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13702B1 - 개구부 주변의 초기 사인장 균열방지용 응력분산 곡면판 - Google Patents

개구부 주변의 초기 사인장 균열방지용 응력분산 곡면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13702B1
KR101613702B1 KR1020140175697A KR20140175697A KR101613702B1 KR 101613702 B1 KR101613702 B1 KR 101613702B1 KR 1020140175697 A KR1020140175697 A KR 1020140175697A KR 20140175697 A KR20140175697 A KR 20140175697A KR 101613702 B1 KR101613702 B1 KR 1016137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ess
curved plate
plate
distributing
curv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756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병균
장연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종합건축사사무소가람건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종합건축사사무소가람건축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종합건축사사무소가람건축
Priority to KR10201401756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13702B1/ko
Priority to CN201510116704.XA priority patent/CN106032694A/zh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137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137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16Auxiliary parts for reinforcements, e.g. connectors, spacers, stirrups
    • E04C5/18Spacers of metal or substantially of metal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7/00Connecting or other auxiliary members for forms, falsework structures, or shutterings
    • E04G17/04Connecting or fastening means for metallic forming or stiffening elements, e.g. for connecting metallic elements to non-metallic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orking Measures On Existing Buildindgs (AREA)
  • Manufacturing Of Tubular Articles Or Embedded Moulded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양한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을 시공함에 있어 사각 개구부의 모서리에서 발생하는 양생초기의 건조수축에 의한 사인장 균열을 방지하기 위한 응력분산 곡면판에 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직선부와 곡면부가 일체로 형성되고 콘크리트 유입공이 형성된 응력분산 곡면판에 있어서, 응력분산 곡면판의 선단에 지지대와 수평대에 의한 탄력유동부를 형성하고, 곡면부의 선단과 수평대의 하단에는 서로 어긋나 대향된 보강안내부와 유도안내부를 형성하며, 콘크리트 충진부를 크게 형성하면서도 곡면부 면적을 확대시키는 동시에 응력분산 곡면판의 결속을 간편하고 견고하도록 개선함에 따라,
시공오차로 인해 거푸집과의 간섭으로 응력분산 곡면판이 유동하거나 변형되며 그로 인해 철근이 유동하는 것을 방지하고 콘크리트 충진이 용이하도록 하면서 철근과의 결속을 간편하고 견고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며 곡면부의 면적을 확대시켜 더욱 효율적인 응력 분산 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하여, 건축물의 미관향상 및 균열보수비용이 절약되는 것이고, 콘크리트의 내구성 확보로 구조물에 대한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는 것이며, 응력저감효과가 가장 우수한 합성수지로 제조함으로 가벼워 설치가 간편하고 비용이 절감되며, 응력분산 곡면판은 철근을 대체하며 재생합성수지 사용으로 자원절약을 기대할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개구부 주변의 초기 사인장 균열방지용 응력분산 곡면판 {Stress-distributing curved plate for prevention of cracking in periphery of an opening}
본 발명은 다양한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을 시공함에 있어 사각 개구부의 모서리에서 양생 초기 건조수축에 의해 발생하는 사인장 균열을 방지하기 위한 응력분산 곡면판에 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각개구부의 모서리 부근에 매설 설치되는 응력분산 곡면판의 구조를 개선함에 따라 시공 오차로 인하여 거푸집과의 간섭발생시 응력분산 곡면판이 변형되면서 상기 간섭을 수용할 수 있도록 초기 사인장 균열방지용 응력분산 곡면판에 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에서 사각형의 개구부 모서리에서는 콘크리트의 양생초기 건조수축에 의해 부피가 축소하는 변형을 구속하는데 따른 응력이 발생하고 발생한 응력이 사각개구부의 모서리에 집중되면서, 집중응력이 콘크리트의 인장강도를 상회하면 45°방향으로의 양생 초기의 사인장 균열이 발생하고 있다.
이와 같은 사각 개구부 주변 사면에는 가로방향과 세로방향으로 배근된 개구부 단부 보강철근이 배근되어 있고, 단부 보강철근의 내측에 별도의 사인장 균열의 방향에 대하여 직각으로 대치되는 다수개의 사인장 균열방지용 철근을 시공하여 균열을 억제하고자 한다.
