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36274A - 미용용 점착 패치 - Google Patents

미용용 점착 패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36274A
KR20160036274A KR1020140128251A KR20140128251A KR20160036274A KR 20160036274 A KR20160036274 A KR 20160036274A KR 1020140128251 A KR1020140128251 A KR 1020140128251A KR 20140128251 A KR20140128251 A KR 20140128251A KR 20160036274 A KR20160036274 A KR 201600362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in layer
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cosmetic
sk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282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71839B1 (ko
Inventor
황지영
양세우
박민수
박형숙
경기열
고은지
구효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to KR10201401282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71839B1/ko
Publication of KR201600362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362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718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718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4/00Other cosmetic or toiletry articles, e.g. for hairdressers' rooms
    • A45D44/002Masks for cosmetic treatment of the face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4/00Other cosmetic or toiletry articles, e.g. for hairdressers' rooms
    • A45D44/22Face shaping devices, e.g. chin straps; Wrinkle removers, e.g. stretching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212Face mask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7Vitamin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osmetic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출원은 제 1 수지층 및 제 2 수지층을 포함하는 미용용 점착 패치에 관한 것이다. 본 출원에서는 부착과 탈착이 용이하고, 예를 들면 눈가 등과 같이 주름이 많은 장소에 부착되어도, 피부 사이의 요철을 자연스럽게 커버하여 주름을 은폐할 수 있고, 표정에 변화가 있어도 자연스러움을 유지할 수 있으며, 표정 변화 시에 잘 추종하고, 표정 변화 후 원래 상태로 돌아올 때에도 잘 복원될 수 있는 미용용 점착 패치가 제공된다.

Description

미용용 점착 패치{Cosmetic pressure sensitive adhesive patch}
본 출원은 미용용 점착 패치에 관한 것이다.
피부는 각질층, 유극층, 과립층 및 기저층을 포함하는 진피와 모낭, 모, 피지선, 한선 및 에크린선 등을 포함하는 진피 부속 기관 등을 포함한다. 피부의 생리 기능으로는 신체의 보호, 체온조절, 지각, 흡수, 분비 및 감정 전달 작용 등이 있고, 피부색은 멜라닌, 카로틴 및 헤모글로빈 등에 의하여 나타나게 된다.
피부는 나이가 들어감에 따라 여러 가지 요인에 의해 변화를 겪는다. 내적 요인으로는 신진대사를 조절하는 각종 호르몬 분비의 감소, 면역 세포의 기능과 세포들의 활성의 저하에 따른 면역 단백질 및 생체 구성 단백질들의 생합성 감소 등이 있고, 외적 요인으로는 자외선 등에 따른 자유 라디칼 및 활성 유해 산소 등으로의 노출 증가 등에 의한 피부의 주름의 증가, 탄력의 감소나 기미, 주근깨 및 검버섯의 증가 등이 있다. 피부 탄력 및 유연성의 감소, 수분량의 감소 또는 재생력의 감소 등으로 인하여 피부가 노화되고, 주름이 증가한다.
이러한 피부의 훼손이나 주름과 같은 노화 현상에 대응하기 위한 방법이 알려져 있다. 예를 들면, 지지체에 점착성분을 배치하고, 이를 피부에 부착시키는 주름 커버 제품이 알려져 있다. 통상적으로 상기에서 지지체로는 피부와 유사한 폴리우레탄 필름이나 폴리올레핀 필름 등이 사용되고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그렇지만, 이러한 제품은, 눈가 등에 주름이 많은 곳에 부착되면, 표정 변화에 따라 주름이 오히려 도드라지거나, 자연스럽게 피부의 변형을 커버하지 못하고, 표정 변화 후 근육이 원래대로 돌아왔을 때 적절하게 복원되지 않아 오히려 미용상으로 좋지 않았다.
특허문헌 1: 일본공개특허 제1998-023923 호
본 출원에서는, 부착과 탈착이 용이하고, 예를 들면, 눈가 등과 같이 주름이 많은 장소에서 부착되어도, 피부 사이의 요철을 자연스럽게 커버하여 주림을 은폐할 수 있고, 표정에 변화가 있어도 자연스러움을 유지할 수 있으며, 표정 변화 시에 잘 추종하고, 표정 번화 후 원래 상태로 돌아온 때에도 잘 복원될 수 있는 미용용 점착 패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출원은 지지체가 없는 상태에서 피부에 적용되는 미용용 점착 패치에 대한 것이다. 본 출원에서 점착 패치에 지지체가 없는 상태는, 후술하는 제 1 및 제 2 수지층 이외에 소위, 고분자 필름이나 고분자 시트 또는 부직포 등과 같이 패치의 지지체로서 역할을 할 수 있는 층은 포함하지 않는 상태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점착 패치는 제 1 수지층과 상기 제 1 수지층의 하부에 형성되어 있는 제 2 수지층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에서 제 1 수지층은, 유리전이온도가 -20℃이상일 수 있다. 상기 제 2 수지층은, 점착성 수지층이고, 유리전이온도는 -25℃이하일 수 있다.
