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01802U - 타설막이 - Google Patents

타설막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01802U
KR20200001802U KR2020190000787U KR20190000787U KR20200001802U KR 20200001802 U KR20200001802 U KR 20200001802U KR 2020190000787 U KR2020190000787 U KR 2020190000787U KR 20190000787 U KR20190000787 U KR 20190000787U KR 20200001802 U KR20200001802 U KR 20200001802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ing
pouring
rotation shaft
binding
barri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9000078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94539Y1 (ko
Inventor
심선숙
Original Assignee
심선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심선숙 filed Critical 심선숙
Publication of KR2020000180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180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453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4539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1/00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 E04G11/36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for floors, ceilings, or roofs of plane or curved surfaces end formpanels for floor shutterings
    • E04G11/365Stop-end shutter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02Conveying or working-up concrete or similar masses able to be heaped or cast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9/00Forming or shuttering elements for general use
    • E04G9/02Forming boards or similar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 On-Site Construction Work That Accompanies The Preparation And Application Of Concret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타설막이에 관한 것으로, 건축물의 기초 바닥판이나 슬라브를 형성하기 위한 콘크리트나 몰탈의 차단벽을 제공함에 있어, 콘크리트나 몰탈의 타설 대상장소가 사각형태, 직선과 사선이 조합된 형태, 곡선 형태, 연속적으로 절곡된 구간을 갖는 형태로 이루어 질 경우, 그 형태에 맞게 차단벽의 형태를 선택적으로 자유롭게 변경할 수 있으며, 콘크리트나 몰탈이 타설되는 구간의 길이에 제한 받지 않고 차단벽을 형성할 수 있고, 타설물을 타설 시 발생되는 측압에 대한 버팀 강성을 가질 수 있으며, 구성들간의 결합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타설막이는, 서로 이격 또는 접촉되도록 나열되어 타설물을 차단하는 다수개의 차단부, 상기 차단부들을 개별 회동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회동결합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타설막이{BLOCKING BOARD}
본 고안은 타설막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건축물의 기초 바닥판이나 슬라브를 형성할 때 사용되는 타설막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물의 기초바닥부, 넓은 슬라브, 블럭 등을 구축하는 작업은 한번에 모든 면적이나 모든 크기의 구역이 타설될 수 없으므로 하루 작업할 수 있는 타설면적을 설정하여 작업이 이루어지고 나머지 면적은 차후에 작업이 이루어진다. 그와 같이 한 번에 작업할 타설면적을 나누고 그 나누어진 구역 내에서 작업을 수행하기 위해 그 구역의 경계부에는 콘크리트 타설막이를 설치하게 된다.
종래의 콘크리트 타설막이는 차단프레임에 일정 간격으로 체결공을 다수 형성하고 각 체결공에 머리부를 가진 차단봉이 삽입되어 있는 구조로서, 차단프레임은 콘크리트 타설 구역의 상부 타설면을 막아주고, 차단봉은 상부 철근과 하부 철근 및 기타 구조물 등이 설치된 하부 타설면을 차단시키게 되며, 한번 작업 시 정해진 구역에서 콘크리트 타설이 종료되도록 일정 구역을 막고 콘 크리트 타설물이 일정 구역 안에만 머물면서 양생되도록 하는 것이다.
