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09270B1 - 표면품질이 우수한 저온용 고 망간강재 및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표면품질이 우수한 저온용 고 망간강재 및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09270B1
KR102109270B1 KR1020180115926A KR20180115926A KR102109270B1 KR 102109270 B1 KR102109270 B1 KR 102109270B1 KR 1020180115926 A KR1020180115926 A KR 1020180115926A KR 20180115926 A KR20180115926 A KR 20180115926A KR 102109270 B1 KR102109270 B1 KR 1021092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ab
less
temperature
steel
manganese ste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159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43466A (ko
Inventor
하유미
정영덕
강상덕
이운해
김용진
김성규
김영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JP2020521408A priority Critical patent/JP6947922B2/ja
Priority to CN201880067461.7A priority patent/CN111225992B/zh
Priority to US16/649,739 priority patent/US11584970B2/en
Priority to EP18868100.1A priority patent/EP3699313B1/en
Priority to PCT/KR2018/011937 priority patent/WO2019078538A1/ko
Priority to EP21193240.5A priority patent/EP3974556A1/en
Priority to CA3076812A priority patent/CA3076812C/en
Publication of KR201900434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434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092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092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3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more than 1.5% by weight of manganese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6/00Heat treatment of ferrous alloys
    • C21D6/002Heat treatment of ferrous alloys containing Cr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6/00Heat treatment of ferrous alloys
    • C21D6/005Heat treatment of ferrous alloys containing Mn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6/00Heat treatment of ferrous alloys
    • C21D6/008Heat treatment of ferrous alloys containing Si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7/00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of iron or steel by deformation
    • C21D7/13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of iron or steel by deformation by hot working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8/00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 C21D8/005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of ferrous alloy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8/00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 C21D8/02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8/00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 C21D8/02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 C21D8/0205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of ferrous alloy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8/00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 C21D8/02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 C21D8/021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involving a particular fabrication or treatment of ingot or slab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8/00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 C21D8/02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 C21D8/0221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characterised by the working steps
    • C21D8/0226Hot rolling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8/00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 C21D8/02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 C21D8/0247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characterised by the heat treatment
    • C21D8/0263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characterised by the heat treatment following hot rolling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9/00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Furnaces therefor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9/00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Furnaces therefor
    • C21D9/0081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Furnaces therefor for slabs; for billet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9/00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Furnaces therefor
    • C21D9/46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Furnaces therefor for sheet metals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01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N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02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In, Mg, or other elements not provided for in one single group C22C38/001 - C22C38/60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2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silicon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4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manganese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6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aluminium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4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titanium or zirconium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6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opper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2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copper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2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titanium or zirconium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32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boron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2211/00Microstructure comprising significant phases
    • C21D2211/001Austenit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12All metal or with adjacent metals
    • Y10T428/12493Composite; i.e., plural, adjacent, spatially distinct metal components [e.g., layers, joint, etc.]
    • Y10T428/12771Transition metal-base component
    • Y10T428/12861Group VIII or IB metal-base component
    • Y10T428/12951Fe-base compone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12All metal or with adjacent metals
    • Y10T428/12493Composite; i.e., plural, adjacent, spatially distinct metal components [e.g., layers, joint, etc.]
    • Y10T428/12771Transition metal-base component
    • Y10T428/12861Group VIII or IB metal-base component
    • Y10T428/12951Fe-base component
    • Y10T428/12972Containing 0.01-1.7% carbon [i.e., stee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12All metal or with adjacent metals
    • Y10T428/12493Composite; i.e., plural, adjacent, spatially distinct metal components [e.g., layers, joint, etc.]
    • Y10T428/12771Transition metal-base component
    • Y10T428/12861Group VIII or IB metal-base component
    • Y10T428/12951Fe-base component
    • Y10T428/12972Containing 0.01-1.7% carbon [i.e., steel]
    • Y10T428/12979Containing more than 10% nonferrous elements [e.g., high alloy, stainles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6Web or shee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element or component, the element or component having a specified physical dimensio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Heat Treatment Of Stee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C: 0.3~0.8 중량%, Mn: 18~26 중량%, Si: 0.01~1 중량%, Al: 0.01~0.5 중량%, Ti: 0.1 중량% 이하(0% 제외), Cr: 1~4.5 중량%, Cu: 0.1~0.9 중량%, S: 0.03 중량% 이하(0% 제외), P: 0.3 중량% 이하(0% 제외), N: 0.001 ~ 0.03 중량%, B: 0.004 중량% 이하(0% 제외), 잔부 Fe 및 기타 불가피한 불순물을 포함하고, 미세조직이 오스테나이트 단상 조직이고, 오스테나이트 조직의 결정립 크기가 50㎛이하인 저온용 고 망간 강재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표면품질이 우수한 저온용 고 망간강재 및 제조방법{LOW TEMPERATURE HIGH MANGANESE STEEL PLATE WITH EXCELLENT SURFACE PROPERTY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본 발명은 액화가스 저장 탱크 및 수송설비 등의 저온에서부터 실온까지 광범위한 온도에서 사용될 수 있는 저온용 강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표면품질이 우수한 저온용 고 망간 강재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환경오염과 안전성에 대한 규제가 강화되고, 석유에너지의 고갈이 예상됨에 따라 대체에너지로 LNG, LPG 등의 에너지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저온의 액체상태에서 운반되는 천연가스, 프로판가스 등과 같은 무공해 연료의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이들의 저장 및 운송용 기기의 제작, 소재개발이 증가하는 추세이다.
저온용 탱크에는 저온에서 강도 및 인성 등의 기계적 성질이 우수한 재료들이 사용되고 있는데, 대표적인 것으로 알루미늄 합금,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 35% 인바강, 9% Ni 강이다.
현재 이들 재료 중에서 경제성과 용접성 측면에서 9% 니켈강이 가장 널리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소재들은 대부분 니켈의 첨가량이 많아 가격이 높으므로 우수한 항복강도 및 저온인성을 가지는 대체재료의 개발이 시급하다.
한편, 높은 저온인성을 갖는 재료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의 하나로는 저온에서 안정한 오스테나이트 조직을 가지도록 하는 것이다.
그 예로는 다량의 탄소와 망간을 첨가하여 오스테나이트를 안정화시키는 기술을 들 수 있다. 그러나, 다량의 탄소와 망간을 첨가하여 오스테나이트를 안정화시키는 경우에는 슬라브 상태에서부터 제품까지 오스테나이트 단상을 가지는, 즉, 상변태가 일어나지 않는 특성이 나타나게 된다.
상변태가 일어나지 않으므로 슬라브는 조대한 주조조직을 갖게 된다. 이로 인하여, 슬라브를 열간압연 시, 표면입계 균열이 발생하게 된다. 또한, 상변태를 수반하지 않는 슬라브는 조대한 주조조직을 가지므로 고온연성이 좋지 않다.
슬라브의 열간압연 시, 표면입계 균열이 발생하게 되면, 강재의 표면품질을 열위하게 만들어 최종 구조물의 두께 불균일을 유발하게 된다.
특히, 이러한 두께 불균일은 저온 압력용기와 같이 균일한 강재의 두께 확보를 통한 내압 저항성이 요구되는 구조물의 구조 설계 및 사용에 큰 문제를 발생시키게 된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11-0009792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측면에 의하면, 항복강도 및 충격인성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표면품질이 우수한 저온용 고 망간 강재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일 측면에 의하면, 항복강도 및 충격인성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표면품질이 우수한 저온용 고 망간 강재를 저 비용으로 제조할 수 있는 저온용 고 망간 강재의 제조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측면에 의한 저온용 고 망간 강재는, C: 0.3~0.8 중량%, Mn: 18~26 중량%, Si: 0.01~1 중량%, Al: 0.01~0.5 중량%, Ti: 0.1 중량% 이하(0% 제외), Cr: 1~4.5 중량%, Cu: 0.1~0.9 중량%, S: 0.03 중량% 이하(0% 제외), P: 0.3 중량% 이하(0% 제외), N: 0.001 ~ 0.03 중량%, B: 0.004 중량% 이하(0% 제외), 잔부 Fe 및 기타 불가피한 불순물을 포함하고, 미세조직이 오스테나이트 단상 조직이고, 오스테나이트 조직의 평균 결정립 크기가 50㎛ 이하이고, 50㎛ 이상의 크기를 갖는 오스테나이트 결정립의 수가 cm2당 1개 미만일 수 있다.
