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20959B1 - 극저온충격특성이우수한고망간강및그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극저온충격특성이우수한고망간강및그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20959B1
KR100320959B1 KR1019960077693A KR19960077693A KR100320959B1 KR 100320959 B1 KR100320959 B1 KR 100320959B1 KR 1019960077693 A KR1019960077693 A KR 1019960077693A KR 19960077693 A KR19960077693 A KR 19960077693A KR 100320959 B1 KR100320959 B1 KR 1003209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el
molten steel
less
low temperature
impact characteristic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776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58369A (ko
Inventor
박상덕
송치복
정경조
김창석
Original Assignee
전선기
기아특수강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선기, 기아특수강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전선기
Priority to KR10199600776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20959B1/ko
Publication of KR199800583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583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209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20959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4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 C22C38/5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with more than 1.5% by weight of manganese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CPROCESSING OF PIG-IRON, e.g. REFINING, MANUFACTURE OF WROUGHT-IRON OR STEEL; TREATMENT IN MOLTEN STATE OF FERROUS ALLOYS
    • C21C5/00Manufacture of carbon-steel, e.g. plain mild steel, medium carbon steel or cast steel or stainless steel
    • C21C5/52Manufacture of steel in electric furnace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CPROCESSING OF PIG-IRON, e.g. REFINING, MANUFACTURE OF WROUGHT-IRON OR STEEL; TREATMENT IN MOLTEN STATE OF FERROUS ALLOYS
    • C21C7/00Treating molten ferrous alloys, e.g. steel, not covered by groups C21C1/00 - C21C5/00
    • C21C7/04Removing impurities by adding a treating agent
    • C21C7/06Deoxidising, e.g. killing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CPROCESSING OF PIG-IRON, e.g. REFINING, MANUFACTURE OF WROUGHT-IRON OR STEEL; TREATMENT IN MOLTEN STATE OF FERROUS ALLOYS
    • C21C7/00Treating molten ferrous alloys, e.g. steel, not covered by groups C21C1/00 - C21C5/00
    • C21C7/04Removing impurities by adding a treating agent
    • C21C7/064Dephosphorising; Desulfurising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2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silicon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4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 C22C38/42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with copper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4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 C22C38/44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with molybdenum or tungsten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2211/00Microstructure comprising significant phases
