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15303B1 - 체온감응형 점착시트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점착시트. - Google Patents

체온감응형 점착시트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점착시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15303B1
KR102115303B1 KR1020180095439A KR20180095439A KR102115303B1 KR 102115303 B1 KR102115303 B1 KR 102115303B1 KR 1020180095439 A KR1020180095439 A KR 1020180095439A KR 20180095439 A KR20180095439 A KR 20180095439A KR 102115303 B1 KR102115303 B1 KR 1021153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nsitive adhesive
weight
adhesive sheet
skin
par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954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20114A (ko
Inventor
고세윤
Original Assignee
고세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세윤 filed Critical 고세윤
Priority to KR10201800954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15303B1/ko
Publication of KR202000201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201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153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153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208Tissues; Wipes; Patch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212Face mask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1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involving only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135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n acyloxy radical of a saturated carboxylic acid, of carbonic acid or of a haloformic aci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e.g. vinyl esters (polyvinylacetat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2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the composition as a whole
    • A61K2800/24Thermal properti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4Polymers characterized by specific structures/properti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Dermat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Cosmetics (AREA)
  • Adhesives Or Adhesive Proces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장료 성분, 유리전이온도가 30 내지 40℃인 아크릴계 단량체 50 내지 90 중량% 및 비닐아세테이트 단량체 10 내지 50 중량%로 이루어진 수지, 유기용제 및 경화제를 포함하는 점착제 성분으로 이루어지는 체온감응형 점착시트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점착시트에 관한 것으로, 피부의 온도인 30℃ 내외에서 점성이 변하여 피부에 대한 부착력이 향상되며, 화장료 성분의 경피흡수 효과 및 피부자극이 저감되는 생체의료용 고분자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점착시트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체온감응형 점착시트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점착시트.{Cosmetic Composition for Skin Temperature Sensitive Adhesive Sheet and Adhesive Sheet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체온감응형 점착시트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점착시트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피부의 온도인 30℃ 내외에서 점성이 변하여 피부에 대한 부착력이 향상되며, 화장료 성분의 경피흡수 효과 및 피부자극이 저감된 체온감응형 점착시트용 생체의료용 고분자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점착시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피부에 부착하는 점착제 조성물은 지지체인 부직포 등에서 새어 나오거나 피부에 점착제 성분이 잔류하여 이용자에게 불쾌감을 주는 경우가 많다. 또한, 점착층의 경화가 너무 많이 진행되면 점착성이 저하되며 피부에서 이탈할 때의 피부 손상이나 유효성분의 경피흡수 성능이 악화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피부에 적용하기 위한 점착제는 성분과 조성에 대한 최적화가 중요하다.
이러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0903783호에서는 β-히드록시프로피온산(염)의 함유량이 적은 아크릴레이트계 폴리머를 사용하여, 폴리머 내의 카르복실기와 피부패치의 성분인 알루미늄 사이의 가교반응을 안정화시킴으로써, 안정한 형상 유지력, 점착성 및 약품의 경피흡수력을 갖도록 하고 있다. 또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1322971호에서는 수분에 의한 악영향을 받지 않고, 양호한 보형성과 피부 순응성을 가지며, 박리 시에는 풀 남음이 없도록 하기 위하여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2~35 중량%, 친수성 고분자화합물 25~60 중량%, 연화제 16~40 중량% 및 생리활성제 0.01~4.8 중량%를 함유하는 피부용 점착제를 개시하고 있다.
이러한 점착제 조성물은 각각의 용도에 맞추어 점착성과 박리성을 최적화하고 있는데, 점착제 조성물의 점도를 조절함으로써 피부에 적용할 때 점착성능을 나타내도록 하는 점착제 조성물에 대해서는 아직 제안된 바가 없다.
또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1138081호에서와 같이 핫멜트 접착제의 적층구조 중 제1층을 구성하는 핫멜트 접착제가 제2층을 구성하는 핫멜트 접착제보다도 연화점 온도 근방에서 유동성이 높도록 하여 피부 비접촉면의 섬유집합체에 대한 함침성이 높아지게 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온도 영역에 따른 점도의 변화를 꾀하고 있기는 하나, 이러한 점착제 조성물은 피부에 직접 접촉하는 것이 아니라 기저귀 등의 흡수성 물품의 접착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적용되는 것에 불과하다.
