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50523B1 - 컵 음용 보조구 - Google Patents
컵 음용 보조구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750523B1 KR101750523B1 KR1020160016382A KR20160016382A KR101750523B1 KR 101750523 B1 KR101750523 B1 KR 101750523B1 KR 1020160016382 A KR1020160016382 A KR 1020160016382A KR 20160016382 A KR20160016382 A KR 20160016382A KR 101750523 B1 KR101750523 B1 KR 10175052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up
- beverage
- support groove
- discharge hole
- drinking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20—External fitting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9/00—Table service
- A47G19/22—Drinking vessels or saucers used for table service
- A47G19/2205—Drinking glasses or vessels
- A47G19/2211—Lip- or moustache-protecting devices for drinking glasses; Strainers set in a movable or fixed manner in the glasses
- A47G19/2216—Sanitary lip guards mounted on the rim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06—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7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85/7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edible or potable liquids, semiliquids, or plastic or pasty materi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able Devices Or Equipment (AREA)
Abstract
1. 기술분야
본 발명은 컵 음용 보조구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컵의 입구에 간편하게 탈장착되는 음용 보조기구, 더욱 상세하게는 입술을 컵에 직접 접촉시키지 않은 상태에서도 컵에 담겨진 음료가 넘쳐 외부로 넘쳐 흐르지 않도록 하면서 컵에 담겨진 음료를 안정적으로 음용할 수 있도록 제공하는 컵 음용 보조구에 관한 것이다.
2. 구성 및 효과
본 발명은 컵의 개구부에 간편하게 탈장착되어 사용이 가능함에 따라 현재 사용중이거나 시판중인 다양한 재질 및 형상을 갖는 다양한 컵에 범용적으로 적용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입술을 컵에 직접 접촉시키지 않은 상태에서도 컵에 담겨진 음료가 외부로 유출되지 않도록 하면서 안정적으로 음용할 수 있도록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컵 음용 보조구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컵의 입구에 간편하게 탈장착되는 음용 보조기구, 더욱 상세하게는 입술을 컵에 직접 접촉시키지 않은 상태에서도 컵에 담겨진 음료가 넘쳐 외부로 넘쳐 흐르지 않도록 하면서 컵에 담겨진 음료를 안정적으로 음용할 수 있도록 제공하는 컵 음용 보조구에 관한 것이다.
2. 구성 및 효과
본 발명은 컵의 개구부에 간편하게 탈장착되어 사용이 가능함에 따라 현재 사용중이거나 시판중인 다양한 재질 및 형상을 갖는 다양한 컵에 범용적으로 적용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입술을 컵에 직접 접촉시키지 않은 상태에서도 컵에 담겨진 음료가 외부로 유출되지 않도록 하면서 안정적으로 음용할 수 있도록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컵 음용 보조구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컵의 입구에 간편하게 탈장착되는 음용 보조기구, 더욱 상세하게는 입술을 컵에 직접 접촉시키지 않은 상태에서도 컵에 담겨진 음료가 넘쳐 외부로 넘쳐 흐르지 않도록 하면서 컵에 담겨진 음료를 안정적으로 음용할 수 있도록 제공하는 컵 음용 보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컵은 물이나 음료 등과 같이 음용이 가능한 액체(이하, 음료라 통칭함)를 쉽게 따라 마시기 위한 용기로서, 그 사용 용도에 따라 종이, 플라스틱, 금속 또는 유리 등의 재질로 제작되어 지고, 그 크기나 모양도 각기 다르게 형성된다.
이러한 컵은 보편적으로 음료를 마실 때, 컵에 담겨진 음료가 넘쳐 흐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컵 상단부의 가장자리에 입술을 직접 대고 밀착시켜 음용을 하기 때문에 각종 세균 또는 음료의 이물질이 컵의 상단부에 남아 있어 비위생적이었다.
이에 따라 한번 사용한 컵은 바로 세척(설거지)해야 하기 때문에 컵의 사용 편리성에 비해 그 효율성은 높지 않은 것이 현실이었다. 더욱이 컵을 한번 사용할 때마다 세척하는 경우 환경오염뿐만 아니라 물 낭비 등의 문제가 초래될 수밖에 없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대한민국 등록특허 10-0947477호(등록일: 2010. 03. 08.), 대한민국 실용신안공개 20-2014-0002565(공개일: 2015. 05. 07.) 등에서는 입술을 직접 접촉시키지 않은 상태에서도 음용할 수 있는 컵이 제안된 바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10-0947477호에서는 상단에 음료가 배출되는 배출부가 구비되는 몸체와, 상기 배출부에 근접한 상기 몸체의 상부 소정위치에서 상기 배출부가 상기 음용자의 입과 이격된 채로 상기 음료가 배출되도록 상기 음용자의 아랫 입술 하측으로부터 턱까지의 일측 부분에 접촉지지되는 걸림턱을 구비한 음료용기를 제안하였다.
