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27544B1 - 구동 유닛 - Google Patents

구동 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27544B1
KR102127544B1 KR1020157033914A KR20157033914A KR102127544B1 KR 102127544 B1 KR102127544 B1 KR 102127544B1 KR 1020157033914 A KR1020157033914 A KR 1020157033914A KR 20157033914 A KR20157033914 A KR 20157033914A KR 102127544 B1 KR102127544 B1 KR 1021275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ive unit
pushbuttons
display
housing
contro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339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06188A (ko
Inventor
마르쿠스 그뢰들
베르톨트 그림머
다니엘 할러
빈 랑
토비아스 로쓰바흐
카를로스 마르티네즈
노르베르트 칠카
요헨 샤이블레
Original Assignee
회르비거 플로우 컨트롤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회르비거 플로우 컨트롤 게엠베하 filed Critical 회르비거 플로우 컨트롤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1600061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61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275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275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017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with operator interface un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0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 F16K31/04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using a mot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21/00Common features of fluid actuator systems; Fluid-pressure actuator systems or details thereof, not covered by any other group of this subclass
    • F15B21/08Servomotor systems incorporating electrically operated control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1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actuated by flui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7/00Special means in or on valves or other cut-off apparatus for indicating or recording operation thereof, or for enabling an alarm to be given
    • F16K37/0025Electrical or magnetic mea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12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13/14Operating parts, e.g. push-butt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ush-Button Switches (AREA)
  • Indication Of The Valve Opening Or Closing Statu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Switch Cases, Indication, And Lock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Infusion, Injection, And Reservoir Apparatuses (AREA)
  • Control Of Electric Motors In General (AREA)
  • Electrically Driven Valve-Operating Means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우징 (4), 전기적 인풋 (5), 전기기계식 컨버터 어셈블리 (69), 기계적 아웃풋 (6) 및 전자식 제어기를 포함하는, 특히 관류 조절 밸브들 (2) 을 작동시키기 위한, 구동 유닛 (3) 에 관한 것이다. 상기 제어기는 상기 하우징 (4) 을 관통하는 그리고 복원 장치의 작용에 맞서 눌려질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푸시버튼 (9) 을 갖는 인풋 유닛 (8) 과, 상기 푸시버튼에 의해 작동되는 무접촉 스위치를 포함한다. 상기 스위치를 작동시키는 상기 푸시버튼 (9) 의 위치에, 상기 스위치 자체에 독립적인 기계적 스톱이 할당된다.

Description

구동 유닛 {DRIVE UNIT}
본 발명은 하우징, 전기적 인풋, 전기기계식 컨버터 어셈블리, 기계적 아웃풋 및 전자식 제어기를 포함하는, 특히 관류 조절 밸브들을 작동시키기 위한, 구동 유닛에 관한 것이다.
관류 조절 밸브들을 작동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상기 언급된 유형의 구동 유닛들은 여러 가지 실시변형으로 선행기술에 속한다. 이와 관련하여 예컨대 하기의 공개 문헌들이 참조될 수 있다: DE 19540441 A1, WO 2011/095351 A1, EP 2101061 A1, DE 9406760 U1, EP 1418343 A1 및 WO 2011/095350 A1.
