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09094B1 - 어린이용 기능성 칫솔 - Google Patents

어린이용 기능성 칫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09094B1
KR102109094B1 KR1020180040992A KR20180040992A KR102109094B1 KR 102109094 B1 KR102109094 B1 KR 102109094B1 KR 1020180040992 A KR1020180040992 A KR 1020180040992A KR 20180040992 A KR20180040992 A KR 20180040992A KR 102109094 B1 KR102109094 B1 KR 1021090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othbrush
children
toothpaste
extract
fine h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409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17975A (ko
Inventor
윤현서
박충무
Original Assignee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800409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09094B1/ko
Publication of KR201901179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179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090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090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11/00Brushes with reservoir or other means for applying substances, e.g. paints, pastes, water
    • A46B11/001Brushes with reservoir or other means for applying substances, e.g. paints, pastes, water with integral reservoirs
    • A46B11/002Brushes with reservoir or other means for applying substances, e.g. paints, pastes, water with integral reservoirs pressurised at moment of use manually or by powered means
    • A46B11/0024Brushes with reservoir or other means for applying substances, e.g. paints, pastes, water with integral reservoirs pressurised at moment of use manually or by powered means with a permanently displaceable pressurising member that remain in position unless actuated, e.g. lead-screw or ratchet mechanisms, toothpaste tube twisting or rolling devices
    • A46B11/0037A piston or plunger advanced by direct pushing along the side of brush handle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11/00Brushes with reservoir or other means for applying substances, e.g. paints, pastes, water
    • A46B11/001Brushes with reservoir or other means for applying substances, e.g. paints, pastes, water with integral reservoirs
    • A46B11/0065Brushes where the reservoir is specifically intended for being replaced when empty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9/00Arrangements of the bristles in the brush body
    • A46B9/02Position or arrangement of bristles in relation to surface of the brush body, e.g. inclined, in rows, in groups
    • A46B9/026Position or arrangement of bristles in relation to surface of the brush body, e.g. inclined, in rows, in groups where the surface of the brush body or carrier is not in one plane, e.g. not flat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2200/00Brushes characterized by their functions, uses or applications
    • A46B2200/10For human or animal care
    • A46B2200/1066Toothbrush for cleaning the teeth or dentures

Abstract

본 발명은 어린이용 기능성 칫솔에 관한 것으로, 돌출 미세모 및 미세모가 형성되며, 상기 돌출 미세모는 중심부에 위치하며, 미세모는 돌출 미세모를 감싼 형태로 형성되는 칫솔모; 상단부에 칫솔모가 결합되고, 상기 칫솔모의 결합되는 상단부는 제1 중공부가 형성되며, 상기 상단부의 제1 중공부와 연결되어, 어린이용 치약이 분사될 수 있는 통로가 형성된 칫솔대; 상기 칫솔대의 하부에 위치하며, 어린이용 치약이 저장된 치약이 저장되고 상기 칫솔대의 통로부와 결합되어 내부의 어린이용 치약이 분사될 수 있는 노즐이 형성된 어린이용 치약 보관통; 및 상기 칫솔대의 하부에 형성되며, 외부 조작에 의해 상기 노즐을 가압하여 어린이용 치약 보관통 내의 치약이 분사되어 칫솔대의 통로를 통해 칫솔모로 공급할 수 있는 스위치부가 형성된 칫솔 손잡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어린이용 기능성 칫솔은 어린이의 구강 구조에 적합한 칫솔모를 가지는 것으로, 상기 칫솔모로 인해 올바른 양치질이 가능한 어린이용 기능성 칫솔을 제공하며, 칫솔 내에 어린이용 치약을 구비하여, 별도의 치약을 휴대하지 않더라도, 칫솔 내의 치약을 이용하여 바로 양치질이 가능하며, 어린이가 사용하더라도 잇몸에 큰 자극을 주지 않고, 치주 질환의 예방이 가능하다.

Description

어린이용 기능성 칫솔{A FUNCTIONAL TOOTHBRUSH FOR CHILDREN}
본 발명은 어린이용 기능성 칫솔에 관한 것이다. 어린이의 구강 구조를 고려하여 칫솔모가 구성되며, 어린이용 치약을 칫솔 내에 함께 포함함에 따라, 사용 상의 편의성을 높인 어린이용 기능성 칫솔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칫솔 또는 칫솔이란 치약과 더불어 사용되는 구강위생의 용구로서, 그 유래를 살펴보면, 1450년경 이탈리아의 보건책자에 나무로 만든 이쑤시개에 의한 청소법이 기재되어 있고, 자루에 털을 심은 칫솔 은 1600년대에 나타났으며, 1780년에는 영국에서 제조되었다고 한다. 또 제2차 세계대전 후에는 나이론털과 아 크릴계의 수지를 자루로 사용한 칫솔이 개발되어 오늘에 이르고 있다.
털을 심은 부분의 형태도 봄베이형·스트레이트형 등 여러 가지가 있으나 강위생상으로는 현재 스트레이트형이 일반적이다. 치아를 닦는 방법은 회전법이 세계적으로 인정받고 있고, 이 방법을 실시하기 쉽도록 칫솔 자루에 인간공학적인 각도가 주어지고 있다.
또한 어른의 경우에는 구강과 치아가 일정하지만, 어린이 특히 유아의 경우에는 성장단계에 따라, 치열의 상태와, 손놀림의 능숙도와, 인격이 서로 다르므로, 통상 어른과 어린이용으로 구분되고 있다.
그런데 어린이용의 칫솔에 있어서, 어린이의 성장단계, 즉 어린이의 연령대에 따른 치아 크기와 구강 구조에 따라 칫솔머리가 치아 표면에 잘 닿아서 깨끗하게 양치할 수 있고, 약한 잇몸에 자극을 주지 않아야 하며, 또한 어린이가 양치질을 쉽게 할 수 있도록 손잡이의 모양을 잡기 편한 형태여야 하며, 어린이들이 양치질을 좋아할 수 있는 색상과 디자인이어야 하는 점을 고려해야 하므로, 어린이용 칫솔을 갖추는 것이 바람직하다.
치약은 치아의 표면을 칫솔질할 때 사용하는 의약부외품으로서, 특히 미백효과, 살균효과, 치간청정효과 등을 목적으로 주로 사용하며, 이를 위하여 일반적으로 치약은 연마제, 습윤제, 기포제, 감미제와 같은 성분들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치주질환(풍치)은 다양한 세균, 효모 및 미생물에 의해서 군락화되어 치은염증과 출혈, 치주낭의 형성 및 치조골의 파괴 등을 초래하여 결과적으로 치아의 손상을 가져오게 된다. 이러한 치주질환은 음식물 중 당질에 달라붙어 치아에 이끼처럼 연하게 단단히 부착된 세균과 그 세균의 대사산물인 독성 물질로 이루어진 치태와 치면 세균막이 석회화된 물질인 치석이 그 원인으로 통상 치주질환은 자각증상 없이 진행되며 가끔 잇몸에서 피가 나거나 구취가 나는 것 이외에는 치통 등을 일으키지 않아 치주염이 진행되고 있어도 이를 알지 못하는 경우가 일반적으로 환자가 불편을 느낄 때쯤이면 이미 치료하기 곤란한 정도로 치주조직이 파괴된 경우가 많고, 치주질환이 진행되면 치근을 둘러싸고 있는 치조골이 광범위하게 파괴되고 치아를 상실하게 되는 경우가 많아 파괴된 치주조직은 재생능력에 한계가 있어 치료 후에도 발병 전 상태로 원상복귀가 불가능한 경우가 발생한다.