이러한 대한민국 등록특허 10-0947477호에서는 걸림턱을 포함하는 음료 용기의 걸림턱이 음용자의 아랫입술 하측으로부터 턱까지의 일측 부분에 지지되는 구조로서, 이러한 구조에서는 음용자의 입술이 직접 음료 용기의 입구에 직접 접촉되지는 않지만, 단순히 걸림턱을 턱에 지지하는 형태로 기존의 컵에서 문제가 되었던 음용하는 과정에서 음료가 입술의 가장자리로 흘러내리는 문제가 여전히 발생될 수 밖에 없었다.
대한민국 실용신안공개 20-2014-0002565호에서는 상부가 개방되고 하부는 밀폐되어 음료를 수용하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외주면에 형성된 파지홈을 포함하되, 상기 파지홈은 사람의 엄지 손가락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파지홈에 엄지 손가락을 넣고 엄지 손가락 마디와 손등 사이 부분을 입술 아래의 턱부분에 지지한 채로 입술을 대지 않고 음료를 음용할 수 있도록 하는 음용이 가능한 컵을 제안하였다.
이러한 대한민국 실용신안공개 20-2014-0002565호에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10-0947477호의 걸림턱 대신에 파지홈을 형성하고, 상기 파지홈에 엄지 손가락을 안착시킨 후 엄지 손가락을 턱에 지지한 채로 음료를 마실 수 있도록 하는 구조로서, 이러한 구조 또한 대한민국 등록특허 10-0947477호의 걸림턱과 마찬가지로 입술이 직접 컵에 접촉되지 않아 위생적일 수는 있으나, 기존의 컵에서 문제가 되었던 음용하는 과정에서 음료가 입술의 가장자리로 흘러내리는 문제가 발생될 수밖에 없었다.
더욱이 대한민국 등록특허 10-0947477호는 음료 용기에 일체로 걸림턱을 형성하고, 대한민국 실용신안공개 20-2014-0002565호 또한 컵에 파지홈을 일체로 형성하는 구조로 이루어짐에 따라 현재 사용중이거나 시판중인 다양한 컵에는 범용적으로 적용할 수 없는 한계가 있었다. 또한 종이컵과 같이 비교적 약한 재질의 컵에는 적용할 수 없는 등, 컵의 재질에 따라 적용성에 많은 제약이 따를 수밖에 없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현재 사용중이거나 시판중인 다양한 재질 및 형상을 갖는 다양한 컵에 범용적으로 적용이 가능하고, 컵의 입구에 간편하게 탈장착되어 입술을 컵에 직접 접촉시키지 않은 상태에서도 컵에 담겨진 음료가 외부로 유출되지 않도록 하면서 컵에 담겨진 음료를 안정적으로 음용할 수 있도록 제공하는 컵 음용 보조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일 측면에 따른 본 발명은 개구부를 구비한 컵에 탈장착되고, 일측면에는 음용자의 엄지 손가락이 지지되는 지지홈이 마련되어 있고, 상기 지지홈의 상부에는 상기 지지홈에 안착된 엄지 손가락이 상기 지지홈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경계턱이 마련되어 있는 본체; 상기 본체의 상부에 결합되고, 상기 지지홈이 형성된 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컵의 개구부와 연통하여 상기 컵에 담겨진 음료가 배출되는 배출공이 형성된 커버; 및 상기 배출공과 상기 지지홈 사이에 상기 커버로부터 상부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배출공으로부터 배출된 음료가 음용자의 입속으로 유입되도록 안내하는 음료 안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 음용 보조구를 제공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음료 안내부는 상기 배출공과 상기 지지홈 사이에 상기 커버로부터 상부로 돌출 형성된 음료 유도편; 및 상기 배출공을 감싸도록 상기 음료 유도편의 양측부로부터 각각 연장되어 상기 음료 유도편의 외측으로 음료가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제1 및 제2 유출 방지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음료 유도편은 상기 배출공을 통해 배출되는 음료가 상기 음료 유도편을 통해 넘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종단부에서 내측으로 갈수록 3 내지 5°각도로 하향 경사지게 배치된 역경사 구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1 및 제2 유출 방지편은 각각 상기 배출공을 통해 배출되는 음료가 상기 제1 및 제2 유출 방지편을 통해 넘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종단부에서 내측으로 갈수록 3 내지 5°각도로 하향 경사지게 배치된 역경사 구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음료 유도편은 표면장력에 의해 음료가 상기 음료 유도편의 종단부에서 맺히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종단부로 갈수록 두께가 얇아진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음료 유도편의 종단부와 상기 경계턱 간의 간격은 10mm 내지 14mm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본체는 탄성재질로 이루어지고, 내측면에는 복수 개의 엠보싱 돌기가 형성되고, 외측면에는 미끄럼 방지 부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들을 제공할 수 있다.
