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24960B1 - 인쇄 포장 장치 - Google Patents

인쇄 포장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24960B1
KR102124960B1 KR1020140115983A KR20140115983A KR102124960B1 KR 102124960 B1 KR102124960 B1 KR 102124960B1 KR 1020140115983 A KR1020140115983 A KR 1020140115983A KR 20140115983 A KR20140115983 A KR 20140115983A KR 102124960 B1 KR102124960 B1 KR 1021249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inting
packaging material
packaging
package design
pack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159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30159A (ko
Inventor
가즈키 가토
Original Assignee
제네랄 패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네랄 패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제네랄 패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500301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301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249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249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61/00Auxiliary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operating on sheets, blanks, webs, binding material, containers or packages
    • B65B61/02Auxiliary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operating on sheets, blanks, webs, binding material, containers or packages for perforating, scoring, slitting, or applying code or date marks on material prior to packaging
    • B65B61/025Auxiliary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operating on sheets, blanks, webs, binding material, containers or packages for perforating, scoring, slitting, or applying code or date marks on material prior to packaging for applying, e.g. printing, code or date marks on material prior to packag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xiliary Devices For And Details Of Packaging Control (AREA)
  • Supplying Of Containers To The Packaging Station (AREA)
  • Containers And Plastic Fillers For Packag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인쇄 포장 장치(1)는, 포장재(a)에 패키지 디자인을 인쇄하기 위한 패키지 디자인 인쇄부(80)와, 패키지 디자인 인쇄부(80)의 하류측에 설치되어 패키지 디자인이 인쇄된 포장재(a) 내에 피포장물을 수납하여 밀봉하기 위한 피포장물 포장부(90)를 가지고 있다. 그러므로, 패키지 디자인이 상이한 다종 다양한 포장재나 라벨 실링의 준비 및 재고를 불필요하게 하고, 인라인에 의해 포장재에 패키지 디자인을 인쇄할 수 있는 동시에, 포장재 내에 피포장물을 수납하여 밀봉할 수 있다.

Description

인쇄 포장 장치{PRINTING-PACKAGING MACHINE}
본 발명은, 포장재에 패키지 디자인을 인쇄할 수 있는 동시에, 포장재 내에 피포장물을 수납하여 밀봉할 수 있는 인쇄 포장 장치에 관한 것이다.
세계화가 진행되는 중, 포장된 상품을 출하하는 곳이 외국인 경우, 각 나라의 언어로 패키지 디자인된 포장재를 사용하여 포장 장치에 의해 피포장물을 수납하여 밀봉하고 있었다. 또는, 패키지 디자인 중, 언어가 사용되고 있는 부분을 라벨 실링 접착란으로 하고, 이 라벨 실링 접착란에 국별의 라벨 실링을 접착하여 패키지 디자인을 완성시키고 있었다.
그러나, 전자(前者)의 방법에서는, 언어가 상이한 포장재를 구분하여 사용해 포장 장치에 공급하지 않으면 안되므로 번거로웠다. 또한, 언어가 상이한 포장재를 다수 재고로 두어야만 하므로 재고 관리도 번거로웠다. 다른 한편, 후자의 방법에서도, 언어마다 라벨 실링의 작성 및 포장재에 대한 접착이 필요해지므로, 번거로웠다. 또한, 라벨 실링의 재고 관리도 번거로웠다.
그리고, 종래부터, 포장 장치 내에서 서멀 프린터나 잉크젯 프린터를 사용하여 유효 기한이나 제조 연월일 등을 인쇄하는 것(일본 특허 제5124719호 공보)이 행해지고 있었지만, 패키지 디자인을 인라인에 의해 인쇄할 수 있는 포장 장치는 존재하지 않았다.
일본 특허 제5124719호 공보
그래서, 본 발명의 과제는, 패키지 디자인이 상이한 다종 다양한 포장재나 라벨 실링의 준비 및 재고를 불필요하게 하고, 인라인에 의해 포장재에 패키지 디자인을 인쇄할 수 있는 동시에, 포장재 내에 피포장물을 수납하여 밀봉할 수 있는 인쇄 포장 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 문제점을 달성하는 것은, 포장재에 패키지 디자인을 인쇄하기 위한 패키지 디자인 인쇄부와, 상기 패키지 디자인 인쇄부의 하류측에 설치되어 패키지 디자인이 인쇄된 상기 포장재 내에 피포장물을 수납하여 밀봉하기 위한 피포장물 포장부를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 포장 장치이다.