또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09-0014253호에는 매트릭스 층에는 온도 감응성 고분자 및 수용성 고분자와 미용성분의 분리상 및 고분자 점착제상을 포함하며, 피부에 부착 시 온도감응성 고분자에 의해 미용성분의 방출이 조절되도록 하고 있으나, 상기 선행기술에서는 피부에 탈부착하기 위한 고분자를 별도로 조성하고 온도 감응성 고분자를 일정한 함량으로 혼합하고 있기 때문에 온도 감응에 의한 효과가 발현되는 시간이나 정도가 부족하여 제품화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0903783호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1322971호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1138081호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09-0014253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피부의 온도인 30℃ 내외에서 점성이 변하여 피부에 대한 부착력이 향상되며, 화장료 성분의 경피흡수 효과 및 피부자극이 저감된 생체의료용 고분자를 포함하는 체온 감응형 점착제 조성물을 이용한 체온감응형 점착시트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을 이용한 점착시트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체온감응형 점착시트용 화장료 조성물은 화장료 성분, 유리전이온도가 30 내지 40℃인 아크릴계 단량체 50 내지 90 중량% 및 비닐아세테이트 단량체 10 내지 50 중량%로 이루어진 수지, 유기용제 및 경화제를 포함하는 점착제 성분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아크릴계 단량체는 아크릴산, 에틸아세테이트, 부틸아크릴레이트, 부틸메타크릴레이트, 헥실아크릴레이트, 헥실메타크릴레이트, n-옥틸아크릴레이트, n-옥틸메타크릴레이트, 이소옥틸아크릴레이트, 이소옥틸메타크릴레이트,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메타크릴레이트, 이소노닐아크릴레이트, 이소노닐메타크릴레이트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조합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유기용제는 방향족 화합물을 포함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점착시트는 기재 및 상기 기재의 일면에 청구항 1에 따른 체온감응형 점착시트용 화장료 조성물로 형성된 점착제 층을 포함하는 체온감응형 점착시트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기재는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부텐, 폴리부타디엔, 폴리메틸펜텐, 폴리염화비닐, 염화비닐 공중합체, 폴리우레탄, 폴리스티렌, 폴리카보네이트, 불소수지, 트리아세틸 셀룰로오스에서 선택되는 수지 필름, 부직포, 상질지, 코트지, 글라신지, 및 라미네이트지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체온감응형 점착시트용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의 온도인 30℃ 내외에서 점성이 변하는 생체의료용 고분자를 포함하는 체온 감응형 점착제 조성물을 포함함으로써 피부에 대한 부착력이 향상되며, 화장료 성분의 경피흡수 효과 및 피부자극이 저감되는 효과를 나타낸다.
또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을 점착시트에 적용함으로써 체온 감응형 점착시트를 제공하는 효과를 나타낸다.
도 1은 실시예 1에 따른 점착제 조성물의 시차주사열(DSC) 분석 결과를 나타낸 스펙트럼이다.
도 2는 비교예 1에 따른 점착제 조성물의 시차주사열(DSC) 분석 결과를 나타낸 스펙트럼이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체온감응형 점착시트용 화장료 조성물은 점착시트를 구성하되, 보다 구체적으로는 점착시트의 기재의 일면에 형성되는 점착제 층을 구성하는 것으로서 화장료 성분과 점착제 성분이 혼합된 형태의 조성물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화장료 성분은 피부미용에 효과를 나타내는 각종 성분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로서, 통상적으로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되는 희석제, 연화제, 보습제, 유화제, 계면활성제, 생리활성물질 및 정제수 중 어느 하나 또는 그 이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희석제는 화장품 조성물을 적당한 농도로 희석시키고 균일하게 용해시키는 성분으로서 물이나 C1 - C4 일가알콜 및 프로필렌글리콜, 폴리에틸렌글리콜, 폴리프로필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폴리에틸렌글리콜, 폴리프로필렌글리콜, 글리세롤, 부틸렌글리콜, 1,2,4-부탄트리올, 소르비톨 에스테르, 1,2,6-헥산트리올,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소르비톨 에스테르, 에톡시화된 에테르, 프로폭시화된 에테르 등의 친수성 및 저분자량의 글리콜 및 폴리올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희석제의 함량은 5 내지 30 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연화제는 피부를 매끄럽게 하고, 피부의 부드러움 및 유연함을 증가시키고, 피부의 건조를 예방하거나 제거하거나 피부를 보호하는 작용을 하는 성분으로서, 식물성 오일 또는 수소화된 식물성 오일, 동물지방 또는 오일, 알킬에테르들, 카복실산에테르들, 이소세틸알콜, 캐스터오일 또는 토코페롤아세테이트 및 그 혼합물로부터 선택되어지는 하나 이상의 혼합물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연화제는 3 내지 15 중량부의 범위에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보습제는 피부의 보습성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하는 성분으로서, 프로필렌글리콜, 디프로필렌글리콜, 부틸렌글리콜, 폴리프로필렌 글리콜, 폴리에틸렌글리콜, 소르비톨, 히드록시프로필 소르비톨, 에리트리톨(erythritol), 트레이톨(threitol), 펜타에트리톨, 크실톨(xylitol), 글루시톨(glucitol), 만니톨(mannitol), 헥실렌(hexylene) 글리콜, 글리세린, 히아루로산나트륨, 소디움히아루로네이트 또는 디메치콘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상기 보습제는 10 내지 20 중량부의 범위에서 사용하는 것이 보습효과의 면에서 바람직하다.
