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12556B1 - 방수 커넥터 - Google Patents

방수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12556B1
KR102112556B1 KR1020177008428A KR20177008428A KR102112556B1 KR 102112556 B1 KR102112556 B1 KR 102112556B1 KR 1020177008428 A KR1020177008428 A KR 1020177008428A KR 20177008428 A KR20177008428 A KR 20177008428A KR 102112556 B1 KR102112556 B1 KR 1021125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ll
waterproof
contact
housing
conn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084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46175A (ko
Inventor
카츠미 아라이
히로시 아키모토
후미키 야마다
토시유키 시모다
Original Assignee
니혼 고꾸 덴시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혼 고꾸 덴시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니혼 고꾸 덴시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700461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461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125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125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2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es
    • H01R13/5202Sealing means between parts of housing or between housing part and a wall, e.g. sealing r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2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0Securing contact members in or to a base or case; Insulating of contact members
    • H01R13/405Securing in non-demountable manner, e.g. moulding, riveting
    • H01R13/41Securing in non-demountable manner, e.g. moulding, riveting by frictional grip in grommet, panel or bas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2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es
    • H01R13/5213Cov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H01R13/658High frequency shielding arrangements, e.g. against EMI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or EMP [Electro-Magnetic Pulse]
    • H01R13/6581Shield structure
    • H01R13/6585Shielding material individually surrounding or interposed between mutually spaced contacts
    • H01R13/6586Shielding material individually surrounding or interposed between mutually spaced contacts for separating multiple connector modules
    • H01R13/6587Shielding material individually surrounding or interposed between mutually spaced contacts for separating multiple connector modules for mounting on PCB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2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es
    • H01R13/5216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es characterised by the sealing material, e.g. gels or resi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60Contacts spaced along planar side wall transverse to longitudinal axis of engagement
    • H01R24/62Sliding engagements with one side only, e.g. modular jack coupling devices

Landscapes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방수 커넥터는 절연성 수지로 형성되는 하우징(10)과, 하우징(10)에 일체로 성형된 하나 이상의 도전 부재(20, 30)를 구비한다. 도전 부재(20, 30)는 하우징(10)으로부터 노출되어 상대측 커넥터에 접속되는 커넥터 접속부(21, 31)와, 하우징(10)으로부터 노출되어 기판에 접속되는 기판 접속부(22, 32)와, 커넥터 접속부(21, 31)와 기판 접속부(22, 32) 사이를 접속하되, 하우징(10) 내에 매립되는 고정부(23, 33)를 갖는다. 고정부(23, 33)의 표면에 고정부(23, 33)와 하우징(10)과의 계면을 따른 물의 침입을 차단하기 위한 방수 형상부(24, 34)가 형성된다. 방수형상부(24, 34)는 고정부(23, 33)의 표면으로부터 고정부(23, 33)의 바깥쪽으로 돌출되는 돌기(25)와, 돌기(25)에 인접하되 고정부(23, 33)의 표면으로부터 고정부(23, 33)의 안쪽으로 패인 홈(26)을 갖는다. 돌기(25)의 정상부와 돌기(25)에 인접하는 홈(26)의 바닥부가 고정부(23, 33)의 표면에 대하여 경사 또는 직교하는 장벽면(27)에 의해 접속되어 있다.

Description

방수 커넥터{WATERPROOF CONNECTOR}
본 발명은 방수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콘택트 및 쉘 등의 도전 부재가 절연성 수지로 형성되는 하우징에 일체로 성형된 방수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최근, 각종 전자기기 등에서 방수 기능에 대한 요구가 높으며, 이에 수반하여 외부기기와 접속하기 위한 커넥터로서 방수성을 구비한 방수 커넥터의 개발이 진행되고 있다.
이러한 종류의 방수 커넥터로서, 인서트 성형 등에 의해 콘택트 및 쉘 등의 도전 부재를 절연성 수지로 형성되는 하우징 내에 일체적으로 성형한 것이 있다. 일체적으로 성형함으로써 절연성 수지의 성형 수축력에 의해 하우징 내에 매몰되는 부분의 도전 부재의 표면이 절연성 수지와 밀착되고, 커넥터의 외부로부터 하우징과 도전 부재와의 경계부를 통해 커넥터 내부에 물이 침입하는 것이 방지된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콘택트 및 쉘 등의 도전 부재를 형성하는 금속 재료와 하우징을 형성하는 수지 재료에서 서로 열팽창계수가 다르기 때문에, 예를 들어 커넥터를 전자기기의 회로기판에 장착할 때의 납땜 작업 등, 예를 들어 리플로우 실장에 의해 커넥터가 고온 환경하에 노출되면, 도전 부재의 팽창량과 절연성 수지의 팽창량이 달라, 도전 부재의 표면에 밀착되어 있던 절연성 수지가 도전 부재의 표면으로부터 박리되는 경우가 있다. 일단 박리가 생기면 도전 부재의 표면과 절연성 수지 사이에 간극이 형성되고, 상온까지 온도가 내려가도 이 간극을 통해 커넥터 내부로 물이 침입할 우려가 생긴다.
또한, 커넥터에 상대측 커넥터를 끼워 맞출 때에 끼워 맞춤축에 대하여 경사방향으로부터 무리하게 끼워 맞추는, 말하자면 억지 끼워 맞춤이 행해져, 하우징과 도전 부재 사이에 커다란 응력이 작용하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에도 하우징의 절연성 수지가 도전 부재의 표면으로부터 박리되어 커넥터의 방수성이 손상될 우려가 있다.
따라서, 하우징 내에 매몰되는 부분의 도전 부재의 표면에 홈 또는 돌기로 이루어지는 방수 형상부를 형성함으로써, 방수성을 향상시킨 방수 커넥터가 본 출원인에 의해 출원되고, 등록되어 있다(특허문헌 1).
특허문헌 1의 방수 커넥터에서는, 예를 들어, 도 15(A)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절연성 수지로 형성되는 하우징(1) 내에 매립되어 고정되는 도전 부재(2)의 고정부의 표면에 각각 도전 부재(2)의 주위를 둘러싸서 닫는 복수의 홈(3)이 형성되는, 또는 도 15(B)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절연성 수지로 형성되는 하우징(4) 내에 매립되어 고정되는 도전 부재(5)의 고정부의 표면에 각각 도전 부재(5)의 주위를 둘러싸서 닫는 복수의 돌기(6)가 형성된다.
이러한 홈(3) 또는 돌기(6)의 존재에 의해 절연성 수지 재료와 금속 재료의 열팽창계수의 차이, 또는 말하자면 억지 끼워 맞춤 등에 기인하여, 가령 하우징(1 또는 4)을 구성하는 절연성 수지가 도전 부재(2 또는 5)의 표면으로부터 박리되고, 하우징(1 또는 4)과 도전 부재(2 또는 5)와의 계면을 따라 물이 침입했다고 해도, 침입한 물은 홈(3) 또는 돌기(6)에서 차단된다.