    • C21D2211/001Austenit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Heat Treatment Of Stee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크롬(Cr), 니켈(Ni)이 다량 함유된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레스강및 9% 니켈(Ni)강 등 주로 저온에서 사용되는구조용 소재에 있어서, 고가이고 전략적으로 중요한 원소인 Cr, Ni을 저가의 Mn, Al, Si로 대체하고, 첨가 C, Mo량을 조정함과 동시에 경희토류 원소(Ce, La, Nd, Pr, Y : 이하 RE라 칭함)를 소량 첨가하여 AL2O3, MnS 비금속개재물을 5μm이하의 구상인 RE계 복합개재물로 변화시켜 소량 잔존시키는 것을 큰 특징으로 하며, 이와 같은 새로운 합금설계로 낮은 제조원가와 간단한 열처리로 기존 저온용 소재보다 극저온에서 높은 충격인성을 보유함과 동시에 충격이방성을 극소화시킨 극저온용 망간강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극저온용 망간강은 중량%로서 C 0.45∼0.55%, Si 0.4∼ 0.8%, Mn 16∼22%, Ni 1.5∼4%, Cr 2∼5.5%, Mo0.1∼0.3%, Al 1∼2.5%, Cu 0.1∼ 0.2%를 함유하고, 잔량은 Fe와 전기로 제강시 함유될 수 있는 미량 불순물들로 이루어지고, 그 제조방법은 상기 성분 범위들로 용제된 용강을 1,600±100℃에서 잉고트나 연속주조로서 응고시키는 단계; 응고된상기 성분의 용강을 1,000∼1,300℃에서 일정시간 균질화 처리후 열간가공을 실시하는 단계; 및 1,100±100℃에서 일정시간 유지후 수냉하는 용체화처리를 실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극저온 충격특성이 우수한 고망간강 및 그 제조방법
본 발명은 크롬(Cr), 니켈(Ni)이 다량 함유된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레스 강및 9% 니켈강 등 주로 저온에서 사용되는 구조용 소재에 있어서 고가이고 전략적으로 중요한 원소인 Cr, Ni을 저가의 Mn, Al, Si으로 대체하고, 첨가 C, Mo량을 조정함과 동시에 경희토류원소(Co, LA, Nd, Pr, Y:이하 RE로 칭함)을 소량 첨가하여 Al2O3, MnS 비금속 개재물을 5㎛이하의구상인 RE계 복합개재물로 변화시켜 소량 잔존시키는 것을 큰 특징으로 하는 극저온용 소재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극저온 충격특성이 우수한 고망간강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레스 강 및 9% 니켈강은 현재 저온에서 주로 사용되는 구조용 소재로 대표되는데, 전자는 면심입방격자(Face Centered Cubic : FCC)구조로서 저온에서 인성은 높으나 고가의 크롬, 니켈을 다량 함유하고 있어 제조원 가가고가라는 문제점이 있으며, 후자는 체심입방격자(Body Centered Cubic : BCC)구조로서 저온에서 강도는 높으나 저온에서취성파괴에 의한 연성-취성전이 온도영역이 존대하여 -196℃ 부근의 극저온에서 극격한 인성저하 및 니켈에 의한 높은 제조원가가 문제시 되었다.
또한, 상기 소재들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노력한 특허강(대한민국 특허공보 92-4941, 92-8686 및 일본특허공고공보소 51-155541, 소 59-11661)이 이미 공지되었으나, 각각 열간 소성 가공방향(L)과 소성 가공직각방향(T)의 충격 이방성과소입/소려의 열처리 과정 간략화를 함께 고려하지 않은 문제점이 존재한다.
저온에서 소재의 우수한 인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안정한 오스테나이트 단일상이 요구되며, 오스테나이트의 안정성이 작을 때는 강도는 크고 연성은 작게 되고 오스테나이트의 안정성이 클 때는 강도는 작고 연성은 크다.
FCC 구조인 오스테나이트의 안정성은 크게 화학조성, 온도, 적층결함에너지, 변형량 등에 의해 영향을 받는데, 이중 화학조성 변화요인은 적층결함에너지에 영향을 미치고 이 적층결함에너지가 오스테나이트의 안정성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요인이 되어, 결과적으로 화학조성 변화요인은 소재의 인성에 영향을 미친다.
FCC 금속에서 적층결함에너지는 1/2[110]의 버거스 벡터를 가지는 완전전위가 1/6[112]의 부분전위 쌍으로 분해되어진 적층결함 영역의 넓이와 관련이 있다.적층결함 에너지가 낮으면 넓은 적층결함 영역을 이루게 되고, 이 영역은 안정해져서다른 슬립면으로의 교차슬립이 어려워진다. 이러한 적층결함 영역은 FCC의(111)면상에 형성되고 이 영역이 FCC-HCP변태의 핵 생성 위치로 작용하게 되는데, 적층결함 에너지가 낮을 수록 적층 결함을 형성하는 영역은 넓어져서 γ-ε 변태가용이하게 된다. 반면, 적층결함에너지가 높은 경우는 1/6[112]로 분해되어진 부분 전위쌍으로 이루어지는 적층결함영역은작아지고, 다른 슬립면으로의 교차슬립이 용이해져서 적층결함영역을 감소시키고, γ-ε 변태를 억제한다.
강중의 니켈은 높은 적층 결함에너지를 형성하여 전위의 교차슬립을 용이하게 하여 벽개파괴보다 소성변형을 먼저 일어나게 하므로써 강의 저온인성을 향상시키며, 순수하게니켈을 망간으로만 대체하면 보다 낮은 적층결함에너지에 의해 니켈강에서는 나타나지 않는 ε-마르텐사이트가 나타난다. 이러한 ε-마르텐사이트의 발생은 합금의 강도는 증가시키지만 연성을 저하시킨다. 따라서 니켈을 함유하고 있는 재료를 망간으로 대체하고자 할 때는 인성향성과 더불어 ε-마르텐사이트의발생으 최대한 억제하는 것이 중요하다.
