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19893A - 천연 식물 추출물을 함유하는 니오좀을 포함하는 치약 조성물 - Google Patents

천연 식물 추출물을 함유하는 니오좀을 포함하는 치약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19893A
KR20170019893A KR1020150114381A KR20150114381A KR20170019893A KR 20170019893 A KR20170019893 A KR 20170019893A KR 1020150114381 A KR1020150114381 A KR 1020150114381A KR 20150114381 A KR20150114381 A KR 20150114381A KR 20170019893 A KR20170019893 A KR 201700198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plant extract
dentifrice composition
toothpaste
pla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143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구동회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이마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이마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이마더
Priority to KR10201501143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19893A/ko
Publication of KR201700198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19893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14Liposomes; Vesic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microorganisms other than algae or fungi, e.g. protozoa or bacter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1/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teeth, of the oral cavity or of dentures; Dentifrices, e.g. toothpastes; Mouth rin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80Process related aspects concerning the prepar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or the storage or application thereof
    • A61K2800/85Products or compounds obtained by fermentation, e.g. yoghurt, beer, win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Tropical Medicine & Parasit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천연 식물 추출물을 함유하는 니오좀을 포함하는 치약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식물 추출물은 황칠나무 추출물, 산초 추출물, 천궁 추출물, 녹차 추출물, 유칼립투스 추출물, 쇠비름 추출물, 겨우살이 추출물, 솔잎 추출물 및 은행잎 추출물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2종 이상의 추출물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치약 조성물은 구취 제거에 효과적이며, 치주염 예방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천연 식물 추출물을 함유하는 니오좀을 포함하는 치약 조성물{TOOTHPASTE COMPOSITIONS COMPRISING NIOSOME CONTAINING NATURAL PLANT EXTRACT}
본 발명은 치약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천연 식물 추출물을 함유하는 니오좀을 포함하는 치약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사람의 입은 크게 소화관의 입구로서 음식물을 섭취하는 기능, 소리를 내는 구음 기능, 음식의 맛을 느끼는 미각 기능을 수행하는 중요한 신체기관이며, 모든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관리가 중요하다.
입안 표면적의 20% 정도를 차지하는 치아는 음식물을 섭취하기 위하여 음식물을 씹는 역할을 할 뿐 아니라, 적절히 발음을 하고 현대 사회에서는 미적으로도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
사람의 치아를 건강하게 유지하기 위하여 가장 일반적으로 방법은 양치를 하는 것이다. 양치는 치약없이 칫솔질만으로 수행할 수 있지만, 치약을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최근에는 치아 청결을 유지하는 기본적 효과뿐 아니라, 미백효과, 살균효과, 구취제거효과, 잇몸보호효과 등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는 기능성 치약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치약은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하여 다양한 합성 첨가물을 포함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치약에 포함되는 불소 화합물, 각종 연마제, 합성계면활성제(SLS) 등은 치아에 남아있거나 인체에 흡수되는 경우 유해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최근 천연 식물 성분을 포함하는 치약 조성물에 대한 수요가 높아지고 있으며 연구가 활발이 진행되고 있다.
한국 출원특허 제2006-0005128호는 산초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구강 위생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에 대하여 기술되어 있다. 등록특허 제10-0313491호는 항균성 식물로 알려진 맹종죽, 오배자, 황금, 측백엽, 은행엽, 가자, 다류엽, 차전자(질경이) 등으로 부터 얻은 추출물을 포함하는 치약 조성물에 대하여 기술되어 있다. 또한, 한국 출원특허 제2013-0107045호는 편백나무 잎에서 추출한 피톤치드를 함유한 구취전용 치약 조성물에 대하여 기술되어 있다.
본 발명은 천연 식물 추출물을 함유하는 치약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치약 조성물은 천연 식물 추출을 함유하면서 각 식물 특유의 냄새가 나지 않고, 구취를 효과적으로 제거하고 치주염 예방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본 발명은 식물 추출물을 함유하는 니오좀을 포함하는 치약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식물 추출물은 황칠나무 추출물, 산초 추출물, 천궁 추출물, 녹차 추출물, 유칼립투스 추출물, 쇠비름 추출물, 겨우살이 추출물, 솔잎 추출물 및 은행잎 추출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2종 이상의 추출물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식물 추출물은 미생물로 발효한 것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미생물은 아스퍼질러스 속 미생물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미생물은 아스퍼질러스 카와치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치약 조성물은 피톤치드 및/또는 프로폴리스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니오좀은 치약 조성물의 전체 중량에 대하여 3 내지 20 중량%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치약 조성물은 천연 식물 추출을 니오좀에 함유하여 각 식물 특유의 냄새가 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치약 조성물을 사용하면 구취를 효과적으로 제거하고 치주염 예방 효과를 나타낸다.
