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55057B1 - 차량용 박스 - Google Patents

차량용 박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55057B1
KR100955057B1 KR1020080037887A KR20080037887A KR100955057B1 KR 100955057 B1 KR100955057 B1 KR 100955057B1 KR 1020080037887 A KR1020080037887 A KR 1020080037887A KR 20080037887 A KR20080037887 A KR 20080037887A KR 100955057 B1 KR100955057 B1 KR 1009550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ing
guide
coupling
main body
guide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378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112163A (ko
Inventor
김길수
Original Assignee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378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55057B1/ko
Publication of KR200901121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121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550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550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transmission of signals between vehicle parts or subsystems
    • B60R16/0239Electronic box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transmission of signals between vehicle parts or subsystems
    • B60R16/0238Electrical distribution cent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85/00Protective devices in which the current flows through a part of fusible material and this current is interrupted by displacement of the fusible material when this current becomes excessiv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8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217Mechanical details of casings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박스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차량용 박스(10)의 골격은 메인바디(20)에 의해 형성된다. 상기 메인바디(20)의 일면은 로우커버(30)에 의해 차폐된다. 상기 로우커버(30)에는 와이어를 외부로 인출시키기 위한 와이어인출구(33)가 관통되게 형성되고, 상기 와이어인출구(33)의 일측에는 개구부(37)가 개구되게 형성된다. 상기 메인바디(20)에는 상기 개구부(37)를 차폐하는 가이드플레이트(27)가 구비된다. 상기 가이드플레이트(27)에는 상기 개구부(37)의 양단이 삽입되어 안내되는 결합가이드(27a)가 구비된다. 상기 개구부(37) 양단의 서로 마주보는 선단에는 안내부(37')가 형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하면, 사출형성 후 상기 개구부(37) 양단이 서로 가까워지도록 변형된 상태에서도, 상기 안내부(37') 및 상기 결합가이드(27a)에 의해 상기 개구부(37)가 벌어지면서 상기 가이드플레이트(27)가 결합되므로, 제품의 조립작업이 용이해 지는 이점이 있다.
박스, 메인바디, 로우커버, 결합가이드, 안내부

Description

차량용 박스{Box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박스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퓨즈 및 릴레이와 같은 회로를 구성하는 전장품들이 설치되는 차량용 박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종 전자부품이 집적되어 구성되는 박스, 예를 들어 차량의 내부에 설치되는 정션박스나 퓨즈박스의 경우에는, 박스의 외부로부터 전선이 연결된다. 이는 박스의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기 위한 것으로, 박스의 내부에 장착된 각종 부품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도 1에는 종래 기술에 의한 차랑용 박스의 구성이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다.
차량용 박스(1)의 골격은 메인바디(3)에 의해 형성된다. 상기 메인바디(3)는 합성수지와 같은 절연성 재질로 형성되고, 내부에는 터미널(도시되지 않음)이 설치되는 터미널공(5)이 관통되게 형성된다.
상기 메인바디(3)에는 릴레이 및 퓨즈와 같은 전장품들(도시되지 않음)이 다수개 구비된다.
상기 메인바디(3)의 일측에는 가이드플레이트(7)가 돌출되게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플레이트(7)는 후술할 로우커버(9)의 개구부(13)를 막아 후술할 와이어인출 구(11)로 인출된 와이어(도시되지 않음)가 유동되지 않도록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메인바디(3)의 일면에는 로우커버(9)가 결합된다. 상기 로우커버(9)는 상기 메인바디(3)에 설치된 전장품 및 터미널을 차폐하여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로우커버(9)의 바닥면에는 와이어인출구(11)가 관통되게 형성된다. 상기 와이어인출구(11)는 상기 메인바디(3)의 터미널과 연결된 와이어(도시되지 않음)를 외부로 인출시키는 통로역할을 한다.
상기 로우커버(9)에서 상기 와이어인출구(11)가 형성된 부분과 인접한 측면에는 개구부(13)가 개구되게 형성된다. 상기 개구부(13)는 상기 와이어인출구(11)의 일측과 상기 메인바디(3)의 측면이 모두 개구되어 형성되는 것이다.
