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15726B1 - 주문수 결정 방법, 주문수 결정 장치, 주문수 결정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및 매체에 저장된 주문수 결정 프로그램 - Google Patents

주문수 결정 방법, 주문수 결정 장치, 주문수 결정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및 매체에 저장된 주문수 결정 프로그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15726B1
KR102115726B1 KR1020170069542A KR20170069542A KR102115726B1 KR 102115726 B1 KR102115726 B1 KR 102115726B1 KR 1020170069542 A KR1020170069542 A KR 1020170069542A KR 20170069542 A KR20170069542 A KR 20170069542A KR 102115726 B1 KR102115726 B1 KR 1021157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rget product
inventory
order
stock
upper lim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695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66303A (ko
Inventor
도모야스 가네코
히로시 사토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700663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663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157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157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06Q10/087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e.g. order filling, procurement or balancing against ord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05Supply or demand aggreg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33Lists, e.g. purchase orders, compilation or processing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General Factory Administr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달의 안정화와 과잉 재고의 억제를 도모하면서, 발주량을 평준화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주문수 결정 장치는, 기준 기간에서의 대상품의 사용수를, 기준 기간에서의 대상품의 조달 회수로 나누어, 평준화 주문수를 계산한다. 주문수 결정 장치는 대상품을 발주하고 나서 납품될 때까지의 조달 기간 후의 대상품의 예상 재고수가, 재고의 하한값인 하한 재고 이상, 또한 재고의 상한값인 상한 재고 이하인 경우에는, 평준화 주문수를 대상품의 주문수로서 결정한다.

Description

주문수 결정 방법, 주문수 결정 장치, 주문수 결정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및 매체에 저장된 주문수 결정 프로그램{ORDER NUMBER DETERMINING METHOD, ORDER NUMBER DETERMINING APPARATUS,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RECORDING AN ORDER NUMBER DETERMINING PROGRAM, AND ORDER NUMBER DETERMINING PROGRAM RECORDED IN MEDIUM}
본 발명은 제품이나 제품을 구성하는 부품 등의 발주량을 평준화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재고 관리의 수법으로서, 정량 발주점 방식과 정기 발주점 방식이 있다. 정량 발주점 방식에서는, 재고가 임의의 수로 된 경우에, 일정량의 발주가 행해진다. 정기 발주점 방식에서는, 일정 기간마다, 필요하다고 예측되는 양의 발주가 행해진다.
특허문헌 1에는, 수요량이 많은 것과 적은 것으로 물품을 나누고, 수요량이 많은 것에 대해서는 MRP(Materials Requirements Planning)에 의해 계산되는 소요수를 발주수로 하고, 수요량이 적은 것에 대해서는 정량 발주점 방식에 의해 발주하는 것이 기재되어 있다.
특허문헌 2에는, 발주량에 하한과 상한을 마련하고, 발주량이 하한을 하회한 경우와 상한을 상회한 경우에는 발주량을 보정하는 것이 기재되어 있다.
특허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제2005-29368호 공보 특허문헌 2: 일본 특허 공개 평08-96033호 공보
특허문헌 1, 2에 기재된 기술에서는, 제조원의 부하를 안정시키는 것이 고려되지 않아, 발주량이 변동하게 된다. 그 때문에, 제조원의 부하가 변동하게 되어, 결과적으로 납기 준수율이 낮아질 우려가 있다. 또한, 제조원의 불필요한 작업이 생겨, 비용 증가를 초래할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은 조달의 안정화와 과잉 재고의 억제를 도모하면서, 발주량을 평준화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주문수 결정 방법은, 기준 기간에서의 대상품의 사용수를, 상기 기준 기간에서의 상기 대상품의 조달 회수로 나누어, 평준화 주문수를 계산하는 평준화수 계산 공정과, 상기 대상품의 재고의 하한값인 하한 재고수와, 상한값인 상한 재고수를 기억하는 재고 기억 공정과, 상기 대상품을 발주하고 나서 납품될 때까지의 조달 기간 후의 상기 대상품의 예상 재고수가, 상기 재고 기억 공정에서 기억한 하한 재고 이상 또한 상한 재고 이하인 경우에는, 상기 평준화수 계산 공정에서 계산한 평준화 주문수를 상기 대상품의 주문수로서 결정하는 주문수 결정 공정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는, 재고에 상한과 하한을 설정해 두고, 조달 기간 후의 예상 재고수가 하한과 상한의 사이인 경우에는, 일정한 주문수로 한다. 그 때문에, 발주량이 평준화되고, 제조원의 부하가 안정된다. 또한, 하한과 상한을 적절히 설정하면, 재고가 부족해지는 것이나, 재고가 과잉으로 되는 것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실시 형태 1에 따른 주문수 결정 시스템(1)의 구성도.
도 2는 실시 형태 1에 따른 평준화 처리를 나타내는 흐름도.
도 3은 하한 재고수와 상한 재고수의 설명도.
도 4는 실시 형태 1에 따른 발주 처리를 나타내는 흐름도.
