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16355B1 - 직각 관통형 엘리베이터 - Google Patents

직각 관통형 엘리베이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16355B1
KR102116355B1 KR1020190152557A KR20190152557A KR102116355B1 KR 102116355 B1 KR102116355 B1 KR 102116355B1 KR 1020190152557 A KR1020190152557 A KR 1020190152557A KR 20190152557 A KR20190152557 A KR 20190152557A KR 102116355 B1 KR102116355 B1 KR 1021163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ave
car
guide
frame
d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525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기랑
장석우
Original Assignee
(주)대륜엘리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대륜엘리스 filed Critical (주)대륜엘리스
Priority to KR10201901525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1635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163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16355B1/ko
Priority to PCT/KR2020/012394 priority patent/WO2021107356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035Arrangement of driving gear, e.g. location or support
    • B66B11/0045Arrangement of driving gear, e.g. location or support in the hoistway
    • B66B11/0055Arrangement of driving gear, e.g. location or support in the hoistway on the counterweigh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2Cages, i.e. cars
    • B66B11/0206Car fram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4Driving gear ; Details thereof, e.g. se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3/00Doors, gates, or other apparatus controlling access to, or exit from, cages or lift well landings
    • B66B13/24Safety devices in passenger lif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preventing trapping of passengers
    • B66B13/28Safety devices in passenger lif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preventing trapping of passengers between car or cage and we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28Buffer-stops for cars, cages, or skips
    • B66B5/284Buffer-stops for cars, cages, or skips mounted on cars or counterweigh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7/00Other common features of elevators
    • B66B7/02Guideways; Guides
    • B66B7/04Riding means, e.g. Shoes, Rollers, between car and guiding means, e.g. rails, ropes
    • B66B7/047Shoes, slid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7/00Other common features of elevators
    • B66B7/06Arrangements of ropes or cab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age And Drive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 Lift-Guide Devices, And Elevator Ropes And Cab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직각 관통형 엘리베이터에 관한 것으로 상측에 제 1고정부와 제 2고정부를 포함하는 승강로 프레임과 회전축에 모터 쉬브가 결합되어 상기 승강로 프레임 상측에 고정되는 구동 모터와 카 쉬브 프레임의 중심에 대칭되어 결합하는 카 제 1쉬브와 카 제 2쉬브를 포함하는 카 쉬브 모듈과 측면에 각각 수직으로 형성되는 제 1도어와 제 2도어를 포함하는 도어 모듈과 가이드 제 1수직 프레임과 가이드 제 2수직 프레임 및 가이드 제 1수평 프레임과 가이드 제 2수평 프레임을 포함하여 측면 모서리에 수직으로 대칭되어 형성되는 한 쌍의 가이드 슈 모듈을 포함하여 상기 승강로 프레임 내로 승하강하는 직육면체 형상의 카와 상측에 카운터 쉬브가 형성되어 상기 카의 측면과 이격되어 상기 승강로 프레임 내로 승하강하는 카운터 웨이트 및 일단이 상기 제 1고정부에 고정되어 순차적으로 상기 카 제 1쉬브와 카 제 2쉬브, 상기 모터 쉬브 및 카운터 쉬브를 거쳐 타단이 상기 제 2고정부에 고정되는 로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직각 관통형 엘리베이터{Right Angle Penetrating Elevator}
본 발명은 직각 관통형 엘리베이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엘리베이터는 하나의 도어를 포함하여 수직으로 상승 또는 하강하여 건물이나 구조물의 층과 층 사이로 사람이나 화물을 이동시키는 장치이다.
그러나, 도어가 하나인 엘리베이터는 정차하는 각층에 엘리베이터 도어에 해당하는 공간을 사람이나 화물이 대기하고 엘리베이터에 탑승하거나 하차할 수 있는 공간을 마련해야 하므로 건물의 공간 활용에 제한이 따른다.