상기 계면활성제는 연속상에서 불연속상을 분산시키고, 현탁시키는 역할을 하는 성분으로서, 선택된 작용제가 화학적 및 물리적으로 조성물의 구성성분과 양립할 수 있고 요구되어지는 특성을 제공한다면,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계면활성제가 사용될 수 있다. 바람직한 계면활성제로는 에스테르계오일, 이소헥사테칸, 세탄올, 스테아릴알코올, 올레일알코올, 라우린산, 미리스틴산, 팔미틴산 또는 디메틸옥탄산 등을 들 수 있으며, 1 내지 약 10 중량부의 범위에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유화제는 PEG-10 하이드로지네이트 캐스터오일, PEG-100 하이드로지네이트 캐스터오일, 미네랄오일, 소르비탄시스퀴놀레이트, 프로필렌글리콜디카프릴레이트, 스테아르산, 트리에탄올아민, 캐스터오일 등을 들 수 있으며, 1 내지 10 중량부의 범위에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피부미용을 위한 생리활성물질로서 비타민 B군과 비타민 C군을 포함하는 수용성 비타민, 레티놀, 팔미틴산 레티놀 등의 비타민 A군, 비타민 D군, 비타민 E군 및 비타민 F군 등의 지용성비타민 등의 비타민류와 알부틴 및 인삼추출물 등의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천연의 추출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생리활성물질의 함량은 2 내지 10 중량부의 범위가 적절하다.
또한,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 시 추가적으로 첨가될 수 있는 성분으로는 점도조절제, 중화제, 킬레이트제, 수렴제, 방부제, 탈오염제 중 어느 하나 또는 그 이상을 들 수 있다.
상기 점도조절제는 유화후의 화장성분의 점도 조절하는 기능을 하는 것으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폴리글리세릴메타크릴레이트, 카복실시비닐폴리며, 히드록시에칠셀룰로오스 또는 카보머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점도조절제의 함량은 화장성분의 제형에 따라 적절히 그 점도를 가감하기 위하여 조절될 수 있다.
상기 중화제는 제품의 pH조절을 위하여 점증제의 첨가 후에 넣는 것으로, 디에탄올아민, 트리에탄올아민, 아르기닌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킬레이트제는 피부각질층에서 과다한 스케일 고리 또는 조직변화를 야기하는 UV 방사 및 피부손상을 가져올 수 있는 환경 인자에 대한 보호 작용을 한다. 킬레이트제로는 테트라아세트산, 푸릴디옥심 또는 소디움테트라아세트산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적합한 양은 0.01 내지 1.0 중량부이다.
상기 수렴제는 모공을 일시적으로 수축하는 작용을 하며, 산화아연, 황산아연, 알란토안, 하이드록시알루미늄, 구연산, 젖산, 황산알루미늄, 염화알루미늄, 스테아르산 아연 또는 백버드나무 추출물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방부제는 메틸파라벤, 에틸파라벤, 프로필파라벤, 부틸파라벤, 이소부틸파라벤, 페녹시에탄올 등이 사용되며, 0.01 내지 1.0 중량부의 범위에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탈오염제는 피부에 남아있는 오염물질을 말끔하게 제거하는 역할을 하며, 소디움테트라아세트산이 사용된다.
이상과 같이 제조되는 화장료 성분은 점착제 성분과 배합되어 본 발명의 체온감응형 점착시트용 화장료 조성물을 구성하게 되는데,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의 온도인 30℃ 내외에서 점성이 변하는 생체의료용 고분자를 포함하되, 특히 유리전이온도가 30 내지 40℃인 아크릴계 단량체 50 내지 90 중량% 및 비닐아세테이트 단량체 10 내지 50 중량%로 이루어진 수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단량체를 사용하여 제조된 생체의료용 고분자는 피부에 부착할 때 점착제 성분을 연화시키는데 효과적이므로 부착 성능이 향상될 수 있다.
즉, 상기 아크릴계 단량체 및 비닐아세테이트 단량체가 중합된 중합체 형태의 수지를 구성하면 본 발명에서 목적하는 화장료 조성물로 사용할 수 있는 점착제의 성분 및 물성을 달성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화장료 성분과 상기 점착제 성분을 별도로 제조한 후 이를 배합하는 공정을 통해 상기 화장료 조성물을 얻을 수 있다.
일반적으로 피부 점착용 시트에 사용되는 점착제 조성물은 아크릴계 단량체와 고무 단량체를 중합한 수지를 적용하는데, 유기용제로는 톨루엔을 사용하며 수지, 유기용제, 경화제 등과 더불어 점착 부여제(tackifier)를 첨가하여 요구되는 점착 성능을 얻고 있다. 이 경우, 상기 수지, 유기용제, 경화제, 점착 부여제 등의 성분을 한 번에 배합하여 단일 공정으로 점착제 조성물을 제조하게 되는데 중합 전환율이 95% 이상인 경우가 일반적이다.
