, (a)는 온(溫) 음식 배식대의 분해 사시도, (b)는 온(溫) 음식 배식대의 사시도, (c)는 온(溫) 음식 배식대의 용기의 사용 상태도, (d)는 온(溫) 음식 배식대의 평면도,
도 5는 본 고안 토담 자율 배식대를 구성하는 누룽지 또는 국 배식대로, (a)는 누룽지 또는 국 배식대는 분해 사시도, (b)는 누룽지 또는 국 배식대의 사시도, (c)는 누룽지 또는 국 배식대의 사물함 사용 상태도, (d)는 누룽지 또는 국 배식대의 평면 사용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d)는 누룽지 또는 국 배식대의 내부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밥 배식대 21; 케이스 본체
22; 상판 23; 원형홀
24; 바퀴 25; 도어
27; 밥통 28; 칸막이대
29; 사물함 40; 반찬 배식대
41; 케이스 본체 42; 상판
43; 반찬 용기 44; 바퀴
45; 도어 46; 제어판
47; 칸막이대 48; 사물함
60; 온(溫) 음식 배식대 61; 케이스 본체
62; 상판 63; 원형 돌판
64; 바퀴 65; 도어
66,67; 온(溫) 용기1,2 68; 삼각판
69; 수평봉 71; 케이스 본체
72; 상판 73; 용기홈
74; 니크롬선 75; 전열부
76; 전선 77; 바퀴
78; 도어 80; 누룽지 또는 국 배식대
81; 삼각판 82; 수평봉
100; 자율 배식대

Claims (4)

  1. 상판(22)을 관통하여 케이스 본체(21) 내측에 설치되는 칸막이대(28)의 상면에 밥통(27)이 지지되도록 안착됨은 물론, 상판에 다수개의 접시와 밥 그릇이 위치되는 밥 배식대(20);
    상판(42)에 안착되는 다수개의 사각용기(43)에 반찬이 저장되고 반찬의 변질을 방지하기 위해 냉동 제어가능한 제어판(46)이 설치되는 반찬 배식대(40);
    상판(62)이 관통되어 상부로 돌출된 원형돌판(63)에 생선 조림, 카레 등과 같이 온(溫) 음식이 저장된 온 용기1,2(66)(67)가 안착되어 온(溫) 음식이 저장되는 온(溫) 음식 배식대(60);
    상판(72)에 형성된 용기홈(73)에 안착된 사각용기에 누룽지 또는 국이 위치되어 중탕에 의해 보온이 유지되도는 누룽지 또는 국 배식대(80); 순서로 배식 경로가 설치되고,
    반찬 배식대(40), 온(溫) 음식 배식대(60), 누룽지 또는 국 배식대(80)에는 외부 전원이 인가되는 전선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탐골 자율 배식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밥 배식대(20)는, 직사각형 형태로 상,하,좌,우,후방이 폐쇄되고 전방이 오픈된 케이스 본체(21) 상면에 상판(22)이 안착되고, 상판(22)에 대구경의 원형홀(23)이 관통형성되며, 케이스 본체(21)의 바닥 모서리에 인접하여 브라켓트를 사용하여 바퀴(24)가 결합되고, 케이스 본체(21)의 전방면에 도어(25)가 미닫이 형태로 결합되며, 케이스 본체(21)의 내측에 칸막이대(28)가 형성되어 사물함(29)이 형성되고, 상판(22)에 수저와 젓가락 또는 포크 등을 보관하는 사각용기가 안착될 수 있도록 4각홈이 관통형성되어 사각용기가 안착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탐골 자율 배식대.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온(溫) 음식 배식대(60)는, 케이스 본체(61)의 상부에 상판(62)이 안착되고, 상판(62)에 원형돌판(63)이 상부로 돌출되며, 상판(62)의 모서리에 인접하여 크기가 축소된 사각용기 2개가 안착되고, 원형돌판(63)에 안착된 온용기1,2(66)(67)에 전선이 연결되어 전열되며, 케이스 본체(61)의 하면 모서리에 인접하여 브라켓트를 사용하여 바퀴(64)가 결합되고, 케이스 본체(61)의 전방에 도어(65)가 설치되며, 케이스 본체(61)의 전방 상측면에 각각 삼각판(68)이 형성되고, 삼각판(68)의 상면에 4개의 수평봉(69)이 용접되어 결합되는 구조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토탐골 자율 배식대.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누룽지 또는 국 배식대(80)는, 케이스 본체(71)의 상부에 상판(72)이 안착되고, 상판(72)에 2개의 용기홈(73)이 형성되며, 용기홈(73)의 중앙에 니크롬선(74)이 설치되어 케이스 본체(71)의 내측벽에 형성된 전열부(75)에 전선(76)으로 연결되어 중탕 구조를 이루고, 케이스 본체(71)의 하면 모서리에 브라켓트로 바퀴(77)가 결합되며, 케이스 본체(71)의 전방에 도어(78)가 설치되고, 케이스 본체(71)의 전방 상측면에 각각 삼각판(81)이 형성되고, 삼각판(81)의 상면에 다수개의 수평봉(82)이 용접되어 결합되며, 상판(72)의 용기홈(73)에 사각용기가 안착되는 구조로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토탐골 자율 배식대.
KR2020090009545U 2009-07-22 2009-07-22 토담골 자율 배식대 KR20110000964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9545U KR20110000964U (ko) 2009-07-22 2009-07-22 토담골 자율 배식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9545U KR20110000964U (ko) 2009-07-22 2009-07-22 토담골 자율 배식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0964U true KR20110000964U (ko) 2011-01-28