상기 고 망간 강재에는 1 부피% 이하(0% 포함)의 석출물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고 망간 강재는 -196℃에서의 압연방향 충격에너지가 100J 이상일 수 있으며, 상기 고 망간 강재는 -196℃에서의 압연방향 충격에너지에 대한 -196℃에서의 두께방향 충격에너지의 비인 재질이방성 지수가 0.6 이상일 수 있다.
상기 고 망간 강재의 항복강도는 400MPa 이상일 수 있다.
상기 고 망간 강재는 상기한 조성을 갖는 슬라브를 준비하는 공정, 슬라브를 재가열하는 공정과 재가열된 슬라브를 열간압연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방법으로 제조되는 것으로, 상기 재가열 전의 슬라브의 표층부에는 150㎛ 이상의 크기를 갖는 결정립 수가 단위 cm2당 1개 미만인 재결정 조직이 형성되어 있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재가열 전의 슬라브의 표층부의 평균 결정립 크기는 100㎛ 이하일 수 있다.
상기 재가열 전의 슬라브는 1100℃에서 60% 이상의 단면 감소율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일 측면에 의한 저온용 고 망간 강재의 제조방법은, C: 0.3~0.8 중량%, Mn: 18~26 중량%, Si: 0.01~1 중량%, Al: 0.01~0.5 중량%, Ti: 0.1 중량% 이하(0% 제외), Cr: 1~4.5 중량%, Cu: 0.1~0.9 중량%, S: 0.03 중량% 이하(0% 제외), P: 0.3 중량% 이하(0% 제외), N: 0.001 ~ 0.03 중량%, B: 0.004 중량% 이하(0% 제외), 잔부 Fe 및 기타 불가피한 불순물을 포함하는 슬라브를 준비하는 단계; 상기 슬라브의 표층부에 미세한 재결정 조직이 형성되도록 슬라브에 변형을 가하는 변형부여단계; 상기와 같이 표층부에 미세한 재결정 조직이 형성된 슬라브를 상온까지 공냉하는 단계; 상기와 같이 공냉된 슬라브를 1100~1250℃의 온도로 가열하는 재가열 단계; 상기와 같이 재가열된 슬라브를 850~950℃의 온도에서 마무리 압연하여 열연강재를 얻는 열간압연 단계; 및 상기 열연강재를 10℃/sec 이상의 냉각속도로 600℃ 이하의 가속냉각종료온도까지 가속냉각하는 가속냉각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변형부여단계는 150㎛ 이상의 크기를 갖는 결정립 수가 단위 cm2당 1개 미만인 재결정 조직이 형성되도록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변형부여단계 후의 슬라브의 표층부의 평균결정립 크기는 100㎛ 이하일 수 있다.
상기 변형부여단계는 1000~1200℃에서 강압하 조건의 조압연처리에 의해 실시될 수 있다.
상기 변형부여단계는 1000~1200℃의 고온 단조처리에 의해 실시될 수 있다.
상기 고온 단조처리 후의 슬라브의 표층부의 평균결정립 크기는 100㎛ 이하일 수 있다.
상기 변형부여단계는 초기 슬라브에 대해 15~50%의 두께 감소율을 가지도록 실시할 수 있다.
상기 열간압연 단계에서 열간압연 시 최종 강재두께에 따라 마무리 압연온도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열간압연단계에서 최종 강재 두께가 18t[t: 강재두께(mm)] 이상일 때에는 열간 마무리 압연 마지막 패스 압연온도를 850℃ 이상 900℃ 미만으로 하고, 최종 강재 두께가 18t[t: 강재두께(mm)] 미만일 때에는 열간 마무리 압연 마지막 패스 압연온도를 900℃ 이상 950℃ 이하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측면에 의하면, 항복강도 및 충격인성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표면품질이 우수한 저온용 고망간 강재를 저 비용으로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단조작업 전, 후의 슬라브의 미세조직을 나타내는 것으로서, (a)는 단조작업 전의 슬라브 미세조직을 나타내고, (b)는 단조작업 후의 슬라브 미세조직을 나타낸다.
도 2는 종래의 강재 및 본 발명에 부합되는 강재의 미세조직을 나타내는 것으로, (a)는 오스테나이트 조대립이 형성된 종래의 강재[비교예 (2)]의 미세조직을 나타내고, (b)는 본 발명에 따라 슬라브 단조 작업이 적용된 강재[발명예 (3)]의 균일 오스테나이트 조직을 나타낸다.
도 3은 강재의 표면 불균일 발생 여부를 평가한 결과의 일례를 나타내는 사진으로서, 도 3의 (a)는 표면 불균일이 발생한 예를 나타낸 것이고, 도 3의 (b)는 불균일이 발생하지 않은 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슬라브 표층부 미세조직의 결정립 사이즈에 따른 슬라브 고온연성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본 발명은 표면품질이 우수한 저온용 고 망간강재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본 실시예들은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예를 들면, 액화석유가스, 액화천연가스를 포함하여 저온상태에서 저장, 운반하기 위한 연료탱크, 저장 탱크, 선박용 멤브레인, 수송용 파이프 등의 저온 부품에 사용하기 위한 소재에 바람직하게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와 같이 다량의 탄소와 망간을 첨가하여 오스테나이트를 안정화시키는 경우에는 슬라브 상태에서부터 제품까지 오스테나이트 단상을 가지는, 즉, 상변태가 일어나지 않는 특성이 나타나게 된다.
상변태가 일어나지 않으므로 슬라브는 조대한 주조조직을 갖게 된다. 이로 인하여, 슬라브를 열간압연 시, 표면입계 균열이 발생하게 된다.
슬라브의 열간압연 시, 표면입계 균열이 발생하게 되면, 강재의 표면품질을 열위하게 만들어 최종 구조물의 두께 불균일을 유발하게 된다. 또한, 상변태를 수반하지 않는 슬라브는 조대한 주조조직을 가지므로 고온연성이 좋지 않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고 항복강도 및 우수한 충격인성을 가질 뿐만 아니라 우수한 표면품질을 갖는 저온용 고 망간 강재를 얻기 위하여 연구 및 실험 등을 행하고, 그 결과에 의해 본 발명을 완성하게 이른 것이다.
본 발명의 주요 개념은 다음과 같다.
1) 오스테나이트 조직 안정화를 위하여, 특히, C, Mn 및 Cu의 함량을 적절히 제어한 것이다. 오스테나이트 안정화를 통해 우수한 저온인성을 확보할 수 있다.
2) 강재의 미세조직의 크기 및 조대한 결정립의 수를 적절히 제어한 것이다. 이를 통해 강재의 표면품질을 개선시킬 수 있다.
3) 열연강재의 냉각조건을 적절히 제어한 것이다. 이를 통해 입계에 탄화물 형성이 억제될 수 있다. 입계에 탄화물이 형성되는 것을 억제함으로써 충격인성을 개선시킬 수 있다.
4) 슬라브의 열간압연 전에, 슬라브 표층부에 미세한 재결정 조직이 형성되도록 슬라브에 변형을 가하는 처리를 실시하는 것이다. 변형을 가하는 처리의 예로는 강압하 조건의 조압연처리 또는 고온 단조처리를 들 수 있다.
슬라브의 열간압연 전에, 슬라브에 변형을 가하는 처리, 예를 들면, 강압하 조건의 조압연처리 또는 단조처리 등을 실시하여 슬라브 표층부에 미세한 재결정 조직을 형성함으로써 열간압연 시 입계균열이 조대한 주조조직을 따라 발생 및 전파하는 것을 방지하여 강재의 표면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슬라브 표층부에 미세한 재결정 조직이 형성되므로 슬라브의 고온연성이 개선될 수 있다.
