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26267B1 - 부드럽게 조립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 카의 벽체 조립구조 - Google Patents

부드럽게 조립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 카의 벽체 조립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26267B1
KR102126267B1 KR1020200033641A KR20200033641A KR102126267B1 KR 102126267 B1 KR102126267 B1 KR 102126267B1 KR 1020200033641 A KR1020200033641 A KR 1020200033641A KR 20200033641 A KR20200033641 A KR 20200033641A KR 102126267 B1 KR102126267 B1 KR 1021262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ll
nut member
installation wall
elevator car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336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현규
박찬용
이명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제일특수강
한국승강기안전공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제일특수강, 한국승강기안전공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제일특수강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262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262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2Cages, i.e. cars
    • B66B11/0226Constructional features, e.g. walls assembly, decorative panels, comfort equipment, thermal or sound insulation
    • B66B11/0253Fixation of wall pan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2Cages, i.e. cars
    • B66B11/0206Car fram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age And Drive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 카의 벽체 조립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나사부(120)가 후설치벽(20)을 향하도록 전설치벽(10)의 체결공(h3)에 삽입되는 볼트부재(100); 볼트부재(100)의 나사부(120)에 체결되는 너트부재(200); 및 전설치벽(10)과 볼트부재(100)의 머리부(110) 사이에 압축된 상태로 결합되어, 너트부재(200)가 전설치벽(10)에 밀착되도록 탄성복원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300);를 더 포함하며, 후설치벽(20)을 전설치벽(10) 사이에 밀어넣고 너트부재(200)가 수직끼움홈(h2)에 삽입되도록 후설치벽(20)을 내리면, 너트부재(200)가 후설치벽(20)을 향해 탄성적으로 밀려나오면서 후설치벽(20)에 가압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부드럽게 조립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 카의 벽체 조립구조{Wall assembly structure of elevator car more smoothly}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 카의 벽체 조립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엘리베이터 카의 각 모서리에 복수의 전설치벽이 먼저 조립된 다음, 전설치벽 사이로 후설치벽을 밀어넣어 내리는 방식으로 나중에 조립되는 엘리베이터 카의 벽체 조립구조에 관한 것이다.
공개실용신안 제20-1995-0018635호의 엘리베이터의 케이지 측판 조립구조에는 볼트에 의하여 좌우측판, 전후면 측판 사이를 조립하는 구조로서, 조립체의 내외부 공간에서 2인 이상이 작업해야 하는 불편함과 조립체의 외부 승강 공간에서의 추락에 따른 안전 사고 위험을 내재한다.
이러한 작업의 불편함과 안전 사고 위험을 해소하기 위하여 작업자가 조립체의 내부에서만 작업할 수 있는 기술로서, 공개실용신안 제20-1998-0059772호의 엘리베이터 케이지의 측벽 조립구조가 개시되는데, 본 개시에서는 측벽의 가장자리에 하나의 크기가 다른 하나의 크기를 커버할 수 있는 복수의 절곡 조립부를 형성하여 서로 겹치는 방식으로 조립되도록 하였다.
그런데, 본 개시의 경우 나중에 삽입되는 측벽을 전후 방향으로 이동하는 이외에 좌우 방향으로도 이동하여 절곡 조립부가 서로 겹치도록 해야 하므로 이미 고정된 측벽 사이의 빈 공간의 크기와 같은 측벽을 삽입할 수 없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다른 하나의 개시로서, 공개특허 제10-2018-0097055호의 승강기 카의 복수의 패널 결합 구조체는 카의 내부에서 복수의 패널을 순차적으로 조립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그러나 본 개시의 경우에는 패널을 순차적으로 조립해야만 하여 차례대로 조립되는 패널들 사이에 미세하게 형성되는 간극이 누적되어 나중에 설치되는 패널을 본래의 설치 위치에 정확하게 설치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하여, 본 출원인은 등록특허 제10-1984523호('엘리베이터 카 조립체')를 제안한 바 있다. 종래의 '엘리베이터 카 조립체'는 전설치벽 사이의 이격 공간의 폭의 크기에 대응되는 후설치벽을 이격 공간의 폭에 맞추고 수평삽입홈을 체결 돌출부의 높이에 맞추어 수평 방향으로 밀어넣은 다음, 후설치벽을 하방으로 가압하여 수직 삽입홈의 상부 끝단에 체결 돌출부가 위치되어 조립되는 방식을 채택하였다.