본 발명은 기존 저온용 소재에 다량 함유된 니켈, 크롬을 망간으로 대체하고, 이에 따라 저온에서 나타날 수 있는 ε-마르텐사이트의 발생을 억제하기 위하여 적정량 알루미늄, 실리콘을 첨가함과 동시에 탄소, 몰리브덴 성분 조정을 통하여극저온에서도 오스테나이트 단일상을 유지하므로써 저가이고 극저온 충격특성이 우수한 고망간강의 제조를 가능하게 하는극저온 충격특성을 우수한 고망간강 및 그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조방법에 의하여 성분조정을 완료후 소량의 RE를 진공정련직후, 연주시 하주주입관내 및 몰드내인 특정 첨가시기에 2성분 이상 첨가하여 Al2O3, MnS의 단독생성을 완전하게 제어함과 동시에 5㎛이하의 구상인 RE계 복합개재물(RE-oxysulfide, RE-sulfide)로 변화시켜 소량 잔존시킴에 따라 청정도 향상, 응고조직개선, 석출탄화물 미세화및 오스테나이트 입도 미세화를 달성하므로써, 우수한 저온충격인성 및 충격 이방성이 극소화된 고망간강의 제조를 가능하게 할 수 있는 극저온 충격특성이 우수한 고망간장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다른목적이 있다.
도 1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망간강의 상온에서의 미세조직사진이고, 도 1B는 고망간강의 -196℃ 충격시험 후 미세조직사진.
도 2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망간강의 비금속 개재물 형상을 도시한 사진이고, 도 2B는 종래의 실시예에 따른 망간강의 비금속개재물 형상을 비교한 사진.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극저온 충격특성이 우수한 고망간강은, 중량%로서 C 0.45~0.55%, Si 0.4∼0.8%, Mn 16∼22%, Ni 1.5∼4%, Cr 2∼5.5%, Mo 0.1∼0.3%, Al 1∼2.5%, Cu 0.1∼0.2%를 함유하고, 잔량은 Fe와 전기로 제강시함유될 수 있는 미량 불순물들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용강내 산소량을 10ppm이하, 황량을 50ppm이하로 하는 예비 탈산 및 예비 탈황과정을 기본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극 저온 충격특성이 우수한 고망간강은 중량%로서 C 0.45∼0.55%, Si 0.4∼0.8%, Mn 16∼22%, Ni 1.5∼4%, Cr 2∼5.5%, Mo 0.1∼0.3%, Al 1∼2.5%, Cu 0.1∼0.2%, RE 0.0001∼1.5%를 함유하고, 잔량은 Fe와 전기로 제강시 함유될 수 있는 미량 불순물들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용강내 산소량을 10ppm이하, 황량을 50ppm이하로 하는 예비 탈산 및 예비 탈황과정을 기본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극 저온 충격특성이 우수한 고망간강의 제조방법은, 중량%로서 C 0.45∼0.55%, Si 0.4∼0.8%, Mn 16∼22%, Ni 1.5∼4%, Cr 2∼5.5%, Mo 0.1∼0.3%, Al 1∼2.5%, Cu 0.1∼0.2%, RE 0.0001∼1.5%를 함유하고, 잔량은 Fe와 전기로 제강시 함유될 수 있는 미량 불순물들로 이루어지고, 용강내 산소량을 10ppm이하, 황량을 50ppm이하로 하는 예비 탈산 및 예비 탈황과정을 기본으로하는 용제된 용강을 준비하는 단계; 준비된 용강을 잉고트나 연속주조로서 응고시키는 단계; 응고된 성분의 용강을 1000℃∼1300℃ 범위내에서 균질화처리후 800℃ 이상의 온도에서 열간가공을 실시하는 단계; 및 열간가공된 용강을 1100℃±100℃에서 오스테나이트화 한후 급냉하는 용체화처리를 실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에서, 상술한 응고단계는 온도는 1,600±100℃ 범위에서부터이다.