도 5는 대상품의 주문수의 설명도.
도 6은 실시 형태 1에 나타낸 주문수 결정 장치(20)의 하드웨어 구성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
실시 형태 1
도 1은 실시 형태 1에 따른 주문수 결정 시스템(1)의 구성도이다.
주문수 결정 시스템(1)은 기반 시스템(10)과, 주문수 결정 장치(20)를 구비한다. 기반 시스템(10)과 주문수 결정 장치(20)는 네트워크를 거쳐서 접속되어 있다.
기반 시스템(10)은 제품의 제조, 판매 등을 관리하는 시스템이다. 주문수 결정 장치(20)는 제품, 및 제품을 구성하는 부품 등의 물품을 제조원에 발주하는 발주량을 결정하는 장치이다.
기반 시스템(10)은 사용 실적 기억부(11)와, 생산 계획 기억부(12)와, 판매 계획 기억부(13)와, BOM 기억부(14)와, 조달 사이클 기억부(15)와, MRP(Materials Requirements Planning)(16)를 구비한다.
사용 실적 기억부(11)는 물품의 과거의 사용 실적을 기억한 기억 장치이다. 생산 계획 기억부(12)는 생산 계획을 기억한 기억 장치이다. 판매 계획 기억부(13)는 판매 계획을 기억한 기억 장치이다. BOM 기억부(14)는 제품, 및 제품을 구성하는 부품 등의 물품의 정보를 기억한 기억 장치이다. 조달 사이클 기억부(15)는 물품마다의 조달 사이클을 기억한 기억 장치이다. MRP(16)는 생산 계획으로부터, 부품의 소요량 등을 계산함과 아울러, 생산 계획과 판매 계획으로부터 예상 재고량 등을 계산한다.
주문수 결정 장치(20)는 대상품 선택부(21)와, 추출 패턴 결정부(22)와, 평준화수 계산부(23)와, 재고 결정부(24)와, 주문수 결정부(25)와, 기억 장치(26)를 구비한다. 기억 장치(26)는 대상품 기억부(261)와, 대상 기간 기억부(262)와, 재고 기억부(263)를 구비한다.
주문수 결정 장치(20)가 구비하는 각 부에 대해서는 주문수 결정 장치(20)의 처리와 함께 설명한다. 주문수 결정 장치(20)의 처리는 평준화 처리와 발주 처리로 나뉘어진다. 주문수 결정 장치(20)의 각 처리는 주문수 결정 방법의 각 공정에 상당한다.
도 2는 실시 형태 1에 따른 평준화 처리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평준화 처리는, 예를 들면 매년, 분기마다, 매월마다 등, 어느 정도의 긴 기간마다 실행된다. 또한, 이용자의 지시에 근거하여, 임의의 타이밍에서 실행된다.
(S11: 대상품 선택 처리)
대상품 선택부(21)는 복수의 물품 중, 주문수를 평준화하는 대상품을 선택한다. 대상품 선택부(21)는 선택한 대상품의 식별 정보를 대상품 기억부(261)에 기억한다.
대상품 선택부(21)는 사용 실적 기억부(11)가 기억한 각 물품의 사용 실적에 근거하여, 수요량이 많고, 또한 매년의 사용수의 변동이 작은 물품을 대상품으로서 선택한다. 예를 들면, 대상품 선택부(21)는 1년간의 사용수의 평균이 미리 정해진 제 1 임계값 이상이고, 또한 매년의 사용수의 편차가 미리 정해진 제 2 임계값 이하인 물품을 대상품으로서 선택한다.
수요량이 많은 것을 대상품의 조건으로 하는 것은, 수요량이 적은 물품이 아니라, 수요량이 많은 물품의 발주량을 평준화시키는 것이, 제조원의 부하의 안정에의 영향이 크기 때문이다. 사용 실적의 변동이 작은 것을 대상품의 조건으로 하는 것은, 변동이 큰 경우, 발주량을 평준화하기 위해서는 많은 재고를 안을 필요가 있어, 부적절하기 때문이다.
(S12: 추출 패턴 결정 처리)
추출 패턴 결정부(22)는 대상품마다, 매년의 사용수의 변동이 작아지는 데이터의 추출 패턴을 결정한다. 추출 패턴 결정부(22)는 결정한 추출 패턴을 대상 기간 기억부(262)에 기억한다.
예를 들면, 추출 패턴 결정부(22)는 1월로부터 12월까지의 12개월의 사용수를 추출한 경우와, 4월로부터 다음 해의 3월까지의 12개월의 사용수를 추출한 경우와, 9월로부터 다음 해의 8월까지의 12개월의 사용수를 추출한 경우 등을 데이터의 추출 패턴으로서 설정한다. 그리고, 추출 패턴 결정부(22)는 설정한 추출 패턴 중, 매년의 사용수의 변동이 가장 작아지는 추출 패턴을 선택한다.