5) 열간압연 조건을 적절히 제어한 것이다. 특히, 열간압연 시 최종 강재두께에 따라 마무리압연 온도를 제어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높은 강도를 확보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의한 저온용 고 망간 강재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의한 저온용 고 망간 강재는 C: 0.3~0.8 중량%, Mn: 18~26 중량%, Si: 0.01~1 중량%, Al: 0.01~0.5 중량%, Ti: 0.1 중량% 이하(0% 제외), Cr: 1~4.5 중량%, Cu: 0.1~0.9 중량%, S: 0.03 중량% 이하(0% 제외), P: 0.3 중량% 이하(0% 제외), N: 0.001 ~ 0.03 중량%, B: 0.004 중량% 이하(0% 제외), 잔부 Fe 및 기타 불가피한 불순물을 포함하고, 미세조직이 오스테나이트 단상 조직이고, 오스테나이트 조직의 평균 결정립 크기가 50㎛ 이하이고, 50㎛ 이상의 결정립 크기를 갖는 오스테나이트 결정립의 수가 cm2당 1개 미만일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의한 저온용 고 망간 강재의 성분 및 성분범위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이하, 특별히 달리 표시하지 않는 한 각 원소의 함량을 나타내는 %는 중량을 기준으로 한다.
C: 0.3~0.8 중량%
C(탄소)는 강 내에 오스테나이트를 안정화시키고, 고용되어 강도를 확보하는데 필요한 원소이다. 그러나, 그 함량이 0.3 중량% 미만인 경우에는 오스테나이트 안정도가 부족하여 페라이트 또는 마르텐사이트가 형성되어 저온인성이 저하된다. 한편, 그 함량이 0.8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탄화물이 형성되어 표면 결함이 생기므로, 그 함량은 0.3~0.8 중량%로 제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Mn: 18~26 중량%
Mn(망간)은 오스테나이트 조직을 안정화시키는 역할을 하는 중요한 원소이다. 저온인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페라이트 형성을 억제하고, 오스테나이트 안정도를 증가시켜야 하므로, 이를 위해 본 발명에서는 최소 18 중량% 이상 첨가되어야 한다. Mn의 함량이 18 중량% 미만인 경우에는 ε-마르텐사이트 상 및 α'-마르텐사이트 상이 형성되어, 저온인성이 감소하고, 반면, 그 함량이 26 중량%를 초과하면 제조원가가 크게 증가하고, 공정상 열간압연 단계에서 가열 시 내부산화가 심하게 발생되어 표면품질이 나빠지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Mn의 함량은 18~26 중량%로 제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Si: 0.01~1 중량%
Si(규소)는 용강의 주조성을 향상시키고 특히, 오스테나이트 강재에 첨가되는 경우 강재 내부에 고용되어 강도를 효과적으로 증가시키는 원소이다. 다만, 1 중량% 를 초과하여 첨가될 시에 오스테나이트 안정도를 떨어뜨리면서 인성 저하를 발생할 수 있으므로, Si 함량의 상한은 1 중량%로 제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Al: 0.01~0.5 중량%
Al(알루미늄)은 적정 첨가량 범위에서 오스테나이트를 안정화시키며, 강재 내 탄소의 활동도에 영향을 주어 탄화물 형성을 효과적으로 억제하여 인성을 증가시키는 원소이다. 다만, 0.5 중량%를 초과하여 첨가되는 경우, 산화물 및 질화물 형성을 통해 강의 주조성 및 표면품질을 열위하게 만드는 문제점이 있으므로, 상기 Al함량의 상한은 0.5 중량%로 제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i: 0.1 중량% 이하(0% 제외)
Ti(티타늄)은 단독 혹은 복합으로 석출물을 생성하여 오스테나이트 결정립을 미세화 시켜 강도 및 인성을 증가시키는 원소이다. 또한 오스테나이트 결정립내에 충분한 석출물 생성사이트가 존재하는 경우 결정립 내에 미세한 석출물을 형성하여 석출경화를 통해 강도를 증가시키는 원소이다. 다만, 0.1 중량%를 초과하여 첨가되면 제강 공정 시 다량의 산화물을 생성하여 연속 주조 시 공정 및 주편 등의 문제를 일으키거나, 탄질화물이 조대화 되어 강재의 연신율, 인성 및 표면품질 등의 열화를 일으키므로 상기 Ti(티타늄)의 함량은 0.1 중량% 이하로 제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Cr: 1~4.5 중량%
Cr(크롬)은 오스테나이트 조직에서 고용강화를 통해 강도 향상에 우수성을 보여준다. 내식성 효과를 가지고 있으므로, 고온산화에 효과적으로 표면품질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이러한 첨가효과를 얻기 위해서는 Cr은 1 중량% 이상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Cr이 4.5 중량%를 초과하여 첨가되면 탄화물 생성에 유리하게 되어 극저온인성을 악화시키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Cr의 함량은 1~4.5 중량%로 제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Cu: 0.1~0.9 중량%
Cu(구리)는 망간 및 탄소와 더불어 오스테나이트를 안정화시키면서 저온인성을 향상시키는 원소이다. 또한 탄화물 내 고용도가 매우 낮고 오스테나이트 내 확산이 느려서 오스테나이트와 핵생성된 탄화물 계면에 농축되는데, 이에 따라 탄소의 확산을 방해함으로써 탄화물 성장을 효과적으로 늦추게 되고 탄화물 생성 억제를 하는 효과가 있기 때문에 Cr과 같이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첨가효과를 얻기 위해서는 Cu는 0.1 중량% 이상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Cu가 0.9 중량%를 초과하여 첨가되면 열간취성(hot shortness) 결함에 의해 표면품질이 나빠지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따라서, Cu의 함량은 0.1~0.9 중량%로 제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S: 0.03 중량% 이하(0% 제외)
S(황)는 개재물의 제어를 위하여 0.03 중량% 이하로 제어될 필요성이 있다.
S의 함량이 0.03 중량%를 초과하면 열간취성의 문제점이 발생하고, 표면품질의 열위를 초래한다.
P: 0.3 중량% 이하(0% 제외)
P(인)는 편석이 쉽게 발생되는 원소로 주조 시 균열발생 및 용접성을 저하시킨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그 함량은 0.3 중량% 이하로 제어되어야 한다. P의 함량이 0.3 중량%를 초과하면 주조성이 악화될 수 있으므로 그 함량의 상한은 0.3 중량%로 제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N: 0.001~0.03 중량%
N(질소)는 탄소와 더불어 오스테나이트를 안정화시켜 인성을 향상시키는 원소이며, 특히 탄소와 같이 고용강화 또는 석출물 형성을 통해 강도를 향상시키는데 매우 유리한 원소이다. 다만, 0.03 중량%를 초과하여 첨가되는 경우, 탄질화물의 조대화로 인해 물성 및 표면 품질의 열화가 발생하므로, 상기 N 함량의 상한은 0.03 중량%로 제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0.001 중량% 미만으로 첨가되는 경우 그 효과가 미미하므로 상기 N 함량의 하한은 0.001 중량%로 제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B: 0.004 중량% 이하(0% 제외)
B(붕소)는 결정입계 강화를 통한 입계파괴의 억제효과로 표면품질 향상에 큰 영향을 주나, 과도한 첨가시 조대한 석출물의 형성 등에 의해 인성 및 용접성을 저하시키므로, 그 함량은 0.004 중량% 이하로 한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외에 잔부 Fe 및 불가피한 불순물을 포함한다. 다만, 통상의 제조과정에서는 원료 또는 주위 환경으로부터 의도되지 않는 불순물들이 불가피하게 혼입될 수 있으므로, 이를 배제할 수는 없다. 이들 불순물들은 본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라도 알 수 있는 것이기 때문에 그 모든 내용을 본 명세서에서 특별히 언급하지는 않는다. 더불어, 상기 조성 이외에 유효한 성분의 첨가가 배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의한 저온용 고 망간 강재의 미세조직은 오스테나이트 단상이고, 오스테나이트 조직의 평균 결정립 크기가 50㎛ 이하이고, 50㎛ 이상의 크기를 갖는 오스테나이트 결정립의 수가 cm2당 1개 미만일 수 있다.
