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12936A - 공작 기계 가공품 반출 장치 - Google Patents

공작 기계 가공품 반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12936A
KR20180112936A KR1020170043986A KR20170043986A KR20180112936A KR 20180112936 A KR20180112936 A KR 20180112936A KR 1020170043986 A KR1020170043986 A KR 1020170043986A KR 20170043986 A KR20170043986 A KR 20170043986A KR 20180112936 A KR20180112936 A KR 201801129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orkpiece
machine tool
sliding bucket
collection
sli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439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19317B1 (ko
Inventor
정철안
Original Assignee
두산공작기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두산공작기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두산공작기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439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19317B1/ko
Publication of KR201801129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129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193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193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7/00Arrangements for handling work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chine tools, e.g. for conveying, loading, positioning, discharging, sorting
    • B23Q7/007Flying work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11/00Accessories fitted to machine tools for keeping tools or parts of the machine in good working condition or for cooling work; Safety devices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chine tools
    • B23Q11/08Protective coverings for parts of machine tools; Splash guards
    • B23Q11/0891Protective coverings for parts of machine tools; Splash guards arranged between the working area and the operat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7/00Arrangements for handling work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chine tools, e.g. for conveying, loading, positioning, discharging, sorting
    • B23Q7/08Arrangements for handling work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chine tools, e.g. for conveying, loading, positioning, discharging, sorting by means of slides or chu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7/00Arrangements for handling work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chine tools, e.g. for conveying, loading, positioning, discharging, sorting
    • B23Q7/14Arrangements for handling work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chine tools, e.g. for conveying, loading, positioning, discharging, sorting co-ordinated in production l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2707/00Automatic supply or removal of metal workpieces
    • B23Q2707/003Automatic supply or removal of metal workpieces in a lath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2707/00Automatic supply or removal of metal workpieces
    • B23Q2707/02Drive
    • B23Q2707/025Driving by vibration, shaking or jot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urning (AREA)
  • Feeding Of Workpieces (AREA)
  • Auxiliary Devices For Machine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작 기계가 가공을 마친 가공품을 수거하여 반출시키는 공작 기계 가공품 반출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작 기계 가공품 반출 장치는 상기 가공품을 일시적으로 보관하는 가공품 수거 박스와, 상기 공작 기계가 가공품 가공 중에는 일단부와 타단부가 대기 영역에서 대기하다가 상기 공작 기계가 가공품 가공을 완료하면 선회하여 일단부는 상기 가공품 아래의 수거 영역에 위치하고 타단부는 상기 가공품 수거 박스와 연결되도록 경사지게 배치되는 슬라이딩 버켓, 그리고 상기 슬라이딩 버켓을 선회시키는 선회 구동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공작 기계 가공품 반출 장치{WORKPIECE CONVEYANCE APPARATUS FOR MACHINE TOOL}
본 발명은 공작 기계 가공품 반출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공작 기계가 가공한 가공품을 수거하여 외부로 반출시키기 위한 공작 기계 가공품 반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작 기계는 여러 절삭 가공 방법 또는 비절삭 가공 방법으로 금속 또는 비금속 소재를 각종 공구를 이용하여 원하는 형상 및 치수로 가공할 목적으로 사용하는 기계를 말한다.
공작 기계는 가공 방법에 따라 크게 터닝 센터(turning center)와 머시닝 센터(machining center)로 분류된다. 여기서, 터닝 센터는 소재가 회전하고 공구가 이동하면서 공작물을 가공하며, 머시닝 센터는 공구가 회전하고 가공될 소재가 이동하면서 가공된다.
또한, 공작 기계 가공품 반출 장치는 공작 기계가 가공을 완료한 가공품을 수거하여 일시 보관하였다가 일정량 수거되면 외부로 반출시키기 위해 사용된다. 이와 같이, 공작 기계에서 가공이 완료된 가공품은 공작 기계 가공품 반출 장치에 저장되었다가 다른 가공을 위해 이동되거나, 완성품인 경우 출하를 위해 이동될 수 있다.