또 다른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극 저온 충격특성이 우수한 고망간강의 제조방법은, 중량%로서 C 0.45∼0.55%, Si 0.4∼0.8%, Mn 16∼22%, Ni 1.5∼4%, Cr 2∼5.5%, Mo 0.1∼0.3%, Al 1∼2.5%, Cu 0.1∼0.2%를 함유하고, 잔량은 Fe와 전기로 제강시 함유될 수 있는 미량 불순물들로 이루어지고, 용강내 산소량을 10ppm이하, 황량을 50ppm이하로 하는 예비 탈산 및 예비 탈황과정을 기본으로하는 용제된 용강을 준비하는 단계; 준비된 용강을 잉고트나 연속주조로서 응고시키는 단계; 응고된 성분의 용강을 1000℃∼1300℃ 범위내에서 균질화처리후 800℃ 이상의 온도에서 열간가공을 실시하는 단계; 및 열간가공된 용강을 1100℃±100℃에서 오스테나이트화 한후 급냉하는 용체화처리를 실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에서, 응고단계의 온도는 1,600±100℃ 범위에서부터이다.
이하, 본 발명강의 화학성분 첨가 이유와 성분범위를 중량%로 나타내고 한정이유를 설명한다.
C : C는 오스테나이트의 안정성을 높이는 원소이고 높은 적층결함에너지 영역에서도 ε-마르텐사이트의 발생을 억제한다. 0.45% 이하에서는 오스테나이트 안정화 효과가 둔화되며, 0.6% 이상에서는 용접성 감소 및 탄화물 과다 석출에 의해 저온충격인성이 감소하므로 0.45∼0.55%로 한정한다.
Si : Si는 고망간강에서 저온에서의 ε-마르텐사이트의 발생을 억제하고 강력한 탈산제로 작용함과 동시에 고용강화효과가 있는 원소로서 적극적으로 첨가하지만, 과량첨가시 용접성 불량, 특히 공정탄화물 과다 생성에 의해 충격인성이 오히려 저하되고, 미량첨가될 경우 탈산력 감소, 고용강화 효과 및 ε-마르텐사이트 발생 억제효과가 둔화되므로 0.4∼0.8%로 한정한다.
Ni : Ni은 오스테나이트 안정화 원소이고 모재를 강화하는 원소로서 내식성부여 및 저온 충격인성 확보에 필수적인 첨가원소로서 무엇보다 저온 인성에 있어 높은 적층결함에너지를 형성하여 전위의 교차슬립을 용이하게 하여 벽개파괴보다 소성변형을 먼저 일어나게 함으로서 강의 저온인성 향상에 필수적인 첨가원소이다.4% 이상은 본 발명의 큰 특성인 Ni 의 Mn 대체에 의한 경제성을 상실하여 경제적이 못할 뿐만아니라 발명간 특성상 Mn(16%∼22%) 첨가량 대비 더 이상의 저온 충격인성 향상은 미미하고, 1.5% 이하로 첨가되었을 경우 α-마르텐사이트 및 ε-마르텐사이트가 발생되어 저온취성을 일으켜 저온인성의 저하를 가져오므로 1.5%∼4%로 한정한다.
Mn : Mn은 오스테나이트 안정화 원소이고 모재를 강화하는 원소로서 저온충격인성 확보에 필수적인 원소로 적극적으로첨가하지만, Al 및 Si 첨가량과 관계하여 22% 이상 첨가할 경우 첨가량에 상응하는 인성향상 효과를 기대할 수 없고, 16%이하로 첨가될 경우 α(알파프라임)-마르텐사이트 및 ε-마르텐사이트가 발생되어 저온 취성의 위엄이 있으므로 16∼22%로 한정한다.
Cr : Cr은 오스테나이트 안정화 원소이고 모재를 강화하는 원소로서 내식성부여 및 저온 충격인성 확보를 위하여 첨가한다. 소량 첨가시 상기 효과를 기대할수 없고, 과량 첨가시 첨가량에 비하여 경제적이지 못할 뿐만 아니라 거대 Cr 탄화물 과다 생성에 의해 충격인성이 오히려 저하된다. 본 발명에선 Mn으로 대체한 관계로 상기 효과들과 경제성을 함께 고려하여 2∼5.5%로 한정한다.
Mo : Mo는 오스테나이트를 안정화하고 모재를 강화시킬 목적으로 첨가한다. 소량 첨가시 상기 효과를 기대할 수 없고, 과량 첨가시 경제적이지 못할 뿐만 아니라 오히려 안정화 탄화물의 증가로 인하여 피삭성 및 충격인성을 해치므로 0.1∼0.3%로 한정한다.