제1항에 기재된 인쇄 포장 장치에 의하면, 패키지 디자인이 상이한 다종 다양한 포장재나 라벨 실링의 준비 및 재고를 불필요하게 하고, 인라인에 의해 포장재에 패키지 디자인을 인쇄할 수 있는 동시에, 포장재 내에 피포장물을 수납하여 밀봉할 수 있다.
제2항에 기재된 인쇄 포장 장치에 의하면, 인쇄된 패키지 디자인을 포장재 표면에 의해 확실하게 정착(定着)시킬 수 있다.
제3항에 기재된 인쇄 포장 장치에 의하면, 패키지 디자인을 포장재 표면에 의해 확실하게 인쇄할 수 있다.
제4항에 기재된 인쇄 포장 장치에 의하면, 백의 공급(또는 급지) 스페이스의 스페이스 절약화를 도모할 수 있는 동시에, 포장재 공급부로부터 1매의 포장재를 인출할 수 있다.
제5항에 기재된 인쇄 포장 장치에 의하면, 스페이스 절약화를 도모할 수 있는 컨베이어를 이용한 포장재 공급부를 간소한 구조로 구성할 수 있고, 또한 라인의 단축화를 도모할 수 있다.
제6항에 기재된 인쇄 포장 장치에 의하면, 포장재 공급부로부터 더욱 확실하게 1매의 포장재를 인출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인쇄 포장 장치의 일실시예의 평면 개략도이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낸 인쇄 포장 장치의 정면 개략도이다.
도 3은 도 1에 나타낸 인쇄 포장 장치의 패키지 디자인 인쇄부에서의 인쇄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4는 도 1에 나타낸 인쇄 포장 장치의 피포장물 포장부의 정면 개략도이다.
도 5는 도 1에 나타낸 인쇄 포장 장치에 있어서의 포장재 공급부의 평면도이다.
도 6은 도 5에 나타낸 포장재 공급부의 우측면도이다.
도 7은 도 5에 나타낸 포장재 공급부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이다.
도 8은 도 5에 나타낸 포장재 공급부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이다.
도 9는 도 1에 나타낸 인쇄 포장 장치에 있어서의 분리 기구 부근의 정면 개략도이다.
도 10은 도 9의 우측면 개략도이다.
도 11은 도 9에 나타낸 분리 기구의 구조 및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12는 도 1에 나타낸 인쇄 포장 장치에 있어서의 포장재 배치부의 평면 개략도이다.
본 발명에서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포장재(a)에 패키지 디자인을 인쇄하기 위한 패키지 디자인 인쇄부(80)와, 패키지 디자인 인쇄부(80)의 하류측에 설치되어 패키지 디자인이 인쇄된 포장재(a) 내에 피포장물을 수납하여 밀봉하기 위한 피포장물 포장부(90)를 가짐으로써, 패키지 디자인이 상이한 다종 다양한 포장재나 라벨 실링의 준비 및 재고를 불필요하게 하고, 인라인에 의해 포장재에 패키지 디자인을 인쇄할 수 있는 동시에, 포장재 내에 피포장물을 수납하여 밀봉할 수 있는 인쇄 포장 장치(1)를 실현하였다.
[실시예 1]
본 발명의 인쇄 포장 장치를 도 1 내지 도 12에 나타낸 일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 실시예의 인쇄 포장 장치(1)는, 포장재(a)에 패키지 디자인을 인쇄하기 위한 패키지 디자인 인쇄부(80)와, 패키지 디자인 인쇄부(80)의 하류측에 설치되어 패키지 디자인이 인쇄된 포장재(a) 내에 피포장물을 수납하여 밀봉하기 위한 피포장물 포장부(90)를 가지고 있다. 이하, 각각의 구성에 대하여 순차적으로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 실시예의 인쇄 포장 장치(1)는, 피포장물인 애완 동물 사료를, 큰 백(길이 600∼1050 ㎜, 폭 300∼450 ㎜로 하여, 그 백 입구(bag mouth) 부근에 척(chuck)을 구비한 가제트 백(gazette bag)[포장재(a)] 내에 충전하여 밀봉하기 위한 것이다. 인쇄 포장 장치(1)는, 이 애완 동물 사료의 충전 및 밀봉 전에, 상류측의 패키지 디자인 인쇄부(80)에 의해 패키지 디자인을 포장재(a)에 인쇄할 수 있는 장치이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의 포장재란, 이 실시예와 같은 포장백(packaging bag) 외에, 백이 만들어지기 전의 포장지를 포함하는 개념이다. 따라서, 패키지 디자인 인쇄부에서 포장지의 상태에서 패키지 디자인 인쇄가 행해지고, 피포장물 포장부(90)에 백 제작 기구(機構)를 구비한 포장기가 배치된 것 등도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또한, 본원에서의 패키지 디자인이란, 인쇄로 포장재에 행할 수 있는 디자인을 널리 포함하는 개념이며, 예를 들면, 그래픽, 캐치 프레이즈(catch phrase), 색채, 사진, 일러스트, 캐릭터, 네이밍, 심볼 마크, 문자, 로고 타입, 품질 표시 등을 포함하는 개념이다.