이러한 공작 기계 가공품 반출 장치는 공작 기계가 가공품을 가중 중에는 공작 기계의 동작과 간섭되지 않도록 설치되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공작 기계가 가공품을 완성한 후에는 가공품을 빠르게 수거할 수 있어야 한다. 가공품을 빠르게 수거하지 못하면 공작 기계의 가동 시간에 손실이 생겨 생산성이 저하될 수 있다. 그리고 가공품을 수거하는 도중에 가공품이 걸리거나 막혀 반출되지 못하는 일도 없어야 한다.
따라서, 공작 기계 가공품 반출 장치는 간소한 구조를 갖는 것이 요구된다. 공작 기계 가공품 반출 장치가 복잡한 구조를 가질 경우, 가공품을 수거하는데 많은 동작이 요구되거나 수거 경로가 길어져 수거 시간이 길어질 뿐만 아니라 수거 도중에 가공품이 걸리는 현상도 발생되기 쉬운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간소한 구성으로 가공품을 빠르게 수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수거 도중 가공품이 걸리는 것을 방지한 공작 기계 가공품 반출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공작 기계가 가공을 마친 가공품을 수거하여 반출시키는 공작 기계 가공품 반출 장치는 상기 가공품을 일시적으로 보관하는 가공품 수거 박스와, 상기 공작 기계가 가공품 가공 중에는 일단부와 타단부가 대기 영역에서 대기하다가 상기 공작 기계가 가공품 가공을 완료하면 선회하여 일단부는 상기 가공품 아래의 수거 영역에 위치하고 타단부는 상기 가공품 수거 박스와 연결되도록 경사지게 배치되는 슬라이딩 버켓, 그리고 상기 슬라이딩 버켓을 선회시키는 선회 구동부를 포함한다.
상기 선회 구동부는 동력을 발생시키는 구동 실린더와, 상기 구동 실린더에 의해 직선 왕복 운동하는 랙 기어부와, 상기 랙 기어부에 맞물려 회전하는 피니언 기어부, 그리고 상기 피니언 기어부와 함께 회전하며 상기 슬라이딩 버켓과 결합되어 상기 슬라이딩 버켓을 선회시키는 선회축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슬라이딩 버켓 내부에는 상기 슬라이딩 버켓보다 상대적으로 마찰계수가 낮은 소재로 만들어진 미끄럼 플레이트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가공품 수거 박스는 상기 슬라이딩 버켓의 일단부가 상기 수거 영역에 위치할 때 상기 슬라이딩 버켓의 타단부가 삽입되는 수거 구멍과 상기 수거 구멍으로 수거된 상기 가공품을 반출하기 위한 반출 구멍을 구비한 박스 본체 및 상기 박스 본체의 내부에 마련된 완충 시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공품 수거 박스는 일측이 상기 박스 본체에 힌지 결합되어 상기 박스 본체의 수거 구멍을 개폐하는 커튼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슬라이딩 버켓의 타단부가 상기 수거 구멍에 삽입될 때 상기 커튼 부재를 밀고 들어갈 수 있다.
상기 가공품 수거 박스는 상기 박스 본체의 반출 구멍을 개폐하는 박스 도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완충 시트의 일측은 상기 박스 본체의 바닥면을 커버하고 상기 완충 시트의 타측은 상기 수거 구멍이 형성된 상기 박스 본체의 일측면에 반대되는 타측면을 커버하며, 상기 완충 시트의 일측과 상기 완충 시트의 타측 사이는 만곡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슬라이딩 버켓은 상기 가공품을 수거하는 과정에서 상기 가공품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슬라이딩 버켓의 일단부와 상기 슬라이딩 버켓의 타단부를 양 측면에서 각각 연결하는 한 쌍의 가이드 측벽부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미끄럼 플레이트는 상기 한 쌍의 가이드 측벽부 사이에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딩 버켓이 상기 수거 구멍에 삽입될 때 상기 커튼 부재와 접촉하는 상기 슬라이딩 버켓의 타단부에 형성된 상기 한 쌍의 가이드 측벽부는 상기 슬라이딩 버켓의 일단부에 형성된 상기 한 쌍의 가이드 측벽부보다 상대적으로 더 돌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공작 기계 가공품 반출 장치는 간소한 구성으로 가공품을 빠르게 수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수거 도중 가공품이 걸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작 기계 가공품 반출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3은 도 1의 공작 기계 가공품 반출 장치의 동작 상태를 순차로 나타낸 정면도들이다.