Al : Al은 강력한 탄산제로서 결정립 미세화 효과가 있다. 또한 고 망간강에있어서 광범위한 온도범위에서 오스테나이트를 안정화하며, 적층결함에너지를 높여 e-마르텐사이트의 발생을 억제함에 따라 극저온 충격인성 확보에 필수적인 원소이다. 그러나, Mn함유량과 관계하여 1%이하에서는 ε-마르텐사이트가 발생되며, 2.5% 이상에서는 δ-페라이트의 형성에의한 2상 조직이 나타나 오히려 저온 충격인성을 저하시키므로 1∼2.5%로 한정한다.
Cu : Cu는 오스테나이트 안정화, 내식성 부여 및 석출강화를 위하여 첨가한다. 소량첨가시 상기 효과를 개대할 수 없고,과량 첨가시 적열취성에 의해 열간가공성을 해치므로 0.1∼0.2%로 한정한다.
경희토류 원소(RE) : Ce, La, Nd, Pr, Y의 경희토류 원소는 Al2O3, MnS 비금속개재물의 형상을 구상화시키며, 이에 따라 청정도 향상, 응고조직 개선, 석출탄화물 미세화, 오스테나이트 입도 미세화를 달성하여 충격특성 향상 및 피삭성을 향상시킬 목적으로 첨가한다. 소량 첨가시 상기 효과를 기대할 수 없고, 과량 첨가시 오히려 상기 특성을 해칠 뿐만 아니라 첨가량에 비하여 경제적이지 못하므로 0.0001 ∼0.15%로 한정한다.
[실시예]
하기의 표1에 발명강과 종래강의 화학성분 및 RE%/S%와 [RE%][S%]는 나타내었다.
발명강(A∼F)은 진공유도로에서 중량%로서 C 0.45∼0.55%, Si 0.4∼0.8%, Mn 16∼22%, Ni 1.5∼4%, Cr 2∼5.5%, Mo 0.1∼0.3%, Al 1∼2.5%, Cu 0.1∼0.2%, RE0.0001∼1.5%를 함유하고, 잔량은 Fe와 전기로 제강시 함유될 수 있는 미량 불순물들로 이루어지는 성분 범위들로 용제된 용강을 용제후 10Kg급 잉고트로 제작하였고, 종래강(G∼I) 역시 진공유도로를 이용하여 용강을 용제후 10Kg급 잉고트로 제작하였다. 이러한 잉고트나 연속주조재는 일반적인 특수강의 용융온도범위인 약 1600 ± 100에서부터 응고를 시작한다.
제작된 잉고트는 균질화 처리를 행하는데, 이는 용질원소들의 완전확산을 위한 것으로 바람직하기로는 1000℃ 내지 1300℃의 범위에서 이루어진다. 약 1000℃ 미만에서는 용질원소의 확산이 완전하게 이루어지지 못하고, 약 1300℃를 넘게 되면 과열되어 용강이 국부적으로 용융되는 현상이 발생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1,200±50℃로 가열하여 5시간 균질화 처리를 행하였다. 본 실시예에서는 대략 25.4mm/30분 이상을 하게 되어 약 5시간 정도가 소요되었다. 이어, 압연 등과 같은 방법으로 열간 가공을 실시하는데, 열간 가공은 통상 재결정온도 이상에서 실시 된다. 이는 그 온도 이상에서는 과히 가공경화가 많이 일어나지 않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고망간강은 약 800℃ 이상에서의 가공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1170℃에서 32mmΨ로 열간가공을 행하였다. 계속하여 소성가공 제품화된 소재를 용체화처리를 행하는데, 이 용체화처리에서 오스테나이트화되며, 바람직하기로는 1100℃ ± 100℃ 범위 내에서 행하는 것이다. 1000℃ 미만에서는 확산이 충분하게 일어나치 않고, 1200℃ 가 넘으면 소재가 국부적으로 파괴될 수 있으며 또한 오스테나이징의 결정립 성장이 너무 급속히 진행되어 기재특성이 악화되기 때문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용체화처리는 1,100±20℃에서 1시간 경과 후, 수냉를 실시하였다. 단 종래강 J는 소입/소려 처리를 하였다. 이후, 온도 변화에 따른 충격특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액체질소를 이용하여 상온, -100℃, -196℃에서 KSBO810의 규정에 따라 충격 시험을 실시하였다.