이에 대하여 본 발명에서는 피부에 부착하는 점착제 조성물에 요구되는 특성을 충족하기 위하여 톨루엔과 같은 방향족 용제를 사용하지 않으면서 점착제 조성물을 제조하고 있다. 이를 위하여 방향족 용제를 사용하지 않는 것 외에도 산을 다량 함유하는 점착 부여제를 사용하지 않음으로써 수지에 함유된 산의 함량을 크게 감소시켜 피부자극을 해소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점착제 성분을 제조할 때, 수지, 유기용제, 경화제 등의 성분을 단일 공정으로 제조하는 것이 아니라, 단량체의 혼합 및 중합 개시제의 혼합, 유기용제 혼합, 경화제 혼합 등의 각각의 공정을 순차적으로 진행함으로써 전환율을 98% 이상으로 높이고 있다. 예를 들어, 수지를 제조할 때 작용기인 아크릴산과 다른 아크릴계 단량체, 비닐아세테이트 단량체를 순차적으로 반응기에 투입하여 혼합하고 이후 중합 개시제를 투입함으로써 점착 부여제의 사용 없이도 높은 중합 전환율과 가교밀도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공정을 채용함으로써 미반응 단량체의 함량이 크게 감소하며, 이로 인하여 미반응 단량체로 인한 피부에 대한 유해성, 피부 자극, 취기를 크게 감소시킬 수 있다.
상기 아크릴계 단량체로는 유리전이온도가 30 내지 40℃인 것이라면 어떠한 것도 사용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아크릴산, 에틸아세테이트, 부틸아크릴레이트, 부틸메타크릴레이트, 헥실아크릴레이트, 헥실메타크릴레이트, n-옥틸아크릴레이트, n-옥틸메타크릴레이트, 이소옥틸아크릴레이트, 이소옥틸메타크릴레이트,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메타크릴레이트, 이소노닐아크릴레이트, 이소노닐메타크릴레이트를 들 수 있다. 이러한 아크릴계 단량체는 1 성분으로 사용할 수도 있으나, 2 이상의 성분을 조합하여 사용함으로써 더 나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아크릴산은 반응성이 일반적인 단량체에 비해 약 200배 정도 높기 때문에 상기 아크릴계 단량체를 1 성분으로 사용하는 것보다 아크릴산과 다른 단량체를 혼합하여 사용함으로써 중합도를 높일 수 있고, 미반응 단량체를 감소시킬 수 있다. 따라서 아크릴계 단량체로는 아크릴산을 포함하는 2 이상의 아크릴계 단량체의 혼합물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아크릴계 단량체는 50 내지 90 중량%의 범위에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범위를 벗어나 아크릴계 단량체의 함량이 지나치게 적을 경우 본 발명에서 목적하는 30℃ 부근에서의 점도 상승의 효과를 얻을 수 없으며, 지나치게 많을 경우 박리 성능에 문제가 있으므로 상기 범위에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아크릴계 단량체와 함께 배합되는 비닐아세테이트 단량체는 10 내지 50 중량%의 범위에서 혼합되는데, 상기 비닐아세테이트 단량체는 유리전이온도가 29 내지 30℃이며 아크릴계 단량체와 중합하여 공중합체를 형성함으로써 본 발명에서 목적하는 점착제의 물성을 달성하게 된다. 상기 비닐아세테이트 단량체의 함량이 지나치게 적거나 지나치게 많으면 본 발명에서 요구되는 점착력 및 박리력을 얻을 수 없게 되어 점착시트에 적용했을 때 점착력이 불충분하거나 박리할 때 피부에 손상을 줄 수 있으며 유효성분의 경피흡수 효과가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상기 아크릴계 단량체와 상기 비닐아세테이트 단량체에 대하여 중합 개시제를 추가함으로써 중합 반응을 일으키고 이를 통해 점착제용 수지를 얻게 된다. 상기 중합 개시제로는 상기 아크릴계 단량체와 상기 비닐아세테이트 단량체의 중합반응을 일으킬 수 있는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사용할 수 있으며, 아조비스 이소부티로니트릴(AIBN), 벤조일 퍼옥사이드(BPO) 등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단량체의 중합에 의해 얻어진 수지에 대하여 유기용제 및 경화제를 부가하여 본 발명의 체온 감응형 점착제 성분을 얻을 수 있다.
상기 유기용제는 에틸아세테이트, 사이클로헥산, n-헥산, 아세톤, 디메틸카보네이트, 메탄올, 에탄올, 이소프로필알코올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유기용제는 상기 아크릴계 단량체와 상기 비닐아세테이트 단량체를 배합한 배합물을 100 중량부로 할 때, 10 내지 200 중량부의 함량으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유기용제의 함량이 지나치게 적으면 점착수지의 농도가 높아지기 때문에 점착제 층을 형성하는 공정에서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며, 지나치게 많으면 고형분의 함량이 줄어들기 때문에 점착제로서의 물성이 저하되게 된다.