하지만,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종래 기술에 의한 차량용 박스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상기 메인바디(3)에 상기 로우커버(9)가 결합될 때, 상기 가이드플레이트(7)는 그 양단이 상기 로우커버(9)의 개구부(13) 양단에 접하여 상기 개구부(13)의 양단을 따라 삽입되어야 한다. 하지만, 도 1에서 보듯이, 상기 로우커버(9)는 사출성형되어 응고되는 과정에서 잔류응력에 의해 상기 개구부(13)의 양단이 서로 가까워지도록 상기 로우커버(9)가 어느 정도 변형된다.
이와 같이 상기 로우커버(9)가 변형되어 상기 개구부(13) 사이의 폭이 좁아지게 되면 상기 메인바디(3)와 상기 로우커버(9)를 결합시킬 때, 상기 가이드플레이트(7)를 상기 개구부(13)에 정확히 삽입하기 위해 상기 개구부(13)를 벌린 후에 상기 가이드플레이트(7)를 삽입하거나, 상기 로우커버(9)의 사출성형 후 지그를 사 용하여 상기 개구부(13)의 폭이 일정하도록 굳어지게 한 후에 결합해야 하므로 차량용 박스(1)의 조립작업이 어려워지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메인바디의 가이드플레이트에 로우커버의 개구부 양단이 삽입되어 안내되는 삽입채널이 형성되는 차량용 박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와이어를 외부로 인출하기 위한 와이어인출구가 바닥면을 관통하여 형성되고, 상기 와이어인출구의 일측이 개구되도록 일면에 개구부가 개구되게 형성되며, 상기 개구부 양단의 서로 마주보는 모서리에는 상기 개구부의 폭이 넓어지도록 안내부가 형성되는 로우커버와; 상기 개구부에 결합되어 상기 개구부를 차폐하는 가이드플레이트가 구비되고, 상기 가이드플레이트의 양측에 상기 개구부의 양단이 걸어져 안내되는 한 쌍의 결합가이드가 구비되며, 상기 로우커버에 결합되는 메인바디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결합가이드는 그 선단이 서로 반대방향을 향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결합가이드와 상기 가이드플레이트의 사이에는 상기 개구부의 양단이 삽입되는 삽입채널이 형성되며 상기 결합가이드는 상기 가이드플레이트의 선단까지 연장되어 형성된다.
상기 개구부의 가장자리에는 상기 개구부의 양단이 상기 삽입채널의 내부에서 유동되지 않도록 지지하여 주는 지지리브가 돌출되게 형성된다.
상기 지지리브의 선단에는 상기 지지리브가 상기 삽입채널에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안내경사면이 경사지게 형성된다.
상기 와이어인출구의 가장자리에는 상기 결합가이드가 상기 개구부를 완전히 차폐하였을 때, 상기 결합가이드의 선단을 지지하여 주는 지지돌기가 돌출되게 형성된다.
상기 안내부는 소정의 곡률을 갖는 곡선형상이다.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박스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개구부의 양단에 안내부가 형성되고 가이드플레이트에 결합가이드가 구비되어 로우커버가 변형되어 개구부의 양단이 서로 가깝도록 변형된 상태에서도 용이하게 결합가이드의 삽입채널에 개구부의 양단이 삽입되어 가이드플레이트가 개구부에 결합될 수 있어 메인바디와 로우커버의 결합과정이 용이해지므로 제품의 조립작업성이 좋아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결합가이드에 개구부의 양단이 걸어져 고정되므로 가이드플레이트가 개구부를 견고하게 막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박스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2에는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박스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이 분해사시도로 도시되어 있다.
이 도면에 의하면, 차량용 박스(10)의 골격은 메인바디(20)에 의해 형성된다. 상기 메인바디(20)는 합성수지와 같은 절연성 재질로 형성된다. 상기 메인바디(20)에는 다수개의 터미널공(21)이 관통되게 형성된다. 상기 터미널공(21)에는 와이어(도시되지 않음)가 연결된 터미널(도시되지 않음)이 설치된다. 상기 메인바디(20)의 일면에는 상기 터미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퓨즈 및 릴레이와 같은 전장품(도시되지 않음)이 다수개 설치된다.
