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10694B1 - 사인장 균열 방지용 응력분산판이 구비된 벽체 매설체 - Google Patents

사인장 균열 방지용 응력분산판이 구비된 벽체 매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10694B1
KR102110694B1 KR1020180162870A KR20180162870A KR102110694B1 KR 102110694 B1 KR102110694 B1 KR 102110694B1 KR 1020180162870 A KR1020180162870 A KR 1020180162870A KR 20180162870 A KR20180162870 A KR 20180162870A KR 102110694 B1 KR102110694 B1 KR 1021106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ess distribution
distribution plate
reinforcing bar
wall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628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신한스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신한스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신한스틸
Priority to KR10201801628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1069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106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106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16Auxiliary parts for reinforcements, e.g. connectors, spacers, stirrup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7/00Connecting or other auxiliary members for forms, falsework structures, or shutter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oad Signs Or Road Mark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인장 균열 방지용 응력분산판이 구비된 벽체 매설체에 관한 것이다. 이는, 건물 벽체의 시공시 벽체내에 매립되는 박스형 케이싱부와; 상기 케이싱부에 위치하며 지지력을 제공하는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에 지지된 상태로 케이싱부의 모서리부를 커버함과 동시에 벽체내에 배근되는 철근에 고정되는 것으로서, 만곡된 플레이트의 형태를 취하는 응력분산부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사인장 균열 방지용 응력분산판이 구비된 벽체 매설체는, 박스형 케이싱부와 응력분산부가 세트를 이루되 특히 응력분산부가 케이싱부에 연결된 상태이므로, 시공시 케이싱부에 대한 응력분산부의 상대 위치가 틀어지지 않아 정밀시공이 가능하고, 시공 자체도 간편하다.

Description

사인장 균열 방지용 응력분산판이 구비된 벽체 매설체{In wall installed body with strain relief plate for anti-cracking caused by diagonal direction tension}
본 발명은 건축시 벽체에 매설되는 매설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매설에 의해 유발되는 사인장 균열을 방지할 수 있는 응력분산판이 구비되어 기존 사인장 균열방지철근의 시공을 생략할 수 있게 하는 사인장 균열 방지용 응력분산판이 구비된 벽체 매설체에 관한 것이다.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의 건축시 형성하는 각종 사각 개구부에는, 콘크리트의 양생시 건조 수축에 따른 응력이 집중하게 된다. 특히 개구부의 네 귀퉁이부는 응력이 더욱 집중되어, 가령, 응력이 콘크리트의 인장강도를 상회하면 사인장(斜引張, diagonal tension) 균열이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사인장력에 의한 균열을 방지하기 위하여, 개구부의 주변에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보강철근 이외에도 사인장 균열방지철근이 배근된다.
도 1은 종래 사인장 균열을 방지하기 위한 철근 구조를 나타내 보인 도면이다.
도 1을 참고하면, 벽체(W)에 형성되어 있는 개구부(11)의 위아래와 좌우에 다수의 보강철근(13a,13b)이 배치되어 있다. 또한 개구부(11)의 네 귀퉁이부 외측에는 사인장 균열방지철근(15)이 배근되어 있다. 사인장 균열방지철근(15)은, 귀퉁이부에서 균열이 발생하는 것을 최대한 억제하고, 균열이 발생하였다면 균열의 성장을 차단하기 위한 것이다.
그러나, 위와 같이, 사인장 균열방지철근(15)을 적용한다 하더라도, 콘크리트의 양생초기 집중적으로 발생하는 건조수축에 대한 실질적인 방어 효과는 거의 없는 것으로 밝혀지고 있으며, 오래된 건물에서도 사인장 균열방지철근(15)을 시공했음에도 불구하고 사인장 균열이 발생함을 확인할 수 있다.
건물의 창호 주변에 사인장 균열이 발생하게 되면, 우수의 침투는 시간 문제이며, 벽체의 내부로 스며든 우수는 내부 철근의 부식 및 팽창을 유발하고 건물의 수명을 급격히 단축시킨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국내 등록특허공보 제10-1022708호(개구부 주변의 균열방지용 응력분산곡면판)이 제안되기도 하였다. 상기 특허공보에 개시된 응력분산곡면판은 종전의 사인장 균열방지철근(15)을 대체하기 위한 것으로서, 개구부 주변의 철근에 고정된 상태로 개구부의 귀퉁이부를 커버하는 설치 구조를 갖는다.
