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42991B1 - 음료용 캔을 위한 보조 음용기구 - Google Patents

음료용 캔을 위한 보조 음용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42991B1
KR101042991B1 KR1020100077643A KR20100077643A KR101042991B1 KR 101042991 B1 KR101042991 B1 KR 101042991B1 KR 1020100077643 A KR1020100077643 A KR 1020100077643A KR 20100077643 A KR20100077643 A KR 20100077643A KR 101042991 B1 KR101042991 B1 KR 1010429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verage
wall portion
discharge port
unit
dri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776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병기
Original Assignee
오병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병기 filed Critical 오병기
Priority to KR10201000776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4299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429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429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17/00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piercing or tearing of wall portions, e.g. preserving cans or tins
    • B65D2517/0001Details
    • B65D2517/0047Provided with additional elements other than for closing the opening
    • B65D2517/0049Straws, spouts, funnels, or other devices facilitating pouring or empty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17/00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piercing or tearing of wall portions, e.g. preserving cans or tins
    • B65D2517/0001Details
    • B65D2517/0098Means for preventing dust contacting pouring opening, e.g. a cover over the tear panel

Landscapes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음료용 캔을 위한 보조 음용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토출구가 형성된 캔의 상단에 사용자의 입이 직접 닿지 않아도 되며, 이미 토출된 음료가 캔의 가장 외곽 부분의 먼지나 이물질이 있어도 잘 닦기가 힘든 패인 부분에 흘러가지 못하도록 차단되어 위생적으로 좋을 뿐만 아니라 선단이 날카로운 토출구의 둘레면으로 인해 입가에 상처를 입는 것을 저지할 수 있으며, 또한 음용 시 토출구의 방향을 잘 맞추지 않거나 급하게 음료를 마시는 경우라도 요동치는 음료로 인해 음료를 흘리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이미 토출된 음료가 일정 구간 흐를 수 있는 부분이 있어 소비자가 음료를 음용할 시에 편하게 음료를 마실 수 있는 음료용 캔을 위한 보조 음용기구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개폐노브에 의해 개폐되는 토출구가 형성되며, 상면 가장자리에는 둘레를 따라 홈부가 형성된 음료용 캔에 탈착되는 음료용 캔을 위한 음용 보조 기구에 있어서,음료용 캔의 상단 외면을 따라 형성된 외벽부;상기 외벽부의 상단부로부터 음료용 캔의 상면을 향해 절곡되며, 토출구로부터 토출되는 음료를 가이드 하는 내벽부;상기 내벽부의 하단부로부터 토출구를 향해 절곡되어 음료용 캔의 상면에 밀착되며, 토출구로부터 토출된 음료가 홈부로 흘러들어가는 것을 방지하는 차단막부;상기 외벽부의 하단부로부터 외측을 향해 절곡된 스커트부;상기 스커트부의 내면으로부터 음료용 캔의 상단 외면에 형성된 홈을 향해 돌출되며, 상기 홈에 걸려 결합된 돌기부;상기 외벽부와 내벽부 중, 토출공이 형성된 반대측에 형성되며, 개폐노브의 파지를 위해 외벽부와 내벽부의 높이에 비해 낮게 형성된 손가락 통로부;상기 스커트부 중, 손가락 통로부에 대응된 부위에는, 상방으로 더 절곡되어 음료용 캔의 외면과 공간을 형성하는 손가락 걸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음료용 캔을 위한 음용 보조 기구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음료용 캔을 위한 보조 음용기구{Drinking device for can}
본 발명은, 음료용 캔을 위한 보조 음용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토출구가 형성된 캔의 상단에 사용자의 입이 직접 닿지 않아도 되며, 이미 토출된 음료가 캔의 가장 외곽 부분의 먼지나 이물질이 있어도 잘 닦기가 힘든 패인부분에 흘러가지 못하도록 차단되어 위생적으로 좋을 뿐만 아니라 선단이 날카로운 토출구의 둘레면으로 인해 입가에 상처를 입는 것을 저지할 수 있으며, 또한 음료의 음용 시 토출구의 방향을 잘 맞추지 않거나 급하게 음료를 마시는 경우라도 요동치는 음료로 인해 음료를 흘리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이미 토출된 음료가 흐를수 있는 부분이 있어 소비자가 음료를 음용할 시에 편하게 음료를 마실수 있는 음료용 캔을 위한 보조 음용기구에 관한 것이다.