본 발명은 식물 추출물을 함유하는 니오좀을 포함하는 치약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식물 추출물은 황칠나무 추출물, 산초 추출물, 천궁 추출물, 녹차 추출물, 유칼립투스 추출물, 쇠비름 추출물, 겨우살이 추출물, 솔잎 추출물 및 은행잎 추출물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2종 이상의 추출물을 함유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사용되는 식물 추출물은 황칠나무 추출물, 산초 추출물, 천궁 추출물 및 은행잎 추출물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2종 이상의 추출물을 함유할 수 있으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3종 이상의 추출물을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다양한 식물 추출물은 각각 아래와 같은 다양한 효능이 있어 예로부터 한약재로 사용되거나 식용으로 사용되어 왔다.
황칠나무(Dendropanax morbifera Lev.)는 두릅나무과에 속하고, 혈액순환 개선, 간기능 개선, 피로 회복 효과, 숙취해소 효과, 항노화작용, 세포손상 억제 효과, 골다공증, 항균, 항염증 등의 다양한 효과가 있다.
산초(Zanthoxylum schinifolium Siebold & Zucc.)는 초피나무 또는 동속 식물의 과피로서 국부마취작용, 장관연동작용 항균작용 등을 할 수 있으며, 향신료로도 사용된다.
천궁(Cnidium officinale MAKINO)은 약리 실험을 통하여 진정(鎭靜) 작용, 혈압 강하 작용, 자궁 수축 작용, 항균 작용 등을 나타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녹차는 구취제거, 항균, 항산화 작용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유칼립투스(Eucalyptus globulus)의 에센셜 오일은 강한 살균 작용이 있어 피부를 정화하고 피부 장애 개선 효과가 있다. 또한, 항염, 항바이러스, 항균, 항산화 등 다양한 기능이 알려져 있다.
쇠비름(Portulaca oleracea L.)은 쇠비름 100g에 사포닌, 베타카로틴, 글루틴, 칼륨, 비타민, 필수지방산, 오메가3, 지방산 등이 300~400 mg 포함되어 있을 정도로 영양소가 풍부하여, 스트레스 완화, 정신건강, 혈액순환, 혈압조절 등 다양한 효능을 갖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겨우살이(Viscum album var. coloratum)는 항암작용, 진정, 관상동맥확장, 혈소판응집, 항혈전, 자궁수축, 이뇨, 항균, 심박통, 항마비, 면역 증진, 치아보호, 치통, 치한, 두통, 머리카락보호, 면역력강화, 부스럼, 근골위약, 수염 및 눈썹 성장촉진 등 다양한 효능이 알려져 있다.
솔잎은 침엽상록수인 소나무의 잎으로서, 간장질환, 위장질환, 신경계질환, 순환계 질환 등을 개선하고 당뇨병을 예방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은행잎은 은행나무의 잎으로서, 동맥경화증, 심장병, 고콜레스테롤 혈증, 이질, 복통, 설사 등의 다양한 질병을 개선, 치료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식물 추출물은 치약 조성물의 전체 중량에 대하여 0.1 내지 2 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1 중량%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중량% 미만으로 포함하는 경우에는 효과가 미미하며, 상기 중량%를 초과하여 포함하는 경우에는 특유취가 발생한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식물 추출물은 발효 추출물일 수 있다. 발효 추출물은 다음과 같이 제조할 수 있다. 추출을 원하는 식물을 100 내지 500 메쉬로 파쇄한 다음 미생물 배양액 1 내지 100g/L를 첨가하고 미생물을 10,000 내지 100,000 cfu/L의 양으로 첨가한다. 배양 온도는 통상적인 미생물 배양 조건에서 진행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25 내지 37℃의 온도일 수 있다. 배양 pH는 통상적인 미생물 배양 조건에서 진행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5 내지 7일 수 있다. 배양은 5일 내지 10일간 진행할 수 있으며, 이후 추가 숙성 단계 및 여과 단계를 통하여 발효 추출물을 수득할 수 있다. 발효에 사용되는 미생물은 일반적으로 식품 또는 화장료 등에 사용되는 모든 미생물을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아스퍼질러스(Aspergillus) 속 미생물을 사용할 수 있다. 아스퍼질러스 속 미생물은 아스퍼질러스 카와치(Aspergillus kawachii), 아스퍼질러스 아와모리(Aspergillus awamori), 아스퍼질러스 오리재(Aspergillus oryzae), 아스퍼질러스 소재(Aspergillussojae), 아스퍼질러스 우사미(Aspergillus usamii) 등일 수 있다.
