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02118U - 탄성복원력을 이용한 건축물 내외장 마감재 - Google Patents

탄성복원력을 이용한 건축물 내외장 마감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02118U
KR20210002118U KR2020200000907U KR20200000907U KR20210002118U KR 20210002118 U KR20210002118 U KR 20210002118U KR 2020200000907 U KR2020200000907 U KR 2020200000907U KR 20200000907 U KR20200000907 U KR 20200000907U KR 20210002118 U KR20210002118 U KR 20210002118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trusion
restoring force
elastic restoring
fixing
wid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0000090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곽은경
Original Assignee
곽은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곽은경 filed Critical 곽은경
Priority to KR202020000090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02118U/ko
Publication of KR2021000211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2118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01Separate fastening elements
    • E04F13/0803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inishing Walls (AREA)

Abstract

탄성복원력을 이용한 건축물 내외장 마감재가 제공된다. 이는 벽면 부착부(110)에 다수의 돌기부(120)를 형성하고 있는 바(Bar)형 고정재(100)에 탄성복원력 있는 소재로 만들어지고 걸림부에 의해 상기 고정재(100)의 돌기부(120)와 교차하는 방향으로 결합되는 결합재(200)가 포함된다. 상기 결합재(200)의 돌기부(120)에 결합되는 걸림부 사이의 폭은 벽면 부착부(110)와 맞닿아 있는 돌기부(120) 단부의 폭과 동일한 폭으로 형성되고, 결합재(200)의 내부 폭은 상기 돌기부(120)의 가장 폭이 넓은 부위와 동일하며. 상기 결합재(200)의 걸림부(210)에는 톱니 또는 요철형상의 홈이 형성 될 수 있어 고정재(100)와 결합재(200)의 결합을 용이하게 하고 결합재(200)가 상하 또는 좌우로 흔들리는 것을 방지하여 준다. 본 고안의 탄성복원력을 이용한 건축물 내외장 마감재는 작업자들이 별다른 공구 없이 손쉽게 작업 할 수 있도록 고안되었다.