그러나, 상기한 응력산곡면판은, 시공오차로 인해 거푸집과의 간섭이 발생할 경우는 물론 타설된 콘크리트의 압력에 의해, 설계된 정확한 지점에 시공되지 못하는 경우가 많았다. 응력분산곡면판이 애초 목표된 자리에 정확하게 위치하지 못하면, 당연히 응력분산효과를 기대할 수 없게 된다.
국내 등록특허공보 제10-1524216호 (고정수단과 사인장 균열방지수단을 갖는 복합 전기배선박스) 국내 등록특허공보 제10-1613702호 (개구부 주변의 초기 사인장 균열방지용 응력분산 곡면판) 국내 등록특허공보 제10-1022708호 (개구부 주변의 균열방지용 응력분산곡면판)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창출한 것으로서, 시공시 케이싱부에 대한 응력분산부의 상대 위치가 틀어지지 않아 정밀시공이 가능하고, 시공이 간편한 사인장 균열 방지용 응력분산판이 구비된 벽체 매설체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과제의 해결수단으로서의 본 발명의 사인장 균열 방지용 응력분산판이 구비된 벽체 매설체는, 건물 벽체의 시공시 벽체내에 매립되는 박스형 케이싱부와; 상기 케이싱부에 위치하며 지지력을 제공하는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에 지지된 상태로 케이싱부의 모서리부를 커버함과 동시에 벽체내에 배근되는 철근에 고정되는 것으로서, 만곡된 플레이트의 형태를 취하는 응력분산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지지부는, 케이싱부의 모서리에 돌출 고정된 커넥터를 구비하고, 상기 응력분산부는; 합성수지판을 만곡 형성한 것으로서, 콘크리트 타설시 콘크리트를 통과시키는 다수의 콘크리트구멍을 가지고, 그 양단부에는 통로가 형성되며, 회전운동을 통해 상기 철근에 접하는 응력분산판과, 상기 응력분산판의 중앙에 위치하며, 연결부속을 통해 상기 커넥터에 연결되어 응력분산판이 커넥터를 중심으로 회전운동 하게 하는 힌지부와, 상기 응력분산판의 양단부에 회전운동 가능하게 링크되며, 상기 응력분산판과의 사이에 철근을 개재한 상태로 상기 통로에 삽입 고정됨으로써, 응력분산판을 철근에 고정시키는 철근홀더를 구비한다.
또한, 상기 케이싱부는 박스의 형태를 취하며, 상기 지지부는, 케이싱부의 외측면에 형성되며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걸림슬릿이고, 상기 응력분산부는; 합성수지판을 만곡 형성한 것으로서, 콘크리트 타설시 콘크리트를 통과시키는 다수의 콘크리트구멍을 가지고, 그 일단부가 상기 걸림슬릿에 끼워진 상태로 슬라이딩 및 회전운동 가능하며, 타단부에는 통로가 형성되고, 회전운동을 통해 상기 철근에 접하는 응력분산판과, 상기 응력분산판의 타단부에 회전운동 가능하게 링크되며, 응력분산판과의 사이에 철근을 개재시킨 상태로 상기 통로에 끼워져 결합함으로써, 응력분산판을 철근에 고정시키는 철근홀더를 포함한다.
아울러, 상기 케이싱부는 박스의 형태를 취하며, 상기 지지부는, 케이싱부의 외측면에 형성되며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걸림슬릿이고, 상기 응력분산부는; 합성수지판을 만곡 형성한 것으로서, 콘크리트 타설시 콘크리트를 통과시키는 다수의 콘크리트구멍을 가지고, 그 일단부가 상기 걸림슬릿에 끼워진 상태로 슬라이딩 및 회전운동 가능한 응력분산판과, 상기 응력분산판의 타단부에 구비되며, 철근 결속선을 통해 철근에 결합하여 상기 응력분산판을 철근에 고정시키는 결속바를 갖는다.