그러나, 종래의 '엘리베이터 카 조립체'는 체결 돌출부의 돌출길이가 고정적이었다. 이 때문에, 체결 돌출부의 돌출길이(정확히는 체결 돌출부의 머리부 전까지의 거리)가 후설치벽의 두께보다 작거나 혹은 각종 오차로 인해 전설치벽과 후설치벽 간에 틈이 존재하는 경우, 후설치벽을 아래로 누르는 과정에서 후설치벽과 체결 돌출부 간의 간섭에 의해 진입저항이 크게 발생되면서, 후설치벽의 조립 작업에 애로사항이 많았다.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제20-1995-0018635호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제20-1998-0059772호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8-0097055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984523호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체결 돌출부의 돌출길이가 가변적으로 변하면서 후설치벽을 쉽고 간단하게 조립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 카의 벽체 조립구조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부드럽게 조립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 카의 벽체 조립구조는, 엘리베이터 카의 각 모서리에 먼저 조립되고 양측이 절곡되어 고정면(11)이 구비되는 복수의 전설치벽(10)과, 상기 복수의 전설치벽(10) 사이로 밀어넣고 내리는 방식으로 나중에 조립되고 양측이 상기 고정면(11)과 마주보도록 2번 절곡되어 제1 절곡면(21) 및 제2 절곡면(22)이 구비되는 후설치벽(20)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절곡면(21)에서 상기 제2 절곡면(22)까지 이어지게 형성되는 수평진입홈(h1)과, 상기 수평진입홈(h1)의 끝단에서 상측으로 연장형성되는 수직끼움홈(h2) 및 상기 수직끼움홈(h2)과 일치되도록 상기 고정면(11)에 형성되는 체결공(h3)을 구비하는 엘리베이터 카의 벽체 조립구조에 있어서, 나사부(120)가 상기 후설치벽(20)을 향하도록 상기 전설치벽(10)의 체결공(h3)에 삽입되는 볼트부재(100); 상기 볼트부재(100)의 나사부(120)에 체결되는 너트부재(200); 및 상기 전설치벽(10)과 상기 볼트부재(100)의 머리부(110) 사이에 압축된 상태로 결합되어, 상기 너트부재(200)가 상기 전설치벽(10)에 밀착되도록 탄성복원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300);를 더 포함하며, 상기 후설치벽(20)을 상기 전설치벽(10) 사이에 밀어넣고 상기 너트부재(200)가 상기 수직끼움홈(h2)에 삽입되도록 상기 후설치벽(20)을 내리면, 상기 너트부재(200)가 상기 후설치벽(20)을 향해 탄성적으로 밀려나오면서 상기 후설치벽(20)에 가압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부드럽게 조립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 카의 벽체 조립구조에 있어서, 상기 너트부재(200)는, 상기 전설치벽(10)에 밀착되는 밀착부(210)와, 상기 밀착부(210)에서 점점 직경이 확장되어 원뿔대 형상을 이루는 확장부(220)와, 중공(230)으로 구분되고, 상기 중공(230)은, 상기 볼트부재(100)의 나사부(120)가 나사결합되도록 상기 밀착부(210)에서 일정깊이로 나사산이 형성되는 나사홈(231)과, 상기 나사홈(231)보다 작은 구경으로 상기 확장부(220)까지 연장형성되는 다각 형상의 각홈(232)으로 구분되며, 상기 나사홈(231)과 상기 각홈(232) 사이의 단턱은, 상기 볼트부재(100)의 진입한계가 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부드럽게 조립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 카의 벽체 조립구조에 있어서, 상기 밀착부(210)의 단면은, 상기 볼트부재(100)의 나사산 각도(α)보다 더 큰 각도(β)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부드럽게 조립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 카의 벽체 조립구조에 있어서, 상기 너트부재(200)에는, 상기 나사홈(231) 주변이 구면을 이루면서 분할되어 상기 너트부재(200)에 볼 결합되는 나사베어링체(240)이 더 구비되고, 상기 나사베어링체(240)에 상기 볼트부재(100)가 체결된 상태에서, 상기 나사베어링체(240)를 기준으로 상기 너트부재(200)가 일정범위 내에서 자유롭게 회전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부드럽게 조립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 카의 벽체 조립구조에 따르면, 너트부재가 전설치벽을 기준으로 탄성적으로 돌출되게 구성됨으로써, 후설치벽을 간편하고 부드럽게 조립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너트부재의 탄성압박력에 의해 후설치벽의 절곡면이 전설치벽의 고정면에 가압밀착됨으로써, 후설치벽의 조립상태가 견고하게 유지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볼트부재, 너트부재 및 탄성부재로 이루어진 3가지 범용부속에 의해 기존의 조립구조가 개선됨으로써, 부품수를 최소화하면서 제작/조립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너트부재의 중공이 나사홈과 각홈으로 구분되어 구성됨으로써, 탄성부재의 탄성압박력이 균일한 상태로 전설치벽에 설치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너트부재의 단면이 볼트부재의 나사산 각도보다 더 큰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됨으로써, 체결상태가 견고하게 안정적으로 유지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너트부재가 자유롭게 회전되도록 구성됨으로써, 후설치벽을 훨씬 부드럽게 조립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부드럽게 조립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 카의 벽체 조립구조의 조립 직전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B" 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낸 부분확대도.
