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19650B1 - 정션 블록 - Google Patents

정션 블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19650B1
KR102119650B1 KR1020140157367A KR20140157367A KR102119650B1 KR 102119650 B1 KR102119650 B1 KR 102119650B1 KR 1020140157367 A KR1020140157367 A KR 1020140157367A KR 20140157367 A KR20140157367 A KR 20140157367A KR 102119650 B1 KR102119650 B1 KR 1021196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junction block
mounting
upper body
block
re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573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56712A (ko
Inventor
김종주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573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19650B1/ko
Publication of KR201600567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567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196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196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transmission of signals between vehicle parts or subsystems
    • B60R16/0239Electronic box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85/00Protective devices in which the current flows through a part of fusible material and this current is interrupted by displacement of the fusible material when this current becomes excessiv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정션 블록에 관한 것으로, 다수개의 디바이스가 장착되는 디바이스 장착부 일측에 인라인 커넥터 또는 릴레이 블록이 장착되는 멀티장착부가 형성된 상부바디를 포함하며, 신차량 개발시 범용성이 높은 본 발명의 정션 블록이 사용됨으로써, 설계 공수가 줄어들어 신차량 제작 기간이 단축되는 효과가 있는 정션 블록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정션 블록{JUNCTION BLOCK}
본 발명은 정션 블록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정션 블록 내부에 인라인 커넥터 또는 릴레이 블록이 장착되는 멀티장착부를 형성함으로써, 설계 변경 없이 여러 차종에 사용될 수 있는 정션 블록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에는 일반적으로 20개 내지 30개의 휴즈와 10여개의 릴레이가 장착되고 있다. 이러한 휴즈 및 릴레이를 집적시켜 전원을 모드별로 분배하기 위하여 차량에는 정션 블록이 구비되고 있다.
한편, 차량에 따라서 배선(와이어 파티션)이 다르기 때문에, 정션 블록의 설계가 차량에 따라서 상이하다. 특히,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엔진으로부터 연장된 콘트롤 와이어링 하네스가 인라인 커넥터를 통해 별도로, 정션 블록에 장착되는 차량이 있는 반면, 그렇지 않은 차량도 있다.
이에 따라, 차량이 개발될 때, 개발 비용 및 설계 공수를 증가시키는 정션 블록의 신규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2-0007258호(2002.01.26.)
이에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발명된 본 발명의 목적은, 정션 블록 내부에 인라인 커넥터 또는 릴레이 블록이 장착되는 멀티장착부를 형성함으로써, 설계 변경 없이 여러 차종에 사용될 수 있는 정션 블록을 제공하는 것이다.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정션 블록은, 다수개의 디바이스가 장착되는 디바이스 장착부 일측에 인라인 커넥터 또는 릴레이 블록이 장착되는 멀티장착부가 형성된 상부바디를 포함하고, 상기 멀티장착부는 소정의 장착 공간을 갖고, 상기 장착 공간은 상기 인라인 커넥터가 장착되게 형성되고, 또한 상기 장착 공간은 상기 장착 공간에 장착되게 마련되는 장착몸체부를 갖는 상기 릴레이 블록이 상기 장착몸체부를 통해 장착되게 형성되고, 상기 멀티장착부는 상기 인라인 커넥터와 상기 릴레이 블록 중 어느 하나가 장착되게 구비되되, 상기 인라인 커넥터의 장착도 허용되고, 상기 릴레이 블록의 장착도 허용되게 마련된다.