증상의 정도는 노출된 상아세관의 정도에 따라서 다양하게 나타난다. 치아는 겉 표면의 에나멜 질(법랑질)과 바로 밑의 상아질 그리고 신경과 혈관이 분포되어 있는 치수, 치아를 보호하는 잇몸조직으로 나눌 수 있다. 그러 나 잘못된 칫솔질이나 잇몸 질환, 충치로 인해 에나멜 층이 손상을 입거나 잇몸의 함몰로 상아질이 드러나게 되면 외부자극이 상아질의 상아세관을 통해 치아 신경에 전달되어 짧지만 격렬하고 강한 통증을 느끼게 된다.
특히, 어린 아이들의 경우에, 단 음식을 섭취하여, 치주질환을 발생하는 원인되는 음식을 주로 섭취하는데 반해, 양치질하는 것을 꺼려하는 경우가 많다. 또한, 유아 및 어린이는 성인에 비해 세균력의 방어에 약하고, 침투 경로인 타인의 접촉(입맞춤 등)에 무방비 상태이므로 유아 및 어린이를 위한 치약의 개발이 필요하다.
(특허 문헌 1) KR 10-1221074 B1 (특허 문헌 2) KR 10-1239639 B1
본 발명의 목적은 어린이용 기능성 칫솔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어린이의 구강 구조에 적합한 칫솔모를 가지는 어린이용 기능성 칫솔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어린이용 치약을 구비하여, 별도의 치약을 휴대하지 않더라도, 칫솔 내의 치약을 이용하여 바로 양치질이 가능한 기능성 칫솔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어린이가 사용하더라도 잇몸에 큰 자극을 주지 않고, 치주 질환의 예방이 가능한 어린이용 치약을 구비한 어린이용 기능성 칫솔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린이용 기능성 칫솔은 돌출 미세모 및 미세모가 형성되며, 상기 돌출 미세모는 중심부에 위치하며, 미세모는 돌출 미세모를 감싼 형태로 형성되는 칫솔모; 상단부에 칫솔모가 결합되고, 상기 칫솔모의 결합되는 상단부는 중공부가 형성되며, 상기 상단부의 제1 중공부와 연결되어, 어린이용 치약이 분사될 수 있는 통로가 형성된 칫솔대; 상기 칫솔대의 하부에 위치하며, 어린이용 치약이 저장된 치약이 저장되고 상기 칫솔대의 통로부와 결합되어 내부의 어린이용 치약이 분사될 수 있는 노즐이 형성된 어린이용 치약 보관통; 및 상기 칫솔대의 하부에 형성되며, 상기 칫솔대의 통로 및 어린이용 치약 보관통의 노즐을 연결하고, 외부 조작에 의해 상기 노즐을 가압하여 어린이용 치약 보관통 내의 치약이 분사되어 칫솔대의 통로를 통해 칫솔모로 공급할 수 있는 스위치부가 형성된 칫솔 손잡이부를 구비된다.
상기 칫솔 손잡이부 및 어린이용 치약 보관통은 나사 결합을 통해 결합되며,
상기 칫솔 손잡이부의 상단 내측에는 어린이용 치약 보관통과 결합을 위한 숫나사부가 형성되며, 상기 어린이용 치약 보관통의 상부에는 칫솔 손잡이부와 나사 결합을 위한 암나사부가 형성된다.
상기 어린이용 치약 보관통은 칫솔 손잡이부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되어, 어린이용 치약 보관통이 칫솔 손잡이부와 결합 시에, 칫솔 손잡이부 보다 돌출되어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칫솔모는 칫솔모 판의 일면에 형성되며, 상기 칫솔모 판은 칫솔대와 끼움 결합에 의해 결합되고, 상기 칫솔모 판은 칫솔대의 제1 중공부와 연결되는 제2 중공부가 형성된다.
상기 칫솔모는 칫솔모 판과 칫솔대의 분리에 의해 교체 가능하다.
상기 칫솔모 판은 칫솔모가 형성된 면의 반대면에 칫솔대와 결합하기 위한 끼움 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칫솔대는 칫솔모 판과 결합하기 위한 홈이 형성된다.
상기 돌출 미세모 및 미세모의 높이 차이는 0.8 내지 1.2mm이다.
상기 스위치부는 칫솔 손잡이부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며, 반대측은 경사면을 형성하는 버튼부; 상기 통로와 결합될 수 있는 홀이 중심부에 형성되며, 상기 버튼부의 경사부와 접하는 경사면이 형성되고, 상기 버튼부의 누름 시 버튼부의 경사부에 의해 미끄러져 내려가 노즐을 가압하는 가압부; 및 상기 가압 부재의 하단에 위치하여 가압 부재의 하강 시 원 위치로 복원시키는 탄성부를 구비한다.
상기 어린이용 치약은 점도가 2,000 내지 3,000 cps이다.
