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10236B1 - 뜨거운 음료의 음용이 용이한 컵 뚜껑 - Google Patents

뜨거운 음료의 음용이 용이한 컵 뚜껑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10236B1
KR102110236B1 KR1020180116277A KR20180116277A KR102110236B1 KR 102110236 B1 KR102110236 B1 KR 102110236B1 KR 1020180116277 A KR1020180116277 A KR 1020180116277A KR 20180116277 A KR20180116277 A KR 20180116277A KR 102110236 B1 KR102110236 B1 KR 1021102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inking
beverage
lid
cup
cup l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162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36524A (ko
Inventor
김명재
박광수
김기표
김성진
이병국
이성주
이은실
Original Assignee
씨제이제일제당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씨제이제일제당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씨제이제일제당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162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10236B1/ko
Publication of KR202000365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365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102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102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06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9/00Table service
    • A47G19/22Drinking vessels or saucers used for table service
    • A47G19/2205Drinking glasses or vessels
    • A47G19/2266Means for facilitating drinking, e.g. for infants or invalids
    • A47G19/2272Means for facilitating drinking, e.g. for infants or invalids from drinking glasses or cups comprising lids or co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3/00Details of bottles or ja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23/04Means for mixing or for promoting flow of cont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16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with means for venting air or gas
    • B65D51/1605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with means for venting air or gas whereby the interior of the container is maintained in permanent gaseous communication with the exterior
    • B65D51/1611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with means for venting air or gas whereby the interior of the container is maintained in permanent gaseous communication with the exterior by means of an orifice, capillary or labyrinth pass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7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85/7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edible or potable liquids, semiliquids, or plastic or pasty materi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ediatric Medicine (AREA)
  • Table Devices Or Equipment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뚜껑을 열지 않은 상태로 컵에 수납된 뜨거운 음료를 용이하게 식힐 수 있고, 뚜껑의 일측에 음료의 식힘 및 배출유도공간이 구비된 음용부가 형성되어 용이한 음용이 가능하며, 음용 시 음료의 외부 노출을 최소화함으로써 위생적인 컵 뚜껑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뜨거운 음료의 음용이 용이한 컵 뚜껑{Easy to drink cup lid of hot drink}
본 발명은 컵 뚜껑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뜨거운 음료의 음용이 용이한 컵 뚜껑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다양한 음료의 테이크아웃 포장은 일회용 컵 등의 음료용기와, 음료용기의 상부에 씌워지는 뚜껑 등을 이용한다.
상기 뚜껑에는 음용구가 구비되어 있어 음용구에 직접 입을 대거나, 또는 음용구에 빨대를 꽂은 상태로 수납된 음료를 음용하기도 한다.
그러나 상기 음료용기에 담긴 음료를 음용하는 과정에서 음료가 뜨거울 경우 입술을 데는 경우가 종종 발생함에 따라 음용 시 주의가 필요하다. 따라서 대부분의 음용자들은 뜨거운 음료를 마시기 전에 음료용기의 뚜껑을 개방한 후 음료가 적정 온도로 식을 때까지 기다려야 하는 등의 불편함이 있다.
이를 방지할 수 있도록 종래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3-0095217호(공개일: 2013.08.27) 등으로 뜨거운 음료를 식히면서 음용할 수 있는 컵 뚜껑이 제안된 바 있다.
즉 종래의 컵 뚜껑은 음용 시 내용물의 이동거리를 늘리거나 뚜껑 외부로 내용물을 노출시켜 온도를 낮추는 방식이다.
그러나 종래와 같은 컵 뚜껑은 내용물이 뚜껑 외부로 노출된 후 음용하게 되므로 위생상의 문제가 있다. 또한 음용하는 과정에서 내용물이 뚜껑 외부로 흐르게 되므로 이동 시 음용이 어려우며, 뚜껑의 구조상 음료용기 내에 음료의 잔량이 많이 남게 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뚜껑을 열지 않은 상태로 컵에 수납된 뜨거운 음료를 용이하게 식힐 수 있고, 뚜껑의 일측에 음료의 식힘 및 배출유도공간이 구비된 음용부가 형성되어 용이한 음용이 가능하며, 음용 시 음료의 외부 노출을 최소화함으로써 위생적인 컵 뚜껑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구현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뜨거운 음료의 음용이 용이한 컵 뚜껑은, 음료 수납공간이 마련된 컵의 상측 개구를 덮어주는 본체부; 및 상기 본체부의 일측에 음료의 식힘 및 배출유도공간이 구비되도록 상측으로 돌출 형성되며, 음용구가 구비되는 음용부;를 포함한다.