음료용 캔은 유리나 종이에 비해 취급과 보관, 그리고 사용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강성이 높기 때문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근자에 들어서는 비단 탄산음료 외에도 각종 과일음료를 비롯하여 알코올음료 등에도 음료용 캔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음료용 캔은 보통 내부식성이 우수한 금속 재질, 예컨대 알루미늄과 같은 금속 재질로 제작되며, 그 상단에는 캔의 내부에 충전된 음료가 토출되는 토출구를 개폐하는 개폐노브가 구비되어 있다.
이에, 사용자는 개폐노브를 상측으로 제쳐 올려 토출구를 개방한 후에, 캔의 내부에 충전된 음료를 음용 할 수 있다.
그런데, 판매자가 음료용 캔의 외부를 세척하거나 잘 관리하지 않는다면 사용자의 입이 닿는 캔의 상단 부분에는 먼지나 이물질이 존재할 수밖에 없는데, 만약 먼지나 이물질이 그대로 존재하고 있는 상태에서 단순하게 입을 토출구에 대고 음료를 마시면, 음료와 더불어 이물질이 함께 음용 되기 때문에 위생상 좋지 못하다.
뿐만 아니라 일반적인 음료용 캔에 형성된 토출구는 실질적으로 좁은 구멍(hole)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항시 토출구의 방향을 잘 맞추어 음용을 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으며, 또한 토출구를 통해 음료가 토출 되는 과정에서 음료가 요동칠 우려가 높기 때문에 음용 중에 음료를 흘리는 단점이 발생될 수 있다. 이러한 현상은 특히 어린 아이나 노인들이 캔을 이용하여 음료를 음용 할 때 많이 발생될 수 있다.
더욱이, 금속 재질로 형성되는 캔에서 개폐노브가 개방되면서 형성되는 토출구의 둘레면은 실질적으로 날카로운 선단을 이루기 때문에 음료를 음용 하는 과정에서 혀나 입술이 캔에서 토출구의 둘레 면에 닿아 상처를 입을 수도 있는 단점이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현재 시중에서 구입할 수 있는 캔음료는 소비자가 음료를 음용할 때 여러 가지 불편한 점이 있다.
첫번째로 캔음료의 용기는 유통업자나 판매자가 잘 관리하지 않으면 캔용기의 상단에 이물질이 존재할 수밖에 없으며, 특히 캔용기의 상단 외곽부분의 움푹 페인 부분은 특히 많은 먼지와 같은 이물질이 있으며 소비자가 음용 전 이물질을 제거 하려 하지만 깊이 파인 부분이기 때문에 제거가 어렵기 때문에 소비자는 그냥 토출구가 형성된 캔용기의 상단 부분에 직접 입을 대고 마시기 때문에 위생상 좋지 못하며, 소비자가 불쾌한 느낌을 받을 수 있다
두번째로 일반적인 캔음료의 용기는 토출구가 작기 때문에 토출구를 통해 나온 음료는 요동을 치면서 소비자가 음용 시 보통의 컵으로 편하게 음료를 마시는 것과는 달리 불편함을 느낄 수 있으며, 탄산음료가 캔용기 안에 있을 경우는 캔의 토출구를 열었을 때 갑자기 토출구를 통해서 흘러나오는 경우 소비자는 별다른 대처 방법이 없다.
세번째로 일반적인 캔의 용기는 개폐노브를 개방하면서 형성되는 토출구의 둘래면은 날카로운 선단을 이루기 때문에 음료를 음용하는 과정에서 혀나 입술에 상처가 생길 가능성이 있다 특히 어린이들이 음료를 음용하는 과정에서 토출구에 혀를 밀어 넣은 것을 종종 볼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위와 같은 불편 사항에 도움을 주는 발명이 되고저 한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토출되는 음료가 흘러내리지 않도록 입안으로 가이드 하며, 음료용 캔의 상면에 형성된 홈부에 음료가 흘러들어가지 않도록 하여 위생적인 음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음료용 캔을 위한 음용 보조 기구를 제공하고자 한 것이다.