첫째, 본 발명에 따르면, 컵의 개구부에 간편하게 탈장착되어 사용이 가능함에 따라 현재 사용중이거나 시판중인 다양한 재질 및 형상을 갖는 다양한 컵에 범용적으로 적용이 가능하면서, 입술을 컵에 직접 접촉시키지 않은 상태에서도 컵에 담겨진 음료가 외부로 유출되지 않도록 하면서 안정적으로 음용할 수 있도록 제공할 수 있다.
둘째, 본 발명에 따르면, 컵의 개구부에 간편하게 탈장착되는 본체를 뚜껑 타입(컵의 외측면을 둘러싸는 형태) 또는 밴드 타입(본체의 후방측이 아래방향으로 오목하게 절곡된 형태)으로 형성함으로써 비교적 세척이 어려운 내측면까지 용이하게 세척할 수 있다.
셋째, 본 발명에 따르면, 컵의 개구부에 간편하게 탈장착되는 본체의 내측면에 복수 개의 엠보싱 돌기를 형성함으로써 본체가 컵에 장착된 상태에서 본체가 컵에 고착되지 않도록 하여 본체가 컵으로부터 쉽게 탈장착되도록 하는 한편, 본체를 세척한 후 그 사이로 공기가 흐르도록 통풍 기능을 제공하여 건조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넷째, 본 발명에 따르면, 본체의 일측면에 음용자의 엄지 손가락이 지지되는 지지홈과 경계턱을 형성하되, 정면(본체의 일측면)에서 바라볼 때 좌우측부가 서로 대칭되도록 형성하고, 이를 통해 음용자가 왼손잡이 또는 오른손잡이와 상관없이 엄지 손가락을 안정적으로 안착시켜 사용하도록 하여 사용상 편리성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컵 음용 보조구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컵 음용 보조구를 다른 각도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컵 음용 보조구를 위에서 바라본 도면.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컵 음용 보조구를 상하방향으로 절단하여 그 절단면을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컵 음용 보조구가 컵에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컵 음용 보조구와 컵이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도 5에 도시된 컵 음용 보조구가 컵에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컵 음용 보조구가 컵에 장착된 상태에서 손으로 컵을 파지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9는 도 8과 같이 컵을 파지한 상태에서 엄지 손가락을 아래턱에 지지하여 음용하는 과정을 간략하게 도시한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컵 음용 보조구의 동작 특성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컵 음용 보조구를 다른 각도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컵 음용 보조구를 위에서 바라본 도면.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컵 음용 보조구를 상하방향으로 절단하여 그 절단면을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컵 음용 보조구가 컵에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컵 음용 보조구와 컵이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도 5에 도시된 컵 음용 보조구가 컵에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컵 음용 보조구가 컵에 장착된 상태에서 손으로 컵을 파지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9는 도 8과 같이 컵을 파지한 상태에서 엄지 손가락을 아래턱에 지지하여 음용하는 과정을 간략하게 도시한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컵 음용 보조구의 동작 특성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따라서, 몇몇 실시예들에서, 잘 알려진 구성 요소, 잘 알려진 동작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발명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언급된) 용어들은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또한, '포함(또는, 구비)한다'로 언급된 구성 요소 및 동작은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및 동작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정의되어 있지 않은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컵 음용 보조구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컵 음용 보조구를 다른 각도에서 바라본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컵 음용 보조구를 위에서 바라본 도면이고,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컵 음용 보조구를 상하방향으로 절단하여 그 절단면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컵 음용 보조구(10)는 개구부(1a)를 구비한 컵(1, 도 5참조)의 상부에 탈장착가능하게 결합되어 음용자가 입술을 컵(1)에 직접 접촉시키지 않은 상태에서도 컵(1)에 담겨진 음료가 넘쳐 외부로 유출되지 않도록 하면서 컵(1)에 담겨진 음료를 안정적으로 음용할 수 있도록 제공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컵 음용 보조구가 컵에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컵 음용 보조구와 컵이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7은 도 5에 도시된 컵 음용 보조구가 컵에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5 및 도 6과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컵 음용 보조구(10)가 적용되는 컵(1)은 그 형상, 크기, 그리고 재질에 있어서 제약을 두지 않고 다양한 컵에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컵(1)은 개구부(1a)가 원형, 타원형, 다각형 또는 비대칭형 구조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종이, 플라스틱, 금속, 목재 또는 유리 등의 재질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러한 컵 음용 보조구(10)는 본체(11), 커버(12) 및 음료 안내부(13)를 포함한다.