[특허문헌]
특허문헌 1 : 특허 제5433776호 공보
홈(3) 또는 돌기(6)는 침입한 물을 차단하기 위해 소정값 이상의 고저차(H0)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도 15(A)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고저차가 큰 홈(3)을 형성하면, 그만큼 도전 부재(2)의 단면적이 줄어들어 도전 부재(2)의 전기저항이나 강도가 저하될 우려가 있다.
또한, 도 15(B)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고저차가 큰 돌기(6)를 형성하면 일체 성형시에 금형 내에 주입되는 절연성 수지의 유동성이 저해되어 하우징(4)의 성형성의 저하를 초래할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 방수성을 향상시키면서도 도전 부재의 전기저항의 저하 및 하우징의 성형성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는 방수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방수 커넥터는 절연성 수지로 형성되는 하우징과, 하우징에 일체로 성형된 하나 이상의 도전 부재를 구비하고, 도전 부재는 하우징으로부터 노출되어 상대측 커넥터에 접속되는 커넥터 접속부와, 하우징으로부터 노출되어 기판에 접속되는 기판 접속부와, 커넥터 접속부와 기판 접속부 사이를 접속하되, 하우징 내에 매립되는 고정부를 갖고, 고정부의 표면에 고정부와 하우징과의 계면을 따른 물의 침입을 차단하기 위한 방수 형상부가 형성되고, 방수 형상부는 고정부의 표면으로부터 고정부의 바깥쪽으로 돌출되는 돌기와, 돌기에 인접하되 고정부의 표면으로부터 고정부의 안쪽으로 패인 홈을 갖고, 돌기의 정상부와 돌기에 인접하는 홈의 바닥부가 고정부의 표면에 대하여 경사 또는 직교하는 장벽면에 의해 접속되어 있는 것이다.
방수 형상부의 장벽면은 0.01mm 이상의 고저차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방수 형상부는 고정부의 주위를 둘러싸서 닫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방수 형상부의 장벽면은 평면, 곡면, 또는 평면과 곡면의 조합으로 형성할 수 있다.
도전부재는 하나 이상의 콘택트로 형성되고, 커넥터 접속부는 상대측 커넥터의 콘택트에 접촉하는 접점부로 형성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는, 도전 부재는 쉘로 형성되고, 커넥터 접속부는 상대측 커넥터와 끼워 맞추는 끼워 맞춤부로 형성되고, 고정부는 커넥터 접속부보다 가늘게 형성된 쉘 협착부를 포함하고, 방수 형상부는 쉘 협착부의 표면에 형성되어 있도록 구성해도 된다.
또한, 도전 부재는 쉘로 이루어지고, 커넥터 접속부는 상대측 커넥터와 끼워 맞추는 끼워 맞춤부로 형성되고, 고정부는 중공의 형상을 갖고, 방수 형상부는 고정부의 외주면 및 내주면에 각각 형성되어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도전 부재는 쉘 및 하나 이상의 콘택트로 형성되고, 방수 형상부는 쉘 및 하나 이상의 콘택트에 각각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도전 부재의 고정부의 표면에 형성되는 방수 형상부가 고정부의 표면에서 고정부의 바깥쪽으로 돌출하는 돌기와, 돌기에 인접하되 고정부의 표면에서 고정부의 안쪽으로 패인 홈을 갖고, 돌기의 정상부와 돌기에 인접하는 홈의 바닥부가 고정부의 표면에 대하여 경사 또는 직교하는 장벽면에 의해 접속되어 있으므로, 방수성을 향상시키면서도 도전 부재의 전기저항의 저하 및 하우징의 성형성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방수 커넥터를 나타내고, (A)는 경사상방이면서 전방에서 본 사시도, (B)는 경사 상방이면서 후방에서 본 사시도, (C)는 경사 하방이면서 전방에서 본 사시도, (D)는 경사 하방이면서 후방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2는 제 1 실시예의 방수 커넥터에 이용된 쉘을 나타내고, (A)는 경사 상방이면서 전방에서 본 사시도, (B)는 경사 상방이면서 후방에서 본 사시도, (C)는 경사 하방이면서 전방에서 본 사시도, (D)는 경사 하방이면서 후방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3은 제 1 실시예의 방수 커넥터에 이용된 쉘의 전개도이다.
도 4는 제 1 실시예의 방수 커넥터에 이용된 콘택트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제 1 실시예에 따른 방수 커넥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제 1 실시예에 따른 방수 커넥터의 하우징에 매립된 콘택트의 고정부를 나타내는 부분 단면도이다.
도 7은 제 1 실시예에 따른 방수 커넥터를 쉘 방수 형상부의 높이에서 절단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8은 제 1 실시예에 따른 방수 커넥터를 콘택트의 위치에서 절단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9는 제 2 실시예에 따른 방수 커넥터에 이용된 콘택트의 각종 방수 형상부를 나타내는 부분단면도이다.
도 10은 제 3 실시예에 따른 방수 커넥터에 이용된 쉘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1은 제 4 실시예에 따른 방수 커넥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2는 제 4 실시예에 따른 방수 커넥터에 이용된 쉘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3은 제 4 실시예에 따른 방수 커넥터를 쉘의 기판 접속부의 위치에서 절단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4는 제 4 실시예에 따른 방수 커넥터를 콘택트의 위치에서 절단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5는 종래의 방수 커넥터의 하우징에 매립된 도전 부재의 고정부를 나타내고, (A)는 표면에 홈이 형성된 고정부의 부분 단면도, (B)는 표면에 돌기가 형성된 고정부의 부분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제 1 실시예
도 1에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방수 커넥터의 구성을 나타낸다. 방수 커넥터는 대략 직육면체 형상의 외형을 갖는 하우징(10)과, 하우징(10)에 고정된 복수의 콘택트(20)와, 하우징(10)에 고정되면서 복수의 콘택트(20)를 실드하기 위한 쉘(30)을 갖고 있다. 하우징(10)은 절연성 수지로 형성되고, 콘택트(20) 및 쉘(30)은 도전성을 갖는 금속 재료로 형성되어 있다.
쉘(30)은 하우징(10)의 전면(10A)측으로 개구하는 중공의 끼워 맞춤부(쉘측 커넥터 접속부)(31)를 갖고, 끼워 맞춤부(31)의 내부에 상대측 커넥터와 끼워 맞추기 위한 공간(S)이 형성되어 있다. 각각의 콘택트(20)의 전단에 배치된 접점부(콘택트측 커넥터 접속부)(21)가 쉘(30)의 끼워 맞춤부(31)의 공간(S) 내에 배치되어 있다. 한편, 각각의 콘택트(20)의 후단에 배치된 콘택트측 기판 접속부(22)가 하우징(10)의 후면(10B)으로부터 하우징(10)의 외부로 노출되어 있다.
또한, 쉘(30)은 한 쌍의 쉘측 기판 접속부(32)를 갖고, 이들의 쉘측 기판 접속부(32)가 하우징(10)의 하면(10C)으로부터 하우징(10)의 외부로 노출되어 있다.
