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14461A - 경피투여형 화장료 패치 - Google Patents
경피투여형 화장료 패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80014461A KR20080014461A KR1020060076226A KR20060076226A KR20080014461A KR 20080014461 A KR20080014461 A KR 20080014461A KR 1020060076226 A KR1020060076226 A KR 1020060076226A KR 20060076226 A KR20060076226 A KR 20060076226A KR 20080014461 A KR20080014461 A KR 20080014461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kin
- layer
- adhesive
- adhesive layer
- film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212—Face mask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12—Galenical forms characterised by the site of application
- A61K9/0014—Skin, i.e. galenical aspects of topical composi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70—Web, sheet or filament bases ; Films; Fibres of the matrix type containing drug
- A61K9/7023—Transdermal patches and similar drug-containing composite devices, e.g. cataplasms
- A61K9/703—Transdermal patches and similar drug-containing composite devices, e.g. cataplasms characterised by shape or structure; Details concerning release liner or backing; Refillable patches; User-activated patches
- A61K9/7038—Transdermal patches of the drug-in-adhesive type, i.e. comprising drug in the skin-adhesive layer
- A61K9/7046—Transdermal patches of the drug-in-adhesive type, i.e. comprising drug in the skin-adhesive layer the adhesive comprising macromolecular compound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Dermat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Birds (AREA)
- Cosmetics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피부에 유용한 화장료 성분을 함유하는 경피투여형 화장료 패치(patch)에 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지지체층; 점착제 및 피부 활성 성분을 함유하는 점착층; 및 이형층을 포함하는 경피투여형 화장료 패치에 대한 것이다. 상기 점착층은 보습성분을 포함한 층 및 피부노폐물을 흡수하는 층을 포함할 수 있다.
경피투여, 패치, 화장료, 주름개선, 점착제
Description
도 1a는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패치의 일례를 보여주는 모식도이다.
도 1b는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패치의 다른 일례를 보여주는 모식도로서 라미네이트 다층구조를 갖는 패치의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2a는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화장료 패치의 구조를 개념적으로 설명하는 모식도이다.
도 2b는 본 발명의 다른 일례에 따른 화장료 패치의 구조를 개념적으로 설명하는 모식도이다.
도 3은 공기중의 수분, 산소 또는 자외선이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패치의 점착층 및 점착층 내의 유효성분과 접촉하지 못하도록 차단됨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a는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패치의 일례의 모습을 보여주는 것으로서 상기 패치를 눈 옆의 국소부에 적용한 것을 보여준다.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패치의 다른 예로서, 상기 패치를 눈 밑에 적용하기 위하여 반달모양으로 만들어 이를 눈 밑에 부착한 모습을 보여준다.
도 5a는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패치의 피부 활성 성분이 피부로 침투하는 모습을 모식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b는 피부의 노폐물 등이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패치로 이동되는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지지체층 2: 점착층
3: 제 2 점착층 4: 이형층
본 발명은 지지체층; 점착제 및 피부 활성 성분을 함유하는 점착층; 및 이형층을 포함하는 경피투여형 화장료 패치에 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피부는 각질층; 유극층, 과립층, 기저층을 포함하는 진피; 및 모낭, 모, 피지선, 한선, 에크린선 등을 포함하는 진피 부속 기관 등으로 이루어져 있다. 피부의 생리 기능으로는 신체의 보호, 체온조절, 지각, 흡수, 분비, 감정 전달 작용 등이 있는데, 피부의 색은 멜라닌, 카로틴, 헤모글로빈 등에 의하여 나타나게 된다.
이러한 인간의 피부는 나이가 들어감에 따라 여러 가지 내적, 외적 요인에 의해 변화를 겪는다. 즉, 내적으로는 신진대사를 조절하는 각종 호르몬의 분비가 감소하고, 면역 세포의 기능과 세포들의 활성이 저하되어 생체에 필요한 면역 단백질 및 생체 구성 단백질들의 생합성이 줄어들게 되며, 외적으로는 오존층 파괴로 인하여 태양 광선에 자외선의 함량이 증가하게 되고 환경 오염이 더욱 심화됨에 따 라 자유 라디칼 및 활성 유해 산소 등이 증가함으로써, 전체적으로 피부의 주름은 증가하게 되고 피부의 탄력은 감소하며, 기미, 주근깨 및 검버섯은 증가하는 등 여러 가지 변화를 일으키게 된다. 특히 피부 탄력성 및 유연성의 상실, 피부의 수분량의 감소, 피부의 재생력 감소 등으로 인하여 피부가 노화됨과 동시에 주름이 증가하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피부의 훼손이나 노화 현상을 방지하고, 개선시킬 수 있는 방법 및 물질에 대하여 많은 연구가 행해지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종래 피부의 노화 및 주름살의 제거를 위한 화장품이 여러 가지 개발되어 상용되고 있는데, 통상적으로 크림, 화장수, 로션, 파우더 등으로 제형화되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제형들은 필요한 때에 제품을 얼굴에 펴 바르도록 만들어진 것으로서, 피부에 유효한 성분을 피부에 지속적으로 도포 및 부착하는 것은 아니다.
피부 유효성분을 피부에 지속적으로 도포 및 부착시키기 위한 제형으로서 팩 제형이 있다. 이러한 팩은 피부 활성 성분을 겔상으로 피부에 도포하거나 또는 피부 유효성분으로 된 분말을 습윤시켜 피부에 도포한 후 일정 시간 후 건조하여 제거하는 제품이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팩 제품들은 피부에 도포한 후 손을 세척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으며, 피부면에서 건조될 때까지 또는 건조 후 제거할 때까지 피부의 움직임을 최대한 억제하고 있어야 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지지체에 피부 활성성분과 점착성분을 배치하여 이를 피부에 부착시키는 패치 제형의 화장료가 있다. 예를 들어, 부직포를 이용하여, 상기 부직포에 점착성분과 피부 활성성분을 침윤시켜 패치를 만든 후 이를 피부에 부착하는 방법이 있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패치는 수용성에 가까운 점착성분을 그대로 사용하기 때문에 패치 내에 포함되어 있는 성분들의 안정화에 문제점에 있었다. 예를 들어, 수용성 환경 하에서 불안정한 비타민을 포함하는 많은 피부활성 성분들은 수용성 조건 하에서 시간에 따라 그 역가가 감소하며, 이러한 피부활성 성분들은 수용성환경 하에서 파괴가 촉진된다. 따라서, 상기 성분들을 포함하는 제품의 경우, 제품이 제조되고 판매되어 사용자가 사용할 때까지 피부활성 성분들의 역가가 제대로 보존되지 않는다는 문제점 및 제품을 적용하는 동안 용매의 휘발이 단시간에 발생하여 제품이 건조해짐에 따라 유효성분의 흡수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는다는 문제점이 있다.
아울러, 제품의 유통 중에 자외선에의 노출 방지 및 수분 손실 방지를 위하여 알루미늄 증착 패키지와 같은 밀폐된 포장지에 보관해야 한다는 제한이 따른다. 또한 수용성 환경에서는 균이나 세균 또는 곰팡이의 번식이 왕성하기 때문에, 이러한 번식을 억제하기 위하여 많은 양의 방부제를 사용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패치나 팩의 경우, 이를 반복 사용하는 경우 과도한 양의 유효 성분 사용한다면, 신체가 일정농도 이상을 감지하여 상기 성분들의 분해효소를 과다하게 분비하는 경우가 생길 경우 흡수된 활성성분의 효율이 크게 떨어지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한편 종래의 패치 제형의 경우 보습력(moisturizing)에 문제가 있었다. 예를 들어, 팩 제형의 경우 물이나 알코올과 같은 용매를 사용하여 형성되기 때문에, 비록 유효성분의 안정성 면에서 문제가 있다고는 하지만, 보습 측면에서는 효과적으 로 작용할 수 있다. 그러나, 패치 형태로는 보습력을 부여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여, 사용이 간편하면서도 효과가 우수한 화장료 제형이 필요한 실정이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피부 유효성분을 함유하여 피부에 활성성분을 공급할 수 있고, 아울러 굴곡면을 갖는 피부 표면에 부착 및 탈착이 용이하여 사용이 간편한 패치를 제조하기 위하여 연구하였다.