패키지 디자인 인쇄부(80)는, 도 1 또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다수의 포장재를 적층하여 수용 가능한 포장재 공급부(2)와, 포장재 공급부(2)에 중첩된 포장재로부터 1매의 포장재를 분리하기 위한 분리 기구(3)와, 분리 기구(3)에 의해 분리한 1매의 포장재(a)를 파지하고 수취하여 포장재 배치부(4)까지 이송하기 위한 수평 이송 수단(8)과, 수평 이송 수단(8)에 의해 1매씩 이송되는 포장재(a)를 배치하는 동시에 인쇄 장치(81a, 81b)에 공급하기 위한 포장재 배치부(4)와, 패키지 디자인을 인쇄하기 위한 인쇄 장치(81a, 81b)와, 인쇄 장치(81a, 81b)에 의해 인쇄된 패키지 디자인을 포장재(a)에 정착시키기 위한 자외선 경화 장치(82a, 82b)를 가지고 있다.
포장재 공급부(2)는, 도 5 또는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구동축(12)과, 제1 구동축(12)의 회전에 따라 회전하는 제1 환형체(環形體)(13)와, 제1 환형체(13)에 돌출된 제1 포장재 가이드(14)와, 제2 구동축(15)과, 제2 구동축(15)의 회전에 따라 회전하는 제2 환형체(16)와, 제2 환형체(16)에 돌출된 제2 포장재 가이드(17)와, 제1 포장재 가이드(14)와 제2 포장재 가이드(17)와의 사이에 구성된 복수의 포장재 적재부(18)를 가지는 컨베이어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1 구동축(12)과 제2 구동축(15)이 동일 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제1 포장재 가이드(14)와 제2 포장재 가이드(17)와의 사이에 쌓아올려진 포장재(a)가 이송되고, 제1 구동축(12)과 제2 구동축(15)을 역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제1 포장재 가이드(14)와 제2 포장재 가이드(17)와의 사이의 이격 거리가 조정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이하, 포장재 공급부(2)의 구성 및 작용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일단측에 배치된 제1 구동축(12)은, 제1 구동 수단(서보 모터)(19)에 의해 정역(正逆) 양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고, 제1 구동축(12)에 제1 스프로켓(21)이 고정되는 것에 의해, 제1 구동축(12)의 회전에 따라 제1 환형체(13)(이 실시예에서는 도 5 중, 위로부터 2번째와 4번째의 체인)가 회전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제1 환형체(13)에는, 제1 환형체(13)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고정된 제1 폭판(幅板)(23)이 설치되어 있다. 제1 폭판(23)에는 제1 포장재 가이드(14)가 외측을 향해 돌출되도록 고정되고, 제1 환형체(13)의 회전에 따라 제1 포장재 가이드(14)도 회전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다른 한편, 타단측에 배치된 제2 구동축(15)은, 제2 구동 수단(서보 모터)(20)에 의해 정역 양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고,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2 구동축(15)에 제2 스프로켓(22)이 고정되는 것에 의해, 제2 구동축(15)의 회전에 따라 제2 환형체(16)(이 실시예에서는 도 5 중, 위로부터 1번째와 3번째의 체인)가 회전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제2 환형체(16)에는, 제2 환형체(16)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고정된 제2 폭판(24)이 설치되어 있다. 제2 폭판(24)에는 제2 포장재 가이드(17)가 외측을 향해 돌출되도록 고정되고, 제2 환형체(16)의 회전에 따라 제2 포장재 가이드(17)도 회전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1 포장재 가이드(14)와 제2 포장재 가이드(17)와의 사이에는,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복수의 포장재 적재부(18)가 구성되어 있다. 이들 포장재 적재부(18)에 포장재(a)를 적재하여, 제1 구동축(12)과 제2 구동축(15)을 동일 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제1 포장재 가이드(14)와 제2 포장재 가이드(17)와의 사이[포장재 적재부(18)]에 쌓아올려진 포장재(a)가 이송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로써, 컨베이어를 이용한 복수의 포장재 적재부(18)를 구비한 포장재 공급부(2)를 구성할 수 있어, 백의 공급 스페이스의 스페이스 절약화를 도모할 수 있다.