상기 어린이용 치약은 진피 추출물, 딸기 추출물, 상백피 추출물, 레몬 추출물, 솔잎 추출물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제1 천연 추출물을 포함하며, 복수초 추출물, 위령선 추출물, 팔손이 추출물, 화마인 추출물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제2 천연 추출물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어린이용 기능성 칫솔은 어린이의 구강 구조에 적합한 칫솔모를 가지는 것으로, 상기 칫솔모로 인해 올바른 양치질이 가능한 어린이용 기능성 칫솔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기능성 칫솔 내에 어린이용 치약을 구비하여, 별도의 치약을 휴대하지 않더라도, 칫솔 내의 치약을 이용하여 바로 양치질이 가능하며, 어린이가 사용하더라도 잇몸에 큰 자극을 주지 않고, 치주 질환의 예방이 가능한 어린이용 치약을 구비한 어린이용 기능성 칫솔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린이용 기능성 칫솔에 관한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위치부에 관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린이용 기능성 칫솔 중 칫솔모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린이용 기능성 칫솔 중 칫솔모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린이용 기능성 칫솔을 사용 시, 칫솔모의 일 사용예에 관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린이용 기능성 칫솔의 칫솔모 부분에 대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어린이용 기능성 칫솔의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음에 소개되는 실시 예들은 통상의 실시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로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하 설명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그리고, 도면들에 있어서, 장치의 크기 및 두께 등은 편의를 위하여 과장되어 표현될 수도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 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도면에서 층 및 영역들의 크기 및 상대적인 크기는 설명의 명료성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따라서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린이용 기능성 칫솔에 관한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위치부에 관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린이용 기능성 칫솔 중 칫솔모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린이용 기능성 칫솔을 사용 시, 칫솔모의 일 사용예에 관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린이용 기능성 칫솔의 칫솔모 부분에 대한 도면이다. 이하 도 1 내지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어린이용 기능성 칫솔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어린이용 기능성 칫솔은 칫솔모(100), 칫솔대(200), 어린이용 치약 보관통(300) 및 칫솔 손잡이부(400)를 포함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칫솔모(100)은 돌출 미세모(110), 미세모(120) 및 칫솔모 판(130)을 포함한다. 칫솔모 판(130)의 일면에 돌출 미세모(110) 및 미세모(120)가 형성되어 있으며, 칫솔모 판(130)은 상기 어린이용 치약 보관통(300) 내의 어린이용 치약이 분사되기 위한 제1 중공부(210)가 중앙에 형성되어 있다. 돌출 미세모(110)는 미세모(120)와 비교하여 0.8 내지 1.2mm 정도 길이가 긴 미세모로, 칫솔모 판(130)의 중심부에 형성되어 있다. 돌출 미세모(110)가 중심부에 형성되면, 그 둘레에 미세모(120)가 감싸고 있는 형태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칫솔모(100)는 상기와 같이, 돌출 미세모(110) 및 미세모(120)간의 길이 차이가 나도록 구성하여, 어린이의 구강 구조에 최적합화된 형태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도 3은 칫솔모(100)에 관한 단면도로, 돌출 미세모(110)가 중앙부에 형성되고, 그 둘레에 미세모(120)가 형성된 것이다. 도 5를 참고하면, 일반적인 어린이의 구강 구조는 이빨과 이빨 사이의 간격이 이격된 상태인 경우가 많다. 유치는 영구치에 비해 크기가 작아, 유치가 간격이 없이 생기는 경우에, 향후 영구치가 생길 때, 간격이 너무 협소하여 고른 치열이 형성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이에, 일반적인 어린이의 구강 구조는 이빨과 이빨 사이에 간격이 있고, 이러한 간격의 차이는 사람마다 차이가 존재한다.
상기와 같은 어린이의 구강 구조의 특성을 고려할 때, 어린이가 사용해야되는 칫솔은 이빨과 이빨 사이의 간격을 고려할 수 있는 칫솔모 형태를 고려해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칫솔모(100)는 도 3과 같이, 돌출 미세모(110)가 미세모(120)에 비해 0.8 내지 1.2mm 정도 돌출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돌출 미세모(110)는 미세모(120)와 일정한 길이로 돌출되는 것은 아니며, 칫솔모의 중심부를 기준으로 하여, 미세모가 형성되는 부분까지 완만하게 길이가 줄어드는 형태로 돌출 미세모(110)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칫솔모(100)의 단면을 기준으로 살펴보면, 도 4와 같이 돌출 미세모(110)의 길이가 줄어들어 완만한 경사를 형성하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칫솔모의 길이를 다르게 형성하는 경우에, 도 5와 같이 실제 칫솔질을 하는 경우, 치아와 치아 사이의 간격 부분은 돌출 미세모(110)에 의해 칫솔질이 가능해진다. 즉, 치아의 측면 부분까지 칫솔질이 가능하게 된다고 할 것이다.
즉, 별도로 치간 칫솔이나 치실을 사용하지 않더라도, 칫솔질에 의해 치간 칫솔이나 치실을 사용한 것과 동일한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고 할 것이다.
상기 칫솔모(100)는 칫솔모 판(130)의 일면에 형성되며, 상기 칫솔모 판(130)은 칫솔대(200)와 끼움 결합에 의해 결합된다. 즉, 칫솔모(100)의 수명이 다하면, 칫솔모(100)만 간편하게 교체하여 재사용이 가능하다고 할 것이다.
상기 끼움 결합을 원할하게 하기 위하여, 상기 칫솔모 판(130)은 칫솔모(100)가 형성된 면의 반대면에 칫솔대(200)와 결합하기 위한 끼움 돌기(미도시)가 형성되며, 상기 칫솔대(200)는 칫솔모 판(130)과 결합하기 위한 홈(220)이 형성된다.
상기 칫솔모 판(130)의 일면에는 칫솔모(100)가 형성되고, 다른 일면에는 칫솔대(200)와 결합하기 위한 끼움 돌기(미도시)가 형성되어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칫솔대(200)의 상부면은 칫솔모(100)가 결합되는 곳으로, 상기 칫솔모 판(130)의 끼움 돌기(미도시)가 끼움 결합될 수 있도록 대응되는 위치에 홈(220)이 형성되어 있어, 간편하게 결합이 가능하며, 쉽게 분리도 가능하다.
다만, 끼움 돌기(미도시)는 끝 부분이 갈고리 같은 형태로 구성되어, 일반적인 칫솔질로는 칫솔모(100)가 칫솔대(200)와 분리되는 문제는 발생하지 않는다.
또한, 상기 칫솔모(100)의 중심부에는 제1 중공부(210)이 형성되어 있고, 칫솔모가 연결되는 칫솔대의 상부에도 이와 대응되는 위치에 제2 중공부(210')가 형성되어 있어, 칫솔대(200)의 통로부(220)와 연결되어 치약 보관통(300) 내의 치약의 분사가 가능하게 한다.
칫솔대(200)의 내부는 통로부(230)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통로부(230)는 칫솔모(100)의 제1 중공부(210) 및 어린이용 치약 보관통(300)의 노즐(310)을 연결하여, 어린이용 치약 보관통(300)의 노즐(310)을 통해 분사되는 어린이용 치약을 칫솔모(100)의 제1 중공부(210)를 통해, 분사가 가능하게 한다.
이때, 어린이용 치약 보관통(300) 내의 어린이용 치약이 분사되기 위해서는 칫솔 손잡이부(400) 내의 스위치부(410)에 의해 노즐(310)을 가압하여 치약이 분사된다.
상기 스위치부(410)은 보다 구체적으로 칫솔 손잡이부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며, 반대측은 경사면을 형성하는 버튼부(420); 상기 통로부(220)와 결합될 수 있는 홀이 중심부에 형성되며, 상기 버튼부의 경사부와 접하는 경사면이 형성되고, 상기 버튼부의 누름 시 버튼부의 경사부에 의해 미끄러져 내려가 노즐을 가압하는 가압 부(430); 및 상기 가압 부재의 하단에 위치하여 가압 부재의 하강 시 원 위치로 복원시키는 탄성부(440)를 구비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스위치부(410)의 버튼부(420)를 누르면, 버튼부(420)가 손잡이부(400)의 내측으로 위치하게 되면서, 가압부(430)을 가압하게 된다.