상기 각 수지층의 유리전이온도는 예를 들면, 각 수지층의 수지를 형성하는 단량체의 유리전이온도로부터 계산되거나, 혹은 TA Instruments사의 DSC Q2000을 이용하여 -70℃ 내지 -50℃의 온도범위에서 메뉴얼에 따라 측정된 것일 수 있다.
본 출원에서는 부착과 탈착이 용이하고, 예를 들면, 눈가 등과 같이 주름이 많은 장소에 부착되어도, 피부 사이에 요철을 자연스럽게 커버하여 주름을 은폐할 수 있고, 표정에 변화가 있어도 자연스러움을 유지할 수 있으며, 표정 변화 시에 잘 추종하고, 표정 변화 후 원래 상태로 돌아온 때에도 잘 복원될 수 있는 미용용 점착 패치가 제공된다.
도 1은 종래 기술의 미용용 점착 패치를 나타낸 것이다.
도 2 및 3은 본 출원의 미용용 점착 패치의 예시적인 형태를 보여주는 것이다.
[부호의 설명]
100 : 이형필름
101 : 점착제
102 : 기재필름
103 : 보호필름
200 : 제 1 수지층
201 : 제 2 수지층
본 출원의 점착 패치가 지지체가 없는 상태에서 피부에 적용되는 것이고, 상기에서 지지체가 없는 상태의 의미는 전술한 바와 같다.
도 1은, 종래의 점착 패치의 구조를 보여주고 있다. 도 1의 점착 패치는, 이형필름(100), 점착제(101), 기재필름(102) 및 보호필름(103)을 순서대로 포함하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 상기 구조에서 기재필름은 점착 패치의 형상을 전체적으로 유지하는 지지체로서의 역할을 하는데, 피부에 적용되기 위하여 폴리우레탄 필름 등과 같이 피부와 유사한 재질의 필름을 사용하거나, 색소 등을 통해 피부와 유사한 색을 부여한 필름 등이 적용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 기재필름은 통상 상대적으로 높은 탄성을 가지기 때문에, 패치가 주름에 부착되었을 때에 주름을 자연스럽게 커버하지 못하고, 오히려 도드라지게 하거나, 표정 변화에 따른 근육의 움직임에 추종하지 못한다.
이에 대하여 본 출원의 점착 패치의 예시적은 구조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고, 제 1 수지층(200)과 그 일면에 형성된 제 2 수지층(201)을 포함하는 구조를 가지며, 상기 제 1 및 제 2 수지층 외에 지지체로서의 역할을 하는 다른 층은 포함하지 않는다. 다만, 상기에서 다른 층을 포함하지 않는다는 것은, 통상적으로 점착 제품의 지지체로서의 역할을 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진 고분자 필름이나 시트, 유리 또는 부직포 등을 포함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하며, 지지체로서의 역할을 하는 층 외에 다른 층이 본 점착 패치에 포함되는 것을 배제하는 것은 아니고, 피부에 적용되기 전의 점착 패치가 일시적이고 임시적인 지지체로서의 역할을 할 수 있는 다른 층을 포함하는 것을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이에 대하여 본 출원의 점착 패치의 예시적은 구조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고, 제 1 수지층(200)과 그 일면에 형성된 제 2 수지층(201)을 포함하는 구조를 가지며, 상기 제 1 및 제 2 수지층 외에 지지체로서의 역할을 하는 다른 층은 포함하지 않는다. 다만, 상기에서 다른 층을 포함하지 않는다는 것은, 통상적으로 점착 제품의 지지체로서의 역할을 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진 고분자 필름이나 시트, 유리 또는 부직포 등을 포함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하며, 지지체로서의 역할을 하는 층 외에 다른 층이 본 점착 패치에 포함되는 것을 배제하는 것은 아니고, 피부에 적용되기 전의 점착 패치가 일시적이고 임시적인 지지체로서의 역할을 할 수 있는 다른 층을 포함하는 것을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제 1 수지층은, 유리전이온도가 -20℃이상이고, 다른 예시에서는 -20℃ 내지 20℃, -20℃ 내지 10℃ 또는 -20℃ 내지 0℃의 범위일 수 있다. 제 1 수지층의 유리전이온도를 상기 범위로 조절하여,점착 패치의 부착과 탈착의 용이성을 확보하고, 피부에 적용 시에 외부 오염 물질, 예를 들면 먼지 등이 부착하는 것을 방지하면서도 화장품 등의 부착은 허용하여 메이크업의 효과는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범위에서 점착 패치가 피부에 부착되어 주름을 자연스럽게 커버할 수 있고, 표정 변화에 따른 근육의 움직임에도 잘 추종할 수 있다.