그 결과, 불투습성의 지지체층 위에 점착제 및 피부 활성 성분을 포함하는 점착층을 형성하고 그 위에 이형층을 형성함으로써 피부 유효성분을 함유하면서 피부 표면에서 적당한 힘으로 부착 및 탈착이 용이하여 사용이 간편한 패치를 제조할 수 있음을 알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피부 유효성분을 함유하며 사용이 간편한 패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패치를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지지체층; 피부 활성성분 및 점착제를 함유하는 점착층; 및 이형층을 포함하는 경피 투여형 화장료 패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르면 상기 지지체층으로는 불투습성의 고분자 필름을 사용할 수 있고, 또한 상기 이형층으로는 표면이 이형처리된 불투습성의 고분자 필름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경피 투여형 화장료 패치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에 의한 경피투여형 화장료 패치는 지지체층; 점착제 및 피부활성 성분을 함유하는 점착층; 및 이형층을 포함한다(도 1a 및 1b 참조).
본 발명에 의한 상기 화장료 패치를 이용하면 종래의 팩, 또는 부직포 등을 사용하는 패치와 달리 자극이나 불쾌감 없이 피부활성 성분들을 안정적으로 일정한 방출 속도로 그리고 장시간 동안 일정하게 피부에 공급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피부조직 내에서 피부활성 성분에 대한 분해효소의 증가를 막을 수 있으며 일정량을 공급함으로 대사효율을 올릴 수 있다.
또한 기존의 패치의 경우 주로 수용성 상태로 제조되기 때문에, 이러한 수분환경에 의하여 패치가 미생물 및 세균, 곰팡이 등에 오염될 위험에 매우 크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종래 패치의 경우, 이를 보완하기 위하여 파라벤류 또는 트리클로산, 이미다졸리디닐우레아 등의 방부 및 살균제를 많이 사용하기 때문에 이들이 피부에 일부 흡수되어 문제를 일으키기도 한다. 반면, 본 발명에 의한 패치의 경우 수용성 상태로 제조되는 것이 아니라 패치 형태의 무수환경에서 제조되어 유통될 수 있기 때문에 이러한 오염으로부터 상대적으로 안전하다.
본 발명에 의한 경피투여형 화장료 패치에 있어서, 지지체층으로는 고분자 필름을 사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비흡습성 고분자 필름을 사용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지지체층으로서 자외선(UV)을 차단할 수 있는 고분자 필름을 사용한다면 패치 내부에 함유된 빛에 예민한 성분들, 예를 들어 피부활성 성분으로서 비타민류 등을 보호하는 데 효과적이다. 상기 기지체로서는 예를 들면, 폴리에스터계 필름, 폴리우레탄 필름, 폴리올레핀, 폴리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알루미늄 필름, 폴리비닐알코올 필름, 폴리스티렌 필름, 상기필름이 2층이상 적층된 필름 또는 블렌딩된 필름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폴리에스터와 EVA를 적층한 필름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지지체층의 두께는 약 10~2000㎛ 정도로 할 수 있다.
점착층에는 피부활성 성분과 함께 점착성분으로서 점착제를 포함한다. 필요에 따라 안정화제, 담체(carrier), 비히클(vehicle) 피부흡수 증진제, 피부부작용 완화제 등을 더 함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점착층에는 수용성 피부활성성분을 포집하기 위한 부형제 저장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점착층은 단일층으로 형성될 수도 있으며 2층 이상의 다층구조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점착층의 두께는 약 10~500㎛ 정도가 가능하며, 필요한 경우 50~200㎛ 정도로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점착층에 함유될 수 있는 피부활성 성분의 종류에는 제한이 없다.
예컨데, 주름방지제(antiwrinkle agent), 라디칼 포착제(radical scavenger), 슬리밍제(slimming agent), 미백제(whitening agent), 항 여드름제(antiacne agent), 보습제(moisturizer), 지루방지제(antiseborrhoeic agent), 노화방지제(antiaging agent), 각질분해제(keratolytic agent), 항균제(antibacterial gent), 항진균제(antifungal gent), 제한제(antiperspirant), 상처치료제(cicatrizing agent), 탈취제(deodorant), 면역조절제(immunoregulator), 혈관보호제(vascular protector) 또는 고분자 전해질(polyelectrolyte) 등을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토코페롤(tocopherol), 토코페롤 아세테이트(tocopherol acetate), 아스코르빌 팔미테이트(ascorbyl palmitate), 아스코르빌 에틸 에테르(ascobyl ethyl ether), 비타민 A(vitamin A), 레티노이드(retinoid), 레티닐 팔미테이트(retinyl palmitate), 비타민 F(vitamin F), 비타민 D(vitamin D), 비타민 D2(vitamin D2), 비타민 D3(vitamin D3), AHA, 살리실산(salicylic acid), 감초 추출물(extract of licorice), 로즈마리(rosemary), 아데노신(adenosin), 비타민 B(vitamin B), EGCG, 카테킨(catechin), 콜라겐(collagen), 조효소 Q10(coenzyme Q10) 등을 사용할 수 있다.
특히, 주름의 예방 및 제거를 위한 성분으로서, 콜라겐 분해효소나 엘라스틴 분해효소의 활성저해 기작에 의하여 콜라겐의 합성을 촉진하여 주름을 예방 및 제거하는 것으로 알려진 레티놀, 레티날, 레틴산 등의 자연적으로 존재하는 레티노이드 계통의 성분 및 이를 인공적으로 변형시킨 레티놀팔미테이트, 아데노신, 코엔자임 Q10 등이 있다. 이들 성분의 함유량은 각 성분의 역가에 따라 달라진다. 예를 들어, 순수한 레티놀의 경우 약 3,000 I.U. 내지 30,000 I.U.가 적절하다.
사용되는 피부 활성성분의 양은 원하는 결과를 얻기에 충분한 양으로 해당분야의 필요에 따라서 광범위하게 사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점착층 중량에 대해 1~40중량%의 범위 내에서 사용될 수 있다.
점착성분으로는 감압 점착제(PSA)를 사용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무수 점착제와 친수성 점착제를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친수성 점착제 로 된 층과 무수 점착제로 된 층을 적층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점착제로는 아크릴계 점착제, 실리콘계 점착제, 고무계 점착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수분을 함유하지 않는 무수 점착제는 수용성 기질내에서 불안정성을 갖는 활성성분에 적용하기에 유리하다. 이 경우, 점착층 내로의 수분의 유입을 최소화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아크릴계 점착제, 아크릴-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 고분자 점착제, 실리콘계 점착제, 폴리이소부칠렌계 점착제 등이 있다. 점착제의 사용량은 각 점착제가 지니는 고유의 점착능력과 부가 기능을 부여하기 위한 첨가물의 양에 따라 조절된다. 예를 들어, 아크릴-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 고분자 점착제의 경우에는, 점착층 총중량에 대하여 60~90 중량% 정도의 양으로 사용하는 것이 적합하다.
