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10884B1 - 링형 부품 가공장치용 부품 공급장치 - Google Patents
링형 부품 가공장치용 부품 공급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110884B1 KR102110884B1 KR1020190142778A KR20190142778A KR102110884B1 KR 102110884 B1 KR102110884 B1 KR 102110884B1 KR 1020190142778 A KR1020190142778 A KR 1020190142778A KR 20190142778 A KR20190142778 A KR 20190142778A KR 102110884 B1 KR102110884 B1 KR 10211088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ring
- shaped component
- conveyor
- shaped
- unit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P—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PERATIONS; UNIVERSAL MACHINE TOOLS
- B23P19/00—Machines for simply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metal parts or objects, or metal and non-metal par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Tools or devices therefor so far as not provided for in other classes
- B23P19/10—Aligning parts to be fitted together
- B23P19/12—Alignment of parts for insertion into bor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P—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PERATIONS; UNIVERSAL MACHINE TOOLS
- B23P15/00—Making specific metal objects by operations not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or a group in this subclass
- B23P15/003—Making specific metal objects by operations not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or a group in this subclass bear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eeding Of Articles To Conveyors (AREA)
Abstract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품 가공장치에 링형 부품을 공급하기 위한 장치로서, 본 발명에 따른 링형 부품 가공장치용 부품 공급장치는, 상기 링형 부품이 수용되고, 저면으로부터 어느 한 측면을 향하여 제1 곡면이 형성되는 수용부; 상기 제1 곡면을 따라 구비되고, 내측면에 상향 이동하는 컨베이어가 구비되는 컨베이어부; 상기 컨베이어부의 제1 측면에 인접한 위치에 상기 제1 측면을 향하여 하향 경사지도록 구비되고, 상기 컨베이어의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개 구비되어 상기 링형 부품이 거치되는 거치부; 상기 컨베이어부의 하부로부터 상기 제1 측면을 따라 일정 높이의 제1 위치까지 형성되고, 상기 컨베이어부에 비하여 일정 높이 단차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거치부와 함께 상기 링형 부품이 거치되는 단차부; 상기 제1 위치의 단차부 단부로부터 상기 컨베이어부의 외측을 향하여 연장되어 상기 링형 부품이 기립한 상태로 굴러 이동하는 경로를 제공하는 가이드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부품 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링형 부품 가공장치에 구비되어 부품을 자동적으로 공급하는 장치에 대한 것이다.
밀링 머신이나 연삭머신의 경우 부품의 공급, 이송 및 정렬 등의 모든 작업을 전력을 이용하여 각각의 작업을 담당하는 장치를 통하여 이루어진다.
베어링 부품과 같은 링형 부품들은 일측 생산 유닛에서 처리되어 바로 다음 생산 유닛으로 인계(hand-over)되며, 이송 유닛은 예컨대 일측 생산 유닛으로의 베어링 부품의 공급 및 생산 유닛으로의 베어링 부품의 인계, 및/또는 일측 생산 유닛에서의 베어링 부품의 인수, 베어링 부품의 이송, 및 상기 생산 라인 내에서 후속하는 생산 유닛으로의 베어링 부품의 인계를 담당 수행한다.
이러한 이유로 베어링 부품 등의 치수가 변경되는 경우 이를 위한 각 공정을 담당하는 장치들 중 특정 부분들을 치수에 대응하여 변경하는 등의 불편함이 따르게 된다.
또한 이러한 부품들의 이송에는 전기 에너지가 투입되며, 장시간 공정을 위한 장치 운행 시에는 이러한 작은 에너지 투입량의 차이가 더욱 커지게 되어 경제적인 면에서 낭비를 초래하게 된다.
