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14605B1 - 층 소자용 폴리프로필렌 조성물 - Google Patents

층 소자용 폴리프로필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14605B1
KR102114605B1 KR1020187015056A KR20187015056A KR102114605B1 KR 102114605 B1 KR102114605 B1 KR 102114605B1 KR 1020187015056 A KR1020187015056 A KR 1020187015056A KR 20187015056 A KR20187015056 A KR 20187015056A KR 102114605 B1 KR102114605 B1 KR 1021146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propylene
copolymer
polypropylene
polypropylene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150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96600A (ko
Inventor
마르티나 잔드홀처
베르트 브루데르스
베르너 크룸라허
하랄트 무켄후버
미하엘라 플랑크
페레나 쉔크
클라우스 베른라이트너
Original Assignee
보레알리스 아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보레알리스 아게 filed Critical 보레알리스 아게
Publication of KR201800966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966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146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146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1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propene
    • C08L23/12Polyprop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1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characterized by their specific function
    • C08K3/013Fillers, pigments or reinforcing addit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8Oxygen-containing compounds, e.g. metal carbonyls
    • C08K3/20Oxides; Hydroxides
    • C08K3/22Oxides; Hydroxides of met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34Silicon-containing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thene
    • C08L23/08Copolymers of ethene
    • C08L23/0807Copolymers of ethene with unsaturated hydrocarbons only containing more than three carbon atoms
    • C08L23/0815Copolymers of ethene with aliphatic 1-olefi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1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propene
    • C08L23/14Copolymers of prop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16Elastomeric ethene-propene or ethene-propene-diene copolymers, e.g. EPR and EPDM rubb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1/00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1/04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adapted as photovoltaic [PV] conversion devices
    • H01L31/042PV modules or arrays of single PV cells
    • H01L31/048Encapsulation of modules
    • H01L31/0481Encapsulation of module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f the encapsulation materi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1/00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1/04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adapted as photovoltaic [PV] conversion devices
    • H01L31/042PV modules or arrays of single PV cells
    • H01L31/048Encapsulation of modules
    • H01L31/049Protective back shee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8Oxygen-containing compounds, e.g. metal carbonyls
    • C08K3/24Acids; Salt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1/00Properties
    • C08L2201/56Non-aqueous solutions or dispers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3/00Applications
    • C08L2203/20Applications use in electrical or conductive gadgets
    • C08L2203/206Applications use in electrical or conductive gadgets use in coating or encapsulating of electronic par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5/00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 C08L2205/02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containing two or more polymers of the same C08L -group
    • C08L2205/025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containing two or more polymers of the same C08L -group containing two or more polymers of the same hierarchy C08L, and differing only in parameters such as density, comonomer content, molecular weight, structur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5/00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 C08L2205/22Mixtures comprising a continuous polymer matrix in which are dispersed crosslinked particles of another polymer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7/00Properties characterising the ingredient of the composition
    • C08L2207/02Heterophasic composi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7/00Properties characterising the ingredient of the composition
    • C08L2207/04Thermoplastic elastomer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51/00Compositions of graft polymers in which the grafted component i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51/06Compositions of graft polymers in which the grafted component i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grafted on to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aliphatic hydrocarbons contain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Photovoltaic Devices (AREA)
  • Manufacture Of Macromolecular Shaped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층 소자용 중합체 조성물, 층 소자, 바람직하게는 물품, 바람직하게는 광전지 모듈의 층 소자의 하나 이상의 층을 제조하기 위한 폴리프로필렌 조성물의 용도, 상기 중합체 조성물을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층을 포함하는 층 소자, 바람직하게는 물품, 바람직하게는 광전지 모듈의 층 소자, 및 바람직하게는 광전지 모듈인 물품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층 소자용 폴리프로필렌 조성물
본 발명은 층 소자(layer element)용 중합체 조성물, 층 소자, 바람직하게는 광전지 모듈의 층 소자의 하나 이상의 층을 제조하기 위한 폴리프로필렌 조성물의 용도, 상기 중합체 조성물을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층을 포함하는 층 소자, 바람직하게는 광전지 모듈의 층 소자, 및 하나 이상의 광전지 소자 및 본 발명의 하나 이상의 층 소자를 포함하는 광전지 모듈에 관한 것이다.
태양 전지 모듈로도 알려진 광전지 모듈은 광으로부터 전기를 생산하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충분히 공지된 바와 같은 다양한 종류의 용도에 사용된다. 광전지 모듈의 유형은 다양할 수 있다. 모듈은 전형적으로 다층 구조, 즉, 상이한 기능을 갖는 몇 개의 상이한 층 소자를 가진다. 광전지 모듈의 층 소자는 층 재료 및 층 구조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최종 광전지 모듈은 단단하거나 유연할 수 있다.
단단한 광전지 모듈은, 예를 들어 단단한 보호성 전방 층 소자, 예컨대 유리 소자, 전방 캡슐화 층 소자, 광전지 소자, 후방 캡슐화 층 소자, 백시트 층 소자로도 불리며, 단단하거나 유연할 수 있는 보호성 백 층 소자; 및 임의로, 예를 들어 알루미늄 프레임을 함유할 수 있다.
유연한 모듈에 있어서, 모든 상기 요소(element)는 유연하며, 이로써 보호성 전방 층 소자는 예를 들어 폴리비닐플루오라이드 (PVF) 또는 폴리비닐리덴플루오라이드 (PVDF) 중합체로부터 제조된 불소화 층일 수 있고, 백시트 층 소자는 전형적으로 중합체 층 소자이다.
상기 예시한 층 소자는 단층 또는 다층 소자일 수 있다. 또한, 소자의 층 사이 또는 상이한 층 소자 사이에는, 접착제 층이 있을 수 있다.
백시트 층 소자는 착색된 층을 함유할 수 있다. 백시트 층 소자는 전형적으로 절연 소자로서 기능한다. 그러나, 광전지 모듈의 유형에 따라, 또한 전도성 백시트 층 소자를 갖는 광전지 모듈이 존재한다.
모든 상기 용어는 당업계에서 충분히 공지된 의미를 가진다.
상업적으로 입수 가능한 종래 기술의 백시트 층은 전형적으로, 예를 들어 불소화 중합체, 예컨대 PVF 또는 PVDF, 폴리아미드 또는 폴리에스테르의 층을 함유하는 다층 구조이다. 이들 방안은 비용이 많이 들고, 이들의 대부분이 또한 제한된 절연 저항을 가지며, 쉽게 가수분해되고, 오히려 높은 수증기 투과율을 제공한다. 상기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서, 전형적으로 층 사이에 접착제 층이 또한 제공되는 다층 구조를 갖는 소자가 필요하다. 다층 구조는 제조 방법을 복잡하게 하고, 또한 사용시 박리에 대한 위험을 발생시킨다.
EP 2277694 는 보호성 층이 폴리프로필렌 성분의 유연한 블렌드를 포함하는, 다층 소자인 백시트 소자를 포함하는 광전지 모듈을 기재하고 있다. 실시예에서의 폴리프로필렌 성분은 LyondellBasell 의 상업용 Hifax CA 10 A 및 Hifax CA 60 이며, 이것은 제조사의 공개 데이터 시트에 따르면, 용융 온도 142 ℃ 및 각각 60 ℃ 및 56 ℃ 의 비카트(vicat) 연화 온도 (A50 (50 ℃/h 10 N)) 를 가진다.
성장하는 및 더욱 발전하는 층 소자에서, 예를 들어 포장 필름 또는 광전지 모듈 산업에 대해 요구되는 다양한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해서, 상이한 유형의 층 소자에 대한 새로운 중합체 조성물이 지속적으로 요구된다. 예를 들어, 광전지 모듈의 기술은 여전히 상당히 발전하고 있으며, 광전지 모듈 분야에서의 다양한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해서, 층 재료에 대한 상이한 방안이 지속적으로 요구된다.
도 1 은 본 발명의 광전지 모듈의 일례를 개략적으로 설명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하기에서 또는 청구범위에서 정의하는 바와 같은 폴리프로필렌 조성물의 총량 (100 wt%) 에 대해서, 하기를 포함하는 층 소자용 폴리프로필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 90 ℃ 이상의 비카트 연화 온도 (비카트 A) (ASTM D 1525, 방법 A, 50 ℃/h, 10 N 에 따름) 를 가지며,
폴리프로필렌 매트릭스 성분 (a1) 및
상기 폴리프로필렌 매트릭스 (a1) 내에 분산되는 엘라스토머성 프로필렌 공중합체 성분 (a2)
를 포함하는 프로필렌의 헤테로상 공중합체 (A) 0 내지 60 wt%,
- 90 ℃ 이상의 비카트 연화 온도 (비카트 A) (ASTM D 1525, 방법 A, 50 ℃/h, 10 N 에 따름) 를 가지며,
폴리프로필렌 매트릭스 성분 (b1) 및
상기 폴리프로필렌 매트릭스 (b1) 내에 분산되는 엘라스토머성 프로필렌 공중합체 성분 (b2)
를 포함하는, 프로필렌의 헤테로상 공중합체 (A) 와 상이한 프로필렌의 헤테로상 공중합체 (B) 10 내지 85 wt%,
- 10 내지 45 wt% 의 무기 충전제,
- 임의로 각각 0 내지 30 wt% 의 플라스토머 또는 접착성 중합체 중 하나 또는 둘 모두, 및
- 0.3 내지 5 wt% 의 무기 충전제 이외의 첨가제.
"프로필렌의 헤테로상 공중합체 (A) 및 (B) 각각" 은 또한 본원에서 "PP 공중합체 (A) 및 (B) 각각" 으로서 지칭된다. "폴리프로필렌 매트릭스 성분 (a1) 및 (b1) 각각" 은 또한 본원에서 "매트릭스 성분 (a1) 및 (b1) 각각" 으로서 지칭된다. "엘라스토머성 프로필렌 공중합체 성분 (a2) 및 (b2) 각각" 은 또한 본원에서 "엘라스토머 성분 (a2) 및 (b2) 각각" 으로서 지칭된다.
프로필렌의 헤테로상 공중합체 (B) 는 프로필렌의 헤테로상 공중합체 (A) 와 상이하다.
일반적으로, "프로필렌의 헤테로상 공중합체" (본원에서 PP 공중합체 (A) 및 (B) 각각에 대하여 사용됨) 는 프로필렌 단일중합체 또는 프로필렌 랜덤 공중합체 매트릭스 성분 (1) 및 프로필렌과 에틸렌 및/또는 C4-C8 알파 올레핀 공단량체 중 하나 이상과의 엘라스토머성 공중합체 성분 (2) 를 포함하는 프로필렌 공중합체이며, 상기 엘라스토머성 (비정질) 공중합체 성분 (2) 는 상기 프로필렌 단일중합체 또는 랜덤 공중합체 매트릭스 중합체 (1) 내에 (미세하게) 분산된다.
충분히 공지된 바와 같이, "공단량체" 는 공중합 가능한 공단량체 단위를 나타낸다.
놀랍게도, 본 발명의 조성물은, 본 발명의 조성물이 층 소자, 바람직하게는 다층 소자의 층에 대해 매우 적합하게 하는 기계적 및 장기 안정성 특성의 우수한 조합을 제공한다. 또한, 수증기 투과율 및 전기적 특성은, 본 발명의 조성물이 광전지 모듈의 층 소자의 하나 이상의 층에 대해 고도로 실현 가능한 중합체 재료가 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또한 임의의 순서로 및 임의의 조합으로, 하기의 특성 중 하나, 그 이상 또는 모두에 기여한다:
- 예를 들어 인장 모듈러스로서 표현되는 충분한 강성.
- 예를 들어 열 사이클링 시험 (TCT 시험) 으로서 표현되는 충분한 연성 및 균열 내성.
- 다층 소자의 층 사이의 양호한 층간 접착력. 바람직하게는 재료의 파손은 23 ℃ 에서 > 50 N/㎝ 인장력이며, 3 층 소자의 층을 분리하려고 할 때, 각 층이 중합체 조성물을 포함할 때, 하기의 결정 방법에서 기술하는 바와 같은 방법에 따라서 측정할 때, 바람직하게는 층 분리가 전혀 없다.
- 2 개의 상이한 (다)층 소자 사이의, 예컨대 후방 캡슐화 층 소자와 백시트 층 소자 사이의 양호한 접착력.
- First EVA 로부터의 EVA Type F806 을 사용할 때, 하기의 결정 방법에서 기술하는 바와 같은 방법에 따라서 측정할 때, EVA 에 대한 PP 의 양호한 접착력, 바람직하게는 EVA 접착력은 23 ℃ 에서 > 30 N/㎝ 이다.
- UV 방사선 및 열 분해에 대한 장기 안정화.
- 가수분해적 분해에 대한 장기 안정화.
- 낮은 수증기 전이.
- 통상적인 결정 방법을 사용할 때, 각 층이 본 발명의 중합체 조성물을 포함할 때, 3 층 소자의 300 ㎛ 의 두께에서 시스템 전압은 바람직하게는 > 1000 V AC 이다.
- 높은 태양 반사율.
바람직한 구현예에 있어서, 폴리프로필렌 조성물은 하기에서 선택된다:
1) 폴리프로필렌 조성물의 총량 (100 wt%) 에 대해서, 하기를 포함하는 폴리프로필렌 조성물 (CA):
- 하기의 결정 방법에서 기술하는 바와 같이 측정하는 경우, 145 ℃ 이상의 용융 온도 (Tm) (DSC), 및 90 ℃ 이상의 비카트 연화 온도 (비카트 A) (ASTM D 1525, 방법 A, 50 ℃/h, 10 N 에 따름) 를 가지며,
폴리프로필렌 매트릭스 성분 (a1) 및
상기 폴리프로필렌 매트릭스 (a1) 내에 분산되는 엘라스토머성 프로필렌 공중합체 성분 (a2)
를 포함하는 프로필렌의 헤테로상 공중합체 (A) 5 내지 50 wt%, 및
- 하기의 결정 방법에서 기술하는 바와 같이 측정하는 경우, 145 ℃ 이상의 용융 온도 (Tm) (DSC), 및 90 ℃ 이상의 비카트 연화 온도 (비카트 A) (ASTM D 1525, 방법 A, 50 ℃/h, 10 N 에 따름) 를 가지며,
폴리프로필렌 매트릭스 성분 (b1) 및
상기 폴리프로필렌 매트릭스 (b1) 내에 분산되는 엘라스토머성 프로필렌 공중합체 성분 (b2)
를 포함하는 프로필렌의 헤테로상 공중합체 (B) 20 내지 60 wt%,
- 10 내지 40 wt% 의 무기 충전제,
- 0 내지 30 wt% 의 플라스토머, 및
- 0.3 내지 5 wt% 의 무기 충전제 이외의 첨가제;
여기에서, 프로필렌의 헤테로상 공중합체 (B) 의 XCS 는 프로필렌의 헤테로상 공중합체 (A) 의 XCS 보다 높다; 또는
2) 폴리프로필렌 조성물의 총량 (100 wt%) 에 대해서, 하기를 포함하는 폴리프로필렌 조성물 (CB):
- 하기의 결정 방법에서 기술하는 바와 같이 측정하는 경우, 145 ℃ 이상의 용융 온도 (Tm) (DSC), 및 90 ℃ 이상의 비카트 연화 온도 (비카트 A) (ASTM D 1525, 방법 A, 50 ℃/h, 10 N 에 따름) 를 가지며,
폴리프로필렌 매트릭스 성분 (a1) 및
상기 폴리프로필렌 매트릭스 (a1) 내에 분산되는 엘라스토머성 프로필렌 공중합체 성분 (a2)
를 포함하는 프로필렌의 헤테로상 공중합체 (A) 0 내지 60 wt%, 및
- 하기의 결정 방법에서 기술하는 바와 같이 측정하는 경우, 145 ℃ 이상의 용융 온도 (Tm) (DSC), 및 90 ℃ 이상의 비카트 연화 온도 (비카트 A) (ASTM D 1525, 방법 A, 50 ℃/h, 10 N 에 따름) 를 가지며,
폴리프로필렌 매트릭스 성분 (b1) 및
상기 폴리프로필렌 매트릭스 (b1) 내에 분산되는 엘라스토머성 프로필렌 공중합체 성분 (b2)
를 포함하는 프로필렌의 헤테로상 공중합체 (B) 15 내지 85 wt%,
- 15 내지 45 wt% 의 무기 충전제,
- 0 내지 30 wt% 의 접착성 중합체,
- 0 내지 30 wt% 의 플라스토머, 및
- 0.3 내지 5.0 wt% 의 무기 충전제 이외의 첨가제;
여기에서, 프로필렌의 헤테로상 공중합체 (A) 가 존재하는 경우, 프로필렌의 헤테로상 공중합체 (B) 의 XCS 는 프로필렌의 헤테로상 공중합체 (A) 의 XCS 보다 높다.
PP 공중합체 (A 또는 B 각각) 의 XCS 분획은, 매트릭스 성분에서의 XCS 분획의 양이 통상적으로 현저히 적기 때문에, 본원에서 엘라스토머 성분 (a2 또는 b2 각각) 으로서 간주된다. 예를 들어, 매트릭스 성분 (a1 또는 b1 각각) 이 프로필렌의 단일중합체인 경우, 프로필렌 (A 또는 B 각각) 의 헤테로상 공중합체의 자일렌 저온 가용성 (XCS) 분획 (비정질 분획) 의 양 (wt%) 은 또한 본 명세서에서, PP 공중합체 (A 또는 B 각각) 에 존재하는 엘라스토머성 프로필렌 공중합체 성분 (a2 또는 b2 각각) 의 양으로서 이해된다.
특성 균형은 본 발명의 조성물을 필름 층에 대해, 특히 다층 소자의 필름 층에 대해 매우 실현 가능하게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또한 층 소자, 바람직하게는 다층 소자의 하나 이상의 층을 제조하기 위한, 본 발명의 폴리프로필렌 조성물의 용도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층 소자를 제공하며, 상기 층 소자는 중합체 조성물을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층을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층 소자는 단층 소자 또는 다층 소자일 수 있다. 층 소자가 단층 소자인 경우, "하나 이상의" 층은 본 발명의 조성물을 포함하며, 바람직하게는 이것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본 발명의 단층 또는 다층 소자는, 상이한 기능을 갖는 추가의 단층 및/또는 다층 소자를 포함하며, 원하는 층상 다중-소자 구조 내에 배열되는 광전지 모듈과 같은 조립체의 일부일 수 있으며, 상기 추가의 단층 및/또는 다층 소자 중 하나 이상은 또한 본 발명의 중합체 조성물의 하나 이상의 층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층 소자를 포함하는 물품을 제공하며, 상기 층 소자는 본 발명의 중합체 조성물을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층을 포함한다. 바람직한 물품은 상기에서, 하기에서 또는 청구범위에서 기술하는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층 소자를 포함하는 광전지 모듈이다.
본 발명의 층 소자는 바람직하게는 중합체 조성물을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층을 포함하는, 광전지 모듈의 층 소자, 바람직하게는 광전지 모듈의 다층 소자이다.
바람직하게는, 층 소자는 다층 소자, 바람직하게는 광전지 모듈의 다층 소자이며, 상기 다층 소자는 본 발명의 중합체 조성물을 포함하는, 바람직하게는 이것으로 이루어지는 하나 이상의 층을 포함한다.
층 소자의 "하나 이상의 층" 의 표현은, 다층 소자의 경우, 상기 소자가 2 개 이상의 층을 포함할 수 있으며, 하나 이상의 층이 본 발명의 중합체 조성물을 포함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다층 소자의 다른 층은 상이한 층 재료를 포함할 수 있거나, 또는 본 발명의 중합체 조성물을 포함할 수 있다.
본원에서, 정의 "본 발명의 중합체 조성물을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층을 포함하는 본 발명의 층 소자" 및 "본 발명의 중합체 조성물을 포함하는 본 발명의 층 소자의 하나 이상의 층" 은, 본원에서 본 발명의 층 및/또는 층 소자를 지칭하기 위해서 상호 교환적으로 사용된다.
하나의 구현예에 있어서, 층 소자의 하나 이상의 층은 상기에서, 하기에서 또는 청구범위에서 정의하는 바와 같은 폴리프로필렌 조성물 (CA) 를 포함한다.