친수성 점착제로서도 역시 아크릴계 점착제를 사용할 수 있다. 아크릴계 점착제는 중합되는 모노머의 배합비를 조절하기 용이하므로, 점착기제 내의 함수능 및 유효성분 방출 속도, 활성성분의 용해도를 조절할 수 있다.
이러한 아크릴계 점착제로는 탄소수 1~12의 알킬기를 가지는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계 단량체와, 이 단량체와 공중합이 가능한 극성 단량체가 공중합된 고분자가 있다. 상기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계 단량체의 예로는 부틸(메타) 아크릴레이트, 헥실(메타)아크릴레이트, n-옥틸(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옥틸(메타) 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노닐(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이 있으며 그 종류가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계 단량체와 공중합이 가능한 극성 단량체의 예로는 (메타)아크릴산, 말레인산, 푸마르산 등의 카르복실기를 함유한 단량체나, 아크릴아미드, N-비닐피롤리돈, N-비닐 카프로락탐 등의 질소를 함유한 단량체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아크릴계 점착성 고분자 수지에 있어서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계 단량체와 상기 극성 단량체의 비율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나, 일반적으로 99~80 : 1~20의 중량비의 범위를 가질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범위에서 아크릴 수지는 점착제로서 필요한 접착력을 나타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르면, 부틸아크릴레이트 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를 60 중량% 이상으로 포함하고 메타크릴 아마이드 메타크릴 아크릴아마이드등을 40 중량% 미만으로 포함하는 수분산형 중합에 의해 만들어진 아크릴계 점착제를 사용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점착제를 이용할 때는 피부의 백화현상이나 보습능력에 문제를 유발할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피부 보습능력을 조절 하기 위해서, 친수성이 큰 모노머, 카르복실기를 갖는 모노머, 아미드기를 갖는 모노머 및 아미노기를 갖는 모노머 등을 공중합시켜 얻어진 고분자 보습성분을 이용하여 피부 보습능력을 조절할 수 있으며, 다른 방법으로는 고흡수성 고분자, 다가 알코올류 및 흡수성 무기물을 이용하여 보습능력 및 점착력을 조절할 수 있다.
한편, 고분자 보습성분은 피부의 수분조건에 반응하여 패치의 점착력을 시간에 따라 서서히 감소시켜 원하시는 시간에 이르러서는 패치를 쉽게 제거될 수 있도록 패치의 점착력을 조절해 줄 수 있다.
이러한 보습성분은 상기 점착층 내에 분산되어 사용될 수 있다. 즉, 점착층을 형성하기 위한 점착제에 피부 활성성분과 더불어 보습성분을 혼합하여 보습력이 우수한 점착층을 제조할 수 있다.
또는, 상기 보습성분을 별도의 층으로 형성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보습성분과 용매를 혼합한 페이스트를 제조한 후, 지지체층에 배치된 점착층 위에 도포함으로써 별도의 보습성분층이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또는 상기 보습성분층을 제 2 점착층의 형태로 제조할 수도 있다. 즉, 점착층을 2개의 층으로 나누어, 제 1 점착층에는 점착제와 더불어 피부활성 성분이 포함되도록 하고, 제 2 점착층에는 점착제와 더불어 보습성분이 포함되도록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고분자 보습성분의 예로는, 오일류와 같은 에몰리언트(emollient); 폴리올(polyol)이나 히아루론산 등과 같은 모이스처라이저(moisturizer); 아미노산, PCA, 요소, 젖산염, 글루코사민, 구연산염, 당, 펩티드 등의 천연보습인자; 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디프로필렌글리콜, 글리세린, 디글리세린, 폴리글리세린, 1,3-부틸렌글리콜과 같은 휴멕턴트(humectant) 등이 있다.
상기 보습성분은 점착층 총 중량에 대하여 1~50 중량% 만큼 함유될 수 있다.
한편, 고흡수성 고분자의 예로는, 뮤코다당류로서 히아루론산, 콘드로이친 설페이트, 더마틴설페이트 등이 있으며, 키틴(chitin), 키틴 유도체, 전분,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와 같이 분자내에 다수의 친수기를 갖는 고흡수성 고분자와 폴리아크릴산계, 폴리옥시에틸렌계, 폴리비닐알코올계, 폴리아크릴로니트릴계의 단독 또는 공중합체의 반합성 및 합성 고흡수성 고분자가 있다. 다가 알코올류의 예로는 프로필렌글리콜, 글리세린, 솔비톨 등이 있으며, 글루코사민 당, 펩타이드를 포함 한 천연보습인자 재료를 포함한다. 흡수성 무기물로는 흡수성 실리카, 제올라이트, 흡수성 세라믹 등이 있다. 이때 고흡수성 고분자, 다가 알코올류 및 흡수성 무기물과 같은 흡수성 물질들은 점착층 총 중량에 대하여 0.1~40 중량%의 양으로 함유될 수 있으며, 필요한 경우에 1~20 중량% 정도 함유될 수 있다.
상기 점착기제 중에는 필요에 따라 각종 배합제, 예를 들면 로진계 수지, 폴리테르펜계 수지, 쿠마로인덴계 수지, 석유계 수지, 테르펜페놀계 수지 등의 점착성 부여제; 액상 폴리부텐, 광유, 라놀린, 액상 폴리이소프렌, 액상 폴리아크릴레이트 등의 가소제, 충진제, 산화방지제가 첨가될 수 있다.
또한, 점착특성 개선을 목적으로, 셀룰로오스, 폴리에틸렌, 나일론 6, 나일론 12,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알긴산, 히알루론산, 키틴 및 그의 유도체 등의 유기 고분자 미립자 및/또는 산화아연, 산화칼슘, 실리카, 카오린, 탈크, 티타늄옥사이드 등의 무기물을 점착층 총 중량에 대하여 0.1~30중량%의 양으로 함유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0.5~10 중량% 정도의 양으로 함유할 수 있다.
한편, 활성성분을 안정화시키기 위하여 토코페롤(tocopherol), 코엔자임 Q10 (coenzyme Q10, 이하 Co-Q10), 아스코르빈산, 코직산, 알부틴, 부칠하이드록시톨루엔(B.H.T) 및 상기 물질들의 유도체 등의 항산화제를 단독 혹은 혼합하여 0.1~5.0 중량% 정도의 양으로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안정화제로는 지방산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폴리옥시에틸렌, 폴리옥시에틸렌-폴리옥시프로필렌 공중합체 및 음이온 양이온 계면활성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모노에틸렌아민, 트리에탄올아민, 수산화 나트륨 등의 염기성 물질을 소량 첨가하여 점착층의 pH를 6 내지 8의 범위로 조절함으로써 활성성분의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성분의 첨가량은 각 첨가제의 염기성 정도 및 다른 첨가제의 양에 따라 달라진다. 상기 점착층의 pH는 피부 활성 성분의 종류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통상적으로 점착층의 pH는 약 6~8 정도로 조절할 수 있다.
활성성분의 피부흡수를 증진시키기 위해 사용하는 피부흡수 증진제로는 지방산, 지방산 알코올 및 테르펜 화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것을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라울릭산, 올레인산, 라울릴알콜, 올레일알콜, 디메틸설폭사이드(dimethyl sulfoxide, 이하 "DMSO"), 도데실설폭사이드(dodecyl sulfoxide), 모노(또는, 디)메틸아세트아미드, N-하이드록시에틸락티드, 고급 지방산 에스테르, 살리실산, 솔비톨, 피롤리돈 유도체, 부틸렌글리콜에틸에테르, 도데실피롤리돈, 요소, 글리세린, 스쿠알렌, 스쿠알란, 아세틸화라눌린, 세틸라우레이트, 올리브유, 피마자유, 에톡시스테아릴 알콜, 유동 파라핀, 바세린, L-멘톨, 캄파, 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 지방산 모노(또는 디)에탄올아미드, 에틸렌글리콜 모노에틸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스테르, 폴리옥시프로필렌알킬에테르 및 프로필렌관리콜모노(또는 디)알킬에스테르 등이 있다. 그 사용량은 피부자극이 일어나지 않는 최대량으로서, 각 물질에 따라 다르지만 최대 점착층의 총 중량에 대하여 10 중량% 를 넘지않는 것이 보통이다.
