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01199U - 타설막이 - Google Patents

타설막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01199U
KR20200001199U KR2020180005533U KR20180005533U KR20200001199U KR 20200001199 U KR20200001199 U KR 20200001199U KR 2020180005533 U KR2020180005533 U KR 2020180005533U KR 20180005533 U KR20180005533 U KR 20180005533U KR 20200001199 U KR20200001199 U KR 20200001199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ing
binding
pour
barrier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8000553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서연
Original Assignee
박서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서연 filed Critical 박서연
Priority to KR202018000553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01199U/ko
Publication of KR2020000119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1199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1/00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 E04G11/36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for floors, ceilings, or roofs of plane or curved surfaces end formpanels for floor shutterings
    • E04G11/365Stop-end shutter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02Conveying or working-up concrete or similar masses able to be heaped or cast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9/00Forming or shuttering elements for general use
    • E04G9/02Forming boards or similar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On-Site Construction Work That Accompanies The Preparation And Application Of Concret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타설막이에 관한 것으로, 건축물의 기초 바닥판이나 슬라브를 형성하기 위한 콘크리트나 몰탈의 차단벽을 제공함에 있어, 콘크리트나 몰탈의 타설 대상장소가 사각형태, 직선과 사선이 조합된 형태, 곡선 형태, 연속적으로 절곡된 구간을 갖는 형태로 이루어 질 경우, 그 형태에 맞게 차단벽의 형태를 선택적으로 자유롭게 변경할 수 있으며, 콘크리트나 몰탈이 타설되는 구간의 길이에 제한 받지 않고 차단벽을 형성할 수 있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타설막이는, 서로 이격 또는 접촉되도록 나열되어 양생물을 차단하는 다수개의 차단부, 상기 차단부들을 개별 회동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회동결합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타설막이{BLOCKING BOARD}
본 고안은 타설막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건축물의 기초 바닥판이나 슬라브를 형성할 때 사용되는 타설막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물의 기초바닥부, 넓은 슬라브, 블럭 등을 구축하는 작업은 한번에 모든 면적이나 모든 크기의 구역이 타설될 수 없으므로 하루 작업할 수 있는 타설면적을 설정하여 작업이 이루어지고 나머지 면적은 차후에 작업이 이루어진다. 그와 같이 한 번에 작업할 타설면적을 나누고 그 나누어진 구역 내에서 작업을 수행하기 위해 그 구역의 경계부에는 콘크리트 타설막이를 설치하게 된다.
종래의 콘크리트 타설막이는 차단프레임에 일정 간격으로 체결공을 다수 형성하고 각 체결공에 머리부를 가진 차단봉이 삽입되어 있는 구조로서, 차단프레임은 콘크리트 타설 구역의 상부 타설면을 막아주고, 차단봉은 상부 철근과 하부 철근 및 기타 구조물 등이 설치된 하부 타설면을 차단시키게 되며, 한번 작업 시 정해진 구역에서 콘크리트 타설이 종료되도록 일정 구역을 막고 콘 크리트 타설물이 일정 구역 안에만 머물면서 양생되도록 하는 것이다.
그러나, 종래에는 다수개의 차단봉이 연결된 여러 개의 타설막이를 박스 형태로 결합하여 양생물의 차단벽을 형성 하였는 바, 이는 현장에서 결합작업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기초 바닥판이나 슬라브를 시공하기 위한 시간이 오래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을 뿐만 아니라, 양생물 타설 구간보다 타설막이가 길 경우 타설막이의 일부를 잘라내야 했으며, 양생물 타설 구간보다 타설막이가 짧을 경우에는 그에 해당하는 길이의 타설막이를 덧대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등록특허공보 제10-1783167호(2017.09.22.)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건축물의 기초 바닥판이나 슬라브를 형성하기 위한 콘크리트나 몰탈의 차단벽을 제공함에 있어, 콘크리트나 몰탈의 타설 대상장소가 사각형태, 직선과 사선이 조합된 형태, 곡선 형태, 연속적으로 절곡된 구간을 갖는 형태로 이루어 질 경우, 그 형태에 맞게 차단벽의 형태를 선택적으로 자유롭게 변경할 수 있으며, 콘크리트나 몰탈이 타설되는 구간의 길이에 제한 받지 않고 차단벽을 형성할 수 있는 타설막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 차단벽의 높이를 간편하게 증가시킬 수 있는 타설막이를 제공하는 데에도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에 따른 타설막이는, 서로 이격 또는 접촉되도록 나열되어 양생물을 차단하는 다수개의 차단부, 상기 차단부들을 개별 회동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회동결합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회동결합부는,
어느 하나의 차단부 및 상기 차단부의 일측에 위치되는 다른 차단부의 내부에 각각 수직방향으로 고정되는 제1,2회전축, 상기 차단부의 외부로 돌출되며, 상기 제1,2회전축을 연결하는 연결부재를 포함한다.