상기 버튼부(420)의 내측은 경사면을 형성하고 있고, 상기 가압부(430)는 버튼부(420)와 맞닿은 부분에서 버튼부(420)의 내측 경사면과 접하는 경사면이 형성되어 버튼부(420)의 움직임에 따라, 통로부(220)의 아래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직선 방향으로 중심부에 형성되어 있는 통로부(220)를 따라, 아래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는 가압부(430)에 의해 어린이용 치약 저장통(300)의 노즐(310)을 가압하게 된다.
다시 상기 버튼부(420)에 작용하는 힘이 사라지면, 버튼부(420)는 손잡이부(400)의 외측으로 이동하게 되고, 버튼부(420)에 의해 가압되어 아래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 가압부(430)는 가압부(430)의 하단에 위치하고 있는 탄성부(440)의 복원력에 의해 원 위치로 이동하게 된다.
즉, 버튼부(420)의 누름 작용에 의해 가압부(430)가 아래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면, 상기 가압부(430)의 하단에 위치하고 있는 탄성부(440)는 압축되고, 이후, 버튼부(420)의 힘이 제거되어 버튼부(420)가 원 위치로 이동하게 되면, 탄성부(440)의 복원력에 의해 가압부(430)도 원래의 위치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 칫솔 손잡이부(400) 및 어린이용 치약 저장통(300)은 나사 결합을 통해 결합되며, 상기 칫솔 손잡이부(400)의 상단 내측에는 어린이용 치약 저장통(300)과 결합을 위한 숫나사부가 형성되며, 상기 어린이용 치약 저장통의 상부에는 칫솔 손잡이부와 나사 결합을 위한 암나사부가 형성된다.
또한, 어린이용 치약 저장통(300)은 칫솔 손잡이부(400)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되어, 어린이용 치약 저장통(300)이 칫솔 손잡이부(400)와 결합 시에, 칫솔 손잡이부(400) 보다 돌출되어 위치할 수 있다.
이는 어린이용 치약 저장통(300) 내의 치약을 모두 사용 시에, 돌출되어 있는 어린이용 치약 저장통(300)을 쉽게 분리 후,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어린이용 치약 저장통(300)이 칫솔 손잡이부(400)와 비교하여 길이가 같거나 짧게 구성되어, 칫솔 손잡이부(400)와 동일한 길이로 칫솔 손잡이부(400) 내에 위치하게 되는 경우에는 어린이용 치약 저장통(300)의 교체가 용이하지 않아, 치약을 모두 사용 시, 칫솔 전체를 교체해야하는 불편이 존재하게 된다. 이에, 어린이용 치약 저장통(300)을 칫솔 손잡이부(400)와 결합 시에, 돌출되도록 길이를 길게 형성함으로써, 사용의 편의성을 보다 증대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어린이용 치약 저장통(300)의 손 쉬운 교체를 위하여, 어린이용 치약 저장통(300)의 상단부에 나사 결합을 위한 암나사부가 형성되고, 칫솔 손잡이부(400)의 내부에는 숫나사부가 형성되어, 나사 결합에 의해 쉽게 결합되고, 분리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본 발명의 어린이용 치약은 점도가 2,000 내지 3,000 cps이다. 어린이용 치약은 어린이용 치약 저장통(300)내에 고압으로 압축되어 있고, 압축된 치약이 노즐(310)에 의해 분사되어, 칫솔모(100)로 나오게 되었을 때, 점도가 너무 낮으면, 칫솔모(100) 밖으로 분사되는 문제가 발생하며, 점도가 너무 높은 경우에는 칫솔모(100)쪽으로 충분히 분사되지 못하거나, 칫솔모(100)의 하단에 머무르게 되어, 칫솔질에 적절하게 이용되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일반적인 치약의 점도는 10,000cps로 제조되며, 이는 치약을 별도로 보관하는 튜브 내에 저장하여 판매되며, 사용자는 튜브 내에 저장된 치약을 짜내어, 사용하는 방식이기 때문에 높은 점도를 나타내고 있다.
이에 반해, 본 발명의 어린이용 기능성 칫솔의 경우에는 칫솔의 내부에 치약 저장통(300)을 포함하고, 노즐(310)을 통해 분사되면, 통로부(220)를 통해 이동하여, 칫솔모(100) 내의 중공부(210)을 통해 외부로 나와 사용하는 방식이다.
이에, 최적의 점도 범위를 나타내는 어린이용 치약을 사용해야 하며, 최적의 점도 범위는 상기와 같이, 2,000 내지 3,000 cps이다.
본 발명의 어린이용 기능성 칫솔 내에 포함되는 어린이용 치약은 진피 추출물, 딸기 추출물, 상백피 추출물, 레몬 추출물, 솔잎 추출물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제1 천연 추출물을 포함하며, 복수초 추출물, 위령선 추출물, 팔손이 추출물, 화마인 추출물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제2 천연 추출물을 포함한다.
천연 추출물로 이루어진 치약으로 구성시켜, 합성 성분을 이용하지 않아, 어린이가 사용하더라도 잇몸에 무리를 주지 않음과 동시에 어린이 치아 우식증 및 각종 치주 질환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진피(Citrus Unshiu Pee)는 Citrus unshiu Markovich 또는 Citrus reticulata Blanco(운향과 Rutaceae)의 잘 익은 열매껍질로 정의되어 있는 약재이다. 정량할 때 환산한 건조물에 대하여 hesperidin(C28H34O15: 610.56) 4.0% 이상을 함유한다. 형태가 일정하지 않은 판상의 껍질이며 두께 약 2㎜이다. 바깥면은 황적색 또는 어두운 갈색이고 유실에 의한 작은 오목한 자국이 많다. 안쪽은 흰색 또는 연한 회갈색이며, 질은 가볍고 부스러지기 쉽다. 한방에서는 이기(理氣), 조습(燥濕), 조중(調中), 지사(止瀉), 지애(止.), 지해 (止咳), 쾌격(快膈), 화담(化痰)의 효능이 있다. 지금까지 진피에 대한 성분 연구를 보면 28종의 플라보노이드(flavonoid) 계열의 화합물이 보고 되어있으며 그 외에 모노터페노이드(monoterpenoid) 계열의 화합물도 분리 보고 되었다. 약리작용으로는 리파아제(lipase) 활성, 항궤양치료효과, 혈압저하효과, 항바이러스작용, 항염작용, 항알레르기작용, 혈소판응집작용, 항암작용 등이 보고 되어 있다.
상기 진피 추출물은 비타민 A 및 비타민 C의 함량이 높고, 당질과 유기산이 포함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단백질, 당질, 지질, 베타카로틴, 비타민 A, 비타민 C, 식이섬유, 아미노산 등이 포함되어 있다.