이러한 공간 활용의 제한을 극복하고자 도어가 정면과 후면에 각각 1개씩 구비되는 정면 관통형 엘리베이터와 도어가 정면 또는 후면에 1개, 좌측 또는 우측 면에 1개가 구비되는 직각 관통형 엘리베이터 등과 같이 도어를 2개로 하여 층 마다 내리는 방향을 전환할 수 있도록 하여 건물 각 층의 엘리베이터 출입구의 위치를 다양하게 구성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이 출입문이 정면 또는 후면에 1개, 좌측 또는 우측 면에 1개가 구비되는 직각 관통형 엘리베이터의 경우 출입문을 위한 구성과 엘리베이터 카를 건물의 구조물에 안정적으로 결합하여 수직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을 대칭되도록 형성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도 1은 일본 공개특허공보 특개2002-543018호에 개시되어 있는 종래의 엘리베이터의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직각 관통형 엘리베이터는 엘리베이터 카(1) 일면에만 가이드 레일(2)이 구비되어 적재 하중에 제한이 따르는 것은 물론 이동 시 카 내부에 승객 또는 화물 등에 의하여 편심 하중이 발생하는 경우 다량의 진동과 기울어짐 현상이 발생하여 승객용 엘리베이터에 적용하기에 적합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특개2002-543018호(공개일자. 2002.12.17)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안정적인 구조로 승객용으로 활용할 수 있는 직각 관통형 엘리베이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 카 이동 시 기울어짐이나 진동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는 직각 관통형 엘리베이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직각 관통형 엘리베이터에 사용되는 쉬브의 개수를 최소화하여 유지 및 보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직각 관통형 엘리베이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이해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직각 관통형 엘리베이터는 승강로 프레임과 구동 모터, 직육면체 형상의 카, 카운터 웨이트 및 로프를 포함한다.
상기 승강로 프레임은 상측에 제 1고정부와 제 2고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동 모터는 회전축에 모터 쉬브가 결합되어 상기 승강로 프레임 상측에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카는 상기 승강로 프레임과 회전축에 모터 쉬브가 결합되어 상기 승강로 프레임 상측에 고정되는 구동 모터와 카 쉬브 프레임의 중심에 대칭되어 결합하는 카 제 1쉬브와 카 제 2쉬브를 포함하는 카 쉬브 모듈과 측면에 각각 수직으로 형성되는 제 1도어와 제 2도어를 포함하는 도어 모듈과 가이드 제 1수직 프레임과 가이드 제 2수직 프레임 및 가이드 제 1수평 프레임과 가이드 제 2수평 프레임을 포함하여 측면 모서리에 수직으로 대칭되어 형성되는 한 쌍의 가이드 슈 모듈을 포함하여 상기 승강로 프레임 내로 승하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카운터 웨이트는 상측에 카운터 쉬브가 형성되어 상기 카의 측면과 이격되어 상기 승강로 프레임 내로 승하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로프는 상기 제 1고정부에 고정되어 순차적으로 상기 카 제 1쉬브와 카 제 2쉬브, 상기 모터 쉬브 및 카운터 쉬브를 거쳐 타단이 상기 제 2고정부에 고정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 상기 카 쉬브 프레임은 상기 카의 저면의 중심을 대각 방향으로 가로질러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 제 1수평 프레임은 상기 카의 상면의 중심을 대각 방향으로 가로질러 결합되며, 상기 가이드 제 2수평 프레임은 상기 가이드 제 1수평 프레임과 동일한 방향으로 상기 카의 저면에 결합되고, 상기 가이드 제 1수직 프레임과 상기 가이드 제 2수직 프레임은 각각 가이드 제 1수평 프레임과 가이드 제 2수평 프레임 양단에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승강로 프레임 하단에 피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모터 쉬브와 카 제 1쉬브 및 카 제 2쉬브는 동일한 수직 평면 상에 형성되며, 상기 카운터 쉬브는 상기 모터 쉬브와 직각인 수직 평면 상에 형성된다.
또한, 상기 카가 승강하는 경우에는 상기 카운터 웨이트는 하강하고, 상기 카가 하강하는 경우에는 상기 카운터 웨이트가 상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구동 모터는 상기 제 2도어가 형성되는 면의 반대 방향 상측에 형성된다.
또한, 상기 카운터 웨이트는 양측에 각각 카운터 웨이트 가이드를 포함하여 상기 구동 모터 하측에 형성된다.
보다 바람직하게 상기 가이드 제 1수직 프레임은 상기 제 1도어와 제 2도어가 형성되는 면 사이에 형성된다.
또한, 상기 가이드 제 1수평 프레임은 상기 카 쉬브 프레임의 무게 중심은 동일 수직선 상에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직각 관통형 엘리베이터는 엘리베이터의 카가 승, 하강 중 발생하는 진동과 쏠림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직각 관통형 엘리베이터는 쉬브의 개수를 최소화하여 제조 비용을 낮출 수 있으며, 유지 및 보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직각 관통형 엘리베이터는 별도의 기계실을 구비할 필요가 없으므로 공간 활용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상술한 효과와 더불어 본 발명의 구체적인 효과는 이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사항을 설명하면서 함께 기술한다.