발명강(A∼F)과 종레강(G∼J)의 충격특성을 온도변화에 따라 평가한 결과를 충격치 및 열간 소성 가공방향과 소성 가공직각방향의 충격 이방성비(T/L)로 구분하여 표2에 나타내었다.
표2를 참조하면, 전체적으로 볼 때, 상온, -100℃, -196℃ 모두에서 발명강이 종래강에 비하여 충격인성이 우수하다. 또한, 발명강은 종래강에 비하여 충격 이방성비가 1에 가깝게 분석됨에 따라 열간 소성 가공방향과 소성 가공 직각방향의충격이방성이 극소화되었다. 특히 -196℃의 극저온 충격특성은 종래강에 비하여 현저하게 나타난다.
도1A와 도1B는 발명강 A의 용체화 처리후 상온 및 -196℃ 충격시험후의 미세조직을 각각 나타낸 것이다.
도1A를 참조하면, 본 발명강은 상온에서 안정한 오스테나이트 조직을 보이고, -196℃ 충격시험후 미세조직 역시 안정한오스테나이트 조직에 변형 유기 오스테나이트 조직이 보인다. 또한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발명강 모두에서 같은 미세조직을 나타낸다.
도2A와 도2B는 열간 소성가공후 발명강 C 및 종래강 I의 비금속개재물 혀상을 각각 도시한 것이다.
도2B를 참조하면, 종래강 I의 경우, MnS는 가공방향으로 연신되고, Al2O3는 가공방향으로 깨어진 것이 보인다. 반면, 도2A에 도시된 발명강 C의 경우, 5μm이하의 구상인 RE계 복합 개재물이 열간가공후에도 연신되거나 깨어짐 없이 잉고트 상태그대로를 유지하고 있다.
따라서, 발명강 A, B, C는 기존 저온용 소재인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레스강 (종래강 G)과 9% 니켈강(종래강 J)에 다량 함유된 고가의 Cr, Ni 함량을 낮춤과 동시에 고가의 Cr, Ni을 저가의 Mn, Al, Si으로 대체하고 함유 C, Mo량을 조정한 결과실온 및 저온에서 안정한 오스테나이트를 형성하고 순수 망간강(종래강 H, I)에서 나타날 수 있는 ε-마르텐사이트의 형성을 최대한 억제하므로써 우수한 충격인성을 보유할 뿐만 아니라 제조원가가 낮다는 잇점이 있다.
또한, 발명강 D, E, F는 위 발명강의 성분조성에 소량의 RE를 첨가하여 종래 저온용 소재의 충격인성 저하 및 충격이방성비를 크게 하는 Al2O3, MnS 비금속 개재물의 단독생성을 완전하게 제어함과 동시에 5㎛ 이하의 구상 형태의 RE계 복합개재물을 소량 잔존시키므로써, 청정도 향상, 응고조직 개선, 오스테나이트 입도미세화 및 석출탄화물 미세화를 이루어 보다 우수한 충격 특성을 보유한다.
이상의 실시예로부터 본 발명강은 우수한 저온 충격특성을 얻기 위한 새로운 합금설계로 고가의 합금원소를 갖는 종래강보다 낮은 제조원가라는 잇점 뿐만 아니라 실온 및 극저온에서도 우수한 충격특성을 함께 보장한다.
여기에서는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고 도시하였지만, 당업자에 의하여 이에 대한 수정과 변형을 할 수 있다. 따라서, 이하 특허청구범위는 본 발명의 진정한 사상과 범위에 속하는 한 모든 수정과 변형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Claims (7)

  1. 중량%로서 C 0.45∼0.55%, Si 0.4∼0.8%, Mn 16∼22%, Ni 1.5∼4%, Cr 2∼5.5%, Mo 0.1∼0.3%, Al 1∼2.5%, Cu 0.1∼0.2%를 함유하고, 잔량은 Fe와 전기로 제강시 함유될 수 있는 미량 불순물들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극저온특성이 우수한 고망간강.