그러나, 종래에는 다수개의 차단봉이 연결된 여러 개의 타설막이를 박스 형태로 결합하여 타설물의 차단벽을 형성 하였는 바, 이는 현장에서 결합작업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기초 바닥판이나 슬라브를 시공하기 위한 시간이 오래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을 뿐만 아니라, 타설물 타설 구간보다 타설막이가 길 경우 타설막이의 일부를 잘라내야 했으며, 타설물 타설 구간보다 타설막이가 짧을 경우에는 그에 해당하는 길이의 타설막이를 덧대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등록특허공보 제10-1783167호(2017.09.22.)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건축물의 기초 바닥판이나 슬라브를 형성하기 위한 콘크리트나 몰탈의 차단벽을 제공함에 있어, 콘크리트나 몰탈의 타설 대상장소가 사각형태, 직선과 사선이 조합된 형태, 곡선 형태, 연속적으로 절곡된 구간을 갖는 형태로 이루어 질 경우, 그 형태에 맞게 차단벽의 형태를 선택적으로 자유롭게 변경할 수 있으며, 콘크리트나 몰탈이 타설되는 구간의 길이에 제한 받지 않고 차단벽을 형성할 수 있는 타설막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그리고, 타설물을 타설 시 발생되는 측압에 대한 버팀 강성을 가질 수 있으며, 구성들간의 결합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는 타설막이를 제공하는 데에도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에 따른 타설막이는, 서로 이격 또는 접촉되도록 나열되어 타설물을 차단하는 다수개의 차단부, 상기 차단부들을 개별 회동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회동결합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회동결합부는,
어느 하나의 차단부의 내부에 수직방향으로 고정되는 제1회동축, 상기 제1회동축과 연결되며, 상기 제1회동축이 고정된 차단부의 일측에 위치된 다른 차단부의 내부에 수직방향으로 고정되는 제2회동축을 포함하여 2개의 차단부를 연결하는 연결부, 수평방향으로 구획되는 장착홀이 형성되어 상기 제1회동축과 제2회동축의 외면에 각각 장착되며, 상기 제1회동축 또는 제2회동축의 회동을 가이드 하는 회동가이드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차단부의 외면에 각각 장착되어 상기 회동축에 고정시키는 고정부를 더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차단부들을 일체로 결속시키는 결속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결속부는,
상기 차단부들의 전방에 배치되어 지지하고, 일측에 종점에 위치된 차단부의 측면 및 후면을 감싸는 제1감쌈부가 형성된 전방지지부, 상기 차단부들의 후방에 배치되어 지지하고, 일측이 종점에 위치된 차단부에서 상기 제1감쌈부와 수직방향으로 마주하며, 타측에는 시점에 위치된 차단부의 측면 및 전면을 감싸면서 상기 전방지지부와 수직방향으로 마주하는 제2감쌈부가 형성된 후방지지부, 수직방향으로 구획되는 결속홀이 형성되어, 종점에 위치된 차단부의 후면 및 시점에 위치된 차단부의 전면에서 상기 제1감쌈부와 후방지지부, 제2감쌈부와 전방지지부를 각각 결속시키는 한 쌍의 결속부재, 상기 차단부의 사이에 배치되며 전방지지부와 후방지지부의 양단 사이 구간을 결속하는 부가 결속부재를 포함한다.
본 고안에 따른 타설막이는, 콘크리트나 몰탈의 누출을 방지하기 위해 제공되는 다수개의 차단부가 개별적으로 회동될 수 구조로 이루어져 타설 대상장소가 사각형태, 직선과 사선이 조합된 형태, 곡선 형태, 연속적으로 절곡된 구간을 갖는 형태 등으로 이루어 질 경우, 그 형태에 맞게 차단벽의 형태를 선택적으로 자유롭게 변경할 수 있으며, 콘크리트나 몰탈이 타설되는 구간의 길이에 제한 받지 않고 차단벽을 형성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타설물을 타설 시 발생되는 측압에 대한 버팀 강성을 가져 구조적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타설물을 차단하는 차단부와 차단부들을 개별 회동시키는 회동결합부 간의 결합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타설막이의 결합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타설막이에 적용된 차단부, 회동결합부 및 결속부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타설막이의 결합 과정을 도시한 확대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타설막이의 결합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타설막이의 시공 상태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타설막이의 사용 상태도.
본 고안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고안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고안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고안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고안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타설막이(1)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고안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타설막이의 결합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타설막이에 적용된 차단부, 회동결합부 및 결속부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타설막이의 결합 과정을 도시한 확대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타설막이의 결합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며,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타설막이의 시공 상태도이고,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타설막이의 사용 상태도이다.
본 고안에 따른 타설막이(1)는 슬라브나 기초 바닥면을 형성하기 위해 몰탈이나 콘크리트 등으로 형성되는 타설물(50)을 타설할 시 사용되는 제품으로써, 제품을 커팅하거나 연결하지 않고도 타설물(50)을 타설하기 위한 공간을 한번에 형성할 수 있는 제품이다.
이를 위해 본 고안에 따른 타설막이(1)는 다수개의 차단부(10) 및 상기 차단부(10)들을 개별적으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회동결합부(20)를 포함한다.