이상과 같은 구성에 따른 본 발명은, 본체부 일측에 구비된 음용구를 통해 수납공간으로 불어넣은 공기가 내부의 증기와 함께 본체부 타측의 증기배출구를 통해 원활하게 배출될 수 있도록 유도해줌에 따라, 뚜껑을 열지 않은 상태로 컵에 수납된 뜨거운 음료를 용이하게 식힐 수 있다.
또한 음용부의 상부 끝단부에 음용구를 위치시켜줌으로써 음용 시 음료의 노출이 최소화되어 위생적이며, 이동 시 음용이 가능하다.
또한 음용구가 입술에 닿는 부분과 가깝게 형성됨에 따라 음료의 잔량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뜨거운 음료의 음용이 용이한 컵 뚜껑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뚜껑의 측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뚜껑이 컵에 결합된 상태를 보여주는 측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뚜껑의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가이드홈부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구성 및 작용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대해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로 표기되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뜨거운 음료의 음용이 용이한 컵 뚜껑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컵 뚜껑의 측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뜨거운 음료의 음용이 용이한 컵 뚜껑(100)은, 본체부(110), 음용부(120)를 포함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구성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체부(110)는 내부에 음료를 수납할 수 있도록 수납공간(1a)이 마련된 컵(1)의 상측 개구에 덮어준다. 본체부(110)의 하측 테두리에는 컵(1)의 상부 테두리에 끼움 결합될 수 있도록 결합홈(111)이 구비된다.
음용부(120)는 본체부(110)의 일측에 구비되는 것으로, 음용부(120)를 통해 컵(1)에 수납된 음료를 음용할 수 있다.
이러한 음용부(120)는 내부에 음료의 식힘 및 배출유도공간(S)(이하 '배출유도공간'이라 약칭함)이 구비 되도록 상측으로 돌출 형성된다. 아울러 음용부(120)에는 배출유도공간(S)을 통해 유도된 음료를 음용할 수 있도록 음용구(123)가 구비된다.
도 2를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해보면, 상기 음용부(120)는 음용자가 입을 대었을 때 아랫입술이 맞닿는 제1면(121)과, 윗입술이 맞닿을 수 있도록 제1면(121)의 반대쪽에 배치되는 제2면(122)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면(121)과 제2면(122)은 음용을 위해 입술을 갖다 대었을 경우 안정적으로 안착될 수 있도록 평면으로 보았을 때 수평 방향으로 라운드진 형상, 즉 초승달과 같은 형상(도 3 참조)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제2면(122)은 배출유도공간(S)의 내부 폭이 점차 좁아지도록 경사면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음용구(123)는 제2면(122)의 끝단부에 형성된다.
즉 음용구(123)가 종래 기술에서와 같이 본체부(110)와 접하는 제2면(122)의 하단부에 형성되는 경우, 음용을 위해 컵(1)을 기울이는 순간 음용구(123)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 음료가 본체부(110)의 상면과 제2면(122) 사이의 모서리 공간에 모이게 된다. 이 경우 음료가 뚜껑(100)의 외부와 접촉하는 부분이 늘어남과 동시에 배출된 음료가 뚜껑(100) 표면에 잔류함에 따라 위생적이지 않다.
이에 반해, 본 발명에서와 같이 음용구(123)를 입술을 대는 부위와 최대한 가깝게 위치시키는 경우 음용자는 음용구(123)를 통해 곧바로 음료를 음용할 수 있다. 무엇보다 배출되는 음료가 음용부(120)와 접촉하는 부분을 줄일 수 있음에 따라 위생적이다. 아울러 음용구(123)가 음용부(120)의 끝단부에 위치함에 따라 수납공간(1a) 내 음료의 잔량이 최소화된다.
상기 음용구(123)는 경사면으로 형성되는 제2면(122)의 끝단부에 원형 또는 타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물론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입술을 갖다댄 상태에서 음료를 용이하게 음용할 수 있는 구조라면 상기 음용구(123)를 다각 형상이나 기타 다양한 형상으로 변경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러한 구조의 음용구(123)는 음용 시 수납된 뜨거운 음료를 직접적으로 마시는 것이 아니라 입 근처에서 순간적으로 빨아드리는 간접적인 음용 방식을 취할 수 있다.
즉 입술을 음용부(120)의 끝단부에 살짝 갖다 댄 상태에서 음료를 순간적으로 빨아들임으로써, 입술과 음용구(123) 사이의 이격 공간을 통해 음료의 온도를 식혀주면서 마실 수 있다.