  2. 중량%로서 C 0.45∼0.55%, Si 0.4∼0.8%, Mn 16∼22%, Ni 1.5∼4%, Cr 2∼5.5%, Mo 0.1∼0.3%, Al 1∼2.5%, Cu 0.1∼0.2%, RE 0.0001∼ 1.5%를 함유하고, 잔량은 Fe와 전기로 제강시 함유될 수 있는 미량 불순물들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극저온 충격특성이 우수한 고망간강.
  3. 중량%로서 C 0.45∼0.55%, Si 0.4∼0.8%, Mn 16∼22%, Ni 1.5∼4%, Cr 2∼5.5%, Mo 0.1∼0.3%, Al 1∼2.5%, Cu 0.1∼0.2%, RE 0.0001∼1.5%를 함유하고, 잔량은 Fe와 전기로 제강시 함유될 수 있는 미량 불순물들로 이루어지고, 용강내 산소량을 10ppm이하, 황량을 50ppm이하로 하는 예비 탈산 및 예비 탈황과정을 기본으로하는 용제된 용강을 준비하는 단계; 준비된 용강을 잉고트나 연속주조로서 응고시키는 단계; 응고된 상기 성분의 용강을 균질화처리후 열간가공을 실시하는 단계; 및 상기 열간가공된 용강을 1100℃±100℃에서 오스테나이트화 한후 급냉하는 용체화처리를 실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극저온 충격특성이 우수한 고망간강의 제조방법.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응고단계의 온도는 1,600±100℃ 범위에서부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극저온 충격특성이 우수한 고망간강의 제조방법.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균질화 처리는 1,000∼1,300℃ 범위에서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극저온 충격특성이 우수한 고망간강의 제조방법.
  6. 중량%로서 C 0.45∼0.55%, Si 0.4∼0.8%, Mn 16∼22%, Ni 1.5∼4%, Cr 2∼ 5.5%, Mo 0.1∼0.3%, Al 1∼2.5%, Cu 0.1∼0.2%를 함유하고, 잔량은 Fe와 전기로 제강시 함유될 수 있는 미량 불순물들로 이루어지고, 용강내 산소량을 10ppm이하, 황량을 50ppm이하로 하는 에비 탈산 및 예비 탈황과정을 기본으로하는 용제된 용강을 준비하는 단계; 준비된 용강을 잉고트나 연속주조로서 응고시키는단계; 응고된 상기 성분의 용강을 균질화처리후 열간가공을 실시하는 단계; 및 상기 열간가공된 용강을 1100℃±100℃에서 오스테나이트와 한 후 급냉하는 용체화처리를 실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극저온 충격특성이 우수한 고망간강의 제조방법.
  7.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균질화 처리는 1,000∼1,300℃범위에서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극저온 충격특성이 우수한 고망간강의 제조방법.
KR1019960077693A 1996-12-30 1996-12-30 극저온충격특성이우수한고망간강및그제조방법 KR1003209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77693A KR100320959B1 (ko) 1996-12-30 1996-12-30 극저온충격특성이우수한고망간강및그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77693A KR100320959B1 (ko) 1996-12-30 1996-12-30 극저온충격특성이우수한고망간강및그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58369A KR19980058369A (ko) 1998-09-25
KR100320959B1 true KR100320959B1 (ko) 2002-06-20

Family

ID=374604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77693A KR100320959B1 (ko) 1996-12-30 1996-12-30 극저온충격특성이우수한고망간강및그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2095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8125700A1 (es) 2007-04-13 2008-10-23 Sidenor Investigación Y Desarrollo, S.A. Acero de temple y revenido y procedimiento para obtener piezas de dicho acero
CN110114493A (zh) * 2016-12-23 2019-08-09 株式会社Posco 具有优异耐磨性和韧性的奥氏体钢材及其制造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655196B2 (en) 2011-12-27 2020-05-19 Posco Austenitic steel having excellent machinability and ultra-low temperature toughness in weld heat-affected zon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101543916B1 (ko) 2013-12-25 2015-08-11 주식회사 포스코 표면 가공 품질이 우수한 저온용강 및 그 제조 방법