또한, 서로 이격되며 하단에 상기 연결부재에 고정되는 고리가 형성되는 한 쌍의 다리부재, 상기 다리부재를 연결하는 손잡이부재를 포함하는 탈거부를 더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제1회전축과 제2회전축을 결속시키며, 상기 차단부의 내부에 수용되는 결속튜브, 상기 제1회전축 및 제2회전축과 함께 상기 결속튜브에 결속되는 제1결속부재, 상기 제1결속부재와 연결되며 상기 양생물에 배근되도록 배치되는 철근에 결속수단을 통해 결속되는 제2결속부재를 포함하는 결속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차단부에 결합 또는 분리되는 길이증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길이증가부는,
상기 회동결합부의 반대편에서 상기 제1회전축 또는 제2회전축의 외주연에 장착되며, 코일 형태로 형성되는 장착부재, 상기 장착부재와 연결되며 상기 차단부의 외면에 접촉되는 제1스토퍼부재를 포함하는 제1커넥터부, 상기 제1스토퍼부재를 통과하여 상기 장착부재에 체결되는 체결부재, 상기 체결부재의 일측에 형성되며, 상기 체결부재가 장착부재에 체결 시 상기 제1스토퍼부재에 접촉되는 제2스토퍼부재를 포함하는 제2커넥터부, 상기 제2스토퍼부재와 결합되며, 상기 제2커넥터부가 제1커넥터부에 결합될 시 상기 차단부와 수직을 이루는 부가 차단부를 포함한다.
본 고안에 따른 타설막이는, 콘크리트나 몰탈의 누출을 방지하기 위해 제공되는 다수개의 차단부가 개별적으로 회동될 수 구조로 이루어져 타설 대상장소가 사각형태, 직선과 사선이 조합된 형태, 곡선 형태, 연속적으로 절곡된 구간을 갖는 형태 등으로 이루어 질 경우, 그 형태에 맞게 차단벽의 형태를 선택적으로 자유롭게 변경할 수 있으며, 콘크리트나 몰탈이 타설되는 구간의 길이에 제한 받지 않고 차단벽을 형성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차단부에 부가 차단부를 간편한 방식으로 결합 또는 분리할 수 있어, 필요에 따라 차단벽의 높이를 간편하게 증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타설막이의 결합 상태를 도시한 전방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타설막이의 결합 상태를 도시한 후방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타설막이의 결합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타설막이에 적용된 길이증가부가 차단부에 결합되는 과정을 도시한 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타설막이의 시공 상태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타설막이의 사용 상태도.
본 고안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고안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고안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고안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고안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타설막이(1)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고안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타설막이의 결합 상태를 도시한 전방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타설막이의 결합 상태를 도시한 후방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타설막이의 결합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타설막이에 적용된 길이증가부가 차단부에 결합되는 과정을 도시한 도이며,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타설막이의 시공 상태도이고,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타설막이의 사용 상태도이다.
본 고안은 슬라브나 기초 바닥면을 형성하기 위해 몰탈이나 콘크리트 등으로 형성되는 양생물(70)을 타설할 시 사용되는 타설막이(1)로써, 제품을 커팅하거나 연결하지 않고도 양생물(70)을 타설하기 위한 공간을 한번에 형성할 수 있는 제품이다.
이를 위해 본 고안에 따른 타설막이(1)는 다수개의 차단부(10) 및 상기 차단부(10)들을 회동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회동결합부(20)를 포함한다.
상기 차단부(10)는 상기 회동결합부(20)가 결합될 수 있도록 중공을 구비한다.
상기 차단부(10)는 다수개로 적용되며, 상기 회동결합부(20)를 매개로 연쇄적으로 연결되어 연속 벽체를 형성함에 따라, 양생물(70)을 타설 시 양생물(70)의 누출을 막을 수 있는 차단벽의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차단부(10)는 원형, 타원형, 다각형 형상 등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양생물(70)의 측압에 의해 배부름 현상이 발생되지 않도록 금속과 같이 강성이 우수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차단부(10)는 다수개가 서로 이격 또는 접촉되도록 나열되며, 철근(90)이 관통 시 탄성 변형되어 벌어질 수 있는 재질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차단부(10)의 외면은 양생물(70)의 양생이 완료될 경우, 타설막이(1)의 탈거가 용이하도록 PVC와 같은 재질로 피복처리 될 수 있다.