상기 메인바디(20)의 외면에는 상기 차량용 박스(10)를 차체에 고정시키기 위한 브라켓(23)이 다수개 구비된다. 상기 브라켓(23)에 나사등의 체결구가 체결되어 상기 차량용 박스(10)가 차체에 고정되는 것이다.
상기 메인바디(20)의 외면에는 소정거리 이격된 위치에 결합돌기(25)가 돌출되게 형성된다. 상기 결합돌기(25)는 후술할 로우커버(30)의 결합후크(31)가 걸어져 상기 메인바디(20)의 로우커버(30)를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메인바디(20)에서 후술할 로우커버(30)가 결합되는 면에는 가이드플레이트(27)가 소정길이 돌출되게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플레이트(27)는 후술할 로우커버(30)의 개구부(37)를 차폐하여 로우커버(30)의 내부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막는 역할을 한다.
상기 가이드플레이트(27)의 양측에는 결합가이드(27a)가 각각 구비된다. 상기 결합가이드(27a)는 그 횡단면이 대략'ㄱ'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그 선단이 반대방향을 향하도록 상기 가이드플레이트(27)에 구비된다. 상기 결합가이드(27a)는 상기 가이드플레이트(27)가 개구부(37)를 차폐하도록 결합될 때, 개구부(37)의 양단 을 지지하여 안내하는 역할을 하고, 상기 가이드플레이트(27)가 개구부(37)를 견고하게 차폐할 수 있도록 상기 가이드플레이트(27)를 개구부(37)에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개구부(37)의 양단이 용이하게 상기 결합가이드(27a)에 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결합가이드(27a)는 상기 가이드플레이트(27)의 선단까지 연장되어 형성된다.
상기 결합가이드(27a)의 선단과 상기 가이드플레이트(27)의 사이에는 삽입채널(27b)이 형성된다. 상기 삽입채널(27b)은 개구부(37)의 양단이 삽입되는 공간이다.
상기 메인바디(20)의 일면에는 로우커버(30)가 결합된다. 상기 로우커버(30)는 합성수지와 같은 절연성 재질로 형성되고, 대략 일면이 개구되어 그 내부에 소정의 공간이 형성되는 박스형상으로 형성된다. 참고로 상기 메인바디(20)에서 상기 로우커버(30)가 결합되는 면의 반대면에는 상기 메인바디(20)의 일면을 차폐하는 어퍼커버가 결합 될 수도 있다.
상기 로우커버(30)의 외면에서 상기 메인바디(20)의 결합돌기(25)와 대응되는 위치에는 결합후크(31)가 구비된다. 상기 결합후크(31)는 상기 결합돌기(25)에 걸어져 상기 메인바디(20)와 상기 로우커버(30)를 함께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로우커버(30)의 바닥면 일측에는 와이어인출구(33)가 관통되게 형성된다. 상기 와이어인출구(33)는 상기 메인바디(20)에 설치된 와이어가 외부로 인출될 수 있도록 통로를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와이어인출구(33)의 둘레 가장자리에는 지지돌기(35)가 돌출되게 형성된다. 상기 지지돌기(35)는 상기 가이드플레이트(27)가 개구부(37)에 완전히 결합 되었을 때, 상기 가이드플레이트(27)의 결합가이드(27a)를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와이어인출구(33)가 형성된 부분의 일측에는 개구부(37)가 형성된다. 상기 개구부(37)는 상기 와이어인출구(33)로 와이어가 용이하게 인출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상기 로우커버(30)의 일면에서 상기 와이어인출구(33)의 일측까지 개구되게 형성된다.
상기 개구부(37) 양단의 서로 마주보는 모서리에는 안내부(37')가 형성된다. 상기 안내부(37')는 상기 가이드플레이트(27)의 결합가이드(27a)로 상기 개구부(37)의 양단이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개구부(37) 사이의 폭을 넓혀 주는 역할을 한다.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로우커버(30)는 사출성형된 후 냉각되는 과정에서 잔류응력에 의해 상기 개구부(37)의 양단이 서로 가까워지도록 변형되는 현상이 발생한다. 따라서 상기 개구부(37) 사이의 폭이 상기 가이드플레이트(27) 사이의 폭보다 좁아지게 되므로, 상기 안내부(37')를 구비하여 그 선단 부분의 폭이 상대적으로 넓어지게 하여 상기 가이드플레이트(27)의 결합가이드(27a)가 상기 개구부(37)의 양단에 용이하게 결합되도록 하는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안내부(37')가 소정의 곡률을 갖는 곡선 형상으로 형성되었지만, 이와 달리 단순 챔퍼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개구부(37)의 양단 가장자리에는 지지리브(39)가 소정량 돌출되게 형성된다. 상기 지지리브(39)는 상기 가이드플레이트(27)가 상기 로우커버(30)에 결합되었을 때, 유동되지 않도록 지지하여 주는 역할을 한다.