또한, 상기 경화제로는 아크릴계 단량체와 비닐아세테이트 단량체를 중합할 수 있는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사용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에폭시 수지, 멜라민 수지, 요소 수지, 디알데하이드류, 금속 킬레이트 화합물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경화제는 상기 아크릴계 단량체와 상기 비닐아세테이트 단량체를 배합한 배합물을 100 중량부로 할 때, 0.1 내지 10 중량부의 함량으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경화제의 함량이 지나치게 적으면 고온 및 고습 조건 하에서 응집 파괴가 발생하기 때문에 내구 신뢰성이 저하될 수 있고, 너무 많으면 상용성이 저하되기 때문에 유동성이 감소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점착제 조성물을 GPC로 분석하면, 일반적인 점착제 조성물에서는 분자량 250,000 내지 350,000에서 메인 피크가 나타나고 약 1,000 정도에서 점착 부여제에 의한 피크가 관찰되나, 본 발명에 따른 점착제 조성물은 분자량 250,000 내지 350,000에서의 메인 피크와 더불어 20,000 내지 50,000에 추가적인 피크가 관찰된다. 이는 본 발명의 수지가 분자량이 상이한 2종의 중합체로 구성되는 것을 의미하며 이러한 2종의 중합체로 인하여 체온 부근에서의 온도 변화에 따른 점도 변화를 유발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점착제 성분과 화장료 성분을 배합하여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한 후, 상기 화장료 조성물을 점착시트를 구성하는 기재의 일면에 점착제 층을 형성하면 본 발명에서 목적하는 점착시트를 얻을 수 있다.
상기 점착시트를 구성하는 기재는 이형성을 가지는 것으로서,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부텐, 폴리부타디엔, 폴리메틸펜텐, 폴리염화비닐, 염화비닐 공중합체, 폴리우레탄, 폴리스티렌, 폴리카보네이트, 불소수지, 트리아세틸 셀룰로오스에서 선택되는 수지 필름을 사용할 수 있으며, 또한, 부직포, 상질지, 코트지, 글라신지, 및 라미네이트지 중 어느 하나를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점착제 층은 점착제 수지에 유기용제 및 경화제를 부가하여 도포 작업에 적합한 정도로 점도를 조절할 후 이를 상기 기재 상에 도포하고 경화시킴으로써 점착제 층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경화에 의해 화장료 성분이 점착제를 구성하는 수지의 매트릭스 내에 포집되기 때문에 체온에 감응하여 점도가 변화할 때에만 화장료 성분이 용출되어 피부에 흡수될 수 있다.
상기 점착제 층은 바 코트법, 리버스 롤 코트법, 나이프 코트법, 롤 나이프 코트법, 그라비아 코트법, 닥터 블레이드 코트법, 슬롯다이 코트법 등 종래의 점착시트를 제조하는데 쓰이는 방법으로 형성할 수 있으며, 점착제를 도포한 후 건조 및 경화하여 최종적으로 10 내지 100㎛의 두께가 되도록 점착제 층을 형성할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실시예 1]
화장료 성분을 제조하기 위하여 에탄올 20 중량부, 캐스터오일 8 중량부, 디메치콘 10 중량부, 에틸렌글리콜 5 중량부, 폴리글리세릴메타크릴레이트 0.5 중량부, 트리에탄올아민 0.2 중량부, 스테아르산아연 0.5 중량부, 소디움테트라아세트산 0.5 중량부 및 알부틴 20 중량부를 혼합하였다.
점착제 성분을 제조하기 위하여 에틸아크릴레이트 단량체(EAM) 19 중량부,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 단량체(2-EHA) 60 중량부, 비닐아세테이트 단량체(VAM) 20 중량부, 아크릴산 1 중량부, 및 중합 개시제로 AIBN(Azobis isobutyronitrile) 0.5 중량부를 4구 1리터 유리 반응기에 투입하고 중합하여 점착제 수지를 제조하였다. 상기 점착제 수지의 고형분이 40%가 되도록 유기용제인 에틸아세테이트로 희석하고 이소시아네이트 경화제 5 중량부를 추가하였다.
제조된 화장료 성분과 점착제 성분을 혼합하여 화장료 조성물의 코팅액을 제조하였다. 이후, 25㎛ 두께를 갖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필름의 이형 면에 상기 코팅액을 25㎛ 두께로 코팅 및 건조하여 점착제 층을 제조하였다. 이러한 공정으로 만들어진 점착제 층을 코로나 처리가 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필름과 합지시켜 단면 점착시트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1]
화장료 성분은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되었다.