대안적인 구현예에 있어서, 층 소자의 하나 이상의 층은 상기에서, 하기에서 또는 청구범위에서 정의하는 바와 같은 폴리프로필렌 조성물 (CB) 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층 소자는, 상이한 기능을 갖는 몇 개의 (다)층 소자를 포함하며, 원하는 층상 다중-소자 구조 내에 배열되는 광전지 모듈과 같은 조립체의 일부일 수 있으며, 상기 (다)층 소자 중 하나, 뿐만 아니라, 2 개 이상은 본 발명의 중합체 조성물의 하나 이상의 층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2 개 이상의 (다)층 소자를 갖는 조립체의 경우, 본 발명의 중합체 조성물의 층은 (다)층 소자 중 하나 이상에 존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하나 이상의 광전지 소자, 및 상기 본 발명의 폴리프로필렌 조성물을 포함하는, 바람직하게는 이것으로 이루어지는 하나 이상의 층을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층 소자를 포함하는 광전지 모듈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광전지 모듈은 소정의 순서로, 보호성 전방 층 소자, 예컨대 유리 소자, 전방 캡슐화 층 소자, 광전지 소자, 후방 캡슐화 층 소자, 본원에서 백시트 층 소자로도 불리는 보호성 백 층 소자를 포함하며, 상기 전방 캡슐화 층 소자, 후방 캡슐화 층 소자 또는 백시트 층 소자 중 적어도 하나 이상, 또는 전부,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상기 백시트 층 소자는 본 발명의 중합체 조성물을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층을 포함하는 본 발명의 층 소자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PV 모듈은 제 1 층 / 제 2 층 / 제 3 층 - 소자를 포함하는 백시트 다층 소자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층 및 제 3 층은 상기에서, 하기에서 또는 청구범위에서 정의하는 바와 같은 폴리프로필렌 조성물 (CB) 를 포함하거나, 바람직하게는 이것으로 이루어지며; 제 2 층은 상기에서, 하기에서 또는 청구범위에서 정의하는 바와 같은 폴리프로필렌 조성물 (CA) 를 포함하거나, 바람직하게는 이것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층 소자의 전체 두께는 단지 예로서, 즉, 비제한적으로, 전형적으로는 700 ㎛ 이하, 예컨대 90 내지 700 ㎛, 적합하게는 140 내지 500 ㎛, 예컨대 240 내지 400 ㎛ 이다.
"광전지 소자" 는, 소자가 광전지 활성을 갖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광전지 소자는, 예를 들어 당업계에서 충분히 공지된 의미를 갖는 광전지의 소자일 수 있다. 규소 기재 재료, 예를 들어 결정질 규소는 광전지에서 사용되는 재료의 비-제한적인 예이다. 결정질 규소 재료는 당업자에게 충분히 공지된 바와 같이, 결정화도 및 결정 크기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대안적으로, 광전지 소자는 광전지 활성을 갖는 추가의 층 또는 증착물이 하나의 표면 상에 존재하는 기판 층, 예를 들어 유리 층일 수 있으며, 여기에서, 이의 한면 상에는 광전지 활성을 갖는 잉크가 인쇄되거나, 또는 이의 한면 상의 기판 층에는 광전지 활성을 갖는 재료가 증착된다. 예를 들어, 광전지 소자의 충분히 공지된 박막 용액에서, 예를 들어 광전지 활성을 갖는 잉크는, 전형적으로 유리 기판인 기판의 한면 상에 인쇄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하나 이상의 층은 또한 박막 기재 광전지 모듈의 임의의 층 소자에서의 층일 수 있다.
광전지 소자는 가장 바람직하게는 광전지의 소자이다.
"광전지" 는 본원에서 커넥터와 함께, 상기에서 설명하는 바와 같은 광전지의 층 소자를 의미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중합체 조성물은, 원하는 경우, 층상 구조를 포함하는 물품, 또는 층상 구조의 물품, 예컨대 광전지 모듈에서, 보다 간단한 층 소자를 사용할 수 있게 한다. 즉, 층 소자는 보다 적은 층 및/또는 보다 얇은 층을 가질 수 있으며, 이로써 광전지 모듈의 두께가 감소될 수 있다.
또한, 형성된 폴리프로필렌 조성물의 층, 예를 들어 적층체는 수축이 최소이거나 (150 ℃ 에서 30 min 간 시험시, 전형적으로 0.5 %), 또는 없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은 원하는 최종 용도에 따라, 다층 소자의 상이한 층의 적층 또는 공압출 공정에 대해 매우 실행 가능한 층 재료를 제공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폴리프로필렌 조성물은 또한 최종 물품, 예컨대 PV 모듈의 작업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는 최종 사용 용도에서, "인장, 접착력 및 열 사이클링 시험 (TCT), 내습 시험 (DHT), 압력 쿠커 시험 (PCT) 및/또는 상대 온도 지수 (RTI) 시험" 중 임의의 것으로 입증될 수 있는 매우 유리한 온도 및 기계적 안정성을 가진다.
알려진 바와 같이, 플루오라이드 함유 중합체 재료는 많은 최종 용도에 바람직하지 않을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폴리프로필렌 조성물은 광전지 모듈의 백시트 소자를 제조할 수 있으며, 상기 백시트 소자의 층은 폴리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 중합체 또는 폴리비닐플루오라이드 중합체의 층과 같은 플루오라이드 함유 중합체를 포함하지 않는다. 따라서,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광전지 모듈의 백시트 단층 소자의 층 또는 백시트 다층 소자의 층은 플루오라이드 함유 중합체를 포함하지 않는다.
또한, 우수한 기계적 및 열적 특성으로 인해, 본 발명의 조성물은 태양광 용도에서의 광전지 모듈과 같은 많은 최종 용도에서 다층 소자를 사용할 수 있게 하며, 상기 소자는 폴리올레핀 기재 층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폴리올레핀 중합체는, 예를 들어 에틸렌 및/또는 알파-올레핀, 전형적으로 C3- 내지 C10-알파-올레핀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단량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추가의 관능성 단위가 예를 들어 그래프트화 또는 공중합에 의해 폴리올레핀에 혼입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말레산 무수물 (MAH) 과 같은 극성 관능기는 이러한 폴리올레핀에 그래프트되어, 이의 관능성 중합체를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 본 발명의 PP 공중합체 (A) 및 (B) 각각, 광전지 모듈의 백시트 소자와 같은 단층 또는 다층 소자의 바람직한 층을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층, 및 본 발명의 물품, 바람직하게는 광전지 모듈은 보다 세부적인 사항, 바람직한 구현예, 범위 및 특성과 함께, 하기에서 및 청구범위에서 기술되고, 상기 바람직한 구현예, 범위 및 특성은 임의의 조합으로 존재할 수 있으며, 임의의 순서로 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폴리프로필렌 조성물
따라서, 바람직한 구현예에 있어서, 본 발명의 폴리프로필렌 조성물은 하기에서 선택된다:
1) 폴리프로필렌 조성물의 총량 (100 wt%) 에 대해서, 하기를 포함하는 폴리프로필렌 조성물 (CA):
- 하기의 결정 방법에서 기술하는 바와 같이 측정하는 경우, 145 ℃ 이상의 용융 온도 (Tm) (DSC), 및 90 ℃ 이상의 비카트 연화 온도 (비카트 A) (ASTM D 1525, 방법 A, 50 ℃/h, 10 N 에 따름) 를 가지며,
폴리프로필렌 매트릭스 성분 (a1) 및
상기 폴리프로필렌 매트릭스 (a1) 내에 분산되는 엘라스토머성 프로필렌 공중합체 성분 (a2)
를 포함하는 프로필렌의 헤테로상 공중합체 (A) 5 내지 50 wt%, 및
- 하기의 결정 방법에서 기술하는 바와 같이 측정하는 경우, 145 ℃ 이상의 용융 온도 (Tm) (DSC), 및 90 ℃ 이상의 비카트 연화 온도 (비카트 A) (ASTM D 1525, 방법 A, 50 ℃/h, 10 N 에 따름) 를 가지며,
폴리프로필렌 매트릭스 성분 (b1) 및
상기 폴리프로필렌 매트릭스 (b1) 내에 분산되는 엘라스토머성 프로필렌 공중합체 성분 (b2)
를 포함하는 프로필렌의 헤테로상 공중합체 (B) 20 내지 60 wt%,
- 10 내지 40 wt% 의 무기 충전제,
- 0 내지 30 wt% 의 플라스토머, 및
- 0.3 내지 5 wt% 의 무기 충전제 이외의 첨가제;
여기에서, 프로필렌의 헤테로상 공중합체 (B) 의 XCS 는 프로필렌의 헤테로상 공중합체 (A) 의 XCS 보다 높다; 또는
2) 폴리프로필렌 조성물의 총량 (100 wt%) 에 대해서, 하기를 포함하는 폴리프로필렌 조성물 (CB):
- 하기의 결정 방법에서 기술하는 바와 같이 측정하는 경우, 145 ℃ 이상의 용융 온도 (Tm) (DSC), 및 90 ℃ 이상의 비카트 연화 온도 (비카트 A) (ASTM D 1525, 방법 A, 50 ℃/h, 10 N 에 따름) 를 가지며,
폴리프로필렌 매트릭스 성분 (a1) 및
상기 폴리프로필렌 매트릭스 (a1) 내에 분산되는 엘라스토머성 프로필렌 공중합체 성분 (a2)
를 포함하는 프로필렌의 헤테로상 공중합체 (A) 0 내지 60 wt%, 및
- 하기의 결정 방법에서 기술하는 바와 같이 측정하는 경우, 145 ℃ 이상의 용융 온도 (Tm) (DSC), 및 90 ℃ 이상의 비카트 연화 온도 (비카트 A) (ASTM D 1525, 방법 A, 50 ℃/h, 10 N 에 따름) 를 가지며,
폴리프로필렌 매트릭스 성분 (b1) 및
상기 폴리프로필렌 매트릭스 (b1) 내에 분산되는 엘라스토머성 프로필렌 공중합체 성분 (b2)
를 포함하는 프로필렌의 헤테로상 공중합체 (B) 15 내지 85 wt%,
- 15 내지 45 wt% 의 무기 충전제,
- 0 내지 30 wt% 의 접착성 중합체,
- 0 내지 30 wt% 의 플라스토머, 및
- 0.3 내지 5.0 wt% 의 무기 충전제 이외의 첨가제;
여기에서, 프로필렌의 헤테로상 공중합체 (A) 가 존재하는 경우, 프로필렌의 헤테로상 공중합체 (B) 의 XCS 는 프로필렌의 헤테로상 공중합체 (A) 의 XCS 보다 높다.
본 발명의 폴리프로필렌 조성물 (CA) 또는 (CB) 는 하기의 결정 방법에서 정의하는 바와 같이 ISO 1133 (230 ℃ 에서 2.16 ㎏ 하중으로) 에 따라서 측정하는 경우, 각각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25.0 g/10 min,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20 g/10 min, 바람직하게는 3 내지 15 g/10 min, 바람직하게는 4 내지 15 g/10 min 의 MFR2 를 가진다. 폴리프로필렌 조성물 (CA) 는 보다 바람직하게는 3 내지 10 g/10 min 의 MFR2 를 가진다. 폴리프로필렌 조성물 (CB) 는 보다 바람직하게는 3 내지 15 g/10 min 의 MFR2 를 가진다.
본 발명의 폴리프로필렌 조성물 (CA) 또는 (CB) 는 하기의 결정 방법에서 정의하는 바와 같이 측정하는 경우, 각각 바람직하게는 5 내지 40 %, 바람직하게는 5 내지 35 % 의 양의 자일렌 저온 가용성 (XCS) 함량을 가진다.
폴리프로필렌 조성물 (CA) 의 XCS 는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40 %,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35 %,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30 % 이다. 폴리프로필렌 조성물 (CB) 의 XCS 는 보다 바람직하게는 5 내지 35 %, 바람직하게는 12 내지 35 % 이다.
본 발명의 폴리프로필렌 조성물 (CA) 또는 (CB) 는 하기의 결정 방법에서 기술하는 바와 같이 측정하는 경우, 각각 바람직하게는 100 내지 200 ℃, 바람직하게는 105 내지 165 ℃, 보다 바람직하게는 110 내지 165 ℃ 의 비카트 연화 온도 (비카트 A) 를 가진다. 폴리프로필렌 조성물 (CA) 의 비카트 A 는 바람직하게는 110 내지 155 ℃, 바람직하게는 110 내지 150 ℃, 바람직하게는 112 내지 150 ℃, 바람직하게는 130 내지 150 ℃ 이다. 폴리프로필렌 조성물 (CB) 의 비카트 A 는 바람직하게는 120 내지 160 ℃, 바람직하게는 120 내지 155 ℃ 이다.
본 발명의 폴리프로필렌 조성물 (CA) 또는 (CB) 는 하기의 결정 방법에서 정의하는 바와 같이 사출 성형 시험편으로부터 측정하는 경우, 각각 바람직하게는 900 MPa 이상, 바람직하게는 1000 내지 3000 MPa, 바람직하게는 1000 내지 2700 MPa 의 인장 모듈러스를 가진다. 상기 폴리프로필렌 조성물 (CA) 의 인장 모듈러스는 바람직하게는 1000 내지 2700 MPa 이다. 상기 폴리프로필렌 조성물 (CB) 의 인장 모듈러스는 바람직하게는 1000 내지 2000 MPa 이다.
본 발명의 폴리프로필렌 조성물 (CA) 또는 (CB) 는 하기의 결정 방법에서 정의하는 바와 같이 사출 성형 시험편으로부터 측정하는 경우, 각각 바람직하게는 60 % 초과, 바람직하게는 65 내지 800 %, 바람직하게는 65 내지 700 %, 바람직하게는 65 내지 600 %, 바람직하게는 65 내지 500 % 의 파단시 변형을 가진다. 상기 폴리프로필렌 조성물 (CA) 의 파단시 변형은 바람직하게는 100 내지 700 %, 바람직하게는 100 내지 600 %, 바람직하게는 100 내지 500 % 이다. 상기 폴리프로필렌 조성물 (CB) 의 파단시 변형은 바람직하게는 65 내지 500 % 이다.
본 발명의 폴리프로필렌 조성물 (CA) 또는 (CB) 는 하기의 결정 방법에서 정의하는 바와 같이 200 ㎛ 단층 캐스트 필름으로부터 기계 방향에서 측정하는 경우, 각각 바람직하게는 800 MPa 이상, 바람직하게는 850 내지 2000 MPa 의 인장 모듈러스를 가진다.
본 발명의 폴리프로필렌 조성물 (CA) 또는 (CB) 는 하기의 결정 방법에서 정의하는 바와 같이 200 ㎛ 단층 캐스트 필름으로부터 측정하는 경우, 각각 바람직하게는 620 % 이상, 바람직하게는 630 내지 1500 %, 보다 바람직하게는 650 내지 1200 % 의 파단시 변형을 가진다.
본 발명의 폴리프로필렌 조성물의 공압출된 3 층 필름은 하기의 결정 방법에서 "3-층 필름 샘플 제조를 사용한 인장, 접착력 및 열 사이클링 시험 (TCT)" 에서 정의하는 바와 같이 공압출된 3 층 필름으로부터 ISO 527 에 따라서 측정하는 경우, 바람직하게는 실온 (30 ℃) 에서 1000 MPa 이상, 바람직하게는 1200 MPa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1500 MPa 이상의 압출 (기계) 방향에서의 인장 모듈러스를 가지며, 상한은 2400 MPa 이다.
본 발명의 폴리프로필렌 조성물의 공압출된 3 층 필름은 하기의 결정 방법에서 "3-층 필름 샘플 제조를 사용한 인장, 접착력 및 열 사이클링 시험 (TCT)" 에서 정의하는 바와 같이 공압출된 3 층 필름으로부터 ISO 527 에 따라서 측정하는 경우, 바람직하게는 실온 (30 ℃) 에서 650 MPa 이상, 바람직하게는 700 MPa 이상, 바람직하게는 900 MPa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1100 MPa 이상의 이동 방향에서의 인장 모듈러스를 가지며, 상한은 2400 MPa 이다.
본 발명의 폴리프로필렌 조성물의 공압출된 3 층 필름은 하기의 결정 방법에서 "3-층 필름 샘플 제조를 사용한 인장, 접착력 및 열 사이클링 시험 (TCT)" 에서 정의하는 바와 같이 공압출된 3 층 필름으로부터 ISO 527 에 따라서 측정하는 경우, 바람직하게는 115 ℃ 에서 200 MPa 이상, 바람직하게는 300 MPa 이상, 바람직하게는 400 MPa 이상, 바람직하게는 450 MPa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550 MPa 이상의 압출 (기계) 방향에서의 인장 모듈러스를 가지며, 상한은 800 MPa 이다.
본 발명의 폴리프로필렌 조성물의 공압출된 3 층 필름은 하기의 결정 방법에서 "3-층 필름 샘플 제조를 사용한 인장, 접착력 및 열 사이클링 시험 (TCT)" 에서 정의하는 바와 같이 공압출된 3 층 필름으로부터 ISO 527 에 따라서 측정하는 경우, 바람직하게는 115 ℃ 에서 100 MPa 이상, 바람직하게는 200 MPa 이상, 바람직하게는 300 MPa 이상, 바람직하게는 350 MPa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400 MPa 이상의 횡 방향에서의 인장 모듈러스를 가지며, 상한은 800 MPa 이다.
본 발명의 폴리프로필렌 조성물 (CA) 또는 (CB) 는 하기의 결정 방법에서 정의하는 바와 같이 측정하는 경우, 각각 바람직하게는 -20 ℃ 에서 1 내지 20 kJ/㎡,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15 kJ/㎡ 의 충격 강도를 가진다.
상기 중합체 조성물의 임의적인 무기 충전제는 바람직하게는 탈크 또는 안료이다.
따라서, 하나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있어서, 본 발명의 폴리프로필렌 조성물은 하기를 포함한다:
1) 상기에서, 하기에서 또는 청구범위에서 정의하는 바와 같은, 폴리프로필렌 조성물의 총량 (100 wt%) 에 대해서, 하기를 포함하는 폴리프로필렌 조성물 (CA):
- 하기의 결정 방법에서 기술하는 바와 같이 측정하는 경우, 145 ℃ 이상의 용융 온도 (Tm) (DSC), 및 90 ℃ 이상의 비카트 연화 온도 (비카트 A) (ASTM D 1525, 방법 A, 50 ℃/h, 10 N 에 따름) 를 가지며,
폴리프로필렌 매트릭스 성분 (a1) 및
상기 폴리프로필렌 매트릭스 (a1) 내에 분산되는 엘라스토머성 프로필렌 공중합체 성분 (a2)
를 포함하는 프로필렌의 헤테로상 공중합체 (A) 5 내지 50 wt%, 및
- 하기의 결정 방법에서 기술하는 바와 같이 측정하는 경우, 145 ℃ 이상의 용융 온도 (Tm) (DSC), 및 90 ℃ 이상의 비카트 연화 온도 (비카트 A) (ASTM D 1525, 방법 A, 50 ℃/h, 10 N 에 따름) 를 가지며,
폴리프로필렌 매트릭스 성분 (b1) 및
상기 폴리프로필렌 매트릭스 (b1) 내에 분산되는 엘라스토머성 프로필렌 공중합체 성분 (b2)
를 포함하는 프로필렌의 헤테로상 공중합체 (B) 20 내지 60 wt%,
- 10 내지 40 wt% 의 무기 충전제,
- 0 내지 30 wt% 의 플라스토머, 및
- 0.3 내지 5 wt% 의 무기 충전제 이외의 첨가제;
여기에서, 프로필렌의 헤테로상 공중합체 (B) 의 XCS 는 프로필렌의 헤테로상 공중합체 (A) 의 XCS 보다 높다.