도 2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쉘(30)의 끼워 맞춤부(31)는 중심축(C1)을 갖는 동시에, 중심축(C1)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가늘고 긴 편평한 단면 형상을 수반하는 통형상을 갖고 있다. 여기서, 편의상 끼워 맞춤부(31)의 전방에서 후방으로 향하여 중심축(C1)과 평행하게 연장되는 방향을 X방향, 편평한 끼워 맞춤부(31)의 상면(31A)이 연장되는 면을 XY면, 끼워 맞춤부(31)의 상면(31A)에 수직이면서 하방으로 향하는 방향을 Z방향이라 부르기로 한다.
쉘(30)은 끼워 맞춤부(31)와 한 쌍의 쉘측 기판 접속부(32) 사이를 접속하는 쉘측 고정부(33)를 갖고 있다. 쉘측 고정부(33)는 끼워 맞춤부(31)의 상부 후단의 중앙으로부터 끼워 맞춤부(31)의 중심축(C1)을 따라 X방향으로 돌출된 후방 돌출부(33A)와, 후방 돌출부(33A)의 후단으로부터 편평한 끼워 맞춤부(31)의 상면(31A)에 평행이면서 중심축(C1)에 수직인 양방향, 즉 Y방향 및 -Y방향으로 각각 연장되는 한 쌍의 팔부(arm section)(33B)와, 쌍방의 팔부(33B)의 선단으로부터 각각 하방, 즉 Z방향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다리부(33C)를 포함하고 있다. 그리고, 한 쌍의 다리부(33C)의 하단에 각각 쉘측 기판 접속부(32)가 접속되어 있다. 이들 한 쌍의 쉘측 기판 접속부(32)는 끼워 맞춤부(31)의 후방에서 전방으로 향하는 방향, 즉 XY면상이면서 -X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쉘측 고정부(33)의 후방 돌출부(33A), 한 쌍의 팔부(33B) 및 한 쌍의 다리부(33C)는 모두 끼워 맞춤부(31)보다 가는 쉘 협착부를 형성하고 있고, 이러한 쉘 협착부를 갖는 쉘측 고정부(33)는 쉘(30)이 하우징(10)에 몰드 성형될 때에 하우징(10) 내에 매립된다.
또한, 한 쌍의 팔부(33B)의 외주면에 팔부(33B)와 하우징(10)과의 계면을 따른 물의 침입을 차단하기 위한 쉘측 방수 형상부(34)가 형성되어 있다. 쉘측 방수 형상부(34)는 팔부(33B)의 주위를 둘러싸서 닫도록 형성되어 있고, 쉘측 방수 형상부(34)의 존재에 의해 쉘측 고정부(33)의 표면은 끼워 맞춤부(31)측의 부분과 쉘측 기판 접속부(32)측의 부분으로 분리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의 쉘(30)은 도전성을 갖는 금속판(35)을 도 3에 도시되는 바와 같은 형상으로 잘라낸 후, 프레스 등에 의해 절곡 가공함으로써 제작할 수 있다. 띠형상 부분(35A)이 편평한 통형상으로 성형되어 끼워 맞춤부(31)를 형성하고, 띠형상 부분(35A)의 중앙의 외연부로부터 후방 돌출부(33A)가 돌출되고, 후방 돌출부(33A)의 선단에 한 쌍의 팔부(33B)가 접속되고, 한 쌍의 팔부(33B)의 선단에 한 쌍의 다리부(33C)가 접속되고, 한 쌍의 다리부(33C)의 선단에 각각 접속된 평판부분(35B)에 의해 쉘측 기판 접속부(32)가 형성된다.
도 3의 전개도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끼워 맞춤부(31)를 형성하는 띠형상 부분(35A)으로부터 쉘측 기판 접속부(32)를 형성하는 한 쌍의 평판 부분(35B)에 이르는 경로의 도중에 각각 쉘측 방수 형상부(34)를 갖는 팔부(33B)가 존재하고 있다.
도 4에 콘택트(20)의 구성을 나타낸다. 콘택트(20)는 막대형상 부재 또는 평판 부재로 형성되고, 접점부(21)와 콘택트측 기판 접속부(22) 사이에 콘택트측 고정부(23)가 형성되어 있다. 콘택트측 고정부(23)는 쉘(30)과 함께 하우징(10)에 몰드 성형될 때에 하우징(10) 내에 매립되어 콘택트(20)를 하우징(10)에 고정하는 부분이다. 이 콘택트측 고정부(23)의 외주면에 콘택트측 고정부(23)와 하우징(10)과의 계면을 따른 물의 침입을 차단하기 위한 콘택트측 방수 형상부(24)가 형성되어 있다. 콘택트측 방수 형상부(24)는 콘택트측 고정부(23)의 주위를 둘러싸서 닫도록 형성되어 있고, 이 콘택트측 방수 형상부(24)에 의해 콘택트(20)의 표면은 접점부(21)측의 부분과 콘택트측 기판 접속부(22)측의 부분으로 분리되어 있다.
도 5에 방수 커넥터의 분해도를 나타낸다. 쉘(30)의 끼워 맞춤부(31)의 내면이 하우징(10)의 전단측으로 노출되고, 쉘측 방수 형상부(34)가 형성된 쉘측 고정부(33)가 하우징(10) 내에 매립되고, 쉘측 기판 접속부(32)가 하우징(10)의 하면(10C)으로부터 노출되고, 각 콘택트(20)의 접점부(21)가 쉘(30)의 끼워 맞춤부(31) 내에서 노출되고, 콘택트측 방수 형상부(24)가 형성된 콘택트측 고정부(23)가 하우징(10)내에 매립되고, 콘택트측 기판 접속부(22)가 하우징(10)의 후면(10B)으로부터 노출되도록 하우징(10)이 쉘(30) 및 복수의 콘택트(20)와 일체로 몰드성형된다.
이 때, 콘택트(20)의 접점부(21)가 쉘(30)의 끼워 맞춤부(31) 내에 위치하도록 복수의 콘택트(20)와 쉘(30)을 도시되지 않은 금형 내에 세트하고, 금형을 닫고 금형 내에 용융된 절연성 수지 재료를 주입한 후 냉각함으로써, 하우징(10)과 복수의 콘택트(20) 및 쉘(30)을 일체적으로 성형하여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은 방수 커넥터를 제조할 수 있다.
여기서, 콘택트측 고정부(23)의 외주면에 형성되어 있는 콘택트측 방수 형상부(24)를 도 6에 나타낸다.
콘택트측 방수 형상부(24)는 콘택트측 고정부(23)의 표면에 형성된 복수의 돌기(25)와 복수의 홈(26)을 갖고 있다. 각각의 돌기(25)는 삼각형의 단면 형상을 갖고, 콘택트측 방수 형상부(24)가 존재하지 않는 부분의 콘택트측 고정부(23)의 표면(23A)보다 높이(H1)만큼 콘택트측 고정부(23)의 바깥쪽으로 돌출되어 있다. 또한, 각각의 홈(26)은 삼각형의 단면 형상을 갖는, 말하자면 V홈이며, 콘택트측 방수 형상부(24)가 존재하지 않는 부분의 콘택트측 고정부(23)의 표면(23A)보다 깊이(H2)만큼 콘택트측 고정부(23)의 안쪽으로 패여 있다. 도 6에서는 콘택트측 방수형상부(24)가 존재하지 않는 부분의 콘택트측 고정부(23)의 표면(23A)의 연장선(23B)이 일점 쇄선으로 나타나 있다.