도 3은 도 1의 엘리베이터 카의 벽체 조립구조에 적용되는 볼트부재, 너트부재 및 탄성부재의 분해사시도.
도 4는 도 1의 엘리베이터 카의 벽체 조립구조에 적용된 볼트부재, 너트부재 및 탄성부재의 분해결합 상태를 측면에서 나타낸 도면.
도 5는 도 1의 엘리베이터 카의 벽체 조립구조의 조립과정을 순서대로 나타낸 과정도.
도 6은 도 5의 조립과정 중 후설치벽이 내려가는 과정에서 너트부재의 변화를 측면에서 순서대로 나타낸 과정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부드럽게 조립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 카의 벽체 조립구조에 적용된 볼트부재, 너트부재 및 탄성부재의 측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부드럽게 조립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 카의 벽체 조립구조에 적용된 볼트부재, 너트부재 및 탄성부재의 측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부드럽게 조립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 카의 벽체 조립구조에 적용된 볼트부재, 너트부재 및 탄성부재의 측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과 관련하여 공지된 기술에 대한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공지된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부드럽게 조립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 카의 벽체 조립구조의 조립 직전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B" 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낸 부분확대도이며, 도 3은 도 1의 엘리베이터 카의 벽체 조립구조에 적용되는 볼트부재, 너트부재 및 탄성부재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4는 도 1의 엘리베이터 카의 벽체 조립구조에 적용된 볼트부재, 너트부재 및 탄성부재의 분해결합 상태를 측면에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부드럽게 조립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 카의 벽체 조립구조는 엘리베이터 카의 각 모서리에 먼저 조립되고 양측이 절곡되어 고정면(11)이 구비되는 복수의 전설치벽(10)과, 복수의 전설치벽(10) 사이로 밀어넣고 내리는 방식으로 나중에 조립되고 양측이 고정면(11)과 마주보도록 2번 절곡되어 제1 절곡면(21) 및 제2 절곡면(22)이 구비되는 후설치벽(20)을 포함하고, 제1 절곡면(21)에서 제2 절곡면(22)까지 이어지게 형성되는 수평진입홈(h1)과, 수평진입홈(h1)의 끝단에서 상측으로 연장형성되는 수직끼움홈(h2) 및 수직끼움홈(h2)과 일치되도록 고정면(11)에 형성되는 체결공(h3)을 구비하는 엘리베이터 카의 벽체 조립구조로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볼트부재(100), 너트부재(200)와 탄성부재(3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볼트부재(1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부재(300)의 일단부가 밀착되고 드라이버로 돌릴 수 있도록 십자홈이 형성되는 머리부(110)와, 나사산이 형성되는 나사부(120)로 구성된다.
너트부재(200)는 볼트부재(100)의 나사부(120)에 체결되는 구성으로서, 원통 형상의 밀착부(210)와, 밀착부(210)에서 점점 직경이 확장되어 원뿔대 형상을 이루는 확장부(220)와, 나사산이 형성되는 중공(230)으로 구성된다.