KR20160078825A (ko) 2014-12-24 2016-07-05 주식회사 포스코 절삭 가공성 및 표면가공품질이 우수한 저온용강 및 그 제조방법
KR102109270B1 (ko) 2017-10-18 2020-05-12 주식회사 포스코 표면품질이 우수한 저온용 고 망간강재 및 제조방법
KR102020381B1 (ko) * 2017-12-22 2019-09-10 주식회사 포스코 내마모성이 우수한 강재 및 그 제조방법
KR102004654B1 (ko) 2018-03-23 2019-07-26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극저온 인성이 우수한 알루미늄 첨가 오스테나이트계 경량 고망간강 및 그의 제조방법
WO2021033694A1 (ja) 2019-08-21 2021-02-25 Jfeスチール株式会社 鋼およびその製造方法
CN112647021B (zh) * 2020-12-09 2021-10-15 上海电气上重铸锻有限公司 超低温工程紧固件用高强度9%Ni钢及其制备方法
KR20240061711A (ko) * 2022-11-01 2024-05-08 한국원자력연구원 극저온 인성이 우수한 이상조직을 가지는 크롬-망간 강 및 이의 제조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8125700A1 (es) 2007-04-13 2008-10-23 Sidenor Investigación Y Desarrollo, S.A. Acero de temple y revenido y procedimiento para obtener piezas de dicho acero
CN110114493A (zh) * 2016-12-23 2019-08-09 株式会社Posco 具有优异耐磨性和韧性的奥氏体钢材及其制造方法
CN110114493B (zh) * 2016-12-23 2021-09-03 株式会社Posco 具有优异耐磨性和韧性的奥氏体钢材及其制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58369A (ko) 1998-09-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145970B1 (en) Precipitation-hardened martensitic cast stainless steel having excellent machinability, and method for production thereof
KR100353300B1 (ko) 고압 및 저압 통합형 터빈 회전자의 제조방법
KR20120074638A (ko) 중심부 물성 및 수소유기균열 저항성이 우수한 압력용기용 극후물 강판 및 그 제조방법
KR20080057205A (ko) 고강도 스프링용 강 및 고강도 스프링용 열처리 강선
EP3438312B1 (en) High-strength steel material and production method therefor
JP2022534208A (ja) 鋼、棒鋼およびそれらの製造方法
KR100740414B1 (ko) 재질 이방성이 작고 강도, 인성 및 피삭성이 우수한비조질 강 및 그의 제조 방법
KR101377251B1 (ko) 저온인성이 우수한 탄질소 복합첨가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320959B1 (ko) 극저온충격특성이우수한고망간강및그제조방법
CN114250421B (zh) 焊后抗晶间腐蚀和点蚀性能优于316l的高氮奥氏体不锈钢及制造方法
JP2013253265A (ja) 時効硬化型ベイナイト非調質鋼
KR100256350B1 (ko) 수소유기균열 및 황화수소 응력부식 균열저항성이 우수한 항복강도50kgf/mm²급 강재의 제조방법
CN110983164A (zh) 一种微合金元素Nb强化的双相不锈钢及其制备方法
KR101465088B1 (ko) 저온 인성이 우수한 저탄소 고강도 강판 및 그 제조방법
JP3483493B2 (ja) 圧力容器用鋳鋼材及びそれを用いる圧力容器の製造方法
KR20100070639A (ko) 저온 인성이 우수한 건설용 강재 및 그 제조방법
CN115074615B (zh) 一种环境友好型超低温高锰钢、钢板及其制造方法
CN114277310A (zh) 一种抗h2s腐蚀的油套管及其制造方法
KR100325714B1 (ko) 저온인성이우수한베이나이트계강재의제조방법
Balachandran et al. Stainless steel processing to meet advanced applications
KR100309729B1 (ko) 인성 및 강도가 우수한 냉간, 온간용 고속도공구강 및 그의 제조방법
JP3250263B2 (ja) 靭性および耐応力腐食割れ性に優れたマルテンサイト系ステンレス鋼継目無鋼管の製造法
CN115491606B (zh) 一种低Cr含量耐CO2腐蚀油套管及其制备方法
CN110846594B (zh) 一种含铜超低碳贝氏体钢及其制备方法
CN115948694B (zh) 一种45mm以下高性能奥氏体不锈钢板及其制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1126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03

Year of fee payment: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