점착제 성분의 제조를 위하여, 에틸아크릴레이트 단량체(EAM) 30 중량부, 부틸아크릴레이트 단량체(BAM) 30 중량부,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 단량체(2-EHA) 35 중량부, 아크릴산 1 중량부, 및 중합 개시제로 AIBN(Azobis isobutyronitrile) 0.5 중량부를 4구 1리터 유리 반응기에 투입하고 중합하여 점착제 수지를 제조하였다. 그런 다음, 점착 조성물의 고형분이 40%가 되도록 유기용제인 에틸아세테이트로 희석하고 이소시아네이트 경화제 5중량부를 넣어 점착제 성분을 제조하였다.
제조된 화장료 성분과 점착제 성분을 혼합하여 화장료 조성물의 코팅액을 제조하였다. 이후, 25㎛ 두께를 갖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필름의 이형면에 상기 코팅액을 25㎛ 두께로 코팅 및 건조하여 점착층을 제조하였다. 이러한 공정으로 만들어진 점착층을 코로나 처리가 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필름과 합지시켜 단면 점착시트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2]
화장료 성분은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되었다.
점착제 성분의 제조를 위하여, 에틸 아크릴레이트 모노머(EAM) 39 중량부, 2-에틸헥실 아크릴레이트 모노머(2-EHA) 60 중량부, 아크릴 산 1 중량부, 중합 개시제로 AIBN(Azobis isobutyronitrile) 0.5 중량부를 4구 1리터 유리 반응기에 투입하고 중합하여 점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그런 다음, 점착 조성물의 고형분이 40%가 되도록 유기용제인 에틸아세테이트로 희석하고 이소시아네이트 경화제 5중량부를 넣어 점착제 성분을 제조하였다.
제조된 화장료 성분과 점착제 성분을 혼합하여 화장료 조성물의 코팅액을 제조하였다.
이후, 25㎛ 두께를 갖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필름의 이형면에 상기 코팅액을 25㎛ 두께로 코팅 및 건조하여 점착층을 제조하였다. 이러한 공정으로 만들어진 점착층을 코로나 처리가 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필름과 합지시켜 단면 점착시트를 제조하였다.
제조된 점착시트에 대하여 온도변화에 따른 점착력, 유지력, 내열도 및 피부자극에 대한 평가를 실시하였다.
점착력 측정을 위하여 25×200㎜의 크기로 절단한 점착제 시료를 박리 테스트기에 장착하고 300㎜/min의 박리속도로 180° Peel off 시험을 진행하였다. 온도에 따른 변화를 측정하기 위하여 점착시트를 실온, 30, 35, 40℃로 가온한 후 점착력을 테스트하였다.
유지력은 KST-1028에 따라 측정하였다. 폭×길이가 25×150㎜인 점착시트 2매를 준비하고 SUS 304 강판에 25×25㎜로 부착한 후 2㎏의 롤러를 이용하여 25㎜/sec의 속도로 2회 왕복 가압하여 시편을 준비하였다. 이후 23±2℃, 상대습도 50±2%에 30분 간 방치하였다. 시편은 추를 이용하여 1㎏의 하중을 가하면서 80℃의 챔버에서 1시간 방치하였고, 1시간 후 밀린거리 또는 시험판에서 낙하한 시간을 측정하였다.
내열도 측정을 위한 시편은 유지력 테스트와 같은 조건으로 준비하였고, 시편은 추를 이용하여 500g의 하중을 가하면서 챔버에 방치하였고, 50~150℃의 범위에서 10분 당 10℃ 씩 승온하였고, 150℃에 도달한 후 30분 간 방치하였다. 이때 150℃까지 승온하는 동안 낙하한 온도를 측정하였으며, 150℃까지도 낙하하지 않는 경우 30분 간 방치하여 밀린 거리를 측정하였다.
피부자극은 식품의약품안전처에서 고시된 「의약품등의 독성시험기준」(제2015-82호, 2015.11.11.)에 따라 측정하였다. 시험동물로 젊고 건강한 백색토끼(체중 2.0 내지 3.0kg) 6마리를 사용한다. 0.5g의 점착제 조성물을 떨 깎은 등 부위의 피부에 2.5×2.5㎝의 비찰과 피부 2군데 및 찰과 피부 2군데에 도포하고 거즈로 덮은 후 테이프로 고정하였다. 또한, 도포 후 24, 72시간 후 홍반과 가피형성 여부를 관측하였으며, 홍반이 전혀 없으면 “×”, 아주 가벼운 홍반(육안으로 겨우 식별할 정도)이 있는 경우 “△”, 분명한 홍반이 관찰되는 경우 “○”, 약간 심한 홍반이 관찰되는 경우 “◎”, 심한 홍반(홍당무 색의 발적)과 가벼운 정도의 가피가 관찰되는 경우 “⊙”로 하여 평가하였다.