다른 한편,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구동축(12)과 제2 구동축(15)을 역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제1 포장재 가이드(14)와 제2 포장재 가이드(17)와의 사이의 이격 거리를 조정할 수 있다. 이로써, 포장재(a)의 폭에 따라, 포장재 적재부(18)의 폭을 조정할 수 있는 포장재 공급부(2)로 된다.
그리고, 제1 구동축(12)과 제2 구동축(15)을 역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제1 포장재 가이드(14)와 제2 포장재 가이드(17)와의 사이의 이격 거리를 조정 가능한 구성은, 상기한 바와 같이 미리 포장재(a)의 폭에 따라, 포장재 적재부(18)의 폭을 조정하는 것에 사용할 수 있다. 이 외에, 제1 구동축(12)과 제2 구동축(15)을 역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제1 포장재 가이드(14)와 제2 포장재 가이드(17)와의 사이의 이격 거리를 조정 가능한 구성은, 포장재 적재부(18)에 적당하게 포장재(a)가 적재되어도, 포장재(a)를 폭 방향의 양측으로부터 대어 분리 기구(3)는, 포장재 공급부(2)에 중첩된 포장재(a)로부터 1매의 포장재(a)를 분리하기 위한 것이며, 이 실시예에서는,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포장재 공급부(2)의 컨베이어에 의해 도면 중 우측단에 보내져 온 포장재 적재부(18)로부터 1매의 포장재(a)만을 들어올리도록 작용하는 것이다. 포장재 적재부(18)에 적재된 포장재(a)는, 지퍼백(zippered bag)이나 가제트 백에서는 젖혀진 상태로 되는 것에 더하여, 정전기(靜電氣)나 부압(負壓)에 의해 포장재끼리가 가볍게 접착하는 경우가 있고, 이 분리 기구(3) 및 승강 수단(상하용 액츄에이터)(25)에 의해, 확실하게 1매의 포장재(a)를 포장재 적재부(18)로부터 들어올리는 것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분리 기구(3)는, 적어도 한 쌍의 흡착반(suction pad)(60a, 60b)(이 실시예에서는, 도 9 내지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포장재(a)의 길이 방향을 따라 3대의 흡착반(60a, 60b)]에 의해 포장재(a)를 흡착함으로써, 3대의 흡착반(60a, 60b)은 포장재(a)를 흡착한 상태로 수평 상태로부터 경사 상태로 이행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이 실시예의 분리 기구(3)는,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포장재(a)의 폭 방향의 좌우에 있어서 흡착하는 우측 흡착반(60a)과 좌측 흡착반(60b)을 길이 방향으로 3쌍 구비하고 있다. 단, 본 발명에서의 분리 기구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우측 흡착반과 좌측 흡착반을 길이 방향으로 2쌍 구비하고, 중앙에 종이 처짐 방지의 흡착반을 1개 가지도록 한 것도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분리 기구(3)에서는, 도 11의 (A) 측면도 또는 (B) 정면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구동 유닛(실린더)(65)에 L자형 레버의 일단측(66)이 장착되고, L자형 레버는 장착대(72)에 회동(回動)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다른 한편, L자형 레버의 타단측(67)은 회전 지점(支点)(68a)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장착대(72)의 하부에는 경사형의 유도캠(70)이 형성되어 있고, 흡착반(60a, 60b)을 장착한 기대(基臺)(69)에는, 회전 롤러(68b)가 장착되어 있다. 그리고, 회전 롤러(68b)는 경사형의 유도캠(70)에 따라 상기 회전 지점(68a)을 기점(起点)으로 하여 경사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유도캠(70)과 기대(69)는 탄성체(71)를 통하여 상시 가압되고 있다.
이 분리 기구(3)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하면, 구동 유닛(실린더)(65)의 왕동(往動)에 의해, 회전 지점(68a)을 통하여 회동롤러(68b)가 유도캠(70)에 의해 유도되어, 흡착반(60a, 60b)의 각각의 바닥이 수평 상태로부터 외측을 향하는 경사 상태로 되고, 흡착반(60a, 60b)에 의해 흡착한 포장재(a)를 U자형으로 하고, 적층된 포장재(a)로부터 1매만을 분리하도록 작용한다[도 11의 (C)∼도 11의 (D)].