상기 설명된 선행기술에 토대를 두고, 본 발명의 목적은, - 특히 관류 조절 밸브들을 작동시키기 위해 - 이러한 구동 유닛들을 갖추고 있는 시설들의 향상된 공정안전과 관련하여 개선된 조작성 및 핸들링을 통해 특징지어지는, 상기 도입부에서 언급된 유형의 구동 유닛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 목적은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도입부에서 언급된 유형의 구동 유닛에 있어서 제어기는 하우징을 관통하는, 복원 장치의 작용에 맞서 눌려질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푸시버튼 (pushbutton) 을 갖는 인풋 유닛과, 상기 푸시버튼에 의해 작동되는 무접촉 스위치를 포함하고, 상기 스위치를 작동시키는 상기 푸시버튼의 위치에, 상기 스위치 자체에 독립적인 기계적 스톱 (mechanical stop) 이 할당됨으로써 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구동 유닛은, 다른 말로 하자면, 특수한 수단들을 통해 특징지어지고, 상기 수단들을 이용해 조작자는 밖으로부터 상기 구동 유닛의 기능에 영향을 미칠 수 있고, 즉 조작자에 의해 작동 가능한 푸시버튼이 제공됨으로써 영향을 미칠 수 있고, 상기 푸시버튼은 상기 하우징을 관통하고, 복원 장치의 작용에 맞서 기계적 스톱까지 눌려질 수 있다. 이때, 상기 스톱은 상기 제어기의 부품을 형성하는 스위치에 예속되지 않고 무접촉식으로 설계되고, 상기 푸시버튼을 통해 작동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방식으로 다수의 실무 관련 상황들을 고려한다. 한편으로는 상기 구동 유닛의 상기 제어기에의 영향력 행사가 통례적으로 위험을 방지하는 또는 불규칙적인 운전상태를 종료시키는 운전 상황들에서 수행된다는 것이 이에 속하고, 이때 이러한 상황들에서 상기 구동 유닛의 조작은 전형적으로 조용히 그리고 침착하게 수행되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어느 정도 분주하게 수행된다. 다른 한편으로는, 이러한 구동 유닛들을 갖추고 있는 시설들에서 조작자들은 통례적으로 보호 복장, 특히 보호 장갑을 끼고 있다. 이는 전형적으로 상기 구동 유닛의 섬세한 조작을 방해한다. 본 발명에 따른 구동 유닛의 설계를 통해, 그야말로 상기 푸시버튼을 누름이 상기 푸시버튼을 통해 작동된 스위치에 독립적인 기계적 스톱에 의해 제한되고, 상기 스위치 자체가 또한 무접촉식으로 작동하기 때문에, - 경우에 따라서는 실제의 또는 추정되는 비상상황에서 수행되는 - 상기 구동 유닛의 상기 제어기에 작용하는 입력 유닛에의 비교적 거친 영향력 행사가 상기 제어기 안의 손상을 초래하지 않는 것이 보장된다. 이로써, 이미 상기 푸시버튼의 실정에 맞는 작동의 범위의 밖에 있는 매우 거친 영향력 행사에 있어서조차, 상기 스위치는 온전한 채로 있고, 실정에 맞지 않는 작동에 의한 상기 전자식 제어기의 손상이 있을 수 없다. 이는 상기 구동 유닛의 신뢰성에 부합하고, 이는 선행기술에 비하면, 현저한 안전기술적 이득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제 1 바람직한 개선에 따르면, 상기 스위치는, 특히 상기 스위치가 라이트 배리어 (light barrier) 를 포함함으로써 광학적으로 설계된다. 이는 불리한 외부 조건들하에서도 특히 신뢰성 있는 스위칭 거동을 가능하게 한다; 그리고 상기 라이트 배리어의 광학적 측정 구간 안으로 침투하는 스위칭 부재 (인터럽터 (interrupter)) 는 본 발명에 따라 설계된 푸시버튼을 통해 탁월하게 작동될 수 있다. 상기 스위칭 부재는 심지어 상기 푸시버튼에, 특히 그의 단부면에 배치되고 또는 설계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스위칭 부재는 상기 푸시버튼에 독립적인 부품일 수도 있다. 이때, 광학적 스위치, 스위칭 부재 및 푸시버튼은, 상기 푸시버튼이 그의 작동시 그에 할당된 기계적 스톱에 부딪치면 상기 스위칭 부재가 상기 스위치와 (아직) 접촉하지 않도록 서로 맞춰진다.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개선은, 상기 스위치가 상기 전자식 제어기의 그 밖의 구성요소들을 받치고 있는 전자회로판 바로 위에 배치됨으로써 특징지어진다. 특히 콤팩트한 구조를 허용하는 이 설계는 그야말로 본 발명의 적용에 있어서 상기 푸시버튼을 작동시킴이 (이가 격렬할지라도) 과도한 힘작용에 의한 상기 스위치의 손상 또는 그를 받치고 있는 상기 전자회로판의 손상을 초래하는 일이 있을 수 없음으로써 가능해진다.
본 발명의 또다시 다른 바람직한 개선에 따르면, 상기 구동 유닛의 상기 하우징은 방폭 설계되고, 상기 푸시버튼은, 밀봉 시스템이 한편으로는 침투하는 액체 상태의 또는 먼지 형태의 매체를 막는 신뢰성 있는 보호를 형성하고 다른 한편으로는 방폭을 위해 중대한, 하우징과 푸시버튼 사이의 최대 공기틈 (ATEX 틈) 을 보장하는 식으로 상기 밀봉 시스템을 이용해 상기 하우징에 대해 밀봉된다. 상기 밀봉 시스템은 특히 케스케이드 (cascade) 모양으로 설계될 수 있고, 이중 시일 (doulbe seal) 을 포함할 수 있다. 특히 방폭 덮개들을 갖는 적용들을 위해, 본 발명은 특별한 장점을 갖고 적용 가능하다; 왜냐하면 상기 하우징에 대한 상기 푸시버튼의 방폭 밀봉과, 전형적으로 이로부터 발생하는, 상기 푸시버튼을 누를 때의 힘-경로 특성은, 본 발명의 상기 설명들로부터 발생하는 바와 같이, 비허용적으로 높은 힘작용에 의한, 상기 푸시버튼을 통해 작동된 상기 스위치의 위험을 초래하지 않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또다시 다른 바람직한 개선은, (상기 푸시버튼의) 복원 장치가 2단의, 압점 (pressure point) 유형으로 작용하는 복원 스프링 유닛을 포함함으로써 특징지어진다. 이에 따르면, 상기 푸시버튼은 우선, 상기 푸시버튼이 압점에 도달할 때까지는 비교적 작은 저항에 맞서 눌려질 수 있고, 상기 압점부터는, 상기 푸시버튼을 누름은 현저히 보다 큰 힘을 소모해야만 가능하다. 이는 보호 복장, 특히 보호 장갑을 끼고 있는 조작자에 의한 상기 구동 유닛의 인풋 유닛의 작동에 긍정적으로 작용한다; 왜냐하면 앞서 말한 상기 압점을 통하여, 그는 무거운 보호 장갑을 끼고 있을 때에도 상기 구동 유닛의 상기 인풋 유닛을 작동시킬 때 감지 가능한“회답”을 얻기 때문이다.
상기 푸시버튼의 누름 경로를 한정하는, 상기 스위치에 독립적인 상기 기계적 스톱은 특히 바람직하게는 조절 가능하다. 이는 - 상기 스톱의 적합한 조절을 통해 - 각각의 이용 영역의 특수한 주변조건들이 고려되는 것을 허용한다. 이렇게, 특히 심하게 오염의 위험을 받은 시설들에서의 이용을 위해 또는 쌀쌀한 기후 상태에서는, 실험실 환경에서의 적용에서는 오히려 방해가 된다고 여겨지는 큰 작동경로를 제공하는 것이 의미 있다. 또한, 상기 푸시버튼을 각각 할당된 스위치에 맞추기 위해, 상기 푸시버튼과 그를 통해 작동된 상기 스위치 간의 최적의 조절이 가능하다. 이는 기능의 신뢰성에 부합한다.