Description

탄성복원력을 이용한 건축물 내외장 마감재{Finishing materials for interior and exterior of a building using elastic restoring force}
본 고안은 건축물의 외벽 또는 내벽을 마감하는 건축물 내외장 마감재에 관한 것이다.
건축물의 외벽이나 내벽의 마감은 평탄면으로 마감하는 방법이 주로 사용되나, 바(Bar)형으로 마감하는 방법도 사용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바(Bar)형 마감재로는 벽면에 고정재를 부착하고 고정재에 결합재를 결합하여 마감하는 방법이 주로 사용되며 금속각재, 나무각재가 많이 사용된다. 금속각재는 외장 마감의 경우 현장에서 절단과 용접 등을 통한 작업이 가능하나 내장 마감의 경우에는 미리 용접작업을 진행 한 후 현장에서 시공해야 하는 공정상의 어려움이 있고, 후 도장을 통하여 색상을 입혀야 하는 추가 공정이 필요하여 다양한 패턴을 표현하기 어려운 단점이 있다.
나무각재는 금속각재보다 시공상의 용이함이 있지만 온도, 습도의 변화 등 나무가 가지고 있는 수축과 팽창으로 인하여 변형에 대한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본 고안은 기존의 바(Bar)형 내외장 마감재가 가지고 있는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본 고안은 통하여 용접작업이나 목공작업 등의 필요 없어 시공이 용이하고 다양한 패턴을 쉽게 표현 할 수 있으며, 해체가 용이하여 마감재의 교체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본 고안의 과제는 건축물의 벽면에 부착하여 고정하는 벽면 부착부(110)와 벽면 부착부(110)에 다수의 돌기부(120)가 형성되어 있는 바(Bar)형 고정재(100), 탄성복원력 있는 소재로 만들어지고 걸림부가 상기 고정재(100)의 돌기부(120)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결합되는 바(Bar)형 결합재(200)를 포함하는 탄성복원력을 이용한 건축물 내외장 마감재를 제공함에 의하여 달성된다.
상기 고정재(100)의 벽면 부착부(110)는 ㄷ자 형상으로 구성되며, 상기 돌기부(120)는 벽면 부착부(110)의 단부에서 양방향으로 넓어지다가 일정 지점에서 다시 좁아지고, 상기 결합재(200)의 걸림부는 상기 돌기부(120)와 결합하는 부위에 한 개 이상의 홈을 형성함으로서 마감재의 결합을 더 견고하게 할 수 있다.
상기 결합재(200)의 결합되는 면의 공간의 폭은 상기 고정재(100)의 돌기부(120)가 벽면 부착부(110)와 맞닿아 있는 부분의 폭과 동일하고, 상기 결합재(200)의 내부 폭은 상기 고정재(100)의 돌기부(120)의 가장 넓은 부분의 폭과 동일하게 함으로써 고정재(100)와 결합재(200)의 결합력을 견고하게 할 수 있다. 본 고안을 통하여 시공이 용이하고 패턴의 표현을 다양하게 할 수 있으며 해체가 용이한 건축물 내외장 마감재를 제조 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르면 설치하고자 하는 장소에 본 고안의 2개 이상의 고정재를 벽면에 상하 또는 좌우로 고정하고 고정재의 양 끝에 탄성복원력이 있는 결합재를 결합함으로써 쉽게 설치 할 수 있고, 결합재(200)에 선도장, 선도금 등 다양한 방식으로 원하는 색상이나 무늬를 미리 구현하거나 프린팅, 표면마감재 등을 부착하여 원하는 디자인을 표현 할 수 있다. 또한 프린팅 등을 통하여 목재의 느낌을 주면서도 목재의 단점인 수축과 팽창에 영향을 받지 않는 건축물 내외장 마감재를 제공 할 수 있다.
도1은 고정재(100)의 사시도이다.
도2는 결합재(200)의 사시도이다.
도3은 고정재(100)에 결합재(200)가 결합한 사시도이다.
도4는 결합재(200)가 고정재(100)에 결합되는 과정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5는 본 고안을 실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1은 본 발명의 고정재(100)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2는 본 발명의 결합재(200)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3은 본발명의 고정재(100)에 결합재(200)가 결합되는 형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4는 본 발명의 탄성복원력을 이용하여 결합재(200)를 고정재(100)에 결합하거나 해체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5는 본 고안이 실시된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탄성복원력을 이용한 건축물의 내외장 마감재는 고정재(100)과 결합재(200)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재(100)와 결합재(200)는 모두 바(Bar)형의 형상을 가진다. 상기 고정재(100)는 벽면 부착부(110)와 돌기부(120)로 구성된다. 상기 고정재(100)는 건축물의 내부 또는 외부 벽면에 고정되는 것으로서 벽면 부착부(110)를 벽면에 대고 볼트 등의 체결수단을 이용하여 벽면에 부착하여 고정시킨다. 상기 벽면 부착부(110)는 평면으로 구성되거나 상기 돌기부(120)를 더 단단하게 지지하기 위하여 ㄷ자형으로 구성 될 수 있다.