또한, 상기 응력분산판은 일정두께 및 폭을 가지며, 그 두께 방향 중앙부에는 관통슬릿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슬릿에 끼워진 상태로 상기 응력분산판의 면적을 확장시키는 것으로서, 상기 응력분산판과 동일한 곡률을 가지며, 콘크리트 타설시 콘크리트를 통과시키는 콘크리트구멍과, 상기 철근과의 결속을 위한 결속선을 통과시키는 결속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확장판을 구비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사인장 균열 방지용 응력분산판이 구비된 벽체 매설체는, 박스형 케이싱부와 응력분산부가 세트를 이루되 특히 응력분산부가 케이싱부에 연결된 상태이므로, 시공시 케이싱부에 대한 응력분산부의 상대 위치가 틀어지지 않아 정밀시공이 가능하며 시공 자체도 간편하다.
도 1은 종래 사인장 균열을 방지하기 위한 철근 구조를 나타내 보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인장 균열 방지용 응력분산판이 구비된 벽체 매설체의 시공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2의 응력분산부를 따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한 응력분산부의 변형예를 나타내 보인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인장 균열 방지용 응력분산판이 구비된 벽체 매설체의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인장 균열 방지용 응력분산판이 구비된 벽체 매설체의 또 다른 예를 도시한 부분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한 응력분산부의 변형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도 7에 도시한 응력분산부의 적용 예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인장 균열 방지용 응력분산판의 또 다른 변형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하나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후술할 본 발명의 벽체 매설체는, 벽체 시공시 벽체 내부에 매설되는 구조체로서, 지지부를 갖는 케이싱부와 응력분산부를 갖는다. 케이싱부는, 해당 건물의 오토메이션을 위한 제어박스 일 수 있다. 또한 응력분산부는 케이싱부의 모서리를 커버하여 케이싱부로 인한 벽체의 사인장 균열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응력분산부 없이 케이싱부만 매설하는 경우 케이싱부 주변에 사인장 균열이 발생하는데, 이러한 균열의 발생을 방지하는 것이다.
이러한 벽체 매설체의 기본 구성은, 건물 벽체의 시공시 벽체내에 매립되는 박스형 케이싱부와; 상기 케이싱부에 위치하며 지지력을 제공하는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에 지지된 상태로 케이싱부의 모서리부를 커버함과 동시에 벽체내에 배근되는 철근에 고정되는 것으로서, 만곡된 플레이트의 형태를 취하는 응력분산부로 이루어진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인장 균열 방지용 응력분산판이 구비된 벽체 매설체(20)의 시공 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한 응력분산부(40)를 따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사인장 균열 방지용 응력분산판이 구비된 벽체 매설체(20)는, 지지부를 갖는 케이싱부(30)와 다수의 응력분산부(40)을 갖는다.
상기 케이싱부(30)는 육면체의 박스의 형태를 취한다. 케이싱부(30)의 모양이 경우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케이싱부(30)의 네 귀퉁이부 모서리에는 지지부로서 커넥터(33)가 고정되어 있다. 상기 커텍터(33)는 케이싱부(30)에 고정된 상태로 지지력을 제공하는 힌지형 부재이다. 커넥터(33)는 케이싱부(30)의 성형시 일체로 성형할 수도 있고, 별도의 힌지부재를 고정한 것일 수도 있다.
상기 응력분산부(40)는 연결부속(33a)을 통해 커넥터(33)에 장착된다. 연결부속(33a)은 응력분산판(41)을 화살표 a방향이나 그 반대 방향으로 회전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핀(pin)이다.
또한, 응력분산부(40)는 케이싱부(30)의 주변에 적절히 배근되는 보강철근(13a,13b,13c)에 결합 지지된다. 상기 보강철근(13a,13b,13c)은 벽체(w)의 구조를 보강하기 위해 배근된 철근으로서, 설명의 편의상, Y방향으로 연장된 보강철근(13a), X방향으로 연장된 보강철근(13a), Z방향으로 연장된 보강철근(13c)으로 이루어지며 결속용 천선으로 상호 엮여 하나의 구조체를 이룬다. 특히 본 실시예에서의 응력분산부(40)는 Z방향 보강철근에 지지된다.