추출 패턴 결정부(22)는 식 1에 의해, 설정한 추출 패턴에 대해 변동 지수를 계산하고, 변동 지수가 가장 작은 추출 패턴을 선택하는 것에 의해, 매년의 사용수의 변동이 가장 작아지는 추출 패턴을 선택할 수 있다.
(식 1)
Figure 112017053404222-pat00001
여기서, σnm은 n년도로부터 m년 전의 연도의 사용수의 표준 편차이다. 즉, 복수의 연도분의 표준 편차를 평균한 값이 변동 지수이다. 분산의 가법성에 근거하여, 식 1이 성립된다.
(S13: 평준화수 계산 처리)
평준화수 계산부(23)는 대상품마다 평준화 주문수를 계산한다. 평준화수 계산부(23)는 계산한 평준화 주문수를 조달 사이클 기억부(15)에 기억한다.
평준화수 계산부(23)는 S12에서 결정한 대상품의 추출 패턴에 따라, 대상품의 과거 m년도분의 사용수의 데이터를 사용 실적 기억부(11)로부터 추출한다. 평준화수 계산부(23)는 추출한 데이터로부터 1년에서의 사용수의 평균을 계산한다. 그리고, 평준화수 계산부(23)는 계산한 평균을 1년의 조달 회수로 나누어, 평준화 주문수를 계산한다. 즉, 평준화 주문수는 식 2에 의해 나타내어진다.
(식 2)
평준화 주문수=1년의 사용수의 평균/1년의 조달 회수
여기서, 조달 사이클 기억부(15)를 참조하는 것에 의해, 1년에 평균 몇회 조달이 행해졌는지 특정할 수 있다.
(S14: 재고 결정 처리, 재고 기억 처리)
재고 결정부(24)는 대상품마다 하한 재고수와 상한 재고수를 계산한다. 재고 결정부(24)는 계산한 하한 재고수와 상한 재고수를 재고 기억부(263)에 기억한다.
예를 들면, 재고 결정부(24)는 식 3에 의해 하한 재고수와 상한 재고수를 계산한다.
(식 3)
기준 재고수=평준화 주문수/2+안전 계수×√(조달 기간)×표준 편차
하한 재고수=평준화 주문수/2+하한 안전 계수×√(조달 기간)×표준 편차
상한 재고수=평준화 주문수/2+상한 안전 계수×√(조달 기간)×표준 편차
여기서, 「안전 계수×√(조달 기간)×표준 편차」는 일반적으로 안전 재고라고 불리는 것이다. 조달 기간은 대상품을 발주하고 나서 납품될 때까지의 기간이며, 단위 기간의 배수로 나타내어진다. 예를 들면, 대상품을 발주하고 나서 납품될 때까지 15일이 걸리는 경우, 단위 기간이 1일이면, 조달 기간은 15로 나타내어지고, 단위 기간이 1개월이면, 조달 기간은 0.5로 나타내어진다. 표준 편차는 단위 기간에 있어서의 대상품의 사용수의 표준 편차이다. 또한, 안전 계수는 재고없음을 일으키는 일이 없을 확률인 안전률로부터 정규 분포표에 의해 환산되는 값이다.
도 3은 하한 재고수와 상한 재고수의 설명도이다.
도 3에서는, 세로축이 재고수를 나타내고, 가로축이 시각을 나타낸다. 또한, 도 3에서는, 굵은 선(33)이 각 시각에 있어서의 재고수를 나타내고 있다.
기준 재고수는 평준화 주문수/2와 안전 재고의 합이다. 그 때문에, 부호 A가 나타내는 수와 부호 B가 나타내는 수가 동일한 위치에서 파선(31)을 뺀 경우, 화살표(32)가 기준 재고수를 나타낸다.
「하한 안전 계수×√(조달 기간)×표준 편차」가 하한 안전 재고라고 불리고, 「상한 안전 계수×√(조달 기간)×표준 편차」가 상한 안전 재고라고 불린다. 하한 안전 계수는 안전 계수보다 작은 값이고, 상한 안전 계수는 안전 계수보다 큰 값이다. 그 때문에, 하한 안전 재고는 안전 재고보다 적고, 상한 안전 재고는 안전 재고보다 많다. 그리고, 하한 재고수는 기준 재고수보다 적고, 상한 재고수는 기준 재고수보다 많다.
또한, 여기서는, 기준 재고수와 하한 재고수와 상한 재고수를 계산할 때, 평준화 주문수/2, 즉 평준화 주문수의 50%를 평준화 주문수의 기준 비율로서 이용하고 있다. 그러나, 평준화 주문수의 기준 비율로서, 평준화 주문수/2 대신에, 평준화 주문수의 다른 비율을 이용해도 좋다. 예를 들면, 도 3에 있어서의 재고수를 나타내는 굵은 선(33)과 안전 재고를 나타내는 선(34)으로 형성된 삼각형(35)(해칭이 넣어진 부분)을, 가로축의 평행선에서 2분할한 경우에, 삼각형(31)의 면적이 1/2로 되는 평행선이 나타내는 비율을 이용해도 좋다.