다른 한편, 구동 유닛(실린더)(65)의 복동(復動)에 의해, 분리 기구(3)에 부설(付設)된 흡착반(60a, 60b)은 경사상태로부터 수평 상태로 된다[도 11의 (E)]. 그리고, 포장재(a)가 수평 상태로 유지된 곳을 수평 이송 수단(8)의 그립핑(gripping) 수단(8a)에 파지(把持)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수평 이송 수단(8)은,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분리 기구(3)에 의해 분리한 1매의 포장재(a)를 파지하여 수취하고, 포장재 배치부(4)까지 이송하기 위한 것이다. 이 수평 이송 수단(8)은 분리 기구(3)에 의해 수평 상태[도 11의 (E) 상태]에 유지된 1매의 포장재(a)을 우측편으로부터 파지하는 그립핑 수단(척 실린더)(8a)을 구비하고 있고, 그립핑 수단(8a)이 수평 방향으로 왕복 이동함으로써 1매씩 포장재(a)를 포장재 배치부(4)까지 이송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실시예에서는, 분리 기구(3)와는 별도로 수평 이송 수단(8)이 설치되어 있지만, 분리 기구가 1매의 포장재를 파지한 포장재 배치부에 이송하도록 구성된 것도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포장재 배치부(4)는, 분리 기구(3)에 의해 분리한 1매의 포장재(a)를 수평 이송 수단(8)에 의해 1매씩 이송되는 포장재(a)를 배치하는 동시에 인쇄 장치(81a, 81b)에 공급하기 위한 부위이다. 포장재 배치부(4)는,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포장재 배치부(4)의 상면에 탑재된 1매의 포장재(a)를, 순차적으로, 인쇄 장치(81a, 81b)에 공급하기 위한 포장재 이송 수단(26)을 가지고 있다. 이 포장재 이송 수단(26)은, 왕복이동 수단(27)에 의해, 포장재(a)의 폭 방향으로 왕복이동하여 포장재(a)를 인쇄 장치(81a, 81b)에 공급하도록 작용한다.
인쇄 장치(81a, 81b)는, 패키지 디자인을 인쇄하기 위한 것이며 리, 이 실시예에서는, IJP(잉크젯 프린터)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단, 본 발명의 인쇄 포장 장치에 있어서의 인쇄 장치는 IJP에 한정되지 않고, 포장재에 패키지 디자인을 인쇄할 수 있는 것이면 어떠한 인쇄 장치라도 된다.
또한, 이 실시예의 인쇄 장치(81a, 81b)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한쪽 면(표면) 측을 인쇄하는 제1 인쇄 장치(81a)와, 제1 인쇄 장치(81a)에 인접하여 설치되어 다른 면[이면(裏面)] 측을 인쇄하기 위한 제2 인쇄 장치(81b)를 가지고, 한쪽 면 인쇄 또는 양면 인쇄를 선택적으로 행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제1 인쇄 장치(81a) 및 제2 인쇄 장치(81b)의 각각의 하류측에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패키지 디자인을 포장재(a)에 정착시키기 위한 제1 자외선 경화 장치(82a), 제2 자외선 경화 장치(82b)(건조 장치)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이 실시예의 제1 자외선 경화 장치(82a), 제2 자외선 경화 장치(82b)로서는, UV 램프가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구성을 구비한 패키지 디자인 인쇄부(80)에서는, 도 3에 나타낸 각각의 단계가 행해진다. 구체적으로는, 포장재 공급부(2)에 대한 포장재 공급 단계(A), 분리 기구(3)에 의한 포장재 분리 단계(B), 수평 이송 수단(8)에 의한 포장재 배치부(4)에 대한 포장재 이송 단계(C), 제1 인쇄 장치(81a)에 의한 포장재(a)에 대한 표면측 패키지 디자인 인쇄 단계(D), 제1 자외선 경화 장치(82a)에 의한 표면측 패키지 디자인 인쇄의 경화 단계(E), 또한 포장재(a)의 이면측(裏面側)에도 패키지 디자인을 인쇄하는 경우에는, 제2 인쇄 장치(81b)에 의한 포장재(a)에 대한 이면측 패키지 디자인 인쇄 단계(F2), 제2 자외선 경화 장치(82b)에 의한 이면측 패키지 디자인 인쇄의 경화 단계(G2)가 순차적으로 행해진 후, 피포장물 포장부(90)의 벨트 컨베이어(91)에 포장재(a)가 보내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패키지 디자인 인쇄부에는, 패키지 디자인 인쇄에 앞서 포장재의 표면 처리를 행하는 표면 처리 장치가 배치되어 있어도 되고, 그와 같은 표면 처리 장치로서는, 예를 들면, 코로나 방전에 의한 표면 처리[개질(改質)] 장치 등을 들 수 있다.