다양한 식물 추출물을 단순히 함유하는 치약 조성물의 경우에는 그 식물의 특유취로 인하여 사용자가 불쾌감을 느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치약 조성물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식물 추출물을 니오좀에 함유시켜 특유취를 제거하면서 유효 성분을 치아에 효과적으로 전달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니오좀"은 수용성 층에서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의 자가반응으로 형성된 나노 크기의 분자체로서, 리포좀의 한 형태이다. 현재 제약 분야, 화장품 분야 등에서 활성 성분을 안정화하면서 효과적으로 전달하기 위하여 사용되고 있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니오좀은 관련 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방법으로 니오좀을 제조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유화제, 보조유화제, 콜레스테롤, 콜레스테릴에스터 및 소이스테롤 등을 혼합 사용하여 고압유화시킴으로서 폐쇄된 이중층 구조를 갖도록 니오좀을 제조할 수 있다. 유화제는 레시틴을 사용할 수 있으며, 치약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해 0.5∼5중량%, 바람직하게는 2∼3중량%가 함유될 수 있다. 레시틴의 구성성분은 포스파티딜콜린 (phosphatidylcholine), 라이조포스파티딜콜린(lysophosphatidylcholine), 포스파티딜에탄올아민(phosphatidylethanolamine) 등의 불포화 콜린계, 세린계, 에탄올아민계 화합물 및 이들의 수소첨가물 형태를 포함하고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식물 추출물을 함유하는 니오좀은 치약 조성물의 전체 중량에 대하여 3 내지 20 중량% 포함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5 내지 10 중량%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중량% 미만으로 포함하는 경우에는 원하는 효과를 얻을 수 없으며, 상기 중량%를 초과하여 포함하는 경우에는 원가 대비 효율이 낮다.
또한, 본 발명에서 레시틴과 함께 사용되는 보조유화제로는 음이온계, 양이온계, 비이온계 또는 양성이온계 유화제가 가능하며, 사용되는 레시틴의 함량 및 구성성분에 따라 레시틴 함량 대비 0.5∼5배, 바람직하게는 1∼3배의 비율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치약 조성물은 치약 조성물에는 치아에 부착된 치구, 치석 따위를 제거하며 치아면에 본래의 광택을 부여하는 역할을 하는 연마제와, 배합된 계면활성제의 작용으로 사용시의 계면장력을 저하시켜 칫솔질의 청소효과를 높이고 배합되어 있는 약효제의 분산, 침투성을 도와주는 역할을 하는 발포제와, 치약에 습기와 크림상을 주기 위하여 치약이 공기중에 접촉하여 고체화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는 습윤제와, 치약의 고체성분과 액체성분의 분리를 방지하는 역할을 하는 점결제와, 충치예방, 농루예방, 치아미백, 치석의 침착방지, 구취예방 등의 효과를 증강하기 위한 추가 유효성분 및 착색제와 보존제가 함유될 수 있다.
연마제는 일반적으로 치약에 사용되는 모든 연마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인산칼슘, 탄산칼슘, 무수규산, 수산화알루미늄, 이산화규소(SiO2·nH2O), 콜로이드성 이산화규소(실리카)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성분이 사용되며, 물에 불용성으로서 약산성이나 중성 또는 약알칼리성을 띠고, 입자의 지름은 1∼20㎛에 해당되며, 치아의 에나멜질을 상하게 하지 않는 경도, 예를 들어 3 또는 그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발포제는 일반적으로 치약에 사용되는 모든 발포제를 포함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독성이나 자극이 없고, 침전이 생기지 않는 라우릴 황산나트륨일 수 있다.
습윤제는 일반적으로 치약에 사용되는 모든 습윤제를 포함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친수성으로 보습성이 우수하고, 독성과 자극성이 없으며, 상쾌한 감미를 보유한 글리세린, 솔비톨, 프로필렌 글리콜 등의 다가 알코올일 수 있다.