도 4는 실시 형태 1에 따른 발주 처리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발주 처리는, 예를 들면 매월, 주마다, 일마다 등, 어느 정도의 짧은 기간마다 실행된다. 또한, 이용자의 지시에 근거하여, 임의의 타이밍에서 실행된다. 발주 처리는 각 물품을 순서대로 처리 대상으로 하여 실행된다.
(S21: 대상 판정 처리)
주문수 결정부(25)는, 대상품 기억부(261)를 참조하여, 처리 대상의 물품에 대해, 주문수를 평준화하는 대상품인지, 대상품이 아닌 재고 보충품인지를 판정한다.
대상품인 경우(S21에서 대상품), 처리를 S22로 진행한다. 한편, 재고 보충품인 경우(S21에서 재고 보충품), 처리를 S25로 진행한다.
(S22: 재고 판정 처리)
주문수 결정부(25)는, 조달 기간 후의 처리 대상의 대상품의 예상 재고수가 그 대상품의 하한 재고수 이상 또한 상한 재고수 이하인지 여부를 판정한다. 조달 기간 후의 대상품의 예상 재고수는 MRP(16)에 의해서 계산된다.
예상 재고수가 하한 재고수 이상 또한 상한 재고수 이하인 경우(S22에서 예), 처리를 S23으로 진행한다. 한편, 예상 재고수가 하한 재고수 이상 또한 상한 재고수 이하가 아닌 경우(S22에서 아니오), 처리를 S24로 진행한다.
(S23: 주문수 결정 처리(1))
주문수 결정부(25)는 처리 대상의 대상품의 평준화 주문수를 주문수로서 결정한다.
(S24: 주문수 결정 처리(2))
주문수 결정부(25)는 처리 대상의 대상품의 평준화 주문수를 보정하여 주문수로서 결정한다.
주문수 결정부(25)는, 예상 재고수가 하한 재고수 미만인 경우에는, 하한 재고수로부터 예상 재고수를 감산한 수를 평준화 주문수에 가산해서, 하한 주문수를 계산하고, 하한 주문수를 대상품의 주문수로서 결정한다. 또한, 주문수 결정부(25)는, 예상 재고수가 상한 재고수보다 많은 경우에는, 예상 재고수로부터 상한 재고수를 감산한 수를 평준화 주문수로부터 감산해서, 상한 주문수를 계산하고, 상한 주문수를 대상품의 주문수로서 결정한다.
(S25: 주문수 결정 처리(3))
주문수 결정부(25)는 다음의 발주까지의 기간에 있어서의 처리 대상의 물품의 소요량을 주문수라고 한다. 소요량은 MRP(16)에 의해서 계산된다.
도 5는 대상품의 주문수의 설명도이다.
예상 재고수가 하한 재고수 이상 또한 상한 재고수 이하인 경우(기준 내인 경우)에는, 주문수는 평준화 주문수로 된다. 즉, 하한 재고수와 상한 재고수의 사이에 예상 재고수가 들어가고 있는 한, 주문수는 일정하게 된다.
예상 재고수가 하한 재고수 미만인 경우, 예상 재고수와 하한 재고수의 차 X만큼, 평준화 주문수보다 많이 주문한다. 즉, 완만하게 증산되도록 주문한다. 한편, 예상 재고수가 상한 재고보다 많은 경우, 예상 재고수와 상한 재고수의 차 Y만큼 평준화 주문수보다 적게 주문한다. 즉, 완만하게 감산되도록 주문한다.
이상과 같이, 실시 형태 1에 따른 주문수 결정 장치(20)에서는, 대상품에 대해, 조달 기간 후의 예상 재고수가 하한과 상한의 사이인 경우에는 일정한 주문수로 한다. 그 때문에, 발주량이 평준화되고, 제조원의 부하가 안정된다.
또한, 예상 재고수가 하한 미만인 경우와 상한보다 많은 경우에도, 하한 또는 상한의 차를 채우는 분만큼 완만하게 증산 또는 감산한다. 그 때문에, 제조원의 부하가 크게 변동하는 일도 없다.
대상품 이외의 재고 보충품에 대해서는, 소요량을 그대로 주문수로 하기 때문에, 주문수가 변동된다. 그러나, 대상품에 대한 주문수가 안정되어 있기 때문에, 재고 보충품의 주문수가 변동해도, 제조원의 부하는 어느 정도 안정된다. 특히, 수요가 많은 물품을 대상품으로 하도록 하고 있기 때문에, 제조원의 부하는 안정되기 쉽다.
또, 상기 설명에서는, 1년간을 기준 기간으로서 이용하였다. 그리고, 매년의 수요 변동이 작은 것을 대상품의 조건으로 하는 등을 하였다. 이것은, 예를 들면 1개월이나 반기를 기준 기간으로서 이용하면, 계절 등의 영향에 의해 수요가 변동되는 경우가 많아, 평준화의 대상품으로 되지 않게 되어 버리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러한 영향도 고려한 뒤에, 기준 기간을 1개월이나 반기 등, 다른 기간으로 하여도 좋다.