도 4는 도 1의 공작 기계 가공품 반출 장치에 사용된 선회 구동부의 내부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V-V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1의 공작 기계 가공품 반출 장치에 사용된 가공품 수거 박스의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들은 개략적이고 축척에 맞게 도시되지 않았다는 것을 일러둔다. 도면에 있는 부분들의 상대적인 치수 및 비율은 도면에서의 명확성 및 편의를 위해 그 크기에 있어 과장되거나 축소되어 도시되었으며 임의의 치수는 단지 예시적인 것이지 한정적인 것은 아니다. 그리고 둘 이상의 도면에 나타나는 동일한 구조물, 요소 또는 부품에는 동일한 참조 부호가 유사한 특징을 나타내기 위해 사용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상적인 실시예를 구체적으로 나타낸다. 그 결과, 도해의 다양한 변형이 예상된다. 따라서 실시예는 도시한 영역의 특정 형태에 국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제조에 의한 형태의 변형도 포함한다.
이하,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작 기계 가공품 반출 장치(101)를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공작 기계 가공품 반출 장치(101)는 공작 기계(100)가 가공을 마친 가공품(10)을 수거하여 반출시킨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작 기계 가공품 반출 장치(101)는 가공품 수거 박스(500), 슬라이딩 버켓(200), 및 선회 구동부(300)를 포함한다.
또한, 도 1에서 참조부호 800은 공작 기계 커버를 나타낸다. 그리고 도 1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공작 기계 커버(800)의 일부만을 나타낸다. 공작 기계 커버(800)는 공작 기계(100)의 가공 작업 중에 비산하는 칩을 막아 작업자를 보호한다.
슬라이딩 버켓(200)은 공작 기계(100)가 가공을 마친 가공품(10)을 수거하여 가공품 수거 박스(500)에 전달한다. 슬라이딩 버켓(200)은 가공품(10)의 수거 시 공작 기계(100)의 가공 영역 아래로부터 가공품 수거 박스(500) 방향으로 기울어지게 위치한다. 따라서, 공작 기계(100)가 가공을 완료하고 떨어뜨리는 가공품(10)을 슬라이딩 버켓(200)이 받아 가공품 수거 박스(500) 방향으로 미끄러뜨린다.
또한, 슬라이딩 버켓(200)의 내부, 즉 가공품(10)과 직접 접촉하는 면에는 슬라이딩 버켓(200)보다 상대적으로 마찰계수가 낮은 소재로 만들어진 미끄럼 플레이트(250)가 마련된다. 따라서, 가공품(10)이 슬라이딩 버켓(200)에 걸리지 않고 용이하게 미끄러져 가공품 수거 박스(500)로 이동할 수 있다. 일례로, 미끄럼 플레이트는 폴리아미드 (polyamide)로 만들어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슬라이딩 버켓(200)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공작 기계(100)가 가공품 가공 중에는 일단부와 타단부가 대기 영역에서 대기하다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공작 기계(100)가 가공품 가공을 완료하면 선회하여 일단부가 가공품(10) 아래의 수거 영역에 위치한다. 이때, 슬라이딩 버켓(200)의 타단부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후술할 가공품 수거 박스(500)와 연결되도록 경사지게 배치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에에서, 슬라이딩 버켓(200)은 일정한 각도 범위 내에서 반복적으로 선회할 수 있다.