오스테나이트 조직의 평균 결정립 크기가 50㎛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조대 결정립의 높은 밀도로 인해 구조물로 가공 시 불균일 변형이 발생하게 되고, 이로 인하여 가공 후, 표면 품질이 열화될 수 있으므로, 오스테나이트 조직의 평균 결정립 크기를 50㎛ 이하로 한정한다. 반면, 오스테나이트 조직의 평균 결정립 크기가 작아짐에 따라 강재의 강도도 그에 따라 높아지나, 결정립 미세화에 의해 입계 탄화물의 석출이 용이해지며, 강도 증가에 따른 반대 급부로 저온인성이 열위해질 수 있으므로, 오스테나이트 조직의 평균 결정립 크기를 20㎛ 이상으로 한정한다. 따라서, 상기 오스테나이트 조직의 평균 결정립 크기는 20 ~ 50㎛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한 오스테나이트 조직의 평균 결정립 크기는 20 ~ 30㎛일 수 있다.
한편, 오스테나이트 조직 중 50㎛ 이상의 크기를 갖는 결정립 수가 cm2당 1개 이상인 경우에는 조대 결정립의 높은 밀도로 인해 구조물로 가공 후, 표면 품질을 열화시킬 수 있다. 따라서, 50㎛ 이상의 크기를 갖는 오스테나이트 결정립의 수는 cm2당 1개 미만으로 한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30㎛ 이상의 크기를 갖는 오스테나이트 결정립의 수가 cm2당 1개 미만일 수 있다.
상기 고 망간 강재에는 1 부피% 이하(0% 포함)의 석출물이 포함될 수 있다. 석출물의 함량이 1 부피%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저온인성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따라서, 석출물의 함량은 1 부피% 이하(0% 포함)로 억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 망간 강재의 두께는 8.0mm 이상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8.0~40mm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의한 저온용 고 망간 강재는 -196℃에서의 압연방향(RD, rolling direction) 샤르피 충격 흡수에너지가 100J 이상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강재의 재질이방성 지수는 강재의 압연방향(RD, rolling direction) 샤르피 충격 흡수에너지에 대한 강재의 두께방향(TD, thickness direction) 샤르피 충격 흡수에너지의 비를 의미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서 강재의 재질이방성 지수는 -196℃에서의 강재 두께방향(TD)의 샤르피 충격 흡수에너지를 -196℃에서의 강재 압연방향(RD)의 샤르피 충격 흡수에너지로 나눈 값을 의미한다.
상기 재질이방성 지수가 일정 수준에 미치지 않는 경우, 최종 제품에서의 물성 확보가 문제될 수 있다. 즉, 재질이방성 지수가 일정 수준에 미치지 않는 경우, 최종 제품에서의 소재의 방향에 따라 목적하는 수준의 샤르피 충격 흡수에너지를 확보하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의한 저온용 고 망간 강재는 재질이방성 지수를 일정 수준 이상으로 제한하며, 그에 따라 최종 제품에서의 소재의 방향에 따라 샤르피 충격 흡수에너지가 불균일하게 나타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소재의 방향에 따른 최종 제품의 물성 불균일을 방지하기 위한 재질이방성 지수의 하한은 0.6일 수 있으며, 바람직한 재질이방성 지수의 하한은 0.8일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의한 저온용 고 망간 강재의 제조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일 측면에 따르는 저온용 고 망간 강재의 제조방법은 C: 0.3~0.8 중량%, Mn: 18~26 중량%, Si: 0.01~1 중량%, Al: 0.01~0.5 중량%, Ti: 0.1 중량% 이하(0% 제외), Cr: 1~4.5 중량%, Cu: 0.1~0.9 중량%, S: 0.03 중량% 이하(0% 제외), P: 0.3 중량% 이하(0% 제외), N: 0.001 ~ 0.03 중량%, B: 0.004 중량% 이하(0% 제외), 잔부 Fe 및 기타 불가피한 불순물을 포함하는 슬라브를 준비하는 단계; 상기 슬라브의 표층부에 미세한 재결정 조직이 형성되도록 슬라브에 변형을 가하는 변형부여단계; 상기와 같이 표층부에 미세한 재결정 조직이 형성된 슬라브를 상온까지 공냉하는 단계; 상기와 같이 공냉된 슬라브를 1100~1250℃의 온도로 가열하는 재가열 단계; 상기와 같이 재가열된 슬라브를 850~950℃의 온도에서 마무리 압연하여 열연강재를 얻는 열간압연 단계; 및 상기 열연강재를 10℃/sec 이상의 냉각속도로 600℃ 이하의 가속냉각종료온도까지 가속냉각하는 가속냉각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변형부여단계 및 공냉단계
상기 슬라브의 표층부에 미세한 재결정 조직이 형성되도록 슬라브에 변형을 가하는 변형부여단계를 실시한 다음, 상온까지 공냉할 수 있다. 여기서, 슬라브 표층부는 표면에서, 슬라브 두께 방향으로 표면으로부터 2mm 깊이까지의 영역을 의미한다.
상기 슬라브는 조대한 주조조직으로 구성되어 있어 열간압연 시 균열 발생이 용이하고 고온연성이 좋지 않다. 이에, 상기 슬라브의 표층부에 미세한 재결정 조직이 형성되도록 슬라브에 변형을 가하는 처리를 실시하여 열간압연 시 균열 발생을 방지하고 고온연성을 개선시킬 수 있다. 물론, 상기 표층부 이외의 영역에 미세한 재결정 조직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변형부여단계는 150㎛ 이상의 크기를 갖는 결정립 수가 단위 cm2당 1개 미만인 재결정 조직이 형성되도록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슬라브의 표층부에 150㎛ 이상의 결정립 크기의 오스테나이트 결정립이 cm2당 1개 이상이 존재하는 경우에는 재가열로에 투입하여 가열하고 가열된 슬라브를 열간압연 시 조대립으로 인해 고온연성이 열위해지고 크랙 발생 및 전파를 일으켜서 제품의 표면 품질에 나쁜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상기 변형부여단계 후의 슬라브의 표층부의 평균 결정립 크기는 100㎛ 이하일 수 있다.
상기 변형부여단계를 수행하기 위한 처리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슬라브 재가열 전에 슬라브에 변형을 부여하여 슬라브의 표층부에 미세한 재결정 조직을 형성시킬 수 있는 것이라면, 어느 것이나 가능하다.
상기 변형부여단계를 수행하기 위한 처리의 일례로는 1000~1200℃에서 강압하 조건의 조압연처리를 들 수 있다. 상기 강압하 조건의 조압연처리온도가 1000℃ 미만인 경우에는 처리온도가 너무 낮아 미세한 재결정 조직 확보가 어려울 수 있고, 또한 조압연처리 시 변형저항이 커지는 문제가 있고, 1200℃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미세한 재결정 조직 확보 측면에서는 유리하지만, 주조 조직 내 편석대에서의 부분 용융 및 입계산화 깊이가 깊어져서 표면 품질 열화가 발생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슬라브를 강압하 조건에서 조압연처리하면, 적어도 슬라브의 표층부에서 재결정이 일어나 슬라브의 표층부에 미세한 재결정 조직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변형부여단계를 수행하기 위한 처리의 다른 일례로는 1000~1200℃의 고온단조처리를 들 수 있다. 상기 단조처리온도가 1000℃ 미만인 경우에는 처리온도가 너무 낮아 미세한 재결정 조직 확보가 어려울 수 있고, 또한 단조 처리 시 변형저항이 커지는 문제가 있고, 1200℃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미세한 재결정 조직 확보 측면에서는 유리하지만, 주조 조직 내 편석대에서의 부분 용융 및 입계산화 깊이가 깊어져서 표면 품질 열화가 발생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슬라브를 고온 단조처리하면, 적어도 슬라브의 표층부에서 재결정이 일어나 슬라브의 표층부에 미세한 재결정 조직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변형부여단계는 슬라브 표층부에 150㎛ 이상의 결정립 크기를 갖는 오스테나이트 결정립의 수가 cm2당 1개 미만이 되도록 실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변형부여단계 후의 슬라브의 표층부의 평균 결정립 크기는 100㎛ 이하일 수 있다.