특별한 장점을 갖고, 본 발명은 상기 전자식 제어기가 전자식 디스플레이 (display) 를 구비하는 이러한 구동 유닛들에서 적용될 수 있고, 이때 특히 바람직하게는 인풋 유닛은 상기 디스플레이에 이웃하여 배치된 다수의 푸시버튼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디스플레이는 특히 (또한), 개별적인 푸시버튼들에 할당된 스위칭 기능들을 디스플레이하도록 셋업될 수 있다. 이 점에 있어서는, 본 발명의 또다시 계속되는 바람직한 개선에 따르면, 개별적인 푸시버튼들에 대한, 상기 제어기에서 효과적인 스위칭 기능들의 할당이 변경 가능하다는 것이 효과가 난다. 개별적인 푸시버튼들에 대한, 상기 제어기에서 효과적인 스위칭 기능들의 할당의 이러한 변경은 여러 가지 관점하에서 유리하다. 한편으로는, 메뉴 드리븐 (menu-driven) 제어기들에 있어서 스위칭 기능들은 상기 메뉴의 각각의 레벨에 종속되어 바뀔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는, 개별적인 푸시버튼들에 대한 특정 스위칭 기능들의 할당은 상기 구동 유닛의 각각의 장착 상황에 종속되어 수행될 수 있다. 예컨대, 이러한 방식으로, 흔히 자유로이 선택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시설 환경으로부터 발생하는 상기 구동 유닛의 장착 위치 (서 있는, 누워 있는, 매달려 있는) 에 예속되지 않고, 비상작동 (emergency actuation) 은 항상 특정 위치에 (예컨대 왼쪽 위에) 제공될 수 있다 (비상작동이 그곳에 배치된 푸시버튼에 할당됨으로써). 이는, 상기 디스플레이의 판독을 필요로 하지 않으면서, 위험 상황에서 자동적으로 그리고 직감적으로 - 여러 가지 장착 위치들에도 불구하고 시설의 전체 구동 유닛들을 위해 일치하여 (예컨대 왼쪽 위에) 배치된 - 비상 스위치가 작동될 수 있기 때문에 또다시 중대한 안전 관련 양상이다. 이는 불리한 판독조건들에서 (정전, 연기로 인한 시야 방해 때문에 어두움) 상기 구동 유닛의 비상정지를 위해 결정적인 푸시버튼이 신뢰성 있게 찾아내지고, 작동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개별적인 푸시버튼들에 대한, 상기 제어기에서 효과적인 스위칭 기능들의 상기 설명된 변경 가능한 할당은 손으로 수행될 수 있고, 즉 전형적으로 시설의 설치시 확정되고 또는 조절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바람직한 개선에 따르면, 장착 위치 센서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때 개별적인 푸시버튼들에 대한, 상기 장착 위치 센서의 신호에 종속된, 상기 스위칭 기능들의 자동적인 할당이 상기 제어기에서 수행된다. 상기 설명된 안전 관련 양상이 이 경우 시설 설치시의 적절치 않은 조절 때문에 저지될 수는 없다.
개별적인 푸시버튼들에 할당된 스위칭 기능을, 푸시버튼들이 이웃하여 배치된 상기 디스플레이에 디스플레이하는 상기 제시된 가능성의 의미에서, 상기 디스플레이는 본 발명의 또다시 다른 바람직한 개선에 따르면 운전 정보 영역과, 상기 푸시버튼들에 이웃한 적어도 하나의 작동 정보 영역을 포함하고, 이때 개별적인 푸시버튼들에 대한 기능들의 현재 할당은 상기 작동 정보 영역 (들) 에 디스플레이된다. 이때, 상기 디스플레이가 세로방향 직사각형 포맷 (format) 을 가지면 그리고 푸시버튼들 (그들 중 적어도 2개가 제공된다) 이 (경우에 따라서는 그룹지어) 상기 디스플레이의 짧은 양측에 배치되면 특히 유리하고, 이때 상기 디스플레이는 중앙에 있는, 본질적으로 정사각형인 운전 정보 영역과, 옆에 배치된 2개의 작동 정보 영역들을 구비한다. 예컨대 운전 데이터 및/또는 조작 메뉴에 관한 정보들이 디스플레이되는 상기 운전 정보 영역이 본질적으로 정사각형으로 설계됨으로써, 상기 구동 유닛의 각각의 장착 위치에 독립적인, 운전 정보들의 표시가 또다시 가능하다; 즉, 운전 정보들은, 상기 구동 유닛이 서 있게, 누워 있게 또는 매달려 있게 장착되어 있는지의 여부와 관계없이, 일치하는 표시에 있어서 조작자에게 전달된다. 이와 관련하여, 또다시 장착 위치 센서가 효과가 날 수 있고, 이때 상기 디스플레이의 상기 운전 정보 영역 안의 운전 정보들의 표시의 배향은 자동적으로 상기 장착 위치 센서의 신호에 종속되어 수행된다.
원격 감시 및/또는 원격 작동과 관련하여, 상기 구동 유닛의 상기 제어기는 또한 바람직하게는 무선 데이터 전달을 위한 인터페이스를 구비한다. 이 경우, 유선 데이터 전달에 있어서 부설에 상응하는 신호 라인 및 제어 라인과 연관된 비용이 생략된다. 추가적으로, 이로써 특히, 불리한 장착상황에서 운전 정보들은 쉽게 접근 가능한, 장치에 독립적인 장소에서 열람될 수 있고, 처리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로 설계된 구동 유닛들에 있어서 명백히 장점을 갖고 적용될 수 있다. 물론, 이 점에 있어서는 특히 바람직한 구동 유닛의 개선은, 전기기계식 컨버터 어셈블리가 전기 유체식 제 1 컨버터 스테이지 (converter stage) 와 유체 기계식 제 2 컨버터 스테이지를 포함함으로써 2단으로 설계됨으로써 특징지어진다. 예컨대 비상작동 (전류공급의 중지) 을 위해 유체 에너지를 제공하는 가능성과 같은 안전 관련 양상은 상기 구동 유닛의 이러한 설계를 지지하고, 이때 특히 이 경우, 상기에서 상세히 설명된 여러 가지의 안전 관련 양상들과 본 발명의 장점들은 공동 작용적으로 유익하게 작용한다.
또한 밖으로부터 작동될 수 있는, 상기 제어기에 작용하는 운전 모드 스위치가 상기 하우징에 배치될 수 있고, 상기 운전 모드 스위치를 이용해, 예컨대 한편으로는 상기 구동 유닛에의 자동적인 또는 원격 작동된 영향력 행사와 다른 한편으로는 상기 구동 유닛에의 수동 (manual) 영향력 행사 사이에서 전환될 수 있다. 상기 운전 모드 스위치의 의도치 않은 조절을 저지하기 위해, 상기 운전 모드 스위치는 특히 기계적으로 록킹될 수 있다. 또한, 그는 폐쇄 가능하게 설계될 수 있고, 따라서 권리를 부여받은 사람만 상기 운전 모드 스위치의 조절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설명들로부터 발생하는 바와 같이 그리고 단지 완벽을 기하기 위해 여기에서 또 한 번 강조되는 바와 같이, 여러 가지 구동 유닛들에 적용 가능하다. 예컨대, 상기 구동 유닛의 상기 기계적 아웃풋은 선형 운동, 회전 운동 또는 그 밖의 운동을 실행할 수 있다. 또한, 전기 유체식 제 1 컨버터 스테이지를 갖는 2단 전기기계식 컨버터 어셈블리의 경우, 전기 유압식 또는 전기 공압식 제 1 컨버터 스테이지가 이용될 수 있다. 또한, 푸시버튼들에 작용하는 복원 장치들은 여러 가지로 설계될 수 있고, 즉 기계식 대신에 예컨대 공압식으로, 유압식으로, 전기식으로 또는 그와 같이 설계될 수 있다. 또한, 무접촉식으로 작동하는 스위치의 설계를 위해서도, 가능한 기술적 구체화들의 큰 다양성이 존재한다.