다시 말해, 음용구(123)가 경사면에 형성됨과 아울러 종래에 비해 크기가 크게 형성됨에 따라 음용구(123)의 일부에 살짝 입을 대고 음료를 천천히 식혀가며 음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수납된 음료의 온도가 적정할 경우에는 음용구(123) 전체를 입으로 덮은 상태에서 음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와 같은 음용구(123)가 구비된 음용부(120)는 입술에 안착이 쉽고 음용량 조절이 용이함에 따라 이동중에도 내용물을 흘리지 않고 음용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본체부(110)의 타측에는 증기배출구(130)가 구비된다. 증기배출구(130)는 컵(1)에 수납된 뜨거운 음료를 식히기 위해 음용구(123)를 통해 수납공간(1a)으로 불어넣은 공기를 증기와 함께 외부로 배출시켜주는 역할을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음용구(123)를 통해 배출유도공간(S) 내에 바람을 불어 넣으면 좁은 음용구(123)를 통과한 공기는 팽창하면서 온도가 낮아지게 된다. 온도가 낮아진 공기는 1차적으로 수납공간(1a)에 수납된 뜨거운 음료의 온도를 낮춰주게 되고, 2차적으로 뜨거운 증기를 음용구(123)로부터 멀리 밀어낸다. 밀려난 증기는 음용구(123) 반대편의 증기배출구(13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상기와 같은 증기배출구(130)를 통한 증기의 원활한 배출을 위해 본체부(110)의 중심에는 수납공간(1a) 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가이드홈부(140)가 구비된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가이드홈부(140)는 음용구(123)를 통해 내부로 불어넣은 공기가 증기배출구(130) 측으로 원활하게 유도 배출될 수 있도록 가이드해주는 일종의 공기이동통로(141) 역할을 한다. 즉 가이드홈부(140)의 구조를 통해 음용구(123)를 통해 불어넣은 공기가 다시 음용구(123) 측으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가이드홈부(140)는 측 단면이 'U' 자 형상(도 3 참조)으로 형성되어 본체부(110)의 내부 테두리에 공기이동통로(141)를 마련해줄 수 있다. 물론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음용구(123)를 통해 불어 넣은 공기를 증기배출구(130) 측으로 원활하게 유도해줄 수 있다면, 상기 가이드홈부(140)를 다양한 구조로 변경적용할 수 있다.
예컨대 도 5에서와 같이, 가이드홈부(140')를 여러 갈래의 날개 형상으로 분할 형성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음용구(123)를 통해 불어넣은 공기의 흐름을 공기이동통로(141')를 따라 증기배출구(130) 측으로 원활하게 유도해줄 수도 있다.
이러한 구조의 가이드홈부(140)(140')는 그 하측 단부가 수납공간(1a)에 수납된 음료의 표면에 접하거나, 또는 근접하도록 위치시킬 수 있다(도 3 참조). 즉 뜨거운 음료가 가득 담긴 컵(1)에 뚜껑(100)을 결합하였을 경우 가이드홈부(140)의 하측 단부가 수납된 음료의 표면에 접하거나 근접하게 되고, 이에 따라 뚜껑(100) 내부에는 오직 공기이동통로(141)(141')만이 빈 공간으로 남게 된다. 따라서, 상기 음용부(120)를 통해 불어넣은 공기가 공기이동통로(141)(141')를 따라 원활하게 유도된 후, 내부의 증기와 함께 증기배출구(13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른 뜨거운 음료의 음용이 용이한 컵 뚜껑(100)은, 본체부(110) 일측에 구비된 음용구(123)를 통해 불어넣은 공기가 내부의 증기와 함께 본체부(110) 타측의 증기배출구(130)를 통해 원활하게 배출될 수 있도록 유도해줌에 따라, 뚜껑(100)을 열지 않은 상태로 컵(1)에 수납된 뜨거운 음료을 용이하게 식힐 수 있다.
또한 음용부(120)의 상부 끝단부에 음용구(123)를 위치시켜줌으로써 음용 시 음료의 노출이 최소화되어 위생적이며, 이동 시 음용이 가능하다.