딸기(Fragaria Chiloensis (Strawberry))는 쌍떡잎식물 이판화군 장미목 장미과의 여러해살이풀에 속하는 딸기는 식용으로 주로 활용된다. 씨방이 발달하여 과실이 되는 다른 과일과 달리, 딸기는 꽃턱이 발달하여 씨가 과실의 표면에 깨처럼 있는 것이 특징이다. 보통 붉은색을 띠고 있지만 가끔 드물게 흰색을 띠는 품종도 있다. 딸기에는 플라보노이드 성분이 함유되어 있어 피부 미용에 우수한 효과를 나타낸다.
상백피(Mori Radicis Cortex)는 뽕나무 또는 동속 식물의 뿌리껍질로 만든 약재로서 상백피는 폐열로 인한 해수, 천식을 치료하며 이뇨 작용이 있다. 급성신우염, 허약성 부종에 쓰이고 혈압강하 작용이 있으며 코피와 각혈에도 사용한다. 또한 유행성 간염 등에도 쓰인다. 약리작용은 진해, 이뇨, 혈압강하, 진정, 진통, 해열, 진경, 항균작용 등이 보고되었다. 상백피(Morus alba Linne)는 물베르린, 물베르로크로벤, 시클로물베르린 등과 쿠마린 유도체인 스코폴레틴, 움벨리페론, 트리테르페노이드인 아미린, 베툴린산 등을 주요성분으로 포함하며 진정작용, 진해작용, 항균작용, 항염작용, 항산화효과 등이 우수한 약재로 알려져 있다. 상백피는 뽕나무(Morus alba L.) 및 동속 근녹식물 근피의 코르크층을 제거한 것으로, 겨울에 뿌리를 캐내 깨끗이 씻어 신선할 때 코르크층을 벗겨내고 세로로 갈라서 나무망치로 두드려 목부와 피부를 분리시켜 백피만 취한 것이다. 맛은 달고, 성질은 차다. 상백피는 동양의약에서 당뇨병 치료제, 이뇨제, 진토제, 설사제 등에 사용되어 왔다(Giaccia A. et al. Nat Rev Drug Disc 2; 803-811, 2003). 성분으로는 프레닐레이트 플라보노이드(prenylated flavonoid), 벤조퓨란(benzofuran), 페놀(phenol)계 화합물등 수종의 화합물로서 이들 화합물들이 세포독성, COX-1, COX-2, 그리고 산화질소(NO) 생성저해효과 등 다양한 생물활성이 보고되었다. 주요 생리활성 성분으로는 움벨리페론(Umblliferone), 멀베로크로멘(mulberrochromene), 시클로멀베린(cyclomulberrin), 시클로멀베로크로맨(cyclomulberrochromene)등이 함유되어 있으며, 아세틸콜린(acetyl choline)과 작용이 유사한 항염성분이 함유되어 있다.
레몬(lemon)은 귤속에 속하는 과일이다. 레몬 과즙은 시트르산이 많아 산성을 띠고, 단맛이 적고 강한 신맛이 나며, pH가 2에서 3 정도이다. 레몬에는 비타민 C, 복합 비타민 B군, 칼슘, 철, 마그네슘, 칼륨, 섬유질이 함유되어 있다
솔잎은 소나무의 잎이다. 소나무(Pinus densiflora Seibold et Zuccarini)는 우리나라 전국의 산에 야생하고 있는 상록침엽교목으로, 주로 내륙지방에 많이 자라는 적송(육송)이 주를 이루며, 잣나무, 리기다소나무, 곰솔(해송), 백송 등이 있다. 소나무의 잎인 솔잎은 예로부터 한방 또는 민간 요법의 약용이나 건강식품으로 이용되고 있다. 동의보감에 의하면 솔잎은 위장병, 중풍, 고혈압, 신경통, 천식 등에 치료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다. 솔잎의 이러한 약리작용은 솔잎에 함유되어 있는 정유 성분, 단백질, 비타민 A, 비타민 C, 비타민 K, 비타민 P(루틴), 인, 철분, 효소, 탄닌, 엽록소, 고미성 물질, 플라보노이드 등의 기능성 물질에 의해 이루어진다. 특히 비타민 P(루틴)는 혈액순환을 촉진하고 고혈압과 노화를 방지하는 데 탁월한 효과가 있다. 또한 솔잎의 휘발성 정유는 산림욕시 피로를 해소시켜 주는 역할을 한다. 솔잎추출물은 뜸액에 해당하는 한방혼합추출액에 첨가되어 인체면역 기능의 강화와 항염 작용 및 각종 유익한 생리활성 작용을 한다.
상기 제1 천연 추출물은 공통적으로 비타민을 다량 포함하고 있어, 비타민에 의한 치아 미백 및 치주 질환의 예방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복수초(Adonis amurensis Regel & Radde)는 산골짜기에 자라는 다년초로 높이 10 내지 30cm이고 근경이 짧고 굵으며 흑갈색 잔뿌리가 많이 나온다. 잎은 총생하며 삼각상 넓은 난형이고 2회 우상으로 갈라지며 최종열편은 피침형이다. 꽃은 황색으로 4월에 원줄기에 1개씩 달린다. 열매는 수과로 길이 1cm 정도의 꽃턱에 모여 달린다. 일반적으로 강심, 강심제, 수종, 심력쇠갈, 심장기능부전, 이뇨, 진통, 창종, 통리수도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있다.
위령선(Clematis florida Thunb.)은 재배하는 낙엽성 덩굴식물로 길이가 4m에 달한다. 잎은 대생하며 2회3출이거나 간혹 3개씩 달린다. 소엽은 난형 또는 난상 피침형이고 점첨두이며 표면에 털이 없으나 뒷면에 털이 있고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거나 없다. 꽃은 잎겨드랑이에 1개씩 달린다. 일반적으로 각기, 간염, 개선, 골절, 관절염, 근육통, 급성간염, 각기, 발한, 복중괴, 악종, 요슬통, 이뇨, 자한, 절상, 제습, 종독, 진통, 천식, 통풍, 파상풍, 편도선염, 폐기천식, 풍질, 하리, 해독, 황달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있다.
팔손이(Fatsia japonica (Thunb.) Decne. & Planch.)는 산기슭에 자라는 상록관목으로 높이가 2m에 달하고 잔가지가 굵으며 털이 없다. 잎은 호생하며 59개로 갈라져서 손바닥 모양으로 되고 열편은 난형 또는 난상 피침형이며 점첨두이고 양면에 털이 없다. 꽃은 백색으로 산형화서는 가지 끝에 원추화서로 달린다. 열매는 둥글고 다음해 5월에 흑색으로 익는다. 일반적으로 거담, 관절염, 어혈, 추간판탈출증, 타박상, 해수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있다.