따라서, 또 다른 균등하게 바람직한 구현예에 있어서, 본 발명의 폴리프로필렌 조성물은 하기를 포함한다:
2) 상기에서, 하기에서 또는 청구범위에서 정의하는 바와 같은, 폴리프로필렌 조성물의 총량 (100 wt%) 에 대해서, 하기를 포함하는 폴리프로필렌 조성물 (CB):
- 하기의 결정 방법에서 기술하는 바와 같이 측정하는 경우, 145 ℃ 이상의 용융 온도 (Tm) (DSC), 및 90 ℃ 이상의 비카트 연화 온도 (비카트 A) (ASTM D 1525, 방법 A, 50 ℃/h, 10 N 에 따름) 를 가지며,
폴리프로필렌 매트릭스 성분 (a1) 및
상기 폴리프로필렌 매트릭스 (a1) 내에 분산되는 엘라스토머성 프로필렌 공중합체 성분 (a2)
를 포함하는 프로필렌의 헤테로상 공중합체 (A) 0 내지 60 wt%, 및
- 하기의 결정 방법에서 기술하는 바와 같이 측정하는 경우, 145 ℃ 이상의 용융 온도 (Tm) (DSC), 및 90 ℃ 이상의 비카트 연화 온도 (비카트 A) (ASTM D 1525, 방법 A, 50 ℃/h, 10 N 에 따름) 를 가지며,
폴리프로필렌 매트릭스 성분 (b1) 및
상기 폴리프로필렌 매트릭스 (b1) 내에 분산되는 엘라스토머성 프로필렌 공중합체 성분 (b2)
를 포함하는 프로필렌의 헤테로상 공중합체 (B) 15 내지 85 wt%,
- 15 내지 45 wt% 의 무기 충전제,
- 0 내지 30 wt% 의 접착성 중합체,
- 0 내지 30 wt% 의 플라스토머, 및
- 0.3 내지 5.0 wt% 의 무기 충전제 이외의 첨가제;
여기에서, 프로필렌의 헤테로상 공중합체 (A) 가 존재하는 경우, 프로필렌의 헤테로상 공중합체 (B) 의 XCS 는 프로필렌의 헤테로상 공중합체 (A) 의 XCS 보다 높다.
폴리프로필렌 조성물 (CA) 의 바람직한 하위군:
폴리프로필렌 조성물 (CA) 는 바람직하게는 폴리프로필렌 조성물의 총량 (100 wt%) 에 대해서, 하기를 포함한다:
- 5 내지 50 wt%,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40 wt%, 보다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35 wt%, 보다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33 wt% 의 프로필렌의 헤테로상 공중합체 (A),
- 25 내지 70 wt%,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70 wt%, 보다 바람직하게는 35 내지 65 wt%, 보다 바람직하게는 35 내지 45 wt% 의 프로필렌의 헤테로상 공중합체 (B),
- 10 내지 40 wt%,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35 wt%, 보다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30 wt%, 보다 바람직하게는 17 내지 30 wt% 의 무기 충전제,
- 0 내지 30 wt% 의 플라스토머, 및
- 0.3 내지 5.0 wt%,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3.0 wt% 의 첨가제,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산화방지제 및 UV-안정화제.
폴리프로필렌 조성물 (CA) 가 플라스토머를 포함하는 경우, 플라스토머의 양은 폴리프로필렌 조성물의 총량 (100 wt%) 에 대해서, 바람직하게는 3 내지 20 wt%, 보다 바람직하게는 4 내지 17 wt%, 보다 바람직하게는 4 내지 15 wt% 이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폴리프로필렌 조성물 (CA) 는 상기에서 정의하는 바와 같은 플라스토머를 포함한다. 플라스토머는 바람직하게는 에틸렌과 하나 이상의 C3 내지 C10 알파-올레핀의 공중합체이다. 플라스토머는 바람직하게는 하기의 특성 중 하나 또는 전부, 바람직하게는 전부를 가진다:
- 860 내지 910 ㎏/㎥, 바람직하게는 860 내지 900 ㎏/㎥ 의 밀도,
- 0.1 내지 50, 바람직하게는 0.2 내지 40 (190 ℃, 2.16 ㎏) 의 MFR2, 및/또는
- 알파-올레핀 공단량체는 옥텐이다.
플라스토머는 바람직하게는 메탈로센 촉매를 사용하여 제조되며, 이 용어는 선행 기술에서 충분히 공지된 의미를 가진다. 적합한 플라스토머는 상업적으로 입수 가능하며, 예를 들어 Borealis 에 의해 공급되는 상품명 QUEOTM, 또는 ExxonMobil 에 의해 공급되는 EngageTM 의 플라스토머 제품이다.
폴리프로필렌 조성물 (CA) 에서의 무기 충전제는 바람직하게는 탈크이다. 탈크는, 예를 들어 상업용 탈크 제품으로서 입수 가능하다. 임의의 담체 매질, 예를 들어 담체 중합체는 무기 충전제, 예를 들어 탈크 제품의 양으로 계산된다.
폴리프로필렌 조성물 (CB) 의 바람직한 하위군:
폴리프로필렌 조성물 (CB) 는 바람직하게는 폴리프로필렌 조성물의 총량 (100 wt%) 에 대해서, 하기를 포함한다:
- 0 내지 60 wt%, 바람직하게는 0 내지 55 wt%, 바람직하게는 0 내지 50 wt%, 보다 바람직하게는 0 내지 45 wt% 의 프로필렌의 헤테로상 공중합체 (A),
- 10 내지 60 wt%,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60 wt%, 보다 바람직하게는 18 내지 55 wt% 의 프로필렌의 헤테로상 공중합체 (B),
- 15 내지 45 wt%,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40 wt%,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40 wt%, 보다 바람직하게는 25 내지 40 wt%, 보다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40 wt% 의 무기 충전제,
- 0 내지 30 wt% 의 접착성 중합체,
- 0 내지 30 wt% 의 플라스토머, 및
- 0.3 내지 5.0 wt%,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3.0 wt% 의 첨가제,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산화방지제 및 UV-안정화제.
대안적으로, 프로필렌의 헤테로상 공중합체 (A) 가 폴리프로필렌 조성물 (CB) 에 존재하는 경우, 프로필렌의 헤테로상 공중합체 (A) 의 양은 보다 바람직하게는 3 내지 45 wt%, 바람직하게는 5 내지 40 wt%,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35 wt%, 보다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30 wt% 이다.
폴리프로필렌 조성물 (CB) 는 바람직하게는 접착성 중합체를 포함한다. 접착성 중합체의 양은 폴리프로필렌 조성물의 총량 (100 wt%) 에 대해서, 바람직하게는 3 내지 25 wt%, 보다 바람직하게는 5 내지 20 wt%, 보다 바람직하게는 4 내지 15 wt% 이다. 접착성 중합체는 바람직하게는 관능화된 폴리프로필렌 중합체, 바람직하게는 이산 또는 이산 무수물 기에 의해 그래프트된 폴리프로필렌 중합체, 바람직하게는 말레산 무수물 (MAH) 기에 의해 그래프트된 폴리프로필렌 중합체 (MAH-폴리프로필렌) 이다. 이러한 관능화된 폴리프로필렌 중합체는 충분히 공지되어 있으며, 예를 들어 상업적으로 입수 가능하다.
폴리프로필렌 조성물 (CB) 의 임의적인 플라스토머 및 임의적인 이의 양은 바람직하게는 3 내지 30 wt%, 바람직하게는 5 내지 20 wt% 이다. 폴리프로필렌 조성물 (CB) 에 대한 플라스토머의 또 다른 바람직한 특성은 폴리프로필렌 조성물 (CA) 의 문맥에서 상기 정의한 바와 같다.
폴리프로필렌 조성물 (CB) 에서의 무기 충전제는 바람직하게는 안료, 보다 바람직하게는 백색 안료이다. 백색 안료는 바람직하게는 TiO2 이다. 이러한 안료는 충분히 공지되어 있으며, 예를 들어 상업용 TiO2 및 카본 블랙 제품으로서 입수 가능하다. 임의의 담체 매질, 예를 들어 담체 중합체는 안료의 양으로 계산된다.
폴리프로필렌 조성물 (CA) 또는 폴리프로필렌 조성물 (CB) 의 프로필렌의 헤테로상 공중합체 (A) 는 바람직하게는 임의의 순서로, 바람직하게는 하기의 특성 중 하나 이상, 바람직하게는 전부를 가진다:
- ISO 1133 (230 ℃ 및 2.16 ㎏ 하중에서) 에 따라서 측정하는 경우, 0.2 내지 15.0 g/10 min,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10 g/10 min,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7.0 g/10 min 의 MFR2,
- 하기의 결정 방법에서 기술하는 바와 같이 측정하는 경우, 3 내지 30 wt%, 바람직하게는 5 내지 25 wt%, 바람직하게는 5 내지 20 wt%, 바람직하게는 8 내지 17 wt% 의 양의 자일렌 저온 가용성 (XCS) 분획,
- 하기의 결정 방법에서 기술하는 바와 같이 측정하는 경우, 0.5 내지 20 wt%,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20 wt%, 바람직하게는 1.2 내지 10 wt%, 보다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10 wt%, 보다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8 wt% 의 공단량체 함량, 바람직하게는 공단량체는 에틸렌 및/또는 C4-C8 알파 올레핀 공단량체에서, 보다 바람직하게는 에틸렌에서 선택된다,
- 하기의 결정 방법에서 기술하는 바와 같이 측정하는 경우, 158 내지 170 ℃, 바람직하게는 160 내지 170 ℃, 바람직하게는 163 내지 170 ℃, 보다 바람직하게는 163 내지 167 ℃ 의 용융 온도, Tm,
- 하기의 결정 방법에서 기술하는 바와 같이 ISO178 에 따라서 측정하는 경우, 900 MPa 이상, 바람직하게는 950 내지 3000 MPa, 바람직하게는 1000 내지 2400 MPa, 바람직하게는 1100 내지 2300 MPa, 보다 바람직하게는 1200 내지 2200 MPa 의 굴곡 모듈러스,
- 하기의 결정 방법에서 기술하는 바와 같이 측정하는 경우, 900 내지 910 ㎏/㎥ 의 밀도, 및/또는
- 100 ℃ 이상, 바람직하게는 130 내지 200 ℃, 바람직하게는 145 내지 165 ℃, 보다 바람직하게는 148 내지 165 ℃ 의 비카트 연화 온도 (비카트 A).
바람직하게는, 폴리프로필렌 조성물 (CA) 또는 폴리프로필렌 조성물 (CB) 의 프로필렌의 헤테로상 공중합체 (A) 의 폴리프로필렌 매트릭스 성분 (a1) 은 프로필렌의 단일중합체이다.
폴리프로필렌 조성물 (CA) 또는 폴리프로필렌 조성물 (CB) 의 프로필렌의 헤테로상 공중합체 (B) 는 바람직하게는 임의의 순서로, 하기의 특성 중 하나 이상, 바람직하게는 전부를 가진다:
- ISO 1133 (230 ℃ 및 2.16 ㎏ 하중에서) 에 따라서 측정하는 경우, 3.0 내지 25.0 g/10 min,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20 g/10 min, 보다 바람직하게는 7 내지 18 g/10 min 의 MFR2,
- 하기의 결정 방법에서 기술하는 바와 같이 측정하는 경우, 10 내지 60 wt%,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50 wt%,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40 wt%,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37 wt% 의 양의 자일렌 저온 가용성 (XCS) 분획,
- 하기의 결정 방법에서 기술하는 바와 같이 측정하는 경우, 5.0 내지 35 wt%,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30 wt%, 바람직하게는 7.0 내지 25 wt%,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20 wt% 의 공단량체 함량, 바람직하게는 공단량체는 에틸렌 및/또는 C4-C8 알파 올레핀 공단량체에서, 보다 바람직하게는 에틸렌에서 선택된다,
- 하기의 결정 방법에서 기술하는 바와 같이 측정하는 경우, 158 내지 170 ℃, 바람직하게는 160 내지 170 ℃, 보다 바람직하게는 163 내지 167 ℃ 의 용융 온도, Tm,
- 하기의 결정 방법에서 기술하는 바와 같이 ISO178 에 따라서 측정하는 경우, 1000 MPa 이하, 바람직하게는 300 내지 950 MPa, 바람직하게는 400 내지 900 MPa, 바람직하게는 500 내지 900 MPa, 보다 바람직하게는 550 내지 850 MPa 의 굴곡 모듈러스,
- 하기의 결정 방법에서 기술하는 바와 같이 측정하는 경우, 900 내지 910 ㎏/㎥ 의 밀도, 및/또는
- 90 ℃ 이상, 바람직하게는 100 내지 200 ℃, 바람직하게는 105 내지 150 ℃, 보다 바람직하게는 110 내지 145 ℃ 의 비카트 연화 온도 (비카트 A).
바람직하게는, 폴리프로필렌 조성물 (CA) 또는 폴리프로필렌 조성물 (CB) 의 프로필렌의 헤테로상 공중합체 (B) 의 폴리프로필렌 매트릭스 성분 (b1) 은 프로필렌의 단일중합체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조성물은 또한 바람직하게는 충전제 이외의 첨가제를 포함한다. 이러한 추가의 첨가제는 바람직하게는, 비제한적으로, 산화방지제, UV 광 안정화제, 핵제, 청정제, 광택제, 산 제거제, 및 슬립제 등을 포함하는, 필름 또는 광전지 모듈 용도에 적합한 첨가제이다. 이러한 첨가제는 일반적으로 상업적으로 입수 가능하며, 예를 들어 문헌 ["Plastic Additives Handbook", 5th edition, 2001 of Hans Zweifel] 에 기재되어 있다.
각각의 첨가제 및/또는 무기 충전제는, 예를 들어 통상적인 양으로 사용될 수 있다. 첨가제 및/또는 무기 충전제 제품의 모든 임의적인 담체 중합체, 예를 들어 담체 중합체와 함께 첨가제의 마스터 배치는 본 발명의 조성물의 양 (100 %) 에 대한 각각의 첨가제 또는 무기 충전제의 양으로 계산된다.
본원에서 "PP 공중합체" 로서 하기에서 지칭되는 프로필렌의 헤테로상 공중합체, 및 이의 중합에 대한 하기의 일반적인 설명은 폴리프로필렌 조성물 (CA) 및 폴리프로필렌 조성물 (CB) 각각의 프로필렌의 헤테로상 공중합체 (A) 및 프로필렌의 헤테로상 공중합체 (B) 에 대해 독립적으로 적용된다.
PP 공중합체의 폴리프로필렌 매트릭스 성분은 충분히 공지된 의미를 갖는 프로필렌의 단봉형 또는 다봉형 랜덤 공중합체 또는 단일중합체일 수 있다. 프로필렌의 다봉형 랜덤 공중합체 또는 단일중합체는 본원에서, 상이한, 예를 들어 하기의 특성: 1) 중량 평균 분자량 또는 2) MFR 중 하나 또는 두 개를 갖는 2 종 이상의 중합체 분획을 갖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매트릭스 성분으로서 프로필렌의 랜덤 공중합체의 경우에 있어서, 공중합체는 또한, 임의로 상기 차이점 1) 및 2)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모두와 조합하여, 3) 공단량체 함량과 관련해 다봉형일 수 있다.
PP 공중합체의 매트릭스 성분은 프로필렌의 단일중합체 또는 랜덤 공중합체일 수 있다. PP 공중합체의 매트릭스 성분은 프로필렌의 단일중합체인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PP 공중합체에 존재하는, 상기에서 정의하는 바와 같은 모든 공단량체는 엘라스토머성 프로필렌 공중합체 성분에서 유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PP 공중합체는 매트릭스 성분 및 엘라스토머 성분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PP 공중합체는 임의로, 중합체 분야에서 충분히 공지된 바와 같은 예비중합체 분획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예비중합체의 양은 매트릭스 성분의 양으로 계산된다.
PP 공중합체는 상업적으로 입수 가능한 등급일 수 있거나, 또는 예를 들어 통상적인 중합 공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프로필렌의 헤테로상 공중합체의 중합에 대해, PP 공중합체의 개개의 성분 (매트릭스 및 엘라스토머 성분) 은 별도로 제조될 수 있으며, 혼합기 또는 압출기에서 혼합함으로써 기계적으로 배합될 수 있다. 그러나, 매트릭스 성분 및 엘라스토머 성분을 포함하는 PP 공중합체는, 직렬 구성의 반응기를 사용하고, 상이한 반응 조건에서 작동하는 순차 공정으로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결과적으로, 특정한 반응기에서 제조되는 각각의 분획은, 그 자신의 분자량 분포, MFR 및/또는 공단량체 함량 분포를 가질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PP 공중합체는 바람직하게는 당업계에 공지된 순차적 중합 공정으로, 즉, 다단계 공정으로 제조되며, 여기에서, 매트릭스 성분은 적어도 하나의 슬러리 반응기에서,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슬러리 반응기에서, 및 임의로 및 바람직하게는 후속하는 기체 상 반응기에서 제조되고, 이어서 엘라스토머 성분은 적어도 하나, 즉, 하나 또는 두 개의 기체 상 반응기 (GPR) 에서, 바람직하게는 하나의 기체 상 반응기 (GPR) 에서 제조된다.
따라서, PP 공중합체는 하기의 단계를 포함하는 순차적 중합 공정으로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a) 제 1 반응기 (R1) 에서 촉매의 존재하에 프로필렌 및 임의로 하나 이상의 에틸렌 및/또는 C4 내지 C12 α-올레핀, 바람직하게는 유일한 단량체로서 프로필렌을 중합시키는 단계,
(b) 중합된 제 1 폴리프로필렌, 바람직하게는 프로필렌 단일중합체 분획의 반응 혼합물을 촉매와 함께 제 2 반응기 (R2) 로 이동시키는 단계,
(c) 제 2 반응기 (R2) 에서 및 상기 제 1 폴리프로필렌 중합체, 프로필렌 및 임의로 하나 이상의 에틸렌 및/또는 C4 내지 C12 α-올레핀, 바람직하게는 유일한 단량체로서 프로필렌의 존재하에서 중합시켜 제 2 폴리프로필렌 분획을 수득하고,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 2 폴리프로필렌 분획은 제 2 프로필렌 단일중합체이며, 이로써 상기 제 1 폴리프로필렌 분획 및 상기 제 2 폴리프로필렌 분획이 PP 공중합체의 매트릭스 성분을 형성시키는 단계,
(d) 단계 (c) 의 중합된 매트릭스 성분의 반응 혼합물을 제 3 반응기 (R3) 으로 이동시키는 단계,
(e) 제 3 반응기 (R3) 에서 및 단계 (c) 에서 수득된 매트릭스 성분, 프로필렌 및 하나 이상의 에틸렌 및/또는 C4 내지 C12 α-올레핀의 존재하에서 중합시켜 PP 공중합체의 엘라스토머 성분을 수득하고, 상기 엘라스토머성 프로필렌 공중합체 성분이 상기 매트릭스 성분 중에 분산되는 단계.
임의로, 엘라스토머 성분은 2 개의 반응기에서 제조될 수 있으며, 이로써 상기 단계 (e) 후에,
(f) 제 1 엘라스토머성 프로필렌 공중합체 분획이 분산된 폴리프로필렌 (PP) 를 제 4 반응기 (R4) 로 이동시키고,
(g) 제 4 반응기 (R4) 에서 및 단계 (e) 에서 수득된 혼합물의 존재하에서 프로필렌 및 하나 이상의 에틸렌 및/또는 C4 내지 C12 α-올레핀을 중합시켜 제 2 엘라스토머성 프로필렌 공중합체 분획을 수득하고, 이로써 폴리프로필렌 (PP), 제 1 엘라스토머성 프로필렌 공중합체 분획 및 제 2 엘라스토머성 프로필렌 공중합체 분획이 PP 공중합체를 형성시킨다.
바람직하게는, 제 2 반응기 (R2) 와 제 3 반응기 (R3) 사이에서 단량체가 배출된다.
용어 "순차적 중합 공정" 은, 프로필렌의 헤테로상 공중합체 (A) 가 적어도 2 개, 예컨대 3 개의, 직렬로 연결된 반응기에서 제조되는 것을 나타낸다. 따라서, 본 방법은 적어도 제 1 반응기 (R1) 및 제 2 반응기 (R2), 보다 바람직하게는 제 1 반응기 (R1), 제 2 반응기 (R2), 제 3 반응기 (R3) 및 임의로 제 4 반응기 (R4) 를 포함한다. 용어 "중합 반응기" 는 주요 중합 단계 중 하나를 나타내야 한다. 따라서, 공정이 4 개의 중합 반응기로 이루어지는 경우, 이 정의는 전체 공정이, 예를 들어 예비중합 반응기에서의 예비중합 단계를 포함하는 옵션을 배제하지 않는다. 용어 "이루어지는" 은, 주요 중합 반응기를 고려할 때, 단지 폐쇄 방식일 뿐이다.