이하,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들을 근거로 상세히 설명된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관류 조절 밸브에 부착된, 그를 작동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구동 유닛을 투시도로 나타내고,
도 2 는 구동 유닛의 인풋 유닛의 영역에서, 도 1 에 도시된 구동 유닛을 통한 수평 단면도를 나타내고,
도 3 은 본 발명의 범위에서 이용 가능한 푸시버튼-스위치 유닛을 도식적으로 나타내고,
도 4 는 본 발명의 범위에서 이용 가능한 제 2 푸시버튼-스위치 유닛을 도식적으로 나타내고,
도 5 는 본 발명의 범위에서 이용 가능한 제 3 푸시버튼-스위치 유닛을 도식적으로 나타내고,
도 6 은 본 발명의 범위에서 이용 가능한 제 4 푸시버튼-스위치 유닛을 도식적으로 나타내고,
도 7 은 본 발명의 범위에서 이용 가능한 제 5 푸시버튼-스위치 유닛을 도식적으로 나타내고,
도 8 은 구동 유닛이 서 있는 배열에 있어서, 도 1 에 따른 구동 유닛의 인풋 유닛의 조작 표면을 나타내고,
도 9 는 구동 유닛이 누워 있는 배열에 있어서, 도 1 에 따른 구동 유닛의 인풋 유닛의 조작 표면을 나타낸다.
도 1 에 도시된, 지지 구조 (1) 를 통하여 관류 조절 밸브 (2) 위에 놓인, 그리고 그를 작동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구동 유닛 (3) 은 하우징 (4) 을 포함한다. 상기 하우징 안에는 - 그 자체가 공지된 방식으로 - 전기기계식 컨버터 어셈블리 (69) 가 수용되고, 상기 컨버터 어셈블리는 전기적 인풋 (5) 과 기계적 아웃풋 (6) 을 구비하고, (예컨대 WO 2011/095351 A1 의 의미에서) 전기 유체식 제 1 컨버터 스테이지 (70) 와 유체 기계식 제 2 컨버터 스테이지 (71) 를 포함함으로써 2단으로 설계된다. 전기기계식 컨버터 어셈블리 (69) 의 - 선형 운동들 (화살표 A) 을 실행하는 - 기계적 아웃풋 (6) 은 관류 조절 밸브 (2) 의 인풋 (7) 과 커플링된다.
구동 유닛 (3) 은 또한 하우징 (4) 의 내부에 배치된 전자식 제어기를 구비한다. 인풋 유닛 (8) 을 통하여 설정이 상기 제어기에서 수행될 수 있다. 인풋 유닛 (8) 은 하우징 (4) 을 관통하는, 어느 정도 상기 하우징 밖으로 돌출하는 4개의 푸시버튼 (9) 을 포함한다. 상기 푸시버튼들은 각각 둘씩 그룹지어 디스플레이 (10) 에 이웃하여 양측에 배치되고, 상기 디스플레이는 인풋 유닛 (8) 에 대해 추가적으로 조작 표면 (11) 의 그 밖의 부품이다. 상기 조작 표면은 하우징 (4) 의 함지 모양의 오목부 (12) 안에 보호되어 수용된다.
또한, 상기 제어기에 작용하는 운전 모드 스위치 (13) 가 하우징 (4) 에 배치된다. 상기 운전 모드 스위치는 회전 손잡이 (14) 로서 설계되고, 3개의 위치에서 기계적으로 록킹될 수 있다. 거리를 두고 상기 제어기에 개입하기 위한 그리고 구동 유닛 (3) 의 원격 감시를 위한 목적으로, 상기 제어기는 또한 유선 통신 인터페이스 (65) 이외에 무선 데이터 전달을 위한 (예컨대 WLAN 또는 Bluetooth-전달 표준을 갖는) 인터페이스를 구비한다.
디스플레이 (10) 는 하우징 (4) 안으로 하우징 관통부 (15) 뒤에 삽입되고, 즉 하우징 관통부 (15) 에 대해 하우징 (4) 의 내부 쪽으로 옮겨진다. 하우징 관통부 (15) 는 하우징 (4) 의 내면에서 보호 유리 플레이트 (16) 에 의해 덮혀 지고, 상기 보호 유리 플레이트는 하우징 관통부 (15) 를 빙 둘러 경계짓는 테 (17) 와 겹치고, 이때 상기 겹침의 영역에 주변 시일 (18) 이 배치된다. 보호 유리 플레이트 (16) 는 하우징 (4) 안에 리셉터클 (19) 을 이용해 고정되고, 상기 리셉터클은 하우징 (4) 에 설계된 너트 나사 (nut thread, 20) 안으로 나사결합된다. 리셉터클 (19) 에는, 홀더 (21) 를 통하여 디스플레이 (10) 도 고정된다.
푸시버튼들 (9) 은 이동 가능하게, 즉 그들의 축을 따라서 눌려질 수 있게 (화살표 B), 연장된 보어들 (22) 안에 안내되고, 상기 보어들은 그들의 편에서 하우징 (4) 의 상응하는 강화부들 (23) 안에 설계된다. 보어들 (22) 은 계단형 보어들로서 형성되고, 따라서 각각의 푸시버튼 (9) 의 비작동시 상기 푸시버튼의 칼라 모양의 확장부 (24) 는 - 복원 스프링 (25) 으로서 설계된 - 복원 장치 (26) 의 작용하에 보어 (22) 의 단 (step, 27) 에 내리눌려진다. 단 (27) 은 이러한 방식으로 - 해당 푸시버튼 (9) 의 기본위치 (비 작동위치) 를 정의하는 - 제 1 스톱 (28) 을 형성한다. 푸시버튼 (9) 이 복원 장치 (26) 의 작용에 맞서 눌려질 수 있는 경로를 제한하는 제 2 스톱 (29) 은 하우징 (4) 의 강화부 (23) 에 고정된 스톱 플레이트 (30) 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스톱 플레이트는 푸시버튼 (9) 에 설계된 오프셋부 (31) 와 함께 작용한다.