상기 회동결합부(20)는 다수개의 차단부(10)들을 연쇄적으로 연결하면서 각각의 차단부(10)들이 개별적으로 회동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제1회전축(21), 제2회전축(22), 연결부재(23)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회동결합부(20)는 도 1 내지 도 3을 기준으로 차단부(10)의 상부 또는 하부측에서 결합될 수 있으며, 도면에서는 상기 회동결합부(20)가 차단부(10)의 상부측에서 결합된 예를 도시하였다.
상기 제1회전축(21)은 어느 하나의 차단부(10)의 중앙에 수직방향으로 관통설치되고, 상기 제2회전축(22)은 상기 제1회전축(21)이 설치된 차단부(10)의 바로 옆에 위치하고 있는 다른 차단부(10)의 중앙부분에 수직방향으로 관통설치된다.
이때, 상기 제1회전축(21)과 제2회전축(22) 중 어느 하나는 후술되는 길이증가부(60)가 결합될 수 있도록 서로 다른 길이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도면에서는 상기 제1회전축(21)이 제2회전축(22)보다 긴 길이를 갖도록 형성된 예를 도시하였다.
다시 말하면, 상기 제1회전축(21)은 상기 차단부(10)의 70% 내지 80%의 길이를 갖도록 형성되어 길이증가부(60)와 결합되며, 상기 제2회전축(22)은 상기 상기 제1회전축(21)보다 짧은 길이를 갖도록 형성되어 길이증가부(60)가 제1회전축(21)에 결합될 때, 간섭하지 않는 것이다.
계속해서, 상기 제1회전축(21)이 설치된 차단부(10)의 중앙에는 다른 회동결합부(20)의 제2회전축(22)이 관통설치되고, 상기 제2회전축(22)이 설치된 차단부(10)에는 다른 회동결합부(20)의 제1회전축(21)이 관통설치된다.
이로 인해 상기 차단부(10)들이 연쇄적으로 연결되어 차단벽을 형성하게 된다.
상기 연결부재(23)는 상기 제1회전축(21)과 제2회전축(22)의 상단을 수평방향으로 연결하여 일체화 시킨다.
상기 연결부재(23)는 상기 제1회전축(21)과 제2회전축(22)이 차단부(10)에 설치되었을 시, 상기 차단부(10)의 상면에 접촉될 수 있다.
이러한 연결부재(23)는 상기 제1회전축(21) 및 제2회전축(22)과 일체로 형성되거나 또는, 제1회전축(21) 및 제2회전축(22)과 별도로 제작된 후 용접과 같은 방법으로 결합될 수 있다.
부가적으로, 본 고안에 따른 타설막이(1)는 제1회전축(21)과 제2회전축(22)을 결속시키는 결속튜브(40), 타설되는 양생물(70)에 배근되도록 배치되는 철근(80)에 결속되는 결속부(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먼저, 상기 결속튜브(40)는 일정한 길이를 갖는 관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제1회전축(21)과 제2회전축(22)의 외주연에 장착된다.
이때, 상기 결속튜브(40)는 제1회전축(21)과 제2회전축(22)이 삽입되는 과정에서 탄성력에 의해 벌어질 수 있고, 삽입이 완료된 이후에는 제1회전축(21)과 제2회전축(22)을 밀착시켜 안정적으로 결속시킬 수 있도록 탄성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결속튜브(40)는 2개의 회동결합부(20)를 결속시킴으로, 결속된 어느 하나의 회동결합부(20)의 제1회전축(21)과 다른 하나의 회동결합부(20)의 제2회전축(22)을 하나의 차단부(10)에 간편하게 관통설치 하면 된다.
한편, 상기 결속부(50)는 상기 차단부(10)와 회동결합부(20)가 타설되는 양생물(70)의 측압이나 기타 외력에 의해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으로, 어느 하나의 회동결합부(20)의 제1회전축(21) 및 다른 하나의 회동결합부(20)의 제2회전축(22)과 함께 상기 결속튜브(40)에 결속되며, 상측이 상기 차단부(10)의 상부로 돌출되는 제1결속부재(51), 상기 제1결속부재(51)의 상단에서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연결부재(53), 상기 연결부재(53)의 끝단에서 하 방향으로 연장되어 타설막이(1)의 설치 시 상기 양생물(70)에 매립되도록 마련되는 철근(80)에 철사와 같은 결속수단을 통해 상기 철근(80)에 결속되는 제2결속부재(52)를 포함한다.