본 발명은 부품 이송에 투입되는 에너지를 최소화하면서 동시에 링형 부품의 다중 가공에 유리한 부품 공급 및 분배가 가능한 수단을 제공한다.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품 가공장치에 링형 부품을 공급하기 위한 장치로서, 본 발명에 따른 링형 부품 가공장치용 부품 공급장치는, 상기 링형 부품이 수용되고, 저면으로부터 어느 한 측면을 향하여 제1 곡면이 형성되는 수용부; 상기 제1 곡면을 따라 구비되고, 내측면에 상향 이동하는 컨베이어가 구비되는 컨베이어부; 상기 컨베이어부의 제1 측면에 인접한 위치에 상기 제1 측면을 향하여 하향 경사지도록 구비되고, 상기 컨베이어의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개 구비되어 상기 링형 부품이 거치되는 거치부; 상기 컨베이어부의 하부로부터 상기 제1 측면을 따라 일정 높이의 제1 위치까지 형성되고, 상기 컨베이어부에 비하여 일정 높이 단차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거치부와 함께 상기 링형 부품이 거치되는 단차부; 상기 제1 위치의 단차부 단부로부터 상기 컨베이어부의 외측을 향하여 연장되어 상기 링형 부품이 기립한 상태로 굴러 이동하는 경로를 제공하는 가이드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단차부로부터 외측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거치부가 상기 제1 위치까지 상승한 상태에서 상기 거치부와 연속적인 링형 부품의 이동경로를 형성하는 가이드 밑면; 및 상기 가이드 밑면의 후면으로부터 상향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되는 가이드 후면;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부의 단부에 구비되고, 상기 링형 부품 하나가 통과가능한 크기로 통과홀이 형성되는 차단플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차단 플레이트의 하단에는 상기 가이드부 및 상기 차단 플레이트로부터 낙하하는 링형 부품이 안착하는 안착부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안착부는 곡면 또는 빗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안착부는 안착된 링형 부품이 상기 수용부로 슬라이딩 되도록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거치부의 폭은 상기 컨베이터부의 폭의 2분의 1 이하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링형 부품의 형상을 이용하여 부품의 분배를 제외한 이송구간을 최대한 무동력화함으로써 부품의 공급 및 분배를 최소 에너지 비용으로 수행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링형 부품 가공장치의 모습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2 및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링형 부품 가공장치에서의 링형 부품의 이동 순서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링형 부품 공급장치의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일부를 확대한 확대도이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기립형 슬라이딩부와 가이드부의 모습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분배부를 중심으로 주변 구성부와의 연결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분배부의 모습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른 회수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링형 부품 가공장치에서의 링형 부품의 이동 순서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링형 부품 공급장치의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일부를 확대한 확대도이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기립형 슬라이딩부와 가이드부의 모습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분배부를 중심으로 주변 구성부와의 연결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분배부의 모습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른 회수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특별한 정의나 언급이 없는 경우에 본 설명에 사용하는 방향을 표시하는 용어는 도면에 표시된 상태를 기준으로 한다. 또한 각 실시예를 통하여 동일한 도면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가리킨다. 