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23418B1 - 직물원단의 주름 성형방법 - Google Patents

직물원단의 주름 성형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23418B1
KR102123418B1 KR1020180148263A KR20180148263A KR102123418B1 KR 102123418 B1 KR102123418 B1 KR 102123418B1 KR 1020180148263 A KR1020180148263 A KR 1020180148263A KR 20180148263 A KR20180148263 A KR 20180148263A KR 102123418 B1 KR102123418 B1 KR 1021234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bric
layer
wrinkles
wrinkle
gelat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482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62637A (ko
Inventor
고은석
Original Assignee
(주)플리츠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플리츠미 filed Critical (주)플리츠미
Priority to KR10201801482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23418B1/ko
Priority to PCT/KR2019/012989 priority patent/WO2020111495A1/ko
Publication of KR202000626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626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234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234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JPLEATING, KILTING OR GOFFERING TEXTILE FABRICS OR WEARING APPAREL
    • D06J1/00Pleating, kilting or goffering textile fabrics or wearing apparel
    • D06J1/12Forms of pleats or the like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BTREATING TEXTILE MATERIALS USING LIQUIDS, GASES OR VAPOURS
    • D06B3/00Passing of textile materials through liquids, gases or vapours to effect treatment, e.g. washing, dyeing, bleaching, sizing, impregnating
    • D06B3/10Passing of textile materials through liquids, gases or vapours to effect treatment, e.g. washing, dyeing, bleaching, sizing, impregnating of fabric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CFINISHING, DRESSING, TENTERING OR STRETCHING TEXTILE FABRICS
    • D06C7/00Heating or cooling textile fabric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HMARKING, INSPECTING, SEAMING OR SEVERING TEXTILE MATERIALS
    • D06H5/00Seaming textile materi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Treatment Of Fiber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직물원단에 주름을 성형하는 방법에 있어서, 소정의 열이 가해지면 수축하는 열수축 소재의 지지층을 작업대 상면에 배치하는 하층 배치 단계, 지지층 상면에 부피감을 가지는 젤라틴층을 배치하는 중층 배치 단계, 젤라틴층 상면에 주름이 형성되는 직물원단을 배치하는 상층 배치 단계, 직물원단, 젤라틴층 및 지지층이 중첩되어 형성하는 통합층에, 재봉사를 사용하여 소정의 무늬로 박음질하여, 박음질에 의한 소정의 주름을 형성하는 주름 형성 단계, 통합층을 열처리하여, 주름을 고정하는 주름 고정 단계, 및 주름이 고정된 통합층을 세척하여, 직물원단으로부터 지지층과 젤라틴층을 제거하는 세척 단계를 포함하는 직물원단의 주름 성형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직물원단의 주름 성형방법{METHOD FOR PLEAT MOLDING OF CLOTH}
본 발명은 직물원단의 주름 성형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주름직물은 원단을 제직한 후 크리즈(Crease) 가공한 것이다.