본체(11)는 도 5와 같이, 컵(1)에 간편하게 탈장착하여 사용하기 위하여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지거나, 혹은 신축성 있는 탄성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탄성재질로는 고무재질 또는 실리콘재질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본체(11)는 도 1 및 도 5와 같이, 컵(1)의 상단부를 감싸도록 외주면에 끼워져 안정적으로 컵(1)에 장착될 수 있다. 이때 본체(11)는 컵(1)의 개구부(1a)가 개방되도록 상부가 개방되고, 후방측이 하측으로 연장된 밴드 구조 또는 뚜껑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체(11)는 일측면(컵의 외측면에 대응되는 면)에 지지홈(111)이 마련되어 있다. 이때 지지홈(111)은 본체(11)의 내측으로 일정 깊이로 함몰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고, 그 형상은 제한을 두지는 않는다. 예를 들어, 제품 로고 등이 될 수도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컵 음용 보조구가 컵에 장착된 상태에서 손으로 컵을 파지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9는 도 8과 같이 컵을 파지한 상태에서 엄지 손가락을 아래턱에 지지하여 음용하는 과정을 간략하게 도시한 도면이다.
지지홈(111)은 도 8과 같이, 음용자가 컵(1)을 들고 음용을 하고자 할 때 엄지 손가락(3)의 내측이 지지되는 홈부로서, 음용자의 입술을 컵(1) 또는 컵 음용 보조구(10)에 직접 접촉시키지 않은 상태로 음용을 하는 경우, 손목과 팔에 의존하여 음용 각도를 조절해야 하기 때문에 음료를 흘리지 않으면서 음용하는 것은 어렵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서는 음용자가 컵(1)에 입술을 직접 접촉시키지 않은 상태에서도 안정적으로 컵을 지지한 상태로 음용할 수 있도록 본체(11)의 일측면에 지지홈(111)을 형성하고, 도 8과 같이, 음용시 엄지 손가락(3)의 내측이 지지홈(111)을 지지한 상태에서 다른 손가락으로 컵(1)의 외측면을 감싸 파지하도록 한다.
그리고, 도 9와 같이, 내측이 지지홈(111)에 지지된 엄지 손가락(3)의 외측이 음용자의 아래턱에 지지되도록 하여 음용자가 컵(1)의 하부를 상부로 들어올려 음용할 때 엄지 손가락(3)이 컵(1)과 음용자의 아래턱 사이에서 축(컵이 회전하는 축)으로 기능하여 음료가 넘쳐 흐르지 않으면서 안정적으로 음용할 수 있도록 제공한다.
즉, 엄지 손가락(3)이 음용자의 아래턱과 컵(1), 바람직하게는 컵 음용 보조구(10)의 지지홈(111) 사이에 위치되고, 이에 따라 서서히 컵(1)의 하부를 상부로 들어올려 음료를 마실 때, 엄지 손가락(3)이 컵(1)의 회전축으로 기능하여 손목과 팔로만 음용 각도를 조정하는 것에 비해 더욱 세밀하게 컵(1)의 각도, 즉 음용 각도를 조정할 수 있어 음용시 음료가 외부로 넘쳐 흐르는 것을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지지홈(111)은 정면에서 바라볼 때 좌우측부가 서로 대칭되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지지홈(111)은 좌우측부가 서로 대칭 구조로 형성됨으로써 왼손잡이 또는 오른손잡이와 상관없이 엄지 손가락을 지지홈(111)에 안정적으로 안착시켜 지지할 수 있어 왼손잡이 또는 오른손잡이 음용자와 무관하게 사용상 편리성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 및 도 3과 같이, 본체(11)는 엄지 손가락(3)이 지지홈(111)에 안착된 상태에서 지지홈(111)으로부터 이탈되지 않고 안정적으로 지지되도록 지지홈(111)의 상부에 경계턱(112)이 마련되어 있다. 경계턱(112)은 본체(11)의 일측면으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그 형상과 크기는 제한을 두지 않는다.