Family

ID=442060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09545U KR20110000964U (ko) 2009-07-22 2009-07-22 토담골 자율 배식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00964U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5389Y1 (ko) 2017-04-04 2018-01-23 주식회사 예림푸드 이동이 용이한 위생 안전 배식대
KR102377842B1 (ko) * 2021-10-06 2022-03-25 박재민 도어 수납장 제조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5389Y1 (ko) 2017-04-04 2018-01-23 주식회사 예림푸드 이동이 용이한 위생 안전 배식대
KR102377842B1 (ko) * 2021-10-06 2022-03-25 박재민 도어 수납장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992669B2 (ja) 料理の配膳方法
CN109043913A (zh) 多功能新型调料设备及餐饮装置
NO772428L (no) Innretning til } lagre m}ltider og klargj¦re dem for utlevering
KR20110000964U (ko) 토담골 자율 배식대
KR101103510B1 (ko) 일체형 다용도 식탁
CN201426468Y (zh) 新式饭盒
JP4299282B2 (ja) 調理装置および食器収納構造
US20100230420A1 (en) System and method for serving food
JP4056127B2 (ja) 給食の加熱配膳方法
KR101893866B1 (ko) 조리된 식품 및 포장비품 보관을 위한 패스트푸드 매장용 테이블
US6686563B1 (en) Combination food preparation and self-serve delivery system
KR200431705Y1 (ko) 급식용 국 운반 서비스카
CN207976951U (zh) 一种自动售货机及其餐桌
KR200378140Y1 (ko) 식탁
US1235539A (en) Portable serving-table.
CN102197962B (zh) 三锅体结构的保温锅
KR20150003274U (ko) 냉장 식탁
JP2002186524A (ja) 給食用ワゴン
CN214678621U (zh) 一种自助可旋转抽拉式多层多格蒸笼装置
US2627970A (en) Picnic box
Wilson The Willamette Valley farm kitchen
CN201996366U (zh) 三锅体结构的保温锅
US20150250338A1 (en) Dishware with pendent side dishes attached via slots in the dishware for secure versatile attachment of the side dishes
KR200438153Y1 (ko) 테이블
KR200454450Y1 (ko) 배식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