전기와 같은 사인장 균열방지용 철근은 사각 개구부의 모서리에서 발생하는 양생초기 건조수축에 대한 균열방지에는 별다른 효과가 없어 사인장 균열방지에는 오히려 불리하다고 연구결과에 의해 규명된바 있고, 현재 사인장 균열방지용 철근을 시공한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의 개구부 주변에는 정도의 차이는 있지만 크고 작은 사인장 균열이 대다수 발생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상기와 같은 사인장 균열방지용 철근을 추가로 배근하기 위한 작업은 가로방향과 세로방향으로 격자망으로 조립하여 벽체의 좌, 우측에 이중으로 배근된 벽체철근과 개구부 주변에 별도로 배근한 개구부 단부보강철근의 안쪽 내부에 45°방향으로 상기의 사인장 균열방지 철근을 배근하게 되는데, 이와 같은 사인장 균열방지용 철근에 대한 배근작업은 먼저 배근된 벽체철근과 개구부 보강철근과 간섭되어 작업여건이 불량하고, 배근할 공간이 협소하여 설치가 까다로워 벽 철근 외측면에 덧댐으로 시공되는 경우 철근의 피복두께부족을 유발하는 곤란한 문제점을 갖는다.
또한, 조립된 조밀한 배근으로 인해 콘크리트 흐름 및 충진을 저해하여 콘크리트 재료분리 현상이 발생하므로 콘크리트 강도저하 및 균열을 유발하는 원인으로 작용하게 된다.
특히, 상기와 같은 사인장 균열이 발생하게 되면 우수의 내부 침투로 인한 실내 누수의 문제점이 있고, 균열의 틈으로 스며든 빗물로 인해 내부 철근이 부식되는 동시에 부식되는 철근의 경우 철근 직경의 2~3배에 해당하는 팽창을 보여 해당 부분의 균열을 가속화시키는 작용을 하게 될 것이고, 발생한 균열은 진행형으로 보수가 어렵고 구조체의 수축 또는 팽창의 반복으로 인해 계속 진행되므로 지속적인 보수가 필요한 것이며, 균열의 형태가 구조물의 외부 면에 선명하게 드러나 건물의 미관을 해치게 되어 지속적인 유지보수가 필요한 것이다.
이에 따라 특허등록 제10-1022708호와 같이,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에 사각이 아닌 원형의 개구부가 설치된 경우에는 변형구속에 의한 응력이 한곳에 집중되지 않고 분산되어 개구부 주변에 균열이 발생하지 않는 응력분산효과를 이용하여, 사각 개구부의 모서리에 곡면의 응력분산 곡면판을 설치함에 따라 모서리에 집중되는 응력을 곡면부의 원주면으로 고르게 분산하므로 사각 개구부의 모서리에서 발생하는 균열을 근본적으로 해소하고자 사각개구부 주변의 균열방지용 응력분산 곡면판을 본인이 기 안출한 바 있다.
그러나, 상기의 응력분산 곡면판은 시공오차로 인해 거푸집과의 간섭이 발생할 경우 응력분산 곡면판이 제자리에 정확하게 위치하지 못하게 되는 것은 물론 거푸집과의 간섭된 가 압력으로 인해 응력분산 곡면판을 변형시키게 되므로 응력분산효과를 저하시키는 것이며, 개구부 모서리 부분에서의 양생초기의 사인장 균열방지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없게 되는 문제점을 갖고 있는 것이다.
즉, 철근의 배근 과정 또는 상기 철근을 이용한 응력분산 곡면판을 긴결하는 과정 또는 거푸집을 설치하는 과정에서 각기 시공 오차가 발생할 수 있을 것이고, 이와 같은 시공오차는 응력분산 곡면판이 개구부의 코너 모서리에서 실내, 외측 거푸집의 사이에서 정확한 위치로 자리 잡지 못하는 원인으로 작용하게 된다.