상기 지지리브(39)의 선단에는 안내경사면(39')이 경사지게 형성된다. 상기 안내경사면(39')은 상기 지지리브(39)가 상기 삽입채널(27b)로 용이하게 삽입되도록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 실시예에 의한 차량용 박스의 조립과정을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3a 및 도 3b에는 본 발명 실시예에 의한 차량용 박스의 조립과정을 보인 작업상태도가 도시되어 있다.
참고로 로우커버(30)는 사출성형 후 응고되는 과정에서 잔류응력에 의해 개구부(37) 양단이 서로 가까워지도록 변형된 상태이다.
먼저 작업자는 메인바디(20)와 로우커버(30)를 결합시킨다. 이때, 상기 메인바디(20)에 연결된 와이어(도시되지 않음)가 로우커버(30)의 와이어인출구(33)를 통해 인출되도록 한 후에 상기 메인바디(20)와 로우커버(30)를 결합시킨다.
상기 메인바디(20)와 로우커버(30)를 결합시킬 때는, 상기 메인바디(20)의 가이드플레이트(27)에 구비된 결합가이드(27a)로 상기 로우커버(30)의 개구부(37) 양단이 삽입되도록 결합시킨다. 상기 로우커버(30)는 상기 개구부(37)의 폭이 좁아지게 변형되어 있는 상태이지만, 안내부(37')에 의해 상기 결합가이드(27a)의 삽입채널(27b)로 상기 개구부(37)의 양단이 용이하게 삽입된다.
상기 결합가이드(27a)에 상기 개구부(37)의 양단이 삽입된 상태에서 작업자는 상기 메인바디(20)를 잡고 상기 가이드플레이트(27)를 더 밀어넣는다. 이때, 상기 개구부(37)의 양단이 상기 결합가이드(27a)를 따라 이동하면서 벌어지게 되고 결합이 진행됨에 따라 원상태로 점차 복원된다.
상기 결합가이드(27a)가 어느 정도 결합되면 상기 로우커버(30)의 지지리브(39)에 접하게 되고, 상기 지지리브(39)의 안내경사면(39')에 의해 안내되어 상기 지지리브(39)가 상기 삽입채널(27b)로 삽입된다.
상기 메인바디(20)와 로우커버(30)가 완전히 조립되면 상기 결합가이드(27a)의 선단은 상기 로우커버(30)의 지지돌기(35)에 접하여 지지된다.
상기 메인바디(20)에는 결합돌기(25)가 구비되고, 상기 로우커버(30)에는 결합후크(31)가 구비되므로, 작업자는 상기 결합후크(31)가 상기 결합돌기(25)에 걸어질 수 있도록 잘 맞추어 결합시키고, 상기 결합후크(31)가 결합돌기(25)에 걸어지면 상기 메인바디(20)와 로우커버(30)가 함께 고정된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차량용 박스의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박스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 실시예에 의한 차량용 박스의 조립과정을 보인 작업상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차량용 박스 20 : 메인바디
21 : 터미널공 23 : 브라켓
25 : 결합돌기 27 : 가이드플레이트
27a: 결합가이드 27b: 삽입채널
30 : 로우커버 31 : 결합후크
33 : 와이어인출구 35 : 지지돌기
37 : 개구부 37': 안내부
39 : 지지리브 39': 안내경사면

Claims (6)

  1. 와이어를 외부로 인출하기 위한 와이어인출구가 바닥면을 관통하여 형성되고, 상기 와이어인출구의 일측이 개구되도록 일면에 개구부가 개구되게 형성되며, 상기 개구부 양단의 서로 마주보는 모서리에는 상기 개구부의 폭이 넓어지도록 안내부가 형성되는 로우커버와;
    상기 개구부에 결합되어 상기 개구부를 차폐하는 가이드플레이트가 구비되고, 상기 가이드플레이트의 양측에 상기 개구부의 양단이 걸어져 안내되는 한 쌍의 결합가이드가 구비되며, 상기 로우커버에 결합되는 메인바디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차량용 박스.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가이드는 그 선단이 서로 반대방향을 향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결합가이드와 상기 가이드플레이트의 사이에는 상기 개구부의 양단이 삽입되는 삽입채널이 형성되며 상기 결합가이드는 상기 가이드플레이트의 선단까지 연장되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박스.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의 가장자리에는 상기 개구부의 양단이 상기 삽입채널의 내부에서 유동되지 않도록 지지하여 주는 지지리브가 돌출되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박스.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리브의 선단에는 상기 지지리브가 상기 삽입채널에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안내경사면이 경사지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박스.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인출구의 가장자리에는 상기 결합가이드가 상기 개구부를 완전히 차폐하였을 때, 상기 결합가이드의 선단을 지지하여 주는 지지돌기가 돌출되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박스.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부는 소정의 곡률을 갖는 곡선형상임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박스.