이러한 제 1 수지층을 형성하는 방법은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상기 제 1 수지층은, 베이스 수지 및 상기 베이스 수지를 가교시킬 수 있는 가교제를 포함하는 가교성 수지 조성물을 가교시켜서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제1 수지층은 전술한 가교제를 포함하지 않은 상태에서, 제 1 수지층을 형성하기 위한 단량체를 소정온도에서 중합시킴으로써, 형성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형성되는 제 1 수지층의 유리전이온도는, 예를 들면, 상기 베이스 수지를 구성하는 단량체를 적절하게 선택하는 방식이나, 상기 가교성 수지 조성물의 가교도를 조절하는 방식으로 조절될 수 있다.
상기 가교성 수지 조성물의 종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나, 적용 용이성 등을 고려하여 아크릴계 가교성 수지 조성물, 실리콘계 가교성 수지 조성물 또는 고무계 가교성 수지 조성물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에서 가교성 수지 조성물은, 예를 들면, 아크릴계 가교성 수지 및 상기 수지를 가교시킬 수 있는 가교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용어 아크릴계 가교성 수지는, 아크릴계 단량체를 중량기준으로 50중량% 이상 포함하는 단량체 혼합물로부터 형성되고, 가교제에 의해 가교될 수 있는 수지를 의미하고, 상기에서 아크릴계 단량체란,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또는 그 에스테르 화합물과 같은 유도체를 의미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아크릴계 단량체는 알킬 (메타)아크릴레이트, 예를 들면, 탄소수가 1 내지 14인 알킬기를 가지는 알킬 (메타)아크릴레이트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단량체로는 메틸 (메타)아크릴레이트, 에틸 (메타)아크릴레이트, n-프로필 (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프로필 (메타)아크릴레이트, n-부틸 (메타)아크릴레이트, t-부틸 (메타)아크릴레이트, sec-부틸 (메타)아크릴레이트, 펜틸(메타)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 (메타)아크릴레이트, 2-에틸부틸 (메타)아크릴레이트, n-옥틸 (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옥틸 (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보닐 (메타)아크릴레이트, 라우릴 (메타)아크릴레이트 및 테트라데실 (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이 예시될 수 있고, 상기 중 1 종 또는 2 종 이상이 가교성 수지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용어 (메타)아크릴레이트는 아크릴레이트 또는 메타크릴레이트를 의미할 수 있다.
통상 아크릴계 가교성 수지는, 전술한 알킬 (메타)아크릴레이트를 주 단량체 성분으로 하고, 상기에 가교성 관능기, 예를 들면, 히드록시기, 카복실기, 글리시딜기 또는 질소 함유기 등과 같은 극성의 관능기를 제공하는 단량체를 공중합시켜 제조한다. 이 때 유리전이온도의 조절을 위하여 상기 알킬 (메타)아크릴레이트 또는 극성 관능기를 제공하는 단량체로서 높은 유리전이온도의 구현이 가능한 단량체를 선택하거나, 혹은 상기 단량체와 별도로 높은 유리전이온도를 구현할 수 있는 단량체를 추가로 공중합시키는 방식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방식 외에 또는 상기 방식과 병행하여 조성물의 가교도를 조절하는 방식으로도 유리전이온도의 조절이 가능할 수 있다.