상기 변형부여단계는 초기 슬라브에 대해 적어도 15% 이상의 두께 감소율을 갖도록 실시할 수 있다. 상기 두께 감소율이 너무 작은 경우에는 충분한 변형 확보가 어려워 표층부 재결정 조직의 확보가 어려울 수 있기 때문이다. 다만, 변형부여단계에서의 두께 감소율이 과도한 경우 최종 강재의 미세조직이 지나치게 미세화됨에 따라 저온인성이 열화될 수 있는바, 변형부여단계에서의 슬라브 두께 감소율은 50% 이하로 제한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두께 감소율은 15~50%일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표층부에 미세한 재결정 조직이 형성된 슬라브는 1100℃에서 60% 이상의 단면 감소율(고온 연성)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변형부여단계를 수행하기 위한 처리의 또 다른 일례로는 숏 블라스팅 법을 들 수 있다.
슬라브의 재가열 단계
상기와 같이 공냉된 슬라브를 1100~1250℃의 온도로 재가열한다. 슬라브 재가열온도가 너무 낮으면, 열간압연 시 압연하중이 과도하게 걸릴 수 있기 때문에 가열온도는 1100℃ 이상으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열온도가 높을수록 열간압연은 용이하지만, 본 강재와 같이 Mn 함량이 높은 강은 고온 가열시 내부 입계산화가 심하게 발생하여 표면품질이 나빠지는 문제가 있으므로 상기 재가열온도는 1250℃ 이하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열간압연 단계
상기와 같이 재가열된 슬라브를 850~950℃의 온도에서 열간 마무리 압연하여 열연강재를 얻는다. 열연강재의 두께는 8mm 이상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8~40mm일 수 있다.
열간압연 시, 열간 마무리 압연 온도가 고온일수록 변형저항이 낮아서 압연이 용이하지만 압연온도가 높을수록 표면품질은 저하될 수 있으므로, 950℃ 이하의 온도에서 마무리압연을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열간 마무리 압연 온도가 너무 낮으면 압연 중에 부하가 커지므로 열간 마무리 압연은 850℃ 이상에서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열간압연 단계에서 열간압연 시 최종 강재두께에 따라 마무리 압연온도를 제어할 수 있다. 이렇게 하는 경우 강도를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열간압연 단계에서 열간압연 시 최종 강재 두께가 18t[t: 강재두께(mm)] 이상일 때에는 열간 마무리 압연 마지막 패스 압연온도를 850℃ 이상 900℃ 미만으로 하고, 최종 강재 두께가 18t[t: 강재두께(mm)] 미만일 때에는 열간 마무리 압연 마지막 패스 압연온도를 900℃ 이상 950℃ 이하로 할 수 있다.
최종 강재 두께가 18t[t: 강재두께(mm)] 이상일 때, 열간 마무리 압연 마지막 패스 압연온도를 900℃ 이상으로 하는 경우에는 충분한 강도확보가 어려울 수 있다. 최종 강재 두께가 18t[t: 강재두께(mm)] 미만일 때, 열간 마무리 압연 마지막 패스 압연온도를 900℃ 미만으로 하는 경우에는 강도가 크게 상승하여 저온충격인성 저하를 가져올 수 있다.
최종 강재 두께가 18t[t: 강재두께(mm)] 이상 일 경우 열간 마무리 압연 마지막 패스 압연온도가 850℃ 미만인 경우에는 탄화물 생성온도보다 낮아 탄화물이 석출될 수 있고, 이러한 탄화물 석출에 의한 저온충격인성 하락을 가져올 수 있다. 최종 강재 두께가 18t[t: 강재두께(mm)] 미만일 경우 열간 마무리 압연 마지막 패스 압연온도가 950℃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짧은 시간에 많은 압연을 진행하기 때문에 온도 확보가 어려울 수 있다.
상기 열간압연은 강재 두께가 18t[t: 강재두께(mm)]이상 일 경우 미재결정온도(Tnr) 이하의 온도에서 전체 압하율의 40% 이상의 압하율이 되도록 실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미재결정온도(Tnr) 이하의 온도에서 압하율이 40% 미만인 경우 미세조직 내 충분한 전위의 축적이 이루어지지 않아 낮은 강도를 유발할 수 있다.
가속냉각단계
상기 열연강재를 10℃/sec 이상의 냉각속도로 600℃ 이하의 가속냉각종료온도까지 가속냉각한다. 상기 열연강재는 Cr 함량이 1~4.5 중량%이면서 C이 포함된 강종이기 때문에 저온인성 저하를 가져오는 탄화물석출을 억제하기 위해서는 가속냉각이 필수적이다.
상기 가속냉각속도가 10℃/sec 미만인 경우에는 입계에 탄화물이 석출되어 충격인성이 열위해질 우려가 있다. 상기 냉각속도는 10 ~ 40℃/sec일 수 있다. 상기 가속냉각종료온도가 600℃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상기와 같은 원인으로 입계에 탄화물이 석출되고, 이로 인해 충격인성이 열위해질 우려가 있다. 상기 가속냉각종료온도는 상온 ~ 600℃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300 ~ 400℃일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제조된 강재는 오스테나이트 단상 조직이고, 오스테나이트 조직의 평균 결정립 크기가 20~50㎛일 수 있으며, 보다 바람직한 오스테나이트 조직의 평균 결정립 크기는 20~30㎛일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제조된 강재는 50㎛ 이상의 결정립 크기를 갖는 오스테나이트 결정립의 수가 cm2당 1개 미만인 미세조직을 가질 수 있으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30㎛ 이상의 결정립 크기를 갖는 오스테나이트 결정립의 수가 cm2당 1개 미만일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제조된 강재는 -196℃에서의 압연방향(RD, rolling direction) 충격 흡수에너지가 100J 이상일 수 있으며, -196℃에서의 압연방향(RD, rolling direction) 충격 흡수에너지에 대한 -196℃에서의 두께방향(TD, thickness direction) 충격 흡수에너지의 비인 재질이방성 지수가 0.6 이상일 수 있으며, 보다 바람직한 재질이방성 지수는 0.8 이상일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제조된 강재의 항복강도는 400MPa 이상일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다만, 후술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여 보다 구체화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는 점에 유의 할 필요가 있다.
( 실시예 1)
하기 표 1의 강 조성을 갖는 슬라브를 하기 표 2의 조건으로 단조하고 상온까지 공냉한 다음, 하기 표 2의 조건으로 재가열, 열간압연 및 냉각하여 하기 표 2의 두께를 갖는 열연강재를 제조하였다.
슬라브 재가열 전의 슬라브 표층부에서 150㎛ 이상의 결정립 크기를 갖는 오스테나이트 결정립 수 (개/cm2) 및 슬라브의 고온연성을 조사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한편, 상기와 같이 제조된 열연강재에 대하여, 50㎛ 이상의 결정립 크기 및 30㎛ 이상의 결정립 크기를 갖는 오스테나이트 결정립 수 (개/cm2), 평균 결정립 크기, 석출물 분율(부피%), 항복강도, 샤르피 충격인성 및 표면 불균일 발생여부를 조사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3에서 나타내었다. 샤르피 충격인성은 열연강재의 압연방향(RD, Rolling Direction) 및 열연강재의 두께방향(TD, Thickness Direction)에 대해 각각 측정하였으며, 열간압연방향의 -196℃에서의 샤르피 충격 흡수에너지에 대한 두께방향의 -196℃에서의 샤르피 충격 흡수에너지의 비를 계산하여 재질이방성 지수를 산출하였다.