상기 응력분산부(40)는, 응력분산판(41)과 철근홀더(43)를 구비한다. 응력분산판(41)은, 합성수지판을 만곡 형성한 것으로서, 다수의 콘크리트구멍(41a)과 홀더통로(41c)를 갖는다. 도 1에 도시한 것처럼, 응력분산판(41)은 대략 부분 원호의 형태를 취하며 케이싱부(30)의 귀퉁이부 모서리를 커버한다. 응력분산판(41)의 곡면부는 케이싱부(30)의 귀퉁이부 주변에 형성되는 응력을 분산시켜 균열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콘크리트구멍(41a)은 벽체(W) 시공시 타설된 콘크리트를 통과시키는 통로이다. 콘크리트는 콘크리트구멍(41a)을 통과하여 응력분산부(40)와 케이싱부(30)의 사이에도 빈틈없이 채워진다. 콘크리트구멍(41a)의 모양이나 배열패턴은 얼마든지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홀더통로(41c)는 응력분산판(41)의 양단부에 형성되며 각각 반대방향으로 열려 있는 공간으로서, 그 내부에 걸쳐져 있는 철근홀더(43)를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철근홀더(43)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응력분산판(41) 단부와의 사이에 보강철근(13c)을 개재한 상태로 홀더통로(41c)에 삽입 고정됨으로써, 보강철근(13c)에 대한 응력분산부(40)의 결합상태를 유지한다.
특히 상기 홀더통로(41c)의 내벽면에는 톱니형 지지요철부(41d)가 형성되어 있다. 지지요철부(41d)는 철근홀더(43)의 폭방향 양단면에 형성되어 있는 고정요철부(43a)에 대응하는 것으로서, 홀더통로(41c)에 화살표 b방향으로 끼워진 철근홀더(43c)가 끼워진 방향의 반대방향으로 빠지는 것을 방지한다.
아울러 상기 응력분산판(41)의 내측면, 즉 케이싱부(30)를 향하는 면의 중앙에는 힌지부(41b)가 마련되어 있다. 힌지부(41b)는 응력분산판(41)에 일체를 이루는 요소로서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연결부속(33a)을 통해 커넥터(33)에 연결된다. 힌지부(41b)가 커넥터(33)에 연결됨에 따라, 케이싱부(30)으로부터 응력분산부(40)가 이탈할 염려가 없다.
한편, 상기 철근홀더(43)는 그 일단부가 회동핀(42)을 통해 응력분산판(41)의 단부에 연결되는 곡면판으로서, 회동핀(42)을 중심으로 회전운동이 가능하다. 철근홀더(43)는, 위에 설명한 바와 같이, 보강철근(13c)을 사이에 두고 화살표 b방향으로 회전하여 홀더통로(41c)로 삽입 고정됨으로써, 응력분산판(41)과의 사이에 보강철근(13c)을 가두어 고정한다. 즉, 보강철근(13c)에 대해 응력분산부(40)가 고정되게 하는 것이다.
결국, 상기 철근홀더(43)를 이용해 각 응력분산부(40)를 보강철근(13c)에 간단히 고정시킬 수 있다. 종전에는 결속용 철사를 이용해 철근에 대해 사인장 균열방지철근을 일일이 고정시켜야 하였다.
도 4는 도 3에 도시한 응력분산부(40)의 변형 예를 나타내 보인 분해 사시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철근홀더(43)와 응력분산판(41)이 토션스프링(44)으로 연결되어 있다. 토션스프링(44)은 응력분산판(41)의 양단부에 마련되어 있는 스프링홈(41e)에 삽입된 상태로, 일단부는 철근홀더(43)에, 타단부는 응력분산판(41)에 연결되며, 철근홀더(43)를 화살표 b방향으로 탄력 지지한다. 도면부호 41f는 스프링홈(41e)을 밀폐하는 캡이다.
이처럼 토션스프링(44)의 작용에 의해 철근홀더(43)가 화살표 b방향으로 탄성 바이어스 되므로, 상기한 지지요철부(41d)와 고정요철부(43a)는 생략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인장 균열 방지용 응력분산판이 구비된 벽체 매설체의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상기한 도면부호와 동일한 도면부호는 동일한 기능의 동일한 부재를 가리키며 그와 관련된 반복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시한 바와 같이, 케이싱부(30)의 상하면과 좌우측면에 지지부로서의 걸림슬릿(31a)이 형성되어 있다. 걸림슬릿(31a)은 일정폭을 가지며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직선형 홈으로서 응력분산판(41)의 일단부에 구비되어 있는 걸림부(41g)를 수용한다.