통상 가교성 수지 조성물은 가교제를 사용하여 가교되는데, 가교제의 사용량 및 수지 내의 가교성 관능기의 비율 조절을 통해 가교도를 높이면, 높은 유리전이온도의 구현이 가능할 수 있다. 사용될 수 있는 가교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공지의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에폭시 화합물, 아지리딘 화합물 또는 금속 킬레이트 화합물 등의 열경화성 가교제나 다관능성 아크릴레이트 등과 같은 라디칼 경화성 가교제 등이 적용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유리전이온도의 조절 방식은 다른 계열의 수지 조성물에서도 유사하게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리콘계 수지 조성물의 경우에도 주제인 베이스 수지를 구성하는 단량체의 적절한 선택을 통해 유리전이온도를 조절하거나, 베이스 수지 조성물의 가교도를 높이는 방식을 사용할 수 있다. 통상 실리콘계 수지 조성물은 소위 폴리오가노실록산으로 호칭되는 베이스 수지를 포함한다. 폴리오가노실록산을 형성하는 단량체는, 크게 4종이 있고, 이는 당업계에서 소위 M 단위로 호칭되는 실록산 단위로서, 하나의 규소 원자에 하나의 산소 원자가 결합되어 있는 단위, 소위 D 단위로 호칭되는 실록산 단위로서, 하나의 규소 원자에 두 개의 산소 원자가 결합되어 있는 단위, 소위 T 단위로 호칭되는 실록산 단위로서, 하나의 규소 원자에 세 개의 산소 원자가 결합되어 있는 단위 및 소위 Q 단위로 호칭되는 실록산 단위로서, 하나의 규소 원자에 네 개의 산소 원자가 결합되어 있는 단위이다. 상기 단위 중에서 M 단위는 통상 고분자의 말단을 구성하는 단위로 알려져 있고, D 단위는 직쇄 사슬을 형성하는 단위로 알려져 있다. 특히 T 단위와 Q 단위는 고분자에 측쇄 분지 구조를 부여하거나, 혹은 소위 케이지(cage) 구조로 호칭되는 구조를 형성하는 단위로서 그 비율이 높을수록 고분자의 엉킴이 증가하고, 따라서 유리전이온도가 증가하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실리콘계 수지 조성물의 사용 시에는 아크릴계 수지 조성물의 경우와 유사하게 단량체의 비율을 조절함으로써 유리전이온도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실리콘계 수지 조성물의 경우에도 가교도의 조절을 통한 유리전이온도의 조절이 가능하다. 실리콘 수지 조성물의 대표적인 가교 기작으로는 하이드로실릴화 반응에 의한 가교가 있다. 이 방식에서는 주제에 가교성 관능기로서 비닐기와 같은 알케닐기가 도입되고, 가교제로서 규소 원자에 결합하고 있는 수소 원자를 포함하는 소위 오가노하이드로젠폴리실록산이 사용된다. 따라서, 아크릴계 수지 조성물의 경우와 유사하게 주제의 알케닐기의 비율 및 오가노하이드로젠폴리실록산의 사용량의 조절을 통해 가교도를 조절하고, 그에 따라 유리전이온도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수지층을 형성할 수 있는 단량체의 중합 또는 가교성 수지 조성물의 가교반응을 통해 제 1 수지층을 형성하는 것 이외에, 제 1 수지층을 왁스를 포함하는 층으로 형성하여, 자체적으로 높은 유리전이온도를 구현하고 표면 택(tack)을 감소시키는 방식이 적용될 수도 있다.
제 1 수지층을 형성할 수 있는 왁스를 포함하는 층은, 공지의 왁스 성분, 예를 들면, 마이크로크리스탈린 왁스(Microcrystalline wax), 비스 왁스(Bees wax), 세틸 팔미테이트(cetyl palmitate), 글리세릴 모노스테레이트(glyceryl monostearate), 세레신 왁스(Ceresin wax) 또는 카나우바 왁스(Canauba wax) 등의 왁스 성분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제 1 수지층의 두께는, 예를 들면, 피부 부착 시에 이질감을 주지 않고, 탈착 및 부착이 용이한 수준에서 설정될 수 있다. 일례로써, 제 1 수지층의 두께는 1 내지 20㎛, 1 내지 15㎛ 또는 1 내지 10㎛의 범위 내에서 선택될 수 있다.
제 1수지층은, 미용이나 메이크업 효과 등을 확보하기 위하여 표면의 택(tack)을 조절할 수 있으며, 표면의 택(tack)을 조절하기 위하여 추가적인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추가 성분의 구체적인 종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색소, 나노섬유 또는 진주입자 등이 예시될 수 있다. 이러한 성분 중 하나 이상을 적절히 포함함으로써, 제 1 수지층의 표면 택(tack)을 감소시켜, 이질감 및 근육의 움직임에 따른 굴곡의 완화 등의 효과를 증진시키고, 경우에 따라서는 메이크업 효과 등도 확보할 수 있다.
제 2 수지층은, 점착성 수지층이다. 본 출원에서 용어 점착성 수지층은, 피부에 부착될 수 있을 정도의 접착력을 보유한 수지층을 의미할 수 있다. 제 2 수지층은, 유리전이온도가 -25℃이하이고, 다른 예시에서는 -70℃ 내지 -25℃, -60℃ 내지 -25℃ 또는 -50℃ 내지 -25℃ 범위 일 수 있다. 제 2 수지층의 유리전이온도를 상기 범위로 조절하여, 점착 패치의 부착과 탈착의 용이성을 확보할 수 있고, 점착 패치가 피부에 부착되어 주름을 자연스럽게 커버할 수 있으며, 표정 변화에 따른 근육의 움직임에도 잘 추종할 수 있다.