점결제는 일반적으로 치약에 사용되는 모든 점결제를 포함할 수 있으나, 수용성 고분자로 물과 다가 알코올에 용해, 분산 또는 팽창되면서 고점도의 분산액을 만드는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오즈, 아라비아 고무, 알킨산 나트륨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추가 유효성분으로는 일불소인산나트륨, 불화나트륨, 불소이온, 클로로헥시딘류, 덱스트라나제 같은 충치예방제와, 알란토인, 알란토인클로로 히드록시알루미늄, ε-아미노카프론산 같은 농루예방제와, PEG-400, PEG-4000, 폴리비닐피롤리돈,과산화물 같은 치아미백제와, 레시틴, 허브류, 사이클로덱스트린 같은 구취예방제와, 폴리인산나트륨, 제올라이트, 구연산, 트리메칠렌포스폰산, 에칠렌디아민테트라메칠렌포스폰산 같은 치석제거제와, 질산칼륨, 산화아연-오이게놀 같은 치각과민방지제와, 구강내의 불결한 냄새를 억제하는 자일리톨 같은 감미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치약 조성물은 치주질환 예방, 치료 및 충치 예방에 효과가 있다.
구취를 유발하는 대표적인 성분으로는 휘발성 황화물(Volatile Sulfide Compounds)을 들 수 있는데, 이들 휘발성 황화물에는 황화수소(Hydrogen sulfide, H2S), 메틸머캅탄(Methyl mercaptan, CH3SH), 디메틸머캅탄[Dimethyl mercaptan, (CH3)2S] 등이 있으며, 특히 메틸머캅탄은 구취 중 역겨운 냄새의 주성분이라고 알려져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치약 조성물은 이와같은 휘발성 황화물을 효과적으로 제거하여 구취 억제 효과가 뛰어나다.
본 발명에 따른 치약 조성물은 천연 식물 추출물을 다량 포함하면서 불소를 함유하고 있지 않기때문에 인체에 상대적으로 무해하면서 치약 본연의 기능을 향상되는 특징이 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요지에 따라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1. 식물 추출물의 제조 : 제조예 1
은행잎 50g과 천궁 50g을 각각 400 메쉬로 파쇄한 다음 미생물 배양액을 100g/L 첨가하고 아스퍼질러스 카와치(Aspergillus kawachii)로 30℃, pH 6에서 5일간 배양하여 식물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2. 식물 추출물의 제조 : 제조예 2
은행잎 50g과 산초 50g을 각각 400 메쉬로 파쇄한 다음 미생물 배양액을 100g/L 첨가하고 아스퍼질러스 카와치(Aspergillus kawachii)로 30℃, pH 6에서 5일간 배양하여 식물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3. 식물 추출물의 제조 : 제조예 3
산초 40g, 녹차 30g, 쇠비름 30g을 각각 400 메쉬로 파쇄한 다음 미생물 배양액을 100g/L 첨가하고 아스퍼질러스 카와치(Aspergillus kawachii)로 30℃, pH 6에서 5일간 배양하여 식물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4. 실시예 1 내지 3 및 비교 실시예 1 내지 3의 제조
실시예 1 내지 3은 대두에서 추출한 레시틴을 이용하여 제조된 니오좀에 제조예 1 내지 3의 식물 추출물을 함유시킨 치약 조성물이고, 비교 실시예 1 내지 3은 니오좀에 함유시키지 않은 제조예 1 내지 3의 식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치약 조성물이다. 니오좀은 표 1에 기재된 성분을 혼합하고 90℃까지 가온하며 균일하게 혼합, 용해시켜 제조하였다.
성분 중량%
레시틴 15
에탄올 10
디메티콘 2
자이리톨 6
토코페릴 아세테이트 10
콜레스테롤 20
소이스테롤 15
정제수 잔량
합계 100
제조된 니오좀을 냉각한 후 식물 추출물을 넣고 혼합한 후 약 1000 bar의 압력의 고온유화장치를 3회 통과시켰다. 이후 표 2와 같이 추가 성분을 포함하도록 치약 형태로 제조하였다.