도 6은 실시 형태 1에 나타낸 주문수 결정 장치(20)의 하드웨어 구성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주문수 결정 장치(20)는 컴퓨터이다. 주문수 결정 장치(20)의 각 요소를 프로그램으로 실현할 수 있다.
주문수 결정 장치(20)의 하드웨어 구성으로서는, 버스에 연산 장치(901), 외부 기억 장치(902), 주기억 장치(903), 통신 장치(904), 입출력 장치(905)가 접속되어 있다.
연산 장치(901)는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 등이다. 외부 기억 장치(902)는, 예를 들면 ROM(Read Only Memory)이나 플래시 메모리, 하드 디스크 장치 등이다. 외부 기억 장치(902)는 기억 장치(26)의 일례이다. 주기억 장치(903)는, 예를 들면 RAM(Random Access Memory) 등이다. 통신 장치(904)는, 예를 들면 통신 보드 등이다. 입출력 장치(905)는, 예를 들면 마우스, 키보드, 디스플레이 장치 등이다.
프로그램은 통상은 외부 기억 장치(902)에 기억되어 있고, 주기억 장치(903)에 로드된 상태에서, 순차적으로 연산 장치(901)에 읽혀져 실행된다.
프로그램은 대상품 선택부(21), 추출 패턴 결정부(22), 평준화수 계산부(23), 재고 결정부(24), 주문수 결정부(25)로서 설명하고 있는 기능을 실현하는 프로그램이다.
또, 외부 기억 장치(902)에는 오퍼레이터 시스템(OS)도 기억되어 있고, OS의 적어도 일부가 주기억 장치(903)에 로드되고, 연산 장치(901)는 OS를 실행하면서, 상기 프로그램을 실행한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의 설명에서, 대상품 선택부(21), 추출 패턴 결정부(22), 평준화수 계산부(23), 재고 결정부(24), 주문수 결정부(25)가 선택하고, 결정하고, 계산하는 등으로 설명한 정보 등이 주기억 장치(903)에 파일로서 기억되어 있다.
또한, 도 6의 구성은 어디까지나 주문수 결정 장치(20)의 하드웨어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것이며, 주문수 결정 장치(20)의 하드웨어 구성은 도 6에 도시된 구성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구성이어도 좋다.
10: 기반 시스템
11: 사용 실적 기억부
12: 생산 계획 기억부
13: 판매 계획 기억부
14: BOM 기억부
15: 조달 사이클 기억부
16: MRP
20: 주문수 결정 장치
21: 대상품 선택부
22: 추출 패턴 결정부
23: 평준화수 계산부
24: 재고 결정부
25: 주문수 결정부
26: 기억 장치
261: 대상품 기억부
262: 대상 기간 기억부
263 재고 기억부

Claims (10)

  1. 대상품의 주문수를 결정하는 주문수 결정 장치에서 실행되는 주문수 결정 방법으로서,
    상기 주문수 결정 장치의 대상품 선택부에 의해, 복수의 물품 중, 주문수를 평준화하는 대상품을 선택하는 대상품 선택 공정과,
    상기 주문수 결정 장치의 추출 패턴 결정부에 의해, 대상품마다 기준 기간 동안의 사용수의 변동이 가장 작아지는 데이터의 추출 패턴을 결정하는 공정과,
    상기 주문수 결정 장치의 평준화수 계산부에 의해, 상기 결정한 추출 패턴에 따라, 상기 대상품의 과거 사용 실적 중, 사용수의 변동이 가장 작아지는 기간인 과거의 상기 기준 기간에서의 상기 대상품의 사용수를, 상기 기준 기간에서의 상기 대상품의 조달 회수로 나누어, 평준화 주문수를 계산하는 평준화수 계산 공정과,
    상기 주문수 결정 장치의 재고 기억부에 의해, 상기 대상품의 재고의 하한값인 하한 재고수와, 상한값인 상한 재고수를 기억하는 재고 기억 공정과,
    상기 주문수 결정 장치의 주문수 결정부에 의해, 상기 대상품을 발주하고 나서 납품될 때까지의 조달 기간 후의 상기 대상품의 예상 재고수가, 상기 재고 기억 공정에서 기억한 하한 재고수 이상 또한 상한 재고수 이하인 경우에는, 상기 평준화수 계산 공정에서 계산한 평준화 주문수를 상기 대상품의 주문수로서 결정하고, 상기 예상 재고수가 상기 하한 재고수 미만인 경우에는, 상기 하한 재고수로부터 상기 예상 재고수를 감산한 수를 상기 평준화 주문수에 가산한 하한 주문수를, 상기 대상품의 주문수로서 결정하고, 상기 예상 재고수가 상기 상한 재고수보다 많은 경우에는, 상기 예상 재고수로부터 상기 상한 재고수를 감산한 수를 상기 평준화 주문수로부터 감산한 상한 주문수를, 상기 대상품의 주문수로서 결정하는 주문수 결정 공정을 구비하고,
    상기 대상품 선택 공정은, 상기 복수의 물품에 대해, 상기 기준 기간에서의 사용수가 제 1 임계값 이상이고, 또한 상기 기준 기간마다의 사용수의 편차가 제 2 임계값 이하인 물품을 상기 대상품으로서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문수 결정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주문수 결정 방법은,
    단위 기간당의 사용량의 표준 편차와 상기 조달 기간의 평방근과 하한 안전 계수의 곱인 하한 안전 재고에, 상기 평준화 주문수의 기준 비율의 수인 기준수를 가산하여 상기 하한 재고수를 계산함과 아울러, 단위 기간당의 사용량의 표준 편차와 상기 조달 기간의 평방근과 상한 안전 계수의 곱인 상한 안전 재고에, 상기 기준수를 가산해서 상기 상한 재고수를 계산하는 재고 결정 공정
    을 더 구비하며,
    상기 재고 기억 공정은 상기 재고 결정 공정에서 결정한 하한 재고수와 상한 재고수를 기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문수 결정 방법.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주문수 결정 공정은, 상기 대상품 이외의 물품에 대해서는 다음의 발주까지 필요한 소요수를 주문수로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문수 결정 방법.