담체로는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부탄올, 벤질 알코올, 프로필렌 글리콜, 글리세린, 폴리에틸렌글리콜, 트랜스큐톨, 트리아세틴 및 지방산 및 유도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점착제를 지지층에 코팅할 때 적당한 점도를 맞추기 위하여 카복시메틸 셀룰로오스 나트륨, 카보머, 잔탄검 등을 이용하였다. 그 사용량은 각 물질에 따라 상이하지만 최대 사용량은 점착층의 총 중량에 대하여 10 중량%를 넘지 않는 것이 보통이다.
또한, 본 발명의 경피투여용 패치는 상기 점착층의 친수성과 소수성의 성질을 쉽게 변화시킬 수 있는 폴리옥시에틸렌라우릴 에테르나, 소수성 계면활성제를 더 함유할 수도 있다. 소수성 계면활성제의 예로는, N,N-디히드록시에틸라우라미드, 폴리옥시에틸렌올레일에테르, 글리세릴모노라우레이트, 프로필렌글리콜모노라우레이트 및 소르비탄모노라우레이트를 들 수 있으나, 여기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경피투여형 화장료 패치의 점착층은 부드러운 사용감을 위하여 다가 지방산이나 불포화지방산, 기타 왁스류 등을 더 함유할 수 있다.
이형층으로는 고분자 이형필름을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이형필름의 예로는 실리콘 또는 불소로 코팅된 종이 또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 폴레올레핀폴리프로필렌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이형층은 제품의 제조 및 유통과정에서 점착층에 부착되어 점착층이 공기 특히 공기 중의 산소 또는 수분과 접촉하는 것을 억제한다. 상기 이형층은 패치를 사용할 때 제거되며, 이형층이 제거된 패치의 면을 피부에 부착한다. 상기 이형층의 두께는 약 10㎛~2000㎛ 정도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패치에 있어서 상기 점착층은 지지체층 및 이형층에 의하여 양면이 보호되기 때문에, 점착층의 공기접촉 면적은 점착층 전체 면적의 5% 이하로 할 수 있다. 점착층의 두께에 따라 상기 공기접촉 면적은 점착층 전체 면적의 1% 이하가 되도록 할 수도 있다.
도 2a 및 2b는 패치 부착 후 피부에서 방출된 노폐물을 흡수(도 5b 참조)할 수 있으며 동시에 수용성 약물을 저장하고 있을 수 있는 작은 단위의 저장소를 지니고 있는 패치의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패치의 점착층 내에 마이크로 단위에서 밀리미터 단위 정도의 작은 저장공간(저장층) 들이 존재함으로써, 시간에 따라 패치의 점착력에 변화를 줄 수 있으며 피부의 노폐물 흡수와 수분제공을 조절할 수도 있다. 즉, 상기 저장공간은 피부 활성 성분을 저장하거나 또는 지용성,수용성 피부 배출물을 흡수할 수 있는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2b는 피부의 노폐물을 흡수하며 피부에 수분을 공급함과 동시에 수용성 약물을 저장할 수 있는 두개의 저장소를 중복적으로 지닌 화장료 패치를 개념적으로 설명하는 모식도이다.
도 4a와 4b은 패치를 피부에 적용시키는 모습을 보여주는 사진으로서 패치를 피부의 특정지점의 피부에 적용하기 위하여 둥근 형태로 제조한 예 및 눈 아래 부분 적용을 위하여 반달모양으로 제조한 예를 보여준다.
도 5a는 농도 구배에 따는 수동적인 확산에 의하여 패치의 점착층 내의 피부 활성 성분이 방출되어 피부로 흡수되는 메커니즘을 도식적으로 보여준다. 이러한 방출속도는 점착층의 구조 또는 구성에 의하여 좌우될 수 있다. 한편, 비히클의 종류와 점착제의 소수성 또는 친수성 관능기의 함량에 의하여 피부활성 성분을 저장할수 있는 공간이 제한되어 저장 용량에 한계가 있는데, 이를 극복하기 위하여 점착층 내에 마이크로 단위 혹은 밀리미터 단위의 저장층을 만들어 이를 보완하라 수 있다.
도 5b는 패치의 점착층이 피부의 분비물 또는 노폐물 등을 흡수하는 메커니즘을 도시한 것이다. 이러한 분비물의 성분 중 약 90~95% 정도는 물이고, 나머지는 전해질(Na, K, Cl 등), 암모니아 등이다. 상기 분비물이나 노폐물은 주로 모공을 통하여 분비되며, 이러한 모공에는 지방 분비선과 아포크린이 연결되어 있다. 상기 두 개의 샘에서는 지방질, 철분, 복잡한 화학 물질, 남성 호르몬 유도체 등 고약한 냄새를 내는 물질과 지용성 물질을 분비하게 되는데, 지방분비선에서 방출되는 성분은 무수 접착제에 의해 흡수되게 된다. 한편 수분은 점착층 내의 수분흡수체를 통하여 흡수된 후 피부에 재분배되기도 한다. 지지체층이 상기와 같은 기능을 강화시켜주는 역할을 하는데, 이는 피지선의 배출 기능도 활성화 시켜서 모공(피지선) 내의 유해 물질 배출까지도 증진시키며 각질층을 수화시켜 피부가 닫혀있는 시스템으로 만들어 수분함량을 5~15%에서 최대 75%정도까지 향상시킨다.
본 발명은 또한 지지체층; 피부 활성성분 및 점착제를 함유하는 점착층; 및 이형층을 포함하는 상기 설명한 경피 투여형 화장료 패치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조방법은, (a) 점착성 고분자 수지를 제조하는 단계; (b)상기 점착성 고분자 수지에 피부 활성 성분을 혼합하고 교반 및 건조하여 현탁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 (c) 상기 현탁 혼합물을 지지체층에 코팅하여 점착층을 형성는 단계; 및 (d) 상기 점착층 위에 이형층을 배치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c)단계에서는, 상기 현탁 혼합물을 먼저 이형층에 코팅하여 점착층을 형성하고 이를 지지체층과 합지하여 상기 경피 투여형 화장료 패치를 제조하는 것 도 가능하다.
상기 현탁혼합물을 지지체층 또는 이형층에 도포하는 방법으로는, 코팅, 건조, 권취, 라미네이팅이 될 수 있는 설비를 이용하여, 지지체층에 바로 현탁혼합물을 도포하는 방법이 있다. 한편, 이형층에 현탁혼합물을 코팅하고 건조기에 의한 건조 후에 전사 방식에 의하여 지지체층에 상기 현탁혼합물을 전사할 수도 있다.
상기 현탁혼합물의 코팅과정에서 2층 이상의 연속 또는 비연속적으로 코팅을 실시하여 점착층을 다층형태로 제조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지지체 위에 점착층을 형성하고 그 위에 보습성분을 함유하는 보습층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보습층을 형성하기 위하여 보습성분을 용매에 분산시킨 페이스트를 점착층 위에 도포할 수도 있고, 점착제와 보습성분을 혼합한 제 2 점착층을 상기 점착층 위에 코팅할 수도 있다. 상기 코팅 방식에는 제한이 없으며, 예를 들어, 콤마 코팅, 슬럿 다이 코팅, 로타리 다이 코팅 등의 방식을 적용할 수 있다.