임의의 예비중합체 분획은 제 1 폴리프로필렌 분획의 양으로 계수된다.
제 1 반응기 (R1) 은 바람직하게는 슬러리 반응기 (SR) 이며, 벌크 또는 슬러리에서 작동하는 임의의 연속 또는 단순 교반 배치 탱크 반응기 또는 루프 반응기일 수 있다. 벌크는, 60 % (w/w) 이상의 단량체를 포함하는 반응 매질에서의 중합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슬러리 반응기 (SR) 은 바람직하게는 (벌크) 루프 반응기 (LR) 이다.
제 2 반응기 (R2), 제 3 반응기 (R3) 및 임의적인 제 4 반응기 (R4) 는 바람직하게는 기체 상 반응기 (GPR) 이다. 이러한 기체 상 반응기 (GPR) 은 임의의 기계적으로 교반된 또는 유동층 반응기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기체 상 반응기 (GPR) 은 0.2 m/sec 이상의 기체 속도를 갖는 기계적으로 교반된 유동층 반응기를 포함한다. 따라서, 기체 상 반응기는 바람직하게는 기계적 교반기를 갖는 유동층 유형의 반응기인 것으로 생각된다.
따라서, 바람직한 구현예에 있어서, 제 1 반응기 (R1) 은 슬러리 반응기 (SR), 예컨대 루프 반응기 (LR) 인 반면, 제 2 반응기 (R2), 제 3 반응기 (R3) 및 임의적인 제 4 반응기 (R4) 는 기체 상 반응기 (GPR) 이다. 따라서, 본 공정의 경우, 직렬로 연결된 적어도 3 개, 즉, 슬러리 반응기 (SR), 예컨대 루프 반응기 (LR), 제 1 기체 상 반응기 (GPR-1), 제 2 기체 상 반응기 (GPR-2) 및 임의적인 제 3 기체 상 반응기 (GPR-3) 이 사용된다. 예비중합 단계의 경우에 있어서, 예비중합 반응기는 슬러리 반응기 (SR) 앞에 위치한다.
바람직한 다단계 공정은, 예를 들어 EP 0 887 379, WO 92/12182, WO 2004/000899, WO 2004/111095, WO 99/24478, WO 99/24479 또는 WO 00/68315 와 같은 특허 문헌에 기재된, Borealis A/S, Denmark 에 의해 개발된 것과 같은 "루프-기체 상"-공정 (BORSTAR® 기술로서 공지됨) 이다.
또 다른 적합한 슬러리-기체 상 공정은 LyondellBasell 의 Spheripol® 공정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에서 정의하는 바와 같은 PP 공중합체의 본 제조 방법에 있어서, 단계 (a) 의 제 1 반응기 (R1), 즉, 슬러리 반응기 (SR), 예컨대 루프 반응기 (LR) 에 대한 조건은 하기와 같을 수 있다:
- 온도는 50 ℃ 내지 110 ℃, 바람직하게는 60 ℃ 내지 100 ℃, 보다 바람직하게는 68 내지 95 ℃ 의 범위 내이다,
- 압력은 20 bar 내지 80 bar, 바람직하게는 40 bar 내지 70 bar 의 범위 내이다,
- 수소는 자체 공지의 방식으로 몰 질량을 조절하기 위해 첨가될 수 있다.
이어서, 단계 (a) 로부터의 반응 혼합물을 제 2 반응기 (R2), 즉, 기체 상 반응기 (GPR-1) 로, 즉, 단계 (c) 로 이동시키며, 이로써 단계 (c) 에서의 조건은 바람직하게는 하기와 같다:
- 온도는 50 ℃ 내지 130 ℃, 바람직하게는 60 ℃ 내지 100 ℃ 의 범위 내이다,
- 압력은 5 bar 내지 50 bar, 바람직하게는 15 bar 내지 35 bar 의 범위 내이다,
- 수소는 자체 공지의 방식으로 몰 질량을 조절하기 위해 첨가될 수 있다.
제 2 기체 상 반응기 (GPR-2) 에서의 및 임의적인 제 3 기체 상 반응기 (GPR-3) 에서의 조건은 제 2 반응기 (R2) (= 제 1 기체 상 반응기 (GPR-1)) 와 유사하다.
체류 시간은 3 개의 반응기 구역에서 다를 수 있다.
PP 공중합체의 매트릭스 성분의 제조 방법의 하나의 구현예에 있어서, 벌크 반응기, 예를 들어 루프에서의 체류 시간은 0.1 내지 2.5 시간, 예를 들어 0.15 내지 1.5 시간의 범위이고, 기체 상 반응기에서의 체류 시간은 일반적으로 0.2 내지 6.0 시간, 예컨대 0.5 내지 4.0 시간일 것이다.
원하는 경우, 중합은 제 1 반응기 (R1) 에서, 즉, 슬러리 반응기 (SR) 에서, 예컨대 루프 반응기 (LR) 에서 초임계 조건하에 공지의 방식으로, 및/또는 기체 상 반응기 (GPR) 에서 축합 방식으로서 수행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방법은 또한 하기에서 상세히 기술하는 바와 같은, 지글러-나타 (Ziegler-Natta) 전촉매, 외부 공여체 및 임의로 공촉매를 포함하는 촉매 시스템을 사용한 예비중합을 포함한다.
바람직한 구현예에 있어서, 예비중합은 액체 프로필렌 중에서 벌크 슬러리 중합으로서 수행되며, 즉, 액체 상은 주로 프로필렌을, 소량의 다른 반응물 및 임의로 이것에 용해되는 불활성 성분과 함께 포함한다.
예비중합 반응은 전형적으로 10 내지 60 ℃,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50 ℃, 및 보다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45 ℃ 의 온도에서 수행된다.
예비중합 반응기에서의 압력은 중요하지 않지만, 반응 혼합물을 액체 상으로 유지시키기에 충분히 높아야 한다. 따라서, 압력은 20 내지 100 bar, 예를 들어 30 내지 70 bar 일 수 있다.
촉매 성분은 바람직하게는 모두 예비중합 단계에 도입된다. 그러나, 고체 촉매 성분 (i) 및 공촉매 (ii) 가 개별적으로 공급될 수 있는 경우, 공촉매의 일부만 예비중합 단계에 도입하고, 나머지 일부는 후속하는 중합 단계에 도입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이러한 경우에, 충분한 중합 반응이 수득되는 예비중합 단계에 훨씬 많은 공촉매를 도입하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다른 성분을 예비중합 단계에 첨가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수소는 당업계에 공지된 바와 같이, 예비중합체의 분자량을 조절하기 위해서 예비중합 단계에 첨가될 수 있다. 또한, 대전방지 첨가제는 입자가 서로에 대해 또는 반응기의 벽에 대해 접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사용될 수 있다.
예비중합 조건 및 반응 파라미터의 정확한 조절은 당업자의 기술 범위 내에 있다.
PP 공중합체를 마지막 중합 단계에서 제거한 후, 이것은 바람직하게는 중합체로부터 잔류 탄화수소를 제거하기 위한 공정 단계에 적용한다. 이러한 공정은 당업계에 충분히 공지되어 있으며, 압력 감소 단계, 정화 단계, 제거 단계, 추출 단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이한 단계의 조합이 가능하다. 잔류 탄화수소의 제거 후, PP 공중합체는 바람직하게는 당업계에 충분히 공지된 바와 같이 첨가제와 혼합한다. 이러한 첨가제는 하기의 본 발명의 중합체 조성물에서 기술된다. 이어서, 중합체 입자는 당업계에 충분히 공지된 바와 같이 펠렛으로 압출한다. 바람직하게는, 동시-회전 이축 압출기가 압출 단계에 사용된다. 이러한 압출기는, 예를 들어 Coperion (Werner & Pfleiderer) 및 Japan Steel Works 에 의해 제조된다.
본 발명의 PP 공중합체는 바람직하게는 임의의 적합한 지글러-나타 유형을 사용하는 중합에 의해 제조된다. 전형적인 적합한 지글러-나타 유형 촉매는 필수 성분으로서 Mg, Ti 및 Cl 을 포함하는, 입체특이적, 고체, 고수율의 지글러-나타 촉매 성분이다. 고체 촉매 이외에, 공촉매 및 외부 공여체가 전형적으로 중합 공정에서 사용된다.
촉매의 성분은 실리카 또는 알루미나와 같은 무기 산화물과 같은 미립자 지지체 상에 지지될 수 있거나, 또는 통상적으로, 마그네슘 할라이드는 고체 지지체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촉매 성분은 외부 지지체 상에 지지되지 않는 것이 가능하지만, 촉매는 유화-응고 방법 또는 침전 방법에 의해 제조된다.
대안적으로, 본 발명의 PP 공중합체는 하기에서 기술하는 바와 같은 개질된 촉매 시스템을 사용하여 제조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화학식 (I) 의 비닐 화합물은 촉매의 개질에 사용된다:
CH2=CH-CHR1R2 (I)
(식 중, R1 및 R2 는 함께, 치환기를 임의로 함유하는 5- 또는 6-원 포화, 불포화 또는 방향족 고리를 형성하거나, 또는 독립적으로 1 내지 4 개의 탄소 원자를 포함하는 알킬기를 나타내며, 이로써 R1 및 R2 가 방향족 고리를 형성하는 경우, -CHR1R2 부분의 수소 원자는 존재하지 않는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비닐 화합물 (I) 은 하기에서 선택된다: 비닐 시클로알칸, 바람직하게는 비닐 시클로헥산 (VCH), 비닐 시클로펜탄, 3-메틸-1-부텐 중합체 및 비닐-2-메틸 시클로헥산 중합체. 가장 바람직하게는, 비닐 화합물 (I) 은 비닐 시클로헥산 (VCH) 중합체이다.
고체 촉매는 또한 통상적으로 전자 공여체 (내부 전자 공여체) 및 임의로 알루미늄을 포함한다. 적합한 내부 전자 공여체는 특히 카르복실산 또는 디카르복실산의 에스테르, 예컨대 프탈레이트, 말레에이트, 벤조에이트, 시트라코네이트 및 숙시네이트, 1,3-디에테르, 또는 산소 또는 질소 함유 규소 화합물이다. 또한, 공여체의 혼합물이 사용될 수 있다.
공촉매는 전형적으로 알루미늄 알킬 화합물을 포함한다. 알루미늄 알킬 화합물은 바람직하게는 트리알킬 알루미늄, 예컨대 트리메틸알루미늄, 트리에틸알루미늄, 트리이소부틸알루미늄 또는 트리-n-옥틸알루미늄이다. 그러나, 이것은 또한 알킬알루미늄 할라이드, 예컨대 디에틸알루미늄 클로라이드, 디메틸알루미늄 클로라이드 및 에틸알루미늄 세스퀴클로라이드일 수 있다.
중합에 사용되는 적합한 외부 전자 공여체는 당업계에 충분히 공지되어 있으며, 에테르, 케톤, 아민, 알코올, 페놀, 포스핀 및 실란을 포함한다. 실란 유형의 외부 공여체는 전형적으로, 중심 원자로서 규소를 가지며, R 이 1-20 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알킬, 알케닐, 아릴, 아릴알킬 또는 시클로알킬인, Si-OCOR, Si-OR 또는 Si-NR2 결합을 함유하는 유기실란 화합물이고, 당업계에 공지되어 있다.
적합한 촉매 및 촉매에서의 화합물의 예는 특히 WO 87/07620, WO 92/21705, WO 93/11165, WO 93/11166, WO 93/19100, WO 97/36939, WO 98/12234, WO 99/33842, WO 03/000756, WO 03/000757, WO 03/000754, WO 03/000755, WO 2004/029112, EP 2610271, WO 2012/007430, WO 92/19659, WO 92/19653, WO 92/19658, US 4382019, US 4435550, US 4465782, US 4473660, US 4560671, US 5539067, US 5618771, EP 45975, EP 45976, EP 45977, WO 95/32994, US 4107414, US 4186107, US 4226963, US 4347160, US 4472524, US 4522930, US 4530912, US 4532313, US 4657882, US 4581342, US 4657882 에 기재되어 있다.
폴리프로필렌 조성물 (CA) 및 폴리프로필렌 조성물 (CB) 의 바람직한 구현예의 경우에 있어서, 프로필렌의 헤테로상 공중합체 (A) 및 프로필렌의 헤테로상 공중합체 (B) 는 별도로 제조되며, 임의적인 플라스토머 및/또는 임의적인 접착성 중합체 성분, 무기 충전제 및 추가의 첨가제와 함께 배합된다. 배합은 상기에서 기술하는 바와 같은 압출기에서 수행되며, 수득된 용융 혼합물은 바람직하게는 최종 용도에 사용하기 전에 펠렛화된다. 무기 충전제 이외의 첨가제의 일부 또는 전부는 PP 공중합체 (A) 및/또는 PP 공중합체 (B) 중 하나 또는 둘 모두에 혼입될 수 있거나, 또는 배합 단계 동안에 첨가될 수 있다.
중합체 조성물의 최종 용도
본 발명은 또한 층 소자, 바람직하게는 다층 소자, 보다 바람직하게는 물품, 바람직하게는 광전지 모듈의 층 소자, 보다 바람직하게는 광전지 모듈의 다층 소자의 하나 이상의 층을 제조하기 위한, 상기에서 또는 하기에서 정의하는 바와 같은 중합체 조성물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따라서,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은 층 소자, 바람직하게는 다층 소자, 보다 바람직하게는 물품, 바람직하게는 광전지 모듈의 층 소자, 보다 바람직하게는 광전지 모듈의 다층 소자의 하나 이상의 층을 제조하기 위한, 상기에서 또는 청구범위에서 정의하는 바와 같은 폴리프로필렌 조성물 (CA) 또는 폴리프로필렌 조성물 (CB) 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은 상기에서 또는 청구범위에서 정의하는 바와 같은 폴리프로필렌 조성물 (CA) 또는 폴리프로필렌 조성물 (CB) 를 포함하는, 바람직하게는 이것으로 이루어지는 층 소자의 상기 하나 이상의 층을 제조하기 위한, 상기에서 또는 청구범위에서 정의하는 바와 같은 폴리프로필렌 조성물 (CA) 또는 폴리프로필렌 조성물 (CB) 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은 층 소자, 바람직하게는 다층 소자, 보다 바람직하게는 물품, 바람직하게는 광전지 모듈의 층 소자, 보다 바람직하게는 광전지 모듈의 다층 소자에 관한 것이며, 상기 층 소자는 상기에서 또는 청구범위에서 정의하는 바와 같은 중합체 조성물을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층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층 소자, 바람직하게는 다층 소자, 보다 바람직하게는 물품, 바람직하게는 광전지 모듈의 층 소자, 보다 바람직하게는 광전지 모듈의 다층 소자의 하나 이상의 층은, 상기에서 또는 청구범위에서 정의하는 바와 같은 폴리프로필렌 조성물 (CA) 또는 폴리프로필렌 조성물 (CB) 를 포함하며, 바람직하게는 이것으로 이루어진다.
하나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있어서, 층 소자, 바람직하게는 다층 소자, 보다 바람직하게는 물품, 바람직하게는 광전지 모듈의 층 소자, 보다 바람직하게는 광전지 모듈의 다층 소자의 하나 이상의 층은, 상기에서 또는 청구범위에서 정의하는 바와 같은, 폴리프로필렌 조성물의 총량 (100 wt%) 에 대해서, 하기를 포함하는 폴리프로필렌 조성물 (CA) 를 포함하며, 바람직하게는 이것으로 이루어진다:
- 하기의 결정 방법에서 기술하는 바와 같이 측정하는 경우, 145 ℃ 이상의 용융 온도 (Tm) (DSC), 및 90 ℃ 이상의 비카트 연화 온도 (비카트 A) (ASTM D 1525, 방법 A, 50 ℃/h, 10 N 에 따름) 를 가지며,
폴리프로필렌 매트릭스 성분 (a1) 및
상기 폴리프로필렌 매트릭스 (a1) 내에 분산되는 엘라스토머성 프로필렌 공중합체 성분 (a2)
를 포함하는 프로필렌의 헤테로상 공중합체 (A) 5 내지 50 wt%, 및
- 하기의 결정 방법에서 기술하는 바와 같이 측정하는 경우, 145 ℃ 이상의 용융 온도 (Tm) (DSC), 및 90 ℃ 이상의 비카트 연화 온도 (비카트 A) (ASTM D 1525, 방법 A, 50 ℃/h, 10 N 에 따름) 를 가지며,
폴리프로필렌 매트릭스 성분 (b1) 및
상기 폴리프로필렌 매트릭스 (b1) 내에 분산되는 엘라스토머성 프로필렌 공중합체 성분 (b2)
를 포함하는 프로필렌의 헤테로상 공중합체 (B) 20 내지 60 wt%,
- 10 내지 40 wt% 의 무기 충전제,
- 0 내지 30 wt% 의 플라스토머, 및
- 0.3 내지 5 wt% 의 무기 충전제 이외의 첨가제;
여기에서, 프로필렌의 헤테로상 공중합체 (B) 의 XCS 는 프로필렌의 헤테로상 공중합체 (A) 의 XCS 보다 높다.
또 다른 균등하게 바람직한 구현예에 있어서, 층 소자, 바람직하게는 다층 소자, 보다 바람직하게는 물품, 바람직하게는 광전지 모듈의 층 소자, 보다 바람직하게는 광전지 모듈의 다층 소자의 하나 이상의 층은, 상기에서 또는 청구범위에서 정의하는 바와 같은, 폴리프로필렌 조성물의 총량 (100 wt%) 에 대해서, 하기를 포함하는 폴리프로필렌 조성물 (CB) 를 포함하며, 바람직하게는 이것으로 이루어진다:
- 하기의 결정 방법에서 기술하는 바와 같이 측정하는 경우, 145 ℃ 이상의 용융 온도 (Tm) (DSC), 및 90 ℃ 이상의 비카트 연화 온도 (비카트 A) (ASTM D 1525, 방법 A, 50 ℃/h, 10 N 에 따름) 를 가지며,
폴리프로필렌 매트릭스 성분 (a1) 및
상기 폴리프로필렌 매트릭스 (a1) 내에 분산되는 엘라스토머성 프로필렌 공중합체 성분 (a2)
를 포함하는 프로필렌의 헤테로상 공중합체 (A) 0 내지 60 wt%, 및
- 하기의 결정 방법에서 기술하는 바와 같이 측정하는 경우, 145 ℃ 이상의 용융 온도 (Tm) (DSC), 및 90 ℃ 이상의 비카트 연화 온도 (비카트 A) (ASTM D 1525, 방법 A, 50 ℃/h, 10 N 에 따름) 를 가지며,
폴리프로필렌 매트릭스 성분 (b1) 및
상기 폴리프로필렌 매트릭스 (b1) 내에 분산되는 엘라스토머성 프로필렌 공중합체 성분 (b2)
를 포함하는 프로필렌의 헤테로상 공중합체 (B) 15 내지 85 wt%,
- 15 내지 45 wt% 의 무기 충전제,
- 0 내지 30 wt% 의 접착성 중합체,
- 0 내지 30 wt% 의 플라스토머, 및
- 0.3 내지 5.0 wt% 의 무기 충전제 이외의 첨가제;
여기에서, 프로필렌의 헤테로상 공중합체 (A) 가 존재하는 경우, 프로필렌의 헤테로상 공중합체 (B) 의 XCS 는 프로필렌의 헤테로상 공중합체 (A) 의 XCS 보다 높다.
상기 하나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있어서, 층 소자, 바람직하게는 다층 소자, 보다 바람직하게는 물품, 바람직하게는 광전지 모듈의 다층 소자는, 상기에서 또는 청구범위에서 정의하는 바와 같은 폴리프로필렌 조성물 (CA) 를 포함하는, 바람직하게는 이것으로 이루어지는 하나 이상의 층; 및 임의로 및 바람직하게는, 상기에서 또는 청구범위에서 정의하는 바와 같은 폴리프로필렌 조성물 (CB) 를 포함하는, 바람직하게는 이것으로 이루어지는 하나 이상의 또 다른 층을 포함한다.