걸림부(41g)는 걸림슬릿(31a)에 끼워진 상태로 걸림슬릿(31a)의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 운동이 가능함은 물론 화살표 c방향 및 그 반대방향으로의 회전운동도 가능하다. 이와 같이 응력분산판(41)이 걸림슬릿(31a)에 지지되어 위치 조절이 가능하므로, 케이싱부(30)에 대한 보강철근(13c)의 위치가 규칙적이지 않더라도, 응력분산판(41)의 위치 조정을 통해, 보강철근(13c)에 대한 응력분산판(41)의 결합을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응력분산판(41)의 타단부에는 철근홀더(43)가 구비된다. 철근홀더(43)가 설치된 타단부에 홀더통로(41c)가 마련되어 있음은 물론이다. 철근홀더(43)는 응력분산판(41)에 대해 회동핀(42)이나 토션스프링(44)으로 연결되며, 응력분산판(41)과의 사이에 보강철근(13c)을 개재한 상태로 화살표 b방향으로 회전하여 보강철근(13c)을 고정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인장 균열 방지용 응력분산판이 구비된 벽체 매설체(20)의 또 다른 예를 도시한 부분 사시도이다.
도 6에 도시한 벽체 매설체(20)는, 응력분산부(40)를 결속선으로 묶어 고정하는 방식이다. 위에 설명한 도 2나 도 5의 철근홀더(43) 대신 결속바(41h)가 적용된 것이다.
즉, 도시한 응력분산부(40)는, 만곡된 형태의 응력분산판(41), 응력분산판(41)의 선단부에 구비된 결속바(41h), 후단부에 고정된 걸림부(41g)로 이루어진다.
상기 응력분산판(41)은 합성수지판을 만곡 형성한 것으로서, 일정두께 및 폭을 가지며, 상기 걸림슬릿(31a)에 끼워진 상태로 슬라이딩 및 회전운동 가능하다.
결속바(41h)는 응력분산판(41)의 단부에 직각으로 고정되어 있는 봉형 부재로서, 보강철근(13c)에 고정된다. 즉, 결속바(41h)를 보강철근(13c)측으로 이동시킨 상태로 별도의 결속용 철선으로 감아 고정시키는 것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한 응력분산부의 변형 예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8은 상기 변형 예의 평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응력분산판(41)에 관통슬릿(41k)이 형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관통슬릿(41k)은 응력분산판(41)의 두께 방향 중앙에 형성한 공간으로서 응력분산판(41)의 폭방향으로 뚫려 있다.
특히 관통슬릿(41k)에는 확장판(45)이 끼워진다. 확장판(45)은 응력분산판(41)의 면적을 확장시키는 역할을 한다. 면적이라 함은 표면적과 단면적을 포함한다. 표면적이 증가하면 응력분산부(40)와 콘크리트와의 접촉 면적이 증가하므로 보다 강력한 결합을 유지할 수 있고, 단면적이 증가하면 사인장 응력을 낮추게 된다.
확장판은, 응력분산판(41)과 동일한 곡률을 가지는 곡면판으로서, 다수의 콘크리트구멍(45a)과, 결속구멍(45b)을 갖는다. 결속구멍(45b)은 보강철근(13c)과의 결속을 위한 결속선을 통과시키는 구멍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인장 균열 방지용 응력분산판의 또 다른 변형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케이싱부(30)의 외곽부에 다수의 걸림홈(31b)이 형성되어 있다. 걸림홈(31b)은 외부로 지지력을 제공하는 지지부이며 일정 내경 및 간격으로 배치된다.