크리즈 가공은 원하는 무늬의 주름을 형성하기 위하여 후가공으로서 고압의 열처리를 하여 주름직물을 형성하는데, 이와 같은 종래의 크리즈 가공에 의한 주름 원단은 주름문양이 선명하지 않고, 여러 번 세탁을 하거나 좌/우로 직물을 빈번히 당겨질 경우 주름문양이 퇴화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열과 함께 압력에 의하여 주름이 형성됨에 따라 두꺼운 직물에는 크리즈 가공을 할 수 없는 문제점과 아울러 얇은 직물을 그 대상으로 함에 따라 내구성이 떨어지는 문제점 또한 있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열처리 되기 전의 합성섬유 원사를 봉사(봉제용 실)로 사용하여 희망하는 무늬에 따라 원단을 누빈 후, 봉사로 사용한 원사의 통상적인 열처리 온도로 원단 전체를 열처리하여 봉사가 수축함에 따라 주름이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봉사의 누빈 모양에 따라 자유롭고 다양하며 섬세한 주름직물을 제조할 수 있도록 종래의 기술이 공지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에서는 균일하고 선명한 주름이 성형된 직물원단을 얻을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주름이 성형된 직물원단에 재봉선이 나타남으로써, 심미감을 떨어뜨리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특허등록 제 10-0716494호 (공개일자, 2007.03.02.)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균일하고 선명한 주름을 성형하는 직물원단의 주름 성형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균일한 높이를 가진 주름을 성형하는 직물원단의 주름 성형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직물원단에 주름 성형시에 결합되었던 잔여물들을 쉽게 제거할 수 있는 직물원단의 주름 성형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재봉선이 없는 직물원단의 주름 성형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주름을 성형하는 직물원단에 보온원단을 접착함으로써, 의류제조 공정에서 별도의 보온원단을 접착할 필요가 없는 직물원단의 주름 성형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직물원단의 주름 성형방법은 직물원단에 주름을 성형하는 방법에 있어서, 소정의 열이 가해지면 수축하는 열수축 소재의 지지층을 작업대 상면에 배치하는 하층 배치 단계, 지지층 상면에 부피감을 가지는 젤라틴층을 배치하는 중층 배치 단계, 젤라틴층 상면에 주름이 형성되는 직물원단을 배치하는 상층 배치 단계, 직물원단, 젤라틴층 및 지지층이 중첩되어 형성하는 통합층에, 재봉사를 사용하여 소정의 무늬로 박음질하여, 박음질에 의한 소정의 주름을 형성하는 주름 형성 단계, 통합층을 열처리하여, 주름을 고정하는 주름 고정 단계, 및 주름이 고정된 통합층을 세척하여, 직물원단으로부터 젤라틴층과 지지층을 제거하는 세척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젤라틴층은 겔(gel) 성상의 젤라틴으로 이루어지며, 직물원단의 하면에 밀착되어, 직물원단에 형성된 주름의 형태를 팽팽하게 유지시킬 수 있다.
또한, 주름 고정 단계는 통합층의 상면을 소정의 높이로 가압하여, 주름이 편편하게 형성되게 할 수 있다.
또한, 재봉사는 세척 단계에서 세척액에 용해되는 용해사일 수 있다.
또한, 용해사는 물에 용해되는 폴리비닐알코올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세척 단계 이후에 보온원단의 일면에 접착제를 고루 도포한 후, 보온원단의 일면과 직물원단의 일면을 중첩 및 가압하는 접합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주름이 형성되는 직물원단의 하면 공간을 겔(gel) 성상의 젤라틴층이 부피감을 유지하며 팽팽하게 가압하여 줌으로써, 직물원단에 형성되는 주름을 균일하고 선명하게 성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젤라틴층이 부피감을 유지하며 평평하게 가압하여 주름이 형성되는 직물원단의 상측면을 가압기를 통해 가압함으로써, 직물원단의 가압면에 균일한 높이의 선명한 주름을 성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직물원단의 주름을 지지하는데 있어 수용성의 젤라틴을 사용함으로써, 주름 성형시 직물원단에 하면에 밀착하였던 젤라틴을 쉽게 제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재봉사로 용해사를 사용함으로써, 주름이 성형된 직물원단으로부터 주름형성에 사용되었던 지지층을 쉽게 제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재봉사로 용해사를 사용함으로써, 주름 성형시에 재봉선이 나타나지 않아, 주름이 성형된 직물원단의 심미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직물원단에 주름 성형 후 보온원단을 가압 접착함으로써, 보온성이 부여된 주름이 성형된 직물원단을 제공할 수 있다.
이 밖에도,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통해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 및 이점들이 새롭게 파악될 수도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직물원단의 주름 성형방법을 나타내는 공정흐름도이다.