상기 (a) 단계에서 제조된 점착성 고분자 수지의 점도는 10~10000cPs 인 것이 다음 단계 공정을 고려하여 유리하다.
상기 (b) 단계에서 피부 활성 성분을 혼합하고, 이에 더하여 안정화제, 활성 성분의 침투량을 조절할 수 있는 전달 조절제, 담체, 비히클, 피부흡수 증진제, 부작용 완화제 등을 더 첨가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혼합은 온도 조절이 가능한 연속형 또는 배치형의 혼합기에서 실시될 수 있는데, 완전히 분산 및 유화가 일어날 때까지 혼합을 하는 것이 필요하다.
상기 (b) 단계에서 제조된 현탁 혼합물의 pH는 6~8인 것이 적절하다. 상기 pH는 피부 활성 성분의 종류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하 제조예, 실시예, 비교예 및 시험예를 통하여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이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제조예 1> 수용액성 점착제의 제조
본 제조예에서는 점착성 고분자 성분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각 성분의 상대적인 중량을 "부"로 표시한다.
먼저 용기에, 물에 소수성과 친수성을 지닌 양족성 화합물을 3부 투입하고 아크릴산 단량체인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 80부, 메타크릴산 20부를 혼합한 후, 에틸렌성 불포화 단량체인 비닐 아세테이트를 25부, 가교제로서 글리시딜 메타크릴레이트를 0.1부, 개시제 0.1부, 중화제로 수산화나트륨 소량을 첨가한다. 이 반응용액을 500rpm정도로 교반화여 용해시켜 초기반응 용액을 유화처리한 다음 초기 반응용액을 반응기에서 질소분위기하에서 75℃에서 서서히 교반하면서 0.4리터/분 정도의 속도로 분할해서 공급하면서 중합반응을 진행하였다. 중합도를 올리기위하여 소량 안정제를 투입하여 단량체가 잔존하지 않게 조절한 뒤 온도를 30℃이하로 조절해 반응을 종결하여 점착제 물질을 얻었다.
<제조예 2> 무수 용매형 점착제의 제조
점착성 고분자 성분으로서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 44부, 부틸아크릴레이트 20 부, 메타크릴레이트 16부 및 비닐아세테이트 20부와 과산화벤조일(BPO) 1.0부를 제조예 1에서와 같은 조건에서 에틸아세테이트를 가하여 공중합시켰다. 이때 중합도는 99.9% 이상이었다. 글리시딜 메타크릴레이트를 교반 하에서(300rpm) 중합 생성물에 가하여 자체경화형 생성물을 얻었다. 얻어진 중합체 용액에 초산에틸 적당량을 가하여 고형분의 농도를 중량기준으로 약 40%가 되도록 하였다. 이렇게 하여, 점착성 고분자 성분으로서 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와, 메타크릴산과 비닐아세테이트와의 공중합체로 된 점착제를 얻었다.
<실시예 1~4>
상기 제조된 점착제를 이용하여 하기 표 1의 조성에 따라 실시예 1~4의 경피 투여형 화장료 패치를 제조하였다. 하기 표 1에서 각 성분의 함량은 점착층의 총 중량에 대한 각 성분의 상대적인 중량을 중량%로 표시하였다.
성분 | 실시예 1 (주름개선) | 실시예 2 (주름개선) | 실시예 3 (미백) | 실시예 4 (미백) |
레티놀 | 2 중량% | 2 중량% | 0 중량% | 0 중량% |
비타민 C | 1 중량% | 1 중량% | 3 중량% | 3 중량% |
나이신아마이드 | 2 중량% | 2 중량% | 0.5 중량% | 0.5 중량% |
adenosin | 0.5 중량% | 0.5 중량% | 0 중량% | 0 중량% |
카보머 | 3 중량% | 3 중량% | 3 중량% | 3 중량% |
잔탄검 | 1 중량% | 1 중량% | 1 중량% | 1 중량% |
PEG400 | 1 중량% | 1 중량% | 1 중량% | 1 중량% |
글리세린 | 10 중량% | 10 중량% | 10 중량% | 10 중량% |
피부 투과제 | 0.5 중량% | 0.5 중량% | 0.5 중량% | 0.5 중량% |
Na 히아루론산 | 5 중량% | 5 중량% | 5 중량% | 5 중량% |
향료 | 적량 | 적량 | 적량 | 적량 |
색소 | 적량 | 적량 | 적량 | 적량 |
지지체층 | EVA/PET | EVA | Polyolefin | Polyurethane |
점착제(제조예 1) | 74 중량% | - | 76 중량% | - |
점착제(제조예 2) | - | 74 중량% | - | 76 중량% |
상기 표 1의 성분 중 점착제 이외의 성분을 물(제조예 1의 점착제를 사용하는 경우) 또는 에틸아세테이트(제조예 2의 점착제를 사용하는 경우)에 균일하게 분산시킨 후, 점착제 성분을 배합한 다음, 1 시간 정도 교반하였다. 혼합된 현탁액이 균일한 상태로 되었을 때 교반을 중지하고, 에플리케이터를 이용하여 이 혼합물을 이형층인 두께 75㎛인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에 100㎛의 균일한 두께로 도포시킨 후 110℃에서 1시간 이상 방치하여 용매를 완전히 휘발, 제거시켜 점착층을 제조하였다. 용매가 충분히 건조되었음을 확인한 후, 지지체층인 두께 50㎛의 폴리에스터와 EVA를 적층한 필름과 합지하여 매트릭스 형태의 경피투여형 패치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5~8>
상기 실시예 1~4에서 제조된 경피투여형 패치의 점착층 위에 두께 50㎛의 제 2 점착층을 형성하여 다층구조의 경피투여형 패치를 제조하였다. 상기 제 2 점착층은 제조예 1에서 제조한 점착제 70중량%에 보습성분인 히아루론산 30 중량%를 혼합하여 제조하였다.
<비교예 1>
지지체층으로서 EVA 필름 대신 부직포를 사용하고 보습제인 글리세린과 히아루론산을 사용하지 않는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경피투여형 패치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2>
지지체층으로서 MVTR이 높은 UV차단처리가 안된 통상적으로 시판되는 폴리우레탄필름을 사용한다는 것과, 보습제인 글리세린과 히아루론산을 사용하지 않는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3과 동일한 방법으로 경피투여형 패치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3>
점착층에 제조예 1의 점착제 대신 키토산 젤라틴을 사용하여, 젤타입의 제형으로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경피투여형 패치를 제조하였다.
<시험예 1> 누적자극시험
본 발명에 의한 패치의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실시예 1 내지 4 및 비교예 1 내지 4의 경피투여형 패치를 2x2㎠ 크기로 절단하여 건강한 남녀 11명의 팔 상박 안쪽피부에 부착시킨 뒤, 3M 마이크로포어 테이프를 이용하여 완전히 고정시켜 첩포하였다. 첩포는 23시간 진행하였고, 제거 후 1시간 후에 육안으로 검사하여 각개인별 score(CI; Cumulative Index)를 평가하였다.
개인별 score는 하기를 기준으로 평가하였다.
0점: 홍반 수포 및 가피 증상이 없음
1점: 균일한 핑크색의 경도의 육안으로 식별할수 있는 홍반이 관찰됨
2점: 핑크와 붉은색사이의 명료한 홍반이 관찰됨
3점: 부어오름과 밝은 붉은색의 홍반이 발견됨
4점: 수포와 심홍색의 홍반 또는 가피가 발견됨
검사는 매일 실시하여 총 20회 실시하였다. 그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실시예외 비교예 모두 자극지수는 0 이었다.