도 1은 종래의 엘리베이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직각 관통형 엘리베이터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직각 관통형 엘리베이터의 우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직각 관통형 엘리베이터에 있어서, 쉬브의 위치를 나타내는 상면도이다.
도 5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직각 관통형 엘리베이터에 있어서, 카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직각 관통형 엘리베이터에 있어서, 카의 상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직각 관통형 엘리베이터에 있어서, 카의 저면도이다.
전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후술되며, 이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를 가리키는 것으로 사용된다.
이하에서 구성요소의 "상부 (또는 하부)" 또는 구성요소의 "상 (또는 하)"에 임의의 구성이 배치된다는 것은, 임의의 구성이 상기 구성요소의 상면 (또는 하면)에 접하여 배치되는 것뿐만 아니라, 상기 구성요소와 상기 구성요소 상에 (또는 하에) 배치된 임의의 구성 사이에 다른 구성이 개재될 수 있음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상기 구성요소들은 서로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요소 사이에 다른 구성요소가 "개재"되거나, 각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를 통해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구성된다" 또는 "포함한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여러 구성 요소들, 또는 여러 단계들을 반드시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하며, 그 중 일부 구성 요소들 또는 일부 단계들은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고, 또는 추가적인 구성 요소 또는 단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A 및/또는 B" 라고 할 때, 이는 특별한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A, B 또는 A 및 B 를 의미하며, "C 내지 D" 라고 할 때, 이는 특별한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C 이상이고 D 이하인 것을 의미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몇몇 실시 예에 따른 직각 관통형 엘리베이터를 설명하도록 한다.
도 2와 3은 각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직각 관통형 엘리베이터의 정면도와 우측면도이다.
그리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직각 관통형 엘리베이터에 있어서, 쉬브의 위치를 나타내는 상면도이다.
또한, 도 5 내지 7은 각각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직각 관통형 엘리베이터에 있어서, 카의 사시도와 상면도 및 저면도이다.
도 2 내지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직각 관통형 엘리베이터는 승강로 프레임(100)과 구동 모터(200)와 카(300), 카운터 웨이트(400) 및 로프(500)를 포함한다.
상기 승강로 프레임(100)은 상기 카(300)의 승, 하강을 위한 가이드 레일과 같은 역할로 상측에 제 1고정부(110)와 제 2고정부(120)를 포함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 1고정부(110)에는 상기 로프(500)의 일단이 결합하고, 상기 제 1고정부(120)에는 상기 로프(500)의 타단이 결합한다.
또한, 상기 구동 모터(200)는 상기 승강로 프레임(100) 상측에 고정 설치되며, 회전축에 결합되는 모터 쉬브(210)를 포함한다.
상기 카(300)는 내부 공간에 승객 또는 화물이 적재되어 상기 승강로 프레임(100) 내에서 상, 하측으로 이동하는 것으로 전체적으로 직육면체의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카(300)는 카 쉬브 모듈(310)과 도어 모듈(320) 및 가이드 슈 모듈(330)을 포함한다.
상기 카 쉬브 모듈(310)은 상기 카(300)의 저면에 대각 방향으로 결합하는 카 쉬브 프레임(313)과 상기 카 쉬브 프레임(313)의 중심을 기준으로 양측에 각각 결합하는 카 제 1쉬브(311)와 카 제 2쉬브(312)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도어 모듈(320)은 상기 카(300)의 측면에 각각 수직으로 형성되는 제 1도어(321)와 제 2도어(322)를 포함한다.
보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 1도어(321)와 상기 제 2도어(322)는 승객 또는 화물이 상기 카(300)를 출입하기 위한 통로로서 모터 등에 의하여 개폐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도어(321)와 상기 제 2도어(322)는 도 6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인접한 측면에 각각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제 1도어(321)와 상기 제 2도어(322)를 각각 출입하는 방향은 서로 직각을 이루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가이드 슈 모듈(330)은 가이드 제 1수직 프레임(331)과 가이드 제 2수직 프레임(332) 및 가이드 제 1수평 프레임(333)과 가이드 제 2수평 프레임(334)을 포함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가이드 제 1수평 프레임(333)은 상기 카(300)의 상면의 중심을 대각 방향으로 가로질러 결합되며, 상기 가이드 제 2수평 프레임(334)은 상기 가이드 제 1수평 프레임(333)과 동일한 방향으로 상기 카(300)의 저면에 결합되고, 상기 가이드 제 1수직 프레임(331)과 상기 가이드 제 2수직 프레임(332)은 각각 가이드 제 1수평 프레임(333)과 가이드 제 2수평 프레임(334) 양단에 결합된다.