도 2는 종래의 직물원단 주름 성형방법에 따라 직물원단에 형성되는 주름을 보여주는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직물원단의 주름 성형방법에 따라 직물원단에 형성되는 주름을 보여주는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에 있어서, 통합층의 상면이 가압될 때 직물원단에 형성되는 주름을 보여주는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5의 (a)는 종래에 따라 주름이 성형된 직물원단의 사진이고, (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주름이 성형된 직물원단의 사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직물원단의 주름 성형방법의 공정흐름도에서, 접합 단계가 더 포함된 공정흐름도이다.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정의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는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기술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으로, 설명에서 요소들의 형상, 개수 및 비율 등은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되거나 변경될 수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한다.
이하, 첨부되는 도면을 참고하여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고안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직물원단의 주름 성형방법을 나타내는 공정흐름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직물원단의 주름 성형방법은 하층 배치 단계(S110), 중층 배치 단계(S120), 상층 배치 단계(S130), 주름 형성 단계(S140), 주름 고정 단계(S150)및 세척 단계(S160)를 포함한다.
보다 자세하게, 먼저 작업대(930)에 열수축 소재의 지지층(110)을 올려 놓고, 그 위에 부피감을 가지어 주름의 형태를 유지해주는 젤라틴층(130)을 중첩하여 올려 놓고, 그 위에 주름을 형성할 직물원단(150)을 중첩하여 놓는다.
다음으로, 직물원단(150), 젤라틴층(130) 및 지지층(110)이 중첩되어 이루어진 통합층(100)에 재봉사(300:재봉할 때 사용하는 실)를 사용하여 작업자가 원하는 무늬로 박음질을 한다. 이 때, 박음질의 무늬에 따라 다양한 주름의 모양이 형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주름이 형성된 통합층(100)을 통상의 열처리 방법으로 가열함으로써, 주름 형성 단계(S140)에서 형성된 주름을 고정하여 주름을 성형한다.
다음으로, 주름의 성형이 완료된 통합층(100)을 세척하여, 직물원단(150)으로부터 젤라틴층(130) 및 지지층(110)을 제거함으로써, 주름이 성형된 직물원단(150)의 제작을 완료한다.
하층 배치 단계(S110)는 작업대(930)의 상측면에, 통합층(100)의 가장 아래층에 위치하는 지지층(110)을 배치하여 고정하는 것이다.
작업대(930)는 미싱이나 자수기, 손바늘 등의 수단으로 재봉사(300)를 사용하여 통합층(100)에 작업자가 원하는 무늬로 박음질할 수 있는 통상의 공간일 수 있다.
지지층(110)은 일정한 열이 가해지면 수축하는 열수축 소재의 층으로, 지지층(110)은 열이 가해지면 수축하는 부직포나 필름 등의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지지층(110)은 주름이 성형되는 직물원단(150)보다 가열에 의한 수축율이 높은 원단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지지층(110)은 주름을 성형하는 주름원단보다 약 3% 이상 수축율이 높을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주름의 모양이 제일 양호하게 나올 수 있도록 수축율이 3~8% 범위일 수 있다.
지지층(110)은 통합층(100)의 제일 하층에 배치되어 통합층(100)을 지지할 수 있다.
중층 배치 단계(S120)는 작업대(930)의 위에 배치된 지지층(110)의 상측면에, 통합층(100)의 중층을 형성하는 젤라틴층(130)을 배치하는 단계이다.
젤라틴층(130)은 탄성이 있으며 유동하지 않고 형태를 유지할 수 있는 겔(gel) 성상의 젤라틴을 포함하는 층일 수 있다.
젤라틴층(130)은 젤라틴의 농도가 높을수록 고온의 열에서도 겔 성상으로 유지되므로, 통합층(100)에 재봉사(300)에 의해 형성된 주름이 열처리에 의해 완전히 성형될 때까지, 형태를 유지할 수 있는 젤라틴 농도를 가지는 젤라틴층(130)일 수 있다.