또한, 상기의 응력분산 곡면판이 정확한 위치로 자리 잡지 못하게 되면 거푸집과의 간섭이 발생하는 것은 물론 거푸집과의 간섭으로 인해 응력분산 곡면판 및 응력분산 곡면판과 긴결된 상태의 철근이 유동하게 되는 것이며, 응력분산 곡면판과의 간섭으로 인해 거푸집의 양호한 설치가 이루어지지 않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상호 간섭되고 있는 작업상태에서 콘크리트를 타설하게 되면 응력분산 곡면판은 사인장 균열이 발생하는 개구부의 코너부분에서 정확하게 위치하지 못한 상태로 매설되므로 초기의 사인장 균열에 대응하는 응력분산 효과가 현저히 떨어지는 것이고, 거푸집의 부적절시공으로 인해 외벽 또는 내벽에도 매끄러운 수직벽면이 아닌 부실한 상태의 벽면을 형성하게 되는 폐단을 갖고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전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한 것으로서, 직선부와 곡면부가 일체로 형성되고 콘크리트 유입공이 형성된 응력분산 곡면판에 있어서, 응력분산 곡면판의 선단에 지지대와 수평대에 의한 탄력유동부를 형성하고, 곡면부의 선단과 수평대의 하단에는 서로 어긋나 대향된 보강안내부와 유도안내부를 형성하며, 콘크리트 충진부를 크게 형성하면서도 곡면부 면적을 확대시키는 동시에 철근에 결속이 용이하도록 개선함에 따라,
개구부 모서리 부근에서 발생하는 초기 건조수축에 의한 사인장 균열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동시에 더욱 쉽게 시공이 이루어지도록 한 개구부 주변의 초기 사인장 균열방지용 응력분산 곡면판을 제공함에 본 발명의 목적이 있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양측의 직선부와 중앙의 곡면부로 이루어지고, 내측에는 관통의 콘크리트 유입공이 배열 형성되며, 하단 일측으로는 끼움구와 끼움공을 서로 이격 형성하여 된 균열방지용 응력분산 곡면판에 있어서, 응력분산 곡면판의 상단에는 탄력유동부를 돌출 형성하고, 응력분산 곡면판의 양측 끝단에는 결속돌기를 돌출 형성하여 구성하되, 상기 탄력유동부는 양측의 지지대와 이들 지지대를 연결하는 수평대로 구성하여 이루어지는 것이다.
본 발명은, 시공 오차로 인해 거푸집과의 간섭으로 응력분산 곡면판이 유동하거나 그로 인해 철근이 유동하는 것을 방지하고 콘크리트 충진이 용이하도록 하면서도 철근과의 결속이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며 곡면부의 면적을 최대한 확대시켜 더욱 효율적인 응력분산 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하여, 건축물의 미관향상 및 균열보수비용이 절약되는 것이고 콘크리트의 내구성 확보로 구조물에 대한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는 것이며, 사인장 균열방지 철근의 대체사용으로 자재비 및 인건비를 절감할 수 있으며, 실험결과 응력 저감 효과가 가장 우수한 합성수지로 제조함으로써 가벼워 설치가 간편하고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응력분산 곡면판의 전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응력분산 곡면판의 저면을 보인 전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응력분산 곡면판을 상,하 결합한 상태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응력분산 곡면판의 탄력유동부에 대한 작용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응력분산 곡면판의 유동 안내부 작동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응력분산 곡면판이 시공된 상태의 확대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응력분산 곡면판이 적용된 개구부 설명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응력분산 곡면판에 대한 다른 실시예도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응력분산 곡면판의 전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응력분산 곡면판의 저면을 보인 전체 사시도이다.