제 2 수지층은, 패치의 적용 시에 피부에 직접 부착되어 주름에 의한 굴곡을 커버하는 역할을 하며, 필요에 따라서는 후술하는 다양한 활성성분을 통한 주름 개선, 훼손 방지 또는 노화방지 등의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제 2 수지층은, 예를 들면, 점착제 조성물을 사용하여 형성할 수 있다. 점착제 조성물은, 가교 없이 그대로 제 2 수지층을 형성하거나, 혹은 가교되어 제 2 수지층을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제 2 수지층은 점착제 조성물을 포함하거나, 혹은 그 가교물을 포함할 수 있다. 피부에 부착될 수 있는 점착제 조성물은 다양하게 공지되어 있고, 이러한 점착제 조성물은 본 출원에서 제한 없이 사용될 수 있다. 점착제 조성물로는, 예를 들면, 폴리이소부틸렌(PIB, polyisobutylene) 계열의 점착제 조성물과 같은 폴리올레핀계 점착제 조성물,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 또는 실리콘계 점착제 조성물 등이 예시될 수 있다.
점착제 조성물의 경우도 그 유리전이온도의 조절은 상기 제 1 수지층의 경우와 유시한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즉, 점착제 조성물에 적용되는 주제인 점착 수지 자체의 유리전이온도를 단량체 성분의 조절을 통해 조절하거나, 가교성 조성물의 경우 그 가교도를 조절하는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가교성 점착제 조성물의 경우, 그 유리전이온도가 조절되는 것외에 전술한 가교성 수지 조성물의 경우와 유사한 성분과 가교 기작을 가지며, 따라서, 그 조절 방식도 유시하다.
제 2 수지층의 두께는, 예를 들면, 그 유리전이온도 등에 따라서 피부 부착 시에 주름을 잘 메워줄 수 있고, 탈부착이 용이하도록 하는 범위에서 조절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2 수지층의 두께는 10 내지 60㎛, 10 내지 50㎛ 또는 10 내지 40㎛의 범위 내에 있을 수 있다.
제 2 수지층은 피부에 직접 점착되는 부분이므로 보습, 주름 방지, 영양 성분의 공급 또는 치료 효과 등이 있는 다양한 첨가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이와 같이 제 2 수지층에 포함되어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성분은 피부활성성분으로 통칭될 수 있다.
피부활성성분으로는, 예를 들면, 주름 방지제, 라디칼 포착제, 슬리밍제, 미백제, 항 여드름제, 보습제, 지루방지제, 노화방지제, 각질분해제, 항균제, 항진균제, 제한제, 상처치료제, 탈취제, 면역조절제, 혈관보호제 또는 고분자 전해질 등이 예시될 수 있고, 토코페롤, 토코페롤 아세테이트, 아스코르빌 팔미테이트, 아스코르빌 에틸 에테르, 비타민 A, 비타민 F, 비타민 D, 비타민 D2, 비타민 D3, 살리실산, 감초 추출물, 로즈마리, 비타민 B, 카테킨, 콜라겐, 등도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주름의 예방 및 제거를 위한 피부활성성분으로서, 콜라겐 분해효소나 엘라스틴 분해효소의 활성저해 기작에 의하여 콜라겐의 합성을 촉진하여 주름을 예방 및 제거하는 것으로 알려진 레티놀, 레티날 또는 레틴산 등의 자연적으로 존재하는 레티노이드 계통의 성분 및 이를 인공적으로 변형시킨 레티놀팔미테이트, 아데노신 또는 코엔자임 Q1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출원의 제 2 수지층의 피부활성성분으로 첨가되는 보습제는 친수성이 큰 모노머, 카르복실기를 포함하는 모노머, 아미드기를 포함하는 모노머 또는 아미노기를 포함하는 모노머 등을 공중합시켜 얻어진 고분자 보습성분을 포함할 수 있으며, 고흡수성 고분자, 다가 알코올류 및 흡수성 무기물을 포함할 수도 있다.