도1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고정재(100)의 돌기부(120)는 상기 벽면 부착부(110)의 양 단부에서부터 다수 개 형성되는 것으로서 벽면 부착부(110)의 단부에서 양방향으로 폭이 점점 넓어지다가 일정 위치에서 다시 좁아지는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도2에서는 상기 결합재(200)를 사각기둥 형상으로 표현하였으나 다각형, 원통형 등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결합재(200)는 탄성복원력 있는 소재인 SUS, GI, EGI, SGL, GA, AL 등의 소재를 이용하여 만들 수 있다. 도2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결합재(200)는 고정재(100)와 결합하는 면이 상기 고정재(100)의 돌기부(120)에 걸려서 빠지지 않도록 양쪽에 걸림부(210)가 형성되어 있고, 걸림부(210)에는 상기 돌기부(120)와 결합하는 부위에 결합재(200)가 고정재(100)에 상하로 움직이지 않고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돌기부에 결합하는 부분에 톱니 또는 요철형상의 걸림부 홈(220)을 형성 할 수 있다. 상기 결합재(200)의 걸림부(210) 사이의 폭은 상기 돌기부(120)가 상기 벽면 부착부(110)가 만나는 지점의 폭과 동일하게 하고 상기 결합재(200)에 내부 폭은 상기 돌기부(120)에서 가장 폭이 넓은 부분과 동일하게 함으로써 결합재(200)가 고정재(100)에 더 견고하게 결합 할 수 있게 한다 .
이하에서는 본 고안의 실시하는 과정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고안은 결합재(200)의 탄성력을 이용하여 건축물의 내외장을 마감하는 것으로서 작업자가 수작업으로도 쉽게 내외장 마감을 할 수 있도록 고안되었다. 먼저 본 고안의 고정재(100)는 벽면 부착부(110)를 벽면에 대고 볼트 등의 체결수단을 이용하여 원하는 위치에 결합한다. 이때 바(Bar)형의 결합재(200)를 전체적으로 세로로 배치하고자 한다면 고정재(100)를 가로로 상하 두 개 이상을 벽면에 고정하고, 바(Bar)형의 결합재(200)를 세로로 배치하고자 한다면 고정재(100)를 세로로 좌우 두 개 이상을 벽면에 고정한다. 상기 고정재(100)를 벽면에 고정한 후 상기 결합재(200)를 상기 고정재와 교차하는 방향으로 놓고 걸림부 홈(220)을 고정재(100)의 돌기부(120)에 대고 결합재(200)를 벽면 쪽으로 밀어준다. 결합재(200)는 탄성복원력이 있는 소재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도3에서와 결합재(200)가 누르는 힘에 의하여 걸림부(210)가 상기 고정재(100)의 돌기부(120)의 경사를 따라서 점점 벌어지다가 돌기부(120)의 폭이 가장 넓은 부분을 지나서는 탄성복원력에 의하여 고정재(100)의 돌기부(120)와 벽면 부착부(110)가 맞닿는 지점에서 다시 원상태로 돌아간다.
이 때 상기 결합재(200)의 걸림부(210)의 폭이 상기 돌기부(120)가 벽면 부착부(110)와 맞닿아 있는 부분의 폭보다 크면 결합재(200)가 흔들릴 수 있으므로 걸림부(220)의 폭은 돌기부(120)가 벽면 부착부(110)와 맞닿아 있는 부분의 폭과 같은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결합재(200)가 사각기둥일 경우 내부의 폭이 상기 돌기부(120)에서 가장 넓은 폭과 동일하고, 사각이 아닐 경우 내부의 일정 부위의 폭이 상기 돌기부(120)의 가장 넓은 폭과 동일하게 하여 결합재(200)가 돌기부(120)에 밀착하게 함으로써 결합을 견고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의 마감재를 해체할 때에는 별다른 공구 없이 결합재(200)의 상단의 공간부를 잡고 벽면 바깥쪽으로 잡아당기면 결합재(200)를 고정재(100)에 결합시킬 때와 마찬가지로 탄성복원력에 의하여 결합재(200)가 고정재(100)로부터 쉽게 분리된다.
결합재(200)의 걸림부(210)에 형성되는 톱니 또는 요철 형상은 결합재(200)가 고정재(100)에 결합을 용이하게 하고, 결합된 후 결합재(200)(200)가 상하 또는 좌우로 움직이는 것을 방지해 주는 역할을 한다.
본 고안에 따르면 설치하고자 하는 장소에 본 고안의 고정재(100)를 상하 또는 좌우 벽면에 수평 또는 수직으로 고정하고 고정부의 양 끝에 탄성복원력이 있는 결합재(200)를 결합함으로써 간단하게 설치 할 수 있고, 결합재(200)에 선도장, 선도금 등 다양한 방식으로 원하는 색상이나 무늬를 미리 구현하거나 프린팅, 표면마감재 등을 부착하여 원하는 디자인을 표현 할 수 있다. 이러한 방법을 통하여 목재의 느낌을 주면서도 수축과 팽창의 영향을 받지 않는 바(Bar)형 바(Bar)형 건축물 내외장 마감재를 만들 수 있다.
100 : 고정재(100) 110 : 벽면 부착부 120 : 돌기부
200 : 결합재(200) 210 : 걸림부 220 : 걸림부 홈