젤라틴층(130)은 지지층(110)의 위에 배치되어, 젤라틴층(130)의 위에 배치되는 직물원단(150)의 하면과 밀착하여 중첩할 수 있다.
젤라틴층(130)은 형성되는 직물원단(150)이 형성하는 주름의 높이보다 낮은 두께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주름의 높이가 5mm일 경우, 젤라틴층(130)의 높이는 5mm미만일 수 있다.
젤라틴층(130)은 재봉사(300)의 박음질에 의해 직물원단(150)이 주름모양을 형성할 때, 직물원단(150)의 하측면을 팽팽하게 가압하여, 주름모양이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상층 배치 단계(S130)는 작업대(930)의 위에 배치된 젤라틴층(130)의 상측면에, 통합층(100)의 최상단에 위치하여 상층을 형성하는 직물원단(150)을 배치하여 고정하는 것이다.
직물원단(150)은 실제적인 주름이 성형되는 원단이다.
직물원단(150)은 열에 의한 수축율이 지지층(110)보다 낮은 원단일 수 있다.
직물원단(150)은 열에 의해 지지층(110)이 수축될 때에 그 수축되는 부피에 해당하는 면적에 의해서 상측으로 부풀려지며 주름이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재봉사에 의해 박음질 된 일단은 지지층(110)에 접면되어 상측으로 부풀려지는 주름이 형성되지 않을 수 있다.
직물원단(150)은 주름이 성형되었을 때 생성되는 주름의 크기만큼 원단이 더 많이 사용되므로, 실제로 주름의 성형이 완료되었을 때의 크기보다 크게 재단하여 사용할 수 있다.
즉, 주름의 크기에 따라 공정에 투입되는 직물원단(150)의 크기는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주름이 성형이 완료된 직물원단(150) 크기의 약 2배의 크기일 수 있다.
직물원단(150)은 젤라틴층(130)의 위에 배치되며 젤라틴층(130)과 밀착하여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작업대(930)의 위에 지지층(110), 젤라틴층(130) 및 직물원단(150)이 중첩 배치되어 통합층(100)을 형성하고, 이와 같은 통합층(100)에 재봉사로 박음질을 하기 위하여 통합층(100)의 말단측을 지그에 물려 고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통합층(100)은 재봉사(300)를 통한 박음질을 위하여, 작업자의 손에 의해 고정될 수도 있다.
주름 형성 단계(S140)는 지지층(110), 젤라틴층(130) 및 직물원단(150)으로 형성된 통합층(100)에 작업자가 재봉사(300)를 사용하여 원하는 무늬로 박음질하는 것이다.
재봉사(300)를 사용하여 작업자가 생성하기 원하는 소정의 무늬로 박음질하는 경우, 미싱이나 자수기, 손바늘 등의 수단을 사용할 수 있다.
작업자의 작업에 의해 재봉사(300)는 상층으로부터 직물원단(150), 젤라틴층(130) 및 지지층(110)을 통과한 후, 다시 지지층(110), 젤라틴층(130) 및 직물원단(150)을 통과하며 박음질 될 수 있다.
재봉사(300)에 의해, 상층의 직물원단(150)의 일단은 젤라틴층(130)을 가압하여 밀어내며, 하층의 지지층(110)과 접면할 수 있다.