화마인(火麻仁, Cannabis sativa)은 뽕나무과의 한해살이 풀인 대마의 열매를 말하는 것으로서, 성미는 달고 한열이 평이한 성질이 있다. 기름 성분이 많아서 노인이나 임산부 및 허약 체질로 진액이 부족해서 일어 나는 변비에 유효하며, 허혈로 인해 머리카락이 나지 않을 때 볶아서 기름을 내어 머리에 붙이거나 오동나무 잎을 넣고 달인 물로 머리를 세척하면 효험이 있다. 어린아이의 경우에는 화마인의 가루를 꿀에 넣은 후 머리에 붙인다. 일반적으로 다한증, 장조변비, 소갈, 열림, 풍비, 이질, 월경불순, 개창, 선나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있다.
상기 제2 천연 추출물은 치아 우식증 및 각종 치주 질환에 발병 원인이 되는 세균에 대한 항균 효과가 높아, 제1 천연 추출물과 혼합 사용 시, 치주 질환의 예방 효과가 상승한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의 어린이용 치약은 딸기 추출물; 상백피 추출물; 및 솔잎 추출물의 혼합물인 제1 천연 추출물 및 복수초 추출물; 위령선 추출물 및 팔손이 추출물의 혼합물인 제2 천연 추출물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의 어린이용 치약은 제1 천연 추출물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천연 추출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수초 추출물 10 내지 15 중량부; 위령선 추출물 10 내지 15 중량부 및 팔손이 추출물 5 내지 10 중량부로 포함한다. 상기 범위 내에서 어린이의 치주 질환 예방 효과가 우수하며, 범위 값 미만 이거나 초과인 경우에는 치주 질환 예방 효과가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이때, 제1 천연 추출물은 딸기 추출물; 상백피 추출물 및 솔잎 추출물의 혼합물로, 5:1:1 내지 10:1:1의 중량 비율로 포함한다. 이는, 딸기 추출물을 다량 포함함에 따라, 어린이용 치약에서 천연 딸기 향 및 딸기 맛을 높여, 그 외의 천연 추출물의 쓴 맛 등을 낮춰 어린이의 기호도를 높이기 위한 것이다.
또한, 바람직하게 본 발명의 어린이용 치약은 산자나무 잎 가루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산자나무(Seabuckthorn, Hippophae rhamnoides L.)는 일반적으로 보리수과(Elaeagnaceae)에 속하는 낙엽성 관 목으로 갈매보리수나무, 비타민나무로도 알려져 있으며, 러시아, 중국, 일본에서 각각 시베리아파인애플, 사극 (莎棘), 싸지(sajee) 등의 여러 이름으로 불려지고 있고, 극한의 악조건 기후와 척박한 토양에서도 잘자라며, 열매, 잎, 씨 모두가 식용이 가능하며, 화장품의 원료로도 사용되고 있어 러시아, 유럽, 캐나다, 중국, 몽골, 히말라야 산맥 주변 국가 등지에서 폭넓게 재배되고 있다.
상기 산자나무 잎에는 퀘르세틴(quercetin), 갈릭산(gallic acid), 탄닌(tannin) 등의 생리활성물질이 다량 함유되어 있어, 이러한 잎을 건조 후 분쇄하여 미세 입자로 제조하여, 치약의 제조 시 이용할 경우, 퀘르세틴(quercetin), 갈릭산(gallic acid), 탄닌(tannin) 등의 생리활성물질을 포함하는 산자나무 잎 입자가 직접적으로 치아 및 잇몸과 접촉하여 치주 질환의 치료 및 예방 효과를 더욱 상승시킬 수 있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의 어린이용 치약은 제1 천연 추출물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천연 추출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수초 추출물 10 내지 15 중량부; 위령선 추출물 10 내지 15 중량부, 팔손이 추출물 5 내지 10 중량부 및 산자나무 잎 분말 5 내지 10 중량부로 포함한다. 상기 범위 내에서 어린이의 치주 질환 예방 효과가 우수하며, 범위 값 미만 이거나 초과인 경우에는 치주 질환 예방 효과가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또한, 치약을 제조하기 위하여, 연마제, 발포제, 습윤제, 점결제, 감미제, 약효성분, 착향제, 보존제 및 점증제 등의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첨가제에는 어린이 치아 보호를 위해 소량의 불소 성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점증제는 점도를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한 것으로, 천연 성분의 점증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점증제는 쟁탄검, 천연셀룰로오스, 하이셀, 메틸셀룰로오스, 카보머, 카보폴 프리젤 및 젤라틴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며, 보다 상세하게는 쟁탄검이지만, 상기 예시에 국한되지 않는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어린이용 치약 조성물을 제조하기 위해, 정제수 100 중량부에 대하여, 천연 혼합물 10 내지 15 중량부; 점증제 5 내지 8 중량부; 습윤제 1 내지 2 중량부; 발포제 1 내지 1.5 중량부; 보존제 0.5 내지 1 중량부; 및 감미제 0.5 내지 1 중량부로 포함한다. 상기 천연 혼합물은 제1 천연 추출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수초 추출물 10 내지 15 중량부; 위령선 추출물 10 내지 15 중량부, 팔손이 추출물 5 내지 10 중량부 및 산자나무 잎 분말 5 내지 10 중량부로 포함한다.
점증제 이외의 기타 성분의 경우에는 치약의 제조 시 일반적으로 사용 가능한 성분을 제한 없이 사용 가능하며, 예를 들어, 발포제로 라우릴황산타트륨, 습윤제로 디솔비톨액, 점증제 쟁탄검, 보존제로 벤조산 나트륨 및 감미제로 자일리톨을 이용할 수 있으나, 상기 예시에 국한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추출물'은 상술한 바와 같이 당업계에서 조추출물(crude extract)로 통용되는 의미를 갖지만, 광의적으로는 추출물을 추가적으로 분획(fractionation)한 분획물도 포함한다. 즉, 식물 추출물은 상술한 추출용매를 이용하여 얻은 것뿐만 아니라, 여기에 정제과정을 추가적으로 적용하여 얻은 것도 포함한다. 예컨대, 상기 추출물을 일정한 분자량 컷-오프 값을 갖는 한 외 여과막을 통과시켜 얻은 분획, 다양한 크로마토그래피(크기, 전하, 소수성 또는 친화성에 따른 분리를 위해 제작된 것)에 의한 분리 등, 추가적으로 실시된 다양한 정제 방법을 통해 얻어진 분획도 본 발명의 식물 추출물에 포함되는 것이다.
[제조예: 어린이용 치약 조성물의 제조]
1. 딸기 추출물의 제조
건조된 딸기에 20배 부피의 증류수를 이용하여 4시간 동안 100℃에서 열수 추출하여 추출액을 제조한 뒤, 상기 추출액을 여과지로 여과하고 감압하여 딸기 추출물(E1)을 제조하였다.
2. 천연 추출물의 제조
상기 딸기 추출물의 제조 방법과 동일한 방식으로 상백피 추출물(E2), 솔잎 추출물(E3), 복수초 추출물(E4), 위령선 추출물(E5) 및 팔손이 추출물(E6)를 제조하였다.