도시와 같은 본 발명의 응력분산 곡면판은 기존의 응력분산 곡면판과 마찬가지로 개구부의 코너 사방에 철근을 이용하여 결속 및 설치함에 따라 개구부의 코너에서 발생할 수 있는 초기의 사인장 균열을 억제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응력분산 곡면판(10)은 기존과 같이 양측에 서로 교차 방향으로 배치된 직선부(11)(11')가 형성되어 있고 이들 직선부(11)(11')는 곡면부(12)에 의해 서로 연결 형성되어 있는 것이며, 상기의 직선부(11)(11') 혹은 직선부(11)(11')와 곡면부(12)에는 다수의 콘크리트 유입공(13)(13')이 관통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이때의 콘크리트 유입공(13)(13')은 곡면부(12)의 중앙 부분에는 형성하지 아니하므로 곡면부(12)로 인해 응력의 분산효과가 향상되도록 할 수 있는 것이고, 상기 콘크리트 유입공(13)(13')은 충분한 크기를 갖고 다수 형성함에 따라 콘크리트의 타설시 콘크리트의 흐름에 방해를 주지 않도록 하여 견실시공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각각의 콘크리트 유입공(13)(13')의 사이 사이에는 보강리브를 형성하여 응력분산 곡면판(10)에 대한 강성의 확보 및 변형이 방지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특히, 상기의 응력분산 곡면판(10)의 하단에는 일측에 끼움구(14)가 돌출 형성되어 있고 타측에는 상기 끼움구(14)의 직경 또는 외경과 일치하는 끼움공(15)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응력분산 곡면판(10)의 상단에는 일체로 성형되어진 탄력유동부(20)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의 끼움구(14)와 끼움공(15)은 동일한 형태로 제작된 한 쌍의 응력분산 곡면판(10)을 서로 반대방향으로 대응시킨 후 각기 끼움구(14)와 끼움공(15)을 상호 결합시켜 한 쌍의 응력분산 곡면판(10)을 서로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의 탄력유동부(20)는 시공오차로 인해 상기 응력분산 곡면판(10)이 거푸집과의 간섭이 발생하는 경우 간섭 량만큼 탄력유동부(20)의 변형이 발생하면서 응력분산 곡면판(10)이 유동하는 것을 억제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의 탄력유동부(20)는 응력분산 곡면판(10)의 상단 양측으로부터 중앙부를 향하여 경사진 형태로 돌출 형성되는 지지대(21)(21')와 이들 지지대(21)(21')의 상부 끝단을 연결하는 수평대(22)의 형태로 이루어져 있는 것이고, 상기 수평대(22)의 상부에는 서로 이격된 노출방지돌기(23)(23')가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서, 상기 지지대(21)(21')는 수평대(22)에 작용하는 거푸집과의 간섭력에 의해 휨 변형이 발생하여 간섭력을 흡수 또는 수용하는 역할을 하게 되는 것이고, 상기의 노출방지돌기(23)(23')는 거푸집과의 접촉 면적을 최소화시켜 콘크리트 양생 후 거푸집을 제거하게 되면 외면으로 드러나는 부분이 점 형태로 축소되고 매립됨에 따라 응력분산 곡면판(10)이 건축물외부 면에 노출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의 응력분산 곡면판(10)에는 양측 끝단에 일체의 결속돌기(30)(30')를 외향 확장 형태의 모양을 갖도록 형성함에 따라 이들 결속돌기(30)(30')를 이용하여 개구부 주변의 철근과 더욱 견고하고 용이하게 고정시킬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이다.
더욱이, 상기의 탄력유동부(20)의 수평대(22) 하측으로는 넓은 판 형상으로 된 유도안내부(24)를 하향 돌출 형성하고, 상기 유도안내부(24)와 대응하는 응력분산 곡면판(10)의 상단에는 역시 넓은 판 형태로 된 보강안내부(16)를 각기 대응 형성하되, 이들 유도안내부(24)와 보강안내부(16)는 서로 엇갈려 수직인 상태로 배치되도록 하고, 유도안내부(24)의 끝단과 보강안내부(16)의 끝단에는 각기 동일 경사각으로 된 경사면부(24')(16')를 형성하여 상호 수직 대응되더라도 경사면부(24')(16') 간의 미끄러짐에 의해 서로 어긋나 겹쳐지도록 한 것이다.