보다 자세하게, 재봉사(300)에 의해 박음질 된 직물원단(150)의 일단은 직물원단(150)과 지지층(110)이 접면하게 되므로 그 일단의 직물원단(150)에는 오목한 주름이 형성되고, 재봉사(300)에 의해 박음질 되지 않는 직물원단(150)의 일단은 직물원단(150)과 지지층(110)의 사이에 공간에 젤라틴층(130)이 공간을 메우므로 그 일단의 직물원단(150)은 볼록한 주름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주름 고정 단계(S150)는 통합층(100)에 통상의 열처리를 진행함으로써, 통합층(100)의 상층의 직물원단(150)에 형성된 주름이 고정되도록 성형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직물원단(150), 젤라틴층(130) 및 지지층(110)으로 형성된 통합층(100)은 재봉사(300)에 의해 박음질 된 상태에서 다수의 적외선 히터가 가열된 가열실을 통과하며 열처리되어 주름이 고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열실의 온도는 130~170도의 온도에서 약 1~3분정도로 열처리하는 경우, 직물원단(150)은 가열 온도 및 가열 시간에서 수축이 발생하지 않는 직물원단(150)을 사용하고, 지지층(110)은 지지층(110)의 수축율이 약 3%~8%인 열수축 수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열처리 온도의 설정은 직물원단(150)의 전이점(물질이 온도에 따라 결정의 모양이 바뀌는 경계점) 이상, 연화점(고형물질이 부드럽고 무르게 되기 시작하는 경계점) 이하의 온도범위에서 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폴리에스테르는 160도에서 3분, 나일론은 150도에서 1분, 폴리프로필렌은 140도에서 1분 정도일 수 있다.
세척 단계(S160)는 주름이 고정된 통합층(100)을 온수에 침지하여 상층의 직물원단(150)으로부터 하층의 젤라틴층(130) 및 지지층(110)을 제거하는 것이다.
젤라틴층(130)은 고온의 물에서 녹으므로, 고온의 물을 사용하는 수세작업을 통하여 직물원단(150)으로부터 제거할 수 있다.
지지층(110)은 젤라틴층(130)이 제거된 후, 별도의 작업을 통하여 제거할 수 있다. 또한, 직물원단(150)에는 영향을 주지 않으면서, 지지층(110)을 용해하는 산 및 알카리용제에 통합층을 침지 처리하여, 지지층(110)을 제거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세척 단계(S160)를 완료하면, 작업자가 원하는 주름이 성형된 직물원단(150)을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주름이 형성되는 공간에 젤라틴층(130)이 밀착하여 고루 분포되어 부피감을 유지하므로, 고르고 균일한 주름무늬를 가진 직물원단(150)을 성형할 수 있다.
도 2는 종래의 직물원단의 주름 성형방법에 따라 직물원단에 형성되는 주름을 보여주는 개략적인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직물원단의 주름 성형방법에 따라 직물원단에 형성되는 주름을 보여주는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젤라틴층(130)은 재봉사(300)의 박음질에 의해 직물원단(150)에 주름을 형성할 때에, 직물원단(150)의 주름을 팽팽하게 유지할 수 있다.
보다 자세하게, 본 발명에 사용되는 젤라틴층(130)은 겔(gel) 성상으로 유지되므로, 재봉사(300)에 따른 박음질에 따라 유동적으로 움직이며 직물원사와 지지층(110) 간의 공간을 촘촘하게 메꾸어 줄 수 있다. 이를 통해 직물원단(150)에 형성되는 주름은 모든 부분이 팽팽하고 선명한 주름으로 형성되어 성형될 수 있다.
즉, 도 2에서와 같이 종래의 직물원단의 주름 성형방법은, 주름이 형성되는 직물원단(150)과 직물원단(150)을 지지하며 수축하는 지지층(110) 사이에 공간이 비어 있는 공극(500)이 형성되어 주름을 받쳐주지 못하므로, 형성되는 주름이 균일하지 못하거나 선명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다.
반면, 도 3에서과 같이 본 발명에 일 실시예에 따르면, 직물원단(150)의 후면을 유동성 있는 겔 성상의 젤라틴층(130)이 가압하여, 직물원단(150)과 지지층(110) 사이의 공극(500)을 제거하므로, 형성되는 주름이 팽팽하고 균일하게 형성하도록 할 수 있다.