이러한 경계턱(112)은 음용자가 음용시 지지홈(111)에 엄지 손가락(3)을 안착시켜 지지한 상태에서 음용자가 음료를 여러번 나누어 음용하는 과정에서 실수로 엄지 손가락(3)이 지지홈(111)을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한편, 음용자로 하여금 엄지 손가락(3)을 지지홈(111)에 정확하게 안착시켜 지지하도록 하는 정렬키로 기능한다.
본체(11)는 도 1 및 도 2와 같이, 내측면에 형성된 복수 개의 엠보싱 돌기(11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엠보싱 돌기(113)는 구형 또는 반구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본체(11)가 컵(1)에 장착된 상태에서 본체(11)가 컵(1)에 고착되지 않도록 한다.
즉, 본체(11)는 컵(1)에 장착된 상태에서 컵(1)으로부터 분리가 용이해야 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서는 본체(11)의 내측면에 복수 개의 엠보싱 돌기(113)를 형성하여 본체(11)가 컵(1)에 장착된 상태에서 본체(11)가 컵(1)에 고착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본체(11)의 내측면과 컵(1)의 외측면 간에 밀착력을 낮추어 쉽게 분리되도록 한다. 또한 엠보싱 돌기(113)는 고착 방지기능 이외에도, 본체(11)를 세척할 때, 그 사이로 공기가 흐르도록 통풍 기능을 제공하여 세척시 본체(11)의 내측면에 묻은 수분이 빨리 건조되도록 함으로써 건조시간을 단축시키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체(11)는 음용자가 음료를 음용하기 위해 파지할 때 음용자의 손으로부터 쉽게 미끄러지지 않도록 외주면에 형성된 미끄럼 방지 부재(11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미끄럼 방지 부재(114)는 도 1과 같이, 본체(11)의 외주면을 따라 형성된 복수 개의 요철 형태의 패턴일 수 있고, 혹은 본체(11)의 외주면에서 일정 두께로 돌출된 복수 개의 돌기일 수도 있다. 이러한 미끄럼 방지 부재(114)는 본체(11)와 일체로 형성되거나, 혹은 본체(11)의 외주면에 부착 또는 접착될 수 있으며, 그립감이 우수하고 열전도성이 낮은 합성수지재질로 형성하여 컵(1)에 비교적 뜨거운 음료가 담겨 있는 경우에도 음용자가 안정적으로 음료를 마실 수 있도록 제공할 수도 있다.
도 1 내지 도 4와 같이, 커버(12)는 본체(11)의 상부에 결합되어 컵(1)의 개구부(1a)의 적어도 일부를 밀폐한다. 이러한 커버(12)는 본체(11)와 이중 사출성형공정을 통해 일체로 형성되거나, 독립적으로 제작된 후 본체(11)와 체결하여 형성할 수도 있다.
커버(12)는 컵 음용 보조구(10)를 컵(1)에 장착한 상태에서도 냉온 정수기 급수 센터에서 안정적으로 컵(1)에 음료를 공급받기 위하여 지지홈(111)의 반대측 상부로 컵(1)의 개구부(1a) 일부가 개방되도록 후방측(12b)이 개방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커버(12)에는 도 1 내지 도 4와 같이, 지지홈(111) 방향으로 컵(1)의 개구부(1a)와 연통하여 컵(1)에 담겨진 음료가 외부로 배출되는 배출공(12a)이 형성된다.
커버(12)는 도 1 및 도 2와 같이, 후방측(12b)이 지지홈(111) 방향으로 일정한 곡률을 갖는 곡면을 갖는다. 이때, 커버(12)는 컵(1)의 개구부(1a)를 대략 1/2 내지 2/3 정도 덮는 크기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를 통해 커버(12)는 음용자가 컵(1)에 담겨진 음료를 마실 때, 음용 각도 조정 미숙(음용자가 과도하게 컵(1)의 하부를 상부로 들어올려 컵(1)에 담겨진 음료가 한꺼번에 쏟아지는 상황)으로 컵(1)에 담겨진 음료가 넘치는 것을 방지하는 1차 음료 넘침 방지턱으로 기능한다.