그리고, 돌기(25)와 홈(26)이 콘택트측 고정부(23)의 길이 방향으로 번갈아 배치되고, 각각의 돌기(25)의 정상부와, 이 돌기(25)에 인접하는 홈(26)의 바닥부가 콘택트측 고정부(23)의 표면(23A)에 대하여 일정하게 경사진 평면 형상의 장벽면(27)에 의해 접속되어 있다.
복수의 돌기(25) 및 복수의 홈(26)에 대응하여 이러한 복수의 장벽면(27)이 형성되어 있다. 각각의 장벽면(27)은 돌기(25)의 높이(H1)와 홈(26)의 깊이(H2)의 합(H1+H2)으로 나타내어지는 고저차(H3)를 갖고, 콘택트측 고정부(23)와 하우징(10)과의 계면을 따른 물의 침입을 차단하기 위해 고저차(H3)는 0.01mm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복수의 돌기(25)와 복수의 홈(26)은 각각 콘택트측 고정부(23)의 주위를 둘러싸서 닫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콘택트측 방수 형상부(24)는 예를 들어, 레이저 가공, 프레스 가공, 연삭 가공 등의 기계 가공, 또는 에칭 등의 화학 처리를 이용함으로써 형성할 수 있다.
콘택트측 방수 형상부(24)의 구성에 의해 물의 침입을 차단하기 위해 필요한 장벽면(27)의 고저차(H3=H1+H2)를 확보하면서도 콘택트측 방수 형상부(24)가 존재하지 않는 부분의 콘택트측 고정부(23)의 표면(23A)으로부터의 돌기(25)의 정상부의 돌출량을 H1으로, 홈(26)의 바닥부의 패임량을 H2로, 각각 억제할 수 있다.
이 때문에, 홈(26)을 형성하는 것에 의한 콘택트측 고정부(23)의 단면적의 저감이 억제되고, 콘택트(20)의 전기저항의 저하 및 기계적 강도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돌기(25)의 정상부의 돌출량이 물의 침입을 차단하기 위해 필요한 고저차(H3)보다 작은 값(H1)으로 억제되어 있기 때문에, 하우징(10)과 콘택트(20)의 일체 성형시에 금형 내에 주입되는 절연성 수지의 유동성의 저하에 기인한 하우징(10)의 성형성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돌기(25)의 존재에 의한 하우징(10)의 두께의 저감이 억제되고, 하우징(10)을 구성하는 절연성 수지의 성형 수축력의 저하가 억제되므로, 하우징(10)과 콘택트측 고정부(23)의 밀착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돌기(25)의 정상부의 돌출량이 억제되어 있으므로 전기신호의 고속전송을 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쉘측 고정부(33)의 팔부(33B)의 외주면에 형성되어 있는 쉘측 방수형상부(34)도 콘택트측 방수 형상부(24)와 마찬가지로, 쉘측 방수 형상부(34)가 존재하지 않는 부분의 팔부(33B)의 표면보다 바깥쪽으로 돌출되는 복수의 돌기와, 쉘측 방수 형상부(34)가 존재하지 않는 부분의 팔부(33B)의 표면보다 팔부(33B)의 안쪽으로 패인 복수의 홈을 갖고, 각각의 돌기의 정상부와, 이 돌기에 인접하는 홈의 바닥부가 팔부(33B)의 표면에 대하여 일정하게 경사진 장벽면에 의해 접속되어 있다.
이 때문에, 콘택트(20)와 마찬가지로, 쉘(30)에 대해서도 물의 침입을 차단하기 위해 필요한 장벽면의 고저차를 확보하면서 쉘(30)의 전기저항의 저하 및 기계적 강도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게 되는 동시에, 하우징(10)의 성형성의 저하를 억제하고, 하우징(10)과 쉘측 고정부(33)의 팔부(33B)의 밀착성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제 1 실시예에 따른 방수 커넥터를 쉘(30)의 한 쌍의 팔부(33B)의 높이에서 XY면을 따라 절단한 상태를 도 7에 나타낸다. 쉘(30)의 쉘측 고정부(33)가 하우징(10) 내에 매립되고, 끼워 맞춤부(31)로부터 후방 돌출부(33A)를 개재하여 한 쌍의 팔부(33B)가 접속되어 있다. 또한, 끼워 맞춤부(31)의 내면은 하우징(10)에 덮이지 않고 노출되어 있다. 팔부(33B)에는 쉘측 방수 형상부(34)가 팔부(33B)의 주위를 둘러싸서 닫도록 형성되어 있고, 팔부(33B)의 절단면의 양측 가장자리에 쉘측 방수 형상부(34)의 단면 형상이 나타나 있다.
또한, 방수 커넥터를 콘택트(20)의 위치에서 XZ면을 따라 절단한 상태를 도 8에 나타낸다. 콘택트(20)의 접점부(21)가 쉘(30)의 끼워 맞춤부(31)내에서 노출되고, 콘택트측 기판 접속부(22)가 하우징(10)의 후면(10B)에서 후방으로 돌출되어 노출되고, 콘택트측 고정부(23)가 하우징(10) 내에 매립되어 있다. 또한, 콘택트(20)의 콘택트측 고정부(23)의 상방에는 쉘(30)의 팔부(33B)의 절단면이 나타나 있다. 콘택트(20)의 콘택트측 고정부(23)에는 콘택트측 방수 형상부(24)가 콘택트측 고정부(23)의 주위를 둘러싸서 닫도록 형성되어 있고, 콘택트측 고정부(23)의 절단면의 양측 가장자리에 콘택트측 방수 형상부(24)의 단면 형상이 나타나 있다.
하우징(10)과 쉘(30) 및 콘택트(20)의 일체 성형에 의해 하우징(10) 내에 매립되는 쉘(30)의 쉘측 고정부(33) 및 콘택트(20)의 콘택트측 고정부(23)의 표면에 하우징(10)을 구성하는 절연성 수지가 밀착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하우징(10) 내에 매립되는 콘택트(20)의 콘택트측 고정부(23)에는 콘택트측 고정부(23)이 주위를 둘러싸서 닫도록 콘택트측 방수 형상부(24)가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가령 콘택트(20)의 콘택트측 고정부(23)의 표면에 밀착되어 있던 하우징(10)의 절연성 수지가 콘택트측 고정부(23)에서 박리되고, 쉘(30)의 끼워 맞춤부(31) 내에 노출되어 있는 접점부(21)로부터 콘택트측 고정부(23)와 하우징(10)과의 계면을 따라 물이 침입했다고 해도, 침입한 물은 콘택트측 방수 형상부(24)에 의해 차단되고, 하우징(10)의 후면(10B)으로부터 노출되어 있는 콘택트측 기판 접속부(22)에까지 이르는 것이 방지된다.