탄성부재(300)는 볼트부재(100)의 나사부(120)에 삽입되는 탄성스프링이다. 탄성부재(300)의 일단부는 볼트부재(100)의 머리부(110)에 밀착되고, 타단부는 전설치벽(10)에 밀착되어 너트부재(200)가 전설치벽(10) 측으로 당겨지도록 탄성복원력을 제공한다.
볼트부재(100), 너트부재(200)와 탄성부재(300)가 전설치벽(10)에 장착되는 과정은 다음과 같다.
먼저, 도 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설치벽(10)의 고정면(11)에 체결공(h3)이 미리 형성되고, 고정면(11)은 서로 마주보는 면(도면상 좌측면)이 일측 , 그 반대면이 타측이라고 하면, 탄성부재(300)가 볼트부재(100)에 끼워진 상태에서, 볼트부재(100)의 나사부(120)가 고정면(11)의 타측에서 전설치벽(10)의 체결공(h3)에 삽입된다.
그 다음, 도 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면(11)의 일측 방면에 노출된 볼트부재(100)의 나사부(120)에 너트부재(200)가 체결된다. 이때, 너트부재(200)의 밀착부(210)가 고정면(11)에 밀착되도록 체결된다.
너트부재(200)를 계속 회전시키면, 탄성부재(300)는 고정면(11)과 볼트부재(100)의 머리부(110) 사이에 압축된 상태로 결합되면서 너트부재(200)가 전설치벽(10)의 고정면(11)에 밀착되도록 탄성복원력을 제공한다.
지금부터는 본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카의 벽체 조립구조의 조립과정을 설명한다.
도 5는 도 1의 엘리베이터 카의 벽체 조립구조의 조립과정을 순서대로 나타낸 과정도이고, 도 6은 도 5의 조립과정 중 후설치벽이 내려가는 과정에서 너트부재의 변화를 측면에서 순서대로 나타낸 과정도이다.
먼저, 도 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설치벽(10)의 고정면(11)에서 돌출되어 있는 너트부재(200)에 후설치벽(20)의 수평진입홈(h1)이 삽입되도록, 후설치벽(20)을 전설치벽(10) 사이에 밀어넣는다.
그러면, 도 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너트부재(200)의 밀착부(210)가 수평진입홈(h1)의 끝에 닿으면서, 전설치벽(10)의 벽면과 후설치벽(20)의 벽면이 서로 일치된다.
이 상태에서, 도 5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설치벽(20)을 내리면, 너트부재(200)가 위로 갈수록 좁아지게 형성된 수직끼움홈(h2)에 억지끼움으로 삽입된다.
이때, 너트부재(200)는 도 6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설치벽(20)이 아래로 내려지기 전에는 전설치벽(10)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한다. 그러다가, 도 6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설치벽(20)이 아래로 내려지면, 너트부재(200)의 확장부(220) 경사면이 후설치벽(20)의 수직끼움홈(h2) 내부의 면(도면상 깊이방향으로 서로 마주보는 양측면)에 닿아 후설치벽(20)측으로 점점 밀려나오게 됨과 동시에, 너트부재(200)와 일체로 볼트부재(100)가 후설치벽(20) 측으로 움직이면서 탄성부재(300)가 압축된다.
후설치벽(20)이 완전히 내려지면, 너트부재(200)의 밀착부(210)가 수직끼움홈(h2)의 상단에 닿게 되고, 확장부(220)가 후설치벽(20)의 외측까지 탄성적으로 밀려나오면서 탄성부재(300)는 더 압축된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은 과정으로 전설치벽(10)에 결합된 너트부재(200)에 후설치벽(20)이 걸리면, 후설치벽(20)의 조립이 완료된다.
종래의 '엘리베이터 카 조립체'는 체결 돌출부의 돌출길이가 고정적이었다. 이 때문에, 체결 돌출부의 돌출길이(정확히는 체결 돌출부의 머리부 전까지의 거리)가 후설치벽의 두께보다 작거나 혹은 각종 오차로 인해 전설치벽과 후설치벽 간에 틈이 존재하는 경우, 후설치벽을 아래로 누르는 과정에서 후설치벽과 체결 돌출부 간의 간섭에 의해 진입저항이 크게 발생되면서, 후설치벽의 조립 작업에 애로사항이 많았다.