즉, 음용자가 컵(1)에 담겨진 음료를 마시기 위해 컵(1)의 하부를 상부로 들어 올리면, 이 과정에서 컵(1)에 담겨진 음료가 컵(1)의 개구부(1a) 측으로 쏠리게 된다. 이때, 컵(1)의 하부를 들어올리는 속도가 빠른 경우 개구부(1a) 측으로 과도하게 음료가 쏠리게 되어 음료가 컵(1)의 개구부(1a)를 통해 넘칠 수 있는데, 이를 커버(12)가 1차 저지하여 배출공(12a) 이외에 다른 곳으로 음료가 넘치는 것을 방지한다.
도 1 내지 도 4와 같이, 음료 안내부(13)는 커버(12)의 배출공(12a)과 본체(11)의 지지홈(111) 사이에 대략 성벽처럼 커버(12)로부터 상부로 돌출 형성되어 배출공(12a)으로부터 배출된 음료가 외부로 유출되지 않고 음용자의 입속으로 유입되도록 안내한다.
음료 안내부(13)는 도 1과 같이, 커버(12)의 배출공(12a)과 본체(11)의 지지홈(111) 사이에 커버(12)로부터 상부로 돌출 형성되어 배출공(12a)으로부터 배출된 음료를 음용자의 입속으로 정확하게 안내하는 음료 유도편(131)과, 배출공(12a)을 감싸도록 음료 유도편(131)의 양측부로부터 각각 연장되어 음료 유도편(131)의 외측으로 음료가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제1 및 제2 유출 방지편(132, 133)을 포함한다.
음료 유도편(131)과, 제1 및 제2 유출 방지편(132, 133)은 도 1 및 도 3과 같이, 동일 재질을 사용하여 일체형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고, 배출공(12a)의 후방측을 제외한 전방측과 좌우측을 감싸도록 대략 성벽처럼 커버(12)로부터 돌출 형성된다.
음료 유도편(131)은 도 4와 같이, 배출공(12a)을 통해 배출되는 음료가 과도하게 넘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종단부에서 내측으로 갈수록 3°내지 5°각도, 바람직하게는 4°각도로 하향 경사지게 배치된 역경사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 음료를 마시기 위해 컵(1)을 들어올리는 과정에서 컵(1)에 담겨진 음료가 출렁이더라도 음료가 음료 유도편(131)을 통해 넘쳐 흐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음료 유도편(131)은 도 4와 같이, 표면장력에 의해 음료가 종단부(131a)에 맺히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종단부(131a)로 갈수록 두께가 얇아지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때 음료 유도편(131)의 종단부(131a)는 대략 0.2mm 내지 1mm 두께로 형성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음료 유도편(131)의 종단부(131a) 두께를 얇게 형성함으로써 음용자가 음료를 마신 후, 음용을 중지하기 위해 들어 올려진 컵(1)의 하부를 내릴 때 음료 유도편(131)을 통해 배출되는 음료 방울이 표면 장력에 의해 종단부(131a)에 맺혀 음용자의 엄지 손가락(3)으로 낙하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즉, 음료 유도편(131)의 종단부(131a) 두께를 얇게 형성함으로써 음료 방울이 표면장력에 의해 종단부(131a)에 맺히는 것이 아니라 비교적 날까로운 종단부(131a)에 의해 끊어져 음용자의 엄지 손가락(3)으로 낙하하지 않고 음용자의 입속으로 낙하하여 음료 한 방울이라도 안정적으로 음용자의 입속으로 낙하시킬 수 있다.
물론, 제1 및 제2 유출 방지편(132, 133) 또한 음료 유도편(131)과 마찬가지로 종단부에서 내측으로 갈수록 3°내지 5°각도, 바람직하게는 4°각도로 하향 경사지게 배치된 역경사 구조로 이루어져, 음용중에 컵(1)의 내부에서 음료가 출렁이더라도 제1 및 제2 유출 방지편(132, 133)을 통해 음료가 외부로 쉽게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1 및 제2 유출 방지편(132, 133)의 종단부 두께 또한 종단부로 갈수록 두께가 얇아지는 구조, 즉 대략 0.2mm 내지 1mm 두께로 형성할 수 있다.