Claims (6)

  1. 건축물의 벽면에 부착하여 고정하는 벽면 부착부(110)와 벽면 부착부(110)에서 다수의 돌기부(120)가 형성되어 있는 바(Bar)형 고정재(100) ;
    탄성복원력 있는 소재로 만들어지고 걸림부(210)가 상기 고정재(100)의 돌기부(120)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결합되는 바(Bar)형 결합재(200)를 포함하는 탄성복원력을 이용한 건축물 내외장 마감재.
  2. 제1항에서
    상기 고정재(100)의 벽면 부착부(110)는 ㄷ자 형상으로 구성되며, ㄷ자 형상의 양 끝에서 상기 돌기부(120)가 형성되는 탄성복원력을 이용한 건축물 내외장 마감재.
  3. 제1항에서
    상기 돌기부(120)는 벽면 부착부(110)의 끝에서 양방향으로 넓어지다가 일정 지점에서 다시 좁아지는 탄성복원력을 이용한 건축물 내외장 마감재.
  4. 제1항에서
    상기 결합재(200)의 걸림부(210)는 상기 돌기부(120)와 결합하는 부위에 한 개 이상의 걸림부 홈(220)이 형성되어 있는 탄성복원력을 이용한 건축물 내외장 마감재.
  5. 제1항에서
    상기 결합재(200)의 걸림부(210) 사이의 폭이 상기 고정재(100)의 벽면 부착부(110)와 맞닿아 있는 돌기부(120) 단부의 폭과 동일한 탄성복원력을 이용한 건축물 내외장 마감재.
  6. 제1항에서
    상기 결합재(200)의 일정 부위의 내부 폭이 상기 고정재(100)의 돌기부(120)의 가장 넓은 부위의 폭과 동일한 탄성복원력을 이용한 바(Bar)형 바(Bar)형 건축물 내외장 마감재.
KR2020200000907U 2020-03-17 2020-03-17 탄성복원력을 이용한 건축물 내외장 마감재 KR20210002118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00000907U KR20210002118U (ko) 2020-03-17 2020-03-17 탄성복원력을 이용한 건축물 내외장 마감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00000907U KR20210002118U (ko) 2020-03-17 2020-03-17 탄성복원력을 이용한 건축물 내외장 마감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2118U true KR20210002118U (ko) 2021-09-27

Family

ID=779150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00000907U KR20210002118U (ko) 2020-03-17 2020-03-17 탄성복원력을 이용한 건축물 내외장 마감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02118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55007A (ko) 2021-10-18 2023-04-25 성기봉 융합검색엔진 기반의 식물 생산 구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55007A (ko) 2021-10-18 2023-04-25 성기봉 융합검색엔진 기반의 식물 생산 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193347B2 (ja) 建築用ブロックおよびかかる建築用ブロックに適用される挿入部品
US4773199A (en) Reinforcing frame work for constructing reinforced concrete structure
US4483119A (en) Bar support for use with reinforced concrete
KR102299991B1 (ko) 무해체 보 구조용 조립식 거푸집
KR20210002118U (ko) 탄성복원력을 이용한 건축물 내외장 마감재
KR200470819Y1 (ko) 스터드기능을 갖는 조립형 스퀘어바
KR101351439B1 (ko) 조립식 벽체블록
KR101787246B1 (ko) 외장 조립체
JP2008156912A (ja) 組立部材及びそれを用いた組立物。
KR102106106B1 (ko) 알폼용 간격유지장치
JP6915997B2 (ja) 壁材の取付具、及び壁構造
KR102106107B1 (ko) 갱폼용 간격유지장치
KR20240009056A (ko) 벽면보호부가 구비된 탄성복원력을 이용한 건축물 내외장 마감재
JP6849227B2 (ja) 壁下地材とこれを用いた壁施工方法
KR20030070248A (ko) 원터치 부착식 월 스페이서
KR200262514Y1 (ko) 경량벽체 고정틀
KR20230157060A (ko) 건축용 마감재
KR20170113783A (ko) 철근이 부착된 거푸집 일체형 벽체구조
KR200378153Y1 (ko) 거푸집 연결구 어셈블리
JP6313916B1 (ja) 壁構造
KR200211862Y1 (ko) 일체식 보거푸집
JPS582120Y2 (ja) 地下ケ−ブル線路におけるダクトの防護壁を造型するための型枠の構造
JP2017179829A (ja) 合成梁
JP6966209B2 (ja) 壁材の取付具及び壁構造
KR20170118644A (ko) 외장 조립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