선회 구동부(300)는 슬라이딩 버켓(200)을 선회시킨다. 선회 구동부(300)을 중심으로 동작을 다시 상세히 설명하면, 선회 구동부(300)는 공작 기계(100)의 가공 동작 중에는 슬라이딩 버켓(200)의 일단부를 대기 영역에 위치시키다가 공작 기계(100)가 가공품 가공을 완료하면 슬라이딩 버켓(200)을 선회시켜 슬라이딩 버켓(200)의 일단부를 가공품(10) 아래의 수거 영역으로 이동시킨다. 이때, 슬라이딩 버켓(200)의 타단부는 가공품 수거 박스(500)와 연결되어 가공품(10)은 슬라이딩 버켓(200)을 타고 미끄러져 가공품 수거 박스(500)로 수거된다.
그리고 공작 기계(100)가 다시 가공을 시작하면 선회 구동부(300)가 슬라이딩 버켓(200)을 대기 영역으로 이동시켜 슬라이딩 버켓(200)이 공작 기계(100)의 가공 작업과 간섭되는 것을 방지한다.
구체적으로, 선회 구동부(300)는, 도 4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동 실린더(310), 랙 기어부(320), 피니언 기어부(330), 및 선회축(360)을 포함한다. 또한, 선회 구동부(300)는 선회축 지지부(370)와, 베어링(380), 그리고 선회 구동 하우징(35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구동 실린더(310)는 동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이때, 구동 실린더(310)는 공압 또는 유압으로 동작할 수 있다. 랙 기어부(320)는 구동 실린더(310)와 연결되어 동력을 전달받으며, 구동 실린더(310)에 의해 직선 왕복 운동할 수 있다. 피니언 기어부(330)는 랙 기어부(320)에 맞물려 회전할 수 있다. 즉, 랙 기어부(320)가 직선 왕복 운동하면 피니언 기어부(330)는 회전 운동을 하게 된다. 선회축(360)은 피니언 기어부(330)의 중심축이 되며, 슬라이딩 버켓(200)과 결합된다. 즉, 선회축(360)은 피니언 기어부(330)와 함께 회전하면서 슬라이딩 버켓(200)을 선회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선회 구동부(300)의 구동 실린더(310)가 직선 왕복 운동을 하게 되면, 랙 기어부(320)와 피니언 기어부(330)에 의해 직선 왕복 운동이 회전 운동으로 변환되면서 선회축(360)을 일정한 각도 범위 내에서 반복적으로 회전하게 된다. 그리고, 선회축(360)과 결합된 슬라이딩 버켓(200)도 선회축(360)과 함께 일정한 각도 범위 내에서 반복적으로 선회하게 된다.
선회축 지지부(370)는 선회축(360)을 지지한다. 베어링(380)은 선회축 지지부(370)와 선회축(360) 사이에 개재되어 선회축(360)을 회전 가능하게 한다. 선회 구동 하우징(350)은 구동 실린더(310), 랙 기어부(320), 및 피니언 기어부(330) 등을 둘러싸 보호하며 선회축 지지부(370)와 결합된다.
가공품 수거 박스(500)는 슬라이딩 버켓(200)이 수거하여 전달한 가공품(10)을 일시적으로 보관하다가 일정량 수거되면 외부로 반출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가공품 수거 박스(500)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박스 본체(510)와, 완충 시트(550)와, 커튼 부재(520), 그리고 박스 도어(580)를 포함할 수 있다.
박스 본체(510)는 슬라이딩 버켓(200)의 일단부가 수거 영역에 위치할 때 슬라이딩 버켓(200)의 타단부가 삽입되는 수거 구멍과, 수거 구멍으로 수거된 가공품(10)을 반출하기 위한 반출 구멍을 구비한다.