3. 산자나무 잎 분말(E7)의 제조
산자 나무 잎을 건조 후, 분쇄기를 이용하여 산자나무 잎 분말을 제조하였다.
4. 어린이용 치약 조성물의 제조
딸기 추출물(E1), 상백피 추출물(E2), 솔잎 추출물(E3), 복수초 추출물(E4), 위령선 추출물(E5), 팔손이 추출물(E6) 및 산자나무 잎 분말(E7)을 하기 표 1과 같은 조성으로 혼합하여 어린이 치약용 천연 혼합물을 제조하였다.
X1 X2 X3 X4 X5 X6 X7 X8
F1 100 100 100 100 - - - -
F2 - - - - 100 100 100 100
E4 5 10 15 20 5 10 15 20
E5 5 10 15 20 5 10 15 20
E6 1 5 10 15 1 5 10 15
E7 1 5 10 15 1 5 10 15
(단위 중량부, F1은 E1, E2 및 E3를 5:1:1의 중량 비율로 혼합한 것이며, F2는 E1, E2 및 E3를 10:1:1의 중량 비율로 혼합한 것이다.)
[실험예 1: 항균 실험]
항균 활성을 측정하기 위해, 구강 미생물은 분양 받아 사용하였다. 분양받은 균주들 중 Streptococcus sobrinus KCTC 5809는 단일 콜로니를 10ml의 BHI (Brain Heart Infusion)배양액이 들어 있는 200ml 플라스크에 접종하고 37℃에서 12시간 동안 교반하면서 배양하였다. 이후 10ml의 BHI 배지가 들어 있는 200ml 플라스크에 초기 흡광도(OD: Optical Density) 값이 0.1이 되도록 상기 배양액을 접종하여 7시간 동안 계대 배양하였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활성화 된 각각의 시험 균주 배양액을 배양접시 당 균수가 2×1010이 되도록 조절하여 60℃의 굳지 않은 BHI 한천배지 13ml와 함께 100μl 페트리배양접시에 부은 뒤 잘 굳혔다.
Aggregatibacter actinomycetemcomitans KCTC 3698 및 Prevotella intermedia KCOM 1107은 혈액한천배지에 균수가 2×1010이 되도록 조절하고, 도말하여 실시하였다.
56℃ 배양기에서 24시간 동안 건조시켜 습기를 완전히 제거한 10mm 페이퍼 디스크를 상기 페트리배양접시 위에 올려놓고, 준비해 둔 X1 내지 X8 조성물을 각각의 디스크에 100μl씩 주입한 다음 Streptococcus sobrinus는 37℃ 배양기, Aggregatibacter actinomycetemcomitans는 10% CO2 배양기, Prevotella intermedia 는 37℃℃ 혐기성 배양기에서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배양 후 생성된 세균의 생육저지대, 즉, Clear zone을 확인하고 Vernier calipers를 사용하여 직경을 측정하였고, 그 결과를 표 2에 나타내었다.
X1 X2 X3 X4 X5 X6 X7 X8
B1 121 N/D N/D N/D 12 N/D N/D N/D
B2 13 N/D N/D N/D 12 N/D N/D N/D
B3 13 N/D N/D N/D 12 N/D N/D N/D
(농도 단위: mg/ml, 활성 단위:mm, 1페이퍼디스크의 직경을 포함하는 Clear zone, N/D: Not Detected, B1: Streptococcus sobrinus, B2: Aggregatibacter actinomycetemcomitans, B3: Prevotella intermedia)상기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구강 세균인 Streptococcus sobrinus, Aggregatibacter actinomycetemcomitans 및 Prevotella intermedia에 항균 활성을 나타냄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2: 관능성 실험]
5 내지 7세의 어린 아이 10 명을 대상으로 관능성 실험을 진행하였다. 상기 표 1의 천연 혼합물을 이용하여, 정제수 100 중량부에 대하여, 천연 혼합물 10 중량부; 쟁탄검 5 중량부; 디솔비톨액 1 중량부; 라우릴황산타트륨 1 중량부; 벤조산 나트륨 0.5 중량부; 및 자일리톨 0.5 중량부로 혼합하여 어린이용 치약을 제조하였다. 해당 치약을 하루에 3번씩 사용하도록 하고 하기의 1 내지 5점으로 평가를 진행하였다. 점수가 높을수록 우수한 것을 의미한다.
선호도는 치약을 직접 사용한 아이들을 대상으로 평가를 진행하였고, 구취 제거도는 양치질이 종료되고 10분 후에 입냄새를 확인하여 평가하였다. 또한, 구강 자극은 하루 3번 째 양치질이 종료되고, 시각으로 확인하였다. 구강 자극의 경우에는 자극이 있으면 ○, 애매한 경우에는 △, 자국이 없는 경우는 ×로 표시하였다.
X1 X2 X3 X4 X5 X6 X7 X8
선호도 1 2 3 1 1 4 4 2
구취 제거 2 3 3 3 2 4 5 5
구강 자극 × × × × × ×
상기 표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아이들의 선호도, 구취 제거 및 구강 자극을 종합적으로 고려하면, X2, X3, X6 및 X7에서 가장 우수한 평가 받았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00: 칫솔모
110: 돌출 미세모
120: 미세모
130: 칫솔모 판
200: 칫솔대
210: 제1 중공부
210': 제2 중공부
220: 홈
230: 통로부
300: 어린이 치약 보관통
310: 노즐
400: 칫솔 손잡이부
410: 스위치부
420: 버튼부
430: 가압부
440: 탄성부

Claims (10)

  1. 돌출 미세모 및 미세모가 형성되며, 상기 돌출 미세모는 중심부에 위치하며, 미세모는 돌출 미세모를 감싼 형태로 형성되는 칫솔모;
    상단부에 칫솔모가 결합되고, 상기 칫솔모의 결합되는 상단부는 제1 중공부가 형성되며, 상기 상단부의 제1 중공부와 연결되어, 어린이용 치약이 분사될 수 있는 통로가 형성된 칫솔대;
    상기 칫솔대의 하부에 위치하며, 어린이용 치약이 저장된 치약이 저장되고 상기 칫솔대의 통로부와 결합되어 내부의 어린이용 치약이 분사될 수 있는 노즐이 형성된 어린이용 치약 보관통; 및
    상기 칫솔대의 하부에 형성되며, 외부 조작에 의해 상기 노즐을 가압하여 어린이용 치약 보관통 내의 치약이 분사되어 칫솔대의 통로를 통해 칫솔모로 공급할 수 있는 스위치부가 형성된 칫솔 손잡이부를 구비하고,
    상기 칫솔모는 칫솔모 판의 일면에 형성되고, 상기 칫솔모 판은 칫솔모가 형성된 면의 반대면에 칫솔대와 결합하기 위한 끼움 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칫솔대는 칫솔모 판과 결합하기 위한 홈이 형성되고,
    상기 끼움 돌기는 끝 부분이 갈고리 같은 형태인 어린이용 기능성 칫솔이며,
    상기 어린이용 치약은 딸기 추출물; 상백피 추출물; 및 솔잎 추출물의 혼합물인 제1 천연 추출물, 복수초 추출물; 위령선 추출물 및 팔손이 추출물의 혼합물인 제2 천연 추출물 및 산자나무 잎 분말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천연 추출물은 딸기 추출물; 상백피 추출물 및 솔잎 추출물을 5:1:1 내지 10:1:1의 중량 비율로 포함하며,
    상기 어린이용 치약은 상기 제1 천연 추출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복수초 추출물 10 내지 15 중량부; 위령선 추출물 10 내지 15 중량부, 팔손이 추출물 5 내지 10 중량부 및 산자나무 잎 분말 5 내지 10 중량부를 포함하는
    치주 질환의 예방이 가능한 어린이용 치약을 포함하는 어린이용 기능성 칫솔.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칫솔 손잡이부 및 어린이용 치약 보관통은 나사 결합을 통해 결합되며,
    상기 칫솔 손잡이부의 상단 내측에는 어린이용 치약 보관통과 결합을 위한 숫나사부가 형성되며,
    상기 어린이용 치약 보관통의 상부에는 칫솔 손잡이부와 나사 결합을 위한 암나사부가 형성된
    어린이용 기능성 칫솔.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어린이용 치약 보관통은 칫솔 손잡이부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되어,