벨트 컨베이어(91)의 하류측에는, 도 1 또는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피포장물 포장부(90)의 주장치인 포장기(P)가 설치되어 있다.
포장기(P)에서는,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세로 방향의 간헐 회전축(34)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스탠드(35)가 기대(機臺)(36) 상에 설치되어 있다. 그 간헐 회전축(34)의 상단부에 장착된 이동체(원반형 회전체)(32)에는, 포장재(a)를 그립 또는 석방하기 위한 10개의 그립 쌍(g)이 간헐 회전축(34)을 중심으로 하여 등각도(等角度) 간격으로 방사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그립 쌍(g)에 의해 수직형으로 매달린 상태로 유지된 포장재(a)가 도 1 중 시계 방향으로 간헐 회전함으로써, 포장재(a) 내에 피포장물(애완 동물 사료)이 충전되고 밀봉되어 시스템 밖으로 배출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실시예의 포장기(P)는, 로터리 방식의 포장기이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공지의 직선 이동 방식이나 트랙 방식의 포장기가 피포장물 포장부에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피 포장물 포장부에 배치되는 포장기로서는, 세로 플로우식(flow type) 포장기, 가로 플로우식 포장기라도 되고, 또한 이 실시예와 같이, 백의 공급식 포장기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백 제작식 포장기라도 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이 실시예의 포장기(P)에서는, (1) 백의 공급 단계[포장재(a)를 포장재 공급 장치(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그립 쌍(g)에 공급하는 단계], (2) 척 개구 단계[포장재(a)의 척을 개방하는 단계], (3) 개구·부풀림(blowing) 단계[포장재(a)의 백 입구를 개구시켜 부풀리는 단계], (4) 충전 단계[피포장물 충전 수단(31)에 의해 포장재(a) 내에 애완 동물 사료를 충전하는 단계], (5) 및 (6) 진동·질소 충전·정형(整形) 단계[애완 동물 사료를 충전한 포장재(a)에 진동을 부여하는 동시에 질소를 충전하면서 정형하는 단계], (7) 탈기(脫氣)·가부착 실링 단계[포장재(a) 내를 탈기하는 동시에 백 입구 부근에 가(假)실링을 행하는 단계], (8) 탑 실링 단계[포장재(a)의 백 입구에 톱 실링을 행하는 단계), (9) 냉각 단계(실링 부위를 냉각시키는 단계), (10) 시스템 외부 배출 단계(제품을 기외로 배출하는 단계)이 순차적으로 행해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인쇄 포장 장치(1)는, 포장재(a)에 패키지 디자인을 인쇄하기 위한 패키지 디자인 인쇄부(80)와, 패키지 디자인 인쇄부(80)의 하류측에 설치되어 패키지 디자인이 인쇄된 포장재(a) 내에 피포장물을 수납하여 밀봉하기 위한 피포장물 포장부(90)를 가짐으로써, 패키지 디자인이 상이한 다종 다양한 포장재나 라벨 실링의 준비 및 이들의 재고를 불필요하게 하고, 인라인에 의해 포장재에 패키지 디자인을 인쇄할 수 있는 동시에, 포장재 내에 피포장물을 수납하여 밀봉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1 인쇄 포장 장치
2 포장재 공급부
3 분리 기구
4 포장재 배치부
5 트랙식 이동체
6 피포장물 충전 수단
7a 제1 실링 수단
7b 제2 실링 수단
8 수평 이송 수단
8a 그립핑 수단
9 회동암
g 그립 쌍
11 파지 수단
12 제1 구동축
13 제1 환형체
14 제1 포장재 가이드
15 제2 구동축