또한, 걸림홈(31b)에는 응력분산판(41)이 끼워진다. 도 9에 예를 든 응력분산판(41)은 후단부에 회동핀(41m)을 갖는다. 회동핀(41m)은 임의의 걸림홈(31b)에 끼워진 상태로 축회전 가능하다. 결국 응력분산판(41)은, 원하는 걸림홈(31b)에 지지된 상태로 보강철근(13c)에 결속되는 방식으로 장착되는 것이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내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11:개구부 13a보강철근 13b:보강철근
13c:보강철근 15:사인장 균열방지철근 20:매설체
30:케이싱부 31a:걸림슬릿 31b:걸림홈
33:커넥터 33a:연결부속 40:응력분산부
41:응력분산판 41a:콘크리트구멍 41b:힌지부
41c:홀더통로 41d:지지요철부 41e:스프링홈
41f:캡 41g:걸림부 41h:결속바
41k:관통슬릿 41m:회동핀 42:회동핀
43:철근홀더 43a:고정요철부 44:토션스프링
45:확장판 45a:콘크리트 통과구멍 45b:결속구멍

Claims (5)

  1. 삭제
  2. 건물 벽체의 시공시 벽체내에 매립되는 박스형 케이싱부와; 상기 케이싱부에 위치하며 지지력을 제공하는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에 지지된 상태로 케이싱부의 모서리부를 커버함과 동시에 벽체내에 배근되는 철근에 고정되는 것으로서, 만곡된 플레이트의 형태를 취하는 응력분산부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는, 케이싱부의 모서리에 돌출 고정된 커넥터를 구비하고,
    상기 응력분산부는;
    합성수지판을 만곡 형성한 것으로서, 콘크리트 타설시 콘크리트를 통과시키는 다수의 콘크리트구멍을 가지고, 그 양단부에는 통로가 형성되며, 회전운동을 통해 상기 철근에 접하는 응력분산판과,
    상기 응력분산판의 중앙에 위치하며, 연결부속을 통해 상기 커넥터에 연결되어 응력분산판이 커넥터를 중심으로 회전운동 하게 하는 힌지부와,
    상기 응력분산판의 양단부에 회전운동 가능하게 링크되며, 상기 응력분산판과의 사이에 철근을 개재한 상태로 상기 통로에 삽입 고정됨으로써, 응력분산판을 철근에 고정시키는 철근홀더를 갖는 사인장 균열 방지용 응력분산판이 구비된 벽체 매설체.
  3. 건물 벽체의 시공시 벽체내에 매립되는 박스형 케이싱부와; 상기 케이싱부에 위치하며 지지력을 제공하는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에 지지된 상태로 케이싱부의 모서리부를 커버함과 동시에 벽체내에 배근되는 철근에 고정되는 것으로서, 만곡된 플레이트의 형태를 취하는 응력분산부를 포함하고,
    상기 케이싱부는 박스의 형태를 취하며,
    상기 지지부는, 케이싱부의 외측면에 형성되며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걸림슬릿이고,
    상기 응력분산부는;
    합성수지판을 만곡 형성한 것으로서, 콘크리트 타설시 콘크리트를 통과시키는 다수의 콘크리트구멍을 가지고, 그 일단부가 상기 걸림슬릿에 끼워진 상태로 슬라이딩 및 회전운동 가능하며, 타단부에는 통로가 형성되고, 회전운동을 통해 상기 철근에 접하는 응력분산판과,
    상기 응력분산판의 타단부에 회전운동 가능하게 링크되며, 응력분산판과의 사이에 철근을 개재시킨 상태로 상기 통로에 끼워져 결합함으로써, 응력분산판을 철근에 고정시키는 철근홀더를 포함하는 사인장 균열 방지용 응력분산판이 구비된 벽체 매설체.
  4. 건물 벽체의 시공시 벽체내에 매립되는 박스형 케이싱부와; 상기 케이싱부에 위치하며 지지력을 제공하는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에 지지된 상태로 케이싱부의 모서리부를 커버함과 동시에 벽체내에 배근되는 철근에 고정되는 것으로서, 만곡된 플레이트의 형태를 취하는 응력분산부를 포함하고,
    상기 케이싱부는 박스의 형태를 취하며,
    상기 지지부는, 케이싱부의 외측면에 형성되며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걸림슬릿이고,
    상기 응력분산부는;
    합성수지판을 만곡 형성한 것으로서, 콘크리트 타설시 콘크리트를 통과시키는 다수의 콘크리트구멍을 가지고, 그 일단부가 상기 걸림슬릿에 끼워진 상태로 슬라이딩 및 회전운동 가능하는 응력분산판과,
    상기 응력분산판의 타단부에 구비되며, 철근 결속선을 통해 철근에 결합하여 상기 응력분산판을 철근에 고정시키는 결속바가 포함되는 사인장 균열 방지용 응력분산판이 구비된 벽체 매설체.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응력분산판은 일정두께 및 폭을 가지며, 그 두께 방향 중앙부에는 관통슬릿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슬릿에;
    상기 응력분산판의 면적을 확장시키는 것으로서, 상기 응력분산판과 동일한 곡률을 가지며, 콘크리트 타설시 콘크리트를 통과시키는 콘크리트구멍과, 상기 철근과의 결속을 위한 결속선을 통과시키는 결속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확장판이 끼워진 사인장 균열 방지용 응력분산판이 구비된 벽체 매설체.