이와 같은 유도안내부(24)와 보강안내부(16)는 거푸집과의 간섭에 의해 탄력유동부(20)가 압축 변형되는 과정에서 상기 탄력유동부(20)가 수직 또는 수평 상태로의 압축이 아닌 뒤틀림 변형되는 것을 억제하는 역할을 하게 될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응력분산 곡면판(10)은 사각 개구부의 모서리에서 작용하는 초기의 사인장 균열을 해소하기 위해 시공될 벽체의 두께와 동일하거나 미세하게 작은 폭의 여유를 갖고 설치되는 것이므로, 응력분산 곡면판(10)은 다양한 규격의 벽 두께를 수용하면서도 제조원가의 절감 및 취급이나 운반상의 용이함을 위해 분할 개체 형태로 제작하여 이를 연결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해 응력분산 곡면판(10)의 일측에는 전기한 탄력유동부(20)를 형성하고 타측에는 서로 이격된 끼움구(14)와 끼움공(15)을 형성하여 제작한 상태에서 동일한 형태로 된 두 개의 응력분산 곡면판(10)에 대한 각각의 끼움구(14)와 끼움공(15)이 서로 결합되어 연결되도록 하면 도 3의 도시와 같이 전체적으로 양측에 탄력유동부(20)를 갖는 일체 조립 구조의 응력분산 곡면체가 완성되는 것이다.
이러한 응력분산 곡면판(10)은 도 4의 도시와 같이 외측에 위치하고 있는 탄력유동부(20)가 거푸집과의 간섭으로 인해 압축되는 경우 탄력유동부(20)의 지지대(21)(21')가 휨이 발생하면서 간섭력에 상응하는 변형이 일어나게 되는 것이고 이와 같은 변형은 상기 간섭력이 응력분산 곡면판(10)에 직접 전달되는 것을 억제시켜 상호 간섭이 발생하더라도 응력분산 곡면판(10)은 유동하거나 위치 변경되지 않는 것이다.
특히, 상기 탄력유동부(20)에 대한 간섭 및 압축이 일어나게 되면 도 5의 도시와 같이 보강안내부(16) 및 유도안내부(24)가 서로 엇갈린 상태로 겹쳐지면서 탄력유동부(20)에 대한 수직 또는 수평 압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따라서, 도 6의 도시와 같이 개구부 주변에 배근되어 있는 철근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응력분산 곡면판(10)을 고정 설치하되, 응력분산 곡면판(10)의 측단부에 돌출 형성되어 있는 결속돌기(30)(30')와 철근을 결속선에 의해 긴결시킴에 따라 상호 견고한 결합 고정이 이루어지는 것은 물론 상기 결속돌기(30)(30')는 결속선에 대한 되빠짐 방지 형상을 갖고 있으므로 더욱 손쉬운 긴결 작업이 이루어지는 것은 물론 상호 결속이 견고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이에, 도 7의 도시와 같이 사각의 개구부에 대한 각 코너 부분에 주변 철근을 이용하여 응력분산 곡면판(10)을 고정하되, 응력분산 곡면판(10)의 곡면부(12)가 개구부의 코너 중앙부에 대응 배치되도록 함에 따라 상기 응력분산 곡면판(10)에 의해 개구부 코너에서 발생하던 초기의 사인장 균열을 효과적으로 억제시킬 수 있는 것이다.
특히, 시공하고자 하는 벽체의 두께가 상대적으로 적은 경우 즉, 두 개의 응력분산 곡면판(10)의 결합 폭보다 시공 벽체가 얇은 경우에는 단독의 응력분산 곡면판(10)을 사용하게 되는데 이때의 응력분산 곡면판(10)에는 일측으로만 탄력유동부(20)가 형성되어 있어 타측으로는 거푸집과의 간섭을 수용 또는 상쇄시킬 수 없게 되므로 이를 해소하기 위해 도 8의 도시와 같이 별도로 구비된 보조탄력구(40)를 사용하게 된다.
이러한 보조탄력구(40)는 응력분산 곡면판(10)에 형성된 탄력유동부(20)와 동일한 역할을 담당하게 되는 것으로, 일측으로는 응력분산 곡면판(10)의 하단과 면접되게 한 밀착대(41)가 형성되고 밀착대(41)의 끝단으로부터 경사상의 지지대(42)(42')가 형성되며 이들 지지대(42)(42')는 수평대(43)에 의해 연결되어 있는 형상을 갖게 된다.