16 제2 환형체
17 제2 포장재 가이드
18 포장재 적재부
19 제1 구동 수단
20 제2 구동 수단
21 제1 스프로켓
22 제2 스프로켓
23 제1 폭판
24 제2 폭판
25 승강 수단
26 포장재 이송 수단
27 왕복 이동 수단
31 피포장물 충전 수단
32 이동체(원반형 회전체)
34 간헐 회전축
35 스탠드
36 기대
80 패키지 디자인 인쇄부
81a, 81b 인쇄 장치
82a, 82b 건조 장치(자외선 경화 장치)
90 피포장물 포장부
91 벨트 컨베이어
a 포장재
g 그립 쌍
P 포장기

Claims (7)

  1. 포장백에 패키지 디자인을 인쇄하기 위한 패키지 디자인 인쇄부; 및
    상기 패키지 디자인 인쇄부의 하류측에 설치되어 상기 패키지 디자인이 인쇄된 상기 포장백 내에 피포장물을 수납하고 밀봉하기 위한 피포장물 포장부;
    를 포함하고,
    상기 패키지 디자인 인쇄부는, 상면에 탑재된 상기 포장백을, 순차적으로, 인쇄 장치로 공급하기 위한 포장재 이송 수단을 구비한 포장재 배치부와, 상기 포장재 배치부로부터 공급되는 상기 포장백에 패키지 디자인을 순차 인쇄하는 상기 인쇄 장치와, 상기 인쇄 장치에 의해 인쇄된 패키지 디자인을 상기 포장백에 정착(定着)시키는 건조 장치를 구비하고 있는,
    인쇄 포장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패키지 디자인 인쇄부는, 다수의 상기 포장백을 수용 가능한 포장재 공급부와, 상기 포장재 공급부의 상기 포장백으로부터 1매의 상기 포장백을 분리하기 위한 분리 기구를 가지고 있는, 인쇄 포장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포장재 공급부는, 제1 구동축과, 상기 제1 구동축의 회전에 따라 회전하는 제1 환형체(環形體)와, 상기 제1 환형체에 돌출된 제1 포장재 가이드와, 제2 구동축과, 상기 제2 구동축의 회전에 따라 회전하는 제2 환형체와, 상기 제2 환형체에 돌출된 제2 포장재 가이드와, 상기 제1 포장재 가이드와 상기 제2 포장재 가이드 사이에 구성된 복수의 포장재 적재부를 가지는 컨베이어에 의해 구성되어 있고, 상기 제1 구동축과 상기 제2 구동축이 동일 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상기 제1 포장재 가이드와 상기 제2 포장재 가이드 사이에 쌓아올린 상기 포장백이 이송되고, 상기 제1 구동축과 상기 제2 구동축을 역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제1 포장재 가이드와 상기 제2 포장재 가이드 사이의 이격 거리가 조정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는, 인쇄 포장 장치.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 기구는, 적어도 한 쌍의 흡착반(suction pad)에 의해 상기 포장백을 흡착하는 것으로서, 상기 한 쌍의 흡착반은 상기 포장백을 흡착한 상태로 수평 상태로부터 경사 상태로 이행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는, 인쇄 포장 장치.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 장치는, 표면 측을 인쇄하는 제1 인쇄 장치와, 상기 제1 인쇄 장치에 인접하여 설치되고 이면측을 인쇄하기 위한 제2 인쇄 장치를 구비하고, 한쪽 면 인쇄 또는 양면 인쇄를 선택적으로 행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는, 인쇄 포장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패키지 디자인 인쇄부에는, 패키지 디자인 인쇄에 앞서 상기 포장백의 표면 처리를 행하는 표면 처리 장치가 배치되어 있는, 인쇄 포장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표면 처리 장치는, 코로나 방전에 의한 표면 처리 장치인, 인쇄 포장 장치.