KR1020180162870A 2018-12-17 2018-12-17 사인장 균열 방지용 응력분산판이 구비된 벽체 매설체 KR1021106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2870A KR102110694B1 (ko) 2018-12-17 2018-12-17 사인장 균열 방지용 응력분산판이 구비된 벽체 매설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2870A KR102110694B1 (ko) 2018-12-17 2018-12-17 사인장 균열 방지용 응력분산판이 구비된 벽체 매설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10694B1 true KR102110694B1 (ko) 2020-05-14

Family

ID=707370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62870A KR102110694B1 (ko) 2018-12-17 2018-12-17 사인장 균열 방지용 응력분산판이 구비된 벽체 매설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10694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2708B1 (ko) 2011-01-05 2011-03-22 주식회사종합건축사사무소가람건축 개구부 주변의 균열방지용 응력분산곡면판
KR101524216B1 (ko) 2015-01-06 2015-06-03 주식회사종합건축사사무소가람건축 고정수단과 사인장 균열방지수단을 갖는 복합 전기배선박스
KR101613702B1 (ko) 2014-12-09 2016-04-19 주식회사 종합건축사사무소가람건축 개구부 주변의 초기 사인장 균열방지용 응력분산 곡면판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2708B1 (ko) 2011-01-05 2011-03-22 주식회사종합건축사사무소가람건축 개구부 주변의 균열방지용 응력분산곡면판
KR101613702B1 (ko) 2014-12-09 2016-04-19 주식회사 종합건축사사무소가람건축 개구부 주변의 초기 사인장 균열방지용 응력분산 곡면판
KR101524216B1 (ko) 2015-01-06 2015-06-03 주식회사종합건축사사무소가람건축 고정수단과 사인장 균열방지수단을 갖는 복합 전기배선박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081020B2 (ja) 補強層のためのスペーサ、コンクリート部材のための補強システム、及び補強システムの製造方法
JPS5950817B2 (ja) アングル部材
US8752349B2 (en) Form system with lath covering
KR102110694B1 (ko) 사인장 균열 방지용 응력분산판이 구비된 벽체 매설체
EP3449065B1 (en) Improved system for coupling two prefabricated panels for construction
KR101589042B1 (ko) 철근 콘크리트 골조 개구부 모서리 보강 구조물
US8887448B2 (en) Adjustable torsion lift assist system with one-way bias for traffic-rated utility vault cover
DE202005021897U1 (de) Aufnahmedose
KR102407916B1 (ko) 사인장 균열 방지 장치
KR200436781Y1 (ko) 기둥 거푸집용 고정밴드.
JP6161031B2 (ja) 蝶番及び間仕切り
JP4804548B2 (ja) ブレーカ用後付け錠
KR200492278Y1 (ko) 알루미늄 프로파일용 마운팅 부재
JP3917840B2 (ja) 防音補助パネル
EP1688572A2 (en) Hinge and locking piece
EP3406170B1 (en) Fixing device
DE19904394A1 (de) Schachtelement zur Bildung eines in eine Gebäudewand integrierten Leerschachts
KR20210002118U (ko) 탄성복원력을 이용한 건축물 내외장 마감재
DE102021112988B4 (de) Verrastungsstruktur sowie elektrisches/elektronisches Installationsgerät mit einer solchen Verrastungsstruktur
JP7459674B2 (ja) 基礎用型枠構造物、及び基礎用型枠構造物に用いる固定ピン
KR20200001802U (ko) 타설막이
KR200196632Y1 (ko) 조립식 문틀
JP6709921B1 (ja) 足場板
EP0634533A1 (en) Insulating panel for inhabited buildings
JP6485720B1 (ja) 補強部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