커튼 부재(520)는 일측이 박스 본체(510)에 힌지부(526)를 통해 힌지 결합되어 박스 본체(510)의 수거 구멍을 개폐할 수 있다. 일례로, 커튼 부재(520)의 상단부가 박스 본체(510)에 힌지 결합된 상태로 박스 본체(510)의 수거 구멍을 막고 있다가 슬라이딩 버켓(200)의 타단부가 수거 구멍에 삽입될 때 슬라이딩 버켓(200)의 타단부가 커튼 부재(520)를 밀게 된다. 이때, 커튼 부재(520)는 힌지 결합된 상단부를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수거 구멍을 개방시킨다. 즉, 슬라이딩 버켓(200)의 타단부가 커튼 부재(520)를 밀고 박스 본체(510) 내부로 들어가게 된다.
이와 같이, 커튼 부재(520)는 공작 기계(100)가 가공 중에는 박스 본체(510)의 수거 구멍을 막아 가공 과정에서 비산하는 칩이 박스 본체(510)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막는다. 그리고 공작 기계(100)가 가공을 완료하고 가공품(10)을 수거하기 위해 슬라이딩 버켓(200)이 선회하면 커튼 부재(520)가 슬라이딩 버켓(200)의 타단부에 의해 밀려 박스 본체(510)의 수거 구멍을 개방하게 된다.
박스 도어(580)는 박스 본체(510)의 반출 구멍을 개폐한다. 박스 도어(580)는 손잡이(585)를 구비하며, 가공품 수거 박스(500) 내부에 일정량 이상의 가공품(10)이 수거되면 작업자는 손잡이(585)를 사용하여 박스 도어(580)를 열고 박스 본체(510) 내 수거된 가공품(10)을 외부로 반출시킬 수 있다.
완충 시트(550)는 박스 본체(510)의 내부에 마련될 수 있다. 완충 시트(550)는 슬라이딩 버켓(200)을 따라 미끄러져 가공품 수거 박스(500)의 내부로 유입되는 가공품(10)이 박스 본체(510)와 충돌하면서 발생되는 충격을 완화시킨다. 일례로, 완충 시트(550)의 일측은 박스 본체(510)의 바닥면을 커버하고 완충 시트(550)의 타측은 수거 구멍이 형성된 박스 본체(510)의 일측면에 반대되는 타측면을 커버할 수 있다. 그리고 완충 시트(550)의 일측과 완충 시트(550)의 타측 사이는 만곡될 수 있다.
이에, 박스 본체(510)의 내부로 굴러들어오는 가공품(10)에 가해지는 충격이 완충 시트(550)의 소재 특성에 의해 완화되기도 하지만 완충 시트(550)의 만곡부에 의해 구조적으로도 완화될 수 있다.
또한, 슬라이딩 버켓(200)은 공작 기계(100)가 가공을 마친 가공품(10)을 수거하여 가공품 수거 박스(500)로 이동시키는 과정에서 가공품(10)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슬라이딩 버켓(200)의 일단부와 슬라이딩 버켓(200)의 타단부를 양 측면에서 각각 연결하는 한 쌍의 가이드 측벽부(204)를 포함할 수 있다. 즉, 한 쌍의 가이드 측벽부(204)는 슬라이딩 버켓(200)의 바닥면에서 절곡 연장되어 가공품(10)이 이동하는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미끄럼 플레이트(250)는 한 쌍의 가이드 측벽부(204) 사이에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슬라이딩 버켓(200)이 수거 구멍에 삽입될 때 커튼 부재(520)와 접촉하는 슬라이딩 버켓(200)의 타단부에 형성된 한 쌍의 가이드 측벽부(204)는 슬라이딩 버켓(200)의 일단부에 형성된 한 쌍의 가이드 측벽부(204)보다 상대적으로 더 돌출될 수 있다. 도 2, 도 3, 및 도 6에서 참조부호 2045는 돌출된 가이드 측벽부를 나타낸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작 기계 가공품 반출 장치(101)는 간소한 구성으로 가공품(10)을 빠르게 수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수거 도중 가공품(10)이 걸리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가공품(10)을 수거하는 과정에서 가공품(10)의 이탈을 방지하고, 슬라이딩 버켓(200)의 타단부가 수거 구멍에 삽입될 때, 한 쌍의 가이드 측벽부(204)의 돌출된 부위(2045)가 커튼 부재(520)를 밀어 가공품(10)이 걸리지 않도록 수거 구멍을 크게 개방시킬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가공품
100: 공작 기계
101: 공작 기계 가공품 반출 장치
200: 슬라이딩 버켓
204: 가이드 측벽부
250: 미끄럼 플레이트
300: 선회 구동부
310: 구동 실린더
320: 랙 기어부
330: 피니언 기어부