(중량%)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비교 실시예 1 비교 실시예 2 비교 실시예 3
제조예 1 2 - - 2 - -
제조예 2 - 2 - - 2 -
제조예 3 - - 2 - - 2
니오좀
조성물
5 5 5 - - -
탄산칼슘 3 3 3 3 3 3
인산삼칼슘 3 3 3 3 3 3
일인산수소칼슘 30 30 30 30 30 30
D-소르비톨액 10 10 10 10 10 10
이산화규소 5 5 5 5 5 5
글리세린 10 10 10 10 10 10
과산화수소 1 1 1 1 1 1
피톤치드 3 3 3 3 3 3
아리비아검 1 1 1 1 1 1
프로폴리스 1 1 1 1 1 1
이산화티탄 0.5 0.5 0.5 0.5 0.5 0.5
기타 첨가제 3 3 3 3 3 3
정제수 잔량 잔량 잔량 잔량 잔량 잔량
합계 100 100 100 100 100 100
실험예 1 : 사용감 평가
20 내지 50대의 남녀 10명에게 상기 제조한 실시예와 비교 실시예로 제조된 치약을 교부하여 치약의 자체의 냄새, 사용 후 구취 개선, 사용 후 청량감 정도를 평가하였다. 평가점수는 좋지 않은 경우를 0 점으로, 우수한 경우를 5점으로 평가하여 평균값으로 나타내었다.
치약 자체의 냄새 사용 후 구취 개선 청량감
실시예 1 4.2 4.3 4.7
실시예 2 4.7 4.2 4.3
실시예 3 4.3 4.3 4.5
비교 실시예 1 1.7 2.1 2.0
비교 실시예 2 2.1 1.7 1.9
비교 실시예 3 2.4 2.0 1.9
상기 표로 나타낸 바와 같이, 실시예 1 내 3은 비교 실시예 1 내지 3보다 치약 자체에 식물의 특유취가 발생하지 않아 사용감이 우수하고, 사용 후 구취 개선 효과를 느낄 수 있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또한, 사용 후 청량감을 느끼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실험예 2 : 구취 억제 효과 평가
실시예 1 및 비교 실시예 1의 구취 억제 효과를 평가하기 위하여 구취 주성분인 메틸머캅탄(methylmercaptan)에 대한 억제 효과를 측정하기 위해 할리미터(Halimeter)를 이용하였다.
메틸머캅탄 표준용액(벤젠 내 1㎍/㎕)을 0.2M 인산칼륨 완충용액(Potassium Phosphate buffer, pH 7.5)에 희석시켜 할리미터 측정값이 600ppb가 되도록 한 후 그 희석액을 구취 유발원 용액으로 사용하였다. 실시예 1 및 비교 실시예 1의 치약을 각각 0.2M 인산칼륨 완충용액(pH 7.5)에 녹여 1% 용액으로 만들어 실험에 사용하였다. 대조군으로는 뚜껑이 달린 시험관에 완충용액 500㎕와 구취 유발원 용액 500㎕를 넣었으며, 실험군으로는 각각 추출물 용액 500㎕와 구취 유발원 용액 500㎕를 넣었다. 각 시험관은 36.5℃ 수조에 5분간 정치한 후 할리미터(Halimeter)를 이용하여 시험관의 Head-space 내의 황화합물의 양을 측정하였다. 대조군 및 실험군의 실험은 각각 4회 반복하여 각 할리미터 측정 값의 평균 값을 표 4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1 비교 실시예 1 대조군
평균(ppb) 120.75 312.4 350.0
상기 표 4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의 치약 조성물은 구취의 주성분인 메틸머캅탄에 대하여 매우 강력한 구취 억제 효능이 있음을 알 수 있다.
실험예 3 : 치약 조성물의 안정성 평가
실시예 1 내지 3의 치약 안정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상온에 보관하면서 2개월 간격으로 12개월 동안 치약 조성물의 안정 상태를 5점법으로 평가하였다. 표 5에 기재된 값은 표면 상태의 상이 분리가 일어나지 않았는지, 변색되었는지 및 가스 발생 여부 등을 종합적으로 판단하여 평가하였다.
0개월 2개월 4개월 6개월 8개월 10개월 12개월
실시예 1 4.8 4.5 4.4 4.4 4.1 4.0 3.8
살시예 2 4.7 4.6 4.4 4.3 4.2 4.0 4.0
실시예 3 4.7 4.5 4.2 4.2 4.0 3.9 3.7
표 5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다른 실시예 1 내지 3은 상온에서 상이 거의 분리되지 않으면서 안정한 것을 알 수 있다.

Claims (6)

  1. 식물 추출물을 함유하는 니오좀을 포함하는 치약 조성물로서,
    상기 식물 추출물은 황칠나무 추출물, 산초 추출물, 천궁 추출물, 녹차 추출물, 유칼립투스 추출물, 쇠비름 추출물, 겨우살이 추출물, 솔잎 추출물 및 은행잎 추출물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2종 이상의 추출물인, 치약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식물 추출물은 미생물로 발효한 것인, 치약 조성물.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미생물은 아스퍼질러스 속 미생물인, 치약 조성물.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미생물은 아스퍼질러스 카와치인, 치약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치약 조성물은 피톤치드 및/또는 프로폴리스를 추가로 포함하는, 치약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니오좀은 치약 조성물의 전체 중량에 대하여 3 내지 20 중량% 포함되는, 치약 조성물.