피부활성성분은 본 출원의 제 2 수지층 내에 고르게 분산되어 사용될 수 있으며, 그 구체적인 종류 내지는 함량은 제 2 수지층 내에 분산되어 피부의 활성을 도모할 수 있을 정도의 양이면 제한이 없다. 하나의 예시에서 피부활성성분의 함량은 제 2 수지층 내에서 1 중량% 내지 30중량%의 정도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제 2 수지층 내에는, 상기와 같은 피부 활성성분 이외에, 제 1수지층에서 표면 택(tack)을 조절하기 위한, 전술한 성분, 예를 들면, 색소, 나노 섬유 또는 진주입자가 첨가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점착 패치는 다양한 방식으로 제조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적절한 이형성 표면에 제 1 수지층과 제 2 수지층을 순차적으로 형성함으로써 점착 패치를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술한 제 1 수지층 또는 제 2 수지층을 형성하는 가교성 수지 또는 점착제 조성물을 우선 코팅하고, 필요한 경우에 가교 반응을 수행한 후에 다시 제 2 수지층 또는 제 1 수지층을 형성하는 점착제 또는 가교성 수지 조성물을 코팅하는 방식으로 점착 패치를 제조할 수 있다. 상기에서 각 수지층의 형성에 가교 반응이 필요한 경우에 그 가교 반응은 어느 하나의 수지층을 형성하고, 다른 수지층을 형성하기 전에 수행되거나, 혹은 제 1 및 제 2 수지층이 모두 적층된 상태에서 수행될 수 있다.
다른 방식으로 제 1 수지층과 제 2 수지층을 각기 다른 이형성 표면에 별도로 형성한 후에 이를 라미네이트하는 방식으로도 점착 패치의 제조가 가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미용용 점착패치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에서부터 순차적으로 이형필름(100), 제 2 수지층(201), 제 1 수지층(200) 및 이형 필름(100)을 포함하는 구조를 가질 경우에 어느 하나의 이형 필름에 제 2 수지층과 제 1 수지층 또는 제 1 수지층과 제 2 수지층을 순차로 형성한 후에 이형 필름을 라미네이트하거나, 혹은 2개의 이형 필름상에 제 1 및 제 2 수지층을 각각 형성한 후에 그 이형 필름을 포함하는 제 1 및 제 2 수지층을을 서로 접합하여 점착 패치를 제조할 수도 있다.
이하, 본 출원에 따른 미용용 점착 패치의 제조에 대한 일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하나, 하기 실시예는 본 출원에 따른 일례에 불과할 뿐, 본 출원의 기술적 사상을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하기에서 언급되는 용어 중량부는, 달리 규정하지 않는한 각 성분간에 중량의 비율을 의미하는 것일 수 있다.
[측정 방법]
TA Instruments 사의 DSC Q2000을 이용하여, -70℃ 내지 ℃-50 ℃의 온도범위에서 온도를 증가시키며 heat flow를 관찰한다. 온도가 올라감에 따라 pan은 흡열을 하며, 유리전이온도는 heat flow가 변화하기 시작하는 온도와 변화가 끝나는 온도의 중간값으로 결정한다.
[실시예 1]
2-에틸헥실 아크릴레이트(EHA) 65 중량부, 메틸 아크릴레이트(MA) 25 중량부 및 아크릴산(AA) 10 중량부를 혼합 한 후, 가교제로써 에폭시계 경화제를 추가로 혼합하여 제 1수지층을 형성하기 위한 제 1 혼합액을 제조하였다. 상기 제 1 혼합액을 실리콘으로 구성된 이형성 표면을 가지는 필름에 도포한 후, 130℃의 온도에서 건조하여 이형성 표면상에 두께가 10㎛이고, 유리전이온도가 -16.4℃인 제 1 수지층을 형성하였다. 또한, 2-에틸헥실 아크릴레이트(EHA) 48 중량부, n-부틸 아크릴레이트(BA) 30 중량부, 이소보닐 아크릴레이트(IBOA) 10 중량부, 메틸 아크릴레이트(MA) 10 중량부 및 히드록시부틸 아크릴레이트(HBA) 2 중량부를 혼합한 후, 가교제로써 이소시아네이트 경화제를 추가로 혼합하여 제 2 수지층을 형성하기 위한 제 2 혼합액을 제조하였다. 상기 제 2 혼합액을 실리콘으로 구성된 이형성 표면에 도포한 후, 130℃의 온도에서 건조하여 이형성 표면상에 두께가 30㎛이고, 유리전이온도가 -40℃인 제 2 수지층을 형성하였다. 그 후, 상기 제 1 수지층 및 제 2 수지층 표면을 롤 라미네이터를 이용하여 라미네이트함으로써, 제 1 수지층 및 제 2 수지층을 포함하는 미용용 점착 패치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1에 따른 미용용 점착 패치의 총 두께는 약 40㎛이며, 근육의 움직임에 대한 미세 주름의 발생여부, 근육 이완 후 복원상태, 탈착의 용이성 및 피부에 느끼는 이질감을 평가한 것은 하기 표 1과 같다.