상기 차단부(10)는 상기 회동결합부(20)의 구성이 결합될 수 있도록 중공을 구비한다.
상기 차단부(10)는 다수개로 적용되며, 상기 회동결합부(20)를 매개로 연쇄적으로 연결되어 연속 벽체를 형성함에 따라, 타설물(50)을 타설 시 타설물(50)의 누출을 막을 수 있는 차단벽의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차단부(10)는 원형, 타원형, 다각형 형상 등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차단부(10)는 다수개가 서로 이격 또는 접촉되도록 나열되며, 철근(90)이 관통 시 탄성 변형되어 벌어질 수 있는 재질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차단부(10)의 외면은 타설물(50)의 양생이 완료될 경우, 타설막이(1)의 탈거가 용이하도록 PVC와 같은 재질로 피복처리 될 수 있다.
상기 회동결합부(20)는 다수개의 차단부(10)들을 연쇄적으로 연결하면서 각각의 차단부(10)들이 개별적으로 회동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연결부(21), 회동가이드부(22)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연결부(21)는 어느 하나의 차단부(10) 내부에 수직방향으로 관통설치되는 제1회동축(211), 상기 제1회동축(211)과 연결되며, 상기 제1회동축(211)이 고정된 차단부(10)의 바로 옆에 위치하고 있는 다른 차단부(10)의 내부에 수직방향으로 관통설치되는 제2회동축(212)을 포함하여 2개의 차단부(10)를 연결한다.
즉, 상기 제1회동축(211)이 설치된 차단부(10)의 중앙에는 다른 연결부(21)의 제2회동축(212)이 관통설치되고, 상기 제2회동축(212)이 설치된 차단부(10)에는 다른 연결부(21)의 제1회동축(211)이 관통설치 되는 것이다.
이로 인해 상기 차단부(10)들이 연결부(21)를 매개로 연쇄적으로 연결되어 차단벽을 형성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1회동축(211)과 제2회동축(212)은 일자 핀 형태의 부재 끝부분을 수평, 수직방향으로 연속적으로 절곡함으로써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회동축(211)과 제2회동축(212)은 수평연결부(213)를 통해 연결된 구조를 이루며, 연결부(21)의 상측 부분은 대략 "ㄷ"자 형상을 이룬다.
이때, 상기 수평연결부(213)는 상기 제1회동축(211)과 제2회동축(212)이 차단부(10)의 내부에 설치되었을 시, 상기 차단부(10)의 상면에 접촉될 수 있다.
상기 제1회동축(211)은 차단부(10)가 회동될 수 있도록 하는 기능 뿐만 아니라, 차단부(10)의 뼈대 기능도 수행하기 때문에 차단부(10)와 동일하거나 긴 길이를 갖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제2회동축(212)은 제1회동축(211)과 상호작용을 통해 2개의 차단부(10)를 연결하기 때문에 제1회동축(211)보다 짧게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물론, 제1회동축(211)과 제2회동축(212)은 동일한 길이를 갖도록 제작될 수도 있다.
이러한 연결부(21)는 도 1을 기준으로 차단부(10)의 상부측 또는 하부측에서 결합될 수 있으며, 도면에서는 상기 연결부(21)가 차단부(10)의 상부측에서 결합된 예를 도시하였다.
상기 회동가이드부(22)는 어느 하나의 연결부(21)의 제1회동축(211)과 다른 하나의 연결부(21)의 제2회동축(212)을 연결하면서 회동을 가이드 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회동가이드부(22)는 제1회동축(211)과 제2회동축(212)이 차단부(10)에 설치되기 전에 장착되며, 제1회동축(211) 및 제2회동축(212)과 함께 차단부(10)의 내부에 관통설치된다.
도 2를 기준으로, 회동가이드부(22)에는 수평방향으로 구획되는 장착홀(22a)이 형성되어, 대략 "8"자 단면 형상으로 형성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어느 하나의 장착홀(22a)은 어느 하나의 연결부(21)의 제1회동축(211)에 장착되고, 다른 하나의 장착홀(22a)은 다른 하나의 연결부(21)의 제2회동축(212)에 장착되어 2개의 연결부(21)를 연결한다.