350: 선회 구동 하우징
360: 선회축
370: 선회축 지지부
380: 베어링
500: 가공품 수거 박스
510: 박스 본체
520: 커튼 부재
526: 힌지부
550: 완충 시트
580: 박스 도어
585: 손잡이
800: 공작 기계 커버

Claims (9)

  1. 공작 기계가 가공을 마친 가공품을 수거하여 반출시키는 공작 기계 가공품 반출 장치에 있어서,
    상기 가공품을 일시적으로 보관하는 가공품 수거 박스;
    상기 공작 기계가 가공품 가공 중에는 일단부와 타단부가 대기 영역에서 대기하다가 상기 공작 기계가 가공품 가공을 완료하면 선회하여 일단부는 상기 가공품 아래의 수거 영역에 위치하고 타단부는 상기 가공품 수거 박스와 연결되도록 경사지게 배치되는 슬라이딩 버켓; 및
    상기 슬라이딩 버켓을 선회시키는 선회 구동부
    를 포함하는 공작 기계 가공품 반출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회 구동부는,
    동력을 발생시키는 구동 실린더;
    상기 구동 실린더에 의해 직선 왕복 운동하는 랙 기어부;
    상기 랙 기어부에 맞물려 회전하는 피니언 기어부; 및
    상기 피니언 기어부와 함께 회전하며 상기 슬라이딩 버켓과 결합되어 상기 슬라이딩 버켓을 선회시키는 선회축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작 기계 가공품 반출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버켓 내부에는 상기 슬라이딩 버켓보다 상대적으로 마찰계수가 낮은 소재로 만들어진 미끄럼 플레이트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작 기계 가공품 반출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공품 수거 박스는,
    상기 슬라이딩 버켓의 일단부가 상기 수거 영역에 위치할 때 상기 슬라이딩 버켓의 타단부가 삽입되는 수거 구멍과 상기 수거 구멍으로 수거된 상기 가공품을 반출하기 위한 반출 구멍을 구비한 박스 본체; 및
    상기 박스 본체의 내부에 마련된 완충 시트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작 기계 가공품 반출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가공품 수거 박스는 일측이 상기 박스 본체에 힌지 결합되어 상기 박스 본체의 수거 구멍을 개폐하는 커튼 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슬라이딩 버켓의 타단부가 상기 수거 구멍에 삽입될 때 상기 커튼 부재를 밀고 들어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작 기계 가공품 반출 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가공품 수거 박스는 상기 박스 본체의 반출 구멍을 개폐하는 박스 도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작 기계 가공품 반출 장치.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 시트의 일측은 상기 박스 본체의 바닥면을 커버하고 상기 완충 시트의 타측은 상기 수거 구멍이 형성된 상기 박스 본체의 일측면에 반대되는 타측면을 커버하며, 상기 완충 시트의 일측과 상기 완충 시트의 타측 사이는 만곡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작 기계 가공품 반출 장치.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버켓은 상기 가공품을 수거하는 과정에서 상기 가공품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슬라이딩 버켓의 일단부와 상기 슬라이딩 버켓의 타단부를 양 측면에서 각각 연결하는 한 쌍의 가이드 측벽부를 포함하며,
    상기 한 쌍의 가이드 측벽부 사이에 상기 슬라이딩 버켓보다 상대적으로 마찰계수가 낮은 소재로 만들어진 미끄럼 플레이트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작 기계 가공품 반출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버켓이 상기 수거 구멍에 삽입될 때 상기 커튼 부재와 접촉하는 상기 슬라이딩 버켓의 타단부에 형성된 상기 한 쌍의 가이드 측벽부는 상기 슬라이딩 버켓의 일단부에 형성된 상기 한 쌍의 가이드 측벽부보다 상대적으로 더 돌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작 기계 가공품 반출 장치.