마찬가지로, 하우징(10) 내에 매립되는 쉘(30)의 쉘측 고정부(33)에는 끼워맞춤부(31)로부터 쉘측 기판 접속부(32)에 이르는 경로의 도중에 존재하는 팔부(33B)의 주위를 둘러싸서 닫도록 쉘측 방수 형상부(34)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하우징(10)을 구성하는 절연성 수지 재료와 쉘(30)을 형성하는 금속 재료의 열팽창계수의 차이 등에 기인하여, 또는 상대측 커넥터와의 끼워 맞춤시에 끼워 맞춤축에 대하여 경사 방향으로부터 무리하게 끼워 맞춤하는, 말하자면 억지 끼워 맞춤이 행해져서, 가령 쉘(30)의 쉘측 고정부(33)의 표면에 밀착되어 있던 하우징(10)의 절연성 수지가 쉘측 고정부(33)로부터 박리되어, 끼워 맞춤부(31)로부터 쉘측 고정부(33)와 하우징(10)과의 계면을 따라 물이 침입했다고 해도, 침입한 물은 쉘측 고정부(33)의 팔부(33B)에 도달한 곳에서 쉘측 방수 형상부(34)에 의해 차단되고, 하우징(10)의 하면(10C)으로부터 노출되어 있는 쉘측 기판 접속부(32)에까지 이르는 것이 방지된다.
특히, 쉘측 방수 형상부(34)가 형성되어 있는 팔부(33B)는 끼워 맞춤부(31)보다 가는 쉘 협착부를 구성하기 때문에, 물의 침입로가 좁아져서 침입하는 물의 양이 제한되어 있어, 쉘측 방수 형상부(34)에 의해 효과적으로 방수 기능을 발휘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여 하우징(10)과 쉘(30) 및 콘택트(20) 사이의 방수성을 향상시켜서 장치 내부, 즉 방수 커넥터가 탑재되는 기판측으로 물이 침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도 6에 도시한 콘택트측 방수 형상부(24)는 복수의 돌기(25)와 복수의 홈(26)과 복수의 장벽면(27)을 갖고 있었으나,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하나의 돌기(25)와 하나의 홈(26)과 하나의 장벽면(27)만을 갖도록 구성해도 하우징(10)과의 계면을 따른 물의 침입을 억제할 수는 있다. 단, 복수의 돌기(25)와 복수의 홈(26)과 복수의 장벽면(27)을 갖는 쪽이 보다 높은 방수 기능을 발휘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쉘측 방수 형상부(34)도 하나의 돌기와 하나의 홈과 이들을 접속하는 하나의 장벽면으로 구성할 수 있으나, 복수의 돌기와 복수의 홈과 복수의 장벽면을 갖는 쪽이 보다 우수한 방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쉘(30)은 하우징(10)의 하면(10C)으로부터 노출되는 한 쌍의 쉘측 기판 접속부(32)를 갖고 있었으나, 하나의 쉘측 기판 접속부(32)만, 또는 3개 이상의 쉘측 기판 접속부(32)를 가질 수도 있다. 쉘측 기 판접속부(32)가 하나인 경우는 끼워 맞춤부(31)로부터 쉘측 기판 접속부(32)에 이르는 경로의 도중에 하나의 팔부(33B)를 형성하여, 이 팔부(33B)의 표면에 쉘측 방수 형상부(34)를 형성하면 된다. 또한, 쉘(30)이 3개 이상의 쉘측 기판 접속부(32)를 갖는 경우에는 끼워 맞춤부(31)로부터 각각의 쉘측 기판 접속부(32)에 이르는 경로의 도중에 어느 하나의 쉘측 방수 형상부(34)가 존재하도록 배치하면 되고, 쉘측 방수 형상부(34)가 형성되는 팔부(33B)는 쉘측 기판 접속부(32)와 동수만큼 존재해도, 또는 쉘측 기판 접속부(32)의 개수보다 적은 개수라도 상관없다.
또한, 쉘(30)의 끼워 맞춤부(31)는 복수의 콘택트(20)의 접점부(21)의 전 둘레를 덮는 편평한 통형상을 갖고 있었으나,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복수의 콘택트(20)의 접점부(21)의 일부만을 덮는 것이라도 방수 커넥터의 사용 상황에 따라서는 실드 효과를 거둘 수 있다. 또한, 실드 효과를 얻을 필요가 없고, 쉘측 기판 접속부(32)를 개재하여 방수 커넥터를 기판에 설치하기 위한 것으로서 쉘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쉘은 복수의 콘택트(20)의 접점부(21)를 덮고 있지 않아도 된다.
제 2 실시예
상기 제 1 실시예에서 이용된 콘택트측 방수 형상부(24)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수의 돌기(25) 및 복수의 홈(26)이 각각 삼각형의 단면 형상을 갖고, 돌기(25)의 정상부와 홈(26)의 바닥부를 접속하는 장벽면(27)이 평면 형상을 갖고 있었으나,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도 9(A)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곡면으로 이루어지는 둥그스름한 돌기(25A)와 곡면으로 이루어지는 둥그스름한 홈(26A)을 형성해도 된다. 이 경우, 돌기(25A)의 정상부와 홈(26A)의 바닥부를 접속하는 장벽면(27A)은 평면과 곡면을 조합한 것이 된다. 또한, 도 9(B)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곡면으로 이루어지는 둘그스름한 돌기(25B)와 삼각형상의 홈(26B)을 조합할 수도 있다.
도 9(C)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평탄 형상의 정상부를 갖는 돌기(25C)와 삼각 형상의 홈(26C)을 조합해도 된다. 반대로, 도 9(D)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삼각 형상의 돌기(25D)와 평탄 형상의 바닥부를 갖는 홈(26D)을 조합할 수도 있다. 또한, 도 9(E)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평탄 형상의 바닥부에 하나의 삼각 형상의 미세한 돌기부가 형성된 홈(26E)과 삼각 형상의 돌기(25E)의 조합, 도 9(F)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평탄 형상의 바닥부에 2개의 삼각 형상의 미세한 돌기부가 연속하여 형성된 홈(26F)과 삼각 형상의 돌기(25F)의 조합, 도 9(G)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평탄 형상의 바닥부에 2개의 삼각 형상의 미세한 돌기부가 간격을 두고 형성된 홈(26G)과 삼각 형상의 돌기(25G)의 조합도 가능하다.
도 9(A)~(G)에 도시한 콘택트측 방수 형상부(24)는 모두 홈(26A~26G)의 양측에 형성된 한 쌍의 장벽면(27A~27G)이 콘택트측 고정부(23)의 안쪽으로 향하여 끝이 가늘어지는 테이퍼 형상을 형성하고 있었으나, 도 9(H)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한 쌍의 날카롭고 뾰족한 돌기(25H) 사이에 평탄 형상의 바닥부를 갖는 홈(26H)이 배치되고, 홈(26H)의 양측에 형성된 한 쌍의 장벽면(27H)이 콘택트측 고정부(23)의 바깥쪽으로 향하여 끝이 가늘어지는 테이퍼 형상을 형성하고 있어도 된다.