위와 같은 본 발명의 정션 블록에 따르면, 신차량 개발시 범용성이 높은 본 발명의 정션 블록이 사용됨으로써, 설계 공수가 줄어들어 신차량 제작 기간이 단축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정션 블록을 공용으로 사용함으로써, 개발비 및 생산비가 저감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배선에 따라서 정션 블록을 별도로 개발하는 작업이 없어져 설계가 간편해지고, 설계 자유도가 높아진다.
도 1은 종래 정션 블록의 평면도 및 다른 평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정션 블록의 사시도,
도 3은 도 2의 정션 블록에 인라인 커넥터가 장착된 상태의 사시도,
도 4는 도 2의 정션 블록에 인라인 커넥터가 장착된 상태의 평면도,
도 5는 도 2의 정션 블록에 장착되는 인라인 커넥터의 사시도,
도 6은 도 2의 정션 블록에 릴레이 블록이 장착된 상태의 사시도,
도 7은 도 2의 정션 블록에 릴레이 블록이 장착된 상태의 평면도,
도 8은 도 2의 정션 블록에 장착되는 릴레이 블록의 사시도,
도 9는 도 2의 정션 블록에 장착되는 수밀커버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살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정션 블록은, 다수개의 디바이스가 장착되는 디바이스 장착부(110) 일측에 인라인 커넥터(400) 또는 릴레이 블록(500)이 장착되는 멀티장착부(120)가 형성된 상부바디(100)를 포함한다.
또한, 상부바디(100) 내부에 구비되고, 인라인 커넥터(400)를 통해 상부바디(100)에 체결된 전선 다발, 릴레이 블록(500) 또는 디바이스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인쇄회로기판 및, 상부바디(100) 하부에 부착된 하부바디(300)를 더 포함한다.
상부바디(100)에는, 인라인 커넥터(400)를 통해 상부바디(100)에 체결되는 전선 다발이 안착되고, 상부바디(100)의 외측면으로부터 멀티장착부(120)까지 전선 다발을 유도하는 안착가이드(130)가 형성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상부바디(100)를 덮는 상부커버(200)를 더 포함하고, 상부커버(200)에는, 안착가이드(130)를 소정부분 개구하는 개구형성부(210)가 형성된다.
상부바디(100)에는, 안착가이드(130)로부터 상부바디(100) 외측으로 수직하게 돌출되고, 전선 다발을 지지하는 지지부(140)가 형성된다. 지지부(140)와 상부커버(200) 좀더 정확히는 개구형성부(210)는, 안착가이드(130)를 외부로 개구하고, 전선 다발을 상부커버(200) 내부로부터 외부로 배출하는 통로인 인출 홀(150)을 형성한다.
또한, 상부바디(100)는, 안착가이드(130)에 장착되는 수밀커버(160)를 포함한다. 수밀커버(160)는 멀티장착부(120)에 릴레이 블록(500)이 장착되는 경우에, 안착가이드(130)에 장착됨으로써, 정션 블록 내부로 물, 먼지 등의 이물질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하부바디(300)는,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는 박스이고, 하부바디(300)의 일측에는, 하부바디(300) 내부와 외부를 연결하는 연결터널(310)이 형성된다. 하부바디(300)는 하부바디(300)로부터 분리됨으로써, 내부 공간을 외부로 개구하는 하부커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하부바디(300)에 커넥터가 장착됨으로써, 커넥터에 구속된 전선 다발과 인쇄회로기판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게 된다.
릴레이 블록(500)은, 멀티장착부(120)에 장착되는 장착몸체부(510) 및, 장착몸체부(510)에 삽입된 릴레이(520)를 포함한다. 릴레이(520)를 대신하여 다른 전자 부품을 장착하는 것이 가능하다.
위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정션 블록은, 인라인 커넥터(400)를 통해 별도의 전선 다발이 정션 블록에 장착될 경우에는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멀티장착부(120)에 인라인 커넥터(400)가 장착되고 안착가이드(130)를 통해 인라인 커넥터(400)에 구속된 전선다발이 정션 블록 외부로 배출된다.
이와 다르게, 별도의 전선 다발이 인라인 커넥터(400)를 통해 정션 블록에 장착되지 않을 경우에는, 도 6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멀티장착부(120)에 릴레이 블록(500)이 장착되고, 안착가이드(130)에 수밀커버(160)가 장착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0: 상부바디 110: 디바이스 장착부
120: 멀티장착부 130: 안착가이드
140: 지지부 150: 인출 홀
160: 수밀커버 200: 상부커버
210: 개구형성부 300: 하부바디
310: 연결터널 400: 인라인 커넥터
500: 릴레이 블록