  5. 복수의 물품 중, 주문수를 평준화하는 대상품을 선택하는 대상품 선택부와,
    대상품마다 기준 기간 동안의 사용수의 변동이 가장 작아지는 데이터의 추출 패턴을 결정하는 추출 패턴 결정부와,
    상기 결정한 추출 패턴에 따라, 상기 대상품의 과거 사용 실적 중, 사용수의 변동이 가장 작아지는 기간인 과거의 상기 기준 기간에서의 상기 대상품의 사용수를, 상기 기준 기간에서의 상기 대상품의 조달 회수로 나누어, 평준화 주문수를 계산하는 평준화수 계산부와,
    상기 대상품의 재고의 하한값인 하한 재고수와, 상한값인 상한 재고수를 기억하는 재고 기억부와,
    상기 대상품을 발주하고 나서 납품될 때까지의 조달 기간 후의 상기 대상품의 예상 재고수가, 상기 재고 기억부가 기억한 하한 재고수 이상 또한 상한 재고수 이하인 경우에는, 상기 평준화수 계산부가 계산한 평준화 주문수를 상기 대상품의 주문수로서 결정하고, 상기 예상 재고수가 상기 하한 재고수 미만인 경우에는, 상기 하한 재고수로부터 상기 예상 재고수를 감산한 수를 상기 평준화 주문수에 가산한 하한 주문수를, 상기 대상품의 주문수로서 결정하고, 상기 예상 재고수가 상기 상한 재고수보다 많은 경우에는, 상기 예상 재고수로부터 상기 상한 재고수를 감산한 수를 상기 평준화 주문수로부터 감산한 상한 주문수를, 상기 대상품의 주문수로서 결정하는 주문수 결정부를 구비하고,
    상기 대상품 선택부는, 상기 복수의 물품에 대해, 상기 기준 기간에서의 사용수가 제 1 임계값 이상이고, 또한 상기 기준 기간마다의 사용수의 편차가 제 2 임계값 이하인 물품을 상기 대상품으로서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문수 결정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주문수 결정 장치는,
    단위 기간당의 사용량의 표준 편차와 상기 조달 기간의 평방근과 하한 안전 계수의 곱인 하한 안전 재고에, 상기 평준화 주문수의 기준 비율의 수인 기준수를 가산하여 상기 하한 재고수를 계산함과 아울러, 단위 기간당의 사용량의 표준 편차와 상기 조달 기간의 평방근과 상한 안전 계수의 곱인 상한 안전 재고에, 상기 기준수를 가산하여 상기 상한 재고수를 계산하는 재고 결정부
    를 더 구비하며,
    상기 재고 기억부는 상기 재고 결정부가 결정된 하한 재고수와 상한 재고수를 기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문수 결정 장치.

  7. 삭제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주문수 결정부는, 상기 대상품 이외의 물품에 대해서는 다음의 발주까지 필요한 소요수를 주문수로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문수 결정 장치.