스톱 플레이트 (30) 는 각각 관통부 (32) 를 구비하고, 상기 관통부를 관통하여, 정면측에 푸시버튼 (9) 에 존재하는 스위칭 부재 (33) 가 돌출한다. 스위칭 부재 (33) 는 인터럽터 (34) 로서 설계되고, 상기 인터럽터는 - 광학적 광원 (66) 및 그와 마주 보고 배치된 검출기 (67) 로 구성되는 - 라이트 배리어 (35) 와 함께 작용하고, 상기 라이트 배리어는 상기 제어기에 할당된 무접촉 스위치 (36) 의 부품이다. 즉, 인터럽터 (3) 는 푸시버튼 (9) 의 작동시 라이트 배리어 (35) 의 측정 틈 (37) 안으로 침입하고, 이를 통해 해당 스위치 (36) 의 스위칭 상태가 변한다. 이때, 스위치 (36) 를 작동시키는 푸시버튼 (9) 의 위치 또는 마지막 위치가 스위치 (36) 자체에 의해 정의되어 있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위에서 설명된, 상기 스위치에 독립적인 제 2 기계적 스톱 (29) 에 의해 정의되어 있다는 것이 결정적이다.
이때, 4개의 푸시버튼 (9) 에 할당된 4개의 스위치 (36) 는 전자회로판 (38) 바로 위에 배치되고, 상기 전자회로판은 또한 상기 전자식 제어기의 그 밖의 구성요소들 (39) 을 받치고 있고, 홀더들 (40) 을 이용해 하우징 (4) 안에 고정된다. 오염 물질들, 특히 액체 상태의 그리고 기체 상태의 매체들과 먼지들이 하우징 (4) 의 내부로 침투하는 것을 저지하기 위해, 푸시버튼들 (9) 은 또한 적합한 시일들 (41) 에 의해 각각의 보어 (22) 에 대해 밀봉된다. 이를 위해, 도 2 에 따르면, 각각 O 링 (42) 이 해당 푸시버튼 (9) 의 환형 그루브 (43) 안으로 삽입된다. 이와 달리, 그 외에는 본질적으로 도 2 에 도시된 푸시버튼-스위치 그룹들을 도식적으로 도시하는 도 3 은 보어 (22) 안에 제공된 환형 그루브 (45) 안에서의 O 링 (44) 의 수용을 나타낸다.
도 4 는 복원 장치 (26) 를 2단의, 압점 유형으로 작용하는 복원 스프링 유닛 (46) 의 형태로 설계하는 가능성을 도식적으로 도시한다. 스톱 플레이트 (30) 와 푸시버튼 (9) 의 단부면 (47) 사이에는 영속적으로, 즉 보어 (22) 의 내부에서의 상기 푸시버튼의 각각의 위치에 있어서 제 1 복원 스프링 (48) 이 작용한다. 이와 달리, - 마찬가지로 스톱 플레이트 (30) 와 푸시버튼 (9) 의 단부면 (47) 사이에 배치된 - 제 2 복원 스프링 (49) 은, 상기 푸시버튼이 - 제 1 복원 스프링 (48) 의 힘에 맞서 - 라이트 배리어 (35) (도 3 참조) 를 아직 스위칭하지 않는 특정 정도 만큼 눌려지면 비로소 푸시버튼 (9) 의 단부면 (47) 에 밀착하게 된다. 스톱 플레이트 (30) 에 안내 및 스톱 슬리브 (50) (대안적으로, 예컨대 다수의 개별적인 스톱들도 고려된다) 가 배치되고, 상기 안내 및 스톱 슬리브는 제 1 복원 스프링 (48) 과 제 2 복원 스프링 (49) 사이에 연장되고, 그의 단부면 (51) 은 푸시버튼 (9) 의 단부면 (47) 과의 협력하에 본래의 제 2 스톱 (52) 을 형성한다.
도 5 는 도 3 의 변화에 있어서, 케스케이드 모양의 이중 시일 (54) 을 갖는 밀봉 시스템 (53) 을 통한, 하우징 (4) 에 대한 푸시버튼 (9) 의 밀봉을 도시한다. 이는 - 하우징 (4) 의 상응하는 설계와 함께 - 부적당한 이용조건들하에서의 구동 유닛 (3) 의 적용에 있어서 매체들의 침투를 막는 필요한 보호등급을 보장하는 가능성을 나타낸다. 동시에, 하우징과 푸시버튼 사이의, 방폭을 위해 중대한 최대 공기틈이 유지된 채로 있다.
마찬가지로 도 3 의 변화에 있어서, 도 6 은 제 2 스톱 (55) 을 조절 가능하게 설계하는 가능성을 도시한다. 보다 정확히 말하면, 하우징 (4) 에 고정된 스톱 플레이트 (30) 안으로, 즉 그에 설계된 나사 보어 (threaded bore, 56) 안으로 스톱 슬리브 (57) 가 나사결합된다. 상기 스톱 슬리브의 단부면 (58) 이 푸시버튼 (9) 의 오프셋부 (31) 와의 협력하에 본래의 제 2 스톱 (55) 을 형성하는 상기 스톱 슬리브 (57) 의 비틀림을 통해, 상기 스톱 슬리브의 침입 깊이 그리고 이로써 상기 푸시버튼의 작동시의 (화살표 B) 푸시버튼 (9) 의 마지막 위치가 변할 수 있다.