마찬가지로, 도 9(I)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평탄 형상의 정상부를 갖는 한 쌍의 돌기(251) 사이에 평탄 형상의 바닥부를 갖는 홈(26I)이 배치되고, 홈(26I)의 양측에 형성된 한 쌍의 장벽면(27I)이 콘택트측 고정부(23)의 바깥쪽으로 향하여 끝이 가늘어지는 테이퍼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또한, 도 9(A)~(I)에 도시한 콘택트측 방수 형상부(24)는 모두 장벽면(27A~27I)이 콘택트측 고정부(23)의 표면에 대하여 경사지고 있었으나, 도 9(J)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돌기(25J)의 평탄 형상의 정상부와 홈(26J)의 평탄 형상의 바닥부를 콘택트측 고정부(23)의 표면에 대하여 직교하는 장벽면(27J)에 의해 접속할 수도 있다. 이러한 장벽면(27J)을 갖는 콘택트측 방수 형상부(24)를 이용해도 하우징(10)과 콘택트측 고정부(23)와의 계면을 따른 물의 침입을 억제하여 우수한 방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9(K)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삼각 형상의 돌기(25K)의 정상부와 평탄 형상의 홈(26K)의 바닥부를 콘택트측 고정부(23)의 표면에 대하여 직교하는 장벽면(27K)에 의해 접속해도 된다. 또한, 도 9(L)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삼각 형상의 돌기(25L)의 정상부와 U자형상의 홈(26L)의 바닥부를 장벽면(27L)에서 접속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장벽면(27L)은 콘택트측 고정부(23)의 표면에 대하여 직교하는 평면과 곡면을 조합한 것이 된다.
또한, 도 9(M)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한 쌍의 삼각 형상의 돌기(25M1) 사이에 평탄 형상의 정상부를 갖는 돌기(25M2)를 배치하는 동시에, 양측의 돌기(25M1)와 중앙의 돌기(25M2) 사이에 각각 삼각 형상의 홈(26M)을 형성할 수도 있다. 돌기(25M1)의 정상부와 홈(26M)의 바닥부가 장벽면(27M1)에서 접속되고, 돌기((25M2)의 정상부와 홈(26M)의 바닥부가 장벽면(27M2)에서 접속되고, 이들 장벽면 27M1 및 27M2이 서로 다른 경사각을 갖고 있다.
도 9(A)~(M)에 도시한 콘택트측 방수 형상부(24)는 모두 콘택트측 고정부(23)의 길이 방향에 수직인 면에 대하여 대칭인 단면 형상을 갖고 있었으나, 비대칭인 단면 형상을 갖고 있어도 된다.
예를 들어 도 9(N)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비교적 꼭지각이 큰 삼각 형상의 돌기(25N1)와 비교적 꼭지각이 작은 삼각 형상의 돌기(25N2) 사이에 삼각 형상의 홈(26N)을 형성할 수 있다. 쌍방의 돌기 25N1 및 25N2의 꼭지각이 다르기 때문에 돌기(25N1)의 꼭지각과 홈(26N)의 바닥부를 접속하는 장벽면(27N1)과, 돌기(25N2)의 꼭지각과 홈(26N)의 바닥부를 접속하는 장벽면(27N2)이 서로 다른 경사각을 갖고 있다.
도 9(A)~(N)에 도시한 콘택트측 방수 형상부(24)는 모두 콘택트측 고정부(23)의 길이 방향에 수직인 면 내에서 콘택트측 고정부(23)의 주위를 둘러싸서 닫도록 형성되어 있으나, 도 9(O)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콘택트측 고정부(23)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경사진 면 내에서 콘택트측 고정부(23)의 주위를 둘러싸서 닫도록 돌기(25O), 홈(26O) 및 장벽면(27O)을 형성할 수도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하면 콘택트측 고정부(23)의 표면에 형성된 홈(26O)과 콘택트측 고정부(23)의 이면에 형성된 홈(26O)이 서로 콘택트측 고정부(23)의 길이 방향으로 어긋난 위치를 차지하기 때문에, 홈(26O)의 형성에 의한 콘택트측 고정부(23)의 단면적의 저감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어, 콘택트(20)의 전기저항의 저하 및 기계적 강도의 저하의 억제에 유리하다.
또한, 도 9(A)~(O)에는 홈 26A~26N 및 26O의 양측에 한 쌍의 장벽면 27A~27L 및 27N2, 27O가 형성되는, 또는 한 쌍의 홈(26M)의 양측에 각각 한 쌍의 장벽면 27M1 및 27M2가 형성된 기본적인 구조만을 나타내었으나, 복수의 돌기(25A~25L, 215M1, 25M2, 25N1, 25N2 및 25O)와 복수의 홈(26A~26O)을 콘택트측 고정부(23)의 표면에 연속하여 형성함으로써 복수의 장벽면(27A~27L, 27M1, 27M2, 27N1, 27N2 및 27O)을 형성하면, 더욱 우수한 방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의 콘택트측 방수 형상부는 콘택트측 고정부의 표면으로부터 콘택트측 고정부의 바깥쪽으로 돌출되는 돌기와, 이 돌기에 인접하면서 콘택트측 고정부의 표면으로부터 콘택트측 고정부의 안쪽으로 패인 홈을 갖고, 돌기의 정상부와 돌기에 인접하는 홈의 바닥부가 콘택트측 고정부(23)의 표면에 대하여 경사 또는 직교하는 장벽면에 의해 접속되어 있으면 되고, 도 6 및 도 9(A)~(O)에 도시한 단면 구조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제 1 실시예에서의 쉘측 방수 형상부(34)에 대해서도 도 9(A)~(O)에 도시한 콘택트측 방수 형상부(24)와 동일한 구조를 채용할 수 있다.
제 3 실시예
상기 제 1 실시예에서 이용된 쉘(30)에서는 쉘측 방수 형상부(34)가 쉘측 고정부(33)의 팔부(33B)에 형성되어 있었으나, 팔부(33B)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하우징(10) 내에 매립되어 끼워 맞춤부(31)로부터 쉘측 기판 접속부(32)에 이르는 경로의 도중에 배치되는 쉘측 고정부(33)의 협착부에 형성되어 있으면 된다.
예를 들어 도 10에 도시되는 쉘(50)과 같이 끼워 맞춤부(51)의 후단에서 후방으로 돌출되는 후방 돌출부(53A)의 표면에 쉘측 방수 형상부(54)를 형성할 수도 있다. 쉘측 방수 형상부(54)는 도 6에 도시한 제 1 실시예에서의 콘택트측 방수 형상부(24) 및 쉘측 방수 형상부(34)와 동일한 구조를 갖고 있다. 이 쉘(50)은 쉘측 방수 형상부(54)가 후방 돌출부(53A)에 형성된 점 이외에는 제 1 실시예에서 이용된 쉘(30)과 동일한 구성을 갖고 있다. 즉, 끼워 맞춤부(51)와 한 쌍의 쉘측 기판접속부(52) 사이에 쉘측 고정부(53)가 배치되고, 쉘측 고정부(53)가 후방 돌출부(53A)와 후방 돌출부(53A)의 후단에 접속된 한 쌍의 팔부(53B)와 쌍방의 팔부(53B)의 선단에 접속된 한 쌍의 다리부(53C)를 포함하고, 각각의 다리부(53C)의 선단에 대응하는 쉘측 기판 접속부(52)가 접속되어 있다.