상기 동등하게 바람직한 구현예에 있어서, 층 소자, 바람직하게는 다층 소자, 보다 바람직하게는 물품, 바람직하게는 광전지 모듈의 다층 소자는, 상기에서 또는 청구범위에서 정의하는 바와 같은 폴리프로필렌 조성물 (CB) 를 포함하는, 바람직하게는 이것으로 이루어지는 하나 이상의 층; 및 임의로 및 바람직하게는, 상기에서 또는 청구범위에서 정의하는 바와 같은 폴리프로필렌 조성물 (CA) 를 포함하는, 바람직하게는 이것으로 이루어지는 하나 이상의 또 다른 층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있어서, 층 소자는 상기에서 또는 청구범위에서 정의하는 바와 같은 폴리프로필렌 조성물 (CA) 또는 폴리프로필렌 조성물 (CB) 를 포함하는, 바람직하게는 이것으로 이루어지는 하나 이상의 층을 포함하는 다층 소자, 바람직하게는 물품, 바람직하게는 광전지 모듈의 다층 소자이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층 소자는 상기에서 또는 청구범위에서 정의하는 바와 같은 폴리프로필렌 조성물 (CA) 를 포함하는, 바람직하게는 이것으로 이루어지는 하나 이상의 층, 및 상기에서 또는 청구범위에서 정의하는 바와 같은 폴리프로필렌 조성물 (CB) 를 포함하는, 바람직하게는 이것으로 이루어지는 하나 이상의 또 다른 층을 포함하는 다층 소자, 바람직하게는 물품, 바람직하게는 광전지 모듈의 다층 소자이다.
바람직하게는, 폴리프로필렌 조성물 (CA) 를 포함하는 층 소자의 상기 하나 이상의 층과 폴리프로필렌 조성물 (CB) 를 포함하는 층 소자의 상기 하나 이상의 또 다른 층은 서로 직접 접촉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있어서, 층 소자는 다층 소자, 바람직하게는 물품, 바람직하게는 광전지 모듈의 다층 소자이며, 상기 다층 소자는 3 개 이상의 층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다층 소자는 소정의 순서로, 적어도 제 1 층 / 제 2 층 / 제 3 층을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제 1 층, 바람직하게는 제 1 층 및 제 3 층은 상기에서 또는 청구범위에서 정의하는 바와 같은 폴리프로필렌 조성물 (CB) 를 포함하거나, 바람직하게는 이것으로 이루어지며, 제 2 층은 상기에서 또는 청구범위에서 정의하는 바와 같은 폴리프로필렌 조성물 (CA) 를 포함하거나, 바람직하게는 이것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다층 소자는 압출, 예를 들어 공압출될 수 있거나, 또는 적층될 수 있다. 압출 및 적층 공정은 당업계에 충분히 공지되어 있다.
바람직한 구현예에 있어서, 본 발명의 층 소자의 층은 압출에 의해 제조된다. 하나 초과의 층을 갖는 층 소자는 바람직하게는 공압출에 의해 제조된다. 공압출된 층은, 예를 들어 PV 모듈의 일부로서, 사용시에 낮은 박리를 나타낸다.
상기에서 또는 청구범위에서 정의하는 바와 같은 적어도 제 1 층 / 제 2 층 / 제 3 층을 소정의 순서로 포함하는 상기 다층 소자의 보다 바람직한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3-층 소자는 공압출에 의해 제조된다.
상기 3-층 소자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제 1 층은 제 2 층의 한 면에 직접 접촉하고, 제 3 층은 제 2 층의 다른 면에 직접 접촉한다.
보다 바람직한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다층 소자는 상기에서 또는 청구범위에서 정의하는 바와 같은 공압출된 제 1 층 / 제 2 층 / 제 3 층을 소정의 순서로 포함한다.
하나의 구현예에 있어서, 본 발명의 층 소자는 또한 중합체 또는 비-중합체 재료일 수 있는 추가의 층을 포함할 수 있다. 비-중합체 층의 비제한적인 예는, 예를 들어 알루미늄, 구리 또는 이의 조합을 포함하는 금속 층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임의적인 추가의 층은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층의 형성 후에, 바람직하게는 압출에 의한, 바람직하게는 공압출에 의한 본 발명의 층의 형성 후에, 층 소자에 혼입된다. 임의적인 추가의 층은, 예를 들어 적층에 의해 본 발명의 층 소자에 혼입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다)층 소자가 다른 층과 조합되는 경우, 다층 소자는 예를 들어 다른 층으로 적층된다. 특히, 폴리프로필렌 조성물에 대해 낮은 접착 특성을 갖는 비-중합체 재료 또는 다른 중합체 재료는, 예를 들어 적층 라인 상에서 롤 대 롤 공정으로, 본 발명의 (다)층 소자에 적층될 수 있다. 이러한 적층되는 층은 바람직하게는 접착제/접착제 층 (예를 들어, 폴리우레탄 접착제 시스템) 으로 코팅된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상기에서, 하기에서 또는 청구범위에서 정의하는 바와 같은, 상기 적어도 제 1 층 / 제 2 층 / 제 3 층의 다층 소자는 상기 제 1 층, 상기 제 2 층 및 상기 제 3 층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층 소자의 전체 두께는 단지 예로서, 즉, 비제한적으로, 전형적으로는 700 ㎛ 이하, 예컨대 90 내지 700 ㎛, 적합하게는 140 내지 500 ㎛, 예컨대 240 내지 400 ㎛ 이다.
바람직한 적어도 제 1 층 / 제 2 층 / 제 3 층의 다층 소자의 경우에 있어서, 제 1 층 및 바람직하게는 또한 제 3 층은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200 ㎛,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100 ㎛ 및 보다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50 ㎛ 의 두께를 가진다. 제 2 층은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300 ㎛, 바람직하게는 100 내지 300 ㎛ 및 보다 바람직하게는 200 내지 300 ㎛ 의 두께를 가진다.
본 발명은 또한 층 소자를 포함하는 물품을 제공하며, 상기 층 소자는 본 발명의 중합체 조성물을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층을 포함한다. 바람직한 물품은 상기에서, 하기에서 또는 청구범위에서 기술하는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층 소자를 포함하는 광전지 모듈이다.
광전지 모듈
본 발명의 층 소자, 바람직하게는 다층 소자,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제 1 층 / 제 2 층 / 제 3 층의 다층 소자는 바람직하게는 광전지 모듈의 층 소자, 바람직하게는 다층 층 소자, 바람직하게는 공압출된 3-층 다층 소자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또한 하나 이상의 광전지 소자, 및 상기 본 발명의 폴리프로필렌 조성물을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층을 포함하는 본 발명의 층 소자인 하나 이상의 층 소자를 포함하는 광전지 모듈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PV 모듈의 층 소자는 다층 소자이다.
바람직한 구현예에 있어서, 광전지 모듈은 소정의 순서로, 보호성 전방 층 소자, 예컨대 유리 층 소자, 전방 캡슐화 층 소자, 광전지 소자, 후방 캡슐화 층 소자 및, 본원에서 백시트 층 소자로도 불리는 보호성 백 층 소자를 포함하며, 상기 전방 캡슐화 층 소자, 후방 캡슐화 층 소자 또는 백시트 층 소자 중 하나 이상 또는 전부는 본 발명의 중합체 조성물을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층을 포함하는 본 발명의 층 소자를 포함한다.
또한, 보호성 전방 층 소자, 예컨대 유리 층 소자, 바람직하게는 커넥터와 함께 광전지의 소자인 광전지 소자, 전방/후방 캡슐화 층 소자, 및 본 발명의 중합체 조성물의 층 이외인 백시트 소자의 층의 재료는 전형적으로, 예를 들어 광전지 모듈 분야에서 충분히 공지된 재료이며, 상업적으로 입수 가능하거나 또는 광전지 모듈 분야에 대한 문헌에 공지된 방법에 따라서 제조될 수 있다.
따라서, 광전지 모듈은 상기에서 또는 청구범위에서 정의하는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층 소자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층은 폴리프로필렌 조성물 (CA) 또는 폴리프로필렌 조성물 (CB) 의 바람직한 구현예를 포함하는 본 발명의 중합체 조성물을 포함하며, 바람직하게는 이것으로 이루어진다.
광전지 모듈은 적어도 제 1 층 / 제 2 층 / 제 3 층 - 소자를 포함하는 본 발명의 다층 소자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적어도 제 1 층, 바람직하게는 제 1 층 및 제 3 층은 상기에서, 하기에서 또는 청구범위에서 정의하는 바와 같은 폴리프로필렌 조성물 (CB) 를 포함하거나, 바람직하게는 이것으로 이루어지며, 제 2 층은 상기에서, 하기에서 또는 청구범위에서 정의하는 바와 같은 폴리프로필렌 조성물 (CA) 를 포함하거나, 바람직하게는 이것으로 이루어진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광전지 모듈은 상기에서 또는 청구범위에서 정의하는 바와 같은 폴리프로필렌 조성물 (CA) 또는 폴리프로필렌 조성물 (CB) 를 포함하는, 바람직하게는 이것으로 이루어지는 하나 이상의 층을 포함하는 백시트 소자를 제공한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상기에서, 하기에서 또는 청구범위에서 정의하는 바와 같은 본 발명의 광전지 모듈은 소정의 순서로, 보호성 전방 층 소자, 전방 캡슐화 층 소자, 광전지 소자, 후방 캡슐화 층 소자, 백시트 층 소자를 포함하고, 여기에서, 본 발명의 층 소자는 백시트 층 소자, 바람직하게는 소정의 순서로, 제 1 층 / 제 2 층 / 제 3 층 - 소자를 포함하는, 바람직하게는 이것으로 이루어지는 백시트 다층 소자이며, 상기 제 1 층 및 임의로 및 바람직하게는 제 3 층은 바람직하게는, 상기에서, 하기에서 또는 청구범위에서 정의하는 바와 같은, 폴리프로필렌 조성물의 총량 (100 wt%) 에 대해서, 하기를 포함하는 폴리프로필렌 조성물 (CB) 를 포함하고:
- 하기의 결정 방법에서 기술하는 바와 같이 측정하는 경우, 145 ℃ 이상의 용융 온도 (Tm) (DSC), 및 90 ℃ 이상의 비카트 연화 온도 (ASTM D 1525, 방법 A, 50 ℃/h, 10 N 에 따름) 를 가지며,
폴리프로필렌 매트릭스 성분 (a1) 및
상기 폴리프로필렌 매트릭스 (a1) 내에 분산되는 엘라스토머성 프로필렌 공중합체 성분 (a2)
를 포함하는 프로필렌의 헤테로상 공중합체 (A) 0 내지 60 wt%, 및
- 하기의 결정 방법에서 기술하는 바와 같이 측정하는 경우, 145 ℃ 이상의 용융 온도 (Tm) (DSC), 및 90 ℃ 이상의 비카트 연화 온도 (ASTM D 1525, 방법 A, 50 ℃/h, 10 N 에 따름) 를 가지며,
폴리프로필렌 매트릭스 성분 (b1) 및
상기 폴리프로필렌 매트릭스 (b1) 내에 분산되는 엘라스토머성 프로필렌 공중합체 성분 (b2)
를 포함하는 프로필렌의 헤테로상 공중합체 (B) 15 내지 85 wt%,
- 15 내지 45 wt% 의 무기 충전제,
- 0 내지 30 wt% 의 접착성 중합체,
- 0 내지 30 wt% 의 플라스토머, 및
- 0.3 내지 5.0 wt% 의 무기 충전제 이외의 첨가제;
여기에서, 프로필렌의 헤테로상 공중합체 (A) 가 존재하는 경우, 프로필렌의 헤테로상 공중합체 (B) 의 XCS 는 프로필렌의 헤테로상 공중합체 (A) 의 XCS 보다 높다; 및
상기 제 2 층은 상기에서, 하기에서 또는 청구범위에서 정의하는 바와 같은, 폴리프로필렌 조성물의 총량 (100 wt%) 에 대해서, 하기를 포함하는 폴리프로필렌 조성물 (CA) 를 포함한다:
- 하기의 결정 방법에서 기술하는 바와 같이 측정하는 경우, 145 ℃ 이상의 용융 온도 (Tm) (DSC), 및 90 ℃ 이상의 비카트 연화 온도 (ASTM D 1525, 방법 A, 50 ℃/h, 10 N 에 따름) 를 가지며,
폴리프로필렌 매트릭스 성분 (a1) 및
상기 폴리프로필렌 매트릭스 (a1) 내에 분산되는 엘라스토머성 프로필렌 공중합체 성분 (a2)
를 포함하는 프로필렌의 헤테로상 공중합체 (A) 5 내지 50 wt%, 및
- 하기의 결정 방법에서 기술하는 바와 같이 측정하는 경우, 145 ℃ 이상의 용융 온도 (Tm) (DSC), 및 90 ℃ 이상의 비카트 연화 온도 (ASTM D 1525, 방법 A, 50 ℃/h, 10 N 에 따름) 를 가지며,
폴리프로필렌 매트릭스 성분 (b1) 및
상기 폴리프로필렌 매트릭스 (b1) 내에 분산되는 엘라스토머성 프로필렌 공중합체 성분 (b2)
를 포함하는 프로필렌의 헤테로상 공중합체 (B) 20 내지 60 wt%,
- 10 내지 40 wt% 의 무기 충전제,
- 0 내지 30 wt% 의 플라스토머, 및
- 0.3 내지 5 wt% 의 무기 충전제 이외의 첨가제;
여기에서, 프로필렌의 헤테로상 공중합체 (B) 의 XCS 는 프로필렌의 헤테로상 공중합체 (A) 의 XCS 보다 높다.
따라서, 본 발명은 또한 상기에서, 하기에서 또는 청구범위에서 정의하는 바와 같은 폴리프로필렌 조성물 (CA) 또는 폴리프로필렌 조성물 (CB) 를 포함하는, 바람직하게는 이것으로 이루어지는 하나 이상의 층을 포함하는 백시트 층 소자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광전지 모듈용 백시트 층 소자를 제공하며, 상기 백시트 층 소자는 본 발명의 중합체 조성물을 포함하는, 바람직하게는 이것으로 이루어지는 하나 이상의 층을 포함하는 본 발명의 층 소자를 포함한다.
따라서, 광전지 모듈용 백시트 층 소자는 본 발명의 층 소자, 바람직하게는 소정의 순서로, 제 1 층 / 제 2 층 / 제 3 층 - 소자를 포함하는 본 발명의 다층 소자이다.
바람직한 구현예에 있어서, 백시트 층 소자는 바람직하게는 소정의 순서로, 제 1 층 / 제 2 층 / 제 3 층 - 소자를 포함하는, 바람직하게는 이것으로 이루어지는 다층 소자이며, 상기 제 1 층 및 임의로 및 바람직하게는 제 3 층은 상기에서 또는 청구범위에서 정의하는 바와 같은, 폴리프로필렌 조성물의 총량 (100 wt%) 에 대해서, 하기를 포함하는 폴리프로필렌 조성물 (CB) 를 포함하거나, 바람직하게는 이것으로 이루어지며:
- 하기의 결정 방법에서 기술하는 바와 같이 측정하는 경우, 145 ℃ 이상의 용융 온도 (Tm) (DSC), 및 90 ℃ 이상의 비카트 연화 온도 (비카트 A) (ASTM D 1525, 방법 A, 50 ℃/h, 10 N 에 따름) 를 가지며,
폴리프로필렌 매트릭스 성분 (a1) 및
상기 폴리프로필렌 매트릭스 (a1) 내에 분산되는 엘라스토머성 프로필렌 공중합체 성분 (a2)
를 포함하는 프로필렌의 헤테로상 공중합체 (A) 0 내지 60 wt%, 및
- 하기의 결정 방법에서 기술하는 바와 같이 측정하는 경우, 145 ℃ 이상의 용융 온도 (Tm) (DSC), 및 90 ℃ 이상의 비카트 연화 온도 (비카트 A) (ASTM D 1525, 방법 A, 50 ℃/h, 10 N 에 따름) 를 가지며,
폴리프로필렌 매트릭스 성분 (b1) 및
상기 폴리프로필렌 매트릭스 (b1) 내에 분산되는 엘라스토머성 프로필렌 공중합체 성분 (b2)
를 포함하는 프로필렌의 헤테로상 공중합체 (B) 15 내지 85 wt%,
- 15 내지 45 wt% 의 무기 충전제,
- 0 내지 30 wt% 의 접착성 중합체,
- 0 내지 30 wt% 의 플라스토머, 및
- 0.3 내지 5.0 wt% 의 무기 충전제 이외의 첨가제;
여기에서, 프로필렌의 헤테로상 공중합체 (A) 가 존재하는 경우, 프로필렌의 헤테로상 공중합체 (B) 의 XCS 는 프로필렌의 헤테로상 공중합체 (A) 의 XCS 보다 높다; 및
상기 제 2 층은 상기에서 또는 청구범위에서 정의하는 바와 같은, 폴리프로필렌 조성물의 총량 (100 wt%) 에 대해서, 하기를 포함하는 폴리프로필렌 조성물 (CA) 를 포함하거나, 바람직하게는 이것으로 이루어진다:
- 하기의 결정 방법에서 기술하는 바와 같이 측정하는 경우, 145 ℃ 이상의 용융 온도 (Tm) (DSC), 및 90 ℃ 이상의 비카트 연화 온도 (비카트 A) (ASTM D 1525, 방법 A, 50 ℃/h, 10 N 에 따름) 를 가지며,
폴리프로필렌 매트릭스 성분 (a1) 및
상기 폴리프로필렌 매트릭스 (a1) 내에 분산되는 엘라스토머성 프로필렌 공중합체 성분 (a2)
를 포함하는 프로필렌의 헤테로상 공중합체 (A) 5 내지 50 wt%, 및
- 하기의 결정 방법에서 기술하는 바와 같이 측정하는 경우, 145 ℃ 이상의 용융 온도 (Tm) (DSC), 및 90 ℃ 이상의 비카트 연화 온도 (비카트 A) (ASTM D 1525, 방법 A, 50 ℃/h, 10 N 에 따름) 를 가지며,
폴리프로필렌 매트릭스 성분 (b1) 및
상기 폴리프로필렌 매트릭스 (b1) 내에 분산되는 엘라스토머성 프로필렌 공중합체 성분 (b2)
를 포함하는 프로필렌의 헤테로상 공중합체 (B) 20 내지 60 wt%,
- 10 내지 40 wt% 의 무기 충전제,
- 0 내지 30 wt% 의 플라스토머, 및
- 0.3 내지 5 wt% 의 무기 충전제 이외의 첨가제;
여기에서, 프로필렌의 헤테로상 공중합체 (B) 의 XCS 는 프로필렌의 헤테로상 공중합체 (A) 의 XCS 보다 높다.
바람직한 백시트 다층 소자는 제 1 층 / 제 2 층 / 제 3 층 - 소자, 바람직하게는 공압출된 제 1 층 / 제 2 층 / 제 3 층 - 소자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층 및 제 3 층은 폴리프로필렌 조성물 (CB) 를 포함하며, 바람직하게는 이것으로 이루어지고, 제 2 층은 폴리프로필렌 조성물 (CA) 를 포함하며, 바람직하게는 이것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백시트 층 소자의 3-층 소자는 바람직하게는 공압출에 의해 제조된다.
PV 모듈의 층 소자로서의 본 발명의 층 소자, 바람직하게는 다층 소자, 바람직하게는 백시트 다층 소자, 바람직하게는 공압출된 백시트 3-층 소자는 바람직하게는 상기 중합체 조성물의 최종 용도에서 기술하는 바와 같은 두께를 가지며, 바람직하게는 이와 같이 제조된다.