이에 반해, 본 발명은 너트부재가 전설치벽을 기준으로 탄성적으로 돌출되게 구성됨으로써, 후설치벽을 간편하고 부드럽게 조립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너트부재의 탄성압박력에 의해 후설치벽의 절곡면이 전설치벽의 고정면에 가압밀착됨으로써, 후설치벽의 조립상태가 견고하게 유지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볼트부재, 너트부재 및 탄성부재로 이루어진 3가지 범용부속에 의해 기존의 조립구조가 개선됨으로써, 부품수를 최소화하면서 제작/조립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지금부터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부드럽게 조립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 카의 벽체 조립구조에 대해 설명한다. 앞 실시예와 중복되는 구성은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은 생략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부드럽게 조립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 카의 벽체 조립구조에 적용된 볼트부재, 너트부재 및 탄성부재의 측단면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 볼트부재, 너트부재 및 탄성부재로 구성된 체결 돌출부는 전설치벽(10)의 우측 고정면에 2개, 좌측 고정면에 2개씩 설치되는데, 각각의 체결 돌출부가 모두 동일한 탄성압박력을 갖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본 실시예에서 너트부재(200)의 중공(230)은 볼트부재(100)의 나사부(120)가 나사결합되도록 밀착부(210)에서 일정깊이로 나사산이 형성되는 나사홈(231)과, 나사홈(231)보다 작은 구경으로 확장부(220)까지 연장형성되는 다각 형상의 각홈(232)으로 구분된다.
이에 따라, 나사홈(231)과 각홈(232) 사이의 단턱은 볼트부재(100)의 진입한계가 된다.
너트부재(200)의 각홈(232)에 렌치를 넣어 고정한 상태에서 볼트부재(100)를 십자 드라이버로 돌리면, 볼트부재(100)가 너트부재(200)에 삽입되면서 탄성부재(300)가 점점 압축된다.
이때, 볼트부재(100)의 진입한계가 설정되어 있지 않으면, 볼트부재(100)를 어느 정도 조여야 하는지 감에 의존할 수밖에 없어 곤란한 반면, 본 실시예는 볼트부재(100)의 진입한계가 설정되어 있으므로, 각각의 체결 돌출부가 모두 동일한 탄성압박력을 갖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은 너트부재의 중공이 나사홈과 각홈으로 구분되어 구성됨으로써, 탄성부재의 탄성압박력이 균일한 상태로 전설치벽에 설치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지금부터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부드럽게 조립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 카의 벽체 조립구조에 대해 설명한다. 앞 실시예와 중복되는 구성은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은 생략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부드럽게 조립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 카의 벽체 조립구조에 적용된 볼트부재, 너트부재 및 탄성부재의 측단면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서 볼트부재(100)와 너트부재(200)는 상호 나사체결되는 바, 너트부재(200)가 풀릴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대책이 요구된다.
이를 위해, 본 실시예에서 너트부재(200)에 구비되는 밀착부(210)의 단면은, 볼트부재(100)의 나사산 각도(α)보다 더 큰 각도(β)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밀착부(210)의 단면이 경사지게 형성되면, 탄성복원력을 받으면서 전설치벽(10)에 밀착되는 너트부재(200)가 경사진 방향으로 어긋나면서, 너트부재(200)의 회전이 억제된다. 너트부재(200)의 풀림 가능성이 낮아지게 되는 것이다.
이처럼, 본 발명은 너트부재의 단면이 볼트부재의 나사산 각도보다 더 큰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됨으로써, 체결상태가 견고하게 안정적으로 유지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지금부터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부드럽게 조립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 카의 벽체 조립구조에 대해 설명한다. 앞 실시예와 중복되는 구성은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은 생략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부드럽게 조립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 카의 벽체 조립구조에 적용된 볼트부재, 너트부재 및 탄성부재의 측단면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 너트부재(200)에는 나사홈(231) 주변으로 구면을 이루면서 너트부재(200)로부터 분할되어 너트부재(200)에 볼 결합되는 나사베어링체(240)이 더 구비된다.
이이 따라, 나사베어링체(240)에 볼트부재(100)가 체결된 상태에서, 나사베어링체(240)를 기준으로 너트부재(200)가 일정범위 내에서 자유롭게 회전 가능한 상태가 된다.