도 4는 도 3에 있어서, 통합층의 상면이 가압될 때 직물원단에 형성되는 주름을 보여주는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주름 고정 단계(S150)는 직물원단(150), 젤라틴층(130) 및 지지층(110)으로 형성된 통합층(100)의 상측면을 일정한 높이로 평행하여 가압하는 공정을 포함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주름 고정 단계(S150)에서는 통합층(100)에 형성된 주름을 고정성형하기 위해서 열처리 과정을 거치게 되는데, 열처리 과정의 이전 또는 열처리 과정 중에 통합층(100)에 평행한 가압롤러 또는 가압판의 가압기(910)를 사용하여 통합층(100)에 형성된 오목 형상의 주름을 가압하여 눌러줄 수 있다.
즉, 열처리 과정에 들어가기 전에 통합층(100)에 형성된 주름의 상측을 가압롤러 또는 가압판의 가압기(910)를 사용하여 가압하여 눌러 주거나, 열처리 과정 중에 통합층(100)에 형성된 주름의 상측을 가압롤러 또는 가압판의 가압기(910)를 사용하여 가압하여 눌러 줄 수 있다.
이 때, 가압되는 상측면의 높이는 형성된 주름의 높이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도 4에서와 같이, 재봉사(300)로 박음질을 하여 부풀려졌던 주름의 상측면이 납작하게 눌리면서, 주름의 각 말단에 선명한 주름을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재봉사(300)로 박음질하여 형성한 주름을 가압기(910)를 통하여 가압함으로써, 직물원단(150)에 선명한 주름을 성형할 수 있다.
도 5의 (a)는 종래의 방법에 따라 주름이 성형된 직물원단(150)의 사진이고, (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주름이 성형된 직물원단(150)의 사진이다.
도 5에 보는 바와 같이, 종래의 방법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법으로 직물원단(150)에 주름을 성형하였을 때의 차이를 확인할 수 있다.
도 5의 (a)에서, 종래의 방법으로 주름이 성형된 직물원단(150)은 주름의 선명하지 못하여, 작업자가 의도한대로 주름이 형성되지 않는다.
이에 반해, 도 5의 (b)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법으로 주름이 성형된 직물원단(150)은 주름이 선명하고 주름의 높이가 균일하여, 작업자가 의도한대로 주름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도 5의 (b)의 경우, 도시되지 않았지만 직물원단에 성형된 상면의 주름과 하면의 주름의 형태가 다르기 때문에, 작업자의 선택에 따라 원하는 주름의 형태를 선택하여 사용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작업자는 상면의 볼록하고 편편한 주름 또는 하면의 오목하여 음각의 입체감을 주는 주름 중 작업자의 취향에 따라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재봉사(300)는 주름 형성 단계(S140)에서 직물원단(150), 젤라틴층(130) 및 지지층(110)에 작업자의 의도에 따라 소정의 무늬로 박음질 되어 통합층(100)에 작업자가 원하는 소정의 주름을 형성하는 데에 사용되는 재용봉 실이다.
재봉사(300)는 주름이 성형된 통합층(100)의 세척 단계(S160)에서 세척액에 용해되는 용해사일 수 있다.