KR1020150114381A 2015-08-13 2015-08-13 천연 식물 추출물을 함유하는 니오좀을 포함하는 치약 조성물 KR2017001989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4381A KR20170019893A (ko) 2015-08-13 2015-08-13 천연 식물 추출물을 함유하는 니오좀을 포함하는 치약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4381A KR20170019893A (ko) 2015-08-13 2015-08-13 천연 식물 추출물을 함유하는 니오좀을 포함하는 치약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19893A true KR20170019893A (ko) 2017-02-22

Family

ID=583149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14381A KR20170019893A (ko) 2015-08-13 2015-08-13 천연 식물 추출물을 함유하는 니오좀을 포함하는 치약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19893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63815B1 (ko) * 2017-03-07 2018-06-04 (주)코코스바이오텍 치아 미백시스템
KR101930785B1 (ko) * 2017-09-13 2019-03-11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천연 추출물을 포함하는 치아 미백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190117975A (ko) * 2018-04-09 2019-10-17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어린이용 기능성 칫솔
KR102137733B1 (ko) * 2020-01-22 2020-07-24 김충국 순지트를 포함하는 치약 조성물
KR102610236B1 (ko) * 2023-09-13 2023-12-05 강병조 구취 예방 또는 개선용 치약 조성물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63815B1 (ko) * 2017-03-07 2018-06-04 (주)코코스바이오텍 치아 미백시스템
KR101930785B1 (ko) * 2017-09-13 2019-03-11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천연 추출물을 포함하는 치아 미백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190117975A (ko) * 2018-04-09 2019-10-17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어린이용 기능성 칫솔
KR102137733B1 (ko) * 2020-01-22 2020-07-24 김충국 순지트를 포함하는 치약 조성물
KR102610236B1 (ko) * 2023-09-13 2023-12-05 강병조 구취 예방 또는 개선용 치약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09608B1 (ko) 두피 및 모발 상태 개선용 조성물
CN110934783B (zh) 一种含中草药的去屑止痒组合物、含有该组合物的无硅油氨基酸洗发水及其制备方法与应用
KR20170019893A (ko) 천연 식물 추출물을 함유하는 니오좀을 포함하는 치약 조성물
KR101821422B1 (ko) 치마제 조성물
KR101955468B1 (ko) 천연 추출물을 함유하는 치약 조성물의 제조방법
KR20180137101A (ko) 마사지용 화장료 조성물
KR101312965B1 (ko) 양파, 컴프리, 한련초 및 카카오 추출물을 함유하는 탄력 증진 및 주름 개선 화장용 조성물
KR102299387B1 (ko) 향균성 치약 조성물
CN111315356A (zh) 口腔清洗用发泡性固形剂及其制备方法
KR101216427B1 (ko) 카렌듈라 치약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100080991A (ko) 모근강화에 효능있는 모발용 화장료 조성물
KR101703269B1 (ko) 후박 추출물 및 중탄산염을 포함하는 구강 관리용 조성물
RU2334522C1 (ru) Лечебно-профилактический эликсир для ухода за полостью рта
RU2306922C2 (ru) Применение отваров трав в качестве водной среды для изготовления зубной пасты и композиция зубной пасты
KR100859967B1 (ko) 금강송 추출물을 함유한 치약 조성물과 치약 제조 방법
KR102196459B1 (ko) 항균 성능이 개선된 치약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치약
CN113278477A (zh) 一种美白保湿滋润抑菌的沐浴皂及其制备方法
CN113583768A (zh) 一种去屑止痒顺滑亮泽防脱发的洗发皂及其制备方法
KR20200003607A (ko) 치주질환 예방 및 개선용 오일 조성물
JP2015107953A (ja) 植物エキスを含有するトイレタリー製品用組成物
KR102283663B1 (ko) 허브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균 조성물
KR102548594B1 (ko) 화이트 세이지 복합추출물과 그 추출방법
KR20230153847A (ko) 잇몸질환 예방과 구취제거 효과가 우수한 항균치약 조성물
KR101456655B1 (ko) 비듬 및 두피가려움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20140115228A (ko) 생약재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탈모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