또 다른 구현예에 있어서, 광전지 모듈은, 추가의 중합체 또는 비-중합체 재료 층 또는 프레임 소자와 추가로 조합되는 본 발명의 층 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임의적인 추가의 비-중합체 층 또는 프레임 소자의 비제한적인 예는, 예를 들어 알루미늄, 구리 또는 이의 조합을 포함하는 금속 층을 포함한다. 이러한 임의적인 추가의 중합체 층의 비제한적인 예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PET) 및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PBT) 를 포함한다. 원하는 경우, 층 사이의 접착력은 접착제, 예를 들어 폴리우레탄 접착제의 사용에 의해 향상될 수 있거나 또는 달성될 수 있다. 임의적인 추가의 층의 순서는 PV-모듈에서의 이들의 의도하는 용도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어 본 발명의 바람직한 공압출된 백시트 3-층 소자는 이와 같이 백시트 다층 소자를 형성할 수 있으며, 상기 언급한 바와 같은 추가의 층을 추가로 포함하는 백시트 다층 소자의 일부일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한 백시트 층 소자는 또 다른 층 소자 (예컨대, 후방 캡슐화) 에 통합될 수 있거나, 또는 바람직한 백시트 층 소자의 층의 적어도 일부는 또 다른 층 소자에 통합될 수 있다. PV 모듈의 이러한 통합된 층 소자는 PV 모듈의 조립 단계 전에, 예를 들어 적층, 압출 또는 공압출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이러한 적층체의 제조에 관한 세부 사항의 예는 문맥에서 언급되는 바와 같이, 결정 방법에서 기술하는 바와 같은 샘플 제조 설명을 포함하는, 하기의 실험 부분에서 확인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광전지 모듈의 백시트 층 소자의 층은 플루오라이드 함유 중합체를 포함하지 않는다.
바람직한 백시트 다층 소자는 공압출된 3-층 백시트 소자로 이루어진다.
충분히 공지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광전지 모듈의 상이한 소자 및 층 구조는 PV 모듈의 원하는 유형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광전지 모듈은 단단할 수 있거나 또는 유연할 수 있다. 단단한 광전지 모듈은, 예를 들어 보호성 전방 층 소자로서 유리 층 소자 또는 상기 언급한 단단한 프레임 소자, 예를 들어 알루미늄 프레임 소자를 함유할 수 있다. 유연한 모듈에 있어서, 모든 상기 소자는 유연하며, 이로써 보호성 전방 및 백 층 소자, 및 전방 및 후방 캡슐화 층 소자는 전형적으로 중합체 층 소자를 기반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층 소자 이외의 PV 모듈의 소자는 단층 소자 또는 다층 소자일 수 있다.
본 발명의 광전지 모듈은 광전지 모듈의 분야에서 충분히 공지된 방식으로 제조될 수 있다. 임의의 다층 소자는 당업자에게 충분히 공지된 바와 같이, 통상적인 압출기 및 필름 형성 장비를 사용하여 공지의 방식으로, 부분적으로 또는 완전히 압출, 예컨대 공압출될 수 있거나, 또는 적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광전지 모듈의 상이한 소자, 예컨대 보호성 전방 층 소자, 전방 캡슐화 층 소자, 광전지 층 소자, 후방 캡슐화 층 소자 및 백시트 층 소자는 전형적으로 최종 광전지 모듈을 제조하기 위해서, 통상적인 수단에 의해 함께 조립된다. 상기 소자는 전형적으로 개별적으로 제조되거나 또는, 상기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이러한 조립 단계를 거치기 전에 부분적으로 통합된 형태로 제조된다. 이어서, 상이한 소자는 전형적으로 PV 모듈 조립체로서 배열되고, 그 후, 당해 기술 분야에서의 통상적인 적층 기술을 사용하여 적층에 의해 함께 부착된다. 적층 기술 및 조건은 당업자의 기술이다.
광전지 모듈의 조립체는 광전지 모듈의 분야에서 충분히 공지되어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광전지 모듈의 상기 구현예의 개략도이다. 상기 도면에 있어서, "백시트"-층 소자는 본 발명의 층 소자, 바람직하게는 상기에서 정의하는 바와 같은 바람직한 3-층 소자를 포함한다.
결정 방법
용융 유속: 용융 유속 (MFR) 은 ISO 1133 에 따라서 결정하며, g/10 min 로 나타낸다. MFR 은 중합체의 유동성 및 따라서 가공성의 지표이다. 용융 유속이 높을수록, 중합체의 점도는 낮아진다. 폴리프로필렌의 MFR2 는 230 ℃ 의 온도 및 2.16 ㎏ 의 하중에서 측정한다. 폴리에틸렌의 MFR2 는 190 ℃ 의 온도 및 2.16 ㎏ 의 하중에서 측정한다.
밀도: ISO 1183, 압축 성형 플라크에서 측정함
공단량체 함량: 공단량체 함량은 당업계에 충분히 공지된 방식으로 정량적 13C 핵 자기 공명 (NMR) 분광법을 통해 검정된 기본적 지정 후에 정량적 푸리에 변환 적외선 분광법 (FTIR) 에 의해 결정하였다. 박막을 100-500 ㎛ 의 두께로 압착하고, 스펙트럼을 투과 방식으로 기록한다.
구체적으로, 폴리프로필렌-코-에틸렌 공중합체의 에틸렌 함량은 720-722 ㎝-1 및 730-733 ㎝-1 에서 발견되는 정량적 밴드의 베이스라인 보정된 피크 면적을 사용하여 결정한다. 구체적으로, 폴리프로필렌 공중합체의 부텐 또는 헥산 함량은 1377-1379 ㎝-1 에서 발견되는 정량적 밴드의 베이스라인 보정된 피크 면적을 사용하여 결정한다. 정량적 결과는 필름 두께를 기준으로 수득된다.
공단량체 함량은 본원에서 혼합 규칙 (식 2) 를 따르는 것으로 가정한다:
Figure 112018052211048-pct00001
[식 중, C 는 공단량체의 함량 (중량%) 이고, w 는 혼합물에서의 성분의 중량 분획이며, 아래첨자 b, 1 및 2 는 각각 전체 혼합물, 성분 1 및 성분 2 를 나타낸다].
당업자에게 충분히 공지된 바와 같이, 이성분 공중합체에서의 중량 기준의 공단량체 함량은 하기 식을 사용함으로써 몰 기준의 공단량체 함량으로 전환시킬 수 있다:
Figure 112018052211048-pct00002
[식 중, cm 은 공중합체에서의 공단량체 단위의 몰 분획이고, cw 는 공중합체에서의 공단량체 단위의 중량 분획이며, MWc 는 공단량체 (예컨대, 에틸렌) 의 분자량이고, MWm 은 주요 단량체 (즉, 프로필렌) 의 분자량이다].
용융 온도 (T m ) 및 융해열 (H f ): 5 내지 10 ㎎ 의 샘플에 대해 Mettler TA820 시차 주사 열량계 (DSC) 로 측정함. DSC 는 +23 내지 +210 ℃ 의 온도 범위에서 10 ℃/min (가열 및 냉각) 의 스캔 속도에서 가열 / 냉각 / 가열 사이클로 ISO 3146 / 파트 3 / 방법 C2 에 따라서 작동한다. 용융 온도 및 융해열 (Hf) 은 제 2 가열 단계에서 결정한다. 용융 온도는 흡열 피크로서 수득하였다.
굴곡 모듈러스: 굴곡 모듈러스는 ISO 178 에 따라서 결정하였다. 80 × 10 × 4.0 ㎣ (길이 × 폭 × 두께) 의 치수를 갖는 시험편은 EN ISO 1873-2 에 따라서 사출 성형에 의해 제조하였다. 지지체 사이의 간격의 길이는 64 ㎜ 였고, 시험 속도는 2 ㎜/min 였으며, 힘은 100 N 이었다.
자일렌 저온 가용성 (XCS): 자일렌 저온 가용성 분획의 양은 ISO 16152 에 따라서 결정하였다. 냉각 후 25 ℃ 에서 용해된 상태로 유지되는 중합체의 양은 자일렌 가용성 중합체의 양으로서 주어진다.
자일렌 가용성 중합체의 함량은 본원에서 혼합 규칙 (식 4) 를 따르는 것으로 가정한다:
Figure 112018052211048-pct00003
[식 중, XCS 는 자일렌 가용성 중합체의 함량 (중량%) 이고, w 는 혼합물에서의 성분의 중량 분획이며, 아래첨자 b, 1 및 2 는 각각 전체 혼합물, 성분 1 및 성분 2 를 나타낸다].
샤르피 노치 충격 강도: NIS 는 실험 부분에서 명시한 바와 같이, 80 × 10 × 4 ㎣ 의 V-노치 샘플에 대해 23 ℃, 0 ℃, -10 ℃ 또는 -20 ℃ 에서 ISO 179-1eA:2000 에 따라서 결정하였다. 시험편은 EN ISO 1873-2 (80 × 10 × 4 ㎣) 에 따라서 IM V 60 TECH 기계를 사용하여 사출 성형에 의해 제조하였다.
용융 온도는 200 ℃ 였으며, 금형 온도는 40 ℃ 였다.
열 변형 온도 (HDT): ISO 75-2 에 따라서 측정함. 80 × 10 × 4.0 ㎣ (길이 × 폭 × 두께) 의 치수를 갖는 시험편은 EN ISO 1873-2 에 따라서 사출 성형에 의해 제조하였다. 시험편은 평면 방향으로 (지지체 간격: 64 ㎜) 3-점 굼힙에 적용한다. 시험에 사용되는 외부 섬유 응력은 1.80 MPa (방법 A) 이다. 온도는 120 K/h 의 일정한 가열 속도로 상승시킨다. HDT 는, 시험편의 굼힘이 0.2 % 의 굴곡 변형 증가에 도달하는 온도이다.
비카트 연화 온도: ASTM D 1525 방법 A (50 ℃/h, 10 N) 에 따라서 측정함.
인장 모듈러스; 항복시 인장 응력 및 파단시 인장 변형:
사출 성형 시편: EN ISO 1873-2 (개 뼈 모양, 4 ㎜ 두께) 에 기재된 바와 같이 제조하고, 사출 성형 샘플 시편에 대해 ISO 527-2 (크로스 헤드 속도 = 1 ㎜/min; 23 ℃) 에 따라서 측정함.
단층 필름 샘플: 하기의 "필름 제조" 에서 명시하는 바와 같이 제조하고, 하기에서 제시하는 조건을 사용하여 ISO 527-3 에 따라서 측정함.
단층 필름 제조: 30 ㎜ 의 직경을 갖는 PP 스크류, 0.5 ㎜ 의 다이 갭을 갖는 200 ㎜ 다이가 장착된 3 개의 가열 구역을 갖는 Plastic Maschinenbau 압출기 상에서 200 ㎜ 캐스트 필름을 제조하였다. 250 ℃ 의 용융 온도 및 60 ℃ 의 냉각 롤 온도를 사용하였다.
필름 샘플 (200 ㎛ 단층): 제 1 시험 전에, 필름 샘플은 23 ℃ / 50 % RH 에서 96 시간의 기간에 걸쳐 저장해야 한다. 시험편은 가장자리가 매끄럽고, 노치가 없으며, 정확한 폭을 갖도록, 필름 커터로 절단해야 한다. 시험편의 형태는 15 ㎜ 폭 및 150 ㎜ 이상 길이의 조각이다. 시험편을 기계 방향으로 절단하였다.
시험 조건 필름 인장 시험: 시험은 하기의 시험 조건 세트를 사용하여 ISO 527-3 에 따라서 수행한다:
시험 조건: 23 ℃ / 50 % RH
예비하중: 약 0.2 N
예비하중의 속도: 2 ㎜/min
E-모듈러스의 속도: 1 ㎜/min
시험의 속도: 200 ㎜/min
클램핑 거리: 100 ㎜
E-모듈러스 시험의 시작: 0.05 %
E-모듈러스 시험의 종료: 0.25 %
3-층 필름 샘플 제조를 사용한 인장, 접착력 및 열 사이클링 시험 (TCT):
3-층 시험 샘플 제조: 본 발명의 PP-성분의 3-층 필름 샘플은 압출기용 배리어 스크류를 사용하여 Dr. Collin 사에 의해 제조된 압출 라인 상에서 공-압출에 의해 제조한다. 압출기는 각 구역에서 250 ℃ 의 온도로 설정하였으며, 공급기는 30 ℃ 의 온도로 설정하였다. 용융 온도는 약 260 ℃ 였다. 염료는 210 ℃ 로 설정하였다. 압출은 3 m/min 의 속도로 수행하였다.
수득된 3-층 샘플은 다음을 위해 사용하였다:
1) 상기에서 제조한 바와 같은 3-층 필름을 사용하는 인장 시험 (ISO 527, 단층에 대한 상기 조건 참조), 상기 3 개의 층 각각은 하기의 실험 부분에서 기술하는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조성물로 이루어진다,
2) 하기에서 기술하는 3 개의 층 소자의 층간 접착력 시험, 상기 3 개의 층 각각은 하기의 실험 부분에서 기술하는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조성물로 이루어진다,
3) 하기에서 기술하는 층 소자의 TCT 시험, 상기 3 개의 층 각각은 하기의 실험 부분에서 기술하는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조성물로 이루어진다, 및
4) 상기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바와 같은 3 층 필름을 사용하는 시스템 전압 시험, 상기 3 개의 층 각각은 하기의 실험 부분에서 기술하는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조성물로 이루어진다.
접착력 시험을 위한 적층:
적층된 다층 필름은 적층 라인 상에서 롤 대 롤 공정으로 제조하며, 여기에서 하나의 층은 폴리우레탄 접착제 시스템 (용매 함유 시스템) 으로 코팅된다. 이어서, 용매를 환기식 건조기 내에서 120 ℃ 의 온도에서 증발시킨다. 접착제 시스템을 조합되는 층에 따라서 1 g/㎡ 내지 15 g/㎡ (용매 비함유 값) 으로 적용한다. 층의 조합은 환기식 건조기 후에, 2 개의 압착 롤을 사용하여 2 개의 층을 함께 압착시킴으로써 발생한다. 이어서, 권취기를 사용하여 다층 재료를 감는다. 이 순서를 처음부터 반복하여, 3 개 이상의 층을 다층 필름에 첨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PP-성분의 3-층 필름 샘플의 층간 접착력은 상기 3-층 시험 샘플 제조에서 기술한 바와 같이 제조하였으며, 다음과 같이 시험하였다:
3-층 시편에서의 층간 접착력을 시험하기 위한 샘플은 에폭시 접착제에 의해 시편을 알루미늄 플레이트 (두께 0.5 ㎜) 상에 접착시킴으로써 제조한다. 이어서, 에폭시를 방치하여 경화시킨다. 알루미늄 플레이트로부터 시편을 박리할 때, 층은 분리되지 않는다. 시편은 신장될 수 있거나 또는 파단될 수 있다.
열 사이클링 시험 (TCT)
TCT 시험을 위한 적층:
15 × 17 ㎝ 의 치수를 갖는 실험실 규모 모듈을 시험하기 위해, 하기의 구성을 사용한다. 전방 유리, 두께 3.2 ㎜ / 2 층의 EVA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 / 층 소자는 본 발명의 목적이다. 이어서, 이 구성을 EVA 제조사의 권고에 따라서 진공 적층 공정을 사용하여 적층시킨다.
재료를 24 h 동안 냉각시킨 후, 열 사이클링 시험에 적용한다. 시험 결과는 광학 검사에 의해 판단한다.
TCT 는 -40 ℃ 내지 85 ℃ 의 온도에서 IEC 61215 / IEC 61646 에 따라서 시험한다. 표준에서 제시되는 지침에 따라 하루에 4 사이클을 수행한다.
캡슐화제 ( EVA ) 와 백시트 사이의 접착력:
본 발명의 목적인 층 소자의 2 개의 분리된 조각은 각각의 캡슐화제 유형의 적층 파라미터에 따라서 캡슐화제 (EVA) 의 하나의 층과 함께 적층시킨다. 작은 구획에서, 이 영역에서의 적층물을 분리할 수 있도록 이형지를 넣는다. 폭 20 ㎜ 의 줄무늬를 절단하고, Zwick 인장 시험 장치에 넣고, 50 ㎜/min 의 시험 속도로 T-박리 시험을 수행한다. 계산된 박리 강도는 5 개의 샘플의 평균이다.
실험 부분
본 발명의 중합체 조성물 IE1-IE7 의 성분 프로필렌의 헤테로상 공중합체 (A) (이하, HECO A 라고 함) 및 프로필렌의 헤테로상 공중합체 (B) (이하, HECO B 라고 함) 의 중합 공정.
촉매 제조:
HECO A 성분 및 HECO B 성분에 대한 촉매 제조:
먼저, 0.1 mol 의 MgCl2 × 3 EtOH 를 대기압의 반응기 내의 250 ㎖ 의 데칸 중에 불활성 조건하에서 현탁시켰다. 용액을 -15 ℃ 의 온도로 냉각시키고, 온도를 상기 수준으로 유지하면서, 300 ㎖ 의 저온 TiCl4 를 첨가하였다. 이어서, 슬러리의 온도를 서서히 20 ℃ 로 상승시켰다. 이 온도에서, 0.02 mol 의 디에틸헥실프탈레이트 (DOP) 를 슬러리에 첨가하였다. 프탈레이트의 첨가 후, 온도를 90 분 동안 135 ℃ 로 상승시키고, 슬러리를 60 분간 방치하였다. 이어서, 또 다른 300 ㎖ 의 TiCl4 를 첨가하고, 온도를 135 ℃ 에서 120 분간 유지시켰다. 그 후, 촉매를 액체로부터 여과하고, 80 ℃ 에서 300 ㎖ 의 헵탄으로 6 회 세정하였다. 이어서, 고체 촉매 성분을 여과하고, 건조시켰다. 촉매 및 이의 제조 개념은 일반적으로, 예를 들어 특허 공보 EP 491 566, EP 591 224 및 EP 586 390 에 기재되어 있다.
이어서, 트리에틸알루미늄 (TEAL), 공여체 (Do) 로서의 디시클로펜틸디메톡시실란 (DCPDMS), 상기 제조한 바와 같은 촉매 및 비닐시클로헥산 (VCH) 을, Al/Ti 가 3-4 mol/mol 이고, Al/Do 가 또한 3-4 mol/mol 이며, 및 VCH/고체 촉매의 중량비가 1:1 이 되도록 하는 양으로, 오일, 예컨대 광물유, 예를 들어 Technol 68 (40 ℃ 에서의 동점도 62-74 cSt) 에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60-65 ℃ 로 가열하고, 반응 혼합물 중의 미반응 비닐시클로헥산의 함량이 1000 ppm 미만이 될 때까지 반응시켰다. 최종 오일-촉매 슬러리 중의 촉매 농도는 10-20 wt% 이었다.
중합예
모든 파일롯 규모 중합체는 예비중합 반응기, 하나의 슬러리 루프 반응기 및 2 개의 기체 상 반응기로 제조하였다.
촉매 공급
촉매는 피스톤 펌프에 의해 오일 슬러리 중의 중합에 연속적으로 공급하였다.
공-촉매 및 공여체
공-촉매로서 트리에틸알루미늄 (TEAL) 을 사용하였으며, 외부 공여체로서 디시클로펜틸디메톡시실란 (공여체 D) 를 사용하였다. 실제 TEAL 및 공여체 공급물은 표 1 에 나타낸다.
예비중합 반응기
촉매를 TEAL 및 D-공여체가 또한 공급된 예비중합 반응기로 프로필렌으로 플러시하였다. 예비중합 반응기, CSTR 은 30 ℃ 및 55 barg 압력에서 작동시켰다. 프로필렌 슬러리에서의 입자의 체류 시간은 약 0.38 h 이었다.
루프 반응기
예비중합된 촉매 성분은 직렬로 연결된 루프 반응기 및 기체 상 반응기 (GPR) 에서 사용하였다. 루프 반응기에 대한 공정 조건은 표 1 에 나타낸다.
기체 상 반응기 1
중합체 슬러리는 플러시없이 직접 공급으로서 루프에서 기체 상 반응기 (GPR1) 로 공급하였다. GPR 작동 온도 및 압력은 표 1 에 나타낸다.
기체 상 반응기 2
생성물은 플래시 탱크를 통해 간접 공급으로서 GPR1 에서 GPR2 로 이동시켰다. GPR 작업 온도 및 압력은 표 1 에 나타낸다.
생성물 조절
루프와 GPR 사이의 생성 스플릿은 50/50 % 에 가깝게 조절하였다. MFR (2.16 ㎏/230 ℃) 은 수소 공급에 의해 조절하였다.