한편, 도면상에서 표시되는 각 구성은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그 두께나 치수가 과장될 수 있으며, 실제로 해당 치수나 구성간의 비율로 구성되어야 함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일 실시예에 따른 링형 부품 가공장치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링형 부품 가공장치의 모습을 나타내는 개략도이고, 도 2 및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링형 부품 가공장치에서의 링형 부품의 이동 순서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링형 부품 가공장치는 부품 공급부(부품공급장치; 10), 승강부(20), 가공부(30), 분배부(40a), 회수부(40b), 검사부(50) 및 정렬부(6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가공장치는 제1라인(R1)과 제2 라인(R2)의 가공장치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가공장치에서 각각의 라인은 전반 가공을 위하여 병렬적으로 운용되는 두 개의 가공부(30)가 구비되며, 후반 가공을 위하여 병렬적으로 운용되는 두 개의 추가적인 가공부(30)가 구비된다.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부품 공급부(10)로부터 공급된 링형 부품은 승강부(20)를 통하여 일정 높이까지 상승한 후 분배부(40a)에 공급(P1)된다. 분배부(40a)는 링형 부품을 도면상 우측방향으로 이송시키며 중앙부에서 첫번째 가공부(30)에 공급(P2-1)되어 연삭 또는 연마 등의 가공을 수행하고, 연속되어 분배부(40a)에 공급되는 링형 부품은 첫번째 가공부(30)를 지나 두번째 가공부(30)에 공급(P2-2)된다. 마찬가지로 링형 부품은 두번째 가공부(30)에서 가공된다. 첫번째 가공부(30)와 두번째 가공부(30)에서 각각 가공된 링형 부품은 회수부로 공급(P3-1, P33-2)되어 일측으로 회수된다.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링형 부품은 다시 승강부 등의 장치를 통하여 후반 가공을 수행한다. 후반 가공은 분배부(40a)에 공급(P4)된 링형 부품이 세번째 가공부(30)와 네번째 가공부(30)에 각각 교번하여 공급(P5-1, P5-2)되어 링형 부품을 가공한다. 이후 회수부(40b)에 공급(P6-1, P6-2)된 링형부품은 승강부(20)로 이송(P7)된다. 전반 가공 및 후반 가공을 마친 링형 부품은 승강부(20)를 경유하여 검사부(50)에 도달하여 제품의 하자 여부를 검사한 후 정렬부(60)로 이송(P8)된다.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일 실시예에 따른 링형 부품 공급장치를 설명한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링형 부품 공급장치의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일부를 확대한 확대도이며,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기립형 슬라이딩부와 가이드부의 모습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부품 공급부(1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품 가공장치에 링형 부품을 공급하기 위한 장치이다.
부품 공급장치(10)는 링형 부품저장부(5)로부터 링형 부품을 공급받아 장치의 공정 라인으로 링형 부품을 투입한다. 수용부(11)는 링형 부품 저장부(5)로부터 공급되는 링형 부품이 수용되고, 저면으로부터 어느 한 측면을 향하여 제1 곡면이 형성된다. 즉, 수용부는 저면과 일측면이 하나의 곡면을 형성함으로써 링형 부품을 상승시키기 위한 경사면을 형성한다.
컨베이어부(13)는 제1 곡면을 따라 구비되고, 내측면에 상향 이동하는 컨베이어가 구비된다. 컨베이어부(13)는 수용부(11)가 형성하는 곡면을 따라 경사를 형성하며 수용부(11)의 상부로부터 더 연장된 경사면을 형성한다. 컨베이어부(13)의 제1 측면에 인접한 위치에 거치부(131)이 형성된다. 거치부(131)는 제1 측면을 향하여 하향 경사지도록 구비되고, 컨베이어의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개 구비되어 링형 부품(PD)이 거치된다.
이 때 컨베이어부(13)의 하부로부터 제1 측면을 따라 일정 높이로 돌출된 형상의 단차부(133)이 형성된다. 단차부(133)는 일정한 높이의 제1 위치까지 형성된다. 단차부(133)는 컨베이어부(13)에 비하여 일정 높이 돌출된 형상의 단차구조를 형성함으로써 거치부(131)와 함께 링형 부품(PD)이 흘러내리거나 외부로 이탈하지 않도록 거치시키게 된다.
한편, 거치부(131)는 컨베이어부(13)의 폭 중 2분의 1 이하가 되도록 구비된다. 거치부(131)는 둘 이상의 링형 부품(PD)이 거치되는 경우 거치부(131)의 좌측 등을 통하여 흘러내리도록 한다.
가이드부(135, 136)는 상술한 제1 위치의 단차부(133) 단부로부터 컨베이어부의 외측을 향하여 연장되어 링형 부품(PD)이 기립한 상태로 굴러 이동하는 경로를 제공한다. 가이드부(135, 136)는 가이드 밑면(136)과 가이드 후면(135)을 포함한다. 가이드 밑면(136)은 거치부(131)가 제1 위치까지 상승한 상태에서 상기 거치부와 연속적인 링형 부품의 이동경로를 형성한다. 가이드 후면(135)은 가이드 밑면(136)의 후면으로부터 상향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되어 링형 부품(PD)이 굴러서 이동할 수 있도록 받쳐주게 된다. 이 때 가이드 밑면(136)과 가이드 후면(135)은 단차부(133)로부터 외측을 향하여 경사지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이드부(135, 136)의 단부에는 통과홀(137)이 형성되는 차단플레이트가 구비된다. 통과홀(137)은 링형 부품 하나가 통과가능한 크기로 형성됨으로써 한번에 링형 부품 하나만이 통과하여 중첩된 상태로 공급되는 것을 방지한다. 가이드부(135, 136)는 통과홀(137)을 중심으로 이송레일(90) 등에 연결되어 링형 부품(PD)을 공급한다.