또한, 상기 카운터 웨이트(400)는 상측에 카운터 쉬브(410)가 형성되어 상기 카(300)의 측면과 이격되어 상기 승강로 프레임(100) 내에서 승, 하강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카(300)가 승강하는 경우에는 상기 카운터 웨이트(400)는 하강하고, 상기 카(300)가 하강하는 경우에는 상기 카운터 웨이트(400)가 상승하도록 작동된다.
또한, 상기 로프(500)는 일단이 상기 제 1고정부(110)에 고정되어 순차적으로 상기 카 제 1쉬브(311)와 카 제 2쉬브(312), 상기 모터 쉬브(210) 및 카운터 쉬브(410)를 거쳐 타단이 상기 제 2고정부(120)에 고정된다.
또한, 상기 승강로 프레임(100) 하측에는 상기 엘리베이터 카(30)가 낙하하는 경우를 위해 필요한 완충 공간인 피트(6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직각 관통형 엘리베이터는 기계실을 별도로 구비할 필요 없이 상기 승강로 프레임(100)에 결합되는 구동 모터(200)에 의하여 상기 카(300)의 승, 하강을 수행함으로써, 공간 활용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한편,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직각 관통형 엘리베이터의 쉬브 간의 위치 관계를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상기 카 제 1쉬브(311)와 상기 카 제 2쉬브(312)는 상기 카(300)의 저면에 대각 방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모터 쉬브(210)는 상기 제 1도어(321)의 출입방향 또는 제 2도어(322)의 출입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모터 쉬브(210)의 회전축을 지나는 가상의 직선과 상기 카 제 1쉬브(311) 및 카 제 2쉬브(312)의 회전축을 지나는 가상의 직선이 이루는 예각은 45°이다.
또한, 상기 모터 쉬브(210)의 회전축을 지나는 가상의 직선과 상기 카운터 쉬브(410)의 회전축을 지나는 가상의 직선이 이루는 예각은 45°미만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직각 관통형 엘리베이터는 상기 로프(500)에 가해지는 비틀림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동 모터(200)는 상기 제 2도어(322)가 형성되는 면의 반대 방향 상측에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카운터 웨이트(400)는 양측에 각각 카운터 웨이트 가이드(420)를 포함하여 상기 구동 모터(200) 하측에 형성될 수도 있다.
즉, 상기 구동 모터(200)와 카운터 웨이트(400)는 각각 상기 제 2도어(322) 맞은 편 방향 상, 하측에 형성된다.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직각 관통형 엘리베이터에 있어서, 카(300)의 상세 구조를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상기 카 쉬브 프레임(313)과 상기 가이드 제 2수평 프레임(334)은 도 7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X'자로 교차하도록 형성된다.
보다 바람직하게 상기 카 쉬브 프레임(313)은 상기 가이드 제 2수평 프레임(334)의 하측에 형성된다.
또한, 상기 가이드 제 1수직 프레임(331)은 상기 제 1도어(321)와 제 2도어(322)가 인접한 모서리부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 1도어(321)와 제 2도어(322)는 인접한 측면에 각각 수직으로 구성되어 상기 제 1도어(321)와 제 2도어(322)가 인접한 모서리부의 강성이 저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가이드 제 1수직 프레임(331)은 상기 카(300)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 역할 뿐 아니라 카(300) 자체의 강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제 1수평 프레임(333)과 가이드 제 2수평 프레임(334) 에 의하여 견고하게 고정되는 제 1수직 프레임(331)과 제 2가이드 수직 프레임(332)은 상기 카(300)의 양측 모서리에 형성되고 각각 양단에 가이드 슈가 결합되며, 이는 승강로 프레임(100)에 형성되는 가이드 레일(미도시)을 따라 카(300)를 승, 하강 시킨다.
이에 따라, 상기 카(300)가 승, 하강하는 중에 발생하는 쏠림이나 진동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승객용 엘리베이터의 안전 규격을 만족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카운터 웨이트 가이드(420)는 양단에 가이드 슈가 결합되며, 이는 승강로 프레임(100)에 형성되는 가이드 레일(미도시)을 따라 카운터 웨이트(400)를 승, 하강 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카 쉬브 프레임(313)의 무게 중심은 상기 가이드 제 2수평 프레임(334)의 무게 중심에서 상기 가이드 제 2수직 프레임(332) 측으로 편심하여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상기 도어 모듈(320)의 하중과 상기 카 쉬브 모듈(310)의 하중이 상쇄되어 상기 카(300)의 승, 하강 시 균형과 안정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카 쉬브 모듈(310)은 상기 카(300)의 상면에 형성될 수도 있다.