  9. 복수의 물품 중, 주문수를 평준화하는 대상품을 선택하는 대상품 선택 처리와,
    대상품마다 기준 기간 동안의 사용수의 변동이 가장 작아지는 데이터의 추출 패턴을 결정하는 추출 패턴 결정 처리와,
    상기 결정한 추출 패턴에 따라, 상기 대상품의 과거 사용 실적 중, 사용수의 변동이 가장 작아지는 기간인 과거의 상기 기준 기간에서의 상기 대상품의 사용수를, 상기 기준 기간에서의 상기 대상품의 조달 회수로 나누어, 평준화 주문수를 계산하는 평준화수 계산 처리와,
    상기 대상품의 재고의 하한값인 하한 재고수와, 상한값인 상한 재고수를 기억하는 재고 기억 처리와,
    상기 대상품을 발주하고 나서 납품될 때까지의 조달 기간 후의 상기 대상품의 예상 재고수가, 상기 재고 기억 처리에서 기억한 하한 재고수 이상 또한 상한 재고수 이하인 경우에는, 상기 평준화수 계산 처리에서 계산한 평준화 주문수를 상기 대상품의 주문수로서 결정하고, 상기 예상 재고수가 상기 하한 재고수 미만인 경우에는, 상기 하한 재고수로부터 상기 예상 재고수를 감산한 수를 상기 평준화 주문수에 가산한 하한 주문수를, 상기 대상품의 주문수로서 결정하고, 상기 예상 재고수가 상기 상한 재고수보다 많은 경우에는, 상기 예상 재고수로부터 상기 상한 재고수를 감산한 수를 상기 평준화 주문수로부터 감산한 상한 주문수를, 상기 대상품의 주문수로서 결정하는 주문수 결정 처리를 컴퓨터에게 실행시키고,
    상기 대상품 선택 처리는, 상기 복수의 물품에 대해, 상기 기준 기간에서의 사용수가 제 1 임계값 이상이고, 또한 상기 기준 기간마다의 사용수의 편차가 제 2 임계값 이하인 물품을 상기 대상품으로서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문수 결정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10. 복수의 물품 중, 주문수를 평준화하는 대상품을 선택하는 대상품 선택 처리와,
    대상품마다 기준 기간 동안의 사용수의 변동이 가장 작아지는 데이터의 추출 패턴을 결정하는 추출 패턴 결정 처리와,
    상기 결정한 추출 패턴에 따라, 상기 대상품의 과거 사용 실적 중, 사용수의 변동이 가장 작아지는 기간인 과거의 상기 기준 기간에서의 상기 대상품의 사용수를, 상기 기준 기간에서의 상기 대상품의 조달 회수로 나누어, 평준화 주문수를 계산하는 평준화수 계산 처리와,
    상기 대상품의 재고의 하한값인 하한 재고수와, 상한값인 상한 재고수를 기억하는 재고 기억 처리와,
    상기 대상품을 발주하고 나서 납품될 때까지의 조달 기간 후의 상기 대상품의 예상 재고수가, 상기 재고 기억 처리에서 기억한 하한 재고수 이상 또한 상한 재고수 이하인 경우에는, 상기 평준화수 계산 처리에서 계산한 평준화 주문수를 상기 대상품의 주문수로서 결정하고, 상기 예상 재고수가 상기 하한 재고수 미만인 경우에는, 상기 하한 재고수로부터 상기 예상 재고수를 감산한 수를 상기 평준화 주문수에 가산한 하한 주문수를, 상기 대상품의 주문수로서 결정하고, 상기 예상 재고수가 상기 상한 재고수보다 많은 경우에는, 상기 예상 재고수로부터 상기 상한 재고수를 감산한 수를 상기 평준화 주문수로부터 감산한 상한 주문수를, 상기 대상품의 주문수로서 결정하는 주문수 결정 처리를 컴퓨터에게 실행시키고,
    상기 대상품 선택 처리는, 상기 복수의 물품에 대해, 상기 기준 기간에서의 사용수가 제 1 임계값 이상이고, 또한 상기 기준 기간마다의 사용수의 편차가 제 2 임계값 이하인 물품을 상기 대상품으로서 선택하는,
    기록 매체에 기록된 주문수 결정 프로그램.
KR1020170069542A 2014-09-30 2017-06-05 주문수 결정 방법, 주문수 결정 장치, 주문수 결정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및 매체에 저장된 주문수 결정 프로그램 KR10211572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4-199970 2014-09-30
JP2014199970 2014-09-30
JPJP-P-2015-141503 2015-07-15
JP2015141503A JP6509063B2 (ja) 2014-09-30 2015-07-15 注文数決定方法、注文数決定装置及び注文数決定プログラム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37640A Division KR20160038858A (ko) 2014-09-30 2015-09-30 주문수 결정 방법, 주문수 결정 장치, 주문수 결정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및 매체에 저장된 주문수 결정 프로그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66303A KR20170066303A (ko) 2017-06-14
KR102115726B1 true KR102115726B1 (ko) 2020-05-27

Family

ID=55866992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37640A KR20160038858A (ko) 2014-09-30 2015-09-30 주문수 결정 방법, 주문수 결정 장치, 주문수 결정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및 매체에 저장된 주문수 결정 프로그램
KR1020170069542A KR102115726B1 (ko) 2014-09-30 2017-06-05 주문수 결정 방법, 주문수 결정 장치, 주문수 결정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및 매체에 저장된 주문수 결정 프로그램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37640A KR20160038858A (ko) 2014-09-30 2015-09-30 주문수 결정 방법, 주문수 결정 장치, 주문수 결정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및 매체에 저장된 주문수 결정 프로그램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6509063B2 (ko)
KR (2) KR20160038858A (ko)
TW (1) TWI581197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1180044A (ja) * 2020-05-07 2021-11-18 株式会社ぐるなび 業務管理方法、業務管理プログラム、及び業務管理装置
US20210365970A1 (en) * 2020-05-20 2021-11-25 Coupang Corp. Systems and methods for optimizing cost of goods sold
CN111861208B (zh) * 2020-07-20 2024-02-20 精效新软新技术(北京)有限公司 生产管理中mrp物料需求自动计算方法、系统及介质