최종 HECO A 및 HECO B 성분
GPR2 로부터 수득된 중합체 분말을, 스크류 직경 57 ㎜ 및 L/D 22 를 갖는 Coperion ZSK57 동시-회전 이축 압출기를 사용하여, 추가로 용융 균질화시키고, 펠렛화시켰다. 스크류 속도는 200 rpm 이었으며, 배럴 온도는 200-220 ℃ 였다.
HECO A 의 경우, 용융 균질화 단계 동안에 하기의 첨가제를 첨가하였다:
1500 ppm ADK-STAB A-612 (Adeka Corporation 에 의해 공급됨) 및 300 ppm 합성 하이드로탈사이트 (Adeka Corporation 에 의해 공급된 ADK STAB HT).
HECO B 의 경우, 용융 균질화 단계 동안에 하기의 첨가제를 첨가하였다:
1000 ppm ADK 25 STAB AO-60 (Adeka Corporation 에 의해 공급됨), 1000 ppm ADK-STAB 2112 RG (Adeka Corporation 에 의해 공급됨) 및 500 ppm 칼슘 스테아레이트 (Baerlocher 에 의해 공급된 CEASIT-AV/T).
표 1: 중합 조건
Figure 112018052211048-pct00004
IE1- IE7 의 본 발명의 PP 중합체 조성물의 추가의 성분
플라스토머 1: Queo 8230 (공급사 Borealis) 은 메탈로센 촉매를 사용하여 용액 중합 공정에서 제조한 에틸렌계 옥텐 플라스토머이다, MFR2 (190 ℃) 30 g/10 min 및 밀도 882 ㎏/㎥.
플라스토머 2: Engage 8150 (공급사 ExxonMobil) 은 메탈로센 촉매를 사용하여 용액 중합 공정에서 제조한 에틸렌계 옥텐 플라스토머이다, MFR2 (190 ℃) 0.5 g/10 min 및 밀도 868 ㎏/㎥.
접착제: 말레산 무수물 (MA) 개질된 폴리프로필렌 (ExxonMobil), MFR2 (230 ℃) 430 g/10 min, 밀도 900 ㎏/㎥, MA 함량 0.5 내지 1.0 wt%, 공급사 ExxonMobil.
탈크 및 TiO2 는 통상적인 상업용 제품이다.
IE1-IE7 의 본 발명의 PP 중합체 조성물의 제조: IE1-IE7 의 조성물은, 400 rpm 의 스크류 속도 및 90-100 ㎏/h 의 처리량을 사용하는 동시-회전 이축 압출기 (ZSK32, Coperion) 상에서, 중합체 IE1-IE7 을 다른 성분 및 통상적인 첨가제와 배합하여 제조하였다. 용융 온도는 210-230 ℃ 의 범위였다. 성분 및 이의 양은 하기 표 2 에 나타낸다.
참고 비교 조성물 CE 은 하기 표 2 에서 확인된다.
표 2: 본 발명의 PP 중합체 조성물 IE1-IE7 및 참고 PP 조성물 CE
Figure 112018052211048-pct00005
TM 인장 모듈러스
SaB 파단시 변형
HDT HDT A (평면)
CLTE MD CLTE MD -30/80 ℃
CLTE TD CLTE TD -30/80 ℃
IS (23) 충격 강도, 23 ℃
IS (-20) 충격 강도, -20 ℃
TM MD 인장 모듈러스, MD
TS 인장 강도
TSaB 파단시 인장 변형
표 3: 3-층 필름 샘플의 특성:
300 ㎛ 3-층 필름 샘플은 상기 "결정 방법" 에서 기술한 바와 같이 제조하였다. 층은 (30 ㎛ / 240 ㎛ / 30 ㎛) 의 층 두께를 갖는 IE4/IE3/IE4 로서 IE3 (코어 층) 및 IE4 (외부 층) 으로부터 제조하였다.
Figure 112018052211048-pct00006
또 다른 300 ㎛ 3-층 필름 샘플은 (30 ㎛ / 240 ㎛ / 30 ㎛) 의 층 두께를 갖는 IE7/IE6/IE7 로서 IE6 (코어 층) 및 IE7 (외부 층) 으로부터 제조하였다.
Figure 112018052211048-pct00007
결과는 본 발명의 중합체 조성물을 사용하여 제조한 본 발명의 3-층 소자가 광전지 모듈의 다층 소자, 바람직하게는 백시트 다층 소자에 매우 적합한, 매우 유리한 기계적 및 접착 특성을 가진다는 것을 나타낸다.
PV-모듈 실시예
보호성 전방 유리 소자, 전방 EVA-캡슐화 층 소자, 커넥터와 함께 광전지 소자, 후방 EVA-캡슐화 층 소자 및 상기 3-층 실시예의 본 발명의 3-층 백시트를 통상적인 적층기에서 조립하고, 진공하에서 가열하고, 이어서 통상적인 조건을 사용하여 통상적인 방식으로 PV 모듈로 압착시켰다.
전방 유리 재료, 광전지 소자, 및 전방 및 후방 캡슐화의 EVA 재료 (두 층 소자 모두에서 동일한 EVA) 는 PV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것이었다.

Claims (21)

  1. 폴리프로필렌 조성물이 하기에서 선택되는 층 소자용 폴리프로필렌 조성물:
    1) 폴리프로필렌 조성물의 총량 (100 wt%) 에 대해서, 하기를 포함하는 폴리프로필렌 조성물 (CA):
    - ISO 3146 / 파트 3 / 방법 C2 에 따라서 DSC 로 측정하는 경우, 145 ℃ 이상의 용융 온도 (Tm), 및 90 ℃ 이상의 비카트 연화 온도 (비카트 A) (ASTM D 1525, 방법 A, 50 ℃/h, 10 N 에 따름) 를 가지며,
    폴리프로필렌 매트릭스 성분 (a1) 및
    상기 폴리프로필렌 매트릭스 (a1) 내에 분산되는 엘라스토머성 프로필렌 공중합체 성분 (a2)
    를 포함하는 프로필렌의 헤테로상 공중합체 (A) 5 내지 50 wt%, 및
    - ISO 3146 / 파트 3 / 방법 C2 에 따라서 DSC 로 측정하는 경우, 145 ℃ 이상의 용융 온도 (Tm), 및 90 ℃ 이상의 비카트 연화 온도 (비카트 A) (ASTM D 1525, 방법 A, 50 ℃/h, 10 N 에 따름) 를 가지며,
    폴리프로필렌 매트릭스 성분 (b1) 및
    상기 폴리프로필렌 매트릭스 (b1) 내에 분산되는 엘라스토머성 프로필렌 공중합체 성분 (b2)
    를 포함하는 프로필렌의 헤테로상 공중합체 (B) 20 내지 60 wt%,
    - 10 내지 40 wt% 의 무기 충전제,
    - 0 내지 30 wt% 의 플라스토머, 및
    - 0.3 내지 5 wt% 의 무기 충전제 이외의 첨가제;
    여기에서, 프로필렌의 헤테로상 공중합체 (B) 의 XCS 는 프로필렌의 헤테로상 공중합체 (A) 의 XCS 보다 높다; 또는
    2) 폴리프로필렌 조성물의 총량 (100 wt%) 에 대해서, 하기를 포함하는 폴리프로필렌 조성물 (CB):
    - ISO 3146 / 파트 3 / 방법 C2 에 따라서 DSC 로 측정하는 경우, 145 ℃ 이상의 용융 온도 (Tm), 및 90 ℃ 이상의 비카트 연화 온도 (비카트 A) (ASTM D 1525, 방법 A, 50 ℃/h, 10 N 에 따름) 를 가지며,
    폴리프로필렌 매트릭스 성분 (a1) 및
    상기 폴리프로필렌 매트릭스 (a1) 내에 분산되는 엘라스토머성 프로필렌 공중합체 성분 (a2)
    를 포함하는 프로필렌의 헤테로상 공중합체 (A) 0 내지 60 wt%, 및
    - ISO 3146 / 파트 3 / 방법 C2 에 따라서 DSC 로 측정하는 경우, 145 ℃ 이상의 용융 온도 (Tm), 및 90 ℃ 이상의 비카트 연화 온도 (비카트 A) (ASTM D 1525, 방법 A, 50 ℃/h, 10 N 에 따름) 를 가지며,
    폴리프로필렌 매트릭스 성분 (b1) 및
    상기 폴리프로필렌 매트릭스 (b1) 내에 분산되는 엘라스토머성 프로필렌 공중합체 성분 (b2)
    를 포함하는 프로필렌의 헤테로상 공중합체 (B) 15 내지 84.7 wt%,
    - 15 내지 45 wt% 의 무기 충전제,
    - 0 내지 30 wt% 의 접착성 중합체,
    - 0 내지 30 wt% 의 플라스토머, 및
    - 0.3 내지 5.0 wt% 의 무기 충전제 이외의 첨가제;
    여기에서, 프로필렌의 헤테로상 공중합체 (A) 가 존재하는 경우, 프로필렌의 헤테로상 공중합체 (B) 의 XCS 는 프로필렌의 헤테로상 공중합체 (A) 의 XCS 보다 높다.
  2. 제 1 항에 있어서, 폴리프로필렌 조성물 (CA) 또는 폴리프로필렌 조성물 (CB) 가 각각 임의의 순서로, 하기의 특성 중 하나 이상을 가지는 폴리프로필렌 조성물:
    - ISO 527-2 에 따라서 사출 성형 시험편으로부터 측정하는 경우, 900 MPa 이상의 인장 모듈러스,
    - ISO 1133 (230 ℃ 및 2.16 ㎏ 하중에서) 에 따라서 측정하는 경우, 1.0 내지 25.0 g/10 min 의 MFR2,
    - 100 내지 200 ℃ 의 비카트 연화 온도 (비카트 A).
  3. 제 1 항에 있어서, 폴리프로필렌 조성물 (CA) 가 폴리프로필렌 조성물의 총량 (100 wt%) 에 대해서, 하기를 포함하는 폴리프로필렌 조성물:
    - 5 내지 50 wt% 의 프로필렌의 헤테로상 공중합체 (A),
    - 25 내지 60 wt% 의 프로필렌의 헤테로상 공중합체 (B),
    - 10 내지 40 wt% 의 무기 충전제,
    - 0 내지 30 wt% 의 플라스토머, 및
    - 0.3 내지 5 wt% 의 첨가제.
  4. 제 1 항에 있어서, 폴리프로필렌 조성물 (CB) 가 폴리프로필렌 조성물의 총량 (100 wt%) 에 대해서, 하기를 포함하는 폴리프로필렌 조성물:
    - 0 내지 60 wt% 의 프로필렌의 헤테로상 공중합체 (A),
    - 15 내지 60 wt% 의 프로필렌의 헤테로상 공중합체 (B),
    - 15 내지 45 wt% 의 무기 충전제,
    - 0 내지 30 wt% 의 접착성 중합체,
    - 0 내지 30 wt% 의 플라스토머, 및
    - 0.3 내지 5.0 wt% 의 첨가제.
  5. 제 1 항에 있어서, 폴리프로필렌 조성물 (CA) 또는 폴리프로필렌 조성물 (CB) 의 프로필렌의 헤테로상 공중합체 (A) 가 임의의 순서로, 하기의 특성 중 하나 이상을 가지는 폴리프로필렌 조성물:
    - ISO 1133 (230 ℃ 및 2.16 ㎏ 하중에서) 에 따라서 측정하는 경우, 0.2 내지 15.0 g/10 min 의 MFR2,
    - ISO 16152 에 따라서 측정하는 경우, 3 내지 30 wt% 의 양의 자일렌 저온 가용성 (XCS) 분획,
    - 정량적 13C - NMR 분광법을 통해 검정된 기본적 지정 후에 FTIR 에 의해 측정하는 경우, 0.5 내지 20 wt% 의 공단량체 함량,
    - ISO 3146 / 파트 3 / 방법 C2 에 따라서 DSC 로 측정하는 경우, 158 내지 170 ℃ 의 용융 온도, Tm,
    - ISO178 에 따라서 측정하는 경우, 900 MPa 이상의 굴곡 모듈러스,
    - 압축 성형 플라크에서 ISO 1183 에 따라서 측정하는 경우, 900 내지 910 ㎏/㎥ 의 밀도, 및/또는
    - 100 ℃ 이상의 비카트 연화 온도 (비카트 A).
  6. 제 1 항에 있어서, 폴리프로필렌 조성물 (CA) 또는 폴리프로필렌 조성물 (CB) 의 프로필렌의 헤테로상 공중합체 (B) 가 임의의 순서로, 하기의 특성 중 하나 이상을 가지는 폴리프로필렌 조성물:
    - ISO 1133 (230 ℃ 및 2.16 ㎏ 하중에서) 에 따라서 측정하는 경우, 3.0 내지 25.0 g/10 min 의 MFR2,
    - ISO 16152 에 따라서 측정하는 경우, 10 내지 60 wt% 의 양의 자일렌 저온 가용성 (XCS) 분획,
    - 정량적 13C - NMR 분광법을 통해 검정된 기본적 지정 후에 FTIR 에 의해 측정하는 경우, 5.0 내지 35 wt% 의 공단량체 함량,
    - ISO 3146 / 파트 3 / 방법 C2 에 따라서 DSC 로 측정하는 경우, 158 내지 170 ℃ 의 용융 온도, Tm,
    - ISO178 에 따라서 측정하는 경우, 1000 MPa 미만의 굴곡 모듈러스,
    - 압축 성형 플라크에서 ISO 1183 에 따라서 측정하는 경우, 900 내지 910 ㎏/㎥ 의 밀도, 및/또는
    - 90 ℃ 이상의 비카트 연화 온도 (비카트 A).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폴리프로필렌 조성물을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층을 포함하는 층 소자.
  8. 제 7 항에 있어서, 층 소자가 폴리프로필렌 조성물의 총량 (100 wt%) 에 대해서, 하기를 포함하는 폴리프로필렌 조성물 (CA) 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층을 포함하는 층 소자:
    - ISO 3146 / 파트 3 / 방법 C2 에 따라서 DSC 로 측정하는 경우, 145 ℃ 이상의 용융 온도 (Tm), 및 90 ℃ 이상의 비카트 연화 온도 (ASTM D 1525, 방법 A, 50 ℃/h, 10 N 에 따름) 를 가지며,
    폴리프로필렌 매트릭스 성분 (a1) 및
    상기 폴리프로필렌 매트릭스 (a1) 내에 분산되는 엘라스토머성 프로필렌 공중합체 성분 (a2)
    를 포함하는 프로필렌의 헤테로상 공중합체 (A) 5 내지 50 wt%, 및
    - ISO 3146 / 파트 3 / 방법 C2 에 따라서 DSC 로 측정하는 경우, 145 ℃ 이상의 용융 온도 (Tm), 및 90 ℃ 이상의 비카트 연화 온도 (ASTM D 1525, 방법 A, 50 ℃/h, 10 N 에 따름) 를 가지며,
    폴리프로필렌 매트릭스 성분 (b1) 및
    상기 폴리프로필렌 매트릭스 (b1) 내에 분산되는 엘라스토머성 프로필렌 공중합체 성분 (b2)
    를 포함하는 프로필렌의 헤테로상 공중합체 (B) 20 내지 60 wt%,
    - 10 내지 40 wt% 의 무기 충전제,
    - 0 내지 30 wt% 의 플라스토머, 및
    - 0.3 내지 5 wt% 의 무기 충전제 이외의 첨가제;
    여기에서, 프로필렌의 헤테로상 공중합체 (B) 의 XCS 는 프로필렌의 헤테로상 공중합체 (A) 의 XCS 보다 높다.
  9. 제 7 항에 있어서, 층 소자가 폴리프로필렌 조성물의 총량 (100 wt%) 에 대해서, 하기를 포함하는 폴리프로필렌 조성물 (CB) 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층을 포함하는 층 소자:
    - ISO 3146 / 파트 3 / 방법 C2 에 따라서 DSC 로 측정하는 경우, 145 ℃ 이상의 용융 온도 (Tm), 및 90 ℃ 이상의 비카트 연화 온도 (ASTM D 1525, 방법 A, 50 ℃/h, 10 N 에 따름) 를 가지며,
    폴리프로필렌 매트릭스 성분 (a1) 및
    상기 폴리프로필렌 매트릭스 (a1) 내에 분산되는 엘라스토머성 프로필렌 공중합체 성분 (a2)
    를 포함하는 프로필렌의 헤테로상 공중합체 (A) 0 내지 60 wt%, 및
    - ISO 3146 / 파트 3 / 방법 C2 에 따라서 DSC 로 측정하는 경우, 145 ℃ 이상의 용융 온도 (Tm), 및 90 ℃ 이상의 비카트 연화 온도 (ASTM D 1525, 방법 A, 50 ℃/h, 10 N 에 따름) 를 가지며,
    폴리프로필렌 매트릭스 성분 (b1) 및
    상기 폴리프로필렌 매트릭스 (b1) 내에 분산되는 엘라스토머성 프로필렌 공중합체 성분 (b2)
    를 포함하는 프로필렌의 헤테로상 공중합체 (B) 15 내지 84.7 wt%,
    - 15 내지 45 wt% 의 무기 충전제,
    - 0 내지 30 wt% 의 접착성 중합체,
    - 0 내지 30 wt% 의 플라스토머, 및
    - 0.3 내지 5.0 wt% 의 무기 충전제 이외의 첨가제;
    여기에서, 프로필렌의 헤테로상 공중합체 (A) 가 존재하는 경우, 프로필렌의 헤테로상 공중합체 (B) 의 XCS 는 프로필렌의 헤테로상 공중합체 (A) 의 XCS 보다 높다.
  10. 제 7 항에 있어서, 층 소자가 폴리프로필렌 조성물 (CA) 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층; 및 임의로 폴리프로필렌 조성물 (CB) 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또 다른 층을 포함하는 층 소자.
  11. 제 7 항에 있어서, 층 소자가 폴리프로필렌 조성물 (CB) 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층; 및 임의로 폴리프로필렌 조성물 (CA) 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또 다른 층을 포함하는 층 소자.
  12. 제 7 항에 있어서, 층 소자가 소정의 순서로, 적어도 제 1 층 / 제 2 층 / 제 3 층을 포함하는 다층 소자이고, 상기 적어도 제 1 층은 폴리프로필렌 조성물 (CB) 를 포함하며; 제 2 층은 폴리프로필렌 조성물 (CA) 를 포함하는 층 소자.
  13. 제 7 항에 있어서, 소정의 순서로, 적어도 제 1 층 / 제 2 층 / 제 3 층을 포함하는 물품의 층 소자인 층 소자.
  14. 제 7 항에 따른 층 소자를 포함하는 물품.
  15. 제 7 항에 따른 층 소자를 포함하는 광전지 모듈인 물품.
  16. 하나 이상의 광전지 소자, 및 제 7 항에 따른 층 소자인 하나 이상의 층 소자를 포함하는 광전지 모듈.