따라서, 후설치벽(미도시)을 아래로 내리는 과정에서, 후설치벽과 간섭되는 너트부재(200)가 화살표로 표시된 바와 같이, 전설치벽(10)으로부터 멀어지는 전후방향으로도 움직이고, 상기 전후방향을 회전축으로 제자리 회전하기도 하며, 후설치벽(20)의 벽면에 대하여 상하좌우로 꺾어기도 하면서, 조립 과정에서 발생되는 신축 변위 및 각도 변위를 수용하게 된다.
이처럼, 본 발명은 너트부재가 자유롭게 회전되도록 구성됨으로써, 후설치벽을 훨씬 부드럽게 조립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부드럽게 조립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 카의 벽체 조립구조는, 너트부재가 전설치벽을 기준으로 탄성적으로 돌출되게 구성됨으로써, 후설치벽을 간편하고 부드럽게 조립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너트부재의 탄성압박력에 의해 후설치벽의 절곡면이 전설치벽의 고정면에 가압밀착됨으로써, 후설치벽의 조립상태가 견고하게 유지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볼트부재, 너트부재 및 탄성부재로 이루어진 3가지 범용부속에 의해 기존의 조립구조가 개선됨으로써, 부품수를 최소화하면서 제작/조립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너트부재의 중공이 나사홈과 각홈으로 구분되어 구성됨으로써, 탄성부재의 탄성압박력이 균일한 상태로 전설치벽에 설치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너트부재의 단면이 볼트부재의 나사산 각도보다 더 큰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됨으로써, 체결상태가 견고하게 안정적으로 유지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너트부재가 자유롭게 회전되도록 구성됨으로써, 후설치벽을 훨씬 부드럽게 조립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상술한 실시예 및 변형례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첨부된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의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변형 가능한 다양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 본다. 특히, 본 발명에 포함된 볼트부재와 너트부재가 반대로 배치되어 볼트부재의 볼트머리가 기존의 너트부재 기능을 대신하는 방식으로 변형될 수도 있고, 볼트부재와 너트부재가 일체로 구성될 수도 있음을 알아야 한다.
100 : 볼트부재
200 : 너트부재
300 : 탄성부재

Claims (4)

  1. 엘리베이터 카의 각 모서리에 먼저 조립되고 양측이 절곡되어 고정면(11)이 구비되는 복수의 전설치벽(10)과, 상기 복수의 전설치벽(10) 사이로 밀어넣고 내리는 방식으로 나중에 조립되고 양측이 상기 고정면(11)과 마주보도록 2번 절곡되어 제1 절곡면(21) 및 제2 절곡면(22)이 구비되는 후설치벽(20)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절곡면(21)에서 상기 제2 절곡면(22)까지 이어지게 형성되는 수평진입홈(h1)과, 상기 수평진입홈(h1)의 끝단에서 상측으로 연장형성되는 수직끼움홈(h2) 및 상기 수직끼움홈(h2)과 일치되도록 상기 고정면(11)에 형성되는 체결공(h3)을 구비하는 엘리베이터 카의 벽체 조립구조에 있어서,
    나사부(120)가 상기 후설치벽(20)을 향하도록 상기 전설치벽(10)의 체결공(h3)에 삽입되는 볼트부재(100);
    상기 볼트부재(100)의 나사부(120)에 체결되는 너트부재(200); 및
    상기 전설치벽(10)과 상기 볼트부재(100)의 머리부(110) 사이에 압축된 상태로 결합되어, 상기 너트부재(200)가 상기 전설치벽(10)에 밀착되도록 탄성복원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300);를 더 포함하며,
    상기 후설치벽(20)을 상기 전설치벽(10) 사이에 밀어넣고 상기 너트부재(200)가 상기 수직끼움홈(h2)에 삽입되도록 상기 후설치벽(20)을 내리면, 상기 너트부재(200)가 상기 후설치벽(20)을 향해 탄성적으로 밀려나오면서 상기 후설치벽(20)에 가압밀착되고,
    상기 너트부재(200)는, 상기 전설치벽(10)에 밀착되는 밀착부(210)와, 상기 밀착부(210)에서 점점 직경이 확장되어 원뿔대 형상을 이루는 확장부(220)와, 중공(230)으로 구분되고,
    상기 중공(230)은, 상기 볼트부재(100)의 나사부(120)가 나사결합되도록 상기 밀착부(210)에서 일정깊이로 나사산이 형성되는 나사홈(231)과, 상기 나사홈(231)보다 작은 구경으로 상기 확장부(220)까지 연장형성되는 다각 형상의 각홈(232)으로 구분되며,
    상기 나사홈(231)과 상기 각홈(232) 사이의 단턱은, 상기 볼트부재(100)의 진입한계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드럽게 조립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 카의 벽체 조립구조.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밀착부(210)의 단면은, 상기 볼트부재(100)의 나사산 각도(α)보다 더 큰 각도(β)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드럽게 조립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 카의 벽체 조립구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너트부재(200)에는, 상기 나사홈(231) 주변이 구면을 이루면서 분할되어 상기 너트부재(200)에 볼 결합되는 나사베어링체(240)이 더 구비되고,
    상기 나사베어링체(240)에 상기 볼트부재(100)가 체결된 상태에서, 상기 나사베어링체(240)를 기준으로 상기 너트부재(200)가 일정범위 내에서 자유롭게 회전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드럽게 조립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 카의 벽체 조립구조.