이를 위해, 개폐노브에 의해 개폐되는 토출구가 형성되며, 상면 가장자리에는 둘레를 따라 홈부가 형성된 음료용 캔에 탈착되는 음료용 캔을 위한 음용 보조 기구에 있어서,음료용 캔의 상단 외면을 따라 형성된 외벽부;상기 외벽부의 상단부로부터 음료용 캔의 상면을 향해 절곡되며, 토출구로부터 토출되는 음료를 가이드 하는 내벽부;상기 내벽부의 하단부로부터 토출구를 향해 절곡되어 음료용 캔의 상면에 밀착되며, 토출구로부터 토출된 음료가 홈부로 흘러들어가는 것을 방지하는 차단막부;상기 외벽부의 하단부로부터 외측을 향해 절곡된 스커트부;상기 스커트부의 내면으로부터 음료용 캔의 상단 외면에 형성된 홈을 향해 돌출되며, 상기 홈에 걸려 결합된 돌기부;상기 외벽부와 내벽부 중, 토출공이 형성된 반대측에 형성되며, 개폐노브의 파지를 위해 외벽부와 내벽부의 높이에 비해 낮게 형성된 손가락 통로부;상기 스커트부 중, 손가락 통로부에 대응된 부위에는, 상방으로 더 절곡되어 음료용 캔의 외면과 공간을 형성하는 손가락 걸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음료용 캔을 위한 음용 보조 기구를 제공한다.
이때, 상기 내벽부와 외벽부를 가로로 연결하는 칸막이가 더 형성되어 액체(냉매)를 채울 수 있는 컨테이너부를 형성한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음료용 캔을 위한 음용 보조 기구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토출구가 형성된 캔의 상단에 사용자의 입이 직접 닿지 않아도 되며, 이미 토출된 음료는 캔의 가장자리에 형성된 홈부에 흘러들어가는 일이 발생하지 않기 때문에, 음용이 위생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둘째, 외벽부 및 내벽부가 사용자의 입을 토출구로부터 일정 간격 이격시키기 때문에, 사용자의 입 주변 및 혀가 날카로운 토출구의 둘레면에 쉽게 접촉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유아 및 어린이의 경우, 부주의로 인한 토출구와의 접촉으로 인해, 상기 토출구의 예리한 둘레에 입이나 혀가 접촉되어 상처 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셋째, 음료용 캔의 상면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된 격벽 형태의 외벽부 및 내벽부로 인해, 음료에 대한 음용시 내용물이 외부로 흘러내리는 것이 방지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넷째, 내벽부 및 외벽부의 형성으로 인해, 사용감이 극대화 되는 효과가 있다.
즉, 캔 음료를 마실 때, 컵에 따라 마시는 듯한 사용감을 갖게 하여, 캔 음료 접촉에 따른 금속 재질의 선입감을 없앰으로써, 사용자의 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음료용 캔을 위한 음용 보조 기구의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음료용 캔을 위한 음용 보조 기구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음료용 캔을 위한 음용 보조 기구의 돌기부를 나타낸 횡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음료용 캔을 위한 음용 보조 기구의 손가락 걸이부를 단면도
도 5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음료용 캔을 위한 음용 보조 기구를 나타낸 단면도.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실시예들의 설명 중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도록 한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료용 캔을 위한 보조 음용기구(이하, '보조 음용기구'라 함)는 음료용 캔에 결합되어 사용되는 기구이다.
자세하게 말해, 음료용 캔의 토출구(가)에 직접 입을 대고 캔의 내부에 충전된 음료를 마시는 일반적인 방법 대신에, 본 실시예와 같은 보조 음용기구를 캔의 상단 영역에 결합시킨 후에, 보조 음용기구의 외벽부(a)에 입을 대고 음료를 음용 하는 것이다.