도 7 은 푸시버튼 (9) 을 위한 조절 가능한 제 2 스톱 (59) 의 바람직한 대안적인 실시를 도시한다.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 푸시버튼 (9) 의 돌출부 (60) 는 수나사를 구비하고, 너트 나사를 구비하는, 하우징에 고정된 스톱 플레이트 (30) 와 함께 작용하는 스톱 디스크 (62) 는 상기 수나사 위에 나사결합되고, 상기 돌출부의 마지막 섹션 (61) 은 라이트 배리어 (35) (도 3 참조) 와 함께 작용하는 스위칭 부재 (33) 를 형성한다. 바람직하게는, 운전시 의도치 않은 풀림이 있을 수 없도록, 스톱 디스크 (62) 는 두 분으로 설계되어 서로 클램핑된다. 스톱 디스크 (62) 의 비틀림을 통해, 스위치 (36) (도 3 참조) 를 스위칭하는 푸시버튼 (9) 의 마지막 위치가 변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10) 는 도 1 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그리고 도 8 및 도 9 가 보다 상세히 도시하는 바와 같이 세로방향 직사각형으로 설계된다. 스크린 영역은 세 부분으로 나뉘어져 세분된다. 상기 스크린 영역은 상기 디스플레이의 중간 부분을 차지하는, 대략 정사각형인 포맷의, 운전 정보 영역 (63) 과, 2개의 옆의, 푸시버튼들 (9) 에 이웃한 작동 정보 영역들 (64) 을 포함한다. 개별적인 푸시버튼들 (9) 에 각각 할당된 현재의 제어 기술적 기능은 두 작동 정보 영역들 (64) 에 디스플레이되고, 상기 기능은 상기 제어기의 각각의 메뉴레벨에 의존할 뿐만 아니라 구동 유닛 (3) 의 장착 위치에도 의존한다.
구동 유닛 (3) 은 장착 위치 센서 (68) 를 구비한다. 디스플레이 (10) 상의 운전 정보들의 표시 및 푸시버튼 할당의 표시는 장착 위치 센서 (68) 를 통해 검출된 구동 유닛 (3) 의 각각의 장착 위치에 종속되어, 즉 (도 1 에 도시된) 서 있는 장착 위치에 종속되어, (90°만큼 회전된) 누워 있는 장착 위치에 종속되어 또는 (180°만큼 회전된) 매달려 있는 장착 위치에 종속되어 자동적으로 수행된다. 도 8 은 구동 유닛 (3) 의 서 있는 장착 위치에 있어서 (도 1) 운전 정보들과 작동 정보들을 갖는 디스플레이 (10) 상의 예시적인 표시를 갖는 조작 표면 (11) 을 나타낸다. 동일한 운전상황에서의, 하지만 90°만큼 회전된, 구동 유닛 (3) 의 누워 있는 장착 위치에 있어서의 디스플레이 (10) 의 표시는 도 9 에 도시된다. 상기 제어기에서 상기 장착 위치 센서의 신호를 상응하여 고려하여, 구동 유닛 (3) 의 전체 장착 위치들에 있어서, 운전 정보 영역 (63) 안의 운전 정보들의 표시의 (공간 방향으로) 일치하는 배향과, 두 작동 정보 영역들 (64) 안에서의 4개의 푸시버튼 (9) 의 기능 할당의 (공간 방향으로) 일치하는 배열 (왼쪽 위:“비상정지” 왼쪽 아래:“한 레벨 뒤로”, 오른쪽 위:“페이지 넘기기”, 오른쪽 아래:“그만두기”) 이 수행된다. 이때, 기능 “비상정지” 는 또한 전체 메뉴레벨에 있어서도 항상 상기 왼쪽 위에 배치된 푸시버튼 (9) 에 할당된다.

Claims (17)

  1. 하우징 (4), 전기적 인풋 (5), 전기기계식 컨버터 어셈블리 (69), 기계적 아웃풋 (6) 및 전자식 제어기를 포함하는, 관류 조절 밸브들 (2) 을 작동시키기 위한, 구동 유닛 (3) 으로서,
    상기 제어기는 전자식 디스플레이 (10) 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기는 상기 하우징 (4) 을 관통하는, 상기 디스플레이 (10) 에 이웃하여 배치된, 복원 장치 (26) 의 작용에 맞서 눌려질 수 있는 다수의 푸시버튼 (9) 을 갖는 인풋 유닛 (8) 을 포함하고,
    푸시버튼들 (9) 에 의해 작동된 무접촉 스위치들 (36) 로서, 상기 스위치들 (36) 들을 작동시키는 상기 푸시버튼들 (9) 의 위치들에, 상기 스위치들 (36) 자체에 독립적인 기계적 스톱들 (29, 52, 55, 59) 이 할당되고,
    또한, 상기 제어기에서 작용하는 스위칭 기능들의 개별적인 상기 푸시버튼들 (9) 로의 할당은 변경 가능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10) 는 운전 정보 영역 (63) 과, 상기 푸시버튼들 (9) 에 이웃한 적어도 하나의 작동 정보 영역 (64) 을 포함하고,
    개별적인 상기 푸시버튼들 (9) 에 대한 기능의 현재 할당은 상기 작동 정보 영역 (64) 에 디스플레이되는, 상기 푸시버튼들 (9) 에 의해 작동되는 무접촉 스위치들 (36) 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 유닛 (3).
  2. 제 1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스위치 (36) 는, 상기 스위치가 라이트 배리어 (light barrier, 35) 를 포함함으로써 광학적으로 설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 유닛.
  3. 제 1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스위치 (36) 는 전자회로판 (38) 바로 위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 유닛.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4) 은 방폭 설계되고, 상기 푸시버튼들 (9) 은 방폭 밀봉 시스템 (53) 을 이용해 상기 하우징 (4) 에 대해 밀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 유닛.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 시스템 (53) 은 케스케이드 (cascade) 모양으로 설계된 적어도 하나의 이중 시일 (double seal, 54)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 유닛.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복원 장치 (26) 는 2단의, 압점 유형으로 작용하는 복원 스프링 유닛 (46)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 유닛.
  7.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계적 스톱 (55, 59) 은 조절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 유닛.
  8.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장착 위치 센서 (68) 가 제공되고,
    개별적인 상기 푸시버튼들 (9) 에 대한, 상기 장착 위치 센서의 신호에 종속되는, 스위칭 기능들의 자동적인 할당은 상기 제어기에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 유닛.
  9.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장착 위치 센서 (68) 가 제공되고,
    상기 디스플레이 (10) 의 운전 정보 영역 (63) 안의 운전 정보들의 표시의 배향은 상기 장착 위치 센서의 신호에 종속되어 자동적으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 유닛.