이때, 고온연성[단면감소율(%)]은 1100℃에서 1/s의 strain rate 조건으로 측정된 것이고, 샤르피 충격인성은 -196℃의 조건으로 측정된 것이고, 표면 불균일 발생여부는 도 3에서와 같이 강재를 굽힌 다음, 육안으로 관찰하여 평가된 것이다. 도 3의 (a)는 표면 불균일이 발생한 예를 나타낸 것이고, 도 3의(b)는 불균일이 미발생한 예를 나타낸 것이다.
한편, 단조처리를 적용한 발명예(3)에 대하여 단조작업 전, 후의 슬라브의 미세조직을 관찰하고, 그 결과를 도 1에 나타내었다. 도 1의 (a)는 단조작업 전의 슬라브 미세조직을 나타내고, (b)는 단조작업 후의 슬라브 미세조직을 나타낸다.
단조처리를 적용한 발명예(3) 및 단조처리를 적용하지 않은 비교예(2)에 대하여 열간압연 후의 강재 표층부의 조직을 관찰하고, 그 결과를 도 2에 나타내었다. 도 2의 (a)는 비교예(2)를 나타내고, 도 2의 (b)는 발명예(3)을 나타낸다.
강종 강 조성(중량%)
C Mn Si Al Ti Cr Cu S P N B
1 0.45 24.5 0.3 0.0271 0.031 3.7 0.50 0.0022 0.0178 0.0112 0.0029
2 0,45 24.5 0.3 0.0377 0.031 3.8 0.50 0.0012 0.0252 0.0134 0.0025
3 0.45 24.5 0.3 0.0362 0.032 3.7 0.48 0.0014 0.0239 0.0152 0.0026
4 0.45 24.5 0.3 0.0371 0.021 3.5 0.48 0.0007 0.027 0.0136 0.0025
5 0.45 24.5 0.3 0.0334 0.002 3.3 0.41 0.0013 0.0135 0.0201 0.0025
6 0.45 24.5 0.3 0.0278 0.029 3.6 0.53 0.0029 0.0192 0.0161 0.0018
7 0.45 24.5 0.3 0.0451 0.003 3.3 0.41 0.0010 0.0166 0.0172 0.0025
8 0.45 24.5 0.3 0.0266 0.029 3.3 0.42 0.0011 0.0164 0.0151 0.0028
강종 단조
온도
(1100℃)
단조
두께
감소율
(%)
슬라브
표층부
150㎛ 이상
조대립수
(개/cm2)
슬라브
고온
연성
(%)
재가열
온도
(℃)
마무리
압연
온도
(℃)
Tnr
이하
압하율 (%)
냉각
속도
(℃
/sec)
냉각
종료
온도
(℃)
강판
두께
(mm)
비고
1 미적용 - 10 24 1200 930 35 25 380 21 비교예1
2 미적용 - 5 35 1180 920 46 33.5 400 15 비교예2
3 적용 52 0.03 80 1180 800 45 8 400 20 비교예3
4 적용 28 0.1 89 1180 930 55 33.5 380 15 발명예1
5 적용 28 0.1 90 1200 930 30 23.9 372 27 발명예2
6 적용 28 0.1 87 1200 862 45 23.9 364 27 발명예3
7 적용 28 0.1 85 1220 860 55 23.9 391 27 발명예4
8 적용 28 0.1 80 1220 850 50 15 350 36 발명예5
시편
종류
강재의
50㎛ 이상 조대립 수(개/cm2)
강재의
30㎛ 이상 조대립 수(개/cm2)
강재의 평균 결정립 크기
(㎛)
석출물
분율
(부피%)
항복강도 (MPa) -196℃ 충격인성
(J, RD)
-196℃ 충격인성
(J, TD)
재질
이방성
지수
표면
불균일
비고
1 4 6 55 1%미만 384 100 57 0.57 발생 비교예1
2 3 5 52 1%미만 410 151 85 0.56 발생 비교예2
3 0.02 0.03 18 4% 565 49 43 0.87 미발생 비교예3
4 0.1 0.1 24 1%미만 465 146 122 0.84 미발생 발명예1
5 0.1 0.5 29 1%미만 356 103 91 0.88 미발생 발명예2
6 0.1 0.1 27 1%미만 410 130 119 0.92 미발생 발명예3
7 0.1 0.1 26 1%미만 462 110 97 0.88 미발생 발명예4
8 0.1 0.1 26 1%미만 433 100 101 1.01 미발생 발명예5
상기 표 1, 2 및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강 조성 및 제조조건을 모두 만족하는 발명예(1-5)의 경우에는 슬라브 표층부의 150㎛ 이상 조대립수 (개/cm2)가 1개 미만이고, 강재의 평균 결정립 크기가 50㎛ 이하이고, 50㎛ 이상 및 30 ㎛ 이상의 조대립 수(개/cm2)도 1개 미만임을 알 수 있다. 발명예(1, 3-5)의 경우에는 항복강도, 충격인성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표면 불균일도 발생하지 않음을 알 수 있다. 발명예(2)의 경우에는 항복강도는 낮지만, 충격인성이 우수하고, 표면 불균일도 발생하지 않음을 알 수 있다.
발명예(1-5)의 경우에는 강재의 평균 결정립 크기가 50㎛ 이하이고, 50㎛ 이상의 조대립 수(개/cm2)도 1개 미만이므로 최종 구조물로 가공하더라도 표면 불균일 발생 없이 우수한 표면품질을 확보할 수 있다.
이에 반하여, 단조처리를 적용하지 않은 비교예(1) 및 (2)는 슬라브 표층부의 150㎛ 이상 조대립 수(개/cm2)가 각각 10개 및 5개이며, 이로 인하여 표면 불균일이 발생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비교예(1) 및 (2)는 강재의 50㎛ 이상의 조대립 수(개/cm2)가 각각 4개 및 3개이며, 이로 인하여 최종 구조물로 가공하는 경우 표면 불균일이 발생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더불어, 비교예(1) 및 (2)는 각각 재질이방성 지수가 0.6 미만이므로, 최종 구조물에서 소재의 방향성에 따라 물성 불균일이 현저하게 발생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단조처리 조건 및 냉각조건이 본 발명의 조건을 벗어나는 비교예(3)은 오스테나이트 조직의 평균 결정립 크기가 18㎛이며, 석출물 분율이 4%이므로, 표면 불균일이 발생하지는 않지만, 충격인성이 열위한 것을 알 수 있다.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단조처리 전의 조대한 슬라브 표층부의 미세조직[도 1의(a)]은 단조처리 후에 미세하게 됨을 알 수 있다.
발명예 (1)의 슬라브를 그 표층부 조직의 결정립 크기가 도 4와 같이 되도록 단조처리를 실시하고, 단조처리 후 슬라브 표층부 조직의 결정립 크기에 따른 고온연성변화를 조사한 결과를 나타내는 도 4에서도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슬라브 표층부 조직의 결정립 크기가 미세할수록 슬라브의 고온연성은 우수하게 된다.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라 단조처리를 적용한 경우[발명예 (3)]에는 열간압연 후의 강재의 조직이 단조처리를 적용하지 않은 경우[비교예 (2)]에 비하여 미세함을 알 수 있다.