세척액은 산이나 알카리용제 또는 물일 수 있으며, 용해사를 용해시킴과 동시에, 직물원단(150)은 용해시키지 않는 성분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용해사는 폴리비닐알코올을 포함하는 일본 니티비(Nitivy)사의 수용성 원사인 솔브론(Solvron)일 수 있다. 솔브론은 P.V.A.(POLYVINYL ALCOHOL) 계열의 수용성 원사로서 온수는 물론 냉수에서도 용해되므로, 세척액의 온도를 용해사의 온도에 관계없이 젤라틴층(130)의 용해 온도에 맞추어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직물원단(150)에 소정의 주름을 형성한 후, 세척액으로 처리하여 재봉사(300)를 용해하여 제거함으로써, 직물원단(150)의 외부에 재봉사(300)가 없는 주름이 성형된 직물원단(150)을 얻을 수 있다. 이를 통해 심미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세척액에 용해되는 재봉사(300)를 사용함으로써, 지지층(110)을 별도로 제거해야 하는 공정으로 거치지 않고, 세척 공정을 통해 젤라틴층(130)과 지지층(110)을 한번에 제거할 수 있는 편리성이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직물원단(150)의 주름 성형방법의 공정흐름도에서, 접합 단계(S170)가 더 포함된 공정흐름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세척 단계(S160) 이후에 직물원단(150)과 보온원단을 결합하는 접합 단계(S1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보다 자세하게, 접합 단계(S170)는 보온원단의 일면에 섬유원단접착용 접착제를 고루 도포하는 단계(S170a), 섬유원단접착용 접착제가 도포된 보온원단의 일면에 재봉사(300)가 제거되어 재봉선이 없이 주름이 성형된 직물원단(150)을 중첩하여 배치하는 단계(S170b) 및 중첩된 보온원단과 직물원단(150)이 서로 접착되도록 가압하는 단계(S170c)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재봉선이 없이도 일체형으로 접착된 보온성이 우수한 직물원단(150)을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주름이 성형된 직물원단(150) 공정에서 보온원단이 접착된 직물원단(150)으로 공급받으므로, 종래의 의류제조 공정에서 보온원단을 별도로 접착해야 하는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이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로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100: 통합층 110: 지지층
130: 젤라틴층 150: 직물원단
300: 재봉사 500: 공극
910: 가압기 930: 작업대

Claims (6)

  1. 직물원단에 주름을 성형하는 방법에 있어서,
    소정의 열이 가해지면 수축하는 열수축 소재의 지지층을 작업대 상면에 배치하는 하층 배치 단계;
    상기 지지층 상면에 부피감을 가지는 젤라틴층을 배치하는 중층 배치 단계;
    상기 젤라틴층 상면에 주름이 형성되는 상기 직물원단을 배치하는 상층 배치 단계;
    상기 직물원단, 상기 젤라틴층 및 상기 지지층이 중첩되어 형성하는 통합층에, 재봉사를 사용하여 소정의 무늬로 박음질하여, 상기 박음질에 의한 소정의 주름을 형성하는 주름 형성 단계;
    상기 통합층을 열처리하여, 상기 주름을 고정하는 주름 고정 단계; 및
    상기 주름이 고정된 상기 통합층을 세척하여, 상기 직물원단으로부터 상기 젤라틴층과 상기 지지층을 제거하는 세척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젤라틴층은,
    겔(gel) 성상의 젤라틴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직물원단의 하면에 밀착되어,
    상기 재봉사에 따른 박음질에 따라 유동적으로 움직여 상기 직물원단과 상기 지지층 간의 공간을 메꾸어 주며 상기 직물원단의 하면을 가압하여, 상기 직물원단에 형성된 상기 주름의 형태를 팽팽하게 유지시키는 직물원단의 주름 성형방법.
  2. 삭제
  3. 제1항에서,
    상기 주름 고정 단계는,
    상기 통합층의 상면을 소정의 높이로 가압하여, 상기 주름이 편편하게 형성되게 하는 직물원단의 주름 성형방법.
  4. 제1항에서,
    상기 재봉사는,
    상기 세척 단계에서 세척액에 용해되는 용해사인 직물원단의 주름 성형방법.
  5. 제4항에서,
    상기 용해사는,
    물에 용해되는 폴리비닐알코올을 포함하는 직물원단의 주름 성형방법.
  6. 제4항에서,
    상기 세척 단계 이후에,
    보온원단의 일면에 접착제를 고루 도포한 후, 상기 보온원단의 일면과 상기 직물원단의 일면을 중첩 및 가압하는 접합 단계를 더 포함하는 직물원단의 주름 성형방법.