또한, 생리활성물질로 사용된 알부틴의 점착제 층 내에 초기 함량을 측정하고 24시간 도포 후 점착제 층을 회수하여 상기 점착제 층 내의 알부틴 함량을 측정하여 알부틴의 감소율을 계산하였다. 알부틴의 함량은 모두 가스 크로마토그래프 질량분석계(GC/MS)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그 결과는 표 1과 같다.
실시예 1 비교예 1 비교예 2
실온 점착력(gf/in) 1,200 1,000 900
30℃ 점착력(gf/in) 2,000 850 850
35℃ 점착력(gf/in) 1,900 800 780
40℃ 점착력(gf/in) 1,700 750 700
유지력(㎜) <1 <1 <1
내열도(℃) 150 150 150
피부자극 ×
알부틴 감소율 >99% 96.6% 97.5%
표 1의 결과를 살펴보면, 실시예 1의 점착제 층은 실온에서의 점착력이 1,200 gf/in이나 30℃에서의 점착력이 2,000 gf/in로 167%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나 점착시트를 피부에 부착할 때 점착력이 증가하여 부착되고 피부에서 떨어져 나가면 점착력이 감소되는 체온 감응 특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또한, 실시예 1의 점착제 조성물에 대한 시차주사열(DSC) 분석 결과는 도 1과 같은데, 34.2℃에서 상 변이에 따른 피크가 나타나 체온과 유사한 온도 범위에서 점성이 변하는 실험결과와 일치하는 결과를 얻었다.
이에 대하여, 비교예 1과 2에서는 실온에서의 점착력에 비해 30 내지 40℃에서 점착력이 오히려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나 체온에 감응하는 특성은 전혀 나타나지 않았다. 비교예 1의 점착제 조성물에 대한 시차주사열(DSC) 분석 결과는 도 2와 같은데 30 내지 40℃의 온도 범위에서 상 변이에 따른 피크가 전혀 관찰되지 않아 체온과 유사한 온도 범위에서 점성 변화는 없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비록 유지력이나 내열도에서는 실시예 1과 비교예 1, 2에서 동일한 결과를 얻었으나, 체온 감응 특성은 아크릴계 단량체 및 비닐아세테이트 단량체를 중합한 수지를 적용한 실시예 1에서만 나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는 본 발명에 따른 수지를 포함함으로써 체온 감응형 점착시트에 적용할 수 있는 특성을 나타내는 결과를 시사하는 것이다.
또한, 피부자극 시험을 수행한 결과 실시예 1의 경우 홍반이 전혀 관찰되지 않아 피부자극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비교예 1 및 2의 경우 홍반이 관찰되어 피부자극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점착제 조성물에 적용되는 수지의 종류에 따라 피부자극 수반 정도에 차이를 나타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실시예 1 및 비교예 1, 2의 점착시트에 대하여 수분이 점착제 층의 표면으로 이동되는 양을 측정한 결과 실시예 1의 경우 90분경과 후 약 25%의 수분방출량을 나타내었으나, 비교예 1, 2의 경우 16%, 19%로 나타나 점착제 층 표면에 수분이 형성되는 속도가 느린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로부터 화장료 성분의 전달속도가 실시예 1에 비해 떨어지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또한, 알부틴의 감소율을 측정한 결과를 살펴보면, 실시예 1에서는 24시간 후 알부틴이 99% 이상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나 거의 대부분의 알부틴이 피부에 공급되는 것으로 추측되었다. 이에 대하여 비교예 1, 2의 경우, 알비틴의 감소율이 각각 96.6%, 97.5%로 나타나 알부틴의 감소율이 실시예 1에 비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실시예 1의 경우 체온 부근에서 점도가 가변하기 때문에 점착제 층 내에 혼합된 생리활성물질의 이동이 활발하나, 비교예 1, 2의 경우 체온감응 효과가 없어 생리활성물질의 이동이 일반적인 점착시트에서와 비슷한 거동을 나타내기 때문으로 파악되었다. 이는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을 점착시트에 적용함으로써 화장료 성분을 더 효율적으로 피부에 흡수시킬 수 있음을 시사하는 결과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이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과 변경이 가능하다. 그러한 변형예 및 변경예는 본 발명과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범위 내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

Claims (5)

  1. 화장료 성분;
    에틸아크릴레이트 단량체(EAM) 19 중량부,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 단량체(2-EHA) 60 중량부, 비닐아세테이트 단량체(VAM) 20 중량부, 아크릴산 1 중량부로 이루어진 수지, 유기용제 및 이소시아네이트 경화제 5 중량부를 포함하는 점착제 성분;
    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온감응형 점착시트용 화장료 조성물.
  2. 삭제
  3. 삭제
  4. 기재 및 상기 기재의 일면에 청구항 1에 따른 체온감응형 점착시트용 화장료 조성물로 형성된 점착제 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온감응형 점착시트.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기재는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부텐, 폴리부타디엔, 폴리메틸펜텐, 폴리염화비닐, 염화비닐 공중합체, 폴리우레탄, 폴리스티렌, 폴리카보네이트, 불소수지, 트리아세틸 셀룰로오스에서 선택되는 수지 필름, 부직포, 상질지, 코트지, 글라신지, 및 라미네이트지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온감응형 점착시트.