경과시간 | 자극지수 | |
실시예 1-4 | 비교예 1-3 | |
24시간 후 | 0 | 0 |
20일 후 | 0 | 0 |
<시험예 2> 안정성 시험
실시예 1~4 및 비교예 1~4의 경피투여형 패치를 45℃의 항온조에서 30일간 방치한 다음, 고압 액체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각제품의 역가를 측정하였다. 메탄올과 증류수의 7:3 혼합용액을 이용하고, C18 컬럼을 통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를 초기값 100% 기준으로 표 3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1 | 실시예 2 | 실시예 3 | 실시예 4 | 비교예 1 | 비교예 2 | 비교예 3 | |
45℃ 30일 | 97 | 93 | 96 | 92 | 73 | 68 | 57 |
상기 결과로부터, 본 발명에 의한 패치의 경우 안정성이 우수함을 알 수 있다. 특히 실시예 1에서 다층구조로 된 필름에서 가장 안정도가 우수하게 나타났다. 그 결과, 상기 패치를 보관하기 위한 용기로서 알루미늄 증착 필름등과 같은 포장용 팩 등을 사용하지 않아도 안정성을 유지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시험예 3> 피부 투과도 시험
제조된 실시예 1과 비교예 1의 피부투과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무모 마우스 (hairless-mouse) 피부와 프란츠 확산 셀(유효면적: 1.3cm2, 수용상의 부피: 5.0㎖)을 사용하여 부침상태(sink condition) 하에서 비타민 C와 나이신아마이드의 피부투과도 시험을 하였다. 수용상은 PBS(phosphate buffered saline, pH 7.4)을 사용하였으며, 먼저 수용상을 프란츠 확산 셀에 채우고 32 ㅁ 0.5℃로 유지시킨 다음 피부를 장착하고, 피부의 표피층에 시료를 부착하여 600rpm으로 교반하며 투과 실험을 실시하였다. 피부는 4주령의 무모 마우스로부터 피부층만을 적출한 다음, 진피층의 지방층을 제거한 후 사용하였다. 패치중에 사용한 약물의 양과 투과된 약물의 정량을 위하여 도포 후 일정시간 경과된 시점에 수용상 0.20 ㎖를 취한 것과 패치에 남아 있는 양을 HPLC로 정량하였다. 분석조건은 다음과 같다.
<분석조건>
- 검출기: 275nm, 260nm 자외선 흡광광도계
- 칼럼: XTerra RP18 (Waters)(3.9mm x 150mm)
- 이동상: 에탄올:메탄올(ethanol : methanol = 60:40)
- 유속: 1.0 ㎖/분
- 칼럼온도: 40℃
- 시료주입량 : 10㎕
비타민 C와 나이신아마이드의 피부투과도 결과를 표 4에 나타내었다.
실시예1 | 비교예1 | |||
항목 | 비타민 C | 나이신아마이드 | 비타민 C | 나이신아마이드 |
투과도 (㎍/㎠/h) | 63.53 | 37.07 | 15.15 | 8.16 |
40분에서의 투과율 (중량%) | 21 % | 12 % | 6 % | 3 % |
<시험예 4> 피부활성 평가 - 피부 주름개선 효과 시험
실시예 1~2 및 비교예 1~2의 경피투여형 패치를 이용하여 피부 주름개선에 대한 관능평가를 하기와 같이 실시하였다.
대상자는 눈가 주변에 주름을 가진 여성 20 명(평균연령 35 세)으로 하였다.
저녁에 세안 후, 이틀에 한번 시험제품 패치를 밤에 붙인 후 아침에 제거하였다. 붙이는 시간은 약 40분 동안 부착하는 것으로 하였다. 12주 사용 후 피부 주름의 수, 주름의 면적 및 주름의 길이를 평가하였다. 그 결과를 하기 표 5에 기재하였다.
실시예 1 | 실시예 2 | 비교예 1 | 비교예 2 | |
주름수 감소 | 45 % | 40 % | 12 % | 18 % |
주름면적 감소 | 23 % | 31 % | 11 % | 14 % |
주름길이 감소 | 34 % | 27 % | 8 % | 12 % |
<시험예 5> 피부활성 평가 - 피부 미백 효과 시험
실시예 1~2 및 비교예 1~2의 경피투여형 패치를 이용하여 피부 미백효과에 대한 관능평가를 하기와 같이 실시하였다.
대상자는 노화 증상을 가진 여성 30명(평균연령 32세)으로 하였다.
저녁에 세안 후, 이틀에 한번 시험제품 패치를 밤에 붙인 후 아침에 제거하였다. 붙이는 시간은 약 40분 동안 부착하는 것으로 하였다. 12주 사용 후 홍반수치, 보습도 및 미백효과로서 멜라닌 색소 증감을 평가하였다. 측정 전 얼굴을 완전히 세안한 후 1시간 뒤에 피부의 홍반, 보습, 미백 정도를 CK사의 멕사미터와 코니어미터를 사용하여 측정하고 결과 수치에 기초하여 피부의 홍반수치, 보습도 및 멜라닌 색소 증감을 정도를 계산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6에 기재하였다.
실시예 1 | 실시예 2 | 비교예 1 | 비교예 2 | |
홍반 증감 | - 10% | - 20% | - 5% | - 5% |
멜라닌색소 증감 | - 10% | - 15% | - 10% | - 5% |
보습 증감 | 15 % | 12 % | 2 % | 2 % |
<시험예 6> 피부활성 평가 설문조사
실시예 1~4 및 비교예 1~4의 경피투여형 패치를 이용하여, 상기 대상자들에 대하여 피부 개선 효과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구체적으로, 피부주름 개선 효과, 보습 개선 효과, 리프팅 개선 효과 및 탄력 개선 효과에 대한 설문을 실시하여, 긍정적인 답변을 한 피검자들의 비율을 백분율로 나타내었다. 그 결과는 하기 표 7에 기재되어 있다.
실시예 1 | 실시예 2 | 실시예 3 | 실시예 4 | 비교예 1 | 비교예 2 | 비교예 3 | |
주름개선 | 36 % | 42 % | 20 % | 18 % | 18 % | 24 % | 12 % |
보습개선 | 24 % | 30 % | 42 % | 42 % | 15 % | 18 % | 24 % |
리프팅 효과 | 45 % | 45 % | 36 % | 32 % | 27 % | 27 % | 18 % |
탄력개선 | 54 % | 54 % | 27 % | 24 % | 39 % | 42 % | 24 % |
상기 시험결과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경피흡수형 화장료 패치를 사용하는 경우 피부개선에 효과가 현저함을 알 수 있다.
<시험예 7> 피부노폐물 흡수 효과 시험
실시예 1에서 제조한 시험편을 가로 1.5cm 세로 1.5cm로 제작한 후, 시험편을 11명의 피검자에 붙인 뒤 10분단위로 40분간 무게의 변화 정도를 측정하여 % 흡수량을 평가하였고, %투과도 변화를 측정하였다. 패치의 투과도 변화는 피부로부터 노폐물을 흡수함에 따라 내부의 마이크로단위의 보습작용과 함께 피부의 지용성, 수용성 성분을 흡수할 수 있는 저장층과 점착제 층간 혹은 점착제 고분자층 사이에서 상변이를 일으키게 되어 발생하데, 이는 노폐물의 흡수량과 상관되어 있다. 그 결과를 하기 표 8에 기재하였다.
시간 | 0분 | 10분 | 20분 | 30분 | 40분 |
% 흡수량 | 0 | 3 | 7 | 11 | 17 |
% 투과도 | 54 | 52 | 43 | 23 | 5 |
피부에 유용한 화장료 성분을 함유하는 본 발명에 의한 보습성능을 가지는 경피투여형 화장료 패치(patch)는 사용이 간편하고 피부 개선 효과가 우수하다.