쉘(50)의 표면을 따라 끼워 맞춤부(51)로부터 쌍방의 쉘측 기판 접속부(52)에 이르려면 후방 돌출부(53A)를 통과할 필요가 있고, 이 후방 돌출부(53A)의 외주면에 쉘측 방수 형상부(54)를 형성함으로써, 고정부(53)와 하우징(10)과의 계면을 따른 물의 침입을 차단할 수 있게 된다.
마찬가지로 하여, 후방 돌출부(53A) 대신에 한 쌍의 다리부(53C)의 표면에 각각 쉘측 방수 형상부(54)를 형성해도 된다.
제 3 실시예에 의해서도 방수성을 향상시키면서 콘택트(20) 및 쉘(50)의 전기저항의 저하 및 하우징(10)의 성형성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게 된다.
제 4 실시예
상기 제 1 실시예 및 제 3 실시예에서 이용된 쉘(30 및 50)에서는 쉘측 방수 형상부(34 및 54)가 협착부인 다리부(33C) 및 후방돌출부(53A)에 각각 형성되어 있었으나, 반드시 협착부에 형성하지 않아도 된다.
도 11에 제 4 실시예에 따른 방수 커넥터의 분해도를 나타낸다. 이 방수 커넥터는 제 1 실시예의 방수 커넥터에 있어서, 쉘(30) 대신에 협착부를 갖지 않는 쉘(60)을 이용한 것이다.
쉘(60)은 도 12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중공의 편평한 통형상의 끼워 맞춤부(61)를 갖는 동시에, 끼워 맞춤부(61)의 후단측에 연결된 중공의 편평한 통형상의 쉘측 고정부(63)를 갖고, 쉘측 고정부(63)의 후단으로부터 한 쌍의 쉘측 기판 접속부(62)가 돌출 형성되어 있다. 즉, 하나의 통형상체를 전단측 부분과 후단측 부분으로 이분하고, 전단측 부분을 끼워 맞춤부(61), 후단측 부분을 쉘측 고정부(63)로 하고 있다.
끼워 맞춤부(61)는 복수의 콘택트(20)의 전단에 배치된 접점부(21)의 주위를 덮으면서 내면 부분이 하우징(10)으로부터 노출되고, 쉘측 고정부(63)는 내면 부분 및 외면 부분이 모두 하우징(10)내에 매립된다.
그리고, 쉘측 고정부(63)의 외주면에 쉘측 방수 형상부(64)가 형성되는 동시에, 쉘측 고정부(63)의 내주면에도 쉘측 방수 형상부(65)가 형성되어 있다. 쉘측 방수 형상부(64)는 쉘츨 고정부(63)의 외주를 둘러싸서 닫도록 형성되고, 쉘측 방수 형상부(65)는 쉘측 고정부(63)의 내주를 둘러싸서 닫도록 형성되어 있다. 쉘측 방수 형상부(64 및 65)는 도 6에 도시한 제 1 실시예에서의 콘택트측 방수 형상부(24) 및 쉘측 방수 형상부(34), 및 제 2 실시예에서의 쉘측 방수 형상부(54)와 동일한 구조를 갖고 있다.
쉘(60)의 표면을 따라 끼워 맞춤부(61)로부터 쌍방의 쉘측 기판 접속부(62)에 이르려면 쉘측 방수 형상부(64) 또는 쉘측 방수 형상부(65)를 넘을 필요가 있고, 이들 쉘측 방수 형상부(64 및 65)에 의해 쉘측 고정부(63)와 하우징(10)과의 계면을 따른 물의 침입을 차단할 수 있게 된다.
제 4 실시예에 따른 방수 커넥터를 쉘측 기판 접속부(62)의 위치에서 XZ면을 따라 절단한 상태를 도 13에 나타낸다. 쉘(60)의 끼워 맞춤부(61)의 내면이 하우징(10)에 덮이지 않고 노출되고, 쉘측 고정부(63)가 하우징(10) 내에 매립되고, 쉘측 고정부(63)이 후단에 접속된 쉘측 기판 접속부(62)가 하우징(10)의 후면(10B)으로부터 돌출되어 노출되어 있다. 쉘측 고정부(63)의 외주면 및 내주면에 각각 쉘측 방수 형상부(64 및 65)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쉘측 고정부(63)의 절단면의 양측 가장자리에는 쉘측 방수 형상부(64 및 65)의 단면 형상이 나타나 있다.
또한, 방수 커넥터를 콘택트(20)의 위치에서 XZ면을 따라 절단한 상태를 도 14에 나타낸다. 콘택트(20)의 접점부(21)가 쉘(60)의 끼워 맞춤부(61) 내에서 노출되고, 콘택트측 기판 접속부(22)가 하우징(10)의 후면(10B)으로부터 후방으로 돌출되어 노출되고, 콘택트측 고정부(23)가 하우징(10) 내에 매립되어 있다. 콘택트(20)의 콘택트측 고정부(23)에는 복수의 콘택트측 방수 형상부(24)가 콘택트측 고정부(23)의 주위를 둘러싸서 닫도록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콘택트측 고정부(23)의 절단면의 양측 가장자리에는 콘택트측 방수 형상부(24)의 단면 형상이 나타나 있다.
이와 같이, 중공의 쉘측 고정부(63)를 갖는 쉘(60)을 이용해도 하우징(10)과 쉘(60) 및 콘택트(20) 사이에 우수한 방수 효과가 얻어지는 동시에, 콘택트(20) 및 쉘(60)의 전기저항의 저하 및 하우징(10)의 성형성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제 3 실시예에서의 쉘측 방수 형상부(54), 제 4 실시예에서의 쉘측 방수 형상부(64 및 65)에 대해서도 도 9(A)~(O)에 도시한 콘택트측 방수 형상부(24)와 동일한 구조를 채용할 수 있다.
1, 4 : 하우징 2, 5 : 도전부재
3 : 홈 6 : 돌기
10 : 하우징 10A : 전면
10B : 후면 10C : 하면
20 : 콘택트 21 : 접점부
22 : 콘택트측 기판 접속부 23 : 콘택트측 고정부
23A : 콘택트측 고정부의 표면
23B : 콘택트측 고정부의 표면의 연장선
24 : 콘택트측 방수 형상부
25, 25A~25L, 25M1, 25M2, 25N1, 25N2, 250 : 돌기
26, 26A~26O : 홈
27, 27A~27L, 27M1, 27M2, 27N1, 27N2, 270 : 장벽면
30, 50, 60 : 쉘 31, 51, 61 : 끼워 맞춤부
31A : 끼워 맞춤부의 상면 32, 52, 62 : 쉘측 기판 접속부
33, 53, 63 : 쉘측 고정부 33A, 53A : 후방 돌출부
33B, 53B : 팔부 33C, 53C : 다리부
34, 54, 64, 65 : 쉘측 방수 형상부 35 : 금속판
35A : 띠형상 부분 35B : 평판 부분
S : 공간 C1 : 중심축
H1 : 돌기의 높이 H2 : 홈의 깊이
H3 : 장벽면의 고저차

Claims (8)

  1. 절연성 수지로 형성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일체로 성형된 하나 이상의 도전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도전 부재는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노출되어 상대측 커넥터에 접속되는 커넥터 접속부와,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노출되어 기판에 접속되는 기판 접속부와, 상기 커넥터 접속부와 상기 기판 접속부 사이를 접속하되, 하우징 내에 매립되는 고정부를 갖고,
    상기 고정부의 표면에 상기 고정부와 상기 하우징과의 계면을 따른 물의 침입을 차단하기 위한 방수 형상부가 형성되고,
    상기 방수 형상부는 상기 고정부의 표면으로부터 상기 고정부의 바깥쪽으로 돌출되는 돌기와, 상기 돌기에 인접하되 상기 고정부의 표면으로부터 상기 고정부의 안쪽으로 패인 홈을 갖고, 상기 돌기의 정상부와 상기 돌기에 인접하는 상기 홈의 바닥부가 상기 고정부의 표면에 대하여 경사 또는 직교하는 장벽면에 의해 접속되며,
    상기 돌기 및 상기 홈은 각각 상기 고정부의 길이 방향에 대하여 경사진 면 내에서 상기 고정부의 주위를 둘러싸서 닫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 커넥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방수 형상부의 상기 장벽면은 0.01mm 이상의 고저차를 갖는 방수 커넥터.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방수 형상부의 상기 장벽면은 평면, 곡면, 또는 평면과 곡면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방수 커넥터.