한편, 상술한 차단 플레이트의 하단과 가이드부(136)의 하부에는 가이드부(135, 136)과 차단 플레이트로부터 낙하하는 링형 부품이 안착하는 안착부(16)가 형성될 수 있다. 안착부(16)는 곡면 또는 빗면으로 형성되며, 안착된 링형 부품이 수용부(11)로 슬라이딩 되도록 연결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부품 공급부(10)는 링형 부품을 구를 수 있는 기립 상태로 부품을 공급하게 된다. 승강부(20)는 부품 공급부로부터 기립상태로 공급되는 링형 부품을 일정 높이로 견인하여 링형 부품의 가공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링형 부품의 이송과정에서는 제1타입 슬라이딩부(93), 제2타입 슬라이딩부(99) 및 이송레일(90) 등을 이송라인에 배치하여 적절한 링형 부품의 공급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제1 타입 슬라이딩부(93)는 이송 레일(90)의 단부 등에 구비되어 기립상태의 링형 부품이 곡면을 따라 눕혀진 상태로 슬라이딩 되면서 이송용 컨베이어(40c) 등에 공급될 수 있도록 한다.
제2 타입 슬라이딩부(99)는 이송 레일(90)의 측면 등에 구비되어 눕혀진 상태의 링형 부품이 곡면을 따라 기립 상태로 슬라이딩 되면서 이송레일(90) 등에 공급될 수 있도록 한다.
이송 레일(90)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타입 슬라이딩부(99)를 통하여 링형 부품을 공급받아 링형 부품이 굴러서 이동할 수 있는 경로를 제공하나. 이송 레일(90)은 링형 부품의 직선 또는 곡선 이송경로를 따라 한 쌍으로 형성되어 링형 부품이 외부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측벽(901)과, 한 쌍의 측벽(901) 사이를 따라 적어도 둘 이상 구비되어 링형 부품의 외주면과 선접촉하는 레일부(905)와 레일부(905)를 측벽(901) 사이에 고정시키는 지지부(903)를 포함한다. 이 때 레일부(905)는 와이어나 스트립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레일부(905)는 링형 부품과 선접촉을 함으로써 링형 부품이 용이하게 구를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한다.
이와 같이 가이드부(135, 136)과 연속적인 경로를 형성하는 이송레일(90)은 직접 승강부(20)에 연결되는 것도 가능하고,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별도의 유압실린더(81)를 이용하여 정확한 시점에서 공급될 수 있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일 실시예에 따른 가공부를 포함하는 링형 부품 가공장치를 설명한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분배부를 중심으로 주변 구성부와의 연결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분배부의 모습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며,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른 회수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승강부를 통하여 상승된 기립 상태의 링형 부품은 이송 레일(90)을 통하여 굴러서 분배부(40a)로 이동한다. 이송 레일(90)의 단부에는 제1 타입 슬라이딩부(93)가 구비되어 링형 부품이 눕혀진 상태로 분배부(40a)에 공급되도록 한다.
분배부(40a)는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타입 슬라이딩부(93)로부터 미끌어진 링형 부품이 안착되고, 안착된 링형 부품을 일 방향으로 이동시키면서 복수의 가공부 중 어느 하나에 링형 부품을 분배한다.