즉, 상기 결속부(50)는 상기 차단부(10)와 회동결합부(20)가 철근(80) 상에 강결하고 안정적으로 고정되도록 하여 본 고안에 따른 타설막이(1)의 정착 안정성을 향상시킴과 아울러, 차단부(10)와 회동결합부(20)가 양생물(70)의 하중이나 측압에 대해 저향할 수 있도록 하여 본 고안에 따른 타설막이(1)의 구조적 안정성을 확보해주는 것이다.
이러한 결속부(50)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단부(10)에 간헐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그리고,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결속부(50)는 모든 차단부(10)에 적용될 수도 있다.
아울러, 철근(80)은 도5를 기준으로 차단부(10)의 좌측 또는 우측에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제2결속부재(52)는 좌측 또는 우측에 배치된 철근(80)에 고정된다.
한편, 본 고안에 따른 타설막이(1)는 양생물(70)의 타설높이에 따라, 차단벽의 높이를 증가시키기 위한 길이증가부(60)를 더 포함한다.
상기 길이증가부(60)는 제1커넥터부(61), 제2커넥터부(62), 부가 차단부(63)를 포함한다.
상기 제1커넥터부(61)는 회동결합부(20)의 반대편 즉, 차단부(10)의 하단에서 제1회전축(21)의 외주연에 장착되는 것으로, 장착부재(611), 상기 장착부재(611)의 상측에 형성되는 제1스토퍼부재(61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장착부재(611)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한 길이를 갖는 코일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회전축(21)의 하측면에는 돌기 형태의 돌출편(21a)이 형성된다.
상기 장착부재(611)를 상기 차단부(10)의 하부에서 내부로 삽입하여 제1회전축(21)의 하단에 접촉시킨 다음, 상기 제1스토퍼부재(612)를 잡고 장착부재(611)를 회전시키면, 상기 돌출편(21a)이 장착부재(611)의 경사면(6111)을 따라 연속적으로 이동되어 제1스토퍼부재(612)와 가까워지며, 그 과정에서 제1스토퍼부재(612)가 상기 차단부(10)의 하단에 접촉된다.
그리고, 상기 돌출편(21a)은 장착부재(611)의 경사면(6111) 사이에 위치되어, 상기 장착부재(611)가 상기 차단부(10)에서 빠지지 않는다.
이때, 상기 돌출편(21a)은 별도의 돌기를 제1회전축(21)에 결합하여 형성되거나 또는, 상기 제1회전축(21)을 컷팅하여 제작 시 자연스럽게 발생되는 버(BURR)로 적용될 수 있다.
상기 장착부재(611)에는 상기 제1회전축(21)에 장착되지 않는 여유 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여유공간을 통해 상기 제2커넥터부(62)가 연결된다.
상기 제2커넥터부(62)는 체결부재(621), 상기 체결부재(621)의 하측에 형성되는 제2스토퍼부재(62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체결부재(621)는 소정의 길이를 갖는 원형 바 형태이며, 상측면에는 돌기 형태의 돌출편(6211)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체결부재(621)를 제1스토퍼부재(612)에 통과시켜 상기 장착부재(611)의 하단에 접촉시킨 다음, 상기 제2스토퍼부재(622)를 잡고 상기 체결부재(621)를 회전시키면 체결부재(621)의 돌출편(6211)이 장착부재(611)의 경사면(6111)을 따라 연속적으로 이동되어 상기 장착부재(611)와 마주하게 되며, 그 과정에서 제2스토퍼부재(622)가 상기 제1스토퍼부재(612)에 접촉된다.
이때, 상기 돌출편(6211)은 별도의 돌기를 체결부재(621)에 결합하여 형성되거나 또는, 상기 체결부재(621)를 컷팅하여 제작 시 자연스럽게 발생되는 버(BURR)로 적용될 수 있다.
이때,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체결부재(621)는 약 1/2정도가 부가 차단부(63)의 내부에 매립되고, 나머지 1/2 정도는 부가 차단부(63)의 외부로 돌출될 수도 있다.
상기 부가 차단부(63)는 상기 제2스토퍼부재(622)의 저면에 결합된다.