Claims (26)
- 지지체층; 피부 활성성분 및 점착제를 함유하는 점착층; 및 이형층을 포함하는 경피 투여형 화장료 패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체층 및 이형층은 불투습성의 고분자 필름의 재질을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패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체층은 폴리에스터계 필름, 폴리우레탄 필름, 폴리올레핀, 폴리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알루미늄 필름, 폴리비닐알코올 필름, 폴리스티렌 필름, 상기필름에 2층이상 적층된 필름 및 블렌딩된 필름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패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체층의 두께는 약 10~2000㎛임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패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점착층을 형성하는 점착제는 아크릴계 점착제, 실리콘계 점착제 및 고무계 점착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패치.
-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아크릴계 점착제는 부틸아크릴레이트 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를 60 중량%이상으로 포함하고 메타크릴 아마이드 메타크릴 아크릴아마이드를 40% 미만으로 포함하는 수분산형 중합에 의해 이루어진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패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점착층은 친수성 점착제로 된 층 및 소수성 점착제로 된 층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패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점착층에 포함된 상기 피부 활성 성분은 주름방지제(antiwrinkle agent), 라디칼 포착제(radical scavenger), 슬리밍제(slimming agent), 미백제(whitening agent), 항 여드름제(antiacne agent), 보습제(moisturizer), 지루방지제(antiseborrhoeic agent), 노화방지제(antiaging agent), 각질분해제(keratolytic agent), 항균제(antibacterial gent), 항진균제(antifungal gent), 제한제(antiperspirant), 상처치료제(cicatrizing agent), 탈취제(deodorant), 면역조절제(immunoregulator), 혈관보호제(vascular protector) 및 고분자 전해질(polyelectrolyte)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임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패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점착층에 포함된 상기 피부 활성 성분은 토코페롤(tocopherol), 토코페롤 아세테이트(tocopherol acetate), 아스코르빌 팔미테이 트(ascorbyl palmitate), 아스코르빌 에틸 에테르(ascobyl ethyl ether), 비타민 A(vitamin A), 레티노이드(retinoid), 레티닐 팔미테이트(retinyl palmitate), 비타민 F(vitamin F), 비타민 D(vitamin D), 비타민 D2(vitamin D2), 비타민 D3(vitamin D3), AHA, 살리실산(salicylic acid), 감초 추출물(extract of licorice), 로즈마리(rosemary), 아데노신(adenosin), 비타민 B(vitamin B), EGCG, 카테킨(catechin), 콜라겐(collagen) 및 조효소 Q10(coenzyme Q10)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임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패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점착층은 안정화제, 담체(carrier), 비히클(vehicle) 피부흡수 증진제 및 피부부작용 완화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더 함유함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패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점착층은 보습성분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패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점착층 위에 보습성분층이 더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패치.
-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보습성분층은 보습성분과 용매를 혼합한 페이스트를 도포하여 이루어진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패치.
-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보습성분층은 점착제와 보습성분을 포함하는 제 2 점착층임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패치.
- 제 11항 내지 제 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오일류, 에몰리언트(emollient), 폴리올(polyol), 히아루론산,, 아미노산, PCA, 요소, 젖산염, 글루코사민, 구연산염, 당, 펩티드, 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디프로필렌글리콜, 글리세린, 디글리세린, 폴리글리세린 및 1,3-부틸렌글리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임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패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점착층 내에는 마이크로 단위 내지 밀리미터 단위 정도의 저장공간이 존재함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패치.
-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공간은 피부 활성 성분을 저장하고 지용성, 수용성의 피부 배출물을 흡수할 수 있는 물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패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점착층의 공기접촉 면적은 점착층 전체 면적의 5%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패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형층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 폴레올레핀폴리프로필렌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패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형층의 두께는 약 10~2000㎛임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패치.
- (a) 점착성 고분자 수지를 제조하는 단계;(b)상기 점착성 고분자 수지에 피부 활성 성분을 혼합하고 교반 및 건조하여 현탁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c) 상기 현탁 혼합물을 지지체층에 코팅하여 점착층을 형성는 단계; 및(d) 상기 점착층 위에 이형층을 배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지지체층; 피부 활성성분 및 점착제를 함유하는 점착층; 및 이형층을 포함하는 경피 투여형 화장료 패치의 제조방법.
- 제 21항에 있어서, 상기 (c)단계에서, 상기 현탁 혼합물을 먼저 이형층에 코팅하여 점착층을 형성하고 이를 지지체층과 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방법.
- 제 21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에서 제조된 점착성 고분자 수지의 점도는 10~10000cPs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방법.
-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에서 제조된 현탁 혼합물의 pH는 6~8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방법.
- 제 21항에 있어서, 상기 (c)단계에서 상기 점착층 위에, 보습성분과 용매를 혼합한 페이스트를 도포하여 보습성분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방법.
- 제 21항에 있어서, 상기 (c)단계에서 상기 점착층 위에, 점착제와 보습성분을 포함하는 제 2 점착층을 더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60076226A KR20080014461A (ko) | 2006-08-11 | 2006-08-11 | 경피투여형 화장료 패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60076226A KR20080014461A (ko) | 2006-08-11 | 2006-08-11 | 경피투여형 화장료 패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80014461A true KR20080014461A (ko) | 2008-02-14 |
Family
ID=393417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60076226A KR20080014461A (ko) | 2006-08-11 | 2006-08-11 | 경피투여형 화장료 패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80014461A (ko) |
Cited By (1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507301B1 (ko) * | 2011-10-28 | 2015-04-01 | 주식회사 제닉 | 점착성 하이드로겔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점착성 하이드로겔 시트의 제조방법 |
KR20160036274A (ko) * | 2014-09-25 | 2016-04-04 | 주식회사 엘지화학 | 미용용 점착 패치 |
KR20160114062A (ko) * | 2014-01-27 | 2016-10-04 | 코스메드 파마소티컬 씨오 쩜 엘티디 | 컨실러 패치 및 그 제조 방법, 피부의 미백 케어 화장 방법 및 피부의 여드름 케어 화장 방법 |
CN108371392A (zh) * | 2017-01-31 | 2018-08-07 | 株式会社三养社 | 用于皮肤提升或增强皮肤弹性的粘合弹性带 |
TWI655943B (zh) * | 2017-11-22 | 2019-04-11 | 台鉅生技股份有限公司 | 水性痤瘡隔離組成物、透明痤瘡隔離膜及其形成方法 |
KR20190081589A (ko) * | 2017-12-29 | 2019-07-09 | 고인호 | 알루미늄 호일이 합지된 하이드로겔 코팅 마스크팩용 부직포의 제조 방법 |