Claims (9)

  1. 다수개의 디바이스가 장착되는 디바이스 장착부 일측에 인라인 커넥터 또는 릴레이 블록이 장착되는 멀티장착부가 형성된 상부바디를 포함하고,
    상기 멀티장착부는, 소정의 장착 공간을 갖고,
    상기 장착 공간은, 상기 인라인 커넥터가 장착되게 형성되고, 또한
    상기 장착 공간은, 상기 장착 공간에 장착되게 마련되는 장착몸체부를 갖는 상기 릴레이 블록이 상기 장착몸체부를 통해 장착되게 형성되고,
    상기 멀티장착부는, 상기 인라인 커넥터와 상기 릴레이 블록 중 어느 하나가 장착되게 구비되되, 상기 인라인 커넥터의 장착도 허용되고, 상기 릴레이 블록의 장착도 허용되게 마련되는, 정션 블록.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바디에는,
    상기 인라인 커넥터를 통해 상기 상부바디에 체결되는 전선 다발이 안착되고, 상기 상부바디의 외측면으로부터 상기 멀티장착부까지 상기 전선 다발을 유도하는 안착가이드가 형성된 정션 블록.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바디를 덮는 상부커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상부커버에는, 상기 안착가이드를 소정부분 개구하는 개구형성부가 형성된 정션 블록.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바디에는,
    상기 안착가이드로부터 상기 상부바디 외측으로 수직하게 돌출되고, 상기 전선 다발을 지지하는 지지부가 형성된 정션 블록.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바디를 덮는 상부커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와 상기 상부커버는,
    상기 안착가이드를 외부로 개구하고, 상기 전선 다발을 상기 상부커버 내부로부터 외부로 배출하는 통로인 인출 홀을 형성하는 정션 블록.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바디는,
    상기 안착가이드에 장착되는 수밀커버를 포함하는 정션 블록.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바디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인라인 커넥터를 통해 상기 상부바디에 체결된 전선 다발, 상기 릴레이 블록, 상기 디바이스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인쇄회로기판; 및
    상기 상부바디 하부에 부착된 하부바디를 더 포함하는 정션 블록.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바디는,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는 박스이고,
    상기 하부바디의 일측에는,
    상기 하부바디 내부와 외부를 연결하는 연결터널이 형성된 정션 블록.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릴레이 블록은,
    상기 장착몸체부에 삽입된 릴레이를 더 포함하는 정션 블록.
KR1020140157367A 2014-11-12 2014-11-12 정션 블록 KR1021196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57367A KR102119650B1 (ko) 2014-11-12 2014-11-12 정션 블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57367A KR102119650B1 (ko) 2014-11-12 2014-11-12 정션 블록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56712A KR20160056712A (ko) 2016-05-20
KR102119650B1 true KR102119650B1 (ko) 2020-06-05

Family

ID=561038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57367A KR102119650B1 (ko) 2014-11-12 2014-11-12 정션 블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1965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94348A (ko) 2020-12-29 2022-07-06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스위치를 이용한 고전압 정션박스의 인터락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85376B1 (ko) 2017-11-21 2023-01-0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정션 블록
KR102192231B1 (ko) * 2019-08-19 2020-12-17 주식회사 경신 방열기능을 갖는 차량용 정션박스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2786Y1 (ko) 2007-10-01 2008-12-11 경신공업 주식회사 차량용 정션박스의 배수구조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5914B1 (ko) 2001-11-20 2004-06-12 타이코에이엠피 주식회사 정션박스 및 인쇄회로기판의 납땜방법
KR100955057B1 (ko) * 2008-04-23 2010-04-28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차량용 박스
KR101035376B1 (ko) * 2009-01-19 2011-05-20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퓨즈박스
KR101405623B1 (ko) * 2012-08-13 2014-06-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전장박스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2786Y1 (ko) 2007-10-01 2008-12-11 경신공업 주식회사 차량용 정션박스의 배수구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94348A (ko) 2020-12-29 2022-07-06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스위치를 이용한 고전압 정션박스의 인터락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56712A (ko) 2016-05-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19650B1 (ko) 정션 블록
CN112512231B (zh) 电气连接箱以及线束
JP2018186615A (ja) 電気接続箱及びワイヤハーネス
CN104184087A (zh) 电接线盒
JP2014236654A (ja) 電気接続箱
JP2014103797A (ja) 電気接続箱
KR101671862B1 (ko) 정션박스의 조립구조
KR101487393B1 (ko) 멀티탭용 케이스
JP2021087272A (ja) 電気接続箱、及び、ワイヤハーネス
JP7293074B2 (ja) 電気接続箱およびワイヤハーネス
JP6976671B2 (ja) 電子部品モジュールの筐体
JP7163245B2 (ja) 電気接続箱、および、ワイヤハーネス
JP6494191B2 (ja) 電気接続箱
KR20180052431A (ko) 커넥터 장치
JP2016059225A (ja) 電気接続箱
KR101664293B1 (ko) 와이어 가이드부를 구비한 멀티박스
KR101996447B1 (ko) 배수부를 구비한 멀티 박스
KR102455570B1 (ko) 기판실장형 조인트장치
JP6201931B2 (ja) 電気接続箱
JP6459022B2 (ja) コネクタの案内構造及びガイド部材
JP6135341B2 (ja) ワイヤーハーネス及びベース体
JP5898545B2 (ja) 電子装置
KR101989394B1 (ko) 차량용 박스
KR101631696B1 (ko) 차량용 정션박스
JP2011239557A (ja) 電気接続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