상기 부가 차단부(63)는 상기 차단부(10)와 동일한 형상 및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차단부(10) 보다 짧은 길이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른 타설막이(1)는 현장여건에 따라 차단벽의 높이를 증가하고자 할 경우 상기 길이증가부(60)를 차단부(10)에 간편하게 결합하여 차단벽의 높이를 증가시킬 수 있다.
부가적으로, 본 고안에 따른 타설막이(1)는 양생물(70)의 양생이 완료된 이후, 차단부(10)를 용이하게 탈거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탈거부(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탈거부(30)는 서로 이격되며 하단에 상기 연결부재(23)에 고정되는 고리(311)가 형성된 한 쌍의 다리부재(31), 상기 다리부재(31)를 연결하는 수평 형태의 손잡이부재(32)를 포함한다.
이때, 탈거부(30)는 여러명의 작업자가 동시에 파지할 수 있도록 복수개로 적용된다.
상기, 탈거부(30)는 고리(311)가 상기 연결부재(23)보다 크게 형성되어 연결부재(23)를 기준으로 상,하 방향으로 회동될 수 있다.
따라서, 작업자는 상기 손잡이부재(32)를 자신의 방향으로 회동시킨 후 당겨서 타설막이(1)를 탈거하면 된다.
다음으로, 본 고안에 따른 타설막이의 작용 및 특유의 효과에 대해 설명한다.
본 고안에 따른 타설막이(1)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생물(70) 타설구역의 경계부에 설치되고 양생물(70)의 타설 구역 내에만 양생물(70)이 머물도록 하며, 그 경계부의 외부로 누설되지 않도록 하면 된다.
이때, 차단부(10)는 회동결합부(20)에 의해 개별회동 될 수 있기 때문에, 도 6에 예시된 바와 같이, 직각 형태나 연속적으로 절곡된 구간을 갖는 형태, 직선과 사선이 조합된 형태, 그리고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곡선 형태, 곡선과 사선이 조합된 형태 등 다양한 형태의 차단벽을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른 타설막이(1)는 건축물의 기초바닥면이나 슬라브를 다양한 형태로 형성할 수 있다.
아울러, 종래의 타설막이는 복수개의 타설막이를 박스 형태로 결합하여 양생물의 차단벽을 형성 하였는 바, 이는 현장에서 결합작업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기초 바닥판이나 슬라브를 시공하기 위한 시간이 오래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을 뿐만 아니라, 양생물 타설 구간보다 타설막이가 길 경우 타설막이의 일부를 잘라내야 했으며, 양생물 타설 구간보다 타설막이가 짧을 경우에는 그에 해당하는 길이의 타설막이를 덧대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으나, 본 고안은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하나의 타설막이(1)를 양생물(70) 타설 장소의 형태에 맞게 회동시켜 가면서 하나의 박스형태로 만들 수 있기 때문에 전술한 종래의 타설막이가 갖고 있는 단점을 보완해 줄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작업의 편리성을 향상시켜 줄 수 있고, 시공시간은 단축시켜 줄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할 수 있다.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고안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고안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고안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 타설막이 10 : 차단부
20 : 회동결합부 21 : 제1회전축
21a, 6211 : 돌출편 22 : 제2회전축
23, 53 : 연결부재 30 : 탈거부
31 : 다리부재 311 : 고리
32 : 손잡이부재 40 : 결속튜브
50 : 결속부 51 : 제1결속부재
52 : 제2결속부재 60 : 길이증가부
61 : 제1커넥터부 611 : 장착부재
6111 : 경사면 612 : 제1스토퍼부재
62 : 제2커넥터부 621 : 체결부재
622 : 제2스토퍼부재 63 : 부가 차단부
70 : 양생물 80, 90 : 철근

Claims (5)

  1. 서로 이격 또는 접촉되도록 나열되어 양생물을 차단하는 다수개의 차단부,
    상기 차단부들을 개별 회동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회동결합부를 포함하는 타설막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결합부는,
    어느 하나의 차단부 및 상기 차단부의 일측에 위치되는 다른 차단부의 내부에 각각 수직방향으로 고정되는 제1,2회전축,
    상기 차단부의 외부로 돌출되며, 상기 제1,2회전축을 연결하는 연결부재를 포함하는 타설막이.