한편, 도 7과 같이, 음용자가 음료를 마신 후, 음용을 중지하기 위해 들어 올려진 컵(1)의 하부를 내릴 때 음료 유도편(131)을 통해 배출되는 음료 방울이 음용자의 엄지 손가락(3)으로 낙하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다른 중요한 요소 중 하나는, 음료 유도편(131)과 경계턱(112) 간의 간격이다. 음료 유도편(131)의 종단부(131a)와 경계턱(112) 간의 간격이 너무 좁거나 넓은 경우 음료 방울이 음용자의 입속으로 정확하게 낙하하도록 조정하는 것이 어려울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음료 유도편(131)의 종단부(131a)와 경계턱(112) 간의 간격을 10mm 내지 14mm, 바람직하게는 12mm로 설정하였고, 이에 맞추어 커버(12)의 상면으로부터 음료 유도편(131)의 높이는 대략 3mm 내지 4mm, 바람직하게는 4mm로 형성하고, 경계턱(112)의 상부로부터 커버(12) 간의 간격은 7mm 내지 9mm, 바람직하게는 8mm로 형성하였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컵 음용 보조구의 동작 특성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먼저, 도 5 및 도 6과 같이, 컵 음용 보조구(10)를 컵(1)에 장착한다. 그런 다음, 도 8과 같이 엄지 손가락(3)의 내측을 지지홈(111)에 안착시킨 후 다른 손가락으로 컵(1)의 외측면을 감싸 파지한다. 이런 상태에서 도 10a와 같이, 엄지 손가락(3)의 외측을 음용자의 아래턱에 지지시킨 후 음용자가 컵(1)의 하부를 상부로 들어올려 컵(1)에 담겨진 음료를 커버(12)의 배출공(12a)을 통해 배출시켜 음용한다. 이때 커버(12)는 음용자가 컵(1)에 담겨진 음료를 마실 때, 음용 각도 조정 미숙 또는 실수로 인해 과도하게 음료가 컵(1)의 개구부(1a)로 쏠려 넘치는 것을 1차 방지한다.
한편, 도 10의 (a)와 같이, 커버(12)의 배출공(12a)을 통해 배출되는 음료는 음료 안내부(13)를 따라 음용자의 입속으로 배출된다. 이때 음료 안내부(13)의 음료 유도편(131)은 종단부에서 내측으로 갈수록 역경사 구조로 이루어짐에 따라 음료를 마시기 위해 컵(1)의 하부를 상부로 들어올리는 과정에서 컵(1)에 담겨진 음료가 출렁이더라도 음료가 음료 유도편(131)을 통해 넘쳐 흐르는 것을 2차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음료 안내부(13)는 제1 및 제2 유출 방지편(132, 133)을 배출공(12a)을 감싸도록 형성하여 음용자가 음료 유도편(131)과 입을 정확하게 정렬시키지 않은 경우에도 음료가 배출공(12a)을 통해 외측으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후, 도 10의 (b) 및 도 10의 (c)와 같이, 음료 유도편(131)은 종단부(131a)의 두께를 비교적 얇게 형성하는 한편, 음료 유도편(131)의 종단부(131a)와 경계턱(112) 간의 간격을 12mm로 유지시킴으로써 음용자가 음료를 마신 후, 음용을 중지하기 위해 들어 올려진 컵(1)의 하부를 내릴 때 음료 유도편(131)을 통해 배출되는 음료 방울이 음용자의 엄지 손가락(3)으로 낙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바람직한 실시예들에서 구체적으로 기술되었으나, 상기한 바람직한 실시예들은 그 설명을 위한 것이며, 그 제한을 위한 것이 아니다. 이처럼 이 기술 분야의 통상의 전문가라면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결합을 통해 다양한 실시예들이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 : 컵
1a : 개구부
10 : 컵 음용 보조구
11 : 본체
111 : 지지홈
112 : 경계턱
113 : 엠보싱 돌기
114 : 미끄럼 방지 부재
12 : 커버
12a : 배출공
13 : 음료 안내부
131 : 음료 유도편
131a : 종단부
132 : 제1 유출 방지편
133 : 제2 유출 방지편
1a : 개구부
10 : 컵 음용 보조구
11 : 본체
111 : 지지홈
112 : 경계턱
113 : 엠보싱 돌기
114 : 미끄럼 방지 부재
12 : 커버
12a : 배출공
13 : 음료 안내부
131 : 음료 유도편
131a : 종단부
132 : 제1 유출 방지편
133 : 제2 유출 방지편
Claims (7)
- 개구부를 구비한 컵에 탈장착되고, 일측면에는 음용자의 엄지 손가락이 지지되는 지지홈이 마련되어 있고, 상기 지지홈의 상부에는 상기 지지홈에 안착된 엄지 손가락이 상기 지지홈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경계턱이 마련되어 있는 본체;
상기 본체의 상부에 결합되고, 상기 지지홈이 형성된 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컵의 개구부와 연통하여 상기 컵에 담겨진 음료가 배출되는 배출공이 형성된 커버; 및
상기 배출공과 상기 지지홈 사이에 상기 커버로부터 상부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배출공으로부터 배출된 음료가 음용자의 입속으로 유입되도록 안내하는 음료 안내부;를 포함하되
상기 음료 안내부는,
상기 배출공과 상기 지지홈 사이에 상기 커버로부터 상부로 돌출 형성된 음료 유도편; 및
상기 배출공을 감싸도록 상기 음료 유도편의 양측부로부터 각각 연장되어 상기 음료 유도편의 외측으로 음료가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제1 및 제2 유출 방지편;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 음용 보조구.