또한 음용구(123)가 입술에 닿는 부분과 가깝게 형성됨에 따라 음료의 잔량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 : 컵 1a : 수납공간
100 : 뚜껑 110 : 본체부
111 : 결합홈 120 : 음용부
121 : 제1면 122 : 제2면
123 : 음용구 130 : 증기배출구
140 : 가이드홈부 141 : 공기이동통로
S : 배출유도공간

Claims (7)

  1. 음료 수납공간(1a)이 마련된 컵(1)의 상측 개구를 덮어주는 본체부(110);
    상기 본체부(110)의 일측에 음료의 식힘 및 배출유도공간(S)이 구비되도록 상측으로 돌출 형성되며, 음용구(123)가 구비되는 음용부(120);
    상기 본체부(110)의 타측에 구비되며 상기 음용구(123)를 통해 수납공간(1a) 내부로 불어넣은 공기가 증기와 함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증기배출구(130); 및
    상기 본체부(110)의 중심에 구비되며 상기 수납공간(1a)측으로 돌출되어 음용구(123)를 통해 유입된 공기가 증기 배출구(130) 측으로 유도 배출될 수 있도록 공기이동통로(141)를 형성해주는 가이드홈부(140);를 포함하는 컵 뚜껑.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홈부(140)는,
    측 단면이 'U' 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본체부(110)의 내측 테두리에 상기 공기이동통로(141)를 마련해주는 것인 컵 뚜껑.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음용부(120)는,
    음용자의 아랫입술이 맞닿는 제1면(121); 및
    윗입술이 맞닿을 수 있도록 상기 제1면(121)의 반대쪽에 배치되며, 상기 음용구(123)가 형성되는 제2면(122);을 포함하는 컵 뚜껑.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면(122)은,
    상기 배출유도공간(S)의 내부 폭이 점차 좁아지도록 경사면으로 형성되는 것인 컵 뚜껑.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음용구(123)는,
    상기 제2면(122)의 끝단부에 형성되는 것인 컵 뚜껑.
KR1020180116277A 2018-09-28 2018-09-28 뜨거운 음료의 음용이 용이한 컵 뚜껑 KR1021102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6277A KR102110236B1 (ko) 2018-09-28 2018-09-28 뜨거운 음료의 음용이 용이한 컵 뚜껑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6277A KR102110236B1 (ko) 2018-09-28 2018-09-28 뜨거운 음료의 음용이 용이한 컵 뚜껑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36524A KR20200036524A (ko) 2020-04-07
KR102110236B1 true KR102110236B1 (ko) 2020-05-13

Family

ID=702912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16277A KR102110236B1 (ko) 2018-09-28 2018-09-28 뜨거운 음료의 음용이 용이한 컵 뚜껑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10236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70253398A1 (en) * 2014-03-25 2017-09-07 Akiva Shapiro Airflow cooling lid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00476U (ko) * 2007-07-12 2009-01-15 박금덕 컵 뚜껑
JP6240150B2 (ja) * 2012-03-23 2017-11-29 ダグラス・エイチ・フレミング 飲み物容器用の蓋および蒸気案内バッフル
KR20170004189U (ko) * 2016-06-06 2017-12-14 강영진 증기공컵뚜껑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70253398A1 (en) * 2014-03-25 2017-09-07 Akiva Shapiro Airflow cooling li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36524A (ko) 2020-04-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50014322A1 (en) Cup lid and portable protection case therefor
US5845807A (en) Drinking cup with pouring spout
WO2010071790A1 (en) One-piece splash and spill resistant lid
JP2006520722A (ja) 飲食用容器
KR102110236B1 (ko) 뜨거운 음료의 음용이 용이한 컵 뚜껑
KR20170095476A (ko) 음료의 출렁임 방지를 위한 컵 뚜껑
CN210708650U (zh) 饮料杯用杯盖
US3184134A (en) Container with straw
KR200492195Y1 (ko) 컵 커버
US20200071036A1 (en) Beverage container lid having an elongated opening, including a flexible portion, for liquids
JP5128301B2 (ja) オーバーキャップ付き容器
NL2001641C2 (nl) Inrichting en werkwijze voor het koelen van in een houder geplaatste dranken.
JP2017088234A (ja) コップふた
KR200493052Y1 (ko) 컵 뚜껑
JP2547580Y2 (ja) 飲料缶用飲口具
KR102108267B1 (ko) 용기 마개장치
JP4780861B2 (ja) ストロー
KR102043903B1 (ko) 토출구가 형성된 음료용기 뚜껑
US20220095838A1 (en) Tea Drinking Vacuum Flask with Tea-Making Function
TW202206348A (zh) 可緩衝外溢之杯蓋結構(二)
KR101042991B1 (ko) 음료용 캔을 위한 보조 음용기구
KR20200126254A (ko) 병마개
KR970000604Y1 (ko) 캔 또는 팩에 설치한 출몰식 빨대
KR20210130913A (ko) 음료 토출 구조를 구비한 음료 용기
KR20230001271U (ko) 일회용 음료용 컵 뚜껑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