  5. 제 1 항, 제 2 항 및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 부재는 하나 이상의 콘택트로 형성되고,
    상기 커넥터 접속부는 상기 상대측 커넥터의 콘택트에 접촉하는 접점부로 형성되는 방수 커넥터.
  6. 제 1 항, 제 2 항 및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 부재는 쉘로 형성되고,
    상기 커넥터 접속부는 상기 상대측 커넥터와 끼워 맞추는 끼워 맞춤부로 형성되고,
    상기 고정부는 상기 커넥터 접속부보다 가늘게 형성된 쉘 협착부를 포함하고,
    상기 방수 형상부는 상기 쉘 협착부의 표면에 형성되어 있는 방수 커넥터.
  7. 제 1 항, 제 2 항 및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 부재는 쉘로 형성되고,
    상기 커넥터 접속부는 상기 상대측 커넥터와 끼워 맞추는 끼워 맞춤부로 형성되고,
    상기 고정부는 중공의 형상을 갖고,
    상기 방수 형상부는 상기 고정부의 외주면 및 내주면에 각각 형성되어 있는 방수 커넥터.
  8. 제 1 항, 제 2 항 및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 부재는 쉘 및 하나 이상의 콘택트로 형성되고,
    상기 방수 형상부는 상기 쉘 및 상기 하나 이상의 콘택트에 각각 형성되어 있는 방수 커넥터.
KR1020177008428A 2014-10-17 2015-06-17 방수 커넥터 KR10211255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4212428A JP6133258B2 (ja) 2014-10-17 2014-10-17 防水コネクタ
JPJP-P-2014-212428 2014-10-17
PCT/JP2015/067458 WO2016059829A1 (ja) 2014-10-17 2015-06-17 防水コネクタ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46175A KR20170046175A (ko) 2017-04-28
KR102112556B1 true KR102112556B1 (ko) 2020-05-19

Family

ID=557463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08428A KR102112556B1 (ko) 2014-10-17 2015-06-17 방수 커넥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948022B2 (ko)
JP (1) JP6133258B2 (ko)
KR (1) KR102112556B1 (ko)
CN (1) CN106716735B (ko)
TW (1) TWI607607B (ko)
WO (1) WO201605982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925865B1 (ja) * 2014-11-14 2016-05-25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防水コネクタ
JP6058771B1 (ja) * 2015-10-13 2017-01-11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レセプタクルコネクタ
USD828814S1 (en) * 2016-04-24 2018-09-18 LED Inspirations, LLC Electrical connector system
JP2018006193A (ja) * 2016-07-05 2018-01-11 Smk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
JP2018078022A (ja) * 2016-11-09 2018-05-17 矢崎総業株式会社 コネクタ
JP6723912B2 (ja) * 2016-12-21 2020-07-15 愛三工業株式会社 樹脂複合成形体
JP2018129197A (ja) * 2017-02-08 2018-08-16 三井化学株式会社 防水コネクタ
US10340622B2 (en) * 2017-10-15 2019-07-02 Lg Electronics Inc. Input-output port and mobile terminal having the same
JP7217233B2 (ja) 2017-10-30 2023-02-02 株式会社クラレ 防水部品およびそれを備えた電子機器、インサート成形体の防水方法ならびに電子機器の防水方法
JP7128696B2 (ja) * 2018-09-18 2022-08-31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JP6947769B2 (ja) * 2019-03-11 2021-10-13 矢崎総業株式会社 樹脂構造体
WO2024024553A1 (ja) * 2022-07-28 2024-02-01 京セラ株式会社 コネクタ、コネクタモジュール、及び記憶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433776B1 (ja) * 2012-12-28 2014-03-05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防水コネクタ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38328A (en) 1976-07-12 1978-01-25 Hitachi Ltd Device for continuous casting
JPS62121514U (ko) * 1986-01-24 1987-08-01
US5984724A (en) * 1998-04-07 1999-11-16 Geo Space Corporation Waterproof low temperature geophysical connector
JP2008243745A (ja) * 2007-03-28 2008-10-09 Furukawa Electric Co Ltd:The コネクタ及びその実装方法
CN103208698B (zh) * 2012-01-12 2015-05-27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电连接器
WO2014103591A1 (ja) * 2012-12-28 2014-07-03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防水コネクタ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433776B1 (ja) * 2012-12-28 2014-03-05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防水コネクタ
JP2014130691A (ja) 2012-12-28 2014-07-10 Japan Aviation Electronics Industry Ltd 防水コネク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9948022B2 (en) 2018-04-17
US20170194735A1 (en) 2017-07-06
KR20170046175A (ko) 2017-04-28
WO2016059829A1 (ja) 2016-04-21
TWI607607B (zh) 2017-12-01
JP6133258B2 (ja) 2017-05-24
TW201616737A (zh) 2016-05-01
CN106716735B (zh) 2020-03-20
CN106716735A (zh) 2017-05-24
JP2016081737A (ja) 2016-05-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12556B1 (ko) 방수 커넥터
KR101673194B1 (ko) 방수 커넥터
JP5433776B1 (ja) 防水コネクタ
JP6418324B2 (ja) 多極コネクタ
US10490930B2 (en) Waterproofed electrical connector
EP2571107A2 (en) Connector and electronic device having the same
US9812809B2 (en) Waterproof connector
CN101436736A (zh) 屏蔽连接器
EP3483988B1 (en) Connector
TWI638492B (zh) 連接器
KR101871038B1 (ko) 동축 커넥터
JP5667652B2 (ja) 防水コネクタ
TWI595711B (zh) 防水連接器
CN105474473A (zh) 连接器
JP2021086829A (ja) プラグコネクター
JP2011198592A (ja) レセプタクルコネクタ
JP2006156278A (ja) シールドコネ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8101004414;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81026

Effective date: 20200224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