KR102473656B1 (ko) * 2020-08-12 2022-12-06 (주)브랜디 안전 재고를 관리하는 전자 물류 관리 시스템 및 물류 관리 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369286B2 (ja) * 2004-04-21 2009-11-18 キヤノンIt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安全在庫算出装置、その制御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4680656B2 (ja) * 2005-04-07 2011-05-11 富士通フロンテック株式会社 自動発注勧告装置、自動発注勧告プログラム
JP5123592B2 (ja) * 2007-07-26 2013-01-23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安全在庫数算出システム及び安全在庫数算出プログラム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49082A (ja) * 1994-03-10 1995-09-26 Sony Corp 在庫管理方式
JPH0896033A (ja) 1994-09-26 1996-04-12 Toyota Motor Corp 発注量算出方法
JP2002333915A (ja) * 2001-05-08 2002-11-22 Daikin Ind Ltd 部品調達方法および装置
JP2003104553A (ja) * 2001-10-02 2003-04-09 Hitachi Ltd 在庫管理方式設定方法
CN1459751A (zh) * 2002-05-20 2003-12-03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产能预测及下单资料交换系统及方法
JP3954538B2 (ja) * 2003-06-30 2007-08-08 Tdk株式会社 受注予測システム
JP2005029368A (ja) * 2003-07-09 2005-02-03 Kozo Keikaku Engineering Inc 在庫管理システム及び在庫管理方法
JP4759544B2 (ja) * 2007-09-12 2011-08-31 株式会社 日立コンサルティング 在庫計画システム
US8364512B2 (en) * 2010-02-01 2013-01-29 Taiwan Semiconductor Manufacturing Company, Ltd. Methods and systems for dynamic inventory control
CN102129621A (zh) * 2011-03-11 2011-07-20 上海海事大学 一种考虑收益的供应链订单配置方法
CN103310286A (zh) * 2013-06-25 2013-09-18 浙江大学 一种具有时间序列特性的产品订单预测方法及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369286B2 (ja) * 2004-04-21 2009-11-18 キヤノンIt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安全在庫算出装置、その制御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4680656B2 (ja) * 2005-04-07 2011-05-11 富士通フロンテック株式会社 自動発注勧告装置、自動発注勧告プログラム
JP5123592B2 (ja) * 2007-07-26 2013-01-23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安全在庫数算出システム及び安全在庫数算出プログラ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6071853A (ja) 2016-05-09
KR20170066303A (ko) 2017-06-14
TW201629858A (zh) 2016-08-16
KR20160038858A (ko) 2016-04-07
TWI581197B (zh) 2017-05-01
JP6509063B2 (ja) 2019-05-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15726B1 (ko) 주문수 결정 방법, 주문수 결정 장치, 주문수 결정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및 매체에 저장된 주문수 결정 프로그램
JP6204627B2 (ja) 商品棚レイアウト設計装置
JP6031184B2 (ja) 供給グループ決定支援装置及び供給グループ決定支援プログラム
JP6693329B2 (ja) 輸配送計画プログラム、輸配送計画方法及び輸配送計画装置
JP6457745B2 (ja) 地域間供給調整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US20160260111A1 (en) System and method for grouping time series data for forecasting purposes
JP2015114787A (ja) 情報処理装置
CN110599077B (zh) 物流预测系统及预测方法
CN111105194A (zh) 一种商品配货方法、智能装置和计算机可读存储介质
JP6506432B1 (ja) 在庫管理システムおよびプログラム
JP2007219965A (ja) 出荷計画算出方法
Rajoria et al. An inventory model for decaying item with ramp demand pattern under inflation and partial backlogging
US20190108537A1 (en) Recording medium recording evaluation program, evaluation device and evaluation method
JP2009126621A (ja) 適正在庫量決定システム及び適正在庫量決定方法
JP4996107B2 (ja) 経営指標に基づく発注優先順位算出装置、経営指標に基づく発注優先順位算出方法、経営指標に基づく発注優先順位算出プログラム
CN105469231A (zh) 订单数决定方法以及订单数决定装置
JP2013171414A (ja) 拠点構成決定装置及び拠点構成決定方法
WO2019064789A1 (ja) 推奨発注数決定装置、推奨発注数決定方法および推奨発注数決定プログラム
KR102553735B1 (ko) 제품의 특성에 기반한 재고 매니징 시스템
JP4001688B2 (ja) ロケーション管理装置、方法、および、その記録媒体
JP2003048623A (ja) 在庫違反指数算出処理プログラム
JP6016657B2 (ja) データ処理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5696010B2 (ja) 生産スケジュール作成装置及び生産スケジュール作成方法
JP2022129455A (ja) 安全在庫数算出システム
WO2022264117A1 (en) Dynamic buffer management for inventory contro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