- 삭제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음료 유도편은 상기 배출공을 통해 배출되는 음료가 상기 음료 유도편을 통해 넘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종단부에서 내측으로 갈수록 3 내지 5°각도로 하향 경사지게 배치된 역경사 구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 음용 보조구.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유출 방지편은 각각 상기 배출공을 통해 배출되는 음료가 상기 제1 및 제2 유출 방지편을 통해 넘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종단부에서 내측으로 갈수록 3 내지 5°각도로 하향 경사지게 배치된 역경사 구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 음용 보조구.
-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음료 유도편은 표면장력에 의해 음료가 상기 음료 유도편의 종단부에서 맺히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종단부로 갈수록 두께가 얇아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 음용 보조구.
-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음료 유도편의 종단부와 상기 경계턱 간의 간격은 10mm 내지 14mm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 음용 보조구.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탄성재질로 이루어지고, 내측면에는 복수 개의 엠보싱 돌기가 형성되고, 외측면에는 미끄럼 방지 부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 음용 보조구.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016382A KR101750523B1 (ko) | 2016-02-12 | 2016-02-12 | 컵 음용 보조구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016382A KR101750523B1 (ko) | 2016-02-12 | 2016-02-12 | 컵 음용 보조구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750523B1 true KR101750523B1 (ko) | 2017-06-23 |
Family
ID=592836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0016382A KR101750523B1 (ko) | 2016-02-12 | 2016-02-12 | 컵 음용 보조구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750523B1 (ko)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947477B1 (ko) * | 2009-08-17 | 2010-03-17 | 정시은 | 걸림턱을 구비한 음료용기 |
-
2016
- 2016-02-12 KR KR1020160016382A patent/KR101750523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947477B1 (ko) * | 2009-08-17 | 2010-03-17 | 정시은 | 걸림턱을 구비한 음료용기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7100790B2 (en) | Spill-resistant metered flow cap for a cup | |
US7168589B2 (en) | Spill-resistant container | |
US9380900B2 (en) | Reservoir coaster | |
US8690006B1 (en) | Tilted grooved beverage drinking container | |
US20210206539A1 (en) | Drinking Tumbler | |
WO2009126555A3 (en) | Method and device for enhancing aroma from beverage cup | |
US20160262565A1 (en) | Integrated beverage infuser lid | |
WO2012011089A4 (en) | Drinking apparatus | |
US2328599A (en) | Device for brewing and dispensing beverages | |
EP3370577B1 (en) | Drip catcher for stemmed drinking vessel | |
US8141740B2 (en) | Portable container | |
CN112027301A (zh) | 玻璃壶盖和延长组件、系统和方法 | |
US20130228585A1 (en) | Guard for a drinking vessel | |
KR101750523B1 (ko) | 컵 음용 보조구 | |
CN102973089B (zh) | 茶杯 | |
KR20170052358A (ko) | 음료 용기 | |
JP6408769B2 (ja) | 練習用コップ蓋 | |
US20210401201A1 (en) | Apparatus and system for drinkable bottle cap | |
US20150209706A1 (en) | Lid for liquid filtration | |
US9510701B1 (en) | Drinking container with handle on cup maintained below opening in lid | |
TWM598281U (zh) | 杯蓋結構 | |
JP2020158120A (ja) | 飲料容器 | |
US20090139997A1 (en) | Container with locking feature | |
RU2766328C2 (ru) | Кружка | |
CN208876272U (zh) | 圆形出水口内面有v形出水槽的保温瓶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