경로 변경부(420a, 420b)는 분배부(40a)의 부품 이송 경로 상에 구비되어 이송되는 부품을 이송 경로로부터 외측으로 밀어낸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가공부(30)는 전반 및 후반 가공과정에 각각 적어도 둘 이상 구비될 수 있다. 이 때 상술한 경로 변경부(420a, 420b)와 제2 타입 슬라이딩부(99)는 상기 복수의 가공부에 대하여 각각 구비되며, 복수의 경로 변경부 중 링형 부품의 이송경로 상 단부측 경로 변경부(420b)를 제외한 나머지 경로 변경부(420a)는 근접하는 링형 부품을 밀어내는 제1 작동상태와 근접하는 링형 부품을 통과시키도록 위치가 변경되는 제 2 작동상태로 작동한다. 예를 들어 중앙측 경로 변경부(420a)는 힌지구조를 구비하여 링형 부품의 경로를 가로막거나 열어주는 상태로 작동할 수 있다. 중앙측 경로 변경부(420a)가 가로막는 상태인 경우 인접하는 링형 부품은 외측으로 밀려 제2 타입 슬라이딩부(99)로 이동하고, 중앙측 경로 변경부(420a)가 열린 상태인 경우 인접하는 링형 부품은 그대로 통하여 다음의 경로 변경부(420b)로 이동하게 된다.
가공부(30)를 통하여 가공된 링형 부품(PD)은 배출구(33)를 통하여 배출된 후 이송 레일(90)과 제1 타입 슬라이딩부(90)를 경유한 후 회수부(40b)로 이동한다. 회수부(40b)는 컨베이어 구조를 통하여 링형 부품(PD)을 일 방향으로 회수한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상술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특허청구범위에 구체화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주에서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다.
10: 부품 공급부(부품공급장치)
20: 승강부
30: 가공부
40a: 분배부
40b: 회수부
50: 검사부
60: 정렬부
20: 승강부
30: 가공부
40a: 분배부
40b: 회수부
50: 검사부
60: 정렬부
Claims (8)
-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품 가공장치에 링형 부품을 공급하기 위한 장치로서,
상기 링형 부품이 수용되고, 저면으로부터 어느 한 측면을 향하여 제1 곡면이 형성되는 수용부;
상기 제1 곡면을 따라 구비되고, 내측면에 상향 이동하는 컨베이어가 구비되는 컨베이어부;
상기 컨베이어부의 제1 측면에 인접한 위치에 상기 제1 측면을 향하여 하향 경사지도록 구비되고, 상기 컨베이어의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개 구비되어 상기 링형 부품이 거치되는 거치부;
상기 컨베이어부의 하부로부터 상기 제1 측면을 따라 일정 높이의 제1 위치까지 형성되고, 상기 컨베이어부에 비하여 일정 높이 단차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거치부와 함께 상기 링형 부품이 거치되는 단차부;
상기 제1 위치의 단차부 단부로부터 상기 컨베이어부의 외측을 향하여 연장되어 상기 링형 부품이 기립한 상태로 굴러 이동하는 경로를 제공하는 가이드부;를 포함하는 링형 부품 가공장치용 부품 공급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단차부로부터 외측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되는 링형 부품 가공장치용 부품 공급장치.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거치부가 상기 제1 위치까지 상승한 상태에서 상기 거치부와 연속적인 링형 부품의 이동경로를 형성하는 가이드 밑면; 및
상기 가이드 밑면의 후면으로부터 상향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되는 가이드 후면;을 포함하는 링형 부품 가공장치용 부품 공급장치.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의 단부에 구비되고, 상기 링형 부품 하나가 통과가능한 크기로 통과홀이 형성되는 차단플레이트;를 포함하는 링형 부품 가공장치용 부품 공급장치.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 플레이트의 하단에는 상기 가이드부 및 상기 차단 플레이트로부터 낙하하는 링형 부품이 안착하는 안착부가 형성되는 링형 부품 가공장치용 부품 공급장치.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부는 곡면 또는 빗면으로 형성되는 링형 부품 가공장치용 부품 공급장치.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부는 안착된 링형 부품이 상기 수용부로 슬라이딩 되도록 연결되는 링형 부품 가공장치용 부품 공급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부의 폭은 상기 컨베이어부의 폭의 2분의 1 이하로 형성되는 링형 부품 가공장치용 부품 공급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142778A KR102110884B1 (ko) | 2019-11-08 | 2019-11-08 | 링형 부품 가공장치용 부품 공급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142778A KR102110884B1 (ko) | 2019-11-08 | 2019-11-08 | 링형 부품 가공장치용 부품 공급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110884B1 true KR102110884B1 (ko) | 2020-06-08 |