따라서, 제1회동축(211) 또는 제2회동축(212)은 연결부(21)를 기준으로 회동되며, 이로 인해 작업자는 차단부(10)들을 개별적으로 회동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고안에 따른 타설막이(1)는 차단부(10)를 연결부(21)에 안정적으로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부(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부(30)는 공지의 케이블 타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부(30)는 상기 제1회동축(211)과 제2회동축(212) 및 회동가이드부(22)가 차단부(10)의 내부에 설치된 이후에, 상기 차단부(10)의 상부측 외면에 장착되어 상기 차단부(10)를 연결부(21)에 안정적으로 정착시킨다.
따라서, 타설막이(1)의 내측에 타설물(50)을 타설하거나 또는, 양생이 완료된 타설물(50)에서 타설막이(1)를 탈거하는 과정에서 차단부(10)가 연결부(21)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고정부(30)는 제1회동축(211)만 위치된 지점 또는 제1회동축(211)과 제2회동축(212)이 함께 위치하고 있는 지점과 대응되게 차단부(10)에 장착될 수 있다.
부가적으로, 본 고안에 따른 타설막이(1)는 나열된 차단부(10)들을 일체로 결속시키는 결속부(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결속부(40)는 전방지지부(41), 후방지지부(42), 결속부재(43), 부가 결속부재(4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방지지부(41)는 일정한 길이와 두께를 갖는 바아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나열된 차단부(10)들의 전방에 배치되어 지지한다.
도 1을 기준으로 상기 전방지지부(41)의 우측에는 종점에 위치된 차단부(10)의 측면 및 후면을 감싸는 제1감쌈부(411)가 형성된다.
상기 제1감쌈부(411)는 일자 바 형태의 부재 끝부분을 대략 "ㄱ"자 단면 형상이 되도록 연속적으로 절곡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후방지지부(42)는 일정한 길이와 두께를 갖는 바아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나열된 차단부(10)들의 후방에 배치되어 지지한다.
이때, 상기 후방지지부(42)는 상기 차단부(10)들을 사이에 두고 상기 전방지지부(41)와 평행을 이룬다.
그리고, 도 1을 기준으로 상기 후방지지부(42)의 우측은 종점에 위치된 차단부(10)의 후면에 접한 상태에서 제1감쌈부(411)와 수직방향으로 마주한다.
상기 후방지지부(42)의 좌측에는 시점에 위치된 차단부(10)의 측면 및 전면을 감싸는 제2감쌈부(421)가 형성된다.
이때, 제2감쌈부(421) 중 시점에 위치된 차단부(10)의 전면에 위치되는 부분은 상기 전방지지부(41)와 수직방향으로 마주한다.
상기 제2감쌈부(421)는 일자 바 형태의 부재 끝부분을 대략 "ㄱ"자 단면 형상이 되도록 연속적으로 절곡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결속부재(43)는 상기 전방지지부(41)와 후방지지부(42)를 결속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결속부재(43)는 2개 한 쌍으로 구성되어 종점에 위치된 차단부(10)의 후면 및 시점에 위치된 차단부(10)의 전면에 각각 배치된다.
그리고, 도 1을 기준으로 결속부재(43)에는 수직방향으로 구획되는 결속홀(43a)이 형성되어, 대략 "8"자 단면 형상으로 형성된다.
종점에 위치된 결속부재(43)는 제1감쌈부(411)와 후방지지부(42)에 장착되고, 시점에 위치된 결속부재(43)는 제2감쌈부(421)와 전방지지부(41)에 장착되어, 상기 전방지지부(41)와 후방지지부(42)를 결속시킨다.
즉, 상기와 같이 전방지지부(41)와 후방지지부(42)가 결속부재(43)를 통해 결속되면서 차단부(10)의 전방과 후방을 지지하기 때문에, 타설막이(1)의 내측으로 타설되는 타설물(50)의 측압이나 기타 외력에 의해 유동되거나 휘어지는 것을 방지하여 타설막이(1)의 구조적 안정성을 확보해줄 수 있는 것이다.
상기 부가 결속부재(44)는 공지의 케이블 타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부가 결속부재(44)는 차단부(10)의 사이에 배치되며, 전방지지부(41)와 후방지지부(42)를 결속시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러한 부가 결속부재(44)는 전방지지부(41)와 후방지지부(42)에 간헐적으로 적용되거나 또는, 차단부(10)의 사이 사이 마다 적용될 수 있다.