KR1020180095439A 2018-08-16 2018-08-16 체온감응형 점착시트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점착시트. KR1021153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5439A KR102115303B1 (ko) 2018-08-16 2018-08-16 체온감응형 점착시트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점착시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5439A KR102115303B1 (ko) 2018-08-16 2018-08-16 체온감응형 점착시트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점착시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0114A KR20200020114A (ko) 2020-02-26
KR102115303B1 true KR102115303B1 (ko) 2020-05-26

Family

ID=696377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95439A KR102115303B1 (ko) 2018-08-16 2018-08-16 체온감응형 점착시트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점착시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1530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91515A1 (en) 2015-11-24 2017-06-01 University Of Washington Photosensitive medical tape
WO2020264291A1 (en) 2019-06-28 2020-12-30 University Of Washington Apparatus, system, and method for activating a low-adhesion state of thermal-sensitive tape
KR102600712B1 (ko) * 2021-09-27 2023-11-10 단국대학교 천안캠퍼스 산학협력단 체온감응형 고분자를 이용한 항류머티스제의 전달용 약제학적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패치 및 이의 제조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35261B1 (ko) 1999-03-29 2005-12-09 주식회사 태평양 하이드로젤 매트릭스 점착시트형 화장료
JP2015168626A (ja) 2014-03-05 2015-09-28 日本メナード化粧品株式会社 口唇用貼付材、その使用方法及び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347181B (en) 2004-03-23 2011-08-21 Kao Corp Absorbent article
TWI412570B (zh) 2004-04-27 2013-10-21 Showa Denko Kk Adhesive for patch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KR20080014461A (ko) * 2006-08-11 2008-02-14 쓰리엠 이노베이티브 프로퍼티즈 캄파니 경피투여형 화장료 패치
KR20090014253A (ko) 2007-08-04 2009-02-09 김국희 반복사용이 가능한 온도감응형 점착성 매트릭스 화장료
JP5799371B2 (ja) 2008-01-10 2015-10-21 アルケア株式会社 皮膚用粘着剤、皮膚用粘着シート及びオストミー装具面板
EP2759294B1 (en) * 2011-09-22 2017-11-01 Samyang Biopharmaceuticals Corporation Formulation for percutaneous administration containing Fentanyl and analague thereof
KR101871839B1 (ko) * 2014-09-25 2018-06-27 주식회사 엘지화학 미용용 점착 패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35261B1 (ko) 1999-03-29 2005-12-09 주식회사 태평양 하이드로젤 매트릭스 점착시트형 화장료
JP2015168626A (ja) 2014-03-05 2015-09-28 日本メナード化粧品株式会社 口唇用貼付材、その使用方法及び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0114A (ko) 2020-02-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15303B1 (ko) 체온감응형 점착시트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점착시트.
EP0754063B1 (en) Medical pressure-sensitive adhesive and medical dressing material provided with the same
EP1830897B1 (en) Multi-purpose adhesive composition
KR100740056B1 (ko) 신축성 첩부제
CN101163768A (zh) 没有支撑基底的紫外线固化压敏粘合带或膜
JP5163868B2 (ja) 貼付剤
JPH03223212A (ja) 経皮吸収ゲル製剤
KR20170101901A (ko) 함수 겔 조성물
WO2015119160A1 (ja) 皮膚用粘着剤及び貼付材並びに皮膚用粘着剤の製造方法
CA2721866C (en) Patch and patch preparation
JPS6099180A (ja) 水性粘着剤組成物
CN101669924B (zh) 贴剂和贴剂制剂
JP6478334B2 (ja) 貼付材
WO2020122058A1 (ja) 皮膚貼着用テープもしくはシート
EP3815656A1 (en) Adhesive patch for body surface
KR102068595B1 (ko) 생체의료용 고분자를 포함하는 체온 감응형 점착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점착시트
JP2000212074A (ja) 多層ゲル構造生体用粘着シ―ト、これを用いた化粧品および医薬部外品
JP2007031672A (ja) 剥離処理レス粘着テープ及びその製造方法
KR102207590B1 (ko) 생체의료용 고분자를 포함하는 피부 무자극 점착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점착시트
KR20220034030A (ko) 아크릴 중합체 및 접착제 조성물
JP5462458B2 (ja) 角質剥離用粘着体および美容方法
JP2000225185A (ja) 救急絆創膏
KR20200109076A (ko) 체온 감응형 생체의료용 고분자를 포함하는 점착시트.
KR101580566B1 (ko) 필-오프 타입의 패치 및 이의 제조방법
CN113366075A (zh) 粘贴在皮肤上的胶粘剂物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