US10537498B2 (en) | 2015-10-22 | 2020-01-21 | The Procter & Gamble Company | Barrier patch of a foamed film and methods of improving skin appearance |
KR20200020114A (ko) * | 2018-08-16 | 2020-02-26 | 고세윤 | 체온감응형 점착시트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점착시트. |
US10576023B2 (en) | 2015-10-22 | 2020-03-03 | The Procter & Gamble Company | Barrier patch of a foamed film and methods of improving skin appearance |
KR20200050665A (ko) * | 2018-11-02 | 2020-05-12 | (주)아모레퍼시픽 | 마스크 겔 조성물, 이를 포함한 마스크 팩 시트 및 그 제조방법 |
US10751265B2 (en) | 2017-01-09 | 2020-08-25 | The Procter & Gamble | Barrier patch with soluble film and methods of improving skin appearance |
US10751266B2 (en) | 2018-03-19 | 2020-08-25 | The Procter & Gamble Company | Method of making a barrier patch with soluble film |
US10799431B2 (en) | 2017-01-09 | 2020-10-13 | The Procter & Gamble Company | Barrier patch with soluble film and methods of improving skin appearance |
US10857076B2 (en) | 2017-01-09 | 2020-12-08 | The Procter & Gamble Company | Barrier patch with soluble film and methods of improving skin appearance |
US10897978B2 (en) | 2014-10-21 | 2021-01-26 | The Procter & Gamble Company | Method of improving skin appearance |
US10959918B2 (en) | 2017-06-22 | 2021-03-30 | The Procter & Gamble Company | Films including a water-soluble layer and a vapor-deposited coating |
KR102330354B1 (ko) * | 2021-03-10 | 2021-11-23 | 정홍우 | 히알루론산 밴드 |
US11266344B2 (en) * | 2016-09-21 | 2022-03-08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Method for measuring skin condition and electronic device therefor |
WO2023075439A1 (ko) * | 2021-11-01 | 2023-05-04 | 바이오센서연구소 주식회사 | 피부 부착용 패치 및 피부 부착용 패치의 제조방법 |
-
2006
- 2006-08-11 KR KR1020060076226A patent/KR20080014461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Cited By (2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507301B1 (ko) * | 2011-10-28 | 2015-04-01 | 주식회사 제닉 | 점착성 하이드로겔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점착성 하이드로겔 시트의 제조방법 |
KR20160114062A (ko) * | 2014-01-27 | 2016-10-04 | 코스메드 파마소티컬 씨오 쩜 엘티디 | 컨실러 패치 및 그 제조 방법, 피부의 미백 케어 화장 방법 및 피부의 여드름 케어 화장 방법 |
KR20160036274A (ko) * | 2014-09-25 | 2016-04-04 | 주식회사 엘지화학 | 미용용 점착 패치 |
US10897978B2 (en) | 2014-10-21 | 2021-01-26 | The Procter & Gamble Company | Method of improving skin appearance |
US10537499B2 (en) | 2015-10-22 | 2020-01-21 | The Procter & Gamble Company | Barrier patch of a foamed film and methods of improving skin appearance |
US10576023B2 (en) | 2015-10-22 | 2020-03-03 | The Procter & Gamble Company | Barrier patch of a foamed film and methods of improving skin appearance |
US10537498B2 (en) | 2015-10-22 | 2020-01-21 | The Procter & Gamble Company | Barrier patch of a foamed film and methods of improving skin appearance |
US11266344B2 (en) * | 2016-09-21 | 2022-03-08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Method for measuring skin condition and electronic device therefor |
US10806681B2 (en) | 2017-01-09 | 2020-10-20 | The Procter & Gamble Company | Barrier patch with soluble film and methods of improving skin appearance |
US10799431B2 (en) | 2017-01-09 | 2020-10-13 | The Procter & Gamble Company | Barrier patch with soluble film and methods of improving skin appearance |
US10857076B2 (en) | 2017-01-09 | 2020-12-08 | The Procter & Gamble Company | Barrier patch with soluble film and methods of improving skin appearance |
US10751265B2 (en) | 2017-01-09 | 2020-08-25 | The Procter & Gamble | Barrier patch with soluble film and methods of improving skin appearance |
CN108371392A (zh) * | 2017-01-31 | 2018-08-07 | 株式会社三养社 | 用于皮肤提升或增强皮肤弹性的粘合弹性带 |
US10959918B2 (en) | 2017-06-22 | 2021-03-30 | The Procter & Gamble Company | Films including a water-soluble layer and a vapor-deposited coating |
CN109806209A (zh) * | 2017-11-22 | 2019-05-28 | 台鉅生技股份有限公司 | 水性痤疮隔离组成物、透明痤疮隔离膜及其形成方法 |
TWI655943B (zh) * | 2017-11-22 | 2019-04-11 | 台鉅生技股份有限公司 | 水性痤瘡隔離組成物、透明痤瘡隔離膜及其形成方法 |
CN109806209B (zh) * | 2017-11-22 | 2022-07-05 | 台鉅生技股份有限公司 | 水性痤疮隔离组成物、透明痤疮隔离膜及其形成方法 |
KR20190081589A (ko) * | 2017-12-29 | 2019-07-09 | 고인호 | 알루미늄 호일이 합지된 하이드로겔 코팅 마스크팩용 부직포의 제조 방법 |
US10751266B2 (en) | 2018-03-19 | 2020-08-25 | The Procter & Gamble Company | Method of making a barrier patch with soluble film |
KR20200020114A (ko) * | 2018-08-16 | 2020-02-26 | 고세윤 | 체온감응형 점착시트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점착시트. |
KR20200050665A (ko) * | 2018-11-02 | 2020-05-12 | (주)아모레퍼시픽 | 마스크 겔 조성물, 이를 포함한 마스크 팩 시트 및 그 제조방법 |
KR102330354B1 (ko) * | 2021-03-10 | 2021-11-23 | 정홍우 | 히알루론산 밴드 |
WO2023075439A1 (ko) * | 2021-11-01 | 2023-05-04 | 바이오센서연구소 주식회사 | 피부 부착용 패치 및 피부 부착용 패치의 제조방법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080014461A (ko) | 경피투여형 화장료 패치 | |
US6419935B1 (en) | Cosmetic skin treatment method and cleansing treatment patch | |
AU738512B2 (en) | A prolamine-plant polar lipid composition, its method of preparation and applications thereof | |
EP2937066B1 (en) | Facial patch | |
KR20180058641A (ko) | 보습력이 우수한 하이드로겔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시트 | |
JP2017500356A (ja) | ポリカプロラクトンポリマーを含む局所用ゲル組成物、及び有益剤の局所適用を増強するための方法 | |
US20150141389A1 (en) | Topical Formulation Compositions Containing Silicone Based Excipients To Deliver Actives To A Substrate | |
JP2005519126A (ja) | 活性成分の制御されたデリバリー用パッチ | |
JP2006519263A (ja) | 皮膚への美容的、皮膚科学的、及び薬学的活性を有する成分の制御されたデリバリーのための目に付かないパッチ | |
KR20050028023A (ko) | 유화된 액체 조성물을 함유하는 마스크 조성물 | |
KR101895038B1 (ko) | 스피큘을 포함하는 용해성 필름 및 이의 용도 | |
KR20080064230A (ko) | 흡수율이 증가된 상변이 피부 미용 패치 | |
US20130224280A1 (en) | Transdermal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treating stretch marks | |
KR20150011260A (ko) | 패치 및 화장료 조성물을 포함하는 미용 키트 및 미용 방법 | |
EP2692336B1 (en) | Externally used drug kit | |
JP4953508B2 (ja) | 化粧品活性のある物質のデリバリー手段 | |
JP6147874B2 (ja) | 皮膚マスキング材 | |
US7083781B2 (en) | Film forming polymers, methods of use, and devices and applications thereof | |
CN110652658B (zh) | 使用光和葡糖胺盐酸盐处理皮肤病症的组合物和方法 | |
JP2000086494A (ja) | 皮膚の美容トリ―トメント方法と該方法のためのパッチ | |
WO2002009653A1 (en) | Adhesive cosmetic patches | |
JP5485495B2 (ja) | 貼付剤 | |
KR20100004168A (ko) | 피부 접착성과 인장 강도가 개선된 피부 미용 패치 | |
KR20190034753A (ko) | 다공성 하이드로겔 마스크팩 | |
WO2022125624A1 (en) | Highly elastic patches and masks for delivery of therapeutic agent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