KR1020080037887A 2008-04-23 2008-04-23 차량용 박스 KR1009550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37887A KR100955057B1 (ko) 2008-04-23 2008-04-23 차량용 박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37887A KR100955057B1 (ko) 2008-04-23 2008-04-23 차량용 박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12163A KR20090112163A (ko) 2009-10-28
KR100955057B1 true KR100955057B1 (ko) 2010-04-28

Family

ID=415533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37887A KR100955057B1 (ko) 2008-04-23 2008-04-23 차량용 박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5505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19650B1 (ko) * 2014-11-12 2020-06-0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정션 블록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44020A (ja) 2000-03-01 2001-09-07 Auto Network Gijutsu Kenkyusho:Kk 車載用待ち受けコネクタの位置決め構造
KR100335002B1 (ko) 1999-08-09 2002-05-02 정진택 회로기판과 케이블 접속용 커넥터 조립체
JP2005185034A (ja) 2003-12-22 2005-07-07 Yazaki Corp 電気接続箱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35002B1 (ko) 1999-08-09 2002-05-02 정진택 회로기판과 케이블 접속용 커넥터 조립체
JP2001244020A (ja) 2000-03-01 2001-09-07 Auto Network Gijutsu Kenkyusho:Kk 車載用待ち受けコネクタの位置決め構造
JP2005185034A (ja) 2003-12-22 2005-07-07 Yazaki Corp 電気接続箱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12163A (ko) 2009-10-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89856B2 (en) Waterproof structure of electrical junction box
WO2014054463A1 (ja) 電気接続箱
JP6681417B2 (ja) 電気接続箱と保護部材の連結構造
US8474645B2 (en) Waterproof case
KR200436537Y1 (ko) 박스의 브라켓결합구조
JP6555193B2 (ja) 電気接続箱
US20210203144A1 (en) Electrical connection box
JP6371205B2 (ja) 電気接続箱の排水構造
KR100955057B1 (ko) 차량용 박스
KR200438138Y1 (ko) 정션박스의 엔트리 결합구조
KR102253610B1 (ko) 전자식 릴레이
KR200444213Y1 (ko) 배터리용 퓨즈박스의 결합구조
JP4914746B2 (ja) 電気接続箱のハーネス付設構造
KR200439567Y1 (ko) 정션박스의 상부커버 배수구조
KR100622749B1 (ko) 수분 유입을 방지하는 도어 그로멧
KR101035376B1 (ko) 퓨즈박스
JP4133098B2 (ja) 電気接続箱
KR20170002387U (ko) 조인트 블럭
KR20120004839U (ko) 배터리분배유니트의 터미널 오조립방지장치
KR100957489B1 (ko) 케이블 엔트리
KR200449876Y1 (ko) 박스의 커버결합장치
KR20100039055A (ko) 차량용박스의 와이어가이드장치
KR100933542B1 (ko) 조립형 퓨즈박스
KR101146498B1 (ko) 배터리분배유니트
KR100902950B1 (ko) 퓨즈박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1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1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9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