  10.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10) 는 세로방향 직사각형 포맷을 가지며, 적어도 2개의 푸시버튼 (9) 이 제공되고, 상기 푸시버튼들은 그룹지어 상기 디스플레이 (10) 의 짧은 양측에 배치되고,
    상기 디스플레이 (10) 는 중앙에 있는, 본질적으로 정사각형인 운전 정보 영역 (63) 과, 옆에 배치된 2개의 작동 정보 영역들 (64) 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 유닛.
  11.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외부 유선 통신 인터페이스 (65), 및 무선 데이터전달을 위한 인터페이스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 유닛.
  12.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기계식 컨버터 어셈블리 (69) 는 전기 유체식 제 1 컨버터 스테이지 (70) 와 유체 기계식 제 2 컨버터 스테이지 (71)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 유닛.
  13.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에 작용하는, 또는 기계적으로 록킹될 수 있는 운전 모드 스위치 (13) 가 상기 하우징 (4) 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 유닛.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KR1020157033914A 2013-05-10 2014-05-09 구동 유닛 KR10212754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3007927.6A DE102013007927B4 (de) 2013-05-10 2013-05-10 Antriebseinheit
DE102013007927.6 2013-05-10
PCT/EP2014/001247 WO2014180573A1 (de) 2013-05-10 2014-05-09 Antriebseinhei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6188A KR20160006188A (ko) 2016-01-18
KR102127544B1 true KR102127544B1 (ko) 2020-06-26

Family

ID=506936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33914A KR102127544B1 (ko) 2013-05-10 2014-05-09 구동 유닛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9807892B2 (ko)
EP (1) EP2994676B1 (ko)
JP (1) JP6381634B2 (ko)
KR (1) KR102127544B1 (ko)
CN (1) CN105378355B (ko)
BR (1) BR112015027908B1 (ko)
DE (1) DE102013007927B4 (ko)
RU (1) RU2646994C2 (ko)
WO (1) WO201418057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3007927B4 (de) 2013-05-10 2014-12-24 Hoerbiger Automatisierungstechnik Holding Gmbh Antriebseinheit
SG10201909490SA (en) * 2015-05-12 2019-11-28 Entegris Inc Valve assemblies and fluid storage and dispensing packages comprising same
CN110382934B (zh) * 2017-03-17 2021-09-10 株式会社富士金 流体控制设备
JP7032912B2 (ja) * 2017-11-17 2022-03-09 ホーチキ株式会社 制御弁装置
DE102018009544A1 (de) * 2018-11-29 2020-06-04 Serafettin Kesim Taster Hubdruckvorrichtung für Elektro- und Automaten Anlagen
CA3122774A1 (en) 2018-12-31 2020-07-09 Repligen Corporation Filter for mammalian cell culture perfusion and clarification with hydrophobic hollow fiber
CN110220015A (zh) * 2019-06-28 2019-09-10 上海舒井汽车系统科技有限公司 一种含气阀的气泵组合开关
DE102019124151A1 (de) * 2019-09-09 2021-03-11 Auma Riester Gmbh & Co. Kg Elektrischer Stellantrieb, elektronisches Baukastensystem und Stellantrieb mit einem DC-Motor
DE102019133555A1 (de) * 2019-12-09 2021-06-10 Vat Holding Ag Vakuumventil oder Vakuumtür
CN113433264A (zh) * 2020-03-23 2021-09-24 上海烟草集团有限责任公司 一种用于触发型烟支的转盘式抽吸设备
DE112021002442T5 (de) * 2020-04-21 2023-02-16 Phaedrus, Llc Ventilaktuator, System und Verfahren für Dampfeinspritzventile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777327A1 (de) 1995-11-30 1997-06-04 Haschkamp, Joachim, Dipl.-Ing. Drucktastenschalter für Haushaltsgeräte
DE19807375A1 (de) 1997-10-14 1999-06-10 Elan Schaltelemente Gmbh Tastenschalteinrichtung
US20030050713A1 (en) 2001-07-20 2003-03-13 Frank Piersanti Fire detection system and method for configuring
US20050016592A1 (en) 2001-11-13 2005-01-27 Jeromson Peter James Process control valve
US20080290039A1 (en) 2007-05-13 2008-11-27 King Joseph A Control system
DE102008058364A1 (de) 2008-11-20 2010-06-02 Dieter Herber Heizkörperregler mit drehbarem Bedienteil
US20120081845A1 (en) 2010-09-30 2012-04-05 Kabushiki Kaisha Toshiba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US20120227983A1 (en) 2010-08-04 2012-09-13 David Lymberopoulos Safety valve control system and method of use

Family Cites Families (3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D124698A1 (ko) * 1976-03-31 1977-03-09
GB2197075A (en) * 1986-11-06 1988-05-11 Eaton Corp Explosion proof housing with magnetically actuated input device
JPH01172688A (ja) * 1987-12-25 1989-07-07 Fujikin Inc 電磁弁
JPH0743881Y2 (ja) * 1989-05-22 1995-10-09 オムロン株式会社 リミツトスイツチのシール構造
RU2085757C1 (ru) * 1991-10-11 1997-07-27 Катерпиллар Инк. Блок привода и клапана для форсунки с гидравлическим приводом и электронным управлением
CN2168285Y (zh) * 1993-10-07 1994-06-08 英业达股份有限公司 一种计算机键盘
US5777603A (en) * 1993-11-05 1998-07-07 Intertactile Technologies Corporation Flat panel display with optical signal transparent zone
DE9406760U1 (de) * 1994-04-22 1994-08-18 Pleiger Maschf Paul Kompakte Antriebseinheit für Armaturen, insbesondere im Schiffbau
JPH09115377A (ja) * 1995-10-23 1997-05-02 Tokai Rika Co Ltd 車両用空調機の操作装置
DE19540441A1 (de) * 1995-10-27 1997-04-30 Schubert & Salzer Control Syst Mikroprozessorgesteuerter Stellungsregler
US6546297B1 (en) * 1998-11-03 2003-04-08 Robertshaw Controls Company Distributed life cycle development tool for controls