부가적으로, 도면에는 상기 결속부가 한 개로 적용도어 차단부(10)들의 상측에 배치된 상태만 도시되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2개 또는 3개 이상으로 적용되어 차단부(10)들의 상측, 중앙, 하측 등에 고루게 분포되도록 구현될 수 있음을 밝힌다.
다음으로, 본 고안에 따른 타설막이의 작용 및 특유의 효과에 대해 설명한다.
본 고안에 따른 타설막이(1)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타설물(50) 타설구역의 경계부에 설치되고 타설물(50)의 타설 구역 내에만 타설물(50)이 머물도록 하며, 그 경계부의 외부로 누설되지 않도록 하면 된다.
이때, 차단부(10)는 회동결합부(20)에 의해 개별회동 될 수 있기 때문에, 도 6에 예시된 바와 같이, 직각 형태나 연속적으로 절곡된 구간을 갖는 형태, 직선과 사선이 조합된 형태, 그리고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곡선 형태, 곡선과 사선이 조합된 형태 등 다양한 형태의 차단벽을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른 타설막이(1)는 건축물의 기초바닥면이나 슬라브를 다양한 형태로 형성할 수 있다.
아울러, 종래의 타설막이는 복수개의 타설막이를 박스 형태로 결합하여 타설물(50)의 차단벽을 형성 하였는 바, 이는 현장에서 결합작업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기초 바닥판이나 슬라브를 시공하기 위한 시간이 오래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을 뿐만 아니라, 타설물 타설 구간보다 타설막이가 길 경우 타설막이의 일부를 잘라내야 했으며, 타설물 타설 구간보다 타설막이가 짧을 경우에는 그에 해당하는 길이의 타설막이를 덧대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으나, 본 고안은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하나의 타설막이(1)를 타설물 타설 장소의 형태에 맞게 회동시켜 가면서 하나의 박스형태로 만들 수 있기 때문에 전술한 종래의 타설막이가 갖고 있는 단점을 보완해 줄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작업의 편리성을 향상시켜 줄 수 있고, 시공시간은 단축시켜 줄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할 수 있다.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고안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고안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고안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 타설막이 10 : 차단부
20 : 회동결합부 21 : 연결부
211 : 제1회동축 212 : 제2회동축
213 : 수평연결부 22 : 회동가이드부
22a : 장착홀 30 : 고정부
40 : 결속부 41 : 전방지지부
411 : 제1감쌈부 42 : 후방지지부
421 : 제2감쌈부 43 : 결속부재
43a : 결속홀 44 : 부가 결속부재
50 : 타설물

Claims (4)

  1. 서로 이격 또는 접촉되도록 나열되어 타설물을 차단하는 다수개의 차단부,
    상기 차단부들을 개별 회동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회동결합부를 포함하는 타설막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결합부는,
    어느 하나의 차단부의 내부에 수직방향으로 고정되는 제1회동축, 상기 제1회동축과 연결되며, 상기 제1회동축이 고정된 차단부의 일측에 위치된 다른 차단부의 내부에 수직방향으로 고정되는 제2회동축을 포함하여 2개의 차단부를 연결하는 연결부,
    수평방향으로 구획되는 장착홀이 형성되어 상기 제1회동축과 제2회동축의 외면에 각각 장착되며, 상기 제1회동축 또는 제2회동축의 회동을 가이드 하는 회동가이드부를 포함하는 타설막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부의 외면에 각각 장착되어 상기 회동축에 고정시키는 고정부를 더 포함하는 타설막이.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부들을 일체로 결속시키는 결속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결속부는,
    상기 차단부들의 전방에 배치되어 지지하고, 일측에 종점에 위치된 차단부의 측면 및 후면을 감싸는 제1감쌈부가 형성된 전방지지부,
    상기 차단부들의 후방에 배치되어 지지하고, 일측이 종점에 위치된 차단부에서 상기 제1감쌈부와 수직방향으로 마주하며, 타측에는 시점에 위치된 차단부의 측면 및 전면을 감싸면서 상기 전방지지부와 수직방향으로 마주하는 제2감쌈부가 형성된 후방지지부,
    수직방향으로 구획되는 결속홀이 형성되어, 종점에 위치된 차단부의 후면 및 시점에 위치된 차단부의 전면에서 상기 제1감쌈부와 후방지지부, 제2감쌈부와 전방지지부를 각각 결속시키는 한 쌍의 결속부재,
    상기 차단부의 사이에 배치되며 전방지지부와 후방지지부의 양단 사이 구간을 결속하는 부가 결속부재를 포함하는 타설막이.