  3. 제2항에 있어서,
    서로 이격되며 하단에 상기 연결부재에 고정되는 고리가 형성되는 한 쌍의 다리부재, 상기 다리부재를 연결하는 손잡이부재를 포함하는 탈거부를 더 포함하는 타설막이.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회전축과 제2회전축을 결속시키며, 상기 차단부의 내부에 수용되는 결속튜브,
    상기 제1회전축 및 제2회전축과 함께 상기 결속튜브에 결속되는 제1결속부재,
    상기 제1결속부재와 연결되며 상기 양생물에 배근되도록 배치되는 철근에 결속수단을 통해 결속되는 제2결속부재를 포함하는 결속부를 포함하는 타설막이.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부에 결합 또는 분리되는 길이증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길이증가부는,
    상기 회동결합부의 반대편에서 상기 제1회전축 또는 제2회전축의 외주연에 장착되며, 코일 형태로 형성되는 장착부재, 상기 장착부재와 연결되며 상기 차단부의 외면에 접촉되는 제1스토퍼부재를 포함하는 제1커넥터부,
    상기 제1스토퍼부재를 통과하여 상기 장착부재에 체결되는 체결부재, 상기 체결부재의 일측에 형성되며, 상기 체결부재가 장착부재에 체결 시 상기 제1스토퍼부재에 접촉되는 제2스토퍼부재를 포함하는 제2커넥터부,
    상기 제2스토퍼부재와 결합되며, 상기 제2커넥터부가 제1커넥터부에 결합될 시 상기 차단부와 수직을 이루는 부가 차단부를 포함하는 타설막이.
KR2020180005533U 2018-11-30 2018-11-30 타설막이 KR20200001199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5533U KR20200001199U (ko) 2018-11-30 2018-11-30 타설막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5533U KR20200001199U (ko) 2018-11-30 2018-11-30 타설막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1199U true KR20200001199U (ko) 2020-06-09

Family

ID=710701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80005533U KR20200001199U (ko) 2018-11-30 2018-11-30 타설막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01199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126244A (zh) * 2022-07-18 2022-09-30 中国建筑第二工程局有限公司 一种高低标号混凝土拦截装置及施工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83167B1 (ko) 2017-01-02 2017-09-28 주식회사 다마가산업 차단봉이 삽입되는 차단부재를 가진 콘크리트 타설막이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83167B1 (ko) 2017-01-02 2017-09-28 주식회사 다마가산업 차단봉이 삽입되는 차단부재를 가진 콘크리트 타설막이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126244A (zh) * 2022-07-18 2022-09-30 中国建筑第二工程局有限公司 一种高低标号混凝土拦截装置及施工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395465B2 (ja) ボックスカルバート
CN108240041A (zh) 一种梁柱节点钢筋避让结构及其施工方法
CN104831922A (zh) 一种可调节的方柱钢模板
KR101762155B1 (ko) 탈착트러스를 갖는 트윈월 및 그 제작방법
CN110258907A (zh) 一种预制板及制作方法、叠合楼板及制作方法
KR20200001199U (ko) 타설막이
KR102178763B1 (ko) 연결접합 구조물 및, 철근콘크리트기둥의 시공방법 및, 철근콘크리트기둥의 설치시스템
KR102034138B1 (ko) 보 거푸집 및 보 거푸집 시공방법
JP5349894B2 (ja) 梁と柱梁接合部とを一体化した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ート部材用型枠およびその型枠を用いた梁と柱梁接合部とを一体化した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ート部材の製造方法
KR101339470B1 (ko) 중공 슬라브 유닛 및 이를 이용한 슬라브의 시공방법
JP6552863B2 (ja) 外壁の増打ち方法
KR20090010281A (ko) 콘크리트의 끊어치기를 위한 마감부재
KR101158752B1 (ko) 콘크리트 타설 차단막이
KR200494539Y1 (ko) 타설막이
KR102195671B1 (ko) 유연시트 거푸집을 이용한 콘크리트 기둥 시공방법
JP4129523B2 (ja) コンクリート地下構造物の外壁型枠工法及びコンクリート地下構造物
JP2007308885A (ja) 構造物の構築工法
EP0299353B1 (de)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Schalungselementen für die Mantelbetonbauweise und nach dem Verfahren hergestellte Elemente
US2127914A (en) Composition building block
KR101298399B1 (ko) 철근받침구조체
JPH0657970B2 (ja) 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ート製中空柱体
KR20190129174A (ko) 벽체 내부에 설치하는 철근용 스페이서
JP7330346B2 (ja) 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ート柱の接合方法
KR20200001781U (ko) 콘크리트 타설막이 구조체
AT500886B1 (de) Vorrichtung zum herstellen eines schachtbodens aus bet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