KR1020180148263A 2018-11-27 2018-11-27 직물원단의 주름 성형방법 KR1021234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8263A KR102123418B1 (ko) 2018-11-27 2018-11-27 직물원단의 주름 성형방법
PCT/KR2019/012989 WO2020111495A1 (ko) 2018-11-27 2019-10-04 직물원단의 주름 성형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8263A KR102123418B1 (ko) 2018-11-27 2018-11-27 직물원단의 주름 성형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62637A KR20200062637A (ko) 2020-06-04
KR102123418B1 true KR102123418B1 (ko) 2020-06-16

Family

ID=708538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48263A KR102123418B1 (ko) 2018-11-27 2018-11-27 직물원단의 주름 성형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123418B1 (ko)
WO (1) WO2020111495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69735B1 (ko) 2021-03-02 2021-06-25 정재환 옷단의 주름 형성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936548B (zh) * 2020-06-29 2024-01-19 云谷(固安)科技有限公司 显示模组、折弯垫块及显示模组的制作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37190Y1 (ko) 2003-09-09 2004-01-03 손대승 주름직물 가공원단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51512B1 (ko) * 2000-03-15 2002-09-11 주식회사 얀코 내피원단이 접합된 주름의류 및 원단의 제조방법
KR100389281B1 (ko) * 2000-07-24 2003-06-25 백우진 테이프원단을 이용한 주름의류 및 그 제조방법
KR100389282B1 (ko) * 2000-08-24 2003-06-25 백우진 패딩주름의류 및 패딩주름원단의 제조방법
KR200361042Y1 (ko) * 2004-06-24 2004-09-07 오남석 직물의 주름 성형장치
KR200378695Y1 (ko) * 2004-12-20 2005-03-17 이기웅 주름가공원단을 이용한 이중접합원단
KR100716494B1 (ko) 2005-08-26 2007-05-10 권순호 주름직물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37190Y1 (ko) 2003-09-09 2004-01-03 손대승 주름직물 가공원단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69735B1 (ko) 2021-03-02 2021-06-25 정재환 옷단의 주름 형성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0111495A1 (ko) 2020-06-04
KR20200062637A (ko) 2020-06-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23418B1 (ko) 직물원단의 주름 성형방법
US3650647A (en) Apparatus for securing buttons to fabric
KR20120130176A (ko) 직물 제품의 제조 방법
EP0478593A4 (en) Double-embroidered lace
US20050087113A1 (en) Method for making a 3D embroidery
MXPA02004866A (es) Metodo de bordado.
CN101596024A (zh) 一种防卷曲衣领的制造方法
US6467420B1 (en) Cloth having embroidery pattern and method for forming embroidery pattern
JPH05195411A (ja) 刺繍製品の製造方法及び刺繍製品
KR102187466B1 (ko) 공기층 가변형 주름원단 제조방법
KR100266237B1 (ko) 용해성소재를이용한공간층이형성된입체자수제조방법
CN107205512A (zh) 用于制造组合的纺织产品的方法
JP3979624B2 (ja) レース状布地の製造方法
JP5143981B2 (ja) 凹凸模様表地の製造方法
JP2005133233A (ja) 刺繍模様の形成方法及びその方法を使用した布製製品
JPH0931839A (ja) 絞り状しわを有する染色布および衣服の製造方法
JPH08113883A (ja) 絞り染め状捺染布の製造方法
KR101896071B1 (ko) 알레르겐 방지 침구의 봉제방법
EP3404134B1 (en) Process for forming a seam construction on a substrate
CN108977978B (zh) 一种去污面料及加工工艺
JPH09241965A (ja) 刺繍体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392667B1 (ko) 입체자수를 구비한 방한의류 봉제방법
KR20010091368A (ko) 보온주름의류 및 원단
KR20170069623A (ko) 형태 안정성이 우수한 자수 원단의 제조방법 및 이 방법에 의해 제조된 자수 원단
KR101294826B1 (ko) 자동 자수기를 이용한 입체 자수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