또한, 상기 밀착대(41)의 일측으로는 각기 결합구(44)와 결합공(45)이 형성되는 것으로서 이들 결합구(44)와 결합공(45)은 응력분산 곡면판(10)의 끼움구(14)와 끼움공(15)에 서로 대응하여 위치하는 동시에 대응의 형상을 갖고 있는 것이다.
이에 따라 시공하고자 하는 벽체의 두께가 상대적으로 좁은 경우에는 단일의 응력분산 곡면판(10)에 대하여 보조탄력구(40)를 결합함에 따라 단일 응력분산 곡면판(10)의 양측에 탄력유동부가 형성된 것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어 이들 탄력유동부(20)와 보조탄력구(40)로 인해 거푸집과의 간섭을 수용 및 흡수시켜 응력분산 곡면판(10)이 유동 없이 안정적인 위치로 고정 설치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의 보조탄력구(40)는 내측에 응력분산 곡면판(10)의 탄력유동부(20)와 마찬가지로 보강안내부(16)와 유도안내부(24)와 대응하는 형태의 보강부 및 유도부를 형성할 수 있을 것이고, 보조탄력구(40)의 수평대(43) 하단에도 역시 노출방지돌기(23)(23')를 이격 돌출시켜 이들 노출방지돌기(23)(23') 만이 조립된 벽체의 거푸집 면에 지지되어 건축물의 외벽 면에 응력분산 곡면판의 노출이 방지되어 품질저하를 방지할 수 있을 것이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응력분산 곡면판(10)은 탄력유동부(20)를 형성함에 따라 거푸집과의 간섭이 발생하는 경우 간섭량에 대응하여 탄력유동부(20)가 압축 변형되므로 응력분산 곡면판(10)이 유동하거나 위치 변경되지 않는 것이고, 주변 철근과의 긴결시 결속돌기(30)(30')에 의해 더욱 빠르고 견고한 고정이 이루어지는 것이며, 한층 넓어진 콘크리트 유입공(13)(13')은 콘크리트의 흐름에 방해를 주지 않아 견실시공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며, 중앙의 곡면부(12)는 충분한 면적을 확보하여 개구부 코너에서 발생하는 초기의 사인장 균열방지에 효과적으로 대응 및 이를 억제하는 효과를 상승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10 : 응력분산 곡면판 11,11' : 직선부
12 : 곡면부 13,13' : 콘크리트 유입공
14 : 끼움구 15 : 끼움공
16 : 보강안내부 16' : 경사면부
20 : 탄력유동부 21,21' : 지지대
22 : 수평대 23,23' : 노출방지돌기
24 : 유도안내부 24' : 경사면부
30,30' : 결속돌기
40 : 보조탄력구 41 : 밀착대
42,42' : 지지대 43 : 수평대
44 : 결합구 45 : 결합공

Claims (4)

  1. 양측의 직선부(11)(11')와 중앙의 곡면부(12)로 이루어지고, 내측에는 관통의 콘크리트 유입공(13)(13')이 배열 형성되며, 하단 일측으로는 끼움구(14)와 끼움공(15)을 서로 이격 형성하여 된 균열방지용 응력분산 곡면판(10)에 있어서,
    응력분산 곡면판(10)의 상단에는 탄력유동부(20)를 돌출 형성하고, 응력분산 곡면판(10)의 양측 끝단에는 결속돌기(30)(30')를 돌출 형성하여 구성하되,
    상기 탄력유동부(20)는 양측의 지지대(21)(21')와 이들 지지대(21)(21')를 연결하는 수평대(22)로 구성되고, 상기 수평대(22)의 선단 양측에는 노출방지돌기(23)(23')를 돌출 형성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개구부 주변의 초기 사인장 균열방지용 응력분산 곡면판.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응력분산 곡면판(10)의 선단에는 보강안내부(16)를 돌출 형성하고, 수평대(22)의 하단에는 유도안내부(24)를 하향 돌출 형성하되,
    이들 보강안내부(16)와 유도안내부(24)는 끝단이 서로 엇갈려 마주하고, 마주한 각 끝단에는 경사면부(16')(24')가 형성되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개구부 주변의 초기 사인장 균열방지용 응력분산 곡면판.