즉, 상기 카 쉬브 모듈(310)은 상기 가이드 제 1수평 프레임(333) 상측에 형성될 수도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대해서 예시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 내에서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자명하다. 아울러 앞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면서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른 작용 효과를 명시적으로 기재하여 설명하지 않았을 지라도, 해당 구성에 의해 예측 가능한 효과 또한 인정되어야 함은 당연하다.
100. 승강로 프레임
110. 제 1고정부
120. 제 2고정부
200. 구동 모터
210. 모터 쉬브
300. 카
310. 카 쉬브 모듈
311. 카 제 1쉬브
312. 카 제 2쉬브
313. 카 쉬브 프레임
320. 도어 모듈
321. 제 1도어
322. 제 2도어
330. 가이드 슈 모듈
331. 가이드 제 1수직 프레임
332. 가이드 제 2수직 프레임
333. 가이드 제 1수평 프레임
334. 가이드 제 2수평 프레임
400. 카운터 웨이트
410. 카운터 쉬브
420. 카운터 웨이트 가이드
500. 로프
600. 피트

Claims (10)

  1. 상측에 제 1고정부와 제 2고정부를 포함하는 승강로 프레임;
    회전축에 모터 쉬브가 결합되어 상기 승강로 프레임 상측에 고정되는 구동 모터;
    카 쉬브 프레임의 중심에 대칭되어 결합하는 카 제 1쉬브와 카 제 2쉬브를 포함하는 카 쉬브 모듈과 측면에 각각 수직으로 형성되는 제 1도어와 제 2도어를 포함하는 도어 모듈과 가이드 제 1수직 프레임과 가이드 제 2수직 프레임 및 가이드 제 1수평 프레임과 가이드 제 2수평 프레임을 포함하여 측면 모서리에 수직으로 대칭되어 형성되는 한 쌍의 가이드 슈 모듈을 포함하여 상기 승강로 프레임 내로 승하강하는 직육면체 형상의 카;
    상측에 카운터 쉬브가 형성되어 상기 카의 측면과 이격되어 상기 승강로 프레임 내로 승하강하는 카운터 웨이트;
    일단이 상기 제 1고정부에 고정되어 순차적으로 상기 카 제 1쉬브와 카 제 2쉬브, 상기 모터 쉬브 및 카운터 쉬브를 거쳐 타단이 상기 제 2고정부에 고정되는 로프; 및
    상기 승강로 프레임 하단에 형성되는 피트 포함하며,
    상기 가이드 제 1수평 프레임은 상기 카의 상면의 중심을 대각 방향으로 가로질러 결합되고, 상기 가이드 제 2수평 프레임은 상기 가이드 제 1수평 프레임과 동일한 방향으로 상기 카의 저면에 결합되며, 상기 가이드 제 1수직 프레임과 상기 가이드 제 2수직 프레임은 각각 가이드 제 1수평 프레임과 가이드 제 2수평 프레임 양단에 결합되고,
    상기 가이드 제 1수직 프레임은 상기 제 1도어와 제 2도어가 형성되는 면 사이에 형성되며,
    상기 카 쉬브 프레임은 무게 중심이 상기 가이드 제 2수평 프레임의 무게 중심에서 상기 가이드 제 2수직 프레임 측으로 편심되어 상기 가이드 제 2수평 프레임의 하측에 상기 가이드 제 2수평 프레임과 'X'자로 교차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모터 쉬브의 회전축을 지나는 가상의 직선과 상기 카 제 1쉬브 및 카 제 2쉬브의 회전축을 지나는 가상의 직선이 이루는 예각은 45°이며,
    상기 모터 쉬브의 회전축을 지나는 가상의 직선과 상기 카운터 쉬브의 회전축을 지나는 가상의 직선이 이루는 예각은 45°미만이고,
    상기 모터 쉬브의 회전축을 지나는 가상의 직선과 상기 카 제 2쉬브의 회전축을 지나는 가상의 직선 사이에 상기 카운터 쉬브의 회전축을 지나는 가상의 직선이 형성되는 직각 관통형 엘리베이터.