Family
ID=710895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142778A KR102110884B1 (ko) | 2019-11-08 | 2019-11-08 | 링형 부품 가공장치용 부품 공급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110884B1 (ko)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999266A (ja) * | 1995-10-05 | 1997-04-15 | Ykk Corp | 小物品の頭部自動塗装装置 |
KR100209792B1 (ko) * | 1995-07-31 | 1999-07-15 | 전주범 | 자동 가공물 공급기 |
JP2003118828A (ja) * | 2001-10-19 | 2003-04-23 | Zenwell Ordered Kk | 回転ボール式パーツフィーダー |
KR100628530B1 (ko) * | 2005-10-05 | 2006-09-26 | 셰플러코리아(유) | 테이퍼 롤러 베어링용 리테이너 공급장치 |
KR20180112936A (ko) * | 2017-04-05 | 2018-10-15 | 두산공작기계 주식회사 | 공작 기계 가공품 반출 장치 |
-
2019
- 2019-11-08 KR KR1020190142778A patent/KR102110884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209792B1 (ko) * | 1995-07-31 | 1999-07-15 | 전주범 | 자동 가공물 공급기 |
JPH0999266A (ja) * | 1995-10-05 | 1997-04-15 | Ykk Corp | 小物品の頭部自動塗装装置 |
JP2003118828A (ja) * | 2001-10-19 | 2003-04-23 | Zenwell Ordered Kk | 回転ボール式パーツフィーダー |
KR100628530B1 (ko) * | 2005-10-05 | 2006-09-26 | 셰플러코리아(유) | 테이퍼 롤러 베어링용 리테이너 공급장치 |
KR20180112936A (ko) * | 2017-04-05 | 2018-10-15 | 두산공작기계 주식회사 | 공작 기계 가공품 반출 장치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102070021B (zh) | 基板搬送设备 | |
US9421580B2 (en) | Picking system and method for picking articles | |
US20180036779A1 (en) | Straightening apparatus and method of changing rollers thereof | |
TWI386354B (zh) | 基板搬送裝置 | |
CN102923427A (zh) | 物品运送设备 | |
JP2009522111A (ja) | ロールの交換/搬送をするための方法及び装置 | |
KR101491448B1 (ko) | 벨트 컨베이어 상부 롤러 교체용 리프팅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벨트 컨베이어 상부 롤러 교체 방법 | |
CN101558001B (zh) | 基板输送机 | |
EP2546153A1 (de) | 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Stapeln von stapelbaren Teilen | |
CN104759935A (zh) | 板料多工位输送装置 | |
KR101742521B1 (ko) | 소재 선별 공급장치 | |
KR102110884B1 (ko) | 링형 부품 가공장치용 부품 공급장치 | |
CN112203958A (zh) | 容器检查装置 | |
JP2007137254A (ja) | 走行台車搭載ロボットの搬送台車 | |
CN103796791A (zh) | 机床和工具更换方法 | |
KR102148667B1 (ko) | 링형 부품 가공장치 | |
JP2016098069A (ja) | オーバーヘッドコンベア装置 | |
CN110127567B (zh) | 搬运作业设备 | |
JP5777409B2 (ja) | 部品供給装置 | |
JP2005194067A (ja) | ベルトコンベアのローラー取り替え治具及びこれを用いたローラー取り替え方法 | |
CN110371609A (zh) | 双层垂直输送机、双层分拣系统及其分拣方法 | |
KR100899363B1 (ko) | 기판의 경사조절장치 | |
CN204648969U (zh) | 电子窑炉用的匣钵输送装置 | |
JP3311738B2 (ja) | 金型搬送装置 | |
JP2016098099A (ja) | ワーク搬送装置およびワーク搬送方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