  4. 제 1항에 있어서,
    응력분산 곡면판(10)의 하단으로 별도로 구비되는 보조탄력구(40)를 결합 형성하되, 상기 보조탄력구(40)는 응력분산 곡면판(10)의 하단에 밀착되는 밀착대(41)와 상기 밀착대(41)의 끝단으로부터 연결 형성되는 지지대(42)(42')와 이들 지지대(42)(42')를 연결하는 수평대(43)로 구성되며, 상기 밀착대(41)에는 응력분산 곡면판(10)에 형성된 끼움구(14) 및 끼움공(15)에 대응하는 결합구(44)와 결합공(45)을 각기 형성하여,
    상측에 탄력유동부(20)가 형성된 응력분산 곡면판(10)의 하측에 상기 보조탄력구(40)를 결합 형성하여 소폭의 두께를 갖는 벽체용으로 활용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개구부 주변의 초기 사인장 균열방지용 응력분산 곡면판.
KR1020140175697A 2014-12-09 2014-12-09 개구부 주변의 초기 사인장 균열방지용 응력분산 곡면판 KR1016137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75697A KR101613702B1 (ko) 2014-12-09 2014-12-09 개구부 주변의 초기 사인장 균열방지용 응력분산 곡면판
CN201510116704.XA CN106032694A (zh) 2014-12-09 2015-03-17 开口部周边的防龟裂用压力分散曲面板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75697A KR101613702B1 (ko) 2014-12-09 2014-12-09 개구부 주변의 초기 사인장 균열방지용 응력분산 곡면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13702B1 true KR101613702B1 (ko) 2016-04-19

Family

ID=559172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75697A KR101613702B1 (ko) 2014-12-09 2014-12-09 개구부 주변의 초기 사인장 균열방지용 응력분산 곡면판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613702B1 (ko)
CN (1) CN106032694A (ko)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93218B1 (ko) * 2018-05-29 2018-08-30 주식회사 엘에이치수지기공 균열방지를 위한 응력분산장치
KR20190017509A (ko) 2017-08-11 2019-02-20 채남희 콘크리트 균열방지구
KR101956187B1 (ko) * 2018-06-19 2019-03-08 (주)영화키스톤건축사사무소 콘크리트 균열방지 구조
KR102110694B1 (ko) 2018-12-17 2020-05-14 주식회사 신한스틸 사인장 균열 방지용 응력분산판이 구비된 벽체 매설체
KR102174923B1 (ko) * 2020-02-13 2020-11-05 주식회사 펜타드 교좌장치의 무수축 몰탈 균열방지구조
KR102203241B1 (ko) * 2020-02-24 2021-01-14 주식회사 펜타드 균열방지형 전단키
KR20210046175A (ko) 2019-10-18 2021-04-28 김성진 균열 방지용 곡면판
KR102407916B1 (ko) 2021-01-19 2022-06-10 김포 사인장 균열 방지 장치
KR20220150064A (ko) * 2021-05-03 2022-11-10 경기대학교 산학협력단 콘크리트 구조물의 개구부 코너에서 발생하는 사인장 균열 방지 및 균열 치유를 위한 균열 치유 환을 포함하는 크랙다운 스트립
KR102598452B1 (ko) 2023-01-27 2023-11-06 이진선 균열 방지 브라켓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158858B (zh) * 2018-02-13 2021-09-28 林志成 窗角结构壁面防裂元件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2708B1 (ko) * 2011-01-05 2011-03-22 주식회사종합건축사사무소가람건축 개구부 주변의 균열방지용 응력분산곡면판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1587229A (ko) * 1968-10-25 1970-03-13
CN2148092Y (zh) * 1992-10-07 1993-12-01 西安市莲湖区自强塑料制品厂 路面补强防裂网片
JP2000213092A (ja) * 1999-01-20 2000-08-02 Nishimatsu Constr Co Ltd 開口部付きコンクリ―ト建築物および開口部付きコンクリ―ト建築物の建築方法