KR1020170043986A 2017-04-05 2017-04-05 공작 기계 가공품 반출 장치 KR1023193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3986A KR102319317B1 (ko) 2017-04-05 2017-04-05 공작 기계 가공품 반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3986A KR102319317B1 (ko) 2017-04-05 2017-04-05 공작 기계 가공품 반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12936A true KR20180112936A (ko) 2018-10-15
KR102319317B1 KR102319317B1 (ko) 2021-11-01

Family

ID=638658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43986A KR102319317B1 (ko) 2017-04-05 2017-04-05 공작 기계 가공품 반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1931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10884B1 (ko) * 2019-11-08 2020-06-08 윤영광 링형 부품 가공장치용 부품 공급장치
CN112191923A (zh) * 2020-09-30 2021-01-08 杨宝辉 一种大型金属卷材剪切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31803U (ja) * 1991-10-11 1993-04-27 オークマ株式会社 工作機械のワーク仮受装置
JPH10277869A (ja) * 1997-04-02 1998-10-20 Yaskawa Electric Corp 加工品回収装置
JP2000272758A (ja) * 1999-03-24 2000-10-03 Ito Seimitsu Seisakusho:Kk ワーク蓄積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31803U (ja) * 1991-10-11 1993-04-27 オークマ株式会社 工作機械のワーク仮受装置
JPH10277869A (ja) * 1997-04-02 1998-10-20 Yaskawa Electric Corp 加工品回収装置
JP2000272758A (ja) * 1999-03-24 2000-10-03 Ito Seimitsu Seisakusho:Kk ワーク蓄積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10884B1 (ko) * 2019-11-08 2020-06-08 윤영광 링형 부품 가공장치용 부품 공급장치
CN112191923A (zh) * 2020-09-30 2021-01-08 杨宝辉 一种大型金属卷材剪切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19317B1 (ko) 2021-11-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205447B1 (en) Workpiece supply device and machine tool
KR101490078B1 (ko) Cnc 선반
JP7122221B2 (ja) 工作機械
JP2017013128A (ja) 工作機械及びワークパーツを排出する方法
CN103586865A (zh) 用于自动取出布置在容器中的工件的装置
KR20180112936A (ko) 공작 기계 가공품 반출 장치
CN210909175U (zh) 装载装置及在机内具备装载装置的机床
US7992474B2 (en) Cover structure and machine tool with the cover structure
JP2000061704A (ja) 工作機械のワーク搬出装置
JP4303810B2 (ja) 旋盤のワーク排出装置
US20150224583A1 (en) Hole machining system, robot, and method for controlling hole machining system
KR20130029727A (ko) 공작기계의 워크 반출장치 및 공작기계
JP5219825B2 (ja) 部品の搬出装置及び該搬出装置を備えた工作機械
KR20200099359A (ko) 공작기계의 와이퍼 장치
KR101621492B1 (ko) 환형소재 가공용 cnc 선반
JP2008246585A (ja) 部品の搬出装置及び該搬出装置を備えた工作機械
CN109551303B (zh) 双刀式叶轮加工送料一体机
JP4671533B2 (ja) 切屑排出システム
CN206105863U (zh) 一种可旋转的自动化机械手
JPH1034478A (ja) 作業室を有する工作機械
CN219665945U (zh) 一种数控机床防护门结构
JPH02243205A (ja) 工作機械のアンローダ装置
KR102446582B1 (ko) 칩 배출장치
KR20190094999A (ko) 공작물 자동 취출 장치
KR200406981Y1 (ko) 주물 절단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