이러한 보조 음용기구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비자가 입을 대고 용이 하게 마실 수 있도록 도와주는 외벽부, 이미 토출된 음료가 요동치지 않고 안내되면서 소비자의 입까지 흐를 수 있는 구간을 형성한 하는 내벽부, 이미 토출된 음료가 캔의 외각 부분까지 흐르지 못하게 막을 수 있는 차단막부, 외벽부의 하단부에는 캔용기와 결합이 안전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스커트부, 스커트부 내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음료용 캔의 상단 외면에 형성된 홈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돌기부와 본 발명물을 캔의 상단에 결합 후 소비자가 쉽게 캔의 개폐노브를 열수 있도록 외벽부와 내벽부 일부분이 제거된 부분인 손가락 통로부로 구성된다.
외벽부(a)에 대해 먼저 설명하면, 내벽부(b)와 함께 사용자의 입이 접촉되는 부위로서, 캔 음료의 상면 둘레를 따라 형성된다.
외벽부(a)는 내벽부(b)와 함께 물이나 음료를 담아 마시는 통상의 컵 형태를 갖는다. 결국, 사용자는 이러한 외벽부(a)의 상단에 입을 대고 캔 내의 음료를 음용하게 된다. 따라서 외벽부(a)의 노출단은 라운딩처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외벽부(a)의 형태는 한정되지 않으며, 캔 음료의 형태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내벽부(b)는 캔의 토출구(가)를 통해 나온 음료가 일정구간 안정적으로 흐를 수 있는 구간을 가지고 있어 소비자가 캔의 음료를 음용시 음료가 캔의 토출구(가)를 통해 요동치면서 흘러나온다 하더라도 내벽부(b)의 내면을 따라 서서히 일정하게 안내되기 때문에 음용하는 데에 전혀 불편함이 없으며 음료를 흘릴 우려가 없다.
또한 음료의 음용 시 캔의 토출구(가)의 방향을 잘 맞추지 않거나 급하게 음료를 마시는 경우라도 요동치는 음료로 인해 음료를 흘리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내벽부(b)는 외벽부(a)의 상단부로부터 캔 음료의 상면을 향해 절곡되어 형성된다.
이에 따라,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벽부(a)와 내벽부(b) 사이에는 소정의 공간이 형성된다.
스커트부(c)는 본 발명물을 캔의 상단에 결합할 때 자연스럽게 결합되도록 도와 주는 역할과, 본 발명물이 캔에 장착된 이후에도 충격으로부터 이탈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스커트부(c)는 외벽부(a)의 하단부로부터 외측으로 절곡되어 형성된다.
이때, 스커트부(c)는 외벽부(a)로부터 경사지게 절곡됨이 바람직하다.
손가락 통로부(d)는 본 발명물을 캔에 장착후 손가락이 지나가서 캔의 개폐노브(나)를 제쳐 올리기 위한 구성물이다.
실제로 캔의 개폐노브 끝단(나-1)에서 캔의 외곽까지의 거리는 겨우 손가락 끝만을 넣어서 개폐노브(나)를 들어올릴 수 있다. 이에 본 발명물을 장착하면 개폐노브(나)를 들어올리기 위한 공간이 더욱 더 협소해져서 손가락을 넣어서 캔의 개폐노브(나)를 제쳐 올릴 수가 없다. 그러므로 본 발명물에서는 외벽부(a)와 내벽부(b) 중, 개폐노브(나)에 대응된 부위의 일부분을 제거함으로써, 캔의 개폐노브(나)를 제쳐 올리기 위하여 손가락을 들어가게 하거나 혹은 지나가게 하는 통로 역할을 하기 위한 공간이 확보될 수 있게 된다.
차단막부(e)는 내벽부(b) 하단으로부터 토출구를 향해 절곡되어 형성되며, 음료용 캔의 상면에 밀착된다.
차단막부(e)는, 내벽부(b)로부터 하단으로 갈수록 내벽부(b)에 비해 얇아져서, 음용기구(a~f)가 캔에 결합될 때, 캔의 상단 외면에 형성된 홈에 내벽부(b)안쪽의 돌기부(f)가 끼워지면서 발생하는 힘으로 캔 용기의 상면에 밀착시킬 수 있다.
차단막부(e)는, 이미 토출구(가)를 통해 흘러나온 음료가 캔의 상면 가장자리에 형성된 홈부(다)에 흘러 들어가는 것을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
이에 따라, 음료에 대한 음용이 위생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여기에서 음용기구(a~f)를 이루는 재질은 딱딱한 경질이 아닌 연질의 재료를 사용하여 만드는 것이 유리할 것이다.