CN101215907A (zh) * 2005-06-06 2008-07-09 邱则有 一种现浇砼空心板用空腔模壳构件
CN102936963B (zh) * 2012-12-06 2016-03-16 中国建筑第八工程局有限公司 一种grc构件安装方法及其安装结构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2708B1 (ko) * 2011-01-05 2011-03-22 주식회사종합건축사사무소가람건축 개구부 주변의 균열방지용 응력분산곡면판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17509A (ko) 2017-08-11 2019-02-20 채남희 콘크리트 균열방지구
KR101893218B1 (ko) * 2018-05-29 2018-08-30 주식회사 엘에이치수지기공 균열방지를 위한 응력분산장치
KR101956187B1 (ko) * 2018-06-19 2019-03-08 (주)영화키스톤건축사사무소 콘크리트 균열방지 구조
KR102110694B1 (ko) 2018-12-17 2020-05-14 주식회사 신한스틸 사인장 균열 방지용 응력분산판이 구비된 벽체 매설체
KR20210046175A (ko) 2019-10-18 2021-04-28 김성진 균열 방지용 곡면판
KR102174923B1 (ko) * 2020-02-13 2020-11-05 주식회사 펜타드 교좌장치의 무수축 몰탈 균열방지구조
KR102203241B1 (ko) * 2020-02-24 2021-01-14 주식회사 펜타드 균열방지형 전단키
KR102407916B1 (ko) 2021-01-19 2022-06-10 김포 사인장 균열 방지 장치
KR20220150064A (ko) * 2021-05-03 2022-11-10 경기대학교 산학협력단 콘크리트 구조물의 개구부 코너에서 발생하는 사인장 균열 방지 및 균열 치유를 위한 균열 치유 환을 포함하는 크랙다운 스트립
KR102571316B1 (ko) * 2021-05-03 2023-08-25 경기대학교 산학협력단 콘크리트 구조물의 개구부 코너에서 발생하는 사인장 균열 방지 및 균열 치유를 위한 균열 치유 환을 포함하는 크랙다운 스트립
KR102598452B1 (ko) 2023-01-27 2023-11-06 이진선 균열 방지 브라켓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6032694A (zh) 2016-10-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13702B1 (ko) 개구부 주변의 초기 사인장 균열방지용 응력분산 곡면판
KR101022708B1 (ko) 개구부 주변의 균열방지용 응력분산곡면판
CN205713092U (zh) 一种矩形混凝土墙柱圆阳角模板装置
KR20190017509A (ko) 콘크리트 균열방지구
KR101709235B1 (ko) 거푸집용 합성수지 패널을 이용한 거푸집 구조체
KR102047439B1 (ko) 철근콘크리트 구조물 개구부의 모서리 균열방지용 보강재
KR20200141926A (ko) 데크 체결용 클립
JP5691050B2 (ja) クラック誘発目地材
KR102357054B1 (ko) 개구부 모서리 표면부에서 균열제어를 위한 크랙다운 스트립
KR200467916Y1 (ko) 파이프용 클램프
KR101824021B1 (ko) 집수정의 하부 구조물
KR200482085Y1 (ko) 콘크리트 기둥 타설용 거푸집 고정밴드
KR101680111B1 (ko) 판 스크린 타입 루버 시공 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루버 연결 부재
KR102181071B1 (ko) 곡면형 벽체 형성용 거푸집 체결장치
CN106320692A (zh) 一种建筑拼接模板
KR101316927B1 (ko) 박리방지용 타일 어셈블리
KR200408798Y1 (ko) 콘크리트 수조 리모델링구조
CN207829454U (zh) 墙柱角模的背楞架
KR101604072B1 (ko) 개량형 원터치식 중공슬래브 구조
KR102086030B1 (ko) 거푸집패널 및 이를 이용한 거푸집 어셈블리
KR101083403B1 (ko) 벽면 타설용 폼블록 고정용 브릿지
KR101938974B1 (ko) 거푸집용 조인트 장치
KR101691624B1 (ko) 절곡형 데크플레이트에의 고정 설치를 위한 중공재 및 이를 이용한 경량 슬래브 구조의 시공방법
KR101373143B1 (ko) 전기 배선박스의 매설부에 대한 균열방지링
TW202244374A (zh) 應力分散曲面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2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1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