[실시예 2]
2-에틸헥실 아크릴레이트 60 중량부, 이소보닐 아크릴레이트 20 중량부 및 히드록시부틸 아크릴레이트(HBA) 20 중량부를 이용하여 두께가 30㎛이고, 유리전이온도가 -38℃인 제 2 수지층을 형성한 것 이외에 실시예 1과 동일한 방식으로 미용용 점착 패치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2에 따른 미용용 점착 패치의 총 두께는 약 40㎛이며, 근육의 움직임에 대한 미세 주름의 발생여부, 근육 이완 후 복원상태, 탈착의 용이성 및 피부에 느끼는 이질감을 평가한 것은 하기 표 1과 같다.
[비교예 1]
유리전이온도가 11℃인 폴리우레탄 재질을 이용하여, 10㎛ 두께로 제 1 수지층을 형성하고, 제 2 수지층의 두께를 10㎛로 한 것 이외에 실시예 1과 동일한 방식으로 미용용 점착 패치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1에 따른 미용용 점착 패치의 두께는 약 20㎛이며, 근육의 움직임에 대한 미세 주름의 발생여부, 근육 이완 후 복원상태,탈착의 용이성 및 피부에 느끼는 이질감을 평가한 것은 하기 표 1과 같다.
[비교예 2]
제 2 수지층의 두께를 30㎛로 한 것을 제외하고는 비교예 1과 동일한 방식으로 미용용 점착 패치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2에 따른 미용용 점착 패치의 두께는 약 40㎛이며, 근육의 움직임에 대한 미세 주름의 발생여부, 근육 이완 후 복원상태, 탈착의 용이성 및 피부에 느끼는 이질감을 평가한 것은 하기 표 1과 같다.
실시예 1 실시예 2 비교예 1 비교예 2
근육 움직임에 의한 미세 주름 미세주름 거의 없음 미세주름 거의 없음 미세주름이 일부 있음 미세주름이 일부 있음
근육 이완 후 복원상태 복원상태 양호함 복원상태 양호함 미세주름이 일부 있음 미세주름이 일부 있음
탈착 용이성 양호 양호 양호 양호
피부가 느끼는 이질감 거의 없음 거의 없음 거의 없음 거의 없음

Claims (12)

  1. 지지체가 없는 상태로 피부에 적용되는 미용용 점착 패치이고,
    유리전이온도가 -20℃ 이상인 제 1 수지층 ;및
    상기 제 1 수지층의 하부에 형성되어 있고, 유리전이온도가 -25℃ 이하인 점착성 제 2 수지층을 포함하는 미용용 점착 패치.
  2. 제 1항에 있어서, 제 1 수지층은, 가교성 수지 조성물의 가교물을 포함하는 미용용 점착 패치.
  3. 제 2항에 있어서, 가교성 수지 조성물은, 아크릴계 가교성 수지 조성물, 실리콘계 가교성 수지 조성물 또는 고무계 가교성 수지 조성물인 미용용 점착 패치.
  4. 제 1항에 있어서, 제 1 수지층은, 왁스를 포함하는 층인 미용용 점착 패치.
  5. 제 1항에 있어서, 제 1 수지층은 두께가 1 내지 20 ㎛의 범위 내에 있는 미용용 점착 패치.
  6. 제 1항에 있어서, 제 1 수지층은 나노 섬유, 색소 및 진주입자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미용용 점착 패치.
  7. 제 1항에 있어서, 제 2 수지층은, 점착제 조성물 또는 상기 점착제 조성물의 가교물을 포함하는 미용용 점착 패치.
  8. 제 7항에 있어서, 점착제 조성물은, 폴리올레핀계 점착제 조성물,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 및 실리콘계 점착제 조성물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인 미용용 점착 패치.
  9. 제 1항에 있어서, 제 2 수지층은 두께가 10 내지 50 ㎛의 범위 내에 있는 미용용 점착 패치.
  10. 제 1항에 있어서, 제 2 수지층은 피부활성성분을 포함하는 것인 미용용 점착 패치.
  11. 제 10항에 있어서, 피부활성성분은 주름 방지제, 라디칼 포착제, 슬리밍제, 미백제, 항 여드름제, 보습제, 지루방지제, 노화방지제, 각질분해제, 항균제, 항진균제, 제한제, 상처치료제, 탈취제, 면역조절제, 혈관보호제 및 고분자 전해질 중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미용용 점착 패치.
  12. 제 10항에 있어서, 피부활성성분은 토코페롤, 토코페롤 아세테이트, 아스코르빌 팔미테이트, 아스코르빌 에틸 에테르, 비타민 A, 비타민 F, 비타민 D, 비타민 D2, 비타민 D3, 살리실산, 감초 추출물, 로즈마리, 비타민 B, 카테킨 및 콜라겐 중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미용용 점착 패치.