Claims (20)

  1. C: 0.3~0.8 중량%, Mn: 18~26 중량%, Si: 0.01~1 중량%, Al: 0.01~0.5 중량%, Ti: 0.1 중량% 이하(0% 제외), Cr: 1~4.5 중량%, Cu: 0.1~0.9 중량%, S: 0.03 중량% 이하(0% 제외), P: 0.3 중량% 이하(0% 제외), N: 0.001 ~ 0.03 중량%, B: 0.004 중량% 이하(0% 제외), 잔부 Fe 및 기타 불가피한 불순물을 포함하고, 미세조직이 오스테나이트 단상 조직이고, 오스테나이트 조직의 평균 결정립 크기가 20~30㎛이고, 30㎛ 이상의 크기를 갖는 오스테나이트 결정립의 수가 cm2당 1개 미만인 저온용 고 망간 강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 망간 강재는 1 부피% 이하(0% 포함)의 석출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온용 고망간 강재.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 망간 강재는 -196℃에서의 압연방향 충격에너지가 100J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온용 고망간 강재.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 망간 강재는 -196℃에서의 압연방향 충격에너지에 대한 -196℃에서의 두께방향 충격에너지의 비인 재질이방성 지수가 0.6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온용 고망간 강재.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 망간 강재는 400MPa 이상의 항복강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온용 고망간 강재.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 망간 강재는 제1항의 조성을 갖는 슬라브를 준비하는 공정, 슬라브를 재가열하는 공정과 재가열된 슬라브를 열간압연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제조방법으로 제조되는 것으로, 상기 재가열 전의 슬라브의 표층부(여기서, 슬라브 표층부는 표면에서, 슬라브 두께 방향으로 표면으로부터 2mm 깊이까지의 영역을 의미함)에는 150㎛ 이상의 크기를 갖는 결정립 수가 단위 cm2당 1개 미만인 재결정 조직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온용 고망간 강재.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재가열 전의 슬라브의 표층부의 평균 결정립 크기가 100㎛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온용 고망간 강재.
  10. 제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재가열 전의 슬라브는 1100℃에서 60% 이상의 단면 감소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온용 고망간 강재.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 망간 강재는 8.0~40mm의 두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온용 고망간 강재.
  12. C: 0.3~0.8 중량%, Mn: 18~26 중량%, Si: 0.01~1 중량%, Al: 0.01~0.5 중량%, Ti: 0.1 중량% 이하(0% 제외), Cr: 1~4.5 중량%, Cu: 0.1~0.9 중량%, S: 0.03 중량% 이하(0% 제외), P: 0.3 중량% 이하(0% 제외), N: 0.001 ~ 0.03 중량%, B: 0.004 중량% 이하(0% 제외), 잔부 Fe 및 기타 불가피한 불순물을 포함하는 슬라브를 준비하는 단계;
    상기 슬라브의 표층부에 미세한 재결정 조직이 형성되도록 슬라브에 변형을 가하는 변형부여단계;
    상기와 같이 표층부에 미세한 재결정 조직이 형성된 슬라브를 상온까지 공냉하는 단계;
    상기와 같이 공냉된 슬라브를 1100~1250℃의 온도로 가열하는 재가열 단계;
    상기와 같이 재가열된 슬라브를 850~950℃의 온도에서 마무리 압연하여 열연강재를 얻는 열간압연 단계; 및
    상기 열연강재를 10℃/sec 이상의 냉각속도로 600℃ 이하의 가속냉각종료온도까지 가속냉각하는 가속냉각단계를 포함하는 저온용 고 망간 강재의 제조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변형부여단계는 1000~1200℃에서 강압하 조건의 조압연처리에 의해 실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온용 고 망간 강재의 제조방법.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변형부여단계는 1000~1200℃의 고온 단조처리에 의해 실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온용 고 망간 강재의 제조방법.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변형부여단계는 상기 슬라브의 표층부(여기서, 슬라브 표층부는 표면에서, 슬라브 두께 방향으로 표면으로부터 2mm 깊이까지의 영역을 의미함)에, 150㎛ 이상의 크기를 갖는 결정립 수가 단위 cm2당 1개 미만인 재결정 조직이 형성되도록 실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온용 고 망간 강재의 제조방법.
  16. 제12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변형부여단계 후의 슬라브의 표층부의 평균결정립 크기가 100㎛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온용 고 망간 강재의 제조방법.
  17. 제12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변형부여단계는 초기 슬라브에 대해 15~50%의 두께 감소율을 갖도록 실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온용 고 망간 강재의 제조방법.
  18.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열간압연단계에서 열간압연 시 최종 강재 두께가 18t[t: 강재두께(mm)] 이상일 때에는 열간 마무리 압연 마지막 패스 압연온도가 850℃ 이상 900℃ 미만이고, 최종 강재 두께가 18t[t: 강재두께(mm)] 미만일 때에는 열간 마무리 압연 마지막 패스 압연온도가 900℃ 이상 950℃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온용 고 망간 강재의 제조방법.
  19.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열간압연단계에서 열간압연 시 강재 두께가 18t[t: 강재두께(mm)] 이상 일 경우 미재결정온도(Tnr) 이하의 온도에서의 압하율이 전체 압하율의 40%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온용 고 망간 강재의 제조방법.
  20.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열연강재는 8~40mm의 두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온용 고 망간 강재의 제조방법.
KR1020180115926A 2017-10-18 2018-09-28 표면품질이 우수한 저온용 고 망간강재 및 제조방법 KR1021092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20521408A JP6947922B2 (ja) 2017-10-18 2018-10-11 表面品質に優れた低温用高マンガン鋼材及びその製造方法
CN201880067461.7A CN111225992B (zh) 2017-10-18 2018-10-11 具有优异的表面品质的用于低温的高锰钢及其制造方法
US16/649,739 US11584970B2 (en) 2017-10-18 2018-10-11 High manganese steel for low temperature applications having excellent surface quality and a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EP18868100.1A EP3699313B1 (en) 2017-10-18 2018-10-11 High manganese steel for low temperature, having excellent surface quality,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PCT/KR2018/011937 WO2019078538A1 (ko) 2017-10-18 2018-10-11 표면품질이 우수한 저온용 고 망간강재 및 제조방법
EP21193240.5A EP3974556A1 (en) 2017-10-18 2018-10-11 High manganese steel for low temperature, having excellent surface quality
CA3076812A CA3076812C (en) 2017-10-18 2018-10-11 High manganese steel for low temperature, having excellent surface quality,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70135464 2017-10-18
KR1020170135464 2017-10-1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43466A KR20190043466A (ko) 2019-04-26
KR102109270B1 true KR102109270B1 (ko) 2020-05-12

Family

ID=662814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15926A KR102109270B1 (ko) 2017-10-18 2018-09-28 표면품질이 우수한 저온용 고 망간강재 및 제조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1584970B2 (ko)
EP (2) EP3974556A1 (ko)
JP (1) JP6947922B2 (ko)
KR (1) KR102109270B1 (ko)
CN (1) CN111225992B (ko)
CA (1) CA3076812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4249621A4 (en) * 2021-02-08 2024-06-05 JFE Steel Corporation STEEL MATERIAL AND PRODUCTION METHOD THEREOF, AND TANK AND PRODUCTION METHOD THEREFOR
CN115572800A (zh) * 2022-10-31 2023-01-06 昆明理工大学 一种复合析出相提高高锰钢性能的处理方法
CN117344230B (zh) * 2023-10-08 2024-05-17 燕山大学 一种分体式辙叉心轨和翼轨镶嵌块用高锰钢及其应用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26715A (ja) 2005-11-04 2007-05-24 Sumitomo Metal Ind Ltd 高Mn鋼材及びその製造方法
JP2016196703A (ja) * 2015-04-02 2016-11-24 新日鐵住金株式会社 極低温用高Mn鋼材

Family Cites Families (3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4903B2 (ja) 1985-04-09 1994-01-19 新日本製鐵株式会社 脆性き裂伝播停止特性の優れた厚鋼板およびその製造法
JPS621823A (ja) * 1985-06-25 1987-01-07 Kobe Steel Ltd 被削性にすぐれた高Mn非磁性鋼の製造方法
JPH05148589A (ja) * 1991-11-27 1993-06-15 Aichi Steel Works Ltd 熱間工具鋼
ES2121985T3 (es) * 1991-12-30 1998-12-16 Po Hang Iron & Steel Chapa de acero austenitico rico en manganeso con conformabilidad, resistencia y soldabilidad superiores, y procedimiento para su fabricacion.