KR1020200033641A 2019-12-26 2020-03-19 부드럽게 조립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 카의 벽체 조립구조 KR10212626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0174644 2019-12-26
KR1020190174644 2019-12-26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26267B1 true KR102126267B1 (ko) 2020-06-25

Family

ID=714002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33641A KR102126267B1 (ko) 2019-12-26 2020-03-19 부드럽게 조립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 카의 벽체 조립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26267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18635U (ko) 1993-12-09 1995-07-22 엘지산전 주식회사 엘리베이터의 케이지 측판 조립구조
KR19980059772U (ko) 1997-03-04 1998-11-05 이종수 엘리베이터 케이지의 측벽 조립구조
JPH11349261A (ja) * 1998-06-11 1999-12-21 Hitachi Ltd エレベーター乗りかご
KR20180097055A (ko) 2017-02-22 2018-08-30 티센크루프엘리베이터코리아 주식회사 승강기 카의 복수의 패널 결합 구조체 및 방법
KR101984523B1 (ko) 2018-09-13 2019-09-04 주식회사 제일특수강 엘리베이터 카 조립체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18635U (ko) 1993-12-09 1995-07-22 엘지산전 주식회사 엘리베이터의 케이지 측판 조립구조
KR19980059772U (ko) 1997-03-04 1998-11-05 이종수 엘리베이터 케이지의 측벽 조립구조
JPH11349261A (ja) * 1998-06-11 1999-12-21 Hitachi Ltd エレベーター乗りかご
KR20180097055A (ko) 2017-02-22 2018-08-30 티센크루프엘리베이터코리아 주식회사 승강기 카의 복수의 패널 결합 구조체 및 방법
KR101984523B1 (ko) 2018-09-13 2019-09-04 주식회사 제일특수강 엘리베이터 카 조립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951280B2 (ja) ミラーベース
KR102126267B1 (ko) 부드럽게 조립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 카의 벽체 조립구조
KR20150120203A (ko) 건축 내외장재 설치용 고정구의 제작방법 및 그 제품
JP6543667B2 (ja) 壁パネルの取付構造
JP4622699B2 (ja)
KR102540927B1 (ko) 차량용 클립
JP4762631B2 (ja) 化粧モール端部に対するキャップの取付構造
JP2021109509A (ja) 車両用外装部品の取付構造
JP4215209B2 (ja) デッキ床
KR100762784B1 (ko) 문틀 고정 장치
JP5913703B1 (ja) 化粧枠
CN204626850U (zh) 一种用于在墙体转角安装装饰板的龙骨
CN111787208B (zh) 摄像机的安装机构
KR101693305B1 (ko) 유리문용 디지털도어록 설치용 브라켓트
JP3179385U (ja) 窓枠部材の取付構造
KR102627043B1 (ko) 도어 유격방지 장치
US11078662B2 (en) Structure for mounting louver panel
JP3126105U (ja) 壁開口部の開口枠
JP6756504B2 (ja) 手摺用ブラケット及び手摺装置
KR20240000700A (ko) 처짐 방지용 평와셔
JP7321003B2 (ja) 連結部材および該連結部材を用いた固定構造
JP4468386B2 (ja) 天井パネル用接合部材
JP5898654B2 (ja) 腰壁パネルフレーム固定構造
KR100517695B1 (ko) 차량의 흡음재 조립구조
KR20160000392U (ko) 프레임 결합용 연결브라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