KR1020140128251A 2014-09-25 2014-09-25 미용용 점착 패치 KR1018718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28251A KR101871839B1 (ko) 2014-09-25 2014-09-25 미용용 점착 패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28251A KR101871839B1 (ko) 2014-09-25 2014-09-25 미용용 점착 패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36274A true KR20160036274A (ko) 2016-04-04
KR101871839B1 KR101871839B1 (ko) 2018-06-27

Family

ID=557996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28251A KR101871839B1 (ko) 2014-09-25 2014-09-25 미용용 점착 패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7183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20114A (ko) * 2018-08-16 2020-02-26 고세윤 체온감응형 점착시트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점착시트.
WO2020214832A1 (en) * 2019-04-16 2020-10-22 Freer Anneli Protective facial patches and method of use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3923A (ja) 1996-07-12 1998-01-27 Dainippon Printing Co Ltd 隠蔽シール
JP2007143586A (ja) * 2005-11-24 2007-06-14 Yomiuri Shinbun Tokorozawa Center:Kk フェイスマスクシート及びその製造方法
KR20080014461A (ko) * 2006-08-11 2008-02-14 쓰리엠 이노베이티브 프로퍼티즈 캄파니 경피투여형 화장료 패치
JP2009536647A (ja) * 2006-05-08 2009-10-15 イーストマン ケミカル カンパニー 皮膚送達用活性剤を含む水分散性パッチ
KR20100004168A (ko) * 2008-07-03 2010-01-13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피부 접착성과 인장 강도가 개선된 피부 미용 패치
JP2014501223A (ja) * 2010-12-17 2014-01-20 ロレアル 化粧用の積層構造物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3923A (ja) 1996-07-12 1998-01-27 Dainippon Printing Co Ltd 隠蔽シール
JP2007143586A (ja) * 2005-11-24 2007-06-14 Yomiuri Shinbun Tokorozawa Center:Kk フェイスマスクシート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9536647A (ja) * 2006-05-08 2009-10-15 イーストマン ケミカル カンパニー 皮膚送達用活性剤を含む水分散性パッチ
KR20080014461A (ko) * 2006-08-11 2008-02-14 쓰리엠 이노베이티브 프로퍼티즈 캄파니 경피투여형 화장료 패치
KR20100004168A (ko) * 2008-07-03 2010-01-13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피부 접착성과 인장 강도가 개선된 피부 미용 패치
JP2014501223A (ja) * 2010-12-17 2014-01-20 ロレアル 化粧用の積層構造物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20114A (ko) * 2018-08-16 2020-02-26 고세윤 체온감응형 점착시트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점착시트.
WO2020214832A1 (en) * 2019-04-16 2020-10-22 Freer Anneli Protective facial patches and method of us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71839B1 (ko) 2018-06-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755284B2 (ja) 貼付材
EP2937066B1 (en) Facial patch
JP2011173851A (ja) 美容用貼付材
KR20080014461A (ko) 경피투여형 화장료 패치
JP3710637B2 (ja) 皮膚のコンディションを示すクレンジング用パッチ
EP3240582B1 (en) Multi-layer adhesive tape to compress and contract a scar
KR101871839B1 (ko) 미용용 점착 패치
KR20170029213A (ko) 기능성 테이프와 이의 제조방법
KR20150005074A (ko) 엠보싱 필름을 포함하는 마스크 팩
US20190298038A1 (en) Skin patch
CN106102513B (zh) 皮肤遮蔽材料
WO2011136330A1 (ja) 貼付剤とその使用
CN108567997A (zh) 一种高强度弹性隐形人造皮肤
JP5485495B2 (ja) 貼付剤
CN111479545B (zh) 粘合弹性美容带
US20220265521A1 (en) Moisturizing film cosmetic material
JP2000119129A (ja) 化粧用ゲルシート
WO2013180008A1 (ja) 皮脂吸収性貼付材、及びその製造方法
JP4927261B2 (ja) 化粧用粘着シート
JP5462458B2 (ja) 角質剥離用粘着体および美容方法
JP2002167335A (ja) 肌荒れ治療用製剤及び肌荒れ治療用貼付剤
KR20210118571A (ko) 감압 점착제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점착제, 상기 점착제를 포함하는 인조네일 및 네일용 스티커
EP4126979A1 (en) Medical pressure sensitive adhesives free of polar groups
CN112512495A (zh) 皮肤仿真膜、其制造方法及使用方法、与具有该皮肤仿真膜的化妆套盒
JP2016079409A (ja) シリコン粘着性美容シー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