  2. 삭제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카가 상승하는 경우에는 상기 카운터 웨이트는 하강하고, 상기 카가 하강하는 경우에는 상기 카운터 웨이트가 상승하는 직각 관통형 엘리베이터.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모터는 상기 제 2도어가 형성되는 면의 반대 방향 상측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각 관통형 엘리베이터.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카운터 웨이트는 양측에 각각 카운터 웨이트 가이드를 포함하여 상기 구동 모터 하측에 형성되는 직각 관통형 엘리베이터.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KR1020190152557A 2019-11-25 2019-11-25 직각 관통형 엘리베이터 KR1021163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2557A KR102116355B1 (ko) 2019-11-25 2019-11-25 직각 관통형 엘리베이터
PCT/KR2020/012394 WO2021107356A1 (ko) 2019-11-25 2020-09-14 직각 관통형 엘리베이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2557A KR102116355B1 (ko) 2019-11-25 2019-11-25 직각 관통형 엘리베이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16355B1 true KR102116355B1 (ko) 2020-05-28

Family

ID=709202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52557A KR102116355B1 (ko) 2019-11-25 2019-11-25 직각 관통형 엘리베이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116355B1 (ko)
WO (1) WO2021107356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107356A1 (ko) * 2019-11-25 2021-06-03 (주)대륜엘리스 직각 관통형 엘리베이터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304641A (ja) * 1997-04-22 1998-11-13 Hitachi Ltd エレベータ装置
JP2002543018A (ja) 1999-04-22 2002-12-17 オーチス エレベータ カンパニー ピットのないエレベータ
JP5329031B2 (ja) * 2005-12-26 2013-10-30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装置
KR101994433B1 (ko) * 2019-03-18 2019-09-18 (주)대륜엘리스 직각 관통형 엘리베이터
KR102034750B1 (ko) * 2018-06-11 2019-10-22 누리엔지 엔지니어링(주) 직각 관통형 기계실 없는 엘리베이터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6217016A1 (de) * 2016-09-07 2018-03-08 Thyssenkrupp Ag Fahrkorb für eine Aufzugsanlage mit Linearmotorantrieb, Aufzugsanlage mit einem solchen Fahrkorb und Verfahren zum Betreiben einer Aufzugsanlage
KR102116355B1 (ko) * 2019-11-25 2020-05-28 (주)대륜엘리스 직각 관통형 엘리베이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304641A (ja) * 1997-04-22 1998-11-13 Hitachi Ltd エレベータ装置
JP2002543018A (ja) 1999-04-22 2002-12-17 オーチス エレベータ カンパニー ピットのないエレベータ
JP5329031B2 (ja) * 2005-12-26 2013-10-30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装置
KR102034750B1 (ko) * 2018-06-11 2019-10-22 누리엔지 엔지니어링(주) 직각 관통형 기계실 없는 엘리베이터
KR101994433B1 (ko) * 2019-03-18 2019-09-18 (주)대륜엘리스 직각 관통형 엘리베이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107356A1 (ko) * 2019-11-25 2021-06-03 (주)대륜엘리스 직각 관통형 엘리베이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1107356A1 (ko) 2021-06-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94433B1 (ko) 직각 관통형 엘리베이터
JP5577275B2 (ja) 床高さ調節機構付きエレベーター
KR20060058148A (ko) 엘리베이터 장치
KR20170102306A (ko) 엘리베이터 시스템 로핑 구성부
KR860002410Y1 (ko) 엘리베이터 장치
JP3420811B2 (ja) リニアモータ式エレベーター
JPH11106159A (ja) エレベーター
KR102116355B1 (ko) 직각 관통형 엘리베이터
JP4270642B2 (ja) エレベーター装置
KR20030015379A (ko) 최소의 건물 공간을 사용하는 승강기 시스템
KR102116356B1 (ko) 직각 관통형 엘리베이터
JP6422570B2 (ja) 機械室レスエレベータ
JP2004175510A (ja) エレベータ装置
JP6477255B2 (ja) 機械室レスエレベータ
KR102034750B1 (ko) 직각 관통형 기계실 없는 엘리베이터
JP2003306282A (ja) エレベーター装置
JPH0570058A (ja) エレベータ装置
JP2005112487A (ja) 機械室レスエレベータ装置
JPH0570057A (ja) エレベータ装置
JP2003276970A (ja) エレベーター装置
CN110054057B (zh) 电梯装置
WO2023119547A1 (ja) エレベーター
WO2023119548A1 (ja) エレベーター
JP2003276967A (ja) 相互間隔可変ダブルデッキエレベーターかご
KR101231524B1 (ko) 엘리베이터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