  17. 소정의 순서로, 보호성 전방 층 소자, 전방 캡슐화 층 소자, 광전지 소자, 후방 캡슐화 층 소자, 백시트 층 소자 (본원에서 보호성 백 층 소자라고도 함) 를 포함하는 광전지 모듈로서, 상기 전방 캡슐화 층 소자, 후방 캡슐화 층 소자 및 백시트 층 소자 중 하나 이상은 제 7 항에 따른 층 소자를 포함하고, 상기 백시트 소자는 제 1 층 / 제 2 층 / 제 3 층 - 소자를 포함하는 백시트 다층 소자이며,
    상기 제 1 층은 폴리프로필렌 조성물의 총량 (100 wt%) 에 대해서, 하기를 포함하는 폴리프로필렌 조성물 (CB) 를 포함하고:
    - ISO 3146 / 파트 3 / 방법 C2 에 따라서 DSC 로 측정하는 경우, 145 ℃ 이상의 용융 온도 (Tm), 및 90 ℃ 이상의 비카트 연화 온도 (ASTM D 1525, 방법 A, 50 ℃/h, 10 N 에 따름) 를 가지며,
    폴리프로필렌 매트릭스 성분 (a1) 및
    상기 폴리프로필렌 매트릭스 (a1) 내에 분산되는 엘라스토머성 프로필렌 공중합체 성분 (a2)
    를 포함하는 프로필렌의 헤테로상 공중합체 (A) 0 내지 60 wt%, 및
    - ISO 3146 / 파트 3 / 방법 C2 에 따라서 DSC 로 측정하는 경우, 145 ℃ 이상의 용융 온도 (Tm), 및 90 ℃ 이상의 비카트 연화 온도 (ASTM D 1525, 방법 A, 50 ℃/h, 10 N 에 따름) 를 가지며,
    폴리프로필렌 매트릭스 성분 (b1) 및
    상기 폴리프로필렌 매트릭스 (b1) 내에 분산되는 엘라스토머성 프로필렌 공중합체 성분 (b2)
    를 포함하는 프로필렌의 헤테로상 공중합체 (B) 15 내지 84.7 wt%,
    - 15 내지 45 wt% 의 무기 충전제,
    - 0 내지 30 wt% 의 접착성 중합체,
    - 0 내지 30 wt% 의 플라스토머, 및
    - 0.3 내지 5.0 wt% 의 무기 충전제 이외의 첨가제;
    여기에서, 프로필렌의 헤테로상 공중합체 (A) 가 존재하는 경우, 프로필렌의 헤테로상 공중합체 (B) 의 XCS 는 프로필렌의 헤테로상 공중합체 (A) 의 XCS 보다 높다; 및
    상기 제 2 층은 폴리프로필렌 조성물의 총량 (100 wt%) 에 대해서, 하기를 포함하는 폴리프로필렌 조성물 (CA) 를 포함하는:
    - ISO 3146 / 파트 3 / 방법 C2 에 따라서 DSC 로 측정하는 경우, 145 ℃ 이상의 용융 온도 (Tm), 및 90 ℃ 이상의 비카트 연화 온도 (ASTM D 1525, 방법 A, 50 ℃/h, 10 N 에 따름) 를 가지며,
    폴리프로필렌 매트릭스 성분 (a1) 및
    상기 폴리프로필렌 매트릭스 (a1) 내에 분산되는 엘라스토머성 프로필렌 공중합체 성분 (a2)
    를 포함하는 프로필렌의 헤테로상 공중합체 (A) 5 내지 50 wt%, 및
    - ISO 3146 / 파트 3 / 방법 C2 에 따라서 DSC 로 측정하는 경우, 145 ℃ 이상의 용융 온도 (Tm), 및 90 ℃ 이상의 비카트 연화 온도 (ASTM D 1525, 방법 A, 50 ℃/h, 10 N 에 따름) 를 가지며,
    폴리프로필렌 매트릭스 성분 (b1) 및
    상기 폴리프로필렌 매트릭스 (b1) 내에 분산되는 엘라스토머성 프로필렌 공중합체 성분 (b2)
    를 포함하는 프로필렌의 헤테로상 공중합체 (B) 20 내지 60 wt%,
    - 10 내지 40 wt% 의 무기 충전제,
    - 0 내지 30 wt% 의 플라스토머, 및
    - 0.3 내지 5 wt% 의 무기 충전제 이외의 첨가제;
    여기에서, 프로필렌의 헤테로상 공중합체 (B) 의 XCS 는 프로필렌의 헤테로상 공중합체 (A) 의 XCS 보다 높다;
    광전지 모듈.
  18. 제 7 항에 따른 층 소자인, 광전지 모듈의 백시트 층 소자.
  19. 백시트 층 소자가 소정의 순서로, 제 1 층 / 제 2 층 / 제 3 층 - 소자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층 및 임의로 상기 제 3 층은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서 정의하는 바와 같은, 폴리프로필렌 조성물의 총량 (100 wt%) 에 대해서, 하기를 포함하는 폴리프로필렌 조성물 (CB) 를 포함하고:
    - ISO 3146 / 파트 3 / 방법 C2 에 따라서 DSC 로 측정하는 경우, 145 ℃ 이상의 용융 온도 (Tm), 및 90 ℃ 이상의 비카트 연화 온도 (ASTM D 1525, 방법 A, 50 ℃/h, 10 N 에 따름) 를 가지며,
    폴리프로필렌 매트릭스 성분 (a1) 및
    상기 폴리프로필렌 매트릭스 (a1) 내에 분산되는 엘라스토머성 프로필렌 공중합체 성분 (a2)
    를 포함하는 프로필렌의 헤테로상 공중합체 (A) 0 내지 60 wt%, 및
    - ISO 3146 / 파트 3 / 방법 C2 에 따라서 DSC 로 측정하는 경우, 145 ℃ 이상의 용융 온도 (Tm), 및 90 ℃ 이상의 비카트 연화 온도 (ASTM D 1525, 방법 A, 50 ℃/h, 10 N 에 따름) 를 가지며,
    폴리프로필렌 매트릭스 성분 (b1) 및
    상기 폴리프로필렌 매트릭스 (b1) 내에 분산되는 엘라스토머성 프로필렌 공중합체 성분 (b2)
    를 포함하는 프로필렌의 헤테로상 공중합체 (B) 15 내지 84.7 wt%,
    - 15 내지 45 wt% 의 무기 충전제,
    - 0 내지 30 wt% 의 접착성 중합체,
    - 0 내지 30 wt% 의 플라스토머, 및
    - 0.3 내지 5.0 wt% 의 무기 충전제 이외의 첨가제;
    여기에서, 프로필렌의 헤테로상 공중합체 (A) 가 존재하는 경우, 프로필렌의 헤테로상 공중합체 (B) 의 XCS 는 프로필렌의 헤테로상 공중합체 (A) 의 XCS 보다 높다; 및
    상기 제 2 층은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서 정의하는 바와 같은, 폴리프로필렌 조성물의 총량 (100 wt%) 에 대해서, 하기를 포함하는 폴리프로필렌 조성물 (CA) 를 포함하고:
    - ISO 3146 / 파트 3 / 방법 C2 에 따라서 DSC 로 측정하는 경우, 145 ℃ 이상의 용융 온도 (Tm), 및 90 ℃ 이상의 비카트 연화 온도 (ASTM D 1525, 방법 A, 50 ℃/h, 10 N 에 따름) 를 가지며,
    폴리프로필렌 매트릭스 성분 (a1) 및
    상기 폴리프로필렌 매트릭스 (a1) 내에 분산되는 엘라스토머성 프로필렌 공중합체 성분 (a2)
    를 포함하는 프로필렌의 헤테로상 공중합체 (A) 5 내지 50 wt%, 및
    - ISO 3146 / 파트 3 / 방법 C2 에 따라서 DSC 로 측정하는 경우, 145 ℃ 이상의 용융 온도 (Tm), 및 90 ℃ 이상의 비카트 연화 온도 (ASTM D 1525, 방법 A, 50 ℃/h, 10 N 에 따름) 를 가지며,
    폴리프로필렌 매트릭스 성분 (b1) 및
    상기 폴리프로필렌 매트릭스 (b1) 내에 분산되는 엘라스토머성 프로필렌 공중합체 성분 (b2)
    를 포함하는 프로필렌의 헤테로상 공중합체 (B) 20 내지 60 wt%,
    - 10 내지 40 wt% 의 무기 충전제,
    - 0 내지 30 wt% 의 플라스토머, 및
    - 0.3 내지 5 wt% 의 무기 충전제 이외의 첨가제;
    여기에서, 프로필렌의 헤테로상 공중합체 (B) 의 XCS 는 프로필렌의 헤테로상 공중합체 (A) 의 XCS 보다 높은 백시트 소자.
  20. 삭제
  21. 삭제
KR1020187015056A 2015-10-28 2016-07-29 층 소자용 폴리프로필렌 조성물 KR10211460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5191896.8 2015-10-28
EP15191896 2015-10-28
PCT/EP2016/068152 WO2017071847A1 (en) 2015-10-28 2016-07-29 Polypropylene composition for a layer elemen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96600A KR20180096600A (ko) 2018-08-29
KR102114605B1 true KR102114605B1 (ko) 2020-05-26

Family

ID=544785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15056A KR102114605B1 (ko) 2015-10-28 2016-07-29 층 소자용 폴리프로필렌 조성물

Country Status (17)

Country Link
US (1) US10934422B2 (ko)
EP (1) EP3368605B1 (ko)
JP (1) JP6793739B2 (ko)
KR (1) KR102114605B1 (ko)
CN (1) CN108431121B (ko)
AU (1) AU2016345511B2 (ko)
BR (1) BR112018008441B1 (ko)
CA (1) CA3003490C (ko)
EA (1) EA201800273A1 (ko)
ES (1) ES2914237T3 (ko)
MX (1) MX2018004910A (ko)
MY (1) MY185749A (ko)
PH (1) PH12018500920A1 (ko)
PL (1) PL3368605T3 (ko)
SA (1) SA518391439B1 (ko)
WO (1) WO2017071847A1 (ko)
ZA (1) ZA201802569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A201991032A1 (ru) * 2016-11-09 2019-10-31 Композиция полипропилена
WO2019228908A2 (en) * 2018-05-28 2019-12-05 Borealis Ag Devices for a photovoltaic (pv) module
KR102662120B1 (ko) * 2018-10-02 2024-04-30 보레알리스 아게 그래프팅된 플라스토머의 고속 가교
CN109728115B (zh) * 2018-12-26 2020-11-06 苏州度辰新材料有限公司 一种挤出型太阳能背板
WO2021058264A1 (en) * 2019-09-23 2021-04-01 Basell Poliolefine Italia S.R.L. Propylene-based composition for pipes
CN114555692A (zh) * 2019-09-30 2022-05-27 博禄塑料(上海)有限公司 用于挤出作为用于汽车内饰制品的层压薄膜的聚丙烯组合物
EP3650494A3 (en) * 2020-02-14 2020-05-27 SABIC Global Technologies B.V. Matte film comprising heterophasic propylene copolymer composition
EP3650495A3 (en) * 2020-02-14 2020-05-27 SABIC Global Technologies B.V. Film comprising heterophasic propylene copolymer composition
WO2021160773A1 (en) * 2020-02-14 2021-08-19 Sabic Global Technologies B.V. Film comprising heterophasic propylene copolymer composition
EP3915782A1 (en) 2020-05-25 2021-12-01 Borealis AG Layer element suitable as integrated backsheet element of a photovoltaic module
US20230197871A1 (en) 2020-05-25 2023-06-22 Borealis Ag Layer element suitable as integrated backsheet for a bifacial photovoltaic modul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5040270A1 (en) * 2003-10-16 2005-05-06 Treofan Germany Gmbh & Co. Kg Transparent and coloured cast film for in mould labelling application
WO2010142540A1 (en) 2009-06-09 2010-12-16 Borealis Ag Automotive material with excellent flow, high stiffness, excellent ductility and low clte
US20130203908A1 (en) 2010-08-27 2013-08-08 Borealis Ag Stiff polypropylene composition with excellent elongation at break
WO2015044116A1 (en) 2013-09-27 2015-04-02 Borealis Ag Polymer composition with high xs, high tm suitable for bopp processing

Family Cites Families (4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26963A (en) 1971-06-25 1980-10-07 Montedison S.P.A. Process for the stereoregular polymerization of alpha-olephins
US4107414A (en) 1971-06-25 1978-08-15 Montecatini Edison S.P.A. Process for the stereoregular polymerization of alpha olefins
US4186107A (en) 1978-04-14 1980-01-29 Hercules Incorporated Solid catalyst component for olefin polymerization
US4347160A (en) 1980-06-27 1982-08-31 Stauffer Chemical Company Titanium halide catalyst system
IT1209255B (it) 1980-08-13 1989-07-16 Montedison Spa Catalizzatori per la polimerizzazione di olefine.
JPS57153005A (en) 1981-03-19 1982-09-21 Ube Ind Ltd Polymerization of alpha-olefin
US4530912A (en) 1981-06-04 1985-07-23 Chemplex Company Polymerization catalyst and method
EP0072129B2 (en) 1981-08-07 1990-02-28 Imperial Chemical Industries Plc Supported transition metal composition
US4382019A (en) 1981-09-10 1983-05-03 Stauffer Chemical Company Purified catalyst support
IT1190683B (it) 1982-02-12 1988-02-24 Montedison Spa Componenti e catalizzatori per la polimerizzazione di olefine
IT1190681B (it) 1982-02-12 1988-02-24 Montedison Spa Componenti e catalizzatori per la polimerizzazione di olefine
IT1190682B (it) 1982-02-12 1988-02-24 Montedison Spa Catalizzatori per la polimerizzazione di olefine
US4532313A (en) 1982-10-13 1985-07-30 Himont Incorporated Method for preparing an improved catalyst support, Ziegler-Natta catalyst utilizing said support and polymerization of 1-olefins utilizing said catalyst
US4560671A (en) 1983-07-01 1985-12-24 Union Carbide Corporation Olefin polymerization catalysts adapted for gas phase processes
US4657882A (en) 1984-11-26 1987-04-14 Amoco Corporation Supported olefin polymerization catalyst produced from a magnesium alkyl/organophosphoryl complex
US4581342A (en) 1984-11-26 1986-04-08 Standard Oil Company (Indiana) Supported olefin polymerization catalyst
FI80055C (fi) 1986-06-09 1990-04-10 Neste Oy Foerfarande foer framstaellning av katalytkomponenter foer polymerisation av olefiner.
FI86866C (fi) 1990-12-19 1992-10-26 Neste Oy Foerfarande foer modifiering av katalysatorer avsedda foer polymerisation av olefiner
FI86867C (fi) 1990-12-28 1992-10-26 Neste Oy Flerstegsprocess foer framstaellning av polyeten
FI88047C (fi) 1991-05-09 1993-03-25 Neste Oy Pao tvenne elektrondonorer baserad katalysator foer polymerisation av olefiner
FI88048C (fi) 1991-05-09 1993-03-25 Neste Oy Grovkornig polyolefin, dess framstaellningsmetod och en i metoden anvaend katalysator
FI88049C (fi) 1991-05-09 1993-03-25 Neste Oy Polyolefin med stora porer, foerfarande foer dess framstaellning och en i foerfarandet anvaend katalysator
FI90247C (fi) 1991-05-31 1994-01-10 Borealis As Menetelmä polymerointikatalyytin aktiivisten ja tasakokoisten kantajahiukkasten valmistamiseksi
FI90248C (fi) 1991-11-29 1994-01-10 Borealis As Menetelmä hiukkasmaisen kantajan valmistamiseksi olefiinipolymerointikatalyyttiä varten
FI91967C (fi) 1991-11-29 1994-09-12 Borealis Polymers Oy Menetelmä olefiinipolymerointikatalyyttien valmistamiseksi
FI95715C (fi) 1992-03-24 1996-03-11 Neste Oy Suihkukiteyttämällä valmistetun polymerointikatalyyttikantajan valmistus
FI96214C (fi) 1994-05-31 1996-05-27 Borealis As Olefiinien polymerointiin tarkoitettu stereospesifinen katalyyttisysteemi
FI102070B1 (fi) 1996-03-29 1998-10-15 Borealis As Uusi kompleksiyhdiste, sen valmistus ja käyttö
FI963707A0 (fi) 1996-09-19 1996-09-19 Borealis Polymers Oy Foerfarande foer polymerisering av alfa-olefiner, vid polymerisering anvaendbar katalysator och foerfarande foer framstaellning av densamma
FI111848B (fi) 1997-06-24 2003-09-30 Borealis Tech Oy Menetelmä ja laitteisto propeenin homo- ja kopolymeerien valmistamiseksi
FI974175A (fi) 1997-11-07 1999-05-08 Borealis As Menetelmä polypropeenin valmistamiseksi
FI980342A0 (fi) 1997-11-07 1998-02-13 Borealis As Polymerroer och -roerkopplingar
WO1999033842A1 (en) 1997-12-23 1999-07-08 Borealis Technology Oy Product containing magnesium, halogen and alkoxy
FI991057A0 (fi) 1999-05-07 1999-05-07 Borealis As Korkean jäykkyyden propeenipolymeerit ja menetelmä niiden valmistamiseksi
ATE328015T1 (de) 2001-06-20 2006-06-15 Borealis Polymers Oy Herstellung eines katalysatorbestandteils zur olefinpolymerisation
ATE328912T1 (de) 2001-06-20 2006-06-15 Borealis Tech Oy Herstellung eines katalysatorbestandteils zur olefinpolymerisation
EP1516000B1 (en) 2002-06-25 2011-02-23 Borealis Technology Oy Polyolefin with improved scratch resistance and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EP1403292B1 (en) 2002-09-30 2016-04-13 Borealis Polymers Oy Process for preparing an olefin polymerisation catalyst component with improved high temperature activity
EP1484343A1 (en) 2003-06-06 2004-12-08 Universiteit Twente Process for the catalytic polymerization of olefins, a reactor system and its use in the same process
JP2007150084A (ja) 2005-11-29 2007-06-14 Dainippon Printing Co Ltd 太陽電池モジュール用裏面保護シート、太陽電池モジュール用裏面積層体、および、太陽電池モジュール
WO2009151029A1 (ja) * 2008-06-09 2009-12-17 Jsr株式会社 封止材料およびそれを用いた太陽電池モジュール
EP2461973B9 (en) 2009-07-23 2015-04-29 RENOLIT Belgium N.V. Photovoltaic modules with polypropylene based backsheet
EP2415790B1 (en) 2010-07-13 2014-09-24 Borealis AG Catalyst component
CN103119726A (zh) 2010-09-29 2013-05-22 东丽薄膜先端加工股份有限公司 太阳能电池背面保护片材用聚烯烃类树脂多层膜
ES2727405T3 (es) 2011-12-30 2019-10-16 Borealis Ag Preparación de catalizadores de ZN PP libres de ftalato
US20150027516A1 (en) * 2012-03-12 2015-01-29 Renolit Belgium N.V. Backsheet and photovoltaic modules comprising it
EP2886599A1 (en) 2013-12-19 2015-06-24 Borealis AG Soft heterophasic polyolefin composition
CN106255719B (zh) 2014-05-12 2019-11-19 博里利斯股份公司 用于制备光伏模块的层的聚丙烯组合物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5040270A1 (en) * 2003-10-16 2005-05-06 Treofan Germany Gmbh & Co. Kg Transparent and coloured cast film for in mould labelling application
WO2010142540A1 (en) 2009-06-09 2010-12-16 Borealis Ag Automotive material with excellent flow, high stiffness, excellent ductility and low clte
US20130203908A1 (en) 2010-08-27 2013-08-08 Borealis Ag Stiff polypropylene composition with excellent elongation at break
WO2015044116A1 (en) 2013-09-27 2015-04-02 Borealis Ag Polymer composition with high xs, high tm suitable for bopp process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A201800273A1 (ru) 2018-10-31
MY185749A (en) 2021-06-03
SA518391439B1 (ar) 2021-09-21
MX2018004910A (es) 2018-11-09
EP3368605A1 (en) 2018-09-05
WO2017071847A1 (en) 2017-05-04
JP6793739B2 (ja) 2020-12-02
CN108431121B (zh) 2021-04-09
BR112018008441A2 (pt) 2018-11-06
EP3368605B1 (en) 2022-04-20
KR20180096600A (ko) 2018-08-29
CN108431121A (zh) 2018-08-21
ES2914237T3 (es) 2022-06-08
CA3003490C (en) 2021-04-27
PL3368605T3 (pl) 2022-08-22
CA3003490A1 (en) 2017-05-04
JP2018536081A (ja) 2018-12-06
ZA201802569B (en) 2019-01-30
PH12018500920A1 (en) 2018-11-05
US20190382567A1 (en) 2019-12-19
AU2016345511B2 (en) 2019-07-11
US10934422B2 (en) 2021-03-02
BR112018008441B1 (pt) 2022-05-10
AU2016345511A1 (en) 2018-05-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14605B1 (ko) 층 소자용 폴리프로필렌 조성물
EP3143645B1 (en) Polypropylene composition for producing a layer of a photovoltaic module
AU2018216859B2 (en) Article comprising a layer element
EP3497156A1 (en) Polypropylene composition with flame retardant activity
CN109923164B (zh) 聚丙烯组合物
TWM575452U (zh) 層元件、包含層元件之製品、光伏打模組、光伏打模組之背部薄片層元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