JPH06322440A (ja) * 1993-05-12 1994-11-22 Nippon Steel Corp 高マンガン非磁性鋼片の圧延方法
KR970001324B1 (ko) 1994-03-25 1997-02-05 김만제 열간가공성이 우수한 고망간강 및 그 열간압연 방법
JP3384890B2 (ja) * 1994-09-30 2003-03-10 日新製鋼株式会社 表面性状に優れたオーステナイト系ステンレス鋼の製造方法
JP3593182B2 (ja) * 1995-07-07 2004-11-24 新日本製鐵株式会社 フェライト系ステンレス熱間圧延鋼帯の表面疵防止方法
JPH09137219A (ja) * 1995-11-13 1997-05-27 Kobe Steel Ltd 平坦度の良好な非調質高張力鋼板の製造方法
KR100320959B1 (ko) 1996-12-30 2002-06-20 전선기 극저온충격특성이우수한고망간강및그제조방법
JP2000178646A (ja) * 1998-12-15 2000-06-27 Sumitomo Metal Ind Ltd B含有オーステナイト系ステンレス鋼板の製造方法
KR100946051B1 (ko) 2002-12-27 2010-03-09 주식회사 포스코 용접성이 우수한 고강도 후육강판 제조방법
JP4464811B2 (ja) * 2004-12-22 2010-05-19 新日本製鐵株式会社 延性に優れた高強度低比重鋼板の製造方法
KR100711371B1 (ko) 2005-12-20 2007-04-30 주식회사 포스코 극저온 인성이 우수한 라인파이프용 후강판 및 그 제조방법
JP2009074123A (ja) * 2007-09-19 2009-04-09 Nippon Steel Corp 表面品質が良好なNi含有鋼の製造方法
KR20090070509A (ko) 2007-12-27 2009-07-01 주식회사 포스코 고연성 및 고강도를 가지는 고망간 도금강판 및 그제조방법
DE102008056844A1 (de) 2008-11-12 2010-06-02 Voestalpine Stahl Gmbh Manganstahlband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desselben
KR20110009792A (ko) 2009-07-23 2011-01-31 주식회사 포스코 고온연성 및 내지연 파괴 특성이 우수한 오스테나이트계 강판 및 그 제조방법
JP5618932B2 (ja) 2011-07-22 2014-11-05 株式会社神戸製鋼所 非磁性鋼線材又は棒鋼、及びその製造方法
JP6078554B2 (ja) * 2011-12-27 2017-02-08 ポスコPosco 被削性及び溶接熱影響部における極低温靱性に優れたオーステナイト系鋼材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417231B1 (ko) 2011-12-28 2014-07-08 주식회사 포스코 저온인성 및 인장특성이 우수한 압력용기용 극후강판 및 그 제조 방법
DE112014003038T5 (de) * 2013-06-27 2016-03-24 Hyundai Steel Company Hochfester-Stahl-Blech und Herstellungsverfahren dafür
JP6377745B2 (ja) 2013-08-14 2018-08-22 ポスコPosco 超高強度鋼板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543915B1 (ko) * 2013-12-25 2015-08-11 주식회사 포스코 항복강도가 우수한 오스테나이트계 저온용 강판 및 그 제조 방법
KR101543916B1 (ko) 2013-12-25 2015-08-11 주식회사 포스코 표면 가공 품질이 우수한 저온용강 및 그 제조 방법
KR101609242B1 (ko) 2014-10-16 2016-04-05 한국생산기술연구원 부분 재결정을 이용한 쌍정유기소성강의 제조방법
KR101665821B1 (ko) * 2014-12-24 2016-10-13 주식회사 포스코 표면 가공 품질이 우수한 저온용 강판 및 그 제조방법
KR101647227B1 (ko) * 2014-12-24 2016-08-10 주식회사 포스코 표면 가공 품질이 우수한 저온용 강판 및 그 제조 방법
WO2017111510A1 (ko) * 2015-12-23 2017-06-29 주식회사 포스코 열간 가공성이 우수한 비자성 강재 및 그 제조방법
KR101889187B1 (ko) 2015-12-23 2018-08-16 주식회사 포스코 열간 가공성이 우수한 비자성 강재 및 그 제조방법
CN105861943B (zh) 2016-05-20 2018-05-25 首钢集团有限公司 一种冷轧高强孪晶诱发塑性钢及其生产方法
CN111663085B (zh) 2020-07-02 2021-08-27 武汉科技大学 一种超高强度和塑性的热轧奥氏体低密度钢及生产方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26715A (ja) 2005-11-04 2007-05-24 Sumitomo Metal Ind Ltd 高Mn鋼材及びその製造方法
JP2016196703A (ja) * 2015-04-02 2016-11-24 新日鐵住金株式会社 極低温用高Mn鋼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43466A (ko) 2019-04-26
EP3699313A1 (en) 2020-08-26
JP2020537714A (ja) 2020-12-24
CN111225992B (zh) 2022-04-19
US20200263268A1 (en) 2020-08-20
CA3076812A1 (en) 2019-04-25
JP6947922B2 (ja) 2021-10-13
CA3076812C (en) 2022-06-14
US11584970B2 (en) 2023-02-21
EP3699313B1 (en) 2021-12-01
CN111225992A (zh) 2020-06-02
EP3699313A4 (en) 2020-08-26
EP3974556A1 (en) 2022-03-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99692B1 (ko) 극저온용 오스테나이트계 고 망간 강 및 제조방법
KR100957970B1 (ko) 후물 고강도 고인성 강판 및 그 제조방법
KR101543916B1 (ko) 표면 가공 품질이 우수한 저온용강 및 그 제조 방법
KR101767778B1 (ko) 응력부식균열 저항성 및 저온인성이 우수한 저항복비 고강도 강재
EP3395984B1 (en) Steel sheet having excellent pwht resistance for low-temperature pressure vessel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KR101665821B1 (ko) 표면 가공 품질이 우수한 저온용 강판 및 그 제조방법
KR101736611B1 (ko) 취성균열전파 저항성 및 용접부 취성균열개시 저항성이 우수한 고강도 강재 및 그 제조방법
KR101867701B1 (ko) 수소유기균열 저항성이 우수한 압력용기용 강재 및 그 제조방법
KR102109270B1 (ko) 표면품질이 우수한 저온용 고 망간강재 및 제조방법
KR20120075274A (ko) 극저온 인성이 우수한 고강도 강판 및 그 제조방법
JP2018024905A (ja) 脆性亀裂伝播停止特性に優れた構造用高強度厚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1353843B1 (ko) 용접 열영향부 극저온 인성이 우수한 오스테나이트 강재
KR20160063532A (ko) Pwht 저항성이 우수한 저온용 압력용기용 강판 및 그 제조 방법
KR101657840B1 (ko) 취성균열전파 저항성이 우수한 고강도 강재 및 그 제조방법
JP5428999B2 (ja) Lpg・アンモニア混載用鋼材の製造方法
KR102255827B1 (ko) 표면품질이 우수한 극저온용 오스테나이트계 고망간 강재 및 그 제조방법
KR101560943B1 (ko) 저온 인성이 우수한 강관용 열연강판 및 그 제조방법
KR20150075336A (ko) 피로균열 저항성이 우수한 저온용강
KR20180073207A (ko) 저온인성과 암모니아 응력부식균열(scc) 저항성이 우수한 고강도 저항복비 강재 및 그 제조방법
KR102153170B1 (ko) 강도 및 dwtt 저온인성이 우수한 극후물 열연강판 및 그 제조방법
KR101543915B1 (ko) 항복강도가 우수한 오스테나이트계 저온용 강판 및 그 제조 방법
KR20160078713A (ko) 피로균열저항성이 우수한 오스테나이트계 저온용강
WO2018030186A1 (ja) 高強度厚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1439791B1 (ko) 수소유기균열 저항성이 우수한 강관용 강판 및 그 제조방법
KR102275814B1 (ko) 해양 구조물용 초고강도 고인성 극후 강판 및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