    어린이용 치약 보관통이 칫솔 손잡이부와 결합 시에, 칫솔 손잡이부 보다 돌출되어 위치하는
    어린이용 기능성 칫솔.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 미세모 및 미세모의 높이 차이는 0.8 내지 1.2mm인
    어린이용 기능성 칫솔.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부는 칫솔 손잡이부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며, 반대측은 경사면을 형성하는 버튼부;
    상기 통로와 결합될 수 있는 홀이 중심부에 형성되며, 상기 버튼부의 경사부와 접하는 경사면이 형성되고, 상기 버튼부의 누름 시 버튼부의 경사부에 의해 미끄러져 내려가 노즐을 가압하는 가압부; 및
    상기 가압부의 하단에 위치하여 가압 부재의 하강 시 원 위치로 복원시키는 탄성부를 구비하는
    어린이용 기능성 칫솔.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어린이용 치약은 점도가 2,000 내지 3,000 cps인
    어린이용 기능성 칫솔.
  10. 삭제
KR1020180040992A 2018-04-09 2018-04-09 어린이용 기능성 칫솔 KR1021090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0992A KR102109094B1 (ko) 2018-04-09 2018-04-09 어린이용 기능성 칫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0992A KR102109094B1 (ko) 2018-04-09 2018-04-09 어린이용 기능성 칫솔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17975A KR20190117975A (ko) 2019-10-17
KR102109094B1 true KR102109094B1 (ko) 2020-05-11

Family

ID=684243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40992A KR102109094B1 (ko) 2018-04-09 2018-04-09 어린이용 기능성 칫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0909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51032B1 (ko) * 2021-04-05 2022-01-13 김미리 유아의 성장에 따른 헤드교체형 칫솔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1371B1 (ko) 2014-04-02 2015-01-14 유한회사 비엔트리니티 울금을 함유한 치약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99934B1 (ko) * 1998-12-22 2006-11-30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치주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480690B1 (ko) * 2008-09-03 2015-01-09 (주)아모레퍼시픽 천연 추출물을 함유한 구강용 조성물
KR20100006495U (ko) * 2008-12-17 2010-06-25 김재식 치약을 구비한 칫솔
KR101082208B1 (ko) * 2009-04-10 2011-11-09 곽성철 치약조성물
KR101239639B1 (ko) 2011-01-27 2013-03-13 신정현 어린이안전칫솔
KR20120133135A (ko) * 2011-05-30 2012-12-10 한국 한의학 연구원 화마인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치아우식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221074B1 (ko) 2012-07-06 2013-01-11 주식회사 시라이트 무독성,무자극성 구강항균 및 신경,정신 안정 효과를 가지는 천연항균 어린이 치약 조성물
KR20140121273A (ko) * 2013-04-07 2014-10-15 김은지 액체치약이 구비된 칫솔
KR20150128196A (ko) * 2014-05-08 2015-11-18 김서희 과일 치약
KR20170019893A (ko) * 2015-08-13 2017-02-22 주식회사 아이마더 천연 식물 추출물을 함유하는 니오좀을 포함하는 치약 조성물
KR20180000140A (ko) * 2016-06-22 2018-01-02 김점선 치석 제거 기능을 갖는 칫솔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1371B1 (ko) 2014-04-02 2015-01-14 유한회사 비엔트리니티 울금을 함유한 치약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17975A (ko) 2019-10-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68050B1 (ko) 약용 꽃을 활용한 쌈 발효법 및 이를 활용한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1805004B1 (ko) 약용 잎을 활용한 쌈 발효법 및 이를 활용한 피부 외용제 조성물
CN107510747A (zh) 一种漱口泡腾片及其制备方法
CN110519997B (zh) 通过辣木叶提取物和杜仲提取物的复合物的抗生、抗氧化、抗炎、抑制牙周骨损失和再生牙周骨缓解牙龈炎和牙周炎的方法
KR101955468B1 (ko) 천연 추출물을 함유하는 치약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2058464B1 (ko) 가글용 생약 추출액 조성물
KR102109094B1 (ko) 어린이용 기능성 칫솔
KR102313830B1 (ko) 해조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구취 완화용 조성물
US20160303035A1 (en) Toothpaste Composition Containing Curcuma Longa L.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ame
KR101782858B1 (ko) 약용식물 추출물을 함유하는 치약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2171798B1 (ko) 천연 추출물을 포함하는 구취 감소 및 치주질환 예방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916377B1 (ko) 치아 미백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140031512A (ko) 오미자 추출물을 포함하는 구강질환 치료 및 구취 억제용 조성물
KR101978742B1 (ko) 천연 생약 성분을 포함하는 숙면 유도용 조성물
KR102070316B1 (ko) 천연 복합물을 포함하는 구강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203165B1 (ko) 구강용 스펀지 브러쉬
KR102022364B1 (ko) 구강청정용 발포성 정제 및 이의 제조 방법
CN110613801B (zh) 用于预防或改善口腔疾病的口腔用组合物及其用途
KR102177066B1 (ko) 삼지구엽초 추출물을 포함하는 구강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70085703A (ko) 천연식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구강내 항염 및 구취 제거용 조성물
CN112353731A (zh) 一种洁牙草与洁牙粉
CN110652465A (zh) 一种植物多肽护理组合物
KR20190117978A (ko) 기능성 어린이용 치실
KR102350693B1 (ko) 연꽃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고 치아 미백 및 명도 개선 활성이 우수한 치아 브라이트닝 조성물
KR101930785B1 (ko) 천연 추출물을 포함하는 치아 미백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