KR2020190000787U 2019-02-01 2019-02-25 타설막이 KR200494539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0517 2019-02-01
KR20190000517 2019-02-0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1802U true KR20200001802U (ko) 2020-08-11
KR200494539Y1 KR200494539Y1 (ko) 2021-11-03

Family

ID=720389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90000787U KR200494539Y1 (ko) 2019-02-01 2019-02-25 타설막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4539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01673U (ko) 2022-02-10 2023-08-17 박서연 타설막이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30535B1 (ko) * 1994-06-30 1998-04-10 최훈 콘크리트 연결부재
KR101187462B1 (ko) * 2010-11-15 2012-10-02 손웅 굽힘 설치가 가능한 콘크리트 타설막이
KR101783167B1 (ko) 2017-01-02 2017-09-28 주식회사 다마가산업 차단봉이 삽입되는 차단부재를 가진 콘크리트 타설막이
KR20180023355A (ko) * 2016-08-25 2018-03-07 조진규 콘크리트 타설막이
KR101878106B1 (ko) * 2017-11-30 2018-07-12 주식회사 다마가산업 콘크리트 누출을 방지하는데 최적화된 콘크리트 타설막이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30535B1 (ko) * 1994-06-30 1998-04-10 최훈 콘크리트 연결부재
KR101187462B1 (ko) * 2010-11-15 2012-10-02 손웅 굽힘 설치가 가능한 콘크리트 타설막이
KR20180023355A (ko) * 2016-08-25 2018-03-07 조진규 콘크리트 타설막이
KR101783167B1 (ko) 2017-01-02 2017-09-28 주식회사 다마가산업 차단봉이 삽입되는 차단부재를 가진 콘크리트 타설막이
KR101878106B1 (ko) * 2017-11-30 2018-07-12 주식회사 다마가산업 콘크리트 누출을 방지하는데 최적화된 콘크리트 타설막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94539Y1 (ko) 2021-11-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557497B2 (ja) 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ート部材の製造方法
ITFI20100214A1 (it) Cassero a perdere assemblabile con cui comporre casseforme modulari per la costruzione di fondazioni in calcestruzzo
CN110258907A (zh) 一种预制板及制作方法、叠合楼板及制作方法
KR20200001802U (ko) 타설막이
KR20110040493A (ko) 철근콘크리트 영구 거푸집
WO2008004852A1 (en) Vertical construction joints
KR102098688B1 (ko) 에스알씨 기둥용 거푸집 지지장치
JPH0673880A (ja) 仮枠の前部を制限する建造要素
JP6552863B2 (ja) 外壁の増打ち方法
AU2013200085B2 (en) Spacer and bar support
KR20200001199U (ko) 타설막이
KR100525599B1 (ko) 건축물 조적식 벽체 미장 몰탈 보강 구조
KR101839681B1 (ko) 건축용 조적식 블록세트
JP3122098U (ja) コンクリートブロック塀用型枠状基礎スラブブロック
CN110185170A (zh) 一种墙体组合砖
JP2009041275A (ja) 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ート梁柱部材の製造方法およびその型枠
KR101068877B1 (ko) 다기능 스페이서 및 이를 이용한 철근 간격 조절 방법
JP7330346B2 (ja) 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ート柱の接合方法
JP7453837B2 (ja) コンクリート構造物の配筋構造および鉄筋施工方法
JP6016313B1 (ja) コンクリート構造物及びコンクリート構造物構築工法
JP6301989B2 (ja) ブロック塀の施工方法
KR200408444Y1 (ko) 콘크리트 벽체를 형성하기 위한 유로폼
JP2006118236A (ja) 繊維強化コンクリート製永久型枠
KR20210002344U (ko) 콘크리트 타설막이 구조체
KR20060040984A (ko) 강선을 이용한 거푸집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