KR1020140115983A 2013-09-11 2014-09-02 인쇄 포장 장치 KR10212496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3188022A JP6343775B2 (ja) 2013-09-11 2013-09-11 印刷包装装置
JPJP-P-2013-188022 2013-09-1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30159A KR20150030159A (ko) 2015-03-19
KR102124960B1 true KR102124960B1 (ko) 2020-06-19

Family

ID=525737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15983A KR102124960B1 (ko) 2013-09-11 2014-09-02 인쇄 포장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6343775B2 (ko)
KR (1) KR102124960B1 (ko)
FR (1) FR3010388B1 (ko)
PL (1) PL23231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592650B2 (ja) * 2015-06-08 2019-10-23 ゼネラルパッカー株式会社 包装袋印刷装置およびそれを備えた包装機
JP6582178B2 (ja) * 2015-06-08 2019-10-02 ゼネラルパッカー株式会社 包装袋印刷装置およびそれを備えた包装機
JP6552947B2 (ja) 2015-11-26 2019-07-31 東洋自動機株式会社 包装機及び包装方法
JP7207068B2 (ja) 2019-03-27 2023-01-18 日本製鉄株式会社 絶縁性被膜を有する被溶接物の抵抗溶接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516461A (ja) * 1999-12-07 2003-05-13 デュポン カナダ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表面プリントインキならびに軟質フィルムまたは紙包装で使用するための塗料
WO2008004667A1 (fr) * 2006-07-06 2008-01-10 Ishida Co., Ltd. Procédé de fabrication de sac d'emballage et système d'emballage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941799A (en) * 1956-04-30 1960-06-21 Adolf C Reincke Sheet material separator and handling device
JPS5124719B1 (ko) 1971-02-09 1976-07-26
JPS5511878Y2 (ko) * 1975-12-25 1980-03-14
JPH0338813U (ko) * 1989-08-26 1991-04-15
JPH0741742A (ja) * 1993-07-29 1995-02-10 Sekisui Chem Co Ltd 印刷が施された布粘着テープの製造方法
US5433426A (en) * 1994-05-23 1995-07-18 Bond; Irvin D. Apparatus for removing a non-magnetic sheet from a stack of sheets
JP3045641U (ja) * 1997-03-05 1998-02-13 ゼネラルパッカー株式会社 被包装物の詰まり防止装置を備えた充填装置
JP3805160B2 (ja) * 2000-03-01 2006-08-02 株式会社古川製作所 積層袋の供給装置
JP2005219812A (ja) * 2004-01-09 2005-08-18 Nihon Tetra Pak Kk 包装充填機及び包装充填システム
JP4689529B2 (ja) * 2006-05-02 2011-05-25 株式会社飛鳥 オフセットカラー印刷機用の給紙装置及びこれを使用した不織布シートの印刷方法
JP2009262974A (ja) * 2008-04-25 2009-11-12 Takushoku Shoji:Kk 米包装用袋及びその米包装用袋製造方法
JP5399224B2 (ja) * 2009-12-11 2014-01-29 東洋自動機株式会社 袋詰め包装機
JP2011245797A (ja) * 2010-05-28 2011-12-08 Takayama Package Kikaku:Kk 印刷部付き包装袋の製造
CA2753719C (en) * 2011-09-29 2020-04-28 Beaver Machine Corporation Vending machin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516461A (ja) * 1999-12-07 2003-05-13 デュポン カナダ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表面プリントインキならびに軟質フィルムまたは紙包装で使用するための塗料
WO2008004667A1 (fr) * 2006-07-06 2008-01-10 Ishida Co., Ltd. Procédé de fabrication de sac d'emballage et système d'emballag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FR3010388B1 (fr) 2018-03-23
PL232318B1 (pl) 2019-06-28
JP2015054702A (ja) 2015-03-23
JP6343775B2 (ja) 2018-06-20
FR3010388A1 (fr) 2015-03-13
KR20150030159A (ko) 2015-03-19
PL409425A1 (pl) 2015-03-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24959B1 (ko) 포장기에 있어서의 포장백 공급 장치
EP3173342B1 (en) Packaging machine and packaging method
KR102124960B1 (ko) 인쇄 포장 장치
JP3837436B2 (ja) 多数個パックの包装装置
JP5388633B2 (ja) パケットパレタイジング装置の受取ステーションならびにその種の受取ステーションによる把持装置へのパケットの移転方法
ES2334393T3 (es) Dispositivo y procedimiento para la impresion de un objeto tridimensional.
UA97549C2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заполнения емкости
JP2008536724A (ja) パッケージ要素を印刷するための装置及び方法
WO2007101517A3 (de) Verfahren zur bildung von gebinden sowie vorrichtung zum durchführen des verfahrens
CN108216759B (zh) 容器搬运装置
JP5173315B2 (ja) 搬送装置
ES2425785T3 (es) Aparato para la impresión digital sobre artículos constituidos por contenedores hechos de poliestireno expandido sinterizado
CN206938072U (zh) 全自动赶泡机
US11453523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labelling primary packagings
CN202201215U (zh) 针剂瓶印字包装机
CN101056797A (zh) 用于制盒机的装置和方法
JP6826176B1 (ja) 製本済みカレンダーの印刷装置
EP1714883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inting packaging elements
DK1348653T3 (da) Indretning til dannelse og palettering af pakker af trykprodukter
JP2011136801A (ja) ケーサー装置及びこれに適用されるシート整形装置
JP2009274343A (ja) 製函装置
JPH1179368A (ja) 搬送物品の整列装置
KR20020071140A (ko) 스프 자동 정렬장치
JP2007001647A (ja) 容器への物品装着装置及び物品装着方法
CN107116835A (zh) 全自动赶泡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