돌기부(f)는 캔의 상단 외면에 형성된 홈에 착탈 가능하게 하는 구성이다.
이때, 캔의 상단 외면에 형성된 홈이라 함은, 캔의 상단 외주면을 형성하는 두께로 인해 상기 외주면의 저면에 형성된 단차진 부위를 말한다.
본 발명물의 돌기부(d)가 캔의 상단 외면에 형성된 홈에 걸려 결합됨으로써, 보조 음용기구(a~f)는 음료용 캔에 쉽게 탈 부착될 수 있다.
한편, 돌기부(f)는 소비자가 손쉽게 착탈이 가능하도록 스커트부의 내면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된다.
이때, 돌기부(f)는 스커트부(c)의 내면 둘레를 따라 형성될 수도 있지만,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커트부(c) 내면 중, 일정 구간에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손가락 걸이부(g)는 소비자가 본 발명물을 캔의 상단에서 분리 시 손가락을 걸어서 분리가 쉽도록 도와주는 부위로서, 상기 스커트부(c)의 일정 부분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방으로 절곡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즉, 손가락 걸이부(g)는 캔으로부터 보조 음용기구에 대한 분리를 용이하게 한 것으로서, 캔의 외면과 스커트부(c)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도록 하여 소비자의 스커트부(c) 파지에 대한 효과를 높인 것이다.
삭제
한편, 컨테이너부(h)는 외벽부(a)와 내벽부(b) 사이에 액체를 수용할 수 있는 공간부로서, 내벽부(b)와 외벽부(a) 사이에 상,하 부분을 구획함으로써 형성된다.
이를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 제시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벽부(b)와 외벽부(a) 사이에 칸막이(i)를 더 형성함으로써, 컨테이너부(h)가 형성되며, 상기 컨테이너부(h)에는 냉매(예컨대 물을 수용시킨 후 냉각)가 수용됨으로써 여름철 음료에 대한 음용시 소비자의 만족도를 더욱 높일 수 있다.
이하, 상기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보조 음용기구의 결합 및 작용에 대해서 설명하도록 한다.
보조 음용기구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캔의 상단에 결합시킨다.
이때, 보조 음용기구(a~f)에 형성된 돌기부(f)는 캔의 상단 외면에 형성된 홈에 걸려 끼움 결합되며, 차단막부(e)는 캔의 상면에 밀착되어 캔의 상면에 형성된 홈부(다)를 차폐시킨다.
특히, 본 실시예와 같이 음료용 캔에 보조 음용기구(a~f)를 결합시켜 사용하는 경우, 평상시 컵을 이용하여 물을 마시는 듯한 느낌을 부여받을 수 있기 때문에 더욱 편리한 것이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르면, 토출구(가)가 형성된 캔의 상단에 사용자의 입이 직접 닿지 않아도 되며, 이미 토출된 음료가 캔의 외곽부분의 오염물질이 잘 닦이지 않는 홈부(다)에 흘러가지 않기 대문에, 음료를 위생적으로 음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선단이 날카로운 토출구(가)의 둘레면으로 인해 입가에 상처를 입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음료의 음용 시 토출구의 방향을 잘 맞추지 않거나 급하게 음료를 마시는 경우라도 요동치는 음료로 인해 음료를 흘리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a : 외벽부
b : 내벽부
c : 스커트부
d: 손가락 통로부
e: 차단막부
f : 돌기부
g : 손가락 걸이부
h : 컨테이너부
i : 칸막이

Claims (3)

  1. 개폐노브에 의해 개폐되는 토출구가 형성되며, 상면 가장자리에는 둘레를 따라 홈부가 형성된 음료용 캔에 탈착되는 음료용 캔을 위한 음용 보조 기구에 있어서,
    음료용 캔의 상단 외면을 따라 형성된 외벽부;
    상기 외벽부의 상단부로부터 음료용 캔의 상면을 향해 절곡되며, 토출구로부터 토출되는 음료를 가이드 하는 내벽부;
    상기 내벽부의 하단부로부터 토출구를 향해 절곡되어 음료용 캔의 상면에 밀착되며, 토출구로부터 토출된 음료가 홈부로 흘러들어가는 것을 방지하는 차단막부;
    상기 외벽부의 하단부로부터 외측을 향해 절곡된 스커트부;
    상기 스커트부의 내면으로부터 음료용 캔의 상단 외면에 형성된 홈을 향해 돌출되며, 상기 홈에 걸려 결합된 돌기부;
    상기 외벽부와 내벽부 중, 토출공이 형성된 반대측에 형성되며, 개폐노브의 파지를 위해 외벽부와 내벽부의 높이에 비해 낮게 형성된 손가락 통로부;
    상기 스커트부 중, 손가락 통로부에 대응된 부위에는, 상방으로 더 절곡되어 음료용 캔의 외면과 공간을 형성하는 손가락 걸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음료용 캔을 위한 음용 보조 기구.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벽부와 외벽부를 가로로 연결하는 칸막이가 더 형성되어 액체(냉매)를 채울 수 있는 컨테이너부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용 캔을 위한 음용 보조 기구.