EP1021074B1 (en) * 1999-01-15 2012-06-20 The Boeing Company Solid state flight deck panels and components thereof
US6422532B1 (en) * 2000-03-01 2002-07-23 Invensys Systems, Inc. Severe service valve positioner
AU2001245873A1 (en) * 2000-03-21 2001-10-03 Ross Operating Valve Company Wireless, intrinsically safe valve
US6642919B1 (en) * 2000-04-18 2003-11-04 Intertactile Technologies Corporation Integrated electrical controls and graphics display screens
WO2002017237A2 (en) * 2000-08-23 2002-02-28 Bacou Usa Safety, Inc. Identification and accountability system and method
JP2004026078A (ja) * 2002-06-27 2004-01-29 Clarion Co Ltd 表示切り替えおよび操作モード切り替え装置
US7185876B2 (en) * 2002-10-12 2007-03-06 Technical Concepts, Llc Overrun braking system and method
FR2847116A1 (fr) * 2002-11-07 2004-05-14 Ksb Sas Dispositif de commande d'un actionneur electro-hydraulique integre
DE202005006795U1 (de) * 2005-04-22 2005-07-21 Festo Ag & Co. Antriebsvorrichtung mit Stellungsregler
US8160750B2 (en) * 2005-06-17 2012-04-17 Rain Bird Corporation Programmable irrigation controller having user interface
JP2008242212A (ja) * 2007-03-28 2008-10-09 Sony Corp 電子機器
DE102008014539A1 (de) * 2008-03-15 2009-09-17 Hoerbiger Automatisierungstechnik Holding Gmbh Hydromechanisches System
JP3157483U (ja) * 2009-12-04 2010-02-18 島津エミット株式会社 電動バルブアクチュエータ
DE102010007137A1 (de) * 2010-02-05 2011-08-11 Hoerbiger Automatisierungstechnik Holding GmbH, 86956 Fluidbetätigter Stellantrieb an einer Armatur
DE102010007152B4 (de) * 2010-02-05 2017-03-30 Hoerbiger Automatisierungstechnik Holding Gmbh Fluidbetätigter Stellantrieb an einer Armatur
DE102010045974A1 (de) * 2010-09-18 2012-03-22 Volkswagen Ag Anzeige- und Bedienvorrichtung in einem Kraftfahrzeug
CN202091600U (zh) * 2011-06-15 2011-12-28 鞍山拜尔自控有限公司 可就地设定直接调节热工参数的调节阀
US9519382B2 (en) * 2011-09-02 2016-12-13 Sony Corporation Touch panel device and portable information terminal including touch panel device
CN202691262U (zh) * 2012-07-21 2013-01-23 卓旦春 具有参数显示功能的动态平衡电动调节阀
US20140308930A1 (en) * 2013-04-12 2014-10-16 Bao Tran Timely, glanceable information on a wearable device
DE102013007927B4 (de) 2013-05-10 2014-12-24 Hoerbiger Automatisierungstechnik Holding Gmbh Antriebseinheit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777327A1 (de) 1995-11-30 1997-06-04 Haschkamp, Joachim, Dipl.-Ing. Drucktastenschalter für Haushaltsgeräte
DE19807375A1 (de) 1997-10-14 1999-06-10 Elan Schaltelemente Gmbh Tastenschalteinrichtung
US20030050713A1 (en) 2001-07-20 2003-03-13 Frank Piersanti Fire detection system and method for configuring
US20050016592A1 (en) 2001-11-13 2005-01-27 Jeromson Peter James Process control valve
US20080290039A1 (en) 2007-05-13 2008-11-27 King Joseph A Control system
DE102008058364A1 (de) 2008-11-20 2010-06-02 Dieter Herber Heizkörperregler mit drehbarem Bedienteil
US20120227983A1 (en) 2010-08-04 2012-09-13 David Lymberopoulos Safety valve control system and method of use
US20120081845A1 (en) 2010-09-30 2012-04-05 Kabushiki Kaisha Toshiba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02013007927A1 (de) 2014-11-13
WO2014180573A1 (de) 2014-11-13
US9807892B2 (en) 2017-10-31
DE102013007927B4 (de) 2014-12-24
EP2994676A1 (de) 2016-03-16
KR20160006188A (ko) 2016-01-18
EP2994676B1 (de) 2017-08-02
RU2015148053A (ru) 2017-06-20
US20160066443A1 (en) 2016-03-03
CN105378355A (zh) 2016-03-02
JP2016517943A (ja) 2016-06-20
BR112015027908A2 (pt) 2017-07-25
CN105378355B (zh) 2019-01-01
RU2646994C2 (ru) 2018-03-13
BR112015027908B1 (pt) 2022-05-03
JP6381634B2 (ja) 2018-08-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27544B1 (ko) 구동 유닛
US7230611B2 (en) HMI device with optical touch screen
US8424563B2 (en) Compact valve position indicator
CA3012232C (en) Actuating multiple features of a device located in an explosion-proof enclosure
CN205195054U (zh) 用于具有环境保护的壳体的开关设备
AR054008A1 (es) Aparato para controlar un conjunto de control de presion en un area peligrosa
JP2012509553A (ja) 昇降装置を手動で作動させるための操作装置
US20180009096A1 (en) Hand-held power tool and device comprising the hand-held power tool
KR20160003717A (ko) 레버 밸브
US8988020B1 (en) Motor operator system for a power switch with travel set with three positions for ground or double-throw type switch
US20140239162A1 (en) Switch
CN203099057U (zh) 用于流体控制装置监测的设备
WO2008148652A3 (de) Schnell montierbares sensorgehäuse für sensoren mit luftkontakt
CN108253734B (zh) 用于真空干燥罐的拉绳安全装置及真空干燥罐
KR101782688B1 (ko) 비상정지버튼스위치와 전원공급스위치가 일체형으로 구성된 산업용 리모컨
CN214780038U (zh) 一种物联无接触操控多功能电梯
KR102530647B1 (ko) 밸브 긴급 차단 장치
CN203101093U (zh) 用于处理组织病理学试样的具有触摸屏的设备
KR101383514B1 (ko) 이벤트 레코딩 기능을 갖는 블랙박스 내장형 수배전반
KR0129842Y1 (ko) 수류 감지장치
CN106531514A (zh) 一种防水遥控器
CN106531510A (zh) 一种防水轻触开关
KR200382953Y1 (ko) 판넬스위치의 오조작 방지용 안전캡
JP2016009816A (ja) キャビネットのファン取り付け構造
CN105756476A (zh) 一种智能化全封闭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