KR1020100077643A 2010-08-12 2010-08-12 음료용 캔을 위한 보조 음용기구 KR1010429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7643A KR101042991B1 (ko) 2010-08-12 2010-08-12 음료용 캔을 위한 보조 음용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7643A KR101042991B1 (ko) 2010-08-12 2010-08-12 음료용 캔을 위한 보조 음용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42991B1 true KR101042991B1 (ko) 2011-06-21

Family

ID=444058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77643A KR101042991B1 (ko) 2010-08-12 2010-08-12 음료용 캔을 위한 보조 음용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42991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113066U (ko) 1976-02-20 1977-08-27
JP2000006983A (ja) 1998-06-25 2000-01-11 Tatsuo Natsume 缶入り飲料用飲み口具
US6637616B2 (en) 1977-10-18 2003-10-28 Gilberto De Castro Couto Nozzle for beverage can
US20070017769A1 (en) * 2005-07-22 2007-01-25 Gregory Mordukhovich Wet clutch friction plate and method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113066U (ko) 1976-02-20 1977-08-27
US6637616B2 (en) 1977-10-18 2003-10-28 Gilberto De Castro Couto Nozzle for beverage can
JP2000006983A (ja) 1998-06-25 2000-01-11 Tatsuo Natsume 缶入り飲料用飲み口具
US20070017769A1 (en) * 2005-07-22 2007-01-25 Gregory Mordukhovich Wet clutch friction plate and method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60705B1 (ko) 컵 뚜껑 및 그 휴대용 보호 케이스
US6073797A (en) Sanitary lid for a beverage can that forms a seal with an aperture of the can
US20150201777A1 (en) Cup lid and portable protection case therefor
US20090050641A1 (en) Cup lid with an anti-splash ergonomic shape
JP2016501164A (ja) 取外し可能な計量キャップを有する容器
US20150196149A1 (en) Container lid and damming insert constructions
US20180334296A1 (en) Dispensing container with interior access
KR101042991B1 (ko) 음료용 캔을 위한 보조 음용기구
KR101895537B1 (ko) 일회용 컵이 부설된 음료용기
KR102340462B1 (ko) 착탈식 음용 보조구
KR20090010799U (ko) 음료용 캔을 위한 보조 음용기구
WO2015005874A1 (en) Cap attachment for drinking from cans
KR200488128Y1 (ko) 음료컵용 컵 뚜껑
KR101051102B1 (ko) 용기뚜껑
KR20140092183A (ko) 음료수 컵 커버
JPH03256861A (ja) 飲料用容器
JP2001328661A (ja) 飲物用カップの蓋
JP2017088234A (ja) コップふた
KR101750523B1 (ko) 컵 음용 보조구
JP2005014911A (ja) コップ付き飲料液用プラスチックボトルとコップ
KR200468884Y1 (ko) 흘림방지용 받침대가 구비된 음료수 병
KR960003632Y1 (ko) 원뿔형 토출구가 내장된 음료수 캔
KR200182130Y1 (ko) 빨대가 구비된 캔
KR100289004B1 (ko) 마시기 쉽고 오염이 적은 음료수